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286B1 - 개폐시 회전력의 전달 구조를 개선시킨 용수여과기 - Google Patents

개폐시 회전력의 전달 구조를 개선시킨 용수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286B1
KR101450286B1 KR1020130088760A KR20130088760A KR101450286B1 KR 101450286 B1 KR101450286 B1 KR 101450286B1 KR 1020130088760 A KR1020130088760 A KR 1020130088760A KR 20130088760 A KR20130088760 A KR 20130088760A KR 101450286 B1 KR101450286 B1 KR 101450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haft
rotation
screen
rota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주) 코리아 인바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리아 인바이텍 filed Critical (주) 코리아 인바이텍
Priority to KR1020130088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2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70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 B01D29/7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involving centrifuga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1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시 회전력의 전달 구조를 개선시킨 용수여과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용수여과기는 오염수가 유입되는 오염수유입구와, 상기 유입된 오염수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를 배출하는 여과수배출구와, 상기 이물질이 토출되는 이물질토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된 오염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린을 세척하는 스크린세척부; 상기 본체의 상부를 회동 개폐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와 연동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스크린을 회전시키는 제2회전축; 및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을 결합 또는 해제시키는 축연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축연결수단은 탄성력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하며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을 연동시키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이 연결 또는 해제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린이나 본체 내부를 수리 또는 세척하기 위해 개폐부를 개방시킨 후 다시 닫으면,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의 정렬 상태를 굳이 확인하지 않더라도, 제1회전축을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축연결수단의 동력전달부재가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제1회전축과 결합됨으로써 상호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개폐시 회전력의 전달 구조를 개선시킨 용수여과기{Water filter apparatus having advanced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structure when opening and closing}
본 발명은 용수여과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개폐부가 회동 이동하여 개폐될 수 있되, 회전축 사이의 정렬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동력 전달이 가능토록 하는 개폐시 회전력의 전달 구조를 개선시킨 용수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공장 등에서는 주로 냉각수 등의 물을 여과하는 용수여과기가 배치되어 많은 양의 용수를 여과하고 있다. 이러한 용수여과기의 내부에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스크린이 설치되어 있으나, 꾸준한 유지관리도 해주어야 한다.
즉, 용수여과기의 본체 내부에 설치된 스크린을 청소해야할 때, 또는 본체로 동작을 방해하는 기타 이물질이 휩쓸려 들어갔을 때, 또는 본체 내부를 수리해야 할 때처럼, 다양한 이유로 본체 내부가 개방되어야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용수여과기를 여과 과정이 이루어지는 본체와,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로 구분하여, 청소나 수리가 필요할 시 개폐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현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용수여과기는 그 크기가 거대하여 개폐부의 무게 역시 매우 무겁다. 따라서, 인력으로 개폐부를 상향 들어올려서 개폐하는 것은 무리가 따르며, 기중기를 이용하여 개폐부를 상향 들어올림으로써 개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수여과기의 내부에는 스크린에 쌓인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스크린 등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는데, 통상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는 개폐부에 설치되고, 회전축을 통해 스크린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회전축이 개폐부를 관통하고, 회전축과 개폐부 사이에는 그랜드패킹 등을 설치하여 용수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개폐부를 상향으로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모터와 회전축을 제거한 후 들어올려야 했기에, 그랜드패킹이 재활용할 수 없을 정도로 손상되어 교체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용수여과기에서 본체로부터 개폐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2870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개폐부가 회동 이동하여 개폐됨으로써 개폐를 용이하게 하되, 회전축 전체를 제거하지 않고도 개폐 과정시의 회전력 전달 구조가 완성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시 회전력의 전달 구조를 개선시킨 용수여과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시 회전력의 전달 구조를 개선시킨 용수여과기는, 오염수가 유입되는 오염수유입구와, 상기 유입된 오염수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를 배출하는 여과수배출구와, 상기 이물질이 토출되는 이물질토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된 오염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린을 세척하는 스크린세척부; 상기 본체의 상부를 회동 개폐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와 연동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스크린을 회전시키는 제2회전축; 및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을 결합 또는 해제시키는 축연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축연결수단은 탄성력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을 연동시키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이 연결 또는 해제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회전축의 하부에는 다각형의 삽입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축연결수단은, 상기 제2회전축의 상부에 지지되는 스프링; 및 내측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의 상부에 지지되어 상기 제2회전축 상부에서 승하강 가능한 상기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축의 삽입부가 상기 동력전달부재 상부에 밀착하면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며 하강하고, 상기 제1회전축의 삽입부가 일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동력전달부재 상부의 관통홈에 끼움 가능한 위치가 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상승하여 상기 제1회전축의 삽입부가 상기 동력전달부재 상부의 관통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모터의 회전력이 제1회전축, 동력전달부재 및 제2회전축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전축의 상부에는 측면의 상하부로 길게 관통되는 핀승강홈이 형성된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동력전달부재에는 측면을 관통하는 핀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축연결수단은,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하부가 상기 제2회전축 상부의 돌출부에 삽입되면,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핀삽입홈과 상기 돌출부의 핀승강홈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축연결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개폐부의 일측에 마련된 제1브라켓;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부가 상기 본체를 회동 개폐하도록 상기 제1브라켓을 회동 지지하는 제2브라켓이 마련된 개폐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시 회전력의 전달 구조를 개선시킨 용수여과기에 의하면, 개폐부를 회동 이동하여 개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향으로 완전히 개방시키기 위한 기중기 등의 장비가 없더라도 용이하게 개방이 가능하다.
또한, 본체 내부의 스크린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들을 개폐부로부터 완전히 제거하지 않더라도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이 서로 연동할 수 있도록 결합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어서, 개폐부와 제1회전축 사이의 그랜드패킹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을 연동시키기 위해 축연결수단이 사용되는데, 축연결수단의 동력전달부재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 또는 압축 하강이 가능하여, 제1회전축의 삽입부 모서리가 동력전달부재의 관통홈 모서리와 일치하지 않더라도, 동력전달부재가 압축 하강한 상태에서 제1회전축이 일정 각도 회전하면, 모서리가 일치한 상태가 될 때 탄성력에 의해 동력전달부재가 상승함으로써 삽입부가 관통홈에 삽입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회전축을 제2회전축과 연동시키기 위해 모서리가 일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강제 삽입하여 마모 또는 파손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모서리를 일치시키기 위한 별도의 부가 구성이 구현되지 않더라도 회전력 전달을 위한 구조 완성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시 회전력의 전달 구조를 개선시킨 용수여과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도1에 도시된 용수여과기에서 제1회전축, 제2회전축 및 축연결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용수여과기에서 제2회전축과 축연결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용수여과기의 개폐부가 열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 내지 도7은 도1에 도시된 용수여과기의 개폐부가 닫히는 과정에서 축연결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시 회전력의 전달 구조를 개선시킨 용수여과기(이하 '용수여과기(1)'라고 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기(1)는 크게 본체(10), 스크린(20), 스크린세척부(31,32), 개폐부(60), 모터(80), 제2회전축(90), 축연결수단(100)을 포함한다.
본체(1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본체(10) 일측에는 오염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오염수가 여과된 여과수가 배출되는 여과수배출구(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10)의 하부에는 오염수에서 걸러진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토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체(10)의 하부는 역 원뿔 모양으로 형성되어 침전된 이물질이 중앙으로 모일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체(10)의 내측에는 다수의 볼트홀이 형성된 고정부(11)가 수평 방향으로 소정 정도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에 통공(41)이 형성된 수평격막(40)이 고정부(11)의 상부에 얹혀져 볼팅 결합된다.
이때 오염수유입구(12)는 수평격막(40)이 설치되는 고정부(11)를 중심으로 본체(10)의 외측 하부에 마련되고, 상부에 여과수배출구(13)가 형성된다. 또한 오염수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수가 본체(10)의 내측으로 선회하면서 내려갈 수 있도록 오염수유입구(12)와 연결된 본체(10) 내측에 안내가이드(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유입된 오염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스크린(20)은 단면이 삼각형인 와이어가 스프링 모양으로 촘촘하게 형성되어 원통형을 이루며, 본체(10) 내측에 설치된 수평격막(40)의 통공(41)에 삽입된다. 또한 스크린(20)의 상부는 링크(21)에 의해 제2회전축(90)과 연결되어 있고, 하부는 지지부재(50)의 축공(51)에 끼워진다.
스크린(20)에서 걸러진 이물질을 세척하기 위한 스크린세척부는 스크리퍼(31)와 브러쉬(32)로 구성된다.
스크리퍼(31)는 수직으로 긴 판 형상이고 본체(10)의 지지축(미도시)에 힌지 결합하여 밀착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스크린(20)에 밀착 고정한다.
브러쉬(32)는 스크리퍼(31)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여과스크린(20)에 밀착한 상태로 설치된다.
개폐부(60)는 본체(10)의 상부 개구를 회동 개폐하기 위해 마련되며, 개폐부(60) 상에 모터(8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개폐부(60)는 본체(10)의 상부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평판 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시하기에 따라 반원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모터(80)는 개폐부(60)의 정점에 하향 설치되어 제1회전축(81)을 회전시키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실시하기에 따라 모터(80)를 측향으로 설치하고 바벨기어(미도시) 등을 통해 제1회전축(81)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물론 모터(80)의 회전력은 다수의 감속기어(미도시)를 거쳐 제1회전축(81)에 전달될 수도 있다.
제1회전축(81)의 회전력은 축연결수단(100)을 통해 제2회전축(90)에 전달되어 스크린(2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제1회전축(81), 축연결수단(100) 및 제2회전축(90)의 연동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시 설명토록 한다.
개폐부(60)는 개폐수단(70)을 통해 본체(10)와 회동 개폐될 수 있다. 개폐수단(70)은 개폐부(60)의 일측에 마련된 제1브라켓(71)과, 본체(10)의 일측에 마련되고 제1브라켓(71)을 회동 지지하는 제2브라켓(72)과, 브라켓(71,72)을 회전 가능하게 관통 연결하는 브라켓핀(7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브라켓(71), 제2브라켓(72) 및 브라켓핀(73)을 통해 개폐부(60)는 본체(10)의 상부로부터 회동 개폐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60)와 본체(10) 사이에는 오링(120)이 위치되어 누수가 방지되고, 볼트(110)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기(1)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오염수유입구(12)를 통해 오염수가 유입되면 오염수에 섞여 있는 이물질 중 무거운 것은 침전되고, 가벼운 것은 스크린(20)에서 걸러진다. 이렇게 이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는 여과수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가벼운 이물질이 스크린(20) 사이의 틈에 걸리거나 스크린(20) 표면에 달라붙을 수 있는데, 스크린(20)에 끼인 이물질의 양이 많을 경우 여과 성능이 저하되고, 오염수유입구(12)로 유입되는 오염수의 압력과, 여과수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여과수의 압력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미도시)는 오염수유입구(12) 측에 설치된 압력계(미도시)와 여과수배출구(13) 측에 설치된 압력계(미도시)의 압력 차이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아진 것을 확인하면, 스크린(20)에 낀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는 시점으로 판단하고 모터(80)를 가동시킨다.
모터(80)가 가동되어 제1회전축(81)이 회전하면, 회전력은 축연결수단(100), 제2회전축(90) 및 링크(21)를 통해 스크린(20)으로 전달됨으로써, 스크린(20)이 회전하게된다.
스크린(20)이 회전하면 스크린(20) 일측에 설치된 스크리퍼(31)가 스크린(20) 표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긁어서 제거하게 되고, 스크린(20)의 타측에 설치된 브러쉬(32)는 스크린(20)의 틈에 걸려 있는 이물질을 털어 제거하게 된다.
스크린(20) 세척 과정에 의해 오염수유입구(12)와 여과수배출구(13) 사이의 압력 차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제어부(미도시)는 모터(80)의 작동을 중단시킨다.
스크린(20) 세척을 통해 이물질이 스크린(20)에서 떨어져 바닥으로 침전되면, 밸브(미도시)를 열어 이물질토출구(14)를 통해 침전물을 본체(10) 외부로 배출시킨다. 여기서 이물질토출구(14)의 밸브(미도시)를 개방한 상태에서도 오염수는 계속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데, 이물질토출구(14)는 여과수배출구(13)에 비하여 크기가 현저하게 작기 때문에, 여과수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용수의 양에는 크게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한편 용수여과기(1)를 통해 여과 과정이 지속되면, 스크린(20)의 내측이나 본체(10) 내측을 청소해 주어야 할 필요가 있고, 또 스크린(20)을 비롯한 내부 구성들에 대한 수리가 필요할 시점도 있을 수 있다. 이때 개폐부(60)를 개방시켜 청소나 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데, 개폐부(60)에 설치된 모터(80)의 회전력은 제1회전축(81)을 통해 본체(10) 내측의 스크린(20)과 연동되는 제2회전축(90)에 전달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개폐부(60)의 개방 시에는 제1회전축(81)과 제2회전축(90)의 연동 및 해제가 가능해야 하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축연결수단(100)을 통해 회전축들(81,90)의 연동과 해제가 가능토록 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2 및 도3을 통해 도1에 도시된 용수여과기(1)의 제1회전축(81), 제2회전축(90) 및 축연결수단(100)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모터(8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는 제1회전축(81)의 하부에는 단면이 다각형인 삽입부(82)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82)는 이하 설명하게 되는 동력전달부재(102)의 관통홈(103) 상부에 삽입 안착된다.
제2회전축(90)은 하부가 링크(21)를 통해 스크린(20)과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단면이 다각형인 돌출부(91)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91)의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관통되는 핀승강홈(9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2회전축(90)의 상부 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스프링(101)이 지지되기 위한 스프링지지돌기(9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동력전달부재(102)는 상하부를 관통하는 다각형 형상의 관통홈(103)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 양방향으로 관통되는 핀삽입홈(104)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동력전달부재(102)의 관통홈(103) 하부에는 제2회전축(90)의 돌출부(91)가 삽입되고, 관통홈(103) 상부에는 제1회전축(81)의 삽입부(82)가 삽입 안착된다. 또한 동력전달부재(102)가 제2회전축(90)의 돌출부(91)에 삽입되면 축연결핀(105)이 동력전달부재(102)의 핀삽입홈(104)과 돌출부(91)의 핀승강홈(92)을 관통하여 연결된다.
스프링(101)의 하부는 제2회전축(90)의 스프링지지돌기(93)에 지지되고, 상부는 동력전달부재(102)의 저면에 지지된다. 따라서 도3에서와 같이 축연결수단(100)과 제2회전축(90)이 결합된 상태를 참조하면, 동력전달부재(102)의 관통홈(103) 하부에는 제2회전축(90)의 돌출부(91)가 삽입되어 있고, 축연결핀(105)이 동력전달부재(102)의 핀삽입홈(104)과 돌출부(91)의 핀승강홈(92)을 관통하여 연결하고 있어서, 동력전달부재(102)는 돌출부(91)로부터 빠져나올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다만 축연결핀(105)은 돌출부(91)의 핀승강홈(92)을 따라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동력전달부재(102) 역시 돌출부(91)를 따라 위 아래로 소정 길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가 된다. 물론 동력전달부재(102)의 저면에는 스프링(101)이 밀착하고 있기 때문에, 동력전달부재(102)는 항상 상 방향으로 밀려 올라가는 힘이 작용하는 상태가 된다.
본체(10) 내부의 청소나 수리를 위해 개폐부(60)를 회동 개방한 상태가 도4에 도시되어 있다. 즉 개폐부(60)와 본체(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있던 볼트(110)를 제거한 후 개폐부(60)의 일측을 들어 올리면, 타측의 브라켓핀(73)을 중심으로 개폐부(60)가 회동 개방된다. 이때 제1회전축(81)의 삽입부(82)는 동력전달부재(102)의 관통홈(103) 상부에서 아무런 구속 없이 빠져나올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동력전달부재(102) 역시 스프링(101)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 올라간 상태가 된다.
도4에서와 같이 개폐부(60)가 개방된 상태에서 본체(10) 내부의 청소나 수리를 마친 후 다시 개폐부(60)를 회동시켜 닫으면 도5에서와 같이 제1회전축(81)의 삽입부(82)가 축연결수단(100)의 동력전달부재(102) 상부와 밀착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제1회전축(81)의 삽입부(82)와 동력전달부재(102)의 관통홈(103)은 회전력 전달을 위해 모두 다각형 형상으로 구현되어 있다. 그러나 제1회전축(81)의 삽입부(82)의 모서리와 동력전달부재(102)의 관통홈(103) 모서리가 서로 일치하게 된다면 개폐부(60)를 닫을 시 삽입부(82)가 바로 관통홈(103)에 삽입될 수 있지만, 모서리가 불일치 할 경우에는 삽입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부(82)와 관통홈(103)의 모서리가 서로 불일치 한 상태로 마주하더라도, 동력전달부재(102)가 압축 하강이 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에, 도6에서와 같이 삽입부(82)의 모서리가 관통홈(103)의 모서리를 누름으로써, 동력전달부재(102)가 스프링(101)을 탄성 압축 시키며 하강하게 된다.
이후 개폐부(60)와 본체(10)를 볼트(110)로 견고하게 고정 시키고, 모터(80)를 잠시 가동 시켜 제1회전축(81)을 회전시키면, 삽입부(82)의 모서리가 관통홈(103)의 모서리와 일치하게 되는 시점이 도래하게 된다. 동력전달부재(102)는 스프링(101)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회전축(81)의 삽입부(82)가 동력전달부재(102)의 관통홈(103)에 삽입되어 동력 전달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즉 회전축(81,90)의 연결을 위한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회전축(81,90)들의 연결이 가능한 것이며, 이후 모터(80)가 작동하면 제1회전축(81), 동력전달부재(102), 제2회전축(90) 및 링크(21)를 통해 스크린(2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회전축(81)의 삽입부(82)가 연동되는 동력전달부재(102)가 스프링(101)에 의해 승하강 가능한 상태로 구현되었기 때문에, 삽입부(82)와 관통홈(103)의 모서리가 서로 일치하지 않은 상태라 하더라도 동력전달부재(102)가 밀려 내려올 수 있지만, 만약 본 실시예와 다르게 축연결수단(100)을 구현하지 아니하고, 제2회전축 상부에 직접 관통홈을 파내어 제1회전축의 삽입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면, 개폐부가 하강하였을 시 삽입부와 관통홈의 모서리 불일치로 인해 구성품들이 심각하게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제1회전축(81)의 삽입부(82) 끝 부분은 관통홈(103)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모따기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제2회전축(90)의 돌출부(91)를 다각형으로 도시하였는데, 어차피 돌출부(91)는 동력전달부재(102)와 핀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다각형이 아닌 원형으로 구현하여도 회전력의 전달은 가능하다.
또, 이상의 설명에서는 축연결수단(100)이 제2회전축(90)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로 도시하였지만, 실시하기에 따라 스프링과 동력전달부재 등의 축연결수단이 제1회전축의 하부에 구현되고, 제2회전축의 상부에 삽입부를 구현시켜 반대 방향으로 동력 전달을 위한 삽입과 이탈이 가능토록 할 수도 있다.
또, 이상의 설명에서는 스크린(20)에 끼인 이물질 세척을 위해 스크리퍼(31)와 브러쉬(32) 등의 스크린세척부(31,32)를 구비하고, 스크린(20)을 회전시켜 이물질 제거가 가능토록 하였지만, 용수여과기의 종류에 따라 스크린은 고정시키고 역세암을 갖는 역세수단을 회전시켜 스크린에 끼인 이물질이 역세암을 따라 역세수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제2회전축은 스크린이 아닌 역세암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로 설치될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은 개폐부(60)를 회동 개방 시키는 형태의 용수여과기(1)에서, 개폐부(60)에 설치된 모터(80)의 회전력을 본체(10) 내측의 특정 구성에 착탈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는 것이며, 제2회전축(90)이 스크린(20)을 회전시키는 것인지 아니면 역세수단을 회전시키는 지는 중요한 사항이 아니며,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시 회전력의 전달 구조를 개선시킨 용수여과기(1)에 의하면, 개폐부(60)를 회동 이동하여 개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향으로 완전히 개방시키기 위한 기중기 등의 장비가 없더라도 용이하게 개방이 가능하다.
또한, 본체(10) 내부의 스크린(2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들을 개폐부(60)로부터 완전히 제거하지 않더라도 제1회전축(81)과 제2회전축(90)이 서로 연동할 수 있도록 결합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어서, 개폐부(60)와 제1회전축(81) 사이의 그랜드패킹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1회전축(81)과 제2회전축(90)을 연동시키기 위해 축연결수단(100)이 사용되는데, 축연결수단(100)의 동력전달부재(102)는 스프링(101)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 또는 압축 하강이 가능하여, 제1회전축(81)의 삽입부(82) 모서리가 동력전달부재(102)의 관통홈(103) 모서리와 일치하지 않더라도, 동력전달부재(102)가 압축 하강한 상태에서 제1회전축(81)이 일정 각도 회전하면, 모서리가 일치한 상태가 될 때 탄성력에 의해 동력전달부재(102)가 상승함으로써 삽입부(82)가 관통홈(103)에 삽입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회전축(81)을 제2회전축(90)과 연동시키기 위해 모서리가 일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강제 삽입하여 구성품들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모서리를 일치시키기 위한 별도의 부가 구성이 구현되지 않더라도 회전력 전달을 위한 구조 완성이 가능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 용수여과기
10 : 본체
11 : 고정부
12 : 오염수유입구
13 : 여과수배출구
14 : 이물질토출구
20 : 스크린
21 : 링크
31 : 스크리퍼
32 : 브러쉬
40 : 수평격막
41 : 통공
50 : 지지부재
51 : 축공
60 : 개폐부
70 : 개폐수단
71 : 제1브라켓
72 : 제2브라켓
73 : 브라켓핀
80 : 모터
81 : 제1회전축
82 : 삽입부
90 : 제2회전축
91 : 돌출부
92 : 핀승강홈
93 : 스프링지지돌기
100 : 축연결수단
101 : 스프링
102 : 동력전달부재
103 : 관통홈
104 : 핀삽입홈
105 : 축연결핀
110 : 볼트
120 : 오링

Claims (4)

  1. 오염수가 유입되는 오염수유입구와, 상기 유입된 오염수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를 배출하는 여과수배출구와, 상기 이물질이 토출되는 이물질토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된 오염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린을 세척하는 스크린세척부;
    상기 본체의 상부를 회동 개폐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와 연동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스크린을 회전시키는 제2회전축; 및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을 결합 또는 해제시키는 축연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축연결수단은 탄성력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을 연동시키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이 연결 또는 해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시 회전력의 전달 구조를 개선시킨 용수여과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의 하부에는 다각형의 삽입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축연결수단은,
    상기 제2회전축의 상부에 지지되는 스프링; 및
    내측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의 상부에 지지되어 상기 제2회전축 상부에서 승하강 가능한 상기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축의 삽입부가 상기 동력전달부재 상부에 밀착하면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며 하강하고, 상기 제1회전축의 삽입부가 일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동력전달부재 상부의 관통홈에 끼움 가능한 위치가 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상승하여 상기 제1회전축의 삽입부가 상기 동력전달부재 상부의 관통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모터의 회전력이 제1회전축, 동력전달부재 및 제2회전축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시 회전력의 전달 구조를 개선시킨 용수여과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축의 상부에는 측면의 상하부로 길게 관통되는 핀승강홈이 형성된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동력전달부재에는 측면을 관통하는 핀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축연결수단은,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하부가 상기 제2회전축 상부의 돌출부에 삽입되면,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핀삽입홈과 상기 돌출부의 핀승강홈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축연결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시 회전력의 전달 구조를 개선시킨 용수여과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의 일측에 마련된 제1브라켓;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부가 상기 본체를 회동 개폐하도록 상기 제1브라켓을 회동 지지하는 제2브라켓이 마련된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시 회전력의 전달 구조를 개선시킨 용수여과기.
KR1020130088760A 2013-07-26 2013-07-26 개폐시 회전력의 전달 구조를 개선시킨 용수여과기 KR101450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760A KR101450286B1 (ko) 2013-07-26 2013-07-26 개폐시 회전력의 전달 구조를 개선시킨 용수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760A KR101450286B1 (ko) 2013-07-26 2013-07-26 개폐시 회전력의 전달 구조를 개선시킨 용수여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0286B1 true KR101450286B1 (ko) 2014-10-23

Family

ID=51997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760A KR101450286B1 (ko) 2013-07-26 2013-07-26 개폐시 회전력의 전달 구조를 개선시킨 용수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2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499B1 (ko) * 2022-06-23 2023-03-17 주식회사 영진엔지니어링 수처리 여과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912Y1 (ko) * 1996-11-28 1999-03-20 윤영술 산업용 유체 자동여과기
KR200422870Y1 (ko) 2006-05-22 2006-08-02 (주) 코리아 인바이텍 용수여과기
KR100808905B1 (ko) 2006-11-03 2008-03-03 권오경 용수 여과장치
KR20120074404A (ko) * 2010-12-28 2012-07-06 (주) 코리아 인바이텍 용수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912Y1 (ko) * 1996-11-28 1999-03-20 윤영술 산업용 유체 자동여과기
KR200422870Y1 (ko) 2006-05-22 2006-08-02 (주) 코리아 인바이텍 용수여과기
KR100808905B1 (ko) 2006-11-03 2008-03-03 권오경 용수 여과장치
KR20120074404A (ko) * 2010-12-28 2012-07-06 (주) 코리아 인바이텍 용수여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499B1 (ko) * 2022-06-23 2023-03-17 주식회사 영진엔지니어링 수처리 여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4841B2 (ja) 高密度フィルター構造の高効率キャンドルタイプバラスト水濾過装置
CN112354231B (zh) 基于多层过滤的cip清洗液过滤装置
CN207153226U (zh) 过滤装置
KR100916650B1 (ko) 조립식 분배기를 갖는 자동여과장치
CN104587731B (zh) 转盘式自动除渣装置及其除渣方法
JP2014528835A (ja) 背圧形成を防止するキャンドルタイプバラスト水濾過装置
CN202962034U (zh) 管路杂质分离器
KR101450286B1 (ko) 개폐시 회전력의 전달 구조를 개선시킨 용수여과기
CN101433784A (zh) 免拆卸泵前过滤装置
KR20120114791A (ko) 자체 세척 스트레이너
CN211384043U (zh) 一种反冲洗过滤器
CN106582090B (zh) 一种立式自动反冲洗过滤器
CN201006357Y (zh) 一种实时自清洗液体过滤器
CN109433580B (zh) 一种用于泥水平衡盾构机的双级筛分出渣装置
CN208905966U (zh) 一种水处理工程用保安过滤器
CN203852902U (zh) 一种自动排污过滤器
CN202666521U (zh) 一种具有自清洗功能的过滤装置
CN211435318U (zh) 反冲洗过滤器
CN2799039Y (zh) 在线全自动过滤器
CN209322584U (zh) 一种可拆卸式过滤器
CN208634643U (zh) 管道防堵装置
CN103316779A (zh) 阶梯式自动卸料离心机
CN203123668U (zh) 污水三级处理的微过滤设备
CN208260330U (zh) 一种环保排污水节能设备
KR101544419B1 (ko) 스크린 분할형 용수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