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017Y1 -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017Y1
KR200383017Y1 KR20-2005-0003091U KR20050003091U KR200383017Y1 KR 200383017 Y1 KR200383017 Y1 KR 200383017Y1 KR 20050003091 U KR20050003091 U KR 20050003091U KR 200383017 Y1 KR200383017 Y1 KR 2003830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food waste
air
stirring bod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박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태 filed Critical 박종태
Priority to KR20-2005-00030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0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0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0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02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자연분해함과 동시에 그 분해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방이나 거실에 배치하여 사용가능한 가정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일측에 내부 공기의 순환을 위한 배출구 및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바이오칩이 채워지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측면에 양단부가 베어링에 의해 회전자재하게 축설되는 회전축상에 교반날개가 형성되는 교반체와; 상기 챔버의 외부에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작동하여 상기 교반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챔버 내의 공기를 유입받고 악취를 1차로 제거하는 제1음이온발생수단과; 상기 제1음이온발생수단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를 일정온도로 가열하는 히터수단과; 상기 히터수단에 의해 가열된 공기 중의 악취를 2차로 제거하여 상기 유입구로 배출하는 촉매수단과; 상기 챔버가 내부에 안착되고 그 상단 내측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단부에 상부로 개방되는 뚜껑이 힌지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걸림턱에 착탈이 가능하게 걸쳐지며 음식물 쓰레기가 놓여지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음식물 쓰레기가 챔버내부로 투입되는 중에는 개방되고, 투입이 끝나면 원위치되어 챔버와 폐쇄되는 차단판이 힌지결합되는 안내받침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시 뚜껑을 들어올려도 챔버 내부의 악취가 새어나오는 것을 최소화한 효과가 있고, 교반체의 교반날개를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비대칭적으로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와 바이오칩이 골고루 혼합되어 분해 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food trash treatment apparatus for home use }
본 고안은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가정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자연분해함과 동시에 그 분해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방이나 거실에 설치하여 사용가능한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가정이나 일반 식당과 같은 영업소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를 위해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을 톱밥에 배양시킨 바이오칩(Bio chip)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자연 분해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처리장치에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일반적으로 개시되고 있는 바이오칩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생물을 배양시킨 톱밥인 바이오칩(1)이 일정한 높이로 채워진 챔버(3) 내부에 일정 크기의 교반날개(4)가 축상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회전축(5)이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부에 뚜껑(7)이 힌지결합되어 상부로 음식물 쓰레기(2)를 투입 후 가동하면 교반체(6)가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2)가 바이오칩(1)과 혼합되어 분해된다.
그런데, 이와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2)를 투입하기 위해 뚜껑(7)을 들어올리면, 악취가 올라와 사용자에게 매스꺼움이나 구토를 일으키게 하여 특히 가정의 주방 및 거실에 설치하여 사용한 것을 기피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교반체(6)의 교반날개(4)는 일정한 괘적을 그리면서 회전하게 되어 음식물 쓰레기(2)와 바이오칩(1)이 상하로만 이동하여 골고루 혼합되지 못하므로 자연 분해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아울러,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가 어느정도 진행되고 있는지를 뚜껑을 열어보지 않는 경우에는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정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이 배양된 바이오칩과 고르게 혼합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효율을 증대시키고, 분해과정에서 발생되는 매탄가스와 같은 악취가 외부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져 주방이나 거실에 놓고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처리시에 분해 잔여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일측에 내부 공기의 순환을 위한 배출구(30a) 및 유입구(30b)가 형성되고, 내부에 바이오칩(1)이 채워지는 챔버(30)와; 상기 챔버(30)의 측면에 양단부가 베어링에 의해 회전자재하게 축설되는 회전축(22)상에 교반날개(24)가 형성되는 교반체(20)와; 상기 챔버(30)의 외부에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작동하여 상기 교반체(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28)와; 상기 배출구(30a)를 통해 상기 챔버(30) 내의 공기를 유입받고 악취를 1차로 제거하는 제1음이온발생수단(70)과; 상기 제1음이온발생수단(70)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를 일정온도로 가열하는 히터수단(71)과; 상기 히터수단(71)에 의해 가열된 공기 중의 악취를 2차로 제거하여 상기 유입구(30b)로 배출하는 촉매수단(74)과; 상기 챔버(30)가 내부에 안착되고 그 상단 내측에 걸림턱(42)이 형성되며, 상단부에 상부로 개방되는 뚜껑(50)이 힌지결합되는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40)의 걸림턱(42)에 착탈이 가능하게 걸쳐지며 음식물 쓰레기(2)가 놓여지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음식물 쓰레기(2)가 챔버(30)내부로 투입되는 중에는 개방되고, 투입이 끝나면 원위치되어 챔버(30)와 폐쇄되는 차단판(84)이 힌지결합되는 안내받침구(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탈취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안내받침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교반체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회로블럭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는 교반체(20)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미생물이 배합된 톱밥인 바이오칩(1)이 채워지도록 상부가 개방된 라운드형상의 수용부를 갖는 챔버(30)와, 상기 챔버(30)의 외측에 구비되는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40)의 상부에 힌지핀(51)에 의해 결합되는 뚜껑(50)와, 시스템 제어를 위해 하우징(40) 전면에 구비되는 조작판넬(6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챔버(30)는 그 단면이 라운드 형상이고, 그 내부에는 바이오칩(1)이 채워지는데, 그 챔버(30)의 상단부와 하우징(40)에는 걸림턱(42)이 형성되고, 그 걸림턱(42)에는 안내받침구(80)의 가장자리가 안착된다.
또한, 상기 안내받침구(80)는 바닥면의 사방에 측벽이 형성되는데 그중 전면부 측벽(80a)에는 절개된 입구(82)가 형성되고, 그 입구(82)의 외측 상단에는 스프링(84b)이 구비된 힌지핀(84a)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단판(84)이 구비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2)를 분해 처리하기 위해서는 하우징(40) 상부에 구비되는 뚜껑(50)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2)를 안내받침구(80)에 놓고 끌개(90)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전면쪽으로 바닥면(80b)을 긁으면 음식물 쓰레기(2)는 차단판(84)을 밀면서 챔버(30)의 내부로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2)가 투입된 후에는 차단판(84)이 자연스럽게 폐쇄되어 음식물 쓰레기(2)로 부터 발생되는 냄새 및 분해 과정중에 발생되는 메탄가스 등의 악취가 역류하여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끌개(90)는 대략 S자 형상으로 일단부에 끼움돌기(90a)가 형성되어, 상기 안내받침구(80)의 측벽(80a)에 형성되는 끼움공(80c)에 끼워 고정시키거나 분리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챔버(30)에는 교반체(20)가 수평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교반체(20)의 회전축(22)의 양단부는 챔버(30)의 양측면에 브라켓(미도시됨)에 의해 고정되는 베어링(미도시됨)에 회전자재하게 축설된다.
이때, 상기 교반체(20)는 통상적으로 회전축(22)에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교반날개를 규칙적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하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2)가 상하로만 이동하여,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2)가 챔버(30) 내의 일측에만 모이게 되어 분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어, 트위스트 형상이나 "ㄱ"자 형강 등의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교반날개(24)를 대칭/비대칭적으로 배치하여 음식물 쓰레기(2)와 바이오칩(1)의 혼합효율을 극대화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교반체(20)의 회전축(22)의 일단부에는 제1풀리(26a)가 결합되고, 상기 챔버(30)의 하부에는 일정속도 예를 들면 분당 30 내지 60회의 저속으로 회전이 가능한 모터(28)인 감속모터가 설치되고, 그 모터(28)의 구동축(28a)에는 제2풀리(26b)가 결합되어 벨트(27)에 의해 제1풀리(26a)와 결합된다. 따라서, 모터(28)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구동력은 벨트(27)와 풀리(26a,26b)를 통해 회전축(22)에 전달되어 교반체(20)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모터(28)의 회전력을 상기 교반체(20)를 회전시키기 위해 전달하는 방법은 상기방법 이외에도, 체인(미도시됨)이나 베벨기어(미도시됨)를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을 적용함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챔버(30)의 후측면 상부 일측에는 상기 챔버(30)내에서 미생물의 자연 분해시 발생되는 메탄가스와 같은 악취가 섞여 있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30a)가 형성되고, 그 배출구(30a)의 타측에는 상기 배출구(30a)에 의해 배출된 공기중의 악취를 제거하여 상기 챔버(30)의 내부로 피드백(feedback)시켜 주기위한 유입구(30b)가 형성된다.
이와같은 배출구(30a)와 유입구(30b)는 챔버(30)의 하부에 구비되는 촉매수단(74)에 배관(72)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30a)에 인접한 배관상에는 동판(70a)과 알루미늄판(70b)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제1음이온발생수단(70)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공기를 200 내지 300℃의 범위로 가열하는 히터수단(71)과, 백금(Pt)이나 망간(Mn)으로 이루어진 촉매수단(7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촉매수단(74)의 후단에는 외부로 공기를 일부 배출하기 위한 배출팬(73)이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30b)에는 악취를 제거한 상태의 공기를 챔버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유입팬(75)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배출팬(73)의 후측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통기공이 형성된 덕트(37)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챔버(30)내의 바이오칩(1)의 미생물이 음식물 쓰레기(2)를 분해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분과 먼지 및 매탄가스 등과 같은 악취는 상기 제1음이온발생수단(70)에서 1차로 제거 및 탈취되고, 상기 촉매수단(74)을 거치면서 2차로 제거 및 탈취된 상태의 공기는 일부는 상기 배출팬(73)의 작동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고 일부는 상기 유입팬(75)의 작동에 의해 유입구(30b)를 통해 챔버(30)내로 재투입된다.
한편, 상기 챔버(30)의 외주면에는 상기 챔버(30)의 내부에 바이오칩(1)에 존재하는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의 활동성과 개체수를 증대시키기 위해 50 내지 60℃의 온도범위를 유지시켜 주는 가열수단인 전열선(36)이 고정홈에 끼워져 배치되어 챔버(30)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2)를 분해하는 경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의 주변에 미세하게 나마 악취가 새어나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뚜껑의 상부에 외부를 향하도록 제2음이온발생수단(52)을 더 구비하여 주변 공기의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40)의 하부에는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수납용 서랍(76)이 구비되어 가위나 가정용 도구를 넣을 수 있고, 하우징(40)의 하단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후측에는 캐스터(44)가 구비되고, 전면에는 받침대(45)가 구비된다.
아울러, 하우징(40)의 양측면에는 손잡이홈(41)이 형성되어 다른장소로 이동배치시에 요긴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조작판넬(60)은 교반체(20)의 회전시간을 조정할 수 있으며, 조작판넬(60)상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62)를 통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음식물 쓰레기(2)의 분해 잔류시간을 표시해주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62)는 LCD 또는 LED 와 같은 발광수단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40)의 전면 일측에는 일반적인 휴대용 라디오나 미니카세트 등을 악착할 수 있는 안착홈(미도시됨)을 형성하고, 전원공급을 위한 잭을 구비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그 양측면에는 상기 라디오나 미니카세트의 이어폰 잭홈에 끼울수 있는 잭이 구비되는 스피커를 구비함도 바람직하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고로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작동 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의 하우징(40) 상부에 힌지결합되는 뚜껑(50)을 상부로 들어올려 개방한 상태에서 생선, 육류, 어류, 밥, 면류, 계란껍질, 과일껍질, 야채 등의 음식물 쓰레기(2)를 챔버(30)의 상부에 구비되는 안내받침구(80)에 놓고 끌개(90)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2)를 긁어 차단판(82)이 개방된 입구(82)를 통해 챔버(30) 내로 투입시키게 된다. 음식물 쓰레기(2)의 투입이 완료되면 차단판(82)이 자동으로 폐로되어 악취가 상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뚜껑(50)을 닫은 상태에서 하우징(40) 전면에 위치하는 조작판넬(60)을 조작하여 음식물을 분해시키게 된다.
즉, 전원플러그(61)를 통해 교류 220V의 가정용 전원을 공급받으면 이를 일정 전압으로 감압하는 변압부(63)와,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부(64)를 거쳐 조작판넬(60)로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정류부(64)를 거쳐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스위치(65)가 연결되어 투입전원을 차단하거나 투입시키게 된다.
먼저, 전원이 투입되고 있는 상태에서 전원스위치(65)를 온시키면 전원이 조작판넬(60)로 투입되어 내부 제어부(66)가 구동되면서 모터(28)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교반시간을 1 내지 24시간의 범위로 설정스위치(67)를 조작하여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28)가 작동하여 구동축(28a)이 회전하게 되면, 구동축(28a)의 단부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제2풀리(26b)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풀리(26b)의 회전에 따라 벨트(27)로 연결되는 제1풀리(26a)가 상기 제2풀리(26b)와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와 동시에 제1풀리(26a)가 고정되는 회전축(22)이 회전하게 되어 교반체(20)가 회전하며 음식물 쓰레기(2)와 바이오칩(1)이 혼합된다.
이와같은 과정을 거치는 동안 바이오칩(1) 내에 존재하는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이 음식물 쓰레기(2)를 분해하게 되는데, 분해 과정을 통해 수분과 메탄가스 등의 악취가 발생한다. 이때, 챔버(30)의 외부에 구비되는 전열선(36)을 가열하여 50 내지 60℃범위의 온도를 유지시켜 줌으로서 미생물의 활동성과 개체수를 극대화 시켜주게 된다.
이때 발생되는 수분 및 메탄가스 등의 악취나는 공기는 챔버(30)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배출구(30a)를 통해 제1음이온발생수단(70)과 히터수단(71) 및 촉매수단(74)을 차례로 통과하게 되는데,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배관(72a)의 일측에 구비되는 배출팬(73)의 작동에 의해 강제적으로 공기 순환을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음이온발생수단(70)과 히터수단(71) 및 촉매수단(74)을 차례로 거쳐 악취가 제거된 상태의 공기는 배관(72b)을 통해 챔버(30)의 내부로 재투입되어 미생물의 증식 및 활동성을 증대시키게 되고, 뚜껑(5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음이온발생수단(52)에 의해 발생되는 음이온에 의해 주변 공기의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2)의 내용물, 쓰레기량과 처리장치의 용량 등에 차이가 있으나 대략 24시간 이내에 자연분해되고, 주변공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챔버(30)의 내부에 채워지는 바이오칩(1)은 약 6개월 주기로 교체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교반체(20)의 가동 잔여시간을 제어부(66)의 연산에 의해 디스플레이부(6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교반시간을 20시간으로 설정한 경우, 3시간이 경과하였다면 잔여시간인 17시간을 표시하여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65,67,68)의 조작상태도 조작판넬(60)의 디스플레이부(62)에 표시하여 확인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2)를 투입시 뚜껑(50)을 들어올려도 챔버(30) 내부의 악취가 새어나오는 것을 최소화한 효과가 있고, 교반체(20)의 교반날개(24)를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비대칭적으로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2)와 바이오칩(1)이 골고루 혼합되어 분해 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40)의 전면에 조작판넬(60)을 구비하여 조작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로 인한 잔여시간 등을 표시하여 뚜껑(50)을 열어보지 않고도 분해 정도를 확인이 가능하고, 하우징(40)의 하부에는 수납용 서랍(70)을 구비하여 가위나 칼 등의 도구나 공구 등을 넣어놓고 사용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탈취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안내받침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교반체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회로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바이오칩 2; 음식물 쓰레기
20; 교반체 22; 회전축
24; 교반날개 28; 모터
30; 챔버 36; 전열선
40; 하우징 50; 뚜껑
52; 제2음이온발생수단 60; 조작판넬
62; 디스플레이부 65; 전원스위치
70; 제1음이온발생수단 76; 수납용 서랍
80; 안내받침구 84; 차단판

Claims (8)

  1. 상부가 개방되고 일측에 내부 공기의 순환을 위한 배출구(30a) 및 유입구(30b)가 형성되고, 내부에 바이오칩(1)이 채워지는 챔버(30)와; 상기 챔버(30)의 측면에 양단부가 베어링에 의해 회전자재하게 축설되는 회전축(22)상에 교반날개(24)가 형성되는 교반체(20)와; 상기 챔버(30)의 외부에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작동하여 상기 교반체(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28)와; 상기 배출구(30a)를 통해 상기 챔버(30) 내의 공기를 유입받고 악취를 1차로 제거하는 제1음이온발생수단(70)과; 상기 제1음이온발생수단(70)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를 일정온도로 가열하는 히터수단(71)과; 상기 히터수단(71)에 의해 가열된 공기 중의 악취를 2차로 제거하여 상기 유입구(30b)로 배출하는 촉매수단(74)과; 상기 챔버(30)가 내부에 안착되고 그 상단 내측에 걸림턱(42)이 형성되며, 상단부에 상부로 개방되는 뚜껑(50)이 힌지결합되는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40)의 걸림턱(42)에 착탈이 가능하게 걸쳐지며 음식물 쓰레기(2)가 놓여지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음식물 쓰레기(2)가 챔버(30)내부로 투입되는 중에는 개방되고, 투입이 끝나면 원위치되어 챔버(30)와 폐쇄되는 차단판(84)이 힌지결합되는 안내받침구(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체(20)는 회전축(22)상에 서로다른 크기를 가지는 하나이상의 교반날개(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의 전면에는 작동을 위한 전원스위치(65)와 그 전원스위치(65)의 작동에 따른 교반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62)가 구비되는 조작판넬(60);이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30)의 외측에는 상기 챔버(30)내에서 미생물의 증식 및 활동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일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열선(36)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의 하부에는 수납용 서랍(76);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50)의 상부에는 외부공기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제2음이온발생수단(52);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받침구(80)의 측벽(80a)에는 끼움공(80c)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받침구(80)의 상부에 놓여지는 음식물 쓰레기를 챔버(30)내로의 투입을 위한 끌기 위한 끌개(90)를 구비하되 상기 끼움공(80c)에 끼워 고정시키거나 분리가능한 끼움돌기(90a)가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수단(74)을 거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팬(73)과, 유입구(30b)에 구비되어 악취를 제거한 상태의 공기를 상기 챔버(30) 내부로 재투입하기 위한 유입팬(75)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005-0003091U 2005-02-01 2005-02-01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830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091U KR200383017Y1 (ko) 2005-02-01 2005-02-01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091U KR200383017Y1 (ko) 2005-02-01 2005-02-01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017Y1 true KR200383017Y1 (ko) 2005-04-28

Family

ID=43684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091U KR200383017Y1 (ko) 2005-02-01 2005-02-01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01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907B1 (ko) * 2006-11-23 2007-11-15 원제군 음식물 쓰레기용 탈취장치
KR101777086B1 (ko) * 2017-03-16 2017-09-12 성진하이쿨(주)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
CN111229781A (zh) * 2020-01-20 2020-06-05 浙江欧琳生活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无异味家用垃圾处理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907B1 (ko) * 2006-11-23 2007-11-15 원제군 음식물 쓰레기용 탈취장치
KR101777086B1 (ko) * 2017-03-16 2017-09-12 성진하이쿨(주)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
CN111229781A (zh) * 2020-01-20 2020-06-05 浙江欧琳生活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无异味家用垃圾处理器
CN111229781B (zh) * 2020-01-20 2022-01-25 宁波欧琳实业有限公司 一种无异味家用垃圾处理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3017Y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80072973A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5426271U (zh) 一种用于热带水果提取酶制剂过程中的杀菌装置
JP4580780B2 (ja) 生ごみ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JP2001054781A (ja) 生ごみ処理機の撹拌装置
JP2881429B2 (ja) 生ゴミ処理機
JP7240760B2 (ja) 有機物ごみ処理装置
JPH09253617A (ja) 生ごみ処理装置
CN214060359U (zh) 一种带辅助加热装置的厨余垃圾处理机
KR200420419Y1 (ko)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
KR100216207B1 (ko) 투입보관 건조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1219149A (ja) 生ゴミ処理装置
KR10078478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155149Y1 (ko) 분말탈취제 투입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2102827A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装置
JP2005177689A (ja) 回転式処理機の回転ドラム構造
JP2003320352A (ja) 生ごみ処理機及び生ごみ処理機の攪拌制御方法
KR0173174B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발효방법 및 그 처리장치
JP2003126818A (ja) 生塵の分解処理装置
KR200276769Y1 (ko) 잔반처리기
JP2006088142A (ja) 生ごみ処理装置
KR100495135B1 (ko) 잔반처리기
JP2000308870A (ja) 生ゴミ処理装置
JP2003039040A (ja) 厨芥処理装置
KR10095882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