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506B1 -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506B1
KR102552506B1 KR1020180140077A KR20180140077A KR102552506B1 KR 102552506 B1 KR102552506 B1 KR 102552506B1 KR 1020180140077 A KR1020180140077 A KR 1020180140077A KR 20180140077 A KR20180140077 A KR 20180140077A KR 102552506 B1 KR102552506 B1 KR 102552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sill
vehicle
matching flange
connecting member
suppor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6129A (ko
Inventor
김현식
이병천
정희석
홍덕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0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506B1/ko
Priority to US16/535,403 priority patent/US10967910B2/en
Priority to DE102019122090.4A priority patent/DE102019122090A1/de
Priority to CN201910831357.7A priority patent/CN111186497B/zh
Publication of KR20200056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for side imp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Abstract

개시된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는, 차량의 플로어의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실, 각 사이드실의 전방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프론트 연결부재, 및 각 사이드실의 후방단에 연결된 한 쌍의 리어 연결부재를 가진다. 각 프론트 연결부재는 프론트 사이드멤버 및 상기 사이드실의 전방단을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각 리어 연결부재는 상기 사이드실의 후방단 및 리어 익스텐션멤버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SIDE SILL STRUCTUR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면충돌 및 측면충돌 시에 충격에너지를 균일하게 분산할 수 있는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플로어의 좌우 측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실(side sill)을 포함한다. 각 사이드실은 플로어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인너 사이드실과, 차량의 외부를 향하는 아웃터 사이드실과, 인너 사이드실과 아웃터 사이드실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의 보강재를 가진다. 복수의 보강재는 사이드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각 사이드실의 전방단은 프론트 사이드멤버의 후방단에 결합되고, 각 사이드실의 후방단은 리어 사이드멤버의 전방단에 결합된다. 사이드실들은 차량의 측면충돌 및 전방 충돌 등으로부터 승객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종래의 사이드실은 복수의 보강재가 서로 이격됨에 따라 측면 충돌에 대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사이드실은 정면 충돌 시에 이격된 복수의 보강재 사이에 힘을 전달하는 구조가 없으므로 정면 충돌 시에 하중이 사이드실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대로 전달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전기차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플로어 측에 배터리가 장착되고, 차량 충돌 시에 사이드실의 전방단과 프론트 사이드멤버의 후방단 사이의결합부가 쉽게 파손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프론트 사이드멤버의 후방단이 배터리를 타격함에 따라 화재 발생가능성이 높아져 승객 보호에 매우 불리한 단점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정면충돌 및 측면충돌 시에 충격에너지를 균일하게 분산함으로써 차량 충돌로부터 운전자 및 승객을 안정하게 보호할 수 있는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사이드실; 및
프론트 사이드멤버 및 상기 사이드실의 전방단을 연결하는 프론트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실은 상기 차량의 플로어에 결합되는 매칭 플랜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사이드실은 상기 매칭 플랜지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는 내측 연장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연장리브는 상기 사이드실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연결부재는 상기 차량의 플로어에 결합되는 매칭플랜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연결부재는 상기 매칭플랜지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는 내측 연장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연결부재의 매칭 플랜지는 상기 사이드실의 매칭 플랜지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다.
상기 프론트 연결부재의 내측 연장리브는 상기 사이드실의 내측 연장리브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다.
상기 프론트 연결부재는 상기 프론트 사이드멤버의 후방단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사이드실의 전방단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사이드실의 전방단과 접촉하는 외측 지지벽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지지벽은 상기 사이드실의 외측 단면윤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사이드실; 및
리어 익스텐션멤버 및 상기 사이드실의 후방단을 연결하는 리어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실은 상기 차량의 플로어에 결합되는 매칭 플랜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사이드실은 상기 매칭 플랜지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는 내측 연장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연장리브는 상기 사이드실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연결부재는 상기 차량의 플로어에 결합되는 매칭플랜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리어 연결부재는 상기 매칭플랜지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는 내측 연장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 연결부재의 매칭 플랜지는 상기 사이드실의 매칭 플랜지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다.
상기 리어 연결부재의 내측 연장리브는 상기 사이드실의 내측 연장리브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다.
상기 리어 연결부재는 상기 사이드실의 후방단이 연결되는 제3연결부 및 상기 리어 익스텐션멤버의 전방단이 연결되는 제4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부는 상기 사이드실의 후방단과 접촉하는 외측 지지벽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지지벽은 상기 사이드실의 외측 단면윤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너 사이드실의 전방단이 프론트 연결부재의 제2연결부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특히 제2연결부의 외측 지지벽이 인너 사이드실의 전방단과 접촉함에 따라, 차량의 정면충돌 시에 그 충돌하중이 프론트 사이드멤버로부터 제2연결부의 외측 지지벽 및 인너 사이드실의 전방단을 거쳐 사이드실 측으로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너 사이드실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리브가 인너 사이드실의 내측에 마련됨으로써 차량의 측면충돌 강성 또한 대폭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너 사이드실은 압출공정에 의해 복수의 리브 및 내측 연장리브가 일체화된 압출재로 구성되고, 프론트 연결부재는 주조공정에 의해 복수의 리브 및 내측 연장리브가 일체화된 주조재로 구성되며, 리어 연결부재는 주조공정에 의해 복수의 리브 및 내측 연장리브가 일체화된 주조재로 구성됨으로써 차량의 플로어의 양측에 대한 강성이 대폭 강화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전체 실내공간이 안정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너 사이드실이 압출재로 구성되고, 프론트 연결부재 및 리어 연결부재가 주조재로 구성됨에 따라 종래기술에 비해 그 중량 및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론트 연결부재의 제2연결부 및 인너 사이드실 견고하게 연결됨에 따라 차량의 전방 충돌 시에 프론트 연결부재의 제2연결부 및 인너 사이드실이 분리되지 않으므로 배터리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가 적용된 차량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의 사이드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3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도 3의 다른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의 인너 사이드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의 프론트 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7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의 다른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화살표 C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에서 프론트 연결부재의 제2연결부 및 인너 사이드실의 전방단이 연결된 구조를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의 외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에서 프론트 연결부재의 제2연결부 및 인너 사이드실의 전방단이 연결된 구조를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의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에서 프론트 연결부재의 제2연결부 및 인너 사이드실의 전방단이 연결된 구조를 도시한 부분 절취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에서 리어 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화살표 D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E-E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a는 도 14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b는 도 14의 다른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화살표 F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에서 리어 연결부재의 제3연결부 및 인너 사이드실의 후방단이 연결된 구조를 차량의 사이드실 구조의 외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화살표 H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10)는 차량(1)의 플로어(2, floor)의 좌우 측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실(20)과, 각 사이드실(20)의 전방단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프론트 연결부재(30)와, 각 사이드실(20)의 후방단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리어 연결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사이드실(20)은 차량(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각 사이드실(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 사이드실(21) 및 인너 사이드실(21)에 결합되는 아웃터 사이드실(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인너 사이드실(21)은 그 상단에 형성된 상단 플랜지(23) 및 그 하단에 형성된 하단 플랜지(25)를 가질 수 있고, 상단 및 하단 플랜지(23, 25)는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아웃터 사이드실(22)은 그 상단에 형성된 상단 플랜지(24) 및 그 하단에 형성된 하단 플랜지(26)를 가질 수 있고, 상단 및 하단 플랜지(24, 26)는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인너 사이드실(21)의 상단 및 하단 플랜지(23, 25)는 체결구 및/또는 용접 등을 통해 아웃터 사이드실(22)의 상단 및 하단 플랜지(24, 26)에 개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아웃터 사이드실(22)은 인너 사이드실(21)의 길이 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고, 프론트 연결부재(30), 인너 사이드실(21), 리어 연결부재(40)가 아웃터 사이드실(22)에 결합될 수 있다.
인너 사이드실(21)은 차량(1)의 실내공간을 향하는 실내측부(21a, inboard side portion)와, 차량(1)의 외측을 향하는 실외측부(21b, outboard side por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측부(21a)는 "C"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실외측부(21b)는 "C"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인너 사이드실(21)은 실내측부(21a) 및 실외측부(21b)에 의해 한정된 폐단면(closed cross-section)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인너 사이드실(21)은 실내측부(21a) 및 실외측부(21b)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리브(21c, 21d)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리브(21c, 21d)는 인너 사이드실(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21c, 21d)에 의해 인너 사이드실(21)의 강성이 강화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측면충돌 시에 그 충돌하중이 복수의 리브(21c, 21d)를 통해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리브(21c, 21d)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수직리브(21c) 및 수평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수평리브(21d)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측부(21a)는 차량(1)의 플로어(2)에 매칭되는 매칭 플랜지(27)를 가질 수 있고, 실내측부(21a)의 매칭 플랜지(27)는 용접 및/또는 체결구 등을 통해 플로어(2)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매칭 플랜지(27)는 플로어(2)와의 매칭 및 결합 등을 위하여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고, 이에 인너 사이드실(21)의 매칭 플랜지(27)는 차량(1)의 플로어(2)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인너 사이드실(21)는 매칭 플랜지(27)와 실질적으로(substantially) 동일 평면 상에 있는 내측 연장리브(28, inner extention rib)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내측 연장리브(28)는 인너 사이드실(21)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내측 연장리브(28)는 실내측부(21a) 및 실외측부(21b)를 연결하도록 인너 사이드실(21)의 폭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내측 연장리브(28)는 복수의 수직리브(21c)를 통과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내측 연장리브(28)는 실내측부(21a), 실외측부(21b) 및 복수의 수직리브(21c)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내측 연장리브(28)는 인너 사이드실(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내측 연장리브(28)는 도 3의 실선과 같이, 매칭 플랜지(27)와 동일평면 상에 있을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내측 연장리브(28a)는 도 3a와 같이 매칭 플랜지(27)에 대해 상향(upwardly)으로 일정간격만큼 오프셋(offset)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내측 연장리브(28b)는 도 3b와 같이 매칭 플랜지(27)에 대해 하향(downwardly)으로 일정간격만큼 오프셋(offset)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인너 사이드실(21)은 그 전방단으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된 전방 연장부(51, front extention) 및 그 후방단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 후방 연장부(52, rear extention)를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방 연장부(51)는 인너 사이드실(21)의 실내측부(21a)의 전방단 및 매칭 플랜지(27)의 전방단으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전방 연장부(51)는 인너 사이드실(21)의 실내측부(21a)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된 제1연장부(51a)와, 인너 사이드실(21)의 매칭 플랜지(27)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된 제2연장부(51b)와, 인너 사이드실(21)의 내측 플랜지(23)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된 제3연장부(51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 사이드실(21)의 전방 연장부(51)는 프론트 연결부재(30)의 제2연결부(32)의 실내측부(inboard side portion)에 중첩되어 맞붙을 수 있고, 인너 사이드실(21)의 전방 연장부(51)는 프론트 연결부재(30)의 제2연결부(32)에 용접 및/또는 체결구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후방 연장부(52)는 인너 사이드실(21)의 실내측부(21a)의 후방단 및 매칭 플랜지(27)의 후방단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연장부(52)는 인너 사이드실(21)의 실내측부(21a)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 제1연장부(52a)와, 인너 사이드실(21)의 매칭 플랜지(27)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 제2연장부(52b)와, 인너 사이드실(21)의 상단 플랜지(23)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 제3연장부(52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 사이드실(21)의 후방 연장부(52)는 리어 연결부재(40)의 제3연결부(41)의 실내측부(inboard side portion)에 중첩되어 맞붙을 수 있고, 인너 사이드실(21)의 후방 연장부(52)는 리어 연결부재(40)의 제3연결부(41)에 용접 및/또는 체결구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너 사이드실(21)은 압출공정에 의해 제조된 압출재(extruded product)일 수 있고, 이에 실내측부(21a), 실외측부(21b), 복수의 리브(21c, 21d), 내측 연장리브(28, 28a, 28b), 전방 연장부(51), 후방 연장부(52) 등이 단일체(unitary one-piece structure)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프론트 연결부재(30, front connection member)는 각 사이드실(20)의 전방단에 연결될 수 있다. 프론트 연결부재(30)는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5) 및 그에 상응하는 각 사이드실(20)의 인너 사이드실(21)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론트 연결부재(30)는 프론트 사이드멤버(5)의 후방단 연결되는 제1연결부(31) 및 인너 사이드실(21)의 전방단이 연결되는 제2연결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사이드실(20)의 축선(X2)은 프론트 사이드멤버(5)의 축선(X1)로부터 차량의 외측을 향해 일정거리만큼 오프셋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연결부(32)의 축선(X4)은 제1연결부(31)의 축선(X3)으로부터 차량의 외측을 향해 오프셋될 수 있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프론트 연결부재(30)는 그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리브(30a, 30b, 30c)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리브(30a, 30b, 30c)는 수직으로 연장된 복수의 수직리브(30a), 수평으로 연장된 복수의 수평리브(30b), 사선으로 연장된 복수의 경사리브(30c, inclined ri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리브(30a), 수평리브(30b), 경사리브(30c)들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간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연결부(31)는 프론트 사이드멤버(5)의 후방단을 수용하는 수용공간(31a)을 가질 수 있고, 수용공간(31a)은 제1연결부(31)의 전방단에 마련될 수 있다. 수용공간(31a)은 지지벽(31b), 상부벽(31c), 하부벽(31d), 측벽(31e)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특히, 지지벽(31b)은 프론트 사이드멤버(5)의 축선(X1)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일 수 있고, 프론트 사이드멤버(5)의 후방단면(5b, rear end face)이 수용공간(31a)의 지지벽(31b)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수용공간(31a)의 지지벽(31b)은 프론트 사이드멤버(5)의 후방단면(5b)을 지지할 수 있다. 프론트 사이드멤버(5)의 후방단(rear end)이 제1연결부(31)의 수용공간(31a)에 수용되고, 프론트 사이드멤버(5)의 후방단은 제1연결부(31)에 용접 및/또는 체결구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 사이드멤버(5)의 후방단면(5b, rear end face)이 지지벽(31b)과 접촉함으로써 프론트 사이드멤버(5)의 후방단면(5b)은 지지벽(31b)에 지지될 수 있다. 복수의 수평리브(30b)가 지지벽(31b)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지지벽(31b)은 복수의 수평리브(30b)에 의해 그 지지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프론트 사이드멤버(5)의 후방단면(5b)이 제1연결부(31)의 지지벽(31b)과 접촉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차량의 정면충돌 시에 그 충돌하중이 프론트 사이드멤버(5)로부터 프론트 연결부재(30)의 지지벽(31b), 수평리브(30b) 및 수직리브(30a)를 거쳐 인너 사이드실(21) 측으로 전달될 수 있고, 차량의 후방충돌 시에는 그 충돌하중이 인너 사이드실(21)로부터 프론트 연결부재(30)의 수평리브(30b), 수직리브(30a), 지지벽(31b)을 거쳐 프론트 사이드멤버(5)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연결부(32)는 인너 사이드실(21)의 전방단과 접촉하는 외측 지지벽(3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외측 지지벽(34)은 인너 사이드실(21)의 축선(X2)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일 수 있고, 특히 외측 지지벽(34)은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외측 지지벽(34)은 인너 사이드실(21)의 외측 단면윤곽(outer cross-senctional contour)과 실질적으로(substantially) 동일한 단면 형상(cross-sectional shape)을 가질 수 있다.
제2연결부(32)는 그 내부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내측 지지벽(36)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내측 지지벽(36)은 외측 지지벽(34)에 대해 이격될 수 있으며, 내측 지지벽(36)은 외측 지지벽(34)과 평행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내측 지지벽(36)은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내측 지지벽(36)은 인너 사이드실(21)의 외측 단면윤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프론트 연결부재(30)는 차량의 플로어(2)에 매칭되는 매칭 플랜지(37)를 더 포함하고, 매칭 플랜지(37)는 프론트 연결부재(30)의 실내측부로부터 플로어(2)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매칭 플랜지(3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부(32)의 실내측벽부에서 대각선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프론트 연결부재(30)의 매칭 플랜지(37)는 용접 및/또는 체결구 등을 통해 플로어(2)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매칭 플랜지(37)는 플로어(2)와의 매칭 및 결합 등을 위하여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고, 이에 프론트 연결부재(30)의 매칭 플랜지(37)는 차량(1)의 플로어(2)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연결부(32)는 매칭 플랜지(37)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는 내측 연장리브(38)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내측 연장리브(38)는 제2연결부(32)의 폭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내측 연장리브(38)는 제2연결부(32)의 축선(X4)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다. 내측 연장리브(38)는 외측 지지벽(34) 및 내측 지지벽(36)을 통해 연장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내측 연장리브(38)는 외측 지지벽(34) 및 내측 지지벽(36)을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 지지벽(34)이 내측 연장리브(38)를 통해 내측 지지벽(36)에 연결됨으로써 하중의 전달을 용이하게할 뿐만 아니라 프론트 연결부재(30)의 강성이 대폭 강화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내측 연장리브(38)는 도 7과 같이, 매칭 플랜지(37)와 동일 평면 상에 있을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내측 연장리브(38a)는 도 7a와 같이 매칭 플랜지(37)에 대해 상향으로(upwardly) 일정거리만큼 오프셋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내측 연장리브(38b)는 도 7b와 같이 매칭 플랜지(37)에 대해 하향으로 일정거리만큼 오프셋될 수도 있다.
인너 사이드실(21) 및 프론트 연결부재(30)가 평탄한 플로어(2)에 결합됨으로써 프론트 연결부재(30)의 매칭 플랜지(37)는 인너 사이드실(21)의 매칭 플랜지(27)와 실질적으로 동일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연결부재(30)의 내측 연장리브(38) 및 인너 사이드실(21)의 내측 연장리브(28)는 실질적으로 동일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정면충돌 시에 발생된 충돌에너지가 프론트 연결부재(30)로부터 인너 사이드실(21) 측으로 효과적으로 분산 및 전달될 뿐만 아니라 프론트 연결부재(30) 및 인너 사이드실(21) 사이의 연결강성이 대폭 강화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연결부(32)는 A-필러와 같은 프론트 필러(3)의 하단 후방단(lower rear end)까지 연장될 수 있고, 이에 프론트 필러(3)의 하단부가 제2연결부(3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론트 연결부재(30)는 그 상단에 형성된 상단 플랜지(33) 및 그 하단에 형성된 하단 플랜지(35)를 가질 수 있고, 상단 및 하단 플랜지(33, 35)는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아웃터 사이드실(22)의 상단 및 하단 플랜지(24, 26)가 제2연결부(32)의 상단 및 하단 플랜지(33, 35)에 용접 및/또는 체결구 등을 통해 개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 사이드실(21)의 전방 연장부(51)의 제3연장부(51c)가 제2연결부(32)의 상측 플랜지(33)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연결부재(30)의 제2연결부(32)는 A-필러와 같은 프론트 필러(3)의 하부의 후방단까지 연장될 수 있고, 이에 프론트 필러(3)가 프론트 연결부재(30)의 제2연결부(32)의 외측에 결합됨으로써 차체의 사이드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인너 사이드실(21)의 전방 연장부(51)가 프론트 연결부재(30)의 제2연결부(32)에 용접 및/또는 체결구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너 사이드실(21)의 전방단은 프론트 연결부재(30)의 제2연결부(32)에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제2연결부(32)의 외측 지지벽(34)이 인너 사이드실(21)의 전방단과 접촉함에 따라, 차량의 정면충돌 시에 그 충돌하중이 프론트 사이드멤버(5)로부터 제2연결부(32)의 외측 지지벽(34) 및 인너 사이드실(21)의 전방단을 거쳐 사이드실(20) 측으로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플로어에는 배터리(8)가 장착될 수 있고, 배터리(8)의 전방은 프론트 연결부재(3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론트 연결부재(30)는 주조공법에 의해 제조된 주조재(cast product)일 수 있고, 이에 제1연결부(31), 제2연결부(32), 복수의 리브(30a, 30b), 매칭 플랜지(37), 및 내측 연장리브(38) 등이 단일체(unitary one-piece structure)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론트 연결부재(30)는 제1연결부(31), 제2연결부(32), 복수의 리브(30a, 30b) 및 내측 연장리브(38)가 단일체로 이루어지고, 프론트 연결부재(30)의 제2연결부(32) 및 인너 사이드실(21)이 견고하게 연결됨에 따라 차량의 전방 충돌 시에 프론트 연결부재(30)의 제2연결부(32) 및 인너 사이드실(21)가 분리되지 않으므로 배터리(8)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리어 연결부재(40, rear connection member)는 각 사이드실(20)의 후방단에 연결될 수 있다. 리어 연결부재(40)는 각 리어 익스텐션멤버(6, rear extention member) 및 그와 관련된 사이드실(20)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리어 연결부재(40)는 휠하우스(7)의 외곽형상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연결부재(40)는 인너 사이드실(21)의 후방단이 연결되는 제3연결부(41) 및 리어 익스텐션멤버(6)의 전방단이 연결되는 제4연결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사이드실(20)의 축선(X2)은 리어 익스텐션멤버(6)의 축선(X5)로부터 차량의 외측을 향해 일정거리만큼 오프셋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3연결부(41)의 축선(X6)은 제4연결부(42)의 축선(X7)으로부터 차량의 외측을 향해 오프셋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5를 참조하면, 리어 연결부재(40)는 그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리브(40a, 40b, 40c)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리브(40a, 40b, 40c)는 수직으로 연장된 복수의 수직리브(40a), 수평으로 연장된 복수의 수평리브(40b), 사선으로 연장된 복수의 경사리브(40c, inclined ri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수직리브(40a), 복수의 수평리브(40b), 복수의 경사리브(40c) 중에서 적어도 일부들이 서로 간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3연결부(41)는 각 인너 사이드실(21)의 후방단과 접촉하는 외측 지지벽(4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외측 지지벽(43)은 인너 사이드실(21)의 축선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일 수 있고, 특히 외측 지지벽(43)은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외측 지지벽(43)은 인너 사이드실(21)의 외측 단면윤곽(outer cross-sectional contour)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 형상(cross-sectional shape)을 가질 수 있다.
제3연결부(41)는 그 내부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내측 지지벽(45)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내측 지지벽(45)은 외측 지지벽(43)에 대해 이격될 수 있으며, 내측 지지벽(45)은 외측 지지벽(43)과 평행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내측 지지벽(45)은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내측 지지벽(45)은 인너 사이드실(21)의 외측 단면윤곽(outer cross-sectional contour)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을 참조하면, 리어 연결부재(40)는 차량의 플로어(2)에 매칭되는 매칭 플랜지(47)를 더 포함하고, 매칭 플랜지(47)는 제3연결부(41)의 실내측부로부터 플로어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리어 연결부재(40)의 매칭 플랜지(47)는 용접 및/또는 체결구 등을 통해 플로어(2)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매칭 플랜지(47)는 플로어(2)와의 매칭 및 결합 등을 위하여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리어 연결부재(40)는 차량(1)의 플로어(2)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3연결부(41)는 매칭 플랜지(47)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는 내측 연장리브(48)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내측 연장리브(48)는 제3연결부(41)의 폭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내측 연장리브(48)는 제3연결부(41)의 축선(X6)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다. 내측 연장리브(48)는 외측 지지벽(43) 및 내측 지지벽(45)를 연결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 지지벽(43)이 내측 연장리브(48)를 통해 내측 지지벽(45)에 연결됨으로써 하중의 전달을 용이하게할 뿐만 아니라 강성이 대폭 강화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내측 연장리브(48)는 도 14와 같이, 매칭 플랜지(47)와 동일 평면 상에 있을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내측 연장리브(48a)는 도 14a와 같이 매칭 플랜지(47)에 대해 상향(upwardly)으로 일정거리만큼 오프셋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내측 연장리브(48b)는 도 14b와 같이 매칭 플랜지(47)에 대해 하향(downwardly)으로 일정거리만큼 오프셋(offset)될 수도 있다.
인너 사이드실(21) 및 리어 연결부재(40)가 평탄한 플로어(2)에 결합됨으로써 리어 연결부재(40)의 매칭 플랜지(47)는 인너 사이드실(21)의 매칭 플랜지(27)와 실질적으로 동일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연결부재(40)의 내측 연장리브(48) 및 인너 사이드실(21)의 내측 연장리브(28)는 실질적으로 동일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정면충돌 시에 발생된 충돌에너지가 인너 사이드실(21)로부터 리어 연결부재(40) 측으로 효과적으로 분산 및 전달될 뿐만 아니라 인너 사이드실(21) 및 리어 연결부재(40) 사이의 연결강성이 대폭 강화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4연결부(42)는 리어 익스텐션멤버(6)의 전방단을 수용하는 수용공간(42a)을 가질 수 있고, 수용공간(42a)은 제4연결부(42)의 전방단에 마련될 수 있다. 수용공간(42a)은 지지벽(42b), 상부벽(42c), 하부벽(42d), 측벽(42e)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특히, 지지벽(42b)은 리어 익스텐션멤버(6)의 축선(X5)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평면일 수 있고, 리어 익스텐션멤버(6)의 전방단면(6b, front end face)이 수용공간(42a)의 지지벽(42b)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익스텐션멤버(6)의 전방단이 제4연결부(42)의 수용공간(42a)에 수용되고, 리어 익스텐션멤버(6)의 전방단은 제4연결부(42)에 용접 및/또는 체결구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리어 익스텐션멤버(6)의 전방단면(6b)이 지지벽(42b)과 접촉함으로써 리어 익스텐션멤버(6)의 전방단면(6b)은 지지벽(42b)에 대해 지지될 수 있다. 수직리브(40a) 및 수평리브(40b)가 지지벽(42b)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지지벽(42b)은 수직리브(40a) 및 수평리브(40b)에 의해 그 지지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어 익스텐션멤버(6)의 전방단면(6b)이 제4연결부(42)의 지지벽(42b)과 접촉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차량의 전방충돌 시에는 그 충돌하중이 인너 사이드실(21)로부터 리어 연결부재(40)의 수평리브(40b), 수직리브(40a), 및 지지벽(42b)을 거쳐 리어 익스텐션멤버(6) 측으로 전달될 수 있고, 차량의 후방충돌 시에는 그 충돌하중이 리어 익스텐션멤버(6)로부터 리어 연결부재(40)의 지지벽(42b), 수평리브(40b), 및 수직리브(40a)를 거쳐 인너 사이드실(21)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4연결부(42)는 차량의 리어 휠하우스(7)의 외부윤곽에 대응하는 구브러진 형상(curved shape)을 가질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제3연결부(41)의 전방단은 B-필러와 같은 센터 필러(4)의 하부의 후방단 또는 플로어(2)의 후방에 위치한 후방 크로스부재(5, rear crossmember)의 전방단까지 연장될 수 있고, 센터 필러(4)의 하부(lower portion)가 사이드실(20)의 후방단의 실외측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리어 연결부재(40)는 그 상단에 형성된 상단 플랜지(44) 및 그 하단에 형성된 하단 플랜지(46)를 가질 수 있고, 상단 및 하단 플랜지(44, 46)는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아웃터 사이드실(22)의 상단 및 하단 플랜지(24, 26)가 리어 연결부재(40)의 상단 및 하단 플랜지(44, 46)에 용접 및/또는 체결구 등을 통해 개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 사이드실(21)의 후방 연장부(52)의 제3연장부(52c)가 용접 및/또는 체결구 등을 통해 리어 연결부재(40)의 상측 플랜지(44)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7을 참조하면, 인너 사이드실(21)의 후방 연장부(52)가 제3연결부(41)의 실내측부에 중첩되어 맞붙을 수 있고(abut and overlap), 인너 사이드실(21)의 후방 연장부(52)는 리어 연결부재(40)의 제3연결부(41)에 용접 및/또는 체결구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너 사이드실(21)의 후방단은 리어 연결부재(40)의 제3연결부(41)에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어 연결부재(40)는 주조공법에 의해 제조된 주조재(cast product)일 수 있고, 이에 제3연결부(41), 제4연결부(42), 복수의 리브(40a, 40b) 및 내측 연장리브(48) 등이 단일체(unitary one-piece structure)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너 사이드실(21)이 압출공정에 의해 복수의 리브(21c, 21d) 및 내측 연장리브(28)가 일체화된 압출재로 구성되고, 프론트 연결부재(30)가 주조공정에 의해 복수의 리브(30a, 30b) 및 내측 연장리브(38)가 일체화된 주조재로 구성되며, 리어 연결부재(40)가 주조공정에 의해 복수의 리브(40a, 40b) 및 내측 연장리브(48)가 일체화된 주조재로 구성됨으로써 차량의 플로어의 양측에 대한 강성이 대폭 강화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전체 실내공간이 안정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너 사이드실(21)이 압출재로 구성되고, 프론트 연결부재(30) 및 리어 연결부재(40)가 주조재로 구성됨에 따라 종래기술에 비해 그 중량 및 원가를 대폭 감소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차량 2: 플로어
3: 프론트 필러 4: 센터 필러
5: 프론트 사이드멤버 6: 리어 익스텐션멤버
7: 리어 휠하우스 8: 배터리
10: 사이드실 구조 20: 사이드실
21: 인너 사이드실 21a: 내측부
21b: 외측부 22: 아웃터 사이드실
27: 매칭 플랜지 28: 내측 연장리브
30: 프론트 연결부재 31: 제1연결부
32: 제2연결부 37: 매칭 플랜지
38: 내측 연장리브 40: 리어 연결부재
41: 제3연결부 42: 제4연결부
47: 매칭 플랜지 48: 내측 연장리브
51: 전방 연장부 52: 후방 연장부

Claims (20)

  1.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사이드실; 및
    프론트 사이드멤버 및 상기 사이드실의 전방단을 연결하는 프론트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실은 상기 차량의 플로어에 결합되는 매칭 플랜지와, 상기 매칭 플랜지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는 내측 연장리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 연장리브는 상기 사이드실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연결부재는 상기 차량의 플로어에 결합되는 매칭플랜지를 가지는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연결부재는 상기 매칭플랜지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는 내측 연장리브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연결부재의 매칭 플랜지는 상기 사이드실의 매칭 플랜지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는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연결부재의 내측 연장리브는 상기 사이드실의 내측 연장리브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는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연결부재는 상기 프론트 사이드멤버의 후방단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사이드실의 전방단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사이드실의 전방단과 접촉하는 외측 지지벽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지지벽은 상기 사이드실의 외측 단면윤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
  11.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사이드실; 및
    리어 익스텐션멤버 및 상기 사이드실의 후방단을 연결하는 리어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실은 상기 차량의 플로어에 결합되는 매칭 플랜지와, 상기 매칭 플랜지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는 내측 연장리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
  12. 삭제
  13. 삭제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내측 연장리브는 상기 사이드실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리어 연결부재는 상기 차량의 플로어에 결합되는 매칭플랜지를 가지는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리어 연결부재는 상기 매칭플랜지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는 내측 연장리브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리어 연결부재의 매칭 플랜지는 상기 사이드실의 매칭 플랜지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는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리어 연결부재의 내측 연장리브는 상기 사이드실의 내측 연장리브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는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리어 연결부재는 상기 사이드실의 후방단이 연결되는 제3연결부 및 상기 리어 익스텐션멤버의 전방단이 연결되는 제4연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부는 상기 사이드실의 후방단과 접촉하는 외측 지지벽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지지벽은 상기 사이드실의 외측 단면윤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
KR1020180140077A 2018-11-14 2018-11-14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 KR102552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077A KR102552506B1 (ko) 2018-11-14 2018-11-14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
US16/535,403 US10967910B2 (en) 2018-11-14 2019-08-08 Side sill structure for vehicle
DE102019122090.4A DE102019122090A1 (de) 2018-11-14 2019-08-16 Seitenschwellerstruktur für ein Fahrzeug
CN201910831357.7A CN111186497B (zh) 2018-11-14 2019-09-03 用于车辆的门槛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077A KR102552506B1 (ko) 2018-11-14 2018-11-14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129A KR20200056129A (ko) 2020-05-22
KR102552506B1 true KR102552506B1 (ko) 2023-07-06

Family

ID=70469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077A KR102552506B1 (ko) 2018-11-14 2018-11-14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67910B2 (ko)
KR (1) KR102552506B1 (ko)
CN (1) CN111186497B (ko)
DE (1) DE1020191220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09508A1 (de) * 2018-04-20 2019-10-2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efestigungs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Hochvoltspeichergehäuses an einem Rohbauteil eines Kraftfahrzeugs sowie Hochvoltspeichergehäuse
KR102552511B1 (ko) * 2019-02-22 2023-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방구조
US10967906B1 (en) * 2019-04-30 2021-04-06 Zoox, Inc. Impact structure
KR20210076425A (ko) * 2019-12-16 2021-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실구조
KR20230013855A (ko) * 2021-07-20 2023-01-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전구 홀이 형성된 전기 차량용 차체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392B1 (ko) * 2011-12-15 2014-01-2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의 사이드 실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9356B2 (ja) * 1993-11-09 2000-11-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ロッカ部の補強構造
JP3303853B2 (ja) * 1999-07-15 2002-07-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構造
US6460918B1 (en) * 1999-10-19 2002-10-08 Nissan Motor Co., Ltd. Vehicle body structure
JP2002154458A (ja) * 2000-11-24 2002-05-28 Fuji Heavy Ind Ltd 車体前部構造
JP3632666B2 (ja) * 2002-02-01 2005-03-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JP3722124B2 (ja) * 2003-01-24 2005-11-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JP4196180B2 (ja) * 2003-04-09 2008-12-17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車体構造
US7140674B2 (en) * 2003-08-29 2006-11-28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body frame structure
JP2005162188A (ja) * 2003-09-25 2005-06-23 Nissan Motor Co Ltd 車体構造
US8276980B2 (en) * 2007-04-20 2012-10-02 Honda Motor Co., Ltd. Vehicle frame side sill joints
JP5906689B2 (ja) * 2011-11-22 2016-04-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池搭載構造
US8870267B2 (en) * 2012-06-27 2014-10-28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cabin body structure
US8469442B1 (en) * 2012-06-27 2013-06-25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front body structure
JP6112083B2 (ja) * 2014-08-21 2017-04-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KR101628479B1 (ko) * 2014-09-03 2016-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런트 사이드 멤버 후방 구조
JP2016055778A (ja) * 2014-09-10 2016-04-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JP6252572B2 (ja) * 2015-09-15 2017-12-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JP6319251B2 (ja) * 2015-09-28 2018-05-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骨格構造
JP6288032B2 (ja) * 2015-10-01 2018-03-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骨格構造
BR112018069368B1 (pt) * 2016-03-22 2023-01-17 Nissan Motor Co., Ltd Estrutura inferior de carroceria de veículo
KR101795399B1 (ko) * 2016-06-22 2017-11-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언더바디
CN206031523U (zh) * 2016-07-29 2017-03-22 北京车和家信息技术有限责任公司 车辆的下车身结构和车辆
CN206384048U (zh) * 2016-12-26 2017-08-08 上海同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车门门槛
JP6627807B2 (ja) * 2017-03-03 2020-01-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後部構造
CN106864595B (zh) * 2017-04-10 2021-02-09 上海蔚来汽车有限公司 用于车架的连接件、车架组件及电动汽车
JP7052628B2 (ja) * 2018-08-07 2022-04-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JP6973327B2 (ja) * 2018-08-22 2021-11-2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前部車体構造
KR102552505B1 (ko) * 2018-11-13 2023-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하중분배구조
KR20200117277A (ko) * 2019-04-03 2020-10-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프론트필러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392B1 (ko) * 2011-12-15 2014-01-2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의 사이드 실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186497A (zh) 2020-05-22
KR20200056129A (ko) 2020-05-22
US20200148271A1 (en) 2020-05-14
CN111186497B (zh) 2023-06-30
DE102019122090A1 (de) 2020-05-14
US10967910B2 (en) 202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2506B1 (ko) 차량용 사이드실 구조
US10967908B2 (en) Vehicle body lower structure
CN110352157B (zh) 车辆的下部车身结构
US10875582B2 (en) Vehicle body lower structure
US8585134B2 (en) Vehicle body lower structure
US8720983B1 (en) Narrow offset energy management frame structure
EP2740650B1 (en) Vehicle body rear structure
US10407099B2 (en) Front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US8931826B2 (en) Side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US10919472B2 (en) Load distribution structure for vehicle
US10676135B2 (en) Front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JP6172064B2 (ja) 車体構造
JP2019131007A (ja) 車体後部構造
CN112776895A (zh) 车辆下部结构
US9849915B2 (en) Motor vehicle
US11260913B2 (en) Front pillar structure for vehicle
US9598112B1 (en) Front pillar for a vehicle body
JP6617764B2 (ja) 車両のボデーマウントブラケット
US10046633B2 (en) Vehicle rear portion structure
KR102567277B1 (ko) 차량의 사이드실 구조
US10457332B1 (en) Structure of a front part of the bodyshell of a vehicle, notably a motor vehicle
JP5513904B2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KR102564024B1 (ko) 차량용 하중흡수구조
CN212373498U (zh) 车身结构和车辆
CN210000413U (zh) 用于车辆的侧围总成和具有它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