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699B1 -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699B1
KR101406699B1 KR1020130144035A KR20130144035A KR101406699B1 KR 101406699 B1 KR101406699 B1 KR 101406699B1 KR 1020130144035 A KR1020130144035 A KR 1020130144035A KR 20130144035 A KR20130144035 A KR 20130144035A KR 101406699 B1 KR101406699 B1 KR 101406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unit
housing
crushing
perforated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호
신봉수
Original Assignee
신봉수
김봉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봉수, 김봉호 filed Critical 신봉수
Priority to KR1020130144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6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treating of meat, fish wast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only one screw or worm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6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sewage, house, or town ref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의 부피와 수분량, 염분을 효과적으로 제어함은 물론 협잡물(쇠,유리,비닐,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감량처리된 음식물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수거 및 재생할 수 있도록 원료화함을 제공하도록, 일정수압의 물이 공급되며 음식물쓰레기를 투입가능하게 형성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의 하부에 장착되고 음식물쓰레기를 1차 분쇄하도록 구성되는 초기분쇄부와; 상기 초기분쇄부의 한쪽에 거리를 두고 위치하며 상/하단에 각각 제1배출공 및 제2배출공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초기분쇄부로부터 1차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유입가능하게 연결되며 벽면에 복수 개의 타공구멍을 구비하는 타공망과, 상기 타공망의 내측에 위치하되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축설되고 음식물쓰레기를 압축 및 분쇄하면서 이송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스크류부재와, 상기 스크류부재로부터 이송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는 배출수단과, 상기 스크류부재에 회전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어 2차 분쇄 및 압축탈수하는 압축분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분쇄부의 배출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제1배출공 상에 구비되고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스크류부재의 축 상부에 설치되어 회동하고 상기 가이드부재가 위치한 상기 제1배출공을 향해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방향을 유도하는 유도날개부재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Food Waste Reducing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를 두 차례에 걸친 분쇄와 함께 강한 압력으로 압축이송하므로 음식물쓰레기의 부피와 수분량, 염분을 효과적으로 제어함은 물론 협잡물(쇠,유리,비닐,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감량처리된 음식물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수거 및 재생할 수 있도록 원료화하는 것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학교 등에서는 식생활에 따른 음식물을 섭취한 후 남은 음식찌꺼기로부터 다량의 음식물쓰레기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음식물쓰레기는 다량의 염분과 협잡물로 인하여 재활용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인력으로 부피나 염분, 수분 등을 제거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여전히 음식물쓰레기에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상태로 수거되고 종류가 다른 여러 가지 음식물이 함께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방치시 부패와 함께 유해한 물질이 생성됨은 물론 유해한 냄새까지 발생되어 환경오염문제의 대표적인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음식물쓰레기의 수분과 부피를 기계적으로 압착하여 탈수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291524호(2013.07.25.)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하측에 폐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제1배출구가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형성되고, 상측에 건조폐기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제2배출구가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형성되는 하우징과; 중공을 갖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고, 하측에 상기 중공과 연통되어 외부로 관통되는 배출구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중공으로 외부로부터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나아가도록 하는 회전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한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의 상측에서 상기 회전축 둘레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제2배출구로 이송시키기 위한 스크류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회전축에 접속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및; 둘레로 타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내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스크류 플레이트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2배출구의 하측에 위치되어 설치되는 스크린을 포함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어 상기 턴테이블 및 스크류 플레이트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회전축을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턴테이블에 의해 분쇄되고 상기 스크류 플레이트에 의해 이송되도록 하며,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폐액이 상기 스크린을 통해 상기 제1배출구로 흘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폐기물이 상기 스크류 플레이트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제2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음식물쓰레기의 탈수효과를 높이고 건조폐기물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분쇄 및 탈수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경우에는 음식물쓰레기를 유입하여 스크류에 따른 접촉만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기 때문에 분쇄효율이 현저히 떨어짐은 물론 음식물쓰레기가 스크류를 따라 이송되는 과정에서 타공이 형성된 스크린을 통해 단순히 폐액이 흐르는 구조로 배출하여 탈수효과가 낮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스크류를 따라 이동되어 감량처리된 음식물쓰레기에 대해 별도의 배출방향을 안내하는 수단이 부재하여 배출작업이 원활하지 못하며, 나아가 배출구 상에 그대로 남은 음식물쓰레기는 굳어져 배출구가 막히거나 추후 작업시 걸림 현상에 따른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스크린(이하 타공망이라 함)이 금속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된 하나의 일체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설비의 제작비용이 비싸지고 타공망의 분리가 곤란하여 세척작업이 어려움은 물론 타공구멍이 막혀 탈수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하여 전기에너지로부터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단순히 열원에 의해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는 경우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제어할 수 없어 효용성이 떨어지며, 전력소모량이 높아 장비의 도입 타당성이 결여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초기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재차 분쇄하는 동시에 압축시킬 수 있게 구성하므로 간단한 구조를 이루고 음식물쓰레기의 부피를 최소화함은 물론 탈수효율을 높이며, 나아가 음식물쓰레기에 잔류된 8~10%의 염분을 2% 이하로 제거하는 동시에 쇠, 유리, 비닐, 뼈 등의 협잡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음식물의 높은 순도를 유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감량처리된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방향을 유도하도록 구성하여 원활한 배출을 도모하고 작업 도중 걸림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타공망을 구성하여 세척작업이 용이하고, 타공망의 재질을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하여 설비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탈수 및 분쇄과정을 거쳐 수분량이 충분히 제거되므로 짧은 가동시간에 의해 작업을 완료하여 신속한 작업을 도모함은 물론 전력소모량을 최소화하고, 설비에 대한 타당성을 높일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는 일정수압의 물이 공급되며 음식물쓰레기를 투입가능하게 형성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의 하부에 장착되고 음식물쓰레기를 1차 분쇄하도록 구성되는 초기분쇄부와; 상기 초기분쇄부의 한쪽에 거리를 두고 위치하며 상/하단에 각각 제1배출공 및 제2배출공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초기분쇄부로부터 1차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유입가능하게 연결되며 벽면에 복수 개의 타공구멍을 구비하는 타공망과, 상기 타공망의 내측에 위치하되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축설되고 음식물쓰레기를 압축 및 분쇄하면서 이송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스크류부재와, 상기 스크류부재로부터 이송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는 배출수단과, 상기 스크류부재에 회전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어 2차 분쇄 및 압축탈수하는 압축분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분쇄부의 배출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제1배출공 상에 구비되고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스크류부재의 축 상부에 설치되어 회동하고 상기 가이드부재가 위치한 상기 제1배출공을 향해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방향을 유도하는 유도날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투입부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측으로 하향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한쪽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호퍼의 경사면을 따라 물을 공급가능하게 형성한다.
상기 초기분쇄부는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고 상기 압축분쇄부에 공급가능하게 이송관을 구비하는 용기부재와, 상기 투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음식물쓰레기가 접하여 절단가능하게 상기 용기부재의 상단에 배치되는 분쇄부재와, 상기 분쇄부재에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축분쇄부에는 상기 타공망의 상단을 고정토록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쓰레기배출구역과 배수구역으로 구획하는 차단고정판을 구성한다.
상기 타공망은 상기 하우징 내에 하단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타공구멍이 1~5㎜의 크기로 형성되는 하부타공망과, 상기 하부타공망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타공구멍이 1~3㎜의 크기로 형성되되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점점 작은 크기의 타공구멍으로 형성되는 상부타공망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타공망은 수시로 세척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분리형으로 구성한다.
상기 타공망 중 상기 상부타공망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타공망 중 상기 하부타공망은 PVC재질로 구성한다.
상기 스크류부재는 상기 하우징 상에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스크류날을 구비하며 상기 스크류날 간에는 음식물쓰레기가 상향 이송가능하게 이송로가 형성되는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는 상기 이송로를 따라 상향이송되는 음식물쓰레기에 계속해서 큰 압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의 외주면이 외측으로 상향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한다.
상기 배출수단의 유도날개부재는 상기 구동수단에 따른 회전으로 음식물쓰레기와 접하는 한쪽 접촉면이 완만하게 경사진 곡면으로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압축분쇄부의 타공망을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타공망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세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세척수단은 세척수인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의 물이 상기 압축분쇄부를 향해 공급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는 물공급관과, 상기 물공급관이 연결되되 상기 압축분쇄부의 하우징 상에 설치되고 상기 타공망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사노즐은 물을 분사가능하게 분사공이 형성되는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일방향으로 경사진 복수 개의 경사홈이 외주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나선형노즐팁으로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압축분쇄부의 구동수단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하는 하중감지부와, 상기 하중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하중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 하중 이상이면 상기 구동수단에는 작동정지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작업중지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에 의하면 음식물쓰레기를 1차 분쇄하는 초기분쇄부와 함께 강한 압력으로 2차 분쇄하는 압축분쇄부를 구성하므로, 전반적인 분쇄효율을 향상시켜 음식물쓰레기의 감량률을 70~80%로 크게 증진시키고, 외측으로 상향경사진 외주면을 갖는 스크류를 적용하여 상향이송되는 음식물쓰레기에 점점 강한 압력이 가해질 수 있게 압착탈수하는 스크류부재를 구성하므로 높은 탈수효과를 도모하여 음식물쓰레기의 함수율을 낮추며, 나아가 효율적인 분쇄 및 탈수 작업으로부터 음식물쓰레기에 잔류된 8~10%의 연분을 2% 이하로 제거함은 물론 협잡물 등의 제거로 순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원료(연료, 사료, 퇴비 등)로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는 분쇄 및 탈수작업으로부터 감량된 음식물쓰레기의 최종 배출방향을 한 방향으로 일정하게 유도하는 배출수단을 구성하므로, 음식물쓰레기의 신속하면서도 원활한 배출을 도모함은 물론 배출과정에서 걸림 현상을 방지하여 작업능률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의 수분량을 충분히 제거하므로, 별도의 건조공정이 불필요하여 작업이 신속하면서도 간편하고 가동시간과 설비의 낮은 전력소모로부터 전력소비량을 대폭 줄이며, 설비에 대한 도입 타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는 상하로 2중 분리되며 상부타공망이 분리가능한 구조를 갖는 타공망을 구성하므로, 상부타공망을 수시로 세척가능하여 항상 일정한 탈수력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상부타공망의 재질로 스테인리스 재질을 사용하되 하부타공망의 재질을 PVC재질로 사용하여 구성하므로 설비의 제작비용 낮춰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는 타공망을 향해 물을 분사하여 세척할 수 있는 세척수단을 구성하므로, 타공망의 지속적인 세척작업에 따른 찌꺼기를 제거하여 타공망의 막힘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탈수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는 압축분쇄부의 구동수단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하여 구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 쇠나 유리 및 비닐 등 협잡물의 투입으로 인한 장비의 고장을 방지하고 재생가능한 순도 높은 잔여물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압축분쇄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압축분쇄부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타공망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의 (a)~(d)는 각각 타공망의 제1~4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배출수단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분사노즐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본 발명은 일정수압의 물이 공급되며 음식물쓰레기를 투입가능하게 형성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의 하부에 장착되고 음식물쓰레기를 1차 분쇄하도록 구성되는 초기분쇄부와; 상기 초기분쇄부의 한쪽에 거리를 두고 위치하며 상/하단에 각각 제1배출공 및 제2배출공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초기분쇄부로부터 1차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유입가능하게 연결되며 벽면에 복수 개의 타공구멍을 구비하는 타공망과, 상기 타공망의 내측에 위치하되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축설되고 음식물쓰레기를 압축 및 분쇄하면서 이송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스크류부재와, 상기 스크류부재로부터 이송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는 배출수단과, 상기 스크류부재에 회전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어 2차 분쇄 및 압축탈수하는 압축분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분쇄부의 배출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제1배출공 상에 구비되고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스크류부재의 축 상부에 설치되어 회동하고 상기 가이드부재가 위치한 상기 제1배출공을 향해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방향을 유도하는 유도날개부재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입부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측으로 하향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한쪽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호퍼의 경사면을 따라 물을 공급가능하게 형성되는 물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초기분쇄부는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고 상기 압축분쇄부에 공급가능하게 이송관을 구비하는 용기부재와, 상기 투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음식물쓰레기가 접하여 절단가능하게 상기 용기부재의 상단에 배치되는 분쇄부재와, 상기 분쇄부재에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축분쇄부에는 상기 타공망의 상단을 고정토록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쓰레기배출구역과 배수구역으로 구획하는 차단고정판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공망은 상기 하우징 내에 하단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타공구멍이 1~5㎜의 크기로 형성되는 하부타공망과, 상기 하부타공망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타공구멍이 1~3㎜의 크기로 형성되되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점점 작은 크기의 타공구멍으로 형성되는 상부타공망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타공망은 수시로 세척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공망 중 상기 상부타공망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타공망 중 상기 하부타공망은 PVC재질로 구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류부재는 상기 하우징 상에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스크류날을 구비하며 상기 스크류날 간에는 음식물쓰레기가 상향 이송가능하게 이송로가 형성되는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는 상기 이송로를 따라 상향이송되는 음식물쓰레기에 계속해서 큰 압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의 외주면이 외측으로 상향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수단의 유도날개부재는 상기 구동수단에 따른 회전으로 음식물쓰레기와 접하는 한쪽 접촉면이 완만하게 경사진 곡면으로 형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압축분쇄부의 타공망을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타공망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세척수단을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수단은 세척수인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의 물이 상기 압축분쇄부를 향해 공급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는 물공급관과, 상기 물공급관이 연결되되 상기 압축분쇄부의 하우징 상에 설치되고 상기 타공망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물을 분사가능하게 분사공이 형성되는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일방향으로 경사진 복수 개의 경사홈이 외주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나선형노즐팁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압축분쇄부의 구동수단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하는 하중감지부와, 상기 하중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하중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 하중 이상이면 상기 구동수단에는 작동정지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작업중지상태를 유지하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입부(100)와, 초기분쇄부(200)와, 압축분쇄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구성(투입부(100), 초기분쇄부(200), 압축분쇄부(300))이 장착지지될 수 있도록 다수의 프레임 및 판재가 상호 연결 결합된 구조로서 외형을 이루는 외부케이스(10)가 구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전방 한쪽에는 감량처리된 음식물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용기(도면에 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도록 용기공간(15)이 구비된다.
상기 투입부(1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음식물쓰레기를 투입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호퍼(110)와 물공급수단(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호퍼(110)는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게 상면이 개방된 구조를 이루며, 하면에는 상기 초기분쇄부(200)에 연통하는 배수구멍(115)을 구비한다.
상기 호퍼(110)는 상광하협의 구조를 갖는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호퍼(110)는 상단에서부터 내측으로 하향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토록 형성되어 음식물쓰레기의 투입이 용이함은 물론 상기 배수구멍(115)을 향해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물공급수단(120)은 일정한 수압의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호퍼(110)의 한쪽 상단에 구비된다. 즉 상기 물공급수단(120)은 상기 호퍼(110)의 경사면을 따라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물공급수단(12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상기 배수구멍(115)을 향한 음식물쓰레기의 원활한 유입은 물론 음식물쓰레기를 씻어내며 상기 초기분쇄부(200) 및 상기 압축분쇄부(300)에서의 원활한 분쇄작업을 도모한다.
상기 초기분쇄부(200)는 상기 투입부(100)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투입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음식물쓰레기를 1차 분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초기분쇄부(2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는 용기부재(210)와, 음식물쓰레기를 절단하기 위한 분쇄부재(220)와, 상기 분쇄부재(220)에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부재(210)는 상기 분쇄부재(220)로부터 절단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수용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분쇄부재(220)로부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압축분쇄부(300)에 공급가능하게 한쪽에 이송관(211)을 구비한다.
상기 분쇄부재(220)는 상기 용기부재(210)의 상단에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음식물쓰레기가 접하여 절단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분쇄부재(220)로부터 절단되는 음식물쓰레기의 경우 상기 구동모터(230)로부터 상기 분쇄부재(220)가 고속회전되어 5㎜ 이하로 절단되도록 분쇄한다.
상기 압축분쇄부(30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초기분쇄부(200)를 거쳐 공급된 음식물쓰레기에 대해 2차 분쇄 및 압축탈수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하우징(310)과, 타공망(320)과, 스크류부재(330)와, 배출수단(340)과, 구동수단(3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측 공간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초기분쇄부(200)의 한쪽에 거리를 두고 위치한다.
상기 하우징(310)은 소정의 높이로 연장 형성된 상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상기 타공망(320) 및 상기 스크류부재(330)가 위치하되 분쇄 및 탈수 작업이 이뤄질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310)은 상하 분리된 구조로 구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외부케이스(10)의 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하우징(310b)을 구비하되 상기 하부하우징(310b)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며 상기 하부하우징(310b)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하우징(310a)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310)의 상/하단에는 각각 제1배출공(315) 및 제2배출공(317)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우징(310)의 상단 즉 상기 상부하우징(310a)의 한쪽에는 분쇄 및 탈수작업을 마친 음식물쓰레기를 최종 배출할 수 있게 제1배출공(315)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310)의 하단 즉 상기 하부하우징(310b)에는 탈수작업에 따른 폐수를 배출할 수 있는 제2배출공(317)이 형성된다.
상기 타공망(320)은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 공간에 구비토록 고정 설치된다.
상기 타공망(320)은 벽면이 상기 하우징(310)의 내면과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상기 타공망(320)을 통해 폐수가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분쇄부(300)에는 상기 타공망(320)의 상단을 고정토록 차단고정판(360)이 설치된다. 즉 상기 타공망(320)은 상기 하우징(310)에 하단이 고정 설치되되 상기 타공망(320)의 상단은 상기 차단고정판(36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차단고정판(360)은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공간을 쓰레기배출구역과 배수구역으로 구획하되 상기 차단고정판(360)을 기준으로 상측이 쓰레기배출구역을 이루며 하측이 배수구역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타공망(320)에는 상기 초기분쇄부(200)로부터 1차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관(211)의 한쪽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타공망(320)은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분리된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310) 내에 하단이 고정 설치되는 하부타공망(320b)과, 상기 하부타공망(320b)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차단고정판(360)에 상단이 고정 설치되는 상부타공망(320a)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상부타공망(320a)은 수시로 세척가능하게 상기 하우징(3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상부타공망(320a)은 상기 하우징(310)의 상부를 개방한 후 간단히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타공망(320a)이 분리가능한 구조를 갖는 타공망(320)을 구성하게 되면, 상부타공망(320a)을 수시로 세척가능하여 항상 일정한 탈수력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타공망(320)에는 상기 상부타공망(320a)과 상기 하부타공망(320b)을 상호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링 형상의 연결부재(322)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공망(320)에는 벽면에 복수 개의 타공구멍(325)을 구비토록 형성된다.
상기에서 타공구멍(325)의 크기는 상기 상부타공망(320a)과 상기 하부타공망(320b)이 서로 다른 크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타공망(320b)에 형성된 상기 타공구멍(325)의 크기보다 상기 상부타공망(320a)에 형성된 상기 타공구멍(325)의 크기가 작고 조밀하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타공망(320b)의 타공구멍(325)은 1~5㎜의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타공망(320a)의 타공구멍(325)은 1~3㎜의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타공망(320a)의 타공구멍(325)은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점점 작은 크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타공망(320a)의 타공구멍(325)에 대한 크기는 설정범위인 1~3㎜의 범위 내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작은 크기의 타공구멍(325)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타공망(320)의 타공구멍(325)은 도 6의(a)에서처럼 원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일정한 크기를 갖는 상기 타공구멍(325)이 사방으로 동일한 직경을 이루도록 원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타공구멍(325)은 도 6의 (b)에서처럼 상하 수직으로 길게 연장된 장공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타공구멍(325)은 일정한 크기를 이루되 상기 타공망(320)의 길이방향으로 수직 연장된 장공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타공구멍(325)은 도 6의 (c)에서처럼 장공형의 단면형상을 이루되 좌우 수평으로 길게 연장된 장공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타공구멍()은 일정한 크기를 이루되 상기 타공망(320)의 원주방향으로 수평 연장된 장공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타공구멍(325)은 도 6의 (d)에서처럼 상기 타공망(320)의 좌우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공형의 단면형상을 이루되 한쪽으로 모두 동일하게 기울어진 경사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타공망(320)의 재질은 상기 상부타공망(320a)과 상기 하부타공망(320b)이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타공망(320a)은 상기 스크류부재(330)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므로 금속소재인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타공망(320b)은 상기 스크류부재(330)에 의한 압력을 거의 받지 않으므로 플라스틱소재인 PVC(poly vinyl chloride)재질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타공망(320) 중 상부타공망(320a)의 재질로 스테인리스 재질을 사용하되 하부타공망(320b)의 재질을 PVC재질로 사용하여 구성하게 되면 설비의 제작비용 낮춰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크류부재(330)는 상기 타공망(320)의 내측에 위치하되 상기 하우징(310)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축설된다.
상기 스크류부재(330)는 상기 타공망(32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압축 및 분쇄하면서 상향이송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회전축(331)과 스크류(333)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331)은 상기 하우징(310) 상에 상기 구동수단(350)으로부터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333)는 상기 회전축(331) 상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차단고정판(360)의 하측 공간 즉 배수구역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333)에는 상기 회전축(3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스크류날(334)을 구비한다.
상기 스크류날(334)은 상기 타공망(320) 내면과의 간격이 1㎜ 미만의 공차를 이루어 음식물쓰레기를 분쇄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333)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기 스크류날(334) 간에 음식물쓰레기가 상향 이송될 수 있는 공간인 이송로(335)가 형성된다.
상기 이송로(335)는 상기 스크류(333)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은 공간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333)로부터 이송되는 음식물쓰레기에 점점 강한 압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스크류(333)는 상기 이송로(335)를 따라 상향이송되는 음식물쓰레기에 계속해서 큰 압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333)의 외주면이 외측으로 상향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에서 스크류(333)의 경사면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2~4ㅀ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수단(34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10)의 상측 공간 즉 상기 차단고정판(360)을 기준으로 상측인 쓰레기배출구역에 구비하고, 상기 스크류부재(330)로부터 이송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배출수단(340)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식물쓰레기의 배출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341)와,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방향을 유도하는 유도날개부재(345)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재(341)는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용기공간(15)에 위치한 용기를 향해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부재(341)는 상기 하우징(310)의 상부 한쪽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배출공(315) 상에 상호 연통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유도날개부재(345)는 상기 가이드부재(341)가 위치한 상기 제1배출공(315)을 향해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부재(330)의 회전축(331)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회동한다. 즉 상기 유도날개부재(345)는 상기 스크류부재(330)와 함께 동일한 방향 및 회전속도로 회동하여 상기 스크류부재(330)로부터 공급되는 음식물쓰레기에 접촉하고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제1배출공(315)이 구비된 한 방향으로만 일정하게 배출토록 유도한다.
상기 유도날개부재(345)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을 구비토록 구성하되 도면에서와 같이 최소한 두 개 이상을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수단(340)의 유도날개부재(345)는 상기 구동수단(350)에 따른 회전으로 음식물쓰레기와 접하는 한쪽 접촉면(346)이 완만하게 경사지되 만곡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분쇄 및 탈수작업으로부터 감량된 음식물쓰레기의 최종 배출방향을 한 방향으로 일정하게 유도하는 배출수단(340)을 구성하게 되면, 음식물쓰레기의 신속하면서도 원활한 배출을 도모함은 물론 배출과정에서 걸림 현상을 방지하여 작업능률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수단(350)은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압축분쇄부(300)의 한쪽에 거리를 두고 위치한다.
상기 구동수단(350)은 상기 스크류부재(330)에 회전 동력을 인가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작동스위치를 조작하여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부(100)에 투입시키므로 감량처리작업을 개시하되 먼저 음식물쓰레기는 호퍼(110)를 따라 물과 함께 이동되어 초기분쇄부(200)로 진입되고, 상기 초기분쇄부(200)의 회전구동되는 분쇄부재(220)에 접하면서 1차 분쇄가 이뤄진다. 이후 음식물쓰레기는 상기 분쇄부재(220)의 회전력과 중력에 의한 수압으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압축분쇄부(300)의 타공망(320) 내측을 향해 이송되고, 구동수단(350)으로부터 회동되는 스크류부재(330)의 회전으로 음식물쓰레기가 상향이송하되 상기 스크류부재(330)의 스크류날(334)에 의해 2차 분쇄가 이뤄지는 동시에 상향이동될수록 좁아지는 이송로(335)로 인해 음식물쓰레기가 압착되어 상기 타공망(320)의 타공구멍(325)으로 탈수가 진행되며, 음식물쓰레기는 상기 스크류부재(330)의 이송로(335)를 따라 이송되어 상기 배출수단(340)에 도달하되 폐액은 제2배출공(317)으로 배출된다. 이어 상기 배출수단(340)에 도달된 음식물쓰레기의 경우 상기 스크류부재(33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유도날개부재(345)에 접하여 제2배출공(317)을 향해 유도 배출되며 가이드부재(341)를 따라 이동되어 별도의 용기로 최종배출됨에 따라 감량처리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에 의하면, 음식물쓰레기를 1차 분쇄하는 초기분쇄부(200)와 함께 강한 압력으로 2차 분쇄하는 압축분쇄부(300)를 구성하므로, 전반적인 분쇄효율을 향상시켜 음식물쓰레기의 감량률을 70~80%로 크게 증진시키고, 외측으로 상향경사진 외주면을 갖는 스크류(333)를 적용하여 상향이송되는 음식물쓰레기에 점점 강한 압력이 가해질 수 있게 압착탈수하는 스크류부재(330)를 구성하므로 높은 탈수효과를 도모하여 음식물쓰레기의 함수율과 염분을 낮추며, 나아가 효율적인 분쇄 및 탈수 작업으로부터 음식물의 순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원료로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압축분쇄부(300)의 타공망(320)을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타공망(320)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세척수단(4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세척수단(400)은 세척수인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410)와, 상기 압축분쇄부(300)를 향해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420)과, 상기 압축분쇄부(300)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43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저장탱크(410)는 일정용량(예를 들면, 20리터 등)의 물을 수용하여 저장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물공급관(420)은 상기 저장탱크(410)에 한쪽이 연결되고 상기 압축분쇄부(300)의 하우징(310)에 반대쪽이 연결되어 상기 압축분쇄부(300)를 향해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된다.
상기 물공급관(420)에는 상기 저장탱크(410)로부터 상기 압축분쇄부(300)에 위치한 상기 분사노즐(430)에 이르기까지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도록 유동동력을 생성시키되 강한 수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펌프(425)가 연결 구성된다.
상기 분사노즐(430)은 상기 압축분쇄부(300)의 하우징(310)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물공급관(420)이 연결 결합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분사노즐(430)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타공망(320)을 향해 일정한 압력의 물을 분사하는 것으로서, 노즐본체(431)와 나선형노즐팁(4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본체(431)에는 한쪽 면에 물을 분사가능하게 분사공(432)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분사공(432)은 상기 노즐본체(431)의 한쪽 면 상에 하나만을 형성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다수의 분사공(432)을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나선형노즐팁(435)은 상기 노즐본체(431)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일방향으로 경사진 복수 개의 경사홈(436)이 형성되되 상기 나선형노즐팁(435)의 외주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에서 나선형노즐팁(435)의 경사홈(436)을 따라 분사되는 물의 경우 상기 경사홈(436)을 따라 이동됨은 물론 상기 노즐본체(431)의 내벽과의 마찰력으로 와류를 일으켜 회오리형태로 유도분사된다.
상기와 같이 나선형노즐팁(435)을 구비한 분사노즐(430)을 구성하게 되면, 타공망(320)을 향한 분사영역을 넓혀 고른 세척작업이 가능함은 물론 보다 강한 압력으로 물을 분사하여 세척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한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면, 타공망(320)을 향해 물을 분사하여 세척할 수 있는 세척수단(400)을 구성하므로, 타공망(320)의 지속적인 세척작업에 따른 찌꺼기를 제거하여 타공망(320)의 막힘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탈수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압축분쇄부(300)의 구동수단(350)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하는 하중감지부(550)와, 상기 하중감지부(5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35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중감지부(550)는 상기 구동수단(350)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부재(330)를 회전할 때 발생하는 힘을 기준으로 그 이상의 힘을 감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하중감지부(550)는 부하감지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500)에서는 상기 하중감지부(550)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 하중 이상이면 상기 구동수단(350)에는 작동정지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작업중지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스크류부재(330)를 따라 분쇄되는 음식물쓰레기 외의 협잡물(예를 들면, 쇠, 유리, 비닐 등)이 상기 압축분쇄부(300)의 타공망(320) 내에 유입되어 상기 스크류부재(330)에 걸림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350)으로 가해지는 힘을 상기 하중감지부(550)에서 감지하고 상기 하중감지부(55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하중감지부(550)로부터 협잡물이 유입됨에 따른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외부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한 또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면, 압축분쇄부(300)의 구동수단(350)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하여 구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 쇠나 유리 및 비닐 등 협잡물의 투입으로 인한 장비의 고장을 방지하고 재생가능한 순도 높은 잔여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외부케이스 15 : 용기공간
100 : 투입부 110 : 호퍼 115 : 배수구멍
120 : 물공급수단 200 : 초기분쇄부 210 : 용기부재
211 : 이송관 220 : 분쇄부재 230 : 구동모터
300 : 압축분쇄부 310 : 하우징 310a : 상부하우징
310b : 하부하우징 315 : 제1배출공 317 : 제2배출공
320 : 타공망 320a : 상부타공망 320b : 하부타공망
325 : 타공구멍 330 : 스크류부재 331 : 회전축
333 : 스크류 334 : 스크류날 335 : 이송로
340 : 배출수단 341 : 가이드부재 345 : 유도날개부재
346 : 접촉면 350 : 구동수단 360 : 차단고정판
400 : 세척수단 410 : 저장탱크 420 : 물공급관
425 : 펌프 430 : 분사노즐 431 : 노즐본체
432 : 분사공 435 : 나선형노즐팁 436 : 경사홈
500 : 제어부 550 : 하중감지부

Claims (13)

  1. 일정수압의 물이 공급되며 음식물쓰레기를 투입가능하게 형성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의 하부에 장착되고 음식물쓰레기를 1차 분쇄하도록 구성되는 초기분쇄부와;
    상기 초기분쇄부의 한쪽에 거리를 두고 위치하며 상/하단에 각각 제1배출공 및 제2배출공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초기분쇄부로부터 1차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유입가능하게 연결되며 벽면에 복수 개의 타공구멍을 구비하는 타공망과, 상기 타공망의 내측에 위치하되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축설되고 음식물쓰레기를 압축 및 분쇄하면서 이송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스크류부재와, 상기 스크류부재로부터 이송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는 배출수단과, 상기 스크류부재에 회전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어 2차 분쇄 및 압축탈수하는 압축분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분쇄부의 배출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제1배출공 상에 구비되고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스크류부재의 축 상부에 설치되어 회동하고 상기 가이드부재가 위치한 상기 제1배출공을 향해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방향을 유도하는 유도날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타공망은, 상기 하우징 내에 하단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타공구멍이 1~5㎜의 크기로 형성되는 하부타공망과, 상기 하부타공망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타공구멍이 1~3㎜의 크기로 형성되되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점점 작은 크기의 타공구멍으로 형성되는 상부타공망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타공망은 수시로 세척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수단의 유도날개부재는 상기 구동수단에 따른 회전으로 음식물쓰레기와 접하는 한쪽 접촉면이 완만하게 경사진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측으로 하향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한쪽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호퍼의 경사면을 따라 물을 공급가능하게 형성되는 물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기분쇄부는,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고 상기 압축분쇄부에 공급가능하게 이송관을 구비하는 용기부재와, 상기 투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음식물쓰레기가 접하여 절단가능하게 상기 용기부재의 상단에 배치되는 분쇄부재와, 상기 분쇄부재에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축분쇄부에는 상기 타공망의 상단을 고정토록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쓰레기배출구역과 배수구역으로 구획하는 차단고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공망 중 상기 상부타공망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타공망 중 상기 하부타공망은 PVC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부재는, 상기 하우징 상에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스크류날을 구비하며 상기 스크류날 간에는 음식물쓰레기가 상향 이송가능하게 이송로가 형성되는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는 상기 이송로를 따라 상향이송되는 음식물쓰레기에 계속해서 큰 압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의 외주면이 외측으로 상향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8. 삭제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7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분쇄부의 타공망을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타공망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세척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단은, 세척수인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의 물이 상기 압축분쇄부를 향해 공급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는 물공급관과, 상기 물공급관이 연결되되 상기 압축분쇄부의 하우징 상에 설치되고 상기 타공망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물을 분사가능하게 분사공이 형성되는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일방향으로 경사진 복수 개의 경사홈이 외주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나선형노즐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7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분쇄부의 구동수단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하는 하중감지부와, 상기 하중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하중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 하중 이상이면 상기 구동수단에는 작동정지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작업중지상태를 유지하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KR1020130144035A 2013-11-25 2013-11-25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KR101406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035A KR101406699B1 (ko) 2013-11-25 2013-11-25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035A KR101406699B1 (ko) 2013-11-25 2013-11-25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6699B1 true KR101406699B1 (ko) 2014-06-17

Family

ID=51132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035A KR101406699B1 (ko) 2013-11-25 2013-11-25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69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474U (ko) * 2014-07-31 2016-02-15 김봉호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KR101755009B1 (ko) * 2016-07-08 2017-07-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음식물 쓰레기 다중 처리 장치
KR101777086B1 (ko) * 2017-03-16 2017-09-12 성진하이쿨(주)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
KR20180093512A (ko) 2017-02-13 2018-08-22 (주)에코위드 음식물쓰레기용 압축 처리장치
WO2019126456A1 (en) * 2017-12-21 2019-06-27 Sulzer Management Ag Adaptive architecture solids diverter and comminutor
KR20200081608A (ko) * 2018-12-27 2020-07-08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에프엠미트 육가공용 부산물 회수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535A (ko) * 1998-10-01 1999-01-25 전병국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9990025318A (ko) * 1997-09-11 1999-04-06 신야 나라오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KR100311316B1 (ko) * 1999-07-07 2001-10-18 윤효숙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318A (ko) * 1997-09-11 1999-04-06 신야 나라오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KR19990007535A (ko) * 1998-10-01 1999-01-25 전병국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311316B1 (ko) * 1999-07-07 2001-10-18 윤효숙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474U (ko) * 2014-07-31 2016-02-15 김봉호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KR200481337Y1 (ko) * 2014-07-31 2016-09-30 김봉호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KR101755009B1 (ko) * 2016-07-08 2017-07-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음식물 쓰레기 다중 처리 장치
KR20180093512A (ko) 2017-02-13 2018-08-22 (주)에코위드 음식물쓰레기용 압축 처리장치
KR101777086B1 (ko) * 2017-03-16 2017-09-12 성진하이쿨(주)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
EP3579977A4 (en) * 2017-12-21 2020-03-11 Sulzer Management AG ADAPTIVE ARCHITECTURAL SOLID HANDLEBAR AND CRUSHER
WO2019126456A1 (en) * 2017-12-21 2019-06-27 Sulzer Management Ag Adaptive architecture solids diverter and comminutor
CN111432932A (zh) * 2017-12-21 2020-07-17 苏尔寿管理有限公司 适应性结构固体分流器和粉碎器
EP3760312A1 (en) * 2017-12-21 2021-01-06 Sulzer Management AG Adaptive architecture solids diverter and comminutor
CN111432932B (zh) * 2017-12-21 2022-04-26 苏尔寿管理有限公司 适应性结构固体分流器和粉碎器
US11691157B2 (en) * 2017-12-21 2023-07-04 Sulzer Management Ag Adaptive architecture solids diverter and comminutor
KR20200081608A (ko) * 2018-12-27 2020-07-08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에프엠미트 육가공용 부산물 회수 장치
KR102206343B1 (ko) * 2018-12-27 2021-01-26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에프엠미트 육가공용 부산물 회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699B1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CN202591205U (zh) 一种餐厨垃圾前处理设备
KR10135888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일체형 파쇄, 고액 분리 및 압축 탈수 장치
KR10179200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86201B1 (ko) 슬러지 건조장치
KR20110008545A (ko) 고성능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80113686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65240B1 (ko) 협잡물 처리용 스크류 프레스
CN102489494A (zh) 一种餐厨垃圾前处理方法
KR10151728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98877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65155B1 (ko) 씽크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81337Y1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KR101028570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20060104368A (ko)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20041479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6489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KR200700821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30036084A (ko) 야채 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3940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수 및 분쇄기
KR101427170B1 (ko) 개수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71118B1 (ko) 슬러지 분리기가 내장된 음식쓰레기 분해 처리장치
JP4347632B2 (ja) 汚水中の夾雑物除去・脱水装置
KR20180068617A (ko) 음식물 쓰레기용 감량기
KR20170066041A (ko) 배추 분쇄 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