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4259B1 - 피건조물의 내부 성층화가 방지되는 연속식 스크루건조기 - Google Patents

피건조물의 내부 성층화가 방지되는 연속식 스크루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4259B1
KR100684259B1 KR1020060027712A KR20060027712A KR100684259B1 KR 100684259 B1 KR100684259 B1 KR 100684259B1 KR 1020060027712 A KR1020060027712 A KR 1020060027712A KR 20060027712 A KR20060027712 A KR 20060027712A KR 100684259 B1 KR100684259 B1 KR 100684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drying
air supply
dry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7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은수
Original Assignee
나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은수 filed Critical 나은수
Priority to KR1020060027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3/00Treating manure; Manuring
    • A01C3/06Manure distributors, e.g. dung distribu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축형 스크루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교반·이송용 스크루 사이에서의 재료(피건조물) 성층화와 뭉침이 적극 방지되고 건조기 내부를 열효율이 높은 고온건조열풍공급영역과 열효율이 낮은 저온건조열풍공급영역으로 구분·사용함으로써 열효율이 크게 향상된 연속식 스크루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건조물의 내부 성층화가 방지되는 연속식 스크루건조기는 액체성분이 함유된 피건조물을 교반·이송하면서 건조하는 스크루건조기에 있어서 피건조물이 건조되는 내부공간의 하부영역을 다수의 이송건조부로 구획하는 분리대와 상기 내부공간에 피건조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 및 건조된 피건조물을 내부공간에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각각 설치된 건조처리실 ; 상기 건조처리실의 이송건조부마다 설치된 교반·이송용 스크루 ; 건조처리실로의 열 공급에 의해 피건조물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소한 상기 건조처리실의 하면 외부를 에워싸는 형태로 설치된 건조열풍공급실 ; 및 교반·이송용 스크루에 의한 피건조물의 교반·이송 시 분리대 주위에서의 재료 성층화 및 뭉침이 방지되도록 상기 교반·이송용 스크루와 나란한 방향으로 분리대 주위에 설치된 파쇄수단 ;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조기, 회전, 교반, 통기, 연속식, 직화식, 간접화식, 방폭안전해치, 방폭안전밸브, 교반·이송용 스크루, 열차단판, 파쇄기, 성층화, 폐색방지패드

Description

피건조물의 내부 성층화가 방지되는 연속식 스크루건조기{Ventilative dryer equipped for a pair of rotational agitator and breaker in drying treatment p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스크루건조기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연속식 스크루건조기의 본체부분의 후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연속식 스크루건조기의 본체부분의 전반부를 폭 방향으로 수직 절단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분의 일측을 길이방향으로 수직 절단한 종단면도.
도 5는 일반적인 스크루건조기의 함수율과 건조거리 간의 상관관계 그래프.
[도면 부호의 설명]
10… 건조처리실 12… 이송건조부
14… 배출구 16… 분리대
18… 건조열풍공급구 19… 교반·이송용 스크루
20… 건조열풍공급실 22… 출입문
24… 열차단판 26… 고온건조열풍공급영역
28… 저온건조열풍공급영역 30… 파쇄수단
32… 파쇄봉 40… 지지프레임
50… 액추에이터 60… 폐색방지패드
70… 방폭안전밸브 80… 배기수단
82… 배기팬 84… 배기다기관
90… 방폭안전해치 100… 유압식 구동수단
102… 종동 스프로킷 104… 어큐뮬레이터
106… 유압모터 108… 구동 스프로킷
109… 체인 110… 전동식 구동수단
112… 구동기어 114… 제 1 종동기어
116… 제 2 종동기어
본 발명은 액체성분이 함유된 피건조물을 이송과 동시에 건조처리하는 2축형 스크루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① 건조열이 직화식 또는 간접화식으로 제공될 수 있어 열원(熱源) 선택이 자유롭고 ② 건조과정에서 발생한 증기(함습가스)를 강제 배기함으로써 건조기 내부의 압력증가에 따른 폭발사고가 1차적으로 예방되며 ③ 건조 기 상부 해치와 건조가스공급실의 자중개폐식 구조는 건조기 내부가 일정압력이 되면 자동으로 개폐하여 가스축적에 의한 위험요인을 2차적으로 완벽하게 제거하고 ④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교반·이송용 스크루 사이에서의 피건조물의 성층화를 방지하며 ⑤ 건조기 내부를 고온건조열풍공급영역과 저온건조열풍공급영역으로 구분하여 건조열이 주로 고온건조열풍공급영역에만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2축형 스크루건조기보다 열효율이 크게 향상된 피건조물의 내부 성층화가 방지되는 연속식 스크루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건조공정은 이전(以前) 단계의 탈수공정이 어떤 식으로 운전되느냐에 따라 연속식과 회분식(batch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예컨대, 스크루디켄트나 벨트프레스와 같은 대용량의 탈수장치가 이전 단계의 탈수공정에 사용된 경우 탈수장치에서 연속으로 배출되는 재료가 효율적으로 건조될 수 있도록 후속공정인 건조공정에는 연속식 건조기가 채택된다.
반면, 필터프레스가 사용된 경우에는 탈수재료가 회분식으로 공급되므로 후속공정인 건조공정에도 회분식 건조기채택이 유리하다. 굳이 연속식으로 하려면 저장조의 물질을 연속으로하기 위한 별도의 설비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복잡하고 설치비가 많이 든다. 그 외 두부나 민속주의 제조 시 드럼스크린이나 원심여과기와 같은 소용량의 연속식 탈수장치가 사용되기도 하지만 건조량이 1회 분의 조업량에 미치지 못하여 어느 정도의 양이 될 때까지 재료를 모아 한꺼번에 회분식 건조기로 건조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회분식 건조기는 주로 제약산업이나 식품산업 또는 화공산업 등에서 사용되며, 통기 가능한 상자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한, 건조기는 건조열의 공급 방식에 따라 직화식과 간접화식으로 구별되기도 하는데, 종래에는 건조기 구조에 따라 사용되는 열원도 경유/전기/폐열/LNG 등으로 한정되어 열원 선택이 자유롭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한편, 건조기의 열효율은 건조재료(피건조물)와 건조가스의 접촉면적이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건조과정에서 배출되는 증기(함습가스)가 건조기의 내부온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얼마나 빨리 배출될 수 있는가에 따라 결정되는데, 종래 건조기의 경우 내부에 설치된 교반기의 교반익 길이가 모두 같고 교반기도 한쪽 방향으로만 계속 회전함으로써 건조 재료가 압축되는 현상이 생겼다. 따라서, 건조가스와 건조재료 간 접촉효율이 낮고 열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건조기는 폭발사고 방지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안전장치를 사용하고 있지만, 대체로 그 구조가 복잡하고 오동작하는 경우가 많으며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① 건조기 일측에 설치되는 건조열풍공급실을 직화식 또는 간접화식으로 운전함으로써 어떤 종 류의 열원이라도 사용 가능하고 ② 오작동의 염려가 없는 단순한 구조의 중량조절체와 배기(排氣)수단을 건조기 일측에 장착함으로써 건조기의 내압증가에 따른 폭발사고가 방지 가능하며 ③ 상기 건조열풍공급실의 후단 측에 열차단판을 설치하여 건조열풍공급실의 내부공간을 고온건조열풍공급영역과 저온건조열풍공급영역으로 구분·사용함으로써 종래 구성의 스크루건조기에 비해 열효율이 월등히 우수하고 특히 ④ 교반·이송용 스크루 상방에 쌍으로 설치되는 파쇄수단에 의해 상기 교반·이송용 스크루 사이에서의 재료(피건조물) 성층화가 방지 가능한 연속식 스크루건조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가 해결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피건조물(건조 대상물)의 내부 성층화가 방지되는 연속식 스크루건조기는 액체성분이 함유된 피건조물을 교반·이송하면서 건조하는 스크루건조기에 있어서, 피건조물이 건조되는 내부공간의 하부영역을 다수의 이송건조부로 구획하는 분리대와 상기 내부공간에 피건조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 및 건조된 피건조물을 내부공간에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각각 설치된 건조처리실 ; 건조처리실의 이송건조부마다 설치된 교반·이송용 스크루 ; 건조처리실로의 열(熱) 공급에 의해 피건조물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소한 상기 건조처리실의 하면 외부를 에워싸는 형태로 설치된 건조열풍공급실 ; 및 교반·이송용 스크루에 의한 피건조물의 교반·이송 시 발생하는 분리대 주위에서의 성층화 및 피건조물의 뭉침을 방지하도록 교반·이송용 스크루와 나란한 방향으로 분리대 주위에 설치된 파쇄수단 ;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1).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쇄수단이 중공형의 허브 외면에 다수의 파쇄봉이 설치된 한 쌍의 회전체로 구성되는 것이다(청구항 2).
또한, 바람직하게는 건조열풍공급실 내에 열차단판을 추가로 설치하여, 상기 건조열풍공급실의 내부를 고온건조열풍공급영역과 저온건조열풍공급영역으로 구획하여 사용하는 것이다(청구항 6). 이때, 더욱 바람직하게는 연속식 스크루건조기의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건조열풍공급구와 폐색방지패드의 밀도(설치개수)가 줄어들게 하는 것이다(청구항 7).
또한, 바람직하게는 건조처리실의 하부에 지지프레임을 추가로 설치하고, 이 지지프레임과 건조처리실의 배출구 사이를 액추에이터로 연결시켜 놓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건조열풍공급실의 일 측면이나 하면 일측에 소제구 또는 출입문을 설치하여 이를 통한 건조열풍공급실의 내부청소가 가능하게 하고, 건조처리실의 외면 일부에 형성한 건조열풍공급구마다 폐색방지패드를 설치하여 건조열풍공급구가 피건조물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청구항 4 및 8).
또한, 바람직하게는 단순한 중량조절체 형태의 방폭안전밸브를 건조열풍공급실 일측에 추가로 설치하고 건조실 상부에 자중개폐식 해치를 설치하여 폭발사고 방지에 효과적이면서 오작동에 대한 염려가 전혀 없도록 하는 것이다(청구항 9). 이때, 더욱 바람직하게는 건조처리실의 상단에 함습가스 흡입배출용 배기수단을 설치한다든지 건조처리실의 투입구에 방폭안전해치를 추가로 설치하여 건조과정에서 발생한 함습가스로 인해 건조기가 폭발하는 것을 사전에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것이다(청구항 9).
또한, 바람직하게는 건조기 일측에 설치되는 건조열풍공급실을 직화식 또는 간접화식으로 운전함으로써 어떤 종류의 열원이라도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청구항 3 및 5). 여기서, 직화식 은 건조처리실의 외면 일부가 화염에 의해 직접 가열되는 운전방식을 의미하고, 간접화식 은 통상 구조의 열풍발생기에서 발생한 고온건조열풍이 건조처리실 내부로 공급되는 운전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열풍발생기는 일체형이거나, 열발생장치와 송풍장치가 분리된 분리형일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건조물의 내부 성층화가 방지되는 연속식 스크루건조기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실시예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스크루건조기의 개략적인 외관 형상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스크루건조기의 본체부분의 후면도이며,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본체부분의 전반부를 폭 방향으로 절단하거나 일측을 길이방향으로 수직 절단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일반적인 스크루건조기의 함수율과 건조거리 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에서 보듯이, 본 실시예에 의한 피건조물의 내부 성층화가 방지되는 연속식 스크루건조기는 피건조물의 투입/이송/교반/건조/배출이 이루어지는 본체부분과 이를 떠받치는 지지프레임(40)과 본체부분에 내장·설치된 파쇄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전동(電動)식 구동수단 및 교반·이송용 스크루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식 구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유압식 구동수단(100)으로 도 2의 후면도에 표시된 것처럼 교반·이송용 스크루(19)의 일측 말단에 장착된 종동 스프로킷(102)과, 어큐뮬레이터(104)에 의해 일정 유압으로 회전구동되는 유압모터(106)와, 상기 유압모터(106)의 회전축 일단에 장착된 구동 스프로킷(108) 및 이들 종동 스프로킷(102)과 구동 스프로킷(108)에 둘러 감긴 체인(109)으로 이루어진 것이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해 비교적 작은 용량의 유압펌프로도 큰 회전력을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대해, 전동식 구동수단(110)으로는 전동모터(미도시)와, 전동모터의 회전축 선단에 장착된 구동기어(112)와, 구동기어에 맞물린 제 1 종동기어(114)와, 제1 종동기어(114)에 맞물린 제 2 종동기어(116)로 구성된 것이 사용되었다.
여기서, 상기 전동모터는 유압모터로 대체 가능하며, 지지프레임(40)의 경우 본체부분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하되 통상 구조의 열풍발생기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도 얹어 놓을 수 있게 테이블이나 그 밖의 다른 형태로 제작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교반·이송용 스크루(19)에 한 개 또는 두 개의 종동 스프로킷을 설치한 뒤 대다수의 종동 스프로킷 사이를 체인으로 연결하고 그 중 어느 한 교반·이송용 스크루에 설치된 종동 스프로킷만 구동 스프로킷과 체인으로 연결하여 한 대의 유압모터로 모든 교반·이송용 스크루를 구동시킬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교반·이송용 스크루는 비틀림 응력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도록 기본적으로는 중공형 강관 형태로 제작되며, 피건조물의 부식성 정도에 따라 SUS계 강관 또는 일반 강관이 사용될 수 있다.
첨부된 도 3 및 4는 상술한 본체부분의 내부 구성을 더욱 상세히 나타낸 것으로서 예를 들면 피건조물의 이송시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처리실(10)과, 건조처리실의 내측 하부영역에 설치된 한 쌍의 교반·이송용 스크루(19)와, 건조처리실(10) 하면 일부를 에워싸는 형태로 설치된 건조열풍공급실(20) 및 교반·이송용 스크루 위쪽으로 다소간 거리를 두고 설치된 한 쌍의 파쇄수단(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상기 건조처리실(10)은 하면이나 하단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가 지 면(地面)으로부터 상당 높이에 위치되도록 지지프레임(40)에 견고하게 얹혀져 있으며, 방폭안전해치(90)에 의해 개폐되는 투입구가 상면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폭안전해치는 투입구 역할뿐 아니라 스크루건조기의 정비시 맨홀 역할도 수행하는데, 방폭안전해치가 여닫히는 힌지 부위에는 리밋스위치가 설치되고, 방폭안전해치의 상면에는 건물 벽의 윈치(winch)로부터 풀려져 나온 케이블 끝부분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건조처리실(10)의 내압이 상승하여 방폭안전해치가 갑작스럽게 열릴 때 리밋스위치가 이를 검출하게 되고, 리밋스위치에 연계된 윈치가 구동되어 케이블이 약간 감기면서 일정시간 동안 방폭안전해치의 개방상태가 유지되어 내부압력이 떨어진 다음 케이블이 서서히 풀려 방폭안전해치가 자중으로 닫히게 된다. 그 결과, 폭발에 따른 장치 파손이 방지된다.
건조처리실(10)의 하면 중앙에는 양 측면이 원호면으로 된 분리대(16)가 돌출되어 있고, 이 분리대와 상기 건조처리실의 양 측벽 사이에 형성된 채널 타입의 이송건조부(12) 내에는 각각 교반·이송용 스크루(19)가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건조처리실의 구성소재로는 예컨대 피건조물이 부식성 재료인 경우 내식성이 우수한 SUS계 강판이 사용되며, 그 외 염료/안료/석탄/모래와 같이 부식성이 거의 무시될 수 있는 재료인 경우에는 일반 강판이 사용된다.
또한, 피건조물의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함습가스가 배출 가능하도록 건조처리실의 상부 측에 배기수단(80)이 설치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건조처리실의 상 면이나 상단 일측에 배기팬(82)의 강제 흡입작용에 의해 함습가스를 흡입·배출하는 배기다기관(84)이 연통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배기수단 주위에 연도(flue) 등을 접속시키는 것에 의해, 건조처리실에서 뽑아 올린 함습가스를 후속처리장치까지 쉽게 내보낼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건조열풍공급구(18)가 뚫려 있는 이송건조부의 외면에 건조열풍공급실(30)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건조열풍공급구마다 건조처리실의 내면 쪽에 약 3㎜ 정도의 간격을 두고 폐색방지패드(60)의 모서리부분이 스폿용접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폐색방지패드로는 예를 들면 금속을 이용하여 각진 "[" 형태로 만든 것이나 완만한 곡면 형태로 만든 것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건조열풍공급구로 주입된 열풍이 이송건조부의 벽면과 폐색방지패드 사이의 틈새를 통해 건조처리실 안으로 공급·분출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폐색방지패드의 구멍보호작용에 의해 건조열풍공급구가 피건조물로 막혀버리는 문제가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건조처리실의 내측 하부영역을 2개의 이송건조부(12) 공간으로 구획하는 분리대(16)에 인접하여, 피건조물의 교반·이송시 분리대 쪽으로 몰린 피건조물이 덩어리지는 성층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파쇄봉을 가진 파쇄수단(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파쇄봉(32)은 예를 들면 중앙 허브(중심축)의 길이방향으로는 파쇄봉 사이에 거리를 두면서 원주방향으로는 대략 120°각도를 두고 설치하되 날카로운 모서리부분이 분리대 쪽을 향해 있는 상태로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때, 파쇄수단과 교반·이송용 스크루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되 파쇄수단이 더 빠른 속도로 회전되도록 하여 성층화가 진행되는 분리대 주위의 피건조물이 더욱 쉽게 전단파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연속식 스크루건조기는 본체부분의 후단 측 하면이나 하부 일측에 배출구(1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배출구는 배출구커버로 덮여져 있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된 유압식 액추에이터(50)에 의해 상기 배출구커버가 개폐된다. 이러한 구성은 예컨대 본 발명자의 선 특허출원 제10-2005-69236호에 개시된 배출구 구조와 거의 같은 것이다.
건조처리실의 하부영역 바깥쪽에 설치되는 건조열풍공급실(20)은 좌·우측 이송건조부 사이의 오목하게 들어간 공간을 폐쇄하는 형태로 설치된다든지 상기 건조처리실의 하부 양측을 에워싸는 형태로 예컨대 도 3에 점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건조열풍공급실은 그 크기에 따라 예를 들면 사람이 출입 가능한 출입문(22)을 건조열풍공급실의 일 측면에 둔다든지, 힌지 결합된 덮개로 개폐하는 작은 소제구를 하면 쪽에 둔다든지 하여 필요에 따라 건조열풍공급실의 내부 청소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건조열풍공급실 내에는 열차단판(24)을 추가로 설치하여 건조효율이 높은 고온건조열풍공급영역(26)과 건조효율이 낮은 저온건조열풍공급영역(28)으로 구분하였는데, 상기 열차단판(24)은 예를 들면 도 5의 상관관계 그래프에 나타나 있는 Ⅱ영역(항률건조구간)과 Ⅲ영역(감률건조구간)의 경계부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고온건조열풍공급영역과 저온건조열풍공급영역이 일부 소통되도록 열차단판의 둘레 일부가 건조열풍공급실의 벽면에서 떨어져 있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건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폭발사고의 방지를 위해 건조열풍공급실의 후단에는 방폭안전밸브(7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방폭안전밸브의 구성은 예컨대 본 발명자의 선 특허출원 제10-2005-69236호에 개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건조처리실의 상단을 향해 비스듬히 경사진 관 부분 및 이 관 부분의 입구 측에 힌지 고정된 중량조절체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황동재질의 마개형태로 만들어 관 부분의 입구 쪽에 힌지 고정한 중량조절체에 일단이 고정되고 건조처리실 외면에 타단이 힌지 고정된 볼트-너트 기구를 이용하게 되면 중량조절체의 개폐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직화식으로 운전되는 경우 불완전연소로 인한 역화(back fire) 발생시 건조열풍공급실의 내압이 상승하더라도 자동으로 압력배출이 이루어져 안전성 확보가 용이하고, 스프링 등의 작동부가 없으므로 오작동의 우려가 전혀 없다. 반면, 본 실시예의 건조열풍공급실을 간접화식으로 운전하고자 할 경우에는 건조열풍공급실로 에워싸인 건조처리실의 표면에 다수의 건조열풍공급구(18)를 형성하고, 건조열풍공급구마다 폐색방지패드를 설치하며, 통상의 열풍발생기에서 발생한 뜨거운 열풍이 건조열풍공급구를 통해 쉽게 주입될 수 있도록 상기 건조열풍공급구 인근에 다수의 열풍공급용 노즐(미도시)을 배치한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외에도 유압모터 일측에 속도감지센서를 설치하여 교반·이송용 스크루가 정속운전이 되도록 한다든지, 투입구와 배출구가 항상 개방된 상태에 있도록 커버 요소와 액추에이터 및 방폭안전해치를 생략한다든지, 본체부분 아래에 컨베이어시스템을 설치하여 배출구에서 배출된 피건조물이 컨베이어를 따라 후속공정으로 자동운반이 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피건조물의 투입위치에서 배출위치 쪽으로 갈수록 건조열풍공급구의 개수가 줄게 한다든지 구멍의 직경이 작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건조열풍공급실에 버너를 접속시켜 화염이 건조처리실의 벽면에 직접 맞닿게 하여 건조처리를 한다든지, 고온의 연소가스나 열풍을 건조처리실 내에 공급하여 건조처리를 한다든지, 라디에이터 등에서 열교환 한 건조공기로 피건조물을 건조처리하는 방식 모두가 이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직화식 또는 간접화식으로 운전되는 건조열풍공급실에 거의 모든 종류의 열원을 접속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선택폭이 넓다는 장점이 있고 이는 경제적 이점으로 작용한다.
또한, 분리대 주위에 설치한 파쇄수단에 의해 피건조물의 성층화 현상이 방지되므로 교반·이송용 스크루에 의한 피건조물의 이송·교반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파쇄수단의 전단작용에 의해 잘게 부서진 피건조물 사이로 건조열이 쉽게 전달되어 열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일 예로 상기 구성의 연속식 스크루건조기에 의하면 피건조물의 최종함수율을 1% 이하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건조처리실의 상·하단에 설치되는 배출구 및 투입구를 장방형의 구멍 형태 그대로 사용하거나 방폭안전해치에 의해 개폐되는 형태로 사용함으로써, 건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폭발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건조열풍공급실의 일 측면이나 하면 일측에 출입문이나 소제구가 형성되어 있어 건조열풍공급실 내면을 빗자루 등으로 청소할 수 있고 이에 의한 전열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건조열풍공급실 내에 설치된 열차단판의 대류억제작용에 의해 고온건조열풍공급영역 내에서만 주로 열풍이 머물게 되므로 열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연속 탈수공정이 행해지는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스크루건조기를 사용할 경우 설비비와 운영비 등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Claims (9)

  1. 액체성분이 함유된 피건조물을 교반·이송하면서 건조하는 스크루건조기에 있어서,
    피건조물이 건조되는 내부공간의 하부영역을 다수의 이송건조부로 구획하는 분리대와 상기 내부공간에 피건조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 및 건조된 피건조물을 내부공간에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각각 설치된 건조처리실 ;
    상기 건조처리실의 이송건조부마다 설치된 교반·이송용 스크루 ;
    상기 건조처리실로의 열(熱) 공급에 의해 피건조물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게 최소한 상기 건조처리실의 하면 외부를 에워싸는 형태로 설치된 건조열풍공급실 ;
    상기 교반·이송용 스크루에 의한 피건조물의 교반·이송 시 발생하는 분리대 주위에서의 성층화 및 피건조물의 뭉침을 방지하도록 상기 교반·이송용 스크루와 나란한 방향으로 분리대 주위에 설치된 파쇄수단 ; 을 포함하는 피건조물의 내부 성층화가 방지되는 연속식 스크루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수단은
    중공형의 허브 외면에 다수의 파쇄봉이 설치된 한 쌍의 회전체로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피건조물의 내부 성층화가 방지되는 연속식 스크루건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열풍공급실은
    고온건조열풍을 발생하는 통상 구조의 열풍발생기가 일측에 접속되어 간접화식으로 운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건조물의 내부 성층화가 방지되는 연속식 스크루건조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열풍공급실과 건조처리실 사이에 다수의 건조열풍공급구가 형성되고,
    상기 건조열풍공급구의 건조처리실측 내면에는 피건조물에 의한 구멍 막힘을 방지하는 폐색방지패드가 설치되어,
    상기 건조열풍공급실의 일측에 접속된 통상 구조의 열풍발생기에서 발생한 고온건조열풍이 건조열풍공급구를 통해 건조처리실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건조물의 내부 성층화가 방지되는 연속식 스크루건조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열풍공급실은
    상기 건조열풍공급실에 의해 에워싸인 건조처리실의 외면 일부가 직화나 전열에 의해 직접 가열되는 직화식 또는 건조열풍에 의해 간접 가열되는 간접화식으로 운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건조물의 내부 성층화가 방지되는 연속식 스크루건조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열풍공급실 내에 열차단판이 추가로 설치되어,
    상기 건조열풍공급실의 내부가 고온건조열풍공급영역과 저온건조열풍공급영역으로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건조물의 내부 성층화가 방지되는 연속식 스크루건조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식 스크루건조기의 후방으로 갈수록 건조열풍공급구와 폐색방지패드의 밀도(설치개수)가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건조물의 내부 성층화가 방지되는 연속식 스크루건조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열풍공급실의 일측 또는 하면에
    건조열풍공급실의 내부 청소를 위한 출입문 또는 소제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건조물의 내부 성층화가 방지되는 연속식 스크루건조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열풍공급실의 일측에 방폭안전밸브가 추가로 설치되고,
    상기 건조처리실의 상단에 배기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건조처리실의 투입구에는 방폭안전해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건조물의 내부 성층화가 방지되는 연속식 스크루건조기.
KR1020060027712A 2006-03-28 2006-03-28 피건조물의 내부 성층화가 방지되는 연속식 스크루건조기 KR100684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712A KR100684259B1 (ko) 2006-03-28 2006-03-28 피건조물의 내부 성층화가 방지되는 연속식 스크루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712A KR100684259B1 (ko) 2006-03-28 2006-03-28 피건조물의 내부 성층화가 방지되는 연속식 스크루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4259B1 true KR100684259B1 (ko) 2007-02-16

Family

ID=38103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7712A KR100684259B1 (ko) 2006-03-28 2006-03-28 피건조물의 내부 성층화가 방지되는 연속식 스크루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425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3908A1 (ko) * 2013-12-03 2015-06-11 주식회사 제이에스엠 건조장치
KR20160144536A (ko) 2015-06-08 2016-12-19 최현수 건조장치
KR101826014B1 (ko) * 2017-02-03 2018-03-22 (주)대운테크 차압교반식 열풍 건조장치
CN111557156A (zh) * 2020-06-25 2020-08-21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牵引式双排螺旋有机肥料撒肥机
KR102557591B1 (ko) * 2023-01-25 2023-07-21 씨엔이노베이션(주) 반도체 웨이퍼 절삭용 폐슬러리 재생시 발생되는 폐슬러지에서 유효입자 선별회수를 위한 폐슬러지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728A (ko) * 1995-05-12 1999-02-25 타실로다우너 방전 램프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040001815A (ko) * 2002-06-28 2004-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일체형 흡입머플러
KR20060085397A (ko) * 2005-01-24 2006-07-27 임경수 쓰레기 건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728A (ko) * 1995-05-12 1999-02-25 타실로다우너 방전 램프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040001815A (ko) * 2002-06-28 2004-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일체형 흡입머플러
KR20060085397A (ko) * 2005-01-24 2006-07-27 임경수 쓰레기 건조 처리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60085397
2004018150000
2019990014728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3908A1 (ko) * 2013-12-03 2015-06-11 주식회사 제이에스엠 건조장치
KR20160144536A (ko) 2015-06-08 2016-12-19 최현수 건조장치
KR101826014B1 (ko) * 2017-02-03 2018-03-22 (주)대운테크 차압교반식 열풍 건조장치
CN111557156A (zh) * 2020-06-25 2020-08-21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牵引式双排螺旋有机肥料撒肥机
KR102557591B1 (ko) * 2023-01-25 2023-07-21 씨엔이노베이션(주) 반도체 웨이퍼 절삭용 폐슬러리 재생시 발생되는 폐슬러지에서 유효입자 선별회수를 위한 폐슬러지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259B1 (ko) 피건조물의 내부 성층화가 방지되는 연속식 스크루건조기
KR101780983B1 (ko) 건조장치
US20160076812A1 (en) Dryer for fuel material
KR20090001350A (ko) 파쇄·교반·이송 기능을 가진 스크루, 이 스크루가 장착된스크루건조기 및 다단 스크루건조기 시스템
CN102252503A (zh) 一种黏湿物料干燥方法及干燥设备
KR101521847B1 (ko) 분쇄부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04529631U (zh) 直接进风式污泥干化装置
KR200196148Y1 (ko)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KR0120836B1 (ko) 유동상 스크류 복합형 건조기
KR100873697B1 (ko) 내부 반송채널을 구비한 회전형 건조장치
KR100597441B1 (ko)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
WO2005015083A2 (en) System for incinerating waste
CN106196096A (zh) 一种蔗渣锅炉烘干喷燃系统
WO2016090445A1 (pt) Desagregador e secador simultâneo de sólidos
KR100498703B1 (ko)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 감용기
US6409106B1 (en) Drum intended for a machine for processing waste and a corresponding machine
RU187934U1 (ru) Сушильная камера для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KR100623188B1 (ko) 회전교반통기형 건조기
KR10206010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12878143A (zh) 一种沥青再生设备
CN104194857A (zh) 生物质原料处理方法及其系统
CN115790095B (zh) 一种节能型燃煤烘干处理设备
CN220981739U (zh) 一种焦化煤气脱硫脱氰废液连续烘干设备
CN218722663U (zh) 一种金属粉末的快速干燥装置
KR102632238B1 (ko) 하수슬러지 냄새저감 열처리 전기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