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542Y1 - 증기 배출이 가능한 용기 - Google Patents

증기 배출이 가능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542Y1
KR200473542Y1 KR2020120007098U KR20120007098U KR200473542Y1 KR 200473542 Y1 KR200473542 Y1 KR 200473542Y1 KR 2020120007098 U KR2020120007098 U KR 2020120007098U KR 20120007098 U KR20120007098 U KR 20120007098U KR 200473542 Y1 KR200473542 Y1 KR 2004735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main body
surface portion
exhaust groov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0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069U (ko
Inventor
이병국
조경식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20201200070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542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0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0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5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5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2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 passage for the escape of gas between the closure and the lip of the container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53Rigid containers, e.g. trays, bottles, boxes,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외벽부 및 상기 외벽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배기홈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개폐하는 뚜껑; 을 포함하는 증기 배출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별도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도 증기 배출이 가능한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증기 배출이 가능한 용기{Container Having Steam Ejection Capability}
본 고안은 증기 배출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도 증기 배출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레인지의 높은 보급률에 따라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조리 가능한 식품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전자레인지로 식품을 조리하는 경우, 증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식품을 밀폐 보관하고 있는 용기의 실링을 일부분 뜯어내거나, 용기의 뚜껑을 개방시킨 상태로 전자레인지에 넣어 조리를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과정은 다소 번거로운 측면이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상기 과정을 잊은 채로 용기를 전자레인지에 넣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어 식품 및 용기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도 증기 배출이 가능한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외벽부 및 상기 외벽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배기홈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뚜껑은, 판 형상의 상면부, 상기 상면부의 테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면부 및 상기 수평면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측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뚜껑은, 상기 수평면부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제2 배기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와 상기 뚜껑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배기홈과 상기 제2 배기홈은 서로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외벽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평면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뚜껑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뚜껑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의 외벽부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측면부의 높이는, 상기 제1 배기홈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별도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도 증기 배출이 가능한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증기 배출이 가능한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뚜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증기 배출이 가능한 용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증기 배출이 가능한 용기의 요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 및 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증기 배출이 가능한 용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증기 배출이 가능한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뚜껑을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2에서는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뚜껑(70)을 뒤집어 도시하였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용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증기 배출이 가능한 용기의 요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4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용기(1)를 A-B 선을 기준으로 자른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증기 배출이 가능한 용기(1, 이하 '용기')는 본체부(10) 및 뚜껑(70)을 포함한다.
본체부(10)는 뚜껑(70)과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용기(1)를 구성하는 것으로, 내부에 식품 등을 수납하고 뚜껑(70)과 결합된 상태로 유통, 판매, 조리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10)는 수용부(20), 외벽부(40) 및 제1 배기홈(5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20)는 식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23)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용기(1)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20)가 존재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세 개의 수용부(20)가 존재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수용부(2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20)는 수용되는 식품의 형상, 크기 등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외벽부(40)는 수용부(20)의 상단부(3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기홈(50)은 수용부(20) 내에 수납된 식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벽부(40)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이 때, 제1 배기홈(50)의 개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그 형상 역시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체부(10)에는 외벽부(40)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뚜껑(70)은 본체부(10)와의 결합을 통해 수용부(20)를 폐쇄하거나, 본체부(10)와의 분리를 통해 수용부(20)를 개방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뚜껑(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뚜껑(7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때, 뚜껑(70)은 상면부(80), 제1 측면부(90), 수평면부(100) 및 제2 측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면부(80)는 뚜껑(70)의 전면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면부(90)는 상기 상면부(80)의 테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수평면부(100)는 상기 제1 측면부(9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면부(110)는 상기 수평면부(10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면부(80), 제1 측면부(90), 수평면부(100) 및 제2 측면부(11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10)와 뚜껑(70)이 결합되는 경우, 뚜껑(70)의 수평면부(100)는 본체부(10)의 상단부(30)에 접할 수 있고, 뚜껑(70)의 제2 측면부(110)는 본체부(10)의 외벽부(40)에 접할 수 있다.
이 때, 뚜껑(70)의 수평면부(100)에는 제2 배기홈(1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2 배기홈(120)은 제1 측면부(90)로부터 수평면부(100)를 통하여 제2 측면부(110)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수용부(20) 내에 수납된 식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증기를 뚜껑(70)에 포함된 제2 배기홈(120)을 통해 제1 배기홈(50)으로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본체부(10)와 뚜껑(70)이 결합되는 경우, 제1 배기홈(50)과 제2 배기홈(120)은 서로 마주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체부(10)와 뚜껑(70)의 결합 시, 제1 배기홈(50)과 제2 배기홈(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증기 배출 통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증기 배출을 위해 뚜껑(70)을 여는 번거로운 과정 없이, 뚜껑(70)이 닫혀진 상태의 용기(1)를 바로 전자레인지에 넣은 채로 조리가 가능하다.
또한, 제1 배기홈(50)이 상측 방향을 향해 외부로 직접 노출이 되지 않고 내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70)과 본체부(10)가 결합된 상태에서 벌레나 이물질이 용기(1) 내부로 유입되기 어려운 장점이 있다.
제2 배기홈(120)의 개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나, 제1 배기홈(50)의 개수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배기홈(12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한편, 뚜껑(70)은 플라스틱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도 4를 참조하면, 뚜껑(70)의 제2 측면부(110)의 높이(h1)는 본체부(10)에 형성된 제1 배기홈(50)의 높이(h2) 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 측면부(110)의 높이(h1)가 제1 배기홈(50)의 높이(h2) 이상으로 설정되는 경우, 제2 측면부(110)가 제1 배기홈(50)을 폐쇄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용기(1)에 있어서, 뚜껑(70)은 손잡이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30)는 뚜껑(70)의 제2 측면부(110)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체부(10)와 뚜껑(70)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손잡이부(130)를 잡고 당김으로써, 본체부(10)로부터 뚜껑(70)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증기 배출이 가능한 용기
10: 본체부 20: 수용부
30: 상단부 40: 외벽부
50: 제1 배기홈 60: 플랜지부
70: 뚜껑 80: 상면부
90: 제1 측면부 100: 수평면부
110: 제2 측면부 120: 제2 배기홈
130: 손잡이부

Claims (8)

  1.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외벽부 및 상기 외벽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배기홈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개폐하는 뚜껑; 을 포함하되,
    상기 뚜껑은,
    판 형상의 상면부, 상기 상면부의 테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면부 및 상기 수평면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뚜껑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의 외벽부와 접하며,
    상기 제2 측면부의 높이는 상기 제1 배기홈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이 가능한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수평면부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제2 배기홈을 더 포함하는 증기 배출이 가능한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뚜껑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배기홈과 상기 제2 배기홈은 서로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이 가능한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외벽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는 증기 배출이 가능한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면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뚜껑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이 가능한 용기.
  7. 삭제
  8. 삭제
KR2020120007098U 2012-08-09 2012-08-09 증기 배출이 가능한 용기 KR2004735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098U KR200473542Y1 (ko) 2012-08-09 2012-08-09 증기 배출이 가능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098U KR200473542Y1 (ko) 2012-08-09 2012-08-09 증기 배출이 가능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069U KR20140001069U (ko) 2014-02-19
KR200473542Y1 true KR200473542Y1 (ko) 2014-07-08

Family

ID=51999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098U KR200473542Y1 (ko) 2012-08-09 2012-08-09 증기 배출이 가능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5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594B1 (ko) * 2020-02-21 2021-01-15 (주)네이쳐앤휴먼지피 식품 조리 시 발생하는 수증기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용기 제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6177A (ja) * 1997-05-19 1998-12-02 Chugoku Pearl Hanbai Kk 電子レンジ用食品容器
JP2003081313A (ja) * 2001-09-13 2003-03-19 Edogawa Bussan Kk 食品用容器
JP3128391U (ja) * 2006-10-25 2007-01-11 株式会社文友社 生体収納用蓋付き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6177A (ja) * 1997-05-19 1998-12-02 Chugoku Pearl Hanbai Kk 電子レンジ用食品容器
JP2003081313A (ja) * 2001-09-13 2003-03-19 Edogawa Bussan Kk 食品用容器
JP3128391U (ja) * 2006-10-25 2007-01-11 株式会社文友社 生体収納用蓋付き容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594B1 (ko) * 2020-02-21 2021-01-15 (주)네이쳐앤휴먼지피 식품 조리 시 발생하는 수증기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용기 제품
KR20210106879A (ko) * 2020-02-21 2021-08-31 (주)네이쳐앤휴먼지피 증기 배출구 및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용기 제품
KR102342356B1 (ko) * 2020-02-21 2021-12-23 (주)네이쳐앤휴먼지피 증기 배출구 및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용기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069U (ko) 201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44179B (zh) 可排气储存容器及使用方法
US20210204735A1 (en) Decorative holder for serving/catering trays and tins
US20030116572A1 (en) Sealing cover for a container
US20060151511A1 (en) Suction cup lid
US20130153582A1 (en) Enhanced serving apparatus
US10582802B2 (en) Microwave splatter cover or enclosure
KR20140076018A (ko) 용기 본체와 덮개로 구성된 식품진공보관용기
KR200473542Y1 (ko) 증기 배출이 가능한 용기
KR101581017B1 (ko) 이물질 투입방지가능한 음식물 보관용기
JP3171600U (ja) 蓋体
KR101949516B1 (ko) 반찬국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구획판이 구비되는 스테인레스 도시락 용기
US9701452B2 (en) Vented storage container
CA2749773C (en) Container assembly with removable lid
JP3202018U (ja) 食品収容容器
JP3204124U (ja) 食品容器
KR102096907B1 (ko)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
JP3205664U (ja) 電子レンジ用内箱
KR20180056331A (ko) 전자렌지 전용 세라믹 용기
KR101460757B1 (ko) 일회용 밀폐용기
JP2011183105A (ja) 電子レンジ調理容器
US20130220916A1 (en) Device for easily removing products from vessels
KR20130142873A (ko) 손잡이 연동형 밀폐 냄비
KR200478379Y1 (ko) 조리용기
KR200475739Y1 (ko) 용기에 담겨진 발효식품과 뚜껑과의 사이에 공기층을 제거하기 위한 누름을 위한 속뚜껑
KR200476508Y1 (ko) 용기에 담겨진 발효식품과 뚜껑과의 사이에 공기층을 제거하기 위한 누름과 국물따름이 용이한 속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