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387B1 - 니트릴 고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니트릴 고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387B1
KR101484387B1 KR20130013137A KR20130013137A KR101484387B1 KR 101484387 B1 KR101484387 B1 KR 101484387B1 KR 20130013137 A KR20130013137 A KR 20130013137A KR 20130013137 A KR20130013137 A KR 20130013137A KR 101484387 B1 KR101484387 B1 KR 101484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trile rubber
molecular weight
producing
aci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13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0835A (ko
Inventor
한선희
류동조
안정헌
이세은
조정훈
강신건
전희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30090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3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236/1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with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08F2/24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 C08F2/26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anio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8Polymerisation using regulators, e.g. chain terminating agents, e.g. telo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2Copolymers with acrylonitrile
    • C08L9/04Latex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트릴 고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반응형 유화제를 첨가하여 니트릴 고무를 제조할 때에 분자량 조절제의 분할 투입을 통해 분자량 분포를 조절하여 고전환율에서 생기는 분자량이 큰 니트릴 중합체의 생성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보다 균일한 분자량을 갖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롤가공 및 사출 성형 가공이 우수하며, 이에 따라 최종 제품의 물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니트릴 고무의 제조방법{METHOD OF PREPARING NITRILE RUBBER}
본 발명은 니트릴 고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응형 유화제를 첨가하여 니트릴 고무를 제조할 때에 분자량 조절제의 분할 투입을 통해 분자량 분포를 조절하여 가공성과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니트릴 고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니트릴 고무는 아크릴로니트릴과 부타디엔의 공중합물로서, 아크릴로니트릴의 결합량은 15~50% 사이이고, 여러 가지 비율로 불규칙하게 공중합한 것이다.
상기 니트릴 고무의 최대의 장점은 내유성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이는 아크릴로니트릴 중의 니트릴기가 가지는 극성을 띄기 때문이며, 그 특성은 결합 니트릴량에 의해 크게 다르다. 상기 내유성은 결합 니트릴량과 팽윤, 그리고 기름의 아닐린점(탄화수소가 같은 부피의 아닐린과 완전히 용해하는 최저 온도를 말하는데, 이를 측정하여 가솔린과 같은 경질 광유의 성분을 판단할 수 있다.)과 팽윤의 관계에서, 결합 니트릴량이 많아질수록 내유성은 좋게 되고, 아닐린점이 높아질수록 팽윤은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기름이란 광물기름, 즉 석유계 탄화수소 구조가 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윤활이나 유압계 작동유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주의를 요하는 것은, 이들의 기름에는 여러 가지의 첨가제가 배합되어, 그 영향이 나올 경우가 있기 때문에, 아닐린점에서 고무의 내유성을 평가하고, 씰제품으로 사용하는 기름에서 물성의 변화나 팽윤을 측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O링을 장시간 고온의 기름 속에서 압축영구 뒤틀림을 측정한 결과, 매우 뛰어난 특성을 갖는 것을 앎과 동시에 체적변화율이 어느 정도 팽윤하는 것이 좋은 성질을 나타내는 것으로부터 체적이 감소하는 것보다도 씰성이 좋은 것이 추정된다.
이렇듯 니트릴 고무는 내유성이 뛰어난 것으로부터 산업기계, 건설기계, 성력화기기, 자동차 항공기 등 모든 분야에서 윤활유나 작동유, 연료유 등의 씰에 O링, V 패킹, 오일씰로서 가장 적당하고, 사용량도 매우 많다. 니트릴 고무의 사용가능 온도는 배합에 의해 크게 다르지만, -50~-120℃에서, 특히 저온용으로서는 저니트릴이 극지나 한랭지용의 기기나 항공기 등에 사용된다. 또한, 니트릴량이 많은 것은 내열성이나 기계적 성질이 좋을 뿐 아니라, 내가스투과성이 뛰어나, 진공용으로서 10torr 정도까지는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통상적 저온 유화중합을 통해서 중합이 이루어지며, 응집제를 이용하여 응고 과정을 거쳐서 베일 형태로 취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니트릴 고무의 성형 가공시 금형에 이물질 잔류로 인해 이를 주기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고전환율에서 생기는 분자량이 큰 니트릴 중합체의 생성을 저해할 수 있어 보다 균일한 분자량을 갖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니트릴 고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분자량 분포가 낮아 보다 균일한 분자량을 갖는 고무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롤가공 및 사출 성형 가능이 우수하며, 이에 따라 최종 제품의 물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니트릴 고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 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니트릴 고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분자량 조절제를 분할 투입하여 니트릴 고무를 제조하는 니트릴 고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전환율에서 생기는 분자량이 큰 니트릴 중합체의 생성을 저해할 수 있어 보다 균일한 분자량을 갖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분자량 분포가 낮아 보다 균일한 분자량을 갖는 고무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롤가공 및 사출 성형 가공이 우수하며, 이에 따라 최종 제품의 물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분자량 분포 조절이 용이하며, 일시 투입시보다 분할 투입시 분자량 분포가 낮아져 보다 균일한 분자량을 갖는 고무 조성물 제조가 가능하고, 특히 40% 이상의 전환율에서 분할 투입하는 경우 탄소수가 8 이하인 일칼기를 갖는 알킬 머캅탄을 사용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분자량 제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니트릴 고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분자량 조절제를 분할 투입하여 니트릴 고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상기 니트릴 고무를 구성하는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일례로 0.05~2.0중량부, 0.07~2.0중량부 또는 0.07~1.5중량부를 분할 투입한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중합 전환율 40% 이후에 분할 투입할 수 있으며, 일례로 40% 이전 및 중합 전환율 40% 이후로 분할 투입하거나 40% 이전 및 중합 전환율 50% 이후, 또는 40% 이전 및 중합 전환율 60% 이후로 분할 투입할 수 있다.
분자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중합 전환율 40% 이후로 투입되는 분자량 조절제는 탄소수 1 내지 8인 알킬기를 갖는 알킬 머캅탄일 수 있으며, 일례로 2 내지 8 혹은 3 내지 8인 알킬기를 갖는 알킬 머캅탄일 수 있다.
상기 중합 전환율 40% 이후로 투입되는 분자량 조절제는 상기 니트릴 고무를 구성하는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일례로 0.01~0.5중량부, 0.05~0.5중량부 혹은 0.05~0.4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n-옥틸 머캅탄, n-도데실 머캅탄, n-데실 머캅탄, t-도데실 머캅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t-도데실 머캅탄을 투입한다.
본 발명은 니트릴 고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비닐 시안화 화합물, 공액 디엔계 화합물, 지방족 유기산, 반응성 유화제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니트릴 고무를 제조하되, 상기 중합시 분자량 조절제를 분할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비닐 시안화 화합물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후마로니트릴, α-클로로니트릴 및 α-시아노에틸 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을 사용한다.
상기 공액 디엔계 화합물은 1,3-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2-에틸-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및 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1,3-부타디엔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지방족 유기산은 올레인산(oleic acid), 로진산(rosin acid), 라우르산(lauric acid), 미리스틴산(myrist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 나프탈렌 설포닉산 및 에이코산산(eicosano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성 유화제는 프로펜기를 가지는 음이온계 유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니트릴 고무의 제조는 유화중합 방법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반응용기에 1,3-부타디엔 65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35중량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100중량부에, 지방족 유기산인 올레인산 1.6중량부, 나프탈렌 설포닉산 0.05중량부, 반응성 유화제로서 HS-20 (프로펜기를 가지는 음이온계 유화제, AQUARON HS) 0.4중량부, 개시제 0.05중량부, 분자량 조절제로서 t-도데실 머캅탄 0.08중량부, 물 200중량부를 첨가하여 반응을 진행하고, 전환율 40% 시점에 t-도데실 머캅탄 0.05중량부를 투입하고, 전환율 60% 시점에 n-옥틸 머캅탄 0.05중량부를 투입하여 제조하고, 전환율 80% 시점에 종료하였다. 이 때 반응시간은 7시간이 소요된다. 이후 통상적인 유화중합의 응고과정을 거쳐서 응고물을 얻게 되며, 롤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고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전환율 60% 시점에 n-옥틸 머캅탄 대신에 t-도데실 머캅탄(t- DDM) 0.05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반응용기에 1,3-부타디엔 65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35중량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100중량부에, 지방족 유기산인 올레인산 1.6중량부, 나프탈렌 설포닉산 0.05중량부, 반응성 유화제로서 HS-20 (프로펜기를 가지는 음이온계 유화제, AQUARON HS) 0.4중량부, 개시제 0.05중량부, 분자량 조절제로서 t-도데실 머캅탄 0.10중량부, 물 200중량부를 첨가하여 반응을 진행하고, 전환율 50% 시점에 t-도데실 머캅탄 0.07중량부를 투입하고, 전환율 80% 시점에 종료하였다.
이 때 반응시간은 7시간이 소요되었다. 이후 통상적인 유화중합의 응고과정을 거쳐서 응고물을 얻게 되며, 롤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고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반응용기에 1,4-부타디엔 65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35중량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100중량부에, 지방족 유기산인 올레인산 1.6중량부, 나프탈렌 설포닉산 0.05중량부, 반응성 유화제로서 HS-20 (프로펜기를 가지는 음이온계 유화제, AQUARON HS) 0.4중량부, 개시제 0.05중량부, 분자량 조절제로서 t-도데실 머캅탄 0.15중량부, 물 200중량부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이렇게 중합된 반응물은 전환율 80% 시점에 종료되며, 이 때 반응시간은 7시간이 소요되었다.
이후 통상적인 유화중합의 응고과정을 거쳐서 응고물을 얻게 되며, 롤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고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1에서 t-도데실 머캅탄 대신에 t-옥틸 머캅탄 0.15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얻은 고무의 물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 분자량 측정 방법: 응고물을 DMF에 0.1중량%로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 GPC로 분자량과 분자량 분포를 측정하였다.
* 다분산도(Polydispersity Index, PDI):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을 수평균분자량으로 나눈 값으로 측정하였다.
* 금형 오염 측정 방법: 금형 오염측정은 응고 후 건조 과정을 거친 니트릴 고무를 프레스를 이용하여 금형 판에 일정량을 올려준 후, 130℃에서 압착하여 300초간 유지한 후, 금형판에 니트릴 고무를 제거한 후, 금형 표면에 묻어 있는 오염물의 양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분자량 조절제(phr) t-DDM 1) 0.08
0.05
0.08
0.05
0.05
0.10
0.07
0.15
nOM 2) 0.05 0.15
투입횟수 3회 3회 2회 1회 1회
MW 2.58×105 2.88×105 2.90×105 3.04×105 3.25×105
PDI 4.12 4.52 4.48 5.40 5.76
금형 오염량(%) 0.05 0.07 0.07 0.10 0.25
* 주 1) t-DDM: t-dodecyl mercaptan
2) nOM: n-octyl mercapta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니트릴 고무를 구성하는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자량 조절제 0.05 내지 2중량부를 분할 투입하면 분자량 분포 조절에 용이하며, 일시 투입한 비교예 1 및 2보다 분할 투입한 실시예가 분자량 분포가 낮아져 보다 균일한 분자량을 갖는 고무 조성물의 제조가 가능하며, 특히 실시예 1에서와 같이, 40% 이상의 전환율에서 탄소수 8 이하인 알킬기를 갖는 알킬 머캅탄인 n-옥틸 머캅탄을 분할 투입한 경우에는 보다 효과적으로 분자량의 제어가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니트릴 고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분자량 조절제를 분할 투입하여 니트릴 고무를 제조하되 상기 니트릴 고무는 아크릴로니트릴의 결합량이 15 내지 5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릴 고무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중합 전환율 40% 이전 및 중합 전환율 40% 이후로 분할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릴 고무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n-옥틸 머캅탄, n-도데실 머캅탄, n-데실 머캅탄, t-도데실 머캅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릴 고무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니트릴 고무를 구성하는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2.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릴 고무의 제조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전환율 40% 이후로 투입되는 분자량 조절제는 탄소수 1 내지 8인 알킬기를 갖는 알킬 머캅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릴 고무의 제조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전환율 40% 이후로 투입되는 분자량 조절제는 상기 니트릴 고무를 구성하는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5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릴 고무의 제조방법.
  7. 니트릴 고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비닐 시안화 화합물, 공액 디엔계 화합물, 지방족 유기산, 반응성 유화제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니트릴 고무를 제조하되, 상기 니트릴 고무는 아크릴로니트릴의 결합량이 15 내지 50중량%이고, 상기 중합시 분자량 조절제를 분할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릴 고무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유기산은 올레인산(oleic acid), 로진산(rosin acid), 라우르산(lauric acid), 미리스틴산(myrist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 나프탈렌 설포닉산 및 에이코산산(eicosano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릴 고무의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유화제는 프로펜기를 가지는 음이온계 유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릴 고무의 제조방법.
KR20130013137A 2012-02-06 2013-02-06 니트릴 고무의 제조방법 KR1014843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11603 2012-02-06
KR1020120011603 2012-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835A KR20130090835A (ko) 2013-08-14
KR101484387B1 true KR101484387B1 (ko) 2015-01-19

Family

ID=49216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13137A KR101484387B1 (ko) 2012-02-06 2013-02-06 니트릴 고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43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891B1 (ko) * 2015-11-26 2019-09-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니트릴-부타디엔 고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670B1 (ko) * 1989-01-31 1992-07-13 주식회사 럭키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제조에 적합한 고무 라텍스의 제조법
KR960031485A (ko) * 1995-02-22 1996-09-17 김흥기 종이 가공 및 카펫 백킹용 저점도 유화 중합라텍스의 제조방법
KR20020036556A (ko) * 2000-11-10 2002-05-16 노기호 총고형분 함량이 높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라텍스의 제조방법
KR20100115779A (ko) * 2008-01-29 2010-10-28 란세스 도이치란트 게엠베하 알킬티오 말단기를 임의로 함유하고 임의로 수소화된 니트릴 고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670B1 (ko) * 1989-01-31 1992-07-13 주식회사 럭키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제조에 적합한 고무 라텍스의 제조법
KR960031485A (ko) * 1995-02-22 1996-09-17 김흥기 종이 가공 및 카펫 백킹용 저점도 유화 중합라텍스의 제조방법
KR20020036556A (ko) * 2000-11-10 2002-05-16 노기호 총고형분 함량이 높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라텍스의 제조방법
KR20100115779A (ko) * 2008-01-29 2010-10-28 란세스 도이치란트 게엠베하 알킬티오 말단기를 임의로 함유하고 임의로 수소화된 니트릴 고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835A (ko) 201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363B1 (ko) 변성 공역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CN105612184A (zh) 末端官能化的基于共轭二烯的聚合物及其制造方法
CN112521551B (zh) 一种衣康酸酯的四元共聚物及其制备方法和生物基耐油橡胶组合物
KR101484387B1 (ko) 니트릴 고무의 제조방법
KR101471702B1 (ko) 니트릴 고무의 제조방법
KR101649024B1 (ko) 변성 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EP3421531B1 (en) Nitrile copolymer rubber composition, crosslinkable rubber composition and rubber crosslinked product
KR101527624B1 (ko) 니트릴 고무의 제조방법
Chatarsa et al. The influence of N i/N d‐based Z iegler–N atta catalyst on microstructure configurations and properties of butadiene rubber
KR101606988B1 (ko) 니트릴 고무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292410B (zh) 改性共轭二烯类聚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024891B1 (ko) 니트릴-부타디엔 고무의 제조방법
KR101471742B1 (ko) 니트릴 고무의 제조방법
KR20110062233A (ko) 니트릴 고무의 제조 방법
KR20210132867A (ko) 니트릴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20210043355A (ko) 니트릴계 고무의 제조방법
KR102013709B1 (ko) 열가소성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536743B1 (ko) 니트릴계 고무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니트릴계 고무 및 상기 고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CN111019040A (zh) 高强度不粘辊丙烯酸酯橡胶及其制备方法和由其组成的硫化橡胶组合物
KR101605586B1 (ko) 내한성 니트릴 고무의 제조방법
CN113736208B (zh) 橡胶组合物、其制备方法及缺气保用轮胎内支撑
KR102568623B1 (ko) 아크릴계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
KR20180080108A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1683334B1 (ko)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역디엔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WO2021001357A1 (en) Use of vulcanisates comprising peg acrylate-hnbr copolymer in contact with pa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