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912Y1 - 산업용 유체 자동여과기 - Google Patents

산업용 유체 자동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912Y1
KR0137912Y1 KR2019960045161U KR19960045161U KR0137912Y1 KR 0137912 Y1 KR0137912 Y1 KR 0137912Y1 KR 2019960045161 U KR2019960045161 U KR 2019960045161U KR 19960045161 U KR19960045161 U KR 19960045161U KR 0137912 Y1 KR0137912 Y1 KR 01379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filter
plate
foreign matter
filtering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51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360U (ko
Inventor
강인근
Original Assignee
윤영술
유한회사한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술, 유한회사한진산업 filed Critical 윤영술
Priority to KR2019960045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912Y1/ko
Publication of KR9700043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3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9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912Y1/ko

Links

Landscapes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석유화학이나 섬유, 화학약품, 폐수 또는 기계 등 각종 산업분야에서 발생하는 폐수나 폐유에 함유된 여러 종류의 이물질(슬러지류 등)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산업용 유체 자동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케이스(2)의 양단에는 유입구(12)와 배출구(13)가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는 여과망통(3)을 내장하여 이에는 중심축(6)을 설치하여 모터(11)로서 구동할 수 있게 하며, 여과망통(3)의 내부 일측에는 브러쉬축봉(5)에 의해 원통형 브러쉬(4)를 설치하여서 된 산업용 여과기(1)에 있어서, 여과망통(3)의 내부에 설치되는 브러쉬(4)에는 나선형으로 된 나선홈(10)을 형성하여 이물질이 하부로 강제 이동될 수 있게 구성하고, 브러쉬(4)의 일측에는 브러쉬(4)의 작동으로 이탈된 이물질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 방지판(14)을 설치하되, 비산방지판(14)의 일측에는 끼움홈(15)을 형성하여 웨이브 플레이트(17)를 길이 방향으로 탄설하고, 바깥쪽에는 보조브러쉬(16)를 끼움 결합하여 상기 보조브러쉬(16)는 항상 여과망통(3)의 내벽면에 접지되게 구성하며, 하부에는 분해식 배출통(9)을 설치하고, 여과망통(3)의 바닥면에는 차단판(7)을 중심축(6)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차단판(7)의 바닥면 일측, 즉 비산방지판(14)이 설치된 내단부측에는 낙하공(8)을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산업용 유체 자동 여과기
본 고안은 석유화학이나 섬유, 화학약품, 폐수 또는 기계 등 각종 산업분야에서 발생하는 폐수나 폐유에 함유된 여러 종류의 이물질(슬러지류 등)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산업용 유체 자동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지금까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각종의 여과기는 여과의 과정 중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여과를 담당하는 여과망통에 이물질이 걸려지게 되어 여과기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므로 이때에는 동 여과기의 작동을 중단하여 여과망통의 내면에 끼어 있는 이물질을 수동으로 제거하게 되므로 인력이나 운전에 대한 손실이 다대한 문제점이 있었고, 근자에는 이러한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자동으로 여과를 할 수 있는 여과기가 다수 안출되어 실용화되고 있으나, 이러한 기존의 자동 여과기의 경우 역시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으므로 이의 개선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기존에 널리 보급되고 있는 여과기는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케이스 본체의 양측에는 유체 유입구와 배출구가 대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폐수나 폐유의 내부에 함유하고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미세 여과공이 다수 형성된 여과망통이 설치되며, 상기 여과망통의 내면측에 접촉되는 원통형의 브러쉬가 구비되어 브러쉬측에 브라켓으로 부착되고, 브러쉬축의 하단은 베어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상단은 외부로 연결되어 핸들이 결합된다.
그리고 여과망통의 세척 후 이물질을 배출시켜 주기 위한 배출통과 배출밸브가 구비되고, 여과망통의 상부에는 플렌지가 체결되어 핸들과 브러쉬 축을 지지하며, 베어링이 구비되어 브러쉬축의 상단을 회전 지지하고, 케이스의 내면 상하에는 여과망통을 지지해주는 여과망통 지지대가 형성되며, 유체의 밀봉을 요하는 패킹이 구비되고, 유체액체의 압력계와 여과 후 배출액체의 압력계로 구비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여과기는 케이스에서 평상시에는 유입구로 여과기의 상부에 유입된 유체가 원통형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고 여과된 유체는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며, 이때 압력계로 각 실내의 압력이 지시되어 내부 압력으로 감시할 수 있다.
여과기의 이상 발생시에는 이물질 배출밸브가 작업자에 의한 수동조작 또는 이 여과기를 적용한 시스템에서의 제어반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이 부분을 통하는 유체의 흐름은 없다.
이와 같이 하여 케이스에 의한 이물질 여과 동작이 장시간 지속되면 원통형 여과망통의 내벽면에 이물질이 쌓이고 유착되기 때문에 여과 성능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이때 작업자가 핸들을 이용하여 브러쉬 축과 함께 로울러 브러쉬를 회전시켜 주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핸들을 수동으로 조작하지 않고 기어모터 등을 동력원으로 브러쉬축을 전동 회전시켜 준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로울러 형의 브러쉬가 회전하게 되면 브러쉬가 여과망통의 내벽면을 세척해 주게 되고 세척 결과로 이물질이 여과망통에서 이탈되어 유체속에 혼재되는데 이와 같이 세척하는 경우에는 이물질 배출밸브를 수동 또는 자동 제어를 통해 열어주게 되면 유체 흐름이 발생되어 이물질들이 배출밸브를 통과하면서 여과망통의 외부로 배출되고, 세척 종료 후에는 배출밸브를 폐쇄 시키므로서 상기와 같은 이물질 여과 동작이 지속되는 것이다.
즉 이와 같은 종래의 여과기는 이물질의 비중이 유체의 비중보다 아주 큰 경우에는 이물질의 비산 또는 부유 등이 없이 이물질이 가라앉아 다소 효율적으로 되나 비중의 차가 별로 없는 경우에는 내부 벽면을 로울러 브러쉬로 세척하여 주어도 비산 또는 부유 등으로 인해 세척 효과가 급격히 떨어지고 심지어는 여과기 내부 전체가 오염되어 여과 성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가 없게 되어 이의 개선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로울러형 브러쉬는 단순히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물질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기능이 부재하여 여과망통의 내부에 끼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경우 물과 함께 부유하게 되므로 이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이 미흡하였으며, 특히 로울러의 인접한 부위에는 부유물을 강제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장치를 부가했으나 실질적으로는 유체의 배출에 따른 흡입력으로서 이물질을 출입하기 때문에 흡입력이 약해 강제 제거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원하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가 어려운 등의 제반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정상유체와 이물질의 비중차가 별로 없어서 이물질이 비산, 부유 등이 있는 경우에는 다소 효율적으로 되나, 비중차가 많은 경우는 초기에 인입시 이물질이 다량 가라앉고 내부 벽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세척하여 주어도 하부로 가라앉아서 부유물을 강제 흡입하려 하여도 유출의 배출에 따른 흡입력으로써 이물질을 흡입하기 때문에 흡입력이 약해서 강제 제거가 이루어지지 않아 이의 해결책을 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로울러형 브러쉬의 배면과 측면에 이물질 비산방지판을 설치하여 비산방지판의 하부에는 배출통으로 통하는 낙하공이 있어서 비산방지판에 걸러진 이물질은 비산됨이 없이 전량 배출통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즉 내부의 폐수나 폐유에 함유된 이물질 등 슬러지는 비산방지판의 내부에서 부유하면서 비중차에 의해 스스로 하부로 낙하하므로서 배출이 완료되게 하며, 특히 일측에 설치되는 로울러형 브러쉬는 나선형으로 된 나선홈을 형성하므로서 여과망통의 내부에서 제거된 이물질 등은 나선형 브러쉬의 나선홈을 따라 하부로의 낙하를 유도하여 보다 합리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하므로서 여과기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내부에서 회전하는 중심축과 하부의 차단판은 전체적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나선형 브러쉬는 공전(公轉)과 동시에 자전(自轉)의 기능을 수행하므로서 여과망통의 내벽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하므로서 각종 산업 유체 자동 여과기로서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을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확대한 단면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1도에서 표시한 A-A선 단면도.
제4도는 종래 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여과기 2 : 케이스
3 : 여과망통 4 : 브러쉬
5 : 브러쉬축봉 6 : 중심축
7 : 차단판 8 : 낙하공
9: 배출통 10 : 나선홈
11 : 모터 12 : 유입구
13 : 배출구 14 : 비산방지판
15 : 끼움홈 16 : 보조브러쉬
17 : 웨이브플레이트 18 : 드레인관
19 : 제거관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의 제1도에서 표시한 A-A선 단면 구성도로서, 본 고안은 케이스(2)의 양단에는 유입구(12)와 배출구(13)가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는 여과공이 다수 형성된 여과망통(3)을 내장하여 이에는 중심축(6)을 설치하여 모터(11)로서 구동할 수 있게 하며, 여과망통(3)의 내부 일측에는 브러쉬축봉(5)에 의해 원통형 브러쉬(4)를 입설하여서 된 통상의 산업용 여과기(1)의 구성에 있어서, 여과망통(3)의 내부에 설치되는 브러쉬(4)에는 나선형으로 된 나선홈(10)을 형성하여 이물질이 하부로 강제 이동될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브러쉬(4)의 일측에는 브러쉬(4)의 작동으로 이탈된 이물질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방지판(14)을 설치한다.
상기 비산방지판(14)의 일측에는 끼움홈(15)을 형성하여 이에는 탄성력을 가지는 웨이브플레이트(17)를 길이방향으로 탄설하고, 바깥쪽에는 보조브러쉬(16)를 끼움 결합하여 상기 보조브러쉬(16)는 항상 여과망통(3)의 내벽면에 접지되어 이물질이 임의로 비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하부에는 분해식 배출통(9)을 설치하고, 여과망통(3)의 바닥면에는 차단판(7)을 중심축(6)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차단판(7)의 바닥면 일측, 즉 비산방지판(14)이 설치된 내단부측에는 브러쉬(4)의 작동으로 부유하는 이물질이 하부의 배출통(9)으로 낙하할 수 있는 낙하공(8)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 중 미 설명부호 18은 내부의 폐유나 폐수를 전량 배출하는 드레인관을 나타내고, 19는 이물질이 모여지면 이를 제거하는 제거관을 나타낸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브러쉬(4)의 나선홈(10)의 크기는 임의로 설계변경하여 합리적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또한 나선홈(10)의 줄수 역시 여건에 따라 적의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비산방지판(14)의 형상이나 낙하공(8)의 위치는 작동을 하는 과정을 감안하여 설계할 수 있고, 한편으로는 상기의 구성을 작동하는 것은 모터(11)의 작동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핸들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될 수 있는 본 고안은 주로 각종의 폐유나 폐수 등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이나 슬러지 등을 강제 여과하여 이를 재활용할 수 있게 하는 산업용 유체 자동 여과기(1)로 사용하는 것인 바,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여과기(1)의 사용방법과 작용상의 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먼저 폐수나 폐유가 유입구(12)를 통해 내부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면 상측의 모터(11)가 작동을 하게 되어 중심축(6)을 구동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중심축(6)이 회전을 할시에는 상호 공지 기술로서 연결되어 있는 기어장치(보호생략)에 의해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브러쉬(4)와 하부의 차단판(7)도 동시에 회전을 하게 되는 바, 차단판(7)은 중심축(6)과 동축상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직접적인 회전을 하게 되고, 브러쉬(4)는 기어장치에 의해 중심축(6)에 대해서는 공전(公轉)을 하게 되고, 자체적 으로는 기어장치에 의해 자전(自轉)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케이스(2)의 내부에 설치된 여과망통(3)의 내벽면에 붙어 있는 각종 이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즉 여과망통(3)의 내벽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은 중심축(6)이 회전을 하면서 하부의 차단판(7)과 동축상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일측에 설치된 브러쉬(4) 역시 중심축(6)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동시에 공전을 하게 되는 바, 이때 브러쉬(4)의 외면에 설치된 공지된 기어장치에 의해 자체적인 회전을 하게 되므로 브러쉬(4)의 회전력에 의해 여과망통(3)의 내벽면에 붙어 있는 각종의 이물질에 대한 제거가 이루어진다.
상기의 작동을 함에 있어서는 브러쉬(4)가 기존의 경우와 같이 단순히 원통상으로 형성되지 않고 나선형의 나선홈(10)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여과망통(3)의 내벽면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브러쉬(4)의 나선홈(10)을 따라 하부로 이동이 되어 직낙하게 하게 되는 효과가 부가되어 이물질이 전체적으로 부유됨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이물질이 여과망통(3)으로 부터 이탈되어 비산방지판(14)의 내부에서 부유하게 되므로 비산방지판(14)에 의해 외부로의 차단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비산방지판(14)의 내부에서 부유하는 이물질이 외부측으로 비산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비산방지판(14)의 진행방향의 일측에는 별도의 끼움홈(15)을 형성하여 웨이브플레이트(17)에 탄지되는 보조브러쉬(16)를 끼움 결합하므로서 항상 여과망통(3)의 내벽면에 접지된 상태로서 회전을 하게 되어 브러쉬(4)의 작동으로서 제거되지 않은 이물질의 2중 제거기능과 더불어 이물질이 여과망통(3)의 내부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여과망통(3)의 내벽면에서 이탈된 이물질은 결국 비산방지판(14)에 의해 상기 비산방지판(14)이 설치된 내부에서 브러쉬 (4)의 나선홈(10)을 따라 하부로 강제 낙하되어 외부로 비산됨이 없이 전량 차단판(7)의 바닥면에 형성된 낙하공(8)을 통해 배출통(9)으로 낙하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한 낙하공(8)은 차단판(7)과 브러쉬(4) 및 중심축(6) 그리고 비산방지판(14)이 동시에 회전을 하기 때문에 항상 정위치를 유지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있게 되어 상측에서 비산되거나 부유되고 있는 이물질이 전량 낙하공(8) 측으로 정확하게 떨어지게 되며, 상기와 같은 작동을 하면서 케이스(2) 내에 설치되어 있는 여과망통(3)에 오염된 폐수나 폐유는 여과가 완료되어 여과기(1)로서의 기능을 합리적으로 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산업용 여과기에 있어서, 여과를 담당하는 여과망통에 접지되는 로울러의 구성을 나선형으로 개량하여 여과의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분리된 이물질의 하향 배출을 유도하여 직낙하게 구성하므로서 이물질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며, 비산방지판의 설치에 따라 분리된 이물질은 내부 전체에 부유하지 못하고 비산방지판의 내부에 잔류하게 되어 이물질의 여과 효율을 일층 높이고, 한편으로는 비산방지판의 일측에는 웨이브플레이트에 탄지되는 보조브러쉬를 결합하여 여과망통의 내부에 항시 접지될 수 있게 하므로서 이물질의 장기 부유를 방지하여 여과의 효율증을 증대할 수 있게 되므로 각종 산업용 폐수나 폐유의 이물질 제거용 여과기로 사용할 경우 그 기대되는 실용적인 가치가 대단히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1)

  1. 케이스(2)의 양단에는 유입구(12)와 배출구(13)가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는 여과망통(3)을 내장하여 이에는 중심축(6)을 설치하여 모터(11)로서 구동할 수 있게 하며, 여과망통(3)의 내부 일측에는 브러쉬축봉(5)에 의해 원통형 브러쉬(4)를 설치하여서 된 산업용 여과기(1)에 있어서, 여과망통(3)의 내부에 설치되는 브러쉬(4)에는 나선형으로 된 나선호(10)을 형성하여 이물질이 하부로 강제 이동될 수 있게 구성하고, 브러쉬(4)의 일측에는 브러쉬(4)의 작동으로 이탈된 이물질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방지판(14)을 설치하되, 비산방지판(14)의 일측에는 끼움홈(15)을 형성하여 웨이브플레이트(17)를 길이방향으로 탄설하고, 바깥쪽에는 보조브러쉬(16)를 끼움 결합하여 상기 보조브러쉬(16)는 항상 여과망통(3)의 내벽면에 접지되게 구성하며, 하부에는 분해식 배출통(9)을 설치하고, 여과망통(3)의 바닥면에는 차단판(7)을 중심축(6)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차단판(7)의 바닥면 일측, 즉 비산방지판(14)이 설치된 내단부측에는 브러쉬(4)의 작동으로 부유하는 이물질이 하부의 배출통(9)으로 낙하할 수 있는 낙하공(8)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유체 자동 여과기.
KR2019960045161U 1996-11-28 1996-11-28 산업용 유체 자동여과기 KR01379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161U KR0137912Y1 (ko) 1996-11-28 1996-11-28 산업용 유체 자동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161U KR0137912Y1 (ko) 1996-11-28 1996-11-28 산업용 유체 자동여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360U KR970004360U (ko) 1997-02-19
KR0137912Y1 true KR0137912Y1 (ko) 1999-03-20

Family

ID=19477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5161U KR0137912Y1 (ko) 1996-11-28 1996-11-28 산업용 유체 자동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91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601B1 (ko) * 2006-05-22 2007-12-26 (주) 코리아 인바이텍 용수여과기
KR100805086B1 (ko) * 2006-05-24 2008-02-20 대승산업(주) 산업용 스트레이너
KR101450286B1 (ko) * 2013-07-26 2014-10-23 (주) 코리아 인바이텍 개폐시 회전력의 전달 구조를 개선시킨 용수여과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558B1 (ko) * 2007-11-23 2008-04-23 한성완 조립식 산업용 여과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601B1 (ko) * 2006-05-22 2007-12-26 (주) 코리아 인바이텍 용수여과기
KR100805086B1 (ko) * 2006-05-24 2008-02-20 대승산업(주) 산업용 스트레이너
KR101450286B1 (ko) * 2013-07-26 2014-10-23 (주) 코리아 인바이텍 개폐시 회전력의 전달 구조를 개선시킨 용수여과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360U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858B1 (ko) 폐수처리장치
KR101476868B1 (ko) 여과장치의 외부부착 여과재 세정장치
US7537689B2 (en) Tertiary filter
CN103951002A (zh) 固液分离装置
JP2009045562A (ja) 濾過フイルター式スラッジ脱水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3847817A (en) Filter unit having a generally cylindrical filter element supported on bearings
KR100741992B1 (ko) 분뇨와 오폐수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용 디스크 스크린
KR0137912Y1 (ko) 산업용 유체 자동여과기
KR100414905B1 (ko) 원통형 미세 협잡물 제거장치
US5350526A (en)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particulate contaminants from commercial laundry waste water
US9506236B2 (en) Device and process for removing floating material from a liquid
JP3677371B2 (ja) 液体浄化方法及び装置
US4287063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liquids
KR101634932B1 (ko) 유체 여과장치
US5453187A (en) Food, oil and grease accu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543962B1 (ko) 미세목 스크린형 협잡물처리장치
KR100257861B1 (ko) 자동여과장치
KR101645678B1 (ko) 세척장치 및 세척장치가 구비된 협잡물 처리장치
KR100380225B1 (ko) 싸이클론식 연속여과기의 자동 역세 장치
EP1223252A2 (en) Screening device
CN112691431B (zh) 一种机加工切割水过滤装置
KR970007944B1 (ko) 폐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0717249B1 (ko) 폐 오일용기 처리시스템의 스크랩 세척장치
KR102131063B1 (ko) 필터 세척 기능을 갖는 수처리 장치
SE433073B (sv) Anordning for rening av flytande medier, sasom avloppsvatt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O072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910000212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1126

Effective date: 20020131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19991125

Effective date: 20000731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1300002221;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0200006318;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1126

Effective date: 20020131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0914

Effective date: 20010622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1300002221;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1126

Effective date: 20020131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1022

Effective date: 20011023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1130000165;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1130000165;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1126

Effective date: 20020131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1126

Effective date: 2002013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