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4368A -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4368A
KR20060104368A KR1020050026483A KR20050026483A KR20060104368A KR 20060104368 A KR20060104368 A KR 20060104368A KR 1020050026483 A KR1020050026483 A KR 1020050026483A KR 20050026483 A KR20050026483 A KR 20050026483A KR 20060104368 A KR20060104368 A KR 20060104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sewage
main body
discharged
septic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8588B1 (ko
Inventor
박경철
Original Assignee
광주광역시 남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광역시 남구 filed Critical 광주광역시 남구
Priority to KR1020050026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8588B1/ko
Publication of KR20060104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4Odour seals having U-shaped tr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5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knives spaced axially and circumferentially on the periphery of a cylindrical rotor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싱크대에 직접적용됨으로써 식기 세척과 동시에 음식물 찌꺼기의 처리가 가능하고, 식기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 및 음식물 찌꺼기가 1차로 배출되되, 세척수는 하수관으로 배출되고, 음식물 찌꺼기에 포함되어 압착 및 분쇄과정 시 발생되는 음식물 찌꺼기 오수는 2차로 분리하여 정화조로 배출되도록 하여 음식물 오수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구성은 수평방향으로 축이 위치되는 원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측의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스크류와, 음식물 찌꺼기를 투입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측 방향으로 상기 축부의 일측 끝단과 연동되도록 구비되는 모터와, 상기 본체 내측의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스크류와, 상기 모터의 타측에 구비되는 상기 축부와 연동되어 스크류에 의해 밀려오는 음식물 찌꺼기를 절단하는 분쇄날이 구비되는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서 음식물 찌꺼기의 분쇄 시 발생되는 오수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하측면의 길이방향에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오수세공; 상기 오수세공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일측으로 집중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하부에 하부면이 일측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오수모음관; 및 상기 오수모음관으로부터 집중되어 배출되는 오수를 정화조로 배출시키기 위한 정화조 배수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본체, 오수세공, 오수모음관, 정화조 배수관

Description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Food remnants of treatment apparatus and treatment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에 따른 음식물 찌꺼기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2 : 본체,
3 : 스크류, 4 : 모터,
5 : 축부, 6 : 분쇄날,
7 : 오수세공, 8 : 오수모음관,
9 : 하수관, 10 : 음식물 찌꺼기,
11 : 역류방지부, 12 : 찌꺼기세공,
13 : 받이부, 14 : 받이통,
15 : 투입구, 16 : 투입용 뚜껑,
20 : 씽크대, 21 : 배수구,
22 : 찌꺼기 거름망, 23 : 밸브,
25 : 정화조 배수관.
본 발명은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씽크대에 직접적용됨으로써 식기 세척과 동시에 음식물 찌꺼기의 처리가 가능하고, 음식물 찌꺼기의 압착 및 분쇄과정 시 발생되는 음식물 찌꺼기 오수를 별도로 분리하여 정화조로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폐수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도록 하는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씽크대에서 음식물이 묻은 식기를 세척하는 경우 발생되는 세척수 및 오수는 대부분 씽크대의 배수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때, 오수는 대부분 음식물 찌꺼기로 포함되어 하수구로 버려지며, 이렇게 버려지는 음식물 찌꺼기로 인해 강이나 하천 등이 오염되는 등 자연환경을 파괴하는 주원인 중 하나로 알려졌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씽크대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배수구에 거 름망을 설치하여 오수에 포함된 음식물 찌꺼기가 걸러진 후 세척수만이 배수구를 통하여 배수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역시 거름망에 의해 걸러지는 오수가 포함된 음식물 찌꺼기의 상태가 대부분 물기를 포함한 습한 상태이므로 쉽게 부패되거나, 이로 인해 악취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로 인해 거름망에 걸러진 음식물 찌꺼기를 자주 수거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오수가 포함된 음식물 찌꺼기를 버릴 경우 처리과정에서 수분을 별도로 제거해야 하며, 이때 음식물 찌꺼기를 분쇄하는 경우 음식물에서 더욱 농도가 진한 음식물 폐수가 발생되어 하수관으로 배출됨으로써 수원을 오염시키는 등 최근 들어 음식물 찌꺼기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오, 폐수로 인한 환경 오염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싱크대에 직접적용됨으로써 식기 세척과 동시에 음식물 찌꺼기의 처리가 가능하고, 식기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 및 음식물 찌꺼기가 1차로 배출되되, 세척수는 하수관으로 배출되고, 음식물 찌꺼기에 포함되어 압착 및 분쇄과정 시 발생되는 음식물 찌꺼기 오수는 2차로 분리하여 정화조로 배출되도록 하며,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를 수거하는 받이통이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음식물 쓰레기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하여 음식물 찌꺼기가 발생되는 씽크대에서 모든 과정을 일괄처리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음식물 오수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도록 하는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평방향으로 축이 위치되는 원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측의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스크류와, 음식물 찌꺼기를 투입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측 방향으로 상기 축부의 일측 끝단과 연동되도록 구비되는 모터와, 상기 본체 내측의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스크류와, 상기 모터의 타측에 구비되는 상기 축부와 연동되어 스크류에 의해 밀려오는 음식물 찌꺼기를 절단하는 분쇄날이 구비되는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서 음식물 찌꺼기의 분쇄 시 발생되는 오수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하측면의 길이방향에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오수세공; 상기 오수세공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일측으로 집중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하부에 하부면이 일측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오수모음관; 및 상기 오수모음관으로부터 집중되어 배출되는 오수를 정화조로 배출시키기 위한 정화조 배수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화조 배수관은 배출되는 음식물 찌꺼기 오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S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역류방지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하부면 일측 및 스크류의 단부 적소에 소정형상의 함체형 받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체형 받이부에 수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이통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구의 내부에 세척수가 하수관을 통하여 배출되지 않을 경우 세척수가 본체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 폐가능하게 형성되는 밸브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투입구와 연결되어 음식물 찌꺼기를 투입하도록 하는 투입부 중앙에 개, 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투입용 뚜껑이 구비된다.
여기서, 씽크대에서 발생되는 각종 음식물 찌꺼기가 투입구를 통하여 배수구로 낙하 및 투입되는 단계와, 음식물 찌꺼기와 함께 투입되는 세척수가 배수구의 일측에 연통되는 하수공을 통하여 하수관으로 배출되는 단계와, 상기 배수구를 통하여 투입되는 음식물 찌꺼기가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크류에 의하여 압착 및 분쇄되는 단계와, 압착 및 분쇄되는 음식물 찌거기가 고형화된 후 찌꺼기세공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음식물 찌꺼기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에 의하여 음식물 찌꺼기의 압착 및 분쇄 시 음식물 찌꺼기에서 발생되는 오수가 상기 본체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소정형상의 오수세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단계; 상기 오수세공으로 배출되는 음식물 찌꺼기에서 발생되는 오수가 오수모음관으로 집중되는 단계; 및 상기 오수모음관으로 집중되어 배출되는 오수가 정화조 배수관을 통하여 정화조로 배출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더불어, 소정부분이 S자로 형성되는 정화조 배수관에 의하여 정화조로 배출되는 음식물 찌꺼기의 오수가 역류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구의 내부에 개, 폐가능하게 구비되는 밸브의 조작에 의하 여 세척수가 하수관을 통하여 배출되지 않을 경우 음식물 찌꺼기가 본체 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찌꺼기의 오수가 상기 본체의 하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오수세공을 통하여 오수모음관으로 배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의 오수세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오수가 소정각도 기울게 형성되는 오수모음관의 일측으로 집중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에 따른 음식물 찌꺼기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1)는 통형상의 본체(2)와 음식물 찌꺼기(10)를 이송시키는 스크류(3)와 음식물 찌꺼기(10)를 분쇄하는 분쇄날(5)와 본체(2)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크류(3) 및 분쇄날(6)을 회전시키는 모터(4)로 구성된다.
즉, 수평방향으로 축이 위치되는 원통형상의 본체(2)와 상기 본체(2) 내측의 축부(5)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스크류(3)와 상기 본체(2)에 음식물 찌꺼기(10)를 투입하기 위하여 그 상측면 일측에 형성되는 투입구(15)와 상기 투입구(15)의 측방향의 축부(5) 일측 끝단과 연동되는 모터(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2)는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심 축부(5)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스크류(3)의 외주면이 근접되게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2)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직육면체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음식물 찌꺼기(10)가 투입되는 투입구(15)측, 즉 모터(4)가 구비되는 위치의 축부(5) 외주의 두게보다 타측의 축부(5) 외주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며, 모터(4)의 구동에 의한 스크류(3)의 회전에 의하여 음식물 찌꺼기(10) 내의 수분이 제거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2)의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모터(4)의 타측으로 상기 축부(5)와 연동되는 분쇄날(6)이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3)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되는 음식물 찌꺼기(10)가 상기 분쇄날(6)에 의하여 절단된다.
또한, 스크류(3)에 의한 압착 및 분쇄날(6)에 의한 분쇄 시 발생되는 음식물 찌꺼기(10) 오수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2)의 하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오수세공(7)이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오수세공(7)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일측으로 집중시켜 모으도록 상기 본체(2) 저부에 저면이 일측 방향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기울어지는 오수모음관(8)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오수모음관(8)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정화조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오수모음관(8)의 일측 하부면에 S자로 형성되는 역류방지부(11)를 갖 는 정화조 배수관(25)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의 저면 일측 및 분쇄날(6) 부분에 함체형의 받이부(13)가 구비되고, 상기 받이부(13)에 대해 수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10)를 수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받이통(14)이 구비된다.
상기 배수구(21)의 내부에 개, 폐가능하게 구비되는 밸브(23)의 조작에 의하여 세척수가 하수관(9)을 통하여 배출되지 않을 경우 음식물 찌꺼기가 본체(2) 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배수구(21)의 내부 소정위치에 개, 폐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밸브(23)가 구비된다. 즉, 배수구(21)로 유입되는 세척수 및 음식물 찌꺼기(10) 중 세척수가 하수관(9)을 통하여 하수구로 배출되지 않을 경우 음식물 찌꺼기(10)가 본체(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 폐가능하게 조작되는 밸브(23)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수구(21)의 내부 소정위치에 개, 폐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밸브(23)가 구비되어 배수구(21)에 유입되는 세척수가 본체(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 하 또는 좌, 우로 개, 폐가능하게 이루어진다면 기타 다양한 구조 및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밸브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밸브(23)가 원터치 식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1)에 따른 음식물 찌거기를 처리하는 처리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씽크대(20)에서 발생되는 각종 음식물 찌꺼기(10) 및 세척수가 상기 본체(2)에 형성되는 투입구(15)를 통하여 배수구(21)로 낙하 및 투입된다. 이때, 상기 배수구(21)에 구비되는 찌꺼기 거름망(22)에 의하여 음식물 찌꺼기(10)와 세척수가 분리된다.
이렇게 음식물 찌꺼기(10)와 함께 배수구(21)로 낙하 및 투입되는 세척수가 배수구(21)의 일측에 연통되는 하수공을 통하여 하수관(9)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수구(21)의 내부에 개, 폐가능하게 구비되는 밸브(23)의 조작에 의하여 세척수가 하수관(9)을 통하여 배출되지 않을 경우 음식물 찌꺼기가 본체(2) 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배수구(21)와 하수관(9)은 그 바닥면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해 세척수가 배수관(21)을 통하여 하수관(9)으로 이동하여 배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수관(21)의 바닥면이 평평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배수관(21)에 유입되는 세척수를 하수관(9)으로 이동 및 집중시키기 용이하도록 상기 배수관(21)의 바닥면을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다음, 상기 배수구(21)를 통하여 투입되는 음식물 찌거기가 모터(4)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크류(3)에 의하여 압착 및 분쇄되며, 압착 및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10)가 고형화된 후 찌꺼기세공(12)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3)에 의하여 음식물 찌꺼기(10)의 압착 및 분쇄 시 음 식물 찌꺼기(10)에서 발생되는 오수가 상기 본체(2)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소정형상의 오수세공(7)을 통하여 배출된다(S1).
즉, 상기 스크류(3)에 의하여 음식물 찌꺼기(10)가 압착 및 분쇄될 경우 음식물 찌꺼기(10)에 포함되는 오수가 상기 본체(2)의 하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오수세공(7)을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오수세공(7)으로 배출되는 음식물 찌꺼기(10)에서 발생되는 오수가 오수모음관(8)으로 집중된다(S2). 즉, 상기 본체(2)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오수세공(7)을 통하여 배출되는 음식물 찌꺼기(10)의 오수가 소정각도로 기울게 형성되는 오수모음관(8)의 일측으로 집중된다.
더불어, 상기 오수모음관(8)으로 집중되어 배출되는 오수가 정화조 배수관(25)을 통하여 정화조로 배출된다(S3). 즉, 소정부분이 S자로 형성되는 정화조 배수관(25)에 의하여 정화조로 배출되는 음식물 찌꺼기(10)의 오수가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오수모음관(8)의 일측으로 집중되어 정화조로 배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1)는 상기 본체(2)에 형성되는 투입구(15)와 연결되어 음식물 찌꺼기(10)가 투입되도록 이루어지는 투입구(15)의 중앙에 개, 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투입용 뚜껑(16)이 구비된다.
즉, 상기 본체(2)에 형성되는 투입구(15)와 연결되어 음식물 찌꺼기(10) 및 세척수가 선별적으로 투입되거나, 음식물 찌거기 및 세척수가 본체(2)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2)의 투입구(15)의 중앙에 힌지결합에 의하여 개, 폐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투입용 뚜껑(16)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2)의 투입구(15) 중앙에 구비되는 투입용 뚜껑(16)이 힌지결합에 의하여 개, 폐가능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본체(2)의 투입구(15)를 통하여 투입되는 음식물 찌꺼기(10) 및 세척수를 본체(2)로 투입하거나, 투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만 있다면 상기 뚜껑(16)이 기타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싱크대에 직접적용됨으로써 식기 세척과 동시에 음식물 찌꺼기의 처리가 가능하고, 식기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 및 음식물 찌꺼기가 1차로 배출되되, 세척수는 하수관으로 배출되고, 음식물 찌꺼기에 포함되어 압착 및 분쇄과정 시 발생되는 음식물 찌꺼기 오수는 2차로 분리하여 정화조로 배출되도록 하며,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를 수거하는 받이통이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음식물 쓰레기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하여 음식물 찌꺼기가 발생되는 씽크대에서 모든 과정을 일괄처리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음식물 오수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10)

  1. 수평방향으로 축이 위치되는 원통형상의 본체(2)와, 상기 본체(2) 내측의 축부(5)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스크류(3)와, 음식물 찌꺼기(10)를 투입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2)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되는 투입구(15)와, 상기 투입구(15)측 방향으로 상기 축부(5)의 일측 끝단과 연동되도록 구비되는 모터(4)와, 상기 본체(2) 내측의 축부(5)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스크류(3)와, 상기 모터(4)의 타측에 구비되는 상기 축부(5)와 연동되어 스크류(3)에 의해 밀려오는 음식물 찌꺼기(10)를 절단하는 분쇄날(6)이 구비되는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1)에 있어서,
    상기 본체(2)에서 음식물 찌꺼기(10)의 분쇄 시 발생되는 오수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하측면의 길이방향에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오수세공(7);
    상기 오수세공(7)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일측으로 집중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2)의 하부에 하부면이 일측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오수모음관(8); 및
    상기 오수모음관(8)으로부터 집중되어 배출되는 오수를 정화조로 배출시키기 위한 정화조 배수관(2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 배수관(25)은 배출되는 음식물 찌꺼기(10) 오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S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역류방지부(1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하부면 일측 및 스크류(3)의 단부 적소에 소정형상의 함체형 받이부(13)가 형성되고, 상기 함체형 받이부(13)에 수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이통(1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21)의 내부에 세척수가 하수관(9)을 통하여 배출되지 않을 경우 세척수가 본체(2)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 폐가능하게 형성되는 밸브(2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투입구(15)와 연결되어 음식물 찌꺼기(10)를 투입하도록 하 는 투입구(15) 중앙에 개, 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투입용 뚜껑(16)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6. 씽크대(20)에서 발생되는 각종 음식물 찌꺼기(10)가 투입구(15)를 통하여 배수구(21)로 낙하 및 투입되는 단계와, 음식물 찌꺼기(10)와 함께 투입되는 세척수가 배수구(21)의 일측에 연통되는 하수공을 통하여 하수관(9)으로 배출되는 단계와, 상기 배수구(21)를 통하여 투입되는 음식물 찌꺼기(10)가 모터(4)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크류(3)에 의하여 압착 및 분쇄되는 단계와, 압착 및 분쇄되는 음식물 찌거기가 고형화된 후 찌꺼기세공(12)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음식물 찌꺼기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3)에 의하여 음식물 찌꺼기(10)의 압착 및 분쇄 시 음식물 찌꺼기(10)에서 발생되는 오수가 상기 본체(2)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소정형상의 오수세공(7)을 통하여 배출되는 단계(S1);
    상기 오수세공(7)으로 배출되는 음식물 찌꺼기(10)에서 발생되는 오수가 오수모음관(8)으로 집중되는 단계(S2); 및
    상기 오수모음관(8)으로 집중되어 배출되는 오수가 정화조 배수관(25)을 통하여 정화조로 배출되는 단계(S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찌꺼기 처리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소정부분이 S자로 형성되는 정화조 배수관(25)에 의하여 정화조로 배출되는 음식물 찌꺼기(10)의 오수가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찌꺼기 처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21)의 내부에 개, 폐가능하게 구비되는 밸브(23)의 조작에 의하여 세척수가 하수관(9)을 통하여 배출되지 않을 경우 음식물 찌꺼기가 본체(2) 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찌꺼기 처리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찌꺼기(10)의 오수가 상기 본체(2)의 하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오수세공(7)을 통하여 오수모음관(8)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찌꺼기 처리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오수세공(7)을 통하여 배출되는 오수가 소정각도 기울게 형성되는 오수모음관(8)의 일측으로 집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찌꺼기 처리방법.
KR1020050026483A 2005-03-30 2005-03-30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0718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483A KR100718588B1 (ko) 2005-03-30 2005-03-30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483A KR100718588B1 (ko) 2005-03-30 2005-03-30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368A true KR20060104368A (ko) 2006-10-09
KR100718588B1 KR100718588B1 (ko) 2007-05-16

Family

ID=37634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483A KR100718588B1 (ko) 2005-03-30 2005-03-30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858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8186A (zh) * 2011-12-27 2012-06-27 苏州韩博厨房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垃圾处理装置的水槽
KR101425904B1 (ko) * 2014-03-10 2014-08-05 김기후 음식물 처리장치
CN104196091A (zh) * 2014-09-27 2014-12-10 衢州图艺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箱型水槽分类排放机
CN108360623A (zh) * 2018-02-05 2018-08-03 张向华 一种用于厨房食物垃圾处理器
CN109440882A (zh) * 2018-10-30 2019-03-08 桂美苹 一种厨房垃圾处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800B1 (ko) * 2012-02-07 2013-09-13 이동언 압축탈수 기능이 향상된 음식물처리기
KR102007186B1 (ko) 2017-08-11 2019-08-05 박근호 개수대에 적합한 파쇄기 및 그 파쇄기가 구비된 음식 찌꺼기의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929A (ko) * 2000-10-28 2001-01-05 정도화 서킷테이프 정렬장치
KR20190000980A (ko) * 2017-06-26 2019-01-04 이동원 퍼스널 헬스케어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8186A (zh) * 2011-12-27 2012-06-27 苏州韩博厨房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垃圾处理装置的水槽
KR101425904B1 (ko) * 2014-03-10 2014-08-05 김기후 음식물 처리장치
CN104196091A (zh) * 2014-09-27 2014-12-10 衢州图艺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箱型水槽分类排放机
CN104196091B (zh) * 2014-09-27 2015-11-04 衢州图艺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箱型水槽分类排放机
CN108360623A (zh) * 2018-02-05 2018-08-03 张向华 一种用于厨房食物垃圾处理器
CN109440882A (zh) * 2018-10-30 2019-03-08 桂美苹 一种厨房垃圾处理装置
CN109440882B (zh) * 2018-10-30 2020-11-06 浙江一佳厨卫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厨房垃圾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8588B1 (ko) 200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588B1 (ko)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1413883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KR100638372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034232A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감량기
KR200440415Y1 (ko)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분쇄처리장치
KR20140060609A (ko) 3차 감량기 일체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41479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1134164U (zh) 一种生活垃圾处理装置
KR200700821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45678B1 (ko) 세척장치 및 세척장치가 구비된 협잡물 처리장치
KR101336741B1 (ko) 잔반 분리수단을 갖는 싱크대용 디스포저
KR101729608B1 (ko) 음식물 압축기, 음식물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 방법
KR200481337Y1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KR10168691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209783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2302481B1 (ko) 자정기능을 갖춘 음식물처리기
KR20170102663A (ko) 필터링 장치, 음식물 처리 장치 및 음식물 처리 방법
JPH07213951A (ja) 生ごみ処理装置
KR100251484B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분쇄 배출장치
CN217249456U (zh) 一种厨余垃圾处理用粉碎装置
JP2006095401A (ja) し渣処理装置
KR200222021Y1 (ko) 잔반처리장치
KR101473197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024960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N218779598U (zh) 一种垃圾处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