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743B1 - 니트릴계 고무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니트릴계 고무 및 상기 고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 Google Patents

니트릴계 고무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니트릴계 고무 및 상기 고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743B1
KR102536743B1 KR1020200126181A KR20200126181A KR102536743B1 KR 102536743 B1 KR102536743 B1 KR 102536743B1 KR 1020200126181 A KR1020200126181 A KR 1020200126181A KR 20200126181 A KR20200126181 A KR 20200126181A KR 102536743 B1 KR102536743 B1 KR 102536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trile
emulsifier
rubber
based rubb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3443A (ko
Inventor
이재민
김병윤
손성민
이세은
최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US17/422,25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089801A1/en
Priority to PCT/KR2020/013720 priority patent/WO2021071273A1/ko
Priority to CN202080008786.5A priority patent/CN113272342B/zh
Priority to EP20874984.6A priority patent/EP3892656B1/en
Priority to JP2021539444A priority patent/JP7299987B2/ja
Publication of KR20210043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7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08F2/24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 C08F2/26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anio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236/1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with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CTREATMENT OR 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S
    • C08C1/00Treatment of rubber latex
    • C08C1/14Coag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08F2/24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8Polymerisation using regulators, e.g. chain terminating agents, e.g. telo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C08F6/14Treatment of polymer emulsions
    • C08F6/18Increasing the size of the dispersed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2Copolymers with acrylonitri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6Optimisation of rolling resistance, e.g. weight redu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류 유화제 함량이 적고,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니트릴계 고무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니트릴계 고무 및 상기 니트릴계 고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니트릴계 고무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니트릴계 고무 및 상기 고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METHOD FOR PREPARING NITRILE BASED RUBBER, NITRILE BASED RUBBER PRODUCED BY THE METHOD AND RUBBER COMPOSITION COMPRISING THE RUBBER}
본 발명은 잔류 유화제 함량이 적고,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니트릴계 고무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니트릴계 고무 및 상기 니트릴계 고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니트릴계 고무는 아크릴로니트릴(ACN)과 같은 α,β-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와 부타디엔과 같은 공액디엔계 단량체를 공중합시켜 제조된 고분자로, α,β-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를 포함함으로써 내유성이 우수한 특성이 있다.
또한, 니트릴계 고무는 고무 내 포함된 α,β-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의 함량에 따라 가황 물성이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α,β-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로 아크릴로니트릴을 사용한 경우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이 증가하면 탄화수소 연료와 석유계 유체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하고, 내열성, 내오존성, 내마모성, 인장강도, 경도 및 밀도는 증가하나, 저온유연성, 반발탄성 및 가스투과성은 감소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니트릴계 고무는 α,β-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의 함량이 18~20 중량%인 저니트릴 고무, 28~29 중량%인 중저니트릴 고무, 33~34 중량%인 중니트릴계 고무, 38~39 중량%인 고니트릴계 고무 및 45~48 중량%인 초고니트릴계 고무로 분류되며, 일반적으로 고니트릴계 고무와 초고니트릴계 고무는 가솔린과 같이 방향족 함량이 높은 탄화수소에 대한 저항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사용되고, 중니트릴계 고무는 고무 제품의 팽윤이 문제되지 않거나, 방향족 함량에 낮은 오일에 사용되며, 중저니트릴계 고무와 저니트릴계 고무는 파라핀오일이나 폴리알파올레핀과 같이 팽윤효과가 미미한 액체 또는 내한성(low temperature resistance)과 같은 저온특성이 요구되는 발포보온재 및 호스 등의 제조에 주로 사용된다.
한편, 이러한 니트릴계 고무는 일반적으로 5~15℃의 저온에서 탄소수 12 내지 18의 모노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지방산 또는 로진(rosin)을 유화제로 사용하여 유화중합하여 제조되는데, 이러한 유화제의 경우, 비교적 과량으로 투입될 뿐만 아니라 대부분이 니트릴계 고무 내 불순물로서 잔류하게 되고 이에 유화중합으로 제조된 니트릴계 고무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고 유리전이온도 범위가 넓어지는 문제가 발생되며, 이로 인해 니트릴계 고무의 적용분야가 한정되고 가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중합이후 대부분의 유화제가 제거되어 잔류 유화제의 함량이 적고, 이에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니트릴계 고무의 제조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2018-0075394 A (2018. 07. 04.)
본 발명은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잔류 유화제 함량이 적고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니트릴계 고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잔류 유화제 함량이 적은 니트릴계 고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니트릴계 고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화제 혼합물 존재 하에, α,β-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 및 공액 디엔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는 단계(S1)를 포함하고, 상기 유화제 혼합물이 설포숙시네이트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유화제 및 모노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2 내지 18의 지방산 또는 로진산을 포함하는 제2 유화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유화제와 제2 유화제를 2:1 내지 6: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니트릴계 고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고, 잔류 유화제 함량이 1.2 중량% 이하이며, 상기 유화제는 설포숙시네이트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모노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2 내지 18의 지방산 또는 로진산인 것인 니트릴계 고무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니트릴계 고무를 포함하는 니트릴계 고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감소된 유화제 사용량으로 유화중합이 용이하게 수행되면서, 유화제로부터 유래된 불순물의 함량이 감소되어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니트릴계 고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니트릴계 고무는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어 잔류 유화제 함량이 극소량일 수 있고, 이에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잔류 유화제의 함량이 적어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니트릴계 고무를 제조할 수 있는 니트릴계 고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니트릴계 고무의 제조방법은 유화제 혼합물 존재 하에, α,β-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 및 공액 디엔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는 단계(S1)를 포함하고, 상기 유화제 혼합물이 설포숙시네이트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유화제 및 모노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2 내지 18의 지방산 또는 로진산을 포함하는 제2 유화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유화제와 제2 유화제를 2:1 내지 6: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니트릴계 고무는 모노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2 내지 18의 지방산 또는 로진산과 같은 유화제를 사용하여 유화중합을 통해서 제조되는데, 이때 순조로운 유화중합을 위하여 단량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3 중량부의 유화제를 사용하며, 상기와 같은 유화제는 중합이후 응집 등 후처리과정에서 제거되지 않고 대부분이 니트릴계 고무 내 불순물로 잔류하게 되고, 이에 니트릴계 고무의 기계적 물성, 가황 물성 등 특성을 저하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유화제로 설포숙시네이트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유화제 및 모노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2 내지 18의 지방산 또는 로진산을 포함하는 제2 유화제를 특정비율로 혼합한 유화제 혼합물을 사용함으로써 통상의 유화제 사용량 보다 감소된 사용량으로 충분히 순조로운 유화중합을 이룰뿐 아니라 후처리과정에서 대부분 제거되어 잔류 유화제 함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기계적 물성 및 가황물성이 우수한 잔류 유화제 함량이 적은 니트릴계 고무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S1) 단계는 α,β-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 및 공액 디엔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니트릴계 고무를 제조하는 단계로, 설포숙시네이트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유화제 및 모노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2 내지 18의 지방산 또는 로진산을 포함하는 제2 유화제를 포함하는 유화제 혼합물 존재 하에 α,β-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 및 공액 디엔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유화중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화제 혼합물은 제1 유화제와 제2 유화제는 2:1 내지 6:1의 중량비, 구체적으로는 4:1 내지 6: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유화중합이 순조롭게 이루어지면서 니트릴계 고무 내 잔류하여 불순물로 작용하는 잔류 유화제의 함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유화제 혼합물 내 제1 유화제의 비율이 증가하면 제조된 니트릴계 고무 내 잔류 유화제 함량인 더욱 감소될 수 있으나 유화중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전환율이 저하되거나 유화 성능이 저하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따라서 유화제 혼합물 적용시 상기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또한, 상기 유화제 혼합물은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1.5 중량부, 구체적으로, 또는 1.0 내지 1.3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순조로운 유화중합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 제조된 니트릴계 고무 내 잔류 유화제 함량이 극소량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화제 혼합물의 사용량이 1.5 중량부 이하인 경우 잔류 유화제의 양을 최소로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제반 기계적 물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중합 생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포숙시네이트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유화제는 상기 설포숙시네이트 에스테르계 화합물 자체이거나, 상기 용매에 설포숙시네이트 에스테르계 화합물이 용해되어 있는 용액일 수 있다.
상기 설포숙시네이트 에스테르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알칼리 금속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03434629-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 및 R'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에서, R 및 R'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3 내지 10의 알킬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포숙시네이트 에스테르계 화합물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알칼리 금속염일 수 있고, 여기에서 상기 알칼리 금속은 나트륨일 수 있으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설포숙시네이트 에스테르계 화합물은 디헥실 설포숙시네이트 나트륨염(dihexyl sulfosuccinate sodium salt)일 수 있다.
상기 유화제 혼합물에 상기 설포숙시네이트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중합 이후 응집 및 건조의 후처리 과정에서 고무 내 잔류하는 유화제의 함량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고, 적은 양의 유화제 혼합물을 투입하더라도 유화 특성이 우수하여, 가류 특성 및 기계적 특성이 현저히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모노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2 내지 18의 지방산 또는 로진산을 포함하는 제2 유화제는 상기 지방산 또는 로진산 자체이거나, 또는 이들의 금속염의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에 지방산 또는 로진산이 용해되어 있는 용액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α,β-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 및 공액디엔계 단량체를 15:85 내지 45:55의 중량비, 구체적으로는 18:82 내지 45:55, 또는 18:82 내지 35:65일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유연성, 내유성 및 인장강도가 우수한 니트릴계 고무가 제조될 수 있다.
상기 α,β-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α-클로로니트릴 및 α-시아노에틸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아크릴로니트릴일 수 있다.
상기 공액디엔계 단량체는 1,3-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2-에틸-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및 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3-부타디엔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유화중합은 중합 개시제를 더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중합 개시제는 라디칼 개시제로 무기 과산화물, 유기 과산화물 및 질소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잇다.
상기 무기 과산화물은 과황산나트륨,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과인산칼륨 및 과산화수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과황산암모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과산화물은 디-이소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t-부틸 퍼옥사이드, 큐멘 하이드로퍼옥사이드, p-멘탄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디-t-부틸 퍼옥사이드, t-부틸쿠밀 퍼옥사이드, 아세틸 퍼옥사이드, 이소부틸 퍼옥사이드, 옥타노일 퍼옥사이드,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3,5,5-트리메틸헥산올 퍼옥사이드 및 t-부틸 퍼옥시 이소부틸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p-멘탄 하이드로퍼옥사이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질소계 화합물은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아조비스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및 아조비스 이소부티르산 메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일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중량부 내지 2 중량부, 또는 0.03 중량부 내지 1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중합도를 조절하여 적절한 점도와 우수한 점탄성 특성을 가지는 니트릴계 고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은 5℃ 내지 90℃, 또는 5℃ 내지 50℃의 온도범위에서 수행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분자량 조절제, 킬레이트제, 산화-환원제, 분산제, pH 조절제, 탈산소제, 노화방지제 및 산소포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첨가제를 더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S1) 단계의 중합 이후 응집 및 건조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중합으로 제조된 니트릴계 고무는 니트릴계 고무 라텍스 상태일 수 있고, 상기 응집은 상기 니트릴계 고무 라텍스를 응집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라텍스에 무기염 수용액을 처리하여 염응집하고 니트릴계 고무 라텍스 응집물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염응집은 상기 니트릴계 고무 라텍스로부터 불순물(잔류 유화제 등)을 제거하고 니트릴계 고무 라텍스 응집물을 수득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나, 예컨대 무기염 수용액을 50℃ 내지 70℃로 가열한 후, 상기 니트릴계 고무 라텍스를 첨가하고 10분 내지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기염 수용액은 무기염에 증류수를 혼합한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pH 2 내지 11일 수 있으며, 상기 무기염은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염화망간, 염화칼슘, 황산마그네슘 및 황산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염화칼슘일 수 있다.
상기 건조는 상기 응집으로 제조된 니트릴계 고무 라텍스 응집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니트릴계 고무 분체를 얻기 위한 것으로, 80℃ 내지 130℃, 또는 80℃ 내지 110℃의 열을 가하여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범위 내에서, 열변형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잔존하는 수분양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니트릴계 고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니트릴계 고무는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어, 잔류 유화제 함량이 1.2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상기 잔류 유화제는 설포숙시네이트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모노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2 내지 18의 지방산 또는 로진산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잔류 물질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니트릴계 고무는 단량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3 중량부의 유화제를 사용한 유화중합으로 제조되고, 이에 제조된 니트릴계 고무 내에는 상기 사용된 유화제 전량이 불순물로 존재하여 고무 내 잔류 유화제 함량이 2 중량%를 초과하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니트릴계 고무는 전술한 바와 같은 유화제 혼합물을 사용한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됨으로써 고무 내 잔류하는 유화제 함량이 현저히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니트릴계 고무를 포함하는 니트릴계 고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니트릴계 고무 조성물은 원료고무로 상기의 니트릴계 고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가황제, 가황촉진제, 분산제, 보강성 충진제 및 용해 촉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황제는 분말 황, 승화 황, 침강 황, 표면 처리 황, 불용성 황, 염화황, 이염화황, 모르폴린 디설파이드, 알킬페놀디설파이드, N,N'-디티로-비스(헥사하이드로-2H-아제피논) 및 폴리설파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가황촉진제는 산화아연, N-tert-부틸-2-벤조티아졸술펜아미드(TBBS) 및 테트라메틸티우람 모노설파이트(TMTM)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스테아르산, 올레인산, 팔미트산 및 (무수)말레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보강성 충진제는 카본블랙, 실리카, 석회석, 마이카, 클레이 및 벤토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용해 촉진제는 디(2-에틸헥실)아디페이트,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 및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있어서, 상기 니트릴계 고무를 포함하는 니트릴계 고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할 수 있고, 예컨대 상기 고무 조성물을 145℃에서 45분간 가류한 후, ASTM D412에 준하여 측정한 인장강도가 210 kg·f/cm2 내지 230 kg·f/cm2이고, 신율이 390% 내지 500%이며, 300% 모듈러스가 135 kg·f/cm2 내지 140 kg·f/cm2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들 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반응기에 중합 개시제로 p-멘탄 하이드로퍼옥사이드 0.04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28 중량부, 1,3-부타디엔 72 중량부, 분자량 조절제로 t-도데실 머캅탄 0.5 중량부, 물 190 중량부 및 유화제 혼합물 1.2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이때, 상기 유화제 혼합물은 디헥실 설포숙시네이트 나트륨염(CYTEC, MA80)과 올레인산 칼륨염(엘지 생활건강, Elofad TL070)를 5:1의 중량부로 혼합한 것이었다. 이어서, 10℃에서 중합반응을 개시하고, 8시간 동안 중합시킨 후 중합을 종료하여 니트릴계 고무 라텍스를 제조하였다.
이후, 제조된 니트릴계 고무 라텍스와 염화칼슘 수용액 내 염화칼슘이 100:2의 중량비가 되도록, 염화칼슘 수용액을 상기 라텍스에 첨가하고 65℃에서 가열하여 응집을 진행하여 니트릴 고무 라텍스 응집물을 제조하고, 100℃ 오븐에서 건조하여 니트릴계 고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유화제 혼합물로 디헥실 설포숙시네이트 나트륨염(CYTEC, MA80)과 올레인산 칼륨염(엘지 생활건강, Elofad TL070)를 2:1의 중량부로 혼합한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니트릴계 고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유화제 혼합물로 디헥실 설포숙시네이트 나트륨염(CYTEC, MA80)과 올레인산 칼륨염(엘지 생활건강, Elofad TL070)를 6:1의 중량부로 혼합한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니트릴계 고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유화제 혼합물로 디옥틸 설포숙시네이트 나트륨염(Merck, 577-11-7)과 올레인산 칼륨염(엘지 생활건강, Elofad TL070)를 5:1의 중량부로 혼합한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니트릴계 고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유화제 혼합물로 디부틸 설포숙시네이트 나트륨염(Merck, 5144-51-4)과 올레인산 칼륨염(엘지 생활건강, Elofad TL070)를 5:1의 중량부로 혼합한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니트릴계 고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유화제 혼합물 대신에 올레인산 칼륨염(엘지 생활건강, Elofad TL070) 1.2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니트릴계 고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유화제 혼합물 대신에 올레인산 칼륨염(엘지 생활건강, Elofad TL070) 2.0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니트릴계 고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유화제 혼합물 대신에 디헥실 설포숙시네이트 나트륨염(CYTEC, MA80) 1.2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니트릴계 고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유화제 혼합물 대신에 디헥실 설포숙시네이트 나트륨염(CYTEC, MA80) 2.0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니트릴계 고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유화제 혼합물로 디헥실 설포숙시네이트 나트륨염(CYTEC, MA80)과 올레인산 칼륨염(엘지 생활건강, Elofad TL070)을 1:1의 중량부로 혼합한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니트릴계 고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유화제 혼합물로 디헥실 설포숙시네이트 나트륨염(CYTEC, MA80)과 올레인산 칼륨염(엘지 생활건강, Elofad TL070)을 1:2의 중량부로 혼합한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니트릴계 고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상기 실시예 1에서, 유화제 혼합물로 디헥실 설포숙시네이트 나트륨염(CYTEC, MA80)과 올레인산 칼륨염(엘지 생활건강, Elofad TL070)을 1:5의 중량부로 혼합한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니트릴계 고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8
상기 실시예 1에서, 유화제 혼합물로 디헥실 설포숙시네이트 나트륨염(CYTEC, MA80)과 올레인산 칼륨염(엘지 생활건강, Elofad TL070)을 7:1의 중량부로 혼합한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니트릴계 고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니트릴계 고무의 무니점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결과를 나타내었다.
무니 점도계(MV2000, 알파테크놀로지 社)를 사용하여, 100℃에서 큰 로우터로 예열 1분에서 로우터 시동 후 4분 후의 값을 측정 판독하여 무니점도를 측정하였다.
구분 무니점도
실시예 1 44.7
실시예 2 45.1
실시예 3 44.9
실시예 4 45.8
실시예 5 43.8
비교예 1 45.5
비교예 2 46
비교예 3 45.4
비교예 4 45.5
비교예 5 44.8
비교예 6 44.6
비교예 7 44.9
비교예 8 44.0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니트릴계 고무와 비교예 1 내지 8의 니트릴계 고무의 무니점도가 유사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유화제 혼합물을 사용한 제조방법을 통해 기존 제조방법과 같은 니트릴계 고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 니트릴계 고무의 잔류 유화제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각 니트릴계 고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의 무니점도, 가류특성 및 기계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였으며,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고무 조성물의 제조
각 니트릴계 고무 100 중량부, 황 분말 1.5 중량부, 가황촉진제로서 산화아연 3 중량부 및 N-tert-부틸-2-벤조티아졸술펜아미드 0.7 중량부, 분산제로 스테아르산 1 중량부, 보강성 충진제로 카본블랙 40 중량부를 반응기에 투입하고 50℃에서 8분(예비혼합 1분, 컴파운딩 7분)동안 50 rpm으로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니트릴계 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 무니점도(C-MV)
각 고무 조성물을 145℃에서 45분 동안 가류 후, 무니 점도계(MV2000, 알파테크놀로지 社)를 사용하여 100℃에서 큰 로우터로 예열 1분에서 로우터 시동 후 4분 후의 값을 측정 판독하여 무니점도를 측정하였다.
3) 경도
각 고무 조성물을 145℃에서 45분 동안 가류 후, ASTM D2240에 준하여 25℃에서의 경도를 측정하였으며, 단위는 Shore D 스케일이다.
4) 가류특성
오실레이팅 디스크리오미터(oscillating disc rheometer)를 이용하여 각 고무 조성물을 170℃에서 가류시 최대토크(MH) 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Ts'1(1% 가류시까지의 소요시간), Tc'90(90% 가류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때, Tc'90은 가류속도를 의미한다.
5) 기계적 특성
신율(elongation, e%) 및 300% 모듈러스(kg·f/cm2)는 각 고무 조성물을 145℃에서 45분 동안 가류 후, ASTM D412에 준하여 신율 및 300% 모듈러스를 측정하였다.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kg·f/cm2)는 각 고무 조성물을 145℃에서 45분 동안 가류 후, ASTM D412에 준하여 300% 가류물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6) 고무내 잔류 유화제 함량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 니트릴계 고무에 포함된 잔류 유화제의 함량을 니트릴계 고무 전체 중량에 대한 함량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측정할 생고무 시료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 용해, 메탄올 재침전을 2회 전처리한 후, LC/MS 크로마토그램을 이용하여 고분자내 유화제 함량을 분석하였다. 측정 결과를 Standard 샘플과 상대 비교하여 시료의 총 무게 대비 유화제의 함량을 wt%로 계산하였다.
구분 무니점도
(C-MV)
경도 잔류
유화제
함량(wt%)
가류특성 기계적 특성
MH Ts'1
(min)
Tc'90
(min)
인장강도
(kg·f/cm2)
신율
(%)
300% 모듈러스
(kg·f/cm2)
실시예 1 76.9 71 0.25 26.5 1.41 4.44 229.7 414.2 138.7
실시예 2 77.5 71 0.45 25.9 1.44 4.54 215.5 400.3 137.4
실시예 3 77.1 71 0.24 26.4 1.40 4.46 221.4 406.7 138.1
실시예 4 77.4 70 0.66 26.1 1.35 4.23
215.3
405.1
135.5
실시예 5 77.0 71 0.27 25.4 1.50 4.61
213.4
393.7
133.5
비교예 1 77.9 71 1.24 26.0 1.51 4.81 202.1 386.0 133.5
비교예 2 78.1 71 2.12 25.5 1.56 4.95 203.4 387.1 131.8
비교예 3 76.7 71 0.3 25.5 1.43 4.45 206.1 381.5 132.4
비교예 4 74.6 71 0.45 24.4 1.42 4.49 210.1 383.5
130.1
비교예 5 77.0 71 0.66 26.1 1.45 4.49 212.4 391.0 130.1
비교예 6 76.3 71 0.81 25.3 1.52 4.67 200.2 390.6 130.3
비교예 7 76.1 71 1.1 25.2 1.55 4.91 205.6 391.4 132.1
비교예 8 76.1 70 0.46 26.0 1.40 4.53 209.0
382.7
131.1
상기 표 1 및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는 비교예 1 내지 8과 유사수준의 경도 및 무니점도를 나타내면서, 가류특성 및 기계적 특성이 크게 개선되었으며, 잔류 유화제의 함량 또한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 내지 5는 더 많은 양의 유화제를 사용한 비교예 2 및 비교예 4에 비해서도 인장강도, 신율 및 300% 모듈러스가 모두 크게 개선되었다.
또한, 제1 유화제만 사용되는 경우(비교예 3 및 4)에는 제1 및 제2 유화제가 특정 함량으로 병용되는 다른 실시예들에 비하여 신율 등 기계적 물성이 현저히 저하되었고, 반대로 제2 유화제만 사용되는 경우(비교예 1 및 2)에는 기계적 물성 저하 외에도 잔류 유화제의 함량이 과도하게 증가하였다.
한편, 유화제 혼합물에 디헥실 설포숙시네이트 나트륨염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탄소수를 갖는 알킬기가 치환된 설포숙시네이트 나트륨염을 포함하는 경우에 비하여, 중합 이후 응집 및 건조의 후처리 과정에서 고무 내 잔류하는 유화제의 함량이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알킬기가 치환된 설포숙시네이트 나트륨염을 포함하는 경우에 비하여, 적은 양의 유화제를 투입하더라도 유화 특성이 우수하고, 이에 따라, 가류 특성 및 기계적 특성이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제1 유화제와 제2 유화제를 특정비율로 포함하는 유화제 혼합물을 사용함으로써 더 적은양의 사용으로도 유화중합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고, 잔류하는 유화제의 함량이 감소되어 기계적 물성이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1)

  1. 유화제 혼합물 존재 하에, α,β-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 및 공액 디엔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화제 혼합물이 디헥실 설포숙시네이트의 금속염을 포함하는 제1 유화제 및 모노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2 내지 18의 지방산 또는 로진산을 포함하는 제2 유화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유화제와 제2 유화제를 4:1 내지 6: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니트릴계 고무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 혼합물은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1.5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인 니트릴계 고무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α,β-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 및 공액디엔계 단량체를 15:85 내지 45:5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니트릴계 고무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α,β-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α-클로로니트릴 및 α-시아노에틸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니트릴계 고무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액디엔계 단량체는 1,3-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2-에틸-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및 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니트릴계 고무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이후 응집 및 건조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이 니트릴계 고무의 제조방법.
  10. 제1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고,
    잔류 유화제 함량이 1.2 중량% 이하이고.
    상기 잔류 유화제는 디헥실 설포숙시네이트의 금속염의 잔류물 및 모노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2 내지 18의 지방산 또는 로진산, 또는 이들의 금속염의 잔류물인 니트릴계 고무.
  11. 제10항의 니트릴계 고무를 포함하는 니트릴계 고무 조성물.
KR1020200126181A 2019-10-11 2020-09-28 니트릴계 고무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니트릴계 고무 및 상기 고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2536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422,254 US20220089801A1 (en) 2019-10-11 2020-10-08 Method for Manufacturing Nitrile-Based Rubber, Nitrile-Based Rubber Manufactured Thereby, and Rubber Composition Comprising Same Rubber
PCT/KR2020/013720 WO2021071273A1 (ko) 2019-10-11 2020-10-08 니트릴계 고무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니트릴계 고무 및 상기 고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CN202080008786.5A CN113272342B (zh) 2019-10-11 2020-10-08 腈类橡胶的制备方法、由其制备的腈类橡胶和包含腈类橡胶的橡胶组合物
EP20874984.6A EP3892656B1 (en) 2019-10-11 2020-10-08 Method for manufacturing nitrile-based rubber, nitrile-based rubber manufactured thereby, and rubber composition comprising same rubber
JP2021539444A JP7299987B2 (ja) 2019-10-11 2020-10-08 ニトリル系ゴムの製造方法、それから製造されたニトリル系ゴム、および前記ゴムを含むゴム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26408 2019-10-11
KR1020190126408 2019-10-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443A KR20210043443A (ko) 2021-04-21
KR102536743B1 true KR102536743B1 (ko) 2023-05-26

Family

ID=75744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181A KR102536743B1 (ko) 2019-10-11 2020-09-28 니트릴계 고무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니트릴계 고무 및 상기 고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089801A1 (ko)
EP (1) EP3892656B1 (ko)
JP (1) JP7299987B2 (ko)
KR (1) KR102536743B1 (ko)
CN (1) CN113272342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8309A1 (en) 2000-10-27 2002-12-26 Cheil Industries Inc. Method of preparing diene latex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by addition of a pretreated seed latex to an agglomerating agent
WO2010019180A1 (en) 2008-05-06 2010-02-18 Mallard Creek Polymers, Inc. Anionic latex as a carrier for active ingredient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6101A (ja) * 1983-10-18 1985-05-15 Nippon Zeon Co Ltd 重合体の製造方法
US4920176A (en) * 1988-12-05 1990-04-24 The B. F. Goodrich Company Nitrile emulsion polymers having improved adhesion properties
JPH03163118A (ja) * 1989-08-29 1991-07-15 Mitsui Toatsu Chem Inc 樹脂ラテックスからの重合体の回収方法
US5225479A (en) * 1991-10-17 1993-07-06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olymers derived from a conjugated diolefin, a vinyl-substituted aromatic compound, and olefinically unsaturated nitrile
MY125326A (en) * 1999-06-21 2006-07-31 Nippon A&L Inc A latex compound for dip molding and a dip-molded product
JP4554767B2 (ja) 1999-06-21 2010-09-29 日本エイアンドエル株式会社 ディップ成形用ラテックス組成物及びディップ成形物
KR101530150B1 (ko) * 2013-08-02 2015-06-19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무강화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WO2016121284A1 (ja) * 2015-01-27 2016-08-04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高飽和ニトリルゴムの製造方法
EP3323850B1 (en) * 2015-07-15 2020-11-11 Zeon Corporation Nitrile rubber composition and cross-linked rubber
KR102082915B1 (ko) 2016-12-26 2020-0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니트릴계 고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8309A1 (en) 2000-10-27 2002-12-26 Cheil Industries Inc. Method of preparing diene latex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by addition of a pretreated seed latex to an agglomerating agent
WO2010019180A1 (en) 2008-05-06 2010-02-18 Mallard Creek Polymers, Inc. Anionic latex as a carrier for active ingredient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272342A (zh) 2021-08-17
EP3892656B1 (en) 2023-06-14
JP2022516938A (ja) 2022-03-03
US20220089801A1 (en) 2022-03-24
JP7299987B2 (ja) 2023-06-28
EP3892656A1 (en) 2021-10-13
CN113272342B (zh) 2023-08-15
EP3892656A4 (en) 2022-02-16
KR20210043443A (ko) 202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22381B (zh) Sulfur-modified chloroprene elastomer compositions, blends and sulfur compounds
KR101702754B1 (ko) 니트릴계 고무의 제조방법
KR102365019B1 (ko) 니트릴기 함유 공중합체 고무, 가교성 고무 조성물 및 고무 가교물
CN111372986A (zh) 硫改性氯丁二烯橡胶组合物及硫化物、以及使用该硫化物的成型品及硫改性氯丁二烯橡胶组合物的制造方法
KR102082915B1 (ko) 니트릴계 고무의 제조방법
TWI726986B (zh) 氫化之腈-丁二烯-peg丙烯酸酯共聚物
JP2020503397A (ja) 水素化ニトリル−ジエン−カルボン酸エステルコポリマー
KR102536743B1 (ko) 니트릴계 고무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니트릴계 고무 및 상기 고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JP2022510814A (ja) Pegアクリレート-hnbrコポリマーを製造するためのプロセス
KR102024891B1 (ko) 니트릴-부타디엔 고무의 제조방법
KR20210132867A (ko) 니트릴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20210042818A (ko) 니트릴계 고무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니트릴계 고무 및 상기 고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JP7422266B1 (ja) ゴム組成物及びタイヤブラダー
KR20210156477A (ko) 니트릴계 고무의 제조방법
JP7450891B2 (ja) ゴム組成物、加硫ゴム及び成形品
KR101484387B1 (ko) 니트릴 고무의 제조방법
KR20210121546A (ko) 니트릴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20220014696A (ko) 니트릴계 고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니트릴계 고무
WO2021071273A1 (ko) 니트릴계 고무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니트릴계 고무 및 상기 고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20180075107A (ko) 니트릴계 고무 조성물
KR20170075315A (ko) 변성제, 이를 이용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