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367Y1 -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 - Google Patents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367Y1
KR200393367Y1 KR20-2005-0016345U KR20050016345U KR200393367Y1 KR 200393367 Y1 KR200393367 Y1 KR 200393367Y1 KR 20050016345 U KR20050016345 U KR 20050016345U KR 200393367 Y1 KR200393367 Y1 KR 2003933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heating
bag
zipp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3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식
윤민화
Original Assignee
이영식
윤민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식, 윤민화 filed Critical 이영식
Priority to KR20-2005-00163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3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3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3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84Packages having self-contained heating means, e.g. heating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two chemic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65D33/2516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omprising tamper-indicating means, e.g. located within the fastener
    • B65D33/2533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omprising tamper-indicating means, e.g. located within the fastener the slide fastener being located between the product compartment and the tamper 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in hot water, e.g. boil p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즉석음식을 가열하는대 있어 보다 열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휴대가 간편하며 포장된 상태 또는 비포장된 음식물까지 용이하게 가열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내열능력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로 구성되어 저면 및 양측면이 막혀 있고 상부는 개방되되 상단과 소정거리 이격된 내측에는 개방된 입구를 밀폐 가능하도록 지퍼가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지퍼의 일부는 소정간격 끊어져 밀폐시 증기배출구를 형성하는 가열봉지와;
상기 가열봉지의 내측에 보관되어 물을 흡수하면 발열하는 발열체와;
상기 가열봉지의 내측에 보관되되 내부에 물이 들어 있는 물포장봉지와;
내부에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봉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The quick food hiting bag}
본 고안은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별도의 조리기구를 구비하지 않고도 집 또는 야외에서 음식물을 용이하게 가열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한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외국인과 비교하면 한국인들에게는 주식인 쌀부터 시작하여 각종 찌개나 국에 이르기까지 가열된 음식의 비중이 매우 높은 편이다. 때문에 야외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각종 레저활동에서 식사를 할 경우에는 휴대용버너 등을 이용하여 조리하게 되며 또한 주변의 편의점 같은 곳에서는 뜨거운 물이나 전자렌지 등을 구비하여 이러한 가열된 음식물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도록 하고 있으며 각종 음식물 특히 인스턴트 음식물은 이러한 추세에 맞도록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조리기구가 없는 곳에서는 이러한 음식물의 섭취가 용이하지 않게 때문에 이를 위한 수단이 개발되고 있다.
도 5는 종래 즉석 음식 가열기구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현재 개발되어 있는 대부분의 즉석 음식 가열기구는 도시락의 형태로 제공되며 또 음식물과 함께 제공 판매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의 구조는 일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용기(51)와 상기 용기의 상부를 덮는 뚜껑(52)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는 발열수단(53) 및 상기 발열수단(53)이 발열하도록 하는 물(54)이 저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음식물이 들어있는 음식물용기(55)가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때 상기 물(54)은 사용자가 외부에서 물을 부을 수도 있으며 또는 특정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발열수단(53)과 물(54)이 혼합되도록 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은 뚜껑(52)에 의한 밀폐가 용이하지 않아서 열효율이 크게 떨어지며 취급중 용기(51)가 기울어지게 되면 내부의 가열된 물이 흘러나와 화상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가열기구는 음식물과 같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가열수단이 제공되지 않은 음식물을 먹고자 할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이 결여되어 있다. 또 대부분의 용기는 종이 또는 스치로폴과 같은 재료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기와의 완벽한 차단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열수단이 외기에 포함된 습기에 의하여 손상 또는 발열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열효율이 뛰어난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이동 중 경사진 바닥에서도 가열된 물이 쉽게 넘치지 않는 안전한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가열수단과 같이 판매되지 않는 음식물도 용이하게 가열할 수 있는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장기간 보존이 가능한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섭취 중에서도 보온성을 유지하면서 섭취할 수 있는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열능력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로 구성되어 저면 및 양측면이 막혀 있고 상부는 개방되되 상단과 소정거리 이격된 내측에는 개방된 입구를 밀폐 가능하도록 지퍼가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지퍼의 일부는 소정간격 끊어져 밀폐시 증기배출구를 형성하는 가열봉지와;
상기 가열봉지의 내측에 보관되어 물을 흡수하면 발열하는 발열체와;
상기 가열봉지의 내측에 보관되되 내부에 물이 들어 있는 물포장봉지와;
내부에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봉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형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로서, 내열능력이 우수하여 내부온도는 보온하고 외부면으로 많은 열이 전달되어 맨손으로 취급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어 저면 및 양측면이 막혀 있고 상부는 개방되되 상단과 소정거리 이격된 내측에는 개방된 입구를 밀폐 가능하도록 지퍼(11)가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지퍼(11)의 일부는 소정간격 끊어져 밀폐시 증기배출구(12)를 형성하는 가열봉지(1)와; 상기 가열봉지(1)의 내측에 보관되어 물을 흡수하면 발열하는 발열체(2)와; 상기 가열봉지(1)의 내측에 보관되되 내부에 물이 들어 있는 물포장봉지(3)와; 내부에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봉지(4)로 구성되어 사용시에는 물포장봉지(3)를 뜯어 물을 붓게 되면 상기 발열체는 발열되어 음식물봉지(4)의 내부에 있는 음식물을 가열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가열봉지(1)를 넘어트리거나 들고 이동을 하여도 가열된 내부의 물이 한꺼번에 흘러나와 화상을 입게 되는 경우를 상당부분 줄일 수 있어 안전도를 높였으며 또한 외부와의 공기는 상기 증기배출구(12)를 통하여서만 배출하도록 하여 외기와의 차단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열효율이 뛰어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열봉지(1)의 저면은 내부에 음식물봉지(4) 등을 보관하면서 바닥에 입설 가능하도록 상기 가열봉지(1)는 동일한 크기를 가진 두 개의 합성수지재(13)의 양측면이 접착되고, 저면은 절첩시에는 내측상부로 인입절첩되고 상기 봉지를 입설할때에는 저면이 일정형상의 바닥면을 가지도록 하는 바닥재(14)로 구성되도록하여 기존의 용기로 된 제품과 같은 평면에 위치하였을때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였다.
또 이러한 상기 고안은 일반적인 음식물 이외에도 야외에서 유에에게 필요한 젖병을 데워주는 용도로도 효과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음식물봉지(4)의 내부에 젖병을 그냥 넣거나 또는 내부에 물을 충진하여 이중 구조로 젖병을 데울 수 있도록 하여 마땅한 가열수단이 구비하지 않은 곳에서도 휴대하여 용이하게 젖병을 데워 유아에게 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로서, 상기 가열봉지(1)의 상단은 밀패된 실링부(15)를 형성하며, 상기 실링부(15)와 상기 지퍼(11) 사이에는 양측 절개홈(16)을 따라 절개되는 절개선(17)이 형성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구성은 내부에 음식물이 함께 포장 판매되거나 또는 음식물이 없이 가열수단만 판매하더라도 음식물의 장기간의 보존 또는 내부 발열체에 외기와 합께 습기에 노출되어 그 기능이 저하되거나 또는 예기치 않은 발열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고로 부터 예방하기 위하여 상기 가열봉지(1)를 밀폐구조로 하여 제작 판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로서, 상기 가열봉지(1)의 지퍼(11)와 인접한 하부에는 양측에 제2 절개홈(18)을 가진 하나 이상의 제2 절개선(19)이 형성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에 의하여 음식물을 즐기는 동안 음식물이 줄어들어 깊은 곳에 있는 것 까지 꺼내기 용이하도록 상기 제2 절개홈(18)을 따라 상기 가열봉지(1)의 상부를 절개할 수 있으며 또한 상황에 따라 상기 음식물용기(4)도 상부를 절개하여 가열상태를 유지하면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제2 절개홈(18)은 상황에 따라 절개높이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가장 편한 높이에서 절개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증기배출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외기와 밀폐되도록 하고 내열능력이 우수한 소재로 가열봉지를 제작하도록 하여 열효율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가열도중 움직임에도 내부의 가열된 물이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여 이동이 간편하고 가열된 물에 의한 화상 등을 예방하는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가열수단이 구비되지 않는 음식물이나 젖병등을 용이하게 가열 또는 데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기간 보존에 따른 손상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 음식물을 담은체로 용이하게 섭취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5는 종래 즉석음식 가열기구를 나타낸 개념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열봉지
11 : 지퍼 12 : 증기배출구
13 : 합성수지재 14 : 바닥재
15 : 실링부 16 : 절개홈
17 : 절개선 18 : 제2 절개홈
19 : 제2 절개선
2 : 발열체
3 : 물포장봉지
4 : 음식물봉지
51 : 용기 52 : 뚜껑
53 : 발열체 54 : 물
55 : 음식물용기

Claims (5)

  1. 내열성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어 저면 및 양측면이 막혀 있고 상부는 개방되되 상단과 소정거리 이격된 내측에는 개방된 입구를 밀폐 가능하도록 지퍼(11)가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지퍼(11)의 일부는 소정간격 끊어져 밀폐시 증기배출구(12)를 형성하는 가열봉지(1)와;
    상기 가열봉지(1)의 내측에 보관되어 물을 흡수하면 발열하는 발열체(2)와;
    상기 가열봉지(1)의 내측에 보관되되 내부에 물이 들어 있는 물포장봉지(3)와;
    내부에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봉지(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봉지(1)의 저면은 내부에 음식물봉지(4) 등을 보관하면서 바닥에 입설 가능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봉지(1)는 동일한 크기를 가진 두 개의 합성수지재(13)의 양측면이 접착되고, 저면은 절첩시에는 내측상부로 인입절첩되고 상기 봉지를 입설할때에는 저면이 일정형상의 바닥면을 가지도록 하는 바닥재(1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봉지(1)의 상단은 밀폐된 실링부(15)를 형성하며, 상기 실링부(15)와 상기 지퍼(11) 사이에는 양측 절개홈(16)을 따라 절개되는 절개선(17)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봉지(1)의 지퍼(11)와 인접한 하부에는 양측에 제2 절개홈(18)을 가진 하나 이상의 제2 절개선(19)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
KR20-2005-0016345U 2005-06-08 2005-06-08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 KR2003933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345U KR200393367Y1 (ko) 2005-06-08 2005-06-08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345U KR200393367Y1 (ko) 2005-06-08 2005-06-08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367Y1 true KR200393367Y1 (ko) 2005-08-18

Family

ID=43694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345U KR200393367Y1 (ko) 2005-06-08 2005-06-08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36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2283A1 (en) * 2007-01-05 2008-07-10 Tae Ho Sin Pouches of in-site heating means for cooking
KR101099049B1 (ko) * 2009-11-20 2011-12-26 주식회사 크라우젠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
KR101793661B1 (ko) * 2015-07-16 2017-11-06 김명진 즉석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
KR102563992B1 (ko) * 2023-03-15 2023-08-04 아침 주식회사 소프트재질의 간편식 밥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간편식 밥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2283A1 (en) * 2007-01-05 2008-07-10 Tae Ho Sin Pouches of in-site heating means for cooking
KR101099049B1 (ko) * 2009-11-20 2011-12-26 주식회사 크라우젠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
KR101793661B1 (ko) * 2015-07-16 2017-11-06 김명진 즉석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
KR102563992B1 (ko) * 2023-03-15 2023-08-04 아침 주식회사 소프트재질의 간편식 밥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간편식 밥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0915B1 (en) Microwave moisture lock cover
KR102269413B1 (ko) 발열수단을 구비한 음식포장용기
JP3202469U (ja) 電子レンジ加熱用食品包装容器
KR20140064086A (ko)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
KR200393367Y1 (ko)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
JP2017528218A (ja) 即席調理用発熱袋
JP2005263319A (ja) 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と包装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部分非加熱調理方法
WO2016032061A1 (ko)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KR20180000809U (ko) 배달음식 보온포장패키지
KR20100009406U (ko) 휴대용 발열조리기구
KR200489315Y1 (ko) 간접적으로 발열이 가능한 일회용 발열용기
KR102342356B1 (ko) 증기 배출구 및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용기 제품
KR20180106019A (ko) 분리 및 가열 가능한 도시락 용기 세트
KR101173421B1 (ko) 식품용기
KR102652632B1 (ko) 내측용기 내부로 수증기 공급이 용이한 발열 식품 용기
KR200473274Y1 (ko) 스팀을 이용한 음식물 가열용기
KR102458185B1 (ko) 금속 내측 용기를 구비한 발열 식품 용기
KR200373421Y1 (ko) 일회용 취사용기
KR200457963Y1 (ko) 발열가방
KR20130090971A (ko) 컵밥 포장용기
KR200180310Y1 (ko) 식품용기
KR200448979Y1 (ko) 조리용기용 열기 저장 뚜껑
KR20180040464A (ko) 식품 가열용 봉지
JP6860570B2 (ja) 容器入り冷凍食品
TWM529464U (zh) 加熱容器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