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086B1 -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086B1
KR101777086B1 KR1020170033306A KR20170033306A KR101777086B1 KR 101777086 B1 KR101777086 B1 KR 101777086B1 KR 1020170033306 A KR1020170033306 A KR 1020170033306A KR 20170033306 A KR20170033306 A KR 20170033306A KR 101777086 B1 KR101777086 B1 KR 101777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se
crushing
food waste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조
최병철
Original Assignee
성진하이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진하이쿨(주) filed Critical 성진하이쿨(주)
Priority to KR1020170033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0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8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integral means for shielding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limit area of spray; with integral means for catching drips or collecting surplu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9Shred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3Volume reducing means, e.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감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방측으로 개폐되는 도어(11)가 형성된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공(21)이 형성된 투입호퍼(20)와; 투입호퍼(20)로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부(30)와; 케이스(10)에 내장된 상태에서 투입공(21)과 연결된 것으로서, 투입공(21)을 통하여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부(40)와; 분쇄부(40)에서 분쇄된 음식물쓰레기 분쇄물을 압착하는 압착부(50)와; 압착부(50)에서의 압착과정에서 발생된 오수(물기)를 배수하는 배수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Apparatus for reducing food waste}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 및 압착하여 전체적인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에서 매일 많은 양의 음식물쓰레기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음식물쓰레기는 통상적으로 전용수집함에 수집된 후 전용차량에 실려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으로 운반되어 처리되고 있다. 이때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는, 과거에는 땅에 매립하는 방식을 취하였으나 토양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어, 최근에는 소각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음식물쓰레기에는 80% 이상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어 소각시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는 쉽게 부패되기 때문에 처리과정에서 많은 악취를 발생하였고, 이에 따라 처리장 주위의 거주환경이 열악해져 많은 사람들로부터 민원의 대상이 되었다.
이에 정부에서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줄이기 위한 시도로서, 버려지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에 따라 처리비용을 전담하는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를 현재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양의 음식물이 지속적으로 발생될 경우,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를 사용하더라도 쓰레기 처리에 많은 비용 및 노력이 발생되었고, 특히 많은 양의 음식물쓰레기를 전용차량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이나 보관 과정에서 여전히 많은 악취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식당에 설치되어 버려지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감량함과 동시에 악취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식당에 설치할 정도로 콤팩트하게 구현되며, 음식물쓰레기의 전체 부피를 획기적으로 감량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는, 전방측으로 개폐되는 도어(11)가 형성된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공(21) 및 그 투입공(21) 측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며 편편한 경사표면(22)이 형성된 투입호퍼(20); 상기 투입호퍼(20)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경사표면(22)을 향하게 배치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31)과, 상기 노즐(31)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31)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외부로 튀지 않도록 하는 루프(32)로 구성된 세척부(30); 상기 케이스(10)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투입공(21)과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투입공(21)을 통하여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부(40); 상기 분쇄부(40)에서 분쇄된 음식물쓰레기 분쇄물을 압착하는 압착부(50); 상기 압착부(50)에서의 압착과정에서 발생된 오수(물기)를 배수하는 배수부(60); 및 상기 케이스(10)의 상부 일측에 힌지(h1)에 의하여 회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투입공(21)이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투입호퍼(20)를 부분적으로 덮는 덮개(80)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80)는, 그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투입공(21)을 덮는 것으로서, 상기 경사표면(2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덮개날개(81)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80)와 케이스(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80)가 상기 투입호퍼(20)로 급격하게 닫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댐퍼실린더(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50)는, 상부측에 상기 분쇄부의 배출구(41)와 연결된 유입구(51)가 형성된 것으로서 다수의 타공(52a)이 형성된 타공관(52)과; 상기 타공관(52)에 내장된 압착스크류(53)와; 상기 타공관(52)의 전방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토출구(54)와; 상기 압착스크류(53)의 축과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타공관(52)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그 압착스크류(53)를 회전시키는 제1스프로킷(55)과; 상기 케이스(10)의 소정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스프로킷(55)과 체인(57)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2스프로킷(56)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8);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어(11)를 개방하였을 때 상기 케이스(10)에 출입 가능하게 내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압착부(50)에서 압착된 압착물을 수집하는 수집부(70)와; 상기 수집부(70)에 수집된 압착물(W)이 수용범위를 넘었을 때 그 수집부(70)를 비우라는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압착물처리지시부(110);를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투입호퍼(20)를 세척하기 위한 수전부(90)를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식당에 설치할 정도로 콤팩트하게 구현될 수 있고, 분쇄부 및 압착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많은 양의 음식물쓰레기를 획기적으로 감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세척부에 의하여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호퍼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투입호퍼의 투입공에 분쇄부가 결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분쇄부와 연결되는 압착부, 배수부 및 압축물수집부를 발췌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의 케이스에 투입호퍼 및 세척부의 다른 실시예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의 투입호퍼 및 세척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세척부에 의하여 투입호퍼의 반구표면 전체가 세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투입호퍼의 투입공에 분쇄부가 결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분쇄부와 연결되는 압착부, 배수부 및 압축물수집부를 발췌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는, 전방측으로 개폐되는 도어(11)가 형성된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공(21)이 형성된 투입호퍼(20)와; 투입호퍼(20)의 표면으로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부(30)와; 케이스(10)에 내장된 상태에서 투입호퍼(20)의 투입공(21)과 연결된 것으로서, 투입공(21)을 통하여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부(40)와; 분쇄부(40)에서 분쇄된 음식물쓰레기 분쇄물을 압착하는 압착부(50)와; 압착부(50)에서의 압착과정에서 발생된 오수(물기)를 배수하는 배수부(60)와; 도어(11)를 개방하였을 때 케이스(10)에서 출입 가능하게 내장되는 것으로서, 압착부(50)에서 압착된 압착물(W)을 수집하는 수집부(70)와; 케이스(10)의 상부측에 일측이 회동되게 설치되어 투입공(21)이 노출되지 않도록 투입호퍼(20)를 부분적으로 덮는 덮개(80)와; 케이스(10)에 설치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투입호퍼(20)를 세척하기 위한 수전부(90)와; 덮개(80)에 설치되어 투입호퍼(20)를 자외선 살균하는 자외선조사부(100)와; 수집부(70)에 수집된 압착물(W)이 수용범위를 넘었을 때 그 수집부(70)를 비우라는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압착물처리지시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세척부(30), 분쇄부(40), 압착부(50), 배수부(60)등은 제어부(120)에 의하여 제어된다.
투입호퍼(20)는 음식물쓰레기가 버려지는 곳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부(40)와 연결되는 투입공(21) 측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며 편편한 경사표면(22)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음식물쓰레기를 투입공(21)에서 벗어난 부분에 버리더라도, 비스듬한 경사표면(22)에 의하여 투입공(21) 측으로 밀리게 된다.
세척부(30)는 음식물쓰레기가 반복적으로 버려지는 과정에서, 투입호퍼의 경사표면(22)을 세척함으로써 청결한 미관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러한 세척부(3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호퍼(20)의 가장자리에서 경사표면(22)을 향하게 배치되는 다수, 본 실시예에서는 3 개의 노즐(31)과, 케이스(1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노즐(31)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외부로 튀지 않도록 하는 루프(32)를 포함한다.
이러한 세척부(30)의 구조에 의하여, 다수의 노즐(31)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표면(22)을 따라 흐르면서 경사표면(22)에 묻어있는 음식물쓰레기 찌꺼기를 세척하여 투입공(21)으로 투입되게 하며, 이에 따라 경사표면(22) 전체가 세척된 상태가 되어 시간이 지나더라도 음식물쓰레기 찌꺼기에 의하여 경사표면(22) 특정 부분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쇄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호퍼의 투입공(21)을 통하여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한다. 이러한 분쇄부(40)는 모터에 의하여 고속회전되는 커터로 구성되며, 하부측에 음식물쓰레기 분쇄물이 배출되는 배출구(41)가 설치된다. 이러한 분쇄부(40)는 당업계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압착부(50)는 분쇄부(40)의 배출구(41)에서 배출된 분쇄물을 압착하여 물기를 제거하고 부피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압착부(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에 배출구(41)와 연결된 유입구(51)가 형성된 것으로서 다수의 타공(52a)이 형성된 타공관(52)과; 타공관(52)에 내장된 압착스크류(53)와; 타공관(52)의 전방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토출구(54)와; 압착스크류(53)의 축과 연결된 것으로서 타공관(52)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그 압착스크류(53)를 회전시키는 제1스프로킷(55)과; 케이스(10)의 소정부에 설치되어 제1스프로킷(55)과 체인(57)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2스프로킷(56)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8);를 포함한다.
이러한 압착부(50)의 구조에 의하여, 구동모터(58)가 제2스프로킷(56)을 회전시키면 체인(57)에 의하여 제1스프로킷(55)이 회전되고 제1스프로킷(55)은 압착스크류(53)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배출구(41)를 통하여 타공관(52) 내부로 유입된 분쇄물은 압착스크류(53)에 의하여 압착되면서 토출구(54) 측으로 이송된 후 토출되고, 이 과정에서 분쇄물로부터 빠져나온 오수(물기)는 타공(52a)을 통하여 배출된다. 여기서 토출구(54)는 수집부(70)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배수부(60)는 압착부(50)에서의 분쇄물 압착과정에서 발생된 오수(물기)를 임시 저장하는 오수조(61)와, 오수조(61)의 하부측과 연결된 드레인관(62)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압착부(50)에서의 분쇄물 압착과정에서 타공(52a)으로 배출되는 오수는 오수조(61)에서 수집된 후 드레인관(62)을 통하여 외부로 배수된다.
수집부(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도어(11)를 개폐할 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서랍 형태를 가지며, 압착부의 토출구(54)에서 토출되는 음식물쓰레기 압착물(W)이 수집된다.
덮개(8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상부 일측에 힌지(h)에 의하여 회동되게 설치되어 투입공(21)이 노출되지 않도록 투입호퍼(20)를 부분적으로 덮는다. 이러한 덮개(80)의 단부에는 덮개날개(81)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80)가 투입호퍼(20)를 덮을 때 투입공(21)을 덮는다. 따라서 덮개날개(81)는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호퍼(20)에 투입할 때 회동되면서 음식물쓰레기가 투입공(21)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고, 평소에 투입공(21)을 덮고 있으므로 그 투입공(21)을 통하여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이때 덮개(80)와 케이스(10)에는 댐퍼실린더(82)가 설치되어 덮개(80)는 투입호퍼(20)로 급격하게 닫혀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덮개(80)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충격에 의한 덮개(80)의 손상이나 케이스(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수전부(90)는 케이스(10)에 설치된 것으로서 외부 수도관과 연결된다. 이러한 수전부(90)는 케이스(10)에 지지되는 지지관(91)과, 지지관(91)에서 출몰되는 호스(92)와, 호스(92)에 연결되어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건(93)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필요서 호스(92)와 연결되는 분사건(93)을 이용하여 투입호퍼(20)를 세척하거나, 음식물쓰레기 투입시 손에 묻는 오물을 닦을 수 있다.
자외선조사부(100)는 덮개(80)에 설치되어 덮개(80)가 투입호퍼(20)를 덮을 때 자외선을 투입호퍼의 표면으로 조사한다. 이러한 자외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80)에 형성된 몰입홈에 내장되는 자외선램프(101)와, 자외선램프(10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몰입홈을 덮는 자외선투과창(102)과, 덮개(80)가 투입호퍼(20)를 덮을 때 상기 자외선램프(101)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미도시)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덮개(80)가 개방될 때 자외선조사부(100)는 작동되지 않고 있다가, 덮개(80)가 투입호퍼(20)를 닫을 때 연동되는 스위치에 의하여 자외선조사부(100)가 작동된다. 이러한 자외선조사부(100)에 의하여, 자외선은 투입호퍼(20)의 표면을 살균함과 동시에 투입공(21) 내부까지 침투되어 분쇄부(40)의 커터 표면을 살균하고, 이에 따라 남아있는 음식물쓰레기 찌꺼기가 부패하여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압착물처리지시부(110)는, 수집부(70)에 수집된 압착물(W)이 수용범위를 넘었을 때 그 수집부(70)를 비우라는 경고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압착물처리지시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 내부 소정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수집부(70) 내측으로 조사된 후 압착물(W)에 의하여 반사된 레이저(L)의 시차를 이용하여 압착물(W) 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111)와, 측정된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하가 될 때 수집부(70)를 비우라는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경고신호발생부(112)를 포함한다. 이때 발생되는 경고신호는 경고음을 발생하거나, 분쇄부(40) 및 압착부(5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로 사용된다.
수집부(70)에 수집되는 압착물(W)은 음식물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즉 수분함유율이나 음식물쓰레기 조직에 따라 무게가 다르며, 따라서 압착물(W)이 수집부(70)에 수용할 수 있는 범위를 넘었는지를 알아내기 위하여 수집된 압착물(W)의 무게를 측정하는 방식은 타당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레이저(L)를 이용하여 수집된 압착물(W)과 거리측정정부(111) 사이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무게에 상관없이 수집부(70)에 수용되는 압착물(W)의 수용 점도를 알아낼 수 있다. 따라서 수집부(W)에 수용범위 이상의 압착물(W)이 쌓이게 되면 발생되는 경고신호에 의하여 관리자는 수집부(W)를 비우기 위한 행위, 즉 도어(11)를 개방하야 수집부(W)를 케이스(10)로부터 꺼내어 압착물(W)을 처리한다.
도 5는 도 1의 케이스에 투입호퍼 및 세척부의 다른 실시예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투입호퍼 및 세척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세척부에 의하여 투입호퍼의 반구표면 전체가 세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세척부(30')는 투입호퍼(20')가 이루는 전체 표면을 세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투입호퍼(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부(40)와 연결되는 투입공(21') 측으로 움푹 패어진 반구체 형태를 가지는 반구표면(22')을 포함하고; 세척부(30')는, 반구표면(22')의 상단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된 유로단턱(32')과, 유로단턱(32')을 따라 상부측에 형성된 테두리루프(33')와, 유로단턱(32')과 테두리루프(33') 사이에서 유로단턱(32')을 향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노즐, 본 실시예에서는 6 개의 노즐(31')을 포함한다.
이러한 세척부(30')의 구조에 의하여, 다수의 노즐(31')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단턱(32')과 테두리루프(33') 사이로 원형을 이루면 이동한 후 반구표면(22')에 사선 방향을 이루며 투입공(21')으로 흐르게 된다. 즉 유로단턱(32')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반구표면(22')에 사선방향으로 흐르는 세척수는 반구표면(22') 전체를 세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시간이 지나더라도 음식물쓰레기 찌꺼기가 반구표면(22')의 특정 부분에 묻게 되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식당에 설치할 정도로 콤팩트하게 구현될 수 있고, 분쇄부(40) 및 압착부(50)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많은 양의 음식물쓰레기를 획기적으로 감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세척부(30)에 의하여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호퍼(20)(20')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케이스 11 ... 도어
20 ... 투입호퍼의 일 실시예 21 ... 투입공
22 ... 경사표면 30 ... 세척부의 일 실시에
31 ... 노즐 32 ... 루프
20' ... 투입호퍼의 다른 실시예 21' ... 투입공
22' ... 반구표면 30' ... 세척부의 다른 실시예
31' ... 노즐 32' ... 유로단턱
33' ... 테두리루프 40 ... 분쇄부
41 ... 배출구 50 ... 압착부
51 ... 유입구 52 ... 타공관
52a ... 타공 53 ... 압착스크류
54 ... 토출구 55 ... 제1스프로킷
56 ... 제2스프로킷 57 ... 체인
58 .... 구동모터 60 ... 배수부
61 ... 오수조 62 ... 드레인관
70 ... 수집부 80 ... 덮개
81 ... 덮개날개 90 ... 수전부
91 .... 지지관 92 ... 호스
93 ... 분사건 100 ... 자외선조사부
101 ... 자외선램프 102 ... 자외선투과창
110 ... 압착물처리지시부 111 ... 거리측정부
112 ... 경고신호발생부 120 ... 제어부

Claims (8)

  1. 전방측으로 개폐되는 도어(11)가 형성된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공(21) 및 그 투입공(21) 측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며 편편한 경사표면(22)이 형성된 투입호퍼(20);
    상기 투입호퍼(20)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경사표면(22)을 향하게 배치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31)과, 상기 노즐(31)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31)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외부로 튀지 않도록 하는 루프(32)로 구성된 세척부(30);
    상기 케이스(10)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투입공(21)과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투입공(21)을 통하여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부(40);
    상기 분쇄부(40)에서 분쇄된 음식물쓰레기 분쇄물을 압착하는 압착부(50);
    상기 압착부(50)에서의 압착과정에서 발생된 오수(물기)를 배수하는 배수부(60); 및
    상기 케이스(10)의 상부 일측에 힌지(h1)에 의하여 회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투입공(21)이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투입호퍼(20)를 부분적으로 덮는 덮개(80)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80)는, 그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투입공(21)을 덮는 것으로서, 상기 경사표면(2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덮개날개(81)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80)와 케이스(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80)가 상기 투입호퍼(20)로 급격하게 닫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댐퍼실린더(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50)는,
    상부측에 상기 분쇄부의 배출구(41)와 연결된 유입구(51)가 형성된 것으로서 다수의 타공(52a)이 형성된 타공관(52)과; 상기 타공관(52)에 내장된 압착스크류(53)와; 상기 타공관(52)의 전방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토출구(54)와; 상기 압착스크류(53)의 축과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타공관(52)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그 압착스크류(53)를 회전시키는 제1스프로킷(55)과; 상기 케이스(10)의 소정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스프로킷(55)과 체인(57)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2스프로킷(56)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1)를 개방하였을 때 상기 케이스(10)에 출입 가능하게 내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압착부(50)에서 압착된 압착물을 수집하는 수집부(70)와;
    상기 수집부(70)에 수집된 압착물(W)이 수용범위를 넘었을 때 그 수집부(70)를 비우라는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압착물처리지시부(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투입호퍼(20)를 세척하기 위한 수전부(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70033306A 2017-03-16 2017-03-16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 KR101777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306A KR101777086B1 (ko) 2017-03-16 2017-03-16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306A KR101777086B1 (ko) 2017-03-16 2017-03-16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7086B1 true KR101777086B1 (ko) 2017-09-12

Family

ID=59926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306A KR101777086B1 (ko) 2017-03-16 2017-03-16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0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783B1 (ko) * 2017-11-27 2018-03-08 성진하이쿨(주) 식기 애벌세척장치
KR20200049018A (ko) 2018-10-31 2020-05-08 장대호 생물자원을 활용한 음식물감량기 및 음폐수 관리 융합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9017A (ko) 2018-10-31 2020-05-08 장대호 음식물 감량기 및 음폐수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017Y1 (ko) * 2005-02-01 2005-04-28 박종태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06699B1 (ko) * 2013-11-25 2014-06-17 신봉수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017Y1 (ko) * 2005-02-01 2005-04-28 박종태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06699B1 (ko) * 2013-11-25 2014-06-17 신봉수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783B1 (ko) * 2017-11-27 2018-03-08 성진하이쿨(주) 식기 애벌세척장치
KR20200049018A (ko) 2018-10-31 2020-05-08 장대호 생물자원을 활용한 음식물감량기 및 음폐수 관리 융합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9017A (ko) 2018-10-31 2020-05-08 장대호 음식물 감량기 및 음폐수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086B1 (ko)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
KR101482535B1 (ko) 슬라이딩 도어와 악취제거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CN111250519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垃圾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CN111589840A (zh) 一种碳水物质微波杀菌脱水处理系统
KR10141736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자동세척장치 및 이를 갖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EP1707270A1 (en) Unit for grinding organic material
DE69912582T2 (de) Verfahren und zugehörige anlagen zur behandlung und entsorgung von müll
CN218309952U (zh) 餐厨垃圾处理设备
JP2007239263A (ja) 簡易トイレ装置およびトイレ装置
KR19980018259A (ko) 부엌 쓰레기 처리 장치
KR100323839B1 (ko) 음식물쓰레기감량처리장치
KR101136849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음폐수 및 잔존물 처리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
CN209162962U (zh) 垃圾处理一体机
CN210546971U (zh) 一种厨房垃圾处理装置
KR102302487B1 (ko) 음식물처리기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KR200390944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WO2006013611A1 (en) Bio-grinding machine for the treatment and separate collection of organic refuse
KR101841273B1 (ko)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포장배출이 가능한 분리수거장치
KR101473197B1 (ko) 음식물 처리장치
CN108941160A (zh) 一种带清洗功能的厨房用环保设备
CN215236701U (zh) 小型餐余减量化粉碎脱油一体机
CN220529904U (zh) 表面清洁设备、基站以及清洁系统
CN215508305U (zh) 一种厨房垃圾处理设备
KR101345231B1 (ko) 회수용 음식물처리기
CN214053090U (zh) 一种具有破碎机构的厨余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