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544B1 - 주행성능이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주행성능이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544B1
KR102560544B1 KR1020210077508A KR20210077508A KR102560544B1 KR 102560544 B1 KR102560544 B1 KR 102560544B1 KR 1020210077508 A KR1020210077508 A KR 1020210077508A KR 20210077508 A KR20210077508 A KR 20210077508A KR 102560544 B1 KR102560544 B1 KR 102560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ply
pneumatic tire
cap
ply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8019A (ko
Inventor
김우강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7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544B1/ko
Publication of KR20220168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B60C9/20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B60C9/20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 B60C2009/2012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with particular configuration of the belt cords in the respective belt layers
    • B60C2009/2022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with particular configuration of the belt cords in the respective belt layers comprising cords at an angle of 60 to 90 degrees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B60C9/20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 B60C2009/2012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with particular configuration of the belt cords in the respective belt layers
    • B60C2009/2025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with particular configuration of the belt cords in the respective belt layers with angle different or variable in the same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플라이의 와인딩 방법을 개선함으로써, 주행시 노면과의 접지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서 안정적인 코너링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주행성능이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행성능이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는, 스틸벨트(14) 및 상기 스틸벨트(14)를 덮는 캡플라이(15A)(15B)(15C)(15D)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캡플라이(15A)(15B)(15C)(15D)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10)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와인딩되는 제1캡플라이(15A)와, 상기 제1캡플라이(15A)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와인딩되어 상기 제1캡플라이(15A)와 교차하는 제2캡플라이(15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행성능이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PNEUMATIC TIRES WITH IMPROVED DRIVING PERFORMANCE}
본 발명은 캡플라이의 와인딩 방법을 개선함으로써, 주행시 노면과의 접지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안정적인 코너링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주행성능이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입 타이어(이하, '타이어'라고 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구조를 갖는다.
상기 타이어(110)는 노면에 접하는 트레드(111)와, 상기 트레드(111)의 측면에 위치하는 사이드월(112)와, 상기 타이어(110)의 골격을 이루는 바디플라이(113)와, 상기 바디플라이(113)의 상부에 구비되는 스틸벨트(114)와, 상기 트레드(111)와 상기 스틸벨트(114)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스틸벨트(114)의 상부를 덮는 캡플라이(115)와, 상기 바디플라이(113)의 내측면에 기밀을 위한 인너라이너(116)를 포함한다.
상기 캡플라이(115)는 상기 스틸벨트(114)의 이탈을 방지하고, 내구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캡플라이(115)가 상기 타이어(110)의 둘레방향과 평행하게 와인딩(winding)된다. 도 2에 상기 트레드(111)를 성형하기 전의 캡플라이(115)와 스틸벨트(114)를 도시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캡플라이(115)는 상기 타이어(110)의 둘레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스틸벨트(114)를 덮고, 상기 사이드월(112)에 가까운 영역에서는 상기 캡플라이(115)가 오버랩되어 캡플라이오버랩(115a)을 형성한다.
상기 캡플라이(115)는 상기 타이어(110)의 둘레방향과 평행하게 와인딩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시 상기 타이어(110)의 열팽창으로 인하여, 접지형상이 변하고, 이는 초기의 주행 성능을 유지하지 못하도록 한다. 아울러, 코너링시에도 안정적인 주행 성능을 확보하기 어려웠다.
KR 20-0304940 Y1 (2003.02.07, 명칭 : 벨트-캡플라이층을 구비한 공기압 타이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주행중 스틸벨트의 원심력을 억제하여 내구성능이 향상되고, 열팽창으로 인한 노면 접지 형상의 변형을 억제한 주행성능이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행성능이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는, 스틸벨트, 및 상기 스틸벨트를 덮는 캡플라이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캡플라이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와인딩되는 제1캡플라이와, 상기 제1캡플라이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와인딩되어 상기 제1캡플라이와 교차하는 제2캡플라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캡플라이와 상기 제2캡플라이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에서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축방향 외측 단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구간내에서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플라이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축방향 외측에서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주행방향으로 와인딩되는 제3캡플라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캡플라이는, 상기 제1캡플라이 또는 상기 제2캡플라이와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축방향으로 정해진 구간내에서 서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캡플라이 중에서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축방향으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3캡플라이는, 상기 제1캡플라이와 상기 제2캡플라이가 서로 교차하여 형성하는 교차영역 중에서,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축방향으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교차영역에서 상기 제1캡플라이와 상기 제2캡플라이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캡플라이 중에서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축방향으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3캡플라이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축방향으로 가장 외측에서 서로 교차하는 상기 제1캡플라이와 상기 제2캡플라이가 배치된 축방향 구간 내의 40% 내지 60% 구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플라이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축방향 내측에서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주행방향으로 와인딩되는 제4캡플라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캡플라이 중에서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축방향으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제4캡플라이는, 상기 제1캡플라이 중에서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축방향으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제1캡플라이 또는 상기 제2캡플라이 중에서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축방향으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제2캡플라이 보다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캡플라이와 상기 제2캡플라이는 20도 내지 45도로 서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주행성능이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에 따르면, 내구성능이 향상되고, 열팽창으로 인한 타이어의 변형이 감소됨으로써, 고속 주행시 노면에 접지되는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고속 주행 성능 및 내구 성능이 향상된다.
아울러, 고속 선회 주행 성능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에서 트레드 성형전의 캡플라이와 스틸벨트를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행성능이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에서 트레드 성형전의 캡플라이와 스틸벨트를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행성능이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행성능이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는, 스틸벨트(14) 및 상기 스틸벨트(14)를 덮는 캡플라이(15A)(15B)(15C)(15D)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에서, 상기 캡플라이(15A)(15B)(15C)(15D)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10)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와인딩되는 제1캡플라이(15A)와, 상기 제1캡플라이(15A)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와인딩되어 상기 제1캡플라이(15A)와 교차하는 제2캡플라이(15B)를 포함한다.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입 타이어(이하, '타이어'라고 함)은 상기 타이어(10)의 골격 역할을 하는 바디플라이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스틸벨트(14)와, 상기 스틸벨트(14)를 덮어 스틸벨트(14)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플라이(15A)(15B)(15C)(15D)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주행시 열팽창에 의해 상기 타이어(10)가 노면과의 접지형상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캡플라이(15A)(15B)(15C)(15D)중 일부 캡플라이(15A)(15B)를 경사지게 와인딩한다.
상기 제1캡플라이(15A)와 상기 제2캡플라이(15B)는 상기 타이어(10)에서 상기 타이어(10)의 축방향 외측단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구간내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한다. 도 3에서, 상기 타이어(10)의 축방향 외측단부로부터 내측단부를 향하여 미리 설정된 구간이 A구간 내에서, 상기 제1캡플라이(15A)와 상기 제2캡플라이(15B)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되어 와인딩된다.
상기 A구간 내에서 일정 폭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1캡플라이(15A)는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되어 와인딩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2캡플라이(15B)도 일정 폭으로 이루어져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되어 와인딩된다.
상기 제1캡플라이(15A)와 상기 제2캡플라이(15B)가 이루는 각도(α)는 대략 20도 내지 45도가 될 수 있고, 상기 각도(α)로 상기 제1캡플라이(15A)와 상기 제2캡플라이(15B)는 서로 교차한다.
한편, 상기 타이어(10)에서 상기 타이어(10)의 축방향의 내측과 외측에는 상기 타이어(10)의 주행방향으로 캡플라이(15A)(15B)(15C)(15D)가 와인딩되도록 한다. 즉, 상기 타이어(10)의 축방향 외측에서 상기 타이어(10)의 주행방향으로 와인딩되는 제3캡플라이(15C)와, 상기 타이어(10)의 축방향 내측에서 상기 타이어(10)의 주행방향으로 와인딩되는 제4캡플라이(15D)가 와인딩된다.
이때, 상기 제3캡플라이(15C)는, 상기 제1캡플라이(15A) 또는 상기 제2캡플라이(15B)와 상기 타이어(10)의 축방향으로 정해진 구간내에서 서로 중첩된다. 도 3을 보면, 상기 제1캡플라이(15A) 또는 상기 제2캡플라이(15B)가 와인딩되는 구간인 구간 A와 상기 제3캡플라이(15C)가 와인딩되는 구간인 구간 B가 구간 E에서 중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3캡플라이(15C) 중에서 상기 타이어(10)의 축방향으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3캡플라이(15C)는, 상기 제1캡플라이(15A)와 상기 제2캡플라이(15B)가 서로 교차하여 형성하는 교차영역 중에서, 상기 타이어(10)의 축방향으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교차영역(F)에서 상기 제1캡플라이(15A)와 상기 제2캡플라이(15B)와 중첩된다.
특히, 상기 제3캡플라이(15C)는 상기 타이어(10)의 축방향으로 가장 외측에서 서로 교차하는 상기 제1캡플라이(15A)와 상기 제2캡플라이(15B)의 중심부분을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캡플라이(15C) 중에서 상기 타이어(10)의 축방향으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3캡플라이(15C)는, 상기 타이어(10)의 축방향으로 가장 외측에서 서로 교차하는 상기 제1캡플라이(15A)와 상기 제2캡플라이(15B)가 배치된 축방향 구간 내의 40% 내지 60% 구간, 바람직하게는 50%에 인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에서 구간 D에서 상기 제1캡플라이(15A)와 상기 제2캡플라이(15B)는 상기 타이어(10)의 축방향 외측에서 교차하는데, 상기 제3캡플라이(15C) 중에서 상기 타이어(10)의 축방향으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제3캡플라이(15C)는 상기 구간 D의 내부에서 상기 구간 D의 폭의 40% 내지 60%의 구간에 위치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간 D의 중심, 즉 50%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간 E에서 상기 1캡플라이(15A)와 상기 제2캡플라이(15B)가 상기 제3캡플라이(15C)와 중첩되므로, 차량의 선회로 인하여 외측으로 하중이 집중되는 경우, 상기 제1캡플라이(15A), 상기 제2캡플라이(15B) 및 상기 제3캡플라이(15C)가 집중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선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캡플라이(15D) 중에서 상기 타이어(10)의 축방향으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제4캡플라이(15D)는, 상기 제1캡플라이(15A) 중에서 상기 타이어(10)의 축방향으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제1캡플라이(15A) 또는 상기 제2캡플라이(15B) 중에서 상기 타이어(10)의 축방향으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제2캡플라이(15B) 보다 상기 타이어(10)의 내측에 위치한다. 도 3을 보면, 상기 제4캡플라이(15D)는 구간 C에 위치하고 있어서, 구간 A에 위치하는 상기 제1캡플라이(15A) 및 상기 제2캡플라이(15B)와 중첩되지 않는다.
상기 제3캡플라이(15C)와 상기 제4캡플라이(15D)에는 상기 타이어(10)의 주행방향을 따라 캡플라이오버랩(15E)이 형성된다.
상기 제1캡플라이(15A)와 상기 제2캡플라이(15B)가 서로 교차되게 와인딩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중 상기 스틸벨트(14)의 원심력과 상기 타이어(10) 내부의 열로 인하여 상기 스틸벨트(14)가 래디얼 방향으로의 성장을 억제하여, 주행중 상기 타이어(10)가 노면과 일정한 접지 형상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주행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타이어(10)의 외측에서 상기 제1캡플라이(15A) 및 상기 제2캡플라이(15B)가 상기 제3캡플라이(15C)와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선회로 인하여 외측으로 하중이 집중되더라도, 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선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 타이어 14 : 스틸벨트
15A : 제1캡플라이 15B : 제2캡플라이
15C : 제3캡플라이 15D : 제4캡플라이
15E : 캡플라이오버랩 110 : 타이어
111 : 트레드 112 : 사이드월
113 : 바디플라이 114 : 스틸벨트
115 : 캡플라이 115a : 캡플라이오버랩
116 : 인너라이너

Claims (9)

  1. 스틸벨트 및
    상기 스틸벨트를 덮는 캡플라이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캡플라이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와인딩되는 제1캡플라이와,
    상기 제1캡플라이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와인딩되어 상기 제1캡플라이와 교차하는 제2캡플라이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축방향 외측에서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주행방향으로 와인딩되는 제3캡플라이와,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축방향 내측에서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주행방향으로 와인딩되는 제4캡플라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캡플라이의 상부면과 상기 제4캡플라이의 상부면에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주행방향을 따라 캡플라이오버랩이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폭방향을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성능이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캡플라이와 상기 제2캡플라이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에서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축방향 외측 단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구간내에서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성능이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캡플라이는,
    상기 제1캡플라이 또는 상기 제2캡플라이와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축방향으로 정해진 구간내에서 서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성능이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캡플라이 중에서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축방향으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3캡플라이는,
    상기 제1캡플라이와 상기 제2캡플라이가 서로 교차하여 형성하는 교차영역 중에서,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축방향으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교차영역에서 상기 제1캡플라이와 상기 제2캡플라이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성능이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캡플라이 중에서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축방향으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3캡플라이는,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축방향으로 가장 외측에서 서로 교차하는 상기 제1캡플라이와 상기 제2캡플라이가 배치된 축방향 구간 내의 40% 내지 60% 구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성능이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캡플라이 중에서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축방향으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제4캡플라이는,
    상기 제1캡플라이 중에서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축방향으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제1캡플라이 또는 상기 제2캡플라이 중에서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축방향으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제2캡플라이 보다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성능이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캡플라이와 상기 제2캡플라이는 20도 내지 45도로 서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성능이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
KR1020210077508A 2021-06-15 2021-06-15 주행성능이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 KR102560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508A KR102560544B1 (ko) 2021-06-15 2021-06-15 주행성능이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508A KR102560544B1 (ko) 2021-06-15 2021-06-15 주행성능이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019A KR20220168019A (ko) 2022-12-22
KR102560544B1 true KR102560544B1 (ko) 2023-07-28

Family

ID=84578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508A KR102560544B1 (ko) 2021-06-15 2021-06-15 주행성능이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54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7563A (ja) * 2013-12-03 2015-06-1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JP2017177842A (ja) * 2016-03-28 2017-10-0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940Y1 (ko) 2002-10-17 2003-02-19 금호산업 주식회사 벨트-캡플라이층을 구비한 공기압 타이어
JP5363600B2 (ja) * 2012-02-21 2013-12-1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7563A (ja) * 2013-12-03 2015-06-1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JP2017177842A (ja) * 2016-03-28 2017-10-0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019A (ko)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66642B (zh) 充气轮胎
US3935892A (en) Pneumatic tired wheel
JP4547379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H06270608A (ja) 空気入りタイヤ
JPH07329516A (ja) タイヤトレッド
JPH0624207A (ja) 自動二輪車用ラジアルタイヤ
KR102560544B1 (ko) 주행성능이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
KR20150067045A (ko) 비대칭 홈 프로파일을 갖는 트레드를 포함하는 타이어
JP2584166B2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US20200198402A1 (en) Pneumatic tire
JPH0382604A (ja) 高性能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019112005A (ja) 空気入りタイヤ
EP3599109B1 (en) Pneumatic tire
JPH05345506A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EP3895909B1 (en) Tire
JPH02127102A (ja) レーシング用タイヤ
JP2011105100A (ja) 空気入りタイヤ
JP6136553B2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S592908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375251B1 (ko) 소음이 저감되는 공기입 타이어
JPS59199310A (ja) 自動車用空気タイヤ
KR100498018B1 (ko) 내마모성을 향상시킨 승용차용 래디알 타이어
JPH03262712A (ja) タイヤとリムの組立体
KR100573760B1 (ko) 조종안정성을 향상시킨 비대칭 공기입 타이어
JP3064225B2 (ja) ランフラット用の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