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176B1 - 차량용 소음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176B1
KR102562176B1 KR1020177037052A KR20177037052A KR102562176B1 KR 102562176 B1 KR102562176 B1 KR 102562176B1 KR 1020177037052 A KR1020177037052 A KR 1020177037052A KR 20177037052 A KR20177037052 A KR 20177037052A KR 102562176 B1 KR102562176 B1 KR 102562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encer
vehicle
resonator element
retaining
pip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7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3995A (ko
Inventor
하랄드 하르트만
Original Assignee
헨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헨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헨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80013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1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55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reso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15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engine type
    • F02M35/10157Supercharged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55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resonance
    • F02M35/1266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resonance comprising multiple chambers or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83Manufacturing or assembly; Connectors; Fix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24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driving means being assisted by a power recovery turb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3Sound attenuation
    • F04D29/665Sound attenuation by means of resonance chambers or interfer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16L55/033Noise absorbers
    • F16L55/0331Noise absorbers by inserting an elongated element in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5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or minimise the effects of water hammer
    • F16L55/05Buffers therefor
    • F16L55/052Pneumatic reservoi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보차저(7)를 구비하는 내연 기관의 급기 라인을 위한 차량용 소음기(1)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우징부(2), 제2 하우징부(3) 및 내부 공진기 요소(14)를 포함하고, 하우징부들(2, 3)이 연결 영역(40에서 서로 커플링되어 차량용 소음기(1)의 외부 케이싱(13)을 형성하고, 내부 공진기 요소(14)는 하우징부들(2, 3) 중 적어도 하나에 유지되고, 적어도 제1 공진기 챔버(10) 및 제2 공진기 챔버(11)가 두 하우징부(2, 3) 및 내부 공진기 요소(14)에 의해 형성되는 차량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내부 공진기 요소(14)는 내부 공진기 요소(14)의 외주(44)의 구역에 적어도 제1 외부 유지 세그먼트(50)를 구비한다. 유지홈(30)이 제1 단부 벽(16) 및 제2 단부 벽(28)에 형성되고, 유지홈에 유지 세그먼트(50)가 수용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소음기
본 발명은 터보차저를 구비한 내연 기관의 급기 라인(charge air line)을 위한 차량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DE10 2005 005 865A1은 내부 공진기 요소를 구비하는 차량용 소음기를 개시하고 있는데, 내부 공진기 요소는 차량용 소음기의 외부 케이싱과 함께 두 개의 공진기 챔버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가능한 가장 단순한 구조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고도의 기능성과 효과를 가지는, 개선된 차량용 소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차량용 소음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소음기는 터보차저를 구비하는 내연 기관의 급기 라인을 위해 디자인된다. 차량용 소음기는 제1 외부 케이싱을 구비하며 제1 단부벽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우징부, 제2 외부 케이싱을 구비하며 제2 단부벽을 포함하는 제2 하우징부 및 내부 공진기 요소를 포함하며, 하우징부들이 연결 영역에서 서로 커플링되어 차량용 소음기의 외부 케이싱을 형성하고, 내부 공진기 요소는 하우징부들 중 적어도 하나 및 적어도 하나의 챔버 분할 벽에 설치되고, 챔버 분할 벽의 내부에 접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내부 파이프 섹션을 포함하고, 두 하우징부 및 내부 공진기 요소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제1 공진기 챔버 및 하나의 제2 공진기 챔버가 형성된다. 내부 공진기 요소는 내부 공진기 요소의 외주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외부 유지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제1 단부 벽 및/또는 제2 단부 벽에는 유지 세그먼트가 설치되는 유지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 디자인의 장점은 내부 공진기 요소가 하우징부들 둘 다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지는 내부 공진기 요소가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내부 공진기 요소의 플라스틱 소재가 두 소재의 서로 다른 열팽창으로 인해 기계적으로 과도한 응력을 받게 되고 작동 사이클 후에 내부 공진기 요소가 확실하게 견고하게 설치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지 세그먼트가 내부 공진기 요소의 제1 내부 파이프 섹션에 동축으로 배치되는 파이프 섹션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에 따라 유지 세그먼트가 내부 파이프 섹션에 동심으로 배치되고 이렇게 해서 유동이 차량용 소음기의 중심으로 안내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대안적으로, 유지 세그먼트가 파이프 세그먼트로 디자인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공진기 요소의 질량이 감소되고 이에 더하여 하우징부들 둘 다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또한,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를 금속 소재로, 특히 판금 몰딩 부품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두 개의 하우징부가 튼튼하고 강고하고 내열성이도록 디자인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또한, 이러한 금속 하우징부들을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한 방식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대량 생산에 의해, 판금 몰딩 부품들이 특히 저렴한 비용으로 그리고 고도의 반복 정확도로 생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된 차량용 소음기가 고도의 측정 정확도를 가진다.
또한, 내부 공진기 요소가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플라스틱 소재로 디자인되는 내부 공진기 요소의 밀도가 낮고 이에 따라 차량용 소음기의 질량이 가능한 한 낮게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또한, 플라스틱 부품의 형태로 된 내부 공진기 요소는 차량용 소음기에서 사용되기에 우수한 진동 특성을 갖는다. 플라스틱 부품의 다른 장점은 사출 성형에 의해 생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또한 복잡한 형태로 용이하게 생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유지 세그먼트와 제1 외부 케이싱 및/또는 제2 외부 케이싱 사이에 환형 챔버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환형 챔버 때문에, 내부 공진기 요소가, 가열될 때 두 하우징부들과 다른 열 팽창 때문에 내부 공진기 요소가 두 하우징부와 접촉하지 않고, 더 비례해서 팽창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또한, 제1 내부 파이프 섹션 반대쪽의 내부 공진기 요소 상에서 제2 내부 파이프 섹션이 챔버 분할 벽에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렇게 해서 제1 공진기 챔버 및/또는 제2 공진기 챔버가 소음 감쇠를 위한 요건을 충족시키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또한, 유지 세그먼트의 내경이 유지홈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고, 이렇게 해서 조립된 상태에서 유지 세그먼트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유지 세그먼트와 유지홈 사이에 억지-끼워맞춤 연결이 형성된다. 이렇게 해서, 내부 공진기 요소와 두 하우징부 사이에서 충분히 안정적인 연결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요소를 내부 공진기 요소의 외부에 있는 챔버 분할 벽의 구역에 배치하되, 고정 요소를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내부 공진기 요소가 하우징부들 내에서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 공진기 요소를 하우징부들 내에 설치하는 중복성이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하나의 개선예에 따르면, 고정 요소가 원주형 비드로 디자인될 수 있다. 이러한 비드는 생산하기가 용이하다.
대안적으로, 고정 요소가 개별 위치 설정 핀들의 형태로 디자인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외부 환형 챔버를 통한 유동이 가능하다.
또한, 유지 세그먼트가 0.5mm 내지 10mm, 특히 0.9mm 내지 5mm,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2mm의 벽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 범위의 벽 두께를 가지는 것에 의해, 내부 공진기 요소와 하우징부들 사이에서 유리한 연결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유지 세그먼트가 제1 외부 파이프 섹션에 대해 또는 제2 외부 파이프 섹션에 대해 5mm 내지 50mm, 특히 7mm 내지 20mm, 바람직하게는 10mm 내지 15mm의 거리만큼 돌출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지 세그먼트가 굽힘 토크를 흡수할 만큼 충분히 길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유지 세그먼트의 벽 두께가 유지홈의 갭 폭보다 약간 더 클 수 있다. 이 경우, 유지 세그먼트와 유지홈 사이에 중간 끼워맞춤(transition fit) 또는 압입 끼워맞춤(press fit)이 형성될 수 있고 이렇게 해서 하우징부들 내부의 내부 공진기 요소가 더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은 매우 단순화되고 도식적으로 표시되었다.
도 1은 차량용 소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차량용 소음기를 그 중심선을 따르는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커플링 바디를 구비하는 차량용 소음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단면도에서 환형 챔버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단면도에서 유지홈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내부 공진기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내부 공진기 요소를 분해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터보차저에 연결된 차량용 소음기를 구비한 자동차를 도식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먼저, 다양하게 설명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부품들에 동일한 도면부호들과 동일한 명칭을 부여하며, 이에 의해 상세한 설명 전체에서 개시되는 내용이 동일한 도면부호들과 동일한 명칭을 갖는 동일한 부품들에 적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위치와 관련된 세부 사항들, 예컨대 상부, 바닥, 측부 등은 현재 설명하고 있는 표시 도면과 관련되는 것이며, 그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새로운 위치로 조정되어야 한다.
도 1은 차량용 소음기(1)를 도시한 등각투상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차량용 소음기(1)는 결합 영역(4) 또는 연결 영역에서 서로 결합되는 제1 하우징부(2) 및 제2 하우징부(3)를 포함한다. 차량용 소음기(1)는 이 실시예에서는 회전 대칭인 중공체로 디자인되고 이에 따라 중심축선을 구비한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은 회전 대칭인 중공체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량용 소음기(1)가 대략 사각형이거나 혹은 다각형인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중공체가 각기둥 베이스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즉 케이싱 표면에 부분적으로 평평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장치(6)가 제1 하우징부(2)에 연결되는데, 이 커플링 장치는 소음기(1)를 터보차저(7) 또는 케이블에 커플링시키도록 제공된다. 커플링 장치(6)는 특히, 터보차저(7)에 대한 손상의 경우에 또는 엔진 수리를 위해 필요한 경우에, 가능한 한 신속하고 용이하게 소음기(1)를 터보차저(7)로부터 제거하고 소음기를 터보차저(7)에 다시 부착시키는 데 사용된다. 커플링 장치(6)는 터보차저(7)의 연결 피스(connecting piece)에 연결되거나 혹은 압박되도록 디자인되는 커플링 바디(8)를 포함한다. 또한, 체결 요소(9)가 커플링 장치(6)에 구비될 수 있고, 이 체결 요소에 의해 소음기가 터보차저(7)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 요소(9)는 예를 들어,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강으로 만들어지는 와이어 브래킷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도 2는 차량용 소음기(1)를 그 중앙 축선(5)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며, 앞서의 도 1에서와 동일한 부품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들과 명칭들을 사용한다.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앞선 도 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한다.
차량용 소음기(1)는 제1 공진기 챔버(10) 및 제2 공진기 챔버(11)를 포함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하나의 변형 실시예에서, 차량용 소음기(1)가, 특히 급기 또는 배기에 의한, 가스 매체의 유동 방향(12)으로 유동한다. 유동 방향(12)에 대해서는, 제1 공진기 챔버(10)가 제1 공진기 챔버(11)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두 개의 하우징부(2, 3)가 차량용 소음기(1)의 외부 케이싱(13)을 형성하며, 두 개의 공진기 챔버(10, 11)는 내부 공진기 요소(14)에 의해 상기 외부 케이싱(13) 내에 획정된다.
제1 공진기 챔버(10)는 제1 하우징부(2)에 의해 외부에 획정되는데, 제1 하우징부(2)는 제1 외부 케이싱(15)과 제1 단부벽(16)을 포함한다. 제1 단부벽(16)은 평평한 벽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정확하게는, 제1 공진기 챔버(10)가 제1 외부 케이싱(15)의 내부 케이싱면(17)에 의해 그리고 제1 단부벽(16)의 단부면 내측면(18)에 의해 그 외부 영역에 획정된다.
제1 단부벽(16)은 유입 개구(19)를 포함하고, 이 유입 개구를 통해 매체, 특히 압축된 흡기가 제1 공진기 챔버(10) 내로 유동할 수 있다. 제1 공진기 챔버(10)는 내부 공진기 요소(14)의 제1 내부 파이프 섹션(20)에 의해 또는 제1 내부 파이프 섹션의 외부 케이싱 면(21)에 의해, 그리고 내부 공진기 요소(14)의 챔버 분할 벽(22) 또는 챔버 분할 벽(22)의 제1 벽면(23)에 의해 부분적으로 내부에 획정된다.
또한, 유입 개구(19)는 커플링 장치(6)를 설치하기 위하여 축선 방향 단면에서 계단식으로 테이퍼지도록 디자인된 에지부(24)를 구비할 수 있다. 계단식으로 테이퍼진 에지부(24)는 제1 공진기 챔버(10)를 획정하도록 제1 공진기 챔버(10)로 융기 또는 돌출되게 디자인될 수 있다. 특히, 계단식으로 테이퍼진 에지부(24)의 외부 케이싱면(25)은 제1 공진기 챔버(10)를 획정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공진기 챔버(11)는 제2 하우징부(3)에 의해 그 외부 영역에서 획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하우징부(3)는 제2 내부 케이싱면(27)을 갖는 제2 외부 케이싱(26)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부(3)가 제2 단부벽(28)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공진기 챔버(11)는 제2 단부벽(28)의 제2 단부 내면(29)에 의해 획정된다.
또한, 유지홈(30)이 제2 단부벽(28) 및/또는 제1 단부벽(16)에 형성될 수 있고, 이 유지홈은 내부 공진기 요소(14)를 차량용 소음기(1)의 하우징부들(2, 3)에 위치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유지홈(30) 또는 유지홈(30)과 내부 공진기 요소(14)의 상호작용을 도 5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 하우징부(3)는 제2 단부벽(28)의 중앙을 향하는 측부에 유출 개구(31)를 포함하며, 이 유출 개구를 통해 가스 매체가 안내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상기 실시예에서, 제2 단부벽(28)은 제2 외부 케이싱(26)으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반경 방향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제2 단부벽(28)은 제2 외부 케이싱(26)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2 단부벽(28)은 다르게 디자인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약간 경사지게 디자인될 수 있다.
또한, 연결 피스(32)가 유출 개구(31)에 커플링될 수 있고, 이 연결 피스는 압력 호스를 차량용 소음기(1)에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연결 피스(3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부(3)와 일체로 디자인될 수 있다. 대안적인 변형예에서, 연결 피스(32)가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제2 하우징부(3)에 결합되는 독립적인 부품으로 디자인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또한, 연결 피스(32)가 제2 하우징부(32)에 직접 결합되지 않고, 추가 하우징부들이 차량용 소음기(1)에 형성될 수도 있다.
내부에서는 제2 공진기 챔버(11)가 내부 공진기 요소(14)의 제2의 내부 파이프 섹션(33)에 의해, 특히 제2 내부 파이프 섹션(33)의 외부 케이싱면(34)에 의해 획정된다. 또한, 제2 공진기 챔버(11)는 챔버 분할 벽(22)에 의해, 특히 제1 공진기 챔버(10)로부터의 챔버 분할 벽(22)의 제2 벽면(35)에 의해 획정된다.
도 2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의 실시예에서, 두 개의 공진기 챔버(10, 11)를 포함하는 차량용 소음기(1)는 제1 하우징부(2), 제2 하우징부(3) 및 내부 공진기 요소(14)를 구비한다.
유리한 변형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부(2)와 제2 하우징부(3)는 딥-드로잉(deep-drawing)된 부품일 수 있다. 특히, 두 개의 하우징부(2, 3)는 강판과 같은 금속 소재로 성형되거나 혹은 딥-드로잉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강판이 여기에 사용된다.
내부 공진기 요소(14)는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특히 사출 성형 부품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차량용 소음기(1)의 개별 컴포넌트들은 내부 공진기 요소(14)가 제1 하우징부(2)의 유지홈(30) 및/또는 제2 하우징부(3)의 유지홈(30)에 형상-끼워맞춤(form-fitting)식으로 설치되게 디자인된다.
제1 하우징부(2)와 제2 하우징부(3)가 결합 또는 연결 영역(4)에서 레이저 또는 플라즈마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차량용 소음기(1)는 연결 영역(4)에 소재-접합식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의 아래 부분에서는, 차량용 소음기(1)의 개별 부품들을 그 디자인에 대해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개별 부품들의 디자인은 차량용 소음기(1)의 하나의 변형 실시예에 관한 것이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개별 부품들의 디자인 피처들 전부가 여기서 설명하는 대로 실시되거나 혹은 구성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에 절대적으로 필수인 것은 아니다.
제1 하우징부(2)는 제2 하우징부(3)에 대한 연결 영역(4)에 제1 연결 섹션(36)을 포함한다. 제1 연결 섹션(36)은 그 자유 단부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37)를 포함하고, 이 플랜지에 의해 제1 하우징부(2)가 제2 하우징부(3)에 연결된다.
제1 하우징부(2)와 제2 하우징부(3) 간의 연결은 용접, 특히 레이저 용접, 플라즈마 용접 또는 마이크로플라즈마 용접과 같은 소재-접합식 연결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외부 케이싱(15)이 제1 연결 섹션(36)에 연결된다. 제1 외부 케이싱(15)은 그 내부 케이싱면(16)에 단면치수(38)를 갖는다. 제1 외부 케이싱(15)은 또한 축선방향 길이(extension)(39)를 갖는다.
제1 외부 케이싱(15)에 접하는 것은 제1 단부벽(16)이며, 제1 단부벽은 유입 개구(19)와, 커플링 장치(6)를 커플링시키기 위해 축선 방향 단면에서 계단식으로 테이퍼지는 에지부(24)를 포함한다. 제1 단부벽(16)은 제1 외부 케이싱(15)에 접하고 중심 방향으로 이어진다.
제2 하우징부(3)는 제2 연결 섹션(40)을 구비하며, 제2 외부 케이싱(26)이 제2 연결 섹션과 연결된다. 특히, 제2 하우징부(3)의 연결 섹션(40) 주변의 영역은 제1 하우징부(2)의 제1 연결 섹션(36)과 유사하게 디자인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개별 면들 및 층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플랜지(41)가 또한 제2 연결 섹션(40)에 접하고, 이 플랜지는 설치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제1 연결 섹션(36)의 플랜지(37)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외부 케이싱(26)은 그 내부 케이싱면(27)에 단면치수(42)를 갖는다.
제2 외부 케이싱(26)의 단면치수(42)는 제1 외부 케이싱(15)의 단면치수(38)보다 약간 작을 수 있는데, 이는 하우징부들(2, 3)의 서로 다른 소재 두께 때문이다. 제2 외부 케이싱(26)은 또한 축선방향 길이(43)를 갖는다.
또한, 내부 공진기 요소(14)가, 챔버 분할 벽(22)의 외주(44)에, 서로 반대 쪽에서 챔버 분할 벽(22)에 연결되는 제1 외부 파이프 섹션(45) 및/또는 제2 외부 파이프 섹션(4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진기 요소(14)의 제1 외부 파이프 섹션(45) 및/또는 제2 외부 파이프 섹션(46)은 이들과 제1 외부 케이싱(15) 및/또는 제2 외부 케이싱(26) 사이에 환형 챔버(47)가 형성되도록 디자인되고 치수가 정해질 수 있다. 특히, 환형 챔버(47)는 제1 외부 케이싱(15)의 내부 케이싱면(17)과 제1 외부 파이프 섹션(45)의 외부 케이싱면(48) 사이에서 연장할 수 있다. 또한, 환형 챔버(47)는 제1 외부 케이싱(15)의 내부 케이싱면(27)과 제2 외부 파이프 섹션(46)의 외부 케이싱면(49) 사이에서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내부 공진기 요소(14) 상에 유지홈(30)과 협동하는 유지 세그먼트(50)가 형성되고, 이 유지 세그먼트에 의해 내부 공진기 요소(14)가 하우징부들(2, 3) 내에 유지된다.
유지홈(50)은 제1 외부 파이프 섹션(45) 및/또는 제2 외부 파이프 섹션(46)에 직접 접한다. 대안적으로, 유지 세그먼트(50)가 챔버 분할 벽(22)에 직접 접하고 제1 외부 파이프 섹션(45) 및/또는 제2 외부 파이프 섹션(46)이 형성되지 않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유지 세그먼트(50)는 원주형 섹션으로 형성될 수 있고 파이프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인 변형예에서, 유지 세그먼트(50)가 원주 상에 균등하게 분포되는 개별 세그먼트들로 형성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개별 세그먼트들의 형태로 디자인되는 유지 세그먼트(50)는 개별 세그먼트들이 휘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챔버 분할 벽(22)의 반대쪽을 향하는 단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탄성 변위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해서, 유지 세그먼트(50)가 유리홈(30)에 압박되는 클램핑이 수행될 수 있고, 설치 상태에서 유지 세그먼트(50)는 유지홈(30) 상에서 중심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가한다. 이렇게 해서, 유지 세그먼트(50)와 유지홈(30) 사이에 억지-끼워맞춤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세그먼트화된 유지 세그먼트(50)의 다른 장점은 사용되는 소재의 양이 저감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내부 공진기 요소(14)의 질량이 저감될 수 있다.
유지 세그먼트(50)의 개별 세그먼트들은 서로 다르게 디자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개 이상의 상기 세그먼트들을 원주 상에 배열할 수 있는데, 개별 세그먼트들은 단지 작은 각도 범위에서만 연장한다.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 단 두 개의 세그먼트만을 구비할 수도 있는데, 두 세그먼트는 대략 180°의 각도에 걸쳐서 연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두 개의 절반부-쉘(half-shell) 사이에 단지 작은 갭만이 형성된다.
도 3은 조립된 차량용 소음기(1)를 도시하는 다른 단면도이며, 동일한 도면부호들과 명칭들이 앞서의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부품들에 대해 사용된다.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앞서의 도 1 및 도 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한다.
도 3의 단면도의 단면선은 도 2의 단면도의 단면선에 대해 90° 회전되어 있다. 따라서 유지 세그먼트(50)를 직접 가르지 않는다.
도 3은 커플링 바디(8)의 설치 위치를 도시하는데, 커플링 바디(8)에 삽입되는 체결 요소(9)도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또한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소음기(1)와 소음기가 연결될 케이블 또는 소음기가 연결될 터보차처 간을 밀봉하기 위해 사용되는 밀봉 요소(51)가 형성될 수 있다. 밀봉 요소(51)는 계단식으로 테이퍼진 에지부(24)에 설치될 수 있고, 밀봉 요소(51)가 커플링 바디(8)에 의해 적소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두 개의 하우징부(2, 3)의 연결 영역(4)을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 5는 유지 세그먼트(50)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아래에서는 전반적으로 도 2, 도 4 및 도 5에 기반하여 설명한다.
환형 챔버(47)는 제1 외부 파이프 섹션(45)의 외경(52) 및/또는 제2 파이프 섹션(46)의 외경(53)이 제1 외부 케이싱(15)의 내부 케이싱면(17)의 단면 치수(38) 및/또는 제2 외부 케이싱(26)의 내부 케이싱면(27)의 단면 치수(42)보다 작게 디자인될 수 있다. 단면 치수들 간의 차이로부터, 환형 챔버(47)의 크기를 획정하는 갭 폭(54)이 형성된다.
환형 챔버(47)는 또한 두 공진기 챔버(10, 11)의 유동 연결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공진기 챔버(10) 내의 압력이 증가하면, 제1 공진기 챔버로부터 나오는 압력파가 환형 챔버(47)에서 감쇠될 수 있다. 특히, 차량용 소음기(1) 내의 환형 챔버(47)에 의해, 추가 주파수가 감쇠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차량용 소음기(1)의 감쇠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차량용 소음기(1)의 감쇠 거동은 또한 외부 파이프 섹션들(45, 46)의 벽 두께(55)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내부 공진기 요소(14)는 고정 요소(56)를 포함할 수 있고, 고정 요소는 두 하우징부(2, 3) 내부에서 내부 공진기 요소(14)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유지 세그먼트(50)와 유지홈(30) 간의 클램핑에 의해 내부 공진기 요소(14)가 적소에 유지되고 그리고 고정 요소(56)가 두 하우징부(2, 3) 중 하나와 계합되지 않을 수 있다. 유지 세그먼트(50)와 유지홈(30) 간의 클램핑이 실패하면, 고정 요소(56)가 내부 공진기 요소(14)를 적어도 대략적으로 적소에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
제1 실시예에서, 고정 요소(56)는 원주형 비드의 형태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요소(56)가 두 하우징부(2, 3)의 형상에 맞춰지면 유리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 요소(56)가 고정 세그먼트 또는 고정 핀으로 디자인되고 이에 따라 원주형이 아닐 수 있다. 다수의 상기 고정 핀이 원주 둘레에 분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고정 핀들이 내부 공진기 요소(14)의 원주 둘레에 균일하게 배치되는 것, 즉 서로 120°로 오프셋될 수 있다.
또한, 고정 핀 또는 고정 핀들은 두 하우징부(2, 3)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연결 섹션(36)과 제2 연결 섹션(4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두 하우징부(2, 3)를 서로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내부 공진기 요소(14)가 차량용 소음기(1)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 핀은 예를 들어 내부 공진기 요소(14)와 일체로 디자인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 핀이 나중에 스프루(sprue)로서 내부 공진기 요소(14)에 부착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챔버 분할 벽(22)은 내부 공진기 요소(14)의 외부 파이프 섹션들(45, 46)에 접하게 형성된다. 챔버 분할 벽(22)은 차량용 소음기(1)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한다. 제1 내부 파이프 섹션(20)은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챔버 분할 벽(22)의 내주(57)의 제1 측부 상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내부 파이프 섹션(20)은 챔버 분할 벽(22)으로부터 유입 개구(19)의 방향으로 인장된다. 챔버 분할 벽(22)의 반대측에는, 챔버 분할 벽(22)으로부터 유출 개구(31)의 방향으로 이어지거나 혹은 인장되는 제2 내부 파이프 섹션(33)이 형성된다.
제1 내부 파이프 섹션(20) 및 제1 하우징부(2)에 의해, 제1 챔버 갭(58)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제1 공진기 챔버(10)가 자유 유동 개구(59)에 연결됨으로써 이들 간의 가스 교환이 가능하다. 유사하게, 제2 챔버 갭(60)이 제2 내부 파이프 섹션(33)과 제2 하우징부(3)에 의해 형성되고, 이에 의해 제2 공진기 챔버(11)가 자유 유동 개구(59)에 연결된다.
제1 내부 파이프 섹션(20)과 제2 내부 파이프 섹션(33)은 동일한 내경(61)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내부 파이프 섹션(20)의 축선 방향 길이(62)와 제2 내부 파이프 섹션(33)의 축선 방향 길이(63)는 제1 외부 케이싱(15)의 축선 방향 길이(39) 또는 제2 외부 케이싱(26)의 축선 방향 길이(43)에 따라 측정된다. 제1 내부 파이프 섹션(20)의 축선 방향 길이(62) 또는 제2 내부 파이프 섹션(33)의 축선 방향 길이(63)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챔버 갭들(58, 60)이 획정될 수 있고, 공진기 거동이 챔버 갭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홈(30)은 받침 섹션(64)이 형성되는 제2 외부 케이싱에 접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는데, 받침 섹션(64)은 외부 케이싱(26)과 평행하게 이어지고 제2 외부 케이싱(26) 내부에 배치된다. 받침 섹션(64)은 제2 외부 케이싱(26)에 대해 180° 회전되고, 받침 섹션(64)을 제2 외부 케이싱(26)에 연결하는 절곡부(65)가 형성된다.
제2 단부벽(28)이 90° 각도로 받침 섹션(64)에 접하게 형성된다.
제2 하우징부(3) 내의 유지홈(30)의 디자인과 유사하게, 유지홈(30)은 제1 하우징부(2)에도 또한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홈(30)은 특히 받침 섹션(64)에 의해 형성되는 내경(66)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목적으로, 도 5에는, 유지 세그먼트(50)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이고, 이에 따라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유지 세그먼트(50)가 유지홈(30)의 내경(66)보다 약간 작은 내경(67)을 가지는 것이 여기에 명확하게 나타나 있다.
내부 공진기 요소(14)를 제2 하우징부(3)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서만, 유지 세그먼트(50)가 유지홈(30)의 받침 섹션(64)을 압박하고 이에 따라 내부 공진기 요소(14)를 유지 세그먼트(50)에 의해 제2 하우징부에 고정시키는 마찰을 발생시키도록 유지 세그먼트(50)가 탄성 변형된다.
도 5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세그먼트(50)의 하나의 단부 벽(68)이 절곡 섹션(65)으로부터 거리(69)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유지 세그먼트(50)가 형상-끼워맞춤에 의해 축선 방향으로 제2 하우징부(3)에 클램핑되지 않고, 내부 공진기 요소(14)의 제2 하우징부(3)에의 클램핑이 힘에 의해 또는 마찰에 의해서만 수행될 수 있다. 거리(69)는 0.1mm 내지 5mm, 특히 0.15mm 내지 2mm, 바람직하게는 0.2mm 내지 1mm일 수 있다.
차량용 소음기(1)의 기능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유지 세그먼트(50)가 0.5mm 내지 10mm, 특히 0.9mm 내지 5mm,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2mm의 벽 두께(70)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부(3)의 벽 두께가 0.3mm 내지 5mm, 특히 0.4mm 내지 2mm, 바람직하게는 0.5mm 내지 0.7mm일 수도 있다.
또한, 유지홈(30)의 갭 폭(72)이 0.5mm 내지 10mm, 특히 0.9mm 내지 5mm,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2mm일 수도 있다. 제1 변형 실시예에서, 유지 세그먼트(50)의 벽 두께(70)가 유지홈(30)의 갭 폭(72)보다 약간 작을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내부 공진기 요소(14)가 유지 세그먼트(50)의 탄성 및 이에 의해 가해지는 가압 효과에 의해서만 하우징부들 중 하나의 하우징부에 유지된다.
대안적인 변형예에서, 유지 세그먼트(50)의 벽 두께(70)가 유지홈(30)의 갭 폭(72)과 크기가 동일하거나 혹은 약간 더 클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유지 세그먼트(50)와 유지홈(30) 사이에 추가 클램핑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단부 벽(28)의 제2 단부 내면(29)에 대한 유지 세그먼트(50)의 오버행(overhang)(73)이 0.5mm 내지 10mm, 특히 1mm 내지 5mm, 바람직하게는 1.5mm 내지 2.5mm일 수 있다.
도 6은 공진기 요소(14)의 사시도이며, 동일한 도면부호들과 명칭들이 앞서의 도 1 내지 도 5와 동일한 부품들에 대해 사용된다.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앞서의 도 1 내지 도 5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한다.
바람직한 변형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세그먼트가 유지 세그먼트(50)의 구역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들은 원주 둘레에 균일하게 분포된다. 개별 세그먼트들은 10° 내지 115°, 특히 3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65°에 걸쳐 연장할 수 있다. 개별 세그먼트들 사이에 형성된 자유 공간들은 개별 세그먼트들의 길이에 따라 변한다.
특히, 유지 세그먼트(50)는 제2 외부 파이프 섹션(46)에 대해 거리(74)만큼 돌출하도록 디자인된다. 거리(74)는 5mm 내지 50mm, 특히 7mm 내지 20mm, 바람직하게는 10mm 내지 15mm일 수 있다.
도 6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파이프 섹션들(20, 33)에 하나 이상의 리브(75)가 배치될 수 있고, 내부 공진기 요소(14)를 하우징부들(2, 3)에 올바르게 위치 설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리브는 서로에 대한 각도 및/또는 그 폭이 서로 다르게 디자인될 수 있다.
도 7은 차량용 소음기(1)의 분해도이며, 동일한 도면부호들과 명칭들이 앞서의 도 1 내지 도 6과 동일한 부품들에 대해 사용된다.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앞서의 도 1 내지 도 6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한다. 도 7로부터 차량용 소음기(1)가 제조되고 조립되는 법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생산 공정의 초기에, 적어도 제1 하우징부(2)와 커플링 바디(8)가 딥-드로잉되어 그 특징적인 형태들을 얻는다.
추가 방법 단계에서, 제1 하우징부(2)가 장치 또는 조작 로봇에 의해 유지된다. 그 후에 밀봉 요소(51)가 축선 방향으로 제1 하우징부(2)에, 특히 계단식으로 테이퍼진 에지부(24)에 삽입된다.
이제 밀봉 요소(51)가 제1 하우징부(2)에 대해 배치되면, 추가 방법 단계에서, 커플링 바디(8)가 계단식으로 테이퍼진 에지부(24)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커플링 바디(8)는 커플링 바디(8)의 단부 벽이 제1 하우징부(2)를 향하도록 정렬된다.
추가 방법 단계에서, 커플링 바디(8)와 제1 하우징부(2)가 용접, 특히 레이저 용접 또는 플라즈마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레이저 용접 또는 플라즈마 용접은 열의 투입이 매우 낮고 일부분에만 국한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해서, 밀봉 요소(27)가 용접 공정 중에 손상되지 않는다.
추가 방법 단계에서, 내부 공진기 요소(14)가 또한 딥-드로잉될 수 있는 제2 하우징부(3)에 삽입될 수 있는데, 유지 세그먼트(50)가 유지홈(30) 내로 압박된다.
추가 방법 단계에서, 제1 하우징부(2)가 용접에 의해 제2 하우징부(3)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터보차저(7) 및 터보차저(7)의 압력측에 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를 구비하는 차량(76)을 도시한다.
터보차저(7)는 차량(76)의 연소 기관의 연소 공기를 위한 압축 장치로서 정의된다. 터보차저(7) 대신, 압축기 장치 또는 연소 공기의 급기 압력을 증가시키는 다른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연소 기관의 작동 중에 일어나는 적어도 특정 주파수 범위 내의 유동음, 휘파람 소리 또는 진동 소음을 감소시키거나 혹은 최소화시킨다. 이에 따라, 주어진 차량용 소음기(1)에 의해, 주어진 차량용 소음기(1)를 급기 압력측에 구비하는 연소 기관을 구비하는 자동차에서 달성될 수 있는 편안함의 레벨이 증가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차량용 소음기(1)의 가능한 변형 실시예들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 점에서 본 발명이 특별히 도시된 특정의 변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오히려 개별 변형 실시예들의 여러 가지 다양한 조합들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성은 본 발명이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면 기술적 절차에서 교시하는 것으로 인한 것이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
또한, 도시하고 설명한 각기 다른 실시예들의 개별 피처들 또는 피처들의 조합들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적인 해결책들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독립적인 해결책에 의해 해결되는 과제들은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다.
본 상세한 설명 내의 값의 범위와 관련된 세부 사항들 전부는 그 값의 범위가 임의의 그리고 모든 부분 범위들을 포함하도록 정의된다. 예컨대, 1 내지 10의 범위는 1의 하한으로부터 시작해서 10의 하한까지의, 즉 하한인 1 또는 그 이상에서 시작하여 상한인 10 또는 그 이하에서 끝나는, 에컨대 1 내지 1.7, 또는 3.2 내지 8.1 또는 5.5 내지 10의 모든 부분 범위들을 의미한다.
주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개별 디자인들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적인 해결책들의 요지를 형성한다. 관련된 목적들 및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들은 상기 도면들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형식적인 측면에서, 차량용 소음기(1)의 구조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차량용 소음기 또는 그 컴포넌트들이 축척에 맞추어서 도시되지는 않았음을 알아야 한다.
1: 차량용 소음기 2: 제1 하우징부
3: 제2 하우징부 4: 연결 영역
5: 중앙 축선 6: 커플링 장치
7: 터보차저 8: 커플링 바디
9: 체결 요소 10: 제1 공진기 챔버
11: 제2 공진기 챔버 12: 유동 방향
13: 외부 케이싱 14: 내부 공진기 요소
15: 제1 외부 케이싱 16: 제1 단부 벽
17: 제1 내부 케이싱면 18: 단부 내면
19: 유입 개구 20: 제1 내부 파이프 섹션
21: 외부 케이싱면 22: 챔버 분할 벽
23: 제1 벽면 24: 에지부
25: 외부 케이싱면 26: 제2 외부 케이싱
27: 제2 내부 케이싱면 28: 제2 단부 벽
29: 제2 단부 내면 30: 유지홈
31: 유출 개구 32: 연결 피스
33: 제2 내부 파이프 섹션 34: 외부 케이싱면
35: 제2 벽면 36: 제1 연결 섹션
37: 제1 연결 섹션의 플랜지 38: 제1 외부 케이싱의 단면 치수
39: 제1 외부 케이싱의 축선 방향 길이
40: 제2 연결 섹션 41: 제2 연결 섹션의 플랜지
42: 제2 외부 케이싱의 단면 치수 43: 제2외부 케이싱의 축선 방향 길이
44: 내부 공진기 요소의 외주 45: 제1 외부 파이프 섹션
46: 제2 외부 파이프 섹션 47: 환형 챔버
48: 제1 외부 파이프 섹션의 외부 케이싱면
49: 제2 외부 파이프 섹션의 외부 케이싱면
50: 유지 세그먼트 51: 밀봉 요소
52: 제1 파이프 섹션의 외경 53: 제2 파이프 섹션의 외경
54: 갭 폭 55: 외부 파이프 섹션의 벽 두께
56: 고정 요소 57: 내주
58: 제1 챔버 갭 59: 자유 유동 개구
60: 제2 챔버 갭 61: 파이프 섹션들의 내경
62: 제1 내부 파이프 섹션의 축선 방향 길이
63: 제2 내부 파이프 섹션의 축선 방향 길이
64: 받침 섹션 65: 절곡 섹션
66: 유지홈의 내경 67: 유지 세그먼트의 내경
68: 단부 벽 유지 세그먼트 69: 거리
70: 유지 세그먼트의 벽 두께 71: 제1 하우징부의 벽 두께
72: 유지홈의 갭 폭 73: 유지 세그먼트의 행오버
74: 유지 세그먼트의 거리 75: 리브
76: 차량

Claims (14)

  1. 터보차저(7)를 구비하는 내연 기관의 급기 라인을 위한 차량용 소음기(1)로서,
    제1 외부 케이싱(15)을 구비하며 제1 단부 벽(16)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우징부(2), 제2 외부 케이싱(26)을 구비하며 제2 단부 벽(28)을 포함하는 제2 하우징부(3) 및 내부 공진기 요소(14)를 포함하고,
    하우징부들(2, 3)이 연결 영역(4)에서 서로 커플링되어 차량용 소음기(1)의 외부 케이싱(13)을 형성하고,
    내부 공진기 요소(14)는 하우징부들(2, 3) 중 적어도 하나 및 적어도 하나의 챔버 분할 벽(22)에 설치되고, 챔버 분할 벽(22)의 내주(57)에 접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내부 파이프 섹션(20)을 포함하고,
    두 하우징부(2, 3) 및 내부 공진기 요소(14)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제1 공진기 챔버(10) 및 하나의 제2 공진기 챔버(11)가 형성되고,
    내부 공진기 요소(14)가 내부 공진기 요소(14)의 외주(44)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외부 유지 세그먼트(50)를 포함하고, 제1 단부 벽(16) 및/또는 제2 단부 벽(28)에는 유지 세그먼트(50)가 설치되는 유지홈(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유지 세그먼트(50)가 내부 공진기 요소(14)의 제1 내부 파이프 섹션(20)에 동축으로 배치되는 파이프 섹션으로 디자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유지 세그먼트(50)가 파이프 세그먼트로 디자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부(2)와 제2 하우징부(3)가 금속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내부 공진기 요소(14)가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환형 챔버(47)가 유지 세그먼트(50)와 제1 외부 케이싱(15) 및/또는 제2 외부 케이싱(26)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제1 내부 파이프 섹션(20) 반대쪽의 내부 공진기 요소(14) 상에서, 제2 내부 파이프 섹션(33)이 챔버 분할 벽(2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유지 세그먼트(50)의 내경(67)이 유지홈(30)의 내경보다 작고, 조립된 상태에서 유지 세그먼트(50)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유지 세그먼트(50)와 유지홈(30) 사이에 억지-끼워맞춤 연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56)가 내부 공진기 요소(14)의 외부에 있는 챔버 분할 벽(22)의 구역에 배치되되, 고정 요소(56)가 제1 하우징부(2)와 제2 하우징부(3)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고정 요소(56)가 원주형 비드로 디자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고정 요소(56)가 개별 위치 설정 핀들의 형태로 디자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유지 세그먼트(50)가 0.5mm 내지 10mm, 또는 0.9mm 내지 5mm, 또는 1mm 내지 2mm의 벽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유지 세그먼트(50)가 제1 외부 파이프 섹션(45)에 대해 또는 제2 외부 파이프 섹션(46)에 대해 5mm 내지 50mm, 또는 7mm 내지 20mm, 또는 10mm 내지 15mm의 거리(47)만큼 돌출하도록 디자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유지 세그먼트(50)의 벽 두께(70)가 유지홈(30)의 갭 폭(72)보다 약간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KR1020177037052A 2015-05-29 2016-05-25 차량용 소음기 KR1025621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50437/2015 2015-05-29
AT504372015 2015-05-29
PCT/AT2016/050165 WO2016191780A1 (de) 2015-05-29 2016-05-25 Fahrzeugschalldämpf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995A KR20180013995A (ko) 2018-02-07
KR102562176B1 true KR102562176B1 (ko) 2023-08-01

Family

ID=56411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7052A KR102562176B1 (ko) 2015-05-29 2016-05-25 차량용 소음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36159B2 (ko)
EP (1) EP3303816B1 (ko)
JP (1) JP6799011B2 (ko)
KR (1) KR102562176B1 (ko)
CN (1) CN107667215B (ko)
ES (1) ES2734409T3 (ko)
WO (1) WO20161917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06889A1 (en) 2017-05-22 2018-11-28 MANN+HUMMEL GmbH Silencer for the reduction of gas noise in an intake system of a combustion engine and a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uch a silencer
CN109351940A (zh) * 2018-10-30 2019-02-19 中信戴卡股份有限公司 一种模具消音器
US11339751B2 (en) 2018-12-11 2022-05-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uction system including a hydrocarbon trap
CN110107541A (zh) * 2019-05-20 2019-08-09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压后消声器及增压发动机
KR102140002B1 (ko) * 2019-07-31 2020-08-03 재단법인 파동에너지 극한제어 연구단 유체 소음기
US20210222594A1 (en) * 2020-01-17 2021-07-22 Advanced Flow Engineering Inc. Tunable Exhaust System
US11261822B1 (en) 2020-09-03 2022-03-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Water jacket diverter with low flow restri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5156A1 (de) 1997-02-05 1998-08-13 Filterwerk Mann+Hummel Gmbh Rohr mit veränderbarem querschnitt
DE19957597A1 (de) 1999-11-30 2001-05-31 Umfotec Umformtechnik Gmbh Dämpfereinbau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13947B (ko) * 1903-01-19 1903-11-10 Paul Mauser
DE3020492A1 (de) * 1980-05-29 1981-12-03 Roth Technik GmbH, 7560 Gaggenau Schalldaempfer
JPS59141707A (ja) 1983-02-02 1984-08-14 Sanyo Electric Co Ltd 圧縮機の吸込マフラ装置
JPH088305Y2 (ja) * 1987-09-07 1996-03-06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消音器
US5762858A (en) 1995-02-02 1998-06-09 Toyoda Gosei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muffler hose
DE102005005865B4 (de) 2005-02-09 2021-04-08 Umfotec Gmbh Vorrichtung zur Luftschallabsenkung von Strömungsgeräuschen
DE202006012636U1 (de) * 2006-08-16 2007-12-27 Mann + Hummel Gmbh Verbindungseinheit
FR2950112B1 (fr) * 2009-09-11 2011-10-07 Hutchinson Dispositif d'attenuation acoustique pour ligne d'admission d'un moteur thermique, et ligne d'admission l'incorporant
US8485311B2 (en) 2011-03-04 2013-07-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ir duct assembly for engine
AT13947U1 (de) * 2013-01-16 2015-01-15 Henn Gmbh & Co Kg Schalldämpf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20140196977A1 (en) * 2013-01-16 2014-07-17 Henn Gmbh & Co Kg. Silenc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T513955A1 (de) * 2013-01-16 2014-08-15 Henn Gmbh & Co Kg Schalldämpf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N203374348U (zh) * 2013-06-08 2014-01-01 重庆润通动力制造有限公司 消声器
CN203430857U (zh) * 2013-07-17 2014-02-12 湖南天雁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消声功能的新型压气机蜗壳
AT514568B1 (de) 2014-03-07 2015-02-15 Henn Gmbh & Co Kg Schalldämpf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5156A1 (de) 1997-02-05 1998-08-13 Filterwerk Mann+Hummel Gmbh Rohr mit veränderbarem querschnitt
DE19957597A1 (de) 1999-11-30 2001-05-31 Umfotec Umformtechnik Gmbh Dämpfereinbau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1780A1 (de) 2016-12-08
CN107667215A (zh) 2018-02-06
ES2734409T3 (es) 2019-12-05
US20180149122A1 (en) 2018-05-31
JP2018516335A (ja) 2018-06-21
KR20180013995A (ko) 2018-02-07
JP6799011B2 (ja) 2020-12-09
US10436159B2 (en) 2019-10-08
CN107667215B (zh) 2019-11-05
EP3303816A1 (de) 2018-04-11
EP3303816B1 (de) 2019-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2176B1 (ko) 차량용 소음기
JP5711857B2 (ja) エアフィルタ
JP6506315B2 (ja) 消音器
JP6111322B2 (ja) 燃料分配器および複数の燃料噴射弁を備えた装置
KR20170018784A (ko) 배기 시스템의 부품
US20070148058A1 (en)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for motor vehicles
JP2010505055A (ja) シール装置
US20120160986A1 (en) Holder for attaching an assembly
US7503288B2 (en) Plastic boiler without flange
JP4341645B2 (ja) 流量測定装置,流量測定通路及び空気流量測定装置
KR102415920B1 (ko) 차량 소음기
JP5426358B2 (ja) 合成樹脂製部品の組付構造
JP4270860B2 (ja) フレキシブルホース、およびフレキシブルホースの製造方法
JP2017066900A (ja) 内燃機関排気系統の消音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内燃機関排気系統の消音器
KR102228814B1 (ko) 연료 딜리버리파이프 맥동 감쇄용 댐퍼기구
ES2717778T3 (es) Silenciador de vehículo para una tubería de aire de sobrealimentación de un motor de combustión interna
JP6202956B2 (ja) 車両用吸気ダクト
KR20190027724A (ko) 배기 시스템을 위한 음향 발생용 조립체
KR102021892B1 (ko) 엔진의 연료맥동 저감용 댐핑기구
JP4401369B2 (ja) エンジン吸気装置とエンジン吸気装置の組付け方法
CN112193171A (zh) 探头安装结构
JP2023176665A (ja) 排気装置
JP2001355437A (ja) 触媒保持構造
JP2009264179A (ja) 二重ダクトの締結構造
JP2005220821A (ja) 排気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