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992B1 - 소프트재질의 간편식 밥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간편식 밥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소프트재질의 간편식 밥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간편식 밥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992B1
KR102563992B1 KR1020230033822A KR20230033822A KR102563992B1 KR 102563992 B1 KR102563992 B1 KR 102563992B1 KR 1020230033822 A KR1020230033822 A KR 1020230033822A KR 20230033822 A KR20230033822 A KR 20230033822A KR 102563992 B1 KR102563992 B1 KR 102563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dy
storage
space
body portion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3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주
Original Assignee
아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33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9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9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33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in hot water, e.g. boil pouches
    • B65D81/3423Packages shrinking in hot water, e.g. for boiling h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소프트재질의 간편식 밥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간편식 밥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식 밥용기는,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유연하고 불투명한 수지 필름 소재로 구성되며, 내부에 소정 부피의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수밀구조로 밀봉되어 하부에 세워놓을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는 수납본체부; 상기 수납본체부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고, 수납본체부의 상부를 절개하여 절취한 후 수납본체부의 상부를 개방하는 구조의 제1절취부; 및 상기 수납본체부의 일측 중앙부에 형성되고, 수납본체부의 중앙부를 절개하여 절취한 후 수납본체부의 상부를 개방하는 구조의 제2절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레인지 사용이 불가한 환경에서도 간편히 데워 먹을 수 있고, 손쉽게 휴대 가능한 간편식 밥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간편식 밥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프트재질의 간편식 밥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간편식 밥 제조방법{Simple Food Rice Container Made Of Soft Material And Method For Preparing Simple Food R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프트재질의 간편식 밥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간편식 밥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쉽게 휴대할 수 있고 간편히 데워 먹을 수 있는 소프트재질의 간편식 밥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간편식 밥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락은 밖에서 끼니를 해결할 수 있도록 작은 그릇에 반찬과 함께 담은 밥으로 정의되고 있다.
즉, 집을 떠나서 활동하는 동안 먹을 수 있도록 다양한 재질의 그릇에 음식을 담은 것으로서, 예전에는 주로 학생이나 직장인이 많이 애용하였다.
이에 반하여, 최근에는 식생활 습관 및 소비의 변화와 더불어 1인 가구 및 맞벌이 가구가 증대되는 추세에 있고, 개인생활 및 편의성을 중요시하는 시대에 접어듦과 더불어 배달문화의 발달로 가정에서도 도시락을 즐기는 인구가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도시락은 간편성 및 편의성을 추구할 수 있으면서도 볶음이나 구이 등의 조리작업이나 설거지 등의 부대적인 추가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으로 주부들도 많이 애용하고 있으며, 품질이나 영양 측면에서도 집 밥에 비해 뒤떨어지지 않는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
일 예로서, 편의점 등에서 쉽게 구입하여 섭취할 수 있는 편의점 도시락은 냉장 상태로 유통되는 것으로서, 밥을 기본으로 하는 한식형 도시락으로 구성되어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편의점 도시락은 신선도 유지를 위해 장기 시판이 어렵고, 그에 따른 배송비 비중이 높음은 물론 폐기율 또한 높은 실정에 있으며, 도시락의 폐기 처분 시 음식물 처리비용이 발생됨은 물론 환경오염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도시락의 경우에도 그 유통기한은 몇시간에서 하루 정도에 불과하다.
이에, 간편하게 취식 할 수 있는 밥과 반찬으로 구성되는 도시락에 대해 유통기한을 연장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종래에 있어 도시락 등에 대해 유통기한을 연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도 1 (a)에 도시된 공정을 거쳐 도 1 (b), (c)에 도시된 구조의 간편식 즉석밥을 제조하기도 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다른 도시락, 간편식 즉석밥의 경우 전자레인지 또는 고온으로 물을 끓일 수 있는 수단을 이용하여 따뜻하게 데워 먹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없고 손쉽게 데워 먹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27643호 (등록일자: 2020년06월23일)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레인지 사용이 불가한 환경에서도 간편히 데워 먹을 수 있고, 손쉽게 휴대 가능한 간편식 밥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간편식 밥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프트재질의 간편식 밥용기는,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유연하고 불투명한 수지 필름 소재로 구성되며, 내부에 소정 부피의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수밀구조로 밀봉되어 하부에 세워놓을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는 수납본체부; 상기 수납본체부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고, 수납본체부의 상부를 절개하여 절취한 후 수납본체부의 상부를 개방하는 구조의 제1절취부; 및 상기 수납본체부의 일측 중앙부에 형성되고, 수납본체부의 중앙부를 절개하여 절취한 후 수납본체부의 상부를 개방하는 구조의 제2절취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납본체부를 구성하는 수지 필름 소재는 3개층으로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지 필름 소재는, 상기 수납본체부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내부 공간과 맞닿는 면을 형성하고, 폴리에틸렌 필름 소재로 구성된 내부면형성부; 상기 내부면형성부의 외부 측면에 합지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형성하며, CPR 필름 소재로 구성된 외부면형성부; 및 상기 내부면형성부와 외부면형성부 사이에 적층되어 합지되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나일론 필름 소재로 구성된 중간층형성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납본체부는, 상기 수납본체부의 수납공간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만입부에 의해 일측방으로 구획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일측공간형성부; 상기 수납본체부의 수납공간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만입부에 의해 타측방으로 구획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공간형서부와 연통되는 구조의 타측공간형성부; 상기 수납본체부의 바닥면 정중앙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만입되어 수납본체부의 수납공간을 일측 공간과 타측 공간으로 구획하며, 외부로부터 가열된 물을 수납할 수 있는 만입홈 구조를 형성하는 중앙만입부; 및 상기 중앙만입부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장착되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중앙만입부에 형성된 만입홈 구조를 밀봉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구조의 실링처리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납본체부는, 상기 수납본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만입되어 수납본체부의 일측공간형성부 또는 타측공간형성부를 재차 구획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추가만입부; 상기 수납본체부의 상부 일측면에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온도가 90도를 초과할 경우 용융되어 수납본체부의 수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구조로 개방되는 용융개방구; 및 상기 중앙만입부의 외부면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부착되고, 소정 크기의 면적을 가지는 전기전도성 판상형 박판 구조이며, 유도가열부에 의해 발열하여 수납공간 내부에 열을 전달하는 구조의 금속박판;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간편식 밥용기를 이용한 간편식 밥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간편식 밥 제조방법은, 일측면에 제1절취부 및 제2절취부가 형성된 수납본체부를 제작하는 수납본체부 준비단계; 세척된 쌀과 정제수를 기설정된 비율로 혼합한 후 수납본체부의 수납공간에 주입하는 식재료 수납단계; 식재료 수납단계를 거친 수납본체부의 상단을 밀봉처리하는 수납본체부 밀봉단계; 수납본체부 밀봉단계를 거친 수납본체부를 섭씨 100 내지 125도 환경에서 쌀의 수분율에 따라 5분 내지 20분 가열하는 가열조리단계; 및 상기 가열조리단계를 거친 수납본체부를 상온에서 방치하여 수납본체부의 외부면 온도를 공랭시키는 냉각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냉각단계는, 상기 수납본체부의 외부면 온도가 90도 미만으로 떨어질 때, 수납본체부의 상부 일측면에 형성된 개방구에 용융개방구를 부착하는 용융개방구 장착단계; 및 상기 수납본체부의 하부면에 형성된 중앙만입부의 외주면에 소정 크기의 면적을 가지는 전기전도성 판상형 박판 구조의 금속박판을 부착하는 금속박판 장착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간편식 밥용기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수납본체부, 제1절취부 및 제2절취부를 구비함으로써, 전자레인지 사용이 불가한 환경에서도 간편히 데워 먹을 수 있고, 손쉽게 휴대 가능한 간편식 밥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간편식 밥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간편식 밥용기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일측공간형성부, 타측공간형성부, 중앙만입부, 추가만입부 및 실링처리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중앙만입부에 뜨거운 물을 주입한 후 실링처리부를 밀봉하여 중앙만입부와 면접촉하는 일측공간형성부와 타측공간형성부에 수납된 밥이 단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가열될 수 있고, 더 나아가 다수의 추가만입부를 이용하여 수납된 밥을 더욱 더 빠르게 가열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전자레인지 사용이 불가한 환경에서도 간편히 데워 먹을 수 있고, 손쉽게 휴대 가능한 간편식 밥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간편식 밥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간편식 밥용기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추가만입부, 용융개방구 및 금속박판을 구비함으로써, 중앙만입부에 뜨거운 물을 주입할 경우 금속박판이 빠르게 가열되어 중앙만입부와 면접촉하는 일측공간형성부와 타측공간형성부에 수납된 밥이 단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가열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에서 유도기전력을 발생하는 인덕션에 올려두고 손쉽게 가열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간편히 데워 먹을 수 있고, 손쉽게 휴대 가능한 간편식 밥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간편식 밥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동밥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및 간편식 밥용기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식 밥용기의 정면과 후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식 밥용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간편식 밥용기를 나타내는 측면 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4의 "C"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간편식 밥용기의 중앙만입부에 의해 형성된 만입홈 구조 내부에 뜨거운 물을 주입한 후 실링처리부를 이용하여 밀봉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투시도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편식 밥용기를 나타내는 측면 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식 밥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식 밥용기의 정면과 후면을 나타내는 사진이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식 밥용기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간편식 밥용기(100)는 특정 구조의 수납본체부(110), 제1절취부(120) 및 제2절취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전자레인지 사용이 불가한 환경에서도 간편히 데워 먹을 수 있고, 손쉽게 휴대 가능한 간편식 밥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간편식 밥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간편식 밥용기(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간편식 밥용기를 나타내는 측면 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간편식 밥용기(100)의 수납본체부(110)는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유연하고 불투명한 수지 필름 소재로 구성되며, 내부에 소정 부피의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수밀구조로 밀봉되어 하부에 세워놓을 수 있는 구조(140)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본체부(110)를 구성하는 수지 필름 소재는 3개층으로 적층된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지 필름 소재는 특정 구조의 내부면형성부(111), 외부면형성부(113) 및 중간층형성부(11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내부면형성부(111)는 수납본체부(110)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내부 공간과 맞닿는 면을 형성하고, 폴리에틸렌 필름 소재로 구성된다. 외부면형성부(113)는 내부면형성부(111)의 외부 측면에 합지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형성하며, CPR 필름 소재로 구성된다. 또한, 중간층형성부(112)는 내부면형성부(111)와 외부면형성부(113) 사이에 적층되어 합지되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나일론 필름 소재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간편식 밥용기(100)의 제1절취부(120)는 수납본체부(11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수납본체부(110)의 상부를 절개하여 절취한 후 수납본체부(110)의 상부를 개방하는 구조이다.
또한, 제2절취부(130)는 수납본체부(110)의 일측 중앙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수납본체부(110)의 중앙부를 절개하여 절취한 후 수납본체부(110)의 상부를 개방하는 구조이다.
도 6에는 도 4의 "B"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4의 "C"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8에는 도 4에 도시된 간편식 밥용기의 중앙만입부에 의해 형성된 만입홈 구조 내부에 뜨거운 물을 주입한 후 실링처리부를 이용하여 밀봉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본체부(110)는 특정 구조의 일측공간형성부(114a), 타측공간형성부(114b), 중앙만입부(114c) 및 실링처리부(114e)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납본체부(110)의 일측공간형성부(114a)는 수납본체부(110)의 수납공간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만입부(114c)에 의해 일측방으로 구획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수납본체부(110)의 타측공간형성부(114b)는 수납본체부(110)의 수납공간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만입부(114c)에 의해 타측방으로 구획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공간형서부와 연통되는 구조이다. 수납본체부(110)의 중앙만입부(114c)는 수납본체부(110)의 바닥면 정중앙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만입되어 수납본체부(110)의 수납공간을 일측 공간과 타측 공간으로 구획하며, 외부로부터 가열된 물을 수납할 수 있는 만입홈 구조를 형성하는 구조이다. 또한, 수납본체부(110)의 실링처리부(114e)는 중앙만입부(114c)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중앙만입부(114c)에 형성된 만입홈 구조를 밀봉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편식 밥용기를 나타내는 측면 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도 6과 함께 비교하여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본체부(110)는 특정 구조의 추가만입부(114f), 용융개방구(115) 및 금속박판(116)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납본체부(110)의 추가만입부(114f)는 수납본체부(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만입되어 수납본체부(110)의 일측공간형성부(114a) 또는 타측공간형성부(114b)를 재차 구획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수납본체부(110)의 용융개방구(115)는 수납본체부(110)의 상부 일측면에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온도가 90도를 초과할 경우 용융되어 수납본체부(110)의 수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구조로 개방되는 구조이다. 수납본체부(110)에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다수의 미세관통구(115a)가 한 부분에 집결하여 형성되고, 그 부분에 용융소재(115b)가 도포된 후 커버필름(115c)이 부착된다. 이때, 용융소재(115b)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자체 온도가 90도를 초과하여 상승할 경우 용융되는 소재로서,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수납본체부(110)의 금속박판(116)은 중앙만입부(114c)의 외부면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부착되는 구성으로서, 소정 크기의 면적을 가지는 전기전도성 판상형 박판 구조이며, 유도가열부에 의해 발열하여 수납공간 내부에 열을 전달하는 구조이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일측공간형성부(114a), 타측공간형성부(114b), 중앙만입부(114c), 추가만입부(114f) 및 실링처리부(114e)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중앙만입부(114c)에 뜨거운 물을 주입한 후 실링처리부(114e)를 밀봉하여 중앙만입부(114c)와 면접촉하는 일측공간형성부(114a)와 타측공간형성부(114b)에 수납된 밥이 단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가열될 수 있고, 더 나아가 다수의 추가만입부(114f)를 이용하여 수납된 밥을 더욱 더 빠르게 가열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전자레인지 사용이 불가한 환경에서도 간편히 데워 먹을 수 있고, 손쉽게 휴대 가능한 간편식 밥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간편식 밥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추가만입부(114f), 용융개방구(115) 및 금속박판(116)을 구비함으로써, 중앙만입부(114c)에 뜨거운 물을 주입할 경우 금속박판(116)이 빠르게 가열되어 중앙만입부(114c)와 면접촉하는 일측공간형성부(114a)와 타측공간형성부(114b)에 수납된 밥이 단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가열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에서 유도기전력을 발생하는 인덕션에 올려두고 손쉽게 가열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간편히 데워 먹을 수 있고, 손쉽게 휴대 가능한 간편식 밥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간편식 밥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식 밥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도 2 내지 도 9와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간편식 밥 제조방법(S100)은 앞서 언급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간편식 밥용기(100)를 이용한 제조방법으로서,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수납본체부 준비단계(S110), 식재료 수납단계(S120), 수납본체부 밀봉단계(S130), 가열조리단계(S140) 및 냉각단계(S15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본체부 준비단계(S110)는 일측면에 제1절취부(120) 및 제2절취부(130)가 형성된 수납본체부(110)를 제작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수납단계(S120)는 세척된 쌀과 정제수를 기설정된 비율로 혼합한 후 수납본체부(110)의 수납공간에 주입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본체부 밀봉단계(S130)는 식재료 수납단계(S120)를 거친 수납본체부(110)의 상단을 밀봉처리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수납본체부(110)의 상단을 밀봉처리하는 과정에서 내부에 주입되는 공기와 수납되는 식재료와의 부피비는 3:7, 4:6, 5:5 또는 6:4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한 부피비는 다수회의 실험을 통해 획득한 최적의 비율로서, 조리된 밥의 품질, 조리된 밥의 보존 기간, 냉각단계(S150) 이후 수납된 밥의 변형상태, 수납본체부(110)의 외부 상태 등을 모두 고려하여 설정된 비율이다. 바람직하게는 수납된 밥이 과도하게 압착되어 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설정되어야 하며, 주입되는 공기는 1기압(760mmHg), 상온(섭씨 15 내지 25도)에서 밀봉처리된 수납본체부(110)의 내부 부피 대비 25 내지 35 %를 차지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조리단계(S140)는 수납본체부 밀봉단계(S130)를 거친 수납본체부(110)를 섭씨 100 내지 125도 환경에서 쌀의 수분율에 따라 5분 내지 20분 가열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단계(S150)는 가열조리단계(S140)를 거친 수납본체부(110)를 상온에서 방치하여 수납본체부(110)의 외부면 온도를 공랭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수납본체부(110)의 수납공간에 있는 공기를 조리된 쌀이 흡수하여, 수납공간 내부는 저진공 상태가 되며, 공기에 의한 산화 현상을 일정 기간동안 방지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수납공간 내부의 음식물의 보존 기간을 현저히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단계(S1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용융개방구 장착단계(S151) 및 금속박판 장착단계(S15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냉각단계(S150)의 용융개방구 장착단계(S151)는 수납본체부(110)의 외부면 온도가 90도 미만으로 떨어질 때, 수납본체부(110)의 상부 일측면에 형성된 개방구에 용융개방구(115)를 부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냉각단계(S150)의 금속박판 장착단계(S152)는 수납본체부(110)의 하부면에 형성된 중앙만입부(114c)의 외주면에 소정 크기의 면적을 가지는 전기전도성 판상형 박판 구조의 금속박판(116)을 부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간편식 밥용기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수납본체부(110), 제1절취부(120) 및 제2절취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전자레인지 사용이 불가한 환경에서도 간편히 데워 먹을 수 있고, 손쉽게 휴대 가능한 간편식 밥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간편식 밥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간편식 밥용기
110: 수납본체부
111: 내부면형성부
112: 중간층형성부
113: 외부면형성부
114a: 일측공간형성부
114b: 타측공간형성부
114c: 중앙만입부
114d: 만입홈 구조
114e: 실링처리부
114f: 추가만입부
115: 용융개방구
115a: 미세관통구
115b: 용융소재
115c: 커버필름
116: 금속박판
120: 제1절취부
130: 제2절취부
140: 세워놓을 수 있는 구조
S100: 간편식 밥 제조방법
S110: 수납본체부 준비단계
S120: 식재료 수납단계
S130: 수납본체부 밀봉단계
S140: 가열조리단계
S150: 냉각단계
S151: 용융개방구 장착단계
S152: 금속박판 장착단계

Claims (6)

  1.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유연하고 불투명한 수지 필름 소재로 구성되며, 내부에 소정 부피의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수밀구조로 밀봉되어 하부에 세워놓을 수 있는 구조(140)를 형성하는 수납본체부(110);
    상기 수납본체부(11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고, 수납본체부(110)의 상부를 절개하여 절취한 후 수납본체부(110)의 상부를 개방하는 구조의 제1절취부(120); 및
    상기 수납본체부(110)의 일측 중앙부에 형성되고, 수납본체부(110)의 중앙부를 절개하여 절취한 후 수납본체부(110)의 상부를 개방하는 구조의 제2절취부(130);
    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본체부(110)는,
    상기 수납본체부(110)의 수납공간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만입부(114c)에 의해 일측방으로 구획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일측공간형성부(114a);
    상기 수납본체부(110)의 수납공간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만입부(114c)에 의해 타측방으로 구획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공간형서부와 연통되는 구조의 타측공간형성부(114b);
    상기 수납본체부(110)의 바닥면 정중앙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만입되어 수납본체부(110)의 수납공간을 일측 공간과 타측 공간으로 구획하며, 외부로부터 가열된 물을 수납할 수 있는 만입홈 구조를 형성하는 중앙만입부(114c);
    상기 중앙만입부(114c)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장착되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중앙만입부(114c)에 형성된 만입홈 구조를 밀봉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구조의 실링처리부(114e);
    상기 수납본체부(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만입되어 수납본체부(110)의 일측공간형성부(114a) 또는 타측공간형성부(114b)를 재차 구획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추가만입부(114f);
    상기 수납본체부(110)의 상부 일측면에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온도가 90도를 초과할 경우 용융되어 수납본체부(110)의 수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구조로 개방되는 용융개방구(115); 및
    상기 중앙만입부(114c)의 외부면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부착되고, 소정 크기의 면적을 가지는 전기전도성 판상형 박판 구조이며, 유도가열부에 의해 발열하여 수납공간 내부에 열을 전달하는 구조의 금속박판(11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식 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본체부(110)를 구성하는 수지 필름 소재는 3개층으로 적층된 구조이고,
    상기 수지 필름 소재는,
    상기 수납본체부(110)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내부 공간과 맞닿는 면을 형성하고, 폴리에틸렌 필름 소재로 구성된 내부면형성부(111);
    상기 내부면형성부(111)의 외부 측면에 합지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형성하며, CPR 필름 소재로 구성된 외부면형성부(113); 및
    상기 내부면형성부(111)와 외부면형성부(113) 사이에 적층되어 합지되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나일론 필름 소재로 구성된 중간층형성부(1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식 밥용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따른 간편식 밥용기를 이용한 간편식 밥 제조방법으로서,
    일측면에 제1절취부(120), 제2절취부(130), 일측공간형성부(114a), 타측공간형성부(114b), 중앙만입부(114c), 실링처리부(114e) 및 추가만입부(114f)가 형성된 수납본체부(110)를 제작하는 수납본체부 준비단계(S110);
    세척된 쌀과 정제수를 기설정된 비율로 혼합한 후 수납본체부(110)의 수납공간에 주입하는 식재료 수납단계(S120);
    식재료 수납단계(S120)를 거친 수납본체부(110)의 상단을 밀봉처리하는 수납본체부 밀봉단계(S130);
    수납본체부 밀봉단계(S130)를 거친 수납본체부(110)를 섭씨 100 내지 125도 환경에서 쌀의 수분율에 따라 5분 내지 20분 가열하는 가열조리단계(S140);
    상기 가열조리단계(S140)를 거친 수납본체부(110)를 상온에서 방치하여 수납본체부(110)의 외부면 온도를 공랭시키는 냉각단계(S150);
    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단계(S150)는,
    상기 수납본체부(110)의 외부면 온도가 90도 미만으로 떨어질 때, 수납본체부(110)의 상부 일측면에 형성된 개방구에 용융개방구(115)를 부착하는 용융개방구 장착단계(S151); 및
    상기 수납본체부(110)의 하부면에 형성된 중앙만입부(114c)의 외주면에 소정 크기의 면적을 가지는 전기전도성 판상형 박판 구조의 금속박판(116)을 부착하는 금속박판 장착단계(S15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식 밥 제조방법.
  6. 삭제
KR1020230033822A 2023-03-15 2023-03-15 소프트재질의 간편식 밥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간편식 밥 제조방법 KR102563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822A KR102563992B1 (ko) 2023-03-15 2023-03-15 소프트재질의 간편식 밥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간편식 밥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822A KR102563992B1 (ko) 2023-03-15 2023-03-15 소프트재질의 간편식 밥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간편식 밥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992B1 true KR102563992B1 (ko) 2023-08-04

Family

ID=87568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3822A KR102563992B1 (ko) 2023-03-15 2023-03-15 소프트재질의 간편식 밥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간편식 밥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99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1156A (ja) * 2003-05-07 2004-11-25 Idemitsu Unitech Co Ltd 蓋付き密封包装体及び当該包装体を構成する蓋材
KR200393367Y1 (ko) * 2005-06-08 2005-08-18 이영식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
JP2006282259A (ja) * 2005-04-04 2006-10-19 Dainippon Printing Co Ltd ボイル・レトルト用密封容器
JP3181379U (ja) * 2012-11-22 2013-01-31 株式会社レーベン販売 飲食用食器
KR20160110420A (ko) * 2014-02-07 2016-09-21 (주)참맛 파우치
KR102127643B1 (ko) 2020-01-14 2020-06-30 김희진 냉동도시락 제조방법
KR102370931B1 (ko) * 2017-03-15 2022-03-04 미네요 스가우치 쌀밥의 제조 방법, 오목밥의 제조 방법, 및 주먹밥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1156A (ja) * 2003-05-07 2004-11-25 Idemitsu Unitech Co Ltd 蓋付き密封包装体及び当該包装体を構成する蓋材
JP2006282259A (ja) * 2005-04-04 2006-10-19 Dainippon Printing Co Ltd ボイル・レトルト用密封容器
KR200393367Y1 (ko) * 2005-06-08 2005-08-18 이영식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
JP3181379U (ja) * 2012-11-22 2013-01-31 株式会社レーベン販売 飲食用食器
KR20160110420A (ko) * 2014-02-07 2016-09-21 (주)참맛 파우치
KR102370931B1 (ko) * 2017-03-15 2022-03-04 미네요 스가우치 쌀밥의 제조 방법, 오목밥의 제조 방법, 및 주먹밥의 제조 방법
KR102127643B1 (ko) 2020-01-14 2020-06-30 김희진 냉동도시락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10356A (zh) 单人适用低容量电压力炊具
US20100224081A1 (en) Flexible and floating egg cooking apparatus
KR102563992B1 (ko) 소프트재질의 간편식 밥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간편식 밥 제조방법
US3818180A (en) Heat insulated container for pots
CN215423211U (zh) 一种保温性能好的食品餐具盒
JP2016220837A (ja) 蓋および調理器
JP3149809U (ja) 電気炊飯器用内蓋
KR100630299B1 (ko) 보온 밥상
JP2018187241A (ja) 卵茹で器
KR102201418B1 (ko) 온열 기능을 갖는 도시락 가방
KR101997151B1 (ko) 온도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도시락 용기
JP2009035276A (ja) 分割室型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
KR200176832Y1 (ko) 단체급식용 보온 위생 식판
KR102095232B1 (ko) 장시간 보온유지 가능한 불도장요리용 용기
JP4271099B2 (ja) 加熱装置および再加熱機能付冷却装置
CN207707745U (zh) 一种复合多功能型的陶瓷耐热煲
CN219962589U (zh) 一种具有拿取结构的电饭煲内胆
JPH04117919A (ja) 加熱調理器
JPH07241246A (ja) ケータリング用保温ボックス
TWI719507B (zh) 餐盤加熱墊
KR200250078Y1 (ko) 전자렌지용 가열수분 순환방식 냉동 식품용기
JP3924284B2 (ja) 弁当提供システム
CN116725305A (zh) 一种隔热防烫一次性环保餐盒
JP2008279141A (ja) マイクロ波加熱調理容器
JPH0752666Y2 (ja) 電磁調理器による加熱調理可能な膳付弁当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