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379Y1 -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조리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8379Y1 KR200478379Y1 KR2020140002006U KR20140002006U KR200478379Y1 KR 200478379 Y1 KR200478379 Y1 KR 200478379Y1 KR 2020140002006 U KR2020140002006 U KR 2020140002006U KR 20140002006 U KR20140002006 U KR 20140002006U KR 200478379 Y1 KR200478379 Y1 KR 20047837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lid
- vent
- cooking
- sl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냉장고나 냉동고에 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용기로서,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조리에 적합한 조리용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는, 용기부 및 뚜껑부를 구비하고, 용기부는 개구면 바깥 테두리부에 결합부를 갖고, 뚜껑부는 이면측 바깥 테두리부에 결합부를 가지며, 각각의 결합부가 끼워맞춤됨으로써 용기부와 뚜껑부가 일체로 되는 조리용기에 있어서, 뚜껑부에는 결합부보다 내측에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통기부가 설치되고, 이 통기부에는 선 형상으로 관통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가열조리나 해동에 적합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조리는 최근, 다양한 식품의 요리에 이용되고 있다. 차가운 식품의 가열이나 냉동된 식품의 해동, 더 나아가서는 본격적인 가열조리에 이르는 다양한 조리에 이용된다.
이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조리에 적합한 용기로서 요구되는 특징은, 가열된 식품의 증기압에 의해 용기가 변형되거나, 용기 내의 식품이 끓어 넘치지 않도록, 용기 내부의 팽창된 공기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기구를 갖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또, 일단 조리된 식품을 냉장고에 냉장 보관하거나, 냉동고에 냉동 보관하고, 그것을 그대로 전자레인지에 용기채로 넣어서 조리할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술한 조리시의 요구에 추가해서, 냉장고나 냉동고에서 위생적으로 보존하기 위해 밀폐성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조리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이 용기는 상부에 개구부를 갖는 용기본체와, 개구부를 닫는 뚜껑을 구비하고, 뚜껑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결합부가 본체 상단부에 형성된 피결합부에 끼워맞춤되어, 개구부를 닫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부와 피결합부 중 어느 한 쪽에는, 결합부와 피결합부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기 위한 볼록(凸)부가 형성되며, 다른 쪽에는 볼록부가 끼워맞춤되는 형상으로 오목(凹)부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의 결합부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끼워맞춤됨으로써 밀폐상태로 개구부를 닫는 밀폐상태와, 볼록부가 오목부에 끼워지지 않고 결합부와 피결합부 중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쪽에 맞닿아서 결합부와 피결합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통기상태 중 어느 상태에서도, 본체의 피결합부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예컨대, 이하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202254호
상술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용기는, 식품을 보존할 때에는 밀폐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먼지 등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위생적으로도 우수한 용기다.
또, 식품을 전자레인지로 가열할 때에는, 뚜껑을 분리하고 그 뚜껑을 180도 회전시켜서 다시 용기에 장착함으로써, 결합부에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간극이 통기구 역할을 함으로써, 용기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러나, 가열 전에 뚜껑을 분리하고 180도 회전시킨 다음 뚜껑을 닫는다고 하는 불편한 조작이 필요하며, 내부의 식품이 냉동되어 있는 경우에는 뚜껑을 열기가 힘들어서, 뚜껑의 개폐동작에 시간이 걸리기도 한다.
또, 뚜껑을 회전시키는 것을 잊고서 가열한 경우에, 용기는 밀폐상태이기 때문에, 가열에 의해 발생한 증기에 의해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서, 용기가 변형되거나 내부의 식품이 끓어 넘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통기구 역할을 하는 간극이, 용기와 뚜껑의 결합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전체를 기울인 경우에, 간극을 통해 식품이 넘쳐나올 위험성이 있다. 특히, 용기 내에 식품이 가득찬 상태라면, 조금만 기울여도 내부의 식품이 넘쳐나오기 때문에, 식품을 취급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는, 용기부 및 뚜껑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부는 개구면 바깥 테두리부에 결합부를 갖고, 상기 뚜껑부는 이면측 바깥 테두리부에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결합부가 끼워맞춤됨으로써 상기 용기부와 상기 뚜껑부가 일체로 되는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에는 상기 결합부보다 내측에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통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통기부에는 선(線) 형상으로 관통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는, 상기 통기부에 있어 선 형상의 슬릿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두껑부의 표면측에서 볼 때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는, 상기 통기부에 있어 선 형상의 슬릿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뚜껑부의 표면측에서 볼 때 볼록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는, 상기 뚜껑부의 상면에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통기부가 설치되고, 하나의 통기부에 있어 선 형상의 슬릿이 형성된 부분은, 상기 뚜껑부의 표면측에서 볼 때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의 통기부에 있어 선 형상의 슬릿이 형성된 부분은, 상기 뚜껑부의 표면측에서 볼 때 볼록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는, 상기 통기부에 형성된 선 형상의 슬릿의 끝부분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는, 상기 통기부가 상기 뚜껑부의 본체에 형성된 통기공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므로, 보존시와 가열시에 뚜껑을 회전시키는 등의 조작이 불필요하며, 보존상태에서 과열상태로 원활하게 옮겨갈 수 있다.
또, 뚜껑을 열 필요가 없으므로 위생적이다.
게다가, 뚜껑을 회전시키는 것을 잊고서 가열해도, 용기가 변형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기지도 않는다.
그리고, 가열시에 통기부의 슬릿으로부터 자동적으로 증기가 배출됨으로써, 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통기부의 슬릿은 선 형상으로 좁으며, 재질이 탄성체이므로,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거의 닫힌 상태로 있다. 따라서, 보존시에 이 슬릿을 통해서 먼지 등이 용기 내부로 들어오는 일은 거의 없다.
또, 통기부가 뚜껑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리용기를 약간 기울인 정도로는 내부의 식품이 넘쳐나오지는 않는다. 게다가, 통기부의 슬릿은 과열상태 이외에는 거의 닫힌 상태이므로, 조리용기를 많이 기울인 경우에도 내부의 식품이 넘쳐나오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통기부의 중심 부근에 형성된 슬릿 형성부를 오목 형상 또는 볼록 형상으로 함으로써, 슬릿 형성부는 강한 압축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여기에 형성된 슬릿은 탄성력에 의해 닫히는 방향으로 강한 응력을 받고 있으므로, 증기의 방출과 같은 강한 힘이 발생한 경우에만 열리기 때문에, 용기를 기울였을 때 식품이 넘쳐나오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조리용기의 용기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평면도이고 (b)는 측면도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조리용기의 뚜껑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저면도이고 (b)는 측면 단면도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조리용기의 뚜껑부에 설치된 통기부의 단면형상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조리용기의 뚜껑부에 설치된 통기부의 구멍형상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조리용기의 뚜껑부에 설치된 통기부의 구멍형상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조리용기의 뚜껑부에 설치된 통기부의 단면형상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조리용기의 뚜껑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저면도이고 (b)는 측면 단면도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조리용기의 뚜껑부에 설치된 통기부의 단면형상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조리용기의 뚜껑부에 설치된 통기부의 구멍형상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조리용기의 뚜껑부에 설치된 통기부의 구멍형상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조리용기의 뚜껑부에 설치된 통기부의 단면형상을 나타낸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의 구성 등에 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은 본 고안에 관한 바람직한 일예를 개시하는 것으로, 본 고안이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본 실시예에서 개시하는 본 고안품의 재료나 치수 등은 바람직한 일예를 나타내는 것일 뿐, 그 밖의 가능성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먼저,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조리용기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조리용기는 크게 용기부(1)와 뚜껑부(2)로 구성된다.
도 1(a)는 용기부(1)의 평면도이고, (b)는 측면도다. 용기부(1)는 수지, 특히 내열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출 성형법 등으로 형성된다. 또한, 유리를 이용해도 된다.
용기부(1)는 저면(11)과, 저면(11)의 상부에 형성된 통형상의 측면(12)과, 측면(12)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부(13)로 이루어진다.
저면(11)과 통형상의 측면(12)에 의해 식품을 넣는 용기가 형성된다. 측면(12)의 상부가 개구면이 되며, 이 개구면을 통해서 용기에 식품을 넣거나 꺼낼 수 있다.
결합부(13)는 도 1에서 망 모양으로 나타낸 부분으로, 측면(12)의 상부 전체 원주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다.
이 결합부(13)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뚜껑부(2)의 오목 형상의 결합부(22)와 끼워맞춤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a)는 뚜껑부(2)의 저면도, 도 2(b)는 A-A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뚜껑부(2)는 뚜껑본체(21)와, 그 이면의 바깥 테두리 부근의 전체 원주에 걸쳐서 형성된 오목부인 결합부(22)와, 뚜껑본체(21)의 결합부(22)의 내측에 형성된 통기부(23)로 이루어진다.
뚜껑본체(21)는 수지, 특히 내열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출 성형법 등으로 형성된다.
결합부(22)는 도 2에 망 모양으로 나타낸 부분으로, 오목부로 되어 있다. 이 결합부(22)에 용기부(1)의 결합부(13)를 끼워맞춤으로써, 용기부(1)와 뚜껑부(2)를 확실하게 고정하고, 결합부(13)와 결합부(22)의 간극을 대략 밀폐상태로 할 수가 있다.
뚜껑본체(21)에 있어서, 원주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부(22)의 내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공에 통기부(23)를 끼워맞춤으로써, 통기구가 형성된다. 통기부(23)는 천연 고무, 실리콘, 이소프렌 고무 등의 탄성체다.
도 3은 통기부(23)의 단면형상을 나타낸다. 통기부(23)의 바깥 테두리부 단면은 ㄷ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뚜껑본체(21)의 관통공의 외벽에 ㄷ자 형상 부분을 끼워넣음으로써, 통기부(23)를 뚜껑본체(21)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통기부(23)의 내부는 슬릿 형성부(232)이며, 도 4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선 형상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는 슬릿 형성부(232)를 바로 위에서 본 도면이다.
뚜껑본체(21)의 관통공에 통기부(23)를 끼워넣어서 고정하면, 통기부(23)는 이 관통공의 외벽에서부터 압축응력을 받으면서 선 형상의 슬릿도 압축응력을 받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통기부(23)는 탄성체이므로, 이 압축응력에 의해 선 형상의 슬릿은 거의 닫힌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 형성부(232)를 위에서 보아 오목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즉, 뚜껑본체(21)의 통기공에 통기부(23)를 끼워넣어서 고정할 때에, 뚜껑을 위에서 보면, 슬릿 형성부(232)는 아래로 오목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슬릿 형성부(232)를 위에서 보아 오목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한 이유로는 아래의 2가지가 있다.
첫째, 슬릿 형성부(232)가 만곡된 형상이면, 슬릿 형성부(232)에 강한 압축응력이 가해지기 쉽고, 선 형상의 슬릿은 더욱 강하게 닫힌 상태가 된다. 슬릿이 강하게 닫힌 상태가 되면 될수록 밀폐성은 높아지며, 외부에서 용기 내에 먼지 등이 들어가는 일이 없으므로 위생적이다. 또, 용기를 많이 기울였을 때도 용기 내의 식품이 외부로 잘 넘쳐나오지 않는다. 한편, 가열시에 용기 내부에서 증기가 발생했을 때는, 용기 내부와 외부의 큰 압력차에 의해 슬릿에 큰 힘이 가해지면서 슬릿이 열려 통기구로서 충분히 기능한다.
둘째, 뚜껑을 위에서 보면 슬릿 형성부(232)는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용기 내부에서 외부를 향해 슬릿이 열리기는 어려우며, 용기를 많이 기울였을 때에도, 추가로 용기 내의 식재료가 외부로 넘쳐나오기 어렵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지만,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구성이라도, 본 고안에 따른 특징에는 변함이 없다.
가령, 조리용기의 형상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둥근 형상이나 타원 형상과 같은 다른 형상이라도 된다. 그리고, 반드시 저면과 측면이 명확하게 구별되는 형상일 필요는 없다.
또, 결합부(13)를 볼록부, 결합부(22)를 오목부로 하였으나, 역으로 결합부(13)를 오목부, 결합부(22)를 볼록부로 해도 되며, 확실하게 끼워넣을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떤 형상이라도 된다.
또한, 오목부에 패킹 등을 끼워 결합부(13)와 결합부(22)의 간극을 없앰으로써, 보다 완전한 밀폐구조로 해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손바닥 등으로 결합부(13)에 결합부(22)를 밀어서 끼워넣었으나, 가령 뚜껑부(2)의 양측에 힌지로 잠금판을 설치하고, 이 잠금판을 용기부(1)의 측면을 향해서 밀어넣음으로써, 지렛대 원리로 결합부(13)에 결합부(22)가 밀려 들어가도록 구성해도 된다.
뚜껑부(2)의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통기부(23)를 형성하였으나, 1개 내지 3개라도 되며, 5개 이상이라도 된다. 조리용기의 내부용적이나 슬릿의 길이 등에 따라서 통기부(23)의 개수는 적절히 최적의 개수로 하면 된다.
또, 통기부(23)의 형상이나 슬릿의 형상에 대해서도 본 실시예에서 도시한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상이라도 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 1에 따른 조리용기의 특징을 아래와 같이 정리한다.
첫째, 가열시에 통기부의 슬릿을 통해서 증기가 배출되므로, 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시에 용기가 변형되거나 식품이 끓어 넘친다고 하는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또한, 가열후에 냉각된 상태에서 용기 내부가 저온으로 됨으로써, 공기가 수축되어 뚜껑이 열리지 않는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또한, 가열 후에 곧바로 뚜껑을 연 경우에도 내부에서 증기가 뿜어져 나오지 않으므로, 화상 등을 입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둘째, 보존시와 가열시에 뚜껑을 회전시키는 등의 조작이 불필요하며, 보존상태에서 가열상태로 원활하게 옮겨갈 수 있다. 즉, 조리용기를 냉장고나 냉동고에서 꺼내 그대로 전자레인지에 넣을 수 있다. 이 때, 뚜껑을 열 필요가 없으므로, 먼지 등이 들어가는 일이 없어 위생적이다.
게다가, 뚜껑을 회전시키는 것을 잊고서 가열해도 용기가 변형되는 등의 문제도 없다.
세째, 통기부가 뚜껑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리용기를 약간 기울인 정도로는 내부의 식품이 넘쳐나오지 않는다.
그리고, 통기부의 슬릿은 선 형상으로 좁으며, 재질이 탄성체이므로, 압축응력이 가해져서 거의 닫힌 상태로 있다. 따라서, 조리용기를 많이 기울인 경우에도 용기 내부의 식품이 넘쳐나오는 것을 거의 방지할 수 있다.
또, 보존시에 이 슬릿을 통해 먼지 등이 용기 내부에 들어오는 일이 거의 없어 위생적이다.
게다가, 슬릿 형성부를 위에서 보았을 때 오목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보다 강하게 슬릿이 닫힌 상태가 됨으로써, 용기 내부의 식품이 넘쳐나오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 위생면에서도 향상될 수 있다.
넷째, 통기부가 뚜껑본체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분리가 가능하며, 세정시에는 뚜껑부를 분리해서 뚜껑부를 깨끗이 닦아낼 수 있다.
또, 통기부가 탄성 열화(劣化)된 경우에도, 통기부만 교체하면 되므로 경제적이다. 또한, 색이 다른 복수의 통기부를 준비해 두고, 용기를 바꿔가면서 사용함으로써, 칼러 배리에이션(color variation)을 즐길 수 있다.
게다가, 통기부를 뚜껑본체의 관통공에 끼웠을 때는 관통공 외벽으로부터 압축응력을 받으므로, 슬릿이 보다 강하게 닫혀서 식품이 넘쳐나오거나 먼지가 들어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뚜껑부의 상면에 통기부가 나와 있는 경우, 탄성체로 만들어진 통기부의 마찰력이 크며, 조리용기를 겹쳐 쌓을 때는 용기가 잘 미끄러지지 않아 안정적이다. 즉, 복수의 조리용기를 냉장고 등에 겹쳐 쌓아서 보관할 때, 안정된 상태로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용기의 미사용시 선반 등에 보관할 때도 안정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또, 뚜껑부를 뒤집어서 테이블이나 싱크대에 올려놓았을 때,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통기부는 유연하므로 테이블 등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조리용기의 구성에 대해서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조리용기의 구성은 실시예 1에 따른 조리용기와 비교하여 통기부의 형상이 다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 통기부(24)의 형상은 위에서 보았을 때 볼록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가열시에 식품에서 나오는 증기를 외부로 보다 원활하게 방출할 수 있다. 왜냐하면, 도 6에 있어서 아래에서 생기는 압력에 의해 슬릿이 상부로 열리기 쉽기 때문이다.
가열시에 슬릿부는 반복해서 상하로 개폐되므로, 통기부(24)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화되기 쉽다. 그러나, 슬릿이 상부로 열리기 쉬운 형상이므로, 개폐동작은 무리없이 이루어지며, 개폐동작에 의한 손상은 적다. 따라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열화도 최소화되도록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실시예 1의 통기부(23)에 비해서, 용기를 많이 기울였을 때 용기 내의 식품이 외부로 넘쳐나오기 쉬워진다. 그러나, 슬릿 형성부(242)도 만곡된 형상이므로, 슬릿 형성부(242)에 의해 강한 압축응력이 가해지기 쉬우며, 슬릿 형성부(232)와 마찬가지로, 선 형상의 슬릿은 강하게 닫힌 상태가 된다. 따라서, 용기를 많이 기울였을 때에도 용기 내의 식품이 외부로 넘쳐나오는 것을 거의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따른 조리용기는 복수개의 통기부를 갖고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통기부(23)와 도 6에 도시한 통기부(24)를 적어도 1개씩 갖고 있다.
이와 같이 다른 형상의 통기부를 가짐으로써, 용기 내로부터의 배기와, 용기 내로의 흡기가 모두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조리용기를 이용하여 식품을 가열할 때는, 용기의 변형이나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에서 생기는 증기를 외부로 배기시킬 필요가 있다. 또, 가열후 냉각시에는 용기 내의 증기가 수축됨으로써 용기 내부가 부압(負壓)으로 되거나, 뚜껑을 여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외부에서 급기하여 부압 상태를 해소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흡기와 배기 모두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열시 용기가 변형되거나 끓어 넘치는 것과, 냉각시 뚜껑이 분리되는 것 모두를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도 3에 도시한 통기부(23)와 도 6에 도시한 통기부(24)를 여분으로 준비해 두고, 그들을 용도에 따라 바꿔가면서 사용해도 된다.
가령, 통기부(24)는 배기에 적합하므로, 증기를 배출하기 쉬우며 식품을 장시간 가열할 때는 모든 통기부를 통기부(24)로 교체함으로써, 가열시 효율적으로 배기할 수 있다.
한편, 식품이 넘쳐나오기 쉬운 액체형상인 경우에는, 모든 통기부를 통기부(23)로 교체함으로써, 조리용기를 기울인 경우에도 내부의 액체형상의 식품이 넘쳐나오기 어렵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리용기 내의 식품의 성질이나 조리온도 및 조리시간 등에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통기부(23)와 도 6에 도시한 통기부(24)를 바꿔가면서 사용할 수 있는 것도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의 큰 특징 중 하나이다.
1: 용기부 2: 뚜껑부
11: 저면 12: 측면
13, 22: 결합부 21: 뚜껑본체
23, 24: 통기부
11: 저면 12: 측면
13, 22: 결합부 21: 뚜껑본체
23, 24: 통기부
Claims (6)
- 용기부 및 뚜껑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부는 개구면 바깥 테두리부에 결합부를 갖고, 상기 뚜껑부는 이면측 바깥 테두리부에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결합부가 끼워맞춤됨으로써 상기 용기부와 상기 뚜껑부가 일체로 되는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부보다 내측에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통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통기부에는 선(線) 형상으로 관통된 슬릿이 형성되어 있되,
적어도 하나의 통기부에 있어 선 형상의 슬릿이 형성된 부분은, 상기 뚜껑부의 표면측에서 볼 때 오목 형상이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통기부에 있어 선 형상의 슬릿이 형성된 부분은, 상기 뚜껑부의 표면측에서 볼 때 볼록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에 형성된 선 형상의 슬릿의 끝부분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뚜껑부의 본체에 형성된 통기공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2006U KR200478379Y1 (ko) | 2014-03-13 | 2014-03-13 | 조리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2006U KR200478379Y1 (ko) | 2014-03-13 | 2014-03-13 | 조리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3488U KR20150003488U (ko) | 2015-09-23 |
KR200478379Y1 true KR200478379Y1 (ko) | 2015-09-24 |
Family
ID=54341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2006U KR200478379Y1 (ko) | 2014-03-13 | 2014-03-13 | 조리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8379Y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53881A (ja) * | 1998-11-20 | 2000-06-06 | Aiho Corp | 惣菜用容器 |
-
2014
- 2014-03-13 KR KR2020140002006U patent/KR20047837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53881A (ja) * | 1998-11-20 | 2000-06-06 | Aiho Corp | 惣菜用容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3488U (ko) | 2015-09-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73826B2 (en) | Ventable storage container and method of use | |
JP3143343U (ja) | 吸着カップ蓋 | |
US9801488B2 (en) | Steamer container system | |
KR100957882B1 (ko) | 고속 냉동 용기와 시일 | |
US20030116572A1 (en) | Sealing cover for a container | |
JP6943982B2 (ja) | 蒸気排出部が具備された調理用容器 | |
CN107284857B (zh) | 冰淇淋机 | |
JP7265088B2 (ja) | バルブ付き食品保存調理容器 | |
KR101242634B1 (ko) | 밀폐용기용 뚜껑 | |
WO2019091427A1 (zh) | 保温碗 | |
EP1157648B1 (en) | Receptacle for cooking food | |
KR200478379Y1 (ko) | 조리용기 | |
JP2017114493A (ja) | 包装容器およびそれに用いる容器本体 | |
JP2012192081A (ja) | 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 | |
KR20150109651A (ko) |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 |
JP3190590U (ja) | 調理容器 | |
KR20170002006U (ko) | 전자렌지용 조리용기 | |
US9701452B2 (en) | Vented storage container | |
KR200406689Y1 (ko) | 결합형 밀폐용기 | |
KR200311485Y1 (ko) |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 | |
JP2007301000A (ja) | 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 | |
JPH072442Y2 (ja) | 食品の真空密閉保存容器の逆止弁 | |
JP7362329B2 (ja) | 容器 | |
CN214002670U (zh) | 一种容器密封盖 | |
KR102338728B1 (ko) | 진공 냄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