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724B1 - 차량 배기 시스템용 열차폐 조립체 및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 - Google Patents

차량 배기 시스템용 열차폐 조립체 및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724B1
KR102510724B1 KR1020160008241A KR20160008241A KR102510724B1 KR 102510724 B1 KR102510724 B1 KR 102510724B1 KR 1020160008241 A KR1020160008241 A KR 1020160008241A KR 20160008241 A KR20160008241 A KR 20160008241A KR 102510724 B1 KR102510724 B1 KR 102510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hield
exhaust system
housing
attachment point
wire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1283A (ko
Inventor
다비드 사우라트
Original Assignee
포레시아 이미션스 콘트롤 테크놀로지스, 저머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레시아 이미션스 콘트롤 테크놀로지스, 저머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포레시아 이미션스 콘트롤 테크놀로지스,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91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hermal insulation
    • F01N13/141Double-walled exhaust pipe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hermal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082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tailpipe, e.g. with means for mixing air with exhaust for exhaust cooling, dilution or evac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60/0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N2260/2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heat or sound protection, e.g. using a shield or specially shaped outer surface of exhaust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310/00Selection of sound absorbing or insulating material
    • F01N2310/04Metallic wool, e.g. steel wool, copper wool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10/00Surface coverings
    • F01N2510/02Surface coverings for therma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로서, 가스 운반 하우징(22), 하우징(22)의 외측부 상에 안착되는 열차폐부(12) 및 열차폐부(12)와 하우징(22)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련되고 제1 부착 지점(BH)과 제2 부착 지점(BG)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메시(14)를 갖는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가 제시된다. 열차폐부(12)는 와이어 메시(14)가 제1 부착 지점(BH)에 의해 열차폐부에 그리고 제2 부착 지점(BG)에 의해 하우징(22)에 부착되는 것에 의해 와이어 메시(14)를 통해 하우징(22)에 부착되고, 제1 부착 지점(BH)은 제2 부착 지점(BG)으로부터 분리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부착 지점(BG)으로부터 측방으로 오프셋된다.

Description

차량 배기 시스템용 열차폐 조립체 및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HEAT SHIELD ASSEMBLY FOR A VEHICLE EXHAUST SYSTEM AND EXHAUST SYSTEM COMPONENT OF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하우징 및 열차폐부를 갖는, 차량 배기 시스템용 열차폐 조립체 및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배기 시스템에서, 예컨대 배기관, 촉매 컨버터 및/또는 미립자 필터와 같은 개별 구성요소들은 통상적으로, 이러한 구성요소의 주변을 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그리고 구성요소로부터의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열적으로 그리고 음향적으로 격리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배기 시스템의 구성요소의 외측 하우징에 부착되는 열차폐부가 채용된다. 일반적으로, 열차폐부는 하우징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장착되는 얇은 금속 시트로 형성된다.
이것에도 불구하고, 열차폐부는 배기 시스템의 작동 중에 가열될 것이고, 하우징의 진동이 열차폐부로 전달되기 때문에 소음을 발생시킬 것이다.
US 2005/0040576 A1 및 WO 2005/019714 A2는, 스터드 또는 볼트에 의해 하우징에 부착되는 열차폐부를 제안하며, 이 경우, 와이어로 형성된 와셔(washer)가 스터드 또는 볼트의 경계를 정하고 일방향으로의 완충 장치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차폐부의 온도와 또한 열차폐부의 소음 전개를 저감하는 배기 시스템용 열차폐부 및 구성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열차폐부와, 이 열차폐부를 제1 부착 지점에서 배기 시스템에 부착하여 예조립 유닛을 형성하고 하우징에 대한 부착을 위한 제2 부착 지점 - 제1 부착 지점과는 별개임 - 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메시(wire mesh)를 포함하는 차량 배기 시스템용 열차폐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와이어 메시는 열차폐부에 부착되어 예조립 유닛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와이어 메시를 사용하여 열차폐부를 하우징에 부착하는 것이 열차폐부를 하우징으로부터 열적으로 그리고 또한 기계적으로 보다 양호하게 분리한다는 기본 사상에 기초한다. 열차폐부가 와이어 메시에 의해 하우징에 부착되는 경우, 열차폐부는 하우징과의 강성의 큰 표면의 연결부에 비해 훨씬 더 적은 정도로만 가열될 것이다. 와셔가 완충 장치로서 사용되는 상기한 종래 기술과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단지 열차폐부를 모든 공간 방향으로 하우징에 유지하는 데에만 메시를 사용하는데, 즉 메시는 제1 부착 지점과 제2 부착 지점 사이에서 모든 힘을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부착 지점은 메시의 특정 부분을 열차폐부와 하우징에 확실하게 부착시킨다. 부착 지점들은 서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 수단이 아니라 메시가 부착 지점들 사이에서 모든 힘을 모든 공간방향으로 전달해야만 한다.
더욱이, 열차폐 조립체에 와이어 메시를 직접 부착함으로써, 간단한 방식으로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는 예조립 유닛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조비 절감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와이어 메시는 물질간 접합에 의해 및/또는 상호 잠금식 끼워맞춤(interlocking fit)을 사용하여, 특히 스폿 용접과 같은 용접, 납땜, 브레이징, 크림핑(crimping), 접착제 접합 및/또는 스테이플링/태킹(tacking)에 의해 열차폐부에 부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와이어 메시는 효율적으로 그리고 내구성 있게 열차폐부와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와이어 메시는 열차폐부의 에지를 넘어 측방으로 돌출하며, 이에 따라 열차폐 조립체는 간단하게 하우징에 장착된다.
또한, 진동이 와이어 메시에 의해 감소되며, 열차폐부로 전달되지 않고, 이에 따라 소음 방출도 또한 저감된다. 더욱이, 열차폐부와 하우징 사이에서의 와이어 메시의 사용은 하우징과 열차폐부 사이의 기계적 응력 - 하우징 재료와 열차폐부 재료의 상이한 팽창계수로 인해서 나타날 수 있음 - 을 방지한다.
상기 목적은 또한, 가스 운반 하우징, 하우징의 외측부에 안착되는 열차폐부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차폐부와 하우징 사이에 마련되고 제 부착 지점과 제2 부착 지점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메시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로서, 열차폐부는, 와이어 메시가 제1 부착 지점에 의해 열차폐부에 그리고 제2 부착 지점에 의해 하우징에 부착되는 것에 의해 와이어 메시를 통해 하우징에 부착되고, 제1 부착 지점은 제2 부착 지점으로부터 분리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부착 지점으로부터 측방으로 오프셋된 것인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에 의해 달성된다. 이미 언급한 장점에 더하여, 이것은 제1 부착 지점과 제2 부착 지점이 공간적으로 서로 분리되도록 하고, 열차폐부의 하우징으로부터의 열적 그리고 음향적 격리가 증대되도록 하며, 와이어 메시를 열차폐부와 하우징 사이의 탄성 버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초래한다.
여기에서는, 열차폐부가 와이어 메시에 의해서만 하우징에 부착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이것은 열적 그리고 음향적 격리 효과를 향상시킨다.
예컨대, 열차폐부는 제1 부착 지점에서 폐쇄되며, 이에 의해 열차폐부 내로의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제조비가 절감된다.
바람직하게는, 열차폐부는 기본적으로 하우징의 형상에 맞춰지며, 이것은 이용 가능한 설치 공간의 최적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일실시예에서, 와이어 메시는 스트립 형태이며 및/또는 복수 개의 와이어 메시가 준비되는데, 이것은 사용되는 와이어 메시의 양을 저감하게 한다. 이것은 비용 절감과 향상된 열적 그리고 음향적 격리 모두를 초래한다.
예컨대, 열차폐부는 에지를 갖고, 이 열차폐부의 에지 영역에 와이어 메시들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거나, 보다 구체적으로는 와이어 메시들 중 적어도 하나가 에지를 따라 연장된다.
와이어 메시는 하우징 상에서 열차폐부의 에지를 넘어 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이것은 열차폐부의 조립을 간단하게 한다.
예컨대, 제2 부착 지점은, 열차폐부의 에지를 넘어 연장되는, 즉 열차폐부에 의해 덮이지 않는 와이어 메시 영역에 마련되며, 이에 의해 열적 그리고 음향적 격리가 더욱 향상된다. 열차폐부의 나머지 부분과 비교하여, 열차폐부의 에지는 하우징을 향해 각지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랜지 형태일 수 있으므로, 열차폐부가 간단한 방식으로 장착되게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에지"라는 용어는 또한 열차폐부의 에지에 인접한 열차폐부의 부분, 즉 에지 부분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열차폐부와 하우징 사이에 격리 공동이 형성되고, 이 격리 공동은 열차폐부의 열적 격리 효과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하나의 변형 구성에서, 제1 부착 지점과 제2 부착 지점은 하우징의 표면에 대해 수직한 법선 상에 배열되며, 이것은 하우징에 대한 와이어 메시와 열차폐부 양자 모두의 간단한 장착을 보장하는데, 그 이유는 하우징이 와이어 메시 부착 프로세스와 차폐부 부착 프로세스 간에 이동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서, 제1 부착 지점과 제2 부착 지점은 하우징의 표면에 대한 법선 방향으로 봤을 때에 서로에 대해 측방으로 오프셋되어 배열되며, 그 결과 2개의 부착 지점 사이의 거리가 증대되고, 이에 따라 하우징과 열차폐부 간의 열적 및 음향적 분리 그리고 또한 기계적 분리가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구성에서, 와이어 메시는 물질간 접합에 의해 및/또는 상호 잠금식 끼워맞춤을 사용하여, 특히 스폿 용접과 같은 용접, 납땜, 브레이징, 크림핑, 접착제 접합 및/또는 스테이플링/태킹에 의해 하우징에 부착되고/되거나 물질간 접합에 의해 및/또는 상호 잠금식 끼워맞춤을 사용하여, 특히 스폿 용접과 같은 용접, 납땜, 브레이징, 크림핑, 접착제 접합 및/또는 스테이플링/태킹에 의해 저가의 충분히 검증된 결합 방법을 사용하여 열차폐부에 부착된다.
격리 재료가 열차폐부와 하우징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격리 공동 내에 마련되며, 이에 의해 열차폐부에 대한 하우징의 열적 격리가 더욱 향상된다.
격리 재료가 클램핑 방식으로 격리 공동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은, 예컨대 가스 운반 파이프, 촉매 컨버터의 하우징 및/또는 미립자 필터의 하우징이기 때문에, 배기 시스템의 이들 부분의 내부에서의 온도의 보다 정확한 제어를 허용한다.
또한, 열차폐부는 하우징 둘레에서 특히 반부 쉘로서 둘레방향으로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상의 가능한 격리를 보장한다.
열차폐부를 천공하는 것도 또한 고려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 열차폐부는 통상 성형 금속 시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차폐부의 온도와 또한 열차폐부의 소음 전개를 저감하는 배기 시스템용 열차폐부 및 구성요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피쳐 및 장점은 아래의 설명과 참고로 하는 첨부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폐 조립체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 중 도 4의 선 Ⅱ-Ⅱ을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4에서의 화살표 X 방향으로 본, 도 2에 따른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4는 도 2에 따른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의 제2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따른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의 제3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따른 제3 실시예를 관통하는 종방항 단면도.
도 1은 차량 배기 시스템용 열차폐 조립체를 보여준다. 열차폐 조립체(10)는 와이어 메시(14)가 부착된 열차폐부(12)를 포함한다.
열차폐부(12)는 와이어 메시(14)와 함께 예조립 유닛을 구성한다.
예컨대, 열차폐부(12)는 두께가 0.14 mm 내지 0.5 mm인 성형 금속 시트로 형성되며, 천공될 수 있다. 열차폐부(12)의 형상은 여기에서는 기본적으로 열차폐부가 장착되는 구성요소의 형상을 따른다.
제1 실시예에서, 열차폐부(12)의 에지(16)는 각지며, 이에 의해 에지(16)는 플랜지(18)로서 구성된다.
와이어 메시(14)는 제1 부착 지점(BH)에서 플랜지(18)에 부착된다.
와이어 메시(14)는 열차폐부(12)의 전체 에지(16) 또는 플랜지(18)를 따라 균일하게 분배되며, 이에 따라 서로 분리된 섬을 구성한다. 열차폐부의 에지(16)는 여기에서는 와이어 메시(14)들 사이에서 하강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총안상(銃眼狀) 구조를 얻을 수 있지만(도 3 참고),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와이어 메시(14)는 열차폐부(12)의 에지(16)를 넘어 부분적으로 돌출하며, 이에 의해 와이어 메시(14)가 부분적으로 노출되는데, 즉 열차폐부에 의해 덮이지 않는다.
와이어 메시(14)는 물질간 접합 및/또는 상호 잠금식 끼워맞춤, 특히 스폿 용접과 같은 용접, 납땜, 브레이징, 크림핑, 접착제 접합 및/또는 스테이플링/태킹에 의해 열차폐부(12)에 부착될 수 있다.
열차폐부(12) 자체는 제1 부착 지점(BH)에서의 와이어 메시(14)와 열차폐부(12)가 폐쇄되는데, 즉 열차폐부는 보어 구멍, 나사 또는 유사한 체결 수단을 갖지 않는다.
도 2는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20)의 제1 실시예의 단면을 예시한다.
열차폐부(12)와 와이어 메시(14), 즉 도 1에 따른 열차폐 조립체(10)에 더하여,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20)는 가스 운반 하우징(22)을 포함한다.
하우징(22)은 배기 시스템의 부분이며, 차량의 작동 중에 배기 가스가 도 4의 화살표 X 방향으로 하우징(22)을 통과하여 흐른다. 하우징(22)은, 예컨대 촉매 컨버터(도시하지 않음)의 하우징 및/또는 미립자 필터(도시하지 않음)의 하우징이며, 하우징(22) 내에 베어링 매트를 통해 모노리스(monolith)가 예컨대 클램핑된다.
열차폐부는 또한, 예컨대 디젤 배기 유체[애드블루(AdBlue)]를 위한 주입 노즐, 정적 믹서 및 혼합 섹션과 하류에 연결되는 촉매 컨버터를 구비하는 SCR 시스템의 외측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차폐할 수도 있다. SCR 시스템의 상기한 부분들 중 적어도 몇몇은 여기에서는 하우징(2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열차폐부(12)는 와이어 메시(14)에 의해 외부에서 하우징(22)에 부착되며, 기본적으로 하우징(22)의 형상을 갖는다.
열차폐부(12)는 단지 와이어 메시(14)를 통해서만 하우징(22)에 부착될 수 있다.
와이어 메시(14)는 과장된 두께로 도시되어 있다; 실제로는, 평면형 와이어 메시가 그 편평한 면에 의해 하우징(22)에 대해 지지된다.
와이어 메시(14)는 제2 부착 지점(BG)에서 하우징(22)에 부착되며; 그러한 부착도 또한 물질간 접합 및/또는 상호 잠금식 끼워맞춤, 특히 스폿 용접과 같은 용접, 납땜, 브레이징, 크림핑, 접착제 접합 및/또는 스테이플링/태킹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와이어 메시(14)는 열차폐부(12)를 하우징(22)에 대해 모든 공간 방향으로 유지하는데, 즉 와이어 메시(14)는 제1 부착 지점과 제2 부착 지점 사이에서 모든 힘을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1 부착 지점과 제2 부착 지점은 와이어 메시의 특정 부분을 열차폐부(12)와 하우징(22) 각각에 확실하게 부착시킨다. 부착 지점들이 서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 수단이 아니라 와이어 메시(14)가 부착 지점들 사이에서 모든 힘을 모든 공간 방향으로 전달해야만 한다.
열차폐부(12)의 나머지 부분과는 대조적으로, 열차폐부(12)의 에지(16) 또는 플랜지(18)가 하우징(22)을 향해 각져 있다는 점에서 열차폐부(12)와 하우징(22) 사이에 격리 공동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격리 공동(24)은, 하우징(22)과 열차폐부(12) 사이에, 예컨대 클램핑되는 격리 재료(26)로 충전될 수 있다.
열차폐부(12)를 부착하기 위해, 와이어 메시(14)는 각각 제1 부착 지점(BH)에서 열차폐부(12)에 그리고 제2 부착 지점(BG)에서 하우징(22)에 각각 부착된다.
제1 부착 지점(BH)은 각각 제2 부착 지점(BG)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되는데, 즉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부착 지점(BH)과 제2 부착 지점(BG)을 연결하는 용접 시임이 존재하지 않는다.
제2 부착 지점(BG)은 각각, 하우징(22) 상에서 열차폐부(12)의 에지(16) 또는 플랜지(18)를 넘어 측방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메시(14)의 영역에 배열된다. 와이어 메시(14)의 이 영역은 열차폐부(12)에 의해 덮이지 않는다.
도 3에서 잘 볼 수 있다시피, 이러한 배열은, 제1 부착 지점(BH)과 제2 부착 지점(BG)이, 제2 부착 지점(BG)이 위치하는 하우징(22)의 표면에 대한 법선 방향(N)으로 서로에 대해 측방으로 오프셋되도록 배치되게 한다. 제2 부착 지점의 이러한 배열(BG)은, 열차폐 조립체(10)가 예조립 유닛으로서 별개로 마련되는 경우에 열차폐 조립체(10)가 간단한 방식으로 하우징(22)에 장착되도록 하는데, 그 이유는 와이어 메시(14)의 일부가 열차폐부(12)에 의해 덮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열차폐부(12)와 하우징(22)의 상이한 열팽창계수가 와이어 메시(14)에 의해 보상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상이한 팽창 정도가 와이어 메시(14)에 의해 상쇄되기 때문이다.
또한, 하우징(22)에서 열차폐부(12)로의 열전달과 진동 전달은 단지 와이어 메시(14)에 의해서만 일어날 수 있지만, 와이어 메시는 불량한 열전도체이고 또한 음향 진동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열차폐부(12)는 하우징으로부터 열적으로 그리고 음향적으로 격리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장점은 제2 부착 지점(BG)과 제1 부착 지점 사이(BH)의 비교적 큰 거리이며, 이것은 바로 위에서 설명한 와이어 메시(14)의 격리 효과를 강화한다. 보다 큰 거리는 부착 지점(BH, BG)들의 측방 오프셋에 의해 형성된다.
도 5는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20)의 제2 실시예를 예시한다. 제2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도 2에 따른 실시예에 대응하며,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동일한 부분들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된다. 아래에서는, 차이점만을 설명하겠다.
도 5 및 도 6에 따른 제2 실시예에서, 스트립 또는 비드와 같이 성형된 단지 하나의 와이어 메시(14)만이 마련된다.
과도한 두께로 예시된 와이어 메시(14)가 여기에서도 또한 열차폐부(12)의 에지(16)를 따라 연장된다.
이 제2 실시예에서, 열차폐부(12)의 에지(16)는 더 이상 플랜지로서 형성되지 않고, 열차폐부(12)와 나머지 부분과 함께 편평하게 형성된다; 이에 관하여, 실시예의 피쳐(feature)도 또한 교환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메시(14)는, 예컨대 열차폐부(12)의 에지(16)를 넘어 연장되지 않으며, 이것은 선택적인 피쳐로서 이해되어야만 한다. 도 5 및 도 6에서 볼 수 있다시피, 각각의 제1 부착 지점(BH)은, 상하로 그리고 하우징(22)의 표면에 수직한 법선 상에 배열되는 제2 부착 지점(BG)과 연관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20)를 제조하기 위해, 우선 와이어 메시(14)가 하우징(22)에 부착된다.
후속하여, 단지 열차폐부(12)가 와이어 메시(14)에 부착된다.
제2 실시예에서는 또한, 내부에 격리 재료(26)를 마련하기 위한 격리 공동(24)이 하우징(22)과 열차폐부(12) 사이에 생성된다.
와이어 메시(14)가 열차폐부(12)의 에지(16)를 넘어 돌출하지 않고 열차페부(12)가 플랜지를 갖지 않는다는 사실로 인해, 제2 실시예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20)는 제1 실시예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에 비해 보다 콤팩트하고, 이에 따라 더 작은 설치 공간을 요한다.
도 7 및 도 8은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20)의 제3 실시예를 예시한다. 제3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선행 실시예에 대응하며,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동일한 부분들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된다. 아래에서는, 차이점만을 설명하겠다.
제3 실시예에서, 하우징(22)은 가스 운반 파이프로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열차폐부(12)는, 하우징(22)을 둘레방향으로 에워싸는 2개의 반부(半部) 쉘 형태이다.
이에 따라, 열차폐부(12)는 둘레방향으로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폐쇄된다. 단지 반부 쉘의 플랜지의 보다 명확한 예시를 위해서 반부 쉘들이 이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열차폐부(12)와 하우징(22) 사이의 격리 공동(24)은 격리 재료(26)로 충전된다.
원한다면, 여러 실시예들의 피쳐들이 원하는 대로 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한 실시예는 그 피쳐들의 조합에 관하여 단지 예로서 이해되어야만 한다.

Claims (20)

  1. 차량 배기 시스템용 열차폐 조립체로서, 열차폐부(12)와, 열차폐부(12)를 차량 배기 시스템에 부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메시(14)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메시(14)는 제1 부착 지점(BH)에서 열차폐부(12)에 부착되어 예조립 유닛을 형성하고 하우징에 대한 부착을 위한 제2 부착 지점(BG)을 가지며, 상기 제1 부착 지점(BH)은 상기 제2 부착 지점(BG)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열차폐부(12)는 에지(16)를 가지며,
    상기 제2 부착 지점(BG)은,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열차폐부(12)의 에지(16)를 넘어 연장되어 상기 열차폐부(12)에 의해 덮이지 않는 와이어 메시(14)의 영역에 마련되는 것인 차량 배기 시스템용 열차폐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메시(14)는 물질간 접합과 상호 잠금식 끼워맞춤(interlocking fit)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제1 부착 지점(BH)에서 열차폐부(12)에 부착되는 것인 차량 배기 시스템용 열차폐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메시(14)는 용접, 납땜, 브레이징, 크림핑(crimping), 접착제 접합, 스테이플링(stapling) 및 태킹(tacking)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열차폐부(12)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기 시스템용 열차폐 조립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메시(14)는 열차폐부(12)의 에지(16)를 넘어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기 시스템용 열차폐 조립체.
  5.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로서, 가스 운반 하우징(22), 하우징(22)의 외측부 상에 안착되는 열차폐부(12) 및 열차폐부(12)와 하우징(22)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련되고 제1 부착 지점(BH)과 제2 부착 지점(BG)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메시(14)를 포함하고, 상기 열차폐부(12)는 와이어 메시(14)가 제1 부착 지점(BH)에 의해 열차폐부(12)에 그리고 제2 부착 지점(BG)에 의해 하우징(22)에 부착되는 것에 의해 와이어 메시(14)를 통해 하우징(22)에 부착되고, 상기 제1 부착 지점(BH)은 상기 제2 부착 지점(BG)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열차폐부(12)는 에지(16)를 갖고,
    상기 제2 부착 지점(BG)은,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열차폐부(12)의 에지(16)를 넘어 연장되어 상기 열차폐부(12)에 의해 덮이지 않는 와이어 메시(14)의 영역에 마련되는 것인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폐부(12)는 제1 부착 지점(BH)에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폐부(12)는 하우징(22)의 형상에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메시(14)는 스트립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
  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별개의 와이어 메시(14)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
  10.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메시(14)들 중 적어도 하나는 열차폐부(12)의 에지(16) 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메시는 에지(16)를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메시(14)는 하우징(22) 상에서 열차폐부(12)의 에지(16)를 넘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폐부(12)의 나머지 부분과 비교하여, 열차폐부(12)의 에지(16)는 하우징(22)을 향해 각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
  15.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폐부(12)와 하우징(22) 사이에 격리 공동(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
  16.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 지점(BH)과 제2 부착 지점(BG)은 하우징(22)의 표면에 수직한 법선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
  1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 지점(BH)과 제2 부착 지점(BG)은 하우징(22)의 표면에 대한 법선 방향으로 봤을 때에 서로에 대해 측방으로 오프셋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
  1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메시(14)는 물질간 접합 그리고 상호 잠금식 끼워맞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하우징(22)과 열차폐부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메시(14)는 용접, 납땜, 브레이징, 크림핑, 접착제 접합, 스테이플링 및 태킹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하우징(22)과 열차폐부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
  20.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폐부(12)와 하우징(22) 사이에 격리 재료(26)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
KR1020160008241A 2015-01-23 2016-01-22 차량 배기 시스템용 열차폐 조립체 및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 KR102510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00994.3A DE102015100994A1 (de) 2015-01-23 2015-01-23 Hitzeschildbaugruppe für eine Fahrzeugabgasanlage sowie Abgasanlagenbauteil eines Kraftfahrzeugs
DE102015100994.3 2015-0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283A KR20160091283A (ko) 2016-08-02
KR102510724B1 true KR102510724B1 (ko) 2023-03-15

Family

ID=56364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241A KR102510724B1 (ko) 2015-01-23 2016-01-22 차량 배기 시스템용 열차폐 조립체 및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65669B2 (ko)
KR (1) KR102510724B1 (ko)
CN (1) CN105822401B (ko)
DE (1) DE102015100994A1 (ko)
FR (1) FR30320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9412B (en) * 2017-02-06 2019-05-15 Ford Global Tech Llc Heatshield for a band clamp
WO2018187579A1 (en) 2017-04-05 2018-10-11 Zephyros, Inc. Thermal insulator and tie rope for thermal insulator for high temperature area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2441A (ja) * 2007-08-24 2009-03-12 Toyota Motor Corp 排気浄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41987A5 (ko) 1973-08-22 1975-03-21 Citroen Sa
JPS51116323A (en) * 1975-04-04 1976-10-13 Nissan Motor Co Ltd Heat shading device of exhaust system
JPS5424356A (en) * 1977-07-25 1979-02-23 Toyota Motor Corp Nonvibratory heat shield
US5036947A (en) 1990-05-21 1991-08-06 Metzger Jeffrey S Exhaust pipe shield
JP2521192B2 (ja) * 1991-01-28 1996-07-31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車両用排気管の支持方法とそれを実施するための構造
DE4437380A1 (de) 1994-01-07 1995-07-13 Eberspaecher J Luftspaltisoliertes Abgasroh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EP0662564B2 (de) 1994-01-07 2001-09-26 J. Eberspächer GmbH & Co. Luftspaltisoliertes Abgasroh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H0828257A (ja) * 1994-07-11 1996-01-30 Toyota Motor Corp 二重排気管
JP3984308B2 (ja) * 1996-02-21 2007-10-03 イビデン株式会社 内燃機関の消音器
DE19917604C5 (de) * 1998-04-20 2009-09-10 Honda Giken Kogyo K.K. Wärmeisolierter Abgaskrümmer
DE19918301C1 (de) 1999-04-22 2000-10-26 Zeuna Staerker Kg Teilsystem einer Abgas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JP4582836B2 (ja) * 1999-09-03 2010-11-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遮熱板の取付構造
US6318734B1 (en) * 1999-12-21 2001-11-20 Dana Corporation Gasket with integral support
US6598389B2 (en) * 2001-06-12 2003-07-29 Dana Corporation Insulated heat shield
JP2003074339A (ja) * 2001-06-18 2003-03-12 Calsonic Kansei Corp 二重管エキゾーストマニホールド
US6510833B1 (en) * 2001-12-20 2003-01-28 American Diesel & Gas, Inc. Fuel saving combustion engine insulation method and system
JP4089264B2 (ja) 2002-04-03 2008-05-28 三和パッキング工業株式会社 ガスケット一体型ヒートインシュレータ
JP4188108B2 (ja) * 2003-03-10 2008-11-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消音器
US20050019714A1 (en) 2003-07-24 2005-01-27 David Platts Plasma catalytic fuel injector for enhanced combustion
WO2005019714A2 (en) * 2003-08-12 2005-03-03 Ogg Harding Machine, Inc. Heat shield retainer assembly
US20050040576A1 (en) * 2003-08-20 2005-02-24 Ernest Oxenknecht Multi-axis isolator and assembly for the same
JP4398222B2 (ja) * 2003-10-29 2010-01-13 ニチアス株式会社 防振遮熱板
FR2883032B1 (fr) * 2005-03-11 2010-08-13 Faurecia Sys Echappement Collecteur de gaz d'echappement
US7784585B2 (en) * 2005-04-05 2010-08-31 Acs Industries, Inc. Wire mesh heat shield isolator
US20070098954A1 (en) * 2005-11-01 2007-05-03 Kozerski Richard J Plastic/metal hybrid engine shield
DE102007062662A1 (de) * 2007-12-24 2009-06-25 J. Eberspächer GmbH & Co. KG Schiebesitz und Abgasbehandlungseinrichtung
DE102007062663A1 (de) * 2007-12-24 2009-06-25 J. Eberspächer GmbH & Co. KG Schiebesitz sowie Rohranordnung und Abgasbehandlungseinrichtung
CN201221396Y (zh) 2008-06-06 2009-04-15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隔热装置
CN201273208Y (zh) 2008-08-08 2009-07-15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排气系统隔热结构
US8870510B2 (en) * 2008-11-28 2014-10-28 Acs Industries, Inc. Wire mesh rivet
DE102009012383A1 (de) 2009-03-09 2010-09-23 Federal-Mogul Sealing Systems Gmbh Temperatur-Schwingungsentkoppelelement
CN101696650A (zh) 2009-10-23 2010-04-2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排气歧管垫的隔热结构
CN201554532U (zh) 2009-11-25 2010-08-18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消声器
DE202011001963U1 (de) 2011-01-26 2012-01-27 Reinz-Dichtungs-Gmbh Hitzeschild
CN201972772U (zh) 2011-01-28 2011-09-14 襄樊康豪机电工程有限公司 发动机排气隔热罩
DE202011004619U1 (de) 2011-03-30 2012-04-02 Reinz-Dichtungs-Gmbh Hitzeschild
CN202202934U (zh) 2011-07-28 2012-04-2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消声装置
US8650864B2 (en) * 2011-10-19 2014-02-18 Indmar Products Company Inc. Combination liquid-cooled exhaust manifold assembly and catalytic converter assembly for a marine engine
DE202011109219U1 (de) 2011-12-16 2012-12-19 Reinz-Dichtungs-Gmbh Hitzeschild
US10508583B2 (en) 2012-08-30 2019-12-17 Bosal Emission Control Systems Nv Composite exhaust element
CN103899397A (zh) 2012-12-26 2014-07-02 上海申龙客车有限公司 一种客车消声器隔热罩
DE202013006767U1 (de) 2013-07-26 2014-07-28 Reinz-Dichtungs-Gmbh Hitzeschild
US9469188B2 (en) * 2013-11-13 2016-10-18 Komatsu Ltd. Work vehicle
US9566552B2 (en) * 2014-04-07 2017-02-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emperature maintenance and regulation of vehicle exhaust catalyst systems with phase change materials
DE102014217058A1 (de) * 2014-08-27 2016-03-03 Eberspächer Exhaust Technology GmbH & Co. KG Schalldämpfer
US9856776B1 (en) * 2016-09-15 2018-01-02 Caterpillar Inc. Muffler with double shell hous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2441A (ja) * 2007-08-24 2009-03-12 Toyota Motor Corp 排気浄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32007B1 (fr) 2019-07-19
DE102015100994A1 (de) 2016-07-28
KR20160091283A (ko) 2016-08-02
CN105822401A (zh) 2016-08-03
US20160215676A1 (en) 2016-07-28
CN105822401B (zh) 2021-12-28
US11365669B2 (en) 2022-06-21
FR3032007A1 (fr) 2016-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50222A1 (en) One piece catalytic converter with integral exhaust manifold
KR101698733B1 (ko) 배기 아이솔레이터
US20190101041A1 (en) Heat shield with insulated doser and sensor mount areas for a vehicle exhaust component
JP2002276356A (ja) 車載用エンジンの排気構造
US6789386B1 (en) Exhaust gas manifold
US7434390B2 (en) Air-gap-insulated exhaust manifold
JP4941126B2 (ja) 遮音カバー
US8490745B2 (en) Exhaust system component
KR102510724B1 (ko) 차량 배기 시스템용 열차폐 조립체 및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
RU2653715C2 (ru) Компонент системы отвода выхлопных газов для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мпонента системы отвода выхлопных газов
US8672090B1 (en) Exhaust component with vibration isolated pipe
JP5922620B2 (ja) 排気系部品への遮熱カバーの防振取り付け構造
AU2016201400B2 (en) Heat insulator
JP5283358B2 (ja) 排気浄化構成要素用のハウジング
US6811159B2 (en) Gasket and heat shield for a flanged joint
JP3899833B2 (ja) エンジンの排気系構造
JP2007113479A (ja) 遮熱板
JP6970002B2 (ja) 質量体付き排気系部品
JP4721458B2 (ja) 溶接による遮熱板の取付構造
US20100012421A1 (en) Housing For A Component of An Exhaust System, and Such a Component
JP2023141017A (ja) 排気管の遮熱構造
KR101076139B1 (ko) 차량 배기장치용 마운팅 장치
JP5988165B2 (ja) 排気系部品への遮熱カバーの防振取り付け構造
JP2023176665A (ja) 排気装置
JP2023058851A (ja) 排気管の断熱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