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024B1 - 차량용 하중흡수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하중흡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024B1
KR102564024B1 KR1020180139319A KR20180139319A KR102564024B1 KR 102564024 B1 KR102564024 B1 KR 102564024B1 KR 1020180139319 A KR1020180139319 A KR 1020180139319A KR 20180139319 A KR20180139319 A KR 20180139319A KR 102564024 B1 KR102564024 B1 KR 102564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ross member
battery
wall
absorb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5552A (ko
Inventor
정희석
김현식
이병천
손지나
홍덕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9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024B1/ko
Publication of KR20200055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18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front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차량용 하중흡수구조는, 차량의 전방 측에서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사이드실; 각 사이드실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프론트 필러;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 및 그에 상응하는 사이드실을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별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재; 및 한 쌍의 연결부재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된 배터리 크로스멤버;를 구비한다. 상기 배터리 크로스멤버의 바닥면이 각 연결부재의 바닥면으로부터 하향으로 함몰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하중흡수구조{LOAD ABSORBING STRUCTUR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하중분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정면충돌 시에 발생된 충돌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배터리를 보호하고 주행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용 하중흡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승객실의 하부에 탑재된 고전압 배터리를 포함하고, 고전압 배터리의 배터리 케이스는 그 전방단에 프론트 장착블록을 가지며, 배터리 케이스의 프론트 장착블록이 대시패널의 하부에 위치한 대시로워멤버에 결합된다. 배터리 케이스의 장착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복수의 보강재가 대시로워멤버에 결합된다.
하지만, 종래의 전기자동차는 복수의 보강재가 대시로워멤버에 결합됨에 따라 중량 및 제조원가가 높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정면충돌 시에 그 충돌에너지(충돌하중)에 의해 프론트 서브프레임, 전륜 서스펜션 및 복수의 파워 일렉트론(Power Electronics) 등이 고전압 배터리의 배터리 케이스를 타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고전압 배터리가 파손되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량의 정면충돌 시에 발생된 충돌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배터리를 보호하고 주행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용 하중흡수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중흡수구조는,
차량의 전방 측에서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사이드실;
각 사이드실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프론트 필러;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 및 그에 상응하는 사이드실을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별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재; 및
한 쌍의 연결부재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된 배터리 크로스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크로스멤버의 바닥면이 각 연결부재의 바닥면으로부터 하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각 연결부재는 상기 배터리 크로스멤버의 각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 포켓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용 포켓은 그 상부가 개방된 채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용 포켓은 상기 연결부재의 전방단을 향하는 전방벽과, 상기 연결부재의 바닥으로부터 하향으로 함몰된 바닥벽과, 상기 연결부재의 후방단을 향하는 후방벽과,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면하는 측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크로스멤버의 전방면은 상기 수용 포켓의 전방벽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배터리 크로스멤버의 바닥면은 상기 수용 포켓의 바닥벽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배터리 크로스멤버의 후방면은 상기 수용 포켓의 후방벽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이 상기 수용 포켓의 전방 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연결부재의 바닥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크로스멤버는 배터리 케이스의 전방단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케이스는 상기 배터리 크로스멤버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되는 장착블록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크로스멤버는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를 가지고,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는 상기 배터리 크로스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정면충돌 시에 발생된 충돌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배터리를 보호하고 주행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비해 그 부품수를 대폭 줄임으로써 중량 및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중흡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중흡수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중흡수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중흡수구조의 연결부재 및 배터리 크로스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중흡수구조의 연결부재 및 배터리 크로스멤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중흡수구조의 수용 포켓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하중흡수구조(10)는 차량의 전방 측에서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11)와,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11)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사이드실(12)과, 각 사이드실(12)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프론트 필러(13)와,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11) 및 그에 상응하는 사이드실(12)을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별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재(20)와, 한 쌍의 연결부재(20)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된 배터리 크로스멤버(16)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11)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11)는 전방단 및 후방단을 가질 수 있다. 범퍼가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전방단들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후방단이 연결부재(20)를 통해 각 사이드실(12)의 전방단에 연결될 수 있다.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제1보강리브(51)를 가질 수 있다.
각 사이드실(12)은 차량의 플로어(5)에 결합될 수 있고, 각 사이드실(12)의 전방단은 연결부재(20)를 통해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후방단에 연결될 수 있다.
각 프론트 필러(13)는 각 연결부재(20)의 외측 및 각 사이드실(12)의 전방단에 결합될 수 있다. 대시패널(14)이 한 쌍의 프론트 필러(13) 사이에 결합될 수 있고, 대시패널(14)의 전방에는 대시크로스멤버(15)가 배치될 수 있고, 대시크로스멤버(15)의 각 단부는 각 연결부재(20) 및 각 프론트 필러(1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11)를 통해 전달되는 충돌하중이 대시크로스멤버(15)에 의해 분배될 수 있다.
각 연결부재(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후방단이 연결되는 제1연결부(21) 및 각 사이드실(12)의 전방단이 연결된 제2연결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연결부재(20)는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후방단면(11c)이 중첩 및 결합되는(overlapped and jointed) 제1맞대기벽(41, first abutting wall) 및 대시크로스멤버(15)의 각 단부가 중첩 및 결합되는 제2맞대기벽(42, second abutting wall)을 가질 수 있다.
제1연결부(21)는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후방단을 수용하는 수용공간(23)을 가질 수 있고, 수용공간(23)은 제1연결부(21)의 전방단에 마련될 수 있다. 수용공간(23)은 제1맞대기벽(41), 상부벽(23a), 하부벽(23b), 측벽(23c)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제1맞대기벽(41)의 전방면은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후방단면(11c)과 접촉할 수 있다. 제1맞대기벽(41)의 전방면과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후방단면(11c)은 맞대기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즉,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후방단(11b)은 연결부재(20)의 제1맞대기벽(41)에 중첩 및 결합된다. 이에 의해, 차량의 정면충돌 시에 발생된 충돌하중(P)이 프론트 사이드멤버(11)를 통해 제1맞대기벽(41)에 전달되면 프론트 사이드멤버(11)의 후방단면(11c) 및 제1맞대기벽(41)에 의해 반력(P1)이 작용함으로써 충돌하중(P)의 일부가 1차적으로 연결부재(20)에 흡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충돌하중(P)의 일부가 1차적으로 소멸될 수 있다. 그리고, 충돌하중(P)의 나머지가 연결부재(20)를 거쳐 대시크로스멤버(15)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2맞대기벽(42)은 제1연결부(21) 및 제2연결부(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대시크로스멤버(15)의 각 단부의 전방면이 제2맞대기벽(42)과 면접촉할 수 있다. 대시크로스멤버(15)의 각 단부의 전방면이 제2맞대기벽(42)은 맞대기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즉, 대시크로스멤버(15)는 연결부재(20)의 제2맞대기벽(42)에 중첩 및 결합된다. 이에 의해, 연결부재(20)에 의해 흡수 및 소멸되지 않은 충돌하중(P)이 연결부재(20)를 통해 제2맞대기벽(42) 및 대시크로스멤버(15)의 단부에 전달되면 대시크로스멤버(15) 및 제2맞대기벽(42)에 의해 반력(P2)이 작용함으로써 충돌하중(P)의 일부가 2차적으로 대시크로스멤버(15)에 흡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충돌하중(P)의 일부가 2차적으로 소멸될 수 있다. 그리고, 충돌하중(P)의 나머지가 대시크로스멤버(15)를 통해 프론트 필러(13)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프론트 필러(13)는 그 전방측에 형성된 제3맞대기벽(43)을 가질 수 있고, 대시크로스멤버(15)의 각 단부의 후방면이 제3맞대기벽(43)의 전방면과 접촉할 수 있다. 대시크로스멤버(15)의 각 단부의 후방면이 제3맞대기벽(43)은 맞대기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즉, 대시크로스멤버(15)는 프론트 필러(13)의 제3맞대기벽(43)에 중첩 및 결합된다. 이에 의해, 대시크로스멤버(15)에 의해 흡수 및 소멸되지 않은 충돌하중(P)의 나머지가 대시크로스멤버(15)를 통해 제3맞대기벽(43) 및 대시크로스멤버(15)의 단부에 전달되면 대시크로스멤버(15) 및 제3맞대기벽(43)에 의해 반력(P3)이 작용함으로써 충돌하중(P)의 일부가 3차적으로 프론트 필러(13)에 흡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충돌하중(P)의 일부가 3차적으로 소멸될 수 있다. 그리고, 충돌하중(P)의 나머지가 연결부재(20)의 제2연결부(22)를 통해 사이드실(12)에 전달될 수 있다.
각 연결부재(20)는 댐퍼하우징(18)이 결합되는 플랜지(29)를 가질 수 있고, 댐퍼하우징(18)은 서스펜션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연결부재(20)는 프론트 사이드멤버(11) 및 댐퍼하우징(18)을 지지함으로써 차량의 정면충돌 시에 그 충돌하중이 차량의 승객실로 전달됨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연결부재(20)는 제1맞대기벽(41) 및 제2맞대기벽(42) 사이를 연결하는 수직리브(25) 및 복수의 보강리브(26)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리브(25)는 수직으로 연장되고, 각 보강리브(26)는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각 보강리브(26)는 제1맞대기벽(41)로부터 제2맞대기벽(42)로 연장됨으로써 각 보강리브(26)는 제1맞대기벽(41) 및 제2맞대기벽(42)을 연결할 수 있으며, 각 보강리브(26)는 수직리브(25)를 통과하여 연장될 수 있다(the reforcement rib 26 may extend through the vertical rib 25). 특히, 복수의 보강리브(26)는 제1 및 제2 맞대기벽(41, 42)에 대해 직교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맞대기벽(41)로부터 제2맞대기벽(42)을 향해 전달되는 충돌하중의 분배 및 흡수가 매우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크로스멤버(16)는 한 쌍의 연결부재(20)들을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크로스멤버(16)의 바닥면이 연결부재(20)의 바닥벽(28) 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 충돌 시에 발생된 충돌하중이 배터리 크로스멤버(16) 측으로 전달됨을 저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조립체(70)의 배터리 케이스(71)는 그 전방단에 형성된 프론트 장착블록(72)을 가질 수 있고, 프론트 장착블록(72)은 배터리 케이스(71)의 전방단으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돌출할 수 있다. 프론트 장착블록(72)이 체결구(73)를 통해 배터리 크로스멤버(16)에 결합됨으로써 배터리 케이스(71)의 전방단은 배터리 크로스멤버(16)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크로스멤버(16)는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16a)를 가질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16a)가 배터리 크로스멤버(16)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각 연결부재(20)는 배터리 크로스멤버(16)의 각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 포켓(60)을 가질 수 있고, 배터리 크로스멤버(16)의 각 단부가 용접 및/또는 체결구 등을 통해 각 연결부재(20)의 수용 포켓(60)에 결합될 수 있다. 수용 포켓(60)은 그 상부가 개방된 채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크로스멤버(16)의 각 단부가 톱-다운 방식(in a top down manner)으로 삽입될 수 있고, 그 조립 및 장착이 매우 간편해질 수 있다.
특히, 수용 포켓(60)은 연결부재(20)의 전방단을 향하는 전방벽(62)과, 연결부재(20)의 바닥으로부터 하향으로 함몰된(downwardly recessed) 바닥벽(63)과, 연결부재(20)의 후방단을 향하는 후방벽(64)과,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면하는 측벽(65)을 가질 수 있고, 수용 포켓(60)의 수용공간(61)은 전방벽(62), 바닥벽(63), 후방벽(64), 측벽(65)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배터리 크로스멤버(16)의 전방면이 수용 포켓(60)의 전방벽(62)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배터리 크로스멤버(16)의 바닥면이 수용 포켓(60)의 바닥벽(63)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배터리 크로스멤버(16)의 후방면이 수용 포켓(60)의 후방벽(64)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배터리 크로스멤버(16)의 각 단면(16b)이 수용 포켓(60)의 측벽(6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벽(62)은 연결부재(20)의 바닥벽(28)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방벽(62)은 제2맞대기벽(42)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이에 바닥벽(63)은 연결부재(20)의 바닥벽(28)으로부터 일정거리(h)만큼 함몰될 수 있다. 특히, 배터리 크로스멤버(16)의 바닥면이 수용 포켓(60)의 바닥벽(63)과 접촉함에 따라 배터리 크로스멤버(16)의 바닥면이 연결부재(20)의 바닥벽(28) 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19)이 수용 포켓(60)의 전방 측에 위치하도록 서브프레임(19)의 후방단이 연결부재(20)의 바닥벽(28)에 장착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19)의 후방단은 하나 이상의 장착점(19a, 19b)을 통해 연결부재(20)의 바닥벽(28)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정면충돌 시에 발생된 충돌하중에 의해 서브프레임(19)이 차량의 배터리를 향해 이동할 때, 서브프레임(19)의 후방단이 수용 포켓(60)의 전방벽(62)에 의해 저지됨으로써 서브프레임(19)에 의한 배터리조립체(70)의 파손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충돌하중(P)이 연결부재(20) 및 서브프레임(19)을 통해 수용 포켓(60)의 전방벽(62)으로 전달되면 수용 포켓(60)의 전방벽(62) 및 후방벽(64)에 의해 반력(P4)이 작용함으로써 충돌하중이 수용 포켓(60)의 전방벽(62) 및 배터리 크로스멤버(16)에 의해 흡수 및 소멸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브프레임(19)이 배터리조립체(70) 측으로 침입함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조립체(70)의 파손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배터리 크로스멤버(16)의 각 단면(16b)이 수용 포켓(60)의 측벽(65)과 접촉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수용 포켓(60)의 측벽(65)은 배터리 크로스멤버(16)의 각 단면(16b)을 지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차량의 주행 시에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하중(Px)이 차량의 전방휠로부터 서브프레임(19)을 통해 수용 포켓(60)으로 전달되면, 수용 포켓(60)의 전방벽(62) 및 후방벽(64)에 의해 반력(P4)이 작용함으로써 서브프레임(19)의 제1하중(Px)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주행 시에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제2하중(Py)이 서브프레임(19)을 통해 수용 포켓(60)으로 전달되면, 수용 포켓(60)의 측벽(65)에 의해 반력(P5)이 작용함으로써 서브프레임(19)의 제2하중(Py)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의 주행 시에 서로 직교하는 제1하중(Px) 및 제2하중(Py)이 서브프레임(19)에 전달될 때, 수용 포켓(60)의 전방벽(62), 후방벽(64) 및 측벽(65)에 의해 반력(P4, P5)이 작용함에 따라 서브프레임(19)에 대한 지지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하중흡수구조 11: 프론트 사이드멤버
12: 사이드실 13: 프론트 필러
14: 대시패널 15: 대시크로스멤버
16: 배터리 크로스멤버
20: 연결부재 21: 제1연결부
22: 제2연결부 41: 제1맞대기벽
42; 제2맞대기벽 43: 제3맞대기벽
51: 제1보강리브 52: 제2보강리브
60: 수용 포켓 61: 수용공간
62: 전방벽 63: 바닥벽
64: 후방벽 65: 측벽
70: 배터리 71: 배터리 케이스
72: 프론트 장착블록

Claims (9)

  1. 차량의 전방 측에서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멤버;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사이드실;
    각 사이드실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프론트 필러;
    각 프론트 사이드멤버 및 그에 상응하는 사이드실을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별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재; 및
    한 쌍의 연결부재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된 배터리 크로스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크로스멤버의 바닥면이 각 연결부재의 바닥면 보다 아래에 위치하며,
    각 연결부재는 상기 배터리 크로스멤버의 각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 포켓을 가지는 차량용 하중흡수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 포켓은 그 상부가 개방된 채널형 단면을 가지는 차량용 하중흡수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 포켓은 상기 연결부재의 전방단을 향하는 전방벽과, 상기 연결부재의 바닥으로부터 하향으로 함몰된 바닥벽과, 상기 연결부재의 후방단을 향하는 후방벽과,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면하는 측벽을 가지는 차량용 하중흡수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크로스멤버의 전방면은 상기 수용 포켓의 전방벽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배터리 크로스멤버의 바닥면은 상기 수용 포켓의 바닥벽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배터리 크로스멤버의 후방면은 상기 수용 포켓의 후방벽에 의해 지지되는 차량용 하중흡수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서브프레임이 상기 수용 포켓의 전방 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연결부재의 바닥에 장착되는 차량용 하중흡수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크로스멤버는 배터리 케이스의 전방단을 지지하는 차량용 하중흡수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케이스는 상기 배터리 크로스멤버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되는 장착블록을 가지는 차량용 하중흡수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크로스멤버는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를 가지고,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는 상기 배터리 크로스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차량용 하중흡수구조.
KR1020180139319A 2018-11-13 2018-11-13 차량용 하중흡수구조 KR102564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319A KR102564024B1 (ko) 2018-11-13 2018-11-13 차량용 하중흡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319A KR102564024B1 (ko) 2018-11-13 2018-11-13 차량용 하중흡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552A KR20200055552A (ko) 2020-05-21
KR102564024B1 true KR102564024B1 (ko) 2023-08-07

Family

ID=70910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319A KR102564024B1 (ko) 2018-11-13 2018-11-13 차량용 하중흡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02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75940A (ja) * 2016-11-08 2018-05-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479B1 (ko) * 2014-09-03 2016-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런트 사이드 멤버 후방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75940A (ja) * 2016-11-08 2018-05-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552A (ko) 2020-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52157B (zh) 车辆的下部车身结构
US10967908B2 (en) Vehicle body lower structure
US8833838B2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KR102540938B1 (ko) 차량용 후방 샤시모듈
CN110901362B (zh) 车辆下部结构
KR102552505B1 (ko) 차량용 하중분배구조
JP5414387B2 (ja) 車両用電池モジュールの車両搭載用フレーム構造体
US10439183B2 (en) Impact absorbing element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a battery enclosure
KR101575320B1 (ko) 차체 보강구조
KR102440606B1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JP2019051818A (ja) 車体構造
KR101526398B1 (ko) 차량용 카울 크로스 멤버 마운팅 조립체
US11186321B2 (en) Load absorbing structure for vehicle
JP6974512B2 (ja) 車両のフロア構造
KR101795396B1 (ko) 전기 자동차 배터리 마운팅 보강 구조
KR102564024B1 (ko) 차량용 하중흡수구조
KR20200117277A (ko) 차량용 프론트필러구조
JP2018108787A (ja) 電動車両のバッテリ保護装置
KR102153029B1 (ko) 차량 후방 하중전달구조
KR102394581B1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JP6585689B2 (ja) 車体後部構造
KR102383254B1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JP2019166850A (ja) 側面衝撃対応の車体構造
CN113525091B (zh) 用于车辆的载荷吸收结构
KR102614165B1 (ko) 차량의 프런트 차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