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282B1 - 완충기 - Google Patents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282B1
KR102560282B1 KR1020217039286A KR20217039286A KR102560282B1 KR 102560282 B1 KR102560282 B1 KR 102560282B1 KR 1020217039286 A KR1020217039286 A KR 1020217039286A KR 20217039286 A KR20217039286 A KR 20217039286A KR 102560282 B1 KR102560282 B1 KR 102560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chamber
damping force
valve
valv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3072A (ko
Inventor
미키오 야마시타
다카마사 고타니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03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16F9/512Means responsive to load action, i.e. static load on the damper or dynamic fluid pressure changes in the damper, e.g. due to changes in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16F9/3482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the annular discs being incorporated within the valve or piston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16F9/18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 F16F9/19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with a single cylinder and of single-tub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16F9/516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resulting in the damping effects during contraction being different from the damping effects during extension, i.e. respons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05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wound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07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wound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12Fluid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8/00Functional characteristics, e.g. variability, frequency-dependence
    • F16F2228/06Stiffness
    • F16F2228/066Variable stiffn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2/00Nature of movement
    • F16F2232/08Lin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4/00Shape
    • F16F2234/02Shape cylindr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6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 F16F9/064Unit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r shape of the expansion chamber
    • F16F9/065Expansion chamber provided on the upper or lower end of a damper, separately there from or laterally on the dam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16F9/3485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supporting elements intended to guide or limit the movement of the annular discs
    • F16F9/3487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supporting elements intended to guide or limit the movement of the annular discs with spacers or spac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를 2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어 나오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작동 유체가 흘러나오는 제1 통로 및 제2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와, 상기 제2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를 갖는다. 상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는, 상기 제2 통로의 일측에 마련되는 서브 밸브와, 상기 제2 통로와 병렬로 마련된 체적실의 체적을 변경하는 체적 가변 기구를 갖는다.

Description

완충기
본 발명은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9년 6월 26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 2019-118696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완충기에는 동일 행정에서 개변(開弁)하는 밸브를 2개 갖는 것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고 평2-41666호 공보
동일 행정에서 개변하는 밸브를 2개 가짐으로써, 한쪽의 밸브를 다른 쪽의 밸브보다도 피스톤 속도가 저속인 영역에서 개변하게 하고, 이보다도 고속의 영역에서는 양쪽의 밸브를 개변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특히 고주파 입력 시에 이음(異音)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되는 완충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를 2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어 나오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작동 유체가 흘러나오는 제1 통로 및 제2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와, 상기 제2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를 갖는다. 상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는, 상기 제2 통로의 일측에 마련되는 서브 밸브와, 상기 제2 통로와 병렬로 마련된 체적실의 체적을 변경하는 체적 가변 기구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를 2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어 나오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작동 유체가 흘러나오는 제1 통로 및 제2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와, 상기 제2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를 갖는다. 상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는, 상기 제2 통로의 밸브 시트 부재에 마련되는 밸브 시트 부재 통로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일측 서브 밸브와, 상기 제2 통로에 있어서의 상기 피스톤과 상기 밸브 시트 부재의 사이에 마련되는 바닥을 가진 통형의 캡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밸브 시트 부재는 상기 캡 부재 내에, 상기 일측 서브 밸브는 상기 캡 부재의 바닥부와 상기 밸브 시트 부재 사이의 캡실 내에 각각 마련된다. 상기 제2 통로에는, 상기 일측 서브 밸브가 개변하는 흐름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오리피스가 배치된다. 피스톤 속도가 저속인 영역에서는 상기 제1 감쇠력 발생 기구는 폐변(閉弁)한 상태에서 상기 일측 서브 밸브가 개변한다. 피스톤 속도가 저속보다도 큰 속도 영역에서는, 상기 제1 감쇠력 발생 기구 및 상기 일측 서브 밸브가 함께 개변한다. 상기 캡 부재의 바닥부에는, 한쪽의 실과 연통하는 연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캡실 내에는, 상기 일측 서브 밸브와 상기 캡 부재의 바닥부의 사이에,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가 마련된다.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일측 서브 밸브의 사이에는,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에 의해서 체적 변경되는 중간실이 형성되는 체적 가변 기구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를 2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어 나오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의 상류측이 되는 상기 실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상기 실로 작동 유체가 흘러나오는 제1 통로 및 제2 통로와, 상기 피스톤에 형성되는 상기 제1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와, 상기 2실 중 한쪽의 실에 배치되는 환형의 밸브 시트 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통로와는 병렬의 상기 제2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를 갖는다. 상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는, 상기 제2 통로의 상기 밸브 시트 부재에 마련되는 밸브 시트 부재 통로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서브 밸브 및 타측에 마련되는 제2 서브 밸브와, 상기 제2 통로에 있어서의 상기 피스톤과 상기 밸브 시트 부재의 사이에 마련되는 바닥을 가진 통형의 캡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밸브 시트 부재는 상기 캡 부재 내에, 상기 제1 서브 밸브는 상기 한쪽의 실에, 상기 제2 서브 밸브는 상기 캡 부재의 바닥부와 상기 밸브 시트 부재 사이의 캡실 내에 각각 마련된다. 상기 제2 통로에는, 상기 제1 서브 밸브가 개변하는 흐름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오리피스가 배치된다. 피스톤 속도가 저속인 영역에서는 상기 제1 감쇠력 발생 기구는 폐변한 상태에서 상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가 개변한다. 피스톤 속도가 저속보다도 큰 속도 영역에서는, 상기 제1 감쇠력 발생 기구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가 함께 개변한다. 상기 캡 부재의 바닥부에는 상기 한쪽의 실과 연통하는 연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캡실 내에는, 상기 제2 서브 밸브와 상기 캡 부재의 바닥부의 사이에, 상기 연통로를 폐색하는 휘어질 수 있는 가요(可撓) 부재가 마련된다. 상기 가요 부재와 상기 제2 서브 밸브의 사이에는, 상기 가요 부재에 의해서 상기 연통로와의 연통이 차단되는 중간실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를 2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어 나오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의 상류측이 되는 상기 실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상기 실로 작동 유체가 흘러나오는 제1 통로 및 제2 통로와, 상기 피스톤에 형성되는 상기 제1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와, 상기 2실 중 한쪽의 실에 배치되는 환형의 밸브 시트 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통로와는 병렬의 상기 제2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를 갖는다. 상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는, 상기 제2 통로의 상기 밸브 시트 부재에 마련되는 밸브 시트 부재 통로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서브 밸브와, 상기 제2 통로에 있어서의 상기 피스톤과 상기 밸브 시트 부재의 사이에 마련되는 바닥을 가진 통형의 캡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밸브 시트 부재는 상기 캡 부재 내에, 상기 제1 서브 밸브는 상기 한쪽의 실에 마련된다. 상기 제2 통로에는, 상기 제1 서브 밸브가 개변하는 흐름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오리피스가 배치된다. 피스톤 속도가 저속인 영역에서는 상기 제1 감쇠력 발생 기구는 폐변한 상태에서 상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가 개변한다. 피스톤 속도가 저속보다도 큰 속도 영역에서는, 상기 제1 감쇠력 발생 기구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가 함께 개변한다. 상기 캡 부재의 바닥부에는 상기 한쪽의 실과 연통하는 연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캡 부재의 바닥부와 상기 밸브 시트 부재 사이의 캡실 내에는, 상기 연통로를 폐색하는 휘어질 수 있는 가요 부재가 마련된다. 상기 가요 부재와 상기 밸브 시트 부재의 사이에는, 상기 가요 부재에 의해서 상기 연통로와의 연통이 차단되는 중간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완충기에 의하면,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캡 부재 및 밸브 시트 부재 주변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밸브 시트 부재를 도시하는 축방향 일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밸브 시트 부재를 도시하는 축방향 타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감쇠력 특성을 도시하는 특성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로드 가속도 및 감쇠력의 해석 결과를 도시하는 특성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캡 부재 및 밸브 시트 부재 주변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캡 부재 및 밸브 시트 부재 주변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캡 부재 및 밸브 시트 부재 주변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캡 부재 및 밸브 시트 부재 주변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형태의 완충기를 도시하는 유압 회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캡 부재 및 밸브 시트 부재 주변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감쇠력 등을 도시하는 특성선도이다.
도 16은 비교예의 완충기의 감쇠력 등을 도시하는 특성선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캡 부재 및 밸브 시트 부재 주변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캡 부재 및 밸브 시트 부재 주변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9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캡 부재 및 밸브 시트 부재 주변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0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캡 부재 및 밸브 시트 부재 주변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1 실시형태의 완충기를 도시하는 유압 회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 실시형태의 완충기를 도시하는 유압 회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3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를 도 1~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도 3, 도 7~도 11, 도 23에 있어서의 상측 및 도 12, 도 14, 도 17~도 20에 있어서의 좌측을 「상(위)」으로 하고, 도 1~도 3, 도 7~도 11, 도 23에 있어서의 하측 및 도 12, 도 14, 도 17~도 20에 있어서의 우측을 「하(아래)」로 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위 모노튜브식의 유압 완충기이며, 작동 유체로서의 오일액(도시 생략)이 봉입되는 실린더(2)를 갖추고 있다. 실린더(2)는 바닥을 가진 원통형을 이루고 있다. 실린더(2)는, 원통형의 몸통부(11)와, 몸통부(11)의 하부 측에 형성되어 몸통부(11)의 하부를 폐색하는 바닥부(12)로 이루어지는 일체 성형품이다.
완충기(1)는, 모두 실린더(2)의 내부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구획체(15) 및 피스톤(18)을 가지고 있다. 구획체(15)는 피스톤(18)과 실린더(2)의 바닥부(12)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피스톤(18)은 실린더(2) 내에 상실(19)과 하실(20)의 2개의 실을 규정하고 있고, 구획체(15)는 실린더(2) 내에 하실(20)과 가스실(16)을 규정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피스톤(18)은 실린더(2)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실린더(2) 내부를 일측의 상실(19)과 타측의 하실(20)로 구획하고 있다. 실린더(2) 내의 상실(19) 및 하실(20)에는 작동 유체로서의 오일액이 봉입되고, 실린더(2) 내의 가스실(16)에는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완충기(1)는, 축방향 일단 측의 부분이 실린더(2)의 내부에 배치되어 피스톤(18)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 측의 부분이 실린더(2)의 외부로 연장되어 나오는 피스톤 로드(21)를 갖추고 있다. 피스톤 로드(21)는 상실(19) 내부를 관통하고 있고, 하실(20)은 관통하지 않는다. 이로써, 상실(19)은 피스톤 로드(21)가 관통하는 로드 측의 실이고, 하실(20)은 실린더(2) 바닥부(12) 측의 보텀 측의 실이다.
피스톤(18) 및 피스톤 로드(21)는 일체로 이동한다. 피스톤 로드(21)가 실린더(2)로부터의 돌출량을 늘리는 완충기(1)의 신장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18)은 상실(19)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피스톤 로드(21)가 실린더(2)로부터의 돌출량을 줄이는 완충기(1)의 축소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18)은 하실(2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실린더(2)의 상단 개구 측에는 로드 가이드(22)가 감합(嵌合) 고정되어 있고, 로드 가이드(22)보다도 실린더(2)의 외부 측인 상측에 시일 부재(23)가 감합되어 있다. 실린더(2)의 상단부는, 직경 방향 안쪽으로 코킹되어 계지부(係止部)(26)로 되어 있고, 이 계지부(26)와 로드 가이드(22)가 시일 부재(23)를 협지(挾持)하고 있다. 로드 가이드(22)와 시일 부재(23)의 사이에는 마찰 부재(24)가 마련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22), 마찰 부재(24) 및 시일 부재(23)는 모두 원환형을 이루고 있고, 피스톤 로드(21)는 이들 로드 가이드(22), 마찰 부재(24) 및 시일 부재(23) 각각의 내측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실린더(2)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피스톤 로드(21)는, 축방향의 일단 측의 부분이 실린더(2)의 내부에서 피스톤(18)에 고정되고, 타단 측의 부분이 실린더(2)의 외부로 로드 가이드(22), 마찰 부재(24) 및 시일 부재(23)를 통해 돌출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22)는, 피스톤 로드(21)를 그 직경 방향 이동을 규제하면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이 피스톤 로드(21)의 이동을 안내한다. 시일 부재(23)는, 그 외주부에서 실린더(2)에 밀착하고, 그 내주부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 로드(21)의 외주부에 미끄럼 접촉한다. 이에 따라, 시일 부재(23)는 실린더(2) 내의 오일액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마찰 부재(24)는 피스톤 로드(21)에 마찰력을 부여한다.
피스톤 로드(21)는 주축부(27)와 이보다도 소직경의 부착축부(28)를 가지고 있다. 피스톤 로드(21)는, 주축부(27)가 로드 가이드(22), 마찰 부재(24) 및 시일 부재(23)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감합되고, 부착축부(28)가 실린더(2) 내에 배치되어 피스톤(18) 등에 연결되어 있다. 주축부(27)의 부착축부(28) 측의 단부는 축 직교 방향으로 넓어지는 축단차부(29)로 되어 있다.
부착축부(28)의 외주부에는, 축방향의 중간 위치에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통로 절결부(30)가 형성되어 있고, 축방향의 주축부(27)와는 반대측의 선단 위치에 수나사(31)가 형성되어 있다. 통로 절결부(30)는, 예컨대 부착축부(28)의 외주부를, 부착축부(28)의 중심 축선에 평행한 면에서 평면형으로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통로 절결부(30)는 부착축부(28)의 둘레 방향의 180도 다른 두 곳의 위치에 소위 2면 폭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피스톤 로드(21)에는, 주축부(27)의 피스톤(18)과 로드 가이드(22) 사이의 부분에, 모두 원환형의 스토퍼 부재(32), 한 쌍의 지지체(33), 코일 스프링(34) 및 완충체(35)가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32)는, 내주 측에 피스톤 로드(21)를 삽입 관통시키고 있고, 코킹되어 주축부(27)에 고정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32) 측에서부터 순차 한쪽의 지지체(33), 코일 스프링(34), 다른 쪽의 지지체(33) 및 완충체(35)가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체(33) 및 코일 스프링(34)은, 내측에 피스톤 로드(21)가 삽입 관통되어 있고, 스토퍼 부재(32)와 로드 가이드(2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완충체(35)는, 내측에 피스톤 로드(21)가 삽입 관통되어 있고, 다른 쪽의 지지체(33)와 로드 가이드(2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스토퍼 부재(32), 한 쌍의 지지체(33), 코일 스프링(34) 및 완충체(35)는, 피스톤 로드(21)가 소정 길이 실린더(2)로부터 돌출하면, 완충체(35)에 있어서 로드 가이드(22)에 맞닿아, 완충체(35) 및 코일 스프링(34)이 탄성 변형한다.
완충기(1)는, 예컨대 피스톤 로드(21)의 실린더(2)로부터의 돌출 부분이 상부에 배치되어 차체에 의해 지지되고, 실린더(2)의 바닥부(12)가 하부에 배치되어 차륜 측에 연결된다. 이와는 반대로, 실린더(2) 측이 차체에 의해 지지되고, 피스톤 로드(21)가 차륜 측에 연결되게 하여도 좋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18)은, 피스톤 로드(21)에 연결되는 금속제 피스톤 본체(36)와, 피스톤 본체(36)의 외주면에 일체로 장착되어 실린더(2) 내부를 미끄럼 이동하는 원환형의 합성수지제 미끄럼 이동 부재(3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6)에는,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할 수 있는 복수(도 2에서는 단면으로 한 관계상 한 곳만 도시)의 통로 구멍(38)과,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할 수 있게 하는 복수(도 2에서는 단면으로 한 관계상 한 곳만 도시)의 통로 구멍(39)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통로 구멍(38)은, 피스톤 본체(36)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각각 사이에 한 곳의 통로 구멍(39)을 두고서 등피치(equal pitch)로 형성되어 있고, 통로 구멍(38, 39)의 전체 수 중 반의 수를 구성한다. 복수의 통로 구멍(38)은, 두 곳의 굴곡점을 갖는 크랭크 형상이며, 피스톤(18)의 축방향 일측(도 2의 상측)이 피스톤(18)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피스톤(18)의 축방향 타측(도 2의 하측)이 일측보다도 피스톤(18)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 개구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6)에는, 축방향의 하실(20) 측에, 복수의 통로 구멍(38)을 연통시키는 원환형의 환형 홈(55)이 형성되어 있다.
환형 홈(55)의 하실(20) 측에는, 환형 홈(55)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8) 내의 통로를 개폐하여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가 마련되어 있다.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가 하실(20) 측에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통로 구멍(38) 내 및 환형 홈(55) 내의 통로는, 피스톤(18)의 상실(19) 측으로의 이동, 즉 신장 행정에 있어서 상류측이 되는 상실(19)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하실(20)로 향해서 오일액이 흘러나오는 신장 측의 통로가 된다. 이들 복수의 통로 구멍(38) 내 및 환형 홈(55) 내의 통로에 대해서 마련된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신장 측의 복수의 통로 구멍(38) 내 및 환형 홈(55) 내의 통로로부터 하실(20)로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하는 신장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로 되어 있다.
통로 구멍(38, 39)의 전체 수 중 나머지 반의 수를 구성하는 통로 구멍(39)은, 피스톤 본체(36)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각각 사이에 한 곳의 통로 구멍(38)을 두고서 등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통로 구멍(39)은, 두 곳의 굴곡점을 갖는 크랭크 형상이며, 피스톤(18)의 축선 방향 타측(도 2의 하측)이 피스톤(18)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피스톤(18)의 축선 방향 일측(도 2의 상측)이 타측보다도 피스톤(18)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 개구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6)에는, 축방향의 상실(19) 측에 복수의 통로 구멍(39)을 연통시키는 원환형의 환형 홈(56)이 형성되어 있다.
환형 홈(56)의 상실(19) 측에는, 복수의 통로 구멍(39) 내 및 환형 홈(56) 내의 통로를 개폐하여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가 마련되어 있다.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가 상실(19) 측에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통로 구멍(39) 내 및 환형 홈(56) 내의 통로는, 피스톤(18)의 하실(20) 측으로의 이동, 즉 축소 행정에 있어서 상류측이 되는 하실(20)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상실(19)로 향해서 오일액이 흘러나오는 축소 측의 통로가 된다. 이들 복수의 통로 구멍(39) 내 및 환형 홈(56) 내의 통로에 대해서 마련된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축소 측의 복수의 통로 구멍(39) 내 및 환형 홈(56) 내의 통로로부터 상실(19)로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하는 축소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로 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6)는, 대략 원판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직경 방향의 중앙에는,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44)이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삽입 구멍(44)은,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감합시키는 축방향 일측의 소직경 구멍부(45)와, 소직경 구멍부(45)보다도 대직경의 축방향 타측의 대직경 구멍부(46)를 가지고 있다. 소직경 구멍부(45)가 축방향의 상실(19) 측에, 대직경 구멍부(46)가 축방향의 하실(20) 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6)의 축방향의 하실(20) 측의 단부에는, 환형 홈(55)의 하실(20) 측의 개구보다도 피스톤 본체(36)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 원환형의 내측 시트부(4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 본체(36)의 축방향의 하실(20) 측의 단부에는, 환형 홈(55)의 하실(20) 측의 개구보다도 피스톤 본체(36)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의 일부를 구성하는 원환형의 밸브 시트부(48)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6)의 축방향의 상실(19) 측의 단부에는, 환형 홈(56)의 상실(19) 측의 개구보다도 피스톤 본체(36)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 원환형의 내측 시트부(4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 본체(36)의 축방향의 상실(19) 측의 단부에는, 환형 홈(56)의 상실(19) 측의 개구보다도 피스톤 본체(36)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의 일부를 구성하는 원환형의 밸브 시트부(50)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6)의 삽입 구멍(44)은 대직경 구멍부(46)가 소직경 구멍부(45)보다도 축방향의 내측 시트부(47) 측에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6)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는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와 축방향의 위치를 서로 겹쳐 상시(常時) 연통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6)에 있어서, 밸브 시트부(48)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은, 밸브 시트부(48)보다도 축선 방향 높이가 낮은 단차형을 이루고 있고, 이 단차형 부분에 축소 측의 통로 구멍(39)의 하실(20) 측의 개구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피스톤 본체(36)에 있어서, 밸브 시트부(50)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은, 밸브 시트부(50)보다도 축선 방향 높이가 낮은 단차형을 이루고 있고, 이 단차형 부분에 신장 측의 통로 구멍(38)의 상실(19) 측의 개구가 배치되어 있다.
축소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피스톤(18)의 밸브 시트부(50)를 포함하고 있고, 축방향의 피스톤(18) 측에서부터 순차 동일 내경 및 동일 외경의 여러 장(구체적으로는 2장)의 디스크(62)와, 1장의 디스크(63)와, 동일 내경 및 동일 외경의 여러 장(구체적으로는 4장)의 디스크(64)와, 동일 내경 및 동일 외경의 여러 장(구체적으로는 2장)의 디스크(65)와, 동일 내경이며 피스톤(18)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외경이 소직경으로 되는 여러 장(구체적으로는 4장)의 디스크(66)와, 1장의 디스크(67)와, 1장의 디스크(68)와, 1장의 환형 부재(69)를 가지고 있다. 디스크(62~68) 및 환형 부재(69)는 금속제이며, 모두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감합할 수 있는 일정 두께의 바닥을 가진 원형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디스크(62~68)는 플레인 디스크(돌기가 없는 평면 디스크)이다.
디스크(62)는, 피스톤(18)의 내측 시트부(49)의 외경보다도 대직경이며 밸브 시트부(50)의 내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고 있고, 내측 시트부(49)에 상시 맞닿아 있다. 디스크(63)는, 디스크(62)의 외경보다도 대직경이며 밸브 시트부(50)의 내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여러 장의 디스크(64)는, 피스톤(18)의 밸브 시트부(50)의 외경과 동등한 외경으로 되어 있고, 밸브 시트부(50)에 착좌(着座)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러 장의 디스크(65)는 디스크(64)의 외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여러 장의 디스크(66)는 가장 대직경인 것이 디스크(65)의 외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67)는, 디스크(66) 중 가장 소직경인 것의 외경보다 소직경이며, 피스톤(18)의 내측 시트부(49)의 외경과 동등한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68)는, 디스크(66) 중 가장 소직경인 것의 외경보다도 대직경이며, 가장 대직경인 것의 외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환형 부재(69)는, 디스크(68)의 외경보다 소직경이며, 피스톤 로드(21)의 축단차부(29)의 외경보다도 대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환형 부재(69)는 디스크(62~68)보다도 두껍게 고강성으로 되고 있으며, 축단차부(29)에 맞닿아 있다.
여러 장의 디스크(64), 여러 장의 디스크(65) 및 여러 장의 디스크(66)가, 밸브 시트부(50)에 이착좌(離着座) 가능한 축소 측의 메인 밸브(71)를 구성하고 있다. 메인 밸브(71)는, 밸브 시트부(50)로부터 이좌(離座)함으로써, 복수의 통로 구멍(39) 내 및 환형 홈(56) 내의 통로를 상실(19)에 연통시키고, 밸브 시트부(50)와의 사이의 오일액의 흐름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한다. 환형 부재(69)는, 디스크(68)에 의해서, 메인 밸브(71)의 개방 방향으로의 규정 이상의 변형을 메인 밸브(71)에 맞닿아서 규제한다.
복수의 통로 구멍(39) 내 및 환형 홈(56) 내의 통로와 개변 시에 출현하는 메인 밸브(71) 및 밸브 시트부(50) 사이의 통로가, 피스톤(18)의 하실(20) 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2) 내의 상류측이 되는 하실(20)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상실(19)로 오일액이 흘러나오는 축소 측의 제1 통로(72)를 구성하고 있다. 감쇠력을 발생하는 축소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메인 밸브(71)와 밸브 시트부(50)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로써 이 제1 통로(72)에 마련되어 있다. 제1 통로(72)는 밸브 시트부(50)를 포함하는 피스톤(18)에 형성되어 있으며, 피스톤 로드(21) 및 피스톤(18)이 축소 측으로 이동할 때에 오일액이 통과한다.
여기서, 축소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에는, 밸브 시트부(50) 및 이것에 맞닿는 메인 밸브(71)의 어디에나, 이들이 맞닿는 상태에 있더라도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축소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밸브 시트부(50) 및 메인 밸브(71)가 전체 둘레에 걸쳐 맞닿는 상태에 있으면,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시키는 일은 없다. 바꿔 말하면, 제1 통로(72)는, 상실(19)과 하실(20)을 상시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상실(19)과 하실(20)을 상시 연통시키는 통로가 아니다.
신장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피스톤(18)의 밸브 시트부(48)를 포함하고 있고, 축방향의 피스톤(18) 측에서부터 순차 1장의 디스크(82)와, 1장의 디스크(83)와, 1장의 디스크(84)와, 동일 내경 및 동일 외경의 여러 장(구체적으로는 4장)의 디스크(85)와, 1장의 디스크(86)와, 동일 내경 및 동일 외경의 여러 장(구체적으로는 2장)의 디스크(87)와, 동일 내경이며 피스톤(18)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외경이 소직경으로 되는 여러 장(구체적으로는 2장)의 디스크(88)와, 1장의 디스크(89)를 가지고 있다. 디스크(82~89)는 금속제이며, 모두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감합할 수 있는 일정 두께의 바닥을 가진 원형 평판형을 이루는 플레인 디스크이다.
디스크(82)는, 피스톤(18)의 내측 시트부(47)의 외경보다도 대직경이며 밸브 시트부(48)의 내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고, 내측 시트부(47)에 상시 맞닿아 있다. 디스크(82)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형 홈(55)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8) 내의 통로를,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 및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에 상시 연통시키는 절결부(90)가, 직경 방향의 내측 시트부(47)보다도 외측의 도중 위치에서부터 내주연부까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90)는 디스크(82)의 프레스 성형 시에 형성된다. 절결부(90)는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에 서로 이웃하여 대향하고 있다. 디스크(83)는 디스크(82)와 동일한 외경이며, 디스크(82)와 같은 절결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디스크(84)는 디스크(83)의 외경보다도 대직경이며 밸브 시트부(48)의 내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여러 장의 디스크(85)는, 피스톤(18)의 밸브 시트부(48)의 외경과 동등한 외경으로 되어 있고, 밸브 시트부(48)에 착좌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디스크(86)는 디스크(85)의 외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여러 장의 디스크(87)는 디스크(86)의 외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여러 장의 디스크(88)는 대직경인 것의 외경이 디스크(87)의 외경보다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89)는 여러 장의 디스크(88) 중 소직경인 것의 외경보다 소직경으로 되어 있고, 피스톤(18)의 내측 시트부(47)의 외경과 동등한 외경으로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89)는 디스크(67)와 동일 형상의 공통 부품으로 할 수 있다. 여러 장의 디스크(88)는 디스크(85~87)보다도 두께가 두껍게 고강성으로 되어 있다.
여러 장의 디스크(85), 1장의 디스크(86), 여러 장의 디스크(87) 및 여러 장의 디스크(88)가 밸브 시트부(48)에 이착좌 가능한 신장 측의 메인 밸브(91)를 구성하고 있다. 메인 밸브(91)는, 밸브 시트부(48)로부터 이좌함으로써, 환형 홈(55)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8) 내의 통로를 하실(20)에 연통시키고, 밸브 시트부(48)와의 사이의 오일액의 흐름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한다.
복수의 통로 구멍(38) 내 및 환형 홈(55) 내의 통로와 개변 시에 출현하는 메인 밸브(91) 및 밸브 시트부(48) 사이의 통로가, 피스톤(18)의 상실(19) 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2) 내의 상류측이 되는 상실(19)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하실(20)로 오일액이 흘러나오는 신장 측의 제1 통로(92)를 구성하고 있다. 감쇠력을 발생하는 신장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메인 밸브(91)와 밸브 시트부(48)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로써 이 제1 통로(92)에 마련되어 있다. 제1 통로(92)는 밸브 시트부(48)를 포함하는 피스톤(18)에 형성되어 있으며, 피스톤 로드(21) 및 피스톤(18)이 신장 측으로 이동할 때에 오일액이 통과한다.
신장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에는, 밸브 시트부(48) 및 이것에 맞닿는 메인 밸브(91)의 어디에나, 이들이 맞닿은 상태에 있더라도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신장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밸브 시트부(48) 및 메인 밸브(91)가 전체 둘레에 걸쳐 맞닿는 상태에 있으면,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시키는 일은 없다. 바꿔 말하면, 제1 통로(92)는, 상실(19)과 하실(20)을 상시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는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상실(19)과 하실(20)을 상시 연통시키는 통로가 아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장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의 피스톤(18)과는 반대측에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 측에서부터 순차 하나의 캡 부재(101)와, 하나의 플렉시블 디스크(100)(가요 부재, 이동 부재)와, 여러 장(구체적으로는 2장)의 디스크(102)와, 1장의 서브 밸브(107)(제2 서브 밸브)와, 외주 측에 하나의 O 링(108)이 마련된 하나의 밸브 시트 부재(109)와, 1장의 서브 밸브(110)(제1 서브 밸브)와, 1장의 디스크(111)와, 1장의 디스크(113)와, 도 2에 도시하는 복수(구체적으로는 2개)의 환형 부재(114)가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각각의 내측에 감합시켜 마련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에는, 환형 부재(114)보다도 돌출하는 부분에 수나사(3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나사(31)에 너트(115)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너트(115)는 환형 부재(114)에 맞닿아 있다.
플렉시블 디스크(100), 캡 부재(101), 디스크(102, 111, 113), 서브 밸브(107, 110), 밸브 시트 부재(109) 및 환형 부재(114)는 모두 금속제이다. 디스크(102, 111, 113), 서브 밸브(107, 110) 및 환형 부재(114)는 모두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감합할 수 있는 일정 두께의 구멍을 가진 원형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디스크(102, 111, 113) 및 서브 밸브(107, 110)는 플레인 디스크이다. 플렉시블 디스크(100), 캡 부재(101) 및 밸브 시트 부재(109)는 모두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감합할 수 있는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캡 부재(101)는 바닥을 가진 통형의 일체 성형품이며, 예컨대 금속판의 소성 가공이나 절삭 가공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 부재(101)는, 구멍을 가진 원판형의 일정 두께의 바닥부(122)와, 바닥부(122)의 외주연부로부터 바닥부(122)의 축방향 일측으로 직경을 넓히면서 연장되어 나오는 중간 테이퍼부(123)와, 중간 테이퍼부(123)의 바닥부(122)와는 반대측의 단연부로부터 바닥부(122)와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원통형의 통형부(124)를 가지고 있다.
바닥부(122)는 내주부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감합시키는 구멍을 가진 원판형이다. 바닥부(122)의 내주부에 부착축부(28)를 감합시킴으로써, 캡 부재(101)는 피스톤 로드(21)에 대해서 직경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동축형으로 배치된다. 바닥부(122)에는, 내주부와 외주부의 사이에, 바닥부(122)를 바닥부(122)의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 구멍(126)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통로 구멍(126)은, 바닥부(122)의 중심에서부터 등거리의 위치에 바닥부(122)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바닥부(122)의 내주부와 외주부 사이의 중앙보다도 외주부 측에 형성되어 있다. 캡 부재(101)는, 바닥부(122)가 통형부(124)보다도 피스톤(18) 측에 위치하는 방향에서 배치되어 디스크(89)에 맞닿아 있으며, 바닥부(122)의 내주부에 있어서 부착축부(28)에 감합하고 있다.
캡 부재(101)는, 디스크(85~88)보다도 두껍고 바닥을 가진 통형을 이루는 것도 더해져 디스크(85~88)보다도 고강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캡 부재(101)는, 여러 장의 디스크(85~88)로 구성되는 메인 밸브(91)의 개방 방향으로의 규정 이상의 변형을 메인 밸브(91)에 맞닿아서 규제한다.
플렉시블 디스크(100)는 주체부(301)와 주체부(301)로부터 돌출하는 디스크 돌출부(302)(가요 부재 측의 돌출부)를 가지고 있다. 주체부(301)는, 완충기(1)에 조립해 넣기 전의 자연 상태에 있을 때, 일정 두께의 구멍을 가진 원형 평판형을 이루고 있으며, 내주면과 외주면이 동축형을 이루고 있다. 디스크 돌출부(302)는 주체부(301)로부터 주체부(301)의 축방향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디스크 돌출부(302)는 주체부(301)와 동축의 원환형이며, 주체부(301)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의 중앙 위치보다도 외주면 측에 형성되어 있다. 주체부(301)는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감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주체부(301)의 내주부에 부착축부(28)를 감합시킴으로써, 플렉시블 디스크(100)는 피스톤 로드(21)에 대해서 직경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동축형으로 배치된다.
플렉시블 디스크(100)는 일정 두께의 1장의 판재로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써 주체부(301) 및 디스크 돌출부(302)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 돌출부(302)는, 주체부(301)의 외주 측에서부터 축방향 일측으로 테이퍼형으로 직경을 축소하면서 연장되어 나온 후, 직경 방향 내측에서 축방향 타측으로 향하여 되꺾어, 축방향 타측에 테이퍼형으로 직경을 축소하면서 연장되어 나와 주체부(301)에 합류한다. 바꿔 말하면, 디스크 돌출부(302)는, 플렉시블 디스크(100)의 중심 축선을 포함하는 면에서의 단면 형상이, 주체부(301)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직경 방향의 폭이 좁아지는 끝이 가는 V자형을 하고 있다. 디스크 돌출부(302)는 축 대칭 형상이다. 디스크 돌출부(302)는, 플렉시블 디스크(100)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주체부(301)와는 반대측의 정점이 플렉시블 디스크(100)의 내주부 및 외주부와 동심의 원 형상이며, 주체부(301)로부터의 높이가 전체 둘레에 걸쳐 일정하게 되어 있다.
플렉시블 디스크(100)는 캡 부재(101) 내에 수용되게 되며, 디스크 돌출부(302)가 주체부(301)로부터 축방향 바닥부(122) 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되어, 디스크 돌출부(302)에 있어서 바닥부(122)에 맞닿는다. 디스크(102)는 디스크 돌출부(302)의 최소 내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이다. 플렉시블 디스크(100)는, 완충기(1)에 조립되어 넣어진 상태에서, 주체부(301)의 내주 측이 디스크(102)와 바닥부(122)에 협지된다. 이에 따라, 주체부(301)는 직경 방향 외측일수록 바닥부(122)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지도록 테이퍼형으로 탄성 변형한다.
플렉시블 디스크(100)는, 완충기(1)에 조립해 들어간 상태에서, 디스크 돌출부(302)의 바닥부(122)에 맞닿는 선단면의 내경이, 복수의 통로 구멍(126)의 바닥부(122)의 중심으로부터의 최대 거리의 2배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크(100)는, 원환형의 디스크 돌출부(302)가, 복수의 통로 구멍(126) 전체를, 바닥부(122)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서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바닥부(122)에 전체 둘레에 걸쳐 맞닿는다.
플렉시블 디스크(100)는, 주체부(301)의 내주부의 디스크(102)와 서로 겹치는 부분이, 디스크(102)와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에 전체 둘레에 걸쳐 상시 맞닿는 내주측 접촉부(303)로 되어 있다. 내주측 접촉부(303)의 외경은 복수의 통로 구멍(126)의 바닥부(122)의 중심으로부터의 최소 거리의 2배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크(100)는, 내주측 접촉부(303)가 복수의 통로 구멍(126) 전체를 바닥부(122)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안쪽에서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바닥부(122)에 전체 둘레에 걸쳐 맞닿아 있다.
플렉시블 디스크(100)가 완충기(1)에 조립해 넣어진 상태에서, 주체부(301)는, 내주측 접촉부(303)와, 내주측 접촉부(303)와 디스크 돌출부(302) 사이의 가요부(305)와, 디스크 돌출부(302)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의 외주연부(306)를 구성한다. 여기서, 외주연부(306)는 캡 부재(101)의 중간 테이퍼부(123)의 최소 내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으며, 이로써 플렉시블 디스크(100)는 중간 테이퍼부(123) 및 통형부(124)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플렉시블 디스크(100)는 가요부(305)와 외주연부(306)가 직경 방향 외측일수록 바닥부(122)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지도록 테이퍼형을 이루고 있다. 플렉시블 디스크(100)는 가요부(305)가 바닥부(122)에 가까워지거나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거나 하도록 휘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밸브 시트 부재(109)는, 그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부착축부(28)를 삽입시키는 관통 구멍(131)이 직경 방향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을 가진 원판형을 이루고 있다. 관통 구멍(131)은,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감합시키는 축방향 일측의 소직경 구멍부(132)와, 소직경 구멍부(132)보다도 대직경의 축방향 타측의 대직경 구멍부(133)를 가지고 있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시트 부재(109)는, 축방향의 대직경 구멍부(133) 측의 단부에, 대직경 구멍부(133)를 둘러싸도록 원환형을 이루는 내측 시트부(134)를 가지고 있고, 이 내측 시트부(134)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는 밸브 시트부(135)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시트 부재(109)는, 축방향 반대측의 소직경 구멍부(132) 측의 단부에, 소직경 구멍부(132)를 둘러싸도록 원환형을 이루는 내측 시트부(138)를 가지고 있고, 이 내측 시트부(138)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는 밸브 시트부(139)를 가지고 있다. 밸브 시트 부재(109)는, 그 축방향의 내측 시트부(134) 및 밸브 시트부(135)와 내측 시트부(138) 및 밸브 시트부(139)의 사이가 구멍을 가진 원판형의 본체부(140)로 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시트부(134)는, 본체부(140)의 축방향의 대직경 구멍부(133) 측의 내주연부로부터 본체부(140)의 축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밸브 시트부(135)도 내측 시트부(134)의 직경 방향 외측에서 본체부(140)의 축방향을 따라 본체부(140)로부터 내측 시트부(134)와 같은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내측 시트부(134) 및 밸브 시트부(135)는, 돌출 측의 선단면, 즉 본체부(140)와는 반대측의 선단면이 평탄면이며, 밸브 시트 부재(109)의 축 직교 방향으로 넓어져 동일 평면에 배치되어 있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시트부(138)는, 본체부(140)의 축방향의 소직경 구멍부(132) 측의 내주연부로부터 본체부(140)의 축방향을 따라 내측 시트부(134)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밸브 시트부(139)도 내측 시트부(138)의 직경 방향 외측에서 본체부(140)의 축방향을 따라 본체부(140)로부터 내측 시트부(138)와 같은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내측 시트부(138) 및 밸브 시트부(139)는, 돌출 측의 선단면, 즉 본체부(140)와는 반대측의 선단면이 평탄면이며, 밸브 시트 부재(109)의 축 직교 방향으로 넓어져 동일 평면에 배치되어 있다. 내측 시트부(134, 138)는 동등한 외경으로 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시트부(135)는 꽃잎형의 이형(異形) 시트이며, 복수, 구체적으로는 네 곳의 밸브 시트 구성부(201)를 가지고 있다. 이들 밸브 시트 구성부(201)는 동일 형상이며, 밸브 시트 부재(109)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내측 시트부(134)는 밸브 시트 부재(109)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밸브 시트 구성부(201)는, 상기 내측 시트부(134)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한 쌍의 연장부(202)와, 한 쌍의 연장부(202)의 내측 시트부(134)와는 반대측의 단부들을 연결하는 연결부(203)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연장부(202)는 모두 직선형이며, 밸브 시트 부재(109)의 중심 축선을 포함하는 면에 대해서 경면 대칭형을 이루고 있다. 한 쌍의 연장부(202)는 밸브 시트 부재(109)의 축방향으로 봤을 때 상호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연결부(203)는 밸브 시트 부재(109)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을 이루고 있다.
밸브 시트 구성부(201)와 그 한 쌍의 연장부(202)들을 연결하는 내측 시트부(134)의 일부로 둘러싸이고, 이들의 돌출 측의 선단면으로부터 밸브 시트 부재(109)의 축방향으로 움푹 파이는 통로 오목부(205)가 형성되어 있다. 통로 오목부(205)의 바닥면은 본체부(140)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모든 밸브 시트 구성부(201)의 내측에 통로 오목부(205)가 형성되어 있다. 모든 통로 오목부(205)는, 밸브 시트 부재(109)의 중심 축선으로부터 등거리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밸브 시트 부재(109)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 시트 부재(109)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통로 오목부(205)의 중앙 위치에는, 본체부(140)를 축방향으로 관통함으로써 밸브 시트 부재(109)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 구멍(206)이 형성되어 있다. 통로 구멍(206)은 밸브 시트 부재(109)의 중심 축선에 평행한 직선형의 구멍이다. 모든 통로 오목부(205)의 바닥면에 통로 구멍(206)이 형성되어 있다. 모든 통로 구멍(206)은, 밸브 시트 부재(109)의 중심 축선으로부터 등거리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밸브 시트 부재(109)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 시트 부재(109)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밸브 시트 구성부(201)의 서로 이웃한 연장부(202)들은, 밸브 시트 부재(109)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하여 상호 평행을 이루고 있고, 밸브 시트 부재(109)의 중심 축선을 지나는 직경 방향선과 평행을 이루고 있다. 밸브 시트 부재(109)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밸브 시트 구성부(201)의 둘레 방향으로 먼 쪽의 연장부(202)들은, 밸브 시트 부재(109)의 중심 축선을 지나는 직경 방향선과 평행한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시트부(139)도 꽃잎형의 이형 시트이며, 복수, 구체적으로는 네 곳의 밸브 시트 구성부(211)를 가지고 있다. 이들 밸브 시트 구성부(211)는 동일 형상이며, 밸브 시트 부재(109)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밸브 시트 구성부(211)는 밸브 시트 구성부(201)와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내측 시트부(138)는 밸브 시트 부재(109)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밸브 시트 구성부(211)는, 상기 내측 시트부(138)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한 쌍의 연장부(212)와, 한 쌍의 연장부(212)의 내측 시트부(138)와는 반대측의 단부들을 연결하는 연결부(213)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연장부(212)는 모두 직선형이며, 밸브 시트 부재(109)의 중심 축선을 포함하는 면에 대해서 경면 대칭형을 이루고 있다. 한 쌍의 연장부(212)는 밸브 시트 부재(109)의 축방향으로 봤을 때 상호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연결부(213)는 밸브 시트 부재(109)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을 이루고 있다. 모든 연결부(213)의 동일 원 상에 배치되는 외측연부의 외경은 모든 연결부(203)의 동일 원 상에 배치되는 외측연부의 외경과 동등하며, 모든 연결부(213)의 동일 원 상에 배치되는 내측연부의 내경은 모든 연결부(203)의 동일 원 상에 배치되는 내측연부의 내경과 동등하다.
밸브 시트 구성부(211)와 그 한 쌍의 연장부(212)들을 연결하는 내측 시트부(138)의 일부로 둘러싸이고, 이들의 돌출 측의 선단면으로부터 밸브 시트 부재(109)의 축방향으로 움푹 파이는 통로 오목부(215)가 형성되어 있다. 통로 오목부(215)의 바닥면은 본체부(140)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모든 밸브 시트 구성부(211)의 내측에 통로 오목부(215)가 형성되어 있다. 모든 통로 오목부(215)는 밸브 시트 부재(109)의 중심 축선으로부터 등거리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밸브 시트 부재(109)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 시트 부재(109)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통로 오목부(215)의 중앙 위치에는, 본체부(140)를 축방향으로 관통함으로써 밸브 시트 부재(109)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 구멍(216)이 형성되어 있다. 통로 구멍(216)은 밸브 시트 부재(109)의 중심 축선에 평행한 직선형의 구멍이다. 모든 통로 오목부(215)의 바닥면에 통로 구멍(216)이 형성되어 있다. 모든 통로 구멍(216)은 밸브 시트 부재(109)의 중심 축선으로부터 등거리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밸브 시트 부재(109)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 시트 부재(109)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밸브 시트 구성부(211)의 서로 이웃한 연장부(212)들은, 밸브 시트 부재(109)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하여 상호 평행을 이루고 있고, 밸브 시트 부재(109)의 중심 축선을 지나는 직경 방향선과 평행을 이루고 있다. 밸브 시트 부재(109)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밸브 시트 구성부(211)의 둘레 방향으로 먼 쪽의 연장부(212)들은, 밸브 시트 부재(109)의 중심 축선을 지나는 직경 방향선과 평행한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의 밸브 시트 구성부(201)의 밸브 시트 부재(109)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배치 피치와, 복수의 밸브 시트 구성부(211)의 밸브 시트 부재(109)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배치 피치는 동일하며, 밸브 시트 구성부(201) 및 밸브 시트 구성부(211)는 서로 반 피치만큼 틀어져 있다. 환언하면, 밸브 시트 부재(109)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한 밸브 시트 구성부(201)와 밸브 시트 구성부(201) 사이의 중앙 위치에 밸브 시트 구성부(211)의 중앙 위치가 배치되고, 반대로 밸브 시트 부재(109)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한 밸브 시트 구성부(211)와 밸브 시트 구성부(211) 사이의 중앙 위치에 밸브 시트 구성부(201)의 중앙 위치가 배치되어 있다.
모든 통로 오목부(205) 및 모든 통로 오목부(215)는 밸브 시트 부재(109)의 중심 축선으로부터 등거리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통로 오목부(205) 및 통로 오목부(215)가 밸브 시트 부재(109)의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모든 통로 구멍(206) 및 모든 통로 구멍(216)은 밸브 시트 부재(109)의 중심축선으로부터 등거리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통로 구멍(206) 및 통로 구멍(216)이 교대로 동일 원주 상에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로 구멍(206)은, 밸브 시트 부재(109)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한 밸브 시트 구성부(211)와 밸브 시트 구성부(211)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이로써 밸브 시트부(139) 범위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로 구멍(216)은, 밸브 시트 부재(109)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한 밸브 시트 구성부(201)와 밸브 시트 구성부(201)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이로써 밸브 시트부(135) 범위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 시트 부재(109)에는, 축방향의 대직경 구멍부(133) 측에 내측 시트부(134)를 직경 방향으로 횡단하는 통로 홈(221)이 내측 시트부(134) 및 본체부(140)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통로 홈(221)은 내측 시트부(134)의 본체부(140)와는 반대측의 선단면으로부터 밸브 시트 부재(109)의 축방향으로 움푹 파여 있으며, 본체부(140)의 내측 시트부(134) 측의 단부면보다도 더욱 움푹 파여 형성되어 있다. 통로 홈(221)은, 밸브 시트 부재(109)의 중심을 지나는 직경 방향선 상에, 이 직경 방향선을 따라 마련되어 있고, 밸브 시트 구성부(201)와 밸브 시트 구성부(201)의 사이에 개구되는 통로 구멍(216)으로부터 밸브 시트 부재(109)의 직경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어 나와 대직경 구멍부(133)로 빠진다. 통로 홈(221)은 모든 통로 구멍(216)에 대해서 형성되어 있다. 통로 홈(221)은, 복수, 구체적으로는 네 곳, 밸브 시트 부재(109)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가지런히 맞춰 밸브 시트 부재(109)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통로 홈(221)이 형성됨으로써 내측 시트부(134)는 둘레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로 구멍(216)과 이 통로 구멍(216)이 개구되는 통로 오목부(215)가 밸브 시트 부재(109)에 마련되는 제1 통로부(151)를 형성하고 있다. 밸브 시트 부재(109)에는 제1 통로부(151)가 복수, 구체적으로는 네 곳, 밸브 시트 부재(109)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가지런히 맞춰 밸브 시트 부재(109)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밸브 시트 부재(109)에는 제1 통로부(151)가 복수 동일 원주 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로 홈(221)은 제1 통로부(151)로 향해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경 방향 통로(222)를 형성하고 있다. 밸브 시트 부재(109)에는 직경 방향 통로(222)가 복수, 구체적으로는 네 곳, 밸브 시트 부재(109)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가지런히 맞춰 밸브 시트 부재(109)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시트 부재(109)에는, 본체부(140)의 축방향의 소직경 구멍부(132) 측에 통로 홈(225)이 형성되어 있다. 통로 홈(225)은 본체부(140)의 내측 시트부(138) 측의 단부면으로부터 밸브 시트 부재(109)의 축방향으로 움푹 파여 형성되어 있다. 통로 홈(225)은, 밸브 시트 부재(109)의 중심을 지나는 직경 방향선 상에, 이 직경 방향선을 따라 마련되어 있고, 밸브 시트 구성부(211)와 밸브 시트 구성부(211)의 사이에 개구되는 통로 구멍(206)으로부터 밸브 시트 부재(109)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본체부(140)의 외주면으로 빠진다. 통로 구멍(206)은 통로 홈(225)의 바닥면에 개구되어 있다. 통로 홈(225)은 모든 통로 구멍(206)에 대해서 형성되어 있다. 통로 홈(225)은, 복수, 구체적으로는 네 곳, 밸브 시트 부재(109)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가지런히 맞춰 밸브 시트 부재(109)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로 구멍(206)과 이 통로 구멍(206)이 개구되는 통로 오목부(205)가 밸브 시트 부재(109)에 마련되는 제2 통로부(152)를 형성하고 있다. 밸브 시트 부재(109)에는 제2 통로부(152)가 복수, 구체적으로는 네 곳, 밸브 시트 부재(109)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가지런히 맞춰 밸브 시트 부재(109)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밸브 시트 부재(109)에는 제2 통로부(152)가 복수 동일 원주 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1 통로부(151) 및 복수의 제2 통로부(152)가 밸브 시트 부재(109)에 마련되어 오일액이 유통되는 밸브 시트 부재 통로부(150)를 구성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밸브 시트 부재 통로부(150)는 제1 통로부(151) 및 제2 통로부(152)를 가지고, 제1 통로부(151) 및 제2 통로부(152)가 동일 원주 상에 등간격으로 교대로 복수 마련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시트 부재(109)에는, 외주부의 축방향 중간 위치에, 직경 방향 안쪽으로 움푹 파이는 원환형의 시일 홈(14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시일 홈(145) 내에 O 링(108)이 배치되어 있다. 밸브 시트 부재(109)는, 내측 시트부(138) 및 밸브 시트부(139)를, 바닥부(122)와는 반대측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외주부에 있어서 캡 부재(101)의 통형부(124)에 감합되어 있으며, 캡 부재(101) 내에 마련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O 링(108)은 캡 부재(101)의 통형부(124)와 밸브 시트 부재(109)의 간극을 시일한다.
캡 부재(101), O 링(108) 및 밸브 시트 부재(109)는 캡 부재(101)의 내측에 캡실(146)을 형성하고 있다. 캡실(146)은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와 밸브 시트 부재(109)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플렉시블 디스크(100), 여러 장의 디스크(102) 및 서브 밸브(107)는 이 캡실(146) 내에 마련되어 있다.
플렉시블 디스크(100)는 캡실(146) 내의 서브 밸브(107)와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플렉시블 디스크(100)는, 디스크 돌출부(302)가 복수의 통로 구멍(126) 전체를, 바닥부(122)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서 둘러싸도록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에 전체 둘레에 걸쳐 상시 맞닿는다. 또한, 플렉시블 디스크(100)는, 내주측 접촉부(303)가 복수의 통로 구멍(126) 전체를, 바닥부(122)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안쪽에서 둘러싸도록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에 전체 둘레에 걸쳐 상시 맞닿는다.
따라서, 이 플렉시블 디스크(100)에 의해서, 캡실(146)은 플렉시블 디스크(100)보다도 서브 밸브(107) 측의 중간실(147)과 플렉시블 디스크(100)보다도 복수의 통로 구멍(126) 측의 연통실(149)(체적실)로 구획되어 있다. 연통실(149)은 복수의 통로 구멍(126) 내의 연통로(148)에 상시 연통되어 있다. 중간실(147)은 플렉시블 디스크(100)에 의해서 연통로(148)와의 연통이 차단된다. 바꿔 말하면, 캡실(146) 내에는, 서브 밸브(107)와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의 사이에, 연통로(148)를 폐색하는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크(100)가 마련되어 있다. 또 바꿔 말하면, 플렉시블 디스크(100)와 서브 밸브(107)의 사이에는, 플렉시블 디스크(100)에 의해서 연통로(148)와의 연통이 차단되는 중간실(147)이 형성되어 있다.
플렉시블 디스크(100)가 휘어짐으로써 중간실(147)의 용적이 변화된다. 즉, 플렉시블 디스크(100)가 휘어짐으로써 중간실(147)에 어큐뮬레이터의 기능을 갖게 한다. 연통실(149)은, 중간실(147)의 용적 증대를 흡수하기 때문에 용적이 감소하여 오일액을 배출하거나, 중간실(147)의 용적 감소를 흡수하기 때문에 용적이 증대되어 오일액을 유입시키거나 한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크(100)의 변형이 연통실(149)의 오일액에 의해서 저해되는 것을 억제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형의 밸브 시트 부재(109) 및 바닥을 가진 통형의 캡 부재(101)는 상실(19) 및 하실(20) 중의 한쪽인 하실(20)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밸브 시트 부재(109)는 밸브 시트부(135)가 캡실(146) 측에, 밸브 시트부(139)가 하실(20) 측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 시트 부재(109)는 캡실(146)의 중간실(147)과 하실(20)을 구획하고 있으며, 중간실(147) 및 하실(20) 양쪽에 면하여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통로 홈(225)은 하실(20)에 면하여 마련되어 있고, 복수의 제2 통로부(152)는 복수의 통로 홈(225) 내의 통로를 통해 하실(20)에 상시 연통되어 있다.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에 형성된 연통로(148)는 상실(19) 및 하실(20) 중의 한쪽인 하실(20)과 상시 연통된다.
밸브 시트 부재(109)의 제1 통로부(151)에 개구되는 통로 홈(221) 내의 직경 방향 통로(222)는 중간실(147)에 상시 연통되어 있고, 중간실(147) 내부와, 밸브 시트 부재(109)의 대직경 구멍부(133) 내의 통로 및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를 상시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중간실(147)은, 밸브 시트 부재(109)의 통로 홈(221) 내의 직경 방향 통로(222)와, 밸브 시트 부재(109)의 대직경 구멍부(133) 내의 통로,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 및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와, 디스크(82)의 절결부(90) 내의 통로와, 피스톤(18)의 환형 홈(55)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8) 내의 통로를 통해 상실(19)에 상시 연통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02)는 내측 시트부(47)의 외경과 동등한 외경이다. 서브 밸브(107)는 디스크형이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시트 부재(109)의 밸브 시트부(135)의 외경과 동등한 외경으로 되어 있고, 내측 시트부(134)에 상시 맞닿아, 밸브 시트부(135)에 이착좌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서브 밸브(107)는, 밸브 시트부(135) 전체에 착좌함으로써 모든 제2 통로부(152)를 폐색한다. 또한, 서브 밸브(107)는, 도 4a에 도시하는 밸브 시트부(135) 중의 어느 한 밸브 시트 구성부(201) 전체에 착좌함으로써, 이 밸브 시트 구성부(201) 내측의 제2 통로부(152)를 폐색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시트부(135)에 이착좌 가능한 서브 밸브(107)는 캡실(146) 내에 마련되어 있고, 캡실(146) 내에서 밸브 시트부(135)로부터 이좌함으로써, 복수의 제2 통로부(152)와 캡실(146)의 중간실(147)을 연통시키고, 하실(20)을 상실(19)에 연통시킨다. 이때, 서브 밸브(107)는 밸브 시트부(135) 사이의 오일액의 흐름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한다. 서브 밸브(107)는, 중간실(147) 내에 하실(20)로부터 복수의 제2 통로부(152)를 통해 오일액을 유입시킬 때에 개방하는 유입 밸브이며, 중간실(147)로부터 하실(20)로의 제2 통로부(152)를 통한 오일액의 유출을 규제하는 역지 밸브이다. 여기서, 제1 통로부(151)를 구성하는 통로 구멍(216)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시트 부재(109)에 있어서의 밸브 시트부(135)의 범위보다도 외측에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 시트부(135)에 착좌하는 도 2에 도시하는 서브 밸브(107)와는 무관계하게 중간실(147)에 상시 연통된다.
복수의 통로 홈(225) 내의 통로와, 복수의 제2 통로부(152)와, 개변 시에 출현하는 서브 밸브(107) 및 밸브 시트부(135) 사이의 통로와, 중간실(147)과, 밸브 시트 부재(109)의 통로 홈(221) 내의 직경 방향 통로(222)와, 밸브 시트 부재(109)의 대직경 구멍부(133) 내의 통로,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 및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와, 디스크(82)의 절결부(90) 내의 통로와, 피스톤(18)의 환형 홈(55)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8) 내의 통로가, 피스톤(18)의 하실(20) 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2) 내의 상류측이 되는 하실(20)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상실(19)로 오일액이 흘러나오는 제2 통로(172)를 구성하고 있다. 제2 통로(172)는, 피스톤(18)의 하실(20) 측으로의 이동, 즉 축소 행정에 있어서 상류측이 되는 하실(20)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상실(19)로 향해서 오일액이 흘러나오는 축소 측의 통로가 된다.
제2 통로(172)는, 피스톤 로드(21)를 절결하여 형성되는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를 포함하고 있고, 바꿔 말하면, 그 일부가 피스톤 로드(21)를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1)를 절결하여 형성하는 것 이외에도, 밸브 시트 부재(109)의 대직경 구멍부(133) 내의 통로에 일단이 개구되고,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에 타단이 개구되도록 피스톤 로드(21)의 내부를 구멍형으로 관통하여 피스톤 로드 통로부(51)를 형성하여도 좋다. 따라서, 제2 통로(172)는 피스톤 로드(21)를 절결 또는 관통하여 형성되는 피스톤 로드 통로부(51)를 가지고 있다.
서브 밸브(107)와 밸브 시트부(135)와 여러 장의 디스크(102)와 플렉시블 디스크(100)와 캡 부재(101)가 축소 측의 제2 통로(172)에 마련되고, 이 제2 통로(172)를 개폐하여, 이 제2 통로(172)로부터 상실(19)로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하는 축소 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를 구성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는 상기 밸브 시트부(135)가 밸브 시트 부재(109)에 마련되어 있다. 축소 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를 구성하는 서브 밸브(107)는 축소 측의 서브 밸브이다.
제2 통로(172)에 있어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에, 디스크(82)의 절결부(90) 내의 통로가, 유로 단면적이 고정인 부분 중에서 가장 좁고, 유로 단면적이 그 상류측 및 하류측보다도 좁게 되어, 제2 통로(172)에 있어서의 오리피스(175)로 된다. 오리피스(175)는, 서브 밸브(107)가 개변하여 제2 통로(172)에서 오일액이 흐를 때의 오일액 흐름의 서브 밸브(107)보다도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오리피스(175)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 중, 피스톤(18)에 맞닿는 디스크(82)를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축소 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는, 밸브 시트부(135) 및 이것에 맞닿는 서브 밸브(107)의 어디에나, 이들이 맞닿는 상태에 있더라도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축소 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는, 밸브 시트부(135)와 서브 밸브(107)가 전체 둘레에 걸쳐 맞닿는 상태에 있으면,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시키는 일은 없다. 바꿔 말하면, 제2 통로(172)는, 상실(19)과 하실(20)을 상시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는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상실(19)과 하실(20)을 상시 연통시키는 통로가 아니다.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할 수 있는 축소 측의 제2 통로(172)는, 마찬가지로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할 수 있는 축소 측의 통로인 제1 통로(72)와 병렬되어 있고, 제1 통로(72)에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가, 제2 통로(172)에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모두 축소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는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밸브(110)는 디스크형이며, 밸브 시트 부재(109)의 밸브 시트부(139)의 외경과 동등한 외경으로 되어 있고, 내측 시트부(138)에 상시 맞닿아, 밸브 시트부(139)에 이착좌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서브 밸브(110)는 밸브 시트부(139) 전체에 착좌함으로써 모든 제1 통로부(151)를 폐색한다. 또한, 서브 밸브(110)는, 도 4b에 도시하는 밸브 시트부(139) 중 어느 하나의 밸브 시트 구성부(211) 전체에 착좌함으로써 상기 밸브 시트 구성부(211) 내측의 제1 통로부(151)를 폐색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밸브(110)는 서브 밸브(107)와 동일 형상의 공통 부품으로 할 수 있다. 디스크(111)의 외경은 서브 밸브(110)의 외경보다 소직경이며, 내측 시트부(138)의 외경과 동등하게 되어 있다.
서브 밸브(110)는 하실(20) 내에 마련되어 있으며, 밸브 시트부(139)로부터 이좌함으로써 중간실(147)과 하실(20)을 연통시킨다. 이때, 서브 밸브(110)는 밸브 시트부(139)와의 사이의 오일액의 흐름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한다. 서브 밸브(110)는, 중간실(147) 내에서 오일액을 하실(20)로, 밸브 시트 부재(109)의 복수의 제1 통로부(151)를 통해 배출할 때에 여는 배출 밸브이며, 하실(20)에서 중간실(147) 안으로의 제1 통로부(151)를 통한 오일액의 유입을 규제하는 역지 밸브이다. 여기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통로부(152)를 구성하는 통로 구멍(206)은, 밸브 시트 부재(109)에 있어서의 밸브 시트부(139)의 범위보다도 외측에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에 도시하는 밸브 시트부(139)에 착좌하는 서브 밸브(110)와는 무관계하게 하실(20)에 상시 연통된다.
피스톤(18)의 복수의 통로 구멍(38) 내 및 환형 홈(55) 내의 통로와, 디스크(82)의 절결부(90) 내의 통로와,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 및 밸브 시트 부재(109)의 대직경 구멍부(133) 내의 통로와, 밸브 시트 부재(109)의 통로 홈(221) 내의 직경 방향 통로(222)와, 중간실(147)과, 밸브 시트 부재(109)의 복수의 제1 통로부(151)와, 개변 시에 출현하는 서브 밸브(110) 및 밸브 시트부(139) 사이의 통로가, 피스톤(18)의 상실(19) 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2) 내의 상류측이 되는 상실(19)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하실(20)로 오일액이 흘러나오는 제2 통로(182)를 구성하고 있다.
제2 통로(182)는, 피스톤(18)의 상실(19) 측으로의 이동, 즉 신장 행정에 있어서 상류측이 되는 상실(19)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하실(20)로 향해서 오일액이 흘러나오는 신장 측의 통로가 된다. 제2 통로(182)는, 피스톤 로드(21)를 절결하여 형성되는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를 포함하고 있고, 바꿔 말하면, 그 일부가 피스톤 로드(21)를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캡 부재(101)와 서브 밸브(110)와 밸브 시트부(139)와 디스크(111, 113)와 환형 부재(114)가 신장 측의 제2 통로(182)에 마련되고, 이 제2 통로(182)를 개폐하여, 이 제2 통로(182)로부터 하실(20)로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하는 신장 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를 구성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이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는 밸브 시트부(139)가 밸브 시트 부재(109)에 마련되어 있다. 신장 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를 구성하는 서브 밸브(110)는 신장 측의 서브 밸브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실(20)에 연통되는 연통실(149)은, 도 2에 도시하는 제2 통로(172) 및 도 2, 도 3에 도시하는 제2 통로(182)와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 183)는 상기 연통실(149)의 체적을 변경할 수 있는 체적 가변 기구(185)를 가지고 있다. 체적 가변 기구(185)는 플렉시블 디스크(100)와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와 연통실(149)과 연통로(148)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플렉시블 디스크(100)는, 바닥부(122)에 가까워지도록 변형하여 이동함으로써 연통실(149)의 체적을 줄이도록 변경하고, 바닥부(122)로부터 멀어지도록 변형하여 이동함으로써 연통실(149)의 체적을 늘리도록 변경한다.
제2 통로(182)에 있어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에, 도 2에 도시하는 디스크(82)의 절결부(90) 내의 통로가, 유로 단면적이 고정인 부분 중에서 가장 좁고, 유로 단면적이 그 상류측 및 하류측보다도 좁게 되어 제2 통로(182)에 있어서도 오리피스(175)로 된다. 오리피스(175)는 제2 통로(172, 182)에 공통이다. 오리피스(175)는, 서브 밸브(110)가 개변하여 제2 통로(182)에서 오일액이 흐를 때의 오일액 흐름의 서브 밸브(110)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오리피스(175)는, 서브 밸브(110)가 개변하여 제2 통로(182)에서 오일액이 흐를 때의 오일액 흐름의 서브 밸브(110)보다도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서브 밸브(110)와 상기한 서브 밸브(107)는 독립적으로 개폐한다.
신장 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는, 밸브 시트부(139) 및 이것에 맞닿는 서브 밸브(110)의 어디에나 이들이 맞닿는 상태에 있더라도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신장 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는, 밸브 시트부(139)와 서브 밸브(110)가 전체 둘레에 걸쳐 맞닿는 상태에 있으면,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시키는 일은 없다. 바꿔 말하면, 제2 통로(182)는, 상실(19)과 하실(20)을 상시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상실(19)과 하실(20)을 상시 연통시키는 통로가 아니다. 환형 부재(114)는, 디스크(113)에 의해서, 서브 밸브(110)의 개방 방향으로의 규정 이상의 변형을 서브 밸브(110)에 맞닿아 규제한다.
완충기(1)는, 적어도 피스톤(18) 내에서 축방향으로 오일액을 통과시키는 흐름으로서는, 상실(19)과 하실(20)이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 42)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 183)를 통해서만 연통 가능하다. 따라서, 완충기(1)는, 적어도 피스톤(18) 내부를 축방향으로 통과하는 오일액의 통로 상에는, 상실(19)과 하실(20)을 상시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완충기(1)는, 모노튜브식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상실(19)과 하실(20)을 상시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할 수 있는 신장 측의 제2 통로(182)는, 마찬가지로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할 수 있는 신장 측의 통로인 제1 통로(92)와, 상실(19) 측의 환형 홈(55)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8) 내의 통로를 제외하고 병렬되어 있고, 병렬 부분에는, 제1 통로(92)에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가, 제2 통로(182)에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모두 신장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는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 183)는, 밸브 시트 부재(109)와, 제2 통로(172, 182) 중 밸브 시트 부재(109)에 마련되는 부분인 밸브 시트 부재 통로부(150)의 일측에 마련되는 서브 밸브(110) 및 밸브 시트 부재 통로부(150)의 타측에 마련되는 서브 밸브(107)와, 제2 통로(172, 182)에 있어서의 피스톤(18)과 밸브 시트 부재(109)의 사이에 마련되는 바닥을 가진 통형의 캡 부재(101)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 시트 부재(109)는 캡 부재(101) 내에 마련되어 있고, 서브 밸브(110)는 밸브 시트 부재(109)의 하실(20) 측에 마련되고, 서브 밸브(107)는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와 밸브 시트 부재(109) 사이의 캡실(146) 내에 마련되어 있다. 밸브 시트 부재(109)에는, 피스톤 로드 통로부(51)와 연통하여, 신장 측의 제1 통로부(151)로 향해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경 방향 통로(222)가 마련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1)에 피스톤(18) 등을 조립해 부착하는 경우,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각각 삽입 관통시키면서, 축단차부(29)에, 환형 부재(69)와 디스크(68)와 디스크(67)와 여러 장의 디스크(66)와 여러 장의 디스크(65)와 여러 장의 디스크(64)와 디스크(63)와 여러 장의 디스크(62)와 피스톤(18)이 순차 겹쳐진다. 이때, 피스톤(18)은 소직경 구멍부(45)가 축단차부(29) 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된다.
아울러, 부착축부(28)를 각각 삽입 관통시키면서, 피스톤(18)에, 디스크(82)와 디스크(83)와 디스크(84)와 여러 장의 디스크(85)와 디스크(86)와 여러 장의 디스크(87)와 여러 장의 디스크(88)와 디스크(89)와 캡 부재(101)가 순차 겹쳐진다. 이때, 캡 부재(101)는 바닥부(122)가 피스톤(18) 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되어 디스크(89)에 맞닿는다.
더욱이, 부착축부(28)를 각각 삽입 관통시키면서,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에, 플렉시블 디스크(100)와 여러 장의 디스크(102)와 서브 밸브(107)와 O 링(108)이 장착된 상태의 밸브 시트 부재(109)가 순차 겹쳐진다. 이때, 플렉시블 디스크(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돌출부(302)가 주체부(301)로부터 바닥부(122) 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되고, 디스크 돌출부(302)에 있어서 바닥부(122)에 맞닿고, 내주측 접촉부(303)에 있어서 디스크(102)에 맞닿는다. 또한, 이때, 밸브 시트 부재(109)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시트부(134) 및 밸브 시트부(135)가 서브 밸브(107) 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되며, 외주부 및 O 링(108)을 캡 부재(101)의 통형부(124)에 감합시킨다.
더욱이, 부착축부(28)를 각각 삽입 관통시키면서, 밸브 시트 부재(109)에, 서브 밸브(110)와 디스크(111)와 디스크(113)와 복수의 환형 부재(114)가 순차 겹쳐진다. 이 상태에서, 환형 부재(114)보다도 돌출되는 피스톤 로드(21)의 수나사(31)에 너트(115)를 나사 결합시키고, 너트(115)와 축단차부(29)에 의해 이들의 적어도 내주 측을 축방향으로 클램프한다.
이 상태에서, 메인 밸브(71)는, 디스크(62, 63)를 통해 피스톤(18)의 내측 시트부(49)와 디스크(67)에 내주 측이 클램프되고, 피스톤(18)의 밸브 시트부(50)에 전체 둘레에 걸쳐 맞닿는다. 또한, 이 상태에서, 메인 밸브(91)는, 디스크(82~84)를 통해 피스톤(18)의 내측 시트부(47)와 디스크(89)에 내주 측이 클램프되고, 피스톤(18)의 밸브 시트부(48)에 전체 둘레에 걸쳐 맞닿는다.
또한, 이 상태에서, 플렉시블 디스크(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변형하면서 디스크 돌출부(302)에 있어서 바닥부(122)에 맞닿고, 내주측 접촉부(303)가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와 디스크(102)에 클램프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서브 밸브(107)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시트 부재(109)의 내측 시트부(134)와 디스크(102)에 내주 측이 클램프되고, 밸브 시트 부재(109)의 밸브 시트부(135)에 전체 둘레에 걸쳐 맞닿는다. 또한, 이 상태에서, 서브 밸브(110)는, 밸브 시트 부재(109)의 내측 시트부(138)와 디스크(111)에 내주 측이 클램프되고, 밸브 시트 부재(109)의 밸브 시트부(139)에 전체 둘레에 걸쳐 맞닿는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크(100)는, 디스크 돌출부(302)에 있어서 바닥부(122)에 맞닿고, 내주측 접촉부(303)가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와 디스크(102)에 클램프되면, 디스크 돌출부(302)가, 그 높이만큼의 프리로드가 걸린 상태에서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에 전체 둘레에 걸쳐 맞닿게 된다. 또한, 서브 밸브(107)는, 개변 시에 플렉시블 디스크(100) 방향으로 휘게 되지만, 서브 밸브(107)와 플렉시블 디스크(100)의 사이에는 충분한 간극을 두고 있어, 서브 밸브(107)가 그 최대 리프트 시에도 플렉시블 디스크(100)에는 접촉하지 않게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두 신장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 중,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의 메인 밸브(91)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의 서브 밸브(110)보다도 강성이 높고 개변압(開弁壓)이 높다. 이로써, 신장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소정치보다도 저속인 극미저속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폐변한 상태에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가 개변한다. 또한, 피스톤 속도가 이 소정치 이상의 통상 속도인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가 함께 개변하게 된다. 서브 밸브(110)는 피스톤 속도가 극미저속인 영역에서 개변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극미저속 밸브이다.
즉, 신장 행정에 있어서는, 피스톤(18)이 상실(19)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실(19)의 압력이 높아지고 하실(20)의 압력이 낮아진다. 그러면,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 42)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 183)의 어디에도 상실(19)과 하실(20)을 상시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는 없지만, 상실(19)의 오일액이, 피스톤(18)의 복수의 통로 구멍(38) 내 및 환형 홈(55) 내의 통로와, 오리피스(175)와,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 및 밸브 시트 부재(109)의 대직경 구멍부(133) 내의 통로와, 밸브 시트 부재(109)의 통로 홈(221) 내의 직경 방향 통로(222)를 통해 중간실(147)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중간실(147)이 승압(昇壓)되게 된다. 이 때문에, 도 3에 도시하는 체적 가변 기구(185)는, 플렉시블 디스크(100)의 가요부(305)가 바닥부(122) 측으로 휘어 중간실(147)의 용량을 크게 하게 되어, 중간실(147)의 압력 상승을 억제하게 된다. 이때, 플렉시블 디스크(100)가 바닥부(122) 측으로 휘어 이동하므로, 체적 가변 기구(185)는 연통실(149)의 체적을 작게 한다.
여기서, 완충기(1)의 저주파 입력 시(대진폭 가진(加振) 시)의 신장 행정에서는, 상기와 같은 상실(19)로부터 중간실(147)로의 오일액의 유입량이 크게 되기 때문에, 플렉시블 디스크(100)가 크게 변형하여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에 가요부(305)에 있어서 접촉하여, 그 접촉 면적이 커진다. 이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크(100)의 바닥부(122)에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면, 플렉시블 디스크(100)의 휨량에 제한이 걸리게 되어, 어느 정도 이상의 차압(差壓) 부가에 의해 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크(100)가 다 휘어짐으로써 중간실(147)의 용량 증가가 없어진다. 그러면, 플렉시블 디스크(100) 및 연통로(148)가 없는 상태와 동일한 상태가 되어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가 개변하는 상태까지 승압한다.
이때,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 42)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 183)의 어디에도 상실(19)과 하실(20)을 상시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가 없으므로, 도 5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피스톤 속도가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가 개변하는 제1 소정치(v1) 미만에서의 신장 행정에서는, 감쇠력이 급격히 상승한다. 또한, 피스톤 속도가 제1 소정치(v1)보다도 고속인 영역이며, 제1 소정치보다도 고속의 제2 소정치(v2)보다도 저속의 극미저속 영역(v1 이상 v2 미만)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폐변한 상태에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가 개변한다.
즉, 서브 밸브(110)가 밸브 시트부(139)로부터 이좌하여, 신장 측의 제2 통로(182)에서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시킨다. 이로써, 상실(19)의 오일액이, 피스톤(18)의 복수의 통로 구멍(38) 내 및 환형 홈(55) 내의 통로와, 오리피스(175)와,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 및 밸브 시트 부재(109)의 대직경 구멍부(133) 내의 통로와, 밸브 시트 부재(109)의 통로 홈(221) 내의 직경 방향 통로(222)와, 중간실(147)과, 밸브 시트 부재(109) 내의 제1 통로부(151)와, 서브 밸브(110) 및 밸브 시트부(139) 사이의 통로를 통해 하실(20)로 흐른다. 이에 따라, 피스톤 속도가 제2 소정치보다도 저속인 극미저속 영역에서도 밸브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에 거의 비례하는 특성)의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신장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제2 소정치(v2)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가 개변한 상태 그대로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가 개변한다. 즉, 서브 밸브(110)가 밸브 시트부(139)로부터 이좌하여, 신장 측의 제2 통로(182)에서 상실(19)로부터 하실(20)에 오일액을 흘리게 되는데, 이때, 제2 통로(182)에 있어서 메인 밸브(91)보다도 하류측에 마련된 오리피스(175)에 의해 오일액의 흐름이 교축되게 됨으로써, 메인 밸브(91)에 가해지는 압력이 높아져 차압이 높아지고, 메인 밸브(91)가 밸브 시트부(48)로부터 이좌하여, 신장 측의 제1 통로(92)에서 상실(19)로부터 하실(20)에 오일액을 흘린다. 이로써, 상실(19)의 오일액이, 복수의 통로 구멍(38) 내 및 환형 홈(55) 내의 통로와, 메인 밸브(91) 및 밸브 시트부(48) 사이의 통로를 통해 하실(20)로 흐른다.
이에 따라, 피스톤 속도가 제2 소정치(v2)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도 밸브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에 거의 비례한다)의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통상 속도 영역에 있어서의 피스톤 속도의 증가에 대한 신장 측의 감쇠력의 증가율은, 극미저속 영역에 있어서의 피스톤 속도의 증가에 대한 신장 측의 감쇠력의 증가율보다도 낮아진다. 바꿔 말하면, 통상 속도 영역에 있어서의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한 신장 측의 감쇠력 증가율의 기울기를, 극미저속 영역보다도 눕힐 수 있다.
여기서, 신장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제2 소정치(v2)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상실(19)과 하실(20)의 차압은, 제1 소정치(v1) 이상 제2 소정치(v2) 미만의 저속 영역보다도 커지지만, 제1 통로(92)는 오리피스에 의한 교축이 없기 때문에, 메인 밸브(91)가 개변함으로써 오일액을 제1 통로(92)를 통해 대유량으로 흘릴 수 있다. 이것과, 제2 통로(182)를 오리피스(175)로 조이는 것에 의해, 서브 밸브(11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때, 폐쇄 상태의 서브 밸브(107)에는 하실(20)과 중간실(147)로부터 반대 방향의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상실(19)과 하실(20)의 차압이 커지더라도, 제2 통로(182)에 있어서 서브 밸브(107)보다도 상류측에 오리피스(17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실(147)의 압력 상승이 상실(19)의 압력 상승에 대해서 완만하게 되어, 중간실(147)과 하실(20)의 압력차가 커지는 것을 억제한다. 이로써, 폐쇄 상태의 서브 밸브(107)가 받는 중간실(147)과 하실(20)의 압력차가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서브 밸브(107)에 중간실(147) 측으로부터 하실(20) 측으로 향한 큰 배압(背壓)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완충기(1)는, 신장 행정에 있어서 상실(19)로부터 하실(20)로 오일액을 흘리는 유로를 제1 통로(92)와 제2 통로(182)의 병렬로 마련하고, 메인 밸브(91)와 서브 밸브(110)를 병렬로 마련하고 있다. 또한, 오리피스(175)는 서브 밸브(110)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신장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제2 소정치(v2)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메인 밸브(91)가 개변함으로써 오일액을 제1 통로(92)를 통해 대유량으로 흘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 밸브(110) 및 밸브 시트부(139) 사이의 통로를 흐르는 유량이 작아진다. 이로써, 예컨대 피스톤 속도가 통상 속도 영역(v2 이상)에서의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한 감쇠력의 증가율을 내리거나 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통상 속도 영역(v2 이상)에 있어서의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한 신장 측의 감쇠력 증가율의 기울기를, 극미저속 영역(v2 미만)보다도 눕힐 수 있다. 이로써, 설계 자유도를 확대할 수 있다.
상기한 저주파 입력 시보다도 높은 주파수가 완충기(1)에 입력되는 고주파 입력 시(소진폭 가진 시)의 신장 행정에서는, 상실(19)로부터 중간실(147)로의 오일액의 유입량이 작다. 이 때문에, 플렉시블 디스크(100)의 변형은 작고, 체적 가변 기구(185)는, 플렉시블 디스크(100)의 휨량으로, 중간실(147)로의 오일액의 유입 볼륨을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중간실(147)의 승압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극미저속 감쇠력의 수직 상승 시에는, 마치 플렉시블 디스크(100)가 없고, 중간실(147)이 캡 부재(101)의 연통로(148)에서 하실(20)에 상시 연통하는 상태, 즉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가 없는 구조와 동일한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 5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저주파 입력 시의 감쇠력 특성에 대해서, 도 5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극미저속 감쇠력의 수직 상승이 완만하게 된다. 또한, 극미저속 영역(v2 미만)에서는, 플렉시블 디스크(100)가 휘어짐으로써 중간실(147)로의 오일액의 유입 볼륨을 크게 하면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가 개변하기 때문에, 동일한 피스톤 속도에 대한 극미저속 감쇠력이, 플렉시블 디스크(100)가 다 휘어 중간실(147)로의 오일액의 유입 볼륨이 변하지 않는 저주파 입력 시보다도 내려간 특성으로 된다. 바꿔 말하면, 피스톤(18)의 주파수가 소정 주파수를 넘으면, 플렉시블 디스크(100)를 포함하는 체적 가변 기구(185)에 의해,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의 서브 밸브(110)로의 오일액의 유량을 제한한다. 또한, 플렉시블 디스크(100)의 강성(판 두께 등)의 차이에 의해,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의 개변까지의 감쇠력 변화(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두 축소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 중,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의 메인 밸브(71)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의 서브 밸브(107)보다도 강성이 높고 개변압이 높다. 이로써, 축소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소정치보다도 저속인 극미저속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폐변한 상태에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가 개변하고, 피스톤 속도가 이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가 함께 개변하게 된다. 서브 밸브(107)는, 피스톤 속도가 극미저속인 영역에서 개변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극미저속 밸브이다.
즉, 축소 행정에 있어서는, 피스톤(18)이 하실(20)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하실(20)의 압력이 높아지고, 상실(19)의 압력이 낮아진다. 그러면,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 42)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 183)의 어디에도 하실(20)과 상실(19)을 상시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가 없기 때문에,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가 개변할 때까지 오일액은 흐르지 않는다. 이 때문에, 감쇠력은 급격히 상승한다. 피스톤 속도가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가 개변하는 제3 소정치보다도 고속인 영역이며 제3 소정치보다도 고속의 제4 소정치보다도 저속인 극미저속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폐변한 상태에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가 개변한다.
즉, 서브 밸브(107)가 밸브 시트부(135)로부터 이좌하여, 축소 측의 제2 통로(172)에서 하실(20)과 상실(19)을 연통시킨다. 이에 따라, 하실(20)의 오일액이, 밸브 시트 부재(109)의 통로 홈(225) 내의 통로 및 제2 통로부(152)와, 서브 밸브(107) 및 밸브 시트부(135) 사이의 통로와, 중간실(147)과, 밸브 시트 부재(109)의 통로 홈(221) 내의 직경 방향 통로(222)와, 밸브 시트 부재(109)의 대직경 구멍부(133) 내의 통로,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 및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와, 오리피스(175)와, 피스톤(18)의 환형 홈(55)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8) 내의 통로를 통해 상실(19)로 흐른다. 이에 따라, 피스톤 속도가 제4 소정치보다도 저속인 극미저속 영역에서도 밸브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에 거의 비례하는 특성)의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축소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상기 제4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가 개변한 상태 그대로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가 개변한다. 즉, 서브 밸브(107)가 밸브 시트부(135)로부터 이좌하여, 축소 측의 제2 통로(172)에서 하실(20)로부터 상실(19)로 오일액을 흘리게 되는데, 이때, 제2 통로(172)는 오리피스(175)로 오일액의 유량이 교축되고 있으므로, 제1 통로(72)에 마련된 메인 밸브(71)에 생기는 차압이 커지고, 메인 밸브(71)가 밸브 시트부(50)로부터 이좌하여, 축소 측의 제1 통로(72)에서 하실(20)로부터 상실(19)로 오일액을 흘린다. 이로써, 하실(20)의 오일액이, 복수의 통로 구멍(39) 내 및 환형 홈(56) 내의 통로와, 메인 밸브(71) 및 밸브 시트부(50) 사이의 통로를 통해 흐른다.
이에 따라, 피스톤 속도가 제4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도 밸브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에 거의 비례한다)의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통상 속도 영역에 있어서의 피스톤 속도 증가에 대한 축소 측의 감쇠력의 증가율은, 극미저속 영역에 있어서의 피스톤 속도의 증가에 대한 축소 측의 감쇠력의 증가율보다도 낮아진다. 바꿔 말하면, 통상 속도 영역에 있어서의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한 축소 측의 감쇠력 증가율의 기울기를, 극미저속 영역보다도 눕힐 수 있다.
축소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제4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하실(20)과 상실(19)의 차압은 저속 영역보다도 커지지만, 제1 통로(72)는 오리피스에 의한 교축이 없기 때문에, 메인 밸브(71)가 개변함으로써 오일액을 제1 통로(72)를 통해 대유량으로 흘릴 수 있다. 이로써, 피스톤 속도가 통상 속도 영역에서의 감쇠력을 내리거나 할 수 있어, 설계 자유도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이때(피스톤 속도가 빠른 경우), 하실(20)과 상실(19)의 차압은 커지지만, 제2 통로(172)를 오리피스(175)로 교축으로써, 상실(19)에 오리피스(175)를 통해 연통되는 중간실(147) 내의 압력은, 하실(20)과 상실(19) 사이의 압력으로 되기 때문에, 하실(20)과의 차압이 지나치게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과, 메인 밸브(71)가 개변함으로써 오일액을 제1 통로(72)를 통해 대유량으로 흘릴 수 있음에 의해서, 서브 밸브(107)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때, 폐쇄 상태의 서브 밸브(110)에는 하실(20)과 중간실(147)로부터 반대 방향의 압력이 가해지게 되는데, 하실(20)과 상실(19)의 차압은 크지만, 하실(20)과 중간실(147)은, 서브 밸브(107)가 개방으로써 연통하고 있고, 서브 밸브(110)의 하류측이 되는 중간실(147)과 상실(19)의 사이에 오리피스(175)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실(147) 내의 압력이 지나치게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하실(20)의 압력 상승에 맞춰 중간실(147)의 압력도 상승시킬 수 있다. 이로써, 서브 밸브(110)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면에 생기는 차압이 작고, 서브 밸브(110)에 하실(20) 측으로부터 중간실(147) 측으로 향한 큰 배압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의 완충기(1)는, 축소 행정에서 하실(20)로부터 상실(19)로 오일액을 흘리는 유로를 제1 통로(72)와 제2 통로(172)의 병렬로 마련하고, 메인 밸브(71)와 서브 밸브(107)를 병렬로 마련하고 있다. 또한, 오리피스(175)는 제2 통로(172)에 있어서 서브 밸브(107)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축소 행정에 있어서는, 하실(20)의 압력이 상승하면, 연통로(148) 및 연통실(149)의 압력도 상승하게 되는데, 연통로(148) 및 연통실(149)의 압력에 의해서 플렉시블 디스크(100)가 변형되기 전에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가 개변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축소 행정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크(100)가 연통실(149)을 중간실(147)에 연통시켜 버리는 일도 없다.
이상에 말한 것과 같이, 완충기(1)는, 신장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제2 소정치(v2)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상실(19)과 하실(20)의 차압이 커지지만, 서브 밸브(107)보다도 상류측에 형성된 오리피스(175)로 중간실(147)의 압력 상승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서브 밸브(107)의 배압에 의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축소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제4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하실(20)과 상실(19)의 차압은 저속 영역보다도 커지지만, 제1 통로(72)에서 오일액을 대유량으로 흘리는 것과, 제2 통로(172)의 서브 밸브(107)보다도 하류측을 오리피스(175)로 조이는 것에 의해, 서브 밸브(107)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밸브(107)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완충기(1)는, 신장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제2 소정치(v2)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상실(19)과 하실(20)의 차압은 저속 영역보다도 커지지만, 제1 통로(92)에서 오일액을 대유량으로 흘리는 것과, 제2 통로(182)를 오리피스(175)로 조이는 것에 의해, 서브 밸브(11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축소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제4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하실(20)과 상실(19)의 차압이 커지지만, 서브 밸브(107)의 개변으로 하실(20)과 중간실(147)은 연통되어 있고, 더구나 중간실(147)은 상실(19)과의 사이에 마련된 오리피스(175)에 의해 상실(19)로의 오일액의 흐름이 교축된다. 이 때문에, 하실(20)과 중간실(147)의 차압은 작고, 서브 밸브(110)의 배압에 의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서브 밸브(1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완충기(1)는, 축소 행정 및 신장 행정에서 독립적인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 183)를 갖기 때문에, 감쇠력 특성의 설정 자유도가 높아진다.
상기한 특허문헌 1에는, 동일 행정에서 개변하는 밸브를 2개 갖는 완충기가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동일 행정에서 개변하는 밸브를 2개 갖는 구조를 채용 함으로써, 한쪽의 밸브를 다른 쪽의 밸브보다도 피스톤 속도가 저속인 영역에서 개변시키고, 이보다도 고속인 영역에서는 양쪽의 밸브를 개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완충기에 있어서, 특히 미세 조타(操舵) 입력 시의 응답성 개선이나 양로(良路) 승차감의 플랫 느낌 개선 등을 위해서, 극미저속 영역에서의 저주파 입력 시에 감쇠력을 내는 설정으로 하면, 고주파 입력 시에 있어서 이음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는, 피스톤(18)의 이동에 의해 오일액이 흘러나오는 제1 통로(92) 및 제2 통로(182)와, 제1 통로(92)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와, 제2 통로(182)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를 가지고 있다.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는, 제2 통로(182)의 일측에 마련되는 서브 밸브(110)와, 제2 통로(182)와 병렬로 마련된 연통실(149)의 체적을 변경하는 체적 가변 기구(185)를 갖는다. 이에 따라, 체적 가변 기구(185)에 의해서, 제2 통로(182)와 병렬로 마련된 연통실(149)의 체적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제2 통로(182)를 흐르는 오일액의 유량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체적 가변 기구(185)는, 연통실(149)과, 이동하여 연통실(149)의 체적을 변경하는 플렉시블 디스크(100)를 갖는다. 이 때문에, 체적 가변 기구(185)를 간소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18)의 주파수가 소정 주파수를 넘으면, 체적 가변 기구(185)에 의해 서브 밸브(110)로의 오일액의 유량을 제한한다. 이 때문에, 특히 고주파 입력 시에 있어서 이음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통로(92)와 제2 통로(182)는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통로(182)에 흐르는 오일액의 유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서브 밸브(11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 42)가 마련되는 피스톤(18)의 제1 통로(72, 92)와는 병렬의 제2 통로(172, 182)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 183)의 서브 밸브(110) 및 서브 밸브(107)를, 하실(20)에 배치되는 밸브 시트 부재(109)에 마련한다. 이와 함께, 제2 통로(172, 182)에 있어서의 피스톤(18)과 밸브 시트 부재(109)의 사이에 바닥을 가진 통형의 캡 부재(101)를, 그 내측에 밸브 시트 부재(109)를 배치하여 마련한다. 이때, 서브 밸브(110)를 하실(20) 측에, 서브 밸브(107)를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와 밸브 시트 부재(109) 사이의 캡실(146) 내에 마련한다. 그리고,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에, 하실(20)과 연통하는 연통로(148)를 형성하고, 캡실(146) 내의 제2 서브 밸브(107)와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의 사이에, 연통로(148)를 폐색하는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크(100)를 마련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크(100)와 제2 서브 밸브(107)의 사이에, 플렉시블 디스크(100)에 의해서 연통로(148)와의 연통이 차단되는 중간실(147)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중간실(147)은, 제2 통로(172, 182)를 구성하고, 플렉시블 디스크(100)가 휘어짐으로써 용량이 가변으로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완충기(1)의 저주파 입력 시의 신장 행정에서는, 상실(19)로부터 중간실(147)로의 오일액의 유입량이 크기 때문에, 플렉시블 디스크(100)가 다 휘어, 그 후의 중간실(147)의 용량 증가가 없어진다. 그 결과, 도 5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피스톤 속도가 제1 소정치(v1) 미만에서의 신장 행정에 있어서 감쇠력을 급격히 상승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이음이 발생하기 쉬운 완충기(1)의 고주파 입력 시의 신장 행정에서는, 상실(19)로부터 중간실(147)로의 오일액의 유입량은 작기 때문에, 플렉시블 디스크(100)의 휘어짐으로 중간실(147)로의 오일액의 유입 볼륨을 흡수할 수 있다. 그 결과, 중간실(147)이 캡 부재(101)의 연통로(148)로 하실(20)에 상시 연통되는 상태와 같은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저주파 입력 시의 감쇠력 특성에 대해서, 도 5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극미저속 감쇠력의 수직 상승이 완만하게 되어,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의 개변 시의 감쇠력 변화가 매끄럽게 되고, 극미저속 영역(v2 미만)에서는, 동일한 피스톤 속도에 대한 극미저속 감쇠력이 저주파 입력 시보다도 내려간 특성으로 된다. 바꿔 말하면,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에 주파수 의존성의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충기(1)는, 미세 조타 입력 시의 응답성 개선이나 양로 승차감의 플랫 느낌 개선 등을 위해서, 극미저속에서도 감쇠력이 필요하게 되는 저주파 입력에 대해서는, 확실히 극미저속이라도 감쇠력을 발생하면서, 이음을 발생하기 쉬운 고주파 입력에 대해서는, 극미저속에서의 감쇠력을 약하게 하며 또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의 개변 시의 감쇠력 변화를 매끄럽게 함으로써 이음을 억제한다. 따라서, 극미저속에서의 원하는 감쇠 성능과 이음 억제를 양립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의 이음 억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이음의 발생과 상관된 로드 가속도를 해석했다. 즉, 소정 특성의 스프링 기구의 일단을 위치 고정으로 하고 타단에 완충기(1)의 피스톤 로드(21)를 연결하고, 실린더(2)를 진동원에 연결하여, 진동원에서 실린더(2)를 소정의 정현파로 진동시킨 경우에 생기는 피스톤 로드(21)의 가속도인 로드 가속도 및 완충기(1)의 감쇠력을 해석했다. 또한, 비교를 위해서, 완충기(1)에 대해서,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에 연통로(148)가 없으며 캡실(146) 내에 플렉시블 디스크(100)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구성의 비교예의 완충기에 관해서도 같은 해석을 행했다. 그 해석 결과를 도 6에 도시한다.
도 6은, 특히 이음이 발생하기 쉬운, 도 6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감쇠력이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바뀌는 축소 행정에서 신장 행정으로의 행정 반전 시의 특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 도 6으로부터 분명한 것과 같이, 도 6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의 로드 가속도는, 도 6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비교예의 로드 가속도와 비교하여, 플러스 측의 피크치가 화살표 Y1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0에 가깝게 되고, 마이너스 측의 피크치가 화살표 Y2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0에 가깝게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로드 가속도에 상관된 이음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는, 플렉시블 디스크(100)에,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에 상시 맞닿는 디스크 돌출부(30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가짓수의 증대 및 조립 공정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디스크(100)를 프레스 성형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로(182)의 서브 밸브(110)가 개변하는 신장 행정 시의 흐름의 상류측에 오리피스(175)를 배치한다. 이에 따라, 축소 행정 시에 하실(20)로부터 서브 밸브(107)를 열어 중간실(147) 안으로 흐르고, 상실(19)로 흐르는 오일액의 흐름을 오리피스(175)가 조이게 된다. 이 때문에, 중간실(147)과 하실(20)의 차압이 작아져, 하실(20)로부터 배압을 받는 폐쇄 상태의 서브 밸브(110)가, 중간실(147)로부터 하실(20)과 동등한 압력을 받게 되고, 받는 배압(차압)이 억제되게 된다. 이로써, 서브 밸브(1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밸브 시트 부재 통로부(150)는 신장 측의 제1 통로부(151) 및 축소 측의 제2 통로부(152)를 가지고, 신장 측의 제1 통로부(151) 및 축소 측의 제2 통로부(152)는 동일 원주 상에 교대로 복수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신장 측의 밸브 시트부(139)를, 제1 통로부(151)를 각각 둘러싸 형성되는 복수의 밸브 시트 구성부(211)로 형성할 수 있고, 축소 측의 밸브 시트부(135)를, 제2 통로부(152)를 각각 둘러싸 형성되는 복수의 밸브 시트 구성부(201)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밸브(110)와 밸브 시트부(139)를 포함하는 신장 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의 개변 시의 급격한 개변 및 유압 변동을 억제하여 감쇠력 특성을 매끄럽게 변화시킬 수 있다.
즉, 도 5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피스톤 속도가 제1 소정치(v1) 미만에서의 신장 행정에 있어서, 감쇠력이 급격히 상승한 후, 피스톤 속도가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가 개변하는 제1 소정치(v1)보다도 고속의 극미저속 영역(v1 이상 v2 미만)으로 이행할 때의 감쇠력 특성을 매끄럽게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 나타내는 파선은, 하나의 원환형의 밸브 시트부에 서브 밸브(110)를 이착좌시키는 경우의 감쇠력 특성이지만, 이와 비교하여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의 감쇠력 특성이 매끄럽게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밸브 시트부(139)와 동일 형상의 밸브 시트부(135)와 서브 밸브(107)를 포함하는 축소 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개변 시의 감쇠력 특성을 매끄럽게 변화시킬 수 있다.
더구나, 신장 측의 제1 통로부(151) 및 축소 측의 제2 통로부(152)는, 동일 원주 상에 교대로 복수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서브 밸브(107, 110)의 직경을 함께 크게 할 수 있게 되어, 신장/축소 양 행정에 있어서 밸브 강성을 낮추고, 유압 변동을 억제하여 감쇠력 특성을 매끄럽게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극미저속 영역의 감쇠력의 이어짐이 매끄럽지 않게, 바꿔 말하면 감쇠 계수가 불연속으로 되면, 동일 차선 내에서 천천히 스티어링을 끊는 식의 미타(微舵) 조작에 대해서 비선형 느낌을 줘 버리게 된다. 또한, 감쇠력의 급격한 변화는 승차감에 딱딱함을 느껴 불쾌하게 느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서,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는, 극미저속 영역에서의 감쇠력 상승을 도모한 다음에, 조종 안정성 및 승차감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유압 변동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피스톤(18), 캡 부재(101) 및 밸브 시트 부재(109)에 피스톤 로드(21)가 삽입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피스톤(18), 캡 부재(101) 및 밸브 시트 부재(109)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제2 통로(172, 182)는, 각각의 일부가 피스톤 로드(21)를 절결하거나 또는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통로(172, 182)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밸브 시트 부재(109)에, 피스톤 로드 통로부(51)와 연통하며, 신장 측의 제1 통로부(151)로 향해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경 방향 통로(22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간소한 구조로 피스톤 로드 통로부(51)와 신장 측의 제1 통로부(151)를 연통시킬 수 있다.
오리피스(175)가, 신장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 중, 피스톤(18)에 맞닿는 디스크(82)를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리피스(175)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중간실(147)과 하실(20)의 차압이 신장/축소 양 행정에 있어서 커지지 않기 때문에, 캡 부재(101)로서 박판의 프레스 부품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제조성, 경량화의 면에서 유리하다.
이상의 제1 실시형태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 183)를 상실(19) 및 하실(20) 중의 한쪽인 하실(20) 측에 마련했지만, 상실(19) 측에 둘 수도 있다. 그 경우, 예컨대 상기한 캡 부재(101)와 플렉시블 디스크(100)와 여러 장의 디스크(102)와 서브 밸브(107)와 O 링(108)이 장착된 밸브 시트 부재(109)와 서브 밸브(110)와 디스크(111)와 디스크(113)를, 배열 순서는 그대로 축방향으로 반전시켜, 환형 부재(69)와 디스크(68)의 사이에 배치한다. 이로써, 이들 중 디스크(113)가 환형 부재(69)에, 캡 부재(101)가 디스크(68)에 맞닿게 된다. 또한, 디스크(89)가 환형 부재(114)에 맞닿게 된다.
또한, 그 경우, 여러 장의 디스크(62)와 절결부(90)를 갖는 디스크(82)를 교체하여 절결부(90) 내의 통로를 축소 측의 환형 홈(56) 내의 통로에 연통시킨다. 아울러,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를, 절결부(90)에 서로 이웃하여 대향하도록 내측 시트부(49) 측에 형성하고, 피스톤 로드 통로부(51)가, 디스크(82)의 절결부(90)의 통로 및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와 밸브 시트 부재(109)의 대직경 구멍부(133) 내의 통로를 연통시키도록 통로 절결부(3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가 신장 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가 되고,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가 축소 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가 된다. 그리고, 제1 통로부(151)가 축소 측의 통로부가 되고, 밸브 시트 부재(109)의 직경 방향 통로(222)는, 피스톤 로드 통로부(51)와 연통하여, 축소 측의 제1 통로부(151)로 향해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게 된다. 그 결과, 축소 행정에 있어서, 극미저속에서의 원하는 감쇠 성능과 이음 억제를 양립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형태]
이어서, 제2 실시형태를 주로 도 7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된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1A)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디스크 돌출부(302)를 갖는 플렉시블 디스크(100) 대신에 플렉시블 디스크(100A)(가요 부재, 이동 부재)와 단차 조정 심(321)이 마련되어 있다.
플렉시블 디스크(100A)는, 완충기(1A)에 조립하여 부착되기 전의 자연 상태에 있을 때, 일정 두께의 구멍을 가진 원형 평판형을 이루는 플레인 디스크(돌기가 없는 평면 디스크)이며,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감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플렉시블 디스크(100A)는 내주면과 외주면이 동축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축 대칭 형상이다. 플렉시블 디스크(100A)는, 내주부에 부착축부(28)를 감합시킴으로써, 피스톤 로드(21)에 대해서 직경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동축형으로 배치된다. 플렉시블 디스크(100A)에는 제1 실시형태의 디스크 돌출부(302)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플렉시블 디스크(100A)도 일정 두께의 1장의 판재로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단차 조정 심(321)은, 일정 두께의 구멍을 가진 원형 평판형을 이루고 있고, 내주면과 외주면이 모두 원통면이며 동축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단차 조정 심(321)은 축 대칭 형상이다. 단차 조정 심(321)도 일정 두께의 1장의 판재로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단차 조정 심(321)은 플렉시블 디스크(100A)와는 별개의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차 조정 심(321)은, 그 내경이 디스크(102)의 외경보다도 크고, 복수의 통로 구멍(126)의 바닥부(122)의 중심으로부터의 최대 거리의 2배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또한, 단차 조정 심(321)은, 그 외경이 캡 부재(101)의 중간 테이퍼부(123)의 최소 내경과 동등하게 되어 있다.
단차 조정 심(321)은,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에 배치되게 되고, 이때 중간 테이퍼부(123)에 의해서 캡 부재(101)에 대해서 직경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캡 부재(101)와 동축형으로 배치된다. 단차 조정 심(321)은, 복수의 통로 구멍(126) 전체를, 바닥부(122)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서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바닥부(122)에 전체 둘레에 걸쳐 맞닿는다. 단차 조정 심(321)은, 바닥부(122)에 배치되면, 바닥부(122)와는 반대측의 면이 캡 부재(101)의 축선 직교 방향으로 넓어지는 평면으로 된다.
플렉시블 디스크(100A) 및 단차 조정 심(321)은 캡 부재(101) 내에 수용되게 되고, 이때 단차 조정 심(321)은 플렉시블 디스크(100A)와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의 사이에 배치된다. 플렉시블 디스크(100A)는, 완충기(1A)에 조립해 들어간 상태에서, 그 내주 측이 디스크(102)와 바닥부(122)에 협지되게 되고, 그 외주 측이 단차 조정 심(321)에 전체 둘레에 걸쳐 맞닿는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크(100A)는 직경 방향 외측일수록 바닥부(122)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지도록 테이퍼형으로 탄성 변형한다.
플렉시블 디스크(100A)는, 내주부의 디스크(102)와 겹쳐지는 부분이,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와 디스크(102)에 전체 둘레에 걸쳐 상시 맞닿는 내주측 접촉부(303A)로 되어 있다. 내주측 접촉부(303A)의 외경은 복수의 통로 구멍(126)의 바닥부(122)의 중심으로부터의 최소 거리의 2배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크(100A)는, 내주측 접촉부(303A)가 복수의 통로 구멍(126) 전체를 바닥부(122)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안쪽에서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바닥부(122)에 전체 둘레에 걸쳐 맞닿아 있다.
플렉시블 디스크(100A)는 내주측 접촉부(303A)와 외주연부(306A)와 이들 사이의 가요부(305A)를 가지고 있다. 플렉시블 디스크(100A)의 외주연부(306A)는, 단차 조정 심(321)의 내경보다도 대직경의 외경이며, 캡 부재(101)의 중간 테이퍼부(123)의 최소 내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플렉시블 디스크(100A)는, 외주연부(306A)에 있어서 단차 조정 심(321)에 전체 둘레에 걸쳐 맞닿게 되고, 가요부(305A)와 외주연부(306A)가 직경 방향 외측일수록 바닥부(122)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지도록 테이퍼형으로 탄성 변형한다. 플렉시블 디스크(100A)는, 가요부(305A)가 바닥부(122)에 가까워지거나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거나 하도록 변형된다.
플렉시블 디스크(100A), 단차 조정 심(321), 여러 장의 디스크(102) 및 서브 밸브(107)가 캡실(146) 내에 마련되어 있다. 플렉시블 디스크(100A)는 캡실(146) 내의 서브 밸브(107)와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플렉시블 디스크(100A)는, 복수의 통로 구멍(126) 전체를 바닥부(122)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서 둘러싸도록 마련된 단차 조정 심(321)에 전체 둘레에 걸쳐 상시 맞닿는다. 또한, 플렉시블 디스크(100A)는, 내주측 접촉부(303A)가 복수의 통로 구멍(126) 전체를 바닥부(122)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안쪽에서 둘러싸도록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에 전체 둘레에 걸쳐 상시 맞닿는다.
플렉시블 디스크(100A) 및 단차 조정 심(321)에 의해서, 캡실(146)은, 서브 밸브(107) 측의 중간실(147)과, 복수의 통로 구멍(126) 내의 연통로(148)에 연통하는 연통실(149)로 구획되어 있다. 중간실(147)은 플렉시블 디스크(100A)에 의해서 연통로(148)와의 연통이 차단된다. 바꿔 말하면, 캡실(146) 내에는, 서브 밸브(107)와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의 사이에, 연통로(148)를 폐색하는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크(100A)가 마련되어 있다. 또 바꿔 말하면, 플렉시블 디스크(100A)와 서브 밸브(107)의 사이에는, 플렉시블 디스크(100A)에 의해서 연통로(148)와의 연통이 차단되는 중간실(147)이 형성되어 있다. 플렉시블 디스크(100A)의 가요부(305A)가 휘어짐으로써 중간실(147)의 용적이 변화된다.
제2 실시형태는, 체적 가변 기구(185)와는 일부 다른 체적 가변 기구(185A)를 갖는다. 제2 실시형태의 체적 가변 기구(185A)는, 플렉시블 디스크(100A)와 단차 조정 심(321)과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와 연통실(149)과 연통로(14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도, 플렉시블 디스크(100A)는, 바닥부(122)에 가까워지도록 변형하여 이동함으로써, 제2 통로(182)와 병렬로 마련된 연통실(149)의 체적을 줄이도록 변경하고, 바닥부(122)로부터 멀어지도록 변형하여 이동함으로써, 연통실(149)의 체적을 늘리도록 변경한다.
피스톤 로드(21)에 피스톤(18) 등을 조립하여 부착하는 경우,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각각 삽입 관통시키면서, 축단차부(29)에, 환형 부재(69)와 디스크(68)와 디스크(67)와 여러 장의 디스크(66)와 여러 장의 디스크(65)와 여러 장의 디스크(64)와 디스크(63)와 여러 장의 디스크(62)와 피스톤(18)과 디스크(82)와 디스크(83)와 디스크(84)와 여러 장의 디스크(85)와 디스크(86)와 여러 장의 디스크(87)와 여러 장의 디스크(88)와 디스크(89)와 캡 부재(101)가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식으로 순차 겹쳐진다.
또한, 부착축부(28)를 각각 삽입 관통시키면서,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에, 단차 조정 심(321)과 플렉시블 디스크(100A)와 여러 장의 디스크(102)가 순차 겹쳐진다.
또한, 부착축부(28)를 각각 삽입 관통시키면서, 여러 장의 디스크(102)에, 서브 밸브(107)와 O 링(108)이 장착된 상태의 밸브 시트 부재(109)와 서브 밸브(110)와 디스크(111)와 디스크(113)와 복수의 환형 부재(114)가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식으로 순차 겹쳐진다. 이 상태에서, 환형 부재(114)보다도 돌출되는 피스톤 로드(21)의 수나사(31)에 너트(115)를 나사 결합시키고, 너트(115)와 축단차부(29)에 의해서, 이들 중 단차 조정 심(321)을 제외하고, 적어도 내주 측을 축방향으로 클램프한다.
이 상태에서, 플렉시블 디스크(100A)는, 탄성 변형하면서 외주연부(306A)에 있어서 단차 조정 심(321)에 맞닿고, 단차 조정 심(321)을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에 압박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 플렉시블 디스크(100A)는 내주측 접촉부(303A)가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와 디스크(102)에 클램프된다.
플렉시블 디스크(100A)는, 외주연부(306A)에 있어서 단차 조정 심(321)에 맞닿고, 내주측 접촉부(303A)가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와 디스크(102)에 클램프되면, 단차 조정 심(321) 높이만큼의 프리로드가 걸린 상태에서 단차 조정 심(321)에 전체 둘레에 걸쳐 맞닿게 되고, 단차 조정 심(321)을 전체 둘레에 걸쳐 바닥부(122)에 맞닿게 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서브 밸브(107)의 최대 리프트 시에도 서브 밸브(107)가 플렉시블 디스크(100A)에는 접촉하지 않게 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1A)는, 제2 통로(182)의 일측에 마련되는 서브 밸브(110)와, 제2 통로(182)와 병렬로 마련된 연통실(149)의 체적을 변경하는 체적 가변 기구(185A)를 갖는다. 이에 따라, 체적 가변 기구(185A)에 의해서, 제2 통로(182)와 병렬로 마련된 연통실(149)의 체적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 통로(182)를 흐르는 오일액의 유량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1A)는, 플렉시블 디스크(100A)와 제2 서브 밸브(107)의 사이에, 플렉시블 디스크(100A) 및 단차 조정 심(321)에 의해서 연통로(148)와의 연통이 차단되는 중간실(147)을 형성하고, 이 중간실(147)의 용량을 플렉시블 디스크(100A)가 휘어짐으로써 가변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극미저속에서의 원하는 감쇠 성능과 이음 억제를 양립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1A)는, 플렉시블 디스크(100A) 및 캡 부재(101)와는 별개로 된 단차 조정 심(321)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단차 조정 심(321)을 두께가 다른 여러 개에서 선택하여 이용함으로써 플렉시블 디스크(100A)의 프리로드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상의 제2 실시형태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 183)를 상실(19) 및 하실(20) 중의 한쪽인 하실(20) 측에 마련했지만, 상실(19) 측에 둘 수도 있다. 그 경우, 예컨대 상기한 캡 부재(101)와 단차 조정 심(321)과 플렉시블 디스크(100A)와 여러 장의 디스크(102)와 서브 밸브(107)와 O 링(108)이 장착된 밸브 시트 부재(109)와 서브 밸브(110)와 디스크(111)와 디스크(113)를, 배열 순서는 그대로 축방향으로 반전시켜, 환형 부재(69)(도 2 참조)와 디스크(68)(도 2 참조)의 사이에 배치하게 된다. 그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에서 말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 183)를 상실(19)에 두는 경우와 같은 식의 변경을 행하게 된다.
[제3 실시형태]
이어서, 제3 실시형태를 주로 도 8에 기초하여 제2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제3 실시형태의 완충기(1B)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단차 조정 심(321)을 가지고 있지 않다. 제3 실시형태의 완충기(1B)에서는, 제1, 제2 실시형태의 캡 부재(101) 대신에, 이것과는 일부 다른 캡 부재(101B)가 마련되어 있다.
캡 부재(101B)는 바닥부(122B)가 제1 실시형태의 바닥부(122)와는 다르다. 바닥부(122B)는, 제1 실시형태의 바닥부(122)와 같은 식의 구멍을 가진 원판형의 일정 두께의 바닥부 본체(331)와, 바닥부 본체(331)의 외주연부로부터 중간 테이퍼부(123)의 직경 방향 내측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중간 테이퍼부(123)와 같은 측으로 돌출하는 원환형의 캡 돌출부(321B)(캡 부재 측의 돌출부)를 가지고 있다. 캡 돌출부(321B)는 외주 측이 중간 테이퍼부(123)에 이어져 있다. 캡 부재(101B)도 바닥부 본체(331) 및 캡 돌출부(321B)로 이루어지는 바닥부(122B)와 중간 테이퍼부(123)와 통형부(124)를 포함한 일체 성형품이며, 예컨대 금속판의 소성 가공이나 절삭 가공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122B)는, 제2 실시형태의 바닥부(122)와 같은 식의 바닥부 본체(331)에, 제2 실시형태에서는 별개로 되어 있었던 단차 조정 심(321)을 캡 돌출부(321B)로서 일체로 형성한 형상이다. 캡 돌출부(321B)의 내주면은 원통면이며, 캡 돌출부(321B)의 축방향의 바닥부 본체(331)와 반대측은 캡 부재(101B)의 축 직교 방향으로 넓어지는 평면으로 되어 있다. 바닥부(122B)에는, 바닥부 본체(331)의 캡 돌출부(321B)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바닥부 본체(331)를 바닥부 본체(331)의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제2 실시형태와 같은 식의 복수의 통로 구멍(126)이 형성되어 있다.
플렉시블 디스크(100A)는, 완충기(1B)에 조립해 들어간 상태에서, 그 내주 측의 내주측 접촉부(303A)가 디스크(102)와 바닥부 본체(331)에 협지되게 되고, 그 외주 측의 외주연부(306A)가 캡 부재(101B)의 캡 돌출부(321B)에 전체 둘레에 걸쳐 맞닿는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크(100A)는 가요부(305A) 및 외주연부(306A)가 직경 방향 외측일수록 바닥부 본체(331)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지도록 테이퍼형으로 탄성 변형된다.
플렉시블 디스크(100A)는, 캡 돌출부(321B)에 전체 둘레에 걸쳐 맞닿음으로써, 캡실(146)을 중간실(147)과 연통실(149)로 구획한다. 플렉시블 디스크(100A)의 가요부(305A)가 휘어짐으로써 중간실(147)의 용적이 변화된다.
제3 실시형태는 체적 가변 기구(185A)와는 일부 다른 체적 가변 기구(185B)를 갖는다. 체적 가변 기구(185B)는 플렉시블 디스크(100A)와 캡 부재(101B)의 바닥부(122B)와 연통실(149)과 연통로(148)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체적 가변 기구(185B)에 있어서도, 플렉시블 디스크(100A)는, 바닥부(122B)의 바닥부 본체(331)에 가까워지도록 변형하여 이동함으로써, 제2 통로(182)와 병렬로 마련된 연통실(149)의 체적을 줄이도록 변경하고, 바닥부(122)의 바닥부 본체(331)로부터 멀어지도록 변형하여 이동함으로써, 연통실(149)의 체적을 늘리도록 변경한다.
피스톤 로드(21)에 피스톤(18) 등을 조립하여 부착하는 경우,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각각 삽입 관통시키면서, 축단차부(29)에, 환형 부재(69)와 디스크(68)와 디스크(67)와 여러 장의 디스크(66)와 여러 장의 디스크(65)와 여러 장의 디스크(64)와 디스크(63)와 여러 장의 디스크(62)와 피스톤(18)과 디스크(82)와 디스크(83)와 디스크(84)와 여러 장의 디스크(85)와 디스크(86)와 여러 장의 디스크(87)와 여러 장의 디스크(88)와 디스크(89)가, 제1, 제2 실시형태와 같은 식으로 순차 겹쳐진다.
또한, 부착축부(28)를 삽입 관통시키면서, 디스크(89)에, 바닥부(122B)를 피스톤(18) 측으로 향하게 한 상태의 캡 부재(101B)와 플렉시블 디스크(100A)와 여러 장의 디스크(102)가 순차 겹쳐진다.
더욱이, 부착축부(28)를 각각 삽입 관통시키면서, 여러 장의 디스크(102)에, 서브 밸브(107)와 O 링(108)이 장착된 상태의 밸브 시트 부재(109)와 서브 밸브(110)와 디스크(111)와 디스크(113)와 복수의 환형 부재(114)가 제1, 제2 실시형태와 같은 식으로 순차 겹쳐진다. 이 상태에서, 환형 부재(114)보다도 돌출되는 피스톤 로드(21)의 수나사(31)에 너트(115)를 나사 결합시키고, 너트(115)와 축단차부(29)에 의해서 이들의 적어도 내주 측을 축방향으로 클램프한다.
이 상태에서, 플렉시블 디스크(100A)는 외주연부(306A)에 있어서 캡 부재(101B)의 캡 돌출부(321B)에 맞닿는다. 또한, 이 상태에서, 플렉시블 디스크(100A)는 내주측 접촉부(303A)가 캡 부재(101B)의 바닥부 본체(331)와 디스크(102)에 클램프된다.
플렉시블 디스크(100A)는, 외주연부(306A)에 있어서 캡 부재(101B)의 캡 돌출부(321B)에 맞닿고, 내주측 접촉부(303A)가 캡 부재(101B)의 바닥부 본체(331)와 디스크(102)에 클램프되면, 캡 돌출부(321B)의 높이만큼의 프리로드가 걸린 상태에서 캡 돌출부(321B)에 전체 둘레에 걸쳐 맞닿게 된다. 또한, 제1,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서브 밸브(107)의 최대 리프트 시에 있어서도 서브 밸브(107)가 플렉시블 디스크(100A)에는 접촉하지 않게 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B)는, 제2 통로(182)의 일측에 마련되는 서브 밸브(110)와, 제2 통로(182)와 병렬로 마련된 연통실(149)의 체적을 변경하는 체적 가변 기구(185B)를 갖는다. 이에 따라, 체적 가변 기구(185B)에 의해서, 제2 통로(182)와 병렬로 마련된 연통실(149)의 체적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 통로(182)를 흐르는 오일액의 유량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형태의 완충기(1B)는, 플렉시블 디스크(100A)와 제2 서브 밸브(107)의 사이에, 플렉시블 디스크(100A)에 의해서 연통로(148)와의 연통이 차단되는 중간실(147)을 형성하고, 이 플렉시블 디스크(100A)가 휘어짐으로써 중간실(147)의 용량을 가변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극미저속에서의 원하는 감쇠 성능과 이음 억제를 양립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캡 부재(101B)의 바닥부(122B)에는, 플렉시블 디스크(100A)와 상시 맞닿는 캡 돌출부(321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가짓수의 증대 및 조립 공정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의 제3 실시형태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 183B)를 상실(19) 및 하실(20) 중의 한쪽인 하실(20) 측에 마련했지만, 상실(19) 측에 둘 수도 있다. 그 경우, 예컨대 상기한 캡 부재(101B)와 플렉시블 디스크(100A)와 여러 장의 디스크(102)와 서브 밸브(107)와 O 링(108)이 장착된 밸브 시트 부재(109)와 서브 밸브(110)와 디스크(111)와 디스크(113)를, 배열 순서는 그대로 축방향으로 반전시켜, 환형 부재(69)(도 2 참조)와 디스크(68)(도 2 참조)의 사이에 배치하게 된다. 그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에서 말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 183B)를 상실(19)에 마련하는 경우와 같은 식의 변경을 행하게 된다.
[제4 실시형태]
이어서, 제4 실시형태를 주로 도 9, 도 10에 기초하여 제2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제4 실시형태의 완충기(1C)에 있어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밸브 시트 부재(109) 대신에, 이것과는 일부 다른 밸브 시트 부재(109C)가 마련되어 있다.
밸브 시트 부재(109C)는, 제2 실시형태의 관통 구멍(131)보다도 축방향 길이가 짧은 관통 구멍(131C)을 가지고 있다. 관통 구멍(131C)은, 제2 실시형태의 소직경 구멍부(132)보다도 축방향 길이가 짧은 축방향 일측의 소직경 구멍부(132C)와, 제2 실시형태와 같은 식의 축방향 타측의 대직경 구멍부(133)를 가지고 있다. 소직경 구멍부(132C)도 관통 구멍(131C)에 있어서의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감합시키는 부분이다.
밸브 시트 부재(109C)는, 축방향의 대직경 구멍부(133) 측의 단부가 제2 실시형태와 같은 식의 내측 시트부(134)를 가지고 있다. 밸브 시트 부재(109C)는, 축방향의 소직경 구멍부(132C) 측의 단부가 제2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밸브 시트 부재(109C)는, 축방향의 소직경 구멍부(132C) 측의 단부에, 소직경 구멍부(132C)를 둘러싸도록 원환형을 이루는 내측 시트부(138C)와, 내측 시트부(138C)를 둘러싸도록 통형을 이루는 통로 형성부(401)를 가지고 있다. 밸브 시트 부재(109C)는, 그 축방향의 내측 시트부(134)와 내측 시트부(138C) 및 통로 형성부(401)의 사이가, 제2 실시형태의 본체부(140)와는 주로 두께가 다른 본체부(140C)로 되어 있다.
내측 시트부(134)는, 본체부(140C)의 축방향의 대직경 구멍부(133) 측의 내주연부로부터 본체부(140C)의 축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내측 시트부(138C)는, 본체부(140C)의 축방향의 소직경 구멍부(132C) 측의 내주연부로부터 본체부(140C)의 축방향을 따라 내측 시트부(134)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통로 형성부(401)는, 내측 시트부(138C)의 직경 방향 외측에서 본체부(140C)의 축방향을 따라 본체부(140C)로부터 내측 시트부(138C)와 같은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내측 시트부(138C)는, 돌출 측의 선단면, 즉 축방향의 본체부(140C)와는 반대측의 선단면이 평탄면이다. 내측 시트부(134, 138C)는 동등한 외경으로 되어 있다.
통로 형성부(401)는, 내측 시트부(138C)의 직경 방향 외측에서 본체부(140C)의 축방향을 따라 본체부(140C)로부터 내측 시트부(138C)와 같은 측으로 돌출하는 원통형의 원통형부(402)와, 원통형부(402)의 본체부(140C)와는 반대측 단부의 내주부로부터 직경 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는 원환형의 환형 돌출부(403)를 가지고 있다.
환형 돌출부(403)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부(402)의 내경보다 소직경인 일정 직경의 중간 원통면(411)과, 중간 원통면(411)의 축방향의 본체부(140C) 측에 있으며 본체부(140C) 측일수록 대직경으로 되는 기단(基端) 측의 테이퍼면(412)과, 중간 원통면(411)의 축방향의 본체부(140C)와는 반대측에 있으며 본체부(140C)로부터 멀어질수록 대직경으로 되는 선단(先端) 측의 테이퍼면(413)을 가지고 있다. 기단 측의 테이퍼면(412)과 선단 측의 테이퍼면(413)은 중간 원통면(411)에 대해서 동등한 각도로 경사져 있다.
밸브 시트 부재(109C)는, 본체부(140C)와 내측 시트부(138C)와 통로 형성부(401)를 가짐으로써, 이들에 둘러싸여, 원환형의 통로 오목부(415)가 형성되어 있다. 통로 오목부(415)는, 내측 시트부(138C) 및 통로 형성부(401)의 돌출 측의 선단면으로부터 밸브 시트 부재(109C)의 축방향으로 움푹 파여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시트 부재(109C)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통로 오목부(415)의 중간 위치에는, 제2 실시형태의 통로 구멍(206)보다도 축방향 길이가 짧은 통로 구멍(206C)이 형성되어 있다. 통로 구멍(206C)도 모든 통로 오목부(205)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다. 통로 구멍(206C)은 통로 오목부(415)의 바닥면에도 개구되어 있다.
밸브 시트 부재(109C)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통로 오목부(415)의 중간 위치에는, 제2 실시형태의 통로 구멍(216)보다도 축방향 길이가 짧은 통로 구멍(216C)이 형성되어 있다. 통로 홈(221)은 통로 구멍(216C)에서부터 대직경 구멍부(133)까지 연장되어 있다. 통로 구멍(216C)도 통로 오목부(415)의 바닥면에 개구되어 있다.
통로 구멍(216C)과 이 통로 구멍(216C)이 개구되는 통로 오목부(415)가, 밸브 시트 부재(109C)에 마련되는 제1 통로부(151C)를 형성하고 있다. 통로 홈(221)의 직경 방향 통로(222)는 제1 통로부(151C)로 향해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통로 구멍(206C)과 이 통로 구멍(206C)이 개구되는 통로 오목부(415)가, 밸브 시트 부재(109C)에 마련되는 제2 통로부(152C)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서브 밸브(107)를 서브 밸브(431)가 겸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복수의 제1 통로부(151C) 및 복수의 제2 통로부(152C)가, 밸브 시트 부재(109C)에 마련되어 오일액이 유통되는 밸브 시트 부재 통로부(150C)를 구성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밸브 시트 부재 통로부(150C)는 복수의 제1 통로부(151C) 및 복수의 제2 통로부(152C)를 가지고 있다. 통로 오목부(415)는 제1 통로부(151C) 및 제2 통로부(152C)에 공통되는 부분이다.
밸브 시트 부재(109C)에는, 본체부(140C) 및 통로 형성부(401)의 외주부의 축방향 중간 위치에, 제2 실시형태와 같은 식의 시일 홈(145)이 형성되어 있고, 이 시일 홈(145) 내에, 캡 부재(101)의 통형부(124)와 밸브 시트 부재(109C)와의 간극을 시일하는 O 링(108)이 배치되어 있다.
캡 부재(101), O 링(108) 및 밸브 시트 부재(109C)는 캡 부재(101)의 내측에 제2 실시형태와 같은 식의 캡실(146)을 형성하고 있다. 환형의 밸브 시트 부재(109C) 및 바닥을 가진 통형의 캡 부재(101)는, 상실(19) 및 하실(20) 중의 한쪽인 하실(20)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밸브 시트 부재(109C)는, 내측 시트부(134)가 캡실(146) 측에, 통로 형성부(401)가 하실(20) 측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 시트 부재(109C)는, 캡실(146)의 중간실(147)과 하실(20)을 구획하고 있으며, 중간실(147) 및 하실(20) 양쪽에 면하여 마련되어 있다.
제4 실시형태의 완충기(1C)에 있어서는, 밸브 시트 부재(109C)와 환형 부재(114)의 사이에, 제2 실시형태의 서브 밸브(110), 디스크(111) 및 디스크(113) 대신에, 1장의 디스크(421)와 1장의 디스크(422)와 1장의 디스크 밸브(423)와 1장의 디스크(424)와 여러 장(구체적으로는 3장)의 디스크(425)와 1장의 디스크(426)가 마련되어 있다.
디스크(421, 422, 424~426) 및 디스크 밸브(423)는 금속제이며, 모두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감합할 수 있는 일정 두께의 구멍을 가진 원형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디스크(421, 422, 424~426) 및 디스크 밸브(423)는 모두 플레인 디스크이며,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각각의 내측에 감합시켜 마련되어 있다.
디스크(421)는 그 외경이 내측 시트부(138C)의 선단면의 외경과 동등하게 되어 있다. 디스크(422)는 그 외경이 디스크(421)의 외경보다도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423)는 그 외경이 디스크(422)의 외경보다도 대직경으로 되어 있으며, 통로 형성부(401)의 중간 원통면(411)의 내경보다도 소정량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424)는 그 외경이 디스크 밸브(423)의 외경보다 소직경이며, 디스크(422)의 외경보다도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425)는 그 외경이 디스크(421)의 외경과 같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426)는 그 외경이 디스크 밸브(423)의 외경보다 소직경으로 되어 있으며, 디스크(424)의 외경 및 환형 부재(114)의 외경보다도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421, 422, 424~426) 및 디스크 밸브(423)는 적어도 내주 측이 밸브 시트 부재(109C)와 너트(115)에 클램프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423)의 원통면으로 이루어지는 외주면은, 밸브 시트 부재(109C)의 통로 형성부(401)의 환형 돌출부(403)의 중간 원통면(411)과 축방향의 위치를 서로 겹쳐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디스크(421, 425)는 피스톤 로드(21)에 일체로 연결되어, 디스크 밸브(423)의 내주 측을 디스크(422, 424)를 통해 캔틸레버 지지하게 된다.
디스크 밸브(423)는, 외주단이 자유단(自由端)으로 되어 있으며,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423)에 더하여 디스크(422, 424)도 외주 측이 자유단으로 되어 있으며,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423) 및 디스크(422, 424)는, 내주 측이 피스톤 로드(21)에 일체적으로 이동하도록 연결되고, 외주 측이 탄성 변형 가능한 서브 밸브(431)(제1 서브 밸브)를 구성하고 있다.
디스크 밸브(423)를 포함하는 서브 밸브(431)는 밸브 시트 부재(109C)와의 사이에 부재 내실(433)을 형성하고 있다. 부재 내실(433)은 통로 오목부(415)와 서브 밸브(431)로 형성되어 있다. 부재 내실(433)은, 복수의 제1 통로부(151C)와, 중간실(147)과, 밸브 시트 부재(109C)의 통로 홈(221) 내의 직경 방향 통로(222)와, 밸브 시트 부재(109C)의 대직경 구멍부(133) 내의 통로와,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와,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와, 디스크(82)의 절결부(90) 내의 통로와, 피스톤(18)의 환형 홈(55)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8) 내의 통로를 통해 상실(19)에 상시 연통된다.
부재 내실(433)은, 디스크 밸브(423)와 통로 형성부(401) 사이의 가변 통로(435)를 통해 하실(20)에 상시 연통되어 있다. 디스크(422, 424)와 함께 디스크(421, 425)에 캔틸레버 지지된 디스크 밸브(423)는, 부재 내실(433) 및 하실(20) 사이의 차압, 즉 상실(19) 및 하실(20) 사이의 차압에 의해 탄성 변형된다.
가변 통로(435)는, 디스크 밸브(423)가 탄성 변형되지 않고서 환형 돌출부(403)의 중간 원통면(411)과 축방향 위치를 서로 겹친 상태에서는 유로 단면적이 최소가 되고, 디스크 밸브(423)가 탄성 변형하여 중간 원통면(41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유로 단면적이 커진다.
서브 밸브(431) 및 통로 형성부(401) 사이의 가변 통로(435)와, 부재 내실(433)과, 밸브 시트 부재(109C)의 복수의 제2 통로부(152C)와, 중간실(147)과, 밸브 시트 부재(109C)의 통로 홈(221) 내의 직경 방향 통로(222)와, 밸브 시트 부재(109C)의 대직경 구멍부(133) 내의 통로와,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와,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와, 디스크(82)의 절결부(90) 내의 통로와, 피스톤(18)의 환형 홈(55)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8) 내의 통로가, 피스톤(18)의 하실(20) 측으로의 이동, 즉 축소 행정에 있어서 실린더(2) 내의 상류측이 되는 하실(20)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상실(19)로 오일액이 흘러나오는 제2 통로(172C)를 구성하고 있다.
제2 통로(172C)는, 피스톤(18)의 하실(20) 측으로의 이동, 즉 축소 행정에 있어서 상류측이 되는 하실(20)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상실(19)로 향해서 오일액이 흘러나오는 축소 측의 통로가 된다. 제2 통로(172C)는, 상실(19)과 하실(20)을 상시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는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상실(19)과 하실(20)을 상시 연통시키는 통로가 아니다.
피스톤(18)의 복수의 통로 구멍(38) 내 및 환형 홈(55) 내의 통로와, 디스크(82)의 절결부(90) 내의 통로와,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와,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와, 밸브 시트 부재(109C)의 대직경 구멍부(133) 내의 통로와, 밸브 시트 부재(109C)의 통로 홈(221) 내의 직경 방향 통로(222)와, 중간실(147)과, 밸브 시트 부재(109C)의 복수의 제1 통로부(151C)와, 부재 내실(433)과, 서브 밸브(431) 및 통로 형성부(401) 사이의 가변 통로(435)가, 피스톤(18)의 상실(19) 측으로의 이동, 즉 신장 행정에 있어서 실린더(2) 내의 상류측이 되는 상실(19)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하실(20)로 오일액이 흘러나오는 제2 통로(440)를 구성하고 있다. 제2 통로(440)는 상실(19)과 하실(20)을 상시 연통시키고 있다.
제2 통로(440)는, 피스톤(18)의 하실(20) 측으로의 이동, 즉 축소 행정에 있어서도 실린더(2) 내의 상류측이 되는 하실(20)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상실(19)로 오일액이 흘러나온다. 이로써, 제2 통로(440)는, 피스톤(18)의 하실(20) 측으로의 이동, 즉 축소 행정에 있어서 상류측이 되는 하실(20)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상실(19)로 향해서 오일액이 흘러나오는 축소 측의 통로가 되고, 피스톤(18)의 상실(19) 측으로의 이동, 즉 신장 행정에 있어서 상류측이 되는 상실(19)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하실(20)로 향해서 오일액이 흘러나오는 신장 측의 통로가 된다.
서브 밸브(431)와 밸브 시트 부재(109C)의 통로 형성부(401)가, 신장/축소 양 행정에 있어서 오일액이 유통되는 제2 통로(440)에 마련되고, 이 제2 통로(440)를 개폐하여, 이 제2 통로(440)에서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하는 신장/축소 양 행정에 있어서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441)를 구성하고 있다. 제2 감쇠력 발생 기구(441)는, 축소 행정에 있어서 오일액이 유통되는 제2 통로(172C)에도 마련되어 있고, 이 제2 통로(172C)를 개폐하여, 이 제2 통로(172C)에서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한다.
제2 통로(172C, 440)에 있어서, 디스크(82)의 절결부(90) 내의 통로가, 유로 단면적이 고정인 부분 중에서 가장 좁아져 전후보다도 교축되게 되어, 제2 통로(172C, 440)에 있어서의 오리피스(175)로 된다.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할 수 있는 축소 측의 통로인 제2 통로(172C, 440)는,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할 수 있는 축소 측의 통로인 제1 통로(72)와 병렬되어 있고, 제1 통로(72)에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가, 제2 통로(172C, 440)에 제2 감쇠력 발생 기구(441)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441)는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할 수 있는 신장 측의 통로인 제2 통로(440)는,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할 수 있는 신장 측의 통로인 제1 통로(92)와 상실(19) 측의 복수의 통로 구멍(38) 내 및 환형 홈(55) 내의 통로를 제외하고 병렬되어 있고, 병렬 부분에는, 제1 통로(92)에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가, 제2 통로(440)에 제2 감쇠력 발생 기구(441)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441)는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어느 것이나 신장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441) 중,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의 메인 밸브(91)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441)의 서브 밸브(431)보다도 강성이 높고 개변압이 높다. 이로써, 신장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소정치보다도 저속인 극미저속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폐변한 상태에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441)가 개변한다. 또한, 피스톤 속도가 이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441)가 함께 개변하게 된다. 서브 밸브(431)는, 피스톤 속도가 극미저속인 영역에서 개변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극미저속 밸브이다.
즉, 신장 행정에 있어서는, 피스톤(18)이 상실(19)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실(19)의 압력이 높아지고, 하실(20)의 압력이 낮아지지만, 피스톤 속도가 제5 소정치 미만에서의 신장 행정에 있어서는, 제2 통로(440)가, 유로 단면적이 최소 상태인 가변 통로(435)를 통해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시키고 있다. 이로써, 상실(19)의 오일액이, 피스톤(18)의 복수의 통로 구멍(38) 내 및 환형 홈(55) 내의 통로와, 오리피스(175)와,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와,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절결부(30) 내의 통로와, 밸브 시트 부재(109C)의 대직경 구멍부(133) 내의 통로와, 직경 방향 통로(222)와, 제1 통로부(151C)와, 부재 내실(433)과, 유로 단면적이 최소 상태인 가변 통로(435)를 통해 하실(20)로 흐른다.
이때, 그 흐름의 일부가 제1 통로부(151C)로부터 중간실(147)로 흐른다. 이에 따라, 중간실(147)이 승압되게 된다. 이 때문에, 플렉시블 디스크(100A)의 도 10에 도시하는 가요부(305A)가 바닥부(122) 측으로 휘어 중간실(147)의 용량을 크게 하게 되어, 중간실(147)의 압력 상승을 억제하게 된다.
여기서, 완충기(1C)의 저주파 입력 시(대진폭 가진 시)의 신장 행정에서는, 상기와 같은 상실(19)로부터 중간실(147)로의 오일액의 유입량이 커지기 때문에, 플렉시블 디스크(100A)가 크게 변형하여 캡 부재(101)의 바닥부(122)에 가요부(305A) 에 있어서 접촉하고, 그 접촉 면적이 커진다. 이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크(100A)의 바닥부(122)에의 접촉 면적이 커지면, 플렉시블 디스크(100A)의 휨량에 제한이 걸리게 되고, 어느 정도 이상의 차압 부가에 의해 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크(100A)가 다 휘어짐으로써 중간실(147)의 용량 증가가 없어진다. 그러면, 제2 감쇠력 발생 기구(441)가 개변하는 상태까지 승압된다.
피스톤 속도가 제5 소정치보다도 고속인 영역이며 제5 소정치보다도 고속의 제6 소정치보다도 저속인 극미저속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폐변한 상태에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441)가 개변한다. 즉, 제2 감쇠력 발생 기구(441)의 서브 밸브(431)가 하실(20) 측으로 변형하고 개변하여 가변 통로(435)를 포함하는 제2 통로(440)에서 상실(19)로부터 하실(20)로 오일액을 흘린다. 이때, 피스톤 속도의 증대에 따라서 서브 밸브(431)의 하실(20) 측으로의 변형량이 커져, 통로 형성부(401)와의 사이의 가변 통로(435)가 확대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 속도가 제6 소정치보다도 저속인 극미저속 영역에서도 밸브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에 거의 비례하는 특성)의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신장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제6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상기한 것과 같이 제2 감쇠력 발생 기구(441)의 서브 밸브(431)가 하실(20) 측으로 변형하여 개변량을 크게 한 상태 그대로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가 개변한다. 즉, 서브 밸브(431)가 하실(20) 측으로 변형하여 가변 통로(435)를 포함하는 제2 통로(440)에서 상실(19)로부터 하실(20)로 오일액을 흘리게 되는데, 이때, 제2 통로(440)에 있어서 서브 밸브(431)보다도 상류측에 마련된 오리피스(175)에 의해 오일액의 흐름이 교축되게 됨으로써, 메인 밸브(91)에 가해지는 압력이 높아져 차압이 높아지고, 메인 밸브(91)가 밸브 시트부(48)로부터 이좌하여, 신장 측의 제1 통로(92)에서 상실(19)로부터 하실(20)로 오일액을 흘린다. 이로써, 상실(19)의 오일액이 복수의 통로 구멍(38) 내 및 환형 홈(55) 내의 통로와 메인 밸브(91) 및 밸브 시트부(48) 사이의 통로를 통해 하실(20)로 흐른다.
이에 따라, 피스톤 속도가 제6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도 밸브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에 거의 비례한다)의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통상 속도 영역에 있어서의 피스톤 속도의 증가에 대한 신장 측의 감쇠력의 증가율은, 극미저속 영역에 있어서의 피스톤 속도의 증가에 대한 신장 측의 감쇠력의 증가율보다도 낮게 된다. 바꿔 말하면, 통상 속도 영역에 있어서의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한 신장 측의 감쇠력 증가율의 기울기를, 극미저속 영역보다도 눕힐 수 있다.
여기서, 신장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제6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상실(19)과 하실(20)의 차압은, 제5 소정치 이상 제6 소정치 미만의 저속 영역보다도 커지지만, 제1 통로(92)에는 오리피스에 의한 교축이 없기 때문에, 메인 밸브(91)가 개변함으로써 오일액을 제1 통로(92)를 통해 대유량으로 흘릴 수 있다. 이것과, 제2 통로(440)를 오리피스(175)로 조이는 것에 의해, 서브 밸브(431)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저주파 입력 시보다도 높은 주파수가 완충기(1C)에 입력되는 고주파 입력 시(소진폭 가진 시)의 신장 행정에서는, 상실(19)로부터 중간실(147)로의 오일액의 유입량이 작다. 이 때문에, 플렉시블 디스크(100A)의 변형은 작고, 플렉시블 디스크(100A)의 휨량으로 중간실(147)로의 오일액의 유입 볼륨을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중간실(147)의 승압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극미저속 감쇠력의 수직 상승 시에는, 마치 플렉시블 디스크(100A)가 없고, 중간실(147)이 캡 부재(101)의 연통로(148)에서 하실(20)에 상시 연통되는 상태, 즉 제2 감쇠력 발생 기구(441)가 없는 구조와 동일한 상태로 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저주파 입력 시의 감쇠력 특성에 대해서, 극미저속 감쇠력의 수직 상승이 완만하게 된다. 또한, 극미저속 영역에서는, 플렉시블 디스크(100A)가 휘어짐으로써 중간실(147)로의 오일액의 유입 볼륨을 크게 하면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441)가 개변하기 때문에, 동일한 피스톤 속도에 대한 극미저속 감쇠력이, 플렉시블 디스크(100A)가 다 휘어 중간실(147)로의 오일액의 유입 볼륨이 변하지 않는 저주파 입력 시보다도 내려간 특성으로 된다.
어느 것이나 축소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441) 중,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의 메인 밸브(71)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441)의 서브 밸브(431)보다도 강성이 높고 개변압이 높다. 이로써, 축소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소정치보다도 저속인 극미저속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폐변한 상태에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441)가 개변하고, 피스톤 속도가 이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441)가 전부 개변하게 된다. 서브 밸브(431)는, 축소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극미저속인 영역에서 개변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극미저속 밸브이다.
즉, 축소 행정에 있어서는, 피스톤(18)이 하실(20)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하실(20)의 압력이 높아지고, 상실(19)의 압력이 낮아진다. 그러면, 피스톤 속도가 제7 소정치 미만에서의 신장 행정에 있어서는, 제2 통로(440)가, 유로 단면적이 최소 상태인 가변 통로(435)를 통해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시키고 있다. 이로써, 하실(20)의 오일액이, 유로 단면적이 최소 상태인 가변 통로(435)와, 부재 내실(433)과, 밸브 시트 부재(109C)의 제1 통로부(151C), 직경 방향 통로(222) 및 대직경 구멍부(133) 내의 통로와,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절결부(30) 내의 통로와,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와, 오리피스(175)와, 피스톤(18)의 환형 홈(55)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8) 내의 통로를 통해 상실(19)로 흐른다.
그리고, 피스톤 속도가 제7 소정치보다도 고속인 영역이며 제7 소정치보다도 고속의 제8 소정치보다도 저속인 극미저속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폐변한 상태에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441)의 서브 밸브(431)가 부재 내실(433) 측으로 변형하고 개변하여, 가변 통로(435)를 포함하는 제2 통로(172C, 440)에서 하실(20)로부터 상실(19)로 오일액을 흘린다. 이때, 피스톤 속도의 증대에 따라서 서브 밸브(431)의 부재 내실(433) 측으로의 변형량이 커져, 통로 형성부(401)와의 사이의 가변 통로(435)가 확대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 속도가 제8 소정치보다도 저속인 극미저속 영역에서도 밸브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에 거의 비례하는 특성)의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축소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상기 제7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상기한 것과 같이 제2 감쇠력 발생 기구(441)의 서브 밸브(431)가 부재 내실(433) 측으로 변형하여 개변량을 크게 하고,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가 개변한다. 즉, 서브 밸브(431)가 부재 내실(433) 측으로 변형하여 가변 통로(435)를 포함하는 제2 통로(172C, 440)에서 하실(20)로부터 상실(19)로 오일액을 흘리게 되는데, 이때, 제2 통로(172C, 440)는 오리피스(175)에 의해 오일액의 유량이 교축되고 있으므로, 메인 밸브(71)에 생기는 차압이 커지고, 메인 밸브(71)가 밸브 시트부(50)로부터 이좌하여, 축소 측의 제1 통로(72)에서 하실(20)로부터 상실(19)로 오일액을 흘린다. 이로써, 하실(20)의 오일액이, 복수의 통로 구멍(39) 내 및 환형 홈(56) 내의 통로와 메인 밸브(71) 및 밸브 시트부(50) 사이의 통로를 통해 흐른다.
이에 따라, 피스톤 속도가 제8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도 밸브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에 거의 비례한다)의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통상 속도 영역에 있어서의 피스톤 속도의 증가에 대한 축소 측의 감쇠력의 증가율은, 극미저속 영역에 있어서의 피스톤 속도의 증가에 대한 축소 측의 감쇠력의 증가율보다도 낮게 된다. 바꿔 말하면, 통상 속도 영역에 있어서의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한 축소 측의 감쇠력 증가율의 기울기를, 극미저속 영역보다도 눕힐 수 있다.
축소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제8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하실(20)과 상실(19)의 차압은 저속 영역보다도 커지지만, 제1 통로(72)는 오리피스에 의한 교축이 없기 때문에, 메인 밸브(71)가 개변함으로써 오일액을 제1 통로(72)를 통해 대유량으로 흘릴 수 있다. 이것과, 제2 통로(172C, 440)를 오리피스(175)로 조이는 것에 의해, 서브 밸브(431)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때(피스톤 속도가 빠른 경우), 하실(20)과 상실(19)의 차압은 커지지만, 제2 통로(172C, 440)를 오리피스(175)로 교축으로써, 상실(19)에 오리피스(175)를 통해 연통되는 부재 내실(433) 내의 압력은 하실(20)과 상실(19) 사이의 압력으로 되기 때문에, 하실(20)과의 차압이 지나치게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과, 메인 밸브(71)가 개변함으로써 오일액을 제1 통로(72)를 통해 대유량으로 흘릴 수 있는 것에 의해, 서브 밸브(431)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축소 행정에 있어서는 감쇠 밸브 기구(197)에 의한 감쇠력 특성도 합친 특성으로 된다.
제2 실시형태에 대한 제4 실시형태의 변경과 같은 식의 변경을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행할 수도 있고, 제3 실시형태에 대해서 행할 수도 있다. 또한, 같은 식의 변경을 후술하는 제5~제10, 제13 실시형태에 대해서 행할 수도 있다.
[제5 실시형태]
이어서, 제5 실시형태를 주로 도 11~도 13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제5 실시형태의 완충기(1D)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의 스토퍼 부재(32), 한 쌍의 지지체(33), 코일 스프링(34) 및 완충체(35)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제5 실시형태의 완충기(1D)에서는, 축소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D)가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와 일부 상이하다.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D)는 피스톤(18)의 밸브 시트부(50)를 포함하고 있고,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D)는, 축방향의 피스톤(18) 측에서부터 순차 1장의 디스크(62)와 동일 내경 및 동일 외경의 여러 장(구체적으로는 2장)의 디스크(64)와 동일 내경 및 동일 외경의 여러 장(구체적으로는 3장)의 디스크(65)와 동일 내경 및 동일 외경의 여러 장(구체적으로는 2장)의 디스크(66D)와 1장의 디스크(67)와 1장의 디스크(68D)와 1장의 환형 부재(69D)를 가지고 있다.
디스크(66D)는 디스크(65)의 외경보다 소직경이며, 디스크(67)의 외경보다도 대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68D)는 디스크(65)의 외경과 동등한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66D), 디스크(68D) 및 환형 부재(69D)는 금속제이다. 디스크(66D), 디스크(68D) 및 환형 부재(69D)는 모두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감합할 수 있다. 디스크(66D, 68D)는 일정 두께의 구멍을 가진 원형 평판형을 이루는 플레인 디스크(돌기가 없는 평면 디스크)이다.
환형 부재(69D)는 직경 방향 외측 부분이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틀어진 단차형을 이루고 있다. 환형 부재(69D)는 디스크(62, 64, 65, 66D, 67, 68D)보다도 두껍고 고강성으로 되어 있다. 환형 부재(69D)는 모두 원환형의 기판부(501) 및 단차판부(502)를 가지고 있다. 기판부(501)는 부착축부(28)를 감합할 수 있다. 기판부(501)는 일정 두께의 구멍을 가진 원형 평판형을 이룬다. 단차판부(502)는 기판부(501)에 대해서 기판부(501)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있다. 단차판부(502)는 기판부(501)에 대해서 기판부(501)의 축방향으로 틀어져 있다. 환형 부재(69D)는 기판부(501)로부터 피스톤(18)과는 반대측으로 단차판부(502)가 돌출되는 상태에서 기판부(501)에 있어서 축단차부(29)에 맞닿는다.
완충기(1D)는 원환형의 완충체(35D)를 가지고 있다. 완충체(35D)는 피스톤 로드(21)의 주축부(27)를 내측에 감합시키고 있다. 완충체(35D)는 환형 부재(69D)의 피스톤(18)과는 반대측에 마련되어 있다. 완충기(1D)는, 피스톤 로드(21)의 완전 신장 시에, 완충체(35D)가 로드 가이드(22)(도 1 참조)에 맞닿는다.
여러 장의 디스크(64), 여러 장의 디스크(65) 및 여러 장의 디스크(66D)가, 밸브 시트부(50)에 이착좌 가능한 축소 측의 메인 밸브(71D)를 구성하고 있다. 메인 밸브(71D)는, 밸브 시트부(50)로부터 이좌함으로써, 복수의 통로 구멍(39) 내 및 환형 홈(56) 내의 통로를 상실(19)에 연통시키고, 밸브 시트부(50)와의 사이의 오일액의 흐름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한다. 환형 부재(69D) 및 디스크(68D)는 메인 밸브(71D)의 개방 방향으로의 규정 이상의 변형을 메인 밸브(71D)에 맞닿아 규제한다.
복수의 통로 구멍(39) 내 및 환형 홈(56) 내의 통로와 개변 시에 출현하는 메인 밸브(71D) 및 밸브 시트부(50) 사이의 통로가,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식의 축소 측의 제1 통로(72)를 구성하고 있다.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D)는 메인 밸브(71D)와 밸브 시트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로(72)에 마련되어 있다. 축소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D)에는, 제1 실시형태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와 마찬가지로, 상실(19)과 하실(20)을 상시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장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D)는, 피스톤(18)의 밸브 시트부(48)를 포함하고 있고, 축방향의 피스톤(18) 측에서부터 순차 1장의 디스크(82)와 1장의 디스크(83)와 동일 내경 및 동일 외경의 여러 장(구체적으로는 4장)의 디스크(85)와 1장의 디스크(86)와 동일 내경 및 동일 외경의 여러 장(구체적으로는 3장)의 디스크(87)와 1장의 디스크(88D)를 가지고 있다.
디스크(88D)는 디스크(87)의 외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88D)는 금속제이다. 디스크(88D)는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감합할 수 있는 일정 두께의 구멍을 가진 원형 평판형을 이루는 플레인 디스크이다.
여러 장의 디스크(85), 1장의 디스크(86) 및 여러 장의 디스크(87)가, 밸브 시트부(48)에 이착좌 가능한 신장 측의 메인 밸브(91D)를 구성하고 있다. 메인 밸브(91D)는, 밸브 시트부(48)로부터 이좌함으로써, 환형 홈(55)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8) 내의 통로를 하실(20)에 연통시키고, 밸브 시트부(48)와의 사이의 오일액의 흐름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한다.
복수의 통로 구멍(38) 내 및 환형 홈(55) 내의 통로와, 개변 시에 출현하는 메인 밸브(91D) 및 밸브 시트부(48) 사이의 통로가,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식의 신장 측의 제1 통로(92)를 구성하고 있다.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D)는, 메인 밸브(91D)와 밸브 시트부(48)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로(92)에 마련되어 있다. 신장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D)에는, 제1 실시형태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와 마찬가지로, 상실(19)과 하실(20)을 상시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신장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D)의 피스톤(18)과는 반대측에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D) 측에서부터 순차 제1 실시형태와는 일부 다른 캡 부재(101D)와 1장의 디스크(511)와 1장의 디스크(512)와 1장의 디스크(513)와 1장의 디스크(514)와 1장의 플렉시블 디스크(515)(가요 부재, 이동 부재)가,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각각의 내측에 감합시켜 마련되어 있다.
또한,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피스톤(18)과는 반대측에는, 플렉시블 디스크(515) 측에서부터 순차 1장의 디스크(516)와 1장의 디스크(517)와 1장의 디스크(518)와 1장의 디스크(519)와 1장의 스토퍼 부재(521)와 1장의 스프링 디스크(522)와 1장의 디스크(523)가,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각각의 내측에 감합시켜 마련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523)의 피스톤(18)과는 반대측에는, 디스크(523) 측에서부터 순차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식의 서브 밸브(107)(일측 서브 밸브)와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식의 밸브 시트 부재(109)와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식의 서브 밸브(110)(타측 서브 밸브)와 1장의 디스크(524)와 1장의 스프링 디스크(525)와 1장의 디스크(526)와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식의 환형 부재(114)가,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각각의 내측에 감합시켜 마련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의 환형 부재(114)보다도 돌출되는 수나사(31)에,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식의 너트(115)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축단차부(29)와 너트(115)에 의해 환형 부재(69D)에서부터 환형 부재(114)까지의 부품의 적어도 내주 측을 축방향으로 클램프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 부재(101D)는 바닥을 가진 통형의 일체 성형품이며, 금속판의 소성 가공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캡 부재(101D)는, 구멍을 가진 원판형의 일정 두께의 바닥부(122D)와, 바닥부(122D)의 외주연부로부터 바닥부(122D)와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원통형의 통형부(124D)를 가지고 있다. 바닥부(122D)는 제1 실시형태의 바닥부(122)와 동일 형상이며, 바닥부(122)보다도 두께가 얇다. 바닥부(122D)에는 제1 실시형태의 통로 구멍(126)과 같은 식의 통로 구멍(126D)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통로 구멍(126D) 내부가 연통로(148)로 되어 있다. 통형부(124D)는 제1 실시형태의 통형부(124)와 동일 형상이며, 통형부(124)보다도 두께가 얇다. 캡 부재(101D)는 통형부(124D)가 바닥부(122D)로부터 피스톤(18)과는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에서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에 부착되어 있다.
디스크(511~514, 516~519, 523, 524, 526), 플렉시블 디스크(515), 스토퍼 부재(521) 및 스프링 디스크(522, 525)는 모두 금속제이다. 디스크(511~514, 516~519, 523, 524, 526), 플렉시블 디스크(515), 스토퍼 부재(521)는 모두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감합할 수 있는 일정 두께의 구멍을 가진 원형 평판형을 이루는 플레인 디스크이다. 디스크(511~514, 516~519, 523, 524, 526), 플렉시블 디스크(515), 스토퍼 부재(521), 스프링 디스크(522, 525)는 모두 캡 부재(101D) 내에 수용되어 있다. 밸브 시트 부재(109)도 캡 부재(101D) 내에 수용되어 있다. 스프링 디스크(522, 525)는 모두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감합할 수 있는 환형을 이루고 있다.
디스크(511, 519)는 공통 부품이며, 외경이 캡 부재(101D)의 바닥부(122D) 의 중심에서부터 통로 구멍(126D)까지의 최소 거리의 2배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512, 518)는 공통 부품이며, 외경이 디스크(511, 519)의 외경보다도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513, 517)는 공통 부품이며, 외경이 디스크(512, 518)의 외경보다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514, 516)는 공통 부품이며, 외경이 디스크(513, 517)의 외경보다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플렉시블 디스크(515)는 외경이 디스크(512, 518)의 외경보다도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플렉시블 디스크(515)는 외경이 캡 부재(101D)의 통형부(124D)의 내경보다도 약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521)는 외경이 캡 부재(101D)의 통형부(124D)의 내경보다도 약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521)에는, 스토퍼 부재(521)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캡 부재(101D)의 통로 구멍(126D)과 일치시켜, 통로 구멍(530)이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통로 구멍(530) 내부는 연통로(531)로 되어 있다.
스프링 디스크(522)는, 부착축부(28)에 감합하는 구멍을 가진 원형 평판형의 기판부(535)와, 기판부(535)의 둘레 방향의 등간격 위치로부터 기판부(535)의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복수의 스프링판부(536)를 가지고 있다. 기판부(535)는, 외경이 스토퍼 부재(521)의 중심에서부터 통로 구멍(530)까지의 최소 거리의 2배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스프링판부(536)는, 연장 선단 측일수록 기판부(535)로부터 기판부(535)의 축방향으로 멀어지도록 기판부(535)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스프링 디스크(522)는, 기판부(535)로부터 스프링판부(536)가 기판부(535)의 축방향에 있어서 서브 밸브(107) 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도록 부착축부(28)에 부착되어 있다.
디스크(523)는 스프링 디스크(522)의 기판부(535)의 외경보다도 외경이 소직경이다. 스프링 디스크(522)는 복수의 스프링판부(536)가 서브 밸브(107)에 맞닿는다. 디스크(524)는 디스크(523)와 공통 부품이다.
스프링 디스크(525)는, 부착축부(28)에 감합하는 구멍을 가진 원형 평판형의 기판부(541)와, 기판부(541)의 둘레 방향의 등간격 위치로부터 기판부(541)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복수의 스프링판부(542)를 가지고 있다. 기판부(541)는 외경이 디스크(524)의 외경보다도 대직경이다. 스프링판부(542)는, 연장 선단 측일수록 기판부(541)로부터 기판부(541)의 축방향으로 멀어지도록 기판부(541)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스프링 디스크(525)는, 기판부(541)로부터 스프링판부(542)가 기판부(541)의 축방향에 있어서 서브 밸브(110) 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도록 부착축부(28)에 부착되어 있다. 스프링 디스크(525)는 복수의 스프링판부(542)가 서브 밸브(110)에 맞닿는다. 디스크(526)는 외경이 서브 밸브(110)의 외경과 동등하게 되어 있다.
캡 부재(101D)의 바닥부(122D)와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사이에는 O 링(551)이 마련되어 있다. O 링(551)은 연통로(148)보다도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마련되어 있다. O 링(551)은, 이 위치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크(515)와 바닥부(122D)에 교축을 위한 부위를 가지고서 맞닿는다. O 링(551)은, 이 위치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크(515)와 바닥부(122D)의 사이를 전체 둘레에 걸쳐 시일한다. O 링(551)은, 내주 측이 피스톤 로드(21)와 일체가 되도록 축방향으로 클램프된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외주 측을 축방향 일측에서 지지한다.
플렉시블 디스크(515)와 스토퍼 부재(521)의 사이에는 O 링(552)이 마련되어 있다. O 링(552)은 O 링(551)과 공통 부품이다. O 링(552)은 연통로(531)보다도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마련되어 있다. O 링(552)은, 이 위치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크(515)와 스토퍼 부재(521)에 교축을 위한 부위를 가지고서 맞닿는다. O 링(552)은, 이 위치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크(515)와 스토퍼 부재(521)의 사이를 전체 둘레에 걸쳐 시일한다. O 링(552)은 플렉시블 디스크(515)와 서브 밸브(107)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O 링(552)은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외주 측을 O 링(551)과는 반대의 축방향 타측에서 지지한다.
플렉시블 디스크(515)는 O 링(551)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 부분이 바닥부(122D)에 가까워지거나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거나 하도록 휘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플렉시블 디스크(515)는 O 링(551)과 디스크(514, 516) 사이 부분이 바닥부(122D)에 가까워지거나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거나 하도록 휘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O 링(551)은 중심 축선을 포함하는 면에서의 단면이 원형이다. 이 때문에,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바닥부(122D) 방향으로의 휨량이 커지면, O 링(551)은 플렉시블 디스크(515)를 지지하는 지점을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휨량이 작아지면, O 링(551)은 플렉시블 디스크(515)를 지지하는 지점을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플렉시블 디스크(515)는 O 링(552)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 부분이 스토퍼 부재(521)에 가까워지거나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거나 하도록 휘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플렉시블 디스크(515)는 O 링(551)과 디스크(514, 516) 사이 부분이 스토퍼 부재(521)에 가까워지거나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거나 하도록 휘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O 링(552)은 중심 축선을 포함하는 면에서의 단면이 원형이다. 이 때문에,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스토퍼 부재(521) 방향으로의 휨량이 커지면, O 링(552)은 플렉시블 디스크(515)를 지지하는 지점을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휨량이 작아지면, O 링(552)은 플렉시블 디스크(515)를 지지하는 지점을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캡 부재(101D), O 링(108) 및 밸브 시트 부재(109)는 캡 부재(101D)의 바닥부(122D)와 밸브 시트 부재(109)의 사이에 캡실(146)을 형성하고 있다. 서브 밸브(107)는 이 캡실(146) 내에 마련되어 있다. 플렉시블 디스크(515) 및 O 링(551, 552)은 캡실(146) 내에 마련되어 있다. 플렉시블 디스크(515)는 캡 부재(101D)의 바닥부(122D)와 서브 밸브(107)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플렉시블 디스크(515) 및 O 링(551, 552)에 의해서, 캡실(146)은, 플렉시블 디스크(515)보다도 서브 밸브(107) 측의 중간실(147)과, 플렉시블 디스크(515)보다도 복수의 통로 구멍(126D) 측의 연통실(149)로 구획되어 있다. 중간실(147)은 플렉시블 디스크(515)와 스토퍼 부재(521)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중간실(147)은 플렉시블 디스크(515) 및 O 링(551, 552)에 의해서 연통실(149) 및 연통로(148)와의 연통이 차단된다.
플렉시블 디스크(515)가 휘어짐으로써 중간실(147) 및 연통실(149)의 용적이 변화된다. 즉, 플렉시블 디스크(515)가 휘어짐으로써 중간실(147) 및 연통실(149)에 어큐뮬레이터의 기능을 갖게 한다. 연통실(149)은, 중간실(147)의 용적 증대를 흡수하기 위해서 용적이 감소하여 오일액을 하실(20)로 배출하거나, 중간실(147)의 용적 감소를 흡수하기 위해서 용적이 증대되어 오일액을 하실(20)로부터 유입시키거나 한다. 반대로, 중간실(147)은, 연통실(149)의 용적 증대를 흡수하기 위해서 용적이 감소하여 오일액을 상실(19) 측으로 배출하거나, 연통실(149)의 용적 감소를 흡수하기 위해서 용적이 증대되어 오일액을 상실(19) 측으로부터 유입시키거나 한다.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변형이 중간실(147) 및 연통실(149)의 오일액에 의해서 저해되는 것은 억제되도록 되어 있다.
서브 밸브(107)는 스프링 디스크(522)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서 밸브 시트부(135)에 착좌하여 제2 통로부(152)를 폐색한다. 서브 밸브(107)와 밸브 시트부(135)와 디스크(523)와 스프링 디스크(522)와 스토퍼 부재(521)가 축소 측의 제2 통로(172)에 마련되고, 이 제2 통로(172)를 개폐하여, 이 제2 통로(172)로부터 상실(19)로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하는 축소 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를 구성하고 있다.
상실(19)에 연통하는 중간실(147)은 제2 통로(172)를 구성하고 있다.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 183D)는 이 중간실(147)의 체적을 변경할 수 있는 체적 가변 기구(185D)를 가지고 있다. 체적 가변 기구(185D)는 플렉시블 디스크(515)와 O 링(551, 552)과 캡 부재(101D)의 통형부(124D)와 디스크(516~519)와 스토퍼 부재(521)와 중간실(147)과 연통로(531)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유로 상에, 플렉시블 디스크(515)와 서브 밸브(107)의 사이에 중간실(147)이 마련되어 있다. 체적 가변 기구(185D)는, 플렉시블 디스크(515)가 바닥부(122D)에 가까워지도록 변형하여 이동함으로써 중간실(147)의 체적을 늘리도록 변경하고, 바닥부(122D)로부터 멀어지도록 변형하여 이동함으로써 중간실(147)의 체적을 줄이도록 변경한다.
서브 밸브(110)는 스프링 디스크(525)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서 밸브 시트부(139)에 착좌하여 제1 통로부(151)를 폐색한다. 서브 밸브(110)와 밸브 시트부(139)와 디스크(524)와 스프링 디스크(525)와 디스크(526)가 신장 측의 제2 통로(182)에 마련되고, 이 제2 통로(182)를 개폐하여, 이 제2 통로(182)로부터 하실(20)로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하는 신장 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D)를 구성하고 있다.
연통로(148)를 통해 하실(20)에 상시 연통되는 연통실(149)은 제2 통로(182)와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 183D)는 이 연통실(149)의 체적을 변경할 수 있는 체적 가변 기구(561)를 가지고 있다. 체적 가변 기구(561)는 플렉시블 디스크(515)와 O 링(551, 552)과 캡 부재(101D)의 바닥부(122D)와 디스크(511~514)와 연통실(149)과 연통로(148)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유로 상에, 플렉시블 디스크(515)와 서브 밸브(110)의, 하실(20) 및 연통로(148)를 매개로 하는 사이에 연통실(149)이 마련되어 있다. 플렉시블 디스크(515)는, 바닥부(122D)에 가까워지도록 변형하여 이동함으로써 연통실(149)의 체적을 줄이도록 변경하고, 바닥부(122D)로부터 멀어지도록 변형하여 이동함으로써 연통실(149)의 체적을 늘리도록 변경한다. 체적 가변 기구(185D)와 체적 가변 기구(561)에 대해서 플렉시블 디스크(515) 및 O 링(551, 552)이 공용으로 되어 있다. 체적 가변 기구(185D)와 체적 가변 기구(561)가 어큐뮬레이터(565)를 구성하고 있다.
스토퍼 부재(521)는 캡 부재(101D)의 통형부(124D)와의 사이에 간극이 있다. 이 때문에, O 링(552)에는 직경 방향으로 차압은 생기지 않는다. O 링(551)에는 중간실(147)과 연통실(149)의 차압이 걸린다. 이 차압은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 183D)에 생기는 차압과 동등하게 된다. 이 차압에 의해, O 링(551)은 캡 부재(101D)의 바닥부(122D)와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사이를 시일한다. O 링(551)은, 그 고무 재질의 경도와, 바닥부(122D) 및 플렉시블 디스크(515)에 대한 교축을 위한 부위가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 183D)에 생기는 차압에서는 이상한 변형을 일으키지 않게 설정되어 있다. O 링(551)을 이용한 구조는 중간실(147)과 하실(20) 사이에서 오일액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 우수하다.
이상의 완충기(1D)의 유압 회로도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어 있다. 즉,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D, 42D)와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 183D)가 상실(19)과 하실(20)의 사이에 병렬로 마련되고, 상실(19)과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 183D)의 사이에 오리피스(175)와 피스톤 로드 통로부(51)가 마련되고, 피스톤 로드 통로부(51)에 어큐뮬레이터(565)의 체적 가변 기구(185D)의 중간실(147)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어큐뮬레이터(565)의 체적 가변 기구(561)의 연통실(149)이 오리피스로서의 연통로(148)를 통해 하실(20)에 접속되어 있다.
어느 것이나 신장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D)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D) 중,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D)의 메인 밸브(91D)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D)의 서브 밸브(110)보다도 강성이 높고 개변압이 높다. 이로써, 신장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소정치보다도 저속인 극미저속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D)는 폐변한 상태에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D)가 개변한다. 또한, 피스톤 속도가 이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D)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D)가 함께 개변하게 된다.
즉, 신장 행정에 있어서는, 상실(19)의 압력이 높아지고, 하실(20)의 압력이 낮아진다. 그러면,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D, 42D)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 183D) 어디에도 상실(19)과 하실(20)을 상시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는 없지만, 상실(19)의 오일액이, 피스톤(18)의 복수의 통로 구멍(38) 내 및 환형 홈(55) 내의 통로와, 오리피스(175)와,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 및 밸브 시트 부재(109)의 대직경 구멍부(133) 내의 통로와, 밸브 시트 부재(109)의 통로 홈(221) 내의 직경 방향 통로(222)와, 스토퍼 부재(521)의 연통로(531)를 통해 중간실(147)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중간실(147)이 승압되게 된다. 이 때문에, 체적 가변 기구(185D)는,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O 링(551)에 맞닿는 위치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 부분이 바닥부(122D) 측으로 휘어 중간실(147)의 용량을 크게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체적 가변 기구(185D)가 중간실(147)의 압력 상승을 억제하게 된다. 이때, 플렉시블 디스크(515)가 바닥부(122D) 측으로 휘어 이동하므로, 체적 가변 기구(561)는 연통실(149)의 체적을 작게 한다.
여기서, 완충기(1D)의 저주파 입력 시(대진폭 가진 시)의 신장 행정에서는, 상기와 같은 상실(19)로부터 중간실(147)로의 오일액의 유입량이 커지기 때문에, 플렉시블 디스크(515)가 크게 변형된다. 플렉시블 디스크(515)는 변형량이 커지면, 클램프된 내주 측의 지지 강성에 의한 반력이 커져 변형량에 제한이 걸린다. 이에 따라, 중간실(147)이 승압되어 간다. 그 결과,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D)가 개변하는 상태까지 제2 통로(182)가 승압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 속도가 낮은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D)가 개변하기까지의 신장 행정에 있어서, 감쇠력이 급격히 상승한다. 또한, 신장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올라 극미저속 영역으로 되면,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D)는 폐변한 상태에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D)가 개변한다. 그러면, 신장 측의 제2 통로(182)를 통해 상실(19)의 오일액이 하실(20)로 흐른다. 또한, 신장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더욱 올라 통상 속도 영역으로 되면,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D)가 개변한 상태 그대로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D)가 개변하여, 신장 측의 제2 통로(182) 및 신장 측의 제1 통로(92)를 통해 상실(19)의 오일액이 하실(20)로 흐른다.
상기한 저주파 입력 시보다도 높은 주파수가 완충기(1D)에 입력되는 고주파 입력 시(소진폭 가진 시)의 신장 행정에서는, 상실(19)로부터 중간실(147)로의 오일액의 유입량이 작다. 이 때문에,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변형도 작다. 이로써, 체적 가변 기구(185D)는,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휨량으로, 중간실(147)로의 오일액의 유입 볼륨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중간실(147)의 승압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극미저속 감쇠력의 수직 상승 시에는, 마치 플렉시블 디스크(515)가 없고, 중간실(147)이 캡 부재(101D)의 연통로(148)에서 하실(20)에 상시 연통되는 상태, 즉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D)가 없는 구조와 동일한 상태로 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신장 행정에 있어서, 저주파 입력 시의 감쇠력 특성에 대해서 극미저속 감쇠력의 수직 상승이 완만하게 된다.
또한, 극미저속 영역에서는, 플렉시블 디스크(515)가 휘어짐으로써 중간실(147)로의 오일액의 유입 볼륨을 크게 하면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D)가 개변하기 때문에, 동일한 피스톤 속도에 대한 극미저속 감쇠력이, 플렉시블 디스크(515)가 다 휘어 중간실(147)로의 오일액의 유입 볼륨이 변하지 않는 저주파 입력 시보다도 내려간 특성으로 된다. 바꿔 말하면, 피스톤(18)의 주파수가 소정 주파수를 넘으면, 플렉시블 디스크(515)를 포함하는 체적 가변 기구(185D)에 의해,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D)의 서브 밸브(110)로의 오일액의 유량을 제한하는 상태가 된다.
어느 것이나 축소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D)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 중,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D)의 메인 밸브(71D)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의 서브 밸브(107)보다도 강성이 높고 개변압이 높다. 이로써, 축소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소정치보다도 저속인 극미저속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D)는 폐변한 상태에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가 개변한다. 또한, 피스톤 속도가 이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D)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가 함께 개변하게 된다.
즉, 축소 행정에 있어서는, 하실(20)의 압력이 높아지고, 상실(19)의 압력이 낮아진다. 그러면,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D, 42D)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 183D)의 어디에도 하실(20)과 상실(19)을 상시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는 없지만, 하실(20)의 오일액이 캡 부재(101D)의 연통로(148)를 통해 연통실(149)에 유입된다. 이에 따라, 연통실(149)이 승압되게 된다. 이 때문에, 체적 가변 기구(561)는,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O 링(552)에 맞닿는 위치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 부분이 스토퍼 부재(521) 측으로 휘어 연통실(149)의 용량을 크게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체적 가변 기구(561)가 연통실(149)의 압력 상승을 억제하게 된다. 이때, 플렉시블 디스크(515)가 스토퍼 부재(521) 측으로 휘어 이동하므로, 체적 가변 기구(185D)는 중간실(147)의 체적을 작게 한다.
여기서, 완충기(1D)의 저주파 입력 시(대진폭 가진 시)의 축소 행정에서는, 상기와 같은 하실(20)로부터 연통실(149)로의 오일액의 유입량이 커지기 때문에, 플렉시블 디스크(515)가 크게 변형된다. 플렉시블 디스크(515)는 변형량이 커지면, 클램프된 내주 측의 지지 강성에 의한 반력이 커져 변형량에 제한이 걸려, 연통실(149)이 승압되어 간다. 그 결과,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가 개변하는 상태까지 승압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 속도가 낮은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가 개변하기까지의 축소 행정에서는, 감쇠력이 급격히 상승한다. 또한, 축소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올라 극미저속 영역으로 되면,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D)는 폐변한 상태에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가 개변한다. 그러면, 축소 측의 제2 통로(172)를 통해 하실(20)의 오일액이 상실(19)로 흐른다. 또한, 축소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더욱 올라 통상 속도 영역으로 되면,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가 개변한 상태 그대로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D)가 개변하여, 축소 측의 제2 통로(172) 및 축소 측의 제1 통로(72)를 통해 하실(20)의 오일액이 상실(19)로 흐른다.
상기한 저주파 입력 시보다도 높은 주파수가 완충기(1D)에 입력되는 고주파 입력 시(소진폭 가진 시)의 축소 행정에서는, 하실(20)로부터 연통실(149)로의 오일액의 유입량이 작다. 이 때문에,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변형은 작다. 이로써, 체적 가변 기구(561)는,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휨량으로, 연통실(149)로의 오일액의 유입 볼륨을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연통실(149)의 승압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극미저속 감쇠력의 수직 상승 시에는, 마치 플렉시블 디스크(515)가 없고, 연통실(149)이 스토퍼 부재(521)의 연통로(531)에서 상실(19)에 상시 연통되는 상태, 즉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가 없는 구조와 동일한 상태로 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축소 행정에 있어서, 저주파 입력 시의 감쇠력 특성에 대하여 극미저속 감쇠력의 수직 상승이 완만하게 된다.
또한, 극미저속 영역에서는, 플렉시블 디스크(515)가 휘어짐으로써 연통실(149)로의 오일액의 유입 볼륨을 크게 하면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가 개변한다. 이 때문에, 동일한 피스톤 속도에 대한 극미저속 감쇠력이, 플렉시블 디스크(515)가 다 휘어 연통실(149)로의 오일액의 유입 볼륨이 변하지 않는 저주파 입력 시보다도 내려간 특성으로 된다. 바꿔 말하면, 피스톤(18)의 주파수가 소정 주파수를 넘으면, 플렉시블 디스크(515)를 포함하는 체적 가변 기구(561)에 의해,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의 서브 밸브(107)로의 오일액의 유량을 제한한다.
여기서,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판 두께 등으로 조정할 수 있는 강성의 차이에 의해,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하중에 대한 휘어짐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 183D)의 개변까지의 감쇠력 변화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저주파 입력 시에,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휘어짐에 대한 하중의 기울기가 지나치게 작으면(스프링 상수가 지나치게 낮으면),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 183D)의 개변까지의 지연이 커져 버린다. 그 결과, 저주파라도 극미저속 감쇠력이 수직 상승하지 않게 되어,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 183D)의 목적으로 하고 있는 스프링 상 제진 기능을 충분히 얻을 수 없게 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적절하게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강성을 높게 설정하여 체적 가변 기구(185D, 561)의 스프링 상수를 높게 설정해 놓을 필요가 있다.
또한, 고주파 입력 시에는,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휘어짐에 대한 하중의 기울기가 지나치게 크면(스프링 상수가 지나치게 높으면), 체적 가변 기구(185D, 561)의 중간실(147) 및 연통실(149)에 유입되는 오일액의 양에 대하여 하중이 빠르게 수직 상승하여,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 183D)의 개변압에 도달해 버린다. 그 결과, 소진폭 가진(고주파)이라도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 183D)가 어느 특성에 가까워져 버리기 때문에, 체적 가변 기구(185D, 561)의 효과가 낮아져 버린다. 이 때문에, 적절하게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강성을 낮게 설정하여 체적 가변 기구(185D, 561)의 스프링 상수를 낮게 설정해 놓을 필요가 있다.
고로, 체적 가변 기구(185D, 561)의 스프링 상수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 183D)의 사양에 따라, 저주파에서 내압이 높아지고, 저감쇠의 목표로 하는 고주파에서 내압이 낮아지도록 적절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 선형 스프링 특성에서는, 저주파, 고주파의 양립이 어려운 경우가 있지만, 완충기(1D)는, 상기한 것과 같이,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휨량에 따라서, 플렉시블 디스크(515)를 지지하는 O 링(551, 552)의 지점을 내경 측으로 이동시켜 지지 강성을 올린다. 이에 따라, 큰 휘어짐에 대해서는 고강성으로 되는 비선형 스프링 특성으로 되어, 저주파에서 스프링 상수를 크게, 고주파에서는 스프링 상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 183D)의 개변압이 높은 경우 등,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 183D)의 개변의 지연이 지나치게 큰 경우는, 플렉시블 디스크(515)가 어느 정도 휘면,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휘어짐을 억제하여, 고하중으로 되게 한다. 상기한 디스크(511~514) 및 디스크(516~519)는, 플렉시블 디스크(515)가 어느 정도 휘면, 플렉시블 디스크(515)에 맞닿아,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휘어짐을 억제한다.
이와 같이, 극미저속 감쇠력이 필요하게 되는, 미세 조타 입력 시의 응답성이나 양로 승차감의 플랫 느낌 등, 스프링 상 제진의 저주파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극미저속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로드 가속도에 기인하는 이음이 발생하는 고주파에서 소진폭의 입력에 대해서는, 극미저속 감쇠력을 약하게 하면서 또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 183D)의 개변 시의 관계를 좋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드 가속도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저주파 입력 시의 극미저속 감쇠의 성능 향상과 고주파 입력 시의 이음 발생의 억제를 양립시킬 수 있게 된다.
제5 실시형태의 완충기(1D)에서는, 캡실(146) 내의 서브 밸브(107)와 캡 부재(101D)의 바닥부(122D)의 사이에, 이동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크(515)가 마련되어 있다. 플렉시블 디스크(515)와 서브 밸브(107)의 사이에는,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이동에 의해서 체적 변경되는 중간실(147)이 형성된 체적 가변 기구(185D)를 갖는다. 이로써, 신장 측의 제2 통로(182)를 흐르는 오일액의 유량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신장 행정에서의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완충기(1D)는, 밸브 시트 부재 통로부(150)의 서브 밸브(107)와는 반대측에, 하실(20)에 마련되는 서브 밸브(110)를 갖는다. 플렉시블 디스크(515)와 서브 밸브(110)의 유로 상의 사이에는,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이동에 의해서 체적 변경되는 연통실(149)이 형성된 체적 가변 기구(561)를 갖는다. 이로써, 축소 측의 제2 통로(172)를 흐르는 오일액의 유량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축소 행정에서의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캡 부재(101D)의 바닥부(122D)와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사이에는 O 링(551)이 마련되어 있고, 플렉시블 디스크(515)와 스토퍼 부재(521)의 사이에는 O 링(552)이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휨량이 커지면, O 링(551, 552)은, 플렉시블 디스크(515)를 지지하는 지점을 직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크(515)를, 큰 휘어짐에 대해서는 고강성으로 되는 비선형 스프링 특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외주 측을 지지하는 부재로서, O 링(551, 552) 중 적어도 어느 한쪽만을 채용하고, 다른 쪽은 별도의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도 좋다.
여기서,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휘어짐에 대한 어큐뮬레이터(565)의 하중 특성은, 휘어짐이 작은 영역에서는 작은 하중으로 움직이기 쉽고, 휘어짐이 큰 영역에서는 큰 하중으로 움직이기 어렵게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서는 이하의 (1)~(3)의 어느 하나와 같이 설정한다. 예컨대 저하중에서는 저스프링, 고하중에서는 고스프링으로 되는 식의 비선형 스프링 특성으로 한다.
(1) 미소한 휘어짐에 대해서는, 스프링 상수가 낮아 휘어지기 쉽고, 크게 휘면 스프링 상수가 높아져 휘어지기 어렵게 되는 식의 비선형 특성.
(2) 미소한 휘어짐에 대해서는, 스프링 상수가 낮아 휘어지기 쉽고, 크게 휘면 스토퍼에 닿아 그 이상 휘지 않게 되는 식의 비선형 특성.
(3) 미소한 휘어짐이라도 적절하게 휘고, 크게 휘면 적절하게 휘어짐을 억제하는 식의 선형 특성.
[제6 실시형태]
이어서, 제6 실시형태를 주로 도 14~도 16에 기초하여 제5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5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제6 실시형태의 완충기(1E)에서는 축소 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E)가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와 일부 상이하다. 또한, 완충기(1E)에서는 신장 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E)가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D)와 일부 상이하다.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E, 183E)는 체적 가변 기구(561E)가 체적 가변 기구(561)와 일부 상이하다. 또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E, 183E)는 체적 가변 기구(185E)가 체적 가변 기구(185D)와 일부 상이하다. 즉, 완충기(1E)는 어큐뮬레이터(565)와는 일부 다른 어큐뮬레이터(565E)를 가지고 있다.
체적 가변 기구(561E, 185E)는, 체적 가변 기구(561, 185D)의 O 링(551, 552) 대신에 접시 스프링(601, 602)을 마련하고 있다. 접시 스프링(601)은 캡 부재(101D)의 바닥부(122D)와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접시 스프링(602)은 플렉시블 디스크(515)와 스토퍼 부재(521)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접시 스프링(601)은 구멍을 가진 테이퍼판형이다. 접시 스프링(601)의 직경 방향 내측에 디스크(511~514)가 배치되어 있다. 접시 스프링(601)은, 직경 방향 외측일수록 축방향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크(515) 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넓어지고 있다. 접시 스프링(601)은 내주연부가 캡 부재(101D)의 바닥부(122D)에 맞닿아 있다. 접시 스프링(601)은 외주연부가 플렉시블 디스크(515)에 맞닿아 있다. 접시 스프링(601)은 내주 측이 축방향으로 클램프된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외주 측을 축방향 일측에서 지지한다.
접시 스프링(602)은 접시 스프링(601)과 공통 부품이다. 접시 스프링(602)은 구멍을 가진 테이퍼형이다. 접시 스프링(602)의 직경 방향 내측에 디스크(516~519)가 배치되어 있다. 접시 스프링(602)은 직경 방향 외측일수록 축방향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크(515) 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넓어지고 있다. 접시 스프링(602)은 내주연부가 스토퍼 부재(521)에 맞닿아 있다. 접시 스프링(602)은 외주연부가 플렉시블 디스크(515)에 맞닿아 있다. 접시 스프링(602)은, 내주 측이 축방향으로 클램프된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외주 측을 접시 스프링(601)과는 반대측인 축방향 타측에서 지지한다.
바꿔 말하면, 플렉시블 디스크(515)는 2장의 접시 스프링(601, 602)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들 접시 스프링(601, 602)은 자연 상태에서 오목부 측을 대향시켜 배치되어 있다.
체적 가변 기구(185E)는, 신장 행정에 있어서, 중간실(147)에 오일액이 유입하여 중간실(147)이 승압되면, 플렉시블 디스크(515)가 접시 스프링(601)에 맞닿는 위치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의 부분을 바닥부(122D) 측으로 휘게 하여 중간실(147)의 용량을 크게 하게 된다. 이때, 접시 스프링(601)은 플렉시블 디스크(515)를 지지하는 지점이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체적 가변 기구(561E)는, 축소 행정에 있어서, 연통실(149)로 오일액이 유입하여 연통실(149)이 승압되면, 플렉시블 디스크(515)가 접시 스프링(602)에 맞닿는 위치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의 부분을 스토퍼 부재(521) 측으로 휘게 하여 연통실(149)의 용량을 크게 하게 된다. 이때, 접시 스프링(602)은 플렉시블 디스크(515)를 지지하는 지점이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제6 실시형태의 완충기(1E)는, 자연 상태에서 오목부 측을 대향시켜 배치되는 2장의 접시 스프링(601, 602)으로 플렉시블 디스크(515)를 지지한다. 이 때문에,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휨량에 관계 없이, 플렉시블 디스크(515)를 지지하는 지점을 직경 방향의 일정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크(515)를, 휨량에 관계 없이 강성이 변화하지 않는 선형 스프링 특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디스크(515)가 어느 정도 휘면, 디스크(511~514), 디스크(516~519)가 플렉시블 디스크(515)에 접촉하여 그 휘어짐을 억제하기 때문에, 비선형 스프링 특성으로 할 수 있다. 디스크(511~514), 디스크(516~519)의 크기나 조합을 조정하여 강성을 조정함으로써, 제5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저주파 입력 시의 극미저속 감쇠의 성능 향상과 고주파 입력 시의 이음 발생의 억제를 양립시킬 수 있게 된다.
접시 스프링(601, 602)을 이용함으로써, O 링(551, 552)을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공간 절약화가 가능하게 되어, 어큐뮬레이터(565E)를 추가함으로 인한 완충기(1E)의 기본 축 길이의 장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5에는 제6 실시형태의 완충기(1E)의 로드 가속도의 실측치를 나타낸다. 도 16은 어큐뮬레이터(565E)가 없는 비교예의 결과이다. 도 15, 도 16에서는, 로드 가속도를 실선으로, 감쇠력을 1점 쇄선으로, 피스톤 속도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충기(1E)는, 도 16에 도시하는 비교예와 비교하여, 신장 행정에서 축소 행정으로의 행정 반전 시와 축소 행정에서 신장 행정으로의 행정 반전 시에 발생하는 로드 가속도를 작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이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7 실시형태]
이어서, 제7 실시형태를 주로 도 17에 기초하여 제5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5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제7 실시형태의 완충기(1F)에서는 축소 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F)가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와 일부 상이하다. 또한, 완충기(1F)에서는 신장 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F)가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D)와 일부 상이하다.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F, 183F)는 체적 가변 기구(561F)가 체적 가변 기구(561)와 일부 상이하다.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F, 183F)는 체적 가변 기구(185F)가 체적 가변 기구(185D)와 일부 상이하다. 즉, 완충기(1F)는 어큐뮬레이터(565)와는 일부 다른 어큐뮬레이터(565F)를 가지고 있다.
체적 가변 기구(561F, 185F)는, 체적 가변 기구(561, 185D)의 O 링(551, 552) 대신에,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외주 측의 축방향 양측에 원환형의 시일 부재(641, 642)를 고착하고 있다. 플렉시블 디스크(515)와 시일 부재(641, 642)가 일체가 되어 1장의 구획 디스크(643)로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제7 실시형태에서는, 제5 실시형태의 체적 가변 기구(561, 185D)의 O 링(551, 552) 및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3 부품 대신에 1 부품인 구획 디스크(643)가 마련되어 있다.
시일 부재(641)는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바닥부(122D)와 대향하는 면에 베이킹되어 있다. 시일 부재(641)는 중심 축선을 포함하는 면에서의 단면이 삼각형상이다. 시일 부재(641)는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축방향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크(515)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 방향의 폭이 작아지고 있다.
시일 부재(642)는 시일 부재(641)와 동일 형상이다. 시일 부재(642)는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스토퍼 부재(521)와 대향하는 면에 베이킹되어 있다. 시일 부재(642)는 중심 축선을 포함하는 면에서의 단면이 삼각형상이다. 시일 부재(642)는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축방향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크(515)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 방향의 폭이 작아지고 있다.
시일 부재(641)는 플렉시블 디스크(515)와는 반대측의 선단부가 전체 둘레에 걸쳐 캡 부재(101D)의 바닥부(122D)에 맞닿아 있다. 시일 부재(641)는 바닥부(122D)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연통로(148)보다도 외측에 맞닿아 있다. 시일 부재(642)는 플렉시블 디스크(515)와는 반대측의 선단부가 전체 둘레에 걸쳐 스토퍼 부재(521)에 맞닿아 있다. 시일 부재(642)는 스토퍼 부재(521)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연통로(531)보다도 외측에 맞닿아 있다.
체적 가변 기구(185F)는, 신장 행정에 있어서, 중간실(147)에 오일액이 유입하여 중간실(147)이 승압되면,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시일 부재(641)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 부분이 바닥부(122D) 측으로 휘어 중간실(147)의 용량을 크게 하게 된다.
체적 가변 기구(561F)는, 축소 행정에 있어서, 연통실(149)에 오일액이 유입하여 연통실(149)이 승압되면,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시일 부재(642)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 부분이 스토퍼 부재(521) 측으로 휘어 연통실(149)의 용량을 크게 하게 된다.
제7 실시형태의 완충기(1F)는, 체적 가변 기구(185F, 561F)에, 플렉시블 디스크(515)와 시일 부재(641, 642)가 일체로 된 하나의 구획 디스크(643)를 이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디스크(515)에 시일 부재(641, 642)를 붙임으로써, 플렉시블 디스크(515)와 시일 부재(641, 642) 사이의 시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디스크(515)에 시일 부재(641, 642)를 붙임으로써, 시일 부재(641, 642)의 형상을 플렉시블 디스크(515)로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시일 부재(641, 642)의 직경 방향의 이상 변형을 억제할 수 있으며, 성능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7 실시형태의 완충기(1F)의 작동 및 효과는 제5 실시형태와 거의 같다.
[제8 실시형태]
이어서, 제8 실시형태를 주로 도 18에 기초하여 제5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5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제8 실시형태의 완충기(1G)에서는 축소 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G)가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와 일부 상이하다. 또한, 완충기(1G)에서는 신장 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G)가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D)와 일부 상이하다.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G, 183G)는 체적 가변 기구(561G)가 체적 가변 기구(561)와 일부 상이하다.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G, 183G)는 체적 가변 기구(185G)가 체적 가변 기구(185D)와 일부 상이하다. 즉, 완충기(1G)는 어큐뮬레이터(565)와는 일부 다른 어큐뮬레이터(565G)를 가지고 있다.
어큐뮬레이터(565G)는 캡 부재(101G)가 캡 부재(101D)와 일부 상이하다. 캡 부재(101G)는 캡 부재(101D)의 바닥부(122D)의 통형부(124D) 측에 단차부(661)를 형성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캡 부재(101G)의 바닥부(122G)는 바닥부 본체(662)와 환형 돌출부(663)와 단판부(段板部)(664)를 가지고 있다. 바닥부 본체(662)는 통로 구멍(126D)이 복수 형성된 구멍을 가진 원형 평판형이다. 환형 돌출부(663)는 원환형이며, 바닥부 본체(662)의 외주연부로부터 바닥부 본체(662)의 축방향에 있어서 통형부(124D) 측으로 돌출된다. 단판부(664)는 환형 돌출부(663)의 바닥부 본체(662)와는 반대측의 단연부로부터 환형 돌출부(663)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넓어져 통형부(124D)로 이어진다. 환형 돌출부(663)와 단판부(664)가 바닥부 본체(662)로부터 바닥부 본체(662)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통형부(124D) 측으로 돌출되는 단차부(661)를 구성하고 있다. 캡 부재(101G)도 바닥부(122G)로부터 바닥부(122G)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피스톤(18)과는 반대측으로 통형부(124D)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어큐뮬레이터(565G)는 스토퍼 부재(521G)가 스토퍼 부재(521)와 일부 상이하다. 스토퍼 부재(521G)는 스토퍼 부재(521)의 외주부에 단차부(666)를 형성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521G)는 기판부(667)와 환형 돌출부(668)와 단판부(669)를 가지고 있다. 기판부(667)는 연통로(531)가 복수 형성된 구멍을 가진 원형 평판형이다. 환형 돌출부(668)는 원환형이며, 기판부(667)의 외주연부로부터 기판부(667)의 축방향에 있어서 일측으로 돌출된다. 단판부(669)는 환형 돌출부(668)의 기판부(667)와는 반대측의 단연부로부터 환형 돌출부(668)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넓어지는 원환형을 이룬다. 환형 돌출부(668)와 단판부(669)가 기판부(667)로부터 기판부(667)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으로 돌출하는 단차부(666)를 구성하고 있다. 스토퍼 부재(521G)는 기판부(667)로부터 기판부(667)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피스톤(18) 측으로 단차부(666)가 돌출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캡 부재(101G)의 바닥부(122G)의 피스톤(18)과는 반대측에는, 바닥부(122G) 측에서부터 순차 동일 내경 및 동일 외경의 여러 장(구체적으로는 2장)의 디스크(671)와 1장의 접합 디스크(672)와 동일 내경 및 동일 외경의 여러 장(구체적으로는 2장)의 디스크(673)와 스토퍼 부재(521G)가,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각각의 내측으로 감합시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스토퍼 부재(521G)의 피스톤(18)과는 반대측에, 제5 실시형태와 같은 식의 스프링 디스크(522)가 마련되어 있다.
디스크(671)는 구멍을 가진 원형 평판형이다. 디스크(671)는 그 외경이 캡 부재(101G)의 중심에서부터 통로 구멍(126D)까지의 최소 거리의 2배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673)는 디스크(671)와 공통 부품이다.
접합 디스크(672)는, 내측판부(681)와 팽출판부(膨出板部)(682)와 외측판부(683)를 갖는 요철 형상의 단판(單板) 디스크(684)가 2장 맞붙여져 하나의 부품으로 되어 있다. 단판 디스크(684)는 금속제이며,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내측판부(681)는 구멍을 가진 원형 평판형이며, 그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가 감합된다. 팽출판부(682)는, 내측판부(681)의 외주연부로부터 내측판부(681)의 축방향 일측으로 돌출된 후, 내측판부(681)와 평행하게 내측판부(681)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넓어지고, 그 후, 내측판부(681)의 축방향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외측판부(683)는 팽출판부(682)의 내측판부(681)와는 반대측의 단연부로부터 팽출판부(682)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넓어진다. 외측판부(683)는 내측판부(681)와 동일 평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단판 디스크(684)를 2장, 팽출판부(682)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팽출되게 하여, 내측판부(681)끼리를 맞붙이고, 외측판부(683)끼리를 맞붙인다. 이에 따라, 접합 디스크(672)가 형성된다.
접합 디스크(672)는, 2개의 내측판부(681)가 맞붙여져 구성되는 내측 접합판부(687)와, 2개의 외측판부(683)가 맞붙여져 구성되는 외측 접합판부(688)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팽출하는 2개의 팽출판부(682)로 구성되는 팽출부(689)를 가지고 있다. 내측 접합판부(687)와 외측 접합판부(688)는 동일 평면에 배치되어 있다. 팽출부(689)는, 내측 접합판부(687)와 외측 접합판부(688)의 사이에서, 이들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으로 팽출되어 있다. 팽출부(689) 내부는 공기가 가득차 밀봉된 공기실(670)로 되어 있다. 2장의 단판 디스크(684)의 맞붙임은, 맞붙임에 의해 공기실(670) 내의 밀폐가 유지되고 공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면, 접착이라도 용접이라도 좋다.
접합 디스크(672)는 내측 접합판부(687)가 디스크(671, 673)에 클램프되어 피스톤 로드(21)에 일체로 고정된다. 이와 함께, 접합 디스크(672)는 외측 접합판부(688)가 캡 부재(101G)의 단판부(664)와 스토퍼 부재(521G)의 단판부(669)에 클램프되어 피스톤 로드(21)에 일체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접합 디스크(672)는 캡 부재(101G)의 바닥부(122G)와의 사이에 연통실(149)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접합 디스크(672)는 스토퍼 부재(521G)와의 사이에 중간실(147)을 형성하고 있다. 접합 디스크(672)는 팽출부(689)가 한쪽의 팽출판부(682)에 있어서 중간실(147)에 면해 있다. 또한, 접합 디스크(672)는 다른 쪽의 팽출판부(682)에 있어서 연통실(149)에 면해 있다. 접합 디스크(672)가 중간실(147)과 연통실(149)을 구획하고 있다.
체적 가변 기구(185G)는, 접합 디스크(672)와 스토퍼 부재(521G)와 2장의 디스크(673)와 이들로 둘러싸인 중간실(147)과 연통로(531)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체적 가변 기구(185G)는, 신장 행정에 있어서, 중간실(147)에 오일액이 유입하여 중간실(147)이 승압되면, 접합 디스크(672)의 중간실(147)에 면하는 한쪽의 팽출판부(682)가 공기실(670)의 용적을 줄이도록 다른 쪽의 팽출판부(682) 측으로 변형하여 중간실(147)의 용량을 크게 하게 된다. 이때, 기본적으로 연통실(149)의 용량은 변하지 않는다.
체적 가변 기구(561G)는, 접합 디스크(672)와 캡 부재(101G)의 바닥부(122G)와 2장의 디스크(671)와 이들로 둘러싸인 연통실(149)과 연통로(148)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체적 가변 기구(561G)는, 축소 행정에 있어서, 연통실(149)에 오일액이 유입하여 연통실(149)이 승압되면, 접합 디스크(672)의 연통실(149)에 면하는 다른 쪽의 팽출판부(682)가 공기실(670)의 용적을 줄이도록 한쪽의 팽출판부(682) 측으로 변형하여 연통실(149)의 용량을 크게 하게 된다. 이때, 기본적으로 중간실(147)의 용량은 변하지 않는다.
즉, 체적 가변 기구(185G, 561G)는, 중간실(147)과 연통실(149)의 차압을 받으면 공기실(670)의 볼륨을 변화시키는 기구가 된다. 바꿔 말하면, 체적 가변 기구(185G, 561G)는, 접합 디스크(672)의 공기실(670)의 에어 볼륨을, 중간실(147)과 연통실(149)의 차압에 따라서 변화시켜, 중간실(147) 및 연통실(149)의 오일액의 유입량을 흡수한다. 공기실(670)의 공기압이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G, 173G)의 개변압에 도달하면,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G, 173G)가 개변한다. 공기실(670)의 공기압이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G, 173G)의 개변압보다 낮은 범위에서, 공기실(670)의 에어 볼륨이 변화되면,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G, 173G)는 개변하지 않는다. 완충기(1G)는 고주파에서 미세 진폭의 입력 시에는 이와 같이 작동한다.
중간실(147)과 연통실(149)의 차압과 접합 디스크(672)의 휘어짐의 관계는, 접합 디스크(672)가 변형되어 공기실(670)의 에어 볼륨이 변화됨으로 인한 공기압의 상승과 접합 디스크(672) 자체의 강성에 의해서 결정된다. 접합 디스크(672)의 강성이 지나치게 높으면, 공기실(670)이 변형되기 어려워, 고주파에서 미세 진폭의 입력 시라도 변형되기 어렵게 된다. 그 결과, 고주파에서 미세 진폭의 입력 시라도, 제2 통로(172) 혹은 제2 통로(182)의 내압이 상승하여 극미저속 감쇠력이 수직 상승한다. 반대로 강성이 지나치게 낮으면, 스프링 상수가 낮은 접합 디스크(672)에 의존한 변형으로 되어, 저주파라도 극미저속 감쇠력이 오르지 않거나 혹은 공기실(670)의 볼륨이 제로에 가깝게 된다. 그러면, 공기실(670)의 공기압이 급상승하여, 유압의 급격한 변화를 가져와, 감쇠력 파형의 붕괴나 이로 인한 이음 발생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이로써,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G, 173G)의 목적으로 하는 감쇠력 성능과, 고주파에서의 극미 감쇠 저감에 의한 이음 억제를 양립할 수 있도록,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G, 173G)나 완충기(1G)의 사양에 의해, 이 접합 디스크(672)의 강성을 적절하게 설정하게 된다.
제8 실시형태의 완충기(1G)는, 체적 가변 기구(185G, 561G)에, 공기실(670)을 내측에 갖는 변형 가능한 팽출부(689)를 갖는 접합 디스크(672)를 이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합 디스크(672)는 금속제로 하는 것 이외에 고무제라도 좋다. 고무제로 하여도, 금속제로 한 경우와 거의 같은 식으로 작동하게 되어, 금속제로 한 경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9 실시형태]
이어서, 제9 실시형태를 주로 도 19에 기초하여 제5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5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제9 실시형태의 완충기(1H)에서는 축소 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H)가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와 일부 상이하다. 또한, 완충기(1H)에서는 신장 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H)가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D)와 일부 상이하다.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H, 183H)는 체적 가변 기구(561H)가 체적 가변 기구(561)와 일부 상이하다.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H, 183H)는 체적 가변 기구(185H)가 체적 가변 기구(185D)와 일부 상이하다. 즉, 완충기(1H)는 어큐뮬레이터(565)와는 일부 다른 어큐뮬레이터(565H)를 가지고 있다.
체적 가변 기구(561H, 185H)에서는, 체적 가변 기구(561, 185D)의 디스크(511~514, 516~519) 대신에 하나의 스페이서(70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체적 가변 기구(561H, 185H)에서는, 체적 가변 기구(561, 185D)의 O 링(551, 552) 및 플렉시블 디스크(515) 대신에 하나의 시일 부재(702)가 마련되어 있다.
스페이서(701)는 원통형이며 금속제이다. 스페이서(701)는 그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가 감합된다. 스페이서(701)는, 축방향의 일단면이 캡 부재(101D)의 바닥부(122D)에 맞닿고, 축방향의 타단면이 스토퍼 부재(521)에 맞닿는다. 스페이서(701)는 그 외경이 캡 부재(101D)의 중심에서부터 통로 구멍(126D)까지의 최소 거리의 2배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스페이서(701)는 그 외경이 스토퍼 부재(521)의 중심에서부터 통로 구멍(530)까지의 최소 거리의 2배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시일 부재(702)는 기판부(711)와 외측 통형부(712)와 내측 통형부(713)를 가지고 있다. 시일 부재(702)는 탄성 변형 가능한 고무 재료로 이루어지는 일체 성형품이다. 기판부(711)는 구멍을 가진 원형 평판형이다. 외측 통형부(712)는 원통형이며, 기판부(711)의 외주연부로부터 기판부(711)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내측 통형부(713)는 원통형이며, 기판부(711)의 내주연부로부터 기판부(711)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기판부(711), 외측 통형부(712) 및 내측 통형부(713)는 중심 축선을 일치시키고 있다. 외측 통형부(712) 및 내측 통형부(713)는 축방향의 길이가 동등하다. 외측 통형부(712) 및 내측 통형부(713)는 축방향의 위치를 일치시키고 있다. 외측 통형부(712) 및 내측 통형부(713)는 기판부(711)로부터 기판부(711)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으로 같은 길이 돌출되어 있다. 시일 부재(702)는 중심 축선을 포함하는 면에서의 단면이 H자형을 이루고 있다.
시일 부재(702)는 내측 통형부(713)의 내경이 스페이서(701)의 외경보다도 약간 대직경이다. 내측 통형부(713)의 외경은 캡 부재(101D)의 중심에서부터 통로 구멍(126D)까지의 최소 거리의 2배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내측 통형부(713)의 외경은 스토퍼 부재(521)의 중심에서부터 통로 구멍(530)까지의 최소 거리의 2배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시일 부재(702)는 외측 통형부(712)의 외경이 캡 부재(101D)의 통형부(124D)의 내경보다도 약간 소직경이다. 외측 통형부(712)의 내경은 캡 부재(101D)의 중심에서부터 통로 구멍(126D)까지의 최대 거리의 2배보다도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외측 통형부(712)의 내경은 스토퍼 부재(521)의 중심에서부터 통로 구멍(530)까지의 최대 거리의 2배보다도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시일 부재(702)는, 그 직경 방향에 있어서, 캡 부재(101D)의 통로 구멍(126D) 및 스페이서(701)의 통로 구멍(530)을, 상시 내측 통형부(713)와 외측 통형부(712)의 사이에 위치시키도록 되어 있다.
시일 부재(702)는, 외측 통형부(712)가 전체 둘레에 걸쳐 캡 부재(101D)의 바닥부(122D) 및 스토퍼 부재(521)에 교축을 위한 부위를 가지고서 맞닿아 있다. 또한, 시일 부재(702)는, 내측 통형부(713)도 전체 둘레에 걸쳐 캡 부재(101D)의 바닥부(122D) 및 스토퍼 부재(521)에 교축을 위한 부위를 가지고서 맞닿아 있다. 이로써, 시일 부재(702)는, 외측 통형부(712), 내측 통형부(713) 및 기판부(711)가 캡 부재(101D)의 바닥부(122D)와 연통실(149)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시일 부재(702)는, 외측 통형부(712), 내측 통형부(713) 및 기판부(711)가 스토퍼 부재(521)와 중간실(147)을 형성하고 있다. 시일 부재(702)는, 기판부(711)가 그 축방향 일측에 있어서 중간실(147)에 면하고, 축방향 타측에 있어서 연통실(149)에 면해 있다. 시일 부재(702)는 중간실(147)과 연통실(149)을 구획한다.
체적 가변 기구(185H)는 시일 부재(702)와 스토퍼 부재(521)와 이들로 둘러싸인 중간실(147)과 연통로(531)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체적 가변 기구(185H)는, 신장 행정에 있어서, 중간실(147)에 오일액이 유입하여 중간실(147)이 승압되면, 시일 부재(702)의 기판부(711)가 중간실(147)의 용적을 늘리고 연통실(149)의 용적을 줄이도록, 캡 부재(101D)의 바닥부(122D) 측으로 변형하고 이동하여 중간실(147)의 용량을 크게 하게 된다. 이때, 바닥부(122D)에 맞닿으면, 기판부(711)는 그 이상의 변형이 규제된다.
체적 가변 기구(561H)는 시일 부재(702)와 캡 부재(101D)의 바닥부(122D)와 이들로 둘러싸인 연통실(149)과 연통로(148)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체적 가변 기구(561H)는, 축소 행정에 있어서, 연통실(149)에 오일액이 유입하여 연통실(149)이 승압되면, 시일 부재(702)의 기판부(711)가 연통실(149)의 용적을 늘리고 중간실(147)의 용적을 줄이도록, 스토퍼 부재(521) 측으로 변형하고 이동하여 연통실(149)의 용량을 크게 하게 된다. 이때, 스토퍼 부재(521)에 맞닿으면, 기판부(711)는 그 이상의 변형이 규제된다.
어큐뮬레이터(565H)는, 캡 부재(101D)의 바닥부(122D) 및 스토퍼 부재(521)와 시일 부재(702)의 접촉 부분에 시일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중간실(147)과 연통실(149)의 차압을 유지한다. 또한, 어큐뮬레이터(565H)는, 중간실(147)과 연통실(149)에 차압이 생겼을 때에, 캡 부재(101D)의 바닥부(122D) 및 스토퍼 부재(521)에 접촉하지 않은 기판부(711)가 휘어 변형된다. 기판부(711)는, 중간실(147)과 연통실(149)의 차압에 따라서 선형으로 변형하기 시작하지만, 어느 정도 크게 휘면, 캡 부재(101D)의 바닥부(122D) 혹은 스토퍼 부재(521)에 접촉하여, 휘어짐에 제한이 걸린다.
이로써, 어큐뮬레이터(565H)는, 중간실(147) 혹은 연통실(149)로의 오일액의 유입량이 적은 고주파에서 미세 진폭의 입력에 대해서는, 기판부(711)의 변형으로 낮은 스프링 상수로 된다. 또한, 어큐뮬레이터(565H)는, 중간실(147) 혹은 연통실(149)로의 오일액의 유입량이 많은 저주파에서 대진폭의 입력 시에는, 기판부(711)가 캡 부재(101D)의 바닥부(122D) 혹은 스토퍼 부재(521)에 접촉하여 휘어지지 않게 되어, 높은 스프링 상수가 된다. 이로써, 제5 실시형태의 어큐뮬레이터(565)나 제6 실시형태의 어큐뮬레이터(565E)와 마찬가지로 비선형 스프링의 어큐뮬레이터(565H)가 된다. 이로써, 제5, 제6 실시형태의 어큐뮬레이터(565, 565E)와 동일한 기능 및 효과를 가져온다.
제9 실시형태의 완충기(1H)는 체적 가변 기구(185H, 561H)에 고무제의 단일체 부품인 시일 부재(702)를 이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0 실시형태]
이어서, 제10 실시형태를 주로 도 20에 기초하여 제5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5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제10 실시형태의 완충기(1J)에서는 축소 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J)가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와 일부 상이하다. 또한, 완충기(1J)에서는 신장 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J)가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D)와 일부 상이하다.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J, 183J)는 체적 가변 기구(561J)가 체적 가변 기구(561)와 일부 상이하다.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J, 183J)는 체적 가변 기구(185J)가 체적 가변 기구(185D)와 일부 상이하다. 즉, 완충기(1J)는 어큐뮬레이터(565)와는 일부 다른 어큐뮬레이터(565J)를 가지고 있다.
체적 가변 기구(561J, 185J)는, 제5 실시형태의 체적 가변 기구(561, 185D)의 O 링(552) 대신에, 제6 실시형태의 접시 스프링(602)이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접시 스프링(602)은 플렉시블 디스크(515)와 스토퍼 부재(521)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체적 가변 기구(185J)는, 신장 행정에 있어서, 중간실(147)에 오일액이 유입하여 중간실(147)이 승압되면,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O 링(551)에 맞닿는 위치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 부분이 바닥부(122D) 측으로 휘어 중간실(147)의 용량을 크게 하게 된다. 이때, O 링(551)은 플렉시블 디스크(515)가 휠수록 플렉시블 디스크(515)를 지지하는 지점이 직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한다.
체적 가변 기구(561J)는, 축소 행정에 있어서, 연통실(149)에 오일액이 유입하여 연통실(149)이 승압되면, 플렉시블 디스크(515)의 접시 스프링(602)에 맞닿는 위치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 부분이 스토퍼 부재(521) 측으로 휘어 연통실(149)의 용량을 크게 하게 된다. 이때, 접시 스프링(602)은 플렉시블 디스크(515)를 지지하는 지점이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제10 실시형태의 완충기(1J)는, 신장 행정에서는 제5 실시형태와 같은 식으로 작동하고, 축소 행정에서는 제6 실시형태와 같은 식으로 작동한다.
이상의 제5~제10 실시형태에서도,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173H, 173J, 183D~183H, 183J)를 상실(19) 및 하실(20) 중의 한쪽인 하실(20) 측에 마련했지만, 상실(19) 측에 둘 수도 있다.
[제11 실시형태]
이어서, 제11 실시형태를 주로 도 21에 기초하여 제1~제10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제10 실시형태와 공통된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제1~제10 실시형태에서는, 신장 측의 제1 통로와 신장 측의 제2 통로를 병렬로 마련하고, 축소 측의 제1 통로와 축소 측의 제2 통로를 병렬로 마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제1~제10 실시형태에 있어서, 신장 측의 제1 통로와 신장 측의 제2 통로를 직렬로 마련하고, 축소 측의 제1 통로와 축소 측의 제2 통로를 직렬로 마련하여도 좋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1 실시형태의 완충기(1K)에서는, 신장 측의 제1 통로(92K)와 신장 측의 제2 통로(182K)를 직렬로 마련하고, 축소 측의 제1 통로(72K)와 축소 측의 제2 통로(172K)를 직렬로 마련한다. 이 경우, 예컨대 신장 측의 제1 통로(92K) 및 축소 측의 제1 통로(72K)를 병렬로 마련하고, 신장 측의 제2 통로(182K) 및 축소 측의 제2 통로(172K)를 병렬로 마련하여, 제1 통로(92K, 72K)와 제2 통로(182K, 172K)의 사이에 실(731)을 형성한다.
그리고, 예컨대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D)와 같은 식의 신장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K)를 제1 통로(92K)에 마련하고, 예컨대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D)와 같은 식의 신장 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K)를 제2 통로(182K)에 마련한다. 또한, 예컨대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D)와 같은 식의 축소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K)를 제1 통로(72K)에 마련하고, 예컨대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와 같은 식의 축소 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K)를 제2 통로(172K)에 마련한다.
그리고, 실(731)과 하실(20)을 제2 통로(172K, 182K)와는 병렬로 연결하는 통로(732)를 마련한다. 이 통로(732)에 어큐뮬레이터(565K)를 설치한다. 바꿔 말하면,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K, 173K)와 병렬로 어큐뮬레이터(565K)를 마련한다. 이 경우, 통로(732)에 있어서의 실(731)에의 연통 부분에, 체적 가변 기구(185K)의 중간실(147)을 접속시킨다. 또한, 통로(732)에 있어서의 하실(20)에의 연통 부분에, 체적 가변 기구(561K)의 연통실(149)을 접속시킨다. 체적 가변 기구(561K)는 연통실(149)과 하실(20)의 사이에 오리피스로서의 연통로(148)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실(19)과 실(731)을 제1 통로(72K, 92K)와는 병렬로 연결하는 통로(733)를 마련한다. 이 통로(733)에 오리피스(734)를 마련한다.
제11 실시형태의 완충기(1K)에서는, 어큐뮬레이터(565K)가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K, 183K)에 병렬로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K, 183K)의 개변 후에는, 제2 통로(172K, 182K)가 오일액의 메인 유로가 된다. 이로써, 어큐뮬레이터(565K)에는 오일액이 거의 흐르지 않는다. 이 때문에, 어큐뮬레이터(565K)는 오일액의 유량도 오일액에 의한 압력 부하도 작게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차량의 악로(惡路) 주행 등으로 인해 완충기(1K)에 높은 피스톤 속도의 입력이 있더라도 어큐뮬레이터(565K)의 신뢰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제11 실시형태의 완충기(1K)의 저주파 진동에서의 감쇠 성능, 즉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K, 183K)에서의 목표로 하는 성능과 완충기(1K)의 고주파 진동 시의 이음 방지를 양립하기 위한 작동과 그 효과는, 예컨대 제5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다.
[제12 실시형태]
이어서, 제12 실시형태를 주로 도 22에 기초하여 제1~제10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제10 실시형태와 공통된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제12 실시형태의 완충기(1L)는,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2013-133896호 공보에 기재된 완충기에 어큐뮬레이터(565L)를 설치한 것으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이 공보에 기재된 완충기의 로드 측의 유실 A와 중간실 D를 연통시키도록 통로(751)를 마련하고, 이 통로(751)에 어큐뮬레이터(565L)을 설치한 것이 제12 실시형태의 완충기(1L)가 된다.
제12 실시형태의 완충기(1L)의 유압 회로도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어 있다. 즉, 완충기(1L)에서는, 예컨대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D)와 같은 식의 신장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L)가 제1 통로(92L)에 마련되고, 예컨대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D)와 같은 식의 신장 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L)가 제2 통로(182L)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예컨대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D)와 같은 식의 축소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L)가 제1 통로(72L)에 마련되고, 예컨대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D)와 같은 식의 축소 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L)가 제2 통로(172L)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통로(182L, 172L)와 하실(20)을 연결하는 통로(752)가 마련되고, 이 통로(752)에 실(75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753)이 일본 특허공개 2013-133896호 공보에 기재된 중간실 D이다. 또한, 실(753)과 하실(20)을 연결하는 통로(754)가 마련되고, 이 통로(754)에 가변 오리피스(755)가 마련되어 있다. 더욱이, 제1 통로(92L, 72L)와 병렬로 상실(19)과 하실(20)을 연결하는 통로(756)가 마련되고, 이 통로(756)에 가변 오리피스(757)가 마련되어 있다.
이상이 일본 특허공개 2013-133896호 공보에 기재된 완충기가 된다.
그리고, 제12 실시형태의 완충기(1L)에서는, 상실(19)과 실(753)을 연결하도록 통로(761)가 마련되고, 이 통로(761)에 어큐뮬레이터(565L)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통로(761)에 있어서의 상실(19)에의 연통 부분에, 체적 가변 기구(185L)의 중간실(147)을 접속시키고, 통로(761)에 있어서의 실(753)에의 연통 부분에, 체적 가변 기구(561L)의 연통실(149)을 접속시킨다. 체적 가변 기구(561L)는 연통실(149)과 실(753)의 사이에 오리피스로서의 연통로(148)를 가지고 있다.
[제13 실시형태]
이어서, 제13 실시형태를 주로 도 23에 기초하여 제5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5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제13 실시형태의 완충기(1M)에서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21)와는 일부 다른 피스톤 로드(21M)가 이용되고 있다. 피스톤 로드(21M)는 부착축부(28)와는 일부 다른 부착축부(28M)를 가지고 있고, 부착축부(28M)에는 통로 절결부(30)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제13 실시형태의 완충기(1M)에서는, 제5 실시형태의 피스톤(18)과는 일부 다른 피스톤(18M)이 이용되고 있다. 피스톤(18M)은 피스톤 본체(36M)가 피스톤 본체(36)와는 일부 다르다. 피스톤 본체(36M)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통로 구멍(38M)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도 23에서는 단면으로 한 관계상 한 곳만 도시)의 통로 구멍(39M)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통로 구멍(38M)은, 피스톤 본체(36M)의 축방향을 따라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형상이며, 피스톤 본체(36M)의 원주 방향으로 등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6M)에는, 축방향의 상실(19)과는 반대측에, 복수의 통로 구멍(38M)을 연통시키는 원환형의 환형 홈(55M)이 형성되어 있다. 환형 홈(55M)의 상실(19)과 반대측에는, 신장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M)가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통로 구멍(39M)은, 피스톤 본체(36M)의 축방향을 따라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형상이며, 피스톤 본체(36M)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모든 통로 구멍(39M)은 모든 통로 구멍(38M)보다도 피스톤 본체(36M)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통로 구멍(39M)의 상실(19) 측에는 축소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M)가 마련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6M)는 대략 원판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직경 방향의 중앙에는, 피스톤 로드(21M)의 부착축부(28M)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44M)이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삽입 구멍(44M)은 스트레이트 형상이며, 피스톤 로드(21M)의 부착축부(28M)를 감합시키고 있다.
피스톤 본체(36M)의 축방향의 상실(19)과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환형 홈(55M)의 상실(19)과는 반대측의 개구보다도 피스톤 본체(36M)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 환형의 내측 시트부(47M)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6M)의 축방향의 상실(19)과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환형 홈(55M)의 상실(19)과는 반대측의 개구보다도 피스톤 본체(36M)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M)의 일부를 구성하는 원환형의 밸브 시트부(48M)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시트부(48M)에는, 이것을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 홈(771)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6M)의 축방향의 상실(19) 측의 단부에는, 복수의 통로 구멍(38M)의 상실(19) 측의 개구보다도 피스톤 본체(36M)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 환형의 내측 시트부(49M)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 본체(36M)의 축방향의 상실(19) 측의 단부에는, 복수의 통로 구멍(39M)의 하나 또는 복수의 상실(19) 측의 개구를 둘러싸도록 환상이며 이형(異形)인 밸브 시트부(50M)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시트부(50M)는 피스톤 본체(36M)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통로 구멍(38M)은 밸브 시트부(50M) 사이의 간극을 통해 상실(19)에 상시 연통되어 있다.
축소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M)는, 피스톤(18M)의 밸브 시트부(50M)를 포함하고, 동일 내경 및 동일 외경의 여러 장(구체적으로는 4장)의 디스크(64M)와 동일 내경 및 동일 외경의 여러 장(구체적으로는 2장)의 디스크(65M)를 가지고 있다. 디스크(64M, 65A)는 금속제이며, 모두 내측에 피스톤 로드(21M)의 부착축부(28M)를 감합할 수 있는 일정 두께의 구멍을 가진 원형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여러 장의 디스크(64M)는 내측 시트부(49M)에 상시 맞닿아 있고, 밸브 시트부(50M)에 착좌하여 밸브 시트부(50M)를 폐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얇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여러 장의 디스크(64M) 및 여러 장의 디스크(65M)가, 휘어짐 가능하며 밸브 시트부(50M)에 이착좌 가능한 축소 측의 메인 밸브(71M)를 구성하고 있다.
신장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M)는, 피스톤(18M)의 밸브 시트부(48M)를 포함하고 있고, 동일 내경 및 동일 외경의 여러 장(구체적으로는 2장)의 디스크(85M)를 가지고 있다. 디스크(85M)의 밸브 시트부(48M)와는 반대측에는, 동일 내경 및 동일 외경의 여러 장(구체적으로는 2장)의 디스크(86M)가 마련되어 있다. 디스크(85M, 86A)는 금속제이며, 모두 내측에 피스톤 로드(21M)의 부착축부(28M)를 감합할 수 있는 일정 두께의 구멍을 가진 원형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여러 장의 디스크(85M)는 내측 시트부(47M)에 상시 맞닿아 있고, 밸브 시트부(48M)에 착좌하여 밸브 시트부(48M)를 폐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디스크(86M)는 디스크(85M)의 외경보다 소직경이며 피스톤(18M)의 내측 시트부(47M)의 외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얇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여러 장의 디스크(85M)가, 휘어짐 가능하며 밸브 시트부(48M)에 이착좌 가능한 신장 측의 메인 밸브(91M)를 구성하고 있다.
피스톤 본체(36M)에는, 밸브 시트부(48M)보다도 피스톤 본체(36M)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밸브 시트부(48M)보다도 상실(19)과는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원환형의 감합 통부(772)가 형성되어 있다. 감합 통부(772)는 내주면이 삽입 구멍(44M)과 동축형의 원통면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86M)의 상실(19)과는 반대측에는, 하나의 제1 케이스 부재(800)가 피스톤 로드(21M)의 부착축부(28M)를 그 내측에 감합시켜 마련되어 있다. 제1 케이스 부재(800)의 디스크(86M)와는 반대측에, 1장의 디스크(801)와 1장의 디스크 밸브(802)와 1장의 디스크(803)와 1장의 디스크(804)와 1장의 디스크(805)와 하나의 제2 케이스 부재(806)가, 피스톤 로드(21M)의 부착축부(28M)를 각각의 내측에 감합시켜 마련되어 있다.
제1 케이스 부재(800), 디스크(801, 803~805), 디스크 밸브(802) 및 제2 케이스 부재(806)는 모두 금속제이다. 디스크(801, 803~805) 및 디스크 밸브(802)는,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감합할 수 있는 일정 두께 또한 직경 방향 폭이 일정한 구멍을 가진 원형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제1 케이스 부재(800) 및 제2 케이스 부재(806)는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감합할 수 있는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제1 케이스 부재(800)는 바닥을 가진 통형의 일체 성형품이며, 구멍을 가진 원판형의 바닥부(811)와, 바닥부(811)의 외주연부로부터 바닥부(811)의 축방향 일측으로 돌출하는 원통형의 통형부(812)를 가지고 있다. 통형부(812)는 바닥부(811)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이다.
제1 케이스 부재(800)는, 통형부(812)가 바닥부(811)보다도 피스톤(18M)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바닥부(811)의 내주부에 있어서 부착축부(28)에 감합하고, 바닥부(811)의 통형부(812)와는 반대측의 단부면에 있어서 디스크(86M)에 맞닿아 있다.
바닥부(811)는, 축방향의 통형부(812) 측에, 직경 방향 외측에서부터 순차 제1 케이스 부재(800)의 축 직교 방향으로 넓어지는 평탄한 외측 바닥부(815)와, 직경 방향 내측일수록 축방향으로 통형부(812)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는 테이퍼형의 중간 바닥부(816)와, 제1 케이스 부재(800)의 축 직교 방향으로 넓어지는 평탄한 내측 바닥부(817)를 가지고 있다. 바닥부(811)는 직경 방향 내측일수록 두께가 얇게 되어 있다.
통형부(812)는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되는 원통형을 이루고 있고, 내주면이 일정 내경의 스트레이트의 원통면으로 되어 있다. 바닥부(811)는, 외주면이 통형부(812)의 외주면과 동일 원통면을 이루는 대직경부(821)와, 외경이 대직경부(821)보다도 소직경인 소직경부(822)를 가지고 있다. 제1 케이스 부재(800)는 소직경부(822)의 원통면으로 이루어지는 외주면에서 피스톤(18M)의 감합 통부(772)의 내주면에 감합하게 된다.
제1 케이스 부재(800)는, 그 직경 방향의 중앙에, 바닥부(811)를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피스톤 로드(21M)의 부착축부(28M)가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 구멍(825)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관통 구멍(825)은 소직경부(822)와 동축형을 이루고 있으며, 부착축부(28M)를 감합시킨다.
바닥부(811)에는, 직경 방향의 중간 바닥부(816)의 위치에, 바닥부(811)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826)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826)은 바닥부(811)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801, 803~805) 및 디스크 밸브(802)는 모두 외주면에 있어서 제1 케이스 부재(800)의 통형부(812)의 내주면에 감합할 수 있는 외경으로 되어 있다. 통형부(812)의 내주면은 삽입 관통 구멍(825)과 동축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디스크(801, 803~805) 및 디스크 밸브(802)는 모두 내측에 피스톤 로드(21M)의 부착축부(28M)를 삽입 관통할 수 있는 내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801)는 그 내경이 외측 바닥부(815)의 내경보다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802)는 그 내경이 디스크(801)의 내경보다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803)는 그 내경이 디스크(801)의 내경보다 소직경이며 디스크 밸브(802)의 내경보다도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804)는 그 내경이 디스크(801)의 내경보다도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805)는 그 내경이 디스크(804)의 내경보다도 대직경이며 외측 바닥부(815)의 내경과 동등하게 되어 있다.
제2 케이스 부재(806)는 구멍을 가진 원판형의 일체 성형품이며, 구멍을 가진 원판형의 기초부(831)와, 기초부(831)의 내주연부로부터 축방향 일측으로 돌출되는 통로 형성부(832)를 가지고 있다. 기초부(831)에는 외주부에 직경 방향 안쪽으로 움푹 파인 통로 홈(834)이 기초부(831)의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기초부(831)에는 통로 홈(834)이 기초부(831)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 형성되어 있다. 기초부(831)는 통로 형성부(832) 측의 단부면이 축 직교 방향으로 넓어지는 평면으로 되어 있다.
통로 형성부(832)는, 기초부(831)의 내주연부로부터 기초부(831)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으로 돌출하는 목부(835)와, 목부(835)로부터 기초부(831)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기초부(831)와는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머리부(836)를 가지고 있다. 머리부(836)는 외경이 목부(835)의 외경보다도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목부(835)는 기초부(831)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을 이루고 있고, 그 외주면이 일정 직경의 원통면으로 되어 있다. 머리부(836)는 기초부(831)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을 이루고 있고, 그 외주면이 일정 직경의 원통면과 그 축방향 양측의 모따기부로 이루어져 있다. 머리부(836)의 외경은 디스크 밸브(802)의 내경보다도 소정량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제2 케이스 부재(806)는, 그 직경 방향의 중앙에, 기초부(831) 및 통로 형성부(832)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가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 구멍(851)이 형성되어 있다. 기초부(831)의 외경면(外徑面), 목부(835)의 외주면 및 머리부(836)의 외주면은 삽입 관통 구멍(851)과 동축형으로 되어 있다.
제2 케이스 부재(806)는, 통로 형성부(832)가 기초부(831)보다도 피스톤(18M) 측에 위치하는 방향에서 배치되어 있고, 삽입 관통 구멍(851)에 있어서 부착축부(28M)에 감합하고, 기초부(831)에 있어서 제1 케이스 부재(800)의 통형부(812)에 감합되어 있다. 제1 케이스 부재(800)의 바닥부(811)의 외측 바닥부(815)와 제2 케이스 부재(806)의 기초부(831)의 사이에, 디스크(801), 디스크 밸브(802), 디스크(803~805)가 협지된다. 이때, 디스크 밸브(802)는, 그 외주 측이 디스크(801, 803, 804)의 외주 측과 함께 제1 케이스 부재(800)의 외측 바닥부(815)와 디스크(805)에 의해 축방향으로 클램프된다. 이에 따라, 디스크 밸브(802)는 외주 측이 피스톤 로드(21M)에 일체로 고정된다. 디스크 밸브(802)의 원통면으로 이루어지는 내주면은, 제2 케이스 부재(806)의 통로 형성부(832)의 머리부(836)의 원통면으로 이루어지는 외주면과 축방향의 위치를 서로 겹쳐 직경 방향으로 대향한다.
제1 케이스 부재(800), 제2 케이스 부재(806) 및 디스크(805)는 피스톤 로드(21)에 일체로 연결되고, 디스크 밸브(802)의 외주 측을 디스크(801, 803, 804)를 통해 캔틸레버 지지하게 된다. 디스크 밸브(802)는 내주단이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802)에 더하여 디스크(801, 803, 804)도 내주 측이 자유단으로 되어 있으며,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802) 및 디스크(801, 803, 804)는, 외주 측이 피스톤 로드(21)에 일체적으로 이동하도록 연결되고, 내주 측이 탄성 변형 가능한 서브 밸브(861)를 구성하고 있다. 디스크 밸브(802)는, 구멍을 가진 원판형이며 자유단인 내주부가 통로 형성부(832)를 통해 피스톤 로드(21)에 대향하고 있다.
제1 케이스 부재(800) 및 제2 케이스 부재(806)는, 디스크(801), 디스크 밸브(802), 디스크(803, 804, 805)를 협지한 상태에서, 제1 케이스 부재(800)의 내측 바닥부(817)와 제2 케이스 부재(806)의 통로 형성부(832)가 축방향으로 이격하여 대향하고 있다. 제1 케이스 부재(800) 및 제2 케이스 부재(806)는 이들의 내측에 케이스 내실(865)을 형성하고 있다. 디스크 밸브(802)를 포함하는 서브 밸브(861)는 케이스 내실(865)에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 내실(865)은 제2 케이스 부재(806)의 통로 홈(834) 내의 통로를 통해 하실(20)에 상시 연통되어 있다.
케이스 내실(865)은, 디스크 밸브(802)를 포함하는 서브 밸브(861)에 의해서, 상실(19) 측의 상실 연통실(871)과 하실(20) 측의 하실 연통실(872)로 구획되어 있다. 이들 상실 연통실(871) 및 하실 연통실(872)은 디스크 밸브(802)와 통로 형성부(832) 사이의 가변 통로(873)를 통해 상시 연통되어 있다. 디스크(801, 803, 804)와 함께, 제1 케이스 부재(800), 디스크(805) 및 제2 케이스 부재(806)에 캔틸레버 지지된 디스크 밸브(802)는 상실 연통실(871) 및 하실 연통실(872) 사이의 차압에 의해 탄성 변형한다.
가변 통로(873)는, 디스크 밸브(802)가 탄성 변형하지 않고서 머리부(836)의 원통면으로 이루어지는 외주면과 축방향의 위치를 서로 겹친 상태에서는, 유로 단면적이 최소가 되고, 디스크 밸브(802)가 탄성 변형하여 머리부(836)로부터 멀어질수록 유로 단면적이 커진다.
제2 케이스 부재(806)의 통로 홈(834) 내의 통로와, 하실 연통실(872)과, 서브 밸브(861) 및 통로 형성부(832) 사이의 가변 통로(873)와, 상실 연통실(871)과, 제1 케이스 부재(800)의 관통 구멍(826) 내의 통로와, 제1 케이스 부재(800) 및 피스톤(18M) 사이의 실(875)과, 피스톤(18M)의 복수의 통로 구멍(39M)과, 개변 시에 출현하는 메인 밸브(71M) 및 밸브 시트부(50M) 사이의 통로가, 축소 행정에 있어서 상류측이 되는 하실(20)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상실(19)로 향해서 오일액이 흘러나오는 축소 측의 통로부(881)를 구성하고 있다. 감쇠력을 발생하는 축소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M)는 메인 밸브(71M)와 밸브 시트부(50M)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로써, 이 통로부(881)에 마련되어 있다. 통로부(881)는 피스톤(18M)에 형성된 통로 홈(771) 내, 환형 홈(55M)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8M) 내의 통로도 포함하고 있다. 통로 홈(771) 내의 통로는 오리피스(882)를 구성하고 있다.
피스톤(18M)의 복수의 통로 구멍(38M) 내 및 환형 홈(55M) 내의 통로와, 개변 시에 출현하는 메인 밸브(91M) 및 밸브 시트부(48M) 사이의 통로와, 제1 케이스 부재(800) 및 피스톤(18M) 사이의 실(875)과, 제1 케이스 부재(800)의 관통 구멍(826) 내의 통로와, 상실 연통실(871)과, 서브 밸브(861) 및 통로 형성부(832) 사이의 가변 통로(873)와, 하실 연통실(872)과, 제2 케이스 부재(806)의 통로 홈(834) 내의 통로가, 신장 행정에 있어서 상류측이 되는 상실(19)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하실(20)로 향해서 오일액이 흘러나오는 신장 측의 통로부(883)가 된다. 감쇠력을 발생하는 신장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M)는, 메인 밸브(91M)와 밸브 시트부(48M)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로써, 이 통로부(883)에 마련되어 있다. 통로부(883)는 피스톤(18M)에 형성된 통로 홈(771) 내의 통로를 포함하고 있다. 통로부(881, 883)는, 피스톤(18M)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2) 내의 상실(19) 및 하실(20) 중의 상류측이 되는 한쪽에서 하류측이 되는 다른 쪽으로 작동 유체가 흘러나오는 통로(885)를 구성하고 있다.
개변 시에 출현하는 메인 밸브(71M) 및 밸브 시트부(50M) 사이의 통로와 복수의 통로 구멍(39M) 내의 통로가, 피스톤(18M)의 하실(20) 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실(19)로 오일액이 흘러나오는 축소 측의 제1 통로(888)를 구성하고 있다. 이로써, 제1 통로(888)는 피스톤(18M)에 형성되어 있다. 제1 통로(888)에, 이것을 개폐하여 감쇠력을 발생하는 축소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M)가 마련되어 있다.
개변 시에 출현하는 메인 밸브(91M) 및 밸브 시트부(48M) 사이의 통로와 환형 홈(55M)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8M) 내의 통로가, 피스톤(18M)의 상실(19) 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2) 내의 상류측이 되는 상실(19)로부터의 오일액이 흘러나오는 신장 측의 제1 통로(889)를 구성하고 있다. 이로써, 제1 통로(889)는 피스톤(18M)에 형성되어 있다. 제1 통로(889)에, 이것을 개폐하여 감쇠력을 발생하는 신장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M)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케이스 부재(800) 및 피스톤(18M) 사이의 실(875)과, 제1 케이스 부재(800)의 관통 구멍(826) 내의 통로와, 상실 연통실(871)과, 서브 밸브(861) 및 통로 형성부(832) 사이의 가변 통로(873)와, 하실 연통실(872)과, 제2 케이스 부재(806)의 통로 홈(834) 내의 통로가, 통로부(881) 및 통로부(883)에 공통되는 제2 통로(891)로 되어 있다. 제2 통로(891)는, 축소 행정에 있어서 상류측이 되는 하실(20)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상실(19)로 향해서 오일액이 흘러나오는 축소 측의 통로가 되고, 신장 행정에 있어서 상류측이 되는 상실(19)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하실(20)로 향해서 오일액이 흘러나오는 신장 측의 통로가 된다.
서브 밸브(861) 및 통로 형성부(832)는, 이 제2 통로(891)를 개폐하여, 이 제2 통로(891)에서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하는 신장/축소 양 행정에서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892)를 구성하고 있다. 이로써, 제2 감쇠력 발생 기구(892)는 통로부(881) 및 통로부(883)에 공통인 제2 통로(891)에 마련되어 있다.
제2 통로(891)는, 축소 측의 제1 통로(888)와 직렬되어 있고, 제1 통로(888)에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M)가, 제2 통로(891)에 제2 감쇠력 발생 기구(892)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M)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892)는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제2 통로(891)는, 신장 측의 제1 통로(889)와 직렬되어 있고, 제1 통로(889)에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M)가, 제2 통로(891)에 제2 감쇠력 발생 기구(892)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M)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892)는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신장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M)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892) 중,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M)의 메인 밸브(91M)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892)의 서브 밸브(861)보다도 강성이 높고 개변압이 높다. 이로써, 신장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소정치보다도 저속인 극미저속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M)는 폐변한 상태에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892)가 개변한다. 또한, 피스톤 속도가 이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M)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892)가 함께 개변하게 된다.
즉, 신장 행정에 있어서는, 피스톤(18M)이 상실(19)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실(19)의 압력이 높아지고, 하실(20)의 압력이 낮아지지만, 피스톤 속도가 낮을 때의 신장 행정에 있어서는, 통로부(883)가 유로 단면적이 최소 상태인 가변 통로(873)를 통해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시키고 있다. 이로써, 상실(19)의 오일액이, 피스톤(18M)의 복수의 통로 구멍(38M) 내 및 환형 홈(55M) 내의 통로와, 오리피스(882)와, 실(875)과, 제1 케이스 부재(800)의 관통 구멍(826) 내의 통로와, 상실 연통실(871)과, 유로 단면적이 최소 상태인 가변 통로(873)와, 하실 연통실(872)과, 제2 케이스 부재(806)의 통로 홈(834) 내의 통로를 통해 하실(20)로 흐른다.
그리고, 피스톤 속도가 이보다도 고속인 극미저속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M)는 폐변한 상태에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892)의 서브 밸브(861)가 하실 연통실(872) 측으로 변형하고 개변하여 가변 통로(873)를 포함하는 통로부(883)에서 상실(19)로부터 하실(20)로 오일액을 흘린다. 이때, 피스톤 속도가 커짐에 따라서 서브 밸브(861)의 하실 연통실(872) 측으로의 변형량이 커져, 통로 형성부(832)와의 사이의 가변 통로(873)가 확대된다. 이에 따라, 극미저속 영역에서도 밸브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에 거의 비례하는 특성)의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신장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더욱 고속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상기한 것과 같이 제2 감쇠력 발생 기구(892)의 서브 밸브(861)가 하실 연통실(872) 측으로 변형하여 개변량을 크게 한 상태 그대로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M)가 개변한다. 즉, 서브 밸브(861)가 하실 연통실(872) 측으로 변형하여 가변 통로(873)를 포함하는 통로부(883)에서 상실(19)로부터 하실(20)로 오일액을 흘리게 되는데, 이때, 통로부(883)에 있어서 서브 밸브(861)보다도 상류측에 마련된 오리피스(882)에서 오일액의 흐름이 교축됨으로써, 통로부(883)에 있어서 메인 밸브(91M)에 가해지는 압력이 높아져 차압이 높아지고, 메인 밸브(91M)가 밸브 시트부(48M)로부터 이좌하여 상실(19)로부터 하실(20)로 오일액을 흘린다. 이로써, 상실(19)의 오일액이, 복수의 통로 구멍(38M) 내 및 환형 홈(55M) 내의 통로와, 메인 밸브(91M) 및 밸브 시트부(48M) 사이의 통로와, 실(875)과, 제1 케이스 부재(800)의 관통 구멍(826) 내의 통로와, 상실 연통실(871)과, 유로 단면적이 확대되어 있는 상태의 가변 통로(873)와, 하실 연통실(872)과, 제2 케이스 부재(806)의 통로 홈(834) 내의 통로를 통해 하실(20)로 흐른다. 이에 따라, 통상 속도 영역에서도 밸브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에 거의 비례하는 특성)의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축소 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M)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892) 중,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M)의 메인 밸브(71M)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892)의 서브 밸브(861)보다도 강성이 높고 개변압이 높다. 이로써, 축소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소정치보다도 저속인 극미저속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M)는 폐변한 상태에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892)가 개변하고, 피스톤 속도가 이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M)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892)가 함께 개변하게 된다.
즉, 축소 행정에 있어서는, 피스톤(18M)이 하실(20)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하실(20)의 압력이 높아지고, 상실(19)의 압력이 낮아지지만, 피스톤 속도가 낮은 상태에서의 축소 행정에 있어서는, 통로부(881)가 유로 단면적이 최소 상태인 가변 통로(873)를 통해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시키고 있다. 이로써, 하실(20)의 오일액이, 제2 케이스 부재(806)의 통로 홈(834) 내의 통로와, 하실 연통실(872)과, 유로 단면적이 최소 상태인 가변 통로(873)와, 상실 연통실(871)과, 제1 케이스 부재(800)의 관통 구멍(826) 내의 통로와, 실(875)과, 오리피스(882)와, 피스톤(18M)의 환형 홈(55M)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8M) 내의 통로를 통해 상실(19)로 흐른다.
그리고, 피스톤 속도가 이보다도 고속인 극미저속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M)는 폐변한 상태에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892)의 서브 밸브(861)가 상실 연통실(871) 측으로 변형하여 개변한다. 이때, 피스톤 속도가 커짐에 따라서 서브 밸브(861)의 상실 연통실(871) 측으로의 변형량이 커져, 통로 형성부(832)와의 사이의 가변 통로(873)가 확대된다. 이에 따라, 극미저속 영역에서도 밸브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에 거의 비례하는 특성)의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축소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더욱 고속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상기한 것과 같이 제2 감쇠력 발생 기구(892)의 서브 밸브(861)가 상실 연통실(871) 측으로 변형하여 개변량을 크게 한 상태 그대로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M)가 개변한다. 즉, 서브 밸브(861)가 상실 연통실(871) 측으로 변형하여 가변 통로(873)를 포함하는 통로부(881)에서 하실(20)로부터 상실(19)로 오일액을 흘리게 되는데, 이때, 통로부(881)는 한쪽의 흐름이 오리피스(882)에 의해 오일액의 유량이 조여지고 있으므로, 다른 쪽의 흐름의 메인 밸브(71M)에 생기는 차압이 커져, 메인 밸브(71M)가 밸브 시트부(50M)로부터 이좌하여 하실(20)로부터 상실(19)로 오일액을 흘린다. 이로써, 하실(20)의 오일액이, 제2 케이스 부재(806)의 통로 홈(834) 내의 통로와, 하실 연통실(872)과, 유로 단면적이 확대된 상태의 가변 통로(873)와, 상실 연통실(871)과, 제1 케이스 부재(800)의 관통 구멍(826) 내의 통로와, 실(875)과, 복수의 통로 구멍(39M) 내의 통로와, 메인 밸브(71M) 및 밸브 시트부(50M) 사이의 통로를 통해 흐른다. 이에 따라, 통상 속도 영역에서도 밸브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에 거의 비례한다)의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제13 실시형태의 완충기(1M)는 실(875)과 하실(20)을 연통시키도록 통로(901)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감쇠력 발생 기구(892)에는 어큐뮬레이터(565M)가 이 통로(901)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통로(901)에 있어서의 실(875)에의 연통 부분에, 체적 가변 기구(185M)의 중간실(147)을 접속시키고, 통로(901)에 있어서의 하실(20)에의 연통 부분에, 체적 가변 기구(561M)의 연통실(149)을 접속시킨다. 체적 가변 기구(561M)는 연통실(149)과 하실(20) 사이에 오리피스로서의 연통로(148)를 가지고 있다.
제13 실시형태의 완충기(1M)는, 유압 회로도가 제11 실시형태와 같게 되고, 제11 실시형태와 작동 및 효과도 같다.
이상의 제13 실시형태에서도, 제2 감쇠력 발생 기구(892)를 상실(19) 및 하실(20) 중의 한쪽인 하실(20) 측에 마련했지만, 상실(19) 측에 둘 수도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피스톤과 밸브 시트 부재의 사이에 바닥을 가진 통형의 캡 부재를 갖추고, 캡실 내에, 캡 부재의 바닥부의 연통로를 폐색하는 휘어질 수 있는 가요 부재가 마련되고, 가요 부재와 밸브 시트 부재의 사이에, 가요 부재에 의해서 연통로와의 연통이 차단되는 중간실이 형성되는 구성을 나타냈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2015-232403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이, 중간실을 형성하는 부재를 별개로 두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제1~제13 실시형태는, 모노튜브식의 유압 완충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실린더를 외통과 내통으로 구성하여, 외통과 내통의 사이에 리저버실을 형성하는 복통식의 유압 완충기에 이용하여도 좋으며, 디스크에 시일 부재를 마련한 구조의 패킹 밸브를 사용한 압력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온갖 완충기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제13 실시형태에서는, 제1 통로, 제2 통로, 제1 감쇠력 발생 기구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를 피스톤 등의 피스톤 로드와 일체로 이동하는 부품에 마련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는다. 예컨대 복통식 완충기의 경우,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가 연장되어 나오는 측과는 반대측에 마련되는 보텀 밸브에 제1 통로, 제2 통로, 제1 감쇠력 발생 기구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를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실린더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가로 부착 밸브에 제1 통로, 제2 통로, 제1 감쇠력 발생 기구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를 마련하여도 좋다.
이상에 설명한 실시형태의 제1 양태는,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를 2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어 나오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작동 유체가 흘러나오는 제1 통로 및 제2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와, 상기 제2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를 갖는다. 상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는, 상기 제2 통로의 일측에 마련되는 서브 밸브와, 상기 제2 통로와 병렬로 마련된 체적실의 체적을 변경하는 체적 가변 기구를 갖는다. 이에 따라,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제2 양태는,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체적 가변 기구는, 상기 체적실과, 이동하여 체적실의 체적을 변경하는 이동 부재를 갖는다.
제3 양태는, 제1 또는 제2 양태에 있어서, 소정 주파수를 넘으면, 상기 체적 가변 기구에 의해, 상기 서브 밸브로의 유량을 제한한다.
제4 양태는, 제1 내지 제3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통로와 상기 제2 통로는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5 양태는, 제1 내지 제3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통로와 상기 제2 통로는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6 양태는,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를 2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어 나오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작동 유체가 흘러나오는 제1 통로 및 제2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와, 상기 제2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를 갖는다. 상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는, 상기 제2 통로의 밸브 시트 부재에 마련되는 밸브 시트 부재 통로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일측 서브 밸브와, 상기 제2 통로에 있어서의 상기 피스톤과 상기 밸브 시트 부재의 사이에 마련되는 바닥을 가진 통형의 캡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밸브 시트 부재는 상기 캡 부재 내에, 상기 일측 서브 밸브는 상기 캡 부재의 바닥부와 상기 밸브 시트 부재 사이의 캡실 내에 각각 마련된다. 상기 제2 통로에는, 상기 일측 서브 밸브가 개변하는 흐름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오리피스가 배치된다. 피스톤 속도가 저속인 영역에서는 상기 제1 감쇠력 발생 기구는 폐변한 상태에서 상기 일측 서브 밸브가 개변한다. 피스톤 속도가 저속보다도 큰 속도 영역에서는, 상기 제1 감쇠력 발생 기구 및 상기 일측 서브 밸브가 함께 개변한다. 상기 캡 부재의 바닥부에는, 한쪽의 실과 연통하는 연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캡실 내에는, 상기 일측 서브 밸브와 상기 캡 부재의 바닥부의 사이에,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가 마련된다.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일측 서브 밸브의 사이에는,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에 의해서 체적 변경되는 중간실이 형성되는 체적 가변 기구를 갖는다.
제7 양태는, 제6 양태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 부재 통로부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한쪽의 실에 마련되는 타측 서브 밸브를 가지고,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타측 서브 밸브의, 상기 한쪽의 실을 매개로 하는 사이에는,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에 의해서 체적 변경되는 체적실이 형성되는 체적 가변 기구를 갖는다.
제8 양태는, 제6 또는 제7 양태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캡 부재의 바닥부의 사이 및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일측 서브 밸브의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O 링이 마련된다.
제9 양태는, 제7 양태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2장의 접시 스프링으로 지지되고, 이들 접시 스프링은 자연 상태에서 오목부 측을 대향시켜 배치된다.
제10 양태는,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를 2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어 나오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의 상류측이 되는 상기 실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상기 실로 작동 유체가 흘러나오는 제1 통로 및 제2 통로와, 상기 피스톤에 형성되는 상기 제1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와, 상기 2실 중의 한쪽의 실에 배치되는 환형의 밸브 시트 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통로와는 병렬의 상기 제2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를 가지고, 상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는, 상기 제2 통로의 상기 밸브 시트 부재에 마련되는 밸브 시트 부재 통로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서브 밸브 및 타측에 마련되는 제2 서브 밸브와, 상기 제2 통로에 있어서의 상기 피스톤과 상기 밸브 시트 부재의 사이에 마련되는 바닥을 가진 통형의 캡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시트 부재는 상기 캡 부재 내에, 상기 제1 서브 밸브는 상기 한쪽의 실에, 상기 제2 서브 밸브는 상기 캡 부재의 바닥부와 상기 밸브 시트 부재의 사이의 캡실 내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2 통로에는, 상기 제1 서브 밸브가 개변하는 흐름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오리피스가 배치되고, 피스톤 속도가 저속인 영역에서는 상기 제1 감쇠력 발생 기구는 폐변한 상태에서 상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가 개변하고, 피스톤 속도가 저속보다도 큰 속도 영역에서는, 상기 제1 감쇠력 발생 기구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가 함께 개변하고, 상기 캡 부재의 바닥부에는, 상기 한쪽의 실과 연통하는 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캡실 내에는, 상기 제2 서브 밸브와 상기 캡 부재의 바닥부의 사이에, 상기 연통로를 폐색하는 휘어질 수 있는 가요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가요 부재와 상기 제2 서브 밸브의 사이에는, 상기 가요 부재에 의해서 상기 연통로와의 연통이 차단되는 중간실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제11 양태는, 제10 양태에 있어서, 상기 가요 부재에는, 상기 캡 부재의 바닥부에 상시 맞닿는 가요 부재 측의 돌출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2 양태는, 제10 또는 제1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의 바닥부에는, 상기 가요 부재에 상시 맞닿는 캡 부재 측의 돌출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3 양태는, 제10 내지 제12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 부재 통로부는, 신장 측의 통로부 및 축소 측의 통로부를 가지고, 상기 신장 측의 통로부 및 상기 축소 측의 통로부는 동일 원주 상에 교대로 복수 마련되어 있다.
제14 양태는,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를 2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어 나오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의 상류측이 되는 상기 실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상기 실로 작동 유체가 흘러나오는 제1 통로 및 제2 통로와, 상기 피스톤에 형성되는 상기 제1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와, 상기 2실 중 한쪽의 실에 배치되는 환형의 밸브 시트 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통로와는 병렬의 상기 제2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를 가지고, 상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는, 상기 제2 통로의 상기 밸브 시트 부재에 마련되는 밸브 시트 부재 통로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서브 밸브와, 상기 제2 통로에 있어서의 상기 피스톤과 상기 밸브 시트 부재의 사이에 마련되는 바닥을 가진 통형의 캡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시트 부재는 상기 캡 부재 내에, 상기 제1 서브 밸브는 상기 한쪽의 실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통로에는, 상기 제1 서브 밸브가 개변하는 흐름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오리피스가 배치되고, 피스톤 속도가 저속인 영역에서는 상기 제1 감쇠력 발생 기구는 폐변한 상태에서 상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가 개변하고, 피스톤 속도가 저속보다도 큰 속도 영역에서는, 상기 제1 감쇠력 발생 기구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가 함께 개변하고, 상기 캡 부재의 바닥부에는, 상기 한쪽의 실과 연통되는 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캡 부재의 바닥부와 상기 밸브 시트 부재 사이의 캡실 내에는, 상기 연통로를 폐색하는 휘어질 수 있는 가요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가요 부재와 상기 밸브 시트 부재의 사이에는, 상기 가요 부재에 의해서 상기 연통로와의 연통이 차단되는 중간실이 형성되어 있다.
제15 양태는,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를 2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어 나오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의 상류측이 되는 상기 실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상기 실로 작동 유체가 흘러나오는 제1 통로 및 제2 통로와, 상기 피스톤에 형성되는 상기 제1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와, 상기 2실 중 한쪽의 실에 배치되는 환형의 밸브 시트 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통로와는 병렬의 상기 제2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를 가지고, 상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는, 상기 제2 통로의 상기 밸브 시트 부재에 마련되는 밸브 시트 부재 통로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서브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시트 부재에는, 상기 한쪽의 실에 상기 제1 서브 밸브가 마련되고, 상기 제2 통로에는, 상기 제1 서브 밸브가 개변하는 흐름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오리피스가 배치되고, 피스톤 속도가 저속인 영역에서는 상기 제1 감쇠력 발생 기구는 폐변한 상태에서 상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가 개변하고, 피스톤 속도가 저속보다도 큰 속도 영역에서는, 상기 제1 감쇠력 발생 기구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가 함께 개변하고, 내부에 상기 제2 통로의 적어도 일부의 통로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2 통로를 상류와 하류로 규정하는 프리 피스톤이 마련되고, 상기 프리 피스톤에 의해서 상기 제2 통로의 연통이 차단되는 중간실이 형성된다.
상기한 완충기에 의하면,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1, 1A~1M: 완충기 2: 실린더
18, 18M: 피스톤 19: 상실
20: 하실 21, 21M: 피스톤 로드
41, 41D, 41K~41M, 42, 42D, 42K~42M: 제1 감쇠력 발생 기구
51: 피스톤 로드 통로부
72, 71K, 92, 92K, 888, 889: 제1 통로
100, 100A, 515: 플렉시블 디스크(가요 부재, 이동 부재)
101, 101B, 101D, 101G: 캡 부재
107: 서브 밸브(제2 서브 밸브, 일측 서브 밸브)
109, 109C: 밸브 시트 부재
110, 431: 서브 밸브(제1 서브 밸브, 타측 서브 밸브)
122, 122B, 122D, 122G: 바닥부 146: 캡실
147: 중간실 148: 연통로
149: 연통실(체적실)
150, 150C: 밸브 시트 부재 통로부
151, 151C: 제1 통로부(신장 측의 통로부)
152, 152C: 제2 통로부(축소 측의 통로부)
172, 172C, 172K, 182, 182K, 440, 891: 제2 통로
173, 173D~173L, 183, 183, 183B, 183D~183L, 441, 892: 제2 감쇠력 발생 기구
175: 오리피스
185, 185A, 185B, 185E~185H, 185J, 185K, 561, 561E~561H, 561J, 561K: 체적 가변 기구
222: 직경 방향 통로
302: 디스크 돌출부(가요 부재 측의 돌출부)
321B: 캡 돌출부(캡 부재 측의 돌출부) 861: 서브 밸브

Claims (14)

  1.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를 2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어 나오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작동 유체가 흘러나오는 제1 통로 및 제2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와,
    상기 제2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는,
    상기 제2 통로의 일측에 마련되는 서브 밸브와,
    상기 제2 통로와 병렬로 마련된 체적실의 체적을 변경하는 체적 가변 기구를 갖고,
    미리 정해놓은 주파수를 넘으면, 상기 체적 가변 기구에 의해, 상기 서브 밸브로의 유량을 제한하는 것인 완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적 가변 기구는, 상기 체적실과, 이동하여 체적실의 체적을 변경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완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로와 상기 제2 통로는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것인 완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로와 상기 제2 통로는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것인 완충기.
  5.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를 2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어 나오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작동 유체가 흘러나오는 제1 통로 및 제2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와,
    상기 제2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는,
    상기 제2 통로의 밸브 시트 부재에 마련되는 밸브 시트 부재 통로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일측 서브 밸브와,
    상기 제2 통로에 있어서의 상기 피스톤과 상기 밸브 시트 부재의 사이에 마련되는 바닥을 가진 통형의 캡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 시트 부재는 상기 캡 부재 내에, 상기 일측 서브 밸브는 상기 캡 부재의 바닥부와 상기 밸브 시트 부재 사이의 캡실 내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2 통로에는, 상기 일측 서브 밸브가 개변(開弁)하는 흐름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오리피스가 배치되며,
    피스톤 속도가 저속인 영역에서는 상기 제1 감쇠력 발생 기구는 폐변(閉弁)한 상태에서 상기 일측 서브 밸브가 개변하고,
    피스톤 속도가 저속보다도 큰 속도 영역에서는, 상기 제1 감쇠력 발생 기구 및 상기 일측 서브 밸브가 함께 개변하며,
    상기 캡 부재의 바닥부에는, 한쪽의 실과 연통하는 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캡실 내에는, 상기 일측 서브 밸브와 상기 캡 부재의 바닥부의 사이에,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일측 서브 밸브의 사이에는,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에 의해서 체적 변경되는 중간실이 형성되는 체적 가변 기구를 갖는 것인 완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 부재 통로부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한쪽의 실에 마련되는 타측 서브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타측 서브 밸브와의, 상기 한쪽의 실을 매개로 하는 사이에는,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에 의해서 체적 변경되는 체적실이 형성되는 체적 가변 기구를 갖는 것인 완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캡 부재의 바닥부의 사이 및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일측 서브 밸브의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O 링이 마련되는 것인 완충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2장의 접시 스프링으로 지지되고, 이들 접시 스프링은 자연 상태에서 오목부 측을 대향시켜 배치되는 것인 완충기.
  9.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를 2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어 나오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의 상류측이 되는 상기 실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상기 실로 작동 유체가 흘러나오는 제1 통로 및 제2 통로와,
    상기 피스톤에 형성되는 상기 제1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와,
    상기 2실 중의 한쪽의 실에 배치되는 환형의 밸브 시트 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통로와는 병렬의 상기 제2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는,
    상기 제2 통로의 상기 밸브 시트 부재에 마련되는 밸브 시트 부재 통로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서브 밸브 및 타측에 마련되는 제2 서브 밸브와,
    상기 제2 통로에 있어서의 상기 피스톤과 상기 밸브 시트 부재의 사이에 마련되는 바닥을 가진 통형의 캡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 시트 부재는 상기 캡 부재 내에, 상기 제1 서브 밸브는 상기 한쪽의 실에, 상기 제2 서브 밸브는 상기 캡 부재의 바닥부와 상기 밸브 시트 부재 사이의 캡실 내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2 통로에는, 상기 제1 서브 밸브가 개변하는 흐름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오리피스가 배치되며,
    피스톤 속도가 저속인 영역에서는, 상기 제1 감쇠력 발생 기구는 폐변한 상태에서 상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가 개변하고,
    피스톤 속도가 저속보다도 큰 속도 영역에서는, 상기 제1 감쇠력 발생 기구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가 함께 개변하며,
    상기 캡 부재의 바닥부에는, 상기 한쪽의 실과 연통되는 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캡실 내에는, 상기 제2 서브 밸브와 상기 캡 부재의 바닥부의 사이에, 상기 연통로를 폐색하는 휘어질 수 있는 가요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가요 부재와 상기 제2 서브 밸브의 사이에는, 상기 가요 부재에 의해서 상기 연통로와의 연통이 차단되는 중간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 부재에는, 상기 캡 부재의 바닥부에 상시(常時) 맞닿는 가요 부재 측의 돌출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의 바닥부에는, 상기 가요 부재에 상시 맞닿는 캡 부재 측의 돌출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 부재 통로부는 신장 측의 통로부 및 축소 측의 통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장 측의 통로부 및 상기 축소 측의 통로부는 동일 원주 상에 교대로 복수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13.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를 2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어 나오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의 상류측이 되는 상기 실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상기 실로 작동 유체가 흘러나오는 제1 통로 및 제2 통로와,
    상기 피스톤에 형성되는 상기 제1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와,
    상기 2실 중 한쪽의 실에 배치되는 환형의 밸브 시트 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통로와는 병렬의 상기 제2 통로에 마련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는,
    상기 제2 통로의 상기 밸브 시트 부재에 마련되는 밸브 시트 부재 통로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서브 밸브와,
    상기 제2 통로에 있어서의 상기 피스톤과 상기 밸브 시트 부재의 사이에 마련되는 바닥을 가진 통형의 캡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 시트 부재는 상기 캡 부재 내에, 상기 제1 서브 밸브는 상기 한쪽의 실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통로에는, 상기 제1 서브 밸브가 개변하는 흐름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오리피스가 배치되며,
    피스톤 속도가 저속인 영역에서는, 상기 제1 감쇠력 발생 기구는 폐변한 상태에서 상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가 개변하고,
    피스톤 속도가 저속보다도 큰 속도 영역에서는, 상기 제1 감쇠력 발생 기구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가 함께 개변하며,
    상기 캡 부재의 바닥부에는, 상기 한쪽의 실과 연통하는 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캡 부재의 바닥부와 상기 밸브 시트 부재 사이의 캡실 내에는, 상기 연통로를 폐색하는 휘어질 수 있는 가요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가요 부재와 상기 밸브 시트 부재의 사이에는, 상기 가요 부재에 의해서 상기 연통로와의 연통이 차단되는 중간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14. 삭제
KR1020217039286A 2019-06-26 2020-03-25 완충기 KR1025602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18696 2019-06-26
JPJP-P-2019-118696 2019-06-26
PCT/JP2020/013424 WO2020261683A1 (ja) 2019-06-26 2020-03-25 緩衝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072A KR20220003072A (ko) 2022-01-07
KR102560282B1 true KR102560282B1 (ko) 2023-07-26

Family

ID=74060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286A KR102560282B1 (ko) 2019-06-26 2020-03-25 완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412428A1 (ko)
JP (1) JP7168782B2 (ko)
KR (1) KR102560282B1 (ko)
CN (1) CN114072596A (ko)
DE (1) DE112020003042T5 (ko)
WO (1) WO20202616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82839B2 (ja) 2021-06-28 2024-05-14 日立Astemo株式会社 緩衝器
WO2023120576A1 (ja) * 2021-12-24 2023-06-29 日立Astemo株式会社 減衰力発生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3683A (ja) 2011-09-05 2013-03-21 Kyb Co Ltd 緩衝装置
US20140048365A1 (en) 2012-08-14 2014-02-20 Mando Corporation Valve assembly of shock absorber
JP2015059621A (ja) 2013-09-19 2015-03-30 カヤバ工業株式会社 緩衝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1666A (ja) 1988-07-29 1990-02-09 Matsushita Refrig Co Ltd トランジスタインバータ装置
US5129488A (en) * 1989-11-16 1992-07-14 Atsugi Unisia Corporation Vibration mode responsive variable damping force shock absorber with feature of automatic selection of damping mode depending upon vibration mode of vehicular body
JPH06147252A (ja) * 1992-09-18 1994-05-27 Tokico Ltd 油圧緩衝器
US5655633A (en) * 1994-05-20 1997-08-12 Tokico Ltd. Hydraulic damper of a damping force adjusting type
EP2511563A4 (en) * 2009-12-11 2017-12-13 KYB Corporation Shock-absorbing device
JP5365804B2 (ja) * 2009-12-22 2013-12-1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JP5639865B2 (ja) 2010-03-02 2014-12-1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KR101254233B1 (ko) * 2011-05-31 2013-04-18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밸브 구조
KR101254287B1 (ko) * 2011-06-09 2013-04-12 주식회사 만도 가변유로를 갖는 쇽업소버의 밸브 구조
KR101288612B1 (ko) * 2011-07-21 2013-07-22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밸브 구조
JP5758235B2 (ja) * 2011-08-31 2015-08-0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KR101375804B1 (ko) * 2011-09-02 2014-03-21 주식회사 만도 주파수 및 압력 감응형 쇽업소버
JP2013133896A (ja) 2011-12-27 2013-07-08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減衰力調整式緩衝器
KR101350078B1 (ko) * 2012-08-14 2014-01-15 주식회사 만도 쇽 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US9879748B2 (en) * 2013-03-15 2018-01-30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Two position valve with face seal and pressure relief port
JP5949789B2 (ja) * 2014-01-10 2016-07-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ョックアブソーバ
KR101671967B1 (ko) * 2014-03-28 2016-11-03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WO2017038571A1 (ja) * 2015-08-31 2017-03-0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DE112016004157T5 (de) * 2015-09-14 2018-06-14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Stoßdämpfer
JP7246058B2 (ja) 2018-01-10 2023-03-27 株式会社サンセイアールアンドディ 遊技機
IT201800007584A1 (it) * 2018-07-27 2020-01-27 Sistemi Sospensioni Spa Ammortizzatore idraulico a smorzamento variabile, particolarmente per sospensione di veicolo.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3683A (ja) 2011-09-05 2013-03-21 Kyb Co Ltd 緩衝装置
US20140048365A1 (en) 2012-08-14 2014-02-20 Mando Corporation Valve assembly of shock absorber
JP2015059621A (ja) 2013-09-19 2015-03-30 カヤバ工業株式会社 緩衝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86977A (ja) 2022-12-15
CN114072596A (zh) 2022-02-18
JPWO2020261683A1 (ko) 2020-12-30
WO2020261683A1 (ja) 2020-12-30
US20220412428A1 (en) 2022-12-29
KR20220003072A (ko) 2022-01-07
DE112020003042T5 (de) 2022-05-05
JP7168782B2 (ja) 202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5766B2 (en) Shock absorber
JP7224383B2 (ja) 緩衝器
US8590680B2 (en) Shock absorber
KR102560282B1 (ko) 완충기
JP2014043950A (ja) 完全変位弁組立体を備えたショックアブソーバ
CN112739932A (zh) 具有柔性浮动盘的阻尼器
JP2020002976A (ja) 緩衝器
JP7206174B2 (ja) 緩衝器
JP7109293B2 (ja) 緩衝器
JP7504175B2 (ja) 緩衝器
JP2019183919A (ja) バルブ及び緩衝器
JP7350182B2 (ja) 緩衝器
WO2023037713A1 (ja) 緩衝器
WO2023120576A1 (ja) 減衰力発生装置
US20230287954A1 (en) Shock absorber
JP7154166B2 (ja) 緩衝器
JP7154167B2 (ja) 緩衝器
JP2023144516A (ja) 緩衝器
JP2023106804A (ja) 緩衝器
JP2023039001A (ja) 緩衝器
JP2023005202A (ja) 緩衝器
JP2022127226A (ja) 緩衝器
JP2023135678A (ja) 減衰バルブおよび緩衝器
KR20240027810A (ko) 완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