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542B1 - 돼지감자 조청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돼지감자 조청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542B1
KR102550542B1 KR1020220126247A KR20220126247A KR102550542B1 KR 102550542 B1 KR102550542 B1 KR 102550542B1 KR 1020220126247 A KR1020220126247 A KR 1020220126247A KR 20220126247 A KR20220126247 A KR 20220126247A KR 102550542 B1 KR102550542 B1 KR 102550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ing
purple
hours
pork
pota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임
Original Assignee
최영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임 filed Critical 최영임
Priority to KR1020220126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5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23L19/12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of potatoes
    • A23L19/15Unshaped dry products, e.g. powders, flakes, granules or agglomer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돼지감자 조청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당뇨예방 등에 효과가 있는 돼지감자(Jerusalem artichoke)를 균일한 두께로 세절하여 건조시키고 건조된 상태를 다른 곡물이 첨가되지 않은 상태로 지정된 비율의 정수와 혼합시켜 일정 시간 동안 졸이면서 숙성시는 과정을 반복하여 고(膏, 조청, grain syrup) 형태로 제조하므로 약성을 높이고 단맛이 증가하여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장기간 보관과 이동에 적합하게 변환되는 돼지감자 조청 및 그 제조방법 에 관한 것이며 자색돼지감자와 물세척 준비가 완료되었으면 10 내지 20 분 동안 흐르는 물 속에 적치하여 자색돼지감자의 표면에 묻어있는 흙이 포함된 이물질을 불리면서 세척하고 면포로 쌓아 물기를 제거한 후 균일한 두께의 편으로 세절하는 시작단계; 세절된 자색돼지감자 편을 건조기와 실내에서 각각 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건조하여 이눌린과 안토시아닌이 포함된 약성을 농축시킨 후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초속 3 내지 5 미터 이동속도의 바람으로 털어 제거하는 건조단계;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자색돼지감자편을 가마솥에 넣고 지정된 비율의 정수와 혼합하며 3 단계에 걸쳐 각각 설정된 시간동안 가스불로 중탕하고 숙성하여 원액을 각각 추출하는 원액추출단계; 원액추출단계에서 추출된 각 단계의 원액을 가마솥에 투입하고 지정된 비율의 정수와 혼합하여 끓인 후에 2 단계에 걸쳐 각각 설정된 시간 동안 가스불로 중탕하면서 한쪽 방향으로 저어주고 식혀서 농축과 숙성을 반복하는 예비농축숙성단계; 예비농축숙성단계에서 농축된 원액을 설정된 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다시 중탕하여 농축과 숙성을 반복하는 본농축숙성단계; 본농축숙성단계에서 숙성된 원액을 옹기류 용기에 투입하여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에 의하여 자색돼지감자를 균일한 두께로 세절하고 건조시켜 약성을 농축시키며 정수로 달여 약성이 우려난 농축액을 졸이고 숙성시키는 과정을 다수회 반복시켜 조청 상태로 변환시키므로 엿질금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생산성을 높이고 저장성과 약성과 선호도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돼지감자 조청 및 그 제조방법{Jerusalem artichoke grain syru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돼지감자 조청(고, 膏, grain syrup)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당뇨예방 등에 효과가 있는 돼지감자(Jerusalem artichoke)를 균일한 두께로 세절하여 건조시키고 건조된 상태를 다른 곡물이 첨가되지 않은 상태로 지정된 비율의 정수와 혼합시켜 일정 시간 동안 졸이면서 숙성시는 과정을 반복하여 고(조청) 형태로 제조하므로 약성을 높이고 단맛을 증가시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장기간 보관과 이동에 적합하게 변환되는 돼지감자 조청 및 그 제조방법 에 관한 것이다.
돼지감자(Jerusalem artichoke, 학명 = Helianthus tuberosus L.)는 북아메리카 원산지의 귀화식물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전북 진안과 남원 및 경기 양평 등에서 많이 재배하고, 8 ~ 9 월에 해바라기 모양의 노란색 꽃잎이 피는 1 년생 국화과 덩이줄기의 뿌리이며, 주변 기온이 섭씨 17도 이하가 되는 10 월 말경부터 3 월 사이에 수확한다.
돼지감자는 전체적으로 길쭉하거나 울퉁불퉁하게 불규칙한 모양을 하고 있어 뚱딴지로 호칭되기도 하며, 초기에 돼지 사료로 재배하였으므로 돼지감자로 호칭되어왔고, 이름과 형태는 감자와 비슷하지만 감자와 전혀 다른 종류의 식재료이며, 생으로 먹으면 아삭하고 시원하며 우엉과 비슷한 느낌이고 단맛이 약간 돌아 일반 감자와 많이 다른 맛과 식감이며 야콘과 유사한 식감을 갖는다. 한편, 돼지감자는 번식력이 강하여 사람이 재배를 하지 않아도 야생에서 저절로 자라는 식물이다.
돼지감자에는 수용성 식이섬유인 이눌린(inulin) 성분이 전체 중량의 약 15 % 를 구성하고 있어 지구상에서 이눌린 성분을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는 식물로 알려져 있고, 건조시키는 경우 이눌린의 함량이 건조된 중량의 65 ~ 70 % 를 구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김동훈, 식품화학, p319~320, 탐구당, 1988).
이눌린 성분은 당뇨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도 콜레스테롤 감소 개선, 혈중 지질 저하, 변비개선에 의한 배변활동 원활 및 장질환 예방, 식후 혈당 상승 억제, 다이어트 효과 등에 도움을 주는 식재료로 알려져 있다.
이눌린(inulin) 성분은 천연 인슐린으로 알려져 있으며, 칼로리가 낮은 다당류로서 위액에 소화되지 않고 분해되어도 과당으로 밖에 변화되지 않는다.
1995년 Bach-Knudsen 및 Hessov의 연구에 따르면 이눌린은 사람의 생체내 소화효소로 분해가 잘 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Bach-Knudsen KE, Hessov I (1995) Recovery of inulin from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in the small intestine of man. Br J Nutr, 74, 101-113).
특히, 이 연구에서 사람이 돼지감자를 섭취한 후 소장에서 이눌린이 검출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이눌린이 분해되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이눌린이 혈당을 상승시키지 않는 효과와 항비만 효과 및 식이섬유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비만이나 과체중이 당뇨병으로 이어지는 미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비만 인구가 절대적으로 적으면서도 당뇨병 환자 발생률은 미국과 거의 비슷한 특징이 있다.
서양에서는 당뇨병이 주로 노인층에서 발생하는 데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30 대 ∼ 40 대 젊은 성인층에서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는 점도 우리나라 당뇨병 발생의 또 다른 특징이다.
결과적으로 당뇨병에 걸려 있는 기간이 길어져 만성합병증에 의한 실명, 말기신부전증, 신경질환, 하지절단, 감염질환 등이 크게 늘어나고, 인슐린 저항성과 관련된 비만, 고혈압, 심혈관 질환이 폭발적으로 증가해 개인 삶의 질 저하와 사회ㆍ경제적으로 치료비용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당뇨 또는 비만을 예방하는 다각적인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눌린은 분자량 3,000 ~ 5,000 이며, 국화과와 백합과 등의 근경이나 일부 구내 연쇄구균의 세포에 교질 상태로 함유되어 있는 저장 다당류의 일종으로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다알리아, 돼지감자, 목향 등 국화과 식물의 괴경(덩이줄기)이나 치커리의 뿌리 등에 콜로이드 상으로 존재하는 수용성 식이섬유의 일종이다. 이눌린은 이눌린 가수분해효소(이눌라제), 묽은 산 등에 의하여 분해가 쉽게 이루어지고, 백색 고체로서 전분과 달리 온수에 녹는 물리적 성질이 있다.
또한, 이눌린은 프리바이오틱스의 일종으로 위와 소장에서 분해되지 않고, 대장으로 이동되어 결장내 미생물 특히,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bifidobacterium bifidum)의 성장을 선택적으로 자극하거나 미생물의 활력 또는 미생물의 제한된 균수를 선택적으로 자극하여서 사람에게 유익한 영향을 주는 비분해성 식이성분이다. 프리바이오틱스는 대장 내에서 항생물질, 비타민, 성장촉진인자와 같은 영양소를 미생물학적으로 생성시켜 장 기능을 개선시키고, 미네랄의 생체 이용율을 증진시킨다.
또한, 이눌린은 분(糞, 대변) 배설량을 증가시키며, 설사예방과 면역기능이 향상되어, 최종적으로 동물의 성장을 촉진시킨다(Cummings, et al., Brit. J. Nutr., 87:S145, 2002; Patterson et al., Poult. Sci., 82:627, 2003; George et al., Brit. Med. J., 318: 999, 1999). 이러한 이유로, 유럽, 미국, 일본 등을 비롯한 선진제국에서는 이눌린을 이용한 생체활성 프리바이오틱스의 연구 개발을 위한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2008년에 식품의약안전청이 개정한 건강기능식품 기준 및 규격(한국식품의약안전청 고시 제2008-12호)에 의하면, 이눌린은 콜레스테롤을 개선하고 식후 혈당상승을 억제하며 배변활동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눌린은 저칼로리의 다당체로서 사람의 소화 효소에서는 분해되기 어렵고, 분해되어 흡수된다고 해도 프락토올리고당이 흡수되므로 혈당의 상승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콜레스테롤 조절 기능을 하는데 필요한 일일 섭취량은 이눌린 9 ~ 10 g, 식후 혈당상승 억제에 도움을 주기 위해 필요한 일일 섭취량은 이눌린 9 ~ 10g, 배변활동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발현하는데 필요한 일일 섭취량은 이눌린 8~ 20g이라고 고시하고 있다.
이눌린은 식품의약안전청이 과학적 근거를 확보하여 인정한 식이섬유 중의 하나이다.
프락토올리고당(GF2 ~ GF7)은 이눌린이 효소에 의해 분해되거나 산 가수 분해되어 만들어진다. 프락토올리고당은 비피더스균 등 유익균 증식과 유해균 억제로 인한 장내환경 개선, 원할한 배변활동 효과, 칼슘의 흡수증진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식품의약안전청이 고시하고 있다.
건강한 성인이 하루 2.5 ~ 15 g 의 프락토올리고당을 섭취하면 정장작용, 장기능 개선, 칼슘흡수의 증진기능을 기대할 수 있으나 하루 30 g 이상 섭취하면 더부룩한 느낌의 부작용을 보인다.
프락토올리고당의 일일 섭취량은 식품의약안전청이 기능성 인체적용시험 자료를 토대로 3 ~ 8 g 을 제시하고 있다. 프락토올리고당의 기능성 성분은 GF2(kestose), GF3(nystose), GF4(fructofuranosylnystose)이다.
돼지감자는 이눌린과 프락토올리고당을 동시에 함유하고 있으므로 콜레스테롤 조절을 개선하고 식후혈당상승을 억제하며 유익균 증식과 유해균 억제로 인하여 장내환경을 개선하고, 배변활동을 원활하게 하고 칼슘의 흡수를 증진시키는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건강식품 재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돼지감자의 약재명은 국우라 하며, 운곡본초학(주영승, 서림재, 2004)에 의하면 돼지감자는 청열양혈의 효능이 있어 열병에 해열 작용을 하고 장열출혈, 질타손상, 골절종통에 치료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특허청, 한국전통지식포털, 2007. 12. 06).
생리적으로 매우 유용한 다양한 기능을 갖는 돼지감자는 최근 만성 퇴행성 질환의 발병률이 증가함에 따라 질병의 예방, 개선을 기대하여 기능성 식품을 이용하려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돼지감자의 주요 저장성분인 이눌린의 당뇨개선 효과와 탁월함이 보고되어 근래에 들어 당뇨개선 효과와 비만억제효능과 혈중 인슐린과 중성지질의 감소효과와 대장암 발생억제효과 등 다양한 효능이 있음이 밝혀져 있다.
돼지감자를 이용한 건강 기능성 식품의 개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것은 영양학적으로 칼로리가 적어 영양을 중시했던 과거엔 관심 밖의 식품이었기 때문이다. 식생활이 풍족한 현재에는 칼로리가 적고 섬유질과 미량원소 보충이 필요하므로 돼지감자를 이용한 건강 기능성 식품의 중요성이 커져 가고 있다.
돼지감자는 가을에서 봄까지 수확이 가능하나 저장성이 낮고, 상온에 저장하면 효소에 의해 쉽게 분해되며 표피가 얇아 금방 마르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온 저장법을 주로 이용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고 장기보관도 어려우며 돼지감자 특유의 아린 맛과 냄새로 인해 기호도, 선호도가 떨어진다.
돼지감자를 먹는 방법은 건조해서 먹는 방법과 익혀서 먹는 방법이 있으나 열수를 가하여 익히는 경우 수용성 식이섬유 등 녹아나는 성분이 많아서 찌는 과정에서 유효한 성분이 빠져나가는 문제점이 있다.
건조해서 먹는 방법과 익혀서 먹는 방법은 돼지감자의 효소로 인해 쉽게 분해되는 문제가 있어서 다양하게 이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돼지감자가 다양한 건강 기능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섭취가 어려워 널리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돼지감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식품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33064호, 제2007-0005317호, 제2006-0041438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91539호, 제594520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며, 혈중 또는 간중 카르니틴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간중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의 농도 및 혈중 총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등 체내의 지질대사를 개선시킴으로써 비만 또는 제 2 형 당뇨병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돼지감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33064에서 개시하고 있다.
또한, 돼지감자로 알콜 생산, 이눌라아제 제조, 과당 제조 등에 관한 선행 연구가 있었으나 이눌린이 풍부한 기술에 대한 연구 또는 개발은 없었다.
돼지감자로부터 추출한 정제 이눌린은 사람의 혈당을 낮추기 때문에 당뇨병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 소재로써 이용할 수 있다.
이눌린은 사람의 위액과 소화효소에 의해 분해되지 않고, 약 80 % 가 대장까지 도달하여 장내 미생물에 의하여 발효됨으로써, 장 내 유익한 미생물의 성장을 선택적으로 자극함과 동시에 유해한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Gibson, G. R., J. Nutr., 129: 1438S, 1999; Schiffrin, E. J., Innovation Food Tech., 34, 2003; Hidaka, H. et al., Bifidobacteria Microflora., 5: 37-50, 1986).
돼지감자의 이눌린은 자연 상태에서 생성되어 있는 이눌라제(inulase: 돼지감자의 이눌린을 과당으로 분해하는 효소)에 의해서 분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Biotechnology letters, 2005, 9:1573-6776).
돼지감자의 이눌린은 수확 직후 추출을 실시하지 않으면 자가소화 등에 의해 이눌린의 함량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돼지감자는 저장성이 낮고, 상온에서 저장하면 이눌린이 쉽게 분해되며, 표피가 얇아서 빠르게 마르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현재 저온 저장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비용이 많이 들어 장기보관이 어려운 실정이다.
돼지감자는 인체에 유익하나 생으로 섭취하면 아린 맛이 있어 기호도가 떨어지고 과식하면 설사를 일으키기도 한다.
저장성의 문제와 생 돼지감지의 섭취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믹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52479호(발명의 명칭: 항산화활성이 높은 증숙 건조돼지감자의 제조방법)은 돼지감자의 아린 맛을 없애고, 단맛을 높여 기호도가 향상되어 연중 섭취가 용이한 증숙 건조돼지감자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59626호(발명의 명칭: 돼지감자를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돼지감자 차)는 돼지감자를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52479호는 건조돼지감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돼지감자를 세척한 후, 50 ~ 80 ℃에서 24 ~ 26 시간 동안 건조시켜 전처리한 건조돼지감자를 제조하고 100 ℃의 수증기로 3시간 동안 증숙하고, 제조된 증숙물을 다시 건조기에 넣어 65 ℃에서 18 시간 동안 2 차 건조시킨 후, 70 ℃에서 18 시간 동안 건조하며,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59626호는 돼지감자를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의 건조단계에서 건조기 내부의 온도를 65 ~ 70 ℃로 맞추어 70 ~ 75 시간 동안 돼지감자를 건조하나, 이들 선행기술은 이눌린이 분해되고 갈변현상이 생기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돼지감자의 건조, 추출 등 가공처리 과정 중 열처리를 오래 동안 하게 되면 이눌린이 생리적 효능이 거의 없는 글루코스(G), 과당(F), 2 당류(GF)로 분해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52479호와 제10-0959626호는 전처리 단계와 건조 단계에서 장시간의 가열과 이눌라제의 활성으로 인해 이눌린이 분해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눌린이 분해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면 이눌린이 풍부한 건조돼지감자와 돼지감자분말을 제조할 수 있고, 이눌린이 풍부한 건조돼지감자와 돼지감자분말은 콜레스테롤 조절을 개선하며, 식후 혈당상승을 억제하고, 유익균 증식과 유해균 억제로 인하여 장내환경을 개선하며, 배변활동을 원활하게 하고 칼슘의 흡수를 증진시키는 기능성을 가지는 건강식품 재료로서 다양한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돼지감자의 갈변을 억제하고 수용성 이눌린의 유츨을 방지하며 이눌린의 농도를 높이면서 저장성과 선호도를 더욱 높이고 생산성을 높이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86940호(2013년07월10일) ‘이눌린이 풍부한 건조돼지감자와 돼지감자분말 및 그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885239호(2018년07월30일) ‘녹차고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71792호(2017년08월21일) ‘돼지감자 조청 및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66526호(2017년08월02일) ‘돼지감자 발효주 및 그 제조방법’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돼지감자 특히 자색돼지감자를 균일한 두께로 세절하고 건조시켜 약성을 농축시키며 설정된 비율의 정수와 혼합하고 중탕하며 숙성시키고 약성이 우려난 농축액을 다시 중탕하고 숙성시키는 과정을 다수회 반복시켜 조청 상태로 변환시키므로 생산성을 높이면서 저장성과 약성과 선호도와 이동성을 개선시키는 돼지감자 조청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추구하는 목적 중에 하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엿질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조청과 같이 변환되고 약성이 그대로 포함되는 돼지감자 조청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추구하는 목적 중에 하나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돼지감자 조청 제조방법은 자색돼지감자와 물세척 준비가 완료되었으면 10 내지 20 분 동안 흐르는 물 속에 적치하여 자색돼지감자의 표면에 묻어있는 흙이 포함된 이물질을 불리면서 세척하고 면포로 쌓아 물기를 제거한 후 균일한 두께의 편으로 세절하는 시작단계; 상기 세절된 자색돼지감자 편을 건조기와 실내에서 각각 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건조하여 이눌린과 안토시아닌이 포함된 약성을 농축시킨 후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초속 3 내지 5 미터 이동속도의 바람으로 털어 제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자색돼지감자편을 가마솥에 넣고 지정된 비율의 정수와 혼합하며 3 단계에 걸쳐 각각 설정된 시간동안 가스불로 중탕하고 숙성하여 원액을 각각 추출하는 원액추출단계; 상기 원액추출단계에서 추출된 각 단계의 원액을 가마솥에 투입하고 지정된 비율의 정수와 혼합하여 끓인 후에 2 단계에 걸쳐 각각 설정된 시간 동안 가스불로 중탕하면서 한쪽 방향으로 저어주고 식혀서 농축과 숙성을 반복하는 예비농축숙성단계; 상기 예비농축숙성단계에서 농축된 원액을 설정된 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다시 중탕하여 농축과 숙성을 반복하는 본농축숙성단계; 상기 본농축숙성단계에서 숙성된 원액을 옹기류 용기에 투입하여 포장하는 포장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작단계는 준비된 자색돼지감자를 흐르는 물에 10 내지 20 분 동안 침지시켜 표면에 묻어 있는 흙과 이물질을 불리면서 흐르는 물의 힘에 의하여 제거되도록 세척시키는 제 11 과정; 상기 제 11 과정의 자색돼지감지를 면포를 이용하여 표면에 묻어 있는 물기를 제거하는 제 12 과정; 상기 제 12 과정의 자색돼지감자를 2 내지 4 밀리미터(mm) 두께의 편으로 세절하는 제 13 과정;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시작단계에서 세절된 하나 이상 다수의 자색돼지감자 편을 내부온도 30 내지 40 도가 열풍으로 유지되는 전기건조기에 투입시켜 40 내지 50 시간 동안 강제 건조시키는 제 21 과정; 상기 제 21 과정에서 강제 건조된 자색돼지감자 편을 실외의 응달 또는 환기가 잘되는 실내 환경에서 4 내지 5 일 동안 자연 건조시키는 제 22 과정; 상기 제 22 과정에서 자연 건조된 자색돼지감자 편을 채(그물망) 또는 채반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분리하고 초속 3 내지 5 미터 이동속도의 바람에 노출시켜 표면에 안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제 23 과정;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액추출단계는 상기 건조단계를 거친 자색돼지감자 편을 1 부피비 기준으로 하고 정수 8 부피비를 추가 혼합하여 가마솥에 투입하며 가스불을 강불로 설정하여 30 내지 40 분 동안 가마솥을 가열하여 중탕하고 다시 중불로 조절하여 3 내지 4 시간 동안 중탕하고 다시 약불로 조절하여 1 내지 2 시간 동안 중탕하고 18 시간 이상 식히면서 숙성시키는 과정을 3 회 반복하는 제 31 과정; 상기 제 31 과정에서 중탕되고 숙성된 액체를 면포를 이용하여 불순물이 포함된 색돼지감자가 걸러지고 액체로 이루어진 제 1 원액을 분리 추출하는 제 32 과정; 상기 제 32 과정에서 걸러진 자색돼지감자 1 부피비를 기준으로 하고 정수 1 부피비를 추가 혼합하여 가마솥에 투입하며 가스불을 중불로 설정하여 2 내지 3 시간 동안 중탕하고 2 내지 3 시간 동안 식히면서 숙성시키는 제 33 과정; 상기 제 33 과정에서 중탕되고 숙성된 액체를 면포를 이용하여 불순물이 포함된 자색돼지감자가 걸러지고 액체로 이루어진 제 2 원액을 분리 추출하는 제 34 과정; 상기 제 34 과정에서 걸러진 자색돼지감자 1 부피비를 기준으로 하고 정수 0.7 부피비를 추가 혼합하여 가마솥에 투입하며 가스불을 중불로 설정하여 2 내지 3 시간 동안 중탕하고 2 내지 3 시간 동안 식히면서 숙성시키는 제 35 과정; 상기 제 35 과정에서 중탕되고 숙성된 액체를 면포를 이용하여 불순물이 포함된 자색돼지감자가 걸러지고 액체로 이루어진 제 3 원액을 분리 추출하는 제 36 과정;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비농축숙성단계는 상기 원액추출단계에서 추출된 상기 제 1 원액과 상기 제 2 원액과 상기 제 3 원액이 혼합된 혼합원액을 1 부피비로 기준하고 정수 1 부피비를 추가 혼합하여 가마솥에 투입하는 제 41 과정; 상기 제 41 과정의 혼합된 원액을 가스불 강불로 1 시간 동안 중탕하고 다시 약불로 2 내지 3 시간 동안 중탕하면서 시계방향으로 저어주어 농축시키고 3 내지 4 시간 동안 자연적으로 또는 서서히 식히면서 숙성시켜 1차 농축숙성시키는 제 42 과정; 상기 제 42 과정에서 숙성된 원액을 가스불 강불로 1 시간 동안 중탕하고 다시 약불로 2 내지 3 시간 동안 중탕하면서 시계방향으로 저어주어 다시 농축시키고 3 내지 4 시간 동안 자연적으로 또는 서서히 식히면서 다시 숙성시켜 2차 농축숙성시키는 제 43 과정;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농축숙성단계는 상기 예비농축숙성단계에서 농축되고 숙성된 원액을 18 내지 20 시간 동안 환기되는 실내 또는 응달에서 숙성시키는 제 51 과정; 상기 제 51 과정에서 숙성된 원액을 가스불 약불로 5 내지 6 시간 동안 중탕과 농축시키고 다시 17 내지 18 시간 동안 자연적으로 또는 서서히 식히면서 숙성시키는 제 52 과정; 상기 제 52 과정에서 숙성된 원액을 가스불 약불로 5 내지 6 시간 동안 다시 중탕과 농축시키고 다시 17 내지 18 시간 동안 다시 자연적으로 또는 서서히 식히면서 숙성시키는 제 53 과정;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돼지감자 조청은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항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돼지감자 특히 자색돼지감자를 균일한 두께로 세절하고 건조시켜 약성을 농축시키며 설정된 소정 비율의 정수와 혼합하고 중탕하며 숙성시키고, 약성이 우려난 농축액을 다시 중탕하고 숙성시키는 과정을 다수회 반복시켜 조청 상태로 변환시키므로 생산성을 높이면서 저장성과 약성과 선호도와 이동성을 개선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엿질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조청과 같이 변환되고 약성이 그대로 포함되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돼지감자 조청 제조방법의 전체 순서흐름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시작단계의 세부방법 순서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건조단계의 세부방법 순서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원액추출단계의 세부방법 순서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예비농축숙성단계의 세부방법 순서흐름도,
그리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본농축숙성단계의 세부방법 순서흐름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세부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중탕은 가마솥에 대상물을 투입하고 가스불로 가열하여 끓이는 상태를 설명하고 이해하기로 한다. 가스불은 다른 가열수단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온도조절이 원활하여 사용하는 것이고 온도조절을 원활하게 하는 일반적으오 알 수 있는 수단이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이하에서 농축과 졸임은 같은 의미이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기재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돼지감자 조청 제조방법의 전체 순서흐름도 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시작단계의 세부방법 순서흐름도 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건조단계의 세부방법 순서흐름도 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원액추출단계의 세부방법 순서흐름도 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예비농축숙성단계의 세부방법 순서흐름도 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본농축숙성단계의 세부방법 순서흐름도 이다.
이하,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돼지감자 조청(고, 膏, 조청, grain syrup, 이하, ‘조청’이라 한다.)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시작단계(S900, S1000)와 건조단계(S2000)와 원액추출단계(S3000)와 예비농축숙성단계(S4000)와 본농축숙성단계(S5000)와 포장단계(S60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돼지감자 조청은 돼지감자 조청 제조방법으로 제조 또는 생산된다.
돼지감자에는 일반적으로 감자와 유사하게 황토색상을 표면에 띄는 일반적인 돼지감자와 자주색상을 표면에 띄는 자색돼지감자가 있다. 특히, 자색돼지감자에는 이눌린과 안토시아닌과 베타카로틴과 비타민 C와 칼륨이 풍부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돼지감자는 껍질이 매우 얇아 내부의 약성분이 쉽게 증발하고 상히기 쉬우므로 보관성이 좋지 않은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자색돼지감자가 포함되는 자색식물에는 안토시아닌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안토시아닌은 항산화성분으로 체내의 노폐물을 배출시키고, 몸에 유해한 활성산소를 배출시키므로 노화예방과 염증 예방에 도움을 주며, 혈액 정화에 효과가 있고, 혈관을 건강하게 하며, 고혈압과 동맥경화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다. 또한, 안토시아닌은 눈 건강 개선에 효과가 있다. 안구 망막색소의 로돕신은 빛을 느끼도록 작용하며 안토시아닌은 로돕신의 재합성을 촉진시키므로 안구건조와 눈피로의 개선에 효과가 있다.
시작단계는 자색돼지감자와 물세척 준비가 완료되었으면(S900) 10 내지 20 분 동안 흐르는 물 속에 적치 또는 침지하여 자색돼지감자의 표면에 묻어있는 흙이 포함된 이물질을 불리면서 세척하고 면포로 쌓아 물기를 제거한 후 균일한 두께의 편으로 세절한다(S1000).
시작단계는 제 11 과정(S1100)과 제 12 과정(S1200)과 제 13 과정(S1300)과 제 14 과정(S1400)으로 이루어진다.
제 11 과정은 자색돼지감자를 준비하고 세척할 준비를 한다(S1100).
준비된 자색돼지감자를 흐르는 물에 10 내지 20 분 동안 침지시켜 표면에 묻어 있는 흙과 이물질을 불리면서 흐르는 물의 힘에 의하여 제거되도록 세척시킨다(S1200). 돼지감자는 표피의 두께가 비교적 얇아 힘을 주고 딱는 경우 껍질이 벗겨질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빠르게 상하므로 흐르는 물속에 침지시켜 이물질을 뿔리면서 흐르는 물의 힘에 의하여 딱이도록 세척한다.
제 12 과정은 흐르는 물에 침지되어 세척된 자색돼지감지를 면포를 이용하여 표면에 묻어 있는 물기를 제거한다(S1300). 또는, 세척된 자색돼지감자를 면포 위에 얹어 놓고 20 내지 30 분 범위로 체류시키는 방식으로 물기를 제거할 수 도 있다.
제 13 과정은 세척되고 말린 자색돼지감자를 평균 2 내지 4 밀리미터(mm) 두께의 편으로 얇게 세절한다(S1400).
여기서 세절은 써는(slice) 것을 의미하고, 평균 2 밀리미터의 두께로 균일하게 세절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세절된 두께가 2 밀리미터 미안이면 건조된 경우 작은 충격 또는 진동에도 부서져 사용하거나 취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2 밀리미터 보다 두꺼울수록 건조 시키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거나 건조가 균일하지 않게 된다. 특히 세절된 두께가 4 밀리미터를 초과하는 경우 건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면서 상하는 부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공정의 체계화를 위하여 두께를 2 밀리미터로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세절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건조단계(S2000)는 세절된 자색돼지감자 편(넓적한 상태)을 건조기와 실내에서 각각 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건조하여 이눌린과 안토시아닌이 포함된 약성을 농축시킨 후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초속 3 내지 5 미터 이동속도의 바람으로 털어 제거한다.
건조단계는 제 21 과정(S2100)과 제 22 과정(S2200)과 제 23 과정(S2300)으로 이루어진다.
제 21 과정은 시작단계에서 세절된 하나 이상 다수의 자색돼지감자 편을 내부온도 30 내지 40 도가 열풍으로 유지되는 전기건조기에 투입시켜 40 내지 50 시간 동안 강제 건조시킨다(S2100). 강제건조 되는 과정에서 수분이 약 50 % 만 남게 되고, 단위 크기당 약성이 높아지며 표면이 약한 갈색 또는 밤색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로 오랜 시간 동안 보관하여도 상하지 않으므로 보관성과 이동성 및 취급성이 개선된다. 일반적으로 알 수 있고 온도조절을 할 수 있는 건조기 또는 방식의 장치는 전기건조기를 대체할 수 있다 .
제 22 과정은 강제 건조된 자색돼지감자 편을 실외의 응달 또는 환기가 잘되는 실내 환경에서 4 내지 5 일 동안 자연 건조시킨다(S2200). 필요에 의하여 실외의 양달에서 자연건조시킬 수 있으나 급격이 건조되는 과정에서 부서지거나 균열이 생겨 관리와 취급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자연건조 과정을 거치면 수분은 80 내지 90 % 이상 제거되고 표면이 더 진한 갈색 또는 밤색으로 변하지만 굽히는 경우 굽혀지고 바스러지지는 않게 되며 가벼운 무게에 의하여 취급 및 관리가 편하고 단위 크기 당 약성이 가장 높아진다. 수분이 10 % 미만으로 남게 되면 작은 충격과 외력에 의하여 쉽게 바스라져서 취급 및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제 23 과정은 자연 건조과정을 거친 자색돼지감자 편을 채(그물망) 또는 채반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분리하고 초속 3 내지 5 미터 이동속도의 바람에 노출시켜 표면에 안착된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한다(S2300).
초속 3 내지 5 미터의 바람은 일반적으로 나뭇가지의 잎사귀가 흔들리는 정도 이며, 일반 가정용 선풍기의 경우 중간에 해당하는 속도에서 발생하는 바람인 것으로 설명하고 이해하기로 한다. 여기서 채반은 비교적 균일한 크기와 두께의 껍질을 벗긴 싸리 또는 대나무 껍질을 엮어 둥글넓적하게 만든 우리나라 전통의 주방용 넓은 그릇이고, 채는 그물망을 이용하여 걸러내는 그릇이다.
원액추출단계(S3000)는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자색돼지감자 편을 가마솥에 넣고 지정된 비율의 정수와 혼합하며 3 단계에 걸쳐 각각 설정된 시간동안 가스불로 중탕하고 숙성하여 원액을 각각 추출한다.
원액추출단계는 제 31 과정(S3100)과 제 32 과정(S3200)과 제 33 과정(S3300)과 제 34 과정(S3400)과 제 35 과정(S3500)과 제 36 과정(S3600)으로 이루어진다.
제 31 과정은 건조단계를 거친 자색돼지감자 편을 1 부피비 기준으로 하고 정수 8 부피비를 추가 혼합하여 가마솥에 투입하며 가스불을 강불로 설정하여 30 내지 40 분 동안 가마솥을 가열하여 중탕하고 다시 중불로 조절하여 3 내지 4 시간 동안 중탕하고 다시 약불로 조절하여 1 내지 2 시간 동안 중탕하고 18 시간 이상 식히면서 숙성시키는 과정을 총 3 회 반복한다(S3100). 여기서 중탕은 가마솥에 넣은 상태를 가열하여 끓이거나 데우는 것을 의미한다.
가스불의 강불, 중불, 약불 조절은 일반적인 조절 방식이고 중불의 경우 섭씨 160 내지 200 도 범위로 가열되고 강불은 그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며 약불은 그 이하로 가열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 32 과정은 제 31 과정에서 중탕되고 숙성된 액체를 면포를 이용하여 불순물이 포함된 자색돼지감자가 걸러지고 액체만으로 이루어진 제 1 원액을 분리 추출한다(S3200). 여기서 걸러진 자색돼지감자와 제 1 원액은 각각 분리하여 청결하게 보관한다.
여기서 숙성은 가마솥에 담겨진 상태로 숙성시키는 방식이며 이하에서 동일하게 적용되고 필요에 의하여 옹기류에 옮겨 담은 상태로 숙성을 시킬 수 있으나 해당 용기에 묻어나는 것에 의하여 손실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제 31 과정과 제 32 과정은 첫(1) 번째로 끓이고 원액을 추출하는 초(1) 탕이라고 할 수 있다.
제 33 과정은 초탕에서 걸러진 자색돼지감자 1 부피비를 기준으로 하고 정수 1 부피비를 추가 혼합하여 가마솥에 투입하며 가스불을 중불로 설정하여 2 내지 3 시간 동안 중탕하고 2 내지 3 시간 동안 식히면서 숙성시킨다(S3300).
제 34 과정은 제 33 과정에서 중탕되고 숙성된 액체를 면포를 이용하여 불순물이 포함된 자색돼지감자가 걸러지고 액체로 이루어진 제 2 원액을 분리하여 추출한다(S3400).
한편, 걸러진 자색돼지감자와 제 2 원액은 각각 분리하여 청결하게 보관하며, 제 33 과정과 제 34 과정은 두(2) 번째로 끓이고 원액을 추출하는 재(2) 탕이라고 할 수 있다.
제 35 과정은 재탕에서 걸러진 자색돼지감자 1 부피비를 기준으로 하고 정수 0.7 부피비를 추가 혼합하여 가마솥에 투입하며 가스불을 중불로 설정하여 2 내지 3 시간 동안 중탕하고 2 내지 3 시간 동안 식히면서 숙성시킨다(S3500).
제 36 과정은 제 35 과정에서 중탕되고 숙성된 액체를 면포를 이용하여 불순물이 포함된 자색돼지감자가 걸러지고 액체로 이루어진 제 3 원액을 분리하여 추출한다(S3600).
걸러진 자색돼지감자와 제 3 원액은 각각 분리하여 청결하게 보관하며, 제 35 과정과 제 36 과정은 세(3) 번째로 끓이고 원액을 추출하는 삼(3) 탕이라고 할 수 있다. 삼탕에서 걸러진 자색돼지감자는 약성이 거의 다 추출되었으므로 버리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필요에 의하여 다시 고와서 우려내는 상기와 같은 방식의 4 탕, 5 탕 등에 사용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예비농축숙성단계는 원액추출단계에서 추출된 각 단계의 원액을 가마솥에 투입하고 지정된 비율의 정수와 혼합하여 끓인 후에 2 단계에 걸쳐 각각 설정된 시간 동안 가스불로 중탕하면서 한쪽 방향으로 저어주고 식혀서 농축과 숙성을 반복한다.
예비농축숙성단계(S4000)는 제 41 과정(S4100)과 제 42 과정(S4200)과 제 43 과정(S4300)을 포함한다.
제 41 과정은 원액추출단계에서 추출된 제 1 원액과 제 2 원액과 제 3 원액이 혼합된 혼합원액을 1 부피비로 기준하고 정수 1 부피비를 추가 혼합하여 가마솥에 투입한다(S4100). 한편 필요에 의하여 제 4 원액, 제 5 원액 등을 추가로 더 혼합할 수 있다.
제 42 과정은 제 41 과정의 혼합된 원액을 가스불 강불로 1 시간 동안 중탕하고 다시 약불로 2 내지 3 시간 동안 중탕하면서 시계방향으로 또는 일방향으로 저어주어 농축시키고 3 내지 4 시간 동안 자연적으로 또는 서서히 식히면서 숙성시켜 1차 농축숙성시킨다(S4200). 이하에서 시계방향으로 저어주는 것은 동일한 일방향으로 저어주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제 43 과정은 제 42 과정에서 숙성된 원액을 가스불 강불로 1 시간 동안 중탕하고 다시 약불로 2 내지 3 시간 동안 중탕하면서 시계방향으로 저어주어 다시 농축시키고 3 내지 4 시간 동안 자연적으로 또는 서서히 식히면서 다시 숙성시켜 2차 농축숙성시킨다(S4300).
본농축숙성단계(S5000)는 예비농축숙성단계에서 농축된 원액을 설정된 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다시 중탕하여 농축과 숙성을 반복한다.
본농축숙성단계(S5000)는 제 51 과정(S5100)과 제 52 과정(S5200)과 제 53 과정(S5300)을 포함한다.
제 51 과정은 예비농축숙성단계에서 농축되고 숙성된 원액을 18 내지 20 시간 동안 환기되는 실내 또는 응달에서 숙성시킨다(S5100).
제 52 과정은 제 51 과정에서 숙성된 원액을 가스불 약불로 5 내지 6 시간 동안 중탕과 농축시키고 다시 17 내지 18 시간 동안 숙성시킨다(S5200).
제 53 과정은 제 52 과정에서 숙성된 원액을 가스불 약불로 5 내지 6 시간 동안 다시 중탕과 농축시키고 다시 17 내지 18 시간 동안 다시 숙성시킨다(S5300).
본농축숙성단계에서 농축되고 숙성된 원액은 조청과 같이 점도가 비교적 높게 변환되어 식사용 수저에 담고 흘리는 경우 3 내지 4 밀리미터(mm) 정도의 폭으로 가늘게 줄지어 흐르면서 3 내지 5 센티미터 길이마다 중간 중간 끊어지는 상태이고 손으로 휘저어 발생되는 냄새를 맡으면 단내가 나는 상태이다.
포장단계(S6000)는 본농축숙성단계에서 숙성된 원액을 옹기류 용기에 투입하며 입구는 한지로 덮으면서(밀봉) 포장을 완료한다. 옹기류는 미세한 직경의 다공질로 이루어지며 미세한 크기의 구멍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옹기(용기)의 내부로 유입되지만, 옹기(용기) 내부의 액체 등은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는 특성에 의하여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에도 내장된 액체 또는 음식 등이 비교적 안전하며 상하지 않는 상태로 오랜시간 동안 보존되는 것으로 널리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돼지감자 특히 자색돼지감자를 균일한 두께로 세절하고 건조시켜 약성을 농축시키며 설정된 소정 비율의 정수와 혼합하고 중탕하여 약성이 우려난 농축액을 다시 중탕하고 숙성시키는 과정을 다수회 반복시켜 조청 상태로 변환시키므로 생산성을 높이면서 저장성과 약성과 선호도와 이동성을 개선시키는 장점이 있다.
돼지감자 조청은 엿질금을 사용하는 방식도 있으나 엿질금(엿기름, 보리를 싹트게 한 후 말린 것)을 사용하는 만큼 약성이 떨어지고 그것도 5 % 이내인 경우에만 약성이 포함되며, 엿질금을 무게 대비 5 % 이상 사용하는 경우에는 약성이 매우 희박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약성 보존과 농축을 위하여 엿질금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방식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7)

  1. 자색돼지감자와 물세척 준비가 완료되었으면 10 내지 20 분 동안 흐르는 물 속에 침지 상태로 적치하여 자색돼지감자의 표면에 묻어있는 흙이 포함된 이물질을 불리면서 세척하고 면포로 쌓아 물기를 제거한 후 균일한 두께의 편으로 세절하는 시작단계;
    상기 세절된 자색돼지감자 편을 건조기와 실내에서 각각 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건조하여 이눌린과 안토시아닌이 포함된 약성을 농축시킨 후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초속 3 내지 5 미터 이동속도의 바람으로 털어 제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자색돼지감자편을 가마솥에 넣고 지정된 비율의 정수와 혼합하며 3 단계에 걸쳐 각각 설정된 시간동안 가스불로 중탕하고 숙성하여 원액을 각각 추출하는 원액추출단계;
    상기 원액추출단계에서 추출된 각 단계의 원액을 가마솥에 투입하고 지정된 비율의 정수와 혼합하여 끓인 후에 2 단계에 걸쳐 각각 설정된 시간 동안 가스불로 중탕하면서 한쪽 방향으로 저어주고 식혀서 농축과 숙성을 반복하는 예비농축숙성단계;
    상기 예비농축숙성단계에서 농축된 원액을 설정된 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다시 중탕하여 농축과 숙성을 반복하는 본농축숙성단계;
    상기 본농축숙성단계에서 숙성된 원액을 옹기류 용기에 투입하여 포장하는 포장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원액추출단계는
    상기 건조단계를 거친 자색돼지감자 편을 1 부피비 기준으로 하고 정수 8 부피비를 추가 혼합하여 가마솥에 투입하며 가스불을 강불로 설정하여 30 내지 40 분 동안 가마솥을 가열하여 중탕하고 다시 중불로 조절하여 3 내지 4 시간 동안 중탕하고 다시 약불로 조절하여 1 내지 2 시간 동안 중탕하고 18 시간 이상 식히면서 숙성시키는 과정을 3 회 반복하는 제 31 과정;
    상기 제 31 과정에서 중탕되고 숙성된 액체를 면포를 이용하여 불순물이 포함된 자색돼지감자가 걸러지고 액체로 이루어진 제 1 원액을 분리 추출하는 제 32 과정;
    상기 제 32 과정에서 걸러진 자색돼지감자 1 부피비를 기준으로 하고 정수 1 부피비를 추가 혼합하여 가마솥에 투입하며 가스불을 중불로 설정하여 2 내지 3 시간 동안 중탕하고 2 내지 3 시간 동안 식히면서 숙성시키는 제 33 과정;
    상기 제 33 과정에서 중탕되고 숙성된 액체를 면포를 이용하여 불순물이 포함된 자색돼지감자가 걸러지고 액체로 이루어진 제 2 원액을 분리 추출하는 제 34 과정;
    상기 제 34 과정에서 걸러진 자색돼지감자 1 부피비를 기준으로 하고 정수 0.7 부피비를 추가 혼합하여 가마솥에 투입하며 가스불을 중불로 설정하여 2 내지 3 시간 동안 중탕하고 2 내지 3 시간 동안 식히면서 숙성시키는 제 35 과정;
    상기 제 35 과정에서 중탕되고 숙성된 액체를 면포를 이용하여 불순물이 포함된 자색돼지감자가 걸러지고 액체로 이루어진 제 3 원액을 분리 추출하는 제 36 과정;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불은 섭씨 160 내지 200 도 범위로 가열하고,
    상기 숙성은 가마솥에 담겨진 상태로 숙성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돼지감자 조청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단계는
    준비된 자색돼지감자를 흐르는 물에 10 내지 20 분 동안 침지시켜 표면에 묻어 있는 흙과 이물질을 불리면서 흐르는 물의 힘에 의하여 제거되도록 세척시키는 제 11 과정;
    상기 제 11 과정의 자색돼지감지를 면포를 이용하여 표면에 묻어 있는 물기를 제거하는 제 12 과정;
    상기 제 12 과정의 자색돼지감자를 2 내지 4 밀리미터(mm) 두께의 편으로 세절하는 제 13 과정; 을 포함하는 돼지감자 조청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시작단계에서 세절된 하나 이상 다수의 자색돼지감자 편을 내부온도 30 내지 40 도가 열풍으로 유지되는 전기건조기에 투입시켜 40 내지 50 시간 동안 강제 건조시키는 제 21 과정;
    상기 제 21 과정에서 강제 건조된 자색돼지감자 편을 실외의 응달 또는 환기가 잘되는 실내 환경에서 4 내지 5 일 동안 자연 건조시키는 제 22 과정;
    상기 제 22 과정에서 자연 건조된 자색돼지감자 편을 채반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분리하고 초속 3 내지 5 미터 이동속도의 바람에 노출시켜 표면에 안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제 23 과정; 을 포함하는 돼지감자 조청 제조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농축숙성단계는
    상기 원액추출단계에서 추출된 상기 제 1 원액과 상기 제 2 원액과 상기 제 3 원액이 혼합된 혼합원액을 1 부피비로 기준하고 정수 1 부피비를 추가 혼합하여 가마솥에 투입하는 제 41 과정;
    상기 제 41 과정의 혼합된 원액을 가스불 강불로 1 시간 동안 중탕하고 다시 약불로 2 내지 3 시간 동안 중탕하면서 시계방향으로 저어주어 농축시키고 3 내지 4 시간 동안 자연적으로 또는 서서히 식히면서 숙성시켜 1차 농축숙성시키는 제 42 과정;
    상기 제 42 과정에서 숙성된 원액을 가스불 강불로 1 시간 동안 중탕하고 다시 약불로 2 내지 3 시간 동안 중탕하면서 시계방향으로 저어주어 다시 농축시키고 3 내지 4 시간 동안 자연적으로 또는 서서히 식히면서 다시 숙성시켜 2차 농축숙성시키는 제 43 과정; 을 포함하는 돼지감자 조청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농축숙성단계는
    상기 예비농축숙성단계에서 농축되고 숙성된 원액을 18 내지 20 시간 동안 환기되는 실내 또는 응달에서 숙성시키는 제 51 과정;
    상기 제 51 과정에서 숙성된 원액을 가스불 약불로 5 내지 6 시간 동안 중탕과 농축시키고 다시 17 내지 18 시간 동안 자연적으로 또는 서서히 식히면서 숙성시키는 제 52 과정;
    상기 제 52 과정에서 숙성된 원액을 가스불 약불로 5 내지 6 시간 동안 다시 중탕과 농축시키고 다시 17 내지 18 시간 동안 다시 자연적으로 또는 서서히 식히면서 숙성시키는 제 53 과정; 을 포함하는 돼지감자 조청 제조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제 6 항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하여 제조되는 돼지감자 조청.

KR1020220126247A 2022-10-04 2022-10-04 돼지감자 조청 및 그 제조방법 KR102550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247A KR102550542B1 (ko) 2022-10-04 2022-10-04 돼지감자 조청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247A KR102550542B1 (ko) 2022-10-04 2022-10-04 돼지감자 조청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0542B1 true KR102550542B1 (ko) 2023-07-03

Family

ID=87157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247A KR102550542B1 (ko) 2022-10-04 2022-10-04 돼지감자 조청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54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2779A (ko) * 2011-01-14 2012-07-24 박태호 이눌린이 풍부한 돼지감자추출물과 그의 제조
KR20130072500A (ko) * 2011-12-22 2013-07-02 이병의 돼지감자를 이용한 조청 제조
KR101286940B1 (ko) 2011-01-12 2013-07-16 조원교 이눌린이 풍부한 건조돼지감자와 돼지감자분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121321A (ko) * 2012-04-27 2013-11-06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돼지감자 지상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조성물
KR20160056777A (ko) * 2014-11-12 2016-05-20 표재호 돼지감자 조청 및 그 제조방법
KR101766526B1 (ko) 2015-06-24 2017-08-10 경상북도(관련부서:경상북도산림자원개발원) 돼지감자 발효주 및 그 제조 방법
KR101885239B1 (ko) 2016-12-09 2018-08-06 임기종 녹차고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940B1 (ko) 2011-01-12 2013-07-16 조원교 이눌린이 풍부한 건조돼지감자와 돼지감자분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82779A (ko) * 2011-01-14 2012-07-24 박태호 이눌린이 풍부한 돼지감자추출물과 그의 제조
KR20130072500A (ko) * 2011-12-22 2013-07-02 이병의 돼지감자를 이용한 조청 제조
KR20130121321A (ko) * 2012-04-27 2013-11-06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돼지감자 지상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조성물
KR20160056777A (ko) * 2014-11-12 2016-05-20 표재호 돼지감자 조청 및 그 제조방법
KR101771792B1 (ko) 2014-11-12 2017-08-25 표재호 돼지감자 조청 및 그 제조방법
KR101766526B1 (ko) 2015-06-24 2017-08-10 경상북도(관련부서:경상북도산림자원개발원) 돼지감자 발효주 및 그 제조 방법
KR101885239B1 (ko) 2016-12-09 2018-08-06 임기종 녹차고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oodService Industry Journal, Vol. 17, pp. 247-259 (20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60566B (zh) 一种黑芸豆风味粉丝
KR101687790B1 (ko) 산야초 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CN101720953A (zh) 一种何首乌花生米及其制作方法
KR20200102635A (ko) 도라지 진정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04589B1 (ko) 천년초 액상액을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 방법
KR101497382B1 (ko) 황태강정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652639B (zh) 一种天门冬桔梗保健锅巴
KR101286940B1 (ko) 이눌린이 풍부한 건조돼지감자와 돼지감자분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118410A (ko) 돼지감자를 이용한 장아찌의 제조방법
CN106805097A (zh) 营养米饭/米粥/米粉/河粉/米糕/米饼及其制作方法
KR20150053524A (ko) 돼지감자와 당조고추를 이용한 소면 및 그의 제조방법
CN106962767A (zh) 一种白及营养面条及其制作方法
KR102550542B1 (ko) 돼지감자 조청 및 그 제조방법
KR101286757B1 (ko) 이눌린이 풍부한 돼지감자추출물과 그의 제조
CN101124994A (zh) 保元乌鸡蛋的制作方法
CN108684901B (zh) 一种澳洲坚果果皮茶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807832B1 (ko) 꾸지뽕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를 위한 음료 조성물
CN109567144A (zh) 叶的植物肉及其制作方法
KR102590423B1 (ko) 돼지감자 추출물을 이용한 당뇨예방 잡곡밥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만든 당뇨예방 잡곡밥
CN108567042A (zh) 一种香气浓郁的无花果干茶片的制备方法
KR102603696B1 (ko) 단백질 함유 음료 조성물
KR101196193B1 (ko) 뽕잎 돼지감자차의 제조방법
CN110269186A (zh) 香蒿保健锅巴
CN103027246B (zh) 一种荷花玉竹疙瘩面的制作方法
KR102224111B1 (ko) 5단계 덖음 및 5단계 건조를 거친 연심차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