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827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827B1
KR100958827B1 KR20080095793A KR20080095793A KR100958827B1 KR 100958827 B1 KR100958827 B1 KR 100958827B1 KR 20080095793 A KR20080095793 A KR 20080095793A KR 20080095793 A KR20080095793 A KR 20080095793A KR 100958827 B1 KR100958827 B1 KR 100958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stirring
stirrer
tub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95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6530A (ko
Inventor
황인도
Original Assignee
(주)이산씨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산씨앤디 filed Critical (주)이산씨앤디
Priority to KR20080095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827B1/ko
Publication of KR20100036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26B25/007Dust filtering; Exhaust dust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22Controlling the drying process in dependence on liquid content of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에서 먹고 남은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 교반, 분쇄 및 발효시킨 후 퇴비화된 찌꺼기로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투입을 위해 오픈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와 부합되는 바디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있어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키기 위한 미생물 담체가 투입되는 교반통과; 상기 교반통의 온도를 60~80℃를 유지시키기 위한 교반통 온열 열선과; 상기 교반통 내에서 상기 교반통 외부로 연장되어 장착되어 회전구동되는 회전축에 고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및 분쇄하는 포크 형태의 오목부를 구비한 적어도 2개의 교반 날개가 장착되어 정회전, 정지 및 역회전의 싸이클을 반복하며, 6~10 rpm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교반기와; 상기 교반통 내에 고착되며 상기 포크 형태의 오목부를 구비한 적어도 2개의 교반 날개와 맞물려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적어도 2개의 커터부와; 상기 교반통 내에 장착되어, 상기 교반기에서 발생된 음식물 쓰레기 분진을 포집하고, 상기 교반통에서 발생된 수증기, 음식물 쓰레기의 액체 및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배출하는 거름망 필터와; 상기 교반통 외부에 부착되어 상기 교반통에서 발생된 수증기, 음식물 쓰레기의 액체 및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상기 거름망 필터로 부터 히터필터로 유도하기 위한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으로부터 유도된 상기 수증기, 음식물 쓰레기의 액체 및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280℃ 이하를 유지시키기 위한 히터 필터와; 상기 히터 필터를 통해 소정량 제거된 악취를 최종적으로 제거하여 배기하기 위기 위해, 상기 교반기의 동작 싸이클과 일치하여 동작하며, 커버부 온픈 시 자동으로 1분간 최대로 가동되는 배기용 송풍기와; 상기 교반통 외부로 연장된 상기 회전축을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와; 상기 교반통 외부에 장착되어 전반적인 작동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LED 디스플레이 표시부 및; 상기 교반통 외부에 장착되어, 상기 교반기의 동작, 상기 교반통 온열 열선의 동작, 상기 배기용 송풍기의 동작, 상기 히터필터의 온도 및 상기 LED 디스플레이 표시부를 제어하기 위한 PCB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 교반, 분쇄 및 발효시켜 음식물 쓰레기의 액체가 흐르지 않도록 하면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 악취를 제거하는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줄일 수 있으며, 정숙 및 절전효과를 높일 수 있다.
교반기, 히터필터, 배기용 송풍기, 음식물 쓰레기, 미생물 담체, 재활용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에서 먹고 남은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 교반, 분쇄 및 발효시킨 후 친환경 퇴비화된 찌꺼기로 배출하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 또는 음식점 등에서는 매일 일정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며,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그대로 가축사료로 이용되거나 단순한 거름망을 통하여 석여있는 물기만을 걸러낸 후 폐기시키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은 음식물 쓰레기 수거량을 증대시키고 음식물 쓰레기를 자주 버리지 않을 경우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단열재로 제작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본체 상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본체의 내부로 넣기 위한 투입 도어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는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조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장치 등이 설치된다.
상기 처리조 내부에는 교반기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외부에서 투입한 미생물 담체와 음식물 쓰레기를 섞어 주면서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교반기는 처리조 외측에 설치되고 감속기어 및 모터로 구성되는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력을 받아 회전된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상부에 설치된 탈취 필터의 가동에 의해 처리조에서 발생된 악취를 제거한다.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처리조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 교반하면서 수분감량과 발효감량을 수행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악취를 탈취장치에서 처리하여 배출하지만 활성탄과 같은 고체형 탈취제만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완전한 탈취를 기대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교반기의 빠른 회전속도에 의한 진동과 소음의 발생 및 높은 소비전력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 교반, 분쇄 및 발효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액체가 흐르지 않도록 하면서 악취를 없앨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여 처리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줄일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교반기를 3분간 정회전 한 후 30초 정지하고 그후 1분간 역회전의 싸이클을 반복하는데, 그 회전속도를 6~10 rpm으로 함으로써, 정숙 및 절전 효과를 가진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투입을 위해 오픈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와 부합되는 바디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있어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키기 위한 미생물 담체가 투입되는 교반통과; 상기 교반통의 온도를 60~80℃를 유지시키기 위한 교반통 온열 열선과; 상기 교반통 내에서 상기 교반통 외부로 연장되어 장착되어 회전구동되는 회전축에 고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및 분쇄하는 포크 형태의 오목부를 구비한 적어도 2개의 교반 날개가 장착되어 정회전, 정지 및 역회전의 싸이클을 반복하며, 6~10 rpm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교반기와; 상기 교반통 내에 고착되며 상기 포크 형태의 오목부를 구비한 적어도 2개의 교반 날개와 맞물려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적어도 2개의 커터부와; 상기 교반통 내에 장착되어, 상기 교반기에서 발생된 음식물 쓰레기 분진을 포집하고, 상기 교반통에서 발생된 수증기, 음식물 쓰레기의 액체 및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배출하는 거름망 필터와; 상기 교반통 외부에 부착되어 상기 교반통에서 발생된 수증기, 음식물 쓰레기의 액체 및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상기 거름망 필터로 부터 히터필터로 유도하기 위한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으로부터 유도된 상기 수증기, 음식물 쓰레기의 액체 및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280℃ 이하를 유지시키기 위한 히터 필터와; 상기 히터 필터를 통해 소정량 제거된 악취를 최종적으로 제거하여 배기하기 위기 위해, 상기 교반기의 동작 싸이클과 일치하여 동작하며, 커버부 온픈 시 자동으로 1분간 최대로 가동되는 배기용 송풍기와; 상기 교반통 외부로 연장된 상기 회전축을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와; 상기 교반통 외부에 장착되어 전반적인 작동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LED 디스플레이 표시부 및; 상기 교반통 외부에 장착되어, 상기 교반기의 동작, 상기 교반통 온열 열선의 동작, 상기 배기용 송풍기의 동작, 상기 히터필터의 온도 및 상기 LED 디스플레이 표시부를 제어하기 위한 PCB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 교반, 분쇄 및 발효시키면서 음식물 쓰레기의 액체가 흐르지 않도록 하면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 악취를 제거하는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줄일 수 있으며, 정숙 및 절전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클라이언트나 운용자, 사용자의 의 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 같은 참조번호는 같은 구성 요소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의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을 위해 오픈되는 커버부(11) 및 상기 커버부(11)와 부합되는 바디부(12)를 포함하는데, 상기 커버부(11)는,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선택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용량 선택 버튼부(13)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12)는, 상기 커버부(11)를 오픈시키기 위한 커버부 오픈 버튼(14)과;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키기 위한 미생물 담체가 투입되는 교반통(15)과; 상기 교반통(15)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교반통 온열 열선과; 상기 교반통(15) 내에서 상기 교반통(15) 외부로 연장되어 장착되며, 회전구동되는 회전축(16)에 고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및 분쇄하는 포크 형태의 오목부를 구비한 적어도 2개의 교반 날개(17)가 장착된 개략적으로 도시된 교반기(18)와; 상기 교반통(15) 내에 고착되며 상기 포크 형태의 오목부를 구비한 적어도 2개의 교반 날개(17)와 맞물려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적어도 2개의 커터부(19)와; 상기 교반통(15) 내에 장착되어, 상기 교반기(18)의 작동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 분진을 포집하고, 상기 교반통(15)에서 발생된 수증기, 음식물 쓰레기의 액체 및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배출하는 거름망 필터(20)와; 상기 교반통(15) 외부에 부착되어 상기 교반통(15)에서 발생된 수증기, 음식물 쓰레기의 액체 및 음식물 쓰 레기의 발효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상기 거름망 필터(20)로 부터 히터필터(21)로 유도하기 위한 배기관(22)과; 상기 배기관(22)으로부터 유도된 상기 수증기, 음식물 쓰레기의 액체 및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히터 필터(21)와; 상기 히터 필터(21)를 통해 소정량 제거된 악취를 최종적으로 제거하여 배기하기 위한 배기용 송풍기(23)와; 상기 교반통(15) 외부로 연장된 상기 회전축(16)을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기 위한 모터(24)와; 상기 교반통(15) 외부에 장착되어 전반적인 작동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LED 디스플레이 표시부(25) 및; 상기 교반통(15) 외부에 장착되어, 상기 교반기(18)의 동작, 상기 교반통 온열 열선의 동작, 상기 배기용 송풍기(23)의 동작, 상기 히터필터(21)의 온도 및 상기 LED 디스플레이 표시부(25)를 제어하기 위한 PCB 제어부(26)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구동 제어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PCB 제어부(26)는 3분간 정회전한 후 30초 정지하고 그 후 1분간 역회전의 싸이클을 6~10 rpm의 회전속도로 반복하도록 교반기(18)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교반기(18)의 동작 싸이클과 일치하여 동작하며, 커버부(11) 온픈 시 자동으로 1분간 최대로 가동되도록 배기용 송풍기(23)의 동작을 제어하며; 교반통(15)의 내부온도를 60~80℃를 유지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 및 건조시키도록 교반통 온열 열선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교반기(18)의 동작 싸이클과 일치하게 교반기(18)의 회전축을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는 모터(24)의 동작을 제 어하며; 내부온도가 280℃ 이하를 유지하도록 히터필터(21)의 온도를 제어하며; 동작 대기 상태 시 청색 LED를 발광시키며, 동작중 과부하 발생 시 또는 커버부 오픈 시 경고음 및 적색 LED를 발광시키며, 동작 중 현 진행률을 %로 표시하는 등의 기능을 가진 LED 디스플레이 표시부(25)를 제어한다.
여기서, 교반통 온열 열선은 바이메탈 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며, 커버부 오픈 버튼(14)은 마그네틱 판독 스위치에 의해 작동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이하, 도 3에 도시된 제어 흐름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동작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전원코드가 전원 콘센트에 꽂혀 있지 않으면, LED 디스플레이 표시부(25)가 작동하지 않아 LED 디스플레이 표시부(25)에 아무런 표시도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전원코드를 전원 콘센트에 꽂으면, LED 디스플레이 표시부(25)에 청색 LED가 발광되어 동작 대기 상태를 표시한다.
최초 가동시 커버부(11)를 열고 미생물 담체 1봉(500g)을 교반통(15)에 투입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통(15)에 투입한 후 커버부(11)를 닫는다. 분해 불가 물질(예를 들어, 조개껍질류, 종이/천/테이프, 나무젖가락/이쑤시개, 금속/유리, 비닐봉지류, 소뼈/돼지뼈/닭뼈 등)이 제거되어야 하며, 잔유물을 친환경 퇴비로 이용하기 위해 염분이 많은 음식물(절임류, 짠지, 장조림류 등)은 물로 어느정도 용해 후 투입되어야 한다.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양에 따라 소용량 버튼(13-1, 400~500g, 5시간 동작), 중용량(13-2, 일반적인 표준용량; 700g이하, 7시간 동작), 대용량(13-3, 900g이하, 9시간 동작)으로 구성된 음식물 쓰레기 용량 선택 버튼(13) 중 어느 하나를 누른다. 이때, 기존 미처리된 음식물 쓰레기 및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의 잔유물과 신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 대용량을 초과하면, PCB 제어부(26)가 과부하 상태로 판단하여, "삑삑삑" 하는 경고음을 발생(과부하 해제 시까지 30초 간격으로)하고 LED 디스플레이 표시부(25)에 적색 LED가 발광한다. 또한, 커버부(11)가 완전히 닫히지 않았을 시에도, "삑삑삑" 하는 경고음이 10초간 발생(반복되지는 않음)하고, 상기 적색 LED가 발광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동작중 PCB 제어부(26)가 과부하 상태로 판단하여, "삑삑삑" 하는 경고음과 적색 LED가 발광하면, 처리되어야 할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 과다하므로, 일부를 국자 등을 이용하여 들어내야 한다. 또한, "삑삑삑" 하는 경고음과 적색 LED가 발광하면, 커버부(11)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커버부(11)를 완전히 닫아주어야 한다.
음식물 쓰레기의 용량에 맞게 할당된 음식물 쓰레기 용량 선택 버튼(13) 중 어느 하나를 누르면, "삐빅" 소리의 신호음과 함께 조작된 버튼이 점멸된다. 이때, 조작된 버튼을 한번 더 누르면, "삐리릭" 하는 소리의 신호음과 함께 동작이 취소된다(여기서 "취소"라 함은 최초의 상태(초기화상태)를 의미한다).
정상동작 상태에서, 커버부(11)가 닫히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의 작동이 시작되고, 교반통(15) 내에서 상기 교반통(15) 외부로 연장되어 장착되며,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16)에 고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및 분쇄하는 적어도 2개의 교반 날개(17)의 포크 형태의 오목부가 교반통(15) 내에 고착되며 적어도 2개의 교반 날개(17)의 포크 형태의 오목부와 맞물리는 적어도 2개의 커터부(19)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 및 분쇄된다.
거름망 필터(20)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 교반통(15) 내에 장착되어, 교반기(18)에서 발생된 음식물 쓰레기 분진을 포집하고, 상기 교반통(15)에서 발생된 수증기, 음식물 쓰레기의 액체 및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배한다.
배기관(22)은 교반통(15) 하부에 연결되어 교반통(15)에서 발생된 수증기, 음식물 쓰레기의 액체 및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상기 거름망 필터(20)로 부터 히터필터(21)로 유도한다.
배기관(22)으로부터 유도된 상기 수증기, 음식물 쓰레기의 액체 및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내부에 주름지게 겹쳐져 표면적이 넓혀진 다수의 박형 동판이 장착된 히터 필터(21)의 내부온도를 280℃ 이하를 유지시켜, 상기 수증기, 액체 및 악취를 열처리하여 물고임 현상을 방지하고 수증기 및 악취를 제거한다.
히터 필터(21)를 통해 소정량 제거된 악취는 자체 하부에 활성탄이 장착된 배기용 송풍기(23)로 보내지며, 공기 유입구(27)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흡입하는 배기용 송풍기(23)에 의해 상기 흡입된 공기와 함께 하부에 장착된 활성탄을 통과하므로써 최종적으로 제거되어 배출된다.
음식물 쓰레기가 소멸이 완료되면, "삑삑삐" 소리의 신호음과 함께 자동 종료된다.
음식물 쓰레기를 연속적으로 분해하여, 상당량의 잔유물이 교반통(15) 내부에 쌓여 있으면, 국자 등을 이용하여 수거한 후 기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에 버리거나, 약 20일 가량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친환경 퇴비로 사용할 수 있다.
교반통(15)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잔유물을 수거할 때, 남겨진 잔유물이 다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발효보조제 역활을 할 수 있게 일정량(대략 500g)을 남겨두어야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3회 내지 5회 정도 활용한 후 미생물 담체를 교체 혹은 보충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미생물 담체는 리파아제(Lipase), 프로테아제(Protease), 셀룰라아제(Cellulase) 및 아밀라아제(Amylase)의 4가지 분해효소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상기 미생물 담체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2008년 7월 23일 자로 출원한 한국 특허 출원 제 2008-7141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미생물 담체를 사용하였다.
도 4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교반통(15) 내에서 상기 교반통(15) 외부로 연장되어 장착되며, 회전구동되는 회전축(16)에 고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및 분쇄하는 포크 형태의 오목부를 구비한 적어도 2개의 교반 날개(17)가 장착된 교반기(18)와; 상기 교반통(15) 내에 고착되며 상기 포크 형태의 오목부를 구비한 적어도 2개의 교반 날개(17)와 맞물려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적어도 2개의 커터부(19)의 형 태가 도 4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었다.
이러한 오목부를 구비한 적어도 2개의 교반 날개(17)의 회전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 및 분쇄되며, 보다 단단한 음식물 쓰레기는 포크 형태의 오목부와 이와 맞물리는 커터부(19)에 의해 분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 교반, 분쇄 및 발효시키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의 95%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교반기를 3분간 정회전 한 후 30초 정지하고 그후 1분간 역회전의 싸이클을 반복하는데, 그 회전속도를 6~10 rpm으로 함으로써, 정숙 및 절전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이며, 변화예나 변경예 또는 조절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구조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구동 제어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제어 흐름도.
도 4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
*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11: 커버부
12: 바디부 13: 용량 선택 버튼부
14: 커버부 오픈 버튼 15: 교반통
16: 회전축 17: 교반날개
18: 교반기 19: 커터부
20: 거름망 필터 21: 히터필터
22: 배기관 23: 송풍기
24: 모터 25: 디스플레이 표시부
26: PCB 제어부

Claims (11)

  1. 음식물 쓰레기 투입을 위해 오픈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와 부합되는 바디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있어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키기 위한 미생물 담체가 투입되는 교반통과;
    상기 교반통의 온도를 60~80℃를 유지시키기 위한 교반통 온열 열선과;
    상기 교반통 내에서 상기 교반통 외부로 연장되어 장착되어 회전구동되는 회전축에 고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및 분쇄하는 포크 형태의 오목부를 구비한 적어도 2개의 교반 날개가 장착되어 정회전, 정지 및 역회전의 싸이클을 반복하며, 6~10 rpm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교반기와;
    상기 교반통 내에 고착되며 상기 포크 형태의 오목부를 구비한 적어도 2개의 교반 날개와 맞물려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적어도 2개의 커터부와;
    상기 교반통 내에 장착되어, 상기 교반기에서 발생된 음식물 쓰레기 분진을 포집하고, 상기 교반통에서 발생된 수증기, 음식물 쓰레기의 액체 및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배출하는 거름망 필터와;
    상기 교반통 외부에 부착되어 상기 교반통에서 발생된 수증기, 음식물 쓰레기의 액체 및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상기 거름망 필터로 부터 히터필터로 유도하기 위한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으로부터 유도된 상기 수증기, 음식물 쓰레기의 액체 및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280℃ 이하를 유지시키기 위한 히터 필터와;
    상기 히터 필터를 통해 소정량 제거된 악취를 최종적으로 제거하여 배기하기 위기 위해, 상기 교반기의 동작 싸이클과 일치하여 동작하며, 커버부 온픈 시 자동으로 1분간 최대로 가동되는 배기용 송풍기와;
    상기 교반통 외부로 연장된 상기 회전축을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와;
    상기 교반통 외부에 장착되어 전반적인 작동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LED 디스플레이 표시부 및;
    상기 교반통 외부에 장착되어, 상기 교반기의 동작, 상기 교반통 온열 열선의 동작, 상기 배기용 송풍기의 동작, 상기 히터필터의 온도 및 상기 LED 디스플레이 표시부를 제어하기 위한 PCB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20080095793A 2008-09-30 2008-09-30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958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5793A KR100958827B1 (ko) 2008-09-30 2008-09-30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5793A KR100958827B1 (ko) 2008-09-30 2008-09-30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530A KR20100036530A (ko) 2010-04-08
KR100958827B1 true KR100958827B1 (ko) 2010-05-26

Family

ID=42214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95793A KR100958827B1 (ko) 2008-09-30 2008-09-30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8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892A (ko) * 1998-02-13 1999-09-06 김용립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KR100539210B1 (ko) * 2005-04-18 2005-12-27 전덕진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80072973A (ko) * 2007-02-05 2008-08-08 (주)더블유알이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892A (ko) * 1998-02-13 1999-09-06 김용립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KR100539210B1 (ko) * 2005-04-18 2005-12-27 전덕진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80072973A (ko) * 2007-02-05 2008-08-08 (주)더블유알이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530A (ko) 201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42016B2 (ja) 水分含有率の高い有機物をコンポスト化する方法及び装置
KR100841516B1 (ko)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CN210417807U (zh) 一种具有粉碎功能的防臭厨余垃圾桶
KR10095882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N116715546A (zh) 一种用于厨余垃圾的处理系统
KR100510634B1 (ko) 마이크로파음식물쓰레기처리기
KR100862756B1 (ko) 수평분쇄이송탈수식 소형 음식물잔반처리기
JP3281589B2 (ja) 腐敗性有機物の処理装置
JPH07313958A (ja) 生ゴミ発酵処理装置
JP4009012B2 (ja) 多孔性無機質分解媒体材を使用した、ディスポーザー付き生ごみ分解消滅機
KR100216177B1 (ko) 교반속도 감지 및 제어기능을 가진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JPH06312167A (ja) 生ごみ処理機
KR100216182B1 (ko) 분말 탈취제 투입방식의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KR200420419Y1 (ko)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
KR200358423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JP2001276789A (ja) 厨芥処理装置
JP2001300469A (ja) 生ごみ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100198403B1 (ko) 비산 교반형 교반기를 지닌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881429B2 (ja) 生ゴミ処理機
KR100495135B1 (ko) 잔반처리기
JP2003334515A (ja) 生ごみ処理装置
JP2002355643A (ja) 生ごみ処理機
KR200378842Y1 (ko) 잔반 처리장치
KR200276769Y1 (ko) 잔반처리기
JPH09117745A (ja) 有機物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10100747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811

Effective date: 20091223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811

Effective date: 200912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