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548B1 - 통합된 차량 방향 지시등 시스템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합된 차량 방향 지시등 시스템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548B1
KR101502548B1 KR1020127008207A KR20127008207A KR101502548B1 KR 101502548 B1 KR101502548 B1 KR 101502548B1 KR 1020127008207 A KR1020127008207 A KR 1020127008207A KR 20127008207 A KR20127008207 A KR 20127008207A KR 101502548 B1 KR101502548 B1 KR 101502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steering wheel
clock
annular ring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8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9082A (ko
Inventor
아담 에스 골롬
Original Assignee
아담 에스 골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담 에스 골롬 filed Critical 아담 에스 골롬
Publication of KR20120079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43Manually actuated switch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60Q1/0082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스티어링휠의 림에 위치된 액츄에이터에 자동차 방향 지시등 동작을 통합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오른쪽 방향 지시등을 제어하기 위한 1개, 왼쪽 방향 지시등을 제어하기 위한 1개의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액츄에이터는 오른손측 액츄에이터를 위해 3시와 12시 위치, 왼손측 액츄에이터를 위해 9시와 12시 위치로 규정된 스티어링휠의 아크 세그먼트에 위치된다. 액츄에이터는 종래의 스톨크 스위치와 함께 병렬로 동작할 수 있고, 작동되고 이후 압하될 때 각각의 방향 지시등만 온시킨다. 방향 지시등은 액츄에이터가 릴리징될 때 오프된다. 본 발명의 통합된 방향 지시등 시스템은 운전자에게 그 또는 그녀의 손을 스티어링휠로부터 치울 필요없는 방향 지시등 동작을 위해 더 제공한다.

Description

통합된 차량 방향 지시등 시스템 및 장치{INTEGRATED VEHICLE TURN SIGNAL SYSTEM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운전자에게 스티어링휠로부터 그/그녀의 손을 치울 필요없이 완전히 동작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 차량의 스티어링휠의 림에 통합되는 방향 지시등 장치(turn signal apparatus)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방향 지시등은 대략 70년 동안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동안 그들의 첫번째 애플리케이션 이후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차량 스티어링휠은 방향 지시등 작동 스위치(turn signal activation switch)를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갖는 환형 링, 컬럼(column), 및 중앙 허브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방향 지시등은 스티어링휠의 일측에 위치된 "스톨크 스위치(stalk switch)" 또는 레버에 의해 동작된다. 스톨크 스위치는 오른쪽 턴을 지시하기 위해 위로, 왼쪽 턴을 지시하기 위해 아래로 이동된다. 스톨크 스위치가 위로 이동될 때 통상 전, 후 우측 펜더에 위치된 등은 깜빡이기 시작한다. 유사하게, 스톨크 스위치가 아래로 이동될 때 통상 전, 후 좌측 펜더에 위치된 등은 깜빡이기 시작한다. 보다 통상적으로, 스톨크 스위치는 위쪽 2개와 아래쪽 2개의 4개 위치를 포함한다. 위 또는 아래의 첫 번째 위치는 방향 지시등을 동작시키지만 스톨크 스위치는 릴리징(releasing)될 때 오프 위치 또는 중앙으로 리턴된다. 두번째 위치는 스톨크 스위치가 릴리징될 때에도 방향 지시등을 유지시키고, 스티어링휠이 고정된 회전으로 턴된 후 대략 "휠 스트레이트(wheel straight)" 위치로 리턴된 후에 차단한다.
상기 기재된 기구와 함께 몇몇 잘 알려진 문제가 발생된다. 예컨대, 방향 지시등은 턴이 완료된 후에 완전히 "깜빡임"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일반적인 상태는 스티어링휠이 턴 방향으로부터 매우 약간만 떨어져도 즉시 턴되면 방향 지시등이 빨리 오프하는 것이다. 다른 일반적인 상태는 스티어링휠이 일방향으로 약간 턴되고 운전자가 반대 방향으로의 턴을 지시하려고 하면 관련된 방향 지시등의 실패이다. 그러한 문제점은 방향 지시등이 자동차에 최초로 설치된 이래로 존재해왔다.
최근의 진보는 방향 지시등의 동작의 향상을 위한 다른 물리적 구성과 다른 제어 기구를 다루었다. 예컨대, RLP Engineering, Dayton, Ohio에 의해 제공된 시스템 등과 같은 보다 정교한 차량에 탑재된 컴퓨터 하드웨어는 상기 기재된 것과 같은 문제에 대처하도록 방향 지시등 동작의 실시간 관리를 위해 허용한다. 그러한 시스템에서, 차량 속도, 스티어링휠 위치, 및 다른 데이터는 차량이 턴하는지와 턴이 완료된 때를 결정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된다. 그러나, 그러한 컴퓨터 기반 시스템에서도 방향 지시등은 스위치와 대응하는 방향 지시등을 온시키기 위해 상하로 스톨크 스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작동된다. 컴퓨터 기반 시스템의 방향 지시등은 스톨크 스위치 상의 버튼에 의해 수동으로 오프될 수 있다. 이 시스템의 난점은 한 손이 스톨크 스위치를 동작하기 위해 스티어링휠로부터 치워져야한다는 것이다.
방향 지시등의 다른 변경은 스톨크 스위치를 U.S. Patent No. 5,739,491 to Crosson, Jr. 및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2009/01655592 to Sakai et al.에 예시된 장치 등의 스티어링휠의 허브에 위치된 버튼 또는 패들로 교체하는데 집중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변경은 상기 기재된 난점에 대처하지 못했다. 특히, 스티어링휠의 허브에 방향 지시등 동작 스위치를 배치하는 것은 허브 장착 스위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운전자에게 스티어링휠로부터 한 손을 치우게 하거나 휠 상에서 그의 움켜잡음을 릴리징하게 하는 것을 계속 필요로한다. 그러한 변경도 턴 후에 방향 지시등이 그대로 유지되거나 방향 지시등이 조기에 오프될 때 발생되는 문제에 대처하지 못했다.
U.S. Patent No. 5,823,666 to Kingsolver에 예상된 것과 같은 스포크-장착 방향 지시등 작동 스위치(spoke-mounted turn signal activation switch)는 운전자의 손이 스티어링휠과 접촉한 상태이어도 운전자의 손이 스위치를 작동시키도록 재위치되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을 제거하지 못한다. 운전자의 엄지 손가락의 자연스러운 위치는 스티어링휠을 그립(grip)할 때 스티어링휠의 림과 정렬되거나 스티어링휠의 림 둘레에 부분적으로 감싼다. 그러므로, 운전자는 스포크 장착 스위치 상에 엄지 손가락을 재위치시키기 위해 스티어링휠로부터 그/그녀의 그립을 릴리징해야 한다. 이 위치 변화는 스티어링휠의 내부 직경 둘레의 스포크(spoke)의 위치에 관계없이 필요하다. 운전자의 손이 스포크 및 스포크 위에 근접하여 위치되거나 접촉하면 운전자는 손을 아래로 회전시켜 스포크 장착 스위치와 접촉해야 한다. 운전자의 손이 스포크 및 스포크 아래에 근접하여 위치되거나 접촉되면 운전자는 손을 아래로 회전시켜 스포크 장착 스위치와 접촉하거나 손을 위로 이동시켜야하며, 엄지 손가락을 아래로 회전시켜야 스위치와 접촉시켜야 한다. 그러한 회전이나 이동은 운전자가 손을 이동시키기 위해 휠로부터 그/그녀의 그립을 릴리징하는 것을 필요로한다.
스티어링휠의 스포크에 방향 지시등 스위치를 배치하는 명시적 이점은 운전자가 스티어링휠로부터 그/그녀의 손을 치울 필요없이 방향 지시 동작을 허용했던 것일지라도, 실제로는 운전자가 스포크 장착 스위치를 압하하기 위해 그/그녀 손을 재위치시켜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휠 허브에 방향 지시등 동작 스위치를 배치시키는 것과 같은 그러한 디자인은 스티어링휠에 대한 손의 매우 제한되고 더욱 바람직하지 않은 위치에 있어서 스티어링휠로부터 한 손을 치우지 않고 스위치의 동작을 허용한다.
U.S. Patent No. 6,961,644 to Mercier et al.에서 스티어링휠 림 상의 "10시"와 "2시" 위치에 핫 버튼이 배치된 스티어링휠이 상정되었다. 이 공보에 의하면, 그러한 시스템은 운전자가 핫 버튼을 작동시켜서 엄지 손가락을 이용함으로써 방향 지시등을 작동할 수 있게 한다. 이 공보에 의하면, 방향 지시등을 작동시키는 그러한 처리는 운전자에게 "그 또는 그녀의 손을 충분히 이동시킴"을 요구하지 않는다. 그러나, 수행된 테스트는 운전자가 스티어링휠의 상반부 어느 곳에 완전히-감싼 4손가락의 그립을 유지하면 이 가상 장치의 핫 버튼은 압하될 수 없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그러므로, 스티어링휠의 림 상의 핫 버튼에 단지 방향 지시등 스톨크 스위치의 기능만 재배치시키기 때문에 이 가상 장치는 다른 초기 장치의 모든 문제를 겪는다. 방향 지시등은 손의 오배치에 의해 실수로 온되거나 턴이 완료된 후에 방향 지시등이 "깜빡"인 체로 있을 수 있다. 방향 지시등은 순간적으로 스티어링휠이 턴 방향으로부터 약간 떨어질 경우 곧 턴되면 빨리 오프될 수 있다. 또한, 이 가상 장치에 의해 운전자는 스티어링휠 상에서 그 또는 그녀의 그립을 풀리게 해서 손이 핫 버튼을 동작시키는 위치에서 엄지 손가락을 압하하기 위해 회전될 수 있어야 한다.
"Hands-On: A Practical Measure of the Perceived Risk of the Driving Context," J.A. Thomas and D. Walton, Transit NZIHT 7th Annual Conference (2005)에 의하면,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고위험 또는 복잡한 조건 하에서 운전할 때 스티어링휠의 상반부 상의 어느 곳에 양손을 배치한다. 그 후, 대부분의 운전자는 특히 고위험 또는 복잡한 운전 환경 동안 스티어링휠의 상반부 상에서 양손으로 운전하는 것이 차량에 대한 다수의 제어를 제공한다고 느낀다.
다수 사례에서 운전자는 스톨크 스위치가 통상적으로 스티어링휠에 충분히 근접하여 위치되지 않기 때문에 스톨크 스위치-작동 방향 지시등을 동작하기 위해 스티어링휠로부터 한 손을 치워야 한다. 운전자의 손 위치에 관계없이 한손은 스톨크 스위치-작동 방향 지시등을 동작하기 위해 스티어링휠로부터 항상 치워져야 한다. 방향 지시등 스위치가 휠의 허브에 위치되는 곳에서의 결과는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운전자의 손은 허브 장착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스티어링휠로부터 치워져야 하거나 손이 턴되어 운전자의 엄지 손가락이 허브 장착 스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손을 턴하여 스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엄지 손가락을 스트레칭할 때 운전자는 손이 스티어링휠과 접촉하게 되어도 스티어링휠 상에서 그/그녀의 그립을 릴리징해야 한다. 유사하게, 방향 지시등 스위치가 스티어링휠의 스포크에 위치될 때 운전자는 그 또는 그녀의 손을 스포크 장착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해 재위치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운전자는 스위치를 동작하기 위해 그/그녀의 그립을 스티어링휠로부터 릴리징할 필요가 없는 방향 지시등 작동 스위치 및 시스템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스티어링휠 상에 양손 그립을 유지하면서 고위험 또는 복잡한 운전 환경 동안 동작될 수 있는 방향 지시등 작동 스위치 및 시스템을 갖는 것이 보다 유리하다. 턴 후에 빨리 오프되지 않거나 온 상태로 있는 방향 지시등 작동 스위치 및 시스템을 갖는 것이 더욱 유리하다. 갑자기 동작될 수 없는 방향 지시등 작동 스위치 및 시스템을 갖는 것이 더욱더 유리하다.
본 발명은 스티어링휠의 림에 통합되는 방향 지시등 작동 스위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 스티어링휠 상에서 그/그녀의 그립을 변경하기 위해 운전자의 필요없이 동작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위험 또는 복잡한 구동 운전 동안 스티어링휠 상에 양손의 4손가락 그립을 유지하면서 방향 지시등을 작동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방향 지시등 작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환형 링을 갖는 자동차 스티어링휠과 함께 사용을 위해 통합된 방향 지시등 작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통합된 방향 지시등 작동 시스템은, 환형 링 상의 9시와 12시 위치 사이의 스티어링휠 환형 링 좌측 액츄에이터, 환형 링 상의 3시와 12시 위치 사이의 스티어링휠 환형 링에 부착된 우측 액츄에이터, 및 좌측 액츄에이터와 우측 액츄에이터에 접속되고 컨트롤러, 자동차 외부 상에 장착된 좌측 외부등 및 우측 외부등에 추가 접속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의 좌측 액츄에이터와 우측 액츄에이터는 오버래핑(overlapping)되지 않는다. 또한, 컨트롤러는 좌측 액츄에이터 및 우측 액츄에이터가 동시에 압하되고 설정된 임계 시간동안 유지될 때 좌측 액츄에이터와 우측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킴으로써 작동된 좌측 액츄에이터와 작동된 우측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설정된 임계 시간은 대략 0.5초∼대략 5초의 범위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대략 1초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동된 좌측 액츄에이터가 압하될 때 좌측 외부등에 전압이 가해지고, 작동된 우측 액츄에이터가 압하될 때 우측 외부등에 전압이 가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추가 실시형태에서, 좌측 액츄에이터와 우측 액츄에이터 각각은 스위치 어레이(switch array)를 포함하여 스위치 어레이가 손의 다수 위치를 사용하는 다수 위치에 압하될 수 있다. 일실시형태에서, 컨트롤러는 스위치 어레이에서 텀브 사이즈 패턴(thumb-sized pattern)의 스위치가 압하될 때를 결정한다. 텀브 사이즈 패턴의 스위치가 압하되면, 그 후 컨트롤러는 대응하는 액츄에이터가 "온" 위치에 있는 것으로 인식할 것이다. 다른 추가 실시형태에서, 대응하는 외부 방향 지시등에 전압이 가해지도록 작동된 액츄에이터가 압하될 때 음향 신호(audible signal)가 방사되고 그리고/또는 대시 광(dash light)이 온될 수 있다.
도 la은 4손가락 그립으로 스티어링휠을 그리핑(gripping)하는 운전자의 손의 예시도이다.
도 1b는 4손가락 그립으로 스티어링휠을 그리핑하는 운전자의 손의 추가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스티어링휠의 예시도이다.
도 3은 스티어링휠 상에 위치를 지정하는 클록 포지션(clock position)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바람직한 액츄에이터 위치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스티어링휠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액츄에이터 디자인의 예시도이다.
도 6은 액츄에이터가 스위치 어레이로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예시도이다.
도 7은 스티어링휠-장착 방향 지시등 스위치의 위치를 예시하는 선행 기술의 스티어링휠의 예시도이다.
도 8a는 스티어링휠-장착 방향 지시등 스위치와 관련해 운전자의 손의 위치를 예시하는 도 7의 선행 기술의 스티어링휠을 운전자가 그리핑하는 예시도이다.
도 8b는 스티어링휠-장착 방향 지시등 스위치와 관련해 운전자의 손의 위치를 예시하는 도 7의 선행 기술의 스티어링휠을 그리핑하는 운전자의 추가 예시도이다.
도 8c는 스티어링휠-장착 방향 지시등 스위치와 관련해 운전자의 손의 위치를 예시하는 도 7의 선행 기술의 스티어링휠을 운전자가 그리핑하는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 8d는 스티어링휠-장착 방향 지시등 스위치와 관련해 운전자의 손의 위치를 예시하는 도 7의 선행 기술의 스티어링휠을 운전자가 그리핑하는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 9a는 4손가락 그립을 유지하고 방향 지시등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동안 본 발명의 스티어링휠을 운전자가 그리핑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9b는 4손가락 그립으로 본 발명의 스티어링휠을 운전자가 그리핑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9c는 4손가락 그립으로 본 발명의 스티어링휠을 운전자가 그리핑하는 다른 도면을 예시한다.
도 9d는 4손가락 그립을 유지하고 방향 지시등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동안 본 발명의 스티어링휠을 운전자가 그리핑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0은 스티어링휠, 컨트롤러, 스톨크 스위치, 및 방향 지시등 회로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실시형태의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동작을 예시하는 로직 다이어그램(logic diagram)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방향 지시등을 작동시키기 위해 스티어링휠 상에 엄지 손가락이 압하될 때를 결정하도록 컨트롤러가 사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동작을 예시하는 로직 다이어그램이다.
바람직하지 않지만, 자동차를 운전할 때 스티어링휠의 림 주위에 손가락이 감싼 4손가락 그립으로 자동차의 스티어링휠을 운전자가 그리핑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4손가락 그립은 도 la 및 도 lb에 예시된다. 그러한 4손가락 그립은 운전자의 손으로 스티어링휠에 안전하게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운전자가 차량의 방향 지시등을 동작하면서 스티어링휠 상에 4손가락 그립을 유지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일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운전자에게 스티어링휠을 풀도록 요구하지 않고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의 제어된 동작을 허락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은 스티어링휠(10)에 일체적으로 장착된 스위치, 센서 또는 게이지, 집합적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40, 50)는 서로 근방일 수 있지만 액츄에이터(40, 50)는 오버래핑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스티어링휠(10)은 하나 이상의 스포크(20)에 의해 허브(30)에 접속될 수 있는 환형 링(15)을 포함한다. 스티어링휠의 다른 구성은 당업자에게 공지될 것이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스티어링휠(10)의 환형 링(15)의 상반부는 스티어링휠(10)의 오른손측 상의 3시부터 스티어링휠(10)의 왼손측 상의 9시에 걸려 클록 포지션으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40)는 3시 위치와 12시 위치 사이의 스티어링휠(10)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액츄에이터(50)는 9시 위치와 12시 위치 사이의 스티어링휠(10)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40, 50)가 위치될 때 그것들은 인접할 수 있지만 오버래핑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실시형태에서 좌측 액츄에이터는 스티어링휠 환형 링 상의 9시 위치 근방에 위치되고, 좌측 액츄에이터의 반대단은 스티어링휠 환형 링 상의 12시 위치 근방에 위치되어 좌측 액츄에이터는 9시와 12시 위치 사이의 폭으로 사이징된다. 표준-사이즈 스티어링휠은 대략 15인치의 직경을 갖는다. 그러므로, 3시 위치∼12시 위치의 환형 링(15)의 원주 세그먼트 또는 "아크-세그먼트-길이(arc-segment-length)"는 대략 12인치의 길이를 갖는다. 유사하게, 9시 위치∼12시 위치의 아크-세그먼트-길이도 대략 12인치의 길이를 갖는다.
액츄에이터(40, 50)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각각 3시와 12시 위치 사이 및 9시와 12시 위치 사이의 전체 아크-세그먼트-길이를 커버하도록 사이징될 수 있다. 대안으로, 액츄에이터(40, 50)는 각각 3시와 12시 위치 사이 및 9시와 12시 위치 사이의 아크-세그먼트-길이 일부만 커버하도록 사이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40, 50)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사이즈와 위치는 대략 1시와 11시 위치에서 끝나는 스티어링휠(10)의 환형 링(15)의 일부를 액츄에이터(40, 50)가 각각 커버하는 2인치의 아크-세그먼트-길이이어서 액츄에이터(50)는 9시 위치를 향해 반시계방향으로 연장되고 액츄에이터(40)는 3시 위치를 향해 시계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40, 50)는 Tapecon, Inc., Tapecon Membrane Switch Division, Rochester, New York에 의해 제조된 타입의 멤브레인 스위치일 수 있다. 기술분야에 공지된 멤브레인 스위치는 각기 단극, 정상적으로 개방되는 단투 스위치(single throw switch)의 다양한 구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멤브레인 스위치 구성은 표준 멤브레인 스위치 구성, 택틸 플라스틱 돔 구조(tactile plastic dome construction), 및 스테인리스 스틸 돔 구조를 포함한다. 도 5는 상부 오버레이(42), 접착층(43), 상부 회로(44), 회로 스페이서(45), 하부 회로(46), 하부 오버레이(47), 및 접촉부(48)를 포함하는 한타입의 멤브레인 스위치(41)를 예시한다. 멤브레인 스위치(41)는 정상적으로 개방된다. 상부 오버레이(42)가 압하될 때 상부 회로(44)는 회로가 접촉부(48)에서 완료되도록 구부러진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아크-세그먼트-길이에 따라 액츄에이터(40, 50)는 하나 이상의 멤브레인 스위치를 각각 포함한다. 단일 멤브레인 스위치보다 큰 에리어를 커버하는 멤브레인 스위치 어레이는 WO1995001302, titled "Curve-conforming Sensor Array Pad"에 예시되어 있다. 액츄에이터(40, 50)는 Luna Innovations, Blacksburg, Virginia에 의해 제조된 타입의 광섬유 압력 센서 또는 광섬유 압력 센서의 배치일 수 있다. 대안으로, 액츄에이터(40, 50)는 Quantum-Phase Electronics Center, School of Engineering, University of Tokyo, Tokyo, Japan and described in "A Large-Area, Flexible Pressure Sensor Matrix With Organic Field-Effect Transistors For Artificial Skin Applications," T. Someya et al., PNAS, vol. 101, no. 27, July 6, 2004에 의해 개발된 타입의 라지-에리어 유연성 압력 센서 매트릭스일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40, 50)는 Omega Engineering, Inc., Stamford, Connecticut로부터 이용가능한 타입의 유연성 스트레인 게이지일 수 있다.
액츄에이터(40, 50)는 액츄에이터(40, 50)와 스티어링휠(10)의 구성의 재료가 호환가능하고 그러한 부착을 할 수 있으면 열 또는 초음파 용접 등에 의해 스티어링휠에 기계적으로 본딩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40, 50)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스티어링휠(10)에 부착될 수 있다. 스티어링휠(10)에 부착될 때 액츄에이터(40, 50)는 커버 또는 스킨(도시 생략)에 의해 커버될 수 있어 액츄에이터(40, 50)는 스티어링휠(10)의 스킨 아래 존재한다. 액츄에이터(40, 50)가 육안에 의해 검출가능하도록 액츄에이터(40, 50)는 스티어링휠(10)의 스킨 아래 위치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40, 50)는 스티어링휠(10)의 제조 처리 동안 스티어링휠(10)로 몰딩(molding)될 수 있다. 스티어링휠(10)의 재료 구성이 액츄에이터(40, 50)를 작동시키는 방법으로도 스티어링휠(10)을 변형하도록 충분히 변형가능하면 스티어링휠(10)에 몰딩될 때 액츄에이터는 스티어링휠(10)의 표면 아래 위치될 수 있다.
스티어링휠(10)의 재료 구성의 특성화가 당업자에게 공지될 것이므로 스티어링휠(10)에 액츄에이터(40, 50)의 부착을 위해 허용가능한 방법도 이해될 것이다. 예컨대, U.S. Patent No. 4,567,217 to Yamazaki et al.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휠은 유연성 가교 결합된 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머로 몰딩될 수 있는 것이 관련 기술로 공지되었다. 또한, 멤브레인 스위치 등의 유연성 센서는 U.S. Patent No. 5,762,853 to Harris et al.에 예시된 몰딩부로 요약될 수 있는 것이 관련 기술로서 이해된다. 또한, 인서트 몰딩 멤브레인 스위치는 U.S. Patent No. 5,198,629 to Hayashi et al.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휠 허브-장착 혼 스위치로서 이용된다.
차량의 운전자 동작 동안 다른 손 위치를 수용하기 위해 손의 엄지 손가락이 액츄에이터(40, 50)의 하나 또는 양쪽을 압하할 때를 액츄에이터(40, 50)가 센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각각의 액츄에이터(40, 50)가 각각 스위치 어레이(140, 150)로 구성되고 각각의 스위치 어레이(140, 150)는 복수의 스위치(160)를 포함하는 하나의 디자인을 예시한다. 도 6의 스위치 어레이(140, 150)는 예시일뿐이고 스위치(160)의 필수 구성을 도시하지 않는다. 스위치(160)는 압하되거나 선택(온)될 때 정상적으로 개방(오프)되거나 폐쇄되고, 선택되지 않을 때 개방(오프)하도록 리턴한다. 각 스위치(160)는 컨트롤러(60)에 접속되어 컨트롤러(60)는 스위치(160)가 개방 위치나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센싱할 수 있다. 예컨대, 각 스위치(160)가 터미널 블록(도시 생략)에 와이어링되고, 터미널 블록이 와이어링 하니스(wiring harness)를 통해 컨트롤러(60)에 와이어링되도록 스위치(160)는 와이어링 하니스(도시 생략)를 통해 컨트롤러(60)에 접속될 수 있다. 당업자는 컨트롤러(60)에 와이어링 스위치(160)에 대한 다른 접속 수단을 인식할 것이다. 스위치 어레이(140, 150)에서 각 스위치(160)의 작동 상태, 즉 스위치(160)가 온이나 오프인지는 컨트롤러(6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통상적인 동작에서, 스위치(160)는 스위치(160)와 컨트롤러(60) 사이의 전기 회로를 개방 및 폐쇄한다. 텀브 사이즈 패턴에 대응하는 스위치(160)가 압하되면, 그 후 액츄에이터(40, 50)는 컨트롤러(60)에 의해 "온" 위치에 있는 것으로 인식될 것이다. 그러나, 엄지보다 큰 패턴에 대응하는 스위치(160)가 압하되면, 그 후 액츄에이터(40, 50)는 "오프" 위치에 있는 것으로 인식될 것이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은 액츄에이터(40, 50)를 통합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컨트롤러(60)는 텀브 사이즈 패턴의 스위치(160)가 압하될 때 결정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여기에 이용된 바와 같이, 텀브 사이즈 패턴은 대략 0.5 평방 인치∼대략 2.25 평방 인치에 배열하는 에리어를 의미한다. 따라서, 전체 4손가락 그립이 스티어링휠(10)에 부착되면 스위치(160)의 패턴은 운전자가 스티어링휠 상에서 그 또는 그녀의 손의 배치에 좌우되어 압하될 것이고, 엄지 손가락이 액츄에이터(40, 50) 중 하나를 압하할 때 이루어지는 스위치의 패턴 사이즈를 초과한다. 이 조건 하에서, 컨트롤러(60)는 액츄에이터(40, 50)를 작동하지 않고, 컨트롤러(60)는 액츄에이터(40, 50)가 "오프" 위치에 있는 것으로서 인식한다. 그러나, 그 후 엄지 손가락이 액츄에이터(40) 또는 액츄에이터(50) 상에 배치되면 컨트롤러(60)는 텀브 사이즈 패턴의 스위치가 압하된 것으로 기록하고, 컨트롤러(60)는 액츄에이터(40) 또는 액츄에이터(50)가 각각 "온" 위치에 있는 것으로서 인식한다. 액츄에이터(40, 50)가 컨트롤러(60)를 통해 작동되면 액츄에이터(40) 또는 액츄에이터(50)는 대응하는 신호등(도시 생략)을 온하도록 압하될 수 있다. 작동되면, 액츄에이터(40)와 액츄에이터(50)를 동시에 압하하는 것은 대응하는 방향 지시등을 온하지 않을 것이다. 컨트롤러(60)가 액츄에이터(40, 50)에 작동하지 않으면, 그 후 액츄에이터(40) 또는 액츄에이터(50)를 압하하는 것은 대응하는 방향 지시등을 온하지 않을 것이다.
일실시형태에서, 작동된 액츄에이터(40)나 작동된 액츄에이터(50)를 압하하는 것은 음향 신호를 온하고 또한 대응하는 방향 지시등을 온할 것이다. 음향 신호는 방향 지시등이 온된 것을 운전자에게 지시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음향 신호는 액츄에이터(40, 50)가 작동되는 것을 지시하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일실시형태에서 음향 신호는, 예컨대 시동키(ignition key)가 점화 스위치(ignition switch)에 남아있을 때 차문이 개방되는 것을 시그널링하도록 사용되는 자동차의 스피커 시스템으로부터 발산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음향 신호는 스톨크-스위치-동작 방향 지시등이 온되는 것을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경보하도록 사용되는 동일 사운드 소스로부터 발산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음향 신호는 BLUETOOTH
Figure 112012025514330-pct00001
기술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브로드캐스팅되어 음향 신호가 운전자에 의해 착용된 수화기나 핸드셋에 수신되어 운전자는 음향 신호를 청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액츄에이터(40, 50)는 자동차의 계기판에 위치된 대응하는 방향 표시등에 접속될 수 있어 작동된 액츄에이터(40)나 작동된 액츄에이터(50)를 압하하는 것은 대응하는 방향 표시등을 발광할 것이다.
도 7은 선행 기술의 스티어링휠(110)을 예시하고, 도 8a∼도 8d는 도 7의 스티어링휠(110)을 그리핑하는 운전자의 손을 예시한다. 도 7에서, 핫 버튼(115, 120)은 선행 기술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휠(110) 상에 위치된 것을 도시한다. 여기에 이용된 바와 같이, "핫 버튼"이란 용어는 온하도록 압하되고 오프하도록 다시 압하되는 단일 온/오프 스위치를 언급한다. 따라서, 핫 버튼(115, 120)은 각각 스티어링휠(110) 상의 10시와 2시 위치에 배치된다. 도 8a를 참조하면, 운전자의 4손가락 그립이 풀려서 엄지 손가락이 핫 버튼(115)을 압하하는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해 스티어링(110)을 완전히 그리핑하지 않을 것이 분명하다. 도 8b에서, 운전자는 핫 버튼(115)을 액세싱하고 압하하기 위해 스포크(125)를 수용하는 4손가락 그립을 다시 변경해야한다. 도 8c에서, 운전자의 4손가락 그립이 풀려서 엄지 손가락이 핫 버튼(120)을 압하하는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해 스티어링(110)을 완전히 그리핑하지 않을 것은 더 분명하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d는 운전자가 핫 버튼(120)을 액세싱하고 압하하기 위해 스포크(125)를 수용하는 4손가락 그립을 변경해야 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일실시형태에서, 액츄에이터(40, 50)는 운전자와 마주하는 스티어링휠(10)의 환형 링(15) 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위치에 위치된 때, 액츄에이터(40, 50)는 운전자가 운전자의 좌측 손 또는 우측 손의 엄지 손가락을 사용하여 스티어링휠을 아래로 압하할 때 작동될 수 있다. 도 9a∼도 9d는 전체 4손가락 그립(도 9b 및 도 9c)에서의 운전자의 엄지 위치와 액츄에이터(40, 50)(도 9a 및 도 9d) 위에 위치된 엄지의 스티어링휠(10)의 환형 링(15)을 운전자가 그리핑하는 것을 예시한다. 액츄에이터(40, 50)가 운전자와 직접접으로 마주하는 환형 링(15)의 측면 상의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예시하는 도 10을 참조하면 액츄에이터(40, 50)는 컨트롤러(60)에 접속된다. 컨트롤러(60)는 프로세서(7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70)는 논리 회로(80), 타이머(90), 및 메모리(100)를 포함한다. 컨트롤러(60)는 우측 신호 회로(140)와 좌측 신호 회로(150)에 접속된다. 우측 신호 회로(140)는 우측 신호등(도시 생략)을 포함하고 좌측 신호 회로(150)는 좌측 신호등(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방향 지시등 스톨크 스위치(도시 생략)는 컨트롤러(60)에 접속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컨트롤러(60)는 액츄에이터(40, 50)의 동작을 제어해서 액츄에이터(40)가 압하될 때 우측 신호 회로(140)의 우측 신호등(도시 생략)은 전압이 가해지고, 액츄에이터(50)가 압하될 때 좌측 신호 회로(150)의 좌측 신호등(도시 생략)은 전압이 가해진다. 전압이 가해질 때 우측 신호등 그리고/또는 좌측 신호등(도시 생략)은 모든 방향 지시등에 공통으로서 "깜빡"인 체로 있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회로 로직을 예시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액츄에이터(40)가 압하될 때 폐쇄 위치에 있고 컨트롤러(60)에 회로를 완료한다. 유사하게, 액츄에이터(50)가 압하될 때 컨트롤러(60)에 회로를 완료한다. 양쪽의 액츄에이터(40)와 액츄에이터(50)가 압하되면 타이머(90)(도 10 참조)를 통한 컨트롤러(60)는 액츄에이터(40)의 각 시간을 측정하고 액츄에이터(50)가 압하된다. 측정된 시간이, 예컨대 1초의 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면, 그 후 컨트롤러(60)는 액츄에이터(40, 50)를 작동한다. 측정된 시간이 설정된 임계 시간보다 낮으면 컨트롤러(60)는 액츄에이터(40, 50)를 작동하지 않는다. 설정된 임계 시간은 도 10에 도시된 메모리(100)에 변경되거나 프로그래밍될 수 있어 도 10의 컨트롤러(60)에서 논리 회로(80)가 액츄에이터(40, 50)를 작동한다. 설정된 임계 시간은 대략 0.5초∼대략 5초의 범위일 수 있다. 설정된 임계 시간은 대략 1초인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될 때, 액츄에이터(40)를 압하하는 것은 전압이 가해지는 우측 신호 회로(140)의 우측 신호등(도시 생략)의 결과이고, 액츄에이터(50)가 압하될 때 좌측 신호 회로(150)의 좌측 신호등(도시 생략)에는 전압이 가해진다. 전압이 가해질 때 우측 신호등 그리고/또는 좌측 신호등(도시 생략)은 모든 방향 지시등에 공통으로서 "깜빡"인 체로 있을 수 있다
도 12는 액츄에이터(40, 50)가 도 6에 예시된 타입의 본 발명의 추가 실시형태의 로직 회로를 예시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액츄에이터(40)와 액츄에이터(50)는 각각 스위치 어레이(140, 150)로 구성되어 있고, 각 스위치 어레이(140, 150)는 복수의 스위치(160)를 포함한다. 스위치(160)는 압하되거나 선택될 때 정상적으로 개방(오프), 폐쇄되고, 선택해제될 때 개방(오프)으로 리터닝된다. 각 스위치(160)는 컨트롤러(60)에 접속되어 스위치(160)가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컨트롤러(60)는 센싱할 수 있다. 통상적인 동작에서 스위치(160)는 스위치(160)와 컨트롤러(60) 사이의 전기 회로를 개방 및 폐쇄한다. 텀브 패턴에 대응하는 스위치(160)가 압하되면, 그 후 액츄에이터(40, 50)는 컨트롤러(60)에 의해 "온"되는 것으로 인식될 것이다. 그러나, 텀브 사이즈 패턴보다 큰 패턴에 대응하는 스위치(160)가 압하되면, 그 후 액츄에이터(40, 50)는 "오프"되는 것으로 인식될 것이다. 컨트롤러(60)는 텀브 사이즈 패턴의 스위치(160)가 압하될 때 결정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따라서, 전체 4손가락 그립이 스티어링휠(10)에 부착되면 스위치(160)의 패턴은 엄지 손가락이 액츄에이터(40, 50)를 압하할 때 이루어진 텀브 사이즈 패턴의 사이즈를 초과하는 스티어링휠 상에 운전자가 그 또는 그녀의 손을 배치함에 따라 압하될 수 있다. 이 조건 하에서, 컨트롤러(60)는 액츄에이터(40, 50)를 작동하지 않고, 컨트롤러(60)는 액츄에이터(40, 50)를 "오프" 위치에 있는 것으로서 인식한다. 그러나, 그 후 엄지 손가락이 액츄에이터(40, 50) 상에 배치되면 컨트롤러(60)는 텀브 사이즈 패턴의 스위치가 압하된 것을 기록하고, 컨트롤러(60)는 그것들이 적어도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압하되면 액츄에이터(40, 50)를 작동할 것이다. 컨트롤러(60)가 액츄에이터(40, 50)를 작동할 때 액츄에이터(40) 또는 액츄에이터(50) 중 하나는 대응하는 신호등(도시 생략)을 온하도록 압하될 수 있다. 컨트롤러(60)가 액츄에이터(40, 50)를 작동하지 않으면, 그 후 액츄에이터(40) 또는 액츄에이터(50) 중 하나를 압하하는 것은 대응하는 신호등을 온하지 않을 것이다.
액츄에이터(40, 50)를 반작동시키기 위해 양쪽 액츄에이터(40)와 액츄에이터(50)가 동시에 압하되고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유지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컨트롤러(60)의 타이머(90)는 각각의 액츄에이터(40)와 액츄에이터(50)가 압하되는 시간을 측정한다. 측정된 시간이 예컨대 1초의 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면, 그 후 컨트롤러(60)는 작동된 액츄에이터(40, 50)를 비작동한다. 측정된 시간이 설정된 임계 시간보다 낮으면 컨트롤러(60)는 액츄에이터(40, 50)를 비작동하지 않는다. 설정된 임계 시간은 도 10에 도시된 메모리(100)에 변경되고 프로그래밍될 수 있어 도 10의 컨트롤러(60)에서 논리 회로(80)는 작동된 액츄에이터(40, 50)를 비작동한다. 설정된 임계 시간은 대략 1초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츄에이터(40, 50)가 비작동될 때 압하 액츄에이터(40, 50)는 대응하는 방향 지시등을 온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합하는 스티어링휠이 장착된 자동차를 구동할 때 운전자는 차량의 방향 지시등을 온시키는 차량의 스톨크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톨크 스위치의 동작은 스티어링휠에서 본 발명의 통합에 의해 변경되지 않지만 변경은 여기에서의 기재에 의해 포함된 개념을 변경함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60)가 작동된 액츄에이터(40, 50)를 가지면 액츄에이터(40, 50)는 자동차 방향 지시등을 온 및 오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액츄에이터(40, 50)는 차량의 스톨크 스위치와 병렬로 동작하고, 방향 지시등은 작동된 액츄에이터(40)나 작동된 액츄에이터(50)가 압하된 때 온되고, 작동된 액츄에이터(40)나 작동된 액츄에이터(50)가 릴리징될 때 오프된다. 스티어링휠이 턴 방향으로부터 떨어져 회전할 때 오프되는 종래의 스톨크 스위치와 달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방향 지시등은 액츄에이터(40)와 액츄에이터(50) 중 하나가 압하된 때만 동작한다. 한계 또는 고스트레스 운전 상황에서 운전자는 양쪽의 액츄에이터(40, 50)를 압하하는 액츄에이터(40, 50) 상에서 그 또는 그녀의 엄지 위치만 필요로 하고, 그것들을 소정 시간 동안 "온" 위치에 유지하고, 그 후 액츄에이터(40, 50) 중 하나만 사용하는 방향 지시등을 동작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 및 장치와 함께 방향 지시등은 이르거나 사고로 오프될 수 없다. 액츄에이터(40, 50)가 작동되면 방향 지시등은 액츄에이터(40, 50) 중 하나를 압하함으로써 온되고 압하된 액츄에이터를 릴리징함으로써 오프된다.
따라서, 상기 설명한 오브젝트, 목적, 및 이점을 완전히 만족하는 스티어링휠의 림에 필수적인 방향 지시등 작동 스위치 및 시스템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 분명하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형태와 관련되어 기재되었지만 다수의 대안, 변경, 및 개량이 상술한 명세서를 고려하여 당업자에게 명확할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명세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것이 의도된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과 범위 내를 설명함으로써 그러한 모든 대안, 변경, 및 개량을 포함한다.

Claims (20)

  1. 환형 링을 갖는 자동차 스티어링휠과 함께 사용을 위한 통합된 방향 지시등 작동 시스템으로서:
    상기 환형 링 상의 9시와 12시 위치 사이의 상기 스티어링휠 환형 링에 부착된 좌측 액츄에이터,
    상기 환형 링 상의 3시와 12시 위치 사이의 상기 스티어링휠 환형 링에 부착된 우측 액츄에이터, 및
    상기 좌측 액츄에이터와 우측 액츄에이터에 접속되고 상기 자동차 외부 상에 장착된 좌측 외부등 및 우측 외부등에 추가 접속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액츄에이터와 상기 우측 액츄에이터는 오버래핑되지 않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좌측 액츄에이터 및 우측 액츄에이터가 동시에 압하되고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유지될 때 좌측 액츄에이터와 우측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킴으로써 작동된 좌측 액츄에이터와 작동된 우측 액츄에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작동된 좌측 액츄에이터가 압하될 때 상기 좌측 외부등에 전압이 가해지고;
    상기 작동된 우측 액츄에이터가 압하될 때 상기 우측 외부등에 전압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된 방향 지시등 작동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액츄에이터와 상기 좌측 액츄에이터 각각은 스위치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된 방향 지시등 작동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좌측 액츄에이터 및 상기 우측 액츄에이터 각각의 스위치 어레이에서 텀브 사이즈 패턴의 스위치들이 동시에 압하될 때 상기 좌측 액츄에이터와 우측 액츄에이터 각각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된 방향 지시등 작동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액츄에이터는 상기 스티어링휠 환형 링 상의 11시 위치의 시작점에 위치되어 9시 위치를 향해 2인치 아크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우측 액츄에이터는 상기 스티어링휠 환형 링 상의 1시 위치의 시작점에 위치되어 3시 위치를 향해 2인치 아크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된 방향 지시등 작동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액츄에이터와 상기 좌측 액츄에이터 각각은 스위치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된 방향 지시등 작동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좌측 액츄에이터 및 우측 액츄에이터 각각의 스위치 어레이에서 텀브 사이즈 패턴의 스위치들이 동시에 압하될 때 상기 좌측 액츄에이터 및 우측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된 방향 지시등 작동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임계 시간은 대략 0.5초∼대략 5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된 방향 지시등 작동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임계 시간은 대략 1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된 방향 지시등 작동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액츄에이터의 일단은 상기 스티어링휠 환형 링 상의 9시 위치 근방에 위치되고, 상기 좌측 액츄에이터의 반대단은 상기 스티어링휠 환형 링 상의 12시 위치 근방에 위치되어 상기 좌측 액츄에이터는 9시와 12시 위치 사이의 폭으로 사이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된 방향 지시등 작동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액츄에이터의 일단은 상기 스티어링휠 환형 링 상의 3시 위치 근방에 위치되고, 상기 우측 액츄에이터의 반대단은 상기 스티어링휠 환형 링 상의 12시 위치 근방에 위치되어 상기 우측 액츄에이터가 3시와 12시 위치 사이 거리의 폭으로 사이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된 방향 지시등 작동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 신호는 작동된 좌측 액츄에이터가 압하될 때 상기 좌측 외부등에 전압이 가해지거나 작동된 우측 액츄에이터가 압하될 때 상기 우측 외부등에 전압이 가해지면 사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된 방향 지시등 작동 시스템.
  12. 스킨을 갖는 환형 링을 갖는 자동차 스티어링휠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통합된 방향 지시등 작동 시스템으로서:
    상기 환형 링 상의 9시와 12시 위치 사이의 스티어링휠 환형 링에 부착되고 상기 스킨에 의해 커버된 좌측 액츄에이터,
    상기 환형 링 상의 3시와 12시 위치 사이의 스티어링휠 환형 링에 부착되고 상기 스킨에 의해 커버된 우측 액츄에이터,
    상기 좌측 액츄에이터와 우측 액츄에이터에 접속되고 상기 자동차 외부 상에 장착된 좌측 외부등 및 우측 외부등에 추가 접속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액츄에이터와 상기 우측 액츄에이터는 오버래핑되지 않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좌측 액츄에이터 및 우측 액츄에이터가 동시에 압하되고 설정된 임계 시간을 유지할 때 상기 좌측 액츄에이터와 상기 우측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킴으로써 작동된 좌측 액츄에이터와 작동된 우측 액츄에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작동된 좌측 액츄에이터가 압하될 때 상기 좌측 외부등에 전압이 가해지고;
    상기 작동된 우측 액츄에이터가 압하될 때 상기 우측 외부등에 전압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된 방향 지시등 작동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액츄에이터와 상기 좌측 액츄에이터 각각은 스위치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된 방향 지시등 작동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좌측 액츄에이터 및 상기 우측 액츄에이터 각각의 스위치 어레이에서 텀브 사이즈 패턴의 스위치들이 동시에 압하될 때 상기 좌측 액츄에이터와 우측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된 방향 지시등 작동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액츄에이터는 상기 스티어링휠 환형 링 상의 11시 위치의 시작점에 위치되어 9시 위치를 향해 2인치 아크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우측 액츄에이터는 상기 스티어링휠 환형 링 상의 1시 위치의 시작점에 위치되어 3시 위치를 향해 2인치 아크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된 방향 지시등 작동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액츄에이터와 상기 좌측 액츄에이터 각각은 스위치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된 방향 지시등 작동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좌측 액츄에이터 및 상기 우측 액츄에이터 각각의 스위치 어레이에서 텀브 사이즈 패턴의 스위치들이 동시에 압하될 때 상기 좌측 액츄에이터 및 우측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된 방향 지시등 작동 시스템.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액츄에이터의 일단은 상기 스티어링휠 환형 링 상의 9시 위치 근방에 위치되고, 상기 좌측 액츄에이터의 반대단은 상기 스티어링휠 환형 링 상의 12시 위치 근방에 위치되어 상기 좌측 액츄에이터는 9시와 12시 위치 사이의 폭으로 사이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된 방향 지시등 작동 시스템.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액츄에이터의 일단은 상기 스티어링휠 환형 링 상의 3시 위치 근방에 위치되고, 상기 우측 액츄에이터의 반대단은 상기 스티어링휠 환형 링 상의 12시 위치 근방에 위치되어 상기 우측 액츄에이터는 3시와 12시 위치 사이 거리의 폭으로 사이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된 방향 지시등 작동 시스템.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액츄에이터와 상기 우측 액츄에이터는 상기 스티어링휠의 환형 링으로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된 방향 지시등 작동 시스템.
KR1020127008207A 2009-09-08 2010-08-27 통합된 차량 방향 지시등 시스템 및 장치 KR101502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555,477 2009-09-08
US12/555,477 US8198996B2 (en) 2009-09-08 2009-09-08 Integrated vehicle turn signal system and apparatus
PCT/US2010/046929 WO2011031543A1 (en) 2009-09-08 2010-08-27 Integrated vehicle turn signal system and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082A KR20120079082A (ko) 2012-07-11
KR101502548B1 true KR101502548B1 (ko) 2015-03-12

Family

ID=43647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8207A KR101502548B1 (ko) 2009-09-08 2010-08-27 통합된 차량 방향 지시등 시스템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198996B2 (ko)
EP (1) EP2475550B1 (ko)
JP (1) JP5663788B2 (ko)
KR (1) KR101502548B1 (ko)
CN (1) CN102648111B (ko)
CA (1) CA2773533C (ko)
HK (1) HK1174010A1 (ko)
WO (1) WO20110315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2724B2 (en) 2009-09-08 2016-03-01 Golomb Mercantile Company Llc Integrated vehicle control system and apparatus
US8446265B2 (en) * 2009-09-08 2013-05-21 Golomb Mercantile Company Llc Integrated vehicle control system and apparatus
JP5115581B2 (ja) * 2010-04-02 2013-01-09 株式会社デンソー 機器操作装置
US9267809B2 (en) 2011-08-11 2016-02-23 JVC Kenwood Corpo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arget device in vehicle, and steering wheel
JP5783124B2 (ja) * 2011-08-11 2015-09-24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車両における操作対象装置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5783125B2 (ja) * 2011-08-11 2015-09-24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車両における操作対象装置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5790579B2 (ja) * 2011-09-15 2015-10-07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車両における操作対象装置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5783126B2 (ja) * 2011-09-21 2015-09-24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車両における操作対象装置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5776590B2 (ja) * 2011-09-21 2015-09-09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車両における操作対象装置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CA2871361A1 (en) * 2012-05-07 2013-11-14 Golomb Mercantile Company Llc Integrated vehicle control system and apparatus
US8700258B2 (en) 2012-09-12 2014-04-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ark assist system
JP2014061761A (ja) * 2012-09-20 2014-04-10 Yuhshin Co Ltd 車載機器操作装置
CN104755355B (zh) 2012-10-23 2018-01-26 Tk控股公司 转向盘灯条
US20160001698A1 (en) * 2013-02-19 2016-01-07 Weel Inventions Pty Limited Steering wheel mounted indicator system
JP6077883B2 (ja) * 2013-02-27 2017-02-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ウインカキャンセル装置
KR101470190B1 (ko) * 2013-07-09 2014-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 시스템의 고장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6648109B2 (ja) * 2014-07-23 2020-02-14 ジョイソン セイフティ システムズ アクイジション エルエルシー ステアリンググリップライトバーシステム
US9540016B2 (en) 2014-09-26 2017-01-10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interface input receiving method
US9248839B1 (en) 2014-09-26 2016-02-02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interface system
USD806729S1 (en) 2015-04-24 2018-01-02 Tk Holdings,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7531265B (zh) * 2015-04-24 2020-09-15 Tk控股公司 转向盘灯条
USD758261S1 (en) 2015-06-05 2016-06-07 John Bell Vehicle steering wheel having turn signal buttons
CN105197093B (zh) * 2015-10-16 2018-05-22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转向控制辅助装置、方法及汽车
US20170190350A1 (en) * 2015-12-31 2017-07-06 James M. Rynerson Steering wheel turn signal
USD847190S1 (en) 2017-01-04 2019-04-30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Steering wheel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DE112018000309B4 (de) 2017-01-04 2021-08-26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Fahrzeugbeleuchtungssysteme und -verfahren
KR102504471B1 (ko) * 2018-01-05 2023-02-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및 그 제어방법
WO2019173750A1 (en) 2018-03-08 2019-09-12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Vehicle illumin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767015B2 (en) * 2020-12-16 2023-09-26 Guangzhou Automobile Group Co., Ltd. System, vehicle,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improving driving safet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7552A (ko) * 1995-12-29 1997-07-24 배순훈 차량용 루프에 구비되는 방향지시램프
KR970037541A (ko) * 1995-12-28 1997-07-24 김태구 차량의 방향지시등용 턴스위치
US5823666A (en) * 1997-10-16 1998-10-20 Kingsolver; George L. Steering wheel mounted turn signal controls and indicators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1A (en) * 1845-04-26 Lock fob
US1651540A (en) * 1922-04-10 1927-12-06 Maurice S Park Automobile signal apparatus
US2068632A (en) 1936-01-28 1937-01-19 Amos B Stites Direction indicator switch
US2291159A (en) 1939-02-20 1942-07-28 Briggs & Stratton Corp Automobile direction signal
AU468256B2 (en) * 1972-02-25 1976-01-08 ARTHUR SCULTHORPE and ISLA PAMELA SCULTHORPE HENRY Grip actuated, steering wheel control switch
JPS5341197A (en) * 1976-09-28 1978-04-14 Seiko Epson Corp Two-wheeled automobile
JPS60156739A (ja) 1984-01-27 1985-08-16 Toyoda Gosei Co Ltd 軟質樹脂ステアリングホイ−ル
JPH0325376U (ko) * 1989-07-20 1991-03-15
US5198629A (en) 1989-10-30 1993-03-30 Toyoda Gosei Co., Ltd. Steering wheel having insert molded membrane switch
DE4130965A1 (de) * 1991-09-18 1993-03-25 Dietrich Gebhard Warnblinkanlage fuer ein kraftfahrzeug
US5438314A (en) 1993-03-31 1995-08-01 Evans; Harold A. Vehicle turn signal
IT1286548B1 (it) * 1996-02-09 1998-07-15 Marco Calzolani Dispositivo a manopola per l'esecuzione di comandi su un veicolo
US5739491A (en) 1996-03-25 1998-04-14 Crosson, Jr.; Oliver J. Lane changer apparatus
US5762853A (en) 1996-04-01 1998-06-09 Morton International, Inc. Method of encapsulating a sensor into a panel body
US5666102A (en) 1996-07-24 1997-09-09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Systems, Inc. Vehicle signals incorporated into steering wheel rim
US6144297A (en) * 1997-08-19 2000-11-07 Donner; Irah H. Automobile steering wheel and turn signal buttons with turning indicia and/or indicators thereon
JP2000228126A (ja) * 1999-02-05 2000-08-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テアリング入力装置
JP3686277B2 (ja) * 1999-02-19 2005-08-24 日立建機株式会社 走行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DE19927464B4 (de) * 1999-06-16 2008-09-04 Volkswagen Ag Lenkrad mit Tastelementen
EP1216911A3 (en) * 2000-12-20 2003-02-12 Aphrodite Agencies Ltd. Steering control for self-propelled vehicles
JP2003217219A (ja) * 2002-01-17 2003-07-31 Alpine Electronics Inc ディスク装置
US6961644B2 (en) 2002-12-12 2005-11-01 Alps Automotive, Inc. Dual haptic vehicle control and display system
US20050021190A1 (en) * 2003-07-24 2005-01-27 Worrell Barry 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vehicle systems
US20060044129A1 (en) * 2004-08-31 2006-03-02 Patel Vipul M Facilitating signaling in a vehicle
DE102005025993A1 (de) * 2005-06-07 2006-07-20 Daimlerchrysler Ag Lenkrad für Fahrzeuge zur Bedienung von Fahrzeugapplikationen
US20070287960A1 (en) * 2006-05-31 2007-12-13 Seattle Medical Technologies Disposable infusion device with medicament level indicator
JP4676408B2 (ja) * 2006-09-29 2011-04-27 株式会社デンソーアイティーラボラトリ 情報入力装置
DE102007020936B4 (de) * 2007-05-04 2022-11-10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steuern von Funktionseinheiten in einem Kraftfahrzeug
JP2009163966A (ja) 2007-12-30 2009-07-23 Toyo Denso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パドル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7541A (ko) * 1995-12-28 1997-07-24 김태구 차량의 방향지시등용 턴스위치
KR970037552A (ko) * 1995-12-29 1997-07-24 배순훈 차량용 루프에 구비되는 방향지시램프
US5823666A (en) * 1997-10-16 1998-10-20 Kingsolver; George L. Steering wheel mounted turn signal controls and indic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63788B2 (ja) 2015-02-04
US20110057785A1 (en) 2011-03-10
JP2013503787A (ja) 2013-02-04
KR20120079082A (ko) 2012-07-11
HK1174010A1 (en) 2013-05-31
EP2475550A1 (en) 2012-07-18
CA2773533A1 (en) 2011-03-17
CN102648111A (zh) 2012-08-22
US8198996B2 (en) 2012-06-12
EP2475550B1 (en) 2017-11-29
WO2011031543A1 (en) 2011-03-17
EP2475550A4 (en) 2015-05-27
CA2773533C (en) 2015-07-28
CN102648111B (zh) 201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2548B1 (ko) 통합된 차량 방향 지시등 시스템 및 장치
US9738220B2 (en) Steering wheel having integrated horn actuator and the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6466307B2 (ja) 手の圧力を感知する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9266551B2 (en) Integrated vehicle control system and apparatus
JP5805974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センサ
US10926786B2 (en) Steering wheel with distributed sensors
US20050189159A1 (en) Steering wheel for a motor vehicle
US20090164062A1 (en) Operating device
US20140172186A1 (en) Capacitive steering wheel switches with audible feedback
US7038586B2 (en) Vehicle horn actuation mechanism and method
JP2017206250A (ja) 一体形車両制御システム及び装置
US20060044129A1 (en) Facilitating signaling in a vehicle
KR101793080B1 (ko)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KR102564279B1 (ko) 조작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시스템
KR100514387B1 (ko) 자동차용 혼 시스템
WO2007093835A1 (en) Device for sound signalization in a vehicle with dual control ped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