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0348B1 -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 - Google Patents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0348B1
KR100900348B1 KR1020080092062A KR20080092062A KR100900348B1 KR 100900348 B1 KR100900348 B1 KR 100900348B1 KR 1020080092062 A KR1020080092062 A KR 1020080092062A KR 20080092062 A KR20080092062 A KR 20080092062A KR 100900348 B1 KR100900348 B1 KR 100900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low temperature
module
temperatur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로
임수빈
Original Assignee
(주)평화엔지니어링
임수빈
윤희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평화엔지니어링, 임수빈, 윤희로 filed Critical (주)평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80092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0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6Large containers for use under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기존의 ‘지상 건물형 저온저장 창고’를 ‘지중 터널형 저온저장 창고’방식으로 산지 등에 구현함으로써, 부지 구입비, 건축 공사비, 냉동 설비비 등을 절감시키고자 한다.
예컨대, 산지에 터널형 저온저장 창고를 구현함으로써, 터널의 항온 15℃ 유지 특성과 동절기의 낮은 외기 활용이 가능하고, 최적의 저온 유지 공간 확보도 가능하며, 또한, 무인 자동의 입고, 저장 및 출고 설비를 갖추어 인건비 및 관리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은, 산지를 포함하는 지중에 형성되며 터널 내부에 설치되는 미리 구획된 공간 구조물인 저온 터널모듈; 상기 저온 터널모듈에 설치되어 저장물을 탑재하여 보관하는 랙을 포함하는 창고 설비; 상기 저온 터널모듈에 설치된 저온 설비; 흡 배기설비; 및 컨베이어시스템을 포함하는 이송 설비;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80092062
터널, 저온 저장, 터널 모듈, 랙, 컨베이어, 흡배기, 서비스 터널

Description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UNDERGROUND REFRIGERATING AND COOLING STORAGE TUNNEL USING REFRIGERATING AND COOLING TUNNEL MODULE}
본 발명은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저장물을 지상이 아닌 지중의 터널 내부에 보다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저온저장할 수 있는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에 대한 것이다.
대부분의 기존 저온저장 창고는 지상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창고 내에 수용된 저장물의 냉각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며, 일단 저장물이 적정 온도로 냉각된 후에도, 그 적정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을 들여 저온설비(냉각장치)를 작동시켜야만 하였다.
특히, 기온이 높이 올라가는 여름철을 기준으로 냉동 설비를 설치함으로써, 동절기에는 설비 가동률이 떨어지고, 하절기에는 외기와의 높은 온도 차이로 인하여 보다 많은 시간과 전력비가 지출되었으며, 대량의 저장물이 입고되는 경우에는 냉각 효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농산물 등을 저온 저장하는 경우, 적정 온도 및 적정 습도를 동시에 만족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별도의 가습기 등을 작동시켜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 시켜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2002-72993호(공개일: 2002년 09월 19일)에는 "터널고도차를 이용한 저온저장 창고"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저온저장 창고는, 상하로 굴착된 한 쌍의 터널 내부의 자연적인 공기순환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터널 내부에 수용된 청과물 등의 피수용물을 적정온도 및 적정 습도 하에서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저온저장창고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터널 고도차를 이용한 저온저장 창고가 설치된 터널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터널의 종단면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터널고도차를 이용한 저온저장 창고가 설치된 터널은, 고도차를 가지도록 상하로 굴착되어 있는 상부터널(10) 및 하부 터널(20); 상기 상하부터널(10, 2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통로(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터널(10, 20)의 입구에는 각각 개폐도어(11, 21)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통로(30)에는 공기 조절문(31)이 설치되어, 상기 개폐도어(11, 21) 및 공기 조절문(3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킴에 따라서 공기의 흐름을 조절한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의 천정을 가진 각각의 상하부 터널 내부에는, 바닥층(1), 상기 바닥층(1)의 터널 내벽 인접부에 마련된 배수로(2), 터널 상부에 설치되어 터널 외부에 위치된 공기조화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배출구(4)를 통하여 터널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덕트(3)가 설치되어 있으며, 터널 내벽 면에는 터널길이 전체에 걸쳐서 물받이 홈통(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바닥층(1) 위에는 좌우측으로 청과물 등의 피수용물이 담겨진 소정의 용기(6)가 놓이게 되며, 중앙의 빈 공간으로는 지게차나 소형트럭 등이 통행할 수 있도록 통로(7)가 형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상기 기술에 따른 터널고도차를 이용한 저온저장 창고는 터널에서의 자연적인 공기순환을 이용하는 자연형 저온저장 창고에 관한 것이라는 점에서 본 발명과 같이 지중의 터널 내에 별도의 저온저장 설비(저온 터널모듈, 저온설비)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과 대비하여 그 기본 구성을 달리함에 차이가 있다.
한편, 최근 타국과의 FTA 협정이 늘어나고 있고, 이에 따른 대외 개방으로 국내의 물동량이 큰 폭으로 증가되고 있다.
특히, 미국 소고기 수입 타결로 국내 저온저장 창고의 활용은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저온저장 창고업은 고부가 가치 창출 물류산업이지만, 물류 수입 항만과 대도시 소비자와의 근거리에 위치해야 하므로 대지 보유 부담이 크고, 단열형 건물건설의 초기 투자비가 과다하며, 투자 회수가 장기화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이에 따라 저온저장 창고업은 사업 초기부터 총체적으로 개선된 사업 계획을 수립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초고유가 시대의 도래로 인한 전력비 상승과 자재비 상승 등으로 에너지 사용량이 많은 저온저장 창고업은 초기 건설 시부터 에너지 절감 대책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이미 폐광 및 천연동굴은 4℃ 내지 10℃ 정도의 항온 유지 특성을 활용하여 식품 저장에 사용된 예가 많다.
한편, 인공 터널은 주로 도로나 철도 등의 교통 원활화를 위한 시설물로 활용되어 왔으나, 저온저장을 위한 산업 시설물로는 활용된 예가 많지 않다.
국내에서는 10여 년 전에 정부의 비축정책 사업으로 "농산물 저온저장 창고"용의 터널을 산지에 건설하여 -25℃를 유지하기 위한 저온 설비를 터널 내에 직접 설치하여 운영한 경우가 있었으나, 터널 주변의 지하수와 지반 특성에 의해서 그 목적이 달성되지 못한 전례가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지상 건물형 저온저장 창고"를 "지중 터널형 저온저장 창고"로 산지 등의 지중에 구현함으로써, 부지 구입비, 건축비, 냉동 설비비, 에너지 비용과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예컨대 지중의 터널내의 항온 15°C 온도와 동절기의 낮은 외기 활용으로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무인 자동 입고, 저장 및 출고 설비와 같은 설비를 구비함으로써, 인건비 및 관리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은, 산지를 포함하는 지중에 형성되며 터널 내부에 설치되는 미리 구획된 공간 구조물인 저온 터널모듈; 상기 저온 터널모듈에 설치되어 저장물을 탑재하여 보관하는 랙을 포함하는 창고 설비; 및 상기 저온 터널모듈에 설치된 저온 설비;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터널(110)에는 내부 온도와 외기 온도의 차에 의하여 작동되는 흡배기 팬(170)과 흡배기 덕트(160)를 포함하는 흡배기 설비 및/또는 상기 저온 터널 모듈(120)에 상기 저장물을 반입 또는 반출시키되, 저장물의 동선을 최소화하고, 상기 물류의 이동시간을 단축하도록 컨베이어시스템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이송 설비(150);가 더 포함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흡배기 설비는 상기 터널의 내부 온도와 외기 온도의 차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운전되는 흡배기 팬과 흡배기 덕트를 통하여, 상기 터널과 상기 저온 터널모듈 사이에 형성된 공간(공기층)에 외기를 공급하도록 하였다.
예를 들면, 흡배기 덕트와 흡배기 팬 및 서비스 터널(터널과 저온 터널모듈 사이의 공간)을 포함해서 동절기에는 차가운 공기를 터널 외부로부터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가 터널 내부에서 온도가 상승되면 외부로 배출시키며, 이때 외부로부터 흡입된 차가운 공기는 터널 암반에 냉축 시켰다가 외부 온도가 상승될 시에 다시 냉열을 발산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터널은 아치형 터널로서 콘크리트 라이닝 없이 시공될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터널은 상기 물류(저장물)의 증가에 따라서 동일 타입의 터널을 단터널(Single Tunnel), 쌍터널(Double Tunnel) 및 이중 쌍터널의 순서로 단계별로 증설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창고 설비는 자동화 설비로 구축되는 일반 또는 자동창고 랙을 이용하되, 상기 랙은 3단 랙, 4단 랙, 5단 랙 또는 10단 랙과 같이 다단 랙으로 선택되며, 12 펠릿(Pallets), 20 펠릿, 40 펠릿, 60 펠릿 또는 80 펠릿과 같이 다단 펠릿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저온 터널모듈은 횡단 분리벽에 의해 횡단으로 분할되도록 하거나, 종단 분리벽에 의해 종단으로 분할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횡단 분리벽 및 종단 분리벽으로 동시에 횡단 및 종단으로 각각 분할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지상 “건물형 저온저장 창고”를 “터널형 저온저장 창고”로 산지에 구현함으로써, 부지 구입비, 건축비, 냉동 설비비, 에너지 비용 및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다.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을 구현함으로써, 터널과 저온 터널모듈에 의한 이중 터널방식에 의하여 일종의 이중 단열로 하절기에는 외부열을 차단하고, 동절기에는 외기를 터널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켜 터널 암반의 냉축열성으로 저온유지에 필요한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고,
또한, 저장물을 무인 자동화로 입고, 저장, 출고를 구현함으로써, 인건비 및 관리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따른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은, 터널 기술(토목)과, 창고 구조물 기술(건축), 물류 자동화 기술(IT), 저온설비 기술(냉장/냉동)을 복합시켜 개발한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100)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흡배기 설비(160,170)의 작용상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100)"은, 터널(110), 저온 터널모듈(120), 창고 설비(130), 저온 설비(140), 이송 설비(150)를 포함하며, 흡배기 설비인 흡배기 덕트(160), 흡배기 팬(환풍기,170) 및 서비스 터널(180)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터널(110)은 바람직하게는 산지에 막장을 형성시켜 지중(지하)에 형성되도록 한 것을 의미하지만, 자연적으로 형성된 지하 동굴 또는 폐광에 의한 지하터널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터널(110)에는 터널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여 형성시킨 서비스 터널(180)을 통하여 외기를 흡입 및 배출하는 흡배기 덕트(160)와 흡배기 팬인 환풍기(170)로 구성된 ‘지하 외기 냉장/냉동 시스템’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하 외기 냉장/냉동 시스템을 간단하게 흡배기 설비라 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터널(180)은 터널 형성 시 자연스럽게 상부공간으로 이루 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터널(110)은 직선형 터널 형태의 아치형 터널로 형성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산지 지반(200) 하부의 소정 깊이의 지하에 직선형으로 굴착 형성되도록 하되, 아치단면 형태로 형성시키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숏크리트와 록볼트로 보강 시공하도록 하여 경제적인 터널로 시공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취약부와 입구부의 보강은 별도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저온 터널모듈(120)은 상기 터널(110) 내부에 설치되며, 이때, 상기 터널(110) 및 상기 저온 터널모듈(120)은 마치 터널(110) 내부에 저장물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 구조물이 설치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저온 터널모듈(120)은 가장 간단하게는 지붕과 벽체로 이루어진 구조물로 볼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모듈이라고 표현한 것은 그 길이, 단면 형태, 배치, 형상을 저장물 보관과 이송 절차를 위해 미리 구조적으로 최적의 안정 상태로 설계된 계획된 공간 구조물을 그 용도 등에 따라 정해 놓고, 이를 터널 내부에 각각 적용하는 기능을 가진 구조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터널(110)이 지하에 일정한 단면으로 형성된 터널 구조물이라고 하면, 저온 저장을 위해서 저온 터널모듈(120)을 터널(110) 내부 바닥에 소정의 길이를 가진 구조물로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저온 터널모듈(120)은 그 길이, 형태 및 내부 구조에 있어 저장물의 저온 저장을 위한 공간 구조물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가장 간단하게는 단열된 건축 구조물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그 용도에 따라 얼마든지 그 형태 등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저온 터널모듈(120)은 모듈 방식이기 때문에, 터널(110)의 연장길이에 따라 서로 다른 온도, 설비 등을 가진 여러 모듈이 터널(1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종래 자연 터널의 내부 공간 자체를 이용하는 것과는 기본 개념 자체가 상이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저온 터널모듈(120)은 지중(지하)에 설치되기 때문에 지상과 같은 온도 변화, 바람 등의 외부적인 영향을 적게 받게 되므로 배수, 환기 등의 문제가 없다면 저온 저장을 위해서는 최적의 조건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예컨대 항온 15°C의 지하 암반으로 형성된 터널(110)과 -20°C ~ -40°C의 저온 터널모듈(120) 사이에 형성된 공간(공기층)(250)에 서비스 터널(180)에 설치된 내부 온도와 외기 온도의 차에 의하여 자동 운전되는 환풍기(170)와 흡배기 덕트(160)를 통하여 외기가 공급 및 차단되어 저온유지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중의 온도는 상온 15°C 이고, 외기 온도는 여름에는 36°C이며 겨울에는 -5°C이고, 연평균 온도는 약 12°C이다. 따라서 동절기에는 지중에 설치된 저온설비(냉장/냉동설비)가 외기 온도 측면에서는 이점이 없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여름에는 외기를 차단하여 지중 상온에 저장물을 노출시킴으로써 약 20°C의 에너지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겨울에는 외기를 유입시켜 터널 내부공간(250, 공기층)의 온도를 외기와 일치시킴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더불어 겨울에는 한랭한 공기가 상기 터널(110)에 유입됨으로 터널(110)을 이루고 있는 암반이 냉각되어 냉축열조의 역할을 함으로써, 이때 축열된 에너지를 동절기가 지난 후에도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온도의 변화는 아침과 저녁의 온도차, 즉, 일교차에 의하여 변화하므로 연중 그리고 일일 중에서 외기 온도가 내부 온도보다 낮을 때에는 흡배기 팬인 환풍기(170)가 가동하도록 장치함으로써 냉장, 냉동 에너지 절감과 냉축열을 동시에 진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터널모듈이 지하에 있을 경우, 외기 온도에 의한 에너지 절감뿐만이 아니라 태양의 직사광선에 의한 전도열, 지중의 복사열, 바람에 의한 환기열 등에서 차별화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약 50% 이상의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190은 방열 도어를 나타낸다.
상기 창고 설비(130)는 상기 저온 터널모듈(120) 내에 구비되어 물류인 저장물을 탑재하여 보관하며, 이때, 지하에는 바람이 불지 않기 때문에 자동창고 랙을 경제적으로 구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본 발명에 있어 창고 설비(130)를 저온 터널모듈(120)과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건축구조물 외벽과 지붕을 상기 창고 설비(130)인 랙과 일체로 형성시킬 경우, 외벽 및 지붕을 지지시키는 구조물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건설비를 줄이고 시공성이 매우 증진될 수 있다.
상기 저온 설비(140)는 도 4b와 같이 상기 저온 터널모듈(120) 내에서 상기 창고 설비(130) 상에 탑재 중인 상기 저장물이 냉장/냉동 보관될 수 있게 되며, 다양한 보관 용도의 제품을 동시에 보관할 수 있도록 통상 또는 용도에 따른 냉장/냉동 설비가 될 수 있고, 저온 터널모듈(120)에 따라 다양한 형태 등이 될 수도 있다.
이때, 저온이라는 의미는 영하의 온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온도 이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저온 설비는 냉장 설비 및/또는 냉동 설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온설비(140)는 하절기 및 동절기에 있어 흡배기 설비(160,170)과 더불어 보다 에너지 효율이 높은 방법으로 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하절기에는 흡배기 설비를 통해 외기를 차단하고 저온설비(냉장/냉동설비)를 작동시키고, 동절기에는 흡배기 설비를 통해 외기를 유입시키고 저온설비를 작동시키지 않는 방법으로 그 이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이송 설비(150)는 상기 저온 터널모듈(120)의 전단에 형성되며, 로딩 덱(151)과 이에 연결된 컨베이어시스템(152)를 통해 상기 저장물을 반입 또는 반출하는 물류시스템이라고 보면 된다.
이때, 상기 이송 설비(150)는 상기 저장 물류의 동선을 짧게하고, 상기 물류의 이동시간을 단축하도록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길이를 최소화하여 구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 한 저온저장 터널(100)에서, 물류 차량(300)으로부터 물류가 반입되며, 예를 들면, 로딩 덱(Loading Deck: 151)을 거친 저온물인 물류는 컨베이어 시스템(152, 이송 설비)을 통해서 저온 터널모듈(120) 내부의 창고 설비(130)에 보관된다.
터널(110)의 단면 형태로는 말굽형, 계란형, 아치형 등도 있지만, 예시에서는 필요 공간 확보와 시공성을 고려하여 아치 형태를 채택했다. 터널의 단면형태 결정시에는 지반 특성에 따른 터널 안정성 해석 후에 시공성 및 경제성을 평가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터널(110)은 기능성 터널로 구현되며, 공사 시에는 공사용 터널과 운전 시에는 공조 및 설비 통로로 활용하며, 화재 시에 피난 통로로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 터널(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터널(110)은 터널 시공 시의 발파 안정성을 확보하기위해서는 진동 저감 공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e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의 저온 터널모듈(120)의 종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저온터널의 창고설비(130)로서 랙은 3단 내지 10단 랙, 나아가 그 이상의 랙 설치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자동화를 위한 최적의 랙 설치개수는 적의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창고 설비(13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3단 12 펠릿(Pallets),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4단 20 펠릿,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은 5단 20 펠릿, 도 5d에 도시된바와 같은 10단 40 펠릿,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은 10단 60 펠릿 또는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은 10단 80 펠릿으로 적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3단 및 4단의 경우에는 수동으로, 그 이상의 경우(5단 이상)에는 저장물 반입 등에 있어 자동화설비가 이용될 수 있다.
즉, 지하 공간의 경제적 물류 시스템을 선정하기 위해서 3단 랙, 4단 랙. 5단 랙, 10단 랙 중에서 선택되는 자유 적재가 가능하며, 예를 들면,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10단 랙을 선택함으로써 창고 규모를 다양화할 수 있으며,
또한 도 5a 내지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랙은 12 펠릿, 20 펠릿, 40 펠릿, 60 펠릿 또는 80 펠릿으로 다양화함으로써, 다양한 규모의 물류에 대응할 수 있고, 다양한 산지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100)의 이송설비(150)로서 컨베이어 시스템이 놓이는 곳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의 컨베이어 시스템은, 물류의 동선을 최소화하고, 상기 물류의 이동시간을 단축하도록 상기 컨베이어시스템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구성하게 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을 시공하기 위한 터널 단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구등분할법에 의한 터널 공법으로 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이 이러 한 공법 이외의 다른 공법으로 시공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때, 터널의 연장 길이는 저온 창고의 시공, 관리 등에 있어 효율적인 길이를 가지도록 정하면 될 것이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의 증설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은, 물류의 보관량에 대응하여 동일 타입의 터널이 단계별 증설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저온 터널모듈은 단터널, 쌍터널 및 이중 쌍터널의 순서로 단계별로 증설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터널을 형성한 후, 후속적으로 쌍터널로 증설하고, 이후, 이중 쌍터널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 터널모듈(120)의 분할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 터널모듈(120)은, 종단 분리벽에 의해 종단으로 모듈별로 분할되거나, 횡단 분리벽에 의해 횡단으로 모듈별로 분할되거나, 또는 횡단 분리벽 및 종단 분리벽에 의해 횡단 및 종단으로 모듈별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온 터널모듈(120)은 종단 분리벽(121)에 의해 종단으로 모듈별로 분할되거나,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 분리벽(122)에 의해 횡단으로 모듈별로 분할되거나, 또는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 분리벽(121) 및 횡단 분리벽(122)에 의해 종단 및 횡단으로 모듈 별로 분할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의 따른 터널형 저온창고는, 기존의 항온 15℃의 지상의 건물형 저온 창고에 비해서 외부 대기(35℃~ -20℃)를 차단하거나 또는 이를 활용함으로써, 단열설비, 냉장/냉동 설비의 건설비 및 유지관리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외부의 태풍, 적설 등의 재해 방지를 위한 보강 시설비를 절감할 수 있다.
특히, 대규모 저온저장 창고가 필요할 때, 지상에 비해 대지 면적의 제한을 받지 않고 경쟁력 있는 창고를 건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터널고도차를 이용한 저온저장 창고가 설치된 터널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터널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배기 설비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저장 터널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저장 터널의 저온 터널모듈의 종단면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저장 터널의 이송설비로서 컨베이어 시스템이 놓이는 곳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을 시공하기 위한 터널 단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의 증설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 터널모듈의 분할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
110: 터널
120: 저온 터널모듈 130: 창고 설비
140: 저온 설비 150: 이송 설비
160: 흡배기 덕트 170: 흡배기 팬
180: 서비스 터널 190: 방열 도어
200: 지반 250: 공간(공기층)

Claims (7)

  1. 산지를 포함하는 지중에 형성된 터널(110) 내부에 설치되며 미리 구획된 공간 구조물인 저온 터널모듈(120);
    상기 저온 터널모듈(120)에 설치되어 저장물을 탑재하여 보관하는 랙을 포함하는 창고 설비(130); 및
    상기 저온 터널모듈(120)에 설치된 저온 설비(냉장/냉동, 140);를 포함하되,
    상기 터널(110)에는 내부 온도와 외기 온도의 차에 의하여 작동되는 흡배기 팬(170)과 흡배기 덕트(160)를 포함하는 흡배기 설비가 터널과 외부를 연결하는 서비스 터널(180)과 함께 더 포함되어, 상기 터널(110)과 상기 저온 터널모듈(120) 사이에 형성된 공간(공기층)(250)에 외기가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한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터널모듈(120)에 상기 저장물을 반입 또는 반출시키되, 저장물의 동선을 최소화하고, 상기 물류의 이동시간을 단축하도록 컨베이어시스템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이송 설비(150);를 더 포함하는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110)은 아치형 터널로서 콘크리트 라이닝 없이 숏크리트와 록볼트 보강만으로 시공되도록 하는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110)은 상기 저장물의 보관량에 대응하여 동일 타입의 터널이 단계별 증설되며, 단터널, 쌍터널 및 이중 쌍터널의 순서로 단계별 증설되도록 할 수 있는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
  6. 제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창고설비(130)는 일반 창고 또는 자동화설비의 자동 창고로서 3단 랙 내지 10단 랙으로서 다단 랙으로 설치되며, 적어도 12 펠릿(Pallets)내지 80 펠릿으로서 다단 펠릿으로 적재될 수 있는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
  7. 제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터널모듈(120)은 횡단 분리벽에 의해 횡단으로 분할되도록 하거나 종단 분리벽에 의해 종단으로 분할되도록 하거나, 상기 횡단 분리벽 및 종단 분리벽에 의해 횡단 및 종단으로 각각 분할될 수 있도록 하는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
KR1020080092062A 2008-09-19 2008-09-19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 KR100900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062A KR100900348B1 (ko) 2008-09-19 2008-09-19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062A KR100900348B1 (ko) 2008-09-19 2008-09-19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0348B1 true KR100900348B1 (ko) 2009-06-02

Family

ID=40982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062A KR100900348B1 (ko) 2008-09-19 2008-09-19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03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445B1 (ko) * 2009-12-11 2012-06-22 (주)한국투아치 식품저장터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7238U (ko) 1974-11-21 1976-05-27
KR830003701A (ko) * 1979-08-06 1983-06-22 레온 씨·홀트주니어 저온냉동장치
KR100291676B1 (ko) 1998-07-23 2001-06-01 김도진 저온 저장창고
KR100336922B1 (ko) * 1999-08-04 2002-05-16 문동신 농수축산물용 지하저장시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7238U (ko) 1974-11-21 1976-05-27
KR830003701A (ko) * 1979-08-06 1983-06-22 레온 씨·홀트주니어 저온냉동장치
KR100291676B1 (ko) 1998-07-23 2001-06-01 김도진 저온 저장창고
KR100336922B1 (ko) * 1999-08-04 2002-05-16 문동신 농수축산물용 지하저장시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445B1 (ko) * 2009-12-11 2012-06-22 (주)한국투아치 식품저장터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27586A (zh) 室外机及制冷装置
CN100554829C (zh) 静音制冰装置
CN112943370A (zh) 一种利用关闭/废弃矿井建设植物种子库方式
CN101156628A (zh) 低温储粮方法及系统
KR100900348B1 (ko)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
FI78346C (fi) Lagringsanlaeggning.
US9784458B2 (en) Thermal gradient fluid header for multiple heating and cooling systems
US4258697A (en) Pneumatic collection, storage and transfer of solar heat
CN213421562U (zh) 一种两用冷库
CN106288601A (zh) 一种风道送风型节能冷库
CN108534441A (zh) 冷站箱及冷站
RU66149U1 (ru) Хранилище дл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й продукции
WO2010027227A2 (ko) 자연을 이용한 빙고와 저장고
CN113152503A (zh) 一种集成储能系统
JP4096587B2 (ja) 低温貯蔵施設
Rao et al. Planning of Ventilation Requirements for Deep Mechanised Long Wall Faces–A Case Study of Adriyala Longwall Project of The Singareni Collieries Company Limited (SCCL)
JP6014696B2 (ja) 外壁側外気流通蓄熱層を備えた建物内換気システム
CN218336890U (zh) 一种全气候装配式冷冻站
CN86108168A (zh) 果蔬水冷贮藏保鲜法及其保鲜库
JPS61153360A (ja) 氷蓄熱式岩盤内低温貯蔵庫
CN117280947A (zh) 一种冰窖蓄冷粮仓外环流控制粮仓温度的方法及系统
Bluhm, SJ & Whillier The design of spray chambers for bulk cooling of the air in mines
CN217764057U (zh) 一种自动化高架冷库分置式空调系统
KR101096127B1 (ko) 에너지 절감을 위한 지하저장고의 배치시스템 및 그의 최적화 운영방법
Neale et al. An experimental cold store for vegeta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