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643B1 - 높이 조절 및 냉기의 기밀유지가 가능한 탑차의 적재함 구조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 및 냉기의 기밀유지가 가능한 탑차의 적재함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643B1
KR102540643B1 KR1020210060677A KR20210060677A KR102540643B1 KR 102540643 B1 KR102540643 B1 KR 102540643B1 KR 1020210060677 A KR1020210060677 A KR 1020210060677A KR 20210060677 A KR20210060677 A KR 20210060677A KR 102540643 B1 KR102540643 B1 KR 102540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box
side wall
vehicle
sidewall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3286A (ko
Inventor
박성일
Original Assignee
박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일 filed Critical 박성일
Priority to KR1020210060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643B1/ko
Publication of KR20220153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8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comprising adjustabl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B62D33/048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for refrigerated good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탑차(100)의 적재함(200)을 상부 적재함(210)과 하부 적재함(220)으로 구분하고 유압을 기초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이중벽 구조로 개선함과 동시에 하부 적재함(220) 측벽의 상측에 에어백(air bag)(300)을 배치함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배달현장의 고도 출입제한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물건의 적재량을 가변적으로 운영할 수 있어서 차량의 운영효율이 개선되며, 냉기의 기밀유지가 개선되어 필요에 따라 냉동모드 또는 냉장모드로 편리하게 운영할 수 있는 적재함 구조가 개시된다. 탑차(100)의 상부 적재함(210)은 천정부(211)와 제1 측벽(212)으로 구성되고, 하부 적재함(220)의 제2 측벽(222) 내에는 중앙 개구부(224)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벽(212)이 상기 중앙 개구부(224) 내에 승강 가능하도록 내부에 삽입하여 배치되고, 상기 중앙 개구부(224)의 내부 하부에는 제1 측벽(212)을 승강시키기 위한 실린더(226)와 플런저(228)가 배치되며, 상부 적재함(210)과 하부 적재함(220)의 경계부위에는 탑차(100)의 적재함의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에어백(300)이 배치된다.

Description

높이 조절 및 냉기의 기밀유지가 가능한 탑차의 적재함 구조{Loading system structure of the box truck that can adjust the height and keep the airtightness of the cold air}
본 발명은 탑차의 적재함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차의 적재함을 상부 적재함과 하부 적재함으로 구분하고 유압을 기초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이중벽 구조로 개선함과 동시에 하부 적재함 측벽의 상측에 에어백을 배치함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배달현장의 고도 출입제한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물건의 적재량을 가변적으로 운영할 수 있어서 차량의 운영효율이 개선되며, 냉기의 기밀유지가 개선되어 필요에 따라 냉동모드 또는 냉장모드로 편리하게 운영할 수 있는 적재함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탑차는 박스 모양의 화물칸을 갖춘 화물차로서, 개방형 적재함을 장착한 일반적인 카고트럭과는 달리 네모난 형태의 폐쇄형 적재함을 장착한 것이 특징이며, 카고트럭에 비해 날씨의 영향을 덜 받고 냉장기와 냉동기를 설치할 수가 있는 장점이 있어서 널리 시판 운영되고 있다.
탑차의 종류로는, 화물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게 안에 보관할 수 있는 벽과 지붕을 갖춘 내장탑차가 가장 일반적이고, 냉장기와 냉동기를 추가한 탑차로서 주로 냉동을 요하는 식품이나 우유등을 운반하기 위해 제작되는 탑차인 냉장/냉동탑차, 보냉탑차, 윙바디 등 다양한 차량들이 있다.
탑차의 장점이라함은 날씨와 상관없는 탁월한 운송 능력을 들 수 있다. 즉, 적재함 윗부분이 개방돼있는 카고트럭과는 달리 지붕이 있기 때문에 악천후에도 대비가 용이하고 운행중에 적재물의 낙하 위험성 또한 적다. 이와 같은 장점 때문에 탑차는 최근 택배차량에 많이 쓰이고 있다. 택배차량의 경우에는 습기와 빗물에 취약한 종이박스에 담긴 화물을 실어 나르기 때문에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운행중에 배송물을 분실할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작아서 택배사들의 기본 운송수단으로 적격이다. 택배차량의 기본차종으로는 위에서 언급한 내장탑차가 주로 사용되고, 물류센터간 대량의 운송에는 중대형급이, 동네를 돌며 고객에게 물건을 배송하는 단계에는 1톤급 내장탑차가 주로 운용된다.
그런데, 최근 일부 신도시 아파트단지에서 주민안전을 이유로 택배차량의 운행을 제한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아파트단지에서 후진하던 택배차량에 의해 입주민이 차에 치일뻔한 경우가 발생하였는데, 이를 이유로 아파트 단지 내 보행자 안전을 위해 택배차량의 높이를 낮춰 지하주차장을 이용하도록 요구하고 있고 지상 주차장의 진입을 불허한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에, 택배사 입장에서는 택배차량의 높이를 낮추는데 따른 차량 개조비용의 발생문제, 택배기사 작업 불편 등을 이유로 택배차량 높이를 낮추는 것은 곤란하고 지상 주차장 진입 허용이 필요하다며 배송을 거부하는 일까지 발생하였다. 이러한 상황때문에 물품배송을 책임지고 있는 택배사들은 현장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탑차를 제조하는 제조사 및 관련업계에서는 이와 같은 물류배송 현장에서의 변화에 주목하여 탑차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들을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0446호(등록일자: 2004년 1월 20일)에는 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고안에서는 적재함의 후방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하부함체와 상부함체에 형성된 레일홈을 따라서 슬라이딩되도록 하고, 도어의 전방부와 후방부 사이에 와이어를 배치하여 다수의 롤러들에 의해서 지지되도록 하며, 정역회전 모터을 갖는 와이어 권취수단 및 길이 조정수단을 포함시켜서 적재함을 셔터형으로 구성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적재함은 적재함의 후방에 배치된 도어를 기계식으로 개폐하기 위한 기계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비가 많이 발생하며 냉기의 보존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다음으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61022호(등록일자: 2011년 8월 25일)에는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탑차의 적재함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적재함은 사용자가 적재함의 높이를 희망하는 높이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의 지주들을 적재함의 외부에 설치하고 적재함 내부에 체인과 다수의 롤러들 및 기어들을 배치하여 천막포를 기계적으로 승하강시키는 구조를 채용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적재함은 적재함 내부 측벽에 체인, 다수의 롤러들, 기어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을 배치하여 천막포를 승하강 시키는 구조이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비가 많이 발생하며 냉기의 보존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0446호(등록일자: 2004년 1월 20일)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61022호(등록일자: 2011년 8월 25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탑차의 적재함을 상부 적재함과 하부 적재함으로 구분하고 유압을 기초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이중벽 구조로 개선함과 동시에 하부 적재함 측벽의 상측에 에어백을 배치함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배달현장의 고도 출입제한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물건의 적재량을 가변적으로 운영할 수 있어서 차량의 운영효율이 개선되며, 냉기의 기밀유지가 개선되어 필요에 따라 냉동모드 또는 냉장모드로 편리하게 운영할 수 있는 적재함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탑차의 적재함 구조로서,
천정부 및 상기 천정부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된 제1 측벽으로 구성되는 상부 적재함;
상기 제1 측벽이 승강 가능하도록 내부에 삽입하여 배치되는 제2 측벽을 구비한 하부 적재함;
상기 하부 적재함의 상기 제2 측벽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측벽 내부에서 상기 제1 측벽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 및
상기 상부 적재함과 상기 하부 적재함의 경계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탑차의 적재함의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백(air ba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의 적재함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탑차의 적재함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천정부의 하부면 양측 테두리에서 안쪽으로 일정거리만큼 들어간 위치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이에 의해 상기 천정부와 상기 제1 측벽의 연결위치에는 단이진 단부분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측벽의 내부에는 상기 제1 측벽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막힘구멍 형태의 중앙 개구부가 수직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탑차의 적재함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중앙 개구부 내부에서 하부에 배치된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상부로부터는 상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연장되는 플런저를 포함하며, 상기 플런저의 상단부는 상기 제1 측벽의 바닥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탑차의 적재함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벽의 상단부에는 일정깊이만큼 움푹들어간 홈 형태의 에어백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 채널 내에는 상기 에어백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탑차의 적재함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채널은 상기 제2 측벽의 상단부에서 상기 중앙 개구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 채널은 상기 제2 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함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므로, 배달할 물건의 양이 줄어들면 저탑모드로 변경하여 운송할 수 있기 때문에 아파트 지하 주차장으로의 진입이 가능하여 운송효율이 높아지며, 배달할 물건의 양이 많으면 고탑모드로 많은 물건을 싣고 출발하여 지하 주차장이 아닌 일반 빌라 단지에 대한 배달을 먼저 수행하고 물건의 양이 줄어들면 저탑모드로 변경하여 운송할 수 있기 때문에 아파트 단지의 높이제한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개발된 탑차는 대단지 아파트에서 배송업무를 진행하는 수 많은 배송업무 종사자들의 수고로움을 덜어줄 수 있으며, 아파트 주민들과 택배사들간에 발생할 수 있는 배달 분쟁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구조가 채용된 탑차의 외부 측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탑차의 후방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부 적재함과 하부 적재함의 결합상태와 상부 적재함 승하강 장치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탑차에 있어서 상부 적재함이 최대한으로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상부 적재함과 하부 적재함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날로 증대하고 있는 냉동 및 냉장 물품의 효율적인 배송을 위해서 발명된 것이다.
도시가 변모하면서 대다수의 신도시 아파트들은 입주자의 거주여건 개선을 위해 배달차량의 지상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이에 택배기사나 마트 배송배송기사들은 통제된 아파트의 도로를 주행할 수 없기 때문에 배달차량을 아파트 출입구에 주차한 후 손수레를 이용하여 배송을 진행하고 있으며, 점차 아파트들이 대단지화 되어 감에 따라 차주들 및 운송사들이 많은 고충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아파트 단지 내 보행자 안전을 위해 지상 주차장의 진입을 불허하면서 지하주차장을 이용하도록 요구하고 있는데, 이러한 요구조건을 맞추기 위해서는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저탑”을 출고하여 운행하는 실정이다. 이렇게 되면, 배달물품의 양이 너무 적어서 차량의 운영 효율이 떨어지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탑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가변형으로 만들되 냉동 및 냉장 기능도 함께 가능하도록 구현하여 온도에 상관없는 제품이나 일정온도를 유지해 하는 제품 모두의 운송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적재함의 측벽들을 구성하는 패널들이 위 아래로 마치 미닫이 문이 열리고 닫히는 것처럼 만들어 냉기를 보존하도록 하였다. 또한, 뒷문은 셔터 형식의 문을 설치하여 탑이 상하로 움직이더라도 문을 열고 닫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적재함 구조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 및 냉기의 기밀유지가 가능한 탑차의 적재함 구조가 잘 나타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탑차(100)는 높이 조절 및 냉기의 기밀유지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적재함(200)을 구비한다. 적재함(200)은 상부 적재함(210) 및 하부 적재함(220)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부 적재함(210)은 천정부(211) 및 상기 천정부(211)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된 제1 측벽(2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측벽(212)은 상기 천정부(211)의 전후 좌우 위치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운전석(DR)에 가까운 전방위치와 좌우 위치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후방위치에는 뒷문(도시되지 않음)으로서 셔터 형식의 문을 설치하여 탑이 상하로 움직이더라도 문을 열고 닫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제1 측벽(212)은 상기 천정부(211)의 하부면 양측 테두리에서 안쪽으로 일정거리만큼 들어간 위치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천정부(211)와 상기 제1 측벽(212)의 연결위치에는 단차진 단차부분(213)(도 3 참조)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상부 적재함(210)의 제1 측벽(212)은 하부 적재함(220)의 제2 측벽(222) 내부에 삽입하여 배치된다. 상기 제1 측벽(212)이 상기 제2 측벽(222)의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2 측벽(222)의 최상부는 상기 천정부(211)와 상기 제1 측벽(212)의 연결위치에 형성된 상기 단차부분(213)의 하부면에 밀착 접촉된다.
상부 적재함(210)의 제1 측벽(212)은 하부 적재함(220)의 제2 측벽(222)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2 측벽(222)의 내부에는 막힘구멍 형태의 중앙 개구부(224)가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중앙 개구부(224) 내부에서 그 하부에는 실린더(226)가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226)의 상부로부터는 플런저(228)가 상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연장되는데, 상기 플런저(228)의 상단부는 상기 제1 측벽(212)의 바닥에 연결된다.
상기 실린더(226)는 외부로부터 동력을 인가받아서 작동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실린더(226)에는 압력배관(도시되지 않음)의 일단부가 유체 연결되며, 상기 압력배관(도시되지 않음)의 타단부는 상기 탑차(100)의 운전석(DR)(도 1 참조)과 적재함(200)(도 1 참조)의 하부 사이에 배치된 유압 파워 유닛(도시되지 않음)에 유체 연결된다. 상기 유압 파워 유닛(도시되지 않음)의 일측에는 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가 근접하여 배치된다.
한편, 하부 적재함(220)의 제2 측벽(222) 상부에는 에어백(air bag)(300)이 배치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2 측벽(222)의 상단부에는 일정깊이만큼 움푹들어간 홈 형태의 에어백 채널(310)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백 채널(310)은 상기 제2 측벽(222)의 상단부에서 상기 중앙 개구부(224)의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에어백 채널(310)은 상기 제2 측벽(222)의 길이방향, 즉 상기 탑차(100)의 전후방향을 따라서 연장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에어백 채널들(310)에는 상기 에어백(300)이 삽입하여 배치된다.
상기 에어백(300)은 외부로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서 팽창과 수축을 반복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에어백(300)에는 에어 공급라인(320)의 일단부가 유체 연결되며, 상기 에어 공급라인(320)의 타단부는 상기 탑차(100)의 운전석(DR)(도 1 참조)과 적재함(200)(도 1 참조)의 하부 사이에 배치된 에어펌프(도시되지 않음)에 유체 연결된다.
첨부도면 도 5에서, 도면의 좌측이 운전석(DR)(도 1 참조)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하여 나타내었으며, 도면의 우측에서 상부 적재함(210)과 하부 적재함(220)의 후방에는 셔터형식의 뒷문(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하여 탑이 상하로 움직이더라도 문을 열고 닫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도록 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에어 공급라인(320)이 상부 적재함(210)과 하부 적재함(220)의 개방된 후방을 통해서 외부로 연장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는데, 계속해서 상기 에어 공급라인(320)은 탑차(100)의 적재함(200)의 하부를 지나서 상기 에어펌프(도시되지 않음)에 유체 연결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에어 공급라인(320)은 상부 적재함(210)과 하부 적재함(220)의 폐쇄된 전방벽에 천공된 구멍(도시되지 않음)을 통해서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에어펌프(도시되지 않음)에 유체 연결될 수도 있음을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에어펌프(도시되지 않음)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상기 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작동이 제어된다.
하기에서는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탑차(100)의 적재함 승하강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탑차(100)는 배달할 물량이 많을 때는 적재함(200)의 내부용량을 최대한으로 확대하여 배달물품을 적재할 수 있다. 즉, 상부 적재함(200)의 제1 측벽(212)을 하부 적재함(220)의 제2 측벽(222) 외부로 최대한 노출시키도록 실린더(226)를 작동시켜서 플런저(228)의 길이를 최대한으로 연장시킨다. 이렇게 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적재함(220)의 제2 측벽(222)과 상부 적재함(210)의 제1 측벽(212)을 합한 길이만큼 적재함(200)의 전체 측벽의 길이가 연장되어 적재함(200)의 내부용량이 최대한으로 확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적재함(200)의 전체 측벽의 길이가 연장되는 경우에도 하부 적재함(220)의 제2 측벽(222)과 상부 적재함(210)의 제1 측벽(212) 경계위치에는 에어백(300)이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제2 측벽(222)과 상기 제1 측벽(212)의 경계에 존재하는 틈새를 통해서 적재함(200)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즉, 물품 배달시에는 상기 탑차(100)의 운전석(DR)(도 1 참조)과 적재함(200)(도 1 참조)의 하부 사이에 배치된 에어펌프(도시되지 않음)를 항시적으로 가동시키기 때문에, 상기 에어펌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발생된 공기압이 상기 에어 공급라인(320)을 거쳐서 상기 에어백(300)으로 공급되어, 상기 에어백(300)이 완전 팽창된 상태로 상기 제2 측벽(222)과 상기 제1 측벽(212)의 경계부위에 밀착되므로, 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를 통해서 적재함(200)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배달하고자 하는 아파트와 같은 배달장소에 배달차량에 대한 고도제한이 있는 경우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탑차(100)의 높이를 최대한으로 하여 최대한 많은 양의 물품을 적재한 상태에서 일반 빌라나 사무실과 같이 출입처의 고도제한이 없는 곳부터 우선적으로 물품을 배송한 다음에 탑차(100)의 높이를 고도제한에 걸리지 않을 정도로 낮추어서 운행할 수 있다. 배달할 물품이 적은 경우에도 탑차(100)의 높이를 낮추어서 운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탑차(100)의 높이를 최소화하여 운행할 수 있다.
즉, 상부 적재함(200)의 제1 측벽(212)이 하부 적재함(220)의 제2 측벽(222)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플런저(228)의 길이를 최소한으로 줄인다. 상세하게는, 상부 적재함(200)의 제1 측벽(212)을 하부 적재함(220)의 제2 측벽(222)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실린더(226)를 작동시켜서 플런저(228)의 길이를 최소한으로 축소시킨다. 이렇게 하면, 하부 적재함(220)의 제2 측벽(222) 상부면이 상부 적재함(210)의 단차부분(213)(도 3참조)에 밀착되는 상태로 되어, 하부 적재함(220)의 제2 측벽(222)의 전체 높이가 적재함(200)의 전체 측벽의 높이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적재함(200)의 전체 측벽의 길이가 축소되는 경우에도 하부 적재함(220)의 제2 측벽(222)과 상부 적재함(210)의 천정부(211) 경계위치에 에어백(300)이 위치하게 되어, 상기 제2 측벽(222)과 상기 상부 적재함(210)의 천정부(211)의 경계에 존재하는 틈새를 통해서 적재함(200)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탑차(100)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가변형으로 만들되 냉동 및 냉장 기능도 함께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온도에 상관없는 제품이나 일정온도를 유지해 하는 제품 모두의 운송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탑차 200 : 적재함
210 : 상부 적재함 211 : 천정부
212 : 제1 측벽 213 : 단차부분
220 : 하부 적재함 222 : 제2 측벽
224 : 중앙 개구부 226 : 실린더
228 : 플런저

Claims (5)

  1. 탑차(100)의 적재함 구조로서,
    천정부(211) 및 상기 천정부(211)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된 제1 측벽(212)으로 구성되는 상부 적재함(210);
    상기 제1 측벽(212)이 승강 가능하도록 내부에 삽입하여 배치되는 제2 측벽(222)을 구비한 하부 적재함(220);
    상기 하부 적재함(220)의 상기 제2 측벽(222)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측벽(222) 내부에서 상기 제1 측벽(212)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 및
    상기 상부 적재함(210)과 상기 하부 적재함(220)의 경계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탑차(100)의 적재함의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백(air bag)(300);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측벽(222)의 상단부에는 일정깊이만큼 움푹들어간 홈 형태의 에어백 채널(310)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 채널(310) 내에는 상기 에어백(300)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의 적재함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212)은 상기 천정부(211)의 하부면 양측 테두리에서 안쪽으로 일정거리만큼 들어간 위치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이에 의해 상기 천정부(211)와 상기 제1 측벽(212)의 연결위치에는 단차진 단차부분(213)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측벽(222)의 내부에는 상기 제1 측벽(212)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막힘구멍 형태의 중앙 개구부(224)가 수직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의 적재함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중앙 개구부(224) 내부에서 하부에 배치된 실린더(226), 및 상기 실린더(226)의 상부로부터는 상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연장되는 플런저(228)를 포함하며, 상기 플런저(228)의 상단부는 상기 제1 측벽(212)의 바닥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의 적재함 구조.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채널(310)은 상기 제2 측벽(222)의 상단부에서 상기 중앙 개구부(224)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 채널(310)은 상기 제2 측벽(22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의 적재함 구조.
KR1020210060677A 2021-05-11 2021-05-11 높이 조절 및 냉기의 기밀유지가 가능한 탑차의 적재함 구조 KR102540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677A KR102540643B1 (ko) 2021-05-11 2021-05-11 높이 조절 및 냉기의 기밀유지가 가능한 탑차의 적재함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677A KR102540643B1 (ko) 2021-05-11 2021-05-11 높이 조절 및 냉기의 기밀유지가 가능한 탑차의 적재함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286A KR20220153286A (ko) 2022-11-18
KR102540643B1 true KR102540643B1 (ko) 2023-06-07

Family

ID=84234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677A KR102540643B1 (ko) 2021-05-11 2021-05-11 높이 조절 및 냉기의 기밀유지가 가능한 탑차의 적재함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6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0654B2 (ja) * 1989-11-29 2000-02-21 ソニー株式会社 圧縮符号化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0654U (ja) * 1994-10-28 1995-05-02 株式会社北村製作所 荷箱伸縮式冷凍貨物車両のパッキン構造
KR19980036632U (ko) * 1996-12-16 1998-09-15 박병재 카고트럭의 적재함 높이 조절장치
KR200340446Y1 (ko) 2003-11-05 2004-02-05 박길호 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
KR101061022B1 (ko) * 2010-02-19 2011-09-02 이만우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탑차의 적재함
KR20150003704A (ko) * 2014-12-10 2015-01-09 박길수 화물차량의 적재함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0654B2 (ja) * 1989-11-29 2000-02-21 ソニー株式会社 圧縮符号化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286A (ko)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319162B2 (en) Cargo handling apparatus
US6283040B1 (en) Adjustable height rail car
US6467830B1 (en) Self contained storage device for trucks
US8177471B2 (en) Cargo handling apparatus module
KR20160062734A (ko) 냉동차의 적재공간 가변형 냉동 시스템
KR101755130B1 (ko) 화물 차량용 태양광 발전장치
CN110342287A (zh) 三片伸缩搭板式装卸平台
KR102540643B1 (ko) 높이 조절 및 냉기의 기밀유지가 가능한 탑차의 적재함 구조
KR20200125161A (ko) 탑차
KR101035476B1 (ko) 적재함 또는 적재면을 구비한 차량
KR102334984B1 (ko) 적재함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화물차
US20030147734A1 (en) Goods handling system
KR101295519B1 (ko) 차량의 트렁크 적재공간 확장장치
KR102152549B1 (ko) 주차겸용 승강식 창고장치
EP1800945A2 (en) Cargo door for vehicles, trailers and semi-trailers
GB2494023A (en) A step-frame semi-trailer having a second loading platform
JP3058814U (ja) 荷役車
KR20230128607A (ko) 천장개폐식 탑차
KR102655592B1 (ko) 적재함 높이 가변형 탑차
CN220485205U (zh) 一种用于货运车厢装卸的升降结构
KR101157445B1 (ko) 식품저장터널
JP4449042B2 (ja) コンテナ
KR102186484B1 (ko) 화물차량용 이단 적재함
JP7505478B2 (ja) 物品搬送システム
US10526024B2 (en) Powered side pane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