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724A - 배기 시스템을 위한 음향 발생용 조립체 - Google Patents

배기 시스템을 위한 음향 발생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724A
KR20190027724A KR1020180104520A KR20180104520A KR20190027724A KR 20190027724 A KR20190027724 A KR 20190027724A KR 1020180104520 A KR1020180104520 A KR 1020180104520A KR 20180104520 A KR20180104520 A KR 20180104520A KR 20190027724 A KR20190027724 A KR 20190027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generator
sound
generator housing
assembly
connect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4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네스 스타인킬베르그
마티아스 힐데브란트
Original Assignee
포레시아 이미션스 콘트롤 테크놀로지스, 저머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레시아 이미션스 콘트롤 테크놀로지스, 저머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포레시아 이미션스 콘트롤 테크놀로지스,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27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7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6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interference effect
    • F01N1/065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interference effect by using an active noise source, e.g. spea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01N13/1822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for fixing exhaust pipes or devices to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01N13/1844Mechanical joints
    • F01N13/1855Mechanical joints the connection being realised by using bolts, screws, rivets or the lik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004Mounting transducers, e.g. provided with mechanical moving or orienting devi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90/00Structure, disposition or shape of gas-chamb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8Vehicles
    • G10K2210/1282Automobiles
    • G10K2210/12822Exhaust pipes or muffl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50Miscellaneous
    • G10K2210/51Improving tonal quality, e.g. mimicking sports ca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6Supports for loudspeaker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배기 시스템을 위한 음향 발생용 조립체가 개시된다.
자동차의 내연 기관의 배기 시스템을 위한 음향 발생용 조립체(10)가 제시되며, 상기 음향 발생용 조립체는 음향 발생기 하우징(18) 내에 배치되는 음향 발생기를 갖는다. 또한, 음향 발생기 하우징(18)의 외측 윤곽은 연결 표면(24)을 가지며, 이 연결 표면에 의해 음향 발생기 하우징(18)이 자동차 구조체에 부착될 수 있다. 연결 표면(24)은 상기 외측 외형의 나머지로부터 셋 오프(set off)된다.

Description

배기 시스템을 위한 음향 발생용 조립체{SOUND GENERATING ASSEMBLY FOR AN EXHAUST SYSTEM}
본 발명은, 자동차의 내연 기관의 배기 시스템을 위한 음향 발생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상기 음향 발생용 조립체는 음향 발생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음향 발생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음향 발생용 조립체는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으며, 실질적으로 2가지 군으로 세분될 수 있다.
제1 군의 음향 발생용 조립체는 배기 가스 유동에 의해 전달되는 음향을 감쇠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음향 발생용 조립체는 능동형 소음기이다. 이를 위해, 상기 음향 발생용 조립체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은, 이상적으로는, 배기 가스 유동에 의해 전달되는 음향과 관련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진폭을 가지면서도 180도 시프트(shift)된 위상을 갖도록 조절된다.
제2 군은, 배기 가스 유동에 의해 전달되는 음향에 상보적이 되도록 구성되는 음향 발생용 조립체와 관련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음향 발생용 조립체에 의해 제공되는 음향은, 예컨대, 배기 가스 유동에 의해 전달되는 음향과 진폭 및/또는 주파수 면에서 상이하다. 여기서는, 상기 음향 발생용 조립체에 위해 제공되는 음향과 조합된, 배기 가스에 의해 전달되는 음향이, 자동차 사용자 및/또는 다른 사람에게 쾌적한 것으로 인식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겨우 몇 개의 실린더(예컨대, 3개의 실린더) 및 비교적 작은 변위를 갖는 내연 기관을 구비한 자동차가, 더 많은 실린더(예컨대, 6개의 실린더) 및 더 큰 변위를 갖는 것과 같은 음향적 인상(acoustic impression)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술한 바는 종종 음향 설계(sound design)라 불린다.
물론, 배기 가스 유동에 의해 전달되는 음향을 감쇠시키도록 구성될 뿐만 아니라 배기 가스 유동에 의해 전달되는 음향에 상보적이 되도록 구성되는 음향 발생용 조립체가 또한 존재한다. 이때 전술한 조립체는 앞서 언급한 2가지 군 모두에 속하게 된다.
음향 발생용 조립체를 분류하는 전술한 군과는 무관하게, 음향 발생용 조립체는 자동차 구조체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다시 2가지 기본적인 변형이 존재한다. 상기 음향 발생용 조립체는, 그와 관련된 배기 시스템의 구성요소에 의해 자동차 구조체에 연결될 수도 있고, 자동차 구조체에 직접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여러 가지 조합이 가능하다.
자동차 구조체에 직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음향 발생용 조립체는, 예컨대, DE 10 2013 222 548 B3, US 2002/0047074 A1, 및 US 6,005,957 A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자동차 구조체에 대한 음향 발생용 조립체의 부착은, 관련된 배기 시스템의 구성요소, 특히 배기 파이프 및/또는 배기 튜브가 체결용 구성요소로서 기계적으로 구성되어야만 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특히 유리하다. 이는 배기 시스템의 구성요소의 개발과 관련하여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키며, 배기 시스템의 구성요소의 중량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 언급한 유형의 음향 발생용 조립체를 제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음향 발생용 조립체는 간단하게 그리고 신뢰성 있게 자동차 구조체에, 특히 배기 시스템에 부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음향 발생용 조립체는 다양한 크기 및 기하학적 형상의 설치 공간에 장착되기에 적합하게 되도록 의도되며, 즉 다양한 차량 변형 및 차량 모델에 사용되도록 의도된다.
상기 목적은 서두에 언급한 유형의 음향 발생용 조립체로서, 음향 발생기 하우징의 외측 윤곽이 연결 표면을 가지며, 이 연결 표면에 의해 상기 음향 발생기 하우징이 자동차 구조체에, 특히 배기 시스템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연결 표면은 상기 외측 윤곽의 나머지로부터 셋 오프(set off)되는 것인 음향 발생용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상기 외측 윤곽은 음향 발생기 하우징의 엔벨로프(envelope)를 의미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이해되며, 이때 기존의 임의의 추가 부품(add-on parts), 특히 브라켓 또는 조립체 콘솔(assembly consoles)은 포함되지 않는다. 상기 연결 표면이 셋 오프(set off)된다는 것은, 상기 외측 윤곽의 각도, 곡률, 배향 등이 연결 표면에 대한 천이부에서 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연결 표면은 여기서는 음향 발생기 하우징의 외측 윤곽에 일체로 몰딩(molding)된다. 상기 연결 표면은, 특히, 자동차 구조체에 대한 음향 발생용 조립체의 부착에 적어도 기여하도록 또는 자동차 구조체에 대한 음향 발생용 조립체의 부착을 돕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상기 연결 표면은 또한 장착용 표면, 쇼울더 표면(shoulder surface) 또는 플래투 표면(plateau surface)이라고도 불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표면은, 상기 외측 윤곽의 나머지보다 더 타이트한 형상 및/또는 위치상 공차를 충족한다. 보통 만곡부, 둥글게 된 부분, 및/또는 유사한 비-평면 섹션을 포함하는, 상기 외측 윤곽의 남은 섹션, 즉 상기 외측 윤곽의 나머지의 더 여유로운 공차 설정은, 본원에서의 음향 발생용 조립체에 관한 비교적 적은 제조 비용으로 귀결된다. 이는, 특히, 보통 큰 면적의 만곡부를 갖는 소위 음향 안내용 뿔형부(horn) 혹은 원추부에 적용된다. 환언하면, 면밀한 형상 및/또는 위치상 공차는, 단지 음향 발생용 조립체의 위치상/배향상의 정확한 조립을 도모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에만, 즉 상기 연결 표면에서만 준수된다. 연결 표면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음향 발생기 하우징에 의해 자동차 구조체에 연결되는 음향 발생용 조립체와 비교하면, 전술한 방식으로, 자동차 구조체에서 음향 발생용 조립체를 현저하게 더 정밀하게 위치설정 및 배향설정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본원에서의 연결 표면은 특히 상기 연결 표면에 연결되는 브라켓 또는 다른 연결용 요소에 관해 의도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라켓 또는 상기 연결용 요소는 상기 연결 표면에 용접될 수 있다.
브라켓 또는 연결용 요소를 연결 표면의 다양한 지점에서 및/또는 다양한 배향으로 연결 표면 상에 결합시킴으로써, 다양한 설치 공간에 간단하고 신뢰성 있게 부착될 수 있는 음향 발생용 조립체가 마련된다. 물론,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브라켓 또는 연결용 요소가 또한 제조될 수도 있으며, 브라켓 또는 연결용 요소의 개수는 변동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음향 발생용 조립체는 전술한 방식으로 항상 간단하면서도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자동차 구조체에 부착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연결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향 발생기가 임의의 장착 작업 또는 연결 작업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음향 발생기 하우징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음향 발생기는 흔히 온도에 민감하다. 이에 상기 연결 표면은 음향 발생기로부터 멀리에 간격을 두고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심지어 연결 표면 상에서 용접 작업이 이루어질 때에도 음향 발생기는 그 기능 및/또는 수명과 관련하여 손상을 받지 않게 된다. 이러한 간격 설정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복사에 의한 전도열 입력뿐만 아니라 열 입력이 구성요소에 임의의 손상을 유발하지 않게 되도록 보장되어야만 한다. 더욱이, 이러한 방식으로, 음향 발생기는 용접 스패터(weld spatter)로부터 보호된다. 이에 따라 음향 발생용 조립체는 그 기능과 관련하여 특히 신뢰성을 갖게 된다.
상기 음향 발생기는 확성기, 특히 6.5 인치 확성기일 수 있다. 확성기는, 그 자체로,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음향 발생용 조립체에서의 음향 발생기로서 입증된 바 있다. 확성기를 사용하면, 원하는 주파수 및 진폭에서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음향이 생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라 음향 발생용 조립체의 원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6.5 인치 확성기를 이용하면, 특히 확성기의 비교적 큰 직경으로 인해, 이제 배기 가스 유동에 의해 전달되는 음향은 매우 양호하게 감쇠 및/또는 보완될 수 있다. 이는, 무엇보다도, 비교적 낮은 주파수 범위에서 그러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기 하우징은 다부품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표면은, 음향 출력 측 상의 음향 발생기 하우징 부분 상에, 바람직하게는 음향 안내용 뿔형부 상에 형성된다. 상기 음향 안내용 뿔형부는 또한 주로 음향 안내용 원추부라고 불린다. 다부품형 음향 발생기 하우징은 종래 기술에서 자체로 검증된 것이다. 특히, 음향 발생기 하우징에 관한 비교적 저렴한 제조 비용은, 이러한 방식으로 음향 안내 및/또는 원하는 음향 전파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는 기하학적 형상과 조합될 수 있다. 음향 출력 측 상에서의 음향 발생기 하우징 부분 상에 연결 표면을 배치하면, 조립 작업, 특히 용접 작업을 위해 연결 표면에 매우 용이하게 접근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음향 발생기의 가장 민감한 구성요소는 보통 음향 출력 측 상의 음향 발생기 하우징 부분으로부터 멀리로 향하는 쪽에 보통 위치하게 된다. 이는 특히 확성기의 경우에 그러하며, 확성기 내에서 제어용 전자부품 및/또는 액추에이터는 대체로 음향 출구측의 반대쪽에 위치하게 된다. 조립 작업, 특히 용접 또는 용접 스패터 동안의 온도 전개에 의한 음향 발생기의 손상은, 이에 따라 효과적으로 방지되며, 그 결과로서, 음향 발생용 조립체의 전반적으로 높은 신뢰성 및 긴 수명이 보장된다.
상기 연결 표면은 결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영역은, 본원에서는, 상기 연결 표면의 일부를 취할 수도 있고 전체 연결 표면을 취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 영역은, 결합 영역 내에서 연결용 요소 또는 브라켓이 음향 발생기 하우징에 결합되게 하도록 의도된다. 이를 위해 용접 과정이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결합 영역은 또한 용접 영역이라 불릴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 표면은 실질적으로 평평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표면은, 간단한 제조 가능성과 관련하여 그리고 타이트한 공간 및/또는 위치상 공차에 대한 순응과 관련하여 유리하다. 환언하면, 평평한 연결 표면은 매우 간단하게 그리고 정밀하게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향 발생용 조립체는 매우 간단하고 그리고 정밀하게 차량 구조에 장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연결 표면은 실질적으로 C자형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 표면의 프로파일은 곡선으로 이루어진다. 환언하면, 상기 연결 표면은 링 섹션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링 섹션은 원형 링 또는 타원형 링이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결 표면은 또한, 완전히 불규칙적인 기본 형상을 갖는 환형 표면의 섹션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연결 표면의 구성에 따라, 상기 연결 표면은 또한 U자 형상이라 불릴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 표면은 음향 발생기 하우징에 걸친 특정 코스를 특징으로 한다. 그 결과로서, 상기 연결 표면은, 자동차 구조체에 음향 발생기 하우징을 부착시키기 위해 음향 발생기 하우징의 다양한 지점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표면은, 음향 발생용 조립체가 설치 위치에 있을 때, 실질적으로 수직인 음향 발생기 하우징 축선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80도를 초과하는 각도로 음향 발생기 하우징 축선을 둘러쌀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설치 위치에서의 상기 연결 표면은 실질적으로 수직한 표면 법선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표면 법선은, 상기 연결 표면이 배치되는 전술한 음향 발생기 하우징 부분의 형성 또는 재성형 생산의 경우에, 상기 표면 법선이 탈형(demolding) 방향에 대응하도록, 또는 적어도 탈형 방향과 관련하여 언더컷(undercut)을 구성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향 발생용 조립체는, 간단하고 비용 효과적인 방식으로 생산될 수 있게 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연결 표면은, 조립 작업을 위해, 특히 용접 작업을 위해 매우 용이하게 접근 가능하다. 상기 연결 표면이 설치 위치에서의 음향 발생기 하우징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으면, 상기 연결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동차 구조체에 음향 발생용 조립체를 형상 맞춤식으로 부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브라켓에 의해 자동차 구조체에 음향 발생용 조립체가 용접된다면, 조합된 형상 맞춤 및 물질-대-물질 접합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음향 발생용 조립체는 매우 신뢰성 있게 유지된다.
1개 내지 5개,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3개,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개 혹은 3개의 브라켓이 연결 표면에 의해, 구체적으로 결합 영역에 의해, 음향 발생기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음향 발생기 하우징으로부터 멀리로 향하는 브라켓 단부들은 각각 자동차 구조체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예컨대 음향 출력 개구를 통해 파이프에 대한 연결이 존재하는 경우, 단지 1개 또는 2개의 브라켓이 필요하다. 이는, 음향 발생기 하우징이 상기 연결 표면을 통해 자동차 구조체에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음향 발생기 하우징의 음향 출력 개구에 파이프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구조적 관점으로부터, 상기 음향 발생기 하우징은 브라켓 및 파이프 양자 모두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브라켓이 장착되는 상기 연결 표면은 음향 출력 개구로부터 떨어져 있다. 따라서, 브라켓 및 파이프에 의한 음향 발생기 하우징의 지지는, 음향 발생기 하우징과 자동차 구조체 사이의 신뢰성 있는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음향 발생기 하우징에 브라켓이 용접된다. 사용되는 브라켓의 개수는, 음향 발생용 조립체가 내부에 장착되는 설치 공간의 크기 및 기하학적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브라켓의 개수는, 음향 발생용 조립체가 채용되는 차량 유형 또는 차량 모델에 따라 좌우된다. 특정한 연결 표면이 아니라 음향 발생기 하우징 윤곽에 직접적으로 브라켓을 결합시키는 것과 비교하면, 이는, 자동차 구조체에 대한 음향 발생용 조립체의 매우 정밀하고 신뢰성 있으며 비용 효과적인 부착으로 귀결된다. 이는, 정확한 위치 설정이 가능하게 하는 타이트한 형상 및/또는 위치상 공차를 준수하면서 전체적으로 음향 발생기 하우징 윤곽을 생성하는 것은 보통 매우 복잡하며 이에 따라 비용 집약적이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표면의 폭, 구체적으로 결합 영역의 폭은, 각각의 브라켓의 음향 발생기 하우징 측 상의 브라켓 단부의, (연결 표면에 결합될) 접촉 윤곽의 폭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치수보다 크다. 이러한 맥락에서, 예컨대 C자 형상인 연결 표면의 길이는 또한 이 연결 표면에 결합되는 접촉 윤곽의 관련 최대 치수보다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상기 연결 표면에 연결되는, 특히 용접되는, 브라켓의 음향 발생기 하우징 측 상의 브라켓 단부가 연결 표면 상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귀결된다. 특히, 브라켓은 횡방향 연장부를 따라 그리고 연결 표면의 길이방향 연장부를 따라 다양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의 위치는, 음향 발생기 조립체, 보다 엄밀하게는 음향 발생기 하우징 또는 달리 브라켓의 임의의 가능한 기존의 치수상 편차 및/또는 형상 편차를 보상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게 된다. 동시에, 이는, 다양한 유형의 자동차 구조체에 음향 발생용 조립체를 부착시킬 때의 추가적인 자유도로 귀결된다.
상기 음향 발생기 하우징은 다부품으로 되어 있을 수 있으며, 브라켓들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모든 브라켓은, 연결 표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음향 발생기 하우징 부분에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발생기 하우징 부분은, 예컨대, 하우징 후방 부분 또는 하우징 중간 부분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하우징 중간 부분은, 예컨대, 음향 발생기, 특히 확성기를 지탱할 수 있다. 2개의 음향 발생기 하우징 부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의 부착은, 자동차 구조에 대한 음향 발생용 조립체의 매우 신뢰성 있고 내구성 있는 장착으로 귀결된다.
한 가지 변형에 따르면, 음향 발생기의 음향 방사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연결 표면은 음향 발생기로부터 소정의 측방향 거리에 배치된다. 이러한 거리는, 연결 표면 상에서 행해진 설치 작업에 의해 음향 발생기가 그 기능 및/또는 수명 면에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 표면 상에 용접 결합부가 배치되는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방식으로, 구체적으로, 확성기일 수 있는 음향 발생기가 예컨대 과도한 온도 및/또는 용접 스패터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는, 신뢰성 있고 내구성 있는 음향 발생용 조립체로 귀결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발생용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상기 음향 발생용 조립체는 자동차 구조체에 부착되어 있다.
도 2는 도 1로부터의 음향 발생용 조립체를 부분적으로 내부가 보이는 측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로부터의 음향 발생용 조립체를, 방향(III)을 따라 본 도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으로부터의 음향 발생용 조립체로서, 예로서 브라켓이 음향 발생용 조립체에 용접되어 있는 상태인 것인 음향 발생용 조립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로부터의 음향 발생용 조립체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며, 도 4로부터의 상부도에 대응하는 것인 도면이다.
도 6은 도 5로부터의 음향 발생용 조립체의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2로부터의 음향 발생용 조립체의 상세도(VII)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자동차의 내연 기관의, 더 상세하게 제시되지 않은, 배기 시스템을 위한 음향 발생용 조립체(10)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음향 발생용 조립체(10)는, 단지 개략적으로만 제시되어 있는 2개의 브라켓(12, 14)에 의해 자동차 구조체(16)에 부착되며, 2개의 브라켓은 각각 음향 발생기 하우징 측 상에 브라켓 단부(12a, 14a)를 가지며, 자동차 구조체 측 상에 브라켓 단부(12b, 14b)를 갖는다.
브라켓(12, 14)은 음향 발생용 조립체(10)에 용접되며, 임의의 다른 적절한 결합 방법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자동차 구조체(16)에 대한 연결을 위해, 임의의 적절한 연결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발생용 조립체(10)는 음향 발생기 하우징(18)을 포함하며, 음향 발생기 하우징 내에는 음향 발생기(20)가 배치되고, 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음향 발생기(20)는 확성기이다(도 2 및 도 7 참고). 음향 발생기(20)에 의해 생성된 음향은 음향 출력 개구(21)를 통해 환경으로 안내되거나 또는 본원에는 제시되어 있지 않은 링크를 통해 배기 시스템 내로 안내된다.
또한, 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음향 발생기 하우징(18)은 다부품 구성을 갖는다. 그런 이유로, 음향 발생기 하우징은 음향 출력 측 상에 음향 발생기 하우징 부분(18a)을 포함하며, 본원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기 하우징 부분은 깔대기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음향 안내용 뿔형부(horn) 또는 음향 안내용 원추부로서 구성된다. 음향 발생기 하우징은, 음향 발생기 하우징 후방 부분(18b) 및 음향 발생기 하우징 중간 부분(18c)을 더 포함한다.
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음향 발생기(20)는 음향 발생기 하우징 중간 부분(18c)에 부착된다(도 2 및 도 7 참고).
음향 발생기 하우징(18)을 예컨대 자동차 구조체(16)에 부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음향 발생기 하우징(18)의, 파선으로 기호화된 외측 윤곽(22)은 연결 표면(24)을 포함한다.
연결 표면(24)은 상기 외측 외형의 나머지로부터 셋 오프(set off)된다.
연결 표면(24)은 음향 출력 측 상의 음향 발생기 하우징 부분(18a) 상에 형성된다(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7 참고).
또한, 상기 연결 표면(24)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연결 표면은 C자 형상이다.
여기서, 연결 표면(24)은, 음향 발생용 조립체(10)의 설치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인 음향 발생기 하우징 축선(26)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둘러싸는 각도(α)(도 3 및 도 4 참고)는 여기서는 바람직하게는 180도보다 크다.
또한, 연결 표면(24)은 음향 발생기 하우징(18) 상에 배치되며, 이에 따라, 음향 발생기(20)의 음향 방사 방향(28)에서 볼 때, 상기 연결 표면은 음향 발생기(20)로부터 소정의 측방향 거리에 위치하게 된다(구체적으로 도 7 참고). 음향 발생기(20)가 확성기인 경우에 있어서, 확성기 다이어프램으로부터의 상기 측방향 거리는 여기서 중요하며, 구체적으로 반경 방향이다.
연결 표면(24)은 결합 영역(30)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영역의 형상은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표면(24)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고, 한편 이때 연결 표면(24)의 에지 부분은 리세스(recess)되어 있다(도 3 참고).
1개 내지 5개의 브라켓(12, 14)이 연결 표면(24)에 의해, 보다 엄밀하게는 결합 영역(30)에 의해, 음향 발생기 하우징(18)에 결합될 수 있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 1은 단지 2개의 브라켓(12, 14)만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4 내지 도 6은 예로서 단 하나의 브라켓(12)만을 도시하고 있다.
브라켓(12, 14)의 개수는, 음향 발생용 조립체(10)가 내부에 장착되는 설치 공간 및/또는 음향 발생기 하우징(18)의 크기 및 기하학적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는, 무엇보다도, 음향 발생용 조립체(10)의 영역에서 차이를 나타내는 다양한 유형의 차량 및 자동차 구조체(16)에 음향 발생용 조립체(10)가 채용될 수 있도록 한다.
브라켓(12, 14)은 각각, 음향 발생기 하우징(18)으로부터 멀리로 향하는 각각의 브라켓 단부(12b, 14b)에 의해 자동차 구조체(16)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거나 또는 연결된다.
음향 발생기 하우징 측 상의 브라켓 단부(12a, 14a)에는 각각 접촉 윤곽(32)이 마련되는데, 이 접촉 윤곽은 연결 표면(24), 보다 엄밀하게는 결합 영역(3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접촉 윤곽(32)은 결합 영역(30)의 폭(F) 및 연결 표면(24)의 폭(B)에 대응하는 수준으로 치수 설정되며, 이에 따라 연결 표면(24)의 폭(B)은 항상 접촉 윤곽(32)의 대응하는 치수보다 크다.
이는, 폭(B) 및 폭(F)의 방향을 따라 다양한 위치에서 연결 표면(24) 또는 결합 영역(30)에 브라켓(12, 14)이 연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환언하면, 이러한 방식으로, 브라켓(12, 14)은 음향 발생기 하우징 축선(26)으로부터 약간 상이한 거리에서 연결 표면(24)에, 보다 엄밀하게는 결합 영역(30)에 연결될 수 있어 공차를 보상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브라켓(12, 14) 중 하나 이상은, 연결 표면(24)이 형성되지 않은 음향 발생기 하우징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브라켓(12)은 음향 출력 측 상의 음향 발생기 하우징 부분(18a) 및 음향 발생기 하우징 중간 부분(18b)에 연결된다는 것은, 특히 도 6으로부터 명확하다.

Claims (13)

  1. 자동차의 내연 기관의 배기 시스템을 위한 음향 발생용 조립체(10)로서, 음향 발생기 하우징(18) 내에 배치되는 음향 발생기(20)를 포함하며, 음향 발생기 하우징(18)의 외측 윤곽(22)은 연결 표면(24)을 갖고, 이 연결 표면에 의해 음향 발생기 하우징(18)은 자동차 구조체(16), 예컨대 배기 시스템에 부착될 수 있고, 연결 표면(24)은 외측 윤곽(22)의 나머지로부터 셋 오프(set off)되며, 연결 표면(24)은 음향 발생기(20)의 음향 출력 개구(21)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인 음향 발생용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기 하우징(18)은 다부품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표면(24)은, 음향 출력 측 상의 음향 발생기 하우징 부분(18a) 상에, 바람직하게는 음향 안내용 뿔형부(horn) 상에 형성되는 것인 음향 발생용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표면(24)은 결합 영역(30)을 포함하는 것인 음향 발생용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표면(24)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것인 음향 발생용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표면(24)은 실질적으로 C자형인 것인 음향 발생용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표면(24)은, 음향 발생용 조립체(10)가 설치 위치에 있을 때, 실질적으로 수직인 음향 발생기 하우징 축선(26)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바람직하게는 180도를 초과하는 각도로 음향 발생기 하우징 축선을 둘러싸는 것인 음향 발생용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1개 내지 5개,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3개,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개 혹은 3개의 브라켓(12, 14)이 연결 표면(24)에 의해, 구체적으로 결합 영역(30)에 의해, 음향 발생기 하우징(18)에 결합되며, 음향 발생기 하우징(18)으로부터 멀리로 향하는 브라켓 단부(12b, 14b)들은 각각 자동차 구조체(16)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인 음향 발생용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표면(24)의 폭(B), 구체적으로 결합 영역(30)의 폭(F)은 공차 보상을 허용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브라켓(12, 14)의 음향 발생기 하우징 측 상의 브라켓 단부(12a, 14a)의, 연결 표면(24)에 결합되는 접촉 윤곽(32)의 폭(B)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치수보다 큰 것인 음향 발생용 조립체.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기 하우징(18)은 다부품으로 되어 있으며, 브라켓(12, 14)들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모든 브라켓(12, 14)은, 연결 표면(24)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음향 발생기 하우징 부분에 추가적으로 결합되는 것인 음향 발생용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음향 발생기(20)의 음향 방사 방향(28)에서 볼 때, 연결 표면(24)은 음향 발생기(20)의 감온형 구성요소(temperature-sensitive component)로부터, 구체적으로 음향 발생기의 비드(bead) 또는 다이어프램으로부터 소정 측방향 거리에 배치되는 것인 음향 발생용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음향 발생기 하우징(18)은 다부품으로 되어 있으며, 음향 발생기(20)의 장착 및 연결 표면(24)의 형성은 다양한 하우징 부분(18a 및 18c) 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인 음향 발생용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연결 표면(24)은, 열적 부하로 인한 용접이 전혀 행해질 수 없는, 음향 발생기(20)의 링크 표면(linking surface)에 대해 평행하게 및/또는 상기 링크 표면의 바로 부근에 위치하게 되는 것인 음향 발생용 조립체.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영역은 동일한 구성요소의 이웃하는 표면들보다 현저하게 타이트한 형상 및/또는 위치상 공차를 갖는 것인 음향 발생용 조립체.
KR1020180104520A 2017-09-07 2018-09-03 배기 시스템을 위한 음향 발생용 조립체 KR201900277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20610.8 2017-09-07
DE102017120610.8A DE102017120610A1 (de) 2017-09-07 2017-09-07 Schallerzeugungsbaugruppe für eine Abgasanl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724A true KR20190027724A (ko) 2019-03-15

Family

ID=65363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520A KR20190027724A (ko) 2017-09-07 2018-09-03 배기 시스템을 위한 음향 발생용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072021A1 (ko)
KR (1) KR20190027724A (ko)
CN (1) CN109469532A (ko)
DE (1) DE1020171206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08934B2 (en) 2019-02-25 2021-12-28 Cummins Emission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ixing exhaust gas and reducta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6856A (en) * 1992-07-07 1994-08-09 Arvin Industries, Inc. Electronic muffler assembly with exhaust bypass
US6005957A (en) 1998-02-27 1999-12-21 Tenneco Automotive Inc. Loudspeaker pressure plate
US7162040B2 (en) 2000-03-30 2007-01-09 Siemens Vdo Automotive, Inc. Mounting assembly for active noise attenuation system
FR2812442B1 (fr) * 2000-07-31 2003-01-24 Ecia Equip Composants Ind Auto Dispositif d'attenuation active des ondes sonores produites par une ligne d'echappement
DE102013222548B3 (de) 2013-11-06 2015-02-19 Eberspächer Exhaust Technology GmbH & Co. KG Aktoranordnung an einem Fahrzeugaufbau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120610A1 (de) 2019-03-07
US20190072021A1 (en) 2019-03-07
CN109469532A (zh) 201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243B1 (ko) 자동차용 음향 전송 시스템 및 음향 전송 시스템을 위한 방법
US9835076B2 (en) Decoupling element for an exhaust system
KR20190027724A (ko) 배기 시스템을 위한 음향 발생용 조립체
US11047289B2 (en) Support structure for exhaust system part
US6324837B1 (en) Uncoupling element for uncoupling vibrations
US4074525A (en) Exhaust device for a combustion engine
JP7098277B2 (ja) エンジン音を低減または生成する車載音生成装置および排気システム
JP2006242107A (ja) 樹脂製シリンダヘッドカバー
JP4546871B2 (ja) 車載エンジンの排気系構造
US8672090B1 (en) Exhaust component with vibration isolated pipe
KR102510724B1 (ko) 차량 배기 시스템용 열차폐 조립체 및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
JP2002161740A (ja) 触媒コンバータのo2センサー取付方法
JP2008064090A (ja) 排気浄化構成要素用のハウジング
JP2005194999A (ja) 自動車用アンダーフロア触媒装置
KR102378054B1 (ko) 차량의 배기음 발생장치
JP2001193450A (ja) エンジンの排気系支持構造
JP4721458B2 (ja) 溶接による遮熱板の取付構造
JP6970002B2 (ja) 質量体付き排気系部品
CN110017204B (zh) 端盖的安装结构
KR100333293B1 (ko) 자동차용 배기파이프의 장착구조
JP2023176665A (ja) 排気装置
JP2018040256A (ja) 配管の振動吸収構造
KR101794845B1 (ko) 배기파이프의 장착구조
JP2002089282A (ja) 遮熱カバーの取付構造
JP2007107466A (ja) 排気管のブラ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