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849B1 -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849B1
KR102549849B1 KR1020227029100A KR20227029100A KR102549849B1 KR 102549849 B1 KR102549849 B1 KR 102549849B1 KR 1020227029100 A KR1020227029100 A KR 1020227029100A KR 20227029100 A KR20227029100 A KR 20227029100A KR 102549849 B1 KR102549849 B1 KR 102549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s
stage
unit
lens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9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2794A (ko
Inventor
라파엘 호에슬리
막시메 로텐
요이치 이타가키
Original Assignee
미니스뷔스 에스에이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니스뷔스 에스에이,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니스뷔스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220122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2Lateral adjustment of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2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along multiple or arbitrary translation directions, e.g. XYZ stag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4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6Drive 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or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15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displac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normal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1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piezoelectric actu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 Focusing (AREA)

Abstract

외부 자기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소형화 및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는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기기를 제공한다. 렌즈 구동 장치는, AF 고정부에 대하여 AF 가동부를 광축을 따른 Z방향으로 이동시키는 AF 구동부와, OIS 고정부에 대하여 OIS 가동부를 광축에 직교하는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OIS 구동부를 구비한다. OIS 구동부 및 AF 구동부는, 모두 초음파 모터로 구성된다. AF 구동부는, OIS 구동부가 배치되어 있는 2변으로 규정되는 직사각형에 있어서, 상기 2변과는 다른 변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CAMERA-MOUNTED DEVICE}
본 발명은, 오토 포커스용 및 흔들림 보정용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에는, 소형의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에는, 피사체를 촬영할 때의 초점 맞춤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오토 포커스 기능(이하 「AF 기능」이라고 칭함, AF: Auto Focus) 및 촬영 시에 발생하는 흔들림(진동)을 광학적으로 보정하여 화상의 흐트러짐을 경감시키는 흔들림 보정 기능(이하 「OIS 기능」이라고 칭함, 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을 갖는 렌즈 구동 장치가 적용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AF 기능 및 OIS 기능을 갖는 렌즈 구동 장치는, 렌즈부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오토 포커스 구동부(이하 「AF 구동부」라고 칭함)와, 렌즈부를 광축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요동시키기 위한 흔들림 보정 구동부(이하 「OIS 구동부」라고 칭함)를 구비한다. 특허문헌 1에서는, AF 구동부 및 OIS 구동부에, 보이스 코일 모터(VCM)가 적용되어 있다.
또, 최근에는, 복수(전형적으로는 2개)의 렌즈 구동 장치를 갖는 카메라 모듈의 실용화가 진행되고 있다(이른바 듀얼 카메라). 듀얼 카메라는, 초점 거리가 다른 2매의 화상을 동시에 촬상할 수 있거나, 정지 화상과 동영상을 동시에 촬상할 수 있거나 하는 등, 이용 신에 따라 다양한 가능성을 갖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210550호 특허문헌 2: 국제 공개공보 제2015/123787호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이, VCM을 이용한 렌즈 구동 장치는, 외부 자기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고정밀도의 동작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특히, 렌즈 구동 장치가 병치(倂置)되는 듀얼 카메라에 있어서는, 렌즈 구동 장치 사이에서 자기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한편, 특허문헌 2에는, AF 구동부 및 OIS 구동부에 초음파 모터를 적용한 렌즈 구동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렌즈 구동 장치는, 마그넷리스이기 때문에 외부 자기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지만, 구조가 복잡하여, 소형화 및 저배화(低背化)를 도모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자기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소형화 및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는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렌즈 구동 장치는,
오토 포커스 고정부에 배치되는 오토 포커스 가동부, 및 상기 오토 포커스 고정부에 대하여 상기 오토 포커스 가동부를 광축을 따른 Z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오토 포커스 구동부를 갖는 오토 포커스부와,
흔들림 보정 고정부, 상기 오토 포커스부를 포함하는 흔들림 보정 가동부, 및 상기 흔들림 보정 고정부에 대하여 상기 흔들림 보정 가동부를 광축에 직교하는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흔들림 보정 구동부를 갖는 흔들림 보정부를 구비하는 렌즈 구동 장치로서,
상기 흔들림 보정 구동부는,
상기 X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흔들림 보정 가동부를 상기 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흔들림 보정 구동부와, 상기 Y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흔들림 보정 가동부를 상기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흔들림 보정 구동부를 갖고,
상기 제1 흔들림 보정 구동부 및 상기 제2 흔들림 보정 구동부는, 각각,
흔들림 보정 압전 소자 및 상기 흔들림 보정 압전 소자의 진동에 공진(共振)하여 진동 운동을 상기 X방향 또는 상기 Y방향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흔들림 보정 공진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흔들림 보정 고정부에 배치되는 흔들림 보정 초음파 모터와,
상기 흔들림 보정 초음파 모터와 상기 흔들림 보정 가동부를 연결하여, 상기 X방향 또는 상기 Y방향의 직선 운동을 상기 흔들림 보정 가동부에 전달하는 흔들림 보정 동력 전달부를 갖고,
상기 오토 포커스 구동부는,
오토 포커스 압전 소자 및 상기 오토 포커스 압전 소자의 진동에 공진하여 진동 운동을 상기 Z방향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오토 포커스 공진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오토 포커스 가동부에 배치되는 오토 포커스 초음파 모터와,
상기 오토 포커스 초음파 모터와 상기 오토 포커스 고정부를 연결하여, 상기 직선 운동을 상기 오토 포커스 고정부에 전달하는 오토 포커스 동력 전달부를 갖고,
상기 제1 흔들림 보정 구동부 및 상기 제2 흔들림 보정 구동부가 배치되어 있는 2변으로 규정되는 직사각형에 있어서, 상기 2변과는 다른 변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 모듈은,
상기의 렌즈 구동 장치와,
상기 오토 포커스 가동부에 장착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에 의하여 결상된 피사체상(像)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 탑재 장치는,
정보 기기 또는 수송 기기인 카메라 탑재 장치로서,
상기의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얻어진 화상 정보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자기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소형화 및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는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도 1A,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을 탑재하는 스마트폰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카메라 모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에 있어서 도 3A, 도 3B는, 카메라 모듈의 투시 사시도이다.
도 4는, 렌즈 구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렌즈 구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도 6A, 도 6B는, OIS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OIS 가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OIS 가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OIS 가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도 10A, 도 10B는, AF 가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렌즈 구동 장치의 급전 계통 및 신호 계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도 12A, 도 12B는, 차재용 카메라 모듈을 탑재하는 카메라 탑재 장치로서의 자동차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A)을 탑재하는 스마트폰(M)(카메라 탑재 장치)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A는 스마트폰(M)의 정면도이며, 도 1B는 스마트폰(M)의 배면도이다.
스마트폰(M)은, 2개의 배면 카메라(OC1, OC2)로 이루어지는 듀얼 카메라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면 카메라(OC1, OC2)에, 카메라 모듈(A)이 적용되어 있다.
카메라 모듈(A)은, AF 기능 및 OIS 기능을 구비하고, 피사체를 촬영할 때의 초점 맞춤을 자동적으로 행함과 함께, 촬영 시에 발생하는 흔들림(진동)을 광학적으로 보정하여 상 흔들림이 없는 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2는, 카메라 모듈(A)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A, 도 3B는, 카메라 모듈(A)의 투시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를 Z축 둘레로 180°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3A, 도 3B에서는, 렌즈부(2)를 생략하고 있다. 도 2,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후술하는 도면에 있어서도 공통의 직교 좌표계(X, Y, Z)로 나타내고 있다.
카메라 모듈(A)은, 스마트폰(M)으로 실제로 촬영이 행해지는 경우에, X방향이 상하 방향(또는 좌우 방향), Y방향이 좌우 방향(또는 상하 방향), Z방향이 전후 방향이 되도록 탑재된다. 즉, Z방향이 광축 방향이며, 도면 중 상측이 광축 방향 수광 측, 하측이 광축 방향 결상 측이다. 또, Z축에 직교하는 X방향 및 Y방향을 「광축 직교 방향」이라고 칭하고, XY면을 「광축 직교면」이라고 칭한다.
도 2,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A)은, AF 기능 및 OIS 기능을 실현하는 렌즈 구동 장치(1), 원통 형상의 렌즈 배럴에 렌즈가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렌즈부(2), 렌즈부(2)에 의하여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도시 생략), 및 전체를 덮는 커버(3) 등을 구비한다.
커버(3)는, 광축 방향에서 본 평면시로 직사각형상의 덮개가 있는 사각통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3)는, 평면시로 정사각 형상을 갖고 있다. 커버(3)는, 상면에 개략 원형의 개구(3a)를 갖는다. 개구(3a)로부터 렌즈부(2)가 외부에 면한다. 커버(3)는, 렌즈 구동 장치(1)의 OIS 고정부(20)의 베이스(21)(도 4 참조)에, 예를 들면 접착에 의하여 고정된다. 커버(3)는, 렌즈 구동 장치(1)의 상부(댐퍼(23))에 접촉한다.
촬상부(도시 생략)는, 렌즈 구동 장치(1)의 광축 방향 결상 측에 배치된다. 촬상부(도시 생략)는, 예를 들면 이미지 센서 기판 및 이미지 센서 기판에 실장되는 촬상 소자를 갖는다. 촬상 소자는, 예를 들면 CCD(charge-coupled device)형 이미지 센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형 이미지 센서 등에 의하여 구성된다. 촬상 소자는, 렌즈부(2)에 의하여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한다. 렌즈 구동 장치(1)는, 이미지 센서 기판(도시 생략)에 탑재되어, 기계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렌즈 구동 장치(1)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는, 이미지 센서 기판에 마련되어도 되고, 카메라 모듈(A)이 탑재되는 카메라 탑재 기기(본 실시형태에서는, 스마트폰(M))에 마련되어도 된다.
도 4, 도 5는, 렌즈 구동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를 Z축 둘레로 180°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렌즈 구동 장치(1)는, OIS 가동부(10), OIS 고정부(20), OIS 구동부(30) 및 OIS 지지부(40)를 구비한다. 또한, 도 4, 도 5에서는, 베이스(21)에 형성되는 배선(25)(도 11 참조)을 생략하고 있다.
OIS 가동부(10)는, 흔들림 보정 시에 광축 직교면 내에서 요동하는 부분이다. OIS 가동부(10)는, AF 가동부(11), 제1 스테이지(12), 제2 스테이지(16) 및 AF 구동부(13)를 갖는 AF 유닛을 포함한다(도 7~도 9 참조). OIS 가동부(10)는, OIS 고정부(20)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되고, OIS 지지부(40)에 의하여 OIS 고정부(20)와 연결된다. OIS 가동부(1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OIS 고정부(20)는, OIS 지지부(40)를 개재하여 OIS 가동부(10)가 접속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OIS 고정부(20)는, 베이스(21) 및 스페이서(22)를 갖는다. OIS 가동부(10)는, 베이스(21) 및 스페이서(22)에 의하여 광축 방향으로 협지된다.
베이스(21)는, 평면시로 직사각형상의 부재이며, 중앙에 원형의 개구(21a)를 갖는다. 베이스(21)는, 직사각형의 한 모서리에, OIS 구동부(30)가 배치되는 OIS 모터 고정부(21b)를 갖는다. 또, 베이스(21)는, OIS 모터 고정부(21b)의 대각(對角) 위치에, 스페이서(22)의 다리부(22b)가 배치되는 스페이서 고정부(21c)를 갖는다. OIS 모터 고정부(21b) 및 스페이서 고정부(21c)는, 베이스면으로부터 광축 방향 수광 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21)에는, AF 가동부(11)(도 7~도 9 참조)의 Z위치 검출용의 제1 홀 소자(51), 및 OIS 가동부(10)의 XY위치 검출용의 제2 홀 소자(52, 53)가 배치된다. 또한, AF 가동부(11)에는, 제1 홀 소자(51)에 대향하여 제1 마그넷(61)이 배치되고, OIS 가동부(10)의 제1 스테이지(12)에는, 제2 홀 소자(52, 53)에 대향하여, 제2 마그넷(62, 63)이 배치된다(도 9 참조).
베이스(21)는, 예를 들면 폴리아릴레이트(PAR), PAR을 포함하는 복수의 수지 재료를 혼합한 PAR 앨로이(예를 들면, PAR/PC), 또는 액정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성형 재료로 형성된다.
베이스(21)는, 3D 형상의 배선(25)(도 11 참조)이 형성된 수지 성형품(이른바, 3D-MID(Molded Interconnect Device))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프린트 배선 기판을 이용하지 않고, 복잡한 배선(25)을 형성할 수 있다. 배선(25)은, 제1 홀 소자(51)용의 급전과 신호 라인(251), 제2 홀 소자(52)용의 급전과 신호 라인(252), 제2 홀 소자(53)용의 급전과 신호 라인(253), AF 구동부(13)로의 급전 라인(254), 및 OIS 구동부(30)로의 급전 라인(255)을 포함한다. 배선(25)의 단부(端部)는, 베이스(21)의 측면으로 인출된다.
또, 베이스(21)는, 볼(41)을 수용하는 볼 수용부(21d, 21e)를 갖는다. 스페이서 고정부(21c)의 상면에 형성된 볼 수용부(21e)는, 원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의 3개의 볼 수용부(21d)는, X방향으로 뻗는 타원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볼 수용부(21d)의 측면은, 바닥면 측을 향하여 홈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22)는, 평면시로 직사각형상의 부재이며, AF 가동부(11)(렌즈 홀더(111), 도 7~도 9 참조)에 대응하는 부분에 개구(22a)를 갖는다. 또, 스페이서(22)는, 직사각형의 한 모서리에, 광축 방향 결상 측으로 뻗는 다리부(22b)를 갖는다. 스페이서(22)의 다리부(22b)가 베이스(21)의 스페이서 고정부(21c)에 끼워 넣어져, 접착됨으로써, 베이스(21)와 스페이서(22)의 사이에, OIS 가동부(10)가 요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된다. 스페이서(22) 및 OIS 지지부(40)는, OIS 가동부(10)를 베이스(21)에 누르는 압압부(押壓部)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페이서(22)를 베이스(21)에 장착했을 때, 제1 스테이지(12)가 제2 스테이지(16)를 향하여 눌리고, 제2 스테이지(16)가 베이스(21)를 향하여 눌린다. 이때, 스페이서(22)와 OIS 가동부(10)의 제1 스테이지(12)의 사이에는 볼(42)이 개재되고, OIS 가동부(10)의 제2 스테이지(16)와 베이스(21)의 사이에는 볼(41)이 개재된다. 또, 제1 스테이지(12)와 제2 스테이지(16)의 사이에는 볼(43)이 개재된다(도 7 참조). 이로써, OIS 가동부(10)를 덜컹거림이 없는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또, 스페이서(22)의 상면에는, 댐퍼(23)가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페이서의 상면의 네 귀퉁이에 댐퍼(23)가 배치되어 있다. 댐퍼(23)에 의하여, 낙하 시에 커버(3)로부터 받는 충격이 완화되므로, 내충격성이 향상된다.
OIS 지지부(40)는, OIS 고정부(20)에 대하여, OIS 가동부(10)를 광축 방향으로 이간한 상태로 지지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OIS 지지부(40)는, OIS 가동부(10)와 베이스(21)의 사이에 개재되는 4개의 볼(41)과, OIS 가동부(10)와 스페이서(22)의 사이에 개재되는 4개의 볼(42)을 포함한다. 볼(41) 중 1개는, 베이스(21)와 제1 스테이지(12)의 사이에 배치되고, 나머지의 3개는, 베이스(21)와 제2 스테이지(16)의 사이에 배치된다. 볼(41) 및 볼(42)에 의하여, OIS 가동부(10)는, OIS 고정부(20)에 대하여 이간한 상태로 지지된다. 또, OIS 지지부(40)는, OIS 가동부(10)에 있어서, 제1 스테이지(12)와 제2 스테이지(16)의 사이에 개재되는 3개의 볼(43)을 포함한다(도 7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OIS 지지부(40)를 구성하는 볼(41~43)(합계 11개)의 전동(轉動) 가능한 방향을 규제함으로써, OIS 가동부(10)를 XY면 내에서 양호한 정밀도로 요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OIS 지지부(40)를 구성하는 볼(41~43)의 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OIS 구동부(30)는, OIS 가동부(10)를 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OIS 구동부(30A)와, OIS 가동부(10)를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OIS 구동부(30B)를 갖는다. 제1 OIS 구동부(30A) 및 제2 OIS 구동부(30B)는, 모두, 초음파 모터식의 액추에이터이며, OIS 고정부(20)의 OIS 모터 고정부(21b)에 고정된다. 제1 OIS 구동부(30A)는, X방향을 따라 뻗어 있도록 배치되고, 제2 OIS 구동부(30B)는, Y방향을 따라 뻗어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OIS 구동부(30A) 및 제2 OIS 구동부(30B)는, 서로 직교하는 변을 따라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OIS 구동부(30A)와 제2 OIS 구동부(30B)를, 베이스(21)의 모터 고정부(21b)에 고정하고, OIS 모터(USM2, USM3)를 근접시킴으로써, OIS 모터(USM2, USM3)용의 배선(255)(도 11 참조)이 간이화되어 있다.
OIS 구동부(30)의 구성을 도 6A, 도 6B에 나타낸다. 도 6A는, 제2 OIS 구동부(30B)의 각 부재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6B는, 제2 OIS 구동부(30B)의 각 부재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제1 OIS 구동부(30A)의 구성은, 제2 OIS 구동부(30B)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도시를 생략한다.
도 6A,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OIS 구동부(30B)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OIS 모터(USM3) 및 구동력을 OIS 가동부(10)에 전달하는 OIS 동력 전달부(34)를 갖는다. 동일하게, 제1 OIS 구동부(30A)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OIS 모터(USM2) 및 구동력을 OIS 가동부(10)에 전달하는 OIS 동력 전달부(34)를 갖는다.
OIS 모터(USM2, USM3)는, 각각, OIS 압전 소자(31, 32), OIS 공진부(33) 및 OIS 전극(35)을 갖는다.
OIS 압전 소자(31, 32)는, 예를 들면 세라믹 재료로 형성된 판상 소자이며, 고주파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진동을 발생한다.
OIS 공진부(33)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OIS 압전 소자(31, 32)의 진동에 공진하여, 진동 운동을 X방향 또는 Y방향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한다.
OIS 공진부(33)는, 몸통부(33a) 및 암부(33b)를 갖는다. 몸통부(33a)는, 좌우변(도 6B에서는 Z방향을 따른 변)에 2개씩 오목부(33c)가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 판상을 갖는다. 암부(33b)는, 몸통부(33a)의 상하변(도 6B에서는, Y방향을 따른 변)으로부터 상하변의 연장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단부(33d)는 OIS 동력 전달부(34)에 맞닿는다(이하, 「OIS 트위저 맞닿음부(33d)」라고 칭한다).
OIS 공진부(33)는, 적어도 2개의 공진 주파수를 갖고, 각각의 공진 주파수에 대하여, 다른 거동으로 변형된다. 바꾸어 말하면, OIS 공진부(33)는, 2개의 공진 주파수에 대하여 다른 거동으로 변형되도록,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다른 거동이란, OIS 동력 전달부(34)를 X방향 또는 Y방향으로 전진시키는 거동과, 후퇴시키는 거동이다.
OIS 공진부(33)의 몸통부(33a)에, 두께 방향(도 6A, 도 6B에서는 X방향)으로부터 OIS 압전 소자(31, 32)가 첩합되고, OIS 전극(35)에 의하여 협지됨으로써, 이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베이스(21)에 형성된 배선(255)(도 11 참조) 중, 고압 측이 OIS 전극(35)에 접속되고, 저압 측이 OIS 공진부(33)에 접속됨으로써, OIS 압전 소자(31, 32)에 전압이 인가되어, 진동이 발생한다.
OIS 동력 전달부(34)는, OIS 모터(USM2, USM3)에 접속되는 트위저이다(이하, 「OIS 트위저(34)」라고 칭한다). OIS 트위저(34)는, 스테이지 고정부(34a), 모터 맞닿음부(34b), 및 연결부(34c)를 갖는다. 스테이지 고정부(34a)는, OIS 트위저(34)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굴곡져 형성되고, 제1 스테이지(12)의 OIS 트위저 고정부(12k)(도 8, 도 9 참조)에 고정된다. 모터 맞닿음부(34b)는, 단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OIS 공진부(33)의 OIS 트위저 맞닿음부(33d)와 맞닿는다. 연결부(34c)는, 스테이지 고정부(34a)와 모터 맞닿음부(34b)를 연결하는 부분이며, 스테이지 고정부(34a)로부터 2개로 분기하여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OIS 모터 맞닿음부(34b, 34b) 간의 폭은, OIS 공진부(33)의 OIS 트위저 맞닿음부(33d, 33d) 간의 폭보다 넓게 설정된다. 이로써, OIS 모터(USM2, USM3)에 OIS 트위저(34)를 장착했을 때에, OIS 트위저(34)가 판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며, OIS 트위저 맞닿음부(33d)를 눌러 펴는 방향으로 부세력이 작용한다. 이 부세력에 의하여, OIS 트위저 맞닿음부(33d, 33d) 사이에 OIS 트위저(34)가 지지되므로, OIS 공진부(33)로부터의 동력이 OIS 트위저(34)에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OIS 모터(USM2, USM3) 및 OIS 동력 전달부(34)로 이루어지는 OIS 구동부(30)로 함으로써, OIS 가동부(10)의 이동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테이지 고정부(34a)와 연결부(34c)의 사이에, X방향 또는 Y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는 벨로즈상의 플렉시블부(34d)가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일방의 OIS 모터(예를 들면, OIS 모터(USM2))에 의한 OIS 가동부(10)의 이동이, 타방의 OIS 모터(예를 들면, OIS 모터(USM3))에 접속된 OIS 트위저(34)에 의하여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OIS 가동부(10)의 Z축 둘레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OIS 가동부(10)를 XY평면 내에서 양호한 정밀도로 요동시킬 수 있다.
도 7~도 9는, OIS 가동부(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을 Z축 둘레로 180°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8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7~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OIS 가동부(10)는, AF 가동부(11), AF 고정부(12), AF 구동부(13) 및 AF 지지부(14, 15)를 구비한다.
AF 가동부(11)는, 초점 맞춤 시에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부분이다. AF 가동부(11)는, 제1 스테이지(12)에 대하여 이간하여 배치되고, AF 지지부(14, 15)에 의하여 제1 스테이지(12)와 접속된다.
AF 가동부(11)는, 렌즈부(2)(도 2 참조)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111)를 갖는다. 렌즈 홀더(111)는, 예를 들면 폴리아릴레이트(PAR), PAR을 포함하는 복수의 수지 재료를 혼합한 PAR 앨로이, 액정 폴리머 등으로 형성된다. 렌즈 홀더(111)는, 통상의 렌즈 수용부(111a)를 갖는다. 렌즈 수용부(111a)에는, 렌즈부(2)(도 2 참조)가, 예를 들면 접착에 의하여 고정된다.
렌즈 홀더(111)는, 렌즈 수용부(111a)의 상부 바깥 둘레 가장자리에, AF 지지부(14)를 고정하기 위한 상측 스프링 고정부(111b)를 갖는다. 또, 렌즈 홀더(111)는, 렌즈 수용부(111a)의 하부 바깥 둘레 가장자리에, AF 지지부(15)를 고정하기 위한 하측 스프링 고정부(111c)를 갖는다. 또, 렌즈 홀더(111)는, X방향을 따른 일방의 측부에, AF 구동부(13)를 고정하는 AF 모터 고정부(111d)를 갖는다. 또, 렌즈 홀더(111)에는, 제1 홀 소자(51)와 Z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도록, Z위치 검출용의 제1 마그넷(61)이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AF 구동부(13)의 근방에, 제1 마그넷(61)이 배치되어 있다. 제1 마그넷(61)은, 예를 들면 원기둥 형상을 갖고, Z방향(길이 방향)으로 착자(着磁)된다.
제1 스테이지(12)는, AF 지지부(14, 15)를 개재하여 AF 가동부(11)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제1 스테이지(12)의 광축 방향 결상 측에는, 제2 스테이지(16)가 배치되고, 제1 스테이지(12)와 제2 스테이지(16)는 볼(43)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1 스테이지(12)는, 흔들림 보정 시에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스테이지(16)는, 흔들림 보정 시에 X방향으로만 이동한다.
제1 스테이지(12)는, 대략 직사각형 통상의 부재이며, 예를 들면 액정 폴리머로 형성된다. 제1 스테이지(12)는, 렌즈 홀더(111)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략 원 형상의 개구(12a)를 갖는다. 개구(12a)는, AF 구동부(13)에 대응하는 영역에 오목부(12b)를 갖고, 이 오목부(12b)에 외측의 AF 압전 소자(131)(도 10 참조)가 배치됨으로써, 소형화가 도모되고 있다.
제1 스테이지(12)는, 상면에, 볼(42)을 수용하는 4개의 제1 볼 수용부(12c)를 갖는다. 제1 볼 수용부(12c)는, 원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에는, 볼(42)을 중앙에 지지하기 위한 볼 지지 구멍(부호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스테이지(12)는, 하면에, 볼(43)을 수용하는 3개의 제2 볼 수용부(12d)와, 볼(41)을 수용하는 제3 볼 수용부(12e)를 갖는다. 제2 볼 수용부(12d)는, Y방향으로 뻗는 타원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3 볼 수용부(12e)는, 원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제2 볼 수용부(12d)의 측면은, 바닥면 측을 향하여 홈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스테이지(12)는, X방향을 따른 일방의 측벽의 상면 및 외측 면에, AF 지지부(14)를 고정하기 위한 상측 스프링 고정부(12f)를 갖는다. 또, 제1 스테이지(12)는, X방향을 따른 일방의 측벽의 하면에, AF 지지부(15)를 고정하기 위한 하측 스프링 고정부(12g)를 갖는다.
또, 제1 스테이지(12)에 있어서, Y방향을 따른 일방의 측벽의 하면에는, 제2 홀 소자(52, 53)와 Z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도록, XY위치 검지용의 제2 마그넷(62, 63)이 배치된다. 제2 마그넷(62)은 Y방향으로 착자되고, 제2 마그넷(63)은 X방향으로 착자된다.
또, 제1 스테이지(12)는, 개구(12a)의 상측 둘레 가장자리부에, AF 동력 전달부(134)가 배치되는 AF 트위저 고정부(12i)를 갖는다. 또, 제1 스테이지(12)는, AF 동력 전달부(134)를 계지(係止)하는 AF 트위저 계지부(12j)를 갖는다.
제2 스테이지(16)는, L자 형상의 부재이며, 예를 들면 액정 폴리머로 형성된다. 제2 스테이지(16)의 내주면(內周面)은, 렌즈 홀더(111)의 외형을 따라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스테이지(12)에 AF 지지부(15)를 고정했을 때, AF 지지부(15)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제2 스테이지(16)가 위치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제2 스테이지(16)를 직사각형상으로 마련하면, AF 가동부(11)가 광축 방향 결상 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AF 지지부(15)와 제2 스테이지(16)가 간섭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제1 스테이지(12)와 제2 스테이지(16)의 이간 거리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스테이지(16)를 L자 형상으로 함으로써, 이간 거리를 작게 할 수 있어,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2 스테이지(16)는, 상면에, 볼(43)을 수용하는 3개의 제1 볼 수용부(16a)를 갖는다. 제1 볼 수용부(16a)는, 제1 스테이지(12)의 제2 볼 수용부(12d)에 대향한다. 제1 볼 수용부(16a)는, Y방향으로 뻗는 타원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볼 수용부(16a)의 측면은, 바닥면 측을 향하여 홈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2 스테이지(16)는, 하면에, 볼(41)을 수용하는 3개의 제2 볼 수용부(16b)를 갖는다. 제2 볼 수용부(16b)는, 베이스(21)의 볼 수용부(21d)에 대향한다. 제2 볼 수용부(16b)는, X방향으로 뻗는 타원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제2 볼 수용부(16b)의 측면은, 바닥면 측을 향하여 홈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OIS 지지부(40)를 구성하는 3개의 볼(41)은, 베이스(21)의 볼 수용부(21d)와 제2 스테이지(16)의 제2 볼 수용부(16b)에 의하여, 다점 접촉으로 협지된다. 따라서, 볼(41)은, 안정적으로 X방향으로 전동한다.
또, 볼(43)은, 제2 스테이지(16)의 제1 볼 수용부(16a)와 제1 스테이지(12)의 제2 볼 수용부(12d)에 의하여, 다점 접촉으로 협지된다. 따라서, 볼(43)은, 안정적으로 Y방향으로 전동한다.
또, 볼(42)은, 제1 스테이지(12)의 제1 볼 수용부(12c)와 스페이서(22)로 협지된다.
AF 지지부(14)는, 제1 스테이지(12)에 대하여 AF 가동부(11)(렌즈 홀더(111))를 광축 방향 수광 측(상측)에서 지지하는 상측 탄성 지지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AF 지지부(14)는, 2개의 판 스프링(141, 142)으로 구성되어 있다(이하, 「상측 스프링(141, 142)」이라고 칭한다).
상측 스프링(141, 142)은, 전체적으로, 렌즈 홀더(111)의 렌즈 수용부(111a)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른 형상을 갖고, 예를 들면 타이타늄 구리, 니켈 구리, 스테인리스 등으로 형성된다. 상측 스프링(141, 142)은, 렌즈 홀더(111) 및 제1 스테이지(12) 상에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상측 스프링(141, 142)은, 예를 들면 1매의 판금(板金)을 에칭 가공 및 판금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상측 스프링(141)은, 렌즈 홀더(111)에 고정되는 렌즈 홀더 고정부(141a), 제1 스테이지(12)에 고정되는 스테이지 고정부(141b), 및 렌즈 홀더 고정부(141a)와 스테이지 고정부(141b)를 연결하는 암부(141c)를 갖는다. 렌즈 홀더 고정부(141a)는, 렌즈 홀더(111)의 렌즈 수용부(111a)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라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개방 단부(141a-1)는, 렌즈 홀더(111)의 AF 모터 고정부(111d)의 일단 측에 위치하는 상측 스프링 고정부(111b)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스테이지 고정부(141b)는, Y방향을 따른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일부가 연직으로 굴곡져 있다(굴곡부(141d)). 암부(141c)는,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AF 가동부(11)의 이동에 따라 탄성 변형된다. 또, 상측 스프링(141)은, 굴곡부(141d)로부터 제1 스테이지(12)의 측벽의 형상을 따라 뻗어 있고, 베이스(21)의 급전 단자(254a)(도 11 참조)에 접속되는 배선부(141e)를 갖는다. 배선부(141e)의 단부는, Z방향으로 굴곡 형성되고, AF 가동부(11)의 Z방향으로의 이동에 추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측 스프링(142)은, 렌즈 홀더(111)에 고정되는 렌즈 홀더 고정부(142a), 제1 스테이지(12)에 고정되는 스테이지 고정부(142b), 및 렌즈 홀더 고정부(142a)와 스테이지 고정부(142b)를 연결하는 암부(142c)를 갖는다. 렌즈 홀더 고정부(142a)는, 렌즈 홀더(111)의 AF 모터 고정부(111d)의 타단 측에 위치하는 상측 스프링 고정부(111b)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스테이지 고정부(142b)는,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일부가 연직으로 굴곡져 있다(굴곡부(142d)). 암부(142c)는, X방향을 따른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AF 가동부(11)의 이동에 따라 탄성 변형된다. 또, 상측 스프링(142)은, 굴곡부(142d)로부터 제1 스테이지(12)의 측벽의 형상을 따라 뻗어 있고, 베이스(21)의 급전 단자(254b)(도 11 참조)에 접속되는 배선부(142e)를 갖는다. 배선부(142e)의 단부는, Z방향으로 굴곡 형성되고, AF 가동부(11)의 Z방향으로의 이동에 추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스프링(141, 142)은, 렌즈 홀더 고정부(141a, 142a)의 고정 구멍(부호 생략)에, 렌즈 홀더(111)의 상측 스프링 고정부(111b)의 위치 결정 보스(부호 생략)가 삽입되어 끼워짐으로써, 렌즈 홀더(111)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고, 예를 들면 접착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 상측 스프링(141, 142)은, 스테이지 고정부(141b, 142b)의 굴곡부(141d, 142d)가, 제1 스테이지(12) 상측 스프링 고정부(12f)에 배치됨으로써, 제1 스테이지(12)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고, 예를 들면 접착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상측 스프링(141, 142)의 위치 결정 방법 및 고정 방법은 일례이며, 그 외의 공지의 방법을 적용해도 된다.
이때,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스프링(141)의 렌즈 홀더 고정부(141a)는, AF 구동부(13)의 AF 전극(135)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측 스프링(142)의 렌즈 홀더 고정부(142a)는, AF 구동부(13)의 AF 공진부(133)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배선부(141e, 142e)는, 제1 스테이지(12)의 측벽에 변형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고, 베이스(21)의 급전 단자(254a, 254b)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로써, 상측 스프링(141, 142)을 개재하여 AF 구동부(13)로의 급전이 행해진다.
AF 지지부(15)는, 제1 스테이지(12)에 대하여 AF 가동부(11)(렌즈 홀더(111))를 광축 방향 결상 측(하측)에서 지지하는 하측 탄성 지지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AF 지지부(15)는, 하나의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이하, 「하측 스프링(15)」이라고 칭한다).
하측 스프링(15)은, 전체적으로, L자 형상을 갖고, 예를 들면 타이타늄 구리, 니켈 구리, 스테인리스 등으로 형성된다. 하측 스프링(15)은, 예를 들면 1매의 판금을 에칭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하측 스프링(15)은, 렌즈 홀더(111)에 고정되는 렌즈 홀더 고정부(15a, 15b), 제1 스테이지(12)에 고정되는 스테이지 고정부(15c), 렌즈 홀더 고정부(15a)와 스테이지 고정부(15b)를 연결하는 암부(15d), 및 렌즈 홀더 고정부(15b)와 스테이지 고정부(15b)를 연결하는 암부(15e)를 갖는다. 렌즈 홀더 고정부(15a)는, 렌즈 홀더(111)의 AF 모터 고정부(111d)의 편측에 위치하는 하측 스프링 고정부(111c)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스테이지 고정부(15c)는, 직선상으로 형성된다. 암부(15d, 15e)는, 각각, X방향, Y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AF 가동부(11)의 이동에 따라 탄성 변형된다.
하측 스프링(15)은, Z방향에 있어서, 상측 스프링(141, 142)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때, 하측 스프링(15)의 렌즈 홀더 고정부(15a), 스테이지 고정부(15b), 암부(15c), 암부(15e)는, 각각, 상측 스프링(142)의 렌즈 홀더 고정부(142a), 상측 스프링(141, 142)의 스테이지 고정부(141b, 142b), 상측 스프링(142)의 암부(142c), 상측 스프링(141)의 암부(141c)에 대응한다. 이로써, AF 가동부(11)를 Z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틸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측 스프링(15)은, 렌즈 홀더 고정부(15b)의 고정 구멍에, 렌즈 홀더(111)의 하측 스프링 고정부(111c)의 위치 결정 보스가 삽입되어 끼워짐으로써, 렌즈 홀더(111)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고, 고정되어 있다. 또, 하측 스프링(15)은, 스테이지 고정부(15c)의 고정 구멍에, 제1 스테이지(12)의 하측 스프링 고정부(12g)의 위치 결정 보스가 삽입되어 끼워짐으로써, 제1 스테이지(12)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고,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하측 스프링(15)의 위치 결정 방법 및 고정 방법은 일례이며, 그 외의 공지의 방법을 적용해도 된다.
AF 구동부(13)는, AF 가동부(11)를 Z방향으로 이동시킨다. AF 구동부(13)는, OIS 구동부(30)와 동일하게, 초음파 모터식의 액추에이터 이며, AF 가동부(11)(렌즈 홀더(111)의 AF 모터 고정부(111d))에 고정된다.
AF 구동부(13)의 구성을 도 10A, 도 10B에 나타낸다. 도 10A는, AF 구동부(13)의 각 부재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B는, AF 구동부(13)의 각 부재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A,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F 구동부(13)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AF 모터(USM1) 및 구동력을 AF 가동부(11)에 전달하는 AF 동력 전달부(134)를 갖는다.
AF 모터(USM1)는, AF 압전 소자(131, 132), AF 공진부(133) 및 AF 전극(135)을 갖는다.
AF 압전 소자(131, 132)는, 예를 들면 세라믹 재료로 형성된 판상 소자이며, 고주파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진동을 발생한다.
AF 공진부(133)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AF 압전 소자(131, 132)의 진동에 공진하여, 진동 운동을 Z방향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한다.
AF 공진부(133)는, 몸통부(133a) 및 암부(133b)를 갖는다. 몸통부(133a)는, 상하변(도 10B에서는 X방향을 따른 변)에 2개씩 오목부(133c)가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 판상을 갖는다. 암부(133b)는, 몸통부(133a)의 좌우변(도 10B에서는 Z방향을 따른 변)으로부터 상하변의 연장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단부(133d)는 AF 동력 전달부(134)에 맞닿는다(이하, 「AF 트위저 맞닿음부(133d)」라고 칭한다).
AF 공진부(133)는, 적어도 2개의 공진 주파수를 갖고, 각각의 공진 주파수에 대하여, 다른 거동으로 변형된다. 바꾸어 말하면, AF 공진부(133)는, 2개의 공진 주파수에 대하여 다른 거동으로 변형되도록,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다른 거동이란, AF 동력 전달부(134)를 Z방향으로 전진시키는 거동과, 후퇴시키는 거동이다.
AF 공진부(133)의 몸통부(133a)에, 두께 방향(도 10A, 도 10B에서는 Y방향)으로부터 AF 압전 소자(131, 132)가 첩합되고, AF 전극(135)에 의하여 협지됨으로써, 이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고압 측의 급전 라인이 되는 상측 스프링(141)이 AF 전극(135)에 접속되고, 저압 측(GND)의 급전 라인이 되는 상측 스프링(142)이 AF 공진부(133)에 접속됨으로써, AF 압전 소자(131, 132)에 전압이 인가되며, 진동이 발생한다.
AF 동력 전달부(134)는, AF 모터(USM1)를 협지하는 트위저이다(이하, 「AF 트위저(134)」라고 칭한다). AF 트위저(134)는, 스테이지 고정부(134a), AF 모터 맞닿음부(134b), 및 연결부(134c)를 갖는다. 스테이지 고정부(134a)는, 대략 원호 형상을 갖고, 제1 스테이지(12)의 AF 트위저 고정부(12i)에 고정된다. AF 모터 맞닿음부(134b)는, YZ면에 확산되는 판 형상을 갖고, AF 공진부(133)의 AF 트위저 맞닿음부(133d)와 맞닿는다. 연결부(134c)는, 스테이지 고정부(134a)와 AF 모터 맞닿음부(134b)를 연결하는 부분이며, 3차원적으로 굴곡지는 크랭크 형상을 갖는다. 연결부(134c)는, 제1 스테이지(12)의 AF 트위저 계지부(12j)의 광축 방향 결상 측에 배치된다.
AF 모터 맞닿음부(134b, 134b) 간의 폭은, AF 공진부(133)의 AF 트위저 맞닿음부(133d, 133d) 간의 폭보다 좁게 설정된다. 이로써, AF 모터(USM1)에 AF 트위저(134)를 장착했을 때에, AF 트위저(134)가 판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며, AF 구동부(13) 측에 부세력이 작용한다. 이 부세력에 의하여, AF 모터 맞닿음부(134b, 134b) 사이에 AF 구동부(13)가 지지되므로, AF 공진부(133)로부터의 동력이 AF 트위저(134)에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AF 모터(USM1) 및 AF 동력 전달부(134)로 이루어지는 AF 구동부(13)로 함으로써, AF 가동부(11)(렌즈 홀더(111))의 이동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AF 구동부(13)에 있어서, AF 트위저(134)를 광축 방향 결상 측으로 눌러 내리도록 AF 모터(USM1)가 구동되어도, AF 트위저(134)의 대부분은 제1 스테이지(12)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AF 트위저(134)는 광축 방향 결상 측으로는 움직이지 않는다. 또, AF 트위저(134)를 광축 방향 수광 측으로 밀어 올리도록 AF 모터(USM1)가 구동되어도, AF 트위저(134)가 부상되어 있는 연결부(134c)가 제1 스테이지(12)의 AF 트위저 계지부(12j)에 계지되므로, AF 트위저(134)는 광축 방향 수광 측으로도 움직이지 않는다. 이와 같이, AF 구동부(13)에 있어서는, AF 트위저(134)가 제1 스테이지(12)에 강고하게 고정되어, Z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AF 구동부(13)가 구동되면, AF 구동부(13)가 배치되어 있는 AF 가동부(11)가 Z방향으로 이동한다.
렌즈 구동 장치(1)에 있어서, AF 가동부(11)(렌즈 홀더(111))에는, 제1 마그넷(61)이 배치되고, OIS 고정부(20)(베이스(21))에는, 제1 홀 소자(51)가 배치되어 있다. 제1 홀 소자(51)는, 주로 제1 마그넷(61)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계를 검출한다. 제1 홀 소자(51)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Z방향에 있어서의 AF 가동부(11)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제1 마그넷(61) 및 제1 홀 소자(51)는, AF 가동부(11)의 Z방향으로의 이동을 검출하는 Z위치 검출부를 구성한다. Z위치 검출부를 마련함으로써, 클로즈드 루프 제어가 가능해지므로, 고정밀도의 초점 맞춤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마그넷(61)은, 원기둥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제1 홀 소자(51)의 출력은, 제1 마그넷(61)의 기준 위치(흔들림 보정이 행해지고 있지 않을 때의 XY평면에 있어서의 위치)에 대한 변위(기준 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반경에 상당)에 의존한다. 즉, OIS 가동부(10)의 XY평면에 있어서의 위치(이하, 「XY위치」라고 칭함)가 달라도, 기준 위치에 대한 변위가 동일하면, 제1 홀 소자(51)의 출력은 동일해진다. 따라서, OIS 가동부(10)의 XY위치를 반경 환산하여 변위로 나타냄으로써, 흔들림 보정에 의한 영향을 상쇄하기 위한 보정값을 용이하게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흔들림 보정에 의하여 OIS 가동부(10)가 XY평면 내에서 요동하여 제1 홀 소자(51)와 교차하는 자계가 변화해도,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 렌즈 구동 장치(1)에 있어서, OIS 가동부(10)(제1 스테이지(12))에는, 제2 마그넷(62, 63)이 배치되고, OIS 고정부(20)(베이스(21))에는, 제2 홀 소자(52, 53)가 배치되어 있다. 제2 홀 소자(52)는, 주로 제2 마그넷(62)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계를 검출하고, 제2 홀 소자(53)는, 주로 제2 마그넷(63)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계를 검출한다. 제2 홀 소자(52, 53)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XY면 내에 있어서의 OIS 가동부(10)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제2 마그넷(62, 63) 및 제2 홀 소자(52, 53)는, OIS 가동부(10)의 X방향 및 Y방향으로의 이동을 검출하는 XY위치 검출부를 구성한다. XY위치 검출부를 마련함으로써, 클로즈드 루프 제어가 가능해지므로, 고정밀도의 흔들림 보정을 행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에 있어서, AF 구동부(13)에 전압을 인가하면, AF 압전 소자(131, 132)가 진동하고, AF 공진부(133)가 주파수에 따른 거동으로 변형된다. AF 트위저(134)는 제1 스테이지(1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AF 구동부(13)가 Z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AF 가동부(11)가 Z방향으로 이동하여, 초점 맞춤이 행해진다. 이때, Z위치 검출부의 검출 결과를 피드백함으로써, AF 가동부(11)의 병진 이동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에 있어서, OIS 구동부(30)에 전압을 인가하면, OIS 압전 소자(31, 32)가 진동하고, OIS 공진부(33)가 주파수에 따른 거동으로 변형된다. 이로써, OIS 트위저(34)가 X방향 또는 Y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OIS 구동부(30A)가 구동되어, OIS 트위저(34)가 X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동력이 제1 스테이지(12)에 전달된다. 제1 스테이지(12)와 제2 스테이지(16)로 협지되어 있는 볼(43)은, X방향으로 전동할 수 없지만, 제2 스테이지(16)와 베이스(21)로 협지되어 있는 볼(41)은, X방향으로 전동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21)에 대한 Y방향의 위치가 유지된 채로, 제1 스테이지(12)와 제2 스테이지(16)가 함께 X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제2 OIS 구동부(30B)가 구동되어, OIS 트위저(34)가 Y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동력이 제1 스테이지(12)에 전달된다. 제1 스테이지(12)와 제2 스테이지(16)로 협지되어 있는 볼(43)은, Y방향으로 전동할 수 있지만, 제2 스테이지(16)와 베이스(21)로 협지되어 있는 볼(41)은, Y방향으로 전동할 수 없다. 따라서, 베이스(21)에 대한 X방향의 위치가 유지된 채로, 제1 스테이지(12)만이 Y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OIS 가동부(10)가 XY평면 내에서 요동하여, 흔들림 보정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 모듈(A)의 각도 흔들림이 상쇄되도록, 흔들림 검출부(예를 들면 자이로 센서, 도시 생략)로부터의 각도 흔들림을 나타내는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OIS 구동부(30)로의 통전 전압이 제어된다. 이때, XY위치 검출부의 검출 결과를 피드백함으로써, OIS 가동부(10)의 병진 이동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렌즈 구동 장치(1)는, 제1 스테이지(12)에 배치되는 AF 가동부(11), 및 제1 스테이지(12)에 대하여 AF 가동부(11)를 광축을 따른 Z방향으로 이동시키는 AF 구동부(13)를 갖는 오토 포커스부와, OIS 고정부(20), 오토 포커스부를 포함하는 OIS 가동부(10), 및 OIS 고정부(20)에 대하여 OIS 가동부(10)를 광축에 직교하는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OIS 구동부(30)를 갖는 흔들림 보정부를 구비한다.
OIS 구동부(30)는, X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OIS 가동부(10)를 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OIS 구동부(30A)와, Y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OIS 가동부(10)를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OIS 구동부(30B)를 갖는다.
제1 OIS 구동부(30A) 및 제2 OIS 구동부(30B)는, 각각, OIS 압전 소자(31, 32) 및 OIS 압전 소자(31, 32)의 진동에 공진하여 진동 운동을 X방향 또는 Y방향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OIS 공진부(33)로 이루어지며, OIS 고정부(20)에 배치되는 OIS 모터(USM2, USM3)(흔들림 보정 초음파 모터)와, OIS 모터(USM2, USM3)와, OIS 가동부(10)를 연결하여, X방향 또는 Y방향의 직선 운동을 OIS 가동부(10)에 전달하는 OIS 동력 전달부(34)를 갖는다.
AF 구동부(13)는, AF 압전 소자(131, 132) 및 AF 압전 소자(131, 132)의 진동에 공진하여 진동 운동을 Z방향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AF 공진부(133)로 이루어지며, AF 가동부(11)에 배치되는 AF 모터(USM1)(오토 포커스 초음파 모터)와, AF 모터(USM1)와 제1 스테이지(12)를 연결하여, 직선 운동을 제1 스테이지(12)에 전달하는 AF 동력 전달부(134)를 갖는다.
AF 구동부(13)는, 제1 OIS 구동부(30A) 및 제2 OIS 구동부(30B)가 배치되어 있는 2변으로 규정되는 직사각형에 있어서, 상기 2변과는 다른 변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렌즈 구동 장치(1)에 의하면, 외부 자기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소형화 및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M)과 같이, 렌즈 구동 장치(1)를 갖는 카메라 모듈(A)을 근접하여 배치해도 자기적인 영향은 없으므로, 듀얼 카메라용으로서 매우 적합하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하여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 모듈(A)을 구비하는 카메라 탑재 장치의 일례로서, 카메라 탑재 휴대 단말인 스마트폰(M)을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과 카메라 모듈에서 얻어진 화상 정보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부를 갖는 카메라 탑재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카메라 탑재 장치는, 정보 기기 및 수송 기기를 포함한다. 정보 기기는, 예를 들면 카메라 탑재 휴대 전화기, 노트형 컴퓨터, 태블릿 단말, 휴대형 게임기, web 카메라, 카메라 탑재 차재 장치(예를 들면, 백 모니터 장치, 드라이브 레코더 장치)를 포함한다. 또, 수송 기기는, 예를 들면 자동차를 포함한다.
도 12A, 도 12B는, 차재용 카메라 모듈(VC)(Vehicle Camera)을 탑재하는 카메라 탑재 장치로서의 자동차(V)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A는 자동차(V)의 정면도이며, 도 12B는 자동차(V)의 후방 사시도이다. 자동차(V)는, 차재용 카메라 모듈(VC)로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카메라 모듈(A)을 탑재한다. 도 12A,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재용 카메라 모듈(VC)은, 예를 들면 전방을 향하여 프론트 유리에 장착되거나, 후방을 향하여 리어 게이트에 장착되거나 한다. 이 차재용 카메라 모듈(VC)은, 백 모니터용, 드라이브 레코더용, 충돌 회피 제어용, 자동 운전 제어용 등으로서 사용된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나,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2018년 8월 13일 출원된 특원 2018-152250의 일본 출원에 포함되는 명세서, 도면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은, 모두 본원에 원용된다.
1 렌즈 구동 장치
10 OIS 가동부(흔들림 보정 가동부)
11 AF 가동부(오토 포커스 가동부)
111 렌즈 홀더
12 제1 스테이지(오토 포커스 고정부)
13 AF 구동부(오토 포커스 구동부)
131, 132 AF 압전 소자(오토 포커스 압전 소자)
133 AF 공진부(오토 포커스 공진부)
134 AF 동력 전달부, AF 트위저(오토 포커스 동력 전달부)
135 AF 전극(오토 포커스 전극)
14, 15 AF 지지부(오토 포커스 지지부)
16 제2 스테이지
20 OIS 고정부(흔들림 보정 고정부)
21 베이스
22 스페이서
30 OIS 구동부(흔들림 보정 구동부)
31, 32 OIS 압전 소자(흔들림 보정 압전 소자)
33 OIS 공진부(흔들림 보정 공진부)
34 OIS 동력 전달부, OIS 트위저(흔들림 보정 동력 전달부)
35 OIS 전극(흔들림 보정 전극)
40 OIS 지지부(흔들림 보정 지지부)
41~43 볼
USM1 AF 모터(오토 포커스 초음파 모터)
USM2, USM3 OIS 모터(흔들림 보정 초음파 모터)

Claims (11)

  1. 렌즈를 수용하고, 오토 포커스 구동부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렌즈 홀더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를 가지며, 베이스 상에 적층되는 제1 스테이지 및 제2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홀더를 상기 개구 내에서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OIS 가동부와,
    상기 OIS 가동부를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OIS 구동부를 가지며,
    상기 OIS 구동부를 상기 제1 스테이지 및 상기 제2 스테이지의 외면측에 배치하고, 상기 오토 포커스 구동부를 상기 제1 스테이지 및 상기 제2 스테이지의 내면측에 배치하며,
    상기 오토 포커스 구동부는, 상기 제1 스테이지 및 상기 제2 스테이지의 상기 OIS 구동부의 배치면 이외의 측면이며, 상기 제1 스테이지 및 상기 제2 스테이지의 내면측에 배치되는 것인, 렌즈 구동 장치.
  2. 렌즈를 수용하고, 오토 포커스 구동부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렌즈 홀더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를 가지며, 베이스 상에 적층되는 제1 스테이지 및 제2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홀더를 상기 개구 내에서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OIS 가동부와,
    상기 OIS 가동부를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OIS 구동부를 가지며,
    상기 OIS 구동부를 상기 제1 스테이지 및 상기 제2 스테이지의 외면측에 배치하고, 상기 오토 포커스 구동부를 상기 제1 스테이지 및 상기 제2 스테이지의 내면측에 배치하며,
    상기 OIS 구동부는, 상기 OIS 가동부의 외측이며, 상기 제1 스테이지 및 상기 제2 스테이지의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오토 포커스 구동부는, 상기 OIS 가동부의 내측이며, 상기 렌즈 홀더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오목부에 배치되는 것인, 렌즈 구동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OIS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의 코너부에 세워지는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는 배선부와 접속되어 전력 공급을 받는 것인, 렌즈 구동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지는, 상기 제2 스테이지의 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OIS 가동부는, 상기 제1 스테이지의 위쪽에 스페이서를 배치한 상태에서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것인, 렌즈 구동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OIS 구동부는, 상기 제1 스테이지 및 상기 제2 스테이지 중 하나의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OIS 구동부와, 상기 하나의 측면에 직교하는 다른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OIS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인, 렌즈 구동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OIS 가동부는, 상기 제1 스테이지와 상기 제2 스테이지 사이, 상기 제2 스테이지와 상기 베이스 사이, 각각에 복수의 볼 부재를 개재시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인, 렌즈 구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OIS 가동부는, 상기 제1 스테이지 상에, 상면에 댐퍼를 갖는 스페이서를 배치하여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1 스테이지와 상기 스페이서 사이에 복수의 볼 부재를 개재시킨 것인, 렌즈 구동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오토 포커스 구동부로의 급전 라인 및 상기 OIS 구동부로의 급전 라인 양쪽 모두를 포함하는 것인, 렌즈 구동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렌즈 구동 장치와,
    상기 렌즈와,
    상기 렌즈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부
    를 구비하는 것인, 카메라 모듈.
  10. 정보 기기 또는 수송 기기인 카메라 탑재 장치로서,
    제9항에 기재된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얻어진 화상 정보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부
    를 구비하는 것인, 카메라 탑재 장치.
  11. 삭제
KR1020227029100A 2018-08-13 2019-08-09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KR1025498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52250 2018-08-13
JP2018152250 2018-08-13
KR1020217004154A KR102506824B1 (ko) 2018-08-13 2019-08-09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PCT/JP2019/031764 WO2020036157A1 (en) 2018-08-13 2019-08-09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camera-mounted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154A Division KR102506824B1 (ko) 2018-08-13 2019-08-09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794A KR20220122794A (ko) 2022-09-02
KR102549849B1 true KR102549849B1 (ko) 2023-06-29

Family

ID=6776622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9063A KR102549848B1 (ko) 2018-08-13 2019-08-09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KR1020227029100A KR102549849B1 (ko) 2018-08-13 2019-08-09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KR1020227029110A KR102549850B1 (ko) 2018-08-13 2019-08-09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KR1020217004154A KR102506824B1 (ko) 2018-08-13 2019-08-09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9063A KR102549848B1 (ko) 2018-08-13 2019-08-09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9110A KR102549850B1 (ko) 2018-08-13 2019-08-09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KR1020217004154A KR102506824B1 (ko) 2018-08-13 2019-08-09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173175A1 (ko)
JP (4) JP7030240B2 (ko)
KR (4) KR102549848B1 (ko)
CN (4) CN115494605A (ko)
WO (1) WO20200361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9482B2 (ja) * 2018-11-21 2022-04-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像ブレ補正装置、レンズ装置、撮像装置
JP7294897B2 (ja) * 2019-06-07 2023-06-20 ミニスイス・ソシエテ・アノニム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7269521B2 (ja) * 2019-12-12 2023-05-0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KR20220161314A (ko) 2020-03-30 2022-12-06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광학 소자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WO2021217638A1 (en) * 2020-04-30 2021-11-04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using the camera module
JP7295447B2 (ja) * 2020-09-29 2023-06-2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駆動ユニット、光学素子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WO2022102306A1 (ja) * 2020-11-13 2022-05-1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駆動ユニット、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搭載装置
GB2601306B (en) * 2020-11-23 2023-01-18 Cambridge Mechatronics Ltd SMA actuator assembly
KR102642671B1 (ko) * 2020-11-24 2024-02-29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광학 소자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CN113839583B (zh) * 2021-08-31 2022-06-17 哈尔滨工业大学 一种超声型压电推杆电机及其死区补偿方法
KR20230086130A (ko) * 2021-12-08 2023-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53905A1 (ko) * 2022-09-08 2024-03-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압전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40036987A (ko) * 2022-09-14 2024-03-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장치 및 광학 기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6878A (ja) 2002-07-17 2004-02-19 Minolta Co Ltd 駆動装置、位置制御装置およびカメラ
JP2012133396A (ja) 2007-05-07 2012-07-12 Panasonic Corp 交換レンズ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メラシステム
JP2013210550A (ja) * 2012-03-30 2013-10-10 Mitsumi Electric Co Ltd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JP2017201341A (ja) 2016-05-02 2017-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
KR101813392B1 (ko) * 2016-08-22 2017-12-2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3432A (ja) * 1994-03-30 1995-10-20 Kansai Paint Co Ltd 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法
JPH08136961A (ja) * 1994-11-08 1996-05-31 Minolta Co Ltd 手ぶれ補正装置
JPH0922039A (ja) * 1995-07-10 1997-01-21 Nikon Corp ブレ補正装置
JPH10197381A (ja) * 1997-01-10 1998-07-31 Nippon Aleph Corp センサ装置
JP3506614B2 (ja) * 1998-09-29 2004-03-15 京セラ株式会社 積層型圧電アクチュエータ
JP2005354829A (ja) * 2004-06-11 2005-12-22 Fujinon Corp 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の制御方法
CH696993A5 (de) 2004-06-24 2008-02-29 Miniswys Sa Antriebseinheit.
JP2006054979A (ja) * 2004-08-16 2006-02-23 Fujinon Corp アクチュエータ
JP2006343699A (ja) * 2005-06-10 2006-12-21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撮像装置
CN101165528B (zh) * 2006-10-16 2010-05-12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自动对焦光学镜头模块
JP2009258497A (ja) * 2008-04-18 2009-11-05 Minebea Co Ltd レンズ駆動用アクチュエータ
JP4666238B2 (ja) * 2009-03-04 2011-04-06 ソニー株式会社 像ぶれ補正装置及び撮像装置
JP2011145572A (ja) * 2010-01-18 2011-07-28 Shicoh Engineering Co Ltd スプリング、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携帯電話
JP2011158552A (ja) * 2010-01-29 2011-08-18 Fujifilm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携帯電話機
TWI440894B (zh) * 2011-01-14 2014-06-11 Tdk Taiwan Corp 鏡頭模組之防震裝置
JP5821356B2 (ja) * 2011-07-15 2015-11-2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5938659B2 (ja) * 2011-09-01 2016-06-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673649B2 (ja) * 2012-10-19 2015-02-18 Tdk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5963641B2 (ja) * 2012-10-26 2016-08-0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WO2014069251A1 (ja) * 2012-10-31 2014-05-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14126668A (ja) * 2012-12-26 2014-07-07 Mitsumi Electric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US9372352B2 (en) * 2013-08-23 2016-06-2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WO2015060637A1 (ko) * 2013-10-25 2015-04-30 자화전자(주) 카메라 렌즈 모듈
CH709292A3 (de) * 2014-02-20 2015-10-15 Miniswys Sa Positioniervorrichtung für einen Bildstabilisator.
JP5724120B1 (ja) * 2014-02-27 2015-05-27 Tdk株式会社 圧電素子ユニットおよび駆動装置
KR20150124126A (ko) * 2014-04-28 2015-11-0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
CN104022679B (zh) * 2014-06-25 2016-09-07 哈尔滨工业大学 夹持式纵弯复合超声电机振子
JP6458378B2 (ja) * 2014-07-11 2019-01-3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KR102255295B1 (ko) * 2014-07-24 202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2016191849A (ja) * 2015-03-31 2016-11-1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KR102494346B1 (ko) * 2015-04-10 2023-02-01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6565340B2 (ja) * 2015-05-29 2019-08-2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6582575B2 (ja) * 2015-06-11 2019-10-0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2017049343A (ja) * 2015-08-31 2017-03-0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6569643B2 (ja) * 2016-11-02 2019-09-04 Tdk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CN108319093B (zh) * 2017-01-18 2021-08-06 三美电机株式会社 透镜驱动装置、摄像机模块以及摄像机搭载装置
JP6765997B2 (ja) 2017-03-13 2020-10-0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負極材及びその負極材の製造方法、並びに混合負極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6878A (ja) 2002-07-17 2004-02-19 Minolta Co Ltd 駆動装置、位置制御装置およびカメラ
JP2012133396A (ja) 2007-05-07 2012-07-12 Panasonic Corp 交換レンズ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メラシステム
JP2013210550A (ja) * 2012-03-30 2013-10-10 Mitsumi Electric Co Ltd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JP2017201341A (ja) 2016-05-02 2017-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
KR101813392B1 (ko) * 2016-08-22 2017-12-2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654920A (zh) 2021-04-13
JP2021165847A (ja) 2021-10-14
KR102506824B1 (ko) 2023-03-06
US20210173175A1 (en) 2021-06-10
KR102549850B1 (ko) 2023-06-29
JP7030240B2 (ja) 2022-03-04
CN115494605A (zh) 2022-12-20
KR20210042915A (ko) 2021-04-20
JP7128327B2 (ja) 2022-08-30
WO2020036157A1 (en) 2020-02-20
KR20220122794A (ko) 2022-09-02
KR20220122795A (ko) 2022-09-02
JP2021527241A (ja) 2021-10-11
KR102549848B1 (ko) 2023-06-29
JP7074914B2 (ja) 2022-05-24
JP2021165848A (ja) 2021-10-14
KR20220122789A (ko) 2022-09-02
CN115561874A (zh) 2023-01-03
CN115494680A (zh) 2022-12-20
CN112654920B (zh) 2022-09-20
JP7061713B2 (ja) 2022-04-28
JP2021170119A (ja)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9849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CN116679513B (zh) 透镜驱动装置、摄像机模块及摄像机搭载装置
JP2023105217A (ja) 回転駆動装置
US20230408890A1 (en) Optical element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camera-equipped device
JP7269521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7372563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7093050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WO2024048012A1 (ja) 光学素子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WO2024048011A1 (ja) 光学素子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