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7441B1 -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 - Google Patents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441B1
KR100597441B1 KR20030004375A KR20030004375A KR100597441B1 KR 100597441 B1 KR100597441 B1 KR 100597441B1 KR 20030004375 A KR20030004375 A KR 20030004375A KR 20030004375 A KR20030004375 A KR 20030004375A KR 100597441 B1 KR100597441 B1 KR 100597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tyrofoam
outlet
washing
styrofoam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04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7331A (ko
Inventor
강창구
유정석
김선송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to KR20030004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7441B1/ko
Publication of KR20040067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1Surface mounted components
    • H05K3/3421Leaded components
    • H05K3/3426Leaded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le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식장용 부자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을 파쇄하는 파쇄수단과; 상기 파쇄수단과 연결되며, 파쇄된 상기 폐스티로폼을 세정수에 의해 세척하는 세척수단과; 상기 세척수단과 연결되며, 세척된 상기 폐스티로폼을 원심력에 의해 탈수하는 탈수수단과; 상기 탈수수단과 연결되며, 탈수된 상기 폐스티로폼을 가열하여 건조하는 건조수단과; 상기 건조수단과 연결되며, 건조된 상기 폐스티로폼을 압출하여 감용하는 감용수단을; 포함하여, 해수, 굴, 조개 껍질 등 이물질이 함유된 양식장용 부자 폐스티로폼이 연속적으로 자동으로 감용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폐스티로폼, 양식장용 부자, 감용장치, 감용기, 감용 시스템

Description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Volume reducing system for waste styrofoams of aquafarm's float}
도1은 종래의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폐스티로폼을 감용하는 전체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의 전체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는 도3에서의 파쇄수단 부분을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5는 도3에서의 세척수단 부분을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a는 도3에서의 탈수수단 부분을 상세히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6b는 도3에서의 탈수수단 부분을 상세히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7은 도3에서의 건조수단 부분을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8a는 도3에서의 감용수단 부분을 상세히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8b는 도3에서의 감용수단 부분을 상세히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8c는 도8에서의 수분제거장치를 상세히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기호에 대한 간략한 설명*
100...폐스티로폼 감용 장치, 101...파쇄공정, 102...세척공정, 103...탈수공정, 104...건조공정, 105...감용공정, 106...절단공정,
200...콘베이어, 201...벨트, 202...지지대, 203...출구,
300...파쇄수단, 310...하우징, 311...입구, 312...출구, 320...파쇄기, 321...축, 322...커터, 330...분쇄기, 331...축, 332...커터, 340...이송블로워, 341...덕트,
400...세척수단, 410...하우징, 411...입구, 412...폐스티로폼용 출구, 413...이물질용 출구, 414...가이드, 420...터빈열, 421...축, 422...날개, 430...세정수교환장치, 431...세정수, 432...표면, 433...입구, 434...출구, 435...세정수공급원, 440...콘베이어, 450...저장통, 452...저장통, 470...호퍼, 471...입구, 472...출구, 473...로터리댐퍼, 480...모터, 481...벨트,
500...탈수수단, 510...하우징, 520...탈수통, 530...공급관, 531...배출관, 532...중앙통로관, 533...이물질제거관, 534...지지대, 540...이송블로워, 550...탈수 저장통, 551...입구, 552...출구, 553...이송블로워,
600...건조수단, 610...건조통, 611...공급관, 612...배출관, 613...환류관, 620...열풍송풍수단, 630...열풍공급관, 631...열풍분사관, 632...노즐, 640...그물망, 650...블로워, 660...건조 저장통, 661...입구, 662...출구, 663...이송블로워,
700...감용수단, 710...저장호퍼, 711...입구, 712...출구, 720... 이송수단, 721...입구, 722...제1차가열수단, 723...커터, 730...저장통, 740...압출기, 741...제2차가열수단, 750...수분제거장치, 751...상부관로, 752...냉각통, 753...하부관로, 754...흡입팬, 755...배출구, 756...가스배출구, 757...격판, 758...수분배출구, 760...흡착탑, 761...필터, 762...블로워, 763...하우징, 770...잉고트,
800...절단수단, 810...콘베이어.
본 발명은 양식장에 사용되는 부자와 같은 폐스티로폼을 감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해수, 굴, 조개 껍질 등 이물질이 함유된 양식장용 부자 폐스티로폼이 연속적으로 파쇄, 세척, 탈수, 건조, 감용되어 절단되는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감용 전에 해수, 굴, 조개 껍질 등 이물질이 세척, 탈수, 건조를 통해 분리, 제거되고 감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폐스티로폼을 감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증발된 수분 또는 유해가스가 안전하게 처리되고 이후 공정에 의한 재생 스티로폼의 품질이 안정화되는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로폼이란 발포스티렌(EPS, Expanded Poly-Styrene), 스티로폼(Styrofoam) 등으로 불리어지며 폴리스티렌 수지에 펜탄 또는 부탄 등 탄화수소가스를 주입시킨 후 이를 증기로 부풀린 발포제품으로 체적의 98%가 공기이고 나머 지 2%가 수지인 합성수지소재이다.
이러한 가벼운 스티로폼의 특성 때문에 양식장 부자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된 후 방치되는 폐스티로폼이 남해 연안 양식장에서 대량으로 발생되고 있다. 폐스티로폼을 매립하여 처리하는 것은 폐스티로폼의 부피가 크고 잘 썩지 않아 별로 실효성이 없으며, 폐스티로폼을 소각하는 것은 다이옥신 등 환경오염물질이 발생되어 좋은 방법이 되지 못한다. 마땅한 처리방법이 없어 양식장용 부자로 사용된 폐스티로폼이 야적되어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 폐스티로폼을 고열로 녹이거나 화학물질로 용해시키는 방법도 시도되고 있지만 방대한 폐스티로폼 양을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었고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도1에 도시되듯이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제96-3914호에 개시된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는 압출기(1)의 투입구 바로 위에 설치되며, 2개의 분쇄날을 고정한 2개의 분쇄축을 마주보도록 하여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된 분쇄기(2)와; 실린더 내부에 스크류장치를 회전이 가능하게 수납 장착하며, 스크류장치의 끝단부에 정체실과 토출구를 갖는 다이토출구를 연결 고정하여 분쇄 스치로폴을 압축하면 자신들의 압축열에 의해 순간적인 용융점에서 용융 축소화되도록 된 압출기(1)로 구성되어, 폐스티로폼을 압축열에 의해 용융하여 감용화하는 작용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양식장용 부자와 같은 폐스티로폼은 굴, 조개 껍질 등 이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압출하는 과정에서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가 정지해버리거나 심지이 기계의 파손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위 종래의 고안과 같은 감 용 장치가, 전자부품을 포장하는데 사용된 폐스티로폼과 같이 외부에 또한 소량의 수분만 있는 폐스티로폼을 압축, 감용하는 경우에는 증발된 수분으로 인해 소요 동력이 증가되지만 압축감용되기는 하였다. 그러나, 위 종래의 고안과 같은 감용장치가, 해수가 침투된 양식장용 부자와 같은 폐스티로폼을 압축감용하는 경우에는 직접, 간접 열이 폐스티로폼에 가하여져 수증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폐스티로폼 내에 잔류하는 펜탄, 부탄 등 발포제가 다시 물리적 상태변화 또는 화학반응으로 다시 발포하게 되어, 소음이 심하며 폐스티로폼이 압축감용되기 전에 감용기의 스크류속에서 딱딱해지고 이로 인해 감용장치가 파손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용융 감용화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증발된 수분, 유해가스가 역류하여 작업자에게 악취를 발생하게 하거나 유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물질 일부는 폐스티로폼에 포함되어 재생스티로폼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양식장에 사용되는 부자와 같은 폐스티로폼을 감용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수, 굴, 조개 껍질 등 이물질이 양식장용 부자 폐스티로폼에서 연속적으로 분리, 제거된 후에 폐스티로폼이 감용되어 절단되는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량의 폐스티로폼이 효과적으로 신속히 감용될 수 있는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스티로폼이 세척되어 연속적이며 효과적으로 굴, 조개 껍질 등 이물질이 분리제거되고, 폐스티로폼의 염분 농도가 저하되는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스티로폼이 감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발된 수분 또는 유해가스가 안전하게 처리되고 이후 공정에 의한 재생 스티로폼의 품질이 안정화되는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도록, 본 발명은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을 파쇄하는 파쇄수단과; 상기 파쇄수단과 연결되며, 파쇄된 상기 폐스티로폼을 세정수에 의해 세척하는 세척수단과; 상기 세척수단과 연결되며, 세척된 상기 폐스티로폼을 원심력에 의해 탈수하는 탈수수단과; 상기 탈수수단과 연결되며, 탈수된 상기 폐스티로폼을 가열하여 건조하는 건조수단과; 상기 건조수단과 연결되며, 건조된 상기 폐스티로폼을 압출하여 감용하는 감용수단을; 포함하여,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을 연속적으로 감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 장치에 이에 소요는 되는 세척기 및 감용기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을 파쇄하는 파쇄공정과; 파쇄된 상기 폐스티로폼을 세정수에 의해 세척하는 세척공정과; 세척된 상기 폐스티로폼을 원심력에 의해 탈수하는 탈수공정과; 탈수된 상기 폐스티로폼을 가열하여 건조하는 건조공정과; 건조된 상기 폐스티로폼을 압출하여 감용하는 감용공정을; 포함하여,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이 연속적으로 감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 감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쇄수단는 1차, 2차로 나뉘어 회전되는 커터에 의하여 파쇄(분쇄)하는 수단이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단은 폐스티로폼이 세정수에 담기어 터빈의 날개에 의하여 요동되면서 이동되어 폐스티로폼을 세척하는 수단이다. 또, 상기 탈수수단은 폐스티로폼이 헬리컬경로로 이동되면서 연속적으로 원심탈수되게 하는 수단이다. 그리고, 상기 건조수단은 열풍에 의해 폐스티로폼이 공중이 뜨있으면서 건조되게 하는 수단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감용수단은 압출로 폐스티로폼이 감용되면서 이때 발생되는 증발된 수분 및 유해가스가 무해하게 처리되게 하는 수단이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도록 다양한 형태의 변형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척수단은 터빈 열 대신에 콘베이어가 사용될 수 있으며, 건조수단은 원적외선, 열선 등 다양한 방법으로 건조될 수 있으며, 감용수단은 스크류식 대신에 피스톤식으로 압축하여 감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에는 양식장용 부자와 같은 폐스티로폼이 감용되는 전체 공정이 간략히 도시되어 있다. 폐스티로폼은 파쇄공정(101), 세척공정(102), 탈수공정(103), 건조공정(104), 감용공정(105), 절단공정(106)을 통해 폐스티로폼 잉고트(ingot)로 재생된다. 이러한 폐스티로폼 잉고트는 건축자재, 접착제 등 새로운 부품의 소재로 사용된다.
상기 파쇄공정(101)은 바람직하게는 회전 커터에 의해 큰 폐스티로폼이 잘게 파쇄되는 것이다. 폐스티로폼은 콘베이어 등을 통해 자동으로 파쇄공정(101)에 투입된다. 파쇄된 후에 이송블로워에 의하여 자동으로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고 무거운 굴껍질 등은 이송되지 않고 잔류하여 나중에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공정(102)은 바람직하게는 날개의 일부가 세정수의 표면과 잠겨있으며 상기 날개가 회전되어 입구를 통해 들어온 폐스티로폼을 세척하면서 폐스티로폼용 출구쪽으로 이송하는 터빈 열에 의해 세척되는 것이다. 굴껍질 등은 침전되어 폐스티로폼과 분리되고 폐스티로폼의 염분농도는 세정수에 의하여 저하된다. 세정수는 바람직하게는 주기적으로 교환되어, 순수한 세정수가 투입되어 폐스티로폼의 염분이 효과적으로 제거되게 된다.
상기 탈수공정(103)은 바람직하게는 폐스티로폼이 헬리컬 경로로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연속적으로 원심탈수되고 가벼워진 폐스티로폼은 흡입팬 또는 블로워에 의하여 흡입되어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탈수된 물과 무거운 이물질은 잔류되어 폐스티로폼에서 분리,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공정(104)은 바람직하게는 열풍에 의해 폐스티로폼이 공중이 뜨있으면서 건조되게 하는 것이다. 폐스티로폼이 감용되기 전에 폐스티로폼의 건조된 정도가 측정되어, 덜 건조된 경우에는 다시 건조공정(104)을 거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감용공정(105)은 바람직하게는 압출로 폐스티로폼이 감용되면서 이때 발생되는 증발된 수분과 유해가스는 흡입팬에 의해 흡입되어 수분은 액화되어 배출되고 유해가스는 활성탄 필터로 정화된 후에 대기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절단공정(106)은 감용된 폐스티로폼을 소정의 길이마다 커터로 절단되는 것이 다. 이렇게 절단된 폐스티로폼은 콘베이어로 이송되어 포장된다.
상기와 같이 폐스티로폼은 파쇄공정(101), 세척공정(102), 탈수공정(103), 건조공정(104), 감용공정(105), 절단공정(106)을 통해 폐스티로폼 잉고트로 생산된다.
도3에는 양식장용 부자와 같은 폐스티로폼이 감용되는 전체 장치가 간략히 도시되어 있다. 도4 내지 도8에는 도3에 도시된 부품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100)는 크게 파쇄수단(300), 세척수단(400), 탈수수단(500), 건조수단(600) 및 감용수단(700)으로 이루어져, 양식장용 부자와 같은 폐스티로폼도 해수, 굴, 조개 껍질 등 이물질이 연속적으로 분리제거되면서 신속히 감용된다. 상기 파쇄수단(300), 세척수단(400), 탈수수단(500), 건조수단(600) 및 감용수단(700) 전후에는 콘베이어(200, 810) 또는 이송불로워(340, 540, 553, 650, 663) 가 설치되어 폐스티로폼이 자동으로 이송되며, 세척 호퍼(470), 탈수저장통(550), 건조저장통(660), 저장호퍼(710)가 또한 설치되어 폐스티로폼이 일시 저장되어 장치 전체의 타이밍이 원활하게 된다.
상기 콘베이어(200)는 지지대(202) 위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벨트(201)로 이루어지고 출구(203)가 상기 파쇄수단(300)의 입구(311)와 연결되어, 폐스티로폼이 자동으로 상기 파쇄수단(300)에 투입된다.
도3 및 도4에 도시되듯이, 상기 파쇄수단(300)은 바람직하게는 1차로 하우징(310)의 내부에 설치된 파쇄기(320)에 의해 파쇄되고, 2차로 하우징(310)의 내부에 상기 파쇄기(320)의 하부에 설치된 분쇄기(330)에 의해 잘게 분쇄된다. 상기 파쇄기(320)는 회전되는 축(321)과, 상기 축(321) 상에 설치된 커터(322)를 가지어, 폐스티로폼이 1차로 파쇄된다. 그리고 상기 분쇄기(330)는 회전되는 축(331)의 한쌍과, 이 축(331)에 각각 설치되며 서로 맞물리듯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커터(332)를 가지어, 폐스티로폼이 잘게 분쇄된다. 이송블로워(340)가 덕트(341)를 통해 하우징(310)의 하부에 위치되는 출구(312)와 결합되고 이송블로워(340)의 출구쪽 덕트(341)는 상기 세척수단(400)의 입구(471)와 연결되어, 파쇄된 폐스티로폼이 상기 이송블로워(340)에 의하여 이송되며, 무거운 굴껍질, 조개껍질 등 이물질은 하우징(310)의 하부에 잔류하여 이물질이 폐스티로폼으로 부분적으로 분리제거된다.
도3 및 도5에 도시되듯이, 상기 세척수단(400)은 바람직하게는 폐스티로폼이 투입되어 저장되는 저장호퍼(470)와; 상기 저장호퍼(470)의 출구(472)와 결합되며, , 세정수(431)가 들어있으며, 입구(411), 폐스티로폼용 출구(412)와 이물질용 출구(413)를 가지는 하우징(410)과; 날개(422)의 일부가 표면(432) 아래로 잠겨있으며 상기 날개(422)가 회전되어 상기 입구(411)를 통해 들어온 폐스티로폼을 세척하면서 폐스티로폼용 출구쪽으로 이송하는 터빈 열(420)과; 상기 하우징(4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며 폐스티로폼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이물질용 출구(413)로 이송하는 컨베이어(440)와; 상기 세정수(431)가 교환되도록 상기 하우징(410)에 설치된 세정수교환장치(430)를; 포함하여, 폐스티로폼이 세정수(431)에서 요동되면서 세척되어 굴껍질, 조개껍질 등 이물질이 분리제거되고 폐스티로폼에 함유된 염분도 세 정수(431)에 희석되어 제거된다.
호퍼(470)는 출구(472)가 상기 하우징의 입구(411)와 연결되고 입구(471)가 상기 이송블로워(340)와 연결되어, 파쇄된 폐스티로폼이 일시 저장된다. 로터리댐퍼(473)가 상기 호퍼(470)의 하부에 내장되어, 회전하면서 폐스티로폼을 밀어낸다.
폐스티로폼은 상기 하우징의 입구(411)를 통해 투입되고 가이드(414)를 따라 터빈 열(420)에 도달하게 된다. 터빈열(420)는 회전되는 축(421)과 축상에 축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다수의 날개(422)를 가지는 터빈이 배열되어 있는 것이며, 각각의 터빈은 세정수의 표면(432) 아래로 날개(422) 일부가 잠기도록 하우징(410)에 내장되어, 폐스티로폼이 표면(432)의 상하로 요동되면서 폐스티로폼이 입구(411)에서 폐스티로폼용 출구(412)로 이송된다. 상기 터빈열(420)은 예를 들어 모터(480)와 벨트(481)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날개(422)는 세정수의 저항이 줄어들도록 망형태로 구성된다. 저장통(450)은 상기 출구(412)의 하부에 설치되어, 세척된 폐스티로폼이 일시 저장된다.
상기 콘베이어(440)는 예로 들어 갈매기 고무벨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410)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터빈열(420)의 하부에 설치되며 끝부분은 상기 하우징의 폐스티로폼용 출구(412)와 반대편에 위치하는 이물질용 출구(413) 쪽에 위치되어, 폐스티로폼에 분리된 굴껍질, 조개껍질 등의 무거운 이물질이 콘베이어(440) 위에 쌓이고 이송되고, 상기 출구(413)의 하부에 설치된 저장통(452)에 이물질이 퇴적되게 된다.
상기 세정수교환장치(430)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에 설치된 입구(433)와 출 구(434), 펌프와 제어판넬을 포함한 세정수공급원(435)으로 이루어져, 하우징(410)의 내부 세정수(431)가 염분농도가 소정의 농도이상으로 상승될 때, 하우징(410)의 내부 세정수(431)가 새로운 세정수(431)로 교환된다.
상기와 같은 세척수단(400)에 의해 세척된 폐스티로폼은 세척 저장통(450)에 일시 저장된 후에 되어, 상기 탈수수단(500)의 공급관(530)으로 이송된다.
도3 및 도6에 도시되듯이, 상기 탈수수단(500)은, 원통형상이고 측면에는 다수의 탈수공을 가지는 탈수통(520)과; 상기 탈수통(520)을 내장하는 하우징(510)과; 상기 탈수통(520)의 측면 상부에서 탈수통(520)과 중앙통로관(532)의 사이로 편심되어 위치하며, 상기 폐스티로폼을 상기 탈수통(520)의 내부로 공급하는 폐스티로폼 공급관(530)과; 상기 탈수통(520)의 내부 중앙에 위치하며, 하면에는 탈수된 폐스티로폼을 흡입하기 위한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중앙통로관(532)과; 상기 중심통로관(532)의 측면 상부와 연결되어 탈수된 폐스티로폼을 배출하는 배출관(531);을 포함하여, 상기 폐스티로폼이 헬리컬 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원심탈수되고 탈수되어 가벼워진 폐스티로폼은 상기 중앙통로관(532)에 흡입되어 배출되며, 무거운 굴껍집, 조개껍질 등의 이물질은 이물질제거관(533)을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미설명된 부호 534는 하우징(510)을 지지하는 지지대(534)이다.
상기 탈수수단(500)은 본 발명자에 의하여 발명되고 대한민국 실용등록번호제20-0263437호로(고안의 명칭: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기 위한 탈수기) 공고된 탈수기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송블로워(540)가 상기 탈수수단(500)의 배출관(531)과 연결되어, 폐스티로 폼이 흡입되어 입구(551)을 통해 탈수 저장통(550)으로 이송된다.
다른 이송블로워(553)가 상기 탈수 저장통(550)의 출구(552)와 상기 건조수단(600)의 공급관(611)과 사이에 위치되어, 탈수 저장통(550)에 저장된 폐스티로폼이 상기 건조수단(600)으로 이송된다.
도3 및 도7에 도시되듯이, 상기 건조수단(600)은, 상부 측면에 설치된 폐스티로폼용 공급관(611)과, 하부 측면에 설치된 폐스티로폼용 배출관(612)을 가지는 건조통(610)과; 상기 건조통(610)의 외부에 위치하며 내부로 공기를 가열하여 송풍하는 열풍송풍수단(620)과; 상기 열풍송풍수단(620)과 연결되고 상기 건조통(610)의 내부로 관통되는 열풍공급관(630)과; 상기 열풍공급관(630)과 연결되며 상기 건조통(610)의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열풍을 분사하는 노즐(632)이 측면에 다수 형성되어 있는 열풍분사관(631)과; 상기 건조통(610)의 상면에는 열풍과 증발된 수증기를 배출하면서 폐스티로폼은 배출되지 않는 그물눈의 크기를 가지는 그물망(640)을; 포함하여, 폐스티로폼이 비산되면서 효율적으로 건조된다.
상기 건조수단(600)은 본 발명자에 의하여 발명되고 대한민국 실용등록번호제20-0263436호(고안의 명칭: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기 위한 건조기)로 공고된 건조기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송블로워(650)가 상기 건조수단(600)의 배출관(612)과 연결되어, 폐스티로폼이 흡입되어 입구(661)를 통해 건조 저장통(660)으로 이송된다. 환류관(613)이 상기 건조통(610) 상부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송블로워(650)와 연결되어, 폐스티로폼이 덜 건조된 경우에는 밸브(도시안됨)가 작동되어 폐스티로폼이 건조통(610) 으로 환류되어 다시 건조된다.
다른 이송블로워(663)가 상기 건조 저장통(660)의 출구(662)와 상기 감용수단(700)의 입구(711)와 사이에 위치되어, 건조 저장통(660)에 저장된 폐스티로폼이 상기 감용수단(700)으로 이송된다.
도3 및 도8에는 상기 감용수단(700)이 도시되어 있다. 도8a는 상기 감용수단(700)의 정면도이며, 도8b에서 A-A 단면도이기도 하다. 상기 감용수단(700)은 바람직하게는 건조된 폐스티로폼이 투입되어 저장되는 저장호퍼(710)와; 입구(721, 도8b)가 상기 저장호퍼(710)의 출구(712)와 연결되며 폐스티로폼을 이송하는 스크류식 이송수단(720)과; 상기 이송수단(720)의 출구에 측면으로 연결되며 폐스티로폼을 저장하는 저장통(730)과; 상기 저장통(730)의 하부에서 위치하며 폐스티로폼을 압출하여 압축열에 의해 용융축소화하는 스크류 회전식 압출기(740)와; 상기 저장통(730)의 상부에 연결되며 파쇄된 폐스티로폼에서 가열되어 증발된 수분 및 유해가스가 흡입팬(754, 도8c)에 의해 흡입되며 수분은 별도로 액화되어 배출되는 수분제거장치(750)를; 포함하여, 압출로 폐스티로폼이 감용되면서 이때 발생되는 증발된 수분 및 유해가스가 무해하게 처리된다. 상기 감용수단(700)은 스크류 회전식 압출방법이 굳이 아니라도 피스톤방식으로 압출하여도 된다.
상기 저장호퍼(710)는 상부 입구(711)가 이송블로워(663)와 연결되고 하부 출구(712)가 스크류식 이송수단(720)의 입구(721)와 연결되어, 폐스티로폼이 저장되며 상기 이송수단(720)쪽으로 조금씩 폐스티로폼이 공급된다.
상기 이송수단(720)은 회전되는 스크류이며 출구는 상기 저장통(730)의 상부 측면에 연결되어, 폐스티로폼이 저장통(730)으로 공급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차가열수단(722)이 예를들어 열선과 같은 구성이며 출구측 이송수단(720)에 설치되어, 폐스티로폼이 1차적으로 가열되면서 저장통(730)으로 공급된다. 이때, 커터(723)가 저장통(720)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전되어, 가열되어 뭉치는 폐스티로폼이 다시 파쇄된다.
상기 저장통(730)에서 폐스티로폼이 상부 측면으로 공급되어, 하부에 위치하는 압출기(740)를 통해 배출되며, 이때 발생되는 증발된 수분과 유해가스는 상부를 통해 수분제거장치(750)로 배출된다.
상기 압출기(740)는 회전하는 스크류와 압출다이로 이루어져, 폐스티로폼이 압출되면서 마찰열에 의하여 용융축소화되면서 압출다이를 통해 폐스티로폼 잉고트로 배출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차가열수단(741)이 예를들어 열선과 같은 구성이며 입구측 압축기(740)에 설치되어, 폐스티로폼이 가열되어 용융축소화를 용이하게 한다. 압축기(740)는 다른 형태로 피스톤과 압출다이로 이루어져, 피스톤에 의하여 단순히 축소화될 수 있다.
상기 수분제거장치(750)는 파쇄된 폐스티로폼에서 가열되어 증발된 수분 및 유해가스가 공급되는 상부관로(751)와; 상기 상부관로(751)의 하부에 연결되며 내부에는 다수의 격판(757)이 좌우 측벽에 설치되어 지그재그로 수분 및 유해가스의 이송통로가 형성되는 냉각통(752)과; 상기 냉각통(752)의 하부 측면에 외부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하부관로(753)와; 수분과 유해가스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제공하며 상기 하부관로(753)에 연결되는 흡입팬(754)과; 상기 냉각통(752)의 하부에 설치되어 냉각되어 응축된 수분을 배출하는 수분배출구(758)를; 포함하여, 수분이 액화되어 제거되고 유해가스는 후술하는 가스배출구(756)를 통해 흡착탑(760)으로 이송된다. 이를 통해 장치의 부식이 방지되고 흡착탑(760)이 수분으로 인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흡착탑(760)은 예를 들어 다수의 활성탄 필터(761)와, 이송블로워(762)와, 상기 필터(762) 및 이송블로워(762)를 수납하는 하우징(76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착탑(760)은 상기 수분제거장치(750)의 흡입팬(754) 출구쪽에 연결된 가스배출구(756)와 연결되어, 유해가스가 정화된 후에 대기로 방출된다.
상기 압출기(740)의 출구에는 절단수단(800)이 설치되어, 감용된 폐스티로폼이 소정의 길이만큼식 절단된다. 상기 절단수단(800)은 회전하는 커터, 또는 에어실린더에 의해 왕복하는 커터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콘베이어(810)가 상기 압출기(740)의 출구쪽에 위치되어 절단된 폐스티로폼 잉고트가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양식장에 사용되는 부자와 같은 폐스티로폼이 대량으로 신속히 감용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 탈수, 건조에 의하여 해수, 굴, 조개 껍질 등 이물질이 양식장용 부자 폐스티로폼에서 연속적으로 분리, 제거된 후에 폐스티로폼이 감 용되어 절단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빈열을 가지는 세척수단에 의하여, 폐스티로폼이 요동되면서 연속적이며 효과적으로 굴, 조개 껍질 등 이물질이 분리제거되고, 폐스티로폼의 염분 농도가 저하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분제거장치와 흡착탑을 가지는 감용수단에 의하여, 페스티로폼이 감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발된 수분 또는 유해가스가 안전하게 처리되고 이후 공정에 의한 재생 스티로폼의 품질이 안정화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을 파쇄하는 파쇄수단과;
    상기 파쇄수단과 연결되며, 파쇄된 상기 폐스티로폼을 세정수에 의해 세척하는 세척수단과;
    상기 세척수단과 연결되며, 세척된 상기 폐스티로폼을 원심력에 의해 탈수하는 탈수수단과;
    상기 탈수수단과 연결되며, 탈수된 상기 폐스티로폼을 가열하여 건조하는 건조수단과;
    상기 건조수단과 연결되며, 건조된 상기 폐스티로폼을 압출하여 감용하는 감용수단을 포함하되,
    콘베이어의 출구가 상기 파쇄수단의 입구와 결합되며;
    상기 파쇄수단과 상기 세척수단은 파쇄된 폐스로폼을 이송하는 이송블로워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세척수단과 상기 탈수수단은 세척된 폐스티로폼을 저장하는 세척 저장통을 통해 결합되며;
    상기 탈수수단과 상기 건조수단은 차례로 이송블로워, 이송된 폐스티로폼을 저장하는 탈수 저장통과 상기 탈수 저장통의 출구와 연결된 이송블로워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건조수단과 상기 감용수단은 차례로 이송블로워, 이송된 폐스티로폼을 저장하는 건조 저장통과 상기 건조 저장통의 출구와 연결된 이송블로워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감용수단에는 최종적으로 감용되어 나오는 폐스티로폼 잉고트를 절단하는 절단수단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흡착탑은 할성탄 필터와 이송블로워가 하우징에 수납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흡착탑의 입구는 상기 감용수단의 가스배출구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단이,
    파쇄된 폐스티로폼이 투입되어 저장되는 저장호퍼와;
    상기 저장호퍼의 출구와 결합되며, 세정수가 들어있으며, 입구, 폐스티로폼용 출구와 이물질용 출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날개의 일부가 세정수의 표면 아래로 잠겨있으며 상기 날개가 회전되어 상기 입구를 통해 들어온 폐스티로폼을 세척하면서 폐스티로폼용 출구쪽으로 이송하는 터빈 열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며 폐스티로폼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이물질용 출구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세정수가 교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세정수교환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용수단이,
    건조된 폐스티로폼이 투입되어 저장되는 저장호퍼와;
    상기 저장호퍼의 출구와 입구가 연결되며 폐스티로폼을 이송하는 스크류식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의 출구에 측면으로 연결되며 폐스티로폼을 저장하는 저장통과;
    상기 저장통의 하부에서 위치하며 폐스티로폼을 압출하여 압축열에 의해 용융축소화하는 스크류 회전식 압출기와;
    상기 저장통의 상부에 연결되며 건조된 폐스티로폼에서 가열되어 증발된 수분 및 유해가스가 흡입팬에 의해 흡입되며 수분은 별도로 액화되어 배출되는 수분제거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제거장치가,
    건조된 폐스티로폼에서 가열되어 증발된 수분 및 유해가스가 공급되는 상부관로와;
    상기 상부관로의 하부에 연결되며 내부에는 다수의 격판이 좌우 측벽에 설치 되어 지그재그로 수분 및 유해가스의 이송통로가 형성되는 냉각통과;
    상기 냉각통의 하부 측면에 외부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하부관로와;
    수분과 유해가스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제공하며 상기 하부관로에 연결되는 흡입팬과;
    상기 냉각통의 하부에 설치되어 냉각되어 응축된 수분을 배출하는 수분배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단이, 파쇄된 폐스티로폼이 투입되어 저장되는 저장호퍼와; 상기 저장호퍼의 출구와 결합되며, 세정수가 들어있으며, 입구, 폐스티로폼용 출구와 이물질용 출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날개의 일부가 세정수의 표면 아래로 잠겨있으며 상기 날개가 회전되어 상기 입구를 통해 들어온 폐스티로폼을 세척하면서 폐스티로폼용 출구쪽으로 이송하는 터빈 열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며 폐스티로폼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이물질용 출구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세정수가 교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세정수교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탈수수단이, 원통형상이고 측면에는 다수의 탈수공을 가지는 탈수통과; 상기 탈수통을 내장하는 하우징과; 상기 탈수통의 측면 상부에서 탈수통과 중앙통로관의 사이로 편심되어 위치하며, 상기 폐스티로폼을 상기 탈수통의 내부로 공급하는 폐스티로폼 공급관과; 상기 탈수통의 내부 중앙에 위치하며, 하면에는 탈수된 폐스티로폼을 흡입하기 위한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중앙통로관과; 상기 중심통로관의 측면 상부와 연결되어 탈수된 폐스티로폼을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상기 폐스티로폼이 연속적으로 원심탈수되고 배출되며;
    상기 건조수단이, 상부 측면에 설치된 폐스티로폼용 공급관과, 하부 측면에 설치된 폐스티로폼용 배출관을 가지는 건조통과; 상기 건조통의 외부에 위치하며 내부로 공기를 가열하여 송풍하는 열풍송풍수단과; 상기 열풍송풍수단과 연결되고 상기 건조통의 내부로 관통되는 열풍공급관과; 상기 열풍공급관과 연결되며 상기 건조통의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열풍을 분사하는 노즐이 측면에 다수 형성되어 있는 열풍분사관과; 상기 건조통의 상면에는 열풍과 증발된 수증기를 배출하면서 폐스티로폼은 배출되지 않는 그물눈의 크기를 가지는 그물망을; 포함하며;
    상기 감용수단이, 건조된 폐스티로폼이 투입되어 저장되는 저장호퍼와; 상기 저장호퍼의 출구와 입구가 연결되며 폐스티로폼을 이송하는 스크류식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의 출구에 측면으로 연결되며 폐스티로폼을 저장하는 저장통과; 상기 저장통의 하부에서 위치하며 폐스티로폼을 압출하여 압축열에 의해 용융축소화하는 스크류 회전식 압출기와; 상기 저장통의 상부에 연결되며 건조된 폐스티로폼에서 가열되어 증발된 수분 및 유해가스가 흡입팬에 의해 흡입되며 수분은 별도로 액화되어 배출되는 수분제거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
  8. 삭제
  9.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을 파쇄하는 파쇄공정과;
    파쇄된 상기 폐스티로폼을 세정수에 의해 세척하는 세척공정과;
    세척된 상기 폐스티로폼을 원심력에 의해 탈수하는 탈수공정과;
    탈수된 상기 폐스티로폼을 가열하여 건조하는 건조공정과;
    건조된 상기 폐스티로폼을 압출하여 감용하는 감용공정을 포함하되,
    상기 세척공정은 날개의 일부가 세정수의 표면과 잠겨있으며 상기 날개가 회전되어 폐스티로폼을 세척하면서 폐스티로폼용 출구쪽으로 이송하는 터빈 열에 의해 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 감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용공정은 감용시에 발생하는 증발된 수분 및 유해가스가 흡입팬에 의해 흡입되며 수분은 별도로 액화되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 감용 방법.
KR20030004375A 2003-01-22 2003-01-22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 KR100597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04375A KR100597441B1 (ko) 2003-01-22 2003-01-22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04375A KR100597441B1 (ko) 2003-01-22 2003-01-22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050U Division KR200311889Y1 (ko) 2003-01-22 2003-01-22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331A KR20040067331A (ko) 2004-07-30
KR100597441B1 true KR100597441B1 (ko) 2006-07-10

Family

ID=37356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04375A KR100597441B1 (ko) 2003-01-22 2003-01-22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744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137B1 (ko) * 2004-03-08 2006-11-27 함종성 스티로폼 재활용 분쇄기
KR101647327B1 (ko) 2015-12-03 2016-08-11 허미선 어구용 폐스티로폼 감용시스템
KR20190008704A (ko) * 2017-07-17 2019-01-25 엠엔테크(주) 폐스티로폼 감용장치
KR102179322B1 (ko) 2019-09-26 2020-11-17 조기환 어업용 폐스티로폼, 폐각 및 폐목재를 활용한 불연보드용 분말, 이를 이용한 불연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45052A (ko) * 2021-04-21 2022-10-28 임민택 폐스티로폼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035B1 (ko) * 2005-01-31 2006-11-23 한국해양연구원 어구용 폐스티로폼 감용장치
KR100618317B1 (ko) * 2005-04-20 2006-08-31 주식회사 세림쵸프밀 이동식 폐스티로폼 재활용 처리기
KR101978631B1 (ko) * 2018-07-11 2019-05-15 박문수 폐플라스틱 파쇄 및 세척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137B1 (ko) * 2004-03-08 2006-11-27 함종성 스티로폼 재활용 분쇄기
KR101647327B1 (ko) 2015-12-03 2016-08-11 허미선 어구용 폐스티로폼 감용시스템
KR20190008704A (ko) * 2017-07-17 2019-01-25 엠엔테크(주) 폐스티로폼 감용장치
KR102030024B1 (ko) * 2017-07-17 2019-11-29 엠엔테크(주) 폐스티로폼 감용장치
KR102179322B1 (ko) 2019-09-26 2020-11-17 조기환 어업용 폐스티로폼, 폐각 및 폐목재를 활용한 불연보드용 분말, 이를 이용한 불연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45052A (ko) * 2021-04-21 2022-10-28 임민택 폐스티로폼 처리장치
KR102526385B1 (ko) 2021-04-21 2023-04-27 임민택 폐스티로폼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331A (ko) 200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644B1 (ko) 폐비닐을 이용한 펠렛 제조장치
KR100697588B1 (ko) 폐비닐 재생장치
US20130119575A1 (en) Plastic Waste Recycling Apparatus and System
KR100597441B1 (ko)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
KR102144688B1 (ko) 폐스티로폼 재활용 감용장치
KR101252271B1 (ko) 고압세척노즐을 통해 음식폐기물 고형성분의 여과효율을 높인 드럼선별기 및 이를 장착한 음식폐기물 자원화장치
US20130119171A1 (en) Plastic waste recycling apparatus and system
KR100498703B1 (ko)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 감용기
KR101406699B1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KR101146230B1 (ko) 스크린드럼형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조절장치
CN208567316U (zh) 一种用于废旧塑料回收的斜置螺旋式脱水机
KR100504003B1 (ko)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 세척기
CN208346022U (zh) 一种分级式污泥干燥设备
KR200311889Y1 (ko)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
KR100684259B1 (ko) 피건조물의 내부 성층화가 방지되는 연속식 스크루건조기
JP2001033167A (ja) 乾燥機およびその乾燥方法
KR100647035B1 (ko) 어구용 폐스티로폼 감용장치
KR100341727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사료 및 퇴비 재생처리장치
KR100925163B1 (ko) 이동식 어업용 폐스티로폼 감용장치
KR101134405B1 (ko) 폐합성수지 처리장치
KR100366232B1 (ko) 가연성쓰레기의 재생연료 제조 장치
CN212481950U (zh) 一种绿色环保型pet瓶片生产用脱水机
KR101427170B1 (ko) 개수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435074B1 (ko) 연속자동 진공 비닐 재생산 시스템
CN113953308A (zh) 有机固体废物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