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926B1 - 폐플라스틱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플라스틱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926B1
KR102538926B1 KR1020220188096A KR20220188096A KR102538926B1 KR 102538926 B1 KR102538926 B1 KR 102538926B1 KR 1020220188096 A KR1020220188096 A KR 1020220188096A KR 20220188096 A KR20220188096 A KR 20220188096A KR 102538926 B1 KR102538926 B1 KR 102538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lter
processing
melt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8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재
Original Assignee
이중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재 filed Critical 이중재
Priority to KR1020220188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9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3Extrusion moulding in several steps, i.e. components merging outside the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5Filamentary, e.g. str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29C48/52Screws with an outer diameter varying along the longitudinal axis, e.g. for obtaining different thread clea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29C48/59Screw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thread, i.e. the shape of a single thread of the material-feeding screw
    • B29C48/595Screw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thread, i.e. the shape of a single thread of the material-feeding screw the thread having non-uniform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29C48/64Screws with two or more threads
    • B29C48/655Screws with two or more threads having three or more 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69Filters or screens for the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76Venting, drying means; Degassing means
    • B29C48/765Venting, drying means; Degassing means in the extruder apparatus
    • B29C48/766Venting, drying means; Degassing means in the extruder apparatus in screw extru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폐플라스틱 재생장치는 원재료배출부, 제1가공부, 제2가공부, 제3가공부 및 가스흡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공부는 원재료투입부, 제1용융압출부, 제1가공배출부 및 제1가스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용융압출부는 제1용융압출본체부 및 압출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출스크류는 중심에서 상기 회전날의 단부까지의 거리(D0)가 일정하게 구비되고, 상기 압출스크류는 제1직경(D1)을 가지며, 회전날의 간격이 제1간격(E1)으로 구비되는 제1압출스크류, 상기 제1압출스크류와 연결되며 제2직경(D2)을 가지고, 회전날의 간격이 제2간격(E2)으로 구비되는 제2압출스크류 및 상기 제2압출스크류와 연결되며 제3직경(D3)을 가지고, 회전날의 간격이 제3간격(E3)으로 구비되는 제3압출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직경(D2)은 상기 제1직경(D1)과 상기 제3직경(D3)보다 크게 구비되며, 상기 제2압출스크류의 회전날의 돌출높이(H2)는 상기 제1압출스크류의 회전날의 돌출높이(H1)와 상기 제3압출스크류의 회전날의 돌출높이(H3)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투입된 폐플라스틱이 용융되며 효과적으로 섞일 수 있어 재생 플라스틱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폐플라스틱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Waste plastic recycling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재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각종 석유화학제품이 산업 전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대량으로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폐플라스틱이 대량으로 배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폐플라스틱은 분해되거나 썩지않는 성질로 인해 매립시에는 토양을 황폐화시켜 자연환경을 파괴하고 소각시에는 각종 중금속의 배출과 유독가스의 발생으로 대기환경을 파괴할 뿐 아니라 인체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등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폐플라스틱을 재생가공을 거쳐 고형연료제품(SRF)이나 재생원료로 재활용하는 기술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폐플라스틱 재생가공과정에는 폐플라스틱을 용융압출하는 압출기가 사용된다.
다만, 종래의 압출기는 스크류가 일정하게 형성되어 폐플라스틱의 용융과정에서 잘 섞이지 않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즉, 동일한 PP 재질이라고 하여도 특성이 다를 수 있어 일정한 스크류가 구비된 압출기를 통해 믹싱한다면 폐플라스틱이 용융되면서 잘 섞이지 않아 제품에 질이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출기의 스크류와 원통형상의 축에 대한 최적 설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압출기를 통한 1회의 용융압출만 진행한다면, 투입되는 폐플라스틱 전체가 용융되지 않거나 믹싱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압출기를 통과하여 1차적으로 용융압출된 폐플라스틱을 2차, 3차 더 용융압출시켜 투입되는 폐플라스틱 전체를 최대한 균형있게 용융하여 섞는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폐플라스틱과 함께 투입될 수 있는 불순물이나 용융이 완벽하게 되지 않은 폐플라스틱을 거를 수 있는 필터의 배치와 필터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 등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22-0083913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압출기의 최적설계를 통해 폐플라스틱이 용융과정 중에 효과적으로 배합, 교반 및 믹싱 될 수 있는 폐플라스틱 재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1차, 2차 및 3차 등 여러번의 용융압출을 거쳐 품질이 우수한 재생 플라스틱을 생산할 수 있는 폐플라스틱 재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필터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되어 품질이 우수한 재생 플라스틱을 생산할 수 있는 폐플라스틱 재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폐플라스틱 재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폐플라스틱 재생장치는 제1가공부, 제2가공부 및 제3가공부의 다단구조로 폐플라스틱을 용융 및 압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로부터 원재료를 공급받아 일정량의 원재료를 배출시키는 원재료배출부, 상기 원재료배출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원재료를 용융 및 압출시키는 제1가공부, 상기 제1가공부에서 용융압출된 원재료를 공급받아 다시 용융 및 압출시키는 제2가공부, 상기 제2가공부에서 용융압출된 원재료를 공급받아 다시 용융하여 스트링형태로 압출시키는 제3가공부 및 상기 원재료배출부, 상기 제1가공부, 상기 제2가공부 및 상기 제3가공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흡수하는 가스흡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공부는 전방이 개방되어 상기 원재료배출부로부터 상기 원재료를 공급받는 원재료투입부, 상기 원재료투입부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원재료를 용융 및 압출시키는 제1용융압출부, 상기 제1용융압출부의 단부에 배치되며, 용융압출된 원재료가 배출되는 제1가공배출부 및 상기 제1용융압출부의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원재료의 용융 및 압출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하는 제1가스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용융압출부는 상기 원재료투입부와 연결되는 제1용융압출본체부 및 상기 제1용융압출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용융압출본체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원통형상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날이 돌출되는 압출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압출스크류는 중심에서 상기 회전날의 단부까지의 거리(D0)가 일정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출스크류는 제1직경(D1)을 가지며, 회전날의 간격이 제1간격(E1)으로 구비되는 제1압출스크류, 상기 제1압출스크류와 연결되며 제2직경(D2)을 가지고, 회전날의 간격이 제2간격(E2)으로 구비되는 제2압출스크류 및 상기 제2압출스크류와 연결되며 제3직경(D3)을 가지고, 회전날의 간격이 제3간격(E3)으로 구비되는 제3압출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직경(D2)은 상기 제1직경(D1)과 상기 제3직경(D3)보다 크게 구비되며, 상기 제2압출스크류의 회전날의 돌출높이(H2)는 상기 제1압출스크류의 회전날의 돌출높이(H1)와 상기 제3압출스크류의 회전날의 돌출높이(H3)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간격(E2)은 상기 제1간격(E1)과 같거나 크게 구비되며, 상기 제1간격(E1)은 상기 제3간격(E3)과 같거나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압출스크류의 회전날과 상기 제3압출스크류의 회전날은 제1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압출스크류의 회전날은 제1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되고, 후단부의 일부가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압출스크류의 회전날의 두께(t1)는 상기 제2압출스크류의 회전날의 두께(t2)와 같거나 크게 구비되며, 상기 제2압출스크류의 회전날의 두께(t2)는 상기 제3압출스크류의 회전날의 두께(t3)와 같거나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가공부는 상기 제1가공배출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가공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용융압출된 원재료가 투입되는 제2가공투입부, 상기 제2가공투입부의 하측에 연결되어 제1가공배출부로부터 유입된 용융압출된 원재료를 용융 및 압출시키는 제2용융압출부, 상기 제2용융압출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용융압출부에서 용융압출된 원재료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 연결되며,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용융압출된 원재료가 배출되는 제2가공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2용융압출부와 연결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필터본체부, 상기 필터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용융압출부에서 용융압출된 원재료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 상기 필터본체부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필터교환부 및 상기 필터교환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교환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필터동력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필터교환부의 하측에 이격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가공부는 상기 제2가공배출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가공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용융압출된 원재료가 투입되는 제3가공투입부, 상기 제3가공투입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가공배출부로부터 유입된 용융압출된 원재료를 용융 및 압출시키는 제3용융압출부 및 상기 제3용융압출부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3용융압출부에서 용융압출된 원재료를 스트링 형태로 배출시키는 제3가공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가공배출부는 외관을 형성하며 제3용융압출부를 폐쇄하는 제3가공배출본체부 및 제3가공배출본체부의 중심과 이격되어 상기 제3가공배출본체부의 중심을 환형으로 둘러싸며, 복수 개의 통공으로 형성되는 제3가공배출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가공배출형성부는 상기 제3용융압출부에서 용융압출된 원재료를 스트링 형태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흡수부는 상기 원재료투입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가스를 흡수하는 원재료가스흡수부, 상기 제1가스배출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가스를 흡수하는 가스배출흡수부, 상기 제2가공투입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가스를 흡수하는 가공투입흡수부, 상기 제2용융압출부의 상측 및 상기 제3가공투입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가스를 흡수하는 복합가스흡수부 및 상기 제3가공배출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가스를 흡수하는 말단가스흡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가공부의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3가공부와 멀어지도록 연장되며 내부에 물이 수용되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가공보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가공부는 상기 필터본체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를 고정하는 필터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고정부는 상기 필터교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의 측부를 고정하는 필터측부고정부, 상기 필터교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의 상부를 고정하는 필터상부고정부 및 상기 필터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의 하부를 고정하는 필터하부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상부고정부는 상기 필터의 상부가 삽입되는 필터삽입부 및 상기 필터삽입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를 고정하며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비되는 필터탄성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압출기의 최적설계를 통해 폐플라스틱이 용융과정 중에 효과적으로 배합, 교반 및 믹싱 될 수 있는 폐플라스틱 재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1차, 2차 및 3차 등 여러번의 용융압출을 거쳐 품질이 우수한 재생 플라스틱을 생산할 수 있는 폐플라스틱 재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필터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되어 품질이 우수한 재생 플라스틱을 생산할 수 있는 폐플라스틱 재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폐플라스틱 재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재생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재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재료배출부와 원재료투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공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스크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제2가공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과 다른 각도에서 제2가공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가공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재생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재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재생장치(S)는 원재료배출부(O), 제1가공부(1), 제2가공부(3), 제3가공부(5) 및 가스흡수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원재료배출부(O)는 외부로부터 원재료를 공급받아 일정량의 원재료를 배출시킬 수 있다. 원재료는 주로 PP(polypropylene)를 사용하며, 분쇄 및 세척까지 완료된 조각조각의 폐플라스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원재료배출부(O)는 분쇄 및 세척까지 완료된 폐플라스틱을 일정량만큼 외부로 배출시켜 후술할 제1가공부(1)에 한번에 과도하거나 과소한 폐플라스틱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재료배출부(O)는 정량의 폐플라스틱이 배출되는 지를 파악할 수 있는 센서가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1가공부(1)는 원재료배출부(O)로부터 공급된 원재료를 용융 및 압출시킬 수 있다. 즉, 제1가공부(1)는 분쇄 및 세척까지 완료된 폐플라스틱 원재료를 고온으로 용융 및 압출시켜 펠릿형태의 재생 플라스틱 원료로 만들 수 있다.
제2가공부(3)는 제1가공부(1)에서 용융압출된 원재료를 공급받아 다시 용융 및 압출시킬 수 있다. 즉, 제2가공부(3)는 제1가공부(1)에서 용융압출된 원재료를 재차 용융 및 압출하여 제1가공부(1)만 통과했을 때보다 품질이 향상된 재생 플라스틱 원료를 획득할 수 있다.
제3가공부(5)는 제2가공부(3)에서 용융압출된 원재료를 공급받아 다시 용융하여 스트링형태로 압출시킬 수 있다. 즉, 제3가공부(5)는 제2가공부(3)에서 용융압출된 원재료를 재차 용융 및 압출하여 제1가공부(1)와 제2가공부(3)만 통과했을 때보다 품질이 향상된 재생 플라스틱 원료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3가공부(5)는 펠릿형태의 재생 플라스틱 원료를 만들기 위해 스트링형태로 압출시킬 수 있다.
가스흡수부(7)는 원재료배출부(O), 제1가공부(1), 제2가공부(3) 및 제3가공부(5)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흡수할 수 있다. 즉, 가스흡수부(7)는 폐플라스틱 용융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흡수하여 폐플라스틱 재생장치(S) 작업자나 주변사람들에게 유해가스가 흡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유해가스는 CO, NOx, SOx, HCl등 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재료배출부와 원재료투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공부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공부(1)는 원재료투입부(11), 제1용융압출부(13), 제1가공배출부(15) 및 제1가스배출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원재료투입부(11)는 전방이 개방되어 원재료배출부(O)로부터 원재료를 공급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재료투입부(11)는 전방이 개방되어 원재료배출부(O)의 단부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원재료 투입시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제1용융압출부(13)는 원재료투입부(11)의 하측에 연결되어 원재료를 용융 및 압출시킬 수 있다. 즉, 제1용융압출부(13)는 내부가 고온으로 형성되어 투입된 원재료가 용융되며, 압출되면서 배합, 교반 및 믹싱될 수 있다. 즉, 제1용융압출부(13)는 재생 폐플라스틱의 구성이 균형있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제1가스배출부(17)는 제1용융압출부(13)의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원재료의 용융 및 압출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즉, 제1가스배출부(17)는 원재료의 용융시 발생되는 가스를 즉각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가스흡수부(7)가 배출되는 가스를 흡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용융압출부(13)는 제1용융압출본체부(131), 압출스크류(133) 및 가스통기구(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용융압출본체부(131)는 원재료투입부(11)와 연결되며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압출스크류(133)는 제1용융압출본체부(131)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용융압출본체부(131)의 연장방향을 따라 원통형상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날이 돌출될 수 있다.
가스통기구(135)는 제1용융압출본체부(13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압출스크류(133)가 배치된 공간과 제1가스배출부(17)를 연통시켜 압출스크류(133)에 의해 원재료가 용융 및 압출되면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스크류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스크류(133)는 중심에서 회전날의 단부까지의 거리(DO)가 일정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압출스크류(133)는 일측의 회전날에서 타측의 회전날까지의 거리가 압출스크류(133)의 중심에서 회전날의 단부까지의 거리(D0)의 두배로 일정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압출스크류(133)는 제1압출스크류(1331), 제2압출스크류(1333) 및 제3압출스크류(13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압출스크류(1331)는 제1직경(D1)을 가지며, 회전날의 간격이 제1간격(E1)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압출스크류(1333)는 제1압출스크류(1331)와 연결되며 제2직경(D2)을 가지고, 회전날의 간격이 제2간격(E2)로 구비될 수 있다. 제3압출스크류(1335)는 제2압출스크류(1333)와 연결되며 제3직경(D3)을 가지고, 회전날의 간격이 제3간격(E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압출스크류(1331), 제2압출스크류(1333) 및 제3압출스크류(1335)는 직경과 회전날의 간격이 다양하게 구비되어 용융 및 압출되는 원재료의 배합, 교반 및 믹싱이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고, 재생 플라스틱 원료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직경(D2)은 제1직경(D1)과 제3직경(D3)보다 크게 구비되며, 제2압출스크류(1333)의 회전날의 돌출높이(H2)는 제1압출스크류(1331)의 회전날의 돌출높이(H1)와 제3압출스크류(1335)의 회전날의 돌출높이(H3)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압출스크류(133)의 중심에서 회전날의 단부까지의 거리(D0)가 일정함에 따라, 제2직경(D2)은 제1직경(D1)과 제3직경(D3)보다 크게 구비되며, 제2압출스크류(1333)의 회전날의 돌출높이(H2)는 제1압출스크류(1331)의 회전날의 돌출높이(H1)와 제3압출스크류(1335)의 회전날의 돌출높이(H3)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압출스크류(1331)에서 용융 및 압출되어 제2압출스크류(1333)로 투입되는 원재료는 제2압출스크류(1333)에서의 유동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즉, 제2압출스크류(1333)의 회전날을 따라 유동하는 원재료는 원재료들끼리 교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직경(D1)은 제3직경(D3)보다 크게 구비되며, 제1압출스크류(1331)의 회전날의 돌출높이(H1)는 제3압출스크류(1335)의 회전날의 돌출높이(H3)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압출스크류(1333)에서 용융 및 압출되어 제3압출스크류(1335)로 투입되는 원재료는 제3압출스크류(1335)에서 유동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즉, 제2압출스크류(1333)에서 교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 원재료가 제3압출스크류(1335)를 통해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직경(D1)은 제2직경(D2)의 0.92 내지 0.98로 구비될 수 있고, 제3직경(D3)은 제1직경(D1)의 0.92 내지 0.98로 구비될 수 있어 더 효율적으로 원재료가 용융 및 압출되면서 섞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직경(D1)은 제2직경(D2)의 0.94 내지 0.96로 구비될 수 있고, 제3직경(D3)은 제1직경(D1)의 0.94 내지 0.96로 구비될 수 있어 더 효율적으로 원재료가 용융 및 압출되면서 섞일 수 있다.
또한, 제2간격(E2)은 제1간격(E1)과 같거나 크게 구비되며, 제1간격(E1)은 제3간격(E3)과 같거나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압출스크류(1331)에서 용융 및 압출되어 제2압출스크류(1333)로 투입되는 원재료는 원재료들끼리 섞일 수 있는 면적이 증대되어 배합, 교반 및 믹싱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압출스크류(1333)에서 용융 및 압출되어 제3압출스크류(1335)로 투입되는 원재료는 압출스크류(133)의 회전에 따라 더 빨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간격(E1)은 제2간격(E2)의 0.97 내지 1로 구비되며, 제3간격(E3)은 제1간격(E1)의 0.97 내지 1로 구비될 수 있어 제1압출스크류(1331)에서 용융 및 압출되어 제2압출스크류(1333)로 투입되는 원재료는 원재료들끼리 섞일 수 있는 면적이 최대화되어 배합, 교반 및 믹싱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압출스크류(1333)에서 용융 및 압출되어 제3압출스크류(1335)로 투입되는 원재료는 압출스크류(133)의 회전에 따라 더 빨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간격(E1)은 제2간격(E2)의 0.98 내지 1로 구비되며, 제3간격(E3)은 제1간격(E1)의 0.98 내지 1로 구비될 수 있어 제1압출스크류(1331)에서 용융 및 압출되어 제2압출스크류(1333)로 투입되는 원재료는 원재료들끼리 섞일 수 있는 면적이 최대화되어 배합, 교반 및 믹싱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압출스크류(1333)에서 용융 및 압출되어 제3압출스크류(1335)로 투입되는 원재료는 압출스크류(133)의 회전에 따라 더 빨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제1압출스크류(1331)의 회전날과 제3압출스크류(1335)의 회전날은 제1방향(C1)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되며, 제2압출스크류(1333)의 회전날은 제1방향(C1)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되고, 후단부의 일부가 제1방향(C1)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C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2압출스크류(1333)의 제1압출스크류(1331)의 회전날과 연결되는 회전날은 제1방향(C1)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되며, 제2압출스크류(1333)의 제3압출스크류(1335)의 회전날과 연결되는 회전날은 제2방향(C2)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압출스크류(1333)의 회전날이 제1방향(C1)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원재료의 정체가 이루어질 수 있고, 제2압출스크류(1333)의 회전날이 제2방향(C2)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원재료의 역산이 이루어 질 수 있어 원재료의 배합, 교반 및 믹싱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제2압출스크류(1333)는 정체부(1333a)와 역산부(1333b)를 포함할 수 있고, 정체부(1333a)와 역산부(1333b)의 상호작용에 의해 원재료의 배합, 교반 및 믹싱이 효과적으로 수행되어 생산된 재생 플라스틱 원료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정체부(1333a)와 역산부(1333b)는 동일한 길이로 구비되어 상호작용이 극대화될 수 있고, 원재료의 배합, 교반 및 믹싱이 더 효과적으로 수행되어 생산된 재생 플라스틱 원료의 품질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압출스크류(1331)의 회전날의 두께(t1)는 제2압출스크류(1333)의 회전날의 두께(t2)와 같거나 크게 구비되며, 제2압출스크류(1333)의 회전날의 두께(t2)는 제3압출스크류(1335)의 회전날의 두께(t3)와 같거나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압출스크류(1331), 제2압출스크류(1333) 및 제3압출스크류(1335)를 통과하는 용융된 원재료가 다양한 조건에서 배합, 교반 및 믹싱될 수 있어 용융된 원재료의 전체적인 구성이 밸런스 잡힐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압출스크류(1333)의 회전날의 두께(t2)는 제1압출스크류(1331)의 회전날의 두께(t1)의 0.97 내지 1로 구비되며, 제3압출스크류(1335)의 회전날의 두께(t3)는 제2압출스크류(1333)의 회전날의 두께(t2)의 0.97 내지 1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압출스크류(1331), 제2압출스크류(1333) 및 제3압출스크류(1335)를 통과하는 용융된 원재료가 다양한 조건에서 배합, 교반 및 믹싱될 수 있어 용융된 원재료의 전체적인 구성이 더 밸런스 잡힐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압출스크류(1333)의 회전날의 두께(t2)는 제1압출스크류(1331)의 회전날의 두께(t1)의 0.98 내지 1로 구비되며, 제3압출스크류(1335)의 회전날의 두께(t3)는 제2압출스크류(1333)의 회전날의 두께(t2)의 0.98 내지 1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압출스크류(1331), 제2압출스크류(1333) 및 제3압출스크류(1335)를 통과하는 용융된 원재료가 다양한 조건에서 배합, 교반 및 믹싱될 수 있어 용융된 원재료의 전체적인 구성이 더 밸런스 잡힐 수 있다.
즉, 폐플라스틱이 동일한 PP재료라 하더라도 조금씩 특성이 달라 용융과정에서 잘 섞이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나 복합적인 압출스크류(133)구조를 통해 배합, 교반 및 믹싱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제2가공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과 다른 각도에서 제2가공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가공부(3)는 제2가공투입부(31), 제2용융압출부(33), 필터부(35) 및 제2가공배출부(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가공투입부(31)는 제1가공배출부(15)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가공배출부(15)에서 배출되는 용융압출된 원재료가 투입될 수 있다. 즉, 제2가공투입부(31)는 제1가공부(1)에서 1차적으로 용융압출된 원재료가 투입될 수 있다.
제2용융압출부(33)는 제2가공투입부(31)의 하측에 연결되어 제1가공배출부(15)로부터 유입된 용융압출된 원재료를 용융 및 압출시킬 수 있다. 즉, 제2용융압출부(33)는 1차적으로 용융압출된 원재료를 재차 용융 및 압출하여 재생 플라스틱 원료의 전체적인 구성이 균형잡히도록 할 수 있다.
제2용융압출부(33)는 제1용융압출부(13)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다른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폐플라스틱 재생장치(S)가 배치되는 장소의 형태 및 크기, 사용되는 폐플라스틱 원재료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필터부(35)는 제2용융압출부(33)와 연결되며, 제2용융압출부(33)에서 용융압출된 원재료에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즉, 필터부(35)는 제1용융압출부(13)와 제2용융압출부(33)에서 용융되지 않은 원재료나 원재료 투입시 함께 투입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제2가공배출부(37)는 필터부(35)에 연결되며, 필터부(35)를 통과한 용융압출된 원재료가 배출될 수 있다. 즉, 제2가공배출부(37)는 2차적으로 용융압출된 원재료를 제3가공부(5)로 안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35)는 필터본체부(351), 필터(353), 필터교환부(355) 및 필터동력제공부(357)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본체부(351)는 제2용융압출부(33)와 연결되며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필터본체부(351)는 내부에 다른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일측이 제2용융압출부(33)와 연결되며, 타측이 제2가공배출부(37)와 연결될 수 있다.
필터(353)는 필터본체부(351)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2용융압출부(33)에서 용융압출된 원재료에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필터(353)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례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메쉬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교환부(355)는 필터본체부(351)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필터본체부(351)의 상부가 개방될 수 있고, 필터교환부(355)는 이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필터교환부(355)는 필터교체를 할 때에 상측으로 이동되어 필터(353)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고, 필터(353)가 사용시에는 필터본체부(351)의 상부를 폐쇄시킬 수 있다. 즉, 필터교환부(355)는 폐플라스틱 재생장치(S)의 정지 없이 필터(353)를 외부로 노출시켜 교체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필터동력제공부(357)는 필터교환부(355)의 상부에 구비되어 필터교환부(355)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필터동력제공부(357)는 모터로 구비되어 필터교환부(355)의 이동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필터(353)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필터교환부(355)의 하측에 이격배치되어 필터(353)를 통해 여러 차례 불순물을 제거하여 불순물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가공부(3)는 필터고정부(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고정부(4)는 필터본체부(351)의 내측에 배치되어 필터(353)를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고정부(4)는 필터측부고정부(41), 필터상부고정부(43) 및 필터하부고정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측부고정부(41)는 필터교환부(355)에 구비되어 필터(353)의 측부를 고정할 수 있다. 즉, 필터측부고정부(41)는 필터(353)의 양측면이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일면이 내측으로 만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필터상부고정부(43)는 필터교환부(355)에 구비되어 필터(353)의 상부를 고정할 수 있다. 즉, 필터상부고정부(43)는 필터측부고정부(41)와 함께 필터(353)를 고정하여 필터(353)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필터하부고정부(45)는 필터본체부(351)에 구비되어 필터(353)의 하부를 고정할 수 있다. 즉, 필터하부고정부(45)는 필터상부고정부(43) 및 필터측부고정부(41)와 함께 필터(353) 테두리를 모두 고정하여 고정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필터하부고정부(45)는 2개의 격벽으로 구비되어 사이에 필터(353)가 배치되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고정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상부고정부(43)는 필터삽입부(431)와 필터탄성고정부(433)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삽입부(431)는 필터(353)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필터교환부(355)의 일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구비될 수 있다.
필터탄성고정부(433)는 필터삽입부(431)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필터(353)를 고정하며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필터탄성고정부(433)는 탄성을 가져 필터(353) 삽입시 상측으로 움직이다 필터(353)의 구멍사이로 삽입되어 필터(353)를 고정할 수 있고, 필터(353) 해체시 하측으로 움직이다 필터(353)의 구멍사이에서 빠져 필터(353)를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탄성고정부(433)는 3개로 구비되어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고, 필터삽입부(431)의 한정된 공간 내에서 필터(353)를 효율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필터(353) 해제시에도 사용자가 힘을 최소화하여 해제할 수 있다.
즉, 필터삽입부(431)와 필터탄성고정부(433)는 간단한 구조로서 필터(353)를 효과적으로 고정하며, 별다른 구성이나 작동없이 필터(353)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가공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가공부(5)는 제3가공투입부(51), 제3용융압출부(53) 및 제3가공배출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3가공투입부(51)는 제2가공배출부(37)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2가공배출부(37)에서 배출되는 용융압출된 원재료가 투입될 수 있다. 즉, 제1가공부(1)와 제2가공부(3)를 거쳐 1차 및 2차의 용융압출된 원재료가 3차의 용융압출 과정을 거치기 위해 제3가공투입부(51)로 투입될 수 있다.
제3용융압출부(53)는 제3가공투입부(51)에 연결되며, 제2가공배출부(37)로부터 유입된 용융압출된 원재료를 용융 및 압출시킬 수 있다. 즉, 제3용융압출부(53)는 제1용융압출부(13)를 통해 효과적인 배합, 교반 및 믹싱이 수행되고 제2용융압출부(33)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되어 어느정도 용융압출이 완성된 원재료가 투입될 수 있고 최종적으로 용융 및 압출을 수행할 수 있다.
제3용융압출부(53)는 제1용융압출부(13)와 같이 압출스크류(133)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2용융압출부(33)와 같이 필터(353)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폐플라스틱 재생장치(S)의 배치장소 및 장소의 크기, 폐플라스틱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3가공배출부(55)는 제3용융압출부(53)의 단부에 구비되며, 제3용융압출부(53)에서 용융압출된 원재료를 스트링 형태로 배출시킬 수 있다. 즉, 재생 플라스틱을 펠릿형태로 용이하게 만들기 위해 제3가공배출부(55)는 스트링 형태로 원재료를 배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가공배출부(55)는 제3가공배출본체부(551) 및 제3가공배출형성부(5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가공배출본체부(551)는 외관을 형성하며, 제3용융압출부(53)를 폐쇄할 수 있다.
제3가공배출형성부(553)는 제3가공배출본체부(551)의 중심과 이격되어 제3가공배출본체부(551)의 중심을 환형으로 둘러싸며, 복수 개의 통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가공배출형성부(553)는 제3용융압출부(53)에서 용융압출된 원재료를 스트링 형태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재생장치(S)는 가공보조부(9)를 포함할 수 있다.
가공보조부(9)는 제3가공부(5)의 후단에 배치되어 제3가공부(5)와 멀어지도록 연장되며, 내부에 물이 수용되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가공보조부(9)는 폐플라스틱 재생장치(S)의 작업자가 물이 필요한 경우 물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흡수부(7)는 원재료가스흡수부(71), 가스배출흡수부(73), 가공투입흡수부(75), 복합가스흡수부(77) 및 말단가스흡수부(79)를 포함할 수 있다.
원재료가스흡수부(71)는 원재료투입부(11)의 상측에 배치되어 가스를 흡수할 수 있다. 즉, 원재료투입부(11)의 상부가 개방되고 원재료가스흡수부(71)가 배치되어 가스를 흡수할 수 있다.
가스배출흡수부(73)는 제1가스배출부(17)의 상측에 배치되어 가스를 흡수할 수 있고, 가공투입흡수부(75)는 제2가공투입부(31)의 상측에 배치되어 가스를 흡수할 수 있다.
복합가스흡수부(77)는 제2용융압출부(33)의 상측 및 제3가공투입부(51)의 상측에 배치되어 가스를 흡수할 수 있고, 말단가스흡수부(79)는 제3가공배출부(55)의 상측에 배치되어 가스를 흡수할 수 있다.
즉, 가스흡수부(7)는 여러부분에 배치되어 폐플라스틱 재생장치(S)의 작동 중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흡수하여 사용자나 작업자에게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제1가공부 3: 제2가공부
5: 제3가공부 7: 가스흡수부
9: 가공보조부

Claims (10)

  1. 외부로부터 원재료를 공급받아 일정량의 원재료를 배출시키는 원재료배출부;
    상기 원재료배출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원재료를 용융 및 압출시키는 제1가공부;
    상기 제1가공부에서 용융압출된 원재료를 공급받아 다시 용융 및 압출시키는 제2가공부;
    상기 제2가공부에서 용융압출된 원재료를 공급받아 다시 용융하여 스트링형태로 압출시키는 제3가공부; 및
    상기 원재료배출부, 상기 제1가공부, 상기 제2가공부 및 상기 제3가공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흡수하는 가스흡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공부는
    전방이 개방되어 상기 원재료배출부로부터 상기 원재료를 공급받는 원재료투입부;
    상기 원재료투입부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원재료를 용융 및 압출시키는 제1용융압출부;
    상기 제1용융압출부의 단부에 배치되며, 용융압출된 원재료가 배출되는 제1가공배출부; 및
    상기 제1용융압출부의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원재료의 용융 및 압출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하는 제1가스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용융압출부는
    상기 원재료투입부와 연결되는 제1용융압출본체부; 및
    상기 제1용융압출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용융압출본체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원통형상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날이 돌출되는 압출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압출스크류는 중심에서 상기 회전날의 단부까지의 거리(D0)가 일정하게 구비되고,
    상기 압출스크류는
    제1직경(D1)을 가지며, 회전날의 간격이 제1간격(E1)으로 구비되는 제1압출스크류;
    상기 제1압출스크류와 연결되며 제2직경(D2)을 가지고, 회전날의 간격이 제2간격(E2)으로 구비되는 제2압출스크류; 및
    상기 제2압출스크류와 연결되며 제3직경(D3)을 가지고, 회전날의 간격이 제3간격(E3)으로 구비되는 제3압출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직경(D2)은 상기 제1직경(D1)과 상기 제3직경(D3)보다 크게 구비되며, 상기 제2압출스크류의 회전날의 돌출높이(H2)는 상기 제1압출스크류의 회전날의 돌출높이(H1)와 상기 제3압출스크류의 회전날의 돌출높이(H3)보다 작게 구비되며,
    상기 제2간격(E2)은 상기 제1간격(E1)과 같거나 크게 구비되며, 상기 제1간격(E1)은 상기 제3간격(E3)과 같거나 크게 구비되고,
    상기 제1압출스크류의 회전날과 상기 제3압출스크류의 회전날은 제1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압출스크류의 회전날은 상기 제1압출스크류의 회전날로부터 제1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2압출스크류의 회전날의 후단부의 일부가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압출스크류의 회전날의 두께(t1)는 상기 제2압출스크류의 회전날의 두께(t2)와 같거나 크게 구비되며, 상기 제2압출스크류의 회전날의 두께(t2)는 상기 제3압출스크류의 회전날의 두께(t3)와 같거나 크게 구비되는 되고,
    상기 제2가공부는
    상기 제1가공배출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가공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용융압출된 원재료가 투입되는 제2가공투입부;
    상기 제2가공투입부의 하측에 연결되어 제1가공배출부로부터 유입된 용융압출된 원재료를 용융 및 압출시키는 제2용융압출부;
    상기 제2용융압출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용융압출부에서 용융압출된 원재료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 연결되며,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용융압출된 원재료가 배출되는 제2가공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2용융압출부와 연결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필터본체부;
    상기 필터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용융압출부에서 용융압출된 원재료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
    상기 필터본체부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필터교환부; 및
    상기 필터교환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교환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필터동력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필터교환부의 하측에 이격배치 되며,
    제2가공부는
    상기 필터본체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를 고정하는 필터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고정부는
    상기 필터교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의 측부를 고정하는 필터측부고정부;
    상기 필터교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의 상부를 고정하는 필터상부고정부; 및
    상기 필터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의 하부를 고정하는 필터하부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상부고정부는
    상기 필터의 상부가 삽입되는 필터삽입부; 및
    상기 필터삽입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를 고정하며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비되는 필터탄성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측부고정부는 상기 필터의 양측면이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일면이 내측으로 만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재생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제3가공부는
    상기 제2가공배출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가공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용융압출된 원재료가 투입되는 제3가공투입부;
    상기 제3가공투입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가공배출부로부터 유입된 용융압출된 원재료를 용융 및 압출시키는 제3용융압출부; 및
    상기 제3용융압출부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3용융압출부에서 용융압출된 원재료를 스트링 형태로 배출시키는 제3가공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가공배출부는
    외관을 형성하며 제3용융압출부를 폐쇄하는 제3가공배출본체부; 및
    제3가공배출본체부의 중심과 이격되어 상기 제3가공배출본체부의 중심을 환형으로 둘러싸며, 복수 개의 통공으로 형성되는 제3가공배출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가공배출형성부는 상기 제3용융압출부에서 용융압출된 원재료를 스트링 형태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재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흡수부는
    상기 원재료투입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가스를 흡수하는 원재료가스흡수부;
    상기 제1가스배출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가스를 흡수하는 가스배출흡수부;
    상기 제2가공투입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가스를 흡수하는 가공투입흡수부;
    상기 제2용융압출부의 상측 및 상기 제3가공투입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가스를 흡수하는 복합가스흡수부; 및
    상기 제3가공배출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가스를 흡수하는 말단가스흡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재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가공부의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3가공부와 멀어지도록 연장되며 내부에 물이 수용되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가공보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재생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220188096A 2022-12-29 2022-12-29 폐플라스틱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538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8096A KR102538926B1 (ko) 2022-12-29 2022-12-29 폐플라스틱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8096A KR102538926B1 (ko) 2022-12-29 2022-12-29 폐플라스틱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926B1 true KR102538926B1 (ko) 2023-06-01

Family

ID=86770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8096A KR102538926B1 (ko) 2022-12-29 2022-12-29 폐플라스틱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926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650A (ko) * 2000-08-31 2002-03-07 정용희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장치 및 방법
KR200466965Y1 (ko) * 2011-02-22 2013-05-24 서동원 폐합성수지 재생압출기
KR101304334B1 (ko) * 2013-03-04 2013-09-11 (주)삼일폴리머 연료화되기 이전에 분리수거 되는 폐비닐과 폐 플라스틱 고형 연료로 활용되는 폐비닐 압축블럭에서 재물질을 회수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75546Y1 (ko) * 2013-03-28 2014-12-09 조계연 제습 효과가 강화된 사출성형기용 호퍼
KR20150124230A (ko) * 2014-04-28 2015-11-05 (주)창성피앤알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
JP2020521432A (ja) * 2017-06-01 2020-07-27 ウェンガー マニュファクチュアリング アイエヌシー. 高比機械エネルギー押出しスクリュー組立体
KR102256740B1 (ko) * 2020-09-09 2021-05-26 김현수 폐합성수지 펠렛화 장치
KR102332507B1 (ko) * 2021-04-07 2021-12-03 (주)동진폴리켐 재생플라스틱 펠릿 제조장치
KR20220083913A (ko) 2020-12-11 2022-06-21 한근수 열매체유를 통해 용융효율이 향상된 폐플라스틱 재생을 위한 압출장치
KR20220145966A (ko) * 2021-04-22 2022-11-01 안병학 각 2개의 믹싱존과 환기구를 가지는 폐합성수지 재생 압출장치
CN218084095U (zh) * 2022-09-28 2022-12-20 青岛亚信塑料挤出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过滤结构的塑料挤出机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650A (ko) * 2000-08-31 2002-03-07 정용희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장치 및 방법
KR200466965Y1 (ko) * 2011-02-22 2013-05-24 서동원 폐합성수지 재생압출기
KR101304334B1 (ko) * 2013-03-04 2013-09-11 (주)삼일폴리머 연료화되기 이전에 분리수거 되는 폐비닐과 폐 플라스틱 고형 연료로 활용되는 폐비닐 압축블럭에서 재물질을 회수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75546Y1 (ko) * 2013-03-28 2014-12-09 조계연 제습 효과가 강화된 사출성형기용 호퍼
KR20150124230A (ko) * 2014-04-28 2015-11-05 (주)창성피앤알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
JP2020521432A (ja) * 2017-06-01 2020-07-27 ウェンガー マニュファクチュアリング アイエヌシー. 高比機械エネルギー押出しスクリュー組立体
KR102256740B1 (ko) * 2020-09-09 2021-05-26 김현수 폐합성수지 펠렛화 장치
KR20220083913A (ko) 2020-12-11 2022-06-21 한근수 열매체유를 통해 용융효율이 향상된 폐플라스틱 재생을 위한 압출장치
KR102332507B1 (ko) * 2021-04-07 2021-12-03 (주)동진폴리켐 재생플라스틱 펠릿 제조장치
KR20220145966A (ko) * 2021-04-22 2022-11-01 안병학 각 2개의 믹싱존과 환기구를 가지는 폐합성수지 재생 압출장치
CN218084095U (zh) * 2022-09-28 2022-12-20 青岛亚信塑料挤出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过滤结构的塑料挤出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2672B (zh) 擠壓機用螺旋桿、擠壓機及擠壓方法
CA2159320C (en) Device for degassing thermoplastics
AU668184B2 (en) Device for plasticising thermoplastic material
CA2116659C (en) Apparatus for filtering and extruding synthetic plastic scrap material
KR101843845B1 (ko) 성형 가공용 플라스틱 알갱이 제조장치
JP7093681B2 (ja) 混練方法および混練物
ES2337213T3 (es)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on de compuestos de polimeros.
DE2646309A1 (de) Unterwasser-granuliervorrichtung
RU231056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готовки полимерного материала к вторичной переработке
KR102538926B1 (ko) 폐플라스틱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JP2012516793A (ja) プラスチック押出機
JP6929351B2 (ja) 着色されたプラスチック融解物及び着色されていないプラスチック融解物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111993618A (zh) 一种垃圾桶加工工艺
JP2019524507A (ja) プラスチック粒状体を製造する装置及び方法
KR101327264B1 (ko)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이물질 제거장치
JP5048638B2 (ja) 圧縮押出成形装置
JP6419681B2 (ja) 混練方法及び混練装置
CA2790747C (en) Device for processing material by mixing and/or plasticating
CN113524503B (zh) 废旧塑料颗粒的再利用处理设备
CN211492761U (zh) 一种塑料制造用挤出机
CN205889833U (zh) 塑料挤出机
DE19631182A1 (de) Vorrichtung zum Granulieren
JP5032244B2 (ja)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2543195C1 (ru) Экструдер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термопластичных полимерных материалов (варианты)
CN210969528U (zh) 一种以塑料餐盒为母材的木塑复合材料造粒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