KR101415421B1 -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421B1
KR101415421B1 KR1020120136826A KR20120136826A KR101415421B1 KR 101415421 B1 KR101415421 B1 KR 101415421B1 KR 1020120136826 A KR1020120136826 A KR 1020120136826A KR 20120136826 A KR20120136826 A KR 20120136826A KR 101415421 B1 KR101415421 B1 KR 101415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ensor
recognition
bicycle
tur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9503A (ko
Inventor
서호찬
Original Assignee
서호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호찬 filed Critical 서호찬
Priority to KR1020120136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421B1/ko
Publication of KR20140069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5Direc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16Arrangement of 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자동으로 점멸되는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는, 핸들 스템의 하단에 마련되며, 핸들의 회전 방향에 연동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는 센서동작 레버; 핸들 스템을 지지하는 헤드 튜브의 상단 좌측과 상단 우측에 각각 마련되며, 센서동작 레버의 좌측 회동 동작과 우측 회동 동작을 각각 인식하는 한 쌍의 레버인식 센서; 자전거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도록 마련되며, 좌측 등과 우측 등을 포함하는 방향지시등; 및 한 쌍의 레버인식 센서 각각으로부터 인식 신호를 전송받아 방향지시등의 좌측 등과 우측 등을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는 자전거 방향 전환시 방향지시등을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전거 운전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APPARATUS FOR DIRECTION INDICATING OF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자동으로 점멸되는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야간에 자전거 주행 시 전조등과 같은 램프를 점등하여 자전거를 타고 있는 사용자가 주행길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전방에서 걸어하는 사람 또는 차량에게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한다.
최근 들어 웰빙을 중시하는 시대를 맞이하여 차량 대신 자전거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추세에 따라 자전거의 주행 시 보다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점점 개발되고 있다.
일예로 정지 시 정지 표시등을 점등시켜 후방에 신호를 보낸다거나, 자전거 주행 방향 전환 시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방향전환을 할 것임을 알리기 위한 표시등을 점등시켜 전후방 사람 또는 차량에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자전거 주행 방향 전환 시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방향전환 표시등을 점등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를 조작하여야만 해당하는 좌측 또는 우측의 방향전환 표시등을 점등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점등시킨 방향전환 표시등을 끄기 위해서는 그 스위치를 다시 눌러야 한다.
사용자는 자전거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방향을 전환하기 전에 또는 전환과 동시에 별도로 설치된 스위치를 눌러야 함으로 인해 조작에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특히, 자전거 주행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의 경우에는 방향전환 조작하는 것도 어려운데 방향 조작과 동시에 방향 전환 표시등을 점등시키기 위한 별도의 스위치까지 누르게 되면 사고가 나거나 다칠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좀 더 편리하게 자전거 방향전환 시 방향 전환표시등을 쉽게 점등시킬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전거 방향 전환 시 자동으로 감지하여 해당 방향의 방향지시등을 점등하며, 반대 방향으로 재전환 시 소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들의 회전 동작에 대응하여 방향지시등의 점멸 민감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복되는 방향인식 동작에 대해 내구성이 향상된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는, 핸들 스템의 하단에 마련되며, 핸들의 회전 방향에 연동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는 센서동작 레버; 핸들 스템을 지지하는 헤드 튜브의 상단 좌측과 상단 우측에 각각 마련되며, 센서동작 레버의 좌측 회동 동작과 우측 회동 동작을 각각 인식하는 한 쌍의 레버인식 센서; 자전거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도록 마련되며, 좌측 등과 우측 등을 포함하는 방향지시등; 및 한 쌍의 레버인식 센서 각각으로부터 인식 신호를 전송받아 방향지시등의 좌측 등과 우측 등을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센서동작 레버는 핸들 스템의 외주면 전측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끝단이 하측으로 절곡되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레버인식 센서는, 각각이 적외선을 방출하는 적외선발광 센서와 센서동작 레버에 반사되어 되돌려지는 적외선을 수신하는 적외선수광 센서로 구성되며, 헤드 튜브의 외주면 전측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여유각을 두고 형성되어, 센서동작 레버가 레버인식 센서의 전측에서 거리를 두고 회동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컨트롤러는, 센서동작 레버가 한 쌍의 레버인식 센서 사이의 여유각 범위내에 위치하는 경우, 방향지시등의 좌측 등과 우측 등 모두를 소등시키며, 센서동작 레버가 좌측으로 회동하여 좌측의 레버인식 센서를 지나가는 경우, 방향지시등의 좌측 등을 점등시키고, 점등된 상태에서 센서동작 레버가 우측으로 재회동하여 좌측의 레버인식 센서를 다시 지나가는 경우, 방향지시등의 좌측 등을 소등시키며, 센서동작 레버가 우측으로 회동하여 우측의 레버인식 센서를 지나가는 경우, 방향지시등의 우측 등을 점등시키고, 점등된 상태에서 센서동작 레버가 좌측으로 재회동하여 우측의 레버인식 센서를 다시 지나가는 경우, 방향지시등의 우측 등을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는, 방향지시등의 점멸 민감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레버인식 센서 사이의 여유각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컨트롤러는 토글 플립플롭 회로로 구성되어, 한 쌍의 레버인식 센서 중 어느 하나로부터 첫 번째 인식 신호가 입력되면, 방향지시등의 좌측 등 또는 우측 등 중 해당 등을 점등하고, 두 번째 인식 신호가 입력되면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는 자전거 방향 전환시 방향지시등을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전거 운전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자전거 주행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의 경우 방향전환 조작하는 것도 어려운데 방향 조작과 동시에 방향지시등을 점등시키기 위해 기존과 같이 별도의 스위치까지 누르지 않아도 되어 사고 확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는 핸들의 회전 동작에 대응하여 방향지시등의 점멸 민감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는 반복되는 방향인식 동작에 대해 내구성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의 평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는, 센서동작 레버(110), 레버인식 센서(120), 방향지시등(130) 및 컨트롤러(140)를 포함한다.
센서동작 레버(110)는 핸들 스템(11)의 하단에 마련되며, 핸들(10)의 회전 방향에 연동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동한다. 구체적으로, 센서동작 레버(110)는 핸들 스템(11)의 외주면 전측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끝단이 하측으로 절곡되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핸들(10) 조작시의 회동력을 전륜에 전달시키기 위해 핸들 스템(11)이 회동하게 되고, 돌출된 센서동작 레버(110)도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레버인식 센서(120)는 헤드 튜브(12)의 상단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레버인식 센서(120a)와, 헤드 튜브(12)의 상단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레버인식 센서(120b)의 한 쌍의 센서를 포함하며, 센서동작 레버(110)의 좌측 회동 동작과 우측 회동 동작을 각각 인식한다. 여기서, 헤드 튜브(12)는 핸들 스템(11)을 지지하며, 자전거 운행시 핸들 스템(11)의 회동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이룬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레버인식 센서(120a, 120b)는, 각각이 적외선을 방출하는 적외선발광 센서(121)와 센서동작 레버(110)에 반사되어 되돌려지는 적외선을 수신하는 적외선수광 센서(122)로 구성된다. 또한, 한 쌍의 레버인식 센서(120a, 120b)는 헤드 튜브(12)의 외주면 전측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여유각을 두고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센서동작 레버(110)가 레버인식 센서(120a, 120b)의 전측에서 거리를 두고 회동 동작을 하며, 센서동작 레버(110)가 한 쌍의 레버인식 센서(120a, 120b) 중 어느 하나를 지나가게 되면, 센서동작 레버(110)에 반사되어 되돌려지는 적외선을 수신하여 좌측 회동 동작 또는 우측 회동 동작을 인식하게 된다.
한편, 좌우 방향으로 여유각을 두는 이유는, 자전거가 직진하는 상태를 인식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는, 핸들(10)의 회전에 대응하는 방향지시등(130)의 점멸 민감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레버인식 센서(120a, 120b) 사이의 여유각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핸들(10)의 가벼운 방향전환에는 방향지시등(130)이 동작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넓은 여유각(a)을 두고 레버인식 센서(120a, 120b)를 배치하도록 한다. 반대로, 여유각(a)의 크기를 좁히면 핸들(10)의 가벼운 방향전환에 민감하게 동작하여 방향을 전환하기 전에 미리 방향지시등을 동작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방향지시등(130)은 좌측 방향 지시를 위한 좌측 등과, 우측 방향 지시를 위한 우측 등으로 구성되며, 자전거의 전방을 향하도록 마련하거나 후방을 향하도록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방향지시등(130)은 LED등으로 구성 가능하며, 자동차의 방향지시등과 같이 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 점멸하도록 하여 시인성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컨트롤러(140)는 한 쌍의 레버인식 센서(120a, 120b) 각각으로부터 인식 신호를 전송받아 방향지시등(130)의 좌측 등과 우측 등을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40)의 제어 동작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의 동작 특성을 살펴보면, 자전거가 직진하여 센서동작 레버(110)가 한 쌍의 레버인식 센서(120a, 120b) 사이의 여유각 범위내에 위치하는 경우, 컨트롤러(140)가 방향지시등(130)의 좌측 등과 우측 등 모두를 소등시키게 된다.
또한, 센서동작 레버(110)가 좌측으로 회동하여 좌측의 레버인식 센서(120a)를 지나가는 경우, 컨트롤러(140)는 방향지시등(130)의 좌측 등을 점등시킨다.
이후, 점등된 상태에서 센서동작 레버(110)가 우측으로 재회동하여 좌측의 레버인식 센서(120a)를 다시 지나가는 경우, 컨트롤러(140)가 방향지시등(130)의 좌측 등을 소등시키게 된다.
반대로, 센서동작 레버(110)가 우측으로 회동하여 우측의 레버인식 센서(120b)를 지나가는 경우, 컨트롤러(140)는 방향지시등(130)의 우측 등을 점등시킨다.
이후, 점등된 상태에서 센서동작 레버(110)가 좌측으로 재회동하여 우측의 레버인식 센서(120b)를 다시 지나가는 경우, 컨트롤러(140)가 방향지시등(130)의 우측 등을 소등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는 자전거 방향 전환시 방향지시등을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전거 운전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자전거 주행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의 경우 방향전환 조작하는 것도 어려운데 방향 조작과 동시에 방향지시등을 점등시키기 위해 기존과 같이 별도의 스위치까지 누르지 않아도 되어 사고 확률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는, 센서 사이의 여유각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핸들의 회전 동작에 대응하여 방향지시등의 점멸 민감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는 센서동작 레버(110)와 레버인식 센서(120)가 서로 이격되어 센싱 동작하므로, 반복되는 방향인식 동작에 대해 내구성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른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는 토글 플립플롭 회로(T-FF)로 간단하게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한 쌍의 레버인식 센서 중 어느 하나로부터 첫 번째 인식 신호가 입력되면, 방향지시등의 좌측 등 또는 우측 등 중 해당 등을 점등하고, 두 번째 인식 신호가 입력되면 소등시키는 동작을 하게 된다.
즉, 한 쌍의 레버인식 센서 중 어느 하나로부터 첫 번째 인식 신호가 점에 입력되면, 점의 토글플립플롭(T-FF)의 출력은 2분주 되어 적외선수광 센서에서 나오는 출력 클럭이 하나 입력되면 발진회로를 동작시키고, 두 개 입력되면 동작을 정지시키며 계속하여 이 동작을 반복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핸들
11 : 핸들 스템
12 : 헤드 튜브
110 : 센서동작 레버
120, 120a, 120b : 레버인식 센서
121 : 적외선발광 센서
122 : 적외선수광 센서
130 : 방향지시등
140 : 컨트롤러

Claims (5)

  1. 핸들 스템의 하단에 마련되며, 핸들의 회전 방향에 연동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는 센서동작 레버;
    상기 핸들 스템을 지지하는 헤드 튜브의 상단 좌측과 상단 우측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센서동작 레버의 좌측 회동 동작과 우측 회동 동작을 각각 인식하는 한 쌍의 레버인식 센서;
    자전거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도록 마련되며, 좌측 등과 우측 등을 포함하는 방향지시등; 및
    한 쌍의 상기 레버인식 센서 각각으로부터 인식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방향지시등의 좌측 등과 우측 등을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동작 레버는 상기 핸들 스템의 외주면 전측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끝단이 하측으로 절곡되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레버인식 센서는, 각각이 적외선을 방출하는 적외선발광 센서와 상기 센서동작 레버에 반사되어 되돌려지는 적외선을 수신하는 적외선수광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 튜브의 외주면 전측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여유각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센서동작 레버가 상기 레버인식 센서의 전측에서 거리를 두고 회동 동작하며,
    상기 방향지시등의 점멸 민감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상기 레버인식 센서 사이의 여유각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동작 레버가 한 쌍의 상기 레버인식 센서 사이의 여유각 범위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방향지시등의 좌측 등과 우측 등 모두를 소등시키며,
    상기 센서동작 레버가 좌측으로 회동하여 좌측의 상기 레버인식 센서를 지나가는 경우, 상기 방향지시등의 좌측 등을 점등시키고,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동작 레버가 우측으로 재회동하여 좌측의 상기 레버인식 센서를 다시 지나가는 경우, 상기 방향지시등의 좌측 등을 소등시키며,
    상기 센서동작 레버가 우측으로 회동하여 우측의 상기 레버인식 센서를 지나가는 경우, 상기 방향지시등의 우측 등을 점등시키고,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동작 레버가 좌측으로 재회동하여 우측의 상기 레버인식 센서를 다시 지나가는 경우, 상기 방향지시등의 우측 등을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토글 플립플롭 회로로 구성되어,
    한 쌍의 상기 레버인식 센서 중 어느 하나로부터 첫 번째 인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방향지시등의 좌측 등 또는 우측 등 중 해당 등을 점등하고, 두 번째 인식 신호가 입력되면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
KR1020120136826A 2012-11-29 2012-11-29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 KR101415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826A KR101415421B1 (ko) 2012-11-29 2012-11-29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826A KR101415421B1 (ko) 2012-11-29 2012-11-29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503A KR20140069503A (ko) 2014-06-10
KR101415421B1 true KR101415421B1 (ko) 2014-07-04

Family

ID=51124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826A KR101415421B1 (ko) 2012-11-29 2012-11-29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4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B20154689A1 (it) 2015-10-15 2017-04-15 Davide Corradini Dispositivo per la segnalazione di direzio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987B1 (ko) * 1995-10-16 1998-06-01 전성원 스티어링 휠 연동식 자동 방향 지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987B1 (ko) * 1995-10-16 1998-06-01 전성원 스티어링 휠 연동식 자동 방향 지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503A (ko)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1536B2 (ja) ブレーキ自動検出及びステアリング指示機能を有するライディングヘルメット
JP6590842B2 (ja) 光学センサを備えるオートバイ手動制御装置
JP5972332B2 (ja) 鞍乗型車両の接近報知装置
JP6680095B2 (ja) ポジション照明装置
US8550673B1 (en) Secondary lighting system for motorcycles
CN110641586B (zh) 自行车灯光控制系统及自行车
WO2013075561A1 (zh) 行车状态警示系统及其控制方法
JP6993362B2 (ja) 補助照明装置を有するオートバイ
TWM504768U (zh) 自行車之非接觸式操作裝置
US20150314823A1 (en) Bicycle Brake Light with Graduated Deceleration Dependent Lighting
JP7232088B2 (ja) 走行車両
JP6985305B2 (ja) 駐車操作用の補助照明装置を有するオートバイ
KR101415421B1 (ko) 자전거 방향지시 장치
KR101116920B1 (ko) 자전거 방향 전환 표시등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21068127A1 (en) Vehicle
JP2006102387A (ja) 小型電動車両
KR20170106014A (ko) 발광 표시 장치 및 스마트 발광 표시 시스템
JP2014094611A (ja) 車両用方向指示装置
KR20130105116A (ko) 동체 감지를 이용한 방향정보 지시기
KR20170079697A (ko) 자전거 조명 시스템
KR101251399B1 (ko) 페달부를 이용한 자전거용 방향지시장치
JP3227817U (ja) 自転車用バックミラー付き方向指示器
TWM525892U (zh) 腳踏車輔助系統
JP4329616B2 (ja) 車両の方向指示器
TWM552891U (zh) 用於自行車的方向警示燈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