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352B1 - 배관 고무 보온재 자동 접합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관 고무 보온재 자동 접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352B1
KR102554352B1 KR1020230038269A KR20230038269A KR102554352B1 KR 102554352 B1 KR102554352 B1 KR 102554352B1 KR 1020230038269 A KR1020230038269 A KR 1020230038269A KR 20230038269 A KR20230038269 A KR 20230038269A KR 102554352 B1 KR102554352 B1 KR 102554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material
support
pipe
rubber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8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용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와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와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와이시스템
Priority to KR1020230038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3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직경의 배관 고무 본온재 2 개를 연속적으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서로 접합시켜 줄 수 있도록 구현한 배관 고무 보온재 자동 접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1 배관 고무 보온재를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제1 보온재 이송부; 상기 제2 보온재 이송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 설치되어 제2 배관 고무 보온재를 상기 제1 배관 고무 보온재로부터 하방으로 이격시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2 보온재 이송부; 상기 제2 보온재 이송부에 의해 이송 중인 상기 제2 배관 고무 보온재의 상측을 따라 접착제를 연속적으로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부; 및 상기 제1 배관 고무 보온재와 상기 제2 배관 고무 보온재의 이송 방향인 상기 제1 보온재 이송부와 상기 제2 보온재 이송부의 전방에 설치되며,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상기 제2 배관 고무 보온재의 상측을 따라 상기 제1 배관 고무 보온재의 하측을 연속적으로 접착시켜 주는 보온재 접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 고무 보온재 자동 접합 시스템{Pipe Rubber Insulation Automatic Bonding System}
본 발명은 배관 고무 보온재 자동 접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직경의 배관 고무 본온재 2 개를 연속적으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서로 접합시켜 줄 수 있도록 구현한 배관 고무 보온재 자동 접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의 동파나 보호를 위해 배관 외부에 씌우게 되는 배관보온재는,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을 발포하여 파이프 형상으로 보온재를 제작한 다음 그 외주면에 은박을 피복하여서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작된 배관보온재는 폴리에틸렌의 발포 제작에 의해 미세한 기포 형성으로 보온, 단열효과가 매우 뛰어나게 되므로 배관의 동파나 외부 충격에 의한 파이프의 파손을 예방하여 주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 상기와 같이 폴리에틸렌을 발포하여 배관 보온재를 제작할 경우 보온 및 단열성은 뛰어나나 보온재의 강도가 매우 약한 단점이 있어 작은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 보완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상기 배관 보온재를 제작함에 있어, 폴리에틸렌을 종래의 단순 발포제작이 아닌 가교발포를 실시하여 제작한 가교발포 보온재가 안출된 바 있는데, 이 경우 보온재의 보온 및 단열효과가 극대화됨은 물론 그 강도가 향상되어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줄어들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57067호 (2015.05.28. 공개)
본 발명의 일측면은 서로 다른 직경의 배관 고무 본온재 2 개를 연속적으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서로 접합시켜 줄 수 있도록 구현한 배관 고무 보온재 자동 접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무 보온재 자동 접합 시스템은, 제1 배관 고무 보온재를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제1 보온재 이송부; 상기 제2 보온재 이송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 설치되어 제2 배관 고무 보온재를 상기 제1 배관 고무 보온재로부터 하방으로 이격시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2 보온재 이송부; 상기 제2 보온재 이송부에 의해 이송 중인 상기 제2 배관 고무 보온재의 상측을 따라 접착제를 연속적으로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부; 및 상기 제1 배관 고무 보온재와 상기 제2 배관 고무 보온재의 이송 방향인 상기 제1 보온재 이송부와 상기 제2 보온재 이송부의 전방에 설치되며,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상기 제2 배관 고무 보온재의 상측을 따라 상기 제1 배관 고무 보온재의 하측을 연속적으로 접착시켜 주는 보온재 접합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온재 접합부는, 상기 제1 보온재 이송부와 상기 제2 보온재 이송부의 전방에서 직립되어 설치되는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 상측에 설치되며, 하측 외향면으로 상기 제2 배관 고무 보온재의 상측에 접착되어 있는 상기 제1 배관 고무 보온재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1 컨베이어; 상기 제1 컨베이어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 하측에 설치되며, 상측 외향면으로 상기 제2 배관 고무 보온재의 하측에 접착되어 있는 상기 제2 배관 고무 보온재의 하측을 지지하여 상기 제1 배관 고무 보온재와 상기 제2 배관 고무 보온재를 서로 밀착시키는 동시에 전방으로 연속적으로 이송시켜 주는 제2 컨베이어; 상기 제1 컨베이어와 상기 제2 컨베이어 사이의 이격 공간의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서로 밀착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와 상기 제2 컨베이어 사이를 따라 이송 중인 상기 제1 배관 고무 보온재와 상기 제2 배관 고무 보온재의 일측 지지하여 상기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으로 밀착시켜 주는 측면 지지 롤러; 상기 제1 컨베이어의 상측 외향면 또는 내향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설치되되, 상기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장력 조절 롤러; 및 상기 제2 컨베이어의 하측 외향면 또는 내향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설치되되, 상기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되어 상기 제2 컨베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장력 조절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장력 조절 롤러는, 전단이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는 절곡 프레임;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절곡 프레임의 전단 수직면에 설치되는 제1 롤러 지지부; 상기 제1 롤러 지지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2 롤러 지지부; 및 일측이 상기 제1 롤러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롤러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지지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의 상측 외향면 또는 내향면을 지지하는 밀착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롤러 지지부는, 상기 절곡 프레임의 전단 수직면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ㅁ" 형상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설치 윈도우; 상기 설치 윈도우의 폭에 대응하는 너비를 형성하는 육면체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설치 윈도우에 안착되며, 상기 밀착 롤러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거치 블록; 상기 설치 윈도우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 윈도우에 안착되는 상기 거치 블록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단 지지 스프링; 및 상기 설치 윈도우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 윈도우에 안착되는 상기 거치 블록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단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단 지지부는, 마름모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설치 윈도우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지지 블록; 상기 지지 블록의 내측에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X" 형상으로 형성되되, 4 개의 각 단부가 상기 지지 블록의 4 개의 각 경사면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X"형 챔버; 상기 "X"형 챔버의 내부 공간으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 탱크; 및 상기 "X"형 챔버의 4 개의 각 개구부를 밀폐시키면서 상기 "X"형 챔버의 4 개의 각 단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지지 블록으로부터 노출되는 각 단부가 상기 거치 블록의 하단 일측 및 타측 그리고 상기 설치 윈도우의 내부 공간 하단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안착되어 지지 블록을 지지며, 상기 "X"형 챔버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압축 공기 공급 탱크에 의해 압축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X"형 챔버로부터 노출되거나, 외력에 의해 상기 "X"형 챔버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X"형 챔버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공기의 압력을 증가시켜 주는 4 개의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X"형 챔버의 내측으로 삽입 또는 노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X"형 챔버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X"형 챔버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는 삽입 프레임; 상기 삽입 프레임이 설치되는 상기 지지 블록의 경사면과 평행하도록 경사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블록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삽입 프레임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는 슬라이딩 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거치 블록의 하단 일측 및 타측 그리고 상기 설치 윈도우의 내부 공간 하단 일측 및 타측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는 회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단 지지부는, "X"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X"형 챔버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며, 4 개의 각 단부가 상기 삽입 프레임의 후단에 형성되는 지지대 안착홈에 각각 안착되는 "X"형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 안착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X"형 지지대의 단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삽입 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4 개의 완충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서로 다른 직경의 배관 고무 본온재 2 개를 연속적으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서로 접합시켜 서로 다른 직경의 배관 고무 본온재의 접합 효율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무 보온재 자동 접합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보온재 접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장력 조절 롤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제1 롤러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4의 하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지지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무 보온재 자동 접합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무 보온재 자동 접합 시스템(10)은, 제1 보온재 이송부(100), 제2 보온재 이송부(200), 접착제 도포부(300) 및 보온재 접합부(400)를 포함한다
제1 보온재 이송부(100)는, 제1 배관 고무 보온재(P1)를 보온재 접합부(400)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보온재 이송부(100)는, 상하 방향으로 밀착 설치되어 회전하는 두 개의 롤러 사이에 제1 배관 고무 보온재(P1)가 맞물리도록 하여 제1 배관 고무 보온재(P1)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보온재 이송부(200)는, 제1 배관 고무 보온재(P1)와 다른 직경의 제2 보온재 이송부(200)로부터 하방으로 이격 설치되어 제2 배관 고무 보온재(P2)를 제1 배관 고무 보온재(P1)로부터 하방으로 이격시켜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보온재 이송부(200)는, 상하 방향으로 밀착 설치되어 회전하는 두 개의 롤러 사이에 제2 배관 고무 보온재(P2)가 맞물리도록 하여 제2 배관 고무 보온재(P2)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접착제 도포부(300)는, 제1 배관 고무 보온재(P1)가 접합되는 부위인 제2 보온재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 중인 제2 배관 고무 보온재(P2)의 상측을 따라 접착제를 분사시켜 연속적으로 도포한다.
보온재 접합부(400)는, 제1 배관 고무 보온재(P1)와 제2 배관 고무 보온재(P2)의 이송 방향인 제1 보온재 이송부(100)와 제2 보온재 이송부(200)의 전방에 설치되며,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제2 배관 고무 보온재(P2)의 상측을 따라 제1 배관 고무 보온재(P1)의 하측을 연속적으로 접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무 보온재 자동 접합 시스템(10)은, 서로 다른 직경의 배관 고무 본온재 2 개를 연속적으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서로 접합시켜 서로 다른 직경의 배관 고무 본온재의 접합 효율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보온재 접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보온재 접합부(400)는,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410), 제1 컨베이어(420), 제2 컨베이어(430), 측면 지지 롤러(44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장력 조절 롤러(45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장력 조절 롤러(460)를 포함한다.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410)는, 제1 보온재 이송부(100)와 제2 보온재 이송부(200)의 전방에서 직립되어 설치되며, 제1 컨베이어(420), 제2 컨베이어(430), 측면 지지 롤러(44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장력 조절 롤러(45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장력 조절 롤러(46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제1 컨베이어(420)는, 전단 내향면 및 후단 내향면이 두 개의 지지 롤러(R1, R2)에 각각 맞물려 회전 구동되며,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전면 상측에 설치되며, 하측 외향면으로 제2 배관 고무 보온재(P2)의 상측에 접착되어 있는 제1 배관 고무 보온재(P1)의 상측을 지지하여 제2 배관 고무 보온재(P2)와 밀착시키는 동시에 전방으로 이동시켜 준다.
제2 컨베이어(430)는, 전단 내향면 및 후단 내향면이 두 개의 지지 롤러(R3, R4)에 각각 맞물려 회전 구동되며, 제1 컨베이어(42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전면 하측에 설치되며, 상측 외향면으로 제2 배관 고무 보온재(P2)의 하측에 접착되어 있는 제2 배관 고무 보온재(P2)의 하측을 지지하여 제1 배관 고무 보온재(P1)와 제2 배관 고무 보온재(P2)를 서로 밀착시키는 동시에 전방으로 연속적으로 이송시켜 준다.
측면 지지 롤러(440)는, 제1 컨베이어(420)와 제2 컨베이어(430) 사이의 이격 공간의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서로 밀착되어 제1 컨베이어(420)와 제2 컨베이어(430) 사이를 따라 이송 중인 제1 배관 고무 보온재(P1)와 제2 배관 고무 보온재(P2)의 일측 지지하여 제1 배관 고무 보온재(P1)와 제2 배관 고무 보온재(P2)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전면으로 밀착시켜 준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장력 조절 롤러(450)는, 제1 컨베이어(420)의 상측 외향면 또는 내향면을 지지하면서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전면에 설치되되,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410)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되어 제1 컨베이어(420)의 장력을 조절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장력 조절 롤러(460)는, 제2 컨베이어(430)의 하측 외향면 또는 내향면을 지지하면서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전면에 설치되되,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410)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되어 제2 컨베이어(430)의 장력을 조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보온재 접합부(400)는, 서로 다른 직경의 배관 고무 본온재 2 개를 서로 밀착 접합시켜 서로 다른 직경의 배관 고무 본온재의 접합 효율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1 장력 조절 롤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장력 조절 롤러(450)는, 절곡 프레임(451), 제1 롤러 지지부(500), 2 롤러 지지부(452) 및 밀착 롤러(453)를 포함한다.
절곡 프레임(451)은, 전단(4511)이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전단 상측에 설치된다.
제1 롤러 지지부(500)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곡 프레임(451)의 전단 수직면에 설치되어 밀착 롤러(453)의 일측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롤러 지지부(500)는, 설치 윈도우(510), 거치 블록(520), 상단 지지 스프링(530) 및 하단 지지부(600)를 포함한다.
설치 윈도우(510)는, 절곡 프레임(451)의 전단 수직면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ㅁ" 형상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거치 블록(520), 상단 지지 스프링(530) 및 하단 지지부(600)가 설치된다.
거치 블록(520)은, 설치 윈도우(510)의 폭에 대응하는 너비를 형성하는 육면체 블록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 지지 스프링(530) 및 하단 지지부(600)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 윈도우(510)에 안착되며, 밀착 롤러(453)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상단 지지 스프링(530)은, 설치 윈도우(510)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설치되어 설치 윈도우(510)에 안착되는 거치 블록(520)의 상측을 지지한다.
하단 지지부(600)는, 설치 윈도우(510)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설치 윈도우(510)에 안착되는 거치 블록(520)의 하측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단 지지부(6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됨에 따라 거치 블록(520)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시켜 1 컨베이어(42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롤러 지지부(452)는, 제1 롤러 지지부(500)와 대향하면서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410)에 설치되어 밀착 롤러(453)의 타측을 지지한다.
여기서, 제2 롤러 지지부(452)는, 상술한 제1 롤러 지지부(50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롤러 지지부(500)의 설치 윈도우(510), 거치 블록(520), 상단 지지 스프링(530) 및 하단 지지부(60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밀착 롤러(453)는, 일측이 제1 롤러 지지부(5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지지되고, 타측이 제2 롤러 지지부(452)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지지되며, 제1 컨베이어(420)의 상측 외향면 또는 내향면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장력 조절 롤러(450)는, 제1 컨베이어(420)의 상측 외향면 또는 내향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제1 컨베이어(420)에 의해 형성되는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은 물론, 제1 컨베이어(42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제1 컨베이어(420)에 의한 제1 배관 고무 보온재(P1)와 제2 배관 고무 보온재(P2)가 서로 안정적으로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하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단 지지부(600)는, 지지 블록(610), "X"형 챔버(620), 압축 공기 공급 탱크(630) 및 4 개의 지지 프레임(640)을 포함한다.
지지 블록(610)은, 마름모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설치 윈도우(5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X"형 챔버(620), 압축 공기 공급 탱크(630) 및 4 개의 지지 프레임(640) 등의 구성들이 연결 설치된다.
"X"형 챔버(620)는, 압축 공기 공급 탱크(63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지지 블록(610)의 내측에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X" 형상으로 형성되되, 4 개의 각 단부가 지지 블록(610)의 4 개의 각 경사면(611)으로 개구부(621)를 형성한다.
압축 공기 공급 탱크(630)는, "X"형 챔버(620)의 내부 공간으로 압축 공기를 공급한다.
4 개의 지지 프레임(640)은, "X"형 챔버(620)의 4 개의 각 개구부(621)를 밀폐시키면서 "X"형 챔버(620)의 4 개의 각 단부에 삽입 설치되며, 지지 블록(610)으로부터 노출되는 각 단부가 거치 블록(520)의 하단 일측 및 타측 그리고 설치 윈도우(510)의 내부 공간 하단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안착되어 지지 블록(610)을 지지며, "X"형 챔버(620)의 내부 공간으로 압축 공기 공급 탱크(630)에 의해 압축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X"형 챔버(620)로부터 노출되거나, 외력에 의해 "X"형 챔버(620)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X"형 챔버(62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공기의 압력을 증가시켜 준다.
즉, 지지 프레임(640)은, "X"형 챔버(620)에 수용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거치 블록(52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X"형 챔버(620)에 수용되는 공기를 압축시켜 주면서 감쇄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프레임(640)은, 삽입 프레임(641), 슬라이딩 프레임(642) 및 회동 프레임(643)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 프레임(641)은, "X"형 챔버(620)의 내측으로 삽입 또는 노출이 가능하도록 "X"형 챔버(620)의 개구부(621)를 통해 "X"형 챔버(620)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된다.
슬라이딩 프레임(642)은, 삽입 프레임(641)이 설치되는 지지 블록(610)의 경사면(611)과 평행하도록 경사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 블록(610)으로부터 노출되는 삽입 프레임(641)의 전단에 연결 설치된다.
회동 프레임(643)은, 슬라이딩 프레임(642)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거치 블록(520)의 하단 일측 및 타측 그리고 설치 윈도우(510)의 내부 공간 하단 일측 및 타측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단 지지부(600)는, "X"형 지지대(650) 및 4 개의 완충 스프링(6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X"형 지지대(650)는, "X"형상으로 형성되어 "X"형 챔버(62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며, 4 개의 각 단부가 삽입 프레임(641)의 후단에 형성되는 지지대 안착홈에 각각 안착된다.
4 개의 완충 스프링(660)은, 지지대 안착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지지대 안착홈에 안착되는 "X"형 지지대(650)의 단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삽입 프레임(64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단 지지부(600)는, 공기를 이용하여 외력을 완충시켜 줌은 물론, 전체 부피가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거치 블록(520)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시켜 1 컨베이어(42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배관 고무 보온재 자동 접합 시스템
100: 제1 보온재 이송부
200: 제2 보온재 이송부
300: 접착제 도포부
400; 보온재 접합부

Claims (3)

  1. 제1 배관 고무 보온재를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제1 보온재 이송부;
    상기 제1 보온재 이송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 설치되어 제2 배관 고무 보온재를 상기 제1 배관 고무 보온재로부터 하방으로 이격시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2 보온재 이송부;
    상기 제2 보온재 이송부에 의해 이송 중인 상기 제2 배관 고무 보온재의 상측을 따라 접착제를 연속적으로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부; 및
    상기 제1 배관 고무 보온재와 상기 제2 배관 고무 보온재의 이송 방향인 상기 제1 보온재 이송부와 상기 제2 보온재 이송부의 전방에 설치되며,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상기 제2 배관 고무 보온재의 상측을 따라 상기 제1 배관 고무 보온재의 하측을 연속적으로 접착시켜 주는 보온재 접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온재 접합부는,
    상기 제1 보온재 이송부와 상기 제2 보온재 이송부의 전방에서 직립되어 설치되는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 상측에 설치되며, 하측 외향면으로 상기 제2 배관 고무 보온재의 상측에 접착되어 있는 상기 제1 배관 고무 보온재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1 컨베이어;
    상기 제1 컨베이어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 하측에 설치되며, 상측 외향면으로 상기 제2 배관 고무 보온재의 하측에 접착되어 있는 상기 제2 배관 고무 보온재의 하측을 지지하여 상기 제1 배관 고무 보온재와 상기 제2 배관 고무 보온재를 서로 밀착시키는 동시에 전방으로 연속적으로 이송시켜 주는 제2 컨베이어;
    상기 제1 컨베이어와 상기 제2 컨베이어 사이의 이격 공간의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서로 밀착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와 상기 제2 컨베이어 사이를 따라 이송 중인 상기 제1 배관 고무 보온재와 상기 제2 배관 고무 보온재의 일측 지지하여 상기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으로 밀착시켜 주는 측면 지지 롤러;
    상기 제1 컨베이어의 상측 외향면 또는 내향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설치되되, 상기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장력 조절 롤러; 및
    상기 제2 컨베이어의 하측 외향면 또는 내향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설치되되, 상기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되어 상기 제2 컨베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장력 조절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장력 조절 롤러는,
    전단이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는 절곡 프레임;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절곡 프레임의 전단 수직면에 설치되는 제1 롤러 지지부;
    상기 제1 롤러 지지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수직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2 롤러 지지부; 및
    일측이 상기 제1 롤러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롤러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지지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의 상측 외향면 또는 내향면을 지지하는 밀착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롤러 지지부는,
    상기 절곡 프레임의 전단 수직면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ㅁ" 형상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설치 윈도우;
    상기 설치 윈도우의 폭에 대응하는 너비를 형성하는 육면체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설치 윈도우에 안착되며, 상기 밀착 롤러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거치 블록;
    상기 설치 윈도우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 윈도우에 안착되는 상기 거치 블록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단 지지 스프링; 및
    상기 설치 윈도우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 윈도우에 안착되는 상기 거치 블록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단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단 지지부는,
    마름모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설치 윈도우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지지 블록;
    상기 지지 블록의 내측에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X" 형상으로 형성되되, 4 개의 각 단부가 상기 지지 블록의 4 개의 각 경사면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X"형 챔버;
    상기 "X"형 챔버의 내부 공간으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 탱크; 및
    상기 "X"형 챔버의 4 개의 각 개구부를 밀폐시키면서 상기 "X"형 챔버의 4 개의 각 단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지지 블록으로부터 노출되는 각 단부가 상기 거치 블록의 하단 일측 및 타측 그리고 상기 설치 윈도우의 내부 공간 하단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안착되어 지지 블록을 지지며, 상기 "X"형 챔버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압축 공기 공급 탱크에 의해 압축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X"형 챔버로부터 노출되거나, 외력에 의해 상기 "X"형 챔버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X"형 챔버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공기의 압력을 증가시켜 주는 4 개의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X"형 챔버의 내측으로 삽입 또는 노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X"형 챔버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X"형 챔버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는 삽입 프레임;
    상기 삽입 프레임이 설치되는 상기 지지 블록의 경사면과 평행하도록 경사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블록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삽입 프레임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는 슬라이딩 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거치 블록의 하단 일측 및 타측 그리고 상기 설치 윈도우의 내부 공간 하단 일측 및 타측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는 회동 프레임;을 포함하는, 배관 고무 보온재 자동 접합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30038269A 2023-03-23 2023-03-23 배관 고무 보온재 자동 접합 시스템 KR102554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8269A KR102554352B1 (ko) 2023-03-23 2023-03-23 배관 고무 보온재 자동 접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8269A KR102554352B1 (ko) 2023-03-23 2023-03-23 배관 고무 보온재 자동 접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4352B1 true KR102554352B1 (ko) 2023-07-11

Family

ID=87160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8269A KR102554352B1 (ko) 2023-03-23 2023-03-23 배관 고무 보온재 자동 접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3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85339A (zh) * 2024-03-14 2024-04-16 江苏柏诚新材料有限公司 一种石油管道保温层制作装置及其制作工艺
CN117885339B (zh) * 2024-03-14 2024-06-04 江苏柏诚新材料有限公司 一种石油管道保温层制作装置及其制作工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860U (ko) * 1998-04-20 1998-07-25 윤정순 발포단열판재의 발포압출시트 합지장치
JP2001047516A (ja) * 1999-08-11 2001-02-20 Toto Ltd 人工大理石板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20150057067A (ko) 2013-11-18 2015-05-28 이영재 배관 보온재 제조방법
KR101536565B1 (ko) * 2015-03-02 2015-07-14 주식회사 대원솔라 아라미드섬유, 유리섬유 및 에어로겔로 적층되어 내충격성이 개선된 단열매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내충격성이 개선된 단열매트
KR20160057611A (ko) * 2014-11-14 2016-05-24 명일폼테크주식회사 적층 합본 발포 단열재의 제조방법
KR20160112853A (ko) * 2015-03-20 2016-09-28 김종현 단열보드용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열보드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860U (ko) * 1998-04-20 1998-07-25 윤정순 발포단열판재의 발포압출시트 합지장치
JP2001047516A (ja) * 1999-08-11 2001-02-20 Toto Ltd 人工大理石板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20150057067A (ko) 2013-11-18 2015-05-28 이영재 배관 보온재 제조방법
KR20160057611A (ko) * 2014-11-14 2016-05-24 명일폼테크주식회사 적층 합본 발포 단열재의 제조방법
KR101536565B1 (ko) * 2015-03-02 2015-07-14 주식회사 대원솔라 아라미드섬유, 유리섬유 및 에어로겔로 적층되어 내충격성이 개선된 단열매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내충격성이 개선된 단열매트
KR20160112853A (ko) * 2015-03-20 2016-09-28 김종현 단열보드용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열보드 제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85339A (zh) * 2024-03-14 2024-04-16 江苏柏诚新材料有限公司 一种石油管道保温层制作装置及其制作工艺
CN117885339B (zh) * 2024-03-14 2024-06-04 江苏柏诚新材料有限公司 一种石油管道保温层制作装置及其制作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4352B1 (ko) 배관 고무 보온재 자동 접합 시스템
US6383580B1 (en) Vacuum IG window unit with edge mounted pump-out tube
CN101172539B (zh) 吸附拾取装置
US11287177B2 (en) Vacuum insulated structure
JP2015523305A (ja) ガラスを成形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617159A (en) Mounting device for glazing units
CN103189696A (zh) 真空绝热玻璃面板及具有该真空绝热玻璃面板的冰箱
AUPQ605900A0 (en) Thermal expansion compensation for printhead assemblies
CN101374741B (zh) 气流输送装置
KR20190038708A (ko) 내진 성능을 갖춘 열교 차단형 단열 벽 패널 구조체
US7213700B2 (en) Part carriage device
US20200181972A1 (en) Window system with insert for preventing glass breakage
KR20120015830A (ko) 건물 외벽용 유리 보강장치
CA2369995A1 (en) Conveyor system with stabilized carrier
CN217832204U (zh) 一种用于半导体焊锡的加热轨道
TWI820191B (zh) 用於支撐物體的裝置及方法
KR102386207B1 (ko) 가이드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퍼루프장치
CN103993289A (zh) 用于真空镀膜的玻璃基板架及其镀膜系统和镀膜系统的传输方法
WO2020099245A1 (fr) Dispositif de guidage de cable pour installation de telepherique urbain ou periurbain
KR200466008Y1 (ko) 쇼케이스용 발포본체 후판
JP6445121B1 (ja) 基板カセット
CN214217261U (zh) 具有缓冲调节功能的托辊组
CN218096288U (zh) 用于窗式空调器的密封组件及窗式空调器
KR102152967B1 (ko) 프레스 패널 이송 장치
CN219340390U (zh) 一种缓冲式珍珠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