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797B1 - 자동차 도어에 장착될 하우징, 및 그러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도어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에 장착될 하우징, 및 그러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797B1
KR102533797B1 KR1020207035342A KR20207035342A KR102533797B1 KR 102533797 B1 KR102533797 B1 KR 102533797B1 KR 1020207035342 A KR1020207035342 A KR 1020207035342A KR 20207035342 A KR20207035342 A KR 20207035342A KR 102533797 B1 KR102533797 B1 KR 102533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lap
air
door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5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8401A (ko
Inventor
티에리 페티
브루노 데모리
이브 루소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1855228A external-priority patent/FR3082457B1/fr
Priority claimed from FR1855229A external-priority patent/FR3082458A1/fr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filed Critical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Publication of KR20210008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3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lateral area (e.g. doors,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4)에 장착되도록 의도된 하우징(30)에 관한 것으로서,
- 제 1 기류(FR)를 하우징(30) 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 1 공기 입구(35),
- 공기 출구(36),
- 하우징(30) 내에 배열되며 적어도 하나의 구획부(38)에 의해 구획된 챔버(37), 및
- 제 2 기류(FE)를 챔버(37) 내로 직접 유입시키기 위한 제 2 공기 입구(39)를 포함하고,
제 1 공기 입구(35), 챔버(37) 및 공기 출구(36)는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30)은 적어도 하나의 가동 플랩(64, 74, 78)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하우징 지지체(61)를 포함한 도어(4)와, 그러한 하우징(30)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에 장착될 하우징, 및 그러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도어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에 장착될 목적의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이 하우징은 자동차 타입의 차량을 위한 공기 분배 장치의 일부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공기를 열적으로 처리하여 차량의 객실 내로 보낼 수 있는 난방, 환기 및/또는 공조 시스템(heating, ventilation and/or air conditioning system)이 장착되어 있다. 난방, 환기 및/또는 공조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을 충족시키는 열적 쾌적성 설정점(thermal comfort setpoint), 및 예컨대 차량의 객실의 일 구역 또는 다른 구역에 존재하는 공기의 소정 온도에 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난방, 환기 및/또는 공조 시스템은 외기 및/또는 객실로부터의 공기를 내부로 흡인한 후, 특히 그 공기가 열적 쾌적성 설정점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결정된 환기 속도 및/또는 온도 조건에 도달하도록 공기를 연속적으로 열교환기에 통과시킴으로써 공기를 처리한다. 그 후, 처리된 공기는 객실의 특정 구역에 처리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배치된 환기구에 의해 객실 내로 방출된다. 앞좌석 또는 뒷좌석에 처리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희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이들 환기구는 차량의 대시보드, 중앙 콘솔 또는 측면 직립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난방, 환기 및/또는 공조 시스템은 열적 쾌적성 설정점에 도달하기 전에 상당량의 공기를 처리하게 된다. 그러나 요즘 사용자들은 객실 내의 공기의 양을 감소시키는 일 없이 보다 신속하게 열적 쾌적성 설정점에 도달하기를 요구한다. 그러면, 자동차 제조업자 및 장비 정비업자들은 이것이 과도하게 높은 비용을 발생시키는 없이 이들 요건을 충족시키면서도 여전히 콤팩트하고 경량이며 설치하기 쉬운 시스템을 구비한 난방, 환기 및/또는 공조 시스템을 제안해야만 한다. 다른 제약 사항은 차량의 표준화인데, 여기에서 제조업자들은 소비자의 요구에 적응할 수 있어야 하며, 차량 구매자의 희망에 따라 그러한 시스템을 제공하거나 제공하지 않을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두 번째 제약 사항은 그 시스템이 차량 탑승자의 요구에 적응할 수 있어야 하는 것, 즉 객실의 특정한 영역 내에 기류(air stream)를 방출하거나 방출하지 않을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난방, 환기 및/또는 공조 시스템의 크기를 너무 크게 하는 일 없이 객실 내에서의 공기의 분배 및 열적 쾌적성 모두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공하는 것인데, 난방, 환기 및/또는 공조 시스템은 용이하게 장착 또는 제거될 수 있으며, 그것을 객실의 여러 영역들 쪽으로 배향(orienting)시킴으로써 기류의 관리를 용이하게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발명의 한 주제는 자동차 도어에 장착되도록 의도된 하우징, 특히 탈착식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은,
- 하우징 내에 배열되며 적어도 하나의 벽에 의해 구획된 챔버,
- 제 1 기류를 챔버 내로 직접 유입시키기 위한 제 1 공기 입구,
- 제 2 기류를 하우징 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 2 공기 입구, 및
- 공기 출구를 포함하고,
제 2 공기 입구, 챔버 및 공기 출구는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가동 플랩(movable flap)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2개의 기류를 혼합할 수 있고, 이는 객실 내에서 공기가 잘 혼합되게 함으로써 사용자 쾌적성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혼합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여러 기류들 간의 열적 혼합이 보다 빨리 일어난다. 하우징은 용이하게 취급될 수 있으며 자동차 도어에 쉽게 설치되거나 또는 그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요소에 해당하는데, 차량 탑승자가 희망하는 열적 쾌적성을 달성하기 위해, 가동 플랩은 그것의 경사로 인해 기류가 흐르거나 흐르지 않게 할 수 있고, 또한 그것의 위치 및 경사 각도에 따라 기류를 자동차의 객실의 특정 영역 쪽으로 배향한다.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취해질 수 있는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특징에 따르면, 하기의 것들이 제공될 수 있다:
- 챔버는 챔버 내부에서 연장되는 날개부(blading)를 포함하고;
- 하우징은 만곡된 형상을 갖고;
- 제 2 기류를 챔버 내로 직접 유입시키기 위해 덕트가 제 2 공기 입구에 연결되며, 제 2 기류는 난방, 환기 및/또는 공조 시스템으로부터 오고;
- 덕트는 도어에서의 덕트의 기밀성을 보장하는 벨로우즈(bellows)를 포함하고;
- 챔버는 장타원형(oblong) 형상의 단면을 갖고;
- 제 1 및 제 2 기류의 적어도 부분적인 흐름을 위한 채널은 제 1 공기 입구로부터 공기 출구로 연장되며, 하우징의 벽들 및 챔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획부에 의해 구획되고;
- 챔버는 수축부를 거쳐서 채널 내로 개방되고;
- 하우징은 제 1 부분을 포함하고, 챔버는 난방, 환기 및/또는 공조 시스템으로부터 오는 처리된 제 2 기류의 전달에 대응하고, 이 챔버는 수축부를 거쳐서 챔버 외측에 배열된 하우징의 제 2 부분 내로 개방되고;
- 수축부는 챔버의 전체 길이를 따라, 처리된 기류가 뒤따르는 방향으로 제 2 공기 입구의 개구부 내로 또는 제 2 공기 입구에 연결된 공급 덕트 내로 연장되고;
- 하우징은 혼합 구역을 포함하는데, 이 혼합 구역에서는, 난방, 환기 및/또는 공조 시스템으로부터 온 처리된 제 2 기류와 객실로부터 온 제 1 기류가 챔버를 형성하는 구획부를 이 구획부에 접하는 궤적을 따라 둘러싸는 것에 의해 혼합될 것이고;
- 제 1 가동 플랩이 공기 출구의 높이에 배열되고;
- 제 1 가동 플랩은 적어도 하나의 패널 및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는 셔터 또는 나비 타입의 플랩이고;
- 제 1 가동 플랩은 제 1 플랩 세트 및 제 2 플랩 세트를 포함하고, 제 1 플랩 세트의 플랩들은 일 회전 방향으로 피벗하고, 제 2 플랩 세트의 플랩들은 반대 회전 방향으로 피벗하고;
- 제 1 가동 플랩은 레일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타입의 플랩이고;
- 제 3 가동 플랩이 제 1 공기 입구의 높이에 배열되고;
- 제 3 가동 플랩은 레일 내부에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고;
- 제 4 가동 플랩이 제 2 공기 입구의 높이에 배열되고;
- 제 3 가동 플랩은 제 1 공기 입구의 높이에 배열되고, 제 4 가동 플랩은 제 2 공기 입구의 높이에 배열된다.
본 발명은 또한 하우징용 지지체를 포함한 자동차 도어와, 상술한 바와 같은 하우징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취해질 수 있는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특징에 따르면, 하기의 것들이 제공될 수 있다:
- 도어는 함께 도어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트림 패널 및 도어 보디워크(door bodywork)를 포함하고, 상기 트림 패널 및 도어 보디워크는 이들 사이에 중공체(hollow body)를 한정하고, 이 중공체를 통해 기류가 흐를 수 있으며, 제 2 가동 플랩은 중공체 내에 배열되고;
- 제 2 가동 플랩은 적어도 하나의 패널 및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는 셔터 또는 나비 타입의 플랩이고;
- 중공체는 적어도 2개의 출구 개구부를 포함하고, 제 2 가동 플랩은 기류가 상기 출구 개구부 중 적어도 하나 쪽으로 선택적으로 배향될 수 있도록 상기 출구 개구부들 사이에 배열된다.
본 발명은 또한 자동차 도어와 하우징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 도어는 함께 도어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트림 패널 및 도어 보디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트림 패널 및 도어 보디워크는 이들 사이에 중공체를 한정하고, 이 중공체를 통해 기류가 흐를 수 있으며, 자동차 도어는 하우징 지지체를 포함하고, 하우징은,
- 제 1 기류를 하우징 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 1 공기 입구,
- 공기 출구,
- 하우징 내에 배열되며 적어도 하나의 구획부에 의해 구획된 챔버, 및
- 제 2 기류를 챔버 내로 직접 유입시키기 위한 제 2 공기 입구를 포함하고,
제 1 공기 입구, 챔버 및 공기 출구는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동 플랩이 중공체 내부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 세부사항 및 장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나타내기 위해 아래에 제공된 설명을 숙독할 때 나타날 것인데,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일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도어와 자동차 객실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도어와 자동차 객실의 일부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도어와 자동차 객실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고;
도 8은 제 2 공기 입구에 연결된 덕트의 개략 단면도이다.
우선, 도면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상세한 방식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고, 물론 필요한 경우 상기 도면이 본 발명을 더 잘 정의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내부(internal)", "외부(external)", "상부(upper)", "하부(lower)", 전방(front)" 또는 "후방(rear)"과 같은 상대적인 개념들은 자동차의 객실 및 자동차 자체에 대해 정의된다. 이러한 좌표계에 따른 "내부"의 개념은 당해 요소가 객실에 위치되거나 또는 객실 쪽으로 배향되는 것을 의미하는 반면에, 이러한 좌표계에 따른 "외부"의 개념은 당해 요소가 자동차의 외측에 위치되거나 외측을 향해 배향되어 객실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좌표계에 따른 "상부"의 개념은 당해 요소가 자동차의 루프에 위치되거나 루프 쪽으로 배향되는 것을 의미하는 반면에, 이러한 좌표계에 따른 "하부"의 개념은 당해 요소가 자동차의 바닥에 위치되거나 또는 바닥 쪽으로 배향되는 것을 의미한다. 종축(L)은 자동차가 그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축으로서 정의되는데, 종축(L)은 자동차가 운행 중일 때 자동차의 전방 운동의 축에 평행하다. 하기의 설명에서, 또한 자동차가 운행 중일 때 자동차의 바닥에 수직인 축으로서 정의되는 수직축(V), 및 종축(L)과 수직축(V) 둘 모두에 수직인 축으로서 정의되는 횡축(T)의 함수로서의 배향을 참조할 것이다. 그러므로, "내부" 및 "외부"의 개념은 횡축(T)을 따른 것으로 이해되고, "상부" 및 "하부"의 개념은 수직축(V)을 따른 것으로 이해되며, "전방" 및 "후방"의 개념은 종축(L)에 대한 것으로 이해되는데, 자동차의 "전방"은 운전 상황 중인 운전자의 전방에 있는 자동차의 부분으로서 정의되고, "후방"은 운전자 좌석의 등받침 뒤에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류측(upstream)" 및 "하류측(downstream)"의 용어는 기류의 흐름에 대하여 정의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30)을 도시한다. 하우징은 내부 체적(32) 또는 내부 공간을 한정하도록 배열된 한 세트의 벽(31)(본 예에서는 4개)에 의해 한정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은 본 예에서는 4개의 연속적인 벽(31) 및 개방되어 있거나 그릴(34)을 갖춘 2개의 다른 대향 면(33)을 구비한 직육면체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환언하면, 하우징(30)은 내부 체적(34) 또는 공동을 한정하는 4개의 벽(31)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또한 제 1 기류(FR)가 하우징(30)에 진입하게 하는 제 1 공기 입구(35) 및 기류(FS)가 하우징(30)으로부터 배출되게 하는 공기 출구(36)를 포함한다. 따라서, 하우징(30)은 제 1 기류(FR)가 제 1 공기 입구(35)로부터 공기 출구(36)까지 흐르게 하는 채널(4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30)은 또한 하우징(30)의 내부 체적(32) 내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구획부(38)에 의해 구획되는 챔버(37)를 포함한다. 하우징(30)은 또한 제 2 기류(FE)를 챔버(37) 내에 직접 유입시키기 위한 제 2 공기 입구(39)를 포함한다. 채널(42)은 챔버(37)의 외측에 위치한 하우징(30)의 내부 체적(32)에 대응한다. 환언하면, 채널(42)은 하우징의 벽(31) 및 챔버(37)의 상기 구획부(38)에 의해 구획된다. 챔버(37)는 하우징(30)의 벽(31)과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가지며, 제 2 공기 입구(39)는 이 표면 상에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30)은 제 1 공기 입구(35), 챔버(37) 및 공기 출구(36)가 유체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열된다. 환언하면, 챔버(37)는 제 2 기류(FE)가 챔버(37)로부터 흘러나와서 내부 체적(32) 및 채널(42) 내의 제 1 기류(FR)와 혼합되게 하도록 배열된 개구부(40)를 갖는다. 즉, 제 1 기류(FR)는 공기 입구(35)를 통해 하우징에 진입하고 공기 출구(36)의 방향으로 하우징(30) 내를 흐르며, 제 2 기류(FE)는 챔버(37)에 직접 진입한 후, 개구부(40)를 통해 하우징(30)의 채널(42) 내로 흐른다. 챔버(37)는 제 2 기류(FE)가 제 1 기류(FR)와 혼합될 수 있도록 채널(42) 내로 개방된다. 환언하면, 하우징(30)은 제 1 및 제 2 기류(FR, FE)의 흐름을 위한 채널(42)로서 제 1 공기 입구(35)로부터 공기 출구(36)까지 연장되며 하우징(30)의 벽(31) 및 챔버(37)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획부(38)에 의해 구획되는 채널(4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기류(FR)는 예컨대 자동차의 객실로부터 올 수 있는 반면에, 제 2 기류(FE)는 예컨대 하우징의 상류측에 위치된 난방, 환기 및/또는 공조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올 수도 있다. 객실(5)의 열적 쾌적성 설정점에 관한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을 이행하기 위해, 처리된 제 2 기류(FE)의 온도는 특히 고온과 저온 사이에서 바뀔 수 있으며, 처리된 제 2 기류(FE)의 속도는 난방, 환기 및/또는 공조 시스템의 팬의 속도를 변경함으로써 달라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30)은 객실(5) 내의 공기가 난방, 환기 및/또는 공조 시스템에서 온 처리된 공기와 혼합될 수 있게 하며, 이는 객실 내 공기의 보다 나은 혼합을 보장하고, 그에 따라 객실 내 공기가 새로워지게 하여 열적 쾌적성 설정점에 보다 신속하게 도달하게 함으로써 사용자 쾌적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혼합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여러 기류 간의 열적 혼합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두 기류(FE, FR) 간의 보다 나은 혼합을 허용하기 위해, 챔버(37)는 그것의 내부 공간에서 연장되는 날개부(46)를 포함한다. 이 날개부(46)는 챔버(37) 내에서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내부 구획부, 환언하면 리브(rib), 홈통(gutter), 돌기 또는 돌출부에 대응한다. 날개부(46)는 사분원의 형상을 가지며, 제 2 기류(FE)의 궤적을 전환시킴으로써, 난류를 유발한다. 제 2 기류(FE)는 날개부(46) 위에 위치한 챔버(37)의 상부 부분(48) 내의 제 2 공기 입구(39)를 통해 챔버(37)에 진입한다. 그러면, 제 2 기류(FE)는 채널(42) 내로 개방될 수 있도록 개구부(40) 쪽으로 배향되며, 개구부는 날개부(46) 아래에 위치한 챔버의 하부 부분(49) 내에 배열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37)는 수축부(51)를 통해서 채널(42) 내로 개방된다. 환언하면, 챔버(37)는 제 2 기류(FE)가 챔버(37)로부터 채널(42) 내로 흐르게 하는 개구부(40)를 갖는다. 구획부(38)의 길이 전체에 걸쳐서 연장되는 이 개구부(40)는 챔버(37)의 내부와 챔부(37) 외부의 채널(42) 사이에 압력차를 생성하도록 유동 단면적에 있어서의 수축부(51)를 포함한다. 압력차로 인해, 챔버(37) 내부에 위치한 제 2 기류(FE)는 그에 따라 수축부(51)의 방향으로 흡인되고 그 후에 채널(42) 내로 방출되는데, 이 채널(42)에서 제 2 기류(FE)는 제 1 기류(FR)와 혼합되어 공기 출구(36)까지 흐른다. 환언하면, 수축부(51)가 유동 단면적에 있어서의 감소를 야기하고, 이러한 감소는 난방, 환기 및/또는 공조 시스템에서 온 처리된 제 2 기류(FE)를 가속하고 그 유량을 증가시키며, 이는 객실로부터 제 1 공기 입구(35)를 통해서 온 제 1 기류를 흡인할 수 있는 압력차를 생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37)는 여기에서는 장타원형 단면을 갖는다. 환언하면, 챔버(37)는 바람직하게는 폭보다 길이가 더 길고 모서리가 둥근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즉, 챔버(37)의 평면 횡단면은 장타원형이다. 이러한 형상은, 수축부(51)를 통한 제 2 기류(FE)의 방출 각도와 함께, 더 나은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를 가능케 하며, 챔버(37)의 구획부(38)는 기류(FE, FR)가 이 구획부(38)를 따라 서로 전환되게 하여 이들 기류의 혼합을 향상시키며 특히 평탄면 및 볼록면(둥근 모서리)과 동일 높이에 있는 코안다면(Coanda surface)에 대응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은 제 2 기류(FE)를 챔버(37) 내로 직접 유입시키기 위해 제 2 공기 입구(39)에 연결된 덕트(52)를 포함한다. 덕트(52)는 예컨대 자동차의 난방, 환기 및/또는 공조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어서, 난방, 환기 및/또는 공조 시스템에서 온 제 2 기류(FE)가 챔버(37) 내에 직접 나타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덕트(5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벨로우즈(5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30)은 도어(4) 내에 장착되도록 배열된다. 도어는 개방 및 폐쇄될 것이기 때문에, 벨로우즈(54), 즉 흡인에 의해 공기로 충전되도록 팽창하고 압축에 의해 비워져서 지향된 공기 제트를 생성할 수 있는 가요성 재료로 된 공동에 의해 형성되는 요소를 마련함으로써, 양호한 밀봉 및 기류 손실의 방지가 보장된다.
도어의 형상에 맞추기 위해, 하우징(30)은 곧은 또는 직선형 형상, 또는 만곡된 또는 굽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4는 하우징(30)이 도어(4) 내에 통합되어 있는 자동차 객실(5)을 도시하는데, 도어(4)의 구조 및 벽이 중공체(10)를 형성한다. 중공체(10)는 객실(5) 내로 개방되는 적어도 3개의 개구부(6, 7, 8)를 포함한다.
도 4는 또한 도어(2)가 본 예에서는 제 1 트림 패널(21)과 관련된 도어 보디워크(22) 및 반대측의 제 2 트림 패널(23)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트림 패널(21, 23)은 하우징(30)의 양측에 배열된다. 트림 패널(21, 23) 및 도어 보디워크(22)는 이들 사이에, 기류가 그를 통해 흐를 수 있으며 하우징(30)이 내부에 배열되는 중공체(10) 또는 채널을 형성한다. 도어 보디워크(22)는 자동차의 외부에 대해 자동차를 구획하며, 자동차의 외부에 노출되는 일 면 및 중공체(10) 쪽을 향해 있는 일 면을 갖는다. 도어는 하우징(30)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 수단(61)을 포함한다. 지지 수단(61)은 후크(hook), 하우징(30) 상에 배열되는 노치(notch), 하우징(30)이 그 위에 놓이는 격자 구조(grating)에 대응할 수도 있다. 하우징(30)은 또한 오직 2개의 트림 패널(21, 23)에 의해서만 유지될 수도 있다.
트림 패널(21, 23) 및 도어 보디워크(22)는 이들 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어(2)가 자동차에 대해 움직이게 하는 힌지를 지지하는 제 1 횡벽 및 도어(2)를 잠그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한 제 2 횡벽이 한정된다. 그러므로, 위에서 정의된 좌표계에 따라서 자동차의 보다 후방에 위치된 제 2 횡벽에 비해, 제 1 횡벽은 자동차의 전방에 위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하우징(30)을 채용하는 공기 분배 장치의 개구부(6, 7, 8) 중에서, 윈도우(window)(9)의 최저부에 배열된 제 1 출구 개구부(6), 팔걸이(63)의 높이에 배열된 제 1 출구 개구부(7), 및 가속페달에 또는 객실(5)의 바닥에 배열된 제 3 공기 입구 개구부(8)를 식별할 수 있다.
도 5는 중공체(10) 내로 개방되는 복수의 출구 개구부(6, 7)가 제공될 수도 있음을 도시한다. 도어(2)에 대한 이들 출구 개구부(6, 7)의 배치와 관련하여, 제 1 출구 개구부(6)는 윈도우(9)의 최저부에 배치되고 제 2 출구 개구부(7)는 팔걸이 또는 팔받침대(63)의 높이에 배치되어, 기류(70)를 자동차 사용자의 몸통의 방향으로 방출되도록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출구 개구부(6, 7)는 위에서 정의된 좌표계에 따르면 도어(2)의 상부 부분에 위치된다. 환언하면, 각각의 출구 개구부(6, 7)는 자동차의 바닥보다는 루프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출구 개구부(7)는 동축적(coaxial)이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30)은 적어도 하나의 가동 플랩(64, 74, 78)을 포함한다. 가동 플랩은 기류가 배향되게 할 수 있는 벽에 대응하고, 또는 환언하면, 가동 플랩은 일 회전 방향으로 피벗하는 요소, 또는 기류의 흐름을 다소 방해하는 레일에서 슬라이딩하는 요소에 대응한다. 가동 플랩은 그것의 경사 각도 또는 레일 내에서의 그것의 위치에 따라 기류의 흐름을 여러 방향으로 배향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류의 흐름을 객실의 여러 영역을 향해 배향함으로써 기류의 관리를 보장할 수 있다.
여러 타입의 플랩이 존재하며, 본 발명은 단일 플랩 타입에 한정되지 않는다. 나비형 플랩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벗하는 패널 또는 벽을 갖춘 플랩에 대응하는데, 회전축은 패널의 중심에 있다. 대안예로서, 나비형 플랩은 또한 2개의 날개 및 회전축을 갖춘 플랩에 대응하는데, 회전축은 2개의 날개 사이에 위치한다. 날개 또는 패널이란 용어(여기에서 두 용어는 동등함)는 대략적으로 평평하고 직사각형이며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벽 또는 판을 의미한다. 날개 또는 패널의 표면은 기류의 전환을 허용하거나 또는 심지어 기류의 흐름을 차단한다. 셔터형 플랩은 패널의 일 단부에 위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벗하는 날개 또는 패널을 갖춘 플랩에 대응한다. 드럼형 플랩은 2개의 개별적이고 서로 평행한 평면에 놓인 2개의 측벽을 포함하는 플랩에 대응하는데, 이들 측벽 사이의 만곡된 벽이 기류가 지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2개의 측벽을 연결한다. 만곡된 벽과 회전 샤프트는 2개의 측벽 사이에 재료의 연속성을 형성한다. 각각의 회전축은 액추에이터를 통한 회전 운동을 유발하는 역할을 하는 회전 샤프트에 대응한다. 슬라이딩 플랩(슬라이딩 도어로 더 잘 알려져 있음)은 레일 내부에 슬라이딩 도어 또는 패널(두 용어는 동등함)을 포함하며 그 위에 적어도 하나의 랙(rack)이 배열되는 플랩에 대응한다. 도어를 움직이게 하기 위해, 랙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추가 기어휠이 액추에이터를 통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된다. 기어휠의 회전은 레일을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병진 운동을 야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30)은 공기 출구(36)의 높이에 배열된 제 1 플랩(64)을 포함한다. 제 1 플랩(64)은 나비, 셔터, 슬라이딩 도어 또는 드럼 타입의 플랩일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플랩(64)은 여기에서는 셔터 타입의 플랩이다. 제 1 플랩(64)은 벽(65), 및 벽(65)의 일 단부에 배열되며 그를 중심으로 벽(65)이 피벗하는 회전 샤프트(66)를 포함한다. 제 1 플랩(64)의 배향, 보다 정확하게는 벽(65)의 배향에 따라, 하우징(30)을 떠나는 기류(FS)는 자동차 탑승자의 설정점에 따라 1개 또는 2개의 출구 개구부(6, 7)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배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공기 출구(36)의 높이에 배열된 제 1 플랩(64)은 제 1 플랩 세트(64a) 및 제 2 플랩 세트(64b)를 포함할 수 있는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플랩 세트(64a)의 플랩들은 일 회전 방향,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피벗하며, 제 2 플랩 세트(64b)의 플랩들은 반대 회전 방향, 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피벗한다. 각 플랩 세트(64a, 64b)는, 각각의 플랩이 기류의 흐름에 대해 최소한의 저항을 제공하는 개방 위치와, 가동 플랩들이 협력하여 공기 출구(36)를 폐쇄함으로써 기류(FS)가 공기 출구(36)를 통해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폐쇄 구성 사이에서 피벗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플랩 세트(64a, 64b)가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작동 기구를 마련할 수도 있다. 예컨대, 각 플랩 세트(64a, 64b)는 전용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그 액추에이터는 각 플랩 세트를 임의의 구성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캠 경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하우징(30)에서 배출되는 기류(FS)를 출구 개구부(6, 7) 쪽으로 배향하거나 또는 배향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제 2 플랩 세트(64b)의 모든 플랩이 폐쇄 구성에 있고 제 1 플랩 세트(64a)의 플랩들이 개방 구성에 있는 경우, 그러면 하우징(30)에서 배출되는 기류(FSa)는 윈도우(9)에 가까운 출구 개구부(6)에 공급하도록 배향된다. 마찬가지로, 제 2 플랩 세트(64b)의 모든 플랩이 개방 구성에 있고 제 1 플랩 세트(64a)의 플랩들이 폐쇄 구성에 있는 경우, 그러면 하우징(30)에서 배출되는 기류(FSb)는 팔걸이에 있는 출구 개구부(7)에 공급하도록 배향된다. 각 플랩 세트(64a, 64b)의 플랩들은 각 플랩의 피벗을 동기화하기 위해 커넥팅 로드를 통해 함께 연결될 수도 있으며, 액추에이터는 예컨대 커넥팅 로드를 움직이거나 또는 플랩들 중에서 커넥터 로드를 구동하는 하나의 플랩을 움직이게 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플랩(64)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64c)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슬라이딩 도어(64c)는 슬라이딩 도어가 기류를 출구 개구부(6, 7) 중 하나 또는 둘 모두 쪽으로 배향하거나 또는 공기 출구(36)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도록 U자형 레일(67)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제 1 플랩(64)은 그 자체가 자동차의 전자 제어 장치(ECU)에 의해 제어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움직인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탑승자는 대시보드 상의 제어 버튼을 누름으로써 희망 환기 조건(온도 및 공기 유량)을 ECU에 지시하며, 그에 반응하여 ECU는 액추에이터에 명령을 보내서 설정점에 따라 공기 유동을 변경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9) 근처에 습도 센서를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습도 센서가 과도한 습도 레벨(예컨대 윈도우 상에 안개가 낀 것)을 탐지하면, 센서는 액추에이터에 신호를 보내서 제 1 플랩(64)을, 하우징(30)에서 배출되는 기류(FS)가 출구 개구부(9)를 통해 윈도우(9) 쪽으로 배향되도록 위치시킨다. ECU는 또한 윈도우(9)의 습기를 더 잘 제거할 수 있는 제 2의 온난 건조한 기류(FE)를 공급하도록 자동차의 난방, 환기 및/또는 공조 시스템에 명령을 보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플랩(7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 개구부(6, 7) 사이에서 도어(4) 내의 중공체(10) 내부에 배열될 수도 있다. 환언하면, 중공체(10)는 적어도 2개의 출구 개구부(6, 7)를 포함하고, 가동 플랩(72)은 기류가 출구 개구부(6, 7) 중 적어도 하나 쪽으로 선택적으로 배향될 수 있도록 상기 출구 개구부(6, 7) 사이에 배열된다. 제 2 플랩(72)은 또한 셔터 타입의 플랩이거나(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음), 또는 나비, 드럼 또는 슬라이딩 타입의 플랩일 수도 있다. 제 2 플랩(72)은 하우징(30)에서 배출되는 기류(FS)를 출구 개구부(7)의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구성으로부터, 기류(FS)를 출구 개구부(6)의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구성으로, 및 임의의 중간 위치로 지나갈 수 있다. 따라서, 제 2 플랩(72)에 의해 기류가 임의의 출구 개구부(6, 7)를 통해 흐르는 것이 방지되는 실시예를 설계할 수 있다.
분명히, 제 1 플랩(64)을 하우징(30) 내부에, 그리고 제 2 플랩(72)을 중공체 내부에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30)은 또한 제 1 공기 입구(35)의 높이에 배열된 제 3 플랩(74)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3 플랩(74)은 나비, 셔터, 슬라이딩 도어 또는 드럼 타입의 플랩일 수도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플랩(74)은 여기에서는 슬라이딩 타입의 플랩이다. 제 3 플랩(74)은 랙이 그 위에 배열되는 벽 또는 도어(75)를 포함한다. 기어휠, 즉 복수의 치부(teeth)를 갖춘 요소가 액추에이터 또는 모터에 의해 회전 운동한다. 이러한 피벗은 랙과 기어휠의 협력을 통해 도어(75)의 병진 운동을 허용한다. 도어의 변위를 제한된 또는 사전 규정된 공간 내에 한정하기 위해, 도어(75)는 여기에서는 U자형인 레일(76)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스터드(stud)를 포함한다. 따라서, 레일(76) 또는 다른 예에서는 액추에이터의 치수에 따라, 제 3 플랩(74)은 제 1 공기 입구(35)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환언하면, 제 3 가동 플랩(74)은, 도어(75)가 제 1 공기 입구(35)를 통한 기류의 흐름에 최소한의 저항을 제공하는 개방 구성으로부터, 도어(75)가 제 1 공기 입구(35)를 완전히 폐쇄하는 폐쇄 구성으로 지나갈 수 있다. 당연히, 제 3 플랩(74)은 임의의 중간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30)은 또한 제 2 공기 입구(39)의 높이에 배열된 제 4 플랩(78)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4 플랩(78)은 나비, 셔터 또는 드럼 타입의 플랩일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플랩(78)은 여기에서는 나비 타입의 플랩이다. 제 4 플랩(78)은 벽(80) 또는 도어, 및 벽(80)의 중심에 배열된 회전 샤프트(82), 즉 핀을 포함한다. 회전 샤프트(82)는 벽(80)의 회전을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움직인다. 환언하면, 제 4 플랩(78)은 벽(80)이 제 2 공기 입구(39)를 통한 기류의 흐름에 최소한의 저항을 제공하는 개방 구성으로부터, 벽(80)이 제 2 공기 입구(39)를 통한 기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폐쇄 구성으로 지나갈 수 있다. 당연히, 제 4 플랩(78)은 임의의 중간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환언하면, 하우징이 제 3 가동 플랩(74) 및/또는 제 4 가동 플랩(78)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설계할 수 있다.
제 3 플랩(74)은 그 자체가 자동차의 전자 제어 장치(ECU)에 의해 제어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움직인다. 제 4 플랩(78)도 그 자체가 자동차의 전자 제어 장치(ECU)에 의해 제어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움직인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탑승자는 대시보드 상의 제어 버튼(온도 및 공기 유량)을 누름으로써 희망 환기 조건을 ECU에 지시하며, 그에 반응하여 ECU는 각 플랩(74, 78)을 위한 액추에이터에 명령을 보내서 설정점에 따라 공기 유동을 변경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의 공기 입구 개구부(8)가 제공된다. 이러한 추가적인 공기 입구 개구부(8)는 또한 중공체(10) 내로 개방된 다공성 벽에 대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가적인 공기 입구 개구부(8)는, 객실(5)로부터의 제 1 기류(FR)가 중공체(10) 내로 흡인된 후 하우징(30)의 제 1 공기 입구(35)를 통해 하우징(30)에 진입하고 그 후 처리된 제 2 기류(FE)와 채널(42) 내에서 혼합되도록 트림 패널(23) 상에 배치된다. 혼합된 기류는 하우징(30)의 공기 출구(36)를 통해 흐르고 중공체를 통해 출구 개구부(6, 7) 쪽으로 배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5 플랩(86)이 추가적인 공기 입구 개구부(8)의 높이에 배열될 수도 있다. 환언하면, 제 5 플랩(86)은 공기 입구 개구부(8)의 개방 구성으로부터 폐쇄 위치로 지나갈 수 있는데, 개방 구성에서는 기류가 공기 입구 개구부(8)를 통과하여 하우징(30)에 진입하고, 다른 제 3 플랩(74)은 하우징(30)의 제 1 공기 입구(35)의 높이에 배열될 수도 있으며, 폐쇄 위치에서는 제 5 플랩(86)이 추가적인 공기 입구 개구부(8)를 폐쇄하여 기류가 더 이상 추가적인 공기 입구 개구부(8)를 통해 흐를 수 없다. 이를 위해, 도어(4)는 그 구조 내에 제 5 플랩(86) 전체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recess)(88)를 포함한다. 환언하면, 제 5 플랩(86)은 개방 위치 및 오목부(88) 내로 후퇴된 위치에 있다.
여전히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플랩(78)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52) 내부에 배열될 수도 있다. 덕트(52)는 정지부(84)(도 8)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플랩(78)이 정지부(84)에 접하도록 놓여서 덕트(52)를 폐쇄할 수 있어서, 제 2 기류(FE)가 제 2 공기 입구(39)를 통해 흐르는 것을 차단한다.
다른 기류의 흐름에 의한 기류의 흡인의 원리는 기류 유도하고 하는데, 객실에서 온 제 1 기류(FR)는 하우징(30) 내에서 난방, 환기 및/또는 공조 시스템에서 온 제 2 기류(FE)의 압력 강하에 의해 유도되는 기류를 형성한다. 혼합된 제 2 기류(FE)와 제 1 기류(FR)는 그 후에 하나 이상의 출구 개구부(6, 7)를 통해 방출되는 기류(FS)를 형성한다.
HVAC에서 온 제 2 기류와 객실에서 온 제 1 기류(FR) 간의 혼합물의 더 나은 혼합을 확보하기 위해, 중공체(10)에는 공기 입구 개구부(8)의 하류측에서 이들 두 기류를 모으고 이들을 출구 개구부(6, 7)까지 안내하도록 배열된 혼합 채널이 장착될 수도 있는데, 중공체(10) 내에서의 기류(FE)와 기류(FR)의 혼합을 최적화하기 위해 예컨대 하나 이상의 유동 방해체(flow disruptor)가 혼합 채널 내에 배치된다.
공기 입구 개구부(8)는, 크기, 배치 또는 물리적 특성의 관점에서, 하우징의 채널(42)에 진입하는 제 2 기류(FE)가 공기 입구 개구부(8)를 통해 빠져나갈 수 없도록 구성된다. 채널(42)에 진입하는 제 2 기류(FE)의 속도는 그것이 공기 입구 개구부(8)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일 없이, 복수의 공기 입구 개구부(8)가 제공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공기 입구 개구부(8)는 도어(2)의 하부 부분 내에 위치되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환언하면, 각각의 공기 입구 개구부(8)는 자동차의 루프보다는 바닥에 가깝게 위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공기 입구 개구부(8)는 하우징(30)보다는 도어(2)의 하부면에 가깝게, 또는 팔걸이(63) 밑에 위치된다. 따라서, 위에서 정의된 좌표계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공기 입구 개구부(8)는 수직축(V)을 따라 하우징(30) 밑에 배치된다.
공기 입구 개구부(8)는 본 예에서는 객실에서 온 기류가 관통하여 도어(4) 내에 있는 중공체(10)에 진입하게 할 수 있는 다공성 벽에 대응한다. 제 1 기류(FR)는 임의 선택적으로(optionally) 지지체(61) 및 제 1 공기 입구(35)를 통과함으로써 하우징(30)에 진입한다.
당연히, 하우징(30) 및/또는 도어(4)가 제 1 플랩(64) 및/또는 제 2 플랩(72) 및/또는 제 3 가동 플랩(74) 및/또는 제 4 가동 플랩(78) 및/또는 제 5 가동 플랩(86)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설계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적으로 특정 예시적 실시예에 관하여 기술된 수단 및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들 수단 또는 구성의 모든 조합에, 그리고 균등물에, 그리고 그러한 수단 또는 구성과 균등물의 임의의 조합에 적용된다. 마찬가지로, 여기에서는 본 발명이 각각 한 유형의 기류 유도 기술을 실행하는 변형 실시예에 따라 설명되었지만, 제시된 기술들은 본 발명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결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Claims (13)

  1. 자동차 도어(4)에 장착되도록 의도된 하우징(30)으로서,
    - 제 1 기류(FR)를 상기 하우징(30) 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 1 공기 입구(35),
    - 공기 출구(36),
    - 상기 하우징(30) 내에 배열되며 적어도 하나의 구획부(38)에 의해 구획된 챔버(37), 및
    - 제 2 기류(FE)를 상기 챔버(37) 내로 직접 유입시키기 위한 제 2 공기 입구(39)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공기 입구(35), 상기 챔버(37) 및 상기 공기 출구(36)는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하우징(3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은 적어도 하나의 가동 플랩(movable flap)(64, 74, 7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출구(36)의 높이에 제 1 가동 플랩(64)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동 플랩(64)은 적어도 하나의 패널(65) 및 회전 샤프트(66)를 포함하는 셔터(shutter) 또는 나비 타입의 플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동 플랩(64)은 제 1 플랩 세트(64a) 및 제 2 플랩 세트(64b)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랩 세트(64a)의 플랩들은 일 회전 방향으로 피벗하고, 상기 제 2 플랩 세트(64b)의 플랩들은 반대 회전 방향으로 피벗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동 플랩(64)은 레일(67)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도어(64c)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타입의 플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 입구(35)의 높이에 제 3 가동 플랩(74)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가동 플랩(74)은 레일(76) 내부에 슬라이딩 도어(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기 입구(39)의 높이에 제 4 가동 플랩(78)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9. 하우징 지지체(61)를 포함한 자동차 도어(4)와,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우징(30)의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4)는 함께 도어(4)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트림 패널(21, 23) 및 도어 보디워크(door bodywork)(22)를 포함하고, 상기 트림 패널(21, 23) 및 상기 도어 보디워크(22)는 이들 사이에 중공체(hollow body)(10)를 한정하고, 상기 중공체(10)를 통해 기류가 흐를 수 있으며, 상기 중공체(10) 내에 제 2 가동 플랩(72)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동 플랩(72)은 적어도 하나의 패널(65) 및 회전 샤프트(66)를 포함하는 셔터 또는 나비 타입의 플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체(10)는 적어도 2개의 출구 개구부(6, 7)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가동 플랩(72)은 기류가 상기 출구 개구부(6, 7) 중 적어도 하나 쪽으로 선택적으로 배향될 수 있도록 상기 출구 개구부(6, 7)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3. 자동차 도어(4)와 하우징(30)의 조립체로서, 상기 자동차 도어(4)는 함께 도어(4)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트림 패널(21, 23) 및 도어 보디워크(22)를 포함하고, 상기 트림 패널(21, 23) 및 상기 도어 보디워크(22)는 이들 사이에 중공체(10)를 한정하고, 상기 중공체(10)를 통해 기류가 흐를 수 있으며, 상기 자동차 도어(4)는 하우징 지지체(61)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30)은,
    - 제 1 기류(FR)를 상기 하우징(30) 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 1 공기 입구(35),
    - 공기 출구(36),
    - 상기 하우징(30) 내에 배열되며 적어도 하나의 구획부(38)에 의해 구획된 챔버(37), 및
    - 제 2 기류(FE)를 상기 챔버(37) 내로 직접 유입시키기 위한 제 2 공기 입구(39)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공기 입구(35), 상기 챔버(37) 및 상기 공기 출구(36)는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중공체(10) 내부에 가동 플랩(72)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KR1020207035342A 2018-06-14 2019-06-11 자동차 도어에 장착될 하우징, 및 그러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도어 KR1025337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55228 2018-06-14
FR1855229 2018-06-14
FR1855228A FR3082457B1 (fr) 2018-06-14 2018-06-14 Boiter destine a etre monte sur une portiere de vehicule automobile et portiere comprenant un tel boitier
FR1855229A FR3082458A1 (fr) 2018-06-14 2018-06-14 Boiter destine a etre monte sur une portiere de vehicule automobile et portiere comprenant un tel boitier
PCT/FR2019/051397 WO2019239050A1 (fr) 2018-06-14 2019-06-11 Boiter destine a etre monte sur une portiere de vehicule automobile et portiere comprenant un tel boit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401A KR20210008401A (ko) 2021-01-21
KR102533797B1 true KR102533797B1 (ko) 2023-05-17

Family

ID=68296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342A KR102533797B1 (ko) 2018-06-14 2019-06-11 자동차 도어에 장착될 하우징, 및 그러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도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197649A1 (ko)
EP (1) EP3807111A1 (ko)
KR (1) KR102533797B1 (ko)
CN (1) CN112368162A (ko)
WO (1) WO20192390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51272A1 (en) * 2020-08-04 2022-02-09 Enolgas Bonomi S.p.A. Air conditioning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1938A (ja) 2001-12-21 2003-07-30 Modine Mfg Co 自動車のhvacシステム
JP2005114234A (ja) 2003-10-07 2005-04-28 Denso Corp 気体送風装置および空調装置
JP2005119639A (ja) 2003-09-26 2005-05-12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3473A (en) * 1965-09-07 1967-09-26 Vapor Corp Air distribution system
JPS6288606A (ja) * 1985-10-14 1987-04-23 Nippon Denso Co Ltd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DE3613325C2 (de) * 1986-04-19 1995-03-23 Josef Haas Belüftungsvorrichtung für Transportfahrzeuge
US5462482A (en) * 1994-10-31 1995-10-31 Davidson Textron Inc. Automobile door having interior trim panel with air flow control opening
US5690550A (en) * 1996-04-24 1997-11-25 Manchester Plastics, Inc. Diffuser outlet assembly
JP4321106B2 (ja) * 2003-05-13 2009-08-2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
CN2696885Y (zh) * 2004-02-06 2005-05-04 法雷奥汽车空调湖北有限公司 带吸入装置的汽车空气传感器
FR2970905A1 (fr) * 2011-01-28 2012-08-0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distribution d'air a effet venturi pour une installation de chauffage et/ou climatisation
JP2013124077A (ja) * 2011-12-16 2013-06-24 Keihin Corp 車両用空気調和装置
FR3012080B1 (fr) * 2013-10-21 2018-07-13 Valeo Systemes Thermiques Installation de chauffage, ventilation et/ou climatisation pour un habitacle de vehicule automobile
JP2016033441A (ja) * 2014-07-31 2016-03-10 豊和化成株式会社 空気吹出装置
FR3038547B1 (fr) * 2015-07-10 2017-08-04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chauffage, ventilation et/ou climatisation pour vehicule automobile, module additionnel et procede d'assemblage correspondants
DE102015122348A1 (de) * 2015-12-21 2017-06-22 Hanon Systems Heiz- und Klima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US9694650B1 (en) * 2015-12-30 2017-07-04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Ventilation member and door of utility vehicle with the ventilation member
FR3050145A1 (fr) * 2016-04-15 2017-10-20 Renault Sas Systeme de climatisation/chauffage dote d'un dispositif de traitement d'air performa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1938A (ja) 2001-12-21 2003-07-30 Modine Mfg Co 自動車のhvacシステム
JP2005119639A (ja) 2003-09-26 2005-05-12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5114234A (ja) 2003-10-07 2005-04-28 Denso Corp 気体送風装置および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07111A1 (fr) 2021-04-21
US20210197649A1 (en) 2021-07-01
WO2019239050A1 (fr) 2019-12-19
KR20210008401A (ko) 2021-01-21
CN112368162A (zh) 2021-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9732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S633523Y2 (ko)
JP6474938B2 (ja) 自動車の加熱、換気及び/又は空調装置、及び対応する追加モジュール、及び組立方法
US20170267065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KR10140344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20180141404A1 (en) Rear Seat Air Regulating Device for HVAC Module
US6439296B1 (en) Heating or air-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occupant compartment
KR101154478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US3289564A (en) Air-conditioning devices for automobile vehicles
KR10111366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33797B1 (ko) 자동차 도어에 장착될 하우징, 및 그러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도어
KR10170998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36606B1 (ko)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KR102206974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JPH0154204B2 (ko)
JPS6246369B2 (ko)
JP3877187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2004114889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KR10142588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1225630A (ja) 自動車用の空気調和ユニット
JPH10250344A (ja) 自動車用空調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装置
JPH1191342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60135033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S6140583Y2 (ko)
KR0124859Y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히터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