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445B1 - 식품저장터널 - Google Patents

식품저장터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7445B1
KR101157445B1 KR1020090123032A KR20090123032A KR101157445B1 KR 101157445 B1 KR101157445 B1 KR 101157445B1 KR 1020090123032 A KR1020090123032 A KR 1020090123032A KR 20090123032 A KR20090123032 A KR 20090123032A KR 101157445 B1 KR101157445 B1 KR 101157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reservoir
food storage
food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3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6396A (ko
Inventor
박재현
Original Assignee
(주)한국투아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투아치 filed Critical (주)한국투아치
Priority to KR1020090123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445B1/ko
Publication of KR20110066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22Containers for fluent solids, e.g. silos, bunkers;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렴한 비용으로 건설이 가능하며, 화물의 하역이 용이하고, 적은 유지비용으로 항상성을 유지하는 식품저장터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 지하로 진입되거나 지하로부터 진출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지표로부터 소정깊이 지하로 형성되는 진입부, 상기 진입부의 지하측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진입부로부터 진입한 차량이 정차되고 상기 차량에서 화물이 하역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역구역, 상기 하역구역으로부터 1개 또는 복수개 연장되어 이루어지며 식품이 보관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품저장터널이 제공된다.
식품, 창고, 지하, 발효, 터널

Description

식품저장터널{Food Storage Tunnel}
본 발명은 식품저장터널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저렴한 비용으로 건설이 가능하며, 화물의 하역이 용이하고, 적은 유지비용으로 항상성을 유지하는 식품저장터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을 저장하는 창고는 지붕과 벽이 있는 가옥의 형태로 지상에 설치되어 재고를 보관하며 필요 시 창고에서 물품을 반출하도록 구비된다.
이는 물품뿐만 아니라 식품도 마찬가지로서, 식품 또한 창고에 보관하고 있다. 그런데, 식품의 경우에는 저장온도 및 습도를 유지하지 못하면 변질될 우려가 있어 적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시켜주어야 한다. 특히, 김치나 젖갈 또는 와인이나 과실주 등의 발효가 이루어지는 식품의 경우 일정기간 숙성이 필요한데 이러한 숙성기간 동안에 창고에 저장하면서 적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상에 설치된 식품저장창고는, 김치나 젖갈, 와인 등의 발효식품의 경우 일정한 온도와 습도의 조건을 갖추어야 하는데, 지상에 설치된 창고는 외부환경에 의해 내부 조건이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으므로 지속적 으로 공기조화를 해야 하므로 날씨가 무더운 여름철이나 추운 겨울철에는 유지비용이 많이 발생하며, 공기조화장치에 작용하는 부담이 크며, 그에 따라 용량이 큰 고가의 공기조화장치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창고가 지상에 설치되므로, 일정면적의 지표면적을 차지하게 되며 이는 토지매입비나 토지임대비를 지불해야 하므로 창고 건설비 및 유지비를 상승시키므로 식품의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지상의 식품저장창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공개특허 10-2002-0072993호에 상하로 굴착되어 자연공기순환을 이용한 식품저장터널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산사면 등 비탈진 면에 형성해야 하므로 입지가 제약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10-0900348호에 지하에 형성된 저장터널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터널 내에 내벽과 이격된 터널모듈이 설치되며, 이 터널모듈 내부에 식품을 저장하므로, 내부 공간을 최대한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기술 중, 특허공개 10-2002-0072993호는 터널 내부에 적재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구조가 제시되어 있지 않고, 등록특허 10-0900348호는 적재물을 지하의 터널모듈 내부로 이송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자동화 설비가 사용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식품박스 등의 적재물을 운송하는 트럭 등의 차량이 터널 내부까지 진입을 하지 못하며, 지상의 터널 외측에 정차한 후에 화물을 차량에서 내리고 별도의 운송수단을 통해 지하의 터널까지 운송한 후에 자동화 설비를 이용하여 터널 모듈 내에 적재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적재물을 실은 트럭이 지하 터널내부로 진입하지 못하므로 적재물을 싣고 내리는 하역작업이 온도변화가 심한 지상에서 이루어져 제품의 숙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적재물을 지하의 터널까지 따로 운송해야 하므로 하역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온도변화의 폭이 적은 지하에 건설되어 보다 적은 비용으로 식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적재물을 차량에 하역하기 용이한 식품저장터널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이 지하로 진입되거나 지하로부터 진출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지표로부터 소정깊이 지하로 형성되는 진입부, 상기 진입부의 지하측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진입부로부터 진입한 차량이 정차되고 상기 차량에서 화물이 하역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역구역, 상기 하역구역으로부터 1개 또는 복수개 연장되어 이루어지며 식품이 보관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품저장터널이 제공된다.
상기 진입부는, 차량이 주행할 수 있도록, 지표면으로부터 상기 하역구역까지 경사지게 형성된 진입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진입부는, 지표면으로부터 상기 하역구역까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진입터널, 상기 진입터널 내를 왕복하며, 차량을 상기 지표면과 하역구역으로 승강시키는 승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저장소의 하역구역과 분기되는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소를 상기 하역구역과 구획시키는 구획도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역구역을 우회하여 상기 각 저장소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되는 서비스 터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 저장소는 서로 독립적인 온도와 습도조건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저장소의 내측면에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저장터널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저장소가 지하에 건설되므로 온도변화의 폭이 적어 발효 또는 보관에 적합한 최적의 온도로서 계절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 하면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하에 형성됨으로써 외부와의 열교환이 최소화 되므로 공기조화용량이 크게 필요치 않아 전력 사용량이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식품저장터널이 지하에 형성되므로, 토지 임대비 또는 매입비가 최소한으로 줄어들며 전력 사용량이 최소화 되어 건설비와 유지운용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지상 창고 형태의 식품저장창고는 물류운송의 용이성을 위해 고속도로의 진출입로 등 교통이 용이한 곳에 위치되어야 하나 일반적으로 그러한 장소의 토지는 가격이 비싸 공사비가 부담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식품저장터널은 토지매입비용이 최소화되므로, 토지 가격에 상관없이 부지선정이 자유롭다.
넷째, 지하에 형성된 저장소의 입구에 트럭 등의 차량이 정차하여 적재물을 하역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역구역 및 지상으로부터 상기 하역구역까지 트 럭 등의 차량이 진입할 수 있는 진입부가 형성되므로, 적재물의 하역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터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부(110)와 하역구역(120) 및 저장소(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진입부(110)는 차량이 지하로 진입되거나 지하로부터 진출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지상으로부터 소정깊이 지하로 후술하는 하역구역(120)까지 형성된다. 상기 진입부(110)의 지표를 향하는 측에는 비바람이 들이치는 것을 막기 위한 쉘터(11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차량이란, 공공도로를 주행하는 운송기계, 즉, 예를 들어 트럭 등의 자동차를 통틀어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한 진입부(110)는 여러 가지 형태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이 자력주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 폭 이상의 경사진 형태의 진입로(112)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역구역(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입로(112)의 지하측 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진입로(112)를 통해 진입한 차량이 정차하여 적재하고 있던 식품 등의 화물을 하역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화물을 하역하기 위해서 필요한 공간은 주행에 필요한 공간보다 더 크므로, 상기 하역구역(120)은 차량의 정차 및 하역작업의 용이를 위하여 다른 구역에 비해서 비교적 큰 공간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저장소(13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이 보관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하역구역(120)으로부터 복수개가 터널형태로 굴착 연장되어 형성되며, 끝단은 막힌 상태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저장소(130)들은 상기 하역구역(120)으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장소(130)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태로 형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저장소(130)의 내부의 막힌 끝단 부분에는 공기조화장치(134)가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공기조화장치(134)는 상기 저장소 내부의 어느 곳이던지 설치가 가능하며, 출입 및 물품의 적재에 지장을 주지 않는 위치에 설치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저장소(130)의 내벽측에는 단열을 위한 단열재(136)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레탄(136) 수지가 피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다른 재질의 단열재도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저장소(130)의 하역구역(120)과 연통되는 부분에는 저장소(130) 내부공간을 상기 하역구역(120)과 구획하는 구획도어(13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도어(132)는 여닫음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저장소(130)에 물건을 넣거나 뺄 일이 있을 때에는 열어서 개방하며, 평소에는 닫아서 저장소(130) 내부의 공기가 외부와 섞여 열 교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저장소(130)들이 하역구역(120)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각 저장소(130)의 입구부분은 인근 저장소와의 간격이 좁을 수 있다. 이렇게 저장소(130)간의 간격이 좁은 경우 그 사이를 지지하는 부분의 간격이 좁아 강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저장소(130)의 사이에 강도보강을 위한 가변보강부(13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변보강부(13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소(130)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가변보강부(138)는 콘크리트 등이 프리캐스트나 숏크리트 공법 등으로 타설되어 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보강부(138)는 상기 저장소(130)간의 간격이 넓어질수록 그 폭이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저장소(130)는 내부 온도 및 습도 등의 환경이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저장소(130) 중 어느 하나의 저장소(130)가 섭씨 5도로 제어되고, 다른 저장소(130)는 섭씨 10도로 제어되는 등 다양하게 제어될 수 있어 해당 식품의 보관 또는 발효에 적합한 온도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소(130)에는 유지보수나 비상시 이동의 목적으로 상기 하역 구역(120)을 우회하면서 상기 각 저장소(130)를 연통시키는 서비스 터널(1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서비스 터널(140)을 통하여 저장소(130)간 물류의 이동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저장소(130)에는 환기덕트(150)가 지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필요시 환기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식품저장터널이 설치된 인근의 지표면에는 태양광 발전장치를 설치하여 공조 및 환기와 조명에 소요되는 전기를 충당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지하에 건설된 저장소(130)는 대기와 단절되므로, 계절의 영향이 최소화 되며, 외부와 열교환이 최소화 될 수 있어, 공기조화장치의 가동이 최소화 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필요한 전력 사용량이 지상에 설치된 창고에 비하여 적다.
따라서, 보관할 식품이 적재된 트럭이 상기 진입로(112)를 통해 하역구역(120)까지 내려간 후 보관할 식품을 하역하고, 지게차나 별도의 적재수단을 통해 해당 저장소(130)에 넣거나 뺄 수 있는 것이다. 트럭 등의 차량이 지하까지 내려갈 수 있어 저장소(130)에 가장 인접한 곳까지 트럭으로 직접 운송이 가능하므로 하역작업이 보다 수월하며, 지상에 별도의 하역을 위한 토지를 마련하지 않아도 되므로 토지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터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진입부(110)는 경사지게 형성된 진입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터널의 진입부(210)는 진입터널(212)과, 상 기 진입터널(212)을 왕복하는 승강기(2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진입터널(212)은 지표면으로부터 지하의 소정깊이에 형성된 하역구역(120)까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진입터널(212)은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제시한다. 그러나 반드시 상기 진입터널(212)이 수직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승강기(214)는 상기 진입터널(212) 내부를 왕복하며, 차량이 올려져, 차량을 승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현편, 상기 승강기(214)의 승강길이가 길어질수록 모터나 관련 부품들에게 부담이 증가하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입터널(222)를 다단으로 절곡되게 형성하고, 상기 진입터널(222)의 수직한 구역마다 제1승강기(224) 내지 제2승강기(226)와 제3승강기(228)를 배치하여 차량을 승강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승강기가 다단으로 형성되면, 하나의 승강기에 주어지는 부담이 줄어들며, 그에 따라 정비도 간단해 질 수 있다.
그리고, 다른 구성요소인 하역구역(120) 및 저장소(130)나 서비스 터널(140) 등은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식품저장터널은 대략 원형의 하역구역에 저장소가 방사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는 상기 식품저장터널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터널은 진입부(310)와 하역구역(320) 및 저장소(3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진입부(310)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식품저장터널과 유사하게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또는 승강기가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역구역(320)은 상기 진입부(310)의 지하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진입부(310)를 통해 진입한 차량이 정차하여 적재하고 있던 식품 등의 화물을 하역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며, 일측으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저장소(330)는 식품을 저장하는 공간을 이루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하역구역(320)의 어느 한 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역구역(320)의 저장소(330)가 형성된 어느 한 면의 마주보는 면에도 상기 저장소(33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소(330)는 상기 하역구역(320)을 중앙에 통로로 두고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 외 다른 구성요소들은 전술한 실시예의 식품저장터널과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갈음하기로 한다.
한편, 고속도로(400)의 인터체인지(410)나 진출입로 등의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도로 자체가 고저차를 가지며 큰 원호를 이루면서 굽어지도록 형성되는데, 그 굽어진 도로의 안쪽 부분은 조경 등만 이루어지고 특별한 용도가 없이 비어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부분에 상기 진입부를 설치하고 그 지하에 하역구역(120) 및 저장소(130)를 건설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진입부(110)에는 일반 도로 또는 고속도로와 연결되는 진출입로(420)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속도로(400)의 인터체인지나 진출입로 부근에 설치된다면 교통 접근성이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대형 운동장의 지하 등의 공공용지나 산 또는 골프장 등의 지하에 건설될 수 있어, 적은 비용으로 토지이용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품저장터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장소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저장소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4는 도 1의 저장소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도 1의 식품저장터널의 하역구역과 저장소의 분기점 부분에 가변보강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식품저장터널의 진입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식품저장터널의 진입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식품저장터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식품저장터널이 고속도로의 인터체인지 부근에 설치된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0: 진입부 112: 진입로
114: 쉘터 120: 하역구역
130: 저장소 132: 구획도어
134: 공기조화장치 136: 단열재
140: 서비스 터널 150: 환기덕트
210: 진입부 212: 진입터널
214: 승강기 400: 고속도로
410: 인터체인지

Claims (11)

  1. 차량이 지하로 진입되거나 지하로부터 진출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지표로부터 소정깊이 지하로 형성되는 진입부;
    상기 진입부의 지하측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진입부로부터 진입한 차량이 정차되고 상기 차량에서 화물이 하역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역구역;
    상기 하역구역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며 식품이 보관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저장소; 및
    상기 저장소와 저장소 사이를 보강하도록 상기 저장소와 저장소 사이에 설치되며, 저장소와 저장소 사이가 넓어질 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설치되는 가변보강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품저장터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역구역은 소정길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저장소는 상기 하역구역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일측과 이에 대향하는 맞은편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저장터널.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부는,
    차량이 주행할 수 있도록, 지표면으로부터 상기 하역구역까지 경사지게 형성된 진입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저장터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부는,
    지표면으로부터 상기 하역구역까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진입터널;
    상기 진입터널 내를 왕복하며, 차량을 상기 지표면과 하역구역으로 승강시키는 승강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저장터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저장터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저장소의 하역구역과 분기되는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소를 상기 하역구역과 구획시키는 구획도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저장터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역구역을 우회하여 상기 각 저장소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되는 서비스 터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저장터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저장소는 서로 독립적인 온도와 습도조건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저장터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단열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저장터널.
KR1020090123032A 2009-12-11 2009-12-11 식품저장터널 KR101157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032A KR101157445B1 (ko) 2009-12-11 2009-12-11 식품저장터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032A KR101157445B1 (ko) 2009-12-11 2009-12-11 식품저장터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396A KR20110066396A (ko) 2011-06-17
KR101157445B1 true KR101157445B1 (ko) 2012-06-22

Family

ID=44399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032A KR101157445B1 (ko) 2009-12-11 2009-12-11 식품저장터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4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965Y1 (ko) * 2000-10-14 2001-03-15 윤영근 곡물 저장고
KR100900348B1 (ko) * 2008-09-19 2009-06-02 (주)평화엔지니어링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965Y1 (ko) * 2000-10-14 2001-03-15 윤영근 곡물 저장고
KR100900348B1 (ko) * 2008-09-19 2009-06-02 (주)평화엔지니어링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396A (ko) 201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02643B (zh) 一种高密度自动立体仓储系统
US8997407B2 (en) Container depot
JP2019530610A (ja) 都市環境における物品の流通のための地下流通システム
KR20130062988A (ko) 컨테이너 및 자동차 운반 냉동선 및 수송 구동 유닛
US20190161277A1 (en) Logistical system and process
US4599871A (en) Storage plant
CN106005785A (zh) 低调冷藏运输单元
KR101157445B1 (ko) 식품저장터널
KR102175872B1 (ko) 스마트 컨테이너 시스템
WO2011003414A1 (en) A logistic container, such as a shipping container, and a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it
CN212767909U (zh) 一种四向车立库区跨建筑打通装置
EP3872005B1 (en) Layered warehouse assembly
KR102540643B1 (ko) 높이 조절 및 냉기의 기밀유지가 가능한 탑차의 적재함 구조
CN216406326U (zh) 一种带缓存区的双托盘式立体停车库
RU2260100C1 (ru) Многоярусная стоянка (варианты)
JP2005187201A (ja) 倉庫型冷蔵庫
JP4096587B2 (ja) 低温貯蔵施設
CN213574222U (zh) 一种井下料库结构和井下材料运输系统
AU2004200314B2 (en) Improved Freight Container
JP2006076684A (ja) 自動氷室収納庫
CN109132256A (zh) 多层集装箱设施
JP2023082883A (ja) 物品搬送システム
Fiske Design Considerations for Cold Storage Warehousing
CN212619572U (zh) 一种节能型冷藏库
KR100900348B1 (ko)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