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100B1 - 밸브 - Google Patents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100B1
KR102553100B1 KR1020190015942A KR20190015942A KR102553100B1 KR 102553100 B1 KR102553100 B1 KR 102553100B1 KR 1020190015942 A KR1020190015942 A KR 1020190015942A KR 20190015942 A KR20190015942 A KR 20190015942A KR 102553100 B1 KR102553100 B1 KR 102553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body
displacement
bonnet
pi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8711A (ko
Inventor
히사시 고마츠자키
히사타카 가토
모토히로 소우토메
Original Assignee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8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F16K7/14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arranged to be deformed against a flat seat
    • F16K7/17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arranged to be deformed against a flat seat the diaphragm being actuated by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8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 F16K15/182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 F16K15/1825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for 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8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 F16K15/182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 F16K15/1826Check valves which can be actuated by a pilot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168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combined with manually-controlled valves, e.g. a valve combined with a safet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36Diaphragm cut-of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3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in which fluid from the circuit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fluid motor
    • F16K31/3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in which fluid from the circuit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fluid motor in which the fluid works directly on both sides of the fluid motor, one side being connected by means of a restricted passage and the motor being actuated by operating a discharge from that side
    • F16K31/385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in which fluid from the circuit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fluid motor in which the fluid works directly on both sides of the fluid motor, one side being connected by means of a restricted passage and the motor being actuated by operating a discharge from that side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08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20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16/2093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combination of electric and non-electric auxiliary power
    • G05D16/2095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combination of electric and non-electric auxiliary power using membranes within the main valv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1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7/0106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er, e.g. bellows, diaphragm, capsule
    • G05D7/012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er, e.g. bellows, diaphragm,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deformable and acting as a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Valve Housings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밸브(10)는, 변위량 규제 수단(예를 들어, 유량 제어장치(100))을 구비한다. 변위량 규제 수단을 구성하는 맞닿음 부재(62)는, 파일럿 챔버(26) 내로 돌출하며, 밸브체(14)를 구성하는 밸브 본체부(40)의 상단면에 대향한다. 밸브체(14)(밸브 본체부(40))가 밸브 시트(32)로부터 이격되어 밸브(10)가 개방 상태로 될 때, 맞닿음 부재(62)는 밸브 본체부(40)의 상단면에 맞닿는다. 이 맞닿음에 의해, 밸브체(14)의 변위가 규제된다.

Description

밸브 {VALVE}
본 발명은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력유체의 유량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한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제3095983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밸브는, 그 개폐에 의해 압력유체를 유동정지 상태로부터 유동 상태로, 또는 유동 상태로부터 유동정지 상태로 전환하는 것으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압력유체의 유량은, 매스 플로 컨트롤러(mass flow controller)라고도 하는 유량 제어 장치 등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 들어, 토출 장치에서는, 필요량 이상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압력유체의 유량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렇지만, 매스 플로 컨트롤러에서는, 특히 순간적인 토출에 있어서 유량을 미소하게 변화시키는 것과 같은 정밀 제어는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압력유체의 유량을 정밀하게 규제하는 것이 가능한 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압력유체가 공급되는 입구 포트와, 상기 압력유체가 배출되는 출구 포트와, 상기 입구 포트 및 상기 출구 포트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 챔버를 갖춘 몸체와, 상기 밸브 챔버에 배치되어 상기 입구 포트와 상기 출구 포트를 연통 또는 연통 차단하는 밸브체를 포함하는 밸브로서,
상기 밸브체와 함께 파일럿 챔버를 형성하는 보닛(bonnet)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체는, 상기 밸브 챔버 내에 설치된 밸브 시트에 대해서 착좌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밸브 본체부와, 상기 몸체와 상기 보닛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다이어프램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본체부에 대해서 맞닿는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상기 밸브 본체부에 맞닿아 상기 밸브 본체부의 변위를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밸브체의 변위량을 규제하는 맞닿음 부재를 포함하는 변위량 규제 수단을 가지는 밸브가 제공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맞닿음 부재를 밸브체에 맞닿게 함으로써, 밸브체의 그 이상의 변위를 방지하고 있다. 이 변위가 정지한 때의 개방도(opening degree)가 밸브의 최대 개방도로서 결정된다. 이것에 의해, 밸브의 최대 개방도를, 맞닿음 부재가 밸브체에 맞닿지 않은 경우에 얻어지는 설계 최대 개방도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수반하여, 밸브로부터 토출되는 압력유체의 유량이 설계 유량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이 밸브를 토출 장치에 이용하는 경우, 필요량 이상의 압력유체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맞닿음 부재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밸브체의 정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밸브의 최대 개방도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맞닿음 부재의 위치를 엄밀하게 조절하는 것에 의해, 밸브의 최대 개방도, 나아가서는 밸브로부터 토출되는 압력유체의 유량 및 피크 압력을 정밀하게 규제할 수 있다.
보닛은, 예를 들어, 단차부를 가지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차부는 파일럿 챔버 내의 압력유체를 외부로 배출 제어하는 파일럿 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또, 보닛은 변위량 규제 수단을 구비하는 원통형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단차부가 원통형상부의 일부에 형성되면, 밸브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밸브에는 맞닿음 부재를 고정적으로 위치결정 고정하는 잠금 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맞닿음 부재가 고정적으로 위치결정되므로, 밸브의 최대 개방도가 일정하게 되고, 이때의 압력유체의 유량이 안정되기 때문이다. 또, 잠금 수단에 의해, 작업자가 간단하게 개방도를 조정할 수가 없게 된다. 이 때문에, 관리자가 미리 설정한 필요량 이상의 토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는 밸브체에 맞닿아 이 밸브체의 더 이상의 변위를 저지하는, 다시 말해서, 밸브체의 변위량을 규제하는 맞닿음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맞닿음 부재에 의해 밸브의 최대 개방도를 설계 최대 개방도보다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밸브로부터 토출되는 압력유체의 유량을 설계 유량보다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밸브체에 대한 맞닿음 부재의 당접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밸브체의 정지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밸브의 최대 개방도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맞닿음 부재의 위치를 엄밀하게 조절하는 것에 의해, 밸브의 최대 개방도, 나아가서는 밸브로부터 토출되는 압력유체의 유량이나 피크 압력을 정밀하게 규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이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한 토출 장치에서는, 필요량 이상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된 그리고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예로서 도시되어 있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할 때, 이어지는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밸브의 개략적인 전체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밸브를 구성하는 유량 제어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밸브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의 개략적인 전체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밸브의 개략적인 전체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밸브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들어,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왼쪽", "오른쪽", "위쪽" 및 "아래쪽"은, 도 1에 있어서의 좌, 우, 상 및 하에 대응한다. 이러한 방향 지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편의상의 것이며, 사용시의 밸브의 방향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밸브(10)의 개략 전체 종단면도이다. 이 밸브(10)는, 몸체(12)와, 이 몸체(12)의 내부에 수용된 밸브체(14)와, 몸체(12)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16)를 폐쇄시키는 보닛(18)을 구비한다.
몸체(12)에는, 그 좌측부에 입구 포트(20)가 형성되는 동시에, 그 하부에 출구 포트(22)가 형성된다. 즉, 입구 포트(20)와 출구 포트(22)는 서로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위치 관계에 있다. 또, 몸체(12)의 내부는, 밸브체(14)에 의해 밸브 챔버(24)와 파일럿 챔버(26)로 구획된다.
그리고, 출구 포트(22)가 형성된 원통형벽부(30)는 밸브 챔버(24)의 내부로 돌출하고, 그 상단부는 밸브체(14)가 착좌 또는 이격되는 밸브 시트부(32)로서 기능한다. 이 밸브 시트부(32)는, 입구 포트(20)의 축 중심 부근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몸체(12)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16)의 내주측 단부에는, 위쪽으로 향하여 환형상으로 돌출하는 환형상 돌기부(34)가 형성된다. 이 환형상 돌기부(34)는, 그 내주 상단이 가장 높고, 또한 외주측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환형상 돌기부(34)와 개구부(16)의 외주측 단부와의 사이에는, 환형상 홈(36)이 형성된다.
이 경우, 밸브체(14)는, 밸브 본체부(40)와, 이 밸브 본체부(40)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다이어프램부(42)를 일체로 가지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진다. 다이어프램부(42)는 가요성 박막의 형태를 갖는다. 이런 종류의 밸브체(14)는, 예를 들어, 탄성을 갖는 수지재료로 형성된다.
밸브 본체부(40)는, 그 하단부가 출구 포트(22)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 밸브 본체부(40)의 하단부의 중앙에는, 출구 포트(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즉, 위쪽을 향해 오목한 오목부(44)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이 오목부(44)의 외측 가장자리부는, 오목부(44)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환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환형상으로 돌출된 외측 가장자리부가, 밸브 시트부(32)에 착좌 가능한 착좌부(46)가 된다. 착좌부(46)의 하단면에는, 밸브 시트부(32)를 향하여 돌출하는 환형상 볼록부(48)가 설치된다.
또, 밸브 본체부(40)에는, 그 외주면 및 상단면에서 개구되는 파일럿 통로(50)가 형성된다. 이 파일럿 통로(50)는, 밸브 본체부(40)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후, 밸브 본체부(40)의 상단부를 향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절곡되고 상단면을 향하여 관통할 때까지 연장된다. 즉, 파일럿 통로(50)는, 밸브 본체부(40)의 내부에 있어서 단면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밸브 본체부(40)의 외주측인 밸브 챔버(24)와, 위쪽인 파일럿 챔버(26)를 연통시키고 있다.
한편 다이어프램부(42)는, 그 내주부가 밸브 본체부(40)에 연결된다. 또, 이 다이어프램부(42)의 외측 가장자리부에는 후크부(52)가 돌출 형성되는 동시에, 이 후크부(52)는 상기 환형상 홈(36)에 삽입된다.
다이어프램부(42)의 외측 가장자리부와 몸체(12) 및 보닛(18)과의 사이에는, 이 외측 가장자리부의 직경방향 외측에, 직경방향을 따른 소정간격의 간극(54)이 제공된다. 다이어프램부(42)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몸체(12)와 보닛(18)과의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눌려 변형되면, 눌려 변형된 부위가 외주측의 간극(54)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밸브 본체부(40)의, 파일럿 챔버(26)를 향하는 상단면에는, 후술하는 변위 부재(60)의 하부 선단에 설치된 맞닿음 부재(62)가 맞닿는다.
보닛(18)은, 예를 들어,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부(64)와, 이 베이스부(64)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원통형상부(68)와, 원통형상부(68)의 일부에 설치된 단차부(66)를 가지며, 이들 구성요소 중 베이스부(64)는, 몸체(12)의 개구부(16)를 폐쇄한다. 이 폐쇄에 의해, 밸브체(14)와 베이스부(64)와의 사이에 파일럿 챔버(26)가 형성된다.
베이스부(64)의, 밸브체(14)를 향하는 하부면의 외측 가장자리부에는, 밸브체(14)를 구성하는 다이어프램부(42)의 외주부와 결합되는 결합부(70)가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된다. 한편, 결합부(70)의 내측에는, 맞닿음 부재(62)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오목부(72)가 형성된다. 오목부(72)는, 베이스부(64)의 위쪽을 향하여 함몰되어 있다.
보닛(18)은, 몸체(12)의 환형상 홈(36)에 다이어프램부(42)의 후크부(52)가 삽입된 상태로, 몸체(12)의 개구부(16)를 덮는다. 이 때, 다이어프램부(42)의, 후크부(52)를 포함하는 외측 가장자리부가 결합부(70)와 몸체(12)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체결 볼트(도시생략)가 보닛(18)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복수의 볼트 통과구멍(도시생략)을 통하여 몸체(12)의 나사결합 구멍(도시생략)에 나사결합됨으로써, 보닛(18)이 몸체(12)에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부(42)의 외측 가장자리부와 몸체(12)의 환형상 벽과의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간극(54)이 형성되어 있다. 다이어프램부(42)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몸체(12)와 보닛(18)의 하단 주위의 결합부(70)에 의해 사이에 끼워져 눌려 변형되면, 변형된 부위가 간극(54)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다이어프램부(42)가 용이하게 변형된다.
단차부(66)에는, 다이어프램부(42)를 향하여 구멍부(바람직하게는 나사구멍)(73)가 설치되고, 이 구멍부(73)를 폐쇄하도록 파일럿 밸브(74)가 설치된다. 파일럿 밸브(74)의 조립체 하단부는 중공의 나사형상이라 구멍부(73)에 나사결합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파일럿 밸브(74)는, 통전에 의해 여자되는 솔레노이드부를 가지는 2-방향 밸브로 이루어지고, 이 솔레노이드부의 여자작용 하에 개방 상태가 되어, 단차부(66)에 제공된 파일럿 포트(76)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한다. 또, 베이스부(64)의, 오목부(72)의 개구 부근에는, 파일럿 포트(76)에 연통하는 환형상 통로(78)가 형성된다.
원통형상부(68)에는, 변위량 규제 수단으로서의 유량 제어장치(100)가 설치된다. 이 유량 제어장치(100)는, 기본적으로는 일본 특허 제6179510호 공보에 기재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이하에 그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유량 제어장치(100)는, 유량 조절 표시부(102)와 변위 부재(60)를 주로 갖는다. 변위 부재(60)는, 원통형상부(68)의 축선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삽입 구멍(104)에 삽입된다. 변위 부재(60)의 하단 선단부는 파일럿 챔버(26) 내로 돌출되어 맞닿음 부재(62)에 대향된다.
유량 조절 표시부(102)는, 파일럿 챔버(26) 내에 있어서의 변위 부재(60)의 돌출량을 조절하고 이것에 의해 밸브체(14)의 변위를 규제하기 위한 조작 기구를 겸한다. 유량 조절 표시부(102)는, 상기 조작 기구를 수용하는 케이싱(106)과, 케이싱(106)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노브(108)를 갖는다. 케이싱(106)은 보닛(18)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106)은, 분할 가능한 하부 케이싱(110)과 상부 케이싱(112)을 갖는다. 상부 케이싱(112)은, 하부 케이싱(110)과의 장착 상태에서 소정의 용적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상부 케이싱(112)의, 하부 케이싱(110)을 향하는 단부는 내경이 비교적 큰 개구이며, 이 개구에, 하부 케이싱(110)의 상단부가 삽입된다. 또, 하부 케이싱(110)의 측면에는, 복수(예를 들어, 4개)의 걸림 슬롯(114)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이 걸림 슬롯(114)에는, 상부 케이싱(112)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장착용 후크(116)가 삽입된다. 이 장착용 후크(116)의 걸림 슬롯(114)에의 삽입에 의해, 하부 케이싱(110)과 상부 케이싱(112)이 연결된다.
상부 케이싱(112)의 측면에는, 표시창(120)이 형성되어 있다. 노브(108)는, 사용자에 의해 케이싱(106)과 상대적으로 회전 조작됨으로써, 밸브(10) 내의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조작부로서 기능한다. 표시창(120)에는, 유체의 유량 변화(즉, 노브(108)의 회전량)가 수치로서 표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108)는, 표면측이 바닥이 되는 사용자 통형상(bottomed cylindrical shape)으로 형성되고, 통 내의 상부 바닥 중앙에는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통 형상의 끼워맞춤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부(122)에는 회전 전달 부재(124)가 끼워맞춰진다. 끼워맞춤부(122)의 내주면(암형(female shape))과 회전 전달 부재(124)의 외주면(숫형(male shape))은, 노브(108)가 상하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또한 위쪽으로 변위된 위치에서 끼워맞춰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끼워맞춤 상태에서는, 노브(108)의 회전력이 회전 전달 부재(124)에 매끄럽게 전달된다.
회전 전달 부재(124)는, 변위 부재(60) 및 맞닿음 부재(62)의 변위를 조작하는 부재이며,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 이 회전 전달 부재(124)는, 중공 원통형상의 통부(126)와, 통부(126)의 상면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기둥부(128)를 갖는다.
통부(126)의 중공 내부는, 그 축선방향을 따라, 변위 부재(60)의 축부(130)가 진퇴 가능한 공간부(131)로서 형성되어 있다. 공간부(131)의 내주벽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암나사부에는, 변위 부재(60)의 축부(130)의 외주 측벽에 형성된 수나사부가 나사결합 된다.
기둥부(128)는, 외경이 통부(126)에 비해 직경이 작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케이싱(106) 내를 통하여 위쪽으로 연장되고, 그 상단부가 노브(108)에 연결되어 있다.
변위 부재(60)는,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실의 원형 봉부재이다. 이 변위 부재(60)는, 연결 하단부(132)와 상기 축부(130)를 갖는다. 맞닿음 부재(62)는, 연결 하단부(132)의 끝면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 본체부(40)의 상면에 맞닿을 수 있다.
축부(130)는, 축선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그 측벽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나사부는, 축부(130)를 향하여 연장하는 회전 전달 부재(124)(변위 조작부) 내면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 된다. 이 때문에, 회전 전달 부재(124)를 회전시키면, 축부(130)를 포함한 변위 부재(60)를 상하방향을 따라 진퇴 이동(변위)시킬 수 있다.
유량 조절 표시부(102)는, 전술한 케이싱(106), 노브(108) 및 회전 전달 부재(124) 이외에도, 케이싱(106) 내에 설치되는 표시 링(134)을 구비한다.
표시 링(134)은, 돔 형상의 상부 케이싱(112)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된다. 상부 케이싱(112)의 측면에는 전술한 표시창(120)이 형성되어, 이 표시창(120)으로부터 표시 링(134)의 눈금(136)이 인식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부 케이싱(112)은, 소정의 내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상부 돌출부(138)을 갖는다. 이 상부 돌출부(138)는, 노브(108)의 내부에 삽입됨과 함께 노브(108)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상부 돌출부(138)의 외주면에는, 상단부에 노브 회전 규제부(140)가 설치되고, 더욱이 노브 회전 규제부(140)의 하부에는 제1 환형상 돌기부(142), 제2 환형상 돌기부(14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노브(108)의 하단부의 내측 돌기부(108a)가 제1 및 제2 환형상 돌기부(142, 144)에 단계적으로 걸어맞춰질 수 있다.
끼워맞춤부(122)를 둘러싸는 노브(108)의 벽부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복수의 돌기(108b)가 형성되어 있다. 또, 벽부의 내주면 상부에는 노브 회전 규제부(140)에 맞닿는 맞닿음부(146)가 설치되어 있다. 벽부의 내주면 하부에는 직경방향 내측안쪽에 돌출하는 내측 돌기부(108a)가 설치되어 있다.
노브(108)는, 상부 돌출부(138)에 대한 상하 위치에 의해, 회전 가능 상태 및 회전 저지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노브(108)가 아래쪽 위치에 있어서, 내측 돌기부(108a)가 상부 돌출부(138)의 제2 환형상 돌기부(144)에 걸리는 상태에서는, 노브(108)의 맞닿음부(146)가 노브 회전 규제부(140)에 맞닿게 되어 회전이 규제된다. 노브(108)를 회전 조작할 경우는, 노브(108)가 제2 환형상 돌기부(144)를 넘어 가도록 끌어올림으로써, 맞닿음부(146)와 노브 회전 규제부(140)의 맞닿음을 해제시킨다. 이것에 의해 노브(108)가 상부 케이싱(11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된다.
표시 링(134)은, 회전 전달 부재(124)를 관통하는 구멍부(148)를 가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표시 링(134)는, 스페이서(150)에 의해, 회전 전달 부재(124)의 삽입 위치에 대해서 회전 중심이 편심되도록 배치된다. 또, 표시 링(134)은, 외주면의 상부측이 경사진 테이퍼면을 가지며, 이 테이퍼면에는, 유체의 유량 변화를 표시하는 눈금(136)이 인자되어 있다. 눈금(136)은, 표시창(120)을 향한다. 이 때문에, 눈금(136)은 사용자에게 명료하게 인식될 수 있다.
표시 링(134)의 배치 상태에서는, 회전 전달 부재(124)가 구멍부(148) 내로 삽입된다. 표시 링(134)에는 내접 이빨(도시생략)이 형성됨과 함께, 회전 전달 부재(124)의 외주면에는 치합부(도시생략)가 형성된다. 표시 링(134)은, 치합부가 내접 이빨에 걸어맞춰질 때(치합될 때)에만 회전 조작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밸브(10)는, 기본적으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다. 다음에, 밸브(10)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밸브(10) 내를 유동하는 압력유체에 대해 유량 제어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노브(108)를 파지하여 위쪽으로 끌어올린다. 그 결과, 노브(108)의 하단부의 내측 돌기부(108a)가 제1 환형상 돌기부(142)에 걸어맞춰지고, 치합부가 내접 이빨에 걸어맞춰진 상태가 된다. 그 후, 사용자가 노브(108)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회전 전달 부재(124) 및 표시 링(134)이 회전한다. 회전 전달 부재(124)의 회전에 추종하여, 변위 부재(60)가 회전하면서 통부(126)의 공간부(131) 내에서 하강 또는 상승한다. 이것에 추종하여, 맞닿음 부재(62)가 파일럿 챔버(26) 내에서 하강 또는 상승한다.
맞닿음 부재(62)의 위치는, 표시 링(134)의 눈금(136)에 의해 파악할 수 있다. 즉, 눈금(136)의 숫자에 대응하여 밸브(10) 내의 압력유체의 유량을 증가시키고 싶을 때에는, 눈금(136)의 숫자가 커짐에 따라 변위 부재(60) 및 맞닿음 부재(62)가 상승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눈금(136)이 소정 또는 목표값을 표시할 때, 사용자는, 노브(108)의 회전을 정지한다. 또한, 노브(108)를 밀어 넣어, 노브(108)의 하단부의 내측 돌기부(108a)가 제2 환형상 돌기부(144)에 걸어맞춰짐과 함께, 치합부와 내접 이빨의 걸어맞춤이 해제된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노브(108)가 잠겨 회전할 수 없게 됨과 함께, 변위 부재(60) 및 맞닿음 부재(62)가 변위할 수 없게 된다.
파일럿 밸브(74)로부터 파일럿 압력유체, 다시 말해서, 파일럿 압력이 공급되고 있지 않을 때, 밸브체(14)를 구성하는 밸브 본체부(40)는 밸브 시트부(32)에 대해서 착좌된다. 이 때문에, 밸브 챔버(24)와 출구 포트(22)는 연통 차단 상태에 있고, 밸브(10)는 폐쇄 상태이다.
밸브(10)를 개방 상태로 하려면, 압력유체 공급원으로부터의 압력유체를, 입구 포트(20)를 통하여 밸브 챔버(24)에 도입한다. 압력유체는, 밸브 챔버(24)에 개구된 파일럿 통로(50)를 유동하여, 보닛(18) 측의 파일럿 챔버(26)에 유입한다. 밸브체(14)는, 파일럿 챔버(26) 내의 압력유체의 압력을 받아 밸브 시트부(32) 측에 가압된다.
다음에, 파일럿 밸브(74)가 통전되면, 2방향 밸브인 파일럿 밸브(74)가 개방되고, 그 결과 파일럿 포트(76)가 개방된다. 따라서, 파일럿 챔버(26) 내의 압력유체가 파일럿 포트(76)를 통하여 서서히 외부로 배출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파일럿 챔버(26) 내의 압력이 저하하면, 밸브체(14)에 대한 가압력이 저하한다. 따라서, 밸브 챔버(24) 내의 압력유체의 압력이 파일럿 챔버(26) 내에 비해 커져, 밸브 본체부(40)가 밸브 시트부(32)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즉, 착좌부(46)가 밸브 시트부(32)로부터 이격된다. 이것에 의해 밸브(10)는 개방 상태가 되고, 입구 포트(20)로부터 밸브 챔버(24)에 유입한 압력유체가 출구 포트(22)로부터 토출된다.
상승한 밸브 본체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면이 맞닿음 부재(62)에 맞닿음으로써 정지한다. 즉, 맞닿음 부재(62)에 의해, 밸브체(14)의 그 이상의 상승이 저지된다. 따라서, 착좌부(46)와 밸브 시트부(32)와의 이격 거리, 다시 말해서, 밸브(10)의 개방도가 정해진다. 압력유체는, 이 개방도에 알맞은 유량으로 출구 포트(22)로부터 토출된다.
변위 부재(60) 및 맞닿음 부재(62)의 위치는, 노브(108)를 회전시킴으로써 변경된다. 맞닿음 부재(62)의, 파일럿 챔버(26) 내로의 돌출량이 증가하는 만큼, 밸브체(14)의 상승량이 감소하게 되고, 밸브(10)의 개방도가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압력유체의 유량이 적어지게 된다. 이것과는 반대로, 맞닿음 부재(62)의 돌출량이 감소할수록 밸브체(14)의 상승량 및 밸브(10)의 개방도가 커져, 압력유체의 유량이 많아진다.
이것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맞닿음 부재(62)의 밸브 본체부(40)에 대한 맞닿음 위치에 의해, 밸브(10)의 개방도가 정해짐과 함께 압력유체의 유량이 정해진다. 즉, 유량 제어장치(100)에 의해 압력유체의 최대 유량 및 피크 압력이 규제된다.
맞닿음 부재(62)의 돌출량은, 노브(108)를 회전시킴으로써 정밀하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출구 포트(22)로부터 도출되는 압력유체의 최대 유량을 미소하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압력유체의 유량을 정밀하게 규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밸브(10)를 토출 장치에 이용할 경우, 필요량 이상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압력유체의 소정의 유동이 종료하여, 착좌부(46)를 밸브 시트부(32)에 착좌시켜 밸브(10)를 닫힌 상태로 하려면, 먼저 파일럿 밸브(74)에 대한 통전을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해당 파일럿 밸브(74)가 폐쇄되고, 이 결과, 파일럿 포트(76)를 통한 파일럿 챔버(26)로부터의 압력유체의 배출이 정지된다. 이것에 의해 파일럿 챔버(26) 내가 밀폐 상태로 되어, 파일럿 통로(50)를 통하여 밸브 챔버(24)로부터 유입하는 압력유체가 축적된다. 그 결과, 파일럿 챔버(26) 내의 압력이 서서히 상승한다.
파일럿 챔버(26) 내의 압력이 밸브 챔버(24) 내의 압력을 상회하면, 밸브체(14)가 파일럿 챔버(26) 내의 압력유체에 의해 밸브 시트부(32) 측으로 가압된다. 그 결과, 착좌부(46)가 밸브 시트부(32)에 착좌되어 밸브 챔버(24)와 출구 포트(22)의 연통이 차단되고, 그에 따라 밸브(10)가 폐쇄되어 압력유체의 유동이 정지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닿음 부재를 비교적 긴 나사(160)로 구성함과 함께, 해당 나사(160)의 수나사부에 너트(162)를 나사결합하여 유량 제어부를 구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밸브(164)에 있어서는, 원통형상부(68)에 나사구멍(166)을 형성함과 함께, 해당 나사구멍(166)에 나사(160)의 수나사부를 삽입하여 나사(160)를 회전시킨다. 나사(160)가 나사구멍(166)의 소정 깊이까지 도달하면, 너트(162)를 체결한다. 이 체결에 의해, 나사(160)가 고정적으로 위치결정된다. 즉, 이 경우, 너트(162)는, 나사(160)가 변위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물론, 나사(160)의, 파일럿 챔버(26)로의 돌출량의 크기에 의해, 밸브체(14)의 변위량, 나아가서는 밸브(164)의 개방도가 정해진다.
또, 밸브 본체부와 다이어프램부를 별도의 부재로 구성한 다음, 양자를 조합할 수도 있다.
10: 밸브, 12: 몸체, 14: 밸브체, 18: 보닛, 20: 입구 포트, 22: 출구 포트, 24: 밸브 챔버, 26: 파일럿 챔버, 32: 밸브 시트, 40: 밸브 본체부, 42: 다이어프램부, 62: 맞닿음 부재, 66: 단차부, 68: 원통형상부, 74: 파일럿 밸브, 100: 변위량 규제 수단.

Claims (4)

  1. 몸체(12) 및 밸브체(14)를 포함하는 밸브(10)로서, 상기 몸체(12)는 압력유체가 공급되는 입구 포트(20), 상기 압력유체가 배출되는 출구 포트(22), 및 상기 입구 포트(20)와 상기 출구 포트(22)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 챔버(24)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체(14)는 상기 밸브 챔버(24)에 배치되어 상기 입구 포트(20)와 상기 출구 포트(22)를 연통 또는 연통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밸브(10)에 있어서,
    상기 밸브(10)는 상기 밸브체(14)와 함께 파일럿 챔버(26)를 형성하는 보닛(18)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체(14)는, 상기 밸브 챔버(24) 내에 설치된 밸브 시트(32)에 대해서 착좌 또는 이격하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밸브 본체부(40), 및 상기 몸체(12)와 상기 보닛(18) 사이에 설치된 다이어프램부(42)를 가지며,
    상기 보닛(18)에 변위량 규제 수단(100)이 설치되고, 상기 변위량 규제 수단(100)의 일부가 상기 보닛(18)의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변위량 규제 수단(100)은,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밸브 본체부(40)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하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변위 부재(60)와, 상기 변위 부재(60)에 설치되어 상기 변위 부재(60)와 일체로 변위하는 맞닿음 부재(62)와, 상기 변위 부재(60)의 회전을 규제하는 잠금 수단을 가지며,
    상기 맞닿음 부재(62)가, 상기 파일럿 챔버(26) 내에서, 상기 잠금 수단으로 상기 변위 부재(60)의 회전이 규제되는 것에 의해 정지된 위치에서 상기 밸브 본체부(40)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변위량 규제 수단(100)이 상기 밸브체(14)의 변위를 규제함과 함께,
    상기 보닛(18)의 외부에 노출된 상기 변위량 규제 수단(100)의 일부로부터, 상기 변위부재(60)의, 상기 파일럿 챔버(26) 내로의 돌출량의 대소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1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닛(18)은 단차부(66)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66)는 상기 파일럿 챔버(26)의 압력유체를 외부로 배출 제어하는 파일럿 밸브(7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10).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닛(18)은 상기 변위량 규제 수단(100)이 부착되는 원통형상부(68)를 가지며, 상기 단차부(66)는 상기 원통형상부(68)의 일부에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10).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 부재(62)를 고정적으로 위치결정하는 잠금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10).
KR1020190015942A 2018-02-14 2019-02-12 밸브 KR1025531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24294 2018-02-14
JP2018024294A JP6914476B2 (ja) 2018-02-14 2018-02-14 バルブ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711A KR20190098711A (ko) 2019-08-22
KR102553100B1 true KR102553100B1 (ko) 2023-07-07

Family

ID=67400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942A KR102553100B1 (ko) 2018-02-14 2019-02-12 밸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55448B2 (ko)
JP (1) JP6914476B2 (ko)
KR (1) KR102553100B1 (ko)
CN (1) CN110159789A (ko)
AU (1) AU2019200999B2 (ko)
DE (1) DE102019103165A1 (ko)
TW (1) TWI7831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5712B2 (en) * 2018-02-23 2020-10-27 Schlage Lock Company Llc Door closer apparatus and method
US10858872B2 (en) 2018-06-19 2020-12-08 Schlage Lock Company Llc Door closer casings
US10704310B1 (en) * 2019-02-08 2020-07-07 Schlage Lock Company Llc Door closer power adjustment
CN114466983B (zh) * 2019-10-02 2023-12-29 Smc 株式会社 高压流体喷出装置
US11454256B1 (en) * 2021-03-15 2022-09-27 Striped Monkey IP Interlocked single function activation valve
US20230332450A1 (en) * 2022-04-13 2023-10-19 Schlage Lock Company Llc Adjustment screw indicator mechanis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4659A (ja) * 2003-04-21 2004-11-18 Denso Corp パイロット式電磁弁
JP2006519971A (ja) 2003-03-07 2006-08-31 スワゲロック カンパニー 調節ストップをもつバルブ
JP2007509291A (ja) 2003-10-17 2007-04-12 サンデュー・テクノロジーズ・エルエルシー 高速応答性および調整可能伝導性を有するフェイルセイフ空気圧作動弁
CN104379979A (zh) 2012-06-14 2015-02-25 Smc株式会社 流量控制装置
CN104728458A (zh) 2013-12-18 2015-06-24 李洋 一种阀轴连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5304A (en) * 1938-12-01 1941-03-18 Perfection Gear Company Valve
US2877978A (en) * 1954-03-29 1959-03-17 Viking Corp Control valve
US3189041A (en) * 1962-03-05 1965-06-15 Refrigerating Specialties Comp Refrigeration pressure regulator
MC1123A1 (fr) * 1976-07-20 1977-08-12 G Grandclement Electrovanne
US4135696A (en) * 1976-11-01 1979-01-23 Richdel, Inc. Pilot operated diaphragm valve
US4535805A (en) * 1983-04-21 1985-08-20 Emerson Electric Co. Pilot operated valve with pressure relief
JPS6179510A (ja) 1984-09-28 1986-04-23 Takiron Co Ltd 波形管の穿孔装置
US4971106A (en) * 1987-09-30 1990-11-20 Toto, Ltd. Automatically operating valve for regulating water flow and faucet provided with said valve
US5335688A (en) * 1993-03-29 1994-08-09 Imperial Underground Sprinkler Co. Variable pressure regulating valve system
JPH071381U (ja) * 1993-06-10 1995-01-10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方向制御弁
JP3095983B2 (ja) 1995-09-29 2000-10-10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パイロット式ダイアフラム弁
US6079437A (en) * 1999-01-25 2000-06-27 Hunter Industries, Inc. Diaphragm valve with flow control stem air bleed
DE10084246T1 (de) * 1999-02-19 2003-04-24 Automatic Switch Co Proportionaldurchströmventil mit erweitertem Strömungsbereich
US6290203B1 (en) * 2000-01-18 2001-09-18 Kolze, Inc. Pilot operated valve assembly
JP2002161989A (ja) * 2000-11-27 2002-06-07 Kane Kogyo Kk 定水位弁
JP3095983U (ja) 2003-02-18 2003-08-29 株式会社キングジム 書類用ホルダー
US6929026B1 (en) * 2003-03-28 2005-08-16 Joseph Wilfred Arlinghaus, Jr. Sanitary liquid pressure regulator
JP4275463B2 (ja) * 2003-06-04 2009-06-10 藤倉ゴム工業株式会社 電空変換式空気レギュレータ
US7318447B2 (en) * 2004-01-21 2008-01-15 Fisher Controls International Llc. Pressure loaded pilot system and method for a regulator without atmospheric bleed
JP4801375B2 (ja) * 2005-05-26 2011-10-26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エアオペレイトバルブ
US8172197B2 (en) * 2006-07-06 2012-05-08 Mks Instruments, Inc. Fast-acting pneumatic diaphragm valve
US9341281B2 (en) * 2007-02-12 2016-05-17 Colt Irrigation Llc Fluid activated flow control apparatus
JP4744459B2 (ja) * 2007-02-14 2011-08-10 日信工業株式会社 常開型電磁弁
GB0902247D0 (en) * 2009-02-12 2009-03-25 Surestop Ltd Shut-off valve
US8245727B2 (en) * 2009-06-26 2012-08-21 Pamela Mooney, legal representative Flow control valve and method of use
MX340261B (es) * 2012-06-01 2016-07-04 Avk Holding As Ensamblaje de válvula de control hidráulico y sistema de control para redes de abastecimiento de agua.
US10088849B2 (en) * 2014-01-23 2018-10-02 Colt Irrigation, LLC Fluid activated flow control apparatus
PL3218624T3 (pl) * 2014-11-16 2020-08-24 Bermad Cs Ltd. Zawór zalewowy ze spustem gniazda zaworu
CN104728468A (zh) 2015-03-27 2015-06-24 宁波华成阀门有限公司 三通电磁阀
CN105673903B (zh) * 2016-04-18 2018-04-13 黄幼华 一种自力式平衡阀
US10480676B2 (en) * 2016-08-01 2019-11-19 Smc Corporation Valve
CN106907515A (zh) * 2017-04-05 2017-06-30 中山市韩汇环保科技有限公司 按钮式磁力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9971A (ja) 2003-03-07 2006-08-31 スワゲロック カンパニー 調節ストップをもつバルブ
JP2004324659A (ja) * 2003-04-21 2004-11-18 Denso Corp パイロット式電磁弁
JP2007509291A (ja) 2003-10-17 2007-04-12 サンデュー・テクノロジーズ・エルエルシー 高速応答性および調整可能伝導性を有するフェイルセイフ空気圧作動弁
CN104379979A (zh) 2012-06-14 2015-02-25 Smc株式会社 流量控制装置
CN104728458A (zh) 2013-12-18 2015-06-24 李洋 一种阀轴连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49784A1 (en) 2019-08-15
KR20190098711A (ko) 2019-08-22
CN110159789A (zh) 2019-08-23
JP2019138427A (ja) 2019-08-22
AU2019200999A1 (en) 2019-08-29
AU2019200999B2 (en) 2024-04-18
TWI783119B (zh) 2022-11-11
DE102019103165A1 (de) 2019-08-14
TW201937088A (zh) 2019-09-16
JP6914476B2 (ja) 2021-08-04
US11255448B2 (en)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3100B1 (ko) 밸브
CN107013703B (zh) 淋浴控制装置和淋浴装置
US7871020B2 (en) Faucet spray head with volume control
US4301992A (en) Diaphragm valve
EP2778820A1 (en) Thermostatic valve
CA2587056C (en) Dual bypass for piston-type flushometer
MX2010014385A (es) Regulador de fluido.
MX2008016553A (es) Valvula de descarga.
EP3044382B1 (en) Syphon assembly
US20060202138A1 (en) Level-handled type automatic shutoff faucet structure
JP2014228058A (ja) 流量調整装置
EP2738638B1 (en) Flow rate adjusting device
CN103547843B (zh) 流速控制设备
US4662602A (en) Metering valve
KR20200068711A (ko) 압축유체 토출 제어장치
US4022380A (en) Fluid flow control valve
EP2839084B1 (en) Rigid piston valve incorporating a solenoid
KR20010090591A (ko) 정지밸브의 작동상태를 시각적으로 점검하기 위한 장치,및 정상폐쇄밸브용 수동개방장치
CA2979011C (en) Variable dual flow fitting
US6540205B1 (en) Fine-adjustment flow control valve
CN210050345U (zh) 延时龙头
EP1429061A1 (en) Self-closing tap with adjustable dispensing time
JP2005264459A (ja) 開閉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水栓装置
JP7123842B2 (ja) 流量調節弁装置
KR101239005B1 (ko)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