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385B1 - 폐스티로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폐스티로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385B1
KR102526385B1 KR1020210051654A KR20210051654A KR102526385B1 KR 102526385 B1 KR102526385 B1 KR 102526385B1 KR 1020210051654 A KR1020210051654 A KR 1020210051654A KR 20210051654 A KR20210051654 A KR 20210051654A KR 102526385 B1 KR102526385 B1 KR 102526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shaft
rotational shaft
unit
waste styro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5052A (ko
Inventor
임민택
Original Assignee
임민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민택 filed Critical 임민택
Priority to KR1020210051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385B1/ko
Publication of KR20220145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plastics, e.g. cinematographic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8Crushing, i.e. disintegrating into small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5/00Use of polymers of vinyl-aromatic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5/04Polymers of styrene
    • B29K2025/06PS, i.e. polystyr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폐스티로폼을 저장하는 투입부, 투입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폐스티로폼을 파쇄하는 파쇄부 및 파쇄물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파쇄부는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제1 회전축, 제1 회전축에 형성되는 복수의 파쇄날, 제1 회전축의 측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수평이동되게 설치되는 제2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에 형성되는 복수의 파쇄날을 구비하는 제1 커팅부를 포함하되, 파쇄부가 파쇄모드로 동작시,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은 최대 이격거리로 이격되고,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은 상기 배출부 방향으로 회전하며, 파쇄부가 청소모드로 동작시,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의 최소 이격거리가 되도록 제2 회전축이 이동하고, 제1 회전축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폐스티로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폐스티로폼 처리장치{ Waste Styrofoam Treatment Equipment}
본 발명은 폐스티로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폐스티로폼 파쇄시 처리장치의 회전축에 감긴 테이프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폐스티로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로폼은 폴리스틸렌을 발포시킨 발포폴리스틸렌으로 가볍고, 내수성, 단열성을 가지며 방음성능과 완충성능이 우수하여 포장재나 건축물의 단열재, 부력재 및 절연재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스티로폼은 폴리스틸렌 특성상 오랜 시간이 경과하여도 부식되지 않아 매립 처리시 문제가 발생되고, 소각시에는 유독가스 발생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일예로 폐스티로폼을 파쇄시키고 용융시키는 폐스티로폼 감용장치가 있다. 이러한 폐스티로폼 감용장치는 호퍼에 투입되는 스티로폼이 완벽하게 파쇄되지 못하여 크기가 큰 스티로폼이 입구를 막아 용융시 잔류 폐스티로폼이 발생하여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폐스티로폼을 파쇄하는 장치들은 폐스티로폼에 부착된 접착테이프, 라벨, 노끈, 플라스틱 로프 등의 이물질이 파쇄장치의 회전축에 감겨 수시로 이를 제거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효율성이 떨어지고, 회전축에 감긴 이물질을 방치할 경우 폐스티로폼 파쇄장치에 고장이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35590호는 스티로폼 파쇄장치로서, 스티로폼에 부착된 테이프 등을 수작업으로 제거하지 않고 스티로폼 이동중에 테이프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스티로폼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35590호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스티포폼 투입칼날을 이용하여 접착 테이프 등의 제거대상물이 제거되도록 한다. 그러나, 스티로폼 투입칼날이 파쇄부의 상단에 위치하므로, 폐스티로폼이 파쇄되는 동안 파쇄부에 감기는 노끈이나 플라스틱 끈 등을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파쇄장치의 회전축에 감기는 접착테이프, 라벨, 노끈, 플라스틱 로프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폐스티로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폐스티로폼을 저장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폐스티로폼을 파쇄하는 파쇄부; 및 상기 파쇄물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쇄부는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제1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에 형성되는 복수의 파쇄날; 상기 제1 회전축의 측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수평이동되게 설치되는 제2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에 형성되는 복수의 파쇄날을 구비하는 제1 커팅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쇄부가 파쇄모드로 동작시, 상기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은 최대 이격거리로 이격되고,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배출부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파쇄부가 청소모드로 동작시, 상기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의 최소 이격거리가 되도록 상기 제2 회전축이 이동하고, 상기 제1 회전축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폐스티로폼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폐스티로폼 처리장치는 상기 파쇄모드로 동작시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속도가 상기 제2 회전축의 회전속도에 비해 더 빠르게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파쇄부는 상기 제1 커팅부의 상부에 제3 회전축 및 제4 회전축과 상기 제3 및 제4 회전축에 각각 형성되는 제3 파쇄날 및 제4 파쇄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쇄모드로 동작시 상기 제3 회전축은 상기 제4 회전축에 비해 빠른 속도로 회전하여 투입된 폐스티로폼을 파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스티로폼 처리장치는 회전축 상에 노끈이나, 플라스틱 로프 등이 감길 경우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동력장치의 과부하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스티로폼 처리장치는 주기적으로 청소모드로 동작시켜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상에 노끈이나 플라스틱 로프 등을 제거하여 폐스티로폼 파쇄 작업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스티로폼 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커팅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커팅부를 도시한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스티로폼 처리장치의 제1 커팅부가 파쇄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스티로폼 처리장치의 제1 커팅부가 청소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스티로폼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커팅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커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폐스티로폼 처리장치는 투입부(10), 파쇄부(20)및 배출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입부(10)는 파쇄부(20) 상단에 위치하여 폐스티로폼을 저장하고, 파쇄모드 시 폐스티로폼을 파쇄부(20)로 공급한다.
파쇄부(20)는 공급되는 폐스티로폼을 재가공 또는 폐기를 위하여 작은 크기로 절단하여 배출한다. 파쇄부(20)는 챔버 내부에 폐스티로폼을 절단하는 다수의 칼날이 구비되며, 다수의 칼날들은 회전축에 장착되어 회전한다. 이를 통해, 폐스티로폼은 미세한 크기로 절단되어 배출된다.
파쇄부(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팅부(100)와 제2 커팅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커팅부(100)는 폐스티로폼을 재활용이 가능한 크기로 파쇄한다. 이를 위하여, 제1 커팅부(100)는 고속회전하는 제1 회전축(110)과 저속 회전하는 제2 회전축(13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회전축(110)에는 톱니바퀴 형태의 제1 파쇄날(120)이 복수개 형성된다.
제1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복수의 제1 파쇄날(120)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각 파쇄날은 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2 회전축(130)에는 제1 파쇄날(120)과 다른 형태의 톱니바퀴 형태의 제2 파쇄날(140)이 복수개 형성된다. 제2 파쇄날(140)은 제1 파쇄날(120)과 엇갈리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파쇄날(140)은 제1 파쇄날(120)과 부딪히지 않도록 배치된다.
제2 회전축(130)은 축가이드(190)를 따라 제1 회전축(110)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제2 회전축(130)은 파쇄모드로 동작시와 청소모드로 동작 시 축가이드(190)를 따라 제1 회전축(11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회전축(130)은 유압실린더(195)를 통해 제2 회전축(130)을 제1 회전축(110) 방향으로 이송시켜 축간 거리를 가깝게 할 수 있다.
제2 커팅부(200)는 투입부(10)로부터 공급되는 폐스티로폼을 소정의 크기로 파쇄할 수 있다. 이때, 제2 커팅부(200)는 제1 커팅부(100) 상부에 위치하여 공급되는 폐스티로폼을 먼저 작은 크기로 파쇄한다.
제2 커팅부(200)는 제3 회전축(210) 및 제4 회전축(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회전축(210)에는 제3 파쇄날(220)이 배치되고, 제4 회전축(230)에는 제4 파쇄날(24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3 파쇄날(220)은 제1 파쇄날(120)과 같이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제4 파쇄날(240)은 제2 파쇄날(140)의 개수에 비해 더 적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회전축(210)은 제1 회전축(110)과 같이 고속회전하며, 제4 회전축(230)은 제2 회전축(130)과 같이 저속회전한다.
제2 커팅부(200)는 파쇄모드에서만 작동되며, 청소 모드시에는 제3 및 제4 회전축(210, 230)이 정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2 커팅부(200)는 청소모드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다. 특히, 제1 회전축(110)과 제3 회전축(210)이 동일한 체인에 연결되어 하나의 동력장치(예를 들면, 모터 등)로 동작하고, 제2 및 제4 회전축(120, 220)이 하나의 체인에 연결되어 하나의 구동장치로 동작할 경우, 청소모드에서도 제2 커팅부(200)는 동작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스티로폼 처리장치의 제1 커팅부가 파쇄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 사이의 축간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제1 커팅부가 청소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팅부(100)가 파쇄모드 동작시 제1 회전축(110)과 제2 회전축(130)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제1 회전축(11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회전축(13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파쇄된 폐스티로폼 가루가 배출부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제1 회전축(110)과 제2 회전축(130)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두축(110, 130) 사이로 폐스티로폼이 유입되면 일정한 크기로 파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파쇄 모드시 축간 거리(L1)가 270mm이다. 그러나 제1 및 제2 회전축(110, 130)의 축간 거리는 상기 수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파쇄날의 반경 등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파쇄날(120)은 고속으로 회전하고, 제2 파쇄날(140)은 제1 파쇄날(120)에 비해 저속으로 회전하여, 파쇄된 폐스티로폼 조각이 상부방향으로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파쇄모드 동작시 폐스티로폼에 잔류하는 노끈, 플라스틱 로프 등이 제1 회전축(110)에 감긴다. 제1 회전축(110)에 감긴 노끈이나 플라스틱 로프 등은 제1 회전축(110)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며, 제1 회전축(110)을 회전시키는 동력장치(40)에 과부하를 발생시키는 주요 요인인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팅부(100)는 청소모드로 동작한다.
제1 커팅부(100)가 청소모드 동작 시 제1 회전축(110)은 파쇄모드 동작시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회전축(130)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더 상세하게, 제1 커팅부(100)가 청소모드 동작시 제2 회전축(130)은 제 1 회전축(110)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회전축(110)은 역방향으로 회전방향이 변경되고, 회전 속도도 감속된다. 따라서, 제2 파쇄날(140)은 제1 회전축(110)에 잔류하는 노끈이나 플라스틱 로프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이때, 제2 회전축(130)의 이동거리는 제2 파쇄날(140)이 제1 회전축(110)과 인접하는 거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회전축(130)이 제2 파쇄날(140)이 제1 회전축(110)과 맞닿을 때까지 이동할 경우 제2 파쇄날(140)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2 회전축(130)은 제2 파쇄날(140)이 제1 회전축(110)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영역까지만 이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청소모드시 제1 및 제2 회전축(110, 130)의 축간거리(L2)는 245mm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파쇄날의 크기 등에 맞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스티로폼 처리장치는 회전축 상에 노끈이나, 플라스틱 로프 등이 감길 경우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동력장치의 과부하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기적으로 청소모드로 동작시켜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상에 노끈이나 플라스틱 로프 등을 제거하여 폐스티로폼 파쇄 작업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투입부
20: 파쇄부
30: 배출부
40: 동력장치
100: 제1 커팅부
110: 제1 회전축
120: 제1 파쇄날
130: 제2 회전축
140: 제2 파쇄날
190: 축가이드
195: 유압실린더
200: 제2 커텅부
210: 제3 회전축
220: 제3 파쇄날
230: 제4 회전축
240: 제4 파쇄날

Claims (4)

  1. 폐스티로폼을 저장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폐스티로폼을 파쇄하는 파쇄부; 및
    상기 파쇄물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쇄부는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제1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에 형성되는 복수의 파쇄날;
    상기 제1 회전축의 측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수평이동되게 설치되는 제2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에 형성되는 복수의 파쇄날을 구비하는 제1 커팅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쇄부가 파쇄모드로 동작시,
    상기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은 최대 이격거리로 이격되고,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배출부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속도가 상기 제2 회전축의 회전속도에 비해 더 빠르게 회전하고,
    상기 파쇄부가 청소모드로 동작시, 상기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의 최소 이격거리가 되도록 상기 제2 회전축이 이동하고,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파쇄모드 동작시 회전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과 동시에 회전속도도 감속되어 상기 제2 파쇄날이 상기 제1 회전축에 잔류하는 노끈 또는 플라스틱 로프를 제거하며,
    상기 파쇄부는
    상기 제1 커팅부의 상부에 제3 회전축 및 제4 회전축과 상기 제3 및 제4 회전축에 각각 형성되는 제3 파쇄날 및 제4 파쇄날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쇄모드로 동작시 상기 제3 회전축은 상기 제4 회전축에 비해 빠른 속도로 회전하여 투입된 폐스티로폼을 파쇄하는 폐스티로폼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51654A 2021-04-21 2021-04-21 폐스티로폼 처리장치 KR102526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654A KR102526385B1 (ko) 2021-04-21 2021-04-21 폐스티로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654A KR102526385B1 (ko) 2021-04-21 2021-04-21 폐스티로폼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052A KR20220145052A (ko) 2022-10-28
KR102526385B1 true KR102526385B1 (ko) 2023-04-27

Family

ID=83835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654A KR102526385B1 (ko) 2021-04-21 2021-04-21 폐스티로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38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1562A (ja) 1999-03-24 2000-10-03 Tadano Ltd 石膏ボード処理装置
KR100597441B1 (ko) 2003-01-22 2006-07-10 한국해양연구원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
KR200423418Y1 (ko) 2006-05-17 2006-08-07 이제영 스티로폼 분쇄기
JP2007014882A (ja) * 2005-07-07 2007-01-25 Nikka Techno Kk 破砕機とその制御方法
KR101998055B1 (ko) 2019-06-07 2019-07-08 엄재언 폐지 파쇄기
KR102064913B1 (ko) * 2019-04-04 2020-01-10 (주)다원산업 축에 끈 말림을 억제하고 완전 제거하는 파봉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1562A (ja) 1999-03-24 2000-10-03 Tadano Ltd 石膏ボード処理装置
KR100597441B1 (ko) 2003-01-22 2006-07-10 한국해양연구원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
JP2007014882A (ja) * 2005-07-07 2007-01-25 Nikka Techno Kk 破砕機とその制御方法
KR200423418Y1 (ko) 2006-05-17 2006-08-07 이제영 스티로폼 분쇄기
KR102064913B1 (ko) * 2019-04-04 2020-01-10 (주)다원산업 축에 끈 말림을 억제하고 완전 제거하는 파봉장치
KR101998055B1 (ko) 2019-06-07 2019-07-08 엄재언 폐지 파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052A (ko) 2022-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666B1 (ko) 폐기물 파쇄장치
KR102447202B1 (ko) 폐기물 파쇄장치
KR101935590B1 (ko) 스티로폼 파쇄장치
KR101870585B1 (ko) 폐 스티로폼 파쇄기
KR20190142839A (ko) 폐 스티로폼의 파쇄 및 이물질 분리기
KR100952903B1 (ko) 원심력을 이용한 폐비닐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비닐 재생 시스템
KR102526385B1 (ko) 폐스티로폼 처리장치
KR101658520B1 (ko) 재활용 수거 봉지 파봉장치
KR102272376B1 (ko) 스티로폼 파쇄장치
KR100526953B1 (ko) 목재 분쇄 장치
JP4574604B2 (ja) 剪断式破砕装置
JP2006326404A (ja) 破砕作業車
KR200385088Y1 (ko) 선별기
KR100908139B1 (ko) 폐목을 이용한 화목 제조장치
JP4308046B2 (ja) 破袋装置
KR102361059B1 (ko) 고형연료용 폐합성수지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장치
KR100647035B1 (ko) 어구용 폐스티로폼 감용장치
KR100469677B1 (ko) 임목폐기물 파쇄장치
KR100213985B1 (ko) 폐스치로폼 분쇄기
KR200295213Y1 (ko) 폐 스티로폼 파쇄장치
JP2008168196A (ja) 廃タイヤ切断装置
JP2001246278A (ja) 破砕機
KR102385417B1 (ko) 스티로폼 파쇄장치
JP4578306B2 (ja) 剪断式破砕装置
JP3291533B2 (ja) 切断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