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067B1 - 고굴절 조성물, 고굴절 필름 및 고굴절 필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굴절 조성물, 고굴절 필름 및 고굴절 필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067B1
KR102543067B1 KR1020180113001A KR20180113001A KR102543067B1 KR 102543067 B1 KR102543067 B1 KR 102543067B1 KR 1020180113001 A KR1020180113001 A KR 1020180113001A KR 20180113001 A KR20180113001 A KR 20180113001A KR 102543067 B1 KR102543067 B1 KR 102543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refractive
refractive index
composition
group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3566A (ko
Inventor
우승아
유동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113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067B1/ko
Priority to JP2020544774A priority patent/JP7110538B2/ja
Priority to US17/041,181 priority patent/US11866584B2/en
Priority to PCT/KR2019/012194 priority patent/WO2020060257A1/ko
Priority to CN201980015535.7A priority patent/CN111801388B/zh
Publication of KR20200033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0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sulfur, nitrogen, oxygen and carbo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sulfur, nitrogen, oxygen, and carbon with or without the latter element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Abstract

본 출원은 고굴절 조성물, 고굴절 필름 및 고굴절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간단한 코팅 공정과 저 비용으로 고굴절 필름을 제조할 수 있으며, 두께가 균일하고, 두께 조절 또는 성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화학적 안정성이 높고, 투명성 또는 내열성 등의 물성 조절이 용이한 고굴절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조성물, 이를 이용한 고굴절 필름 및 고굴절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굴절 조성물, 고굴절 필름 및 고굴절 필름의 제조방법{High refractive composition, high refractiv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 refractive film}
본 출원은 고굴절 조성물, 고굴절 필름, 고굴절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굴절 폴리머는 광학 제품, 예를 들어, 광학 렌즈 및 광 미디어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고굴절 필름은, 예를 들어, 유기 발광 소자의 내부 광 추출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종래, 고굴절 특성을 얻기 위해 개발된 고분자의 대부분이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독성이 있고, 연소되는 경우 많은 양의 부식성 가스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탄소로 이루어진 폴리머나 폴리머 필름은 굴절률이 1.7 또는 그 이하가 한계이므로, 더 높은 굴절률을 가지는 물질이 필요하다. 한편, 유기물의 굴절률을 높이기 위해서 폴리머 매트릭스 내부에 금속 산화물 입자를 넣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지만, 균일한 필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산화물 입자의 함량이 제한되기 때문에 굴절률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무기입자는 유기물에 비해서 높은 굴절률을 가지고 있지만, 무기 입자를 이용하여 박막을 형성할 경우에 박막의 두께를 조절하기 어렵고, 성형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실리콘(Si)이나 게르마늄(Ge) 반도체를 이용하여 고굴절 필름을 제조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plasma enhanced CVD 또는sputtering을 통해 필름을 형성하는 경우 기화 반응에 따라 공정 속도가 느리다는 점과 비용적인 측면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Ge 함유 유기 화합물을 유기 광학 분야에 이용하는 방법으로, Ge-ligand 또는 poly(Ge-O-Ge) 등이 알려져 있지만, 이 또한 굴절률이 1.8 미만으로 얻어지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6-0030432호
본 출원은 고굴절 조성물, 고굴절 필름 및 고굴절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은 간단한 코팅 공정과 저 비용으로 고굴절 필름을 제조할 수 있으며, 두께가 균일하고, 두께 조절 또는 성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화학적 안정성이 높고, 투명성 또는 내열성 등의 물성 조절이 용이한 고굴절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조성물, 이를 이용한 고굴절 필름 및 고굴절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은 고굴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고굴절 조성물은 게르마늄(Ge) 원소를 포함하는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굴절 조성물은 주쇄(main chain)로서 게르마늄(Ge) 원소를 포함하는 중합 단위와 측쇄(side chain)로서 광 반응성기를 적어도 2개 이상 포함하는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굴절 조성물을 통해 간단한 코팅 공정과 저 비용으로 고굴절 필름을 제조할 수 있으며, 두께가 균일하고, 두께 조절 또는 성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화학적 안정성이 높고, 투명성 또는 내열성 등의 물성 조절이 용이한 고굴절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주쇄」는 폴리머의 골격(backbone)을 이루는 사슬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주쇄는 폴리머의 중합 단위가 반복되어 이루어지는 골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측쇄」는 폴리머의 주쇄의 골격으로부터 가지가 나누어져 있는 사슬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측쇄는 잔기 또는 말단기로 호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중합 단위」는 폴리머에서 중합되어 반복되는 단위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광 반응성기」는 광의 조사에 의해 화학 반응이 유도되는 작용기(functional group)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광 반응성기는 광 중합성기, 광 경화성기 또는 광 가교성기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상기 폴리머의 주쇄는 상기 게르마늄(Ge) 원소를 Ge-Ge 결합의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Ge-Ge 결합은 폴리머의 주쇄의 중합 단위로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머는 게르마늄(Ge) 원소를 Ge-Ge 결합의 형태로 포함함으로써 고 굴절률을 나타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폴리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94096012-pat00001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알킬기, 아릴기 또는 광 반응성기일 수 있고, R1 내지 R6 중 적어도 2개는 광 반응성기일 수 있으며, n은 5 내지 1000의 정수일 수 있다. 상기 n은, 구체적으로, 5 내지 500의 정수, 5 내지 250의 정수 또는 5 내지 100의 정수일 수 있다.
상기 알킬기 또는 아릴기는, 상기 광 반응성기와는 달리, 비 반응성기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의 광 반응성기 이외의 측쇄로 알킬기 또는 아릴기가 도입되는 경우 우수한 코팅성을 나타낼 수 있고, 유기 매트릭스와 같은 다른 물질 내에서 우수한 분산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알킬기로는 탄소수 1 내지 20,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7의 알킬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릴기로는 탄소수 6 내지 40, 구체적으로 탄소수 6 내지 30,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 반응성기는 광의 조사, 예를 들어, 자외선 조사에 의해 화학 반응이 유도되는 작용기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광 반응성기는 비닐기, (메타)아크릴기,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아크릴아미드기, 비닐옥시기 또는 말레이미드기 등일 수 있다. 상기 광 반응성기를 갖는 폴리머는 광의 조사에 의해 경화 반응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고굴절 필름의 화학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폴리머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예시로, 4염화 게르마늄(germanium tetrachloride)을 유기 용매 중에 마그네슘 존재 하에서 반응시키는 단계(S1) 및 상기 (S1) 단계의 반응물에 알킬, 아릴, 비닐 또는 (메트)아크릴의 할로겐화물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S2)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로, 상기 할로겐화물은 브롬화물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S2 단계는 2회 이상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폴리머의 측쇄인 R1 내지 R6 를 모두 광 반응성기로 하는 경우, 비닐 또는 (메트)아크릴의 할로겐화물을 첨가한 후 반응시키고(S2-1), 비닐 또는 (메트)아크릴의 할로겐화물을 추가로 첨가하여 반응시킴으로써(S2-2) 목적하는 폴리머를 얻을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폴리머의 측쇄로 일부는 광 반응성기로 하고 나머지는 비 반응성기로 하는 경우, 비닐 또는 (메트)아크릴의 할로겐화물을 첨가한 후 반응시키고(S2-1), 알킬 또는 아릴의 할로겐화물을 추가로 첨가하여 반응시킴으로써(S2-2) 목적하는 폴리머를 얻을 수 있다. (S2-1) 및 (S2-2)의 각 단계에서 첨가되는 할로겐화물의 몰수는 (S1) 단계의 4염화 게르마늄의 몰수와 동일하게 제어될 수 있다.
상기 (S-1), (S-2), (S2-1), (S2-2)의 반응 조건은 목적하는 반응물을 얻을 수 있도록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S-1) 반응은 예를 들어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S-1) 반응은 예를 들어 약 60분 내지 120분, 구체적으로 80분 내지 9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S2-1) 반응은 예를 들어 약 5℃ 내지 30℃, 구체적으로 약 5℃ 내지 15℃의 온도에서 약 30분 내지 90분, 구체적으로 약 50분 내지 7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S2-2) 반응은 예를 들어 약 30℃ 내지 70℃, 구체적으로 약 40℃ 내지 60℃의 온도에서 약 100분 내지 150분, 구체적으로 약 110분 내지 13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유기 용매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로는 탄화수소계, 할로겐화 탄화수소계, 에테르계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탄화수소계의 예로서는 펜탄, 헥산, 헵탄, 사이클로헥산, n-데칸, n-도데칸, 벤젠, 톨루엔, 자일렌, 메톡시 벤젠 등을 들 수 있다. 할로겐화 탄화수소계의 예로서는 사염화탄소, 클로로포름, 1,2-디클로로에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 벤젠 등을 들 수 있다. 에테르계의 예로서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옥산, 프로필렌글리콜 모노 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폴리머를 상기 용매 100 중량부 대비 5 내지 10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폴리머의 농도가 지나치게 낮은 경우 코팅이 되지 않아 필름을 형성시키기 어렵고, 지나치게 높은 경우 필름의 코팅성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광 경화성 모노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 경화성 모노머는 광 경화성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광 경화성기로는 비닐기 또는 (메트)아크릴기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 광 경화성 모노머는 광 경화성기를 갖는다는 점에서 상기 폴리머와 유사하지만, 게르마늄(Ge) 원소를 포함하는 중합 단위를 갖지 않는다는 점에서 상기 폴리머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광 경화성 모노머는 단분자 또는 고분자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광 경화성 모노머가 더 포함되는 경우, 상기 폴리머는 측쇄로서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폴리머와 광 경화성 모노머가 균일하게(homogeneous) 혼합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광 경화성 모노머는 광 경화성기를 2개 이상 포함하는 다관능성 화합물일 수 있다. 이는 반응속도 측면에서 유리하다. 상기 광 경화성 모노머가 갖는 광 경화성기의 상한은 예를 들어, 10개 이하, 8개 이하, 6개 이하, 4개 이하 또는 3개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모노머의 종류에 따라 고굴절 조성물 내지 고굴절 필름의 투명성, 내열성 등의 물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모노머로는 바람직하게는 분자내에 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기를 갖는 화합물이고, 예를 들면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비스페놀 A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트)아크릴로일옥시 글리세린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지만,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비닐기 치환 방향족 고리 화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디비닐벤젠, 다이알릴에테르,다이알릴설파이드, 아디핀산디알릴에스테르, 아디핀산디비닐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광 경화성 모노머의 함량은 목적하는 물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광 경화성 모노머는 예를 들어 상기 폴리머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50 중량부 또는 2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광 경화성 모노머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은 경우 투명성이나 내열성 등의 물성에 대한 효과가 미비할 수 있고, 지나치게 높은 경우 Ge 함량이 감소하여 굴절률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고굴절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예를 들어 라디칼 개시제일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면, 벤조인계 개시제, 히드록시케톤계 개시제, 아미노케톤계 개시제 또는 포스핀옥시드계 개시제 등과 같이, 자외선 등과 같은 광의 조사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시켜 광중합을 개시시킬 수 있는 일반적인 개시제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고굴절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에 추가로 임의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는, 예를 들면, 경화를 보조하는 경화제, 개시제, 요변성 부여제, 레벨링제, 소포제, 산화 방지제, 라디칼 생성 물질, 유무기 안료 내지는 염료, 분산제, 열전도성 필러나 절연성 필러 등의 각종 필러, 기능성 고분자 또는 광안정제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은 또한 고굴절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고굴절 필름은 상기 고굴절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고굴절 필름은 주쇄(main chain)로서 게르마늄(Ge) 원소를 포함하는 중합 단위와 측쇄(side chain)로서 광 반응성기를 적어도 2개 이상을 포함하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고굴절 조성물을 경화된 상태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고굴절 조성물에 관련된 사항은 전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고굴절 필름 내에서, 상기 폴리머의 적어도 2개 이상의 광 반응성기는 서로 반응하여 결합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굴절 필름의 화학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고굴절 필름은 높은 굴절률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고굴절 필름은, 예를 들어, 632nm 파장에 대한 굴절률이 1.8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고굴절 필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본 출원의 고굴절 조성물을 통해 제조할 수 있는 굴절률의 상한은 예를 들어, 4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고굴절 필름의 두께는 목적하는 굴절률 및 필름의 용도를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고굴절 필름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0nm 내지 1000㎛ 일 수 있다. 본 출원의 고굴절 필름은 이러한 얇은 두께에서도 높은 굴절률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고굴절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고굴절 필름의 제조 방법은 상기 고굴절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고굴절 필름의 제조 방법은 주쇄(main chain)로서 게르마늄(Ge) 원소를 포함하는 중합 단위와 측쇄(side chain)로서 광 반응성기를 적어도 2개 이상을 포함하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고굴절 조성물을 기판 상에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된 조성물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고굴절 조성물에 관련된 사항은 전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따르면, 간단한 코팅 공정과 저 비용으로 고굴절 필름을 제조할 수 있으며, 두께가 균일하고, 두께 조절 또는 성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화학적 안정성이 높고, 투명성 또는 내열성 등의 물성 조절이 용이한 고굴절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기판 상에 조성물을 코팅하는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핀 코팅, 롤 코팅, 인쇄법, 잉크젯 코팅, 슬릿 노즐법, 바 코팅, 콤마 코팅, 또는 그라비어 코팅 등과 같은 공지의 코팅 방식을 통한 코팅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석영 기판, 유리 기판, 실리콘 기판, 플라스틱 기판 등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광을 조사하는 것은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은 500mJ/cm2 내지 5000 mJ/cm2, 1000mJ/cm2 내지 3000 mJ/cm2 또는 1500mJ/cm2 내지 2500 mJ/cm2의 세기로 조사될 수 있다. 자외선의 세기가 지나치게 약한 경우 충분한 경화 반응이 일어날 수 없으며, 지나치게 센 경우 필름의 물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은 실온에서 조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실온(room temperature」은 가온되거나 감온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온도로서, 약 15 ℃ 내지 40℃의 범위 내의 어느 한 온도, 예를 들면, 약 20℃, 약 25℃ 또는 약 30℃ 정도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온도 조건에 대해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실온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광의 조사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머의 적어도 2개 이상의 광 반응성기는 서로 반응하여 결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굴절 필름의 화학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고굴절 조성물, 고굴절 필름 및 고굴절 필름의 제조 방법은 고굴절 재료가 필요한 다양한 기술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고굴절 폴리머는 다양한 광학 제품, 예를 들어, 광학 렌즈 및 광 미디어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고굴절 필름은, 예를 들어, 유기 발광 소자의 내부 광 추출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은 간단한 코팅 공정과 저 비용으로 고굴절 필름을 제조할 수 있으며, 두께가 균일하고, 두께 조절 또는 성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화학적 안정성이 높고, 투명성 또는 내열성 등의 물성 조절이 용이한 고굴절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조성물, 이를 이용한 고굴절 필름 및 고굴절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 및 본 출원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출원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고굴절 조성물의 제조
40ml의 THF(Tetrahydrofuran)에 16mmol의 4염화 게르마늄(germanium tetrachloride)(sigma-aldrich사 제품)과 128mmol의 마그네슘(Mg) 금속 (sigma-aldrich사 제품)을 넣은 후 아르곤(Ar) 하에서 90분 동안 반응시켰다. 다음으로, 16mmol의 브롬화비닐(vinylbromide)(sigma-aldrich사 제품)을 10℃에서 천천히 적가하였다. 약 60분 동안 반응시킨 후 16mmol의 브롬화비닐 (vinylbromide)을 적가한 다음 5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실온에서 하루 동안 혼합물을 뒤섞은 후 메탄올을 부어주었다. 칼럼크로마토그래피(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산화된 생성물을 제거한 후, 하기 화학식 A의 고굴절 폴리머(A)를 수득하였다. 고굴절 폴리머(A)의 수득은 1H-NMR로 확인하였다. 고굴절 폴리머(A) 3g을 톨루엔 3g에 녹이고(50wt% 농도), 상기 고굴절 폴리머(A) 100 중량부 대비 광 개시제(Igarcure 184, Sigma-aldrich사 제품)를 5 중량부 첨가하여 고굴절 조성물(1)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A]
Figure 112018094096012-pat00002
(n= 45~50)
1H NMR(500MHz, DMSO-d6]: δ=5.1, 5.5(d,2H,CH2),5.25∼5.30(d,H,CH)
고굴절 필름의 제조
상기 고굴절 조성물(1)을 석영 기판(quartz plate)에 도포한 후 바(bar) 코팅하였다. 다음으로, 코팅된 기판을 100℃의 핫 플레이트(hot plate)에서 1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그 후, 고굴절 조성물에 UV 경화기(H-bulb)를 이용하여 약 200nm 내지 350nm 파장의 자외선을 약 2,000 mJ/cm2의 세기로 조사하여 광 경화시킴으로써 고굴절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고굴절 조성물의 제조
40ml의 THF(Tetrahydrofuran)에 16mmol의 4염화 게르마늄(germanium tetrachloride)과 128mmol의 마그네슘(Mg) 금속을 넣은 후 아르곤(Ar) 하에서 90분 동안 반응시켰다. 다음으로, 16mmol의 브롬화비닐(vinylbromide)을 10℃에서 천천히 적가하였다. 약 60분 동안 반응시킨 후 16mmol의 브로모벤젠(bromobenzene) (sigma-aldrich사 제품)을 적가한 다음 5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실온에서 하루 동안 혼합물을 뒤섞은 후 메탄올을 부어주었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산화된 생성물을 제거한 후, 하기 화학식 B의 고굴절 폴리머(B)를 수득하였다. 고굴절 폴리머(B)의 수득은 1H-NMR로 확인하였다. 고굴절 폴리머(B) 3g을 톨루엔 3g에 녹이고(50wt% 농도), 상기 고굴절 폴리머(B) 100 중량부 대비 광 개시제(Igarcure 184, Sigma-aldrich사 제품)를 5 중량부 첨가하여 고굴절 조성물(2)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B]
Figure 112018094096012-pat00003
(n=37~43)
1H NMR(500MHz, DMSO-d6]:δ=5.1, 5.5(d,2H,CH2),5.25∼5.30(d,H,CH),
7.30∼7.40(s,H,CH)
고굴절 필름의 제조
고굴절 폴리머 조성물(1)을 고굴절 폴리머 조성물(2)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굴절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고굴절 조성물의 제조
40ml의 THF(Tetrahydrofuran)에 16mmol의 4염화 게르마늄(germanium tetrachloride)과 128mmol의 마그네슘(Mg) 금속을 넣은 후 아르곤(Ar) 하에서 90분 동안 반응시켰다. 다음으로, 16mmol의 브롬화비닐(vinylbromide)을 10℃에서 천천히 적가하였다. 약 60분 동안 반응시킨 후 16mmol의 브로모뷰테인(bromobutane)(sigma-aldrich사 제품)을 적가한 다음 5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실온에서 하루 동안 혼합물을 뒤섞은 후 메탄올을 부어주었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산화된 생성물을 제거한 후, 하기 화학식 C의 고굴절 폴리머(C)를 수득하였다. 고굴절 폴리머(C)의 수득은 1H-NMR로 확인하였다. 고굴절 폴리머(C) 3g을 톨루엔 3g에 녹이고(50wt% 농도), 상기 고굴절 폴리머(C) 100 중량부 대비 광 개시제(Igarcure 184, Sigma-aldrich사 제품)를 5 중량부 첨가하여 고굴절 조성물(3)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C]
Figure 112018094096012-pat00004
(n= 52~57)
1H NMR(500MHz, DMSO-d6]:δ=0.91(t,3H,CH3 ),1.27(m, 2H, CH2),1.33(m, 2H,CH2),1.34(t,2H,CH2),5.5(d,2H,CH2),5.25∼5.30(d,1H,CH),7.33(s,1H,CH)
고굴절 필름의 제조
고굴절 폴리머 조성물(1)을 고굴절 폴리머 조성물(3)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굴절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고굴절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고굴절 폴리머(A) 2.4g와 TMPTA(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sigma-aldrich사 제품) 0.6g을 톨루엔 3g에 녹이고(각각 40wt%와 10wt% 농도), 상기 고굴절 폴리머(A) 100 중량부 대비 광 개시제(Igarcure 184, Sigma-aldrich사 제품)를 5 중량부 첨가하여 고굴절 조성물(4)을 제조하였다.
고굴절 필름의 제조
고굴절 조성물 (1)을 고굴절 조성물(4)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굴절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고굴절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고굴절 폴리머(A) 2.4g과 디비닐벤젠(divinylbenzen)(sigma-aldrich사 제품) 0.6g을 톨루엔 3g에 녹이고(각각 40wt%와 10wt%의 농도), 상기 고굴절 폴리머(A) 100 중량부 대비 광 개시제(Igarcure 184, Sigma-aldrich사 제품)를 5 중량부 첨가하여 고굴절 조성물(5)을 제조하였다.
고굴절 필름의 제조
고굴절 조성물 (1)을 고굴절 조성물(5)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굴절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고굴절 조성물의 제조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sigma-aldrich사 제품) 3g를 톨루엔 3g에 녹이고(50wt%), 다이옥세인(dioxane)에 녹여 고굴절 조성물(6)을 제조하였다.
고굴절 필름의 제조
고굴절 조성물(1)을 고굴절 조성물(6)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굴절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고굴절 조성물의 제조
70ml의 THF(Tetrahydrofuran)에 bis(dimethylphenyl) digermoxane 3.75g(0.01mol)(cimit사 제품)를 넣어 플라스크 내를 질소 치환하였다. 그 후, 반응 생성물을 톨루엔으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다음으로, 톨루엔을 제거 후, 진공 건조를 하여 dimethyl poly(Ge-O-Ge)을 얻었다. dimethyl poly(Ge-O-Ge) 3g을 톨루엔 3g에 녹여(50wt%) 고굴절 조성물(7)을 제조하였다.
고굴절 필름의 제조
고굴절 조성물(7)을 석영 기판(quartz plate)에 도포한 후 바(bar) 코팅하였다. 다음으로, 코팅된 기판을 100℃의 핫 플레이트(hot plate)에서 1시간 동안 건조시켜 고굴절 필름을 제조하였다.
측정예 1. 두께 및 굴절률 측정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필름에 대해, 두께 및 굴절률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구체적으로, 두께는 ellipsometry measurement(Elli-SE, 엘립소테크놀로지사 제품)를 이용하여, 타원계측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굴절률은 굴절률 측정장치(SPA-3DR, SAIRON Tech.사 제품)를 이용하여 632nm 파장에 대한 굴절률을 측정하였다.
두께(㎛) 굴절률
실시예 1 1.15 2.4
실시예 2 1.23 2.2
실시예 3 1.18 2.3
실시예 4 1.17 2.0
실시예 5 1.12 1.8
비교예 1 1.10 1.4
비교예 2 1.21 1.7

Claims (15)

  1. 주쇄(main chain)로서 게르마늄(Ge) 원소를 포함하는 중합 단위와
    측쇄(side chain)로서 광 반응성기를 적어도 2개 이상 포함하는 폴리머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고굴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2121011408-pat00006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알킬기, 아릴기 또는 광 반응성기고, R1 내지 R6 중 적어도 2개는 광 반응성기며, n은 5 내지 1000의 정수이고, 상기 광 반응성기는 비닐기, (메타)아크릴기,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아크릴아미드기, 비닐옥시기 또는 말레이미드기이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폴리머는 상기 용매 100 중량부 대비 5 내지 1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고굴절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광 경화성 모노머를 더 포함하는 고굴절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경화성 모노머는 광 경화성기를 적어도 2개 이상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인 고굴절 조성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경화성 모노머는 상기 폴리머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고굴절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고굴절 조성물.
  10. 제 1 항의 고굴절 조성물을 경화된 상태로 포함하는 고굴절 필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의 적어도 2개 이상의 광 반응성기는 서로 반응하여 결합된 상태로 존재하는 고굴절 필름.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 필름의 632 nm 파장에 대한 굴절률이 1.8 이상인 고굴절 필름.
  13. 제 1 항의 고굴절 조성물을 기판 상에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된 조성물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굴절 필름의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의 조사는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수행되는 고굴절 필름의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을 500mJ/cm2 내지 5000mJ/cm2의 세기로 조사하는 고굴절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180113001A 2018-09-20 2018-09-20 고굴절 조성물, 고굴절 필름 및 고굴절 필름의 제조방법 KR102543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001A KR102543067B1 (ko) 2018-09-20 2018-09-20 고굴절 조성물, 고굴절 필름 및 고굴절 필름의 제조방법
JP2020544774A JP7110538B2 (ja) 2018-09-20 2019-09-20 高屈折組成物、高屈折フィルム及び高屈折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17/041,181 US11866584B2 (en) 2018-09-20 2019-09-20 High-refractive-index composition, high-refractive-index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refractive-index film
PCT/KR2019/012194 WO2020060257A1 (ko) 2018-09-20 2019-09-20 고굴절 조성물, 고굴절 필름 및 고굴절 필름의 제조방법
CN201980015535.7A CN111801388B (zh) 2018-09-20 2019-09-20 高折射组合物、高折射膜和用于制造高折射膜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001A KR102543067B1 (ko) 2018-09-20 2018-09-20 고굴절 조성물, 고굴절 필름 및 고굴절 필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566A KR20200033566A (ko) 2020-03-30
KR102543067B1 true KR102543067B1 (ko) 2023-06-14

Family

ID=70003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001A KR102543067B1 (ko) 2018-09-20 2018-09-20 고굴절 조성물, 고굴절 필름 및 고굴절 필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0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5872A (ja) * 2007-11-22 2009-07-02 Tohoku Univ ゲルマニウム含有感光性樹脂組成物および屈折率制御方法
JP2012063577A (ja) * 2010-09-16 2012-03-29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5762392B2 (ja) * 2010-02-16 2015-08-12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置換ポリゲルマン化合物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8179B1 (ja) 2014-09-10 2015-03-25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酸化物焼結体、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及び薄膜並びに酸化物焼結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5872A (ja) * 2007-11-22 2009-07-02 Tohoku Univ ゲルマニウム含有感光性樹脂組成物および屈折率制御方法
JP5762392B2 (ja) * 2010-02-16 2015-08-12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置換ポリゲルマン化合物の製造方法
JP2012063577A (ja) * 2010-09-16 2012-03-29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566A (ko) 2020-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7837B1 (ko) 플루오렌 구조를 갖는 신규한 광개시제 및 이를 포함하는 반응성 액정 조성물 및 감광성 조성물
CN107344918B (zh) 一类含二苯乙烯的肟酯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065628B (zh) 新型三嗪衍生物以及包含该三嗪衍生物的光敏组合物
US20100144957A1 (en) Curable material containing photopolymerizable polymer and cured object
WO2012050201A1 (ja)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9155989A1 (ja) 光増感剤及び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
KR102543067B1 (ko) 고굴절 조성물, 고굴절 필름 및 고굴절 필름의 제조방법
KR101632060B1 (ko) 광반응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광반응성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광배향막
JP5832428B2 (ja) 有機タンタル錯体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866584B2 (en) High-refractive-index composition, high-refractive-index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refractive-index film
KR101965194B1 (ko) 불소계 모노머 및 올리고머 화합물, 광중합형 조성물, 및 이들을 이용한 소수성 필름
KR101205476B1 (ko) 광반응기를 갖는 말레이미드계 화합물 및 광반응성 중합체
KR101481214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판
TWI725190B (zh) 高折射率聚合性化合物之低黏度化劑及含有其之聚合性組成物
JP2011074128A (ja) 光硬化性組成物
KR20200033762A (ko) 고굴절 조성물, 고굴절 필름 및 고굴절 필름의 제조방법
Kwon et al. Polarizing group attached acrylates and polymers viewing high refractive index
TW202039608A (zh) 光硬化性聚矽氧樹脂組成物及由其硬化成的聚矽氧樹脂成形體以及該成形體的製造方法
US11945966B2 (en) Photocurable composition with enhanced thermal stability
KR102512514B1 (ko) 티올-엔 고분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고분자 필름
KR101641321B1 (ko) 개질된 트리아로일벤젠-골격 폴리머
KR101268203B1 (ko) 환형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환형 올레핀계 수지 필름
KR100873986B1 (ko) 방향족 아크릴계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중합성 수지 조성물
CN117177962A (zh) 三嗪过氧化物衍生物及其制备方法、聚合性组合物、以及固化物及其制备方法
KR101627167B1 (ko) 아자이드 그룹이 도입된 폴리실세스퀴옥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강도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