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417B1 - 스티로폼 파쇄장치 - Google Patents

스티로폼 파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417B1
KR102385417B1 KR1020210107103A KR20210107103A KR102385417B1 KR 102385417 B1 KR102385417 B1 KR 102385417B1 KR 1020210107103 A KR1020210107103 A KR 1020210107103A KR 20210107103 A KR20210107103 A KR 20210107103A KR 102385417 B1 KR102385417 B1 KR 102385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ofoam
crushing
inlet
primary crushing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배석
Original Assignee
경기도 성남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도 성남시 filed Critical 경기도 성남시
Priority to KR1020210107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4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02C18/08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plastics, e.g. cinematographic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02C18/2241Feed means of conveyor bel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1/00Combinations of several similar cut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2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 B26D5/04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by fluid pressure

Abstract

본 발명의 스티로폼 파쇄장치는, 벨트 컨베이어; 벨트 컨베이어의 이송방향 단부에 설치되고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스티로폼이 투입되는 스티로폼 투입구가 구비되고, 하부에 파쇄된 스티로폼이 배출되는 스티로폼 배출구가 구비되며 함체로 된 본체; 본체의 내측 상부인 스티로폼 투입구 부위에 스티로폼 투입구로의 스티로폼 투입방향과 수직되도록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2 회전축과, 제 2 회전축에 축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이루어 복수개로 고정구비되고, 제 2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스티로폼 투입구로 투입된 스티로폼을 1차 파쇄되도록 하는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와, 스티로폼 투입구의 본체 내측에 고정구비되고, 각각의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 사이에 하나씩 개재되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의 회전시 스티로폼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스티로폼이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와 함께 투입된 스티로폼이 맞물려 파쇄되도록 하며, 동시에 스티로폼 파쇄시 스티로폼에 부착된 접착성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스티로폼 1차 파쇄부(130); 스티로폼 1차 파쇄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스티로폼 1차 파쇄부에 의해 1차 파쇄된 스티로폼을 더 잘게 파쇄시키는 스티로폼 2차 파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티로폼 파쇄장치{Styrofoam Crusher}
본 발명은 폐기된 스티로폼을 재활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잘게 파쇄되도록 하는 스티로폼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로폼은 폴리스티렌을 발포(發泡)시킨 발포폴리스티렌(polystyrene foam)으로 희고 가벼우며, 내수성(耐水性), 단열성, 방음성, 완충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포장재, 건축재, 부력재(浮力材) 및 절연재 등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희고 가벼울 뿐 아니라 단열성 및 완충성 등이 뛰어나 포장재나 건축재, 그리고 절연재 등으로 여러 다양한 산업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티로폼은 오랜 시간이 경과하여도 부패하지 않고 폐기를 위해 소각할 때는 유독한 가스가 발생된다는 점에서 폐기 과정에서 자연환경을 오염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지자체는 물론 범정부적으로 스티로폼에 대한 재활용 방안이 적극 권장되고 있다.
한편 스티로폼은 부피가 큰 반면 밀도가 낮은 특성이 있어 수거된 폐 스티로폼을 운반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때문에 대개의 경우 폐스티로폼을 수거한 다음에는 이를 파쇄기로 일정 크기 이하로 분쇄하여 그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재활용 공장으로 운반하고 있다.
하지만 수거된 폐스티로폼들에는 포장용 접착테이프나 레벨 등과 같은 이물질이 많이 붙어 있는데, 현재 제안되고 있는 대부분의 기술들은 수거된 폐 스티로폼들을 일정 크기 이하의 폐 스티로폼으로 파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관련 업계에서는 파쇄기에 의한 파쇄 단계 이전에 많은 인력을 투입하여 일일이 수작업으로 수거된 폐스티로폼으로부터 포장용 접착테이프이나 레벨 등과 같은 이물질을 미리 제거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수거된 폐스티로폼으로부터 포장용 접착테이프이나 레벨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935590호(발명의 명칭: 스티로폼 파쇄장치)가 개시된 바 있으며, 이를 도 1과 도 2에 도시하였다.
상기 스티로폼 파쇄장치는, 양 측면에는 스티로폼이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판(11) 설치되어 수거된 스티로폼을 파쇄기로 이송시키는 벨트 컨베이어(10); 상기 벨트 컨베이어(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전방과 후방이 관통된 케이스(15); 상기 케이스(15)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티로폼에 부착된 제거대상물을 제거하면서 상기 스티로폼을 파쇄기로 이송시키는 스티로폼 투입부재(20); 상기 스티로폼 투입부재(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스티로폼투입부재(20)에 의해 이송된 상기 스티로폼을 소정의 크기로 파쇄시키는 한 쌍의 스티로폼 파쇄부재(30); 상기 스티로폼 파쇄부재(30)에 의해 파쇄된 상기 스티로폼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상기 케이스(15)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1 덕트(41)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덕트(41)의 선단에는 설치되는 제2 덕트(4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덕트(42)의 선단에 설치되는 제3 덕트(43)가 구비되고, 상기 제3덕트(43)의 일측에 설치되어 스티로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망(44)이 구비되며, 상기 제3 덕트(43)의 다른 일측에는 제3 덕트(43)의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는 이물질 점검창(45)이 구비된 이물질 제거부재(40); 상기 이물질 제거부재(40)의 제3 덕트(43) 선단에 설치되는 이송파이프(51); 상기 스티로폼 파쇄부재(30)에 의해 파쇄된 상기 스티로폼이 이송되도록 이송파이프(51)에 설치되는 흡입이송팬(50); 상기 이송파이프(51)를 따라 이송된 상기 스티로폼이 저장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부(61)가 구비되며, 상기 측면부(61)의 하부에는 하부 중앙으로 경사진 경사판(63)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부(61)와 경사판(63)의 일측에는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도록 점검창(62)이 구비된 스티로폼 저장탱크(60); 상기 스티로폼 저장탱크(60)에 투입된 상기 스티로폼이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상기 스티로폼 저장탱크(60)에 설치되는 뭉침방지부재(70); 상기 저장탱크(60)의 하부에 설치되어 스티로폼을 용융시켜 배출하는 감응기(8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티로폼 투입부재(20)는,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스프로킷(21); 상기 스프로킷(21)의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회전축(22); 상기 벨트 컨베이어(10)에서 공급된 상기 스티로폼에 부착된 제거대상물이 제거되도록 상기 회전축(22)에 선단의 폭이 좁게 형성되고, 타측 선단은 제거대상물과의 부착면이 확대되도록 폭이 넓게 형성되도록 고정되는 스티로폼 투입칼날(23);을 포함한다.
스티로폼 파쇄장치는 벨트 컨베이어(10)에 수거된 폐스트로폼을 투입하며, 상기 벨트컨베이어(10)는 스티로폼을 케이스(15) 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상기 케이스(15) 내부에 설치된 스티로폼 투입부재(20)는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고, 스티로폼 투입부재(20)는 벨트 컨베이어(10)를 따라 이송된 스티로폼을 케이스(15) 내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스티로폼 투입부재(20)는 회전축(2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스티로폼 투입칼날(23)과 접촉하게 되며, 스티로폼에 부착된 접착 테이프 등의 제거대상물을 제거하게 된다. 즉, 스티로폼에 부착된 접착 테이프 등은 스티로폼 투입칼날(23)에 접촉됨에 따라 스티로폼 투입칼날(23)에 부착되며, 상기 스티로폼 투입칼날(23)에 부착된 접착 테이프, 라벨 등은 회전축(22) 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접착 테이프, 라벨 등이 제거되게 된다.
하지만, 접착 테이프, 라벨 등은 스티로폼 투입칼날(23)에 부착된 상태로 그대로 남게 되며, 이를 주기적으로 제거하여 주어야만 한다. 이러한 스티로폼 투입칼날(23)로부터 접착테이프 제거작업은 수작업으로 제거해주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티로폼 투입칼날(23)은 케이스(15) 내부에 구비되므로, 케이스(15)를 분해하거나 열어야만 작업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티로폼 투입칼날(23)과 엇갈리도록 구비되는 접착성 이물질 제거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접착 테이프, 라벨 등의 접착성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여 접착성 이물질이 스티로폼 투입칼날(23)에 부착되는 것을 줄임으로써 스티로폼 투입칼날(23)로부터 접착성 이물질의 제거 주기를 길게 하도록 하는 스티로폼 파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착성 이물질 제거외에 스티로폼 1차 파쇄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티로폼 파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착성 이물질 제거 블레이드로부터 접착성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도록 하는 스티로폼 파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티로폼 파쇄장치는, 수거된 스티로폼을 이송시키는 벨트 컨베이어(110); 상기 벨트 컨베이어(10)의 이송방향 단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벨트 컨베이어(110)에 의해 이송된 스티로폼이 투입되는 스티로폼 투입구(121)가 구비되고, 하부에 파쇄된 스티로폼이 배출되는 스티로폼 배출구(122)가 구비되며 함체로 된 본체(120); 상기 본체(120)의 내측 상부인 스티로폼 투입구(121) 부위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2 회전축(141)과, 상기 제 2 회전축(141)에 축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이루어 복수개로 고정구비되고, 상기 제 2 회전축(14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로 투입된 스티로폼을 1차 파쇄되도록 하는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와,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의 상기 본체(120) 내측에 고정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 사이에 하나씩 개재되며,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의 회전시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로부터 투입된 스티로폼이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와 함께 투입된 스티로폼이 맞물려 파쇄되도록 하며, 동시에 스티로폼 파쇄시 스티로폼에 부착된 접착성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으로 이루어지는 스티로폼 1차 파쇄부(130);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부(13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부(130)에 의해 1차 파쇄된 스티로폼을 더 잘게 파쇄시키는 스티로폼 2차 파쇄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은,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의 상단에 위치한 상기 본체(120)에 고정구비되며,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로의 스티로폼 투입방향과 수직되게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 하방으로 직립설치될 수 있다.
또,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은,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의 하단에 위치한 상기 본체(120)에 고정구비되며,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로의 스티로폼 투입방향과 동일하게 상기 본체(120) 내측으로 수평되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아울러, 각각의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의 상면 또는 하면에 위치하며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에 부착된 접착성 이물질을 커팅되도록 하는 복수의 커터(151)와, 각각의 상기 커터(151)가 고정되며 바 형태로 된 커터 고정부(152)와, 상기 커터 고정부(152)의 양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커터 고정부 습동용 피스톤(153)과, 상기 본체(120)에 고정되며, 각각의 커터 고정부 습동용 피스톤(153)을 습동시켜 상기 커터 고정부(152)를 습동시킴으로써 상기 커터 고정부(152)에 고정된 복수의 상기 커터(151)를 동시에 전후진시켜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에 부착된 접착성 이물질을 커팅되도록 하는 커터 고정부 습동용 실린더(154)로 이루어지는 접착성 이물질 제거용 커팅부(1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스티로폼 파쇄장치는, 접착성 이물질이 1차 파쇄를 위한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에 남아 있지 않고 본체에 구비된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에 전가되어 남아 있게 됨으로써 접착성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에 감긴 테이프와 같은 접착성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커팅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접착성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고, 모든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에 감긴 테이프와 같은 접착성 이물질의 커팅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여 접착성 이물질의 제거를 신속하게 수행함으로써 장치의 정지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스티로폼 파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티로폼 파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티로폼 파쇄장치의 측면도로서 접착성 이물질 제거용 커팅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티로폼 파쇄장치의 제 1 회전축 회전부와 제 2 회전축 회전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스티로폼 파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스티로폼 파쇄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티로폼 파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티로폼 파쇄장치의 측면도로서 접착성 이물질 제거용 커팅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티로폼 파쇄장치의 제 1 회전축 회전부와 제 2 회전축 회전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스티로폼 파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통상 접착성 이물질은 띠형태나, 사각형태로 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가 구비된 스티로폼 본체의 개구부를 폐쇄시키는 스티로폼 뚜껑을 스티로폼 본체에 부착하도록 하는 띠형태의 테이프를 부착하거나, 스티로폼 뚜껑 또는 스티로폼 본체에 사각형태의 라벨지를 부착하는 것이 보통이다.
스티로폼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스티로폼을 파쇄하여 용융시켜 벌크형태로 굳게 한 다음, 스티로폼 생산업체에 납품하게 되며, 납품된 스티로폼 벌크는 스티로폼을 생산하기 위한 원료로 재활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스티로폼의 재활용을 위하여 스티로폼에 부착된 접착성 이물질을 제거하여 스티로폼을 파쇄되도록 하는 스티로폼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티로폼 파쇄장치는, 벨트 컨베이어(110); 본체(120); 스티로폼 1차 파쇄부(130); 스티로폼 2차 파쇄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벨트 컨베이어(110)는, 수거된 스티로폼을 이송시킨다. 상기 벨트 컨베이어(110)에 의해 이송된 스티로폼은 상기 본체(120)의 스티로폼 투입구(121)(도 4 및 도 5 참조)를 통해 상기 본체(120) 내부로 투하되게 된다.
상기 본체(120)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벨트 컨베이어(110)의 이송방향 단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벨트 컨베이어(110)에 의해 이송된 스티로폼이 투입되는 스티로폼 투입구(121)가 구비되고, 하부에 파쇄된 스티로폼이 배출되는 스티로폼 배출구(122)가 구비된다.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로 투입된 스티로폼은 상기 본체(120) 내측에 구비된 스티로폼 1차 파쇄부(130)에 의해 파쇄되게 된다.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부(130)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20)의 내측 상부부위에 구비되며, 도 3에서와 같이, 제 1 회전축(131)과,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와,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 제 1 회전축 회전부(13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회전축(131)은, 상기 본체(120)의 내측 상부인 스티로폼 투입구(121) 부위에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로의 스티로폼 투입방향과 수직되도록 상기 본체(12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는, 상기 제 1 회전축(131)에 축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이루어 복수개로 고정구비되고, 상기 제 1 회전축(13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로 투입된 스티로폼을 1차 파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는, 원호형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180도를 이루어 상기 제 1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각각의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들이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나선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들이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나선형으로 구비되게 되면,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에 의해 스티로폼이 파쇄될 때 동시에 모든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에 파쇄력이 크게 작용하게 되는 동일각도로 구비되는 것에 비해 파쇄를 원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티로폼 파쇄시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에 작용하는 파쇄력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제 1 회전축(131)을 회전시키는 모터의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은,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의 상기 본체(120) 내측에 고정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 사이에 하나씩 개재되며,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의 회전시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로부터 투입된 스티로폼이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와 함께 투입된 스티로폼이 맞물려 파쇄되도록 하며, 동시에 스티로폼 파쇄시 스티로폼에 부착된 접착성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의 회전시,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와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에 맞물려 스티로폼이 파쇄될 때, 대부분의 스티로폼에 부착된 접착성 이물질은 상기 본체(120) 내측에 고정구비된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에 부착되게 된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는 지속적으로 회전하게 되고 각각의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 사이에 개재되므로,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에는 접착성 이물질이 남지 않고(남더라도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에 부착되는 접착성 이물질에 대해 무시할 정도로 적은 양만 남게 됨), 접착성 이물질이 상기 본체(120) 내측에 고정구비된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으로 전가되게 되고, 접착성 이물질이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으로 부착되게 되어 남아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회전축(131) 축방향으로의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 두께는 상기 제 1 회전축(131) 축방향으로의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의 두께가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의 폭보다 작게 되면,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에 접착되는 접착성 이물질이 거의 남지 않게 되고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에 접착되는 접착성 이물질이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으로 거의 전가되어 접착성 이물질이 거의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에 남게 된다. 이렇게 접착성 이물질이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에 남지 않고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에 남도록 하는 이유는,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에 부착되는 접착성 이물질의 제거보다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에 부착되는 접착성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120)의 외부에서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에 부착되는 접착성 이물질의 제거를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 1 회전축 회전부(134)는 상기 제 1 회전축(131)을 회전시켜 상기 제 1 회전축(131)에 구비된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가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티로폼 2차 파쇄부(140)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20)의 내부인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부(13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부(130)에 의해 1차 파쇄된 스티로폼을 더 잘게 파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티로폼 2차 파쇄부(140)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20)의 내부인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부(130)의 하부에 설치되며, 도 3에서와 같이, 한 쌍의 제 2 회전축(141)과, 제 2 회전축 회전부(142)와, 스티로폼 2차 파쇄용 블레이드(143)와, 2차 파쇄용 기어부(14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회전축(141)은, 동일 높이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본체(1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회전축 회전부(142)는, 상기 제 2 회전축(141) 사이로 1차 파쇄되어 하부로 낙하된 스티로폼이 하부로 이송되면서 파쇄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회전축(141)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티로폼 2차 파쇄용 블레이드(143)는, 축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이루어 복수개로 고정구비되되, 서로 엇갈려 맞물리도록 각각의 상기 제 2 회전축(141)에 구비되고, 갈고리 형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2 회전축(141)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일정각도를 이루어 3개 내지 6개로 된 돌출부(143a)가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돌출부(143a)가 3개로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돌출부(143a)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스티로폼 2차 파쇄용 블레이드(143)의 돌출부(143a)들이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나선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인접하는 상기 스티로폼 2차 파쇄용 블레이드(143)의 돌출부(143a)들이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나선형으로 구비되게 되면,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와 마찬가지로, 동일각도로 구비되는 것에 비해 파쇄력이 작아도 되므로 파쇄를 원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티로폼 파쇄시 상기 스티로폼 2차 파쇄용 블레이드(143)에 작용하는 파쇄력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제 2 회전축(141)을 회전시키는 모터의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2차 파쇄용 기어부(144)는, 각각의 상기 스티로폼 2차 파쇄용 블레이드(143) 사이의 상기 제 2 회전축(141)에 각각 개재되며 상기 스티로폼 2차 파쇄용 블레이드(143)의 돌출부(143a)와 근접하여 1차 파쇄된 스티로폼을 상기 스티로폼 2차 파쇄용 블레이드(143)의 돌출부(143a)와 함께 잘게 부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티로폼 2차 파쇄부(140)에 의해 파쇄될 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부(130)의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의 회전시 걸려 반복 회전되어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와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에 의해 파쇄되게 되며 2차 파쇄될 수 있는 크기로 반복 파쇄되게 된다.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은,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의 상단에 위치한 상기 본체(120)에 고정구비되며,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로의 스티로폼 투입방향과 수직되게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 하방으로 직립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은,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의 하단에 위치한 상기 본체(120)에 고정구비되며,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로의 스티로폼 투입방향과 동일하게 상기 본체(120) 내측으로 수평되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스티로폼 파쇄시에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에 접착성 이물질이 부착되어 적층되게 되는데, 접착성 이물질이 너무 많은 양이 부착되면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의 회전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에 부착된 접착성 이물질을 제거해주어야 한다.
이때, 통상 띠 형태의 접착성 이물질은 너무 길기 때문에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에 감기는 형태로 부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으로부터 접착성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에 감긴 접착성 이물질을 커팅하여 제거해주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를 자동으로 커팅되도록 하여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접착성 이물질 제거용 커팅부(150)를 채택한다.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용 커팅부(150)는, 각각의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에 부착된 접착성 이물질을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접착성 이물질을 커팅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용 커팅부(150)는, 도 3에서와 같이, 커터(151)와, 커터 고정부(152)와, 커터 고정부 습동용 피스톤(153)과, 커터 고정부 습동용 실린더(154)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터(151)는, 각각의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의 상면 또는 하면에 위치하며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에 부착된 접착성 이물질을 커팅되도록 하며,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터 고정부(152)는, 각각의 상기 커터(151)가 고정되며 바 형태로 된다.
상기 커터 고정부 습동용 피스톤(153)은, 상기 커터 고정부(152)의 양단에 결합되도록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설치된다.
상기 커터 고정부 습동용 실린더(154)는, 상기 본체(120)에 고정되며, 각각의 커터 고정부 습동용 피스톤(153)을 습동시켜 상기 커터 고정부(152)를 습동시킴으로써 상기 커터 고정부(152)에 고정된 복수의 상기 커터(151)를 동시에 전후진시켜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에 부착된 접착성 이물질을 커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커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5는 접착성 이물질 제거용 커팅부(150)에 의해 커팅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커터 고정부 습동용 실린더(154)에 의해 상기 커터 고정부 습동용 피스톤(153)이 인출되면, 상기 커터 고정부(152)가 우측으로 전진하게 되고, 상기 커터 고정부(152)에 고정된 각각의 커터(151)가 동시에 우측으로 전진하게 되어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에 감긴 테이프와 같은 접착성 이물질을 커팅하게 된다. 커팅된 접착성 이물질을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으로부터 떼어 내면 접착성 이물질의 제거가 완료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에 감긴 테이프와 같은 접착성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커팅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접착성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고, 모든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에 감긴 테이프와 같은 접착성 이물질의 커팅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여 접착성 이물질의 제거를 신속하게 수행함으로써 장치의 정지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10 : 벨트 컨베이어 120 : 본체
121 : 스티로폼 투입구 122 : 스티로폼 배출구
130 : 스티로폼 1차 파쇄부 131 : 제 1 회전축
132 :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
133 :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
140 : 스티로폼 2차 파쇄부 150 : 접착성 이물질 제거용 커팅부

Claims (4)

  1. 삭제
  2. 수거된 스티로폼을 이송시키는 벨트 컨베이어(110);
    상기 벨트 컨베이어(110)의 이송방향 단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벨트 컨베이어(110)에 의해 이송된 스티로폼이 투입되는 스티로폼 투입구(121)가 구비되고, 하부에 파쇄된 스티로폼이 배출되는 스티로폼 배출구(122)가 구비되며 함체로 된 본체(120);
    상기 본체(120)의 내측 상부인 스티로폼 투입구(121) 부위에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로의 스티로폼 투입방향과 수직되도록 상기 본체(12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 회전축(131)과,
    상기 제 1 회전축(131)에 축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이루어 복수개로 고정구비되고, 상기 제 1 회전축(13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로 투입된 스티로폼을 1차 파쇄되도록 하는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와,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의 상기 본체(120) 내측에 고정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 사이에 하나씩 개재되며,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의 회전시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로부터 투입된 스티로폼이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와 함께 투입된 스티로폼이 맞물려 파쇄되도록 하며, 동시에 스티로폼 파쇄시 스티로폼에 부착된 접착성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으로 이루어지는 스티로폼 1차 파쇄부(130);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부(13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부(130)에 의해 1차 파쇄된 스티로폼을 더 잘게 파쇄시키는 스티로폼 2차 파쇄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은,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의 상단에 위치한 상기 본체(120)에 고정구비되며,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로의 스티로폼 투입방향과 수직되게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 하방으로 직립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로폼 파쇄장치.
  3. 수거된 스티로폼을 이송시키는 벨트 컨베이어(110);
    상기 벨트 컨베이어(110)의 이송방향 단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벨트 컨베이어(110)에 의해 이송된 스티로폼이 투입되는 스티로폼 투입구(121)가 구비되고, 하부에 파쇄된 스티로폼이 배출되는 스티로폼 배출구(122)가 구비되며 함체로 된 본체(120);
    상기 본체(120)의 내측 상부인 스티로폼 투입구(121) 부위에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로의 스티로폼 투입방향과 수직되도록 상기 본체(12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 회전축(131)과,
    상기 제 1 회전축(131)에 축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이루어 복수개로 고정구비되고, 상기 제 1 회전축(13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로 투입된 스티로폼을 1차 파쇄되도록 하는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와,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의 상기 본체(120) 내측에 고정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 사이에 하나씩 개재되며,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의 회전시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로부터 투입된 스티로폼이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블레이드(132)와 함께 투입된 스티로폼이 맞물려 파쇄되도록 하며, 동시에 스티로폼 파쇄시 스티로폼에 부착된 접착성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으로 이루어지는 스티로폼 1차 파쇄부(130);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부(13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티로폼 1차 파쇄부(130)에 의해 1차 파쇄된 스티로폼을 더 잘게 파쇄시키는 스티로폼 2차 파쇄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은,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의 하단에 위치한 상기 본체(120)에 고정구비되며, 상기 스티로폼 투입구(121)로의 스티로폼 투입방향과 동일하게 상기 본체(120) 내측으로 수평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로폼 파쇄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에 부착된 접착성 이물질을 상기 접착성 이물질 제거 및 스티로폼 1차 파쇄용 브라켓(133)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접착성 이물질을 커팅하는 접착성 이물질 제거용 커팅부(1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로폼 파쇄장치.
KR1020210107103A 2021-08-13 2021-08-13 스티로폼 파쇄장치 KR102385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103A KR102385417B1 (ko) 2021-08-13 2021-08-13 스티로폼 파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103A KR102385417B1 (ko) 2021-08-13 2021-08-13 스티로폼 파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417B1 true KR102385417B1 (ko) 2022-04-18

Family

ID=81390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103A KR102385417B1 (ko) 2021-08-13 2021-08-13 스티로폼 파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4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594A (ko) * 2015-03-04 2016-09-19 주식회사 씨아이에코텍 폐기물 파쇄장치
KR101870585B1 (ko) * 2017-12-08 2018-06-22 곽희덕 폐 스티로폼 파쇄기
KR101935590B1 (ko) * 2018-07-04 2019-01-04 주식회사 명진자원 스티로폼 파쇄장치
KR102116351B1 (ko) * 2019-10-23 2020-05-29 주식회사 제이에스케미칼 폐플라스틱 재생 설비용 금속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594A (ko) * 2015-03-04 2016-09-19 주식회사 씨아이에코텍 폐기물 파쇄장치
KR101870585B1 (ko) * 2017-12-08 2018-06-22 곽희덕 폐 스티로폼 파쇄기
KR101935590B1 (ko) * 2018-07-04 2019-01-04 주식회사 명진자원 스티로폼 파쇄장치
KR102116351B1 (ko) * 2019-10-23 2020-05-29 주식회사 제이에스케미칼 폐플라스틱 재생 설비용 금속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590B1 (ko) 스티로폼 파쇄장치
KR101870585B1 (ko) 폐 스티로폼 파쇄기
JP2003062831A (ja) 廃発泡スチロールの溶融減容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減容方法
CN212732435U (zh) 一种纸箱生产的废料粉碎装置
KR102385417B1 (ko) 스티로폼 파쇄장치
KR20190142839A (ko) 폐 스티로폼의 파쇄 및 이물질 분리기
KR100393525B1 (ko)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장치 및 방법
JP2004255257A (ja) 瓶、缶、その他のゴミ類・収容袋分離装置
CN213674991U (zh) 一种缠绕膜边料粉碎回用装置
JP4400780B2 (ja) 破袋機能付き定量押出し型ホッパー及びユニット
JP2001070824A (ja) 破袋機
JP3281340B2 (ja) 石膏ボードの破砕選別装置
KR102599595B1 (ko) 폐 단열재 용기를 분쇄하고 선별하는 장치
JP2502423B2 (ja) 発泡プラスチックの減容機
KR20240010598A (ko)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
CN218689237U (zh) 一种具有清理余料功能的旋转式药品制粒机
CN210140036U (zh) 瓶砖开包机
JP2002282732A (ja) 生ごみ処理設備における生ごみ供給装置
CN213825200U (zh) 一种用于石灰岩生产的原材料旋切喂料装置
FR2460551A1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fragmentation de batteries
KR20230066860A (ko) 이물질을 분리 배출하는 폐스티로폼의 재활용 시스템
CN209953013U (zh) 一种打包带粉碎装置
JPH0751588A (ja) 紙塵の破砕・細断及び圧縮固形化装置
JPH09192523A (ja) プラスチック廃材の破砕方法と破砕装置
KR102526385B1 (ko) 폐스티로폼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