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123B1 -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도포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도포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123B1
KR102559123B1 KR1020197036483A KR20197036483A KR102559123B1 KR 102559123 B1 KR102559123 B1 KR 102559123B1 KR 1020197036483 A KR1020197036483 A KR 1020197036483A KR 20197036483 A KR20197036483 A KR 20197036483A KR 102559123 B1 KR102559123 B1 KR 102559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 plate
nozzle
cutout
vertical direction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6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7006A (ko
Inventor
피터 키우
루오 하이얀
Original Assignee
노드슨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드슨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드슨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00007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1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 B05B1/3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with a ball-shaped valv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flat form, e.g. fan-like, sheet-like
    • B05B1/044Slits, i.e. narrow openings defined by two straight and parallel lips; Elongated outlets for producing very wide discharges, e.g. fluid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6Outlets for discharging by over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B05B15/658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flow cond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02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e.g. the material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1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reciprocating pumps, e.g. membrane pump, piston pump, bellow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26Valves
    • B05C11/1028Lift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01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54Coating heads with slot-shaped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54Coating heads with slot-shaped outlet
    • B05C5/0258Coating heads with slot-shaped outlet flow controlled, e.g. by a valve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재료를 기재에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 시스템이 개시되며, 도포기 시스템은 노즐 헤드(108)를 가지는 노즐을 포함하는 노즐 조립체(28)를 가진다. 노즐 조립체(28)는 또한 배플 플레이트(101)를 통해 연장되는 컷아웃(144)을 포함하는 배플 플레이트(101)를 포함하며, 배플 플레이트(101)는 노즐 헤드(108)와 배플 플레이트(101)가 캐비티를 한정하도록 노즐 헤드(108)에 의해 수용된다. 노즐 조립체(28)는 커버 플레이트(102)가 노즐 헤드(128) 내에 배플 플레이트(101)를 고정하도록 노즐 헤드(108)에 부착된 커버 플레이트(102)를 추가로 포함하며, 출구 통로는 배플 플레이트(101)와 커버 플레이트(102) 사이에 한정되며, 출구 통로는 배플 플레이트(101)의 컷아웃(144)을 통해 캐비티에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도포기 시스템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그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통합되는 2017년 5월 12일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710334374.0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기재에 재료를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재에 재료를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노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의복 제조 분야에서, 도포기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직물 또는 의복의 조각을 함께 결합하기 위해 폴리우레탄(PUR) 접착제와 같은 재료를 직물 또는 의복에 도포하는데 사용된다. 직물 조각들을 함께 결합할 때, 소량의 재료를 높은 정확도 및 정밀도로 분무하는 능력을 가지는 도포기 시스템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직물에 도포될 재료의 원하는 스트립의 폭은 8 mm 미만의 폭 및 0.2 mm 미만의 높이인 요건을 가질 수 있다. 현재 존재하는 많은 도포기 시스템에서, 재료는 낮은 수준의 정확도와 정밀도로 분무되며, 이러한 것은 과도한 양의 재료의 분무를 유발할 수 있다.
과도한 재료 분무에 의해 유발된 문제점에 더하여, 많은 종래의 도포기 시스템에서, 재료는 분무 작업이 완료된 후에 중력의 영향으로 인해 일정 시간 동안 도포기 시스템 밖으로 계속 흐를 것이다. 종래의 직물 결합 공정 동안, 작업자가 도포기 시스템을 반복적으로 시작하고 정지시켜야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사실로 인해, 재료는 도포기 시스템으로부터 밖으로 지속적으로 흘러, 큰 단부, 실크 드로잉 및 다른 결함으로 이어질 것이다.
그러므로, 중력으로 인해 비작동 상태 동안 재료를 정확하게 분무하고 도포기 시스템으로부터 재료의 연속적인 유동을 최소화하는 도포기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재료를 분배하기 위한 노즐 조립체이다. 노즐 조립체는 노즐 헤드를 포함하는 노즐을 포함하고, 노즐 헤드는 측부 표면 및 측부 표면으로부터 본체 내로 연장되는 노즐 오목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가진다. 노즐 조립체는 또한 배플 플레이트를 통해 연장되는 컷아웃(cutout)을 포함하는 배플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배플 플레이트는 노즐 헤드 및 배플 플레이트가 캐비티를 한정하도록 노즐 오목부 내에 수용된다. 노즐 조립체는 커버 플레이트가 노즐 오목부 내에 배플 플레이트를 고정하도록 노즐 헤드에 부착된 커버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며, 출구 통로는 배플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서 한정되며, 출구 통로는 배플 플레이트의 컷아웃을 통해 캐비티와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기재에 재료를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 시스템이다. 도포기 시스템은 재료를 저장 및 가열하기 위한 재료 공급부, 재료 공급부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펌프, 및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를 포함한다. 도포기 시스템은 또한 펌프로부터 재료를 수용하고 기재 상으로 재료를 분배하도록 구성된 노즐 조립체를 포함한다. 노즐 조립체는 노즐 헤드를 포함하는 노즐, 및 배플 플레이트를 통해 연장되는 컷아웃을 포함하는 배플 플레이트를 가지며, 배플 플레이트는 노즐 헤드에 의해 수용되어서, 노즐 헤드 및 배플 플레이트는 유체 캐비티를 한정한다. 노즐 조립체는 또한 커버 플레이트가 노즐 헤드 내에 배플 플레이트를 고정하도록 노즐 헤드에 부착된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출구 통로는 배플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서 한정되며, 출구 통로는 배플 플레이트의 컷아웃을 통하여 유체 캐비티에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전술한 요약 및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과 함께 읽을 때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본 출원의 설명의 목적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이 도시된 정확한 배열 및 수단으로 제한되지 않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포기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 2-2을 따라서 취한 도 1에 도시된 도포기 시스템의 단면도;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도포기 시스템의 노즐 조립체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노즐 조립체의 대안적인 사시도;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노즐 조립체의 분해도;
도 5는 노즐이 투명하게 도시된, 도 3a에 도시된 노즐 조립체의 노즐의 사시도;
도 6은 도 3a에 도시된 선 6-6을 따라 취한 도 3a에 도시된 노즐 조립체의 단면도;
도 7a는 도 3a에 도시된 노즐 조립체의 배플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7b는 도 3a에 도시된 노즐 조립체에서 사용하기 위한 대안적인 배플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8은 도 3a에 도시된 노즐 조립체의 커버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 조립체의 측면도;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노즐 조립체의 평면도;
도 10은 도 9a에 도시된 노즐 조립체의 분해도;
도 11은 도 9a에 도시된 선 11-11을 따라서 취한, 도 9a에 도시된 노즐 조립체의 단면도; 및
도 12는 도 9b에 도시된 선 12-12를 따라서 취한, 도 9a에 도시된 노즐 조립체의 단면도.
기재 상에 재료를 분무하기 위한 도포기 시스템(10) 및 관련 노즐 조립체(28, 28a)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특정 용어는 단지 편의를 위해 다음의 설명에서 도포기 시스템(10)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우측", "좌측", "하부" 및 "상부"라는 용어는 참조되는 도면에서의 방향을 나타낸다. "내부" 및 "외부"라는 용어는 각각 도포기 시스템(10) 및 그 관련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의 기하학적 중심을 각각 향한 방향 및 멀어지는 방향을 지칭한다. "전진" 및 "후진"이라는 용어는 도포기 시스템(10) 및 그 관련 부분을 따르는 길이 방향(2)으로의 방향 및 길이 방향(2)의 반대 방향을 지칭한다. 상기 용어는 상기 열거된 용어, 그 파생어 및 유사한 수입 단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수평", "측면" 및 "수직"이라는 용어는 길이 방향(2), 측 방향(4), 및 수직 방향(6)에 의해 지정된 바와 같이 도포기 시스템(10)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직교 방향 성분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길이 방향 및 측 방향(2 및 4)은 수평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수직 방향(6)은 수평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양한 방향을 포용하는 평면들은 사용 동안 다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포기 시스템(10)은 재료의 공급을 저장하기 위한 재료 공급부(12)를 포함한다. 재료는 사전 포장된 주사기(도시되지 않음)에 있는 재료 공급부(12)에 의해 수용되거나, 재료 공급부(12) 내에 한정된 저장소에 직접 충전되거나, 또는 도포기 시스템으로부터 이격된 외부 공급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재료 공급부(12)로 펌핑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재료는 다른 재료가 고려될 수 있을지라도 폴리우레탄(PUR)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이다. 재료 공급부(12)는 재료 공급부(12) 내에 유지되는 동안 재료를 고온에서 용융 및/또는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재료 공급부(12)가 필요에 따라 더욱 크거나 작을 수 있을지라도, 재료 공급부(12)는 최대 300 ㎤(cc)를 홀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포기 시스템(10)은 또한 재료 공급부(12)에 유체 연결된 펌프(16)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16)는 상단 구성 요소(32a), 상단 구성 요소(32a)에 부착되고 그 아래에 위치된 중간 구성 요소(32b), 및 중간 구성 요소(32b)에 부착되고 그 아래에 위치된 바닥 구성 요소(32c)를 포함하는 본체(31)를 포함할 수 있다. 3개의 외부 구성 요소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을지라도, 펌프(16)의 본체(31)는 대안적으로 모놀리식 본체를 한정할 수 있거나, 또는 임의의 다른 수의 구성 요소를 가질 수 있다.
펌프(16)의 본체(31)는 실질적으로 중공체를 한정하여서, 상부 챔버(36) 및 하부 챔버(38)는 본체(31) 내에서 한정된다. 밀봉 팩(40)은 본체(31) 내에 위치되고, 본체(31)의 내부를 상부 및 하부 챔버(36, 38)로 분할한다. 펌프(16)는 또한 본체(31) 내에 위치된 발사 핀(firing pin)(48)을 포함한다. 발사 핀(48)은 상단부(48a), 및 상단부(48a)으로부터 수직 방향(6)을 따라서 연장되는 스템(48b)을 한정한다. 상단부(48a)는 상부 챔버(36) 내에 위치되는 반면에, 스템(48b)은 상단부(48a)로부터 상부 챔버(36) 및 밀봉 팩(40)을 통해 하부 챔버(38) 내로 연장된다.
작동시에, 발사 핀(48)은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본체(31) 내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왕복 운동은 제1 및 제2 공기 경로(52a, 52b)를 통해 상부 챔버(36)로 유동하는 가압 공기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공기 경로(52a, 52b)의 각각은 커넥터(24)를 통해 펌프(16)에 연결된 밸브(20)로부터 가압 공기를 수용할 수 있다. 밸브(20)는 필요에 따라 공압 밸브, 전자 밸브 또는 다른 유형의 밸브일 수 있다. 발사 핀(48)의 상단부(48a)는 상부 챔버(36)를 제1 및 제2 부분(36a, 36b)으로 분할하고, 제1 부분(36a)은 제1 공기 경로(52a)로부터 가압 공기를 수용할 수 있고, 제2 부분(36b)은 제2 공기 경로(52b)로부터 가압 공기를 수용할 수 있다. 가압 공기가 제1 공기 경로(52a)를 통해 상부 챔버(36)의 제1 부분(36a) 내로 유동할 때, 발사 핀(48)은 수직 방향(6)을 따라서 아래로 연장 위치로 구동된다. 대조적으로, 가압 공기가 제2 공기 경로(52b)를 통해 상부 챔버(36)의 제2 부분(36b) 내로 유동할 때, 발사 핀(48)은 수직 방향(6)을 따라서 위로 후퇴 위치로 구동된다.
도 1 및 도 2에 계속하여, 펌프(16)는 본체(31)의 바닥 구성 요소(32c)의 외부 표면과 중간 구성 요소(32b)의 내부 표면 사이에 한정된 원주 방향 챔버(54)를 포함한다. 원주 방향 챔버(54)는 재료 공급부(12)에 유체 연결되어서, 원주 방향 챔버(54)는 재료 공급부(12)로부터 재료를 수용하고 재료가 원주 방향 챔버(54)를 통해 바닥 구성 요소(32c) 내에 한정된 반경 방향 구멍(56)들로 유동하도록 구성된다. 재료는 그런 다음 반경 방향 구멍(56)들을 통해 하부 챔버(38)로 유동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반경 방향 구멍(56)들은 바닥 구성 요소(32c)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등거리로 이격된 4개의 반경 방향 구멍을 포함한다. 그러나, 반경 방향 구멍(56)들은 보다 많거나 적은 구멍들뿐만 아니라 동등하지 않은 간격을 가지는 구멍들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발사 핀(48)이 후퇴 위치에 있을 때, 스템(48b)은 하부 챔버(38)의 하단부에 있는 하부 구성 요소(32c)에 의해 한정된 밸브 시트(60)로부터 이격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재료는 원주 방향 챔버(54) 및 반경 방향 구멍(56)들을 통해 하부 챔버(38) 내로 유동한다. 그런 다음, 발사 핀(48)이 연장 위치로 천이될 때, 발사 핀(48)의 스템(48b)은 밸브 시트(60)를 향하여 하부 챔버(38)를 통해 수직 방향(6)을 따라서 아래로 빠르게 이동한다. 이러한 천이 동안, 발사 핀(48)은 하부 챔버(38)의 하단부에 있는 하부 챔버(38)로부터 연장되는 출구 채널(64)을 통해 하부 챔버(38) 내의 일정량의 재료가 배출되게 한다. 출구 채널(64)은 이러한 양의 재료를 하부 챔버(38)로부터, 펌프(16)에 부착된 노즐 조립체(28, 28a)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며, 이는 다음에 더욱 논의될 것이다. 연장 위치에 있을 때, 스템(48b)의 하단부는 밸브 시트(60)와 접촉하고 그러므로 하부 챔버(38)와 출구 채널(64) 사이에 유체 밀봉을 생성하거나, 또는 밸브 시트(60)의 약간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발사 핀(48)이 수직 방향(6)을 따라서 후퇴 위치로부터 연장 위치로 천이될 때, 발사 핀(48)은 스트로크 길이로서 지칭될 수 있는 거리를 이동한다. 요구되는 스트로크 길이는 분배 작업 사이, 분배된 재료의 유형, 시간에 따른 내부 부품의 마모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 결과, 스트로크 길이는 본체(31)의 상단 구성 요소(32a)를 통해 상부 챔버(36)의 제1 부분(36a) 내로 연장되는 제한 로드(44)를 사용하여 조절될 수 있다. 발사 핀(48)이 후퇴 위치에 있을 때, 상단부(48a)가 제한 로드(44)의 하단부에 접촉하여서, 제한 로드(44)는 발사 핀(48)이 후퇴 위치에서 상방으로 얼마나 멀리 이동하는지를 제어한다. 제한 로드(44)는 상단 구성 요소(32a)에 나사 결합될 수 있어서, 상단 구성 요소(32a)에 대한 제한 로드(44)의 회전은 상부 챔버(36)의 내로 또는 이로부터 밖으로 제한 로드(44)를 더욱 이동시키고, 그러므로 후퇴 위치에서의 발사 핀(48)의 최대 상향 위치를 변경시키고, 마찬가지로 스토로크 길이를 변경시킨다.
도 3a 내지 도 8을 계속하여, 노즐 조립체(28)는 노즐 본체(29)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본체(29)는 상부 플랜지(100), 상부 플랜지(100)로부터 연장되는 아암(104), 및 상부 플랜지(100) 반대편의 아암(104)에 부착된 노즐 헤드(108)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플랜지(100)는 그 상부 표면(100a) 상의 입구 포트(110)뿐만 아니라 상부 플랜지(100)를 통해 연장되는 2개의 보어(1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포기 시스템(10)이 완전히 조립될 때, 상부 표면(100a)은 펌프(16)와 접촉하고, 입구 포트(110)는 펌프(16)의 출구 채널(64)과 유체 연통하여서, 노즐 조립체(28)는 입구 포트(110)를 통해 펌프(16)로부터 재료를 수용한다. 보어(112)들은 상부 플랜지(100)를 펌프(16)에 고정하도록 볼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부 플랜지(100)는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적은 보어(112)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대안적으로, 노즐 조립체(28)는 스냅 끼워맞춤 결합, 도브테일 슬롯을 통한 결합, 클램핑 등과 같은 대안적인 수단을 통해 펌프(16)에 부착될 수 있다.
아암(104)은 수직 방향(6)으로부터 각도적으로 오프셋된 방향을 따라서 상부 플랜지(100)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아암(104)과 상부 플랜지(100) 사이의 하나의 특정 각도 배향이 도시되어 있을지라도, 다른 실시예에서, 아암(104)은 수직 방향(6)을 따라서 또는 수직 방향(6)으로부터 다른 각도적으로 오프셋으로 상부 플랜지(100)로부터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노즐 헤드(108)는 아암(104)으로부터 멀어지게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고, 재료가 통과하여 기재 상으로 분배되는 노즐 조립체(28)의 부분을 한정한다. 노즐 조립체(28)는 배플 플레이트(101), 및 노즐 헤드(108)에 부착된 커버 플레이트(1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것은 다음에 더욱 논의될 것이다. 노즐 본체(29)는 모놀리식일 수 있고, 주조, 사출 성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노즐 헤드(108)는 상부 표면(108a), 수직 방향(6)을 따라서 상부 표면(108a) 반대편에 있는 하부 표면(108b), 제1 측부 표면(108c), 및 측 방향(4)을 따라서 제1 측부 표면(108c) 반대편에 있는 제2 측부 표면(108d), 전방 표면(108e), 및 길이 방향(2)을 따라서 전방 표면(108e) 반대편에 있는 후방 표면(108f)을 가질 수 있다. 작동시에, 표면(108a-108f)들의 각각은 대체로 "측부 표면"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표면(108a-108f)들의 도시된 구성으로 인하여, 노즐 헤드(108)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프리즘으로서 형상화될 수 있다. 아암(104)은 입구 포트(110)로부터 노즐 헤드(108)를 통해 연장되는 이송 통로(120)까지 아암(104)을 통해 내부로 연장되는 통로(116)를 포함한다. 통로(116)의 단부에서, 노즐 헤드(108)는 또한 통로(116)로부터 제2 측부 표면(108d)으로 연장되는 플러시 보어(flush bore)(12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시 보어(122)는 도포기 시스템(10)이 작동하지 않는 기간 동안 세정 또는 세척을 위해 사용자가 노즐 본체(29)의 내부 통로에 대해 접근하는 것을 허용한다. 노즐 조립체(28)가 완전히 조립될 때, 플러그(164)는 작동 중에 플러시 보어(122)를 밀봉하기 위해 플러시 보어(122)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플러그(164)가 플러시 보어(122)를 밀봉하기 위해 노즐 헤드(108)를 나사 결합할 수 있을지라도, 플러그(164)가 다른 수단을 통해 노즐 헤드(108)와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통로(116)로부터 제2 측부 표면(108d)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을지라도, 플러시 보어(122)는 대안적으로 필요에 따라 통로(116)로부터 표면(108a-108f)들 중 임의의 것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a를 참조하면, 노즐 헤드(108)는 또한 전방 표면(108e)으로부터 노즐 헤드(108) 내로 연장되는 노즐 오목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오목부(132)는 내부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표면(130a), 전방 표면(108e)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되는, 상부 표면(130a) 반대편에 있는 하부 표면(130b), 전방 표면(108e)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되고 상부 표면(130a)으로부터 하부 표면(130b)으로 연장되는 제1 측부 표면(130c), 및 전방 표면(108e)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되는 전방 표면(108e) 반대편에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 표면(130a)으로부터 하부 표면(130b)으로 연장되는 제2 측부 표면(130d)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배플 플레이트(101)는 상부 표면(101a), 수직 방향(6)을 따라서 상부 표면(101a) 반대편에 있는 하부 표면(101b), 제1 측부 표면(101c), 측 방향(4)을 따라서 제1 측부 표면(101c) 반대편에 있는 제2 측부 표면(101d), 전방 표면(101e), 및 길이 방향(2)을 따라서 전방 표면(101e) 반대편에 있는 후방 표면(101f)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플 플레이트(101)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노즐 오목부(132)는 노즐 오목부(132)의 형상과 배플 플레이트(101)의 형상이 대체로 서로 일치하도록 배플 플레이트(101)를 수용하기 위해 크기화될 수 있다. 배플 플레이트(101)는 노즐 오목부(132) 내에서 배플 플레이트(101)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노즐 헤드(108) 내에 적절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배플 플레이트(101)가 완전히 노즐 오목부(132) 내에 있을 때, 배플 플레이트(101)의 전방 표면(101e)은 다른 구성이 예상될 수 있을지라도 노즐 헤드(108)의 전방 표면(108e)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다. 노즐 오목부(132) 내에 배플 플레이트(101)를 고정하는 것을 돕도록, 임의의 상부, 하부, 제1 측부, 또는 제2 측부 표면(130a-130d)들은 배플 플레이트(101)와 결합되기 위해 증가된 거침 또는 질감을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배플 플레이트(101)의 상부, 하부, 제1 표면 또는 제2 측부 표면(101a-101d)들은 노즐 오목부(132)를 한정하는 표면(130a-130d)들과 결합되기 위해 증가된 거침 또는 질감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을지라도, 노즐 조립체(28)가 노즐 헤드(108)와 배플 플레이트(101) 사이의 유체 밀봉을 제공하는 밀봉 요소를 배플 플레이트(101) 주위에서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배플 플레이트(101)는 또한 상부 표면(101a)으로부터 배플 플레이트(101) 내로 뿐만 아니라 전방 표면(101e)으로부터 후방 표면(101f)으로 연장되는 컷아웃(144)을 포함할 수 있다. 컷아웃(144)은 수직 방향(6)을 따라서 상부 표면(101a)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제1 컷아웃 표면(101i), 수직 방향(6)을 따라서 상부 표면(101a)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제2 컷아웃 표면(101h), 및 제1 컷아웃 표면(101i)으로부터 제2 컷아웃 표면(101h)까지 연장되는 제3 컷아웃 표면(101g)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컷아웃(144)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컷아웃 표면(101g)은 상부 표면(101a)과 하부 표면(101b)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되고, 하부 표면(101b)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그러나, 제3 컷아웃 표면(101g)의 다른 구성이 고려된다. 한 실시예에서, 제3 컷아웃 표면(101g)은 전방 또는 후방 표면(101e, 101f)들 중 하나를 향하거나 또는 이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컷아웃(144)은 직사각형이 아닐 수 있고, 다른 형상을 한정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1, 제2 및 제3 컷아웃 표면(101g, 101h, 101i)들은 대안적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배플 플레이트(101)는 스탬핑, 주조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노즐 헤드(108)와 함께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제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커버 플레이트(102)는 노즐 오목부(132) 내에 배플 플레이트(101)를 고정하도록 노즐 헤드(108)에 부착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02)는 상부 표면(102a), 수직 방향(6)을 따라서 상부 표면(102a) 반대편에 있는 하부 표면(102b), 제1 측부 표면(101c), 측 방향(4)을 따라서 측 방향(4) 반대편에 있는 제2 측부 표면(101d), 전방 표면(101e), 및 길이 방향(2)을 따라서 전방 표면(101e) 반대편에 있는 제2 측부 표면(101d)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커버 플레이트(102)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02)는 하부 표면(102b)으로부터 수직 방향(6)을 따라서 뿐만 아니라 후방 표면(102f)으로부터 전방 표면(102e)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15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56)는 전방 표면(102e)을 향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방 표면(102e)으로 완전히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56)가 제1 및 제2 측부 표면(102c, 102d)들 중 하나 또는 모두로 연장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될지라도, 연장부(156)는 제1 및 제2 측부 표면(102c, 102d)들로부터 이격된다. 추가적으로, 커버 플레이트(102)는 후방 표면(102f)으로부터 커버 플레이트(102) 내로 연장되는 오목부(148)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02)는, 측 방향(4) 및 수직 방향(6)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고 전방 및 후방 표면(102e, 102f)들 사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내부 오목 표면(102j)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02)들은 후방 표면(102f)으로부터 내부 오목 표면(102j)으로 연장되는 제1 오목 표면(102g), 후방 표면(102f)으로부터 내부 오목 표면(102j)으로 연장되는, 제1 오목 표면(102g) 반대편에 있는 제3 오목 표면(102i), 및 후방 표면(102f)으로부터 내부 오목 표면(102j)으로뿐만 아니라 제1 오목 표면(102g)으로부터 제3 오목 표면(102i)으로 연장되는 제2 오목 표면(102h)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제3 및 내부 오목 표면(102g-102j)들은 오목부(148)를 한정한다. 커버 플레이트(102)를 노즐 헤드(108)에 부착하도록, 보어(152)들은 노즐 헤드(108)에 한정된 대응하는 보어(109)들과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나사(160)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커버 플레이트(102)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스냅 끼워맞춤 결합, 클램핑, 슬롯 및 홈 결합 등과 같은 커버 플레이트(102)와 노즐 헤드(108)를 결합하는 다른 수단이 고려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송 통로(120)는 측 방향(4)을 따라서 노즐 헤드(108)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이송 통로(120)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형상으로 도시되었을지라도, 이송 통로(120)는 필요에 따라 다른 형상을 한정할 수 있다. 노즐 헤드(108)는 이송 통로(120)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캐비티(124)를 추가로 한정할 수 있다. 유체 캐비티(124)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일 수 있고, 상부 표면(123a), 수직 방향(6)을 따라서 상부 표면(123a) 반대편에 있는 하부 표면(123b), 제1 측부 표면(123c), 측 방향(4)을 따라서제1 측부 표면(123c) 반대편에 있는 제2 측부 표면(123d), 및 후방 표면(123e)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유체 캐비티(124)는 노즐 오목부(132)에 대해 특정 위치를 가지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체 캐비티(124)의 상부 표면(123a)은 노즐 오목부(132)의 상부 표면(130a)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으며, 유체 캐비티(124)의 하부 표면(123b)은 노즐 오목부(132)의 하부 표면(130b) 위에 위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노즐 오목부(132)의 제1 및 제2 측부 표면(130c, 130d)들은 유체 캐비티(124)의 제1 및 제2 측부 표면(123c, 123d)들에 대해 측 방향으로 이격된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표면은 다양한 다른 상대 구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유체 캐비티(124)는 수직 방향(6)을 따라서 측정된 제1 높이(H1)를 한정할 수 있는 반면에, 노즐 오목부(132)는 수직 방향(6)을 따라서 측정된, 제1 높이(H1)보다 큰 제2 높이(H2)를 한정할 수 있다.
배플 플레이트(101)가 노즐 헤드(108)의 노즐 오목부(132) 내에 완전히 설치될 때, 배플 플레이트(101)의 후방 표면(101f)은 표면(123a-123e)들과 함께 유체 캐비티(124)를 부분적으로 한정한다. 배플 플레이트(101)의 컷아웃(144)은 상부 표면(130a)과 함께 유체 캐비티(124)의 상단부로부터 출구 통로(136)까지 연장되는 통로(128)를 한정한다. 컷아웃(144), 그러므로 출구 통로(136)는 특정 분배 작업에 적합한, 수직 방향(6)을 따라서 측정된 높이를 한정할 수 있다. 배플 플레이트(101)가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특정 컷아웃(144) 높이를 가지는 복수의 배플 플레이트(101)로부터 배플 플레이트(101)를 선택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02)가 노즐 오목부(132) 내에 배플 플레이트(101)를 고정하도록 커버 플레이트(102)가 노즐 헤드(108)에 고정될 때, 출구 통로(136)는 배플 플레이트(101)와 커버 플레이트(102) 사이에 한정될 수 있고, 출구 통로(136)는 통로(128), 그러므로 배플 플레이트(101)의 컷아웃(144)을 통해 유체 캐비티(124)에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출구 통로(136)는 길이 방향(2)을 따라서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지만, 측 방향(4)을 따라서 비교적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출구 통로(136)는 커버 플레이트(102)의 오목부(148)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될 수 있다. 출구 통로(136)는 통로(128)로부터 출구(140)까지 수직 방향(6)을 따라서 연장되며, 출구는 노즐 조립체(28)의 하단부에 한정되며, 재료는 출구를 통해 노즐 조립체(28)로부터 기재 상으로 분배된다. 출구(140)는 커버 플레이트(102)와 노즐 헤드(108) 사이에 한정된 좁은 슬롯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출구(140)는 필요에 따라 대안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출구(140)에 인접하여, 커버 플레이트(102)의 연장부(156)는 수직 방향(6)을 따라서 아래로 연장된다. 유사하게, 노즐 헤드(108)는 출구(140)에 인접한 수직 방향(6)을 따라서 노즐 헤드(108)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연장부(111)를 한정할 수 있다. 연장부(111)와 연장부(156)가 다르게 형상화될 수 있을지라도, 연장부(111)는 측 방향(4)을 따라서 연장부(156)와 유사한 폭을 한정할 수 있다. 연장부(111, 156)들의 기능은 다음에 더욱 논의될 것이다.
작동시에, 입구 포트(110)는 펌프(16)로부터 분배된 일정량의 재료를 수용한다. 재료는 그런 다음 입구 포트(110), 아암(104) 내에 형성된 통로(116)를 통해 이송 통로(120) 내로 유동한다. 이송 통로(120)로부터, 재료는 배플 플레이트(101)와 노즐 헤드(108)의 본체 사이에 형성된 유체 캐비티(124) 내로 유동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재료가 컷아웃(144)의 제3 컷아웃 표면(101g) 위의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재료는 유체 캐비티(124)를 채우기 시작한다. 이 시점에서, 재료는 컷아웃(144)과 노즐 헤드(108)에 의해 형성된 통로(128)를 통해 노즐 헤드(108)와 커버 플레이트(102) 사이에 형성된 출구 통로(136) 내로 유동한다. 그런 다음, 재료는 커버 플레이트(102)의 오목부(148)를 포함하는 출구 통로(136) 및 출구(140)를 통해 기재 상으로 아래로 유동한다. 노즐 헤드(108)의 다양한 통로를 통한 재료의 유동은 도 6에 두꺼운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노즐 헤드(108) 및 커버 플레이트(102)의 연장부(111, 156)들은 도포 공정 동안 스크레이핑 립(scraping lip)들로서 각각 기능한다. 다시 말해서, 연장부(111, 156)들은 재료를 기재에 보다 정확하게 도포하도록 도포 공정 동안 재료가 도포되는 기재를 가압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노즐 조립체(28)와 함께 사용 가능한 배플 플레이트(103)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배플 플레이트(103)는 상부 표면(103a), 수직 방향(6)을 따라서 상부 표면(103a) 반대편에 있는 하부 표면(103b), 제1 측부 표면(103c), 측 방향(4)을 따라서 제1 측부 표면(103c) 반대편에 있는 제2 측부 표면(103d), 전방 표면(103e), 및 길이 방향(2)을 따라서 전방 표면(103e) 반대편에 있는 후방 표면(103f)을 가질 수 있다. 배플 플레이트(101)와 달리, 배플 플레이트(103)는 컷아웃을 포함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배플 플레이트(103)는 수직 방향(6)을 따라서 측정된, 노즐 오목부(132)의 높이(H2)보다 작은 높이(H3)를 한정한다. 이와 같이, 배플 플레이트(103)를 포함하는 노즐 조립체(28)의 실시예에서, 통로는 유체 캐비티(124)로부터 배플 플레이트(103)의 상부 표면(103a)과 노즐 오목부(132)의 상부 표면(130a) 사이의 출구 통로(136)로 연장되는 것으로 한정된다.
이제 도 9a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즐 조립체(28a)의 다른 실시예가 논의될 것이다. 노즐 조립체(28)와 같이, 노즐 조립체(28a)는 도포기 시스템(10)의 펌프(16)에 부착될 수 있다. 노즐 조립체(28a)는 노즐 조립체(28)와 많은 유사한 구성 요소 및 특징을 가지며,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노즐 조립체(28a)는 펌프(16)에 부착되어 펌프로부터 재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직 부분(200), 수직 부분(200)으로부터 연장되는 아암(204), 및 수직 부분(200)의 반대쪽 아암(204)에 부착된 노즐 헤드(208)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부분(200)은 펌프(16)로부터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입구 포트(210)를 포함한다. 입구 포트(210)는 수직 부분(200)과 아암(204)을 통해 노즐 헤드(208)로 연장되는 통로(216)에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플러그(244)는 통로(216)를 세정 및 세척하기 위해 비작동 기간 동안 사용될 수 있는 통로(216)로의 개구를 밀봉하기 위해 수직 부분(200)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암(204)은 통로(216)를 통한 재료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통로(216)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체크 밸브(207)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크 밸브(207)는 노즐 헤드(208)로부터 상류의 통로(216)와 유체 연통한다. 체크 밸브(207)는 강제 볼(250), 스프링(254) 및 너트(258)를 포함할 수 있다. 체크 밸브(207)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초기 압력은 너트(258)의 회전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체크 밸브 디자인이 도시되어 있을지라도, 체크 밸브(207)는 이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체크 밸브(207)는 재료가 임계 압력 이상에서 유동할 때 재료가 통로(216)를 통해 노즐 헤드(208)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재료가 임계 압력 아래에서 유동할 때 통로(216)를 통해 노즐 헤드(208)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체크 밸브(207)는 재료가 노즐 헤드(208)로부터 통로(216)를 통해 다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체크 밸브(207)는 초기 폐쇄 상태로 유지될 수 있지만, 필요한 압력을 가지는 재료 유동을 통로(216)로부터 수용할 때만 개방된다.
체크 밸브(207)를 통해 유동한 후에, 재료는 노즐 헤드(208)를 통해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송 통로(220) 내로 유동할 수 있다. 플러그(262, 266)들은 아암(204) 및 노즐 헤드(208)와 결합되어, 통로(216)와 이송 통로(220)에 대한 접근 개구를 밀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접근 개구들은 통로(216)와 이송 통로(220)를 세정 및 세척하기 위해 비작동 기간 동안 사용될 수 있다. 재료는 이송 통로(220)를 통해 유동한 후에 복수의 측 방향으로 정렬된 채널(224)을 통해 배플 플레이트(201) 및 노즐 헤드(208)에 의해 한정된 유체 캐비티(228)로 유동할 수 있다. 각각의 채널(224)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고, 다른 구성이 예상될지라도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2)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6개의 채널(224)이 도시되어 있을지라도, 노즐 헤드(208)는 필요에 따라 6개 이하의 채널(224)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캐비티(228)는 노즐 헤드(208) 및 배플 플레이트(201)의 각각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된다. 배플 플레이트(201)는 유체 캐비티(228) 내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230)가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2)을 따라서 연장되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을지라도, 플랜지(230)는 대안적으로 수직 방향(6)을 따라서 경사지거나 감소될 수 있다.
재료는 유체 캐비티(228) 내로 유동한 후에 유체 캐비티(228)로 유입되는 재료의 압력 하에서 유체 캐비티(228)를 통해, 배플 플레이트(201)에 의해 형성된 통로(232)를 통해 출구 통로(234)로 위로 유동할 수 있다. 통로(232)는 배플 플레이트(201)를 통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배플 플레이트(201)의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되어서, 통로(232)는 배플 플레이트(201)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재료는 그런 다음 출구 통로(234)를 통해, 커버 플레이트(202)와 배플 플레이트(201) 사이에 한정된 출구(240)를 통해 기재 상으로 유동한다. 커버 플레이트(202)는 나사(248)들을 사용하여 노즐 헤드(208)에 고정될 수 있으며, 나사들은 커버 플레이트(202), 배플 플레이트(201)를 통해 연장되어 노즐 헤드(208)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커버 플레이트(202) 및 배플 플레이트(201)를 노즐 헤드(208)에 부착하는 다른 수단이 고려된다.
종래의 노즐 조립체들은 재료의 중력으로 인해 도포 공정 동안 과도한 재료를 빈번하게 유출시키며, 이는 도포 공정 동안 뿐만 아니라 원치않는 재료의 유동이 계속되어 도포의 종료시에 기재의 표면 상에 큰 단부, 실크 도로잉, 및 다른 분배 결함으로 이어질 수 있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노즐 조립체(28, 28a)들은 이러한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방지할 수 있다. 각각의 유체 캐비티(124, 228) 및 통로(128, 232)의 위치로 인해 노즐 헤드(108, 208)들 내에서 요구되는 재료의 상향 유동으로 인해, 재료는 도포기 시스템(10)가 재료를 분배하는 것을 중단한 후에 배플 플레이트(101, 201)들 위로 흐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도포 공정의 말기에 존재할 수 있는 큰 단부, 실크 드로잉 및 기타 결함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재료 패턴 일관성으로 이어지고, 지정된 공차를 벗어난 완제품의 결과로서 폐기되는 재료 및 기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노즐 조립체(28, 28a)의 구성 요소는 용이하게 조립, 세정 및 교체될 수 있어, 작동 및 유지 보수가 단순해진다. 또한, 노즐 헤드(108, 208) 내의 통로의 세그먼트화된 특성은 더욱 많은 양의 재료를 더욱 정확하게 분배하는 능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 개념 및 특징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조합하여 구현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고 도시될 수 있지만, 이러한 다양한 양태, 개념 및 특징은 많은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 및 이들의 하위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배제되지 않는 한, 이러한 모든 조합 및 하위 조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대안적인 재료, 구조, 구성, 방법, 회로, 디바이스 및 구성 요소,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제어 로직, 형태, 맞춤 및 기능에 대한 대안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 개념 및 특징에 관한 다양한 대안적인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설명될 수 있지만, 이러한 설명은 현재 공지되거나 나중에 개발되든지 이용 가능한 대안적인 실시예의 완성되거나 또는 완전 목록이 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이러한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명백하게 개시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본 발명의 양태, 개념 또는 특징 중 하나 이상을 추가 실시예로 용이하게 채택하고 사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부 특징, 개념 또는 양태가 본 명세서에서 바람직한 장치 또는 방법인 것으로서 설명될 수 있을지라도, 이러한 설명은 이러한 특징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요구되거나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인 또는 대표적인 값 및 범위가 포함될 수 있으며; 그러나, 이러한 값 및 범위는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명시적으로 언급된 경우에만 임계 값 또는 범위이도록 의도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양태들, 특징들 및 개념들이 본 발명의 발명적이거나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식별될 수 있지만, 이러한 식별은 배타적이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러한 것으로서 또는 본 발명의 일부로서 명시적으로 식별됨이 없이 본 명세서에서 완전히 기술된 본 발명의 양태들, 개념들, 및 특징들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 또는 관련되거나 또는 계속 출원의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예시적인 방법 또는 공정의 설명은 모든 경우에 필요한 것으로서 모든 단계를 포함하도록 제한되지 않으며, 단계들이 제시하는 순서는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요구되거나 필요한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제한된 수의 실시예를 사용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만, 이러한 특정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달리 설명되고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요소들의 정확한 배열 및 물품 및 방법의 단계의 순서는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방법의 단계들이 도면에서 일련의 도면 부호 및 블록의 진행을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방법은 필에 따라 특정 순서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23)

  1. 재료를 분배하기 위한 노즐 조립체로서,
    노즐 헤드를 포함하는 노즐로서, 상기 노즐 헤드는 본체를 가지며, 상기 본체는 측부 표면 및 상기 측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본체 내로 연장되는 노즐 오목부를 포함하는, 상기 노즐;
    수직 방향으로부터 각도 오프셋된 방향을 따라 아래로 연장되는 아암으로서, 상기 노즐 헤드는 상부 플랜지의 반대편에서 상기 아암에 부착되는, 상기 아암;
    배플 플레이트로서, 상기 배플 플레이트는 상기 배플 플레이트를 통해 연장되는 컷아웃을 포함하고, 상기 배플 플레이트는 상기 노즐 오목부에 수용되어,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배플 플레이트가 캐비티를 한정하는, 상기 배플 플레이트; 및
    상기 노즐 헤드에 부착된 커버 플레이트로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노즐 오목부 내에 상기 배플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플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출구 통로가 한정되며, 상기 출구 통로는 상기 배플 플레이트의 컷아웃을 통해 상기 캐비티와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노즐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 플레이트는 상부 표면,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표면 반대편에 있는 하부 표면, 전방 표면, 및 상기 수직 방향에 직각인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전방 표면 반대편에 있는 후방 표면을 가지며,
    상기 컷아웃은 1) 상기 상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배플 플레이트 내로, 및 2) 상기 전방 표면으로부터 상기 후방 표면으로 연장되는, 노즐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 플레이트의 전방 표면은 상기 배플 플레이트가 상기 노즐 오목부에 수용될 때 상기 노즐 헤드의 측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는, 노즐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 플레이트는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및 제2 컷아웃 표면들, 및 상기 제1 컷아웃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2 컷아웃 표면으로 연장되는 제3 컷아웃 표면을 가져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컷아웃 표면들은 상기 컷아웃을 한정하는, 노즐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컷아웃 표면은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및 하부 표면들 사이에 위치되는, 노즐 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컷아웃 표면은 상기 하부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노즐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입구를 갖는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상부 플랜지로부터 상기 노즐 헤드로 연장되는 상기 아암으로서, 상기 아암은 상기 입구 및 상기 캐비티와 유체 연통하는 통로를 한정하는, 상기 아암;을 추가로 포함하는, 노즐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통로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체크 밸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노즐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전방 표면,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전방 표면 반대편에 있는 후방 표면, 및 상기 후방 표면으로부터 상기 커버 플레이트 내로 연장되는 출구 오목부를 한정하며,
    상기 출구 오목부는 상기 출구 통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노즐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노즐 조립체의 출구에 인접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아래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를 포함하는, 노즐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헤드는 상기 출구에 인접하여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아래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노즐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는, 노즐 조립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 플레이트는 상기 캐비티 내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노즐 조립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헤드는 상기 노즐 헤드에 의해 한정된 이송 통로로부터 상기 캐비티로 연장되는 복수의 측 방향으로 정렬된 채널들을 포함하는, 노즐 조립체.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 플레이트는 상부 표면,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표면 반대편에 있는 하부 표면, 전방 표면, 및 상기 수직 방향에 직각인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전방 표면 반대편에 있는 후방 표면을 가지며,
    상기 컷아웃은 상기 상부 및 하부 표면들 사이에서 상기 전방 표면으로부터 상기 후방 표면으로 연장되는, 노즐 조립체.
  16. 기재에 재료를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 시스템으로서,
    상기 재료를 저장 및 가열하기 위한 재료 공급부;
    상기 재료 공급부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펌프;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및
    상기 펌프로부터 상기 재료를 수용하고 상기 기재 상으로 상기 재료를 분배하도록 구성된 노즐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 조립체는,
    노즐 헤드를 포함하는 노즐;
    수직 방향으로부터 각도 오프셋된 방향을 따라 아래로 연장되는 아암으로서, 상기 노즐 헤드는 상부 플랜지의 반대편에서 상기 아암에 부착되는, 상기 아암;
    배플 플레이트를 통해 연장되는 컷아웃을 포함하는 배플 플레이트로서, 상기 배플 플레이트는 노즐 오목부에 수용되어, 상기 노즐 헤드 및 상기 배플 플레이트가 캐비티를 한정하는, 상기 배플 플레이트; 및
    상기 노즐 헤드에 부착된 커버 플레이트로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노즐 오목부 내에 상기 배플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플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출구 통로가 한정되며, 상기 출구 통로는 상기 배플 플레이트의 컷아웃을 통해 상기 캐비티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도포기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 플레이트는 상부 표면,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표면 반대편에 있는 하부 표면, 전방 표면, 및 상기 수직 방향에 직각인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전방 표면 반대편에 있는 후방 표면을 가지며,
    상기 컷아웃은 1) 상기 상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배플 플레이트 내로, 및 2) 상기 전방 표면으로부터 상기 후방 표면으로 연장되는, 도포기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펌프에 연결되고 상기 펌프로부터 상기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입구를 갖는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상부 플랜지로부터 상기 노즐 헤드로 연장되는 상기 아암으로서, 상기 아암은 상기 입구 및 상기 캐비티와 유체 연통하는 통로를 한정하는, 상기 아암;을 추가로 포함하는, 도포기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전방 표면,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전방 표면 반대편에 있는 후방 표면, 및 상기 후방 표면으로부터 상기 커버 플레이트 내로 연장되는 출구 오목부를 한정하며,
    상기 출구 오목부는 상기 출구 통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도포기 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공압 밸브인, 도포기 시스템.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밸브 시트 및 발사 핀을 포함하며, 상기 발사 핀은 1) 상기 발사 핀이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된 후퇴 위치와, 2) 상기 발사 핀이 상기 밸브 시트와 접촉하는 연장 위치 사이에서 천이하며,
    상기 후퇴 위치로부터 상기 연장 위치로 상기 발사 핀을 천이시키는 것은 일정량의 상기 재료를 상기 노즐 조립체로 펌핑하는, 도포기 시스템.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는 수직 방향을 따라 측정된 제1 높이를 가지며,
    상기 노즐 오목부는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측정된 제2 높이를 가지되 상기 제2 높이는 상기 제1 높이보다 큰, 노즐 조립체.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는 수직 방향을 따라 측정된 제1 높이를 가지며,
    상기 노즐 오목부는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측정된 제2 높이를 가지되 상기 제2 높이는 상기 제1 높이보다 큰, 도포기 시스템.
KR1020197036483A 2017-05-12 2018-05-09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도포기 시스템 KR1025591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334374.0A CN108855657B (zh) 2017-05-12 2017-05-12 喷嘴和包括它的涂胶系统
CN201710334374.0 2017-05-12
PCT/US2018/031728 WO2018208876A1 (en) 2017-05-12 2018-05-09 Nozzle and applicator system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006A KR20200007006A (ko) 2020-01-21
KR102559123B1 true KR102559123B1 (ko) 2023-07-26

Family

ID=62245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6483A KR102559123B1 (ko) 2017-05-12 2018-05-09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도포기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724266B2 (ko)
EP (1) EP3621748A1 (ko)
JP (1) JP7191855B2 (ko)
KR (1) KR102559123B1 (ko)
CN (1) CN108855657B (ko)
WO (1) WO20182088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83697A1 (en) * 2018-11-21 2021-09-29 Nordson Corporation Adhesive dispenser with slotted nozzle assembly
CN215695356U (zh) * 2021-04-16 2022-02-01 诺信公司 喷头组件、分配系统、电极片材条带以及电极
CN114884292B (zh) * 2022-07-07 2022-11-01 宁波震裕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机粘胶铁芯制造装置及其制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5503A (ja) * 2005-11-04 2007-05-24 Inoue Kinzoku Kogyo Co Ltd ダイ塗工装置
KR100806845B1 (ko) * 2007-06-11 2008-02-22 주식회사 케이씨텍 기판처리용 약액 도포 노즐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3972A (en) * 1965-10-23 1967-02-14 Sels Peter J Van Loben Dispenser mounting assembly
DE3019280A1 (de) * 1980-05-21 1981-12-03 Röhm GmbH, 6100 Darmstadt Breitschlitzextrusionsduese mit verstellbarem betriebspunkt
US4411614A (en) * 1982-02-18 1983-10-25 E. I. Du Pont De Nemours & Co. Removable contoured insert for an extrusion die
DE3522320A1 (de) 1985-06-21 1987-01-02 Vepa Ag Vorrichtung zum aufbringen eines fluessigkeitsfilmes grosser breite auf eine warenbahn
US4901095A (en) * 1988-11-10 1990-02-13 Markem Corporation Ink jet printing apparatus with adjustable print head
US5266019A (en) * 1990-10-31 1993-11-30 Farber Claude W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a flowable material to a surface for forming molding thereon
US5320679A (en) * 1993-07-28 1994-06-14 Eastman Kodak Company Coating hopper with criss-cross flow circuit
US5329964A (en) * 1993-09-09 1994-07-19 Eastman Kodak Company Criss-cross hopper including non-contacting inserts
US5478224A (en) * 1994-02-04 1995-12-26 Illinois Tool Works Inc. Apparatus for depositing a material on a substrate and an applicator head therefor
US5525376A (en) * 1995-02-02 1996-06-1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ultiple layer coating method
US6540831B1 (en) * 1998-04-17 2003-04-01 Nords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controlled pattern of fibrous material to a moving substrate
JP2001029861A (ja) 1999-07-21 2001-02-06 Dainippon Printing Co Ltd ダイヘッド
US6352424B1 (en) * 1999-12-30 2002-03-05 Extrusion Dies, Inc. Extrusion die membrane assembly
WO2005005054A1 (en) * 2003-07-04 2005-01-20 Incro Limited Nozzle arrangements
JP4752492B2 (ja) 2005-12-22 2011-08-17 凸版印刷株式会社 ダイ塗工ヘッド
DE202006014743U1 (de) * 2006-09-22 2006-11-23 Nordson Corporation, Westlake Vorrichtung zum Auftragen von Fluiden wie Klebstoff, insbesondere Schmelzkleber
JP4830754B2 (ja) 2006-09-25 2011-12-07 凸版印刷株式会社 塗布装置および塗膜の形成方法
CN201008812Y (zh) * 2007-02-15 2008-01-23 深圳市宜极邦机电设备有限公司 喷射式点胶阀
US8123511B2 (en) * 2007-05-03 2012-02-28 Cloeren Incorporated Decoupled transverse flow metering gap and lip gap
US7871058B2 (en) * 2007-07-25 2011-01-18 Illinois Tool Works Inc. Dual inline solenoid-actuated hot melt adhesive dispensing valve assembly
JP2009148716A (ja) 2007-12-21 2009-07-09 Chugai Ro Co Ltd 塗装装置
US8171973B2 (en) * 2008-01-29 2012-05-08 Nordson Corporation Nozzle and rel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molten thermoplastic material
CN102947011B (zh) 2010-06-15 2015-01-28 3M创新有限公司 带有多个分配针的分配歧管
US20120031327A1 (en) * 2010-08-04 2012-02-09 Love Iii Franklin S Apparatus for controlled application of liquid streams to a substrate with diverted liquid collection system
JP2012179502A (ja) * 2011-02-28 2012-09-20 Nordson Corp スロットノズル組立体及びシム板
TWI496625B (zh) * 2012-06-29 2015-08-21 Univ Nat Taiwan 塗佈模組
JP2015020089A (ja) 2013-07-16 2015-02-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塗工装置及び塗工ヘッド
CN203540805U (zh) * 2013-10-31 2014-04-16 刘飞 一种带冷却功能的气动式喷射阀
CN203540815U (zh) * 2013-10-31 2014-04-16 刘飞 一种气动式喷射阀
CN104526971A (zh) * 2014-12-08 2015-04-22 浙江工商职业技术学院 一种带保压功能的热流道喷嘴
US10090453B2 (en) 2015-05-22 2018-10-02 Nordson Corporation Piezoelectric jetting system and method
JP6285510B2 (ja) 2016-08-08 2018-02-28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材料の吐出装置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5503A (ja) * 2005-11-04 2007-05-24 Inoue Kinzoku Kogyo Co Ltd ダイ塗工装置
KR100806845B1 (ko) * 2007-06-11 2008-02-22 주식회사 케이씨텍 기판처리용 약액 도포 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97958A1 (en) 2020-06-25
CN108855657B (zh) 2021-08-13
JP2020519443A (ja) 2020-07-02
US20230321672A1 (en) 2023-10-12
US11724266B2 (en) 2023-08-15
CN108855657A (zh) 2018-11-23
WO2018208876A1 (en) 2018-11-15
EP3621748A1 (en) 2020-03-18
KR20200007006A (ko) 2020-01-21
JP7191855B2 (ja) 202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9123B1 (ko)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도포기 시스템
TWI573627B (zh) Liquid dispensing device and coating device
WO2013046156A1 (en) Fluid dispensing system
JP2016163883A (ja) 可変出力吐出アプリケーター及び関連する吐出方法
TWI629110B (zh) Liquid material discharge device and method
KR102228891B1 (ko) 도징 시스템, 도징 방법, 및 제조 방법
CN110935592A (zh) 点胶装置及具有它的点胶设备
KR20070111486A (ko) 점성 액체 분사 시스템, 밸브 및 방법
KR20130022184A (ko) 스퀴즈장치
US7510103B2 (en) Device for delivering fixed quantity of liquid
US20220008951A1 (en) Adhesive dispenser with slotted nozzle assembly
KR101720121B1 (ko) 노즐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도포액 도포 장치
CN211989436U (zh) 点胶装置及具有它的点胶设备
KR101670268B1 (ko) 고정밀 액체정량토출장치
TWI807095B (zh) 用於織物接合之噴嘴及施加器系統與接合織物的方法
CN107847948A (zh) 喷嘴布置和分配头
KR102384218B1 (ko) 디스펜싱 장치
KR101672784B1 (ko) 노즐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도포액 도포 장치
KR200283595Y1 (ko) 액체 정량 토출 밸브
KR101522611B1 (ko) 기판 코터 장치
KR200410002Y1 (ko) 다이캐스팅 기기의 금형 내면에 이형제를 스프레이하는믹싱 어드바이저
KR20050092645A (ko) 정량토출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