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870Y1 - 용수여과기 - Google Patents

용수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870Y1
KR200422870Y1 KR2020060013613U KR20060013613U KR200422870Y1 KR 200422870 Y1 KR200422870 Y1 KR 200422870Y1 KR 2020060013613 U KR2020060013613 U KR 2020060013613U KR 20060013613 U KR20060013613 U KR 20060013613U KR 200422870 Y1 KR200422870 Y1 KR 200422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main body
closing
rotation shaf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주) 코리아 인바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리아 인바이텍 filed Critical (주) 코리아 인바이텍
Priority to KR2020060013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8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8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수여과기에 관한 것으로, 유입관이 형성된 유입실, 배출관이 형성된 배출실, 상기 유입실과 상기 배출실을 상하로 구획하고 상기 유입실과 상기 배출실을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된 격막, 상기 격막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유입실과 상기 배출실을 연통하는 다수의 여과부, 및 상기 여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불순물배출부가 마련되고 상향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를 회동 개폐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에 설치되는 감속기모터와; 상기 여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되도록 상기 불순물배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축과; 상기 개폐부가 상기 본체의 개구를 개방할 때 상기 제1 회전축과의 연결이 해제되고, 상기 개폐부가 상기 본체의 개구를 폐쇄할 때 상기 감속기모터의 회전이 상기 제1 회전축에 전달되도록 상기 제1 회전축과 연결되는 제2 회전축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개폐부가 회동 이동하여 개폐됨으로써 개폐가 용이한 용수여과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수여과기{WATER FILTER APPARATU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기의 부분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기의 개폐부의 개폐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수여과기 10 : 본체
20 : 개폐부 30 : 감속기모터
31 : 냉각펜 40 : 제1 회전축
41 : 삽입홈 50 : 제2 회전축
51 : 삽입부 60 : 개폐부재
61 : 제1 브래킷 62 : 제2 브래킷
63 : 핀
본 고안은 용수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부가 회동 이동하여 개폐됨으로써 개폐가 용이한 용수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공장 등에서는 주로 냉각수 등의 물을 여과하는 용수여과기가 배치되어 많은 양의 용수를 여과하고 있다. 이에, 용수여과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를 일정기간마다 청소해주는 경우, 용수여과기의 내부로 용수여과기의 동작을 방해하는 기타 이물질이 삽입된 경우, 또는 용수여과기의 내부를 수리, 교체해야 하는 경우등의 이유로 용수여과기의 개폐부를 상향 들어올려서 개폐하여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여기서, 통상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용수여과기는 그 크기가 거대하여 개폐부도 거대하였다. 따라서, 인력으로 개폐부를 상향 들어올려서 개폐하는 것을 무리가 있으므로, 기중기를 이용하여 개폐부를 상향 들어올림으로써 개폐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용수여과기는 그 내부의 여과부 또는 불순물배출관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이 개폐부를 관통하고,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감속기모터가 개폐부에설치되어 있었다. 이에, 회전축과 개폐부 사이에는 그랜드패킹등을 설치하여 용수의 누수를 방지하였다. 따라서, 개폐부를 상향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감속기모터와 회전축을 제거 한 후 들어올려야 했으므로, 그랜드패킹이 재활용할 수 없을 정도로 손상되어 그랜드패킹을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부가 회동 이동하여 개폐됨으로써 개폐가 용이한 용수여과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 따른 유입관이 형성된 유입실, 배출관이 형성된 배출실, 상기 유입실과 상기 배출실을 상하로 구획하고 상기 유입실과 상기 배출실을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된 격막, 상기 격막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유입실과 상기 배출실을 연통하는 다수의 여과부, 및 상기 여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불순물배출부가 마련되고 상향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를 회동 개폐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에 설치되는 감속기모터와; 상기 개폐부에 설치되는 감속기모터와; 상기 여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되도록 상기 불순물배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축과; 상기 개폐부가 상기 본체의 개구를 개방할 때 상기 제1 회전축과의 연결이 해제되고, 상기 개폐부가 상기 본체의 개구를 폐쇄할 때 상기 감속기모터의 회전이 상기 제1 회전축에 전달되도록 상기 제1 회전축과 연결되는 제2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여과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 중 어느 하나의 다른 하나 측 가장자리 영역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개폐부가 상기 본체의 개구를 폐쇄할 때 상기 삽입홈에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전축 또는 상기 제2 회전축의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가장자리 영역의 단면은 'ㄷ'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의 일측에 마련된 제1 브래킷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부가 상기 본체를 회동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브래킷을 회동 지지하는 제2 브래킷이 마련된 개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속기모터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 회전축을 수용하도록 내부가 중공되고, 일측에 제1 지시부가 마련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1 지시부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기 제2 회전축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삽입부를 정렬하기 위한 제2 지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개폐부가 상기 본체의 개구를 폐쇄할 때, 상기 삽입공에 정렬된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공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정렬하기 위한 지시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속기모터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회전축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감속기모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팬을 더 포함하여, 상기 냉각팬을 조절하여 상기 제2 회전축을 조절하여 상기 제1 지시부가 상기 제2 지시부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용수여과기(1)는 본체(10), 개폐부(20), 감속기모터(30), 제1 회전축(40) 및 제2 회전축(5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상향 개구되며, 내부에는 유입관(11a)이 형성된 유입실(11), 배출관(12a)이 형성된 배출실(12), 유입실(11)과 배출실(12)을 상하로 구획하고 유입실(11)과 배출실(12)을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 격막 (13), 격막(13)에 설치되며 관통홀을 통해 유입실(11)과 배출실(12)을 연통하는 다수의 여과부(14) 및 여과부(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불순물배출부(15)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유입관(11a)을 통해 유입실(11)로 유입된 용수는 격막(13)의 관통홀을 통해 여과부(14)로 유입된다. 여과부(14)로 유입된 용수는 여과부(14)를 통해 배출실(12)로 유입되면서 여과되고, 여과되어 배출실(12)로 유입된 용수는 배출관(12a)을 통해 용수여과기(1)의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불순물배출부(15)는 여과부(14)에 의해 여과되어 배출실(12)로 유입되지 못한 불순물(미도시)들을 용수여과기(1)의 외부로 배출한다. 그리고, 불순물배출부(15)는 여과된 불순물을 용수여과기(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불순물배출구(15a)와 여과부(14) 중 어느 하나의 하부에 위치하여 여과된 불순물을 불순물배출구(15a)로 인도하는 불순물배출관(15b)을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다.
또한, 본체(10)는 용수여과기(1)의 여과부(14)등을 수리, 청소, 교체등을 한 후, 다시 본체(10)에 설치하기 위해 상향 개구된다.
개폐부(20)는 본체(10)의 개구를 회동 개폐하기 위해 마련되고, 이에 감속기모터(30)가 하향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개폐부(20)는 대략 반원형상으로 본체(10)의 상부에 위치하여, 본체(10)의 개구를 개폐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다. 또한, 감속기모터(30)는 개폐부(20)의 정점에 하향 설치되여 후술할 제2 회전축(50)을 회전시키는 것을 일 예로 하였다. 여기서, 개폐부(20)는 사각형상등으로 마련되고, 이에 감속기모터(30)는 측향으로 설치되어 바벨기어 등을 통해 제2 회전축(50)을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므로, 개폐부(20)의 형상 및 감속기모터(30)의 설치형상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20)의 일측에 마련된 제1 브래킷(61)과 본체(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제1 브래킷(61)을 회동 지지하는 제2 브래킷(62)이 마련된 개폐부재(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다. 여기서, 개폐부재(60)는 제1 브래킷(61)과 제2 브래킷(62)을 핀(63)로 관통 연결하는 힌지 구조로 마련됨으로써, 제1 브래킷(61)이 제2 브래킷(62)을 기반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부재(60)에 의해 개폐부(20)가 본체(10)의 개구를 회동 개폐할 수 있다.
제1 회전축(40)은 불순물배출부(15)가 여과부(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되도록 불순물배출부(15)를 회전시킴으로써, 불순물배출관(15b)을 원주이동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제1 회전축(40)은 격막(13)의 중앙을 관통하여 불순물배출부(15)에 설치되고, 이에 불순물배출부(15)을 회전시킴으로써 불순물배출관(15b)이 각 여과부(14)과 연결되는 부분이 원주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원주이동은 불순물배출관(15b)이 각 여과부(14)과 연결되는 부분이 제1 회전축(40)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며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제1 회전축(40)을 회전시킴으로써, 청소 등의 이유로 여과부(14)의 내부의 불순물을 배출할 시에는 그 대상이 되는 여과부(14)가 불순물배출관(15b)에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불순물배출부(15)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순물배출부(15)는 본체의 하측에 위치하는 불순물배출구(15a)를 중심으로 불순물배출관(15b)이 제1 회전축(40)에 의해 원주 이동하도록 '┗┓'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감속기모터(30)가 불순물배출관(15b)이 여과부(14)와 연통 될 시 불순물배출관(15b)과 여과부(14)가 일정시간 동안 상호 연통 되는 것을 유지한 후 다시 원주이동 하도록 감속기모터(30)의 회전을 제어하는 컨트롤유닛(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회전축(50)은 개폐부(20)가 본체(10)의 개구를 개방할 때 제1 회전축(40)과의 연결이 해제되고, 개폐부(20)가 상기 본체의 개구를 폐쇄할 때 감속기모터(30)의 회전이 제1 회전축(40)에 전달되도록 제1 회전축(40)과 연결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제1 회전축(40)은 제2 회전축(50)과 연결되는 측의 가장자리 영역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삽입홈(41)이 형성되고, 제2 회전축(50)은 개폐부(20)가 본체(10)의 개구를 폐쇄할 때 삽입홈(41)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삽입부(51)가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다. 이에 따라, 개폐부(20)가 회동 이동하더라도 제1 회전축(40) 및 제2 회전축(50)간의 연결 또는 연결이 해제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제1 회전축(40)의 삽입홈(41)이 형성된 가장자리 영역의 단면은 'ㄷ' 형상을 가지고, 제2 회전축(50)의 삽입부(51)가 형성된 가장자리 영역의 단면은 삽압홈에 삽입되도록 'ㅜ' 형상을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하였다. 이에 따라, 본체(10)의 개구가 폐쇄될 시, 회동하는 개폐부(20)에 의해 제2 회전축 (50)의 삽입부(51)가 호 형상을 그리며 삽입홈(41)에 삽입 또는 이탈되더라도, 걸림 없이 용이하게 삽입 또는 이탈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홈(41)에 삽입부(51)가 삽입되는 도중, 미세한 어긋남에 의해 삽입홈(41) 및 삽입부(51)의 모서리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삽입홈(41) 및 삽입부(51)의 각 모서리가 모따기 가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구성에 따른 본 실시예의 용수여과기(1)의 개폐부(20)가 본체(10)의 개구를 개폐하는 과정을 설명하겠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기(1)의 본체(10)가 개폐부(20)에 의해 폐쇄된 경우, 본체(10)의 내부에 흐르는 용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본체(10)과 개폐부(20)를 다수의 볼트(70)로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 볼트(70)를 모두 해제한 후, 개폐부(20)를 개폐부(20)의 상향과 개폐부재(60)가 위치한 방향의 대략 중간 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20)가 회동하면서 본체(10)의 개구가 개방되게 된다. 이때, 제2 회전축(50)의 삽입부(51)도 회동하는 개폐부(20)를 따라 호 형상을 그리며 제1 회전축(40)의 삽입홈(41)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반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기(1)의 본체(10)가 개방된 경우, 상술한 과정의 역과정을 수행함에 따라, 개폐부(20)를 회동하여 본체(10)의 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 개폐부(20)를 상향 들어올려야 함으로써 그 무게 때문에 기중기를 동원하여 개폐부(20)를 상향 들어올려야 하는 문제점을 인력으로 개폐부(20)를 회동할 수 있는 본 고안에 의해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20)를 회동하여 개폐함으로써, 제2 회전축(50)과 개폐부(20) 사이에 설치되어 용수의 누수를 방지하는 그랜드패킹(미도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기(1)는 개구가 개방된 본체(10)에 개폐부(20)가 회동하여 패쇄할 시, 제1 회전축(40)과 제2 회전축(50)이 연결되도록 삽입부(51)와 삽입공(41)을 정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기(1)의 개폐부(20), 제2 회전축(50) 및 본체(10)는 제1 지시부(22)가 마련된 하우징(21), 제2 지시부(52) 및 지시표시(미도시)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20)는 개폐부(20)의 정점에 설치된 감속기모터(3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2 회전축(50)을 수용하도록 내부가 중공되고, 일측에 후술할 제2 지시부(52)에 대응하는 제1 지시부(22)가 마련된 하우징(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회전축(50)은 제2 지시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시공(22)을 통해 육안으로 제2 지시부(52)를 확인하여 제2 회전축(50)의 삽입부(51)가 제1 회전축(40)의 삽입공(41)에 삽입되도록 제2 회전축(50)을 조절하면서 삽입부(51)를 정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1 지시부(22)는 하나의 관통공으로 형성되고 제2 지시부(52)는 돌기로 형성되어, 제1 지시부(22)를 통해 제2 지시부(52)를 육안으로 확인토록 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다. 반면, 하우징(21)을 유리 등의 투명한 세라믹 등으로 마련할 경우, 제1 지시부(22)와 제2 지시부(52)를 점 또는 선으로 마련되어 제1 지시부(22)와 제2 지시부(52)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상호 일치시키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제1 지시부(22) 및 제2 지시부(52)의 형상에 따라 본 고안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체(10)는 제1 지시부(52) 및 제2 지시부(22)을 통해 조절하여 정렬된 삽입부(51)가 삽입공(41)에 삽입되도록 삽입공(41)을 정렬하기 위한 지시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지시표시는 육안으로 확인이 용이한 색으로 본체(10)에 표시하여, 이에 따라 삽입공(41)을 정렬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여기서, 지시표시는 본체(10)에 돌기 등으로 형성되어, 이에 따라 삽입공(41)을 정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제1 지시부(52), 제2 지시부(22) 및 지시표시를 통해 제1 회전축(40) 및 제2 회전축(50)간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삽입부(51)와 삽입공(41)을 정렬한 후, 개폐부(20)에 의해 회동하여 본체(10)의 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기(1)는 감속기모터(30)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2 회전축(50)을 따라 회전하여 감속기모터(30)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팬(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지시부(22)을 통해 제1 지시부(52)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냉각팬(31)을 회전하여 제2 회전축(50)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감속기모터(30)에는 감속기모터(30)의 고속의 회전력을 저속으로 조절 가능한 감속기(미도시)가 설치됨으로써, 감속기는 감속기모터(30)의 고속의 회전력을 용수여과기(1) 내에 설치된 불순물배출관(15b)이 저속으로 회전하도록 감소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삽입부(51)는 제2 회전축(50)에 형성되고, 삽입공(41) 은 제1 회전축(40)에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삽입부(51)가 제1 회전축(40)에 형성되고 삽입공(41)이 제2 회전축(50)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비록, 본 고안의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안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용수여과기는 개폐부가 회동 이동하여 개폐됨으로써 개폐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개폐부를 회동하여 개폐함으로써, 회전축과 개폐부 사이에 설치되어 용수의 누수를 방지하는 그랜드패킹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유입관이 형성된 유입실, 배출관이 형성된 배출실, 상기 유입실과 상기 배출실을 상하로 구획하고 상기 유입실과 상기 배출실을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된 격막, 상기 격막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유입실과 상기 배출실을 연통하는 다수의 여과부, 및 상기 여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되 불순물배출부가 마련되고 상향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를 회동 개폐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에 설치되는 감속기모터와;
    상기 여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 되도록 상기 불순물배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축과;
    상기 개폐부가 상기 본체의 개구를 개방할 때 상기 제1 회전축과의 연결이 해제되고, 상기 개폐부가 상기 본체의 개구를 폐쇄할 때 상기 감속기모터의 회전이 상기 제1 회전축에 전달되도록 상기 제1 회전축과 연결되는 제2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여과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 중 어느 하나의 다른 하나 측 가장자리 영역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개폐부가 상기 본체의 개구를 폐쇄할 때 상기 삽입홈에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여과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 또는 상기 제2 회전축의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가장자리 영역의 단면은 'ㄷ'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여과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의 일측에 마련된 제1 브래킷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부가 상기 본체를 회동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브래킷을 회동 지지하는 제2 브래킷이 마련된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여과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감속기모터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 회전축을 수용하도록 내부가 중공되고, 일측에 제1 지시부가 마련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1 지시부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기 제2 회전축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삽입부를 정렬하기 위한 제2 지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개폐부가 상기 본체의 개구를 폐쇄할 때, 상기 삽입공에 정렬된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공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정렬하기 위한 지시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여과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모터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회전축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감속기모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팬을 더 포함하여,
    상기 냉각팬을 조절하여 상기 제2 회전축을 조절하여 상기 제1 지시부가 상기 제2 지시부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여과기.
KR2020060013613U 2006-05-22 2006-05-22 용수여과기 KR2004228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613U KR200422870Y1 (ko) 2006-05-22 2006-05-22 용수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613U KR200422870Y1 (ko) 2006-05-22 2006-05-22 용수여과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498A Division KR100787601B1 (ko) 2006-05-22 2006-05-22 용수여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870Y1 true KR200422870Y1 (ko) 2006-08-02

Family

ID=41771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613U KR200422870Y1 (ko) 2006-05-22 2006-05-22 용수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8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286B1 (ko) 2013-07-26 2014-10-23 (주) 코리아 인바이텍 개폐시 회전력의 전달 구조를 개선시킨 용수여과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286B1 (ko) 2013-07-26 2014-10-23 (주) 코리아 인바이텍 개폐시 회전력의 전달 구조를 개선시킨 용수여과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2870Y1 (ko) 용수여과기
CN106132504A (zh) 卡扣到位的天然气过滤器
CN1253635C (zh) 用于真空马桶的排出阀
KR20070112513A (ko) 용수여과기
CN101796342A (zh) 流体阻断装置及用该装置形成旁路的方法
JP5697043B2 (ja) 遠心分離機の安全バルブ
WO2019154297A1 (zh) 一种洗衣机的控制方法
WO2014109436A1 (en) Ball float trap
CN105003316B (zh) 油底壳放油装置
CN218421433U (zh) 一种放水器用除渣装置
CN215568910U (zh) 一种管道密闭排油装置
WO2019098438A1 (ko) 지능형 콘 크러셔의 윤활 시스템
CN213770564U (zh) 一种重力式自动卸灰装置
CN212440380U (zh) 一种旋转式多筒除污器
KR200308001Y1 (ko) 오일 필터링 장치
CN216643787U (zh) 一种排水器在线清渣装置
KR200457585Y1 (ko) 분해 조립없이 청소가 가능한 스트레이너 조립체
CN210613111U (zh) 油田注水用管道过滤器
CN203394827U (zh) 液下立式泵过滤网清堵器
CN1474903A (zh) 用于真空马桶的阀组
CN2907833Y (zh) 一种在线清污过滤阀
CN2799039Y (zh) 在线全自动过滤器
CN113700892A (zh) 一种具备管道液体过滤功能的可清洁式阀门
KR101468794B1 (ko) 응축수 배출기
CN208193803U (zh) 一种液压马达驱动式自清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9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