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288B1 - 보관고 - Google Patents
보관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55288B1 KR102555288B1 KR1020160148301A KR20160148301A KR102555288B1 KR 102555288 B1 KR102555288 B1 KR 102555288B1 KR 1020160148301 A KR1020160148301 A KR 1020160148301A KR 20160148301 A KR20160148301 A KR 20160148301A KR 102555288 B1 KR102555288 B1 KR 1025552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ing member
- storage
- pressing
- panel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6544 pos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61 inert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67 intermediate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92 hot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4 remode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fixed by means of clamping a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2—Pegs, stake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5/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or agricultural purposes
- E04H5/02—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purposes, e.g. for power-plants or factor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81—Details of wal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설치 위치에 의하지 않고 외면 패널의 장착 및 제거를 행할 수 있는 보관고를 실현한다. 보관고(1)는, 복수의 지주(10)와, 인접하는 2개의 지주(10)에 걸쳐 설치되어 외벽을 형성하는 외면 패널(30)과, 지주(10)에 대하여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외부측 가압 부재(40)와 내부측 가압 부재(50)를 구비한다. 외면 패널(30)이, 인접하는 2개의 지주(10)끼리의 사이의 이격폭보다 협폭(狹幅)으로 형성되어, 외부측 가압 부재(40)와 내부측 가압 부재(50)에 의해 협지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고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공업 제품의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공정 대기 등의 사이에 원료나 중간 제품 등을 일시적으로 보관하거나, 완성품을 보관하거나 하기 위해, 보관고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보관고의 일례가, 일본 공개특허 제2003-17100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배경의 설명에 있어서 괄호 내의 부호는 참조하는 문헌의 것이다). 이 보관고는, 복수의 지주(支柱; column)[지주체(21)]와,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지주에 걸쳐 설치되어 외벽을 형성하는 외면 패널[외벽 패널(23)]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보관고에서는, 외면 패널이, 지주와 상기 지주에 장착되는 외부측 가압 부재[압력 부재(18) 및 홈 걸어맞춤 부재(19)]에 의해 협지되어, 지주의 외부측에 고정되어 있다(참조하는 문헌의 도 13 참조).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정 태양(態樣)에서는, 외면 패널의 장착 작업 및 제거 작업(installing and removal)은, 보관고의 외부로부터의 작업에 제한된다. 그러므로, 이미 설치된 보관고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는, 사후적으로 외면 패널을 제거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면, 보관고의 내부에 추가 부품을 설치하는 경우 등에, 작업성을 높이기 위해 외면 패널을 일시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사정 상 좋은 경우가 있지만, 보관고가 외부의 구조물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으면, 구조물과 보관고와의 사이에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하지 못하여, 외부측으로부터의 작업이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어 외면 패널을 제거할 수 없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설치 위치에 의하지 않고 외면 패널의 장착 및 제거를 행할 수 있는 보관고의 실현이 요구된다.
측 주위에 외벽을 가지고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고는, 일 태양으로서,
정렬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지주와,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지주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외벽을 형성하는 외면 패널과,
상기 지주에서의 외부측의 제1 대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외부측 가압 부재와,
상기 지주에서의 상기 제1 대상면에 대하여 교차하는 제2 대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부측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외면 패널이,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지주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상기 정렬 방향의 길이인 지주 사이 이격폭보다도 짧은 패널폭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 외부측 가압 부재와 상기 내부측 가압 부재에 의해 협지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외면 패널을 협지 상태로 유지하고 있는 내부측 가압 부재 및 외부측 가압 부재 중 어느 하나를 지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보관고의 내부측 및 외부측 중 어느 쪽으로부터 외면 패널을 제거할 수 있다. 반대로, 양 가압 부재의 한쪽이 지주에 장착된 상태로 외면 패널을 설치하고, 그 후, 양 가압 부재의 다른 쪽을 지주에 장착함으로써, 보관고의 내부측 및 외부측 중 어느 쪽으로부터라도 외면 패널을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보관고의 외부에 충분한 스페이스가 확보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관고의 외부측 또는 내부측으로부터, 이러한 스페이스가 충분히 확보되어 있지 않은 것과 같은 경우라도 보관고의 내부측으로부터, 외면 패널의 장착 및 제거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성의 보관고에 의하면, 설치 위치와 관계없이 외면 패널의 장착 및 제거를 행할 수 있다.
보관고의 새로운 특징과 장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記述)하는 이하의 예시적이고 비한정적인 실시형태의 설명에 따라서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보관고를 구비한 보관 설비의 측면도
도 2는 보관고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 3은 보관고의 주요부의 평면도
도 4는 보관고의 주요부의 단면도(斷面圖)
도 5는 내부측 가압 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내부측 가압 부재의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g는 내부측 가압 부재의 6면도이며, 도 7a는 정면도, 도 7b는 정면도에서의 VIIB-VIIB 단면도, 도 7c는 평면도(상면도), 도 7d는 저면도, 도 7e는 배면도, 도 7f는 좌측면도, 도 7g는 우측면도
도 8은 외부측 가압 부재의 장착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내부측 가압 부재의 장착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내부측 가압 부재의 장착 방법의 설명도
도 11은 내부측 가압 부재의 장착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내부측 가압 부재의 장착 방법의 설명도
도 13은 내부측 가압 부재의 설계 사상의 설명도
도 14는 다른 태양의 내부측 가압 부재의 사시도
도 2는 보관고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 3은 보관고의 주요부의 평면도
도 4는 보관고의 주요부의 단면도(斷面圖)
도 5는 내부측 가압 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내부측 가압 부재의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g는 내부측 가압 부재의 6면도이며, 도 7a는 정면도, 도 7b는 정면도에서의 VIIB-VIIB 단면도, 도 7c는 평면도(상면도), 도 7d는 저면도, 도 7e는 배면도, 도 7f는 좌측면도, 도 7g는 우측면도
도 8은 외부측 가압 부재의 장착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내부측 가압 부재의 장착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내부측 가압 부재의 장착 방법의 설명도
도 11은 내부측 가압 부재의 장착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내부측 가압 부재의 장착 방법의 설명도
도 13은 내부측 가압 부재의 설계 사상의 설명도
도 14는 다른 태양의 내부측 가압 부재의 사시도
보관고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물품을 수용한 용기(C)를 보관하는 보관 설비(100)에 구비되는 보관고(1)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보관고(1)는, 예를 들면, 공업 제품의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공정 대기 등의 사이에 원료나 중간 제품 등을 일시적으로 보관하거나, 완성품을 보관하거나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보관고(1)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보관고(1)의 높이 방향 H, 폭 방향 W, 및 전후 방향 D의 각각의 방향은, 상기 보관고(1)에 설치되는 랙(rack)(2)에 대하여 정대(person facing)한 상태에서의 방향으로서 정의한다. 즉, 높이 방향 H는 상하 방향에 일치하고, 폭 방향 W는 좌우 방향에 일치하고, 전후 방향 D는 안길이 방향에 일치한다. 또한, 랙(2)에 대하여 정대한 상태에서의 전후 방향 D의 안쪽을 「배면측」이라고 하고, 바로 앞쪽을 「정면측」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각 부재의 설명에 있어서 방향성에 대한 언급이 있는 경우에는, 특히 명기하여 구별하지 않는 한, 보관고(1)로서 정규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의 방향을 의도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방향을 따른」이란, 상기 방향에 평행한 상태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방향에 대하여 약간(예를 들면, 10°미만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방향이나 치수 등에 관한 용어(「직교」나 「균일」등)는, 오차(제조 상 또는 설치 상 허용될 수 있는 정도의 오차)에 의한 차이를 가지는 상태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관 설비(100)는, 물품을 수용한 용기(C)를 보관하는 보관고(1)와, 그 보관고(1)와의 사이에서 용기(C)를 반송(搬送)하는 반송부(8)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C)로서는, 예를 들면, 정면 개구식의 상자형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보관고(1)는, 바닥부(91)와, 측 주위에 설치되는 주벽부(周璧部)(92)와, 천정부(93)에 의해 외주(外周)가 덮혀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벽부(92)가 「외벽」에 상당한다. 주벽부(92)에는,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 출입구는, 적시에 작업자가 보관고(1)의 내부에 진입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출입구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보관고(1)의 통상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닫혀 있다.
반송부(8)는, 제1 반송 장치(81)와 이동 장치(82)와 제2 반송 장치(83)와 이송탑재 장치(transfer device)(87)를 주요 구성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제1 반송 장치(81)는 보관고(1)의 외부에 설치되고, 이동 장치(82)는 주벽부(92)를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제2 반송 장치(83) 및 이송탑재 장치(87)는 보관고(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반송 장치(81)는, 예를 들면, 호이스트식(hoist-type)의 반송차(搬送車; transport vehicle)이다. 제1 반송 장치(81)는, 보관 설비(100)가 설치된 시설의 천정(97)에 부설(敷設)된 가이드 레일(98)을 따라 주행한다.
제1 반송 장치(81)는, 용기(C)에 설치된 플랜지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C)를 이동 장치(82)에 대하여 반입(搬入) 및 반출(搬出)한다.
이동 장치(82)는, 예를 들면, 롤러식이나 벨트식 등의 컨베이어이다. 이동 장치(82)는, 보관고(1)의 내부와 외부와의 사이에서 용기(C)를 이동시킨다.
제2 반송 장치(83)는, 예를 들면,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이다. 제2 반송 장치(83)는, 보관고(1)의 바닥부(91)에 설치된 주행 레일(95)을 따라 주행 이동하는 주행 대차(travel carriage)(84)와, 주행 대차(84)에 세워 설치된 마스트(mast)(85)와, 이 마스트(85)에 안내되는 상태로 승강 이동하는 승강대(86)를 가진다. 승강대(86)에는, 수납부(S)와의 사이에서 용기(C)를 이송탑재(transfer)하는 이송탑재 장치(87)가 설치되어 있다. 이송탑재 장치(87)는, 용기(C)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판형의 지지체(88)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체(88)는, 수납부(S)의 내부로 돌출하는 돌출 위치와, 승강대(86) 측으로 퇴피한 퇴피 위치로 출퇴(出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송탑재 장치(87)를 구비한 제2 반송 장치(83)는, 수납부(S) 및 이동 장치(82)에 대하여, 내려놓는 처리(unloading operation) 및 들어올리는 처리(pick-up operation)를 행하고, 각각에 대한 이송탑재 작업을 행한다. 그리고, 내려놓는 처리는, 이송탑재 장치(87)에 의해 용기(C)를 받아건네는 처리(delivering operation)이며, 들어올리는 처리는, 이송탑재 장치(87)에 의해 용기(C)를 들어올려 수취하는 처리이다.
제1 반송 장치(81), 이동 장치(82), 제2 반송 장치(83), 및 이송탑재 장치(87)는, 서로 협동하여, 용기(C)를 수납부(S)에 반입하는(수납하는) 입고(入庫) 작업을 행한다. 또한, 제1 반송 장치(81), 이동 장치(82), 제2 반송 장치(83), 및 이송탑재 장치(87)는, 서로 협동하여, 용기(C)를 수납부(S)로부터 반출하는(인출하는) 출고(出庫) 작업을 행한다. 이들 동작은, 제어 장치에 의해, 보관 설비(100)의 각 부에 설치된 각종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관고(1)는, 쌍을 이루는 2개의 랙(2)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2개 1조(組)의 랙(2)은, 반송부(8)를 구성하는 제2 반송 장치(83)를 협지하여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랙(2)에 대한 전후 방향 D의 안쪽(배면측)이 보관고(1)의 외부측으로 되고, 바로 앞쪽(정면측)이 보관고(1)의 내부측으로 된다. 각각의 랙(2)은, 상하 좌우로 정렬 배치된 복수의 수납부(S)를 가지고 있고, 각각의 수납부(S)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용기(C)를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관고(1)는, 높이 방향 H를 따라 세워 설치된 복수의 지주(10)와, 지주(10)에 의해 지지되어 용기(C)를 탑재하는 탑재부(2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보관고(1)는, 상기 보관고(1)의 배면측을 덮는 외면 패널(30)과, 외면 패널(30)을 상기 외면 패널(30)보다도 배면측[보관고(1)의 외부측])으로부터 누르는 외부측 가압 부재(4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보관고(1)는, 본 실시형태에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외면 패널(30)을 상기 외면 패널(30)보다도 정면측[보관고(1)의 내부측]으로부터 누르는 내부측 가압 부재(50)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지주(10)는, 폭 방향 W를 따라 배열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지주(10)는, 폭 방향 W로 등간격(等間隔)으로 일렬로 배열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지주(10)가 배열되는 방향인 폭 방향 W이 「정렬 방향(spaced-apart direction)」에 상당한다. 지주(10)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마그네슘, 동, 강(鋼), 티탄, 니켈 등의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지주(10)로서는, 예를 들면, 이들 금속 재료를 원료로 하는 열간(熱間) 압출(押出) 성형에 의해 제조된 금속 프로파일재를 사용할 수 있다. 지주(10)는, 높이 방향 H와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단면(斷面) 형상이 직사각형을 이루는 지주 본체(11)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직사각형」이란, 직사각형, 또는 다소의 이형(異形) 부분을 가지고 있어도 전체로서는 개략적으로 직사각형으로 간주할 수 있는 형상을 의미한다[이하, 형상 등에 관하여 「상(牀; shape)」를 부여하여 사용하는 다른 표현에 관해서도 같은 취지이다].
지주(10)를 구성하는 단면 직사각형의 지주 본체(11)는, 보관고(1)의 외부측으로 되는 배면측에 배치되는 제1 대상면(11a)과, 이 제1 대상면(11a)에 대하여 교차하는 제2 대상면(11b)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주 본체(11)는, 외부측(배면측)에 배치되는 제1 대상면(11a)과, 이 제1 대상면(11a)에 대하여 각각 직교하여 양 측면측에 배치되는 2개의 제2 대상면(11b)을 포함한다. 각 제2 대상면(11b)은, 폭 방향 W에 인접하는 다른 지주(10)의 지주 본체(11)의 측면[제2 대상면(11b)]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 본체(11)에는, 제1 대상면(11a) 측(배면측)을 향해 개구되는 고정홈(13)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홈(13)은, 높이 방향 H를 따라 연속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주 본체(11)에서의 고정홈(13)의 개구측 부위에는, 고정홈(13)의 양 단부로부터 상기 고정홈(13)의 중앙부를 향해 제1 대상면(11a)을 따라 돌출하는 한 쌍의 돌출편(14)이 형성되어 있다(도 4를 참조). 이들 한 쌍의 돌출편(14)은, 돌출 선단부끼리가 일정한 간극을 두고 배치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극에 의해 고정홈(13)의 개구폭이 규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홈(13)은, 상기 고정홈(13)의 개구폭보다도 넓은 홈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지주 본체(11)의 제1 대상면(11a)에는, 폭 방향 W로 나누어져 2개의 고정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지주 본체(11)에는,제2 대상면(11b) 측(측면측)을 향해 개구되는 장착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홈(15)은, 높이 방향 H를 따라 연속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주 본체(11)에서의 장착홈(15)의 개구측 부위에는, 장착홈(15)의 양 단부로부터 상기 장착홈(15)의 중앙부를 향해 제2 대상면(11b)을 따라 돌출하는 한 쌍의 돌출편(16)이 형성되어 있다(도 4를 참조). 이들 한 쌍의 돌출편(16)은, 돌출 선단부끼리가 일정한 간극을 두고 배치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극에 의해 장착홈(15)의 개구폭 W3이 규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착홈(15)은, 상기 장착홈(15)의 개구폭 W3보다도 넓은 홈폭 W4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지주 본체(11)의 2개의 제2 대상면(11b)에는, 전후 방향 D로 나누어져 2개의 장착홈(1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전후 방향 D로 나누어진 2개의 장착홈(15)은, 주로, 지주(10)에 대하여 탑재부(20)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 부재(27)를 걸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도 2를 참조).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안쪽의 장착홈(15)은, 지주(10)에 대하여 내부측 가압 부재(50)를 장착하기 위해서도 이용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내부측 가압 부재(50)는, 탑재부(20)를 고정시키기 위해 지주(10)에 설치된 기존의 구조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지주(10) 측의 구조의 개변(改變)을 요하지 않고, 상기 지주(10)에 대하여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주(10)는, 지주 본체(11)에서의 제1 대상면(11a)과 제2 대상면(11b)과의 경계 부분에, 돌기부(17)를 가진다(도 4를 참조). 돌기부(17)는, 지주 본체(11)의 제1 대상면(11a)보다 배면측에 있어서, 제2 대상면(11b)을 넘어 폭 방향 W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17)는, 지주(10)에 대하여 탑재부(20)를 설치할 때 탑재부(20)의 전후 방향 D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로서 기능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재부(20)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지주(10)끼리의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탑재부(20)는, 전후 방향 D에서의 안쪽(배면측)과, 각 지주(10)에 대하여 캔틸레버형(cantilever manner)으로 고정되어 있다. 탑재부(20)는, 예를 들면, 금속 재료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탑재부(20)는, 탑재되는 용기(C)를 아래쪽으로부터 받아 지지하는(receive and support) 탑재 본체부(21)와, 지주(10)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장착판부(25)를 가진다.
탑재 본체부(21)는, 폭 방향 W 및 전후 방향 D를 따라 연장되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탑재 본체부(21)는, 평면에서 볼 때 5각형상의 절결부(切缺部)(21a)를 정면측에 가지고 있고, 평면에서 볼 때 U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탑재 본체부(21)의 절결부(21a)는, 이송탑재 장치(87)에 구비되는 지지체(88)가 상하로 통과하는 공간으로 된다.
탑재 본체부(21)의 상면에는, 복수(본 예에서는 3개)의 돌출핀(22)이, 위쪽을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용기(C)의 바닥면에는 홈부나 구멍부 등으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 오목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고, 돌출핀(22)과 용기(C)의 걸어맞춤 오목부가 걸어맞추어지는 상태로, 용기(C)가 탑재 본체부(21)에 위치 결정된다. 탑재 본체부(21)의 상면에는, 예를 들면, 감압 센서 등으로 이루어지는 재고 센서(도시하지 않음)도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장착판부(25)는, 높이 방향 H 및 전후 방향 D를 따라 연장되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은, 탑재부(20)의 폭 방향 W의 양 단부에 있어서, 폭 방향 W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각각 대응하는 지주(10)의 측면[제2 대상면(11b)]에 대면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장착판부(25)에는, 그 두께 방향(본 예에서는 폭 방향 W)에 관통하는 복수의 삽통공(揷通孔)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통공에 삽통(揷通)된 상태로 장착홈(15)에 걸리는 체결 부재(27)에 의해, 탑재부(20)가 지주(10)에 고정된다. 그리고, 탑재부(20)는, 장착판부(25)의 후단부가 지주 본체(11)의 돌기부(17)와 맞닿은 상태에서 전후 방향 D로 위치결정되고, 그 상태에서 지주(10)에 고정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면 패널(30)은, 보관고(1)의 내부 공간[수납부(S)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을 상기 보관고(1)의 외부측의 공간에 대하여 구획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이 외면 패널(30)은, 보관고(1)의 주벽부(92)를 구성하기 위한 패널 부재를 겸용하게 되어 있다(도 1을 참조). 외면 패널(30)은, 예를 들면, 수지 재료나 금속 재료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면 패널(30)은, 소정의 높이 치수 및 폭 치수를 가지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면 패널(30)의 폭 치수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지주(10)끼리의 사이의 이격 길이(이하, 「지주 사이 이격폭」이라고 함) W1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다. 즉, 외면 패널(30)은, 지주 사이 이격폭 W1보다도 짧은 폭 방향의 길이(이하, 「패널폭」이라고 함) W2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면 패널(30)의 패널폭 W2는, 지주 사이 이격폭 W1보다도 약간 짧게(지주 사이 이격폭 W1과 같은 정도 또한 그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지주 사이 이격폭 W1은,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지주(10)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폭 방향 W의 길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주 사이 이격폭 W1은, 인접하는 2개의 지주(10)에서의 서로 대향하는 돌기부(17)의 선단부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폭 방향 W의 길이이다. 이와 같은 폭 치수를 가지도록 형성된 외면 패널(30)은, 그 전체가,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지주(10)끼리의 사이의 폭 방향 W의 영역에 들어가도록 설치되어 있다.
종래 사양의 보관고에서는, 외면 패널(30)이, 지주 사이 이격폭 W1보다도 긴 패널폭 W2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지주(10)보다 외부측(배면측)에 설치되고, 지주(10)의 외부측만으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되어 있었다. 즉, 종래 사양에서는, 외면 패널(30)을 고정시키는 것에 지주(10)가 그 일익(一翼)을 담당하고 있었던 관계 상, 외면 패널(30)보다도 내부측(정면측)에 설치되는 지주(10)가 물리적 장해로 되지 않도록, 지주(10)의 외부측만으로부터 외면 패널(30)이 제거 가능하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관고(1)가 외부의 구조물[보관 설비(100)가 설치된 시설의 벽(99) 등]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으면, 이러한 구조에서는, 보관고(1)의 외부측에서의 작업이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어 외면 패널(30)을 제거할 수 없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보관고(1)에서는, 외부측으로부터뿐아니라, 내부측으로부터도 외면 패널(30)을 제거하거나 장착할 수 있도록, 외면 패널(30)의 신규한 장착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장착 구조는, 지주(10)에 대하여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외부측 가압 부재(40)와 내부측 가압 부재(50)를 사용하여 실현되어 있다.
외부측 가압 부재(40)는, 지주(10)에서의 제1 대상면(11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4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측 가압 부재(40)는, 지주(10)에 장착된 상태로, 내부측 가압 부재(50)와의 사이에 외면 패널(30)을 협지하여 그 외면 패널(30)을 유지한다. 본 실시형태의 외부측 가압 부재(40)는, 그것 단독으로는 지주(10)에 대한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없고, 고정 부재(44)를 사용하여 지주(10)에 고정되어 있다. 외부측 가압 부재(40)는, 예를 들면, 수지 재료나 금속 재료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부측 가압 부재(40)는, 예를 들면, 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외부측 가압 부재(40)는, 지주(10)를 따라 높이 방향 H로 연장되는 장척(長尺)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지주 본체(11)의 제1 대상면(11a)에 2개의 고정홈(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대응시켜, 1개의 지주 본체(11)에 대하여 2개의 외부측 가압 부재(40)가 설치되어 있다.
외부측 가압 부재(40)는, 지주(10)의 제1 대상면(11a)에 맞닿음 배치되는 장착 베이스부(41)와, 이 장착 베이스부(41)로부터 각각 폭 방향 W로 연장되는 가압판부(42) 및 충돌판부(43)를 포함한다. 외부측 가압 부재(40)를 구성하는 장착 베이스부(41)와 가압판부(42)와 충돌판부(43)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장착 베이스부(41)는, 고정홈(13)을 덮은 상태로 제1 대상면(11a)에 맞닿음 배치된다. 장착 베이스부(41)에는, 소정 피치(예를 들면, 150㎜∼600㎜ 피치)와 삽통공(41a)이 형성되어 있다(도 8을 참조). 이 삽통공(41a)에는, 고정 부재(44)를 구성하는 제1 부재(45)의 걸림편(45B)이 삽통된다.
가압판부(42) 및 충돌판부(43)는, 장착 베이스부(41)에 대하여 외부측(배면측)에 오프셋하여[제1 대상면(11a)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배치된다. 이 오프셋 장은, 제1 대상면(11a)으로부터의 돌기부(17) 및 고정 부재(44)의 각각의 돌출대 중 큰 쪽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 가압판부(42)는, 장착 베이스부(41)로부터, 폭 방향 W를 따라 제2 대상면(11b)을 넘어[본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돌기부(17)의 선단부를 넘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압판부(42)는, 돌기부(17)의 선단부를 넘어 연장되는 끝에지부(42a)와, 외면 패널(30)을 외부측(배면측)으로부터 유지한다. 충돌판부(43)는, 장착 베이스부(41)로부터, 폭 방향 W를 따라 가압판부(42)와는 반대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충돌판부(43)는, 같은 지주 본체(11)에 장착되는 다른 외부측 가압 부재(40)의 충돌판부(43)에 대하여, 폭 방향 W에 맞닿음 배치된다.
지주(10)에 대하여 외부측 가압 부재(4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44)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고정 부재(44)에 대한 작업자의 손가락에 의한 직접적인 수동 조작에 의해 지주(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공구없이 착탈 가능한 고정 부재(44)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로 조합시켜 사용되는 제1 부재(45)와 제2 부재(46)의 2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제1 부재(45) 및 제2 부재(46)는, 예를 들면, 수지 재료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재(45)는, 장착 베이스부(41)에 형성된 삽통공(41a)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상기 삽통공(41a)을 덮는 고정 본체부(45A)와, 그 고정 본체부(45A)로부터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걸림편(45B)을 포함한다. 걸림편(45B)의 선단부에는, 지주(10)에 형성된 돌출편(14)의 내면[고정홈(13)의 안쪽을 향하는 면]에 걸림 가능한 걸림 클로우(locking claw)(45t)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부재(45)는, 고정 본체부(45A)의 중앙 영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본체부(45A)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45C)을 가진다.
보관고(1)의 외부에 있는 작업자가 외부측 가압 부재(40)를 지주(10)의 제1 대상면(11a)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이하의 수순으로 행할 수 있다. 먼저, 외부측(배면측)에서 볼 때 지주(10)의 고정홈(13)과 장착 베이스부(41)의 삽통공(41a)이 중첩되도록 외부측 가압 부재(40)를 배치한 상태에서, 외부측으로부터, 고정 부재(44)를 구성하는 제1 부재(45)의 걸림편(45B)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각 삽통공(41a)에 삽입한다. 삽입한 후, 걸림편(45B)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자세로 돌아오면, 제1 부재(45)는, 고정 본체부(45A)와 걸림 클로우(45t)에 의해, 이들 사이에 돌출편(14)과 장착 베이스부(41)를 끼워넣어 양자를 일체로 유지하는 상태로 된다. 그 후, 각 고정 본체부(45A)에 형성된 관통공(45C)에 외부측으로부터 제2 부재(46)를 각각 삽입하면, 걸림편(45B)의 자세가 안정화되어, 지주(10)의 제1 대상면(11a)에 외부측 가압 부재(40)가 안정적으로 장착된다.
그 후, 각 고정 부재(44)를 은폐하도록, 장착 베이스부(41)에 대한 가압판부(42) 및 충돌판부(43)의 오프셋에 의해 생기는 외부측의 오목부에, 화장(化粧) 커버(48)를 설치한다. 화장 커버(48)는, 예를 들면, 수지 재료 등으로 형성하면 된다. 가압판부(42), 화장 커버(48), 및 충돌판부(43)는, 면일치형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측 가압 부재(50)는, 지주(10)에서의 제2 대상면(11b)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4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측 가압 부재(50)는, 지주(10)에 장착된 상태로, 외부측 가압 부재(40)와의 사이에 외면 패널(30)을 협지하여 그 외면 패널(30)을 유지한다. 본 실시형태의 내부측 가압 부재(50)는, 그것 단독으로 지주(10)에 대한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내부측 가압 부재(50)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내부측 가압 부재(50)는, 예를 들면,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내부측 가압 부재(50)는 블록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내부측 가압 부재(50)가, 높이 방향 H를 따라 소정 간격(예를 들면, 300㎜∼1000㎜)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높이 방향 H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내부측 가압 부재(50)끼리의 사이의 간격은, 보관고(1)의 전체에 걸쳐 균등해도 되고, 불균등해도 된다.
내부측 가압 부재(50)는, 상기 내부측 가압 부재(50)에 대한 작업자의 손가락에 의한 직접적인 수동 조작에 의해 지주(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내부측 가압 부재(50)는, 예를 들면, 스패너 등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바꾸어 말하면 공구없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부측 가압 부재(50)는, 상기 내부측 가압 부재(50)에 대한 제2 대상면(11b)을 따르는 직접적인 회동(回動) 조작에 의해, 지주(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측 가압 부재(50)는, 블록형으로 형성된 가압 본체부(51)와, 이 가압 본체부(51)로부터 돌출된 장착부(57)를 포함한다. 내부측 가압 부재(50)를 구성하는 가압 본체부(51)와 장착부(57)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가압 본체부(51)는, 지주(10)에 장착된 상태로 외면 패널(30)에 맞닿는 원호면형의 가압면(53a)을 가진다. 그리고, 「원호면」이란, 폭 방향 W를 따라 수평 이동하는 원호의 궤적에 의해 구획되는 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가압 본체부(51)는, 서로 교차하는 상태로 일체화된 복수의 판형부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압 본체부(51)는, 서로 직교하는 상태로 일체화된, 제1 판형부(52), 제2 판형부(53), 및 제3 판형부(54)의 합계 3개의 판형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 판형부(52)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판형부(52)는, 지주(10)의 제2 대상면(11b)에 대하여 대면하는 상태로 배치되고, 기단(基端) 판형부로서 기능한다. 제2 판형부(53)는, 만곡판형(원호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판형부(53)는, 그 외측을 향하는 면이 외면 패널(30)에 맞닿는 가압면(53a)으로 되어 있고, 가압 판형부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판형부(53)는, 가압면(53a)이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판형부(53)는, 가압면(53a)의 곡률 중심 Oc와 내부측 가압 부재(50)에 대한 회동 조작의 회동 중심 Or이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13를 참조). 제3 판형부(54)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압 본체부(51)의 전체가 면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3 판형부(54)는 가압 본체부(51)의 대칭면을 따르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 판형부(54)는, 회동 조작의 회동 중심 Or(도 13를 참조)을 포함하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 판형부(54)는, 제1 판형부(52) 및 제2 판형부(53)의 양쪽에 대하여 직교함으로써, 일종의 보강용의 리브부(rib)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작업자가 회동 조작을 행할 때의 조작부(손잡이부)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압 본체부(51)가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판형부(52, 53, 54)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가압 본체부(51)에 일정한 강도를 부여하면서, 적은 재료에서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여 제조 비용(재료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수지제의 가압 본체부(51)를 사출 성형으로 제조하는 경우라도 슈링크 마크(shrink mark)가 쉽게 생기지 않아, 내부측 가압 부재(50)의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슈링크 마크 방지의 관점에서는, 가압 본체부(51)를 구성하는 제1 판형부(52), 제2 판형부(53), 및 제3 판형부(54)는, 균일한 두께를 가지고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균일한 두께」는, 두께가 완전히 같은 상태에 한정되지 않고, 두께에 다소의 (예를 들면, 평균 두께로 대하여 ±10% 이내의) 불균일이 존재하는 상태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압 본체부(51)의 제1 판형부(52)는, 지주(10)의 제2 대상면(11b)에 대향하는 면이, 완전한 평탄면은 아니고 각각 완만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제1 경사면(52a) 및 제2 경사면(52b)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 경사면(52a) 및 제2 경사면(52b)을 포함함으로써, 제1 판형부(52)는, 내부측 가압 부재(50)에 대한 회동 조작에 따라 지주(10)의 제2 대상면(11b)에 대하여 전면적으로 접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접하는 상태로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회동 조작 시의 슬라이딩 저항을 작게 억제할 수 있어, 회동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장착부(57)는, 장착홈(15)의 제2 대상면(11b) 측의 개구부[한 쌍의 돌출편(16)끼리의 사이의 간극 개구]에 삽통 가능한 삽통축부(insert shank)(58)와, 이 삽통축부(58)의 단부(端部)에 설치된 유지편부(retaining piece)(59)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착부(attachment portion)(57)는 회전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삽통축부(58)를 축으로 하는 2회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삽통축부(58)는, 내부측 가압 부재(50)에 대한 회동 조작의 회동 중심 Or로 되는 축부(軸部)이다. 삽통축부(58)는, 제1 판형부(52)로부터 제2 판형부(53) 및 제3 판형부(54)와는 반대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삽통축부(58)는, 그 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에 있어서, 하나의 대각(對角)에 위치하는 2개의 코너부가 직각의 코너부를 이루고, 또 다른 대각에 위치하는 2개의 코너부가 라운딩된 코너부를 이루는, 코너부가 라운딩한 사각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7b(도 7a의 VIIB-VIIB선 단면도)를 참조]. 직각의 코너부를 이루는 2개의 면은, 서로 다른 자세에 있어서 각각 돌출편(16)의 돌출단 측의 단면(端面)에 맞닿는 맞닿음면(58a)으로 되어 있다. 단면(斷面)의 각이 라운드진 사각형상의 삽통축부(58)는, 장착홈(15)의 제2 대상면(11b) 측의 개구부에 삽통된 상태에서, 대략 0°∼90°의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지편부(59)는, 삽통축부(58)의 가압 본체부(51)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유지편부(59)는, 긴 원형 또는 레이스트랙(racetrack) 형상을 이루는 판형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유지편부(59)의 단변폭(短邊幅) W5는, 장착홈(15)의 개구폭 W3와 같거나, 그보다도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유지편부(59)의 장변(長邊) 폭 W6은, 장착홈(15)의 홈폭 W4보다 작고, 또한 장착홈(15)의 개구폭 W3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지편부(59)는, 적어도 일방향(본 예에서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장착홈(15)의 개구폭 W3보다 광폭(廣幅)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지편부(59)는, 그 길이 방향의 연장선 상에 가압면(53a)이 위치하게 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출입구로부터 보관고(1)의 내부에 진입한 작업자가 내부측 가압 부재(50)를 지주(10)의 제2 대상면(11b)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이하의 수순으로 행할 수 있다. 먼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측 가압 부재(50)를, 유지편부(59)를 지주(10)의 제2 대상면(11b)에 대향시키면서, 유지편부(59)의 길이 방향이 높이 방향 H를 따르는 자세(삽입 자세)로 한다. 이 삽입 자세로, 장착홈(15)의 개구를 유지편부(59)를 통과시켜, 장착홈(15)의 내부에 유지편부(59)를 진입시킨다. 이 상태로부터, 예를 들면, 제3 판형부(54)를 잡고, 내부측 가압 부재(50)를 회동시킨다(도 11 및 도 12를 참조). 이 때, 삽입 자세에서는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되어 있었던 삽통축부(58)의 맞닿음면(58a)이 돌출편(16)의 돌출단 측의 단면에 맞닿기까지, 내부측 가압 부재(50)를 회동시킨다. 그러면, 제1 판형부(52)와 유지편부(59)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와의 사이에 각각 돌출편(16)이 협지된 상태로 되어(도 4를 참조), 지주(10)의 제2 대상면(11b)에 내부측 가압 부재(50)가 장착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낸 삽입 조작의 완료 직후의 내부측 가압 부재(50) 상태를, 회동 조작의 관계로 「위상 0°」의 상태라고 정의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회동 조작의 완료 후의 내부측 가압 부재(50) 상태를, 「위상 90°」의 상태라고 정의한다. 위상 90°의 상태에 있어서, 내부측 가압 부재(50)는, 원호면형의 가압면(53a)이 외부측을 향한 자세(장착 자세)로 되어 외면 패널(30)에 맞닿는다. 이 위상 90°은, 내부측 가압 부재(50)의 위상에 관하여, 외부측 가압 부재(40)와의 사이에 외면 패널(30)을 협지하기 위한 위상으로서 미리 정해진 "기준 위상(reference phase)"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c의 평면도(상면도) 및 도 7d의 저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편부(59)에서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는, 지주(10)에 대한 내부측 가압 부재(50)의 장착 시의 회동 방향의 전단측(前端側)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해 점차 두껍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유지편부(59)에서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는, 장착 시의 회동 방향의 전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제1 판형부(52)에 가까워지는 완만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면(59a)을 각각 가진다. 경사면(59a)의 구배(勾配)는, 장착 시의 회동 방향의 전단측에서의 유지편부(59)와 제1 판형부(52)와의 사이의 간격이 돌출편(16)의 두께보다도 약간 넓고, 또한 후단측에서의 간격이 돌출편(16)의 두께보다도 약간 좁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전단측에 "플레이(play)"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동 조작의 개시 시에 돌출편(16)을 유지편부(59)와 제1 판형부(52)와의 사이의 간극으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고, 회동 조작을 원활하게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위상 0°으로부터 위상 90°을 향함에 따라 돌출편(16)에 대한 유지편부(59)와 제1 판형부(52)와의 구속력(拘束力)이 점차 강하게 되므로, 지주(10)에 대하여 내부측 가압 부재(50)를 자립적(自立的) 또한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주 사이 이격폭 W1보다도 짧은 패널폭 W2를 가지는 외면 패널(30)이, 지주(10)에 대하여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외부측 가압 부재(40)와 내부측 가압 부재(50)에 의해 협지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1개의 외면 패널(30)은, 폭 방향 W의 양측의 2개의 외부측 가압 부재(40)와, 바람직하게는 외면 패널(30)의 주위 에지부를 따라 이산되어 설치되는 4개 이상의 내부측 가압 부재(50)에 의해, 협지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외면 패널(30)을 협지 상태로 유지하고 있는 외부측 가압 부재(40) 및 내부측 가압 부재(50) 중 어느 하나를 지주(10)로부터 제거함으로써, 보관고(1)의 외부측 및 내부측 중 어느 쪽으로부터라도 외면 패널(30)을 제거할 수 있다. 반대로, 양 가압 부재(40, 50)의 한쪽이 지주(10)에 장착된 상태로 외면 패널(30)을 설치하고, 그 후, 양 가압 부재(40, 50)의 다른 쪽을 지주(10)에 장착함으로써, 보관고(1)의 외부측 및 내부측 중 어느 쪽으로부터라도 외면 패널(30)을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보관고(1)가 벽(99)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어 그 외부에 충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라도, 종래 사양의 보관고와는 달리, 보관고(1)의 내부측으로부터 외면 패널(30)의 장착 및 제거를 행할 수 있다. 물론, 보관고(1)의 외부에 충분한 스페이스가 확보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관고(1)의 외부측으로부터 외면 패널(30)의 장착 및 제거를 행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도 보관고(1)의 내부측으로부터 장착 및 제거를 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보관고(1)에 의하면, 설치 위치와 관계없이 외면 패널(30)의 장착 및 제거를 행할 수 있다.
이 때, 지주(10)에 대한 내부측 가압 부재(50)의 착탈을, 상기 내부측 가압 부재(50)에 대한 작업자의 손가락에 의한 직접적인 회동 조작에 의해, 공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원터치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보관고(1)의 내부측으로부터의 외면 패널(30)의 장착 및 제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보관고(1)가 대형이 되면 될수록, 외면 패널(30)의 개수 및 사이즈 중 적어도 한쪽이 증대하고, 상기 보관고(1)에 있어서 외면 패널(30)을 유지하기 위한 일익을 담당하는 내부측 가압 부재(50)의 개수는 비약적으로 증대한다. 보관고(1)의 사이즈에 따라서는, 수천 개의 내부측 가압 부재(50)를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면, 각각의 내부측 가압 부재(50)의 착탈을 원터치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본 실시형태의 기술은, 보관 설비(100) 등의 대형 설비로 사용되는 대형의 보관고(1)에 적용하는 경우에 특히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내부측 가압 부재(50) 그 자체는, 「보관고에 구비되는 지주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동일하게 상기 지주에 장착되는 외벽 패널을 유지하기 위한 가압 부재」로서, 굿 디자인(good design)을 구비하고 있어, 디자인성도 우수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부측 가압 부재(40)의 착탈(着脫)에 관해서도, 상기 외부측 가압 부재(40)와는 별개의 고정 부재(44)에 대한 직접적인 수동 조작에 의해, 공구없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보관고(1)의 외부측으로부터의 외면 패널(30)의 장착 및 제거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측 가압 부재(50)가, 가압면(53a)이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동시에, 회동 조작의 회동 중심 Or과 가압면(53a)의 곡률 중심 Oc가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내부측 가압 부재(50)를 회동 조작할 때의 가압면(53a)의 포락면(包絡面; enveloping surface) E가, 상기 가압면(53a)에 일치한다. 그러므로, 내부측 가압 부재(50)의 위상이 기준 위상(위상 90°)에 대하여 다소의 어긋남을 가지는 경우라도, 외면 패널(30)에 대하여 가압면(53a)을 확실하게 맞닿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내부측 가압 부재(50)의 장착 자세를 반드시 엄밀하게 조정하지 않고도 외면 패널(3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보관고(1)의 내부측으로부터의 외면 패널(30)의 장착을 더 한층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점에 관해서도, 각각의 내부측 가압 부재(50)의 장착에 고정밀도의 자세 조정이 요구되지 않는 본 실시형태의 기술은, 대형의 보관고(1)에 적용하는 경우에 특히 큰 효과를 발휘한다.
예를 들면, 용기(C)에 수용되는 물품이 반도체 기판 등의 역(易)산화성(easily oxidized material) 물품인 경우에는, 수납부(S)에 수납되어 있는 용기(C)의 각각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보관고(1)에 가스 공급부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가스 공급부는, 예를 들면, 불활성 가스가 유통하는 배관류와, 상기 배관류에 설치되어 불활성 가스의 유량(流量)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가스 공급부를 이미 설치된 보관고(1)에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작업성의 관점에서, 외면 패널(30)을 일시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사정 상 좋은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보관고(1)이면, 그 외부에 충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라도, 출입구로부터 보관고(1)의 내부에 진입한 작업자가 내부측으로부터 외면 패널(30)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가스 공급부의 설치에 관한 보관고(1)의 개조(改造)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1) 상기에 있어서는, 내부측 가압 부재(50)의 가압 본체부(51)를 구성하는 제1 판형부(52), 제2 판형부(53), 및 제3 판형부(54)가, 균일한 두께를 가지고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각각의 판형부(52, 53, 54)의 두께가 서로 불균일해도 된다. 또한, 각각의 판형부(52, 53, 54)의 각각의 두께가 부위에 따라 상이하게 되어도 되고, 예를 들면, 원호면형의 가압면(53a)을 가지는 제2 판형부(53)가, 원호의 중앙부일수록 두껍게 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2) 상기에 있어서는, 내부측 가압 부재(50)의 가압 본체부(51)가, 서로 교차하는 상태로 일체화된 3개의 판형부(52, 53, 54)로 구성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가압 본체부(51)가 제1 판형부(52)와 제2 판형부(53)만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4개 이상의 판형부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가압 본체부(51)가 원호면형의 가압면(53a)을 1개의 측면에 가지는 6면체(hexahedron)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 본체부(51)가, 쪽 보디부(55)와, 이 쪽 보디부(55)의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구체부(球體部)(5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구체부(56)의 구면형(球面形)의 표면이, 내부측 가압 부재(50)가 지주(10)에 장착된 상태로 외면 패널(30)에 맞닿는 가압면(56a)으로 된다. 가압면(56a)은 비교적 큰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도 되고, 회동 조작의 회동 중심 Or과 가압면(56a)의 곡률 중심 Oc가 불일치라도 된다.
(3) 상기에 있어서는, 내부측 가압 부재(50)의 장착부(57)를 구성하는 삽통축부(58)가 단면의 각이 라운드진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삽통축부(58)가 예를 들면, 단면이 타원 형상 등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는, 삽통축부(58)에 기준 위상 부근에서의 회전 방지 기능이 구비되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는, 삽통축부(58)는, 예를 들면, 단면 원형상 등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4) 상기에 있어서는, 유지편부(59)에서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가 완만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면(59a)을 각각 가지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유지편부(59)에서의 가압 본체부(51) 측의 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유지편부(59)에서의 가압 본체부(51) 측 또한 장착 시의 회동 방향 전단측의 코너부에, 모따기(chamfered)가 행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5) 상기에 있어서는, 내부측 가압 부재(50)가, 상기 내부측 가압 부재(50)에 대한 작업자의 손가락에 의한 직접적인 회동 조작에 의해 지주(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내부측 가압 부재(50)에 대한 직접적인 슬라이딩 조작 등에 의해, 내부측 가압 부재(50)가 지주(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 조작에 의해 내부측 가압 부재(50)가 예를 들면, 전후 방향 D를 따라 수평 이동하는 경우에는, 내부측 가압 부재(50)가 가지는 가압면은 평탄면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6) 상기에 있어서는, 내부측 가압 부재(50)가 공구없이 지주(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측 가압 부재(50)가 예를 들면, L자형의 브래킷(bracket) 등으로 구성되며, 스패너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체결 부재에 의해 지주(10)에 장착되어도 된다.
(7) 상기에 있어서는, 외부측 가압 부재(40)를 지주(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44)가, 공구없이 지주(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고정 부재(44)가, 스패너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체결 부재에 의해 지주(10)에 장착되어도 된다. 또한, 고정 부재(44)는, 반드시 2부품으로 구성되지 않아도 되고, 1부품 또는 3부품 이상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8) 상기에 있어서는, 1개의 지주(10)에 대하여 2개의 외부측 가압 부재(40)가 장착되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1개의 지주(10)에 대하여 2개의 외부측 가압 부재(40)가 장착되어도 된다. 이 경우, 외부측 가압 부재(40)는, 장착 베이스부(41)와, 이 장착 베이스부(41)로부터 폭 방향 W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가압판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9) 상기에 있어서는, 지주(10)가 제2 대상면(11b)을 넘어 폭 방향 W로 돌출하는 돌기부(17)를 가지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지주(10)가 돌기부(17)를 갖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지주 사이 이격폭 W1은, 인접하는 2개의 지주(10)에서의 서로 대향하는 제2 대상면(11b)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폭 방향 W의 길이로서 규정된다.
(10) 상기에 있어서 예시한 지주(10), 탑재부(20), 외면 패널(30), 외부측 가압 부재(40), 및 내부측 가압 부재(50)의 구성 재료는, 각각 어디까지나 일례로서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각이 가지는 기능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면, 어떠한 재료로 각 부재를 구성해도 된다.
(11) 상기에 있어서는, 보관 설비(100)에 있어서 반송부(8)와 함께 사용되는 보관고(1)를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반송부(8)를 수반하지 않고 단독으로 사용되는 보관고(1)에 대해서도, 본 실시형태의 기술을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각각의 실시형태(상기한 실시형태 및 그 외의 실시형태를 포함함; 이하 마찬가지)와 개시되는 구성은,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개시되는 구성과 조합시켜 적용할 수도 있다.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에 의해서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당업자이면,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개변이 가능한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개변된 다른 실시형태도,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형태의 개요]
이하, 상기에 있어서 설명한 보관고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측 주위에 외벽을 가지고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고는, 일 태양으로서,
정렬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지주와,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지주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외벽을 형성하는 외면 패널과,
상기 지주에서의 외부측의 제1 대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외부측 가압 부재와,
상기 지주에서의 상기 제1 대상면에 대하여 교차하는 제2 대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부측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외면 패널이,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지주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상기 정렬 방향의 길이인 지주 사이 이격폭보다도 짧은 패널폭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 외부측 가압 부재와 상기 내부측 가압 부재에 의해 협지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외면 패널을 협지 상태로 유지하고 있는 내부측 가압 부재 및 외부측 가압 부재 중 어느 하나를 지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보관고의 내부측 및 외부측 중 어느 쪽으로부터라도 외면 패널을 제거할 수 있다. 반대로, 양 가압 부재의 한쪽이 지주에 장착된 상태로 외면 패널을 설치하고, 그 후, 양 가압 부재의 다른 쪽을 지주에 장착함으로써, 보관고의 내부측 및 외부측 중 어느 쪽으로부터라도 외면 패널을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보관고의 외부에 충분한 스페이스가 확보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관고의 외부측 또는 내부측으로부터, 이러한 스페이스가 충분히 확보되어 있지 않은 것과 같은 경우라도 보관고의 내부측으로부터, 외면 패널의 장착 및 제거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성의 보관고에 의하면, 설치 위치와 관계없이 외면 패널의 장착 및 제거를 행할 수 있다.
일 태양으로서, 상기 내부측 가압 부재가, 상기 내부측 가압 부재에 대한 작업자의 손가락에 의한 직접적인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지주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공구 등을 사용하여 체결 부재를 조작하는 것에 의한 경우와 비교하여, 내부측 가압 부재를, 상기 내부측 가압 부재에 대한 작업자의 손가락에 의한 직접적인 수동 조작만으로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따라서, 보관고의 내부측으로부터의 외면 패널의 장착 및 제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일 태양으로서, 상기 수동 조작은, 상기 내부측 가압 부재에 대한 상기 제2 대상면을 따르는 회동 조작이며, 상기 내부측 가압 부재는, 상기 외면 패널과 맞닿는 구면형 또는 원호면형의 가압면을 가지는 가압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내부측 가압 부재를, 상기 내부측 가압 부재에 대한 작업자의 손가락에 의한 직접적인 회동 조작에 의해 원터치로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내부측 가압 부재는 구면형 또는 원호면형의 가압면에서 외면 패널과 맞닿으므로, 예를 들면, 가압면이 평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내부측 가압 부재에 대한 회동 조작을 슬라이딩 저항이 적은 상태로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보관고의 내부측으로부터의 외면 패널의 장착 및 제거를 더 한층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일 태양으로서, 상기 내부측 가압 부재가, 상기 가압면이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 회동 조작의 회동 중심과 상기 가압면의 곡률 중심이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내부측 가압 부재를 회동 조작할 때의 가압면의 포락면이, 상기 가압면에 일치한다. 따라서, 내부측 가압 부재의 위상이, 외부측 가압 부재와의 사이에 외면 패널을 협지하기 위한 위상으로서 미리 정해진 기준 위상에 대하여 다소의 어긋남을 가지는 경우라도, 외면 패널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일 태양으로서, 상기 내부측 가압 부재는, 상기 외면 패널과 맞닿는 가압면을 가지는 가압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본체부가,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서로 교차하는 상태로 일체화된 복수의 판형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내부측 가압 부재의 주요 부분을 구성하는 가압 본체부에 일정한 강도를 부여하면서, 사용하는 재료를 절약하여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가압 본체부는 복수의 판형부가 일체화된 구조를 가지므로, 수지제의 가압 본체부를 예를 들면, 사출 성형으로 제조하는 경우라도 슈링크 마크가 쉽게 생기지 않아, 내부측 가압 부재의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1: 보관고
10: 지주
11a: 제1 대상면
11b: 제2 대상면
15: 장착홈
16: 돌출편
30: 외면 패널
40: 외부측 가압 부재
50: 내부측 가압 부재
51: 가압 본체부
52: 제1 판형부(판형부)
53: 제2 판형부(판형부)
53a: 가압면
54: 제3 판형부(판형부)
56a: 가압면
57: 장착부
58: 삽통축부
59: 유지편부
59a: 경사면
92: 주벽부(외벽)
W: 폭 방향(정렬 방향)
Or: 회동 중심
Oc: 가압면의 곡률 중심
W1: 지주 사이 이격폭
W2: 패널폭
W3: 장착홈의 개구폭
W4: 장착홈의 홈폭
10: 지주
11a: 제1 대상면
11b: 제2 대상면
15: 장착홈
16: 돌출편
30: 외면 패널
40: 외부측 가압 부재
50: 내부측 가압 부재
51: 가압 본체부
52: 제1 판형부(판형부)
53: 제2 판형부(판형부)
53a: 가압면
54: 제3 판형부(판형부)
56a: 가압면
57: 장착부
58: 삽통축부
59: 유지편부
59a: 경사면
92: 주벽부(외벽)
W: 폭 방향(정렬 방향)
Or: 회동 중심
Oc: 가압면의 곡률 중심
W1: 지주 사이 이격폭
W2: 패널폭
W3: 장착홈의 개구폭
W4: 장착홈의 홈폭
Claims (5)
- 측 주위에 외벽을 가지고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고로서,
정렬 방향(spaced-apart direction)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지주(支柱);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지주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외벽을 형성하는 외면 패널;
상기 지주에서의 외부측의 제1 대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외부측 가압 부재; 및
상기 지주에서의 상기 제1 대상면에 대하여 교차하는 제2 대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부측 가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외면 패널이,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지주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상기 정렬 방향의 길이인 지주 사이 이격폭보다도 짧은 패널폭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 외부측 가압 부재와 상기 내부측 가압 부재에 의해 협지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보관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측 가압 부재가, 상기 내부측 가압 부재에 대한 작업자의 손가락에 의한 직접적인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지주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는, 보관고.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조작은, 상기 내부측 가압 부재에 대한 상기 제2 대상면을 따르는 회동(回動) 조작이며,
상기 내부측 가압 부재는, 상기 외면 패널과 맞닿는 구면형 또는 원호면형의 가압면을 가지는 가압 본체부를 포함하는, 보관고.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측 가압 부재가, 상기 가압면이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 회동 조작의 회동 중심과 상기 가압면의 곡률 중심이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보관고.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측 가압 부재는, 상기 외면 패널과 맞닿는 가압면을 가지는 가압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본체부가,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서로 교차하는 상태로 일체화된 복수의 판형부로 구성되어 있는, 보관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5-222209 | 2015-11-12 | ||
JP2015222209A JP6432488B2 (ja) | 2015-11-12 | 2015-11-12 | 保管庫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5914A KR20170055914A (ko) | 2017-05-22 |
KR102555288B1 true KR102555288B1 (ko) | 2023-07-12 |
Family
ID=58691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48301A KR102555288B1 (ko) | 2015-11-12 | 2016-11-08 | 보관고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0081951B2 (ko) |
JP (1) | JP6432488B2 (ko) |
KR (1) | KR102555288B1 (ko) |
TW (1) | TWI693188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414525B2 (ja) * | 2015-09-02 | 2018-10-31 | 株式会社ダイフク | 保管設備 |
US10815669B2 (en) * | 2017-03-30 | 2020-10-27 | James Hardie Technology Limited | Multifunction structural furring system |
US10703563B2 (en) * | 2017-11-10 | 2020-07-07 |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 Stocker |
AU201815167S (en) * | 2018-02-28 | 2018-10-12 | Golden Homes Holdings Ltd | A building Extrusion |
AU201815169S (en) * | 2018-02-28 | 2018-10-12 | Golden Homes Holdings Ltd | A Building Extrusion |
USD898949S1 (en) * | 2018-02-28 | 2020-10-13 | Golden Homes Holdings Limited | Building extrusion |
USD895156S1 (en) * | 2018-02-28 | 2020-09-01 | Golden Homes Holdings Limited | Building extrusion |
DE202019102977U1 (de) | 2019-05-27 | 2019-06-05 | Tgw Mechanics Gmbh | Regallagersystem und Regalrahmenteil für ein Regallagersystem |
AT16745U1 (de) | 2019-05-27 | 2020-07-15 | Tgw Mechanics Gmbh | Regallagersystem und Regalrahmenteil für ein Regallagersystem |
CN110397167B (zh) * | 2019-08-01 | 2020-11-03 | 江苏安迪钢结构工程有限公司 | 一种建筑钢结构稳固底座 |
KR102360920B1 (ko) * | 2021-02-22 | 2022-02-14 | 주식회사 에이치씨씨 | 반도체 생산라인에서 사용되는 풉 저장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90239A (en) | 1996-05-24 | 1997-11-25 | Ballard; Donald M. | Multi-purpose columnar support |
JP2003171004A (ja) | 2001-12-04 | 2003-06-17 | Murata Mach Ltd | 自動倉庫及びその外壁の取付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46442A (ja) * | 1984-08-10 | 1986-03-06 | Toyota Motor Corp | 燃料噴射制御装置 |
JPH0648010Y2 (ja) * | 1989-06-19 | 1994-12-07 | 株式会社淀川製鋼所 | 組立家屋の壁パネル固定構造 |
US5158347A (en) * | 1990-02-21 | 1992-10-27 | Meridian Incorporated | Subcabinet movement initiator |
US5211296A (en) * | 1991-10-01 | 1993-05-18 | Heygere Philippe N D | Device and process for the storage of products |
JPH06146442A (ja) * | 1992-10-30 | 1994-05-27 | Achilles Corp | 壁構造 |
US6193085B1 (en) * | 1999-02-04 | 2001-02-27 | Philip Morris, Inc. | Dispensing rack |
US20060261025A1 (en) * | 2005-05-23 | 2006-11-23 | Heyderman Richard S | Display device |
US7334692B2 (en) * | 2005-07-29 | 2008-02-26 | Wire Weld, Inc. | Modular shelving system |
JP2009155853A (ja) * | 2007-12-26 | 2009-07-16 | Sakase Chemical Industry Co Ltd | パネル材の保持構造 |
JP5284680B2 (ja) * | 2008-05-01 | 2013-09-11 | 積水樹脂株式会社 | 枠付き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塀 |
JP4424557B2 (ja) * | 2008-10-02 | 2010-03-03 | 郡リース株式会社 | パネルの取り付け構造 |
CN102893385B (zh) * | 2010-05-13 | 2016-01-20 | 村田机械株式会社 | 移载装置 |
US8672150B2 (en) * | 2012-08-02 | 2014-03-18 | E-Make Co., Ltd. | Modular shelving |
WO2014126106A1 (ja) * | 2013-02-12 | 2014-08-21 | 村田機械株式会社 | 保管棚 |
JP6398680B2 (ja) * | 2014-12-12 | 2018-10-03 | 村田機械株式会社 | サイドアーム式移載装置 |
JP6222135B2 (ja) * | 2015-02-25 | 2017-11-01 | 村田機械株式会社 | 自動倉庫 |
JP6137226B2 (ja) * | 2015-03-10 | 2017-05-31 | 村田機械株式会社 | 昇降搬送装置 |
-
2015
- 2015-11-12 JP JP2015222209A patent/JP6432488B2/ja active Active
-
2016
- 2016-11-08 KR KR1020160148301A patent/KR10255528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11-09 TW TW105136399A patent/TWI693188B/zh active
- 2016-11-10 US US15/348,259 patent/US10081951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90239A (en) | 1996-05-24 | 1997-11-25 | Ballard; Donald M. | Multi-purpose columnar support |
JP2003171004A (ja) | 2001-12-04 | 2003-06-17 | Murata Mach Ltd | 自動倉庫及びその外壁の取付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7088348A (ja) | 2017-05-25 |
US10081951B2 (en) | 2018-09-25 |
JP6432488B2 (ja) | 2018-12-05 |
US20170138059A1 (en) | 2017-05-18 |
TWI693188B (zh) | 2020-05-11 |
KR20170055914A (ko) | 2017-05-22 |
TW201722810A (zh) | 2017-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55288B1 (ko) | 보관고 | |
CN108341124B (zh) | 容器 | |
TWI702176B (zh) | 物品收納架、及、具有物品收納架的物品收納設備 | |
KR20080054385A (ko) | 조립식 상자형상체와 판재 연결구조 | |
US10287096B2 (en) | Article support rack | |
KR101560019B1 (ko) | 물품 보관 설비 | |
JP2019189409A (ja) | 物品収納棚 | |
JPH10278934A (ja) | 複式パレット | |
JP6855979B2 (ja) | 保管棚 | |
JP6694296B2 (ja) | 棚装置 | |
JP6255200B2 (ja) | 運搬用台車の中間棚システム | |
JP4745209B2 (ja) | 基板用キャリア | |
WO2021044805A1 (ja) | 基板収納容器 | |
EP1988036B1 (en) | Pallet storage system | |
JP2010285278A (ja) | 自動倉庫 | |
JP6477579B2 (ja) | 容器支持棚 | |
JP7442817B2 (ja) | タグホルダ、及び、idタグの取付構造 | |
JP7222368B2 (ja) | 物品収納棚 | |
JP2016210574A (ja) | 自動倉庫のラック、及び自動倉庫のラックにおいて前後渡し部材を設置する方法 | |
JP7405418B2 (ja) | パレット | |
JP4049462B2 (ja) | コンテナ | |
JP7195527B2 (ja) | 台車 | |
JP2001055292A (ja) | 引出棚付きコンテナ | |
JP4063428B2 (ja) | コンテナ | |
JP3477455B2 (ja) | フォークリフトの延長鞘フォーク保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