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3525B1 -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3525B1
KR100393525B1 KR10-2000-0051130A KR20000051130A KR100393525B1 KR 100393525 B1 KR100393525 B1 KR 100393525B1 KR 20000051130 A KR20000051130 A KR 20000051130A KR 100393525 B1 KR100393525 B1 KR 100393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waste
waste
raw material
conveyor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1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7650A (ko
Inventor
오원석
Original Assignee
(주)코리아 리사이클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아 리사이클 시스템 filed Critical (주)코리아 리사이클 시스템
Priority to KR10-2000-0051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3525B1/ko
Publication of KR20020017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7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5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폐기물의 처리 및 재활용 방법은 분리 수거된 플라스틱 폐기물을 콘베이어로 이송하면서 모래, 유리조각, 작은 돌맹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폐기물로부터 마그네트 분리기를 이용하여 금속성분의 폐기물을 제거하고, 상기 금속성분이 제거된 폐기물을 파쇄기에서 적절한 크기로 파쇄하고, 상기 파쇄된 폐기물을 마그네트 분리기를 이용하여 금속성분의 폐기물을 다시 제거하고, 상기 폐기물로부터 끈류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테이프나 끈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폐기물을 트윈 스크류(twin screw) 장치에 의하여 혼합하면서 다음 공정으로 일정량 공급하고, 그리고 상기 일정량 공급되는 폐기물을 압축가열 성형기에서 일정한 크기로 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성형된 성형물은 일정량씩 포장하여 보일러 원료를 비롯한 기타 연소용 원료로 사용된다.

Description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장치 및 방법 {Apparatus for Treatment and Recycle of Plastic Wastes and Method There of}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플라스틱 폐기물을 처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성형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일반 생활 쓰레기 또는 산업 폐기물로부터 분류된 플라스틱 폐기물을 처리하여 보일러의 연료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폐기물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일반 가정의 생활 쓰레기를 비롯하여 산업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은 그 처리에 있어서 이제까지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켜 왔다. 플라스틱 폐기물은 1차로 분리되어 수거되지만 이를 적절히 재활용하기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1차로 분리수거된 플라스틱 폐기물은 대체적으로 플라스틱류가 약 70% 정도를 차지하고, 종이류가 약 20% 그리고 나무나 기타 불순물이 약 10%를 차지한다. 이러한 플라스틱 폐기물은 이제까지 매립지를 선정하여 매립하여 왔다. 그러나 오늘날은 이러한 매립지를 선정하기가 어렵고, 매립지를 찾아 매립한다 하여도 각종 수질오염을 비롯한 환경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처리함에 있어서 상기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나아가 플라스틱 폐기물을 보일러의 원료로 재활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스틱 폐기물을 매립하지 않고 보일러의 원료로서 재활용함으로써 매립장의 선정에 따른 어려움을 해결하고 매립으로 인한 각종 수질오염과 토양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재활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라스틱 폐기물을 보일러 원료와 같은 용도로 재활용함으로써 쓰레기 처리는 물론 대체 에너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재활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리수거된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금속 성분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연소가능한 플라스틱류나 종이류 성분만을 일정한 규격의 성형품으로 가열압축성형하여 플라스틱 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을 처리하는 방법을 실시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폐기물을 처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성형물을 제조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장치의 한 구체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마그네트 분리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파쇄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가)도는 평면도이고, (나)도는 회전도(51)의 측면도이고, (다)도는 파쇄기 전체 구조의 측면도이다.
제5도는 파쇄된 폐플라스틱으로부터 테이프, 끈 등을 제거하기 위한 끈류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6도는 혼합조에서 폐플라스틱을 혼합하여 일정량으로 공급하기 위한 혼합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으로, (가)도는 두 스크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나)도는 전체 혼합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최종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성형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제8도는 제7도의 성형장치에서 내부드럼(133), 프레스 휠(135) 및 배출 다이스(136)의 운동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 투입콘베이어 2: 진동콘베이어
3: 이송콘베이어 4: 제1차 마그네트 분리기
5: 파쇄기 6: 이송콘베이어
7: 제2차 마그네트 분리기 8: 이송콘베이어
9: 끈류 제거장치 10: 이송콘베이어
11: 혼합장치 12: 이송콘베이어
13: 압축가열 성형장치
41: 자석 42: 회전체
42a: 부착부 42b: 이탈부
43: 수집용기 51: 회전도
52, 53: 고정도 54: 시이브(sieve)
55: 피스톤 56: 블레이드(blade)
60: 호퍼 91: 지지봉
92: 걸림봉 93: 손잡이
111, 112: 스크류 131: 수평 스크류
132: 수직 스크류 133: 내부드럼
134: 외부드럼 135: 프레스 휠
136: 배출 다이스 137: 배출구
138: 감속기 139: 모터
140: 마그네트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폐기물의 처리 및 재활용 방법은 분리수거된 플라스틱 폐기물을 콘베이어 이송하면서 모래, 유리조각, 작은 돌맹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폐기물로부터 마그네트 분리기를 이용하여 금속성분의 폐기물을 제거하고, 상기 금속성분이 제거된 폐기물을 파쇄기에서 적절한 크기로 파쇄하고, 상기 파쇄된 폐기물을 마그네트 분리기를 이용하여 금속성분의 폐기물을 다시 제거하고, 상기 폐기물로부터 끈류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테이프나 끈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폐기물을 트윈스크류(twin screw) 장치에 의하여 혼합하면서 다음 공정으로 일정량 공급하고, 그리고 상기 일정량 공급되는 폐기물을 압축가열 성형기에서 일정한 크기로 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성형된 성형물은 일정량씩 포장하여 보일러 원료를 비롯한 기타 연소용 원료로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폐기물을 처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성형물을 제조하기 위한 개략적인 공정 흐름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장치의 한 구체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우선 분리수거된 플라스틱 폐기물을 원료로서 투입콘베이어(1) 위에 투입한다. 투입콘베이어(1)는 일정한 속도로 이송되고, 콘베이어가 이송되면서 모래, 작은 돌맹이, 유리조각 등의 이물질이 하부로 낙하될 수 있도록 체인콘베이어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투입콘베이어(1)는 이물질의 제거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30∼45°의 각도로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사를 이루면서 콘베이어가 이동하면 그 위에 투입된 플라스틱 폐기물 중에서 모래, 유리조각, 작은 돌맹이 등은 하중에 의하여 체인콘베이어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하부로 낙하되어 자연적으로 제거된다.
상기와 같은 이물질이 처음 단계에서 제거되면, 플라스틱 폐기물은 이송콘베이어(3)를 통하여 제1차 마그네트 분리기(4)를 통과하게 된다. 제1차 마그네트 분리기(4)를 통과하기 전에 모래나 유리조각과 같은 이물질을 더 충분히 제거하기 위하여 진동콘베이어(2)를 설치하여 이를 통과시키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투입콘베이어(1)를 통과한 플라스틱 폐기물 원료는 진동콘베이어(2)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 때 진동콘베이어(2)를 진동시켜 줌으로써 추가적으로 모래, 유리조각, 작은 돌맹이 등을 제거할 수 있다.
투입콘베이어(1) 또는 진동콘베이어(2)로부터 이송된 플라스틱 폐기물 원료는 이송콘베이어(3)를 통하여 제1차 마그네트 분리기(4)를 통과한다. 이 마그네트 분리기(4)를 통과하면서 철성분을 함유한 모든 금속제품 불순물을 제거한다. 이 마그네트 분리기(4)에서는 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금속성분 불순물을 분리하게 되는데, 그 마그네트 분리기의 구조 및 원리는 후술한다.
제1차 마그네트 분리기(4)에서 금속성분 불순물이 제거된 플라스틱 폐기물 원료는 파쇄기(5)를 통과한다. 파쇄기(5)에서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각종 쓰레기를 일정한 크기로 파쇄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회전도(回轉刀)와 두 개의 고정도(固定刀)로 이루어지는 특수한 구조를 갖는 파쇄기가 이용된다. 파쇄기의 구조와 작동원리는 후술한다.
파쇄된 플라스틱 폐기물 원료는 이송콘베이어(6)를 따라 제2차 마그네트 분리기(7)를 통과하게 된다. 제2차 마그네트 분리기에서는 제1차 마그네트 분리기에서와 같이 철성분을 함유한 모든 금속제품 불순물은 제거한다. 제2차 마그네트 분리기의 구조 및 작동원리는 제1차 마그네트 분리기의 구조 및 작동원리와 동일하다.
제2차 마그네트 분리기(7)에서 금속성분 불순물이 제거된 플라스틱 폐기물 원료는 이송콘베이어(8)에 의하여 끈류 제거장치(9)로 투입된다. 즉 끈류 제거장치(9)에서는 장치의 상부로부터 원료가 투입되어 장치 하부쪽으로 원료가 낙하된다. 이때 원료가 낙하되면서 그 원료내에 함유되어 있던 테이프, 끈과 같은 것들이 끈류 제거장치(9)에 의하여 제거되고 나머지 잘게 파쇄된 원료는 하부쪽으로 낙하된다. 끈류 제거장치(9)의 구조 및 작동원리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끈이나 테이프 등이 제거되지 않으면 그 다음 공정에서 작동되는 스크류에 감기게 되어 스크류의 고장을 비롯한 많은 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 따라서 끈류 제거장치(9)를 통하여 잘게 절단되지 않은 끈, 테이프 등을 미리 제거하여야 한다.
끈류 제거장치(9)를 통과하면서 끈이나 테이프 등이 제거된 플라스틱 폐기물 원료는 이송콘베이어(10)를 따라 혼합장치(11)로 투입된다. 혼합장치(11)로 투입된 플라스틱 폐기물 원료는 일정 시간 체류하면서 트윈스크류로 이루어진 혼합장치(11)에 의하여 균일하게 혼합된다. 또한 트윈스크류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혼합장치(11)로부터 폐기물 원료가 일정한 속도로 배출되게 한다. 트윈스크류를 비롯한 혼합장치(11)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혼합장치(11)에 의하여 균일하게 혼합되고, 또한 일정한 양으로 배출되는 플라스틱 폐기물 원료는 이송콘베이어(12)에 의하여 압축가열성형장치(13)로 투입된다. 압축가열성형장치에서는 여러개의 스크류에 의하여 플라스틱 폐기물 원료를 보다 균일하고 일정한 양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최종적으로 플라스틱 폐기물 원료를 가열 성형기에 통과시켜 일정한 크기의 성형물로 압축성형한다. 공급되는 플라스틱 폐기물 원료로부터 일정한 크기의 성형물을 압축성형하는 압축가열성형장치(13)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압축가열성형장치(13)에 의하여 일정한 크기로 성형된 성형물은 일정한 양으로 포장하여 보일러 원료, 기타의 연소용 원료로 적합하게 재활용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플라스틱 폐기물 원료로부터 제조된 성형물은 모래, 유리조각, 돌맹이, 금속성분 등을 함유하지 않고 거의 플라스틱류와 종이류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아주 좋은 연소용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마그네트 분리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3도에 도시된 마그네트 분리기의 원리는 제1차 마그네트분리기(4)와 제2차 마그네트 분리기(7)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된다. 마그네트 분리기는 고정되도록 설치된 자석(41)과 금속성분 물체(101)의 부착부(42a)와 이탈부(42b)로 구분되는 회전체(42)로 구성되는데, 부착부(42a)의 상부에는 자석(41)이 고정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콘베이어 벨트(3)가 통과하고, 그 콘베이어 벨트(3) 상부에는 플라스틱 폐기물 원료(100)가 위치한다. 이탈부(42b)의 하부에는 금속성분 물체(101)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용기(43)가 위치한다. 콘베이어 벨트(3)위에 폐기물 원료(100)가 올려진 채 콘베이어 벨트(3)가 이송되면, 회전체(42)는 회전하게 된다. 이 때 폐기물 원료(100) 중에 포함되어 있던 금속성분 물체(101)는 자석(41)의 자력에 의하여 부착부(42a)에 부착하게 된다. 부착부(42a)가 이탈부(42b)의 위치로 회전하면 이탈부(42b)에는 자석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금속성분 물체(101)는 하중에 의하여 수집용기(43) 속으로 낙하한다. 제1차 마그네트 분리기(4)에서 1차적으로 금속성분 물체(101)를 제거하고, 플라스틱 폐기물 원료를 파쇄한 후 제2차 마그네트 분리기(7)에서 2차적으로 금속성분 물체(101)를 제거한다.
제1차 마그네트 분리기(4)에서 금속성분 물체(101)가 제거된 폐기물 원료는 파쇄기(5)로 투입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파쇄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가)도는 평면도이고, (나)도는 회전도(51)의 측면도이고, (다)도는 파쇄기 전체구조의 측면도이다.
제4도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기(5)는 회전하는 하나의 회전도(51)와 상기 회전도의 양쪽에 고정된 두 개의 고정도(52, 53)로 이루어진다. 회전도(51)는 실린더형으로 그 표면에는 복수개의 블레이드(56)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고정도(52, 53)에는 톱니형 칼날이 형성되어 회전도(51)가 회전할 때 블레이드(56)와 톱니형 칼날에 의하여 플라스틱 폐기물이 파쇄된다. 블레이드(56)는 조립식으로 회전도(51)의 본체에 부착할 수 있고, 블레이드의 형상은 플라스틱 폐기물이 잘 파쇄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호퍼(60)에 수집된 플라스틱 폐기물(100)은 회전도(51)로 회전하면서 일단 고정도(52)에 의하여 파쇄된다. 파쇄된 폐기물은 시이브(sieve)(54)를 통하여 하부로 관통하고, 시이브를 통과하지 못한 폐기물은 다시 고정도(53)에 의하여 파쇄된다. 회전도(51)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지만,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시계방향으로 역회전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회전도(51)의 정회전과 역회전은 회전도(51)에 인가되는 부하량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고정도(53)는 고정도(52)와 같은 높이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고정도(52) 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설치하여 파쇄효과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호퍼(60)내의 폐기물(100)의 투입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측부에는 왕복운동할 수 있는 피스톤(55)이 설치된다. 회전도(51)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피스톤(55)은 좌측으로 이동하여 회전도(51)에 걸리는 과부하를 해소시킬 수 있으며,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피스톤(55)을 적절히 우측으로 이동하여 폐기물의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다. 피스톤(55)의 작동도 회전도(51)에 인가되는 부하량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2차 마그네트 분리기(7)에서 금속성분 물체가 제거된 플라스틱 폐기물은콘베이어로 이송하여 끈류 제거장치(9)로 투입된다. 제5도는 파쇄된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끈이나 테이프 등을 제거하기 위한 끈류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차 마그네트 분리기(7)를 통과한 플라스틱 폐기물(100)은 끈류 제거장치의 상부로 투입되어 하부로 낙하한다. 이 때 파쇄된 플라스틱 폐기물은 끈류 제거장치(9)를 통과하고, 절단되지 않은 끈이나 테이프 등은 끈류 제거장치(9)에 걸리게 된다. 끈류 제거장치(9)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데, 각각은 지지봉(92)과 그 지지봉에 고정된 복수개의 걸림봉(92)으로 구성되고, 지지봉의 한 단부에는 손잡이(93)가 형성된다. 걸림봉(92)에 걸린 끈이나 테이프 등은 손잡이(93)를 돌려서 밖으로 제거된다. 이 끈류 제거장치(9)는 간단한 구조를 이루고 있지만, 끈이나 테이프 등은 다음 공정에서의 스크류의 작동에 고장을 일으키기 때문에 이 장치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끈류 제거장치(9)에서 끈이나 테이프가 제거된 플라스틱 폐기물은 혼합장치(11)로 이송된다. 혼합장치(11)에서 일단 이송된 폐기물이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트윈 스크류(111, 112)에 의하여 혼합된다. 제6(나)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윈 스크류(111, 112)는 폐기물(100)이 중앙부에서 혼합되어 배출되도록 서로 마주 보며 회전하고, 배출된 폐기물(100)은 이송콘베이어(12)에 의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트윈 스크류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일정량의 폐기물을 이송시킬 수 있다. 트윈 스크류는 파쇄된 폐기물의 크기를 고려하여 격치되어야 하며, 통상 30㎝의 간격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간격은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트윈 스크류(111, 112)는 회전할 때 폐기물(100)이그 중앙부에 모이도록 설계한다. 제6(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111)의 중앙을 중심으로 한 쪽(111a)과 다른 한쪽(111b)에는 서로 대칭되는 스크류가 형성되고, 스크류(112)는 다시 스크류(111)와 대칭되는 스크류(112a, 112b)가 형성된다. 스크류는 모터에 의하여 작동되어 이는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혼합장치(11)에 의하여 혼합된 폐기물은 이송콘베이어(12)에 의하여 압출가열성형장치(13)로 투입된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폐기물을 최종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성형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제8도는 제7도의 성형장치에서 내부드럼(133), 프레스 휠(press wheel)(135) 및 배출다이스(136)의 운동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압축가열성형장치는 이송콘베이어(12)로부터 이송된 폐기물을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수평 스크류(131), 상기 수평 스크류로부터 이송된 폐기물을 수직이동시키기 위한 수직 스크류(132), 상기 수직 스크류에 의하여 이송된 폐기물을 성형하기 위한 내부드럼(133), 상기 내부드럼의 단부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드럼(134), 가열장치에 의하여 폐기물을 성형하고 성형된 성형물을 배출하기 위한 복수개의 배출구(137)를 갖는 배출다이스(136), 및 상기 배출다이스의 내부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폐기물을 압착하고 상기 내부드럼(133)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 편심구동하도록 조립된 프레스 휠(135)로 이루어진다.
수평 스크류(131)와 수직 스크류(132)는 각각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구동된다. 내부드럼(133)은 일정량의 폐기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스크류 구조를 가지며, 그 단부에는 폐기물을 압착하는 프레스 휠(135)이 편심 조립되기 때문에 상당량의 부하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내부드럼(133)은 모터(139)에 의하여 회전되고, 다시 감속기(138)에 의하여 감속된다. 프레스 휠(135)은 내부드럼(133)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조립되며, 내부드럼(133)이 회전할 때 프레스 휠은 배출다이스(136)의 내부면을 따라서 공전하면서 그 자체는 또한 자전한다. 플라스틱 폐기물은 배출 다이스와 프레스 휠 사이에서 가열압착되어 배출구(137)를 통하여 성형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다이스(136)의 내부에는 가열장치(도시되지 않음)를 부착하여 배출 다이스의 표면이 20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200℃의 온도가 유지되면 대부분의 플라스틱 폐기물은 적절하게 가열압축성형되어 연소용 연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수직 스크류(132)의 측부에 마그네트(140)가 더 부착될 수 있는데, 이 마그네트(140)는 수직 스크류에 의하여 하부쪽으로 이송되는 폐기물 내부에 존재하는 금속성분 물체를 최종적으로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폐기물을 매립하지 않고 보일러의 원료로서 재활용함으로써 매립장의 선정에 따른 어려움을 해결하고 매립으로 인한 각종 수질오염과 토양오염을 예방하고, 대체 에너지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분리수거된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금속 성분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연소가능한 플라스틱류나 종이류 성분만을 일정한 규격의 성형품으로 가열압축성형하여 플라스틱 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6)

  1. 플라스틱 폐기물을 투입콘베이어(1)로 이송하면서 모래, 유리조각, 작은 돌맹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폐기물로부터 제1차 마그네트 분리기(4)를 이용하여 금속성분의 폐기물을 제거하고;
    상기 금속성분이 제거된 폐기물을 파쇄기(5)에서 적절한 크기로 파쇄하고;
    상기 파쇄된 폐기물을 제2차 마그네트 분리기(7)를 이용하여 금속성분의 폐기물을 다시 제거하고;
    상기 폐기물로부터 끈류 제거장치(9)를 이용하여 테이프나 끈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폐기물을 혼합장치(11)에 의하여 혼합하면서 다음 공정으로 일정량 공급하고; 그리고
    상기 일정량 공급되는 폐기물을 압축가열성형기(13)에서 일정한 크기로 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가열성형기의 가열 온도가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을 투입콘베이어(1)로 이송하면서 모래, 유리조각, 작은 돌맹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진동콘베이어(2)를 이용하여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 원료를 진동시켜 추가적으로 모래, 유리조각, 작은 돌맹이 등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방법.
  4. 투입된 플라스틱 폐기물 원료를 일정한 속도로 이송시키면서 모래, 유리조각, 작은 돌맹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투입 콘베이어(1);
    상기 투입 콘베이어로부터 이물질이 제거된 플라스틱 폐기물 원료를 마그네틱 분리기로 이송시키는 이송콘베이어(3);
    상기 이송 콘베이어로부터 이송된 플라스틱 폐기물 원료에서 금속성분 불순물을 분리하는 제1차 마그네틱 분리기(4);
    상기 제1차 마그네틱 분리기로부터 나온 금속성분 불순물이 제거된 플라스틱 폐기물 원료를 일정한 크기로 파쇄하는 파쇄기(5);
    상기 파쇄기에서 파쇄된 플라스틱 폐기물 원료를 제2차 마그네트 분리기(7)로 이송시키는 이송콘베이어(6);
    상기 이송콘베이어(6)로부터 이송된 플라스틱 폐기물 원료에서 잔류 금속성분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2차 마그네트 분리기(7);
    상기 제2차 마그네트 분리기(7)에서 금속성분 불순물이 제거된 플라스틱 폐기물 원료를 끈류 제거장치(9)로 이송시키는 이송콘베이어(8);
    상기 이송콘베이어(8)로부터 플라스틱 폐기물 원료를 받아 끈이나 테이프 등을 제거하는 끈류 제거장치(9);
    상기 끈류 제거장치(9)로부터 끈이나 테이프 등이 제거된 플라스틱 폐기물 원료를 저장 및 혼합장치(11)로 이송시키는 이송콘베이어(10);
    상기 이송콘베이어(10)로부터 나온 플라스틱 폐기물 원료를 일정 시간 체류시키면서 균일하게 혼합하는 저장 및 혼합장치(11);
    상기 혼합장치(11)에 의하여 균일하게 혼합된 플라스틱 폐기물 원료를 압축가열성형장치(13)로 이송시키는 이송콘베이어(12); 및
    상기 이송콘베이어(12)로부터 나온 플라스틱 폐기물 원료를 일정한 크기로 성형하는 압축가열성형장치(13);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콘베이어(1)로부터 나온 플라스틱 폐기물 원료를 진동시켜 추가적으로 모래, 유리조각, 작은 돌맹이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진동콘베이어(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콘베이어(1)는 30∼45°의 각도로 경사를 이루고, 이물질이 하부로 낙하될 수 있도록 체인콘베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분리기는
    자석이 고정된 부착부(42a)와 자석이 설치되지 않은 이탈부(42b)로 구성되어 부착부(42a)가 이탈부(42b)의 위치로 회전하면 부착부(42a)에 부착된 금속성분 물체가 이탈부(42b)의 위치에서 분리되는 회전체(42); 및
    상기 이탈부(42b)의 하부에 설치되어 낙하되는 금속성분 물체(101)를 수집하는 수집용기(4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5)는
    표면에는 복수개의 블레이드(56)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고, 실린더형으로 되어 있는 회전하는 회전도(51);
    톱니형 칼날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도의 양쪽에 고정되어 있는 두 개의 고정도(52, 53);
    상기 회전도와 고정도에 의해 파쇄된 폐기물중 일정 크기의 폐기물만 통과시키는 시이브(sieve)(54);
    측부에 설치되어 왕복운동을 하면서 호퍼(60)내의 폐기물(100)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피스톤(55); 및
    마그네틱 분리기로부터 나온 금속성분 불순물이 제거된 플라스틱 폐기물 원료를 충진시키는 호퍼(6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56)는 조립식으로 회전도(51)의 본체에 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도(51)는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끈류 제거장치(9)는
    상부로 투입된 파쇄된 플라스틱 폐기물중 끈이나 테이프 등을 제거하는 걸림봉(92);
    복수개의 걸림봉(92)을 고정하는 한쌍의 지지봉(91); 및
    지지봉의 한 단부에 형성되어 걸림봉(92)에 걸린 끈이나 테이프 등을 돌려서 밖으로 제거시키는 손잡이(9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장치.
  12. 삭제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가열성형장치(13)는
    이송콘베이어(12)로부터 이송된 폐기물을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수평 스크류(131);
    상기 수평 스크류로부터 이송된 폐기물을 수직이동시키기 위한 수직 스크류(132);
    상기 수직 스크류에 의하여 이송된 폐기물을 성형하기 위한 내부드럼(133);
    상기 내부드럼의 단부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드럼(134);
    가열장치에 의하여 폐기물을 성형하고 성형된 성형물을 배출하기 위한 복수개의 배출구(137)를 갖는 배출다이스(136); 및
    상기 배출다이스의 내부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폐기물을 압착하고 상기 내부드럼(133)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 편심구동하도록 조립된 프레스 휠(135);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0-0051130A 2000-08-31 2000-08-31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장치 및 방법 KR100393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130A KR100393525B1 (ko) 2000-08-31 2000-08-31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130A KR100393525B1 (ko) 2000-08-31 2000-08-31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650A KR20020017650A (ko) 2002-03-07
KR100393525B1 true KR100393525B1 (ko) 2003-08-09

Family

ID=19686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1130A KR100393525B1 (ko) 2000-08-31 2000-08-31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35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273Y1 (ko) 2010-09-09 2013-08-02 삼호환경기술 주식회사 플라스틱 폐기물 성형장치
KR101321370B1 (ko) 2012-08-31 2013-10-28 주식회사 일신 고효율 알피에프 제조 시스템
KR102116351B1 (ko) * 2019-10-23 2020-05-29 주식회사 제이에스케미칼 폐플라스틱 재생 설비용 금속 제거 장치
KR102214805B1 (ko) 2020-10-27 2021-02-15 조혁래 플라스틱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공업용수 및 산업폐기물 회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803B1 (ko) * 2018-10-24 2020-04-17 (주)천년기업 자원재활용 투수블록 제조용 자동 압축성형장치
KR102538926B1 (ko) * 2022-12-29 2023-06-01 이중재 폐플라스틱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602497B1 (ko) * 2023-05-08 2023-11-14 강병환 액화천연가스 냉열의 재활용을 통한 폐기물 처리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2273A (en) * 1974-01-07 1978-02-07 Southeast Sbic, Inc. Process for dry recovery of materials from solid refuse
KR920016144A (ko) * 1991-02-28 1992-09-24 윤용근 폐타이어의 미분쇄방법
US5510076A (en) * 1994-12-02 1996-04-23 Brooks; Thomas W. Method and apparatus of recycling previously used agricultural plastic film mulch
KR0127084B1 (ko) * 1995-03-08 1998-04-02 김경두 폐케이블의 냉동분쇄분리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75322A (ko) * 1997-03-31 1998-11-16 김영귀 폐수지의 도막 분쇄물 분리장치
KR0175915B1 (ko) * 1996-04-30 1999-05-15 류유천 폐 발포 폴리스티렌 재생장치
KR20010011759A (ko) * 1999-07-30 2001-02-15 조익호 폐플라스틱 고형연료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2273A (en) * 1974-01-07 1978-02-07 Southeast Sbic, Inc. Process for dry recovery of materials from solid refuse
KR920016144A (ko) * 1991-02-28 1992-09-24 윤용근 폐타이어의 미분쇄방법
US5510076A (en) * 1994-12-02 1996-04-23 Brooks; Thomas W. Method and apparatus of recycling previously used agricultural plastic film mulch
KR0127084B1 (ko) * 1995-03-08 1998-04-02 김경두 폐케이블의 냉동분쇄분리장치 및 그 방법
KR0175915B1 (ko) * 1996-04-30 1999-05-15 류유천 폐 발포 폴리스티렌 재생장치
KR19980075322A (ko) * 1997-03-31 1998-11-16 김영귀 폐수지의 도막 분쇄물 분리장치
KR20010011759A (ko) * 1999-07-30 2001-02-15 조익호 폐플라스틱 고형연료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273Y1 (ko) 2010-09-09 2013-08-02 삼호환경기술 주식회사 플라스틱 폐기물 성형장치
KR101321370B1 (ko) 2012-08-31 2013-10-28 주식회사 일신 고효율 알피에프 제조 시스템
KR102116351B1 (ko) * 2019-10-23 2020-05-29 주식회사 제이에스케미칼 폐플라스틱 재생 설비용 금속 제거 장치
KR102214805B1 (ko) 2020-10-27 2021-02-15 조혁래 플라스틱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공업용수 및 산업폐기물 회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650A (ko) 200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8165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processing mixed plastics
JP2859576B2 (ja) 廃棄物の固形燃料化リサイクルプラント
US4772430A (en) Process for compacting and solidifying solid waste materials,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process and overall system for disposal of such waste materials
FI79040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behandling av hushaolls-, industri- och andra liknande avfall.
FI87741C (fi) Anordning foer hantering av material
CA2105581A1 (en) Waste tyre disposal recycling
KR100393525B1 (ko)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장치 및 방법
JP2009535209A (ja) 廃棄物分離の方法ならびに装置
JPH0924360A (ja) 廃棄物リサイクルプラント
US69766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inding rubber
JP2683631B2 (ja) 廃棄物リサイクルプラント
JP2965479B2 (ja) 廃棄物リサイクルプラント
KR100553024B1 (ko) 폐토사를 이용한 잔골재 제조장치
JP3583374B2 (ja) 廃プラスチックのリサイクル設備
JP2923244B2 (ja) 廃棄物の固形燃料化リサイクルプラント
JP3278384B2 (ja) 廃棄物の無公害化再生処理プラント
KR20030078844A (ko)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
KR100704182B1 (ko) 가연성 폐기물을 이용한 압출 성형장치 및 그 제어방법
RU2164817C1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твердых бытовых и промышленных отходов и поточная линия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010088670A (ko) 가연성쓰레기의 재생연료 제조 장치
KR200251357Y1 (ko) 음식물 찌꺼기 및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2575534B1 (ko) 가연성폐기물 압축 파분쇄 장치
JP3778689B2 (ja) 埋立廃棄物の処分方法
JPH03161057A (ja) 粗大廃棄物の処理プラント
KR200330592Y1 (ko) 가연성 폐기물을 이용한 압출 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