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678B1 - 세척장치 및 세척장치가 구비된 협잡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세척장치 및 세척장치가 구비된 협잡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678B1
KR101645678B1 KR1020130158303A KR20130158303A KR101645678B1 KR 101645678 B1 KR101645678 B1 KR 101645678B1 KR 1020130158303 A KR1020130158303 A KR 1020130158303A KR 20130158303 A KR20130158303 A KR 20130158303A KR 101645678 B1 KR101645678 B1 KR 101645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minants
storage body
unit
storag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1361A (ko
Inventor
최기억
이미경
Original Assignee
최기억
주식회사 가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억, 주식회사 가온텍 filed Critical 최기억
Priority to KR1020130158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678B1/ko
Publication of KR20150071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1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수 및 협잡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 및 협잡물이 상기 저장바디로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된 제1저장부, 상기 저장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고정되어 상기 저장바디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협잡물이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부를 포함하는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척장치 및 세척장치가 구비된 협잡물 처리장치{Apparatus for washing Adulteration and Apparatus for treating Adulteration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협잡물의 세척을 세척장치 및 상기 세척장치가 구비된 협잡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세식 화장실이나 목욕탕, 주방 등에서 배출되는 오수나, 화장실에서 수거되는 분뇨나 오니 또는 가축의 분뇨나 축산폐수 등은 일차적으로 각 가정이나 산업체에 설치된 오수 정화시설 또는 정화조 등에서 처리된 후 최종적으로 하수종말처리장이나 폐수종말처리장 또는 오폐수처리시설에서 처리되고 있다.
그런데, 오수, 분뇨, 오니 등의 처리 대상물(협잡물, 挾雜物, adulteration)들은 다량의 수분과 고형물이 혼합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고형물(슬러지)을 분리 제거하지 않고는 정화조와 같은 정화장치에서 정화처리 과정이 적절하게 수행될 수 없다. 따라서, 정화처리 과정 중에는 협잡물에서 오수를 분리하는 공정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정화처리 과정에서 협잡물에서 오수를 분리하는 종래 협잡물 처리장치는 협잡물을 세척수에 세척하는 과정에서 세척수가 작업장에 비산되어 작업환경을 오염시키고 세척수의 낭비를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협잡물 처리장치는 협잡물의 세척을 위해 공급되는 세척수가 협잡물을 충분히 세척하지 못한 채 버려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세척수의 낭비를 방지하고 작업장의 오염을 방지 가능한 세척장치 및 상기 세척장치가 구비된 협잡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협잡물의 세척이 용이한 세척장치 및 상기 세척장치가 구비된 협잡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척수 및 협잡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 협잡물이 상기 저장바디로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된 제1저장부; 상기 저장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고정되어 상기 저장바디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협잡물이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부;를 포함하는 세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도어는 상기 저장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저장부는 상기 바디에서 상기 저장바디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협잡물이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와 상기 지지바디 사이의 결합각도는 90도 초과 180도 미만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와 상기 지지바디 사이의 결합각도는 110도 내지 130도 사이의 각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는 상기 지지바디의 표면에서 상기 유입구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지지바디의 마주 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디에 공급된 협잡물이 지지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유로는 세척수가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지지바디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급관 내부의 세척수를 상기 지지바디에 분사하는 분사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에 저장된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배출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저장바디의 높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세척수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면이 상기 저장바디의 바닥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유로바디; 상기 유입면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로바디 내부의 세척수를 상기 저장바디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관은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수위를 기 설정된 기준수위로 유지시키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유입면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바디로 유입되는 세척수를 여과하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 내부에 저장된 협잡물을 상기 저장바디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협잡물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협잡물 배출부는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협잡물을 상기 저장바디의 외부로 안내하는 협잡물 배출관; 상기 저장바디의 외부에 구비되는 배출모터; 상기 배출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상기 협잡물 배출부로 이동시키는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부에서 배출된 협잡물을 분쇄하는 분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분쇄부는 협잡물이 유입되는 하우징 유입면 및 협잡물이 배출되는 하우징 배출면이 구비된 하우징; 원주면이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유입면으로 공급되는 협잡물을 분쇄하여 상기 하우징 배출면으로 이동시키는 제1블레이드 및 제2블레이드; 상기 제1블레이드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제1기어; 상기 제2블레이드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제2기어; 상기 제1기어에 결합되며 분쇄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제2기어를 연결하는 연결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쇄모터와 상기 배출모터는 연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의 높이 방향을 따라 왕복운동 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저장바디 내부에 저장된 협잡물을 유동시키는 교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척수 및 협잡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협잡물을 세척하는 세척부; 상기 세척부에서 배출된 협잡물을 분쇄하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협잡물에서 세척수를 분리하는 탈수부; 상기 탈수부에서 배출되는 협잡물이 저장되는 반출물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세척부는 세척수 및 협잡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 협잡물이 상기 저장바디로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된 제1저장부; 상기 저장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고정되어 상기 저장바디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협잡물이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부;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협잡물을 상기 분쇄부로 공급하는 협잡물 배출부;를 포함하는 협잡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탈수부는 상기 분쇄부에서 배출된 협잡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탈수하우징; 상기 분쇄부에서 배출된 협잡물을 상기 탈수하우징으로 안내하는 유입호퍼; 상기 탈수하우징 내부의 세척수를 상기 탈수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호퍼; 상기 탈수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구비되며 상기 탈수하우징 내부의 협잡물을 상기 반출물 저장부로 이동시키는 압축판; 상기 압축판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탈수하우징 내부의 세척수가 상기 배출호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 상기 압축판의 원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며, 상기 탈수하우징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스크래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척수의 낭비를 방지하고 작업장의 오염을 방지 가능한 세척장치 및 상기 세척장치가 구비된 협잡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협잡물의 세척이 용이한 세척장치 및 상기 세척장치가 구비된 협잡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협잡물 처리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협잡물 처리장치에 구비된 세척장치 및 분쇄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세척장치 및 교반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세척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협잡물 처리장치에 구비된 탈수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협잡물 처리장치(100)는 협잡물 및 세척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여 협잡물을 세척하는 세척장치(2, 세척부), 세척장치(2)로 협잡물을 공급하는 공급부(1), 세척장치(2)에서 배출되는 협잡물을 분쇄하는 분쇄부(3), 분쇄부(3)에서 배출된 협잡물을 협잡물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부(5)로 이동시키는 이송부(4), 탈수부(5)를 통해 탈수가 완료된 협잡물이 저장되는 반출 저장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1)는 외부에서 수거되어 협잡물 처리공간으로 이송된 협잡물을 세척장치(2)에 투입하기 위한 수단으로, 협잡물 처리공간에 구비된 크레인(11), 크레인에 구비되는 클램프(13)로 구비될 수 있다.
클램프(13)는 크레인(11)에 지지되어 세척장치(2)의 너비방향(Y축 방향, 도 2)을 따라 이동가능할 뿐만 아니라 세척장치(2)의 높이방향(Z축 방향, 도 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세척장치(2)는 공급부(1)를 통해 공급되는 협잡물을 세척시킬 뿐만 아니라 협잡물에서 분리된 오수를 정화부(미도시)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장치(2)는 세척수 및 협잡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부(21), 상기 제1저장부(21)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유로(22), 상기 제1저장부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를 정화부(미도시)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로(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저장부(21)는 협잡물 및 세척수의 저장공간을 제공하며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바디(211), 저장바디(211)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저장바디(211)로 협잡물을 유입시키는 유입구(213)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구(213)는 도어(26)에 의해 개폐되는데, 도어(26)는 유입구(213)를 개폐하는 개폐바디(261), 개폐바디(261)를 저장바디(2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회전축(263), 상기 개폐바디(261)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구동부(265)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구동부(265)는 실린더(2653), 실린더(2653) 내부에 구비되되 일단이 실린더에서 인출 가능한 샤프트(2651)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린더(2653)는 저장바디(211)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실린더(2653)의 외부에 노출된 샤프트(2651)의 타단은 개폐바디(26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실린더(2653) 내부의 압력변화에 의해 샤프트(2651)가 실린더(265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개폐바디(261)는 유입구(213)를 개방하고, 샤프트(2651)가 실린더(2653)를 향해 이동하면 개폐바디(261)는 유입구(213)를 폐쇄하게 된다.
상기 공급유로(22)는 급수원(미도시)과 저장바디(211)를 연결하는 공급관(211)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공급관(211)은 저장바디(21)의 너비방향(Y축 방향)을 따라 유입구(213)를 가로지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급유로(22)는 공급관(211)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공급관(211)을 따라 이동하는 세척수를 공급관(21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분사홀(223, 도 3참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공급부(1)를 통해 세척장치(2)로 협잡물이 공급되는 시점에 제1저장부(21)에는 일정량의 세척수가 저장된 상태이다. 따라서, 세척장치(2)가 상술한 구성만으로 구비되면 공급부(1)가 유입구(213)로 협잡물을 공급할 때 저장바디(211) 내부의 세척수가 유입구(213)를 통해 저장바디(211)의 외부로 분출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협잡물 처리공간의 오염, 세척수 낭비의 문제발생).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세척장치(2)는 도어(26)와 연동하도록 구비되어 공급부(1)를 통해 유입구(213)로 공급되는 협잡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제2저장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27)는 도어의 개폐바디(261)에 고정되어 상기 저장바디(211) 내부에 위치하는 지지바디(271), 상기 지지바디(271)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플랜지(27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271)는 개폐바디(261)에 고정되며, 지지바디(271)와 개폐바디(261) 사이의 결합각도는 90도 보다는 크고 180도 보다는 작게 구비되어야 한다. 도면에 도시된 지지바디(271)와 개폐바디(261)의 결합각도는 110 내지 130도인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지지바디(271)와 개폐바디(261)의 결합각도를 110도 내지 130도로 설정한 것은 개폐바디(261)에 연동하도록 구비된 지지바디(271)가 공급관(221)과 간섭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지지바디(271)가 협잡물을 지지할 수 있는 최대 공간을 제공하는 각도이기 때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구동부(265)에 의해 개폐바디(261)가 회전축(263)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유입구(213)는 개방되고, 제2저장부(27)의 지지바디(271)는 개폐바디(261)와 함께 시계방향을 따라 저장바디(211) 내부에서 회전하게 된다.
개폐바디(261)가 유입구(213)를 기준으로 시계방향 90도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면, 지지바디(271)는 유입구(213)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 20도 내지 40도 각도 하방에 위치하게 되며, 공급유로의 공급관(221)은 유입구(213)와 지지바디(271)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공급부(1)가 유입구(213)로 협잡물을 공급하면 협잡물을 지지바디(271)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상태가 유지되며, 지지바디(271)에 저장된 협잡물은 도어구동부(265)에 의해 개폐바디(261)가 유입구(213)를 폐쇄하는 방향(도 3의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할 때 저장바디(211) 내부에 공급될 것이므로 협잡물 처리공간의 오염이나 세척수 낭비와 같은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급유로(22)는 지지바디(271)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지지바디(271)에 협잡물이 잔류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바디(271)와 개폐바디(261)의 결합각도가 상술한 둔각으로 구비될 경우, 저장바디(211)에는 개폐바디(261)가 유입구(213)를 폐쇄한 때 지지바디(271)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부 수용부(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지지바디(271)가 개폐바디(261)에 접철 가능한 구조(지지바디(271)가 개폐바디(261)를 향해 회전하는 것은 허용하되 지지바디(271)가 개폐바디(26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최대 회전각도는 110도 내지 130도 범위에서 제한하는 구조)로 구비된다면 제2저장부 수용부(S)는 생략될 수 있다.
지지바디(271)에 구비되는 플랜지(275)는 지지바디(271)의 저장용량을 증대시키는 수단으로 지지바디(271)의 표면에서 유입구(213)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275)는 지지바디(271)의 외주면 전체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디(271)의 마주보는 양단에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협잡물이 투입되는 방향에는 구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함).
나아가, 지지바디(271)에 저장된 협잡물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 제2저장부(27)는 지지바디(271)와 개폐바디(261)를 연결하는 연결바(273, 도 1참고)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세척장치(2)에 구비된 배출유로(23)는 저장바디(211)의 바닥면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저장바디(211)의 상부면에서 저장바디(211)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는 유로바디(231), 상기 유로바디(231) 내부를 저장바디(211)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배출관(23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저장바디(211)의 바닥면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된 유로바디(231)의 하부면에는 저장바디(211) 내부의 세척수가 유로바디(231) 내부로 유입시키는 세척수 유입면이 구비되며, 세척수 유입면에는 협잡물이 유로바디(23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233)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관(235)은 정화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저장바디(211)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를 정화시키는 정화부로 공급하는데, 배출관(235)은 저장바디(211)에 설정된 기준수위를 유지시키는 수단이다.
즉, 저장바디(211)는 공급유로(22)가 공급하는 세척수를 저장하는데 공급유로(22)에 의해 저장바디(211) 내부의 수위가 기준수위를 초과하면 저장바디(211) 내부의 세척수는 배출관(235)을 통해 정화부(미도시)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세척수가 저장바디(211)의 상부에 구비된 공급유로(22)를 통해 저장바디(211)에 공급되고, 저장바디(211) 내부의 세척수는 저장바디(211)의 바닥면에 위치된 세척수가 저장바디(211)의 상부에 위치된 세척수보다 먼저 배출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세척수 배출구조를 갖춘 것은 저장바디(211) 내부에 저장된 협잡물이 세척수에 의해 충분히 세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공급유로(22)를 통해 공급되는 깨끗한 세척수가 협잡물을 세척시키지 못한 채 곧바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필터(233)의 하부에는 저장바디(211)의 바닥면에 적층된 협잡물을 분쇄부(3)로 배출시킬 뿐만 아니라 필터(233)의 표면에 잔류하는 협잡물을 분쇄부(3)로 이동시키는 협잡물 배출부(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협잡물 배출부(25)는 저장바디(211) 내부에 구비되어 필터(233)에 접촉하는 브러쉬(253), 저장바디(211)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브러쉬(253)를 회전시키는 배출모터(251), 브러쉬(253)에 의해 저장바디(211)에서 배출되는 협잡물을 분쇄부(3)로 안내하는 협잡물 배출관(255, 도 2참고)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러쉬(253)은 필터(233)에 잔류하는 협잡물을 협잡물 배출관(255)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한 다양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상기 브러쉬(253)를 회전시키는 배출모터(251)가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실시예 외에도 상기 배출모터(251)가 별도로 구성되지 않고 후술할 분쇄부(3)에 동력을 제공하는 분쇄모터(391)의 동력을 활용하는 실시예 또는 상기 배출모터(251)와 분쇄모터(391)가 하나의 구성으로 구비되는 실시예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저장바디(211) 내부에 저장된 협잡물과 세척수의 교반을 용이하게 하는 교반부(2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구비된 교반부(28)는 저장바디(211)의 높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 교반부(28)가 저장바디(211) 내부에서 회전하는 구조로 구비되면 협잡물이 교반부(28)의 회전축에 걸려 교반부(28)가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가능성이 클 뿐만 아니라 교반부(28)의 잦은 고장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구비된 교반부(28)는 저장바디(211)의 상부면 외측에 구비되는 교반모터(281), 교반모터(281)에 의해 저장바디(211) 내부에서 저장바디(211)의 높이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축(285), 상기 축(285)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287)로 구비될 수 있다.
교반부(28)에는 상기 축(285)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더(29)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가이더(29)는 저장바디(211)의 상부면에 고정된 가이더 제1축(291) 및 가이더 제2축(293), 축(285)이 연결되며 가이더 제1축(291)과 제2축(293)의 안내를 받아 왕복운동 가능한 연결판(29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교반모터(281)의 회전축은 회전판(283)에 고정되고, 회전판(283)은 핀(284)을 통해 연결판(295)에 결합된다. 또한, 연결판(295)에는 핀(284)의 원운동을 연결판(295)의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슬릿(299)이 구비된다.
연결판(295)에 고정된 축(285)은 저장바디(211)의 상부면을 관통하는 축관통홀(215)을 통해 저장바디(211) 내부에 삽입된다.
저장바디(211)에서 배출되는 협잡물이 분쇄되는 분쇄부(3)는 도 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바디(211)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우징(31),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협잡물을 분쇄시키는 블레이드(33, 35)로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31)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며, 저장바디(211)의 바닥면을 향하는 상부면, 상기 상부면과 마주보는 하부면은 각각 개방면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면은 협잡물이 유입되는 하우징 유입면(311)이 되고,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면은 분쇄된 협잡물이 배출되는 하우징 배출면(313)이 된다.
이 경우 상기 블레이드는 하우징 유입면(311)과 하우징 배출면(313) 사이에 위치하는 제1블레이드(33) 및 제2블레이드(35)로 구비될 수 있다.
제1블레이드(33)는 제1축(331)을 통해 하우징(3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제2블레이드(35)는 제2축(333)을 통해 하우징(3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제1블레이드(33)와 제2블레이드(35)는 원주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되고, 하우징 유입면(311)으로 유입되는 협잡물을 하우징 배출면(313)으로 이동시키도록 각 블레이드(33, 35)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협잡물의 분쇄가 용이하도록 제1블레이드(33) 및 제2블레이드(35)의 표면에는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된 기어(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제1블레이드(33) 및 제2블레이드(35)는 구동부(39)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구동부는 하나의 분쇄모터(391)를 통해 두 개의 블레이드(33, 35)를 회전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해, 제1축(331)에는 구동기어(393, 분쇄모터에 의해 회전)에 직접 결합하는 제1기어(36)가 구비되고, 제2축(351)에는 구동기어(393)에 연결기어(38)를 통해 연결되는 제2기어(37)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기어(38)는 하우징(3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구동기어(393)와 제2기어(37)를 연결하며, 이를 통해 제1블레이드(33)와 제2블레이드(35)는 서로 다른 방향(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구비된 분쇄모터(391)와 협잡물 배출부(25)에 구비된 배출모터(251)는 서로 연동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저장바디(211) 내부에 저장된 협잡물이 세척수에 의해 세척되기 위해서는 협잡물이 저장바디(211) 내부에서 일정시간 저장될 필요가 있고(배출모터(251)가 항상 동작될 필요가 없음), 저장바디(211)에서 배출된 협잡물은 곧바로 분쇄됨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분쇄모터(391)와 배출모터(251)를 연통시키면 세척장치(2)의 제어오류를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모터 제어를 위한 에너지 절감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쇄부(3)에서 분쇄된 협잡물은 컨베이어 벨트 등의 구조로 구비되는 이송부(4)를 통해 탈수부(5)에 공급된다.
탈수부(5)는 협잡물이 압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탈수하우징(51), 이송부(4)가 제공하는 협잡물을 탈수하우징(51)으로 유입시키는 유입호퍼(511), 탈수하우징 내부의 세척수를 탈수하우징(51)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호퍼(515), 배출호퍼(515)에 수집된 오수를 정화부(미도시)로 안내하는 호퍼배출관(513)을 포함한다.
탈수하우징(51)에 저장된 협잡물은 압축부(55)에 의해 수분이 제거된 뒤 안내관(53)을 통해 반출 저장부(6)로 이동하게 된다.
압축부(55)는 탈수하우징(51)의 외부에 구비된 압축부 실린더(551), 압출부 실린더(551)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탈수하우징(51)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는 압축부 피스톤(553)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탈수하우징(51) 내부로 유입된 협잡물은 압축부 피스톤(553)의 왕복운동에 의해 안내관(53)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협잡물은 압축부 피스톤(553)에 의해 압축될 것이므로 오수는 협잡물에서 분리된다.
한편, 협잡물의 압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압축부 피스톤(553)에는 압축판(555)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압축판(555)에는 협잡물이 압축될 때 배출되는 오수가 배출호퍼(515)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555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압축판(555)의 원주면에는 탈수하우징(51) 내부에 협잡물이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스크래퍼(555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크래퍼(5553)는 압축판(555)의 하부 원주면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탈수하우징(51)의 하부면에(배출호퍼(515)가 위치된 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래퍼(5553)는 압축판(555)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 하부영역 중 압축판(555)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측 45도에서 우측 45도 영역에만 구비될 수 있다. 이 영역에 대응하는 탈수하우징(51)의 영역에 협잡물이 잔류될 가능성이 가장 높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협잡물 처리장치 1: 공급부 2: 세척장치(세척부)
21: 제1저장부 22: 공급유로 23: 배출유로
25: 협잡물 배출부 26: 도어 27: 제2저장부
28: 교반부 3: 분쇄부 31: 하우징
33: 제1블레이드 35: 제2블레이드 36: 제1기어
37: 제2기어 38: 연결기어 39: 구동부
4: 이송부 5: 탈수부 51: 탈수하우징
53: 안내관 55: 압축부 6: 반출 저장부

Claims (15)

  1. 세척수 및 협잡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 협잡물이 상기 저장바디로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된 제1저장부;
    상기 저장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고정되어 상기 저장바디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협잡물이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부;
    상기 저장바디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유로;
    상기 저장바디에 저장된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배출유로;
    상기 저장바디 내부에 저장된 협잡물을 상기 저장바디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협잡물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저장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저장부는 상기 바디에서 상기 저장바디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협잡물이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유로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지지바디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급관 내부의 세척수를 상기 지지바디에 분사하는 분사홀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저장바디의 높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세척수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면이 상기 저장바디의 바닥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유로바디; 상기 유입면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로바디 내부의 세척수를 상기 저장바디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 상기 유입면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바디로 유입되는 세척수를 여과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협잡물 배출부는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협잡물을 상기 저장바디의 외부로 안내하는 협잡물 배출관과, 상기 저장바디의 외부에 구비되는 배출모터와, 상기 배출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상기 협잡물 배출부로 이동시키는 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와 상기 지지바디 사이의 결합각도는 110도 내지 13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부는
    상기 지지바디의 표면에서 상기 유입구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지지바디의 마주 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디에 공급된 협잡물이 지지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수위를 기 설정된 기준수위로 유지시키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바디에서 배출된 협잡물을 분쇄하는 분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분쇄부는
    협잡물이 유입되는 하우징 유입면 및 협잡물이 배출되는 하우징 배출면이 구비된 하우징;
    원주면이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유입면으로 공급되는 협잡물을 분쇄하여 상기 하우징 배출면으로 이동시키는 제1블레이드 및 제2블레이드;
    상기 제1블레이드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제1기어;
    상기 제2블레이드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제2기어;
    상기 제1기어에 결합되며 분쇄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제2기어를 연결하는 연결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모터와 상기 배출모터는 연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바디의 높이 방향을 따라 왕복운동 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저장바디 내부에 저장된 협잡물을 유동시키는 교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14. 세척수 및 협잡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협잡물을 세척하는 세척부;
    상기 세척부에서 배출된 협잡물을 분쇄하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협잡물에서 세척수를 분리하는 탈수부;
    상기 탈수부에서 배출되는 협잡물이 저장되는 반출물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부는 세척수 및 협잡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 협잡물이 상기 저장바디로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된 제1저장부와, 상기 저장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고정되어 상기 저장바디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협잡물이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부와,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협잡물을 상기 분쇄부로 공급하는 협잡물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수부는 상기 분쇄부에서 배출된 협잡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탈수하우징과, 상기 분쇄부에서 배출된 협잡물을 상기 탈수하우징으로 안내하는 유입호퍼와, 상기 탈수하우징 내부의 세척수를 상기 탈수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호퍼와, 상기 탈수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구비되며 상기 탈수하우징 내부의 협잡물을 상기 반출물 저장부로 이동시키는 압축판과, 상기 압축판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탈수하우징 내부의 세척수가 상기 배출호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과, 상기 압축판의 원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며, 상기 탈수하우징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스크래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처리장치.
  15. 삭제
KR1020130158303A 2013-12-18 2013-12-18 세척장치 및 세척장치가 구비된 협잡물 처리장치 KR101645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303A KR101645678B1 (ko) 2013-12-18 2013-12-18 세척장치 및 세척장치가 구비된 협잡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303A KR101645678B1 (ko) 2013-12-18 2013-12-18 세척장치 및 세척장치가 구비된 협잡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361A KR20150071361A (ko) 2015-06-26
KR101645678B1 true KR101645678B1 (ko) 2016-08-12

Family

ID=53517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303A KR101645678B1 (ko) 2013-12-18 2013-12-18 세척장치 및 세척장치가 구비된 협잡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6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6731A (zh) * 2017-11-16 2018-03-27 安徽永生堂药业有限责任公司 一种可自动下料的大豆清洗干燥一体装置
CN111420926B (zh) * 2020-05-12 2021-08-27 中山市昊丰金属实业有限公司 一种基于五金加工的废料片粉碎收集装置
CN113020095B (zh) * 2021-03-26 2022-05-10 福安奥展实业有限公司 一种螺栓清洗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708393B1 (ko) * 2024-01-18 2024-09-23 (주)한성테크 래들 유입시공기의 내화물 재활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585B1 (ko) * 1997-06-03 1999-10-01 임정남 음식물쓰레기 및 분뇨를 퇴비화 시키는 처리시스템
KR200343484Y1 (ko) * 2003-12-12 2004-03-02 거진산업주식회사 수처리장치의 협잡물 분리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2776A (ja) * 1995-05-31 1996-12-10 Tokico Ltd 清掃ロボット
KR200454668Y1 (ko) * 2009-04-17 2011-07-19 (주)엠티엠 오폐수용 협잡물의 배출압력 감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585B1 (ko) * 1997-06-03 1999-10-01 임정남 음식물쓰레기 및 분뇨를 퇴비화 시키는 처리시스템
KR200343484Y1 (ko) * 2003-12-12 2004-03-02 거진산업주식회사 수처리장치의 협잡물 분리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361A (ko) 2015-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678B1 (ko) 세척장치 및 세척장치가 구비된 협잡물 처리장치
KR101804340B1 (ko) 잔류레미콘 처리장치
KR20130059090A (ko)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JP4813601B2 (ja) 多目的水タンク
US11648592B2 (en) System for treating wash waste liquid, adapted for application in a continuous tunnel washing machine in the field of preclinical pharmaceutical research
KR10151728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U2012269711A1 (en) Extruder
KR101199832B1 (ko) 파쇄된 폐플라스틱 세척장치 및 세척수 재활용방법
KR101028570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0801964B1 (ko)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
KR100718588B1 (ko)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20220051312A (ko) 오물 처리 시스템
KR20160004499A (ko) 수질 정화용 드럼스크린장치
KR100717249B1 (ko) 폐 오일용기 처리시스템의 스크랩 세척장치
KR101616225B1 (ko) 세정용 필터를 갖는 협잡물 제거장치
KR20110133749A (ko)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스크린 장치
KR100625211B1 (ko) 탈수차량 시스템
KR101674853B1 (ko) 세정용 필터를 갖는 협잡물 제거장치
CN213408552U (zh) 一种低污染的封堵剂生产系统
KR20120083562A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233592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998074B1 (ko)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
KR20170035474A (ko) 여과장치
CN214990989U (zh) 一种可循环疏通式工业废水综合处理装置
KR0137912Y1 (ko) 산업용 유체 자동여과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