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4404A - 용수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용수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4404A
KR20120074404A KR1020100136224A KR20100136224A KR20120074404A KR 20120074404 A KR20120074404 A KR 20120074404A KR 1020100136224 A KR1020100136224 A KR 1020100136224A KR 20100136224 A KR20100136224 A KR 20100136224A KR 20120074404 A KR20120074404 A KR 20120074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ter
motor
shaf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7007B1 (ko
Inventor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주) 코리아 인바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리아 인바이텍 filed Critical (주) 코리아 인바이텍
Priority to KR1020100136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007B1/ko
Publication of KR20120074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01D29/68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수실로 유입된 용수가 반드시 스크린을 통해서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여과수의 품질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용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본체의 내부공간을 원수실과 여과실로 나누도록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격막;과, 본체의 여과실에 배치되어 관통공에 설치되고,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용수를 여과하는 복수의 스크린;과, 원수실을 관통하여 본체의 한 부분에 고정설치되는 역세관과, 스크린에 낀 이물질을 역세관을 통해서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일단은 역세관에 끼워지고 타단은 관통공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역세암을 구비한 드레인부; 및 원수실의 외면에 배치되어 본체에 설치되고, 역세암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여과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여과실로 유입되는 용수가 이물질과 함께 여과실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반드시 스크린을 통해서만 배출되도록 하여 여과수의 품질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모터의 부하를 최소화하여 모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수여과장치{WATER FILTER APPARATUS}
본 발명은 용수를 여과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격막에 모터축이 관통하는 구멍을 제거하여 원수실로 유입된 용수가 이물질과 함께 여과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반드시 스크린을 통해서만 배출되도록 드레인부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원수실 쪽에 설치함으로써, 여과수의 품질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용수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용수여과장치는 역세를 이용하여 스크린(5a)에 걸러진 이물질을 배출하도록 드레인부(2a)가 설치되는데, 드레인부(2a)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모터(M)가 커버(6a)에 설치된다. 그리고, 모터(M)와 연결된 회전축(1a)이 격막(3a)을 관통하여 드레인부(2a)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1a)이 회전하면 드레인부(2a)가 회전하면서 스크린(5a)에 낀 이물질을 차례대로 세척한다.
여기서, 격막(3a)과 회전축(1a) 사이에는 격막(3a)과 회전축(1a) 사이를 밀폐하는 패킹(4a)이 설치되는데, 회전축(1a)이 회전하면서 패킹(4a)이 조금씩 마모되어 회전축(1a)과 패킹(4a) 사이는 틈새가 형성된다. 이 틈새로 원수실에 유입된 용수가 스크린(5a)을 통과하지않고 그대로 여과실로 유입되는데, 원수실에 유입된 용수는 이물질을 포함하고 있어서 이물질이 포함된 용수가 여과되지 않고 그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여과수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러한 여과수를 사용한 장치가 고장이 나거나 여과수를 이용하여 제작된 제품의 품질이 현격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회전축(1a)과 패킹(4a) 사이에 이물질이 끼면 회전축(1a) 및 패킹(4a)이 긁혀서 회전축(1a)과 패킹(4a)이 손상되기도 한다. 특히, 회전축(1a)과 패킹(4a) 사이에 큰 이물질이나 다량의 이물질이 끼게 되면 이물질이 회전축(1a)의 회전을 방해해서 모터(M)에 부하가 걸리게 되고, 나아가 모터(M)가 고장이 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게다가, 회전축(1a)이 길어서 수압에 의해 회전축(1a)이 미세하게 휘어질 수도 있으며, 이는 패킹(4a)을 더욱더 마모시키는 원인이 되어 패킹(4a)을 자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패킹(4a)을 교체하는 동안에는 용수를 여과할 수 없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드레인부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원수실 쪽에 설치하여 모터축이 격막을 관통하지 않고 드레인부와 직접 연결시켜서, 여과실로 유입되는 용수가 이물질과 함께 여과실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반드시 스크린을 통해서만 배출되도록 하여 여과수의 품질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모터의 부하를 최소화하여 모터의 수명을 연장하고, 스크린을 개폐하는 개폐유닛을 신속하게 설치 또는 교체할 수 있는 용수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용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본체의 내부공간을 원수실과 여과실로 나누도록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격막;과, 본체의 여과실에 배치되어 관통공에 설치되고,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용수를 여과하는 복수의 스크린;과, 원수실을 관통하여 본체의 한 부분에 고정설치되는 역세관과, 스크린에 낀 이물질을 역세관을 통해서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일단은 역세관에 끼워지고 타단은 관통공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역세암을 구비한 드레인부; 및 원수실의 외면에 배치되어 본체에 설치되고, 역세암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여과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 드레인부는, 역세암의 일단부에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역세암의 일단이 역세관을 관통하되, 배출공이 역세관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설치하여 스크린에 낀 이물질이 배출공을 거쳐 역세관을 통해 본체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 역세암은, 모터축이 연결되는 반대편에 설치되는 지지축과, 지지축을 지지하도록 지지축의 일단에 끼워져 격막에 고정되는 축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여과실로 침투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고 용수는 반드시 스크린을 통해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여과수의 품질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터축을 짧게 형성하여 모터축이 휘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 모터에 발생하는 부하를 최소화시켜 모터가 고장이 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모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격막에 설치되는 패킹을 제거하여 이를 교체하는 작업을 생략함으로써 용수를 지속적으로 여과하여 동일시간 내에 더욱더 많은 양의 용수를 여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스크린을 개폐하는 개폐유닛을 커버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개폐유닛을 신속하고 손쉽게 설치 또는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용수여과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개폐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1)와, 용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21)가 형성된 본체(1);와, 복수의 관통공(21)이 형성되고, 본체(1)의 내부공간을 원수실과 여과실로 나누도록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격막(2);과, 본체(1)의 여과실에 배치되어 관통공(21)에 설치되고, 본체(1)의 내부로 유입되는 용수를 여과하는 복수의 스크린(3);과, 원수실을 관통하여 본체(1)의 한 부분에 고정설치되는 역세관(41)과, 스크린(3)에 낀 이물질을 역세관(41)을 통해서 본체(1)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일단은 역세관(41)에 끼워지고 타단은 관통공(21)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역세암(42)을 구비한 드레인부(4); 및 원수실의 외면에 배치되어 본체(1)에 설치되고, 역세암(42)을 회전시키는 모터(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여과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 드레인부(4)는, 역세암(42)의 일단부에 하나 이상의 배출공(421a)이 형성되고, 역세암(42)의 일단이 역세관(41)을 관통하되, 배출공(421a)이 역세관(41)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설치하여 스크린(3)에 낀 이물질이 배출공(421a)을 거쳐 역세관(41)을 통해 본체(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 역세암(42)은, 모터축(51)이 연결되는 반대편에 설치되는 지지축(423)과, 지지축(423)을 지지하도록 지지축(423)의 일단에 끼워져 격막(2)에 고정되는 축가이드(4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용수여과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의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의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의 우측면도 및
도 7은 도 6에서 개폐유닛(6)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는, 본체(1), 격막(2), 스크린(3), 드레인부(4) 및 모터(5)를 포함한다.
본체(1)는, 제1하우징(11), 제2하우징(12) 및 커버(13)를 포함한다.
제1하우징(11)은, 대략 타단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개구 주변에는 결합용 플랜지(F)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형성된다.
제2하우징(12)은 대략 양단이 개구되되 타단의 안지름이 일단의 안지름보다 작게 형성된 원통형으로, 일단의 개구 주변에는 제1하우징(11)과 결합하는 결합용 플랜지(F)가 형성되고, 타단의 개구 주변에는 커버(13)가 결합하는 커버(13)용 플랜지(F)가 형성되며, 제2하우징(12)의 전방에는 용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21)가 형성된다.
커버(13)는, 대략 원판형태로, 제2하우징(12)의 타단 개구를 개폐하도록 제2하우징(12)의 커버(13)용 플랜지(F)에 볼트 및 너트에 의해서 결합된다.
여기서, 제2하우징(12)과 커버(13)가 결합한 상태에서, 제1하우징(11)의 결합용 플랜지(F)와 제2하우징(12)의 결합용 플랜지(F)를 맞대어 결합용 플랜지(F)들을 볼트와 너트로 결합함으로써, 본체(1)의 내부에는 유입구(111)와 배출구(121)가 연결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격막(2)은, 대략 원판형태로 본체(1)의 결합용 플랜지(F)와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고, 격막(2)의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의 관통공(21)이 등각 및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 사이에 설치된다. 즉, 격막(2)은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 사이에 배치되어 볼트와 너트에 의해서 제1하우징(11)의 결합용 플랜지(F) 및 제2하우징(12)의 결합용 플랜지(F)와 함께 고정된다. 이에 따라, 격막(2)을 중심으로 본체(1)의 한쪽은 용수가 유입되는 원수실이 형성되고, 본체(1)의 다른 쪽은 원수실을 통해 유입된 용수를 여과시키는 여과실로 구분된다.
스크린(3)은, 대략 단면이 삼각형이고 코일형태로 형성된 필터로, 본체(1)의 여과실에 배치되어 격막(2)의 관통공(21)에 밀착되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원수실에 유입된 용수는 격막(2)의 관통공(21)으로 유입되고, 관통공(21)으로 유입된 용수는 스크린(3)을 통과하면서 용수에 섞인 이물질이 걸러진다. 여기서, 스크린(3)은, 이미 널리 알려지고 공공연히 실시되고 있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드레인부(4)는, 역세관(41) 및 역세암(42)을 포함한다.
역세관(41)은, 대략 "T"형태의 관형태로, 원수실에 배치되어 역세관(41)의 전단이 본체(1)의 벽면을 관통하여 고정되고, 역세관(41)의 후단에는 가이드패킹(412)이 고정되도록 와셔 형태의 체결링(411)이 고정된다. 그리고, 역세관(41)의 후단에는 역세암(42)이 후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역세관(41)과 역세암(42) 사이를 밀폐하도록 가이드패킹(412)이 체결링(411)에 나사결합된다.
역세암(42)은, 회전부(42a) 및 세척관(42b)을 포함한다.
회전부(42a)는, 회전관(421), 축결합편(422), 지지축(423) 및 축가이드(424)를 포함한다.
회전관(421)은, 대략 관 형태로 일단의 둘레에는 대략 사각의 배출공(421a)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역세관(41)의 가이드패킹(412)에 관통되어 설치된다. 이때, 회전관(421)의 배출공(421a)이 역세관(41)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역세관(41)에 설치된다.
축결합편(422)은, 대략 원판 형태로 일면에 모터축(51)이 끼워지는 축홈(422a)이 형성되고, 회전관(421)의 일단 개구를 막도록 회전관(421)의 일단에 설치된다.
지지축(423)은, 대략 단차진 원기둥 형태로 회전관(421)의 타단 개구를 막도록 회전관(421)의 타단에 설치된다.
축가이드(424)는, 일면에 지지축(423)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지지축(423)에 끼워진 상태에서 격막(2)에 고정된다.
세척관(42b)은, 직각으로 절곡된 관 형태로, 세척관(42b)의 내부가 회전관(421)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일단이 회전관(421)의 외면에 설치되고, 세척관(42b)의 타단이 격막(2)의 관통공(21)을 둘러싸서 격막(2)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역세암(42)은 지지축(423)을 중심으로 모터(5)에 의해서 회전하고, 스크린(3)에 낀 이물질이 세척관(42b)을 거쳐 통공을 지나 회전부(42a)로 주입되어 본체(1) 밖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세척관(42b)은 이미 널리 알려지고 공공연히 실시되고 있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모터(5)는, 제1하우징(11)의 일단 외면에 설치되되, 모터축(51)이 제1하우징(11)의 외면을 관통하여 축결합편(422)에 끼워진다. 이때, 모터축(51)의 끝단은 다각으로 형성되고, 축결합편(422)의 축홈(422a)은 모터축(5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모터축(51)이 회전하면 역세암(42)이 함께 회전한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는, 개폐유닛(6)을 더 포함한다.
이때, 개폐유닛(6)을 설치하기 위해서 제2하우징(12')은 상술한 제2하우징(12)의 커버(13)용 플랜지(F)가 생략되고 타단의 안지름이 일단의 안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13')는 스크린(3)이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공(131)이 형성되며, 외경이 제2하우징(12')의 안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2하우징(12')의 타단 안지름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이외의 구성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의 구성들에 대응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개폐유닛(6)은, 지지볼트(61), 지지편(62), 덮개(63) 및 가압볼트(64)를 포함한다.
지지볼트(61)는, 한 쌍의 볼트를 구비하고, 삽입공(131) 주변에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지지볼트(61)가 커버(13')로부터 설정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커버(13')에 나사결합된다.
지지편(62)은, 대략 기다란 판 형태로, 지지볼트(61)가 삽입되도록 양단의 측면에는 지지볼트(61)의 외경에 대응하는 걸림홈(62a)이 대칭으로 각각 형성되고, 중앙에는 가압볼트(64)가 관통하는 암나사가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편(62)의 암나사를 중심으로 지지편(62)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지편(62)의 걸림홈(62a)이 지지볼트(61)에 각각 끼워지도록 결합한다.
덮개(63)는, 대략 단차진 원판형으로, 일단은 삽입공(131)의 안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타단은 삽입공(131)보다 크게 형성되며, 일단이 삽입공(131) 또는 스크린(3)에 끼워진다. 이때, 삽입공(131)과 덮개(63) 사이로 여과된 용수가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덮개(63)의 일단에는 패킹(P)이 끼워진다.
가압볼트(64)는, 지지편(62)의 암나사에 끼워져 나사결합되고, 덮개(63)가 커버(13)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가압볼트(64)를 회전시켜 덮개(63)를 밀어낸다.
여기서, 본 발명은 가로로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모터(5)가 아래로 향하도록 세로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을 설치공간의 환경에 맞춰 눕히거나 세워서 설치함으로써, 공간이 협소한 장소라도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용수가 원수실에서 여과실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용수가 반드시 스크린(3)을 통해서만 배출되도록 하여 여과수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만약 종래와 같이 드레인부(2a)를 회전시키는 회전축(1a)이 격막(3a)을 관통하여 드레인부(2a)와 연결되면, 격막(3a)과 회전축(1a) 사이는 반드시 밀폐해야 하고 일정시간이 되면 격막(2)과 회전축(1a) 사이의 패킹(4a)을 교체해야 한다. 왜냐하면, 회전축(1a)의 회전에 의해서 패킹(4a)이 마모되는데, 이때 회전축(1a)과 패킹(4a) 사이로 여과되지 않은 용수가 그대로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정시간이 지나면 격막(3a)과 회전축(1a) 사이에 설치된 패킹(4a)을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게다가, 원수실에 유입된 용수의 이물질이 회전축(1a)과 패킹(4a) 사이에 끼어서 회전축(1a) 및 패킹(4a)에 손상을 주며, 회전축(1a)과 패킹(4a) 사이에 낀 이물질이 회전축(1a)의 회전을 방해하여 모터(M)에 부하가 걸려서 모터(M)가 고장 나기도 한다. 또한, 격막(3a)에 설치된 패킹(4a)을 교체할 때에는 용수를 여과할 수 없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또, 회전축(1a)이 길기 때문에 여과실의 수압에 의해서 회전축(1a)이 휘어질 수도 있는데 회전축(1a)이 휘어지게 되면 패킹(4a)의 마모가 더욱더 심해질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모터(5)를 원수실 쪽에 설치하여 모터축(51)이 격막(2)을 관통하지 않기 때문에 원수실로 유입된 용수는 반드시 스크린(3)을 통해 여과되어 배출된다. 따라서, 이물이 섞인 용수가 여과실로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여과되는 용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격막(2)에 모터축(51)이 관통하는 구멍이 없기 때문에 패킹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패킹을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함으로써,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게다가, 격막(2)에 설치되는 패킹을 생략함으로써, 패킹 교체에 필요한 시간에 더욱 많은 양의 용수를 여과할 수 있다. 또, 드레인부(4)를 회전시키는 모터축(51)이 짧기 때문에 수압으로 인해서 모터축(51)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5)의 부하를 최소화시킴으로써, 모터(5)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각각의 스크린(3)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으며, 스크린(3)을 개폐하는 개폐유닛(6)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즉, 커버(13')에 삽입공(131)을 형성하고 삽입공(131) 주변에 지지볼트(61)를 결합하기 위한 암나사만 형성하면 되므로 용접을 하지 않고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개폐유닛(6)을 설치할 수 있다. 가령, 가압볼트(64)가 덮개(63)를 과도하게 누르거나 여과실의 수압이 덮개(63)를 밀어내어 지지볼트(61)가 파괴되더라도, 지지볼트(61)가 나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볼트(61)만 풀어서 신속하게 교체하여 복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본체
11; 제1하우징
111; 유입구
12, 12'; 제2하우징
121; 배출구
13, 13'; 커버
131; 삽입공
2; 격막
21; 관통공
3; 스크린
4; 드레인부
41; 역세관
411; 체결링
412; 가이드패킹
42; 역세암
42a; 회전부
42b; 세척관
421; 회전관
421a; 배출공
422; 축결합편
422a; 축홈
423; 지지축
424; 축가이드
5; 모터
51; 모터축
6; 개폐유닛
61; 지지볼트
62; 지지편
62a; 걸림홈
63; 덮개
64; 가압볼트
F; 플랜지
P; 패킹

Claims (5)

  1.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용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원수실과 여과실로 나누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격막;
    상기 본체의 여과실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용수를 여과하는 복수의 스크린;
    상기 원수실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의 한 부분에 고정설치되는 역세관과, 상기 스크린에 낀 이물질을 상기 역세관을 통해서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일단은 상기 역세관에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관통공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역세암을 구비한 드레인부; 및
    상기 원수실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역세암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여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역세암의 일단부에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역세암의 일단이 상기 역세관을 관통하되, 상기 배출공이 상기 역세관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스크린에 낀 이물질이 상기 배출공을 거쳐 상기 역세관을 통해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여과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암은,
    상기 모터축이 연결되는 반대편에 설치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을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축의 일단에 끼워져 상기 격막에 고정되는 축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여과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크린을 상기 본체로부터 각각 탈착하기 위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스크린이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개폐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여과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삽입공의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볼트와, 양단이 상기 지지볼트에 각각 끼워지는 지지편과, 상기 삽입공을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를 가압하도록 상기 지지편에 나사결합되는 가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여과장치.
KR1020100136224A 2010-12-28 2010-12-28 용수여과장치 KR101227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224A KR101227007B1 (ko) 2010-12-28 2010-12-28 용수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224A KR101227007B1 (ko) 2010-12-28 2010-12-28 용수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404A true KR20120074404A (ko) 2012-07-06
KR101227007B1 KR101227007B1 (ko) 2013-02-18

Family

ID=46708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6224A KR101227007B1 (ko) 2010-12-28 2010-12-28 용수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0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286B1 (ko) * 2013-07-26 2014-10-23 (주) 코리아 인바이텍 개폐시 회전력의 전달 구조를 개선시킨 용수여과기
KR101491004B1 (ko) * 2012-10-31 2015-02-11 (주) 코리아 인바이텍 균일한 역세가 가능한 용수 여과 장치
KR20160049424A (ko) * 2014-10-24 2016-05-09 (주) 코리아 인바이텍 측면모터를 이용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킨 용수여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650B1 (ko) * 2009-01-22 2009-09-08 주식회사 청호엔텍 조립식 분배기를 갖는 자동여과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004B1 (ko) * 2012-10-31 2015-02-11 (주) 코리아 인바이텍 균일한 역세가 가능한 용수 여과 장치
KR101450286B1 (ko) * 2013-07-26 2014-10-23 (주) 코리아 인바이텍 개폐시 회전력의 전달 구조를 개선시킨 용수여과기
KR20160049424A (ko) * 2014-10-24 2016-05-09 (주) 코리아 인바이텍 측면모터를 이용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킨 용수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007B1 (ko) 2013-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1369C2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кучих сред
KR101227007B1 (ko) 용수여과장치
KR100916650B1 (ko) 조립식 분배기를 갖는 자동여과장치
CN210729175U (zh) 一种超滤膜组件端部接口结构
JP5869623B2 (ja) ストレーナーアセンブリ
CN208229482U (zh) 一种带视镜功能的自来水系统过滤器
KR101560751B1 (ko)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US2371760A (en) Filter
CN210613111U (zh) 油田注水用管道过滤器
CN1104577C (zh) 机械轴封
CN215310677U (zh) 一种多级式防堵活塞结构
CN108326619A (zh) 一种滚筒式排屑机的滚筒密封装置及滚筒及滚筒排屑机
CN211262903U (zh) 一种污水排放监测用检测装置
CN210186585U (zh) 一种石化油泥清洗过滤系统
CN109224581A (zh) 刮刀式过滤器
CN208634468U (zh) 一种可清洗过滤阀门
KR100579488B1 (ko) 상수도 배관용 스트레이너 구조
CN110585807A (zh) 一种自清洗的高温过滤系统清洗方法及其高温过滤系统
KR101853898B1 (ko)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
CN213790186U (zh) 一种多介质污水过滤器用自清洁装置
CN218924032U (zh) 一种高压过滤器
CN216062195U (zh) 一种全自动清洗过滤装置
CN213433249U (zh) 多滤筒冲洗式除污器
CN210145608U (zh) 一种反冲洗全自动排污过滤装置
CN219209128U (zh) 在线快速清理式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