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356B1 - 증기 배출구 및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용기 제품 - Google Patents

증기 배출구 및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용기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356B1
KR102342356B1 KR1020200174236A KR20200174236A KR102342356B1 KR 102342356 B1 KR102342356 B1 KR 102342356B1 KR 1020200174236 A KR1020200174236 A KR 1020200174236A KR 20200174236 A KR20200174236 A KR 20200174236A KR 102342356 B1 KR102342356 B1 KR 102342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unit
air inlet
steam outlet
heating
container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6879A (ko
Inventor
강혜완
박주영
유지영
Original Assignee
(주)네이쳐앤휴먼지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이쳐앤휴먼지피 filed Critical (주)네이쳐앤휴먼지피
Priority to KR1020200174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356B1/ko
Publication of KR20210106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7Cooking- or baking-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oven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08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for draining liquids from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02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 B65D25/2805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provided on a local area of the side walls
    • B65D25/2808Horizontal, e.g. 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53Rigid containers, e.g. trays, bottles, boxes,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 배출구와 공기 유입구를 이용하여, 조리식품 가열 시 발생하는 수증기를 외부로 효율적으로 배출함과 동시에 찬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식품 조리 시 발생하는 수증기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용기 제품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제품은 용기 제품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1가열부, 상기 제1가열부 일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2가열부, 상기 제1가열부 타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3가열부를 포함하는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를 덮는 뚜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열부의 상부 둘레에 형성된 증기 배출구와 공기 유입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증기 배출구 및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용기 제품{CONTAINER PRODUCT WITH STEAM OUTLET AND AIR INLET}
본 발명은 식품 조리 시, 가열에 의해 발생하는 수증기를 효율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증기 배출구와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용기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조리식품은 음식이 담긴 포장용기 형태로 쉽게 구입할 수 있다. 조리식품은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내부에 배치된 식품을 즉석에서 조리할 수 있어 편리하다.
하지만, 식품 조리 시, 식품이 담긴 포장용기를 가열하게 되면 식품의 수분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가 포장용기 내부에 존재하게 되면서 포장용기가 팽창 및 변형되고, 내부 압력도 커지게 된다. 이는 포장용기가 뚜껑으로 닫혀 있을 때, 포장용기의 전면이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식품 조리 후, 포장용기 내부에 존재하는 수증기에 의해 포장용기의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맨손으로 포장 용기를 잡기보다는 주방용 장갑을 이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포장용기 내부에 존재하는 수증기에 의해 식품의 맛과 품질도 다소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식품 조리 시, 용기의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열에 의해 발생하는 수증기를 용기 외부로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용기 제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증기 배출구와 공기 유입구의 크기, 위치, 단차를 이용하여, 조리식품 가열 시 발생하는 수증기를 외부로 효율적으로 배출하고, 동시에 찬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용기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 시 발생하는 번거로움과 별도의 가열 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음식의 품질과 맛을 유지할 수 있는 즉석 조리식에 특화된 용기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 제품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1가열부, 상기 제1가열부 일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2가열부, 상기 제1가열부 타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3가열부, 상기 제1가열부의 상부 둘레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를 덮는 뚜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증기 배출구와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증기 배출구의 위치는 공기 유입구의 위치에 대하여 단차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 제품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1가열부, 상기 제1가열부 일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2가열부, 상기 제1가열부 타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3가열부를 포함하는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를 덮는 뚜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열부의 상부 둘레에 형성된 증기 배출구와 공기 유입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제품은 증기 배출구와 공기 유입구를 제1가열부의 양 측에 배치하여, 조리식품 가열 시 발생하는 수증기를 효율적으로 배출함과 동시에 찬 공기가 유입되도록 최적의 대류현상을 확보한 용기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 제품은 증기 배출구와 공기 유입구의 크기, 위치, 단차를 이용함으로써, 수증기 배출, 습기 방지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 제품은 제1가열부의 둘레에 돌출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뚜껑부재가 배치된 상태에서, 제1가열부에서 다량 발생된 수증기가 제2가열부와 제3가열부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용기 제품은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용기 제품 내부에 배치된 식품을 가열 또는 조리할 수 있는 도시락용, 조리용, 식품용 포장재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용부재와 뚜껑부재를 포함하는 용기 제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용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용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구와 공기 유입구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용부재와 뚜껑부재를 포함하는 용기 제품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용부재와 뚜껑부재, 홀과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용기 제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용부재와 뚜껑부재, 제2홈과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용기 제품의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용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용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10b는 수용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용부재의 정면도와 단면도이고, 도 11b는 뚜껑부재의 정면도와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용기 제품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 제품은 단차를 가진 증기 배출구와 공기 유입구를 제1가열부의 양 측에 배치하여, 조리식품 가열 시 발생하는 수증기를 효율적으로 배출함과 동시에 찬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용기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용기 제품은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용기 제품 내부에 배치된 식품을 가열 또는 조리할 수 있는 도시락용, 조리용, 식품용 포장재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용부재와 뚜껑부재를 포함하는 용기 제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제품은 수용부재(100)와 뚜껑부재(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용부재(100)와 뚜껑부재(200)는 열에 강하고, 전자레인지 이용 후에도 변형이 없도록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재(100)는 라면제품 외에 찌개, 전골, 각종 야채, 양념 등의 음식, 물 등이 수용되는 공간을 가진다. 수용부재(100)는 음식을 가열하기 위해, 돌출부(112)를 기준으로 공간이 분리되어 있다.
수용부재(100)는 제1가열부(110), 제2가열부(120) 및 제3가열부(130)를 포함한다.
제1가열부(1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바닥면(114), 측면(116)을 포함한다. 측면(116)에 상향 연장되어 돌출부(112)가 형성되며, 돌출부(112)는 제1가열부(110)의 상부 둘레에 형성된다.
제1가열부(110)에는 찌개류, 면류, 덮밥류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가열부(110)에 물이나 식품용 액체를 첨가하고, 수용부재(100)에 뚜껑부재(200)를 끼운 상태로 즉석 조리가 가능하다.
제2가열부(120)는 제1가열부(110) 일측에 배치된다. 제2가열부(120)는 상기 돌출부(112)의 외주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제1가열부(110)와 제2가열부(120)의 사이에는 하향 연장된 면으로부터 격벽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격벽은 담긴 음식이 섞이지 않는 기능을 한다. 제2가열부(120)의 수용공간은 제1가열부(110)의 수용공간보다 작거나 동일한 크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가열부(120)에는 부식류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용부재(100)에 뚜껑부재(200)를 끼운 상태로 즉석 조리가 가능하다.
제3가열부(130)는 제1가열부(110) 타측에 배치된다. 제3가열부(130)는 상기 돌출부(112)의 외주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제1가열부(110)와 제3가열부(130)의 사이에는 하향 연장된 면으로부터 격벽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격벽은 담긴 음식이 섞이지 않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제1가열부(110)에서 다량 발생된 수증기와 열기가 양 옆의 가열부(120, 130)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다량 발생된 수증기와 열기를 단차를 가진 증기 배출구(140)와 공기 유입구(150)로 집중 유도하여 공기 순환을 유도할 수 있다.
제3가열부(130)의 수용공간은 제1가열부(110), 제2가열부(120)의 공간보다 작거나 동일한 크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3가열부(130)에는 밥, 반찬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용부재(100)에 뚜껑부재(200)를 끼운 상태로 즉석 조리가 가능하다.
돌출부(112)는 증기 배출구(140)와 공기 유입구(150)를 포함한다. 증기 배출구(140)와 공기 유입구(150)는 팽창된 수증기의 이동 경로를 임의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배치된다. 증기 배출구(140)와 공기 유입구(150)는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거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가열부(110)의 양측 둘레에 각각 배치되되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증기 배출구(140)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수증기가 배출되는 통로이고, 공기 유입구(150)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로 작용할 수 있다.
여기서, 수증기는 수분을 가진 음식이나, 물 등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것을 가리킨다. 찬 공기는 외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가리키며, 수증기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증기 배출구(140)와 공기 유입구(150)는 돌출부(112)에 배치되되, 제2가열부(120)와 제3가열부(130)가 배치된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기 배출구(140)의 위치는 공기 유입구(150)의 위치에 대하여 단차를 갖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차는 높낮이 차를 의미한다.
증기 배출구(140) 및 공기 유입구(150) 각각은 돌출부(112)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하향 경사되어 형성된 제1홈(a)을 포함한다. 증기 배출구(140)의 제1홈(a)의 위치는 공기 유입구(150)의 제1홈(a)의 위치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증기 배출구(140)의 제1홈(a) 면적은 공기 유입구(150)의 제1홈(a) 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증기 배출구(140)의 위치는 높게 조절하고, 통로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함으로써, 용기 제품 내부에 있는 수증기를 외부로 효율적으로 배출하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증기 배출구(140)의 위치와 공기 유입구(150)의 위치를 조절하여 배치한 경우, 용기 제품 내의 뜨거운 수증기를 용기 밖으로 빠르게 배출하고, 외부의 찬 공기는 용기 제품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용기 제품 내의 열기를 효율적으로 배출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용기 제품 내의 습기 발생을 줄여 음식이 눅눅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는 찬 공기는 하부로, 뜨거운 공기는 팽창되어 밀도가 낮아지면서 상부로 올라가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조리하는 과정에서 가열에 의해 물이 끓게 되면 용기 제품 내부의 수증기층의 부피가 커지게 되면서, 용기 제품은 팽창하게 되고 압력도 증가하게 된다.
이때, 돌출부(112)의 두 가지 구조에 따라, 증기 배출구(140)와 공기 유입구(150)를 배치할 수 있다.
첫번째 구조는 돌출부(112)의 두께(d1)가 일정하여 돌출부(112)의 상부면이 용기 제품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면인 경우이다.
첫번째 구조일 때는 후술할 뚜껑부재(200)의 상부면이 수평면으로 형성되며, 뚜껑부재(200)의 두께(d2)가 어느 위치에서나 일정하다.
두번째 구조는 돌출부(112)의 상부면이 증기 배출구(140) 방향을 향해 소정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증기 배출구(140)에 인접할수록 돌출부(112)의 두께(d1)가 두꺼워지는 경우이다. 두번째 구조에서는 증기 배출구(140)에 인접한 돌출부(112)의 두께(d1)가 공기 유입구(150)에 인접한 돌출부(112)의 두께(d1)보다 크다.
두번째 구조일 때는 증기 배출구(140) 방향의 뚜껑부재(200)의 상부면이 증기 배출구(140)에 인접한 돌출부(112)의 두께(d1)만큼 소정의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때 증기 배출구(140) 방향에 위치하는 뚜껑부재(200)의 두께(d2)는 공기 유입구(150) 방향에 위치하는 뚜껑부재(200) 두께(d2) 보다 크다.
용기 제품은 돌출부(112)의 외주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받침부(160)를 포함한다. 받침부(160)는 바닥면(114)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하며, 돌출부(112)는 받침부(160)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한다.
받침부(160)는 평면이며, 바닥면(114)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며, 용기 제품의 외측 둘레 영역에 위치한다. 이때 받침부(160)는 증기 배출구(140)와 공기 유입구(150)의 외측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된다. 이는 증기 배출구(140)와 공기 유입구(150) 각각의 외측에 받침부(160)가 형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증기 배출구(140)와 공기 유입구(150) 각각의 외측에 받침부(160)가 형성되는 경우, 받침부(160)가 후술할 뚜껑부재(200)와 접촉하게 되면서 밀폐되기 때문에,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어렵고, 외부 공기를 용기 제품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증기 배출구(140)와 공기 유입구(150) 각각의 외측으로부터 뚜껑 부재(200)의 측면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뚜껑부재(200)는 수용부재(100)를 덮는 역할을 한다. 뚜껑부재(200)는 수용부재(100)를 단순히 감싸는 타입이 아니라, 수용부재(100)에 끼워지는 타입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받침부(160)가 뚜껑부재(200)의 측면에 끼워지면서 밀폐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부(160)의 외측이 뚜껑부재(200)의 측면에 끼워지도록 하기 위해, 뚜껑부재(200)는 측면의 내주면에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볼록부(164)를 포함한다.
수용부재(100)의 상부에 뚜껑부재(200)가 위치하고 뚜껑부재(200)의 가장자리와 수용부재(100)의 가장자리를 상호 근접한 방향으로 가압하면, 받침부(160)의 외측이 볼록부(164) 상부의 공간에 억지끼움 되고, 볼록부(164)에 의해 받침부(160)의 외측이 고정되면서 견고하게 결속된다.
뚜껑부재(200)는 상부면 및 측면을 포함하고, 하부는 개방되어 있다. 뚜껑부재(20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이는 측면의 두께(d2)에 해당한다.
뚜껑부재(200)의 상부면은 평면이거나, 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가열부(110)와 제2가열부(120) 사이, 제1가열부(110)와 제3가열부(130) 사이에 굴곡진 홈이 형성된다. 이 경우 뚜껑부재(200)의 가장자리와 수용부재(100)의 분리된 가열부들(110, 120, 130) 사이가 밀폐되는 형태이다. 이에 따라 제1가열부(110)에서 다량 발생된 수증기와 열기가 양 옆의 가열부(120, 130)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다량 발생된 수증기와 열기를 단차를 가진 증기 배출구(140)와 공기 유입구(150)로 집중 유도하여 공기 순환을 유도할 수 있다.
뚜껑부재(200)의 측면은 상부면의 둘레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형성된 면으로, 수용부재(100)의 형상에 따라 하부 방향으로 경사면 또는 수직면을 가진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부(160)는 제2가열부(120) 및 제3가열부(130) 각각의 외측에 손잡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70)는 받침부(160) 상에 돌기, 요철, 돌출부와 같은 형상을 형성하여 손쉽게 용기 제품을 잡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받침부(160)는 제2가열부(120) 및 제3가열부(130) 각각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홀(1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홀(162)은 전자레인지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제2가열부(120)와 제3가열부(130)에서 발생되는 열이나 수증기가 용기 제품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출구 역할을 한다. 상기 홀(162)을 형성함에 따라 용기 제품의 온도를 내리고 음식을 식혀 먹을 수 있도록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부재와 뚜껑부재, 제2홈과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용기 제품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부(160)는 제2가열부(120)의 상부 둘레 표면에서부터 받침부(160)의 외측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홈(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가열부(130)의 상부 둘레 표면에서부터 받침부(160)의 외측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홈(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홈(b)은 제2가열부(120)와 제3가열부(130) 내에서 발생된 수증기와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 제품은 제1실시예와 달리 단차를 가지지 않고도 증기 배출구와 공기 유입구의 크기와 위치를 조절하여, 조리식품 가열 시 발생하는 수증기를 효율적으로 배출함과 동시에 찬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용기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9a 내지 도 9d, 도 10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용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10b는 수용부재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 제품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1가열부(110), 상기 제1가열부(110) 일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2가열부(120), 상기 제1가열부(110) 타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3가열부(130)를 포함하는 수용부재(100), 및 상기 수용부재(100)를 덮는 뚜껑부재(200)를 포함한다.
제1가열부(110), 제2가열부(120), 제3가열부(130) 사이에는 격벽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격벽은 담긴 음식이 섞이지 않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열부(110)의 상부 둘레에 형성된 증기 배출구(140)와 공기 유입구(150)를 포함한다. 증기 배출구(140)와 공기 유입구(150)는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거나,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가열부(110)의 양측 둘레에 각각 배치되되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 제품 중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 제품과 동일한 구성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 제품에서 증기 배출구(140) 및 공기 유입구(150) 각각은 제1가열부(110)의 상부 둘레 표면으로부터 하향 경사되어 형성된 제1홈(a)을 포함한다.
도 9a 내지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기 배출구(140) 및 공기 유입구(150) 각각의 제1홈(a)은 제1가열부(110)에 인접한 위치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돌기(141, 1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방향은 제1가열부(110)의 둘레 방향을 의미한다. 돌기(141, 151)는 상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것으로, 증기 배출구(140) 및 공기 유입구(150)의 길이방향으로 힘을 부여하여 증기 배출구(140) 및 공기 유입구(150) 영역이 휘어지는 현상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실시예에서 증기 배출구(140)의 제1홈(a) 면적은 제1공기 유입구(150)의 제1홈(a) 면적보다 크다.
받침부(160)는 제1가열부(110), 제2가열부(120) 및 제3가열부(130)의 상부 둘레 표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한다.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실시예에서 받침부(160)는 증기 배출구(140)와 공기 유입구(150)의 외측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된다. 받침부(160)는 제2가열부(120) 및 제3가열부(130) 각각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홀(1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160)는 제2가열부(120) 및 제3가열부(130) 각각의 상부 둘레 표면에서부터 받침부의 외측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홈(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160)는 제2가열부(120) 및 제3가열부(130) 각각의 외측에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뚜껑부재(200)의 형상은 2가지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의 뚜껑부재(200)와 같이, 뚜껑부재(200)의 상부면이 수평면으로 형성되며, 뚜껑부재(200)의 두께(d2)가 어느 위치에서나 일정한 형상이다.
또는, 증기 배출구(140) 방향의 뚜껑부재(200)의 상부면이 소정의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증기 배출구(140) 방향에 위치하는 뚜껑부재(200)의 두께(d2)는 공기 유입구(150) 방향에 위치하는 뚜껑부재(200)의 두께(d2) 보다 큰 형상이다.
도 11a 및 도 11b에서 숫자의 단위는 mm이며, 해당 길이와 높이(두께)를 표기한 것이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재(100)와 뚜껑부재(200) 각각의 가로, 세로 길이는 대략 100mm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수용부재(100)의 높이(두께)는 20mm 이상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용기 제품은 제2가열부(120)와 제3가열부(130)에 반찬과 밥이 각각 배치되고, 제1가열부(110)에 스프와 라면이 비닐포장 없이 배치된 상태로 판매될 수 있다. 이러한 용기 제품은 도시락용, 조리용, 식품 포장용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1가열부(110)에 뜨거운 물을 붓고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조리 후 즉석에서 취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용기 제품은 증기 배출구(140) 외측과 뚜껑부재 내측 사이 및 공기 유입구(150)의 외측과 뚜껑부재 내측 사이 각각에 공기가 배출 또는 유입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조리되는 과정에서 증기 배출구(140)를 통해 용기 제품 내부에서 팽창된 열기와 수증기는 위치가 상대적으로 높은 증기 배출구(1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의 차가운 공기는 위치가 상대적으로 낮은 공기 유입구(150)를 통해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공기 순환 효과뿐만 아니라 용기 제품의 전체적인 온도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용기 제품 내부에서 공기 순환이 형성되어 안전하게 조리가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용기 제품은 음식 외에도 필요에 따라 열가소성 소재를 내부에 배치하여 사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 수용부재
110 : 제1가열부
112 : 돌출부
114 : 바닥면
116 : 측면
120 : 제2가열부
130 : 제3가열부
140 : 증기 배출구
141 : 돌기
150 : 공기 유입구
151 : 돌기
160 : 받침부
162 : 홀
170 : 손잡이부
200 : 뚜껑부재
a : 제1홈
b : 제2홈
d1 : 돌출부의 두께
d2 : 뚜껑부재의 두께

Claims (6)

  1. 내부에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1가열부, 상기 제1가열부 일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2가열부, 상기 제1가열부 타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3가열부를 포함하는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를 덮는 뚜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열부의 상부 둘레에 형성되고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증기 배출구와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증기 배출구 및 공기 유입구 각각은 상기 제1가열부의 상부 둘레 표면으로부터 하향 경사되어 형성된 제1홈을 포함하며,
    상기 증기 배출구의 제1홈 면적은 공기 유입구의 제1홈 면적보다 크며,
    상기 증기 배출구 및 공기 유입구 각각의 제1홈은 제1가열부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향으로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열부, 제2가열부 및 제3가열부의 상부 둘레 표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하며, 증기 배출구와 공기 유입구의 외측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제2가열부 및 제3가열부 각각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홀을 포함하고, 제2가열부 및 제3가열부 각각의 상부 둘레 표면에서부터 받침부의 외측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홈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의 외측이 상기 뚜껑부재의 측면에 끼워지는 용기 제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제2가열부 및 제3가열부 각각의 외측에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용기 제품.
KR1020200174236A 2020-02-21 2020-12-14 증기 배출구 및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용기 제품 KR102342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236A KR102342356B1 (ko) 2020-02-21 2020-12-14 증기 배출구 및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용기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801A KR102200594B1 (ko) 2020-02-21 2020-02-21 식품 조리 시 발생하는 수증기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용기 제품
KR1020200174236A KR102342356B1 (ko) 2020-02-21 2020-12-14 증기 배출구 및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용기 제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801A Division KR102200594B1 (ko) 2020-02-21 2020-02-21 식품 조리 시 발생하는 수증기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용기 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879A KR20210106879A (ko) 2021-08-31
KR102342356B1 true KR102342356B1 (ko) 2021-12-23

Family

ID=741269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801A KR102200594B1 (ko) 2020-02-21 2020-02-21 식품 조리 시 발생하는 수증기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용기 제품
KR1020200174236A KR102342356B1 (ko) 2020-02-21 2020-12-14 증기 배출구 및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용기 제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801A KR102200594B1 (ko) 2020-02-21 2020-02-21 식품 조리 시 발생하는 수증기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용기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005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3633B1 (ko) * 2022-09-13 2022-12-30 정영민 휴대용 발열 식품 조리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0123B2 (ja) * 1992-06-29 2001-07-23 アンリツ株式会社 液体のアジ測定用セル
KR200473542Y1 (ko) * 2012-08-09 2014-07-08 씨제이제일제당 (주) 증기 배출이 가능한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0123U (ja) * 2014-02-05 2014-04-17 株式会社Jspパッケージング 蓋付食品用容器及び蓋体
KR102012769B1 (ko) * 2017-11-13 2019-08-21 (주)태방파텍 증기배출공이 형성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KR200490548Y1 (ko) * 2019-04-19 2019-11-28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조리용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0123B2 (ja) * 1992-06-29 2001-07-23 アンリツ株式会社 液体のアジ測定用セル
KR200473542Y1 (ko) * 2012-08-09 2014-07-08 씨제이제일제당 (주) 증기 배출이 가능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879A (ko) 2021-08-31
KR102200594B1 (ko) 202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0915B1 (en) Microwave moisture lock cover
US20070090103A1 (en) Steam cooking apparatus
WO2007043154A1 (ja) パスタの電子レンジ調理用システム容器
JP2015200463A (ja) 調理容器を備えた加熱調理器
KR102342356B1 (ko) 증기 배출구 및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용기 제품
KR20200043275A (ko) 발열수단을 구비한 음식포장용기
JP4583953B2 (ja) 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と包装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部分非加熱調理方法
JP5075237B2 (ja) 食品包装容器
ES2953061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de calentamiento por microondas con inversión
KR200393367Y1 (ko)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
KR101015788B1 (ko) 전기밥솥
JP3864166B2 (ja) パスタの電子レンジ調理用システム容器
KR101361269B1 (ko) 컵밥 포장용기
JP3869427B2 (ja) 多目的調理容器
CA2597125C (en) Cook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598574B1 (ko) 발열체를 이용한 전자레인지용 워머
JP7116598B2 (ja) 電子レンジ用調理器
KR102486358B1 (ko)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
KR200259355Y1 (ko) 전자레인지용 1회용 편의 식품용기
KR102323454B1 (ko) 에어프라이어용 용기
KR200473274Y1 (ko) 스팀을 이용한 음식물 가열용기
JP4183662B2 (ja) 電子レンジによる食品加熱方法および電子レンジ用食品加熱セット
KR20040107639A (ko) 전기쿠커의 조리용기
JP2008279141A (ja) マイクロ波加熱調理容器
JP4271099B2 (ja) 加熱装置および再加熱機能付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