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546Y1 - 제습 효과가 강화된 사출성형기용 호퍼 - Google Patents

제습 효과가 강화된 사출성형기용 호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546Y1
KR200475546Y1 KR2020130002325U KR20130002325U KR200475546Y1 KR 200475546 Y1 KR200475546 Y1 KR 200475546Y1 KR 2020130002325 U KR2020130002325 U KR 2020130002325U KR 20130002325 U KR20130002325 U KR 20130002325U KR 200475546 Y1 KR200475546 Y1 KR 2004755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raw material
opening
injection molding
mol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3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243U (ko
Inventor
김흥수
Original Assignee
조계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계연 filed Critical 조계연
Priority to KR20201300023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546Y1/ko
Publication of KR201400052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2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5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5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6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2045/0096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drying the moulding material before injection, e.g. by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퍼의 상부에 구성되어 일차적으로 원료를 투입받는 헤드부에 개폐장치를 구비하고, 이 헤드부가 밀폐된 상태에서 그 안으로 투입된 원료가 호퍼 본체로 투하될 때에만 개폐장치가 열리도록 구성함으로써, 밀폐된 상태에서 헤드부로부터 호퍼 본체로 원료가 투하 되게 하여 호퍼에 충진되는 건조풍이 헤드부를 통해 호퍼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게 하여 제습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사출성형기용 호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사출성형기와 연결되는 호퍼의 하부에도 개폐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원료가 헤드부로부터 호퍼로 투하되는 동안에도 건조풍이 사출기를 통해 호퍼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건조풍이 호퍼 외부나 사출 성형기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하여 건조풍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제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사출성형기용 호퍼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제습 효과가 강화된 사출성형기용 호퍼는, 원료가 호퍼로 이송되어 질소가스를 함유한 건조풍에 의해 건조되게 하는 사출성형기용 호퍼에 있어서, 상기 호퍼에는 일정량의 원료를 투입받을 수 있도록 헤드부가 구비되고, 이 헤드부에는 헤드부가 밀폐된 상태에서 투입받은 원료를 호퍼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투입구가 구비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에는 투입구를 개폐시켜 주기 위한 개폐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습 효과가 강화된 사출성형기용 호퍼{HOPPER FOR ENFORCEING DEHUMIDIFICATION IN INJECTION MACHINE}
본 고안은 사출성형기용 호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료가 투입되는 호퍼의 입구측에 개폐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원료의 투입시 투입된 원료를 제습시키기 위해 호퍼에 주입되었던 건조풍 등이 호퍼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하여 제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기에는 외부로부터 사출에 필요한 원료를 공급받기 위하여 호퍼가 구비된다. 특히, 이러한 호퍼는, 도 1과 같이 질소가 함유된 건조풍을 이용하여 원료에 함유된 습기를 제거하여 줌으로써 제습 효과를 얻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사출기는, 특허문헌1과 같이, 원료가 투입된 호퍼의 하측으로 원료를 용융하며 진행시키기 위한 실린더를 갖는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상측에 외부에서 공급되는 원료가 수집되는 수집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집부로 외부의 원료를 이송하여 공급하는 원료공급관이 수집부에 결합된 원료공급부와; 상기 원료공급관의 원료가 이송되는 구간에 설치되어 원료의 수분을 건조시키기 위한 온풍과 질소가스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건조풍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사출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1) 원료를 호퍼에 투입하기 위해서는 호퍼가 외부와 내통되게 되는데, 이때 호퍼 내부에 충진되어 원료의 제습을 담당하는 건조풍(통상적으로 질소 가스 함유)이 호퍼 외부로 빠져나가 버리게 되었다.
(2) 이에, 재투입된 원료의 제습을 위해서는 더 많은 건조풍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3) 또한, 호퍼로부터 빠져나가 버린 건조풍만큼 다시 호퍼에 건조풍을 재주입하여 원료의 제습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제습 효과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제습하는데 그만큼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4) 이처럼 제습에 시간이 소요는 실질적으로 사출공정의 시간 지연으로 이어져서 생산능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89870호(등록일자: 2011년11월29일)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호퍼의 상부에 구성되어 일차적으로 원료를 투입받는 헤드부에 개폐장치를 구비하고, 이 헤드부가 밀폐된 상태에서 그 안으로 투입된 원료가 호퍼 본체로 투하될 때에만 개폐장치가 열리도록 구성함으로써, 밀폐된 상태에서 헤드부로부터 호퍼 본체로 원료가 투하 되게 하여 호퍼에 충진되는 건조풍이 헤드부를 통해 호퍼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게 하여 제습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사출성형기용 호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출성형기와 연결되는 호퍼의 하부에도 개폐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원료가 헤드부로부터 호퍼로 투하되는 동안에도 건조풍이 사출기를 통해 호퍼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건조풍이 호퍼 외부나 사출 성형기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하여 건조풍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제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사출성형기용 호퍼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제습 효과가 강화된 사출성형기용 호퍼는, 원료가 호퍼로 이송되어 질소가스를 함유한 건조풍에 의해 건조되게 하는 사출성형기용 호퍼에 있어서, 상기 호퍼에는 일정량의 원료를 투입받을 수 있도록 헤드부가 구비되고, 이 헤드부에는 헤드부가 밀폐된 상태에서 투입받은 원료를 호퍼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투입구가 구비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에는 투입구를 개폐시켜 주기 위한 개폐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또는 경사지게 움직이며 투입구를 개폐시켜 주는 밸브; 및 상기 헤드부의 외부에 장착되어 상기 밸브를 진퇴시켜 주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호퍼에는 사출기와 연결되는 하부에 또 다른 개폐장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습 효과가 강화된 사출성형기용 호퍼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원료를 공급받은 헤드부가 밀폐된 상태에서 이 원료를 호퍼의 몸체 부분으로 투입하여 주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헤드부와 호퍼가 밀폐된 상태에서 원료 주입이 이루어지면서 호퍼에 주입되었던 건조풍 등이 헤드부를 통해 호퍼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2) 이처럼 건조풍의 누설 방지는 호퍼에 투입된 원료를 건조시켜 제습 효과를 얻는데에 있어서 짧은 시간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제습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3) 또한, 건조풍의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호퍼로 재충진되는 건조풍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4) 이에 건조풍을 제습에 필요한 온도와 습도 등의 건조 분위기를 유지하는데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아 유지관리에 있어서 비용 절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5) 실린더를 이용하여 개폐장치를 개폐시켜 주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개폐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사출기용 호퍼의 일예를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개폐장치가 적용된 사출기용 호퍼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헤드부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개폐장치의 개폐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호퍼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호퍼(100)의 상부에 헤드부(2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 헤드부(200)에는 헤드부(200)가 밀폐된 상태에서 호퍼(100)의 내부로 원료를 투입할 수 있도록 개폐장치(210)가 구비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의 사출성형기용 호퍼는, 호퍼(100) 내부에 충진된 건조풍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밀폐된 상태에서 헤드부(200)로부터 호퍼(100)로 원료 공급이 가능하게 되어, 건조풍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제습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호퍼(100)는 원료가 충진되는 일종의 용기로서 하부에는 사출기(S)가 연결된다. 그리고, 호퍼(100)에는 기존의 사출성형기와 같이 그 측부에 건조풍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장치(미도시됨)가 구비된다. 건조풍은 호퍼(100)에 충진되어 여기에 공급된 원료를 건조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이 호퍼(100)에는 상부에 헤드부(200)가 구비되며, 헤드부(200)는 외부로부터 원료를 공급받아 호퍼(100)의 안쪽으로 투입시켜 주게 된다.
헤드부(200)는 사출에 필요한 미리 정해진 분량의 원료를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이를 호퍼(100)에 공급시켜 주게 된다.
이러한 헤드부(200)는 상부에 외부로부터 원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공급관(230)이 구비되며, 공급관(230)에는 원료 주입이 완료되면 헤드부(200)로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차단밸브(미도시됨)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200)에는 호퍼(100)와 서로 구획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220)가 구비된다. 플레이트(220)는 호퍼(100)와 헤드부(200)를 구획하기 위한 것이, 일측면에는 투입구(221)과 관통형성되어 있다. 특히, 이 투입구(221)는 후술하게 될 개폐장치(21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개폐장치(210)는, 도 3과 같이, 실질적으로 상기 투입구(221)를 마감해 주는 밸브(211)와, 이 밸브(211)를 진퇴시켜 주기 위한 실린더(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밸브(211)는 투입구(221)를 마감하기 위한 일종의 판체로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220)와 나란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다. 물론, 상기 플레이트(220)의 내부에 얇은 슬릿을 형성하여 이 슬릿 내에서 동작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에에서, 상기 밸브(211)는 플레이트(220)와 경사지게 장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헤드부(200)에 공급된 원료가 밸브(211)의 경사면을 따라서 중앙으로 모이게 하여 쉽게 호퍼(100)로 투하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투입구(221)의 양측에 가이드를 형성하고, 이 가이드를 따라 밸브(211)가 움직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린더(212)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으나, 가격과 수리 등에서 유리한 공압 실린더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212)는 헤드부(200)의 외부에 설치하여 밸브(211)를 동작시켜 주게 되나, 설치공간이 충분한 경우 헤드부(200)의 내부나 호퍼(100)의 측부 등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사출 성형기용 호퍼는, 도 4의 (a)와 같이 밸브(211)가 닫혀진 상태에서 공급관(230)을 통해 필요한 원료를 공급받고, 공급관(230)에 구비된 밸브를 닫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4의 (b)와 같이 실린더(212)를 동작시켜 밸브(211)가 투입구(221)를 개방하게 하여 원료가 호퍼(100)로 투하되게 한다.
따라서, 호퍼(100)와 헤드부(200) 사이가 밀폐된 상태에서 원료 투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호퍼(100)에 공급된 건조풍이 헤드부(200)를 통해 그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2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호퍼는, 실시예1과 비교해 볼 때에, 도 2와 같이 호퍼(100)의 하부에 별도의 개폐장치(110)를 더 구비한 것이다.
이 개폐장치(110)는 상술한 실시예1의 개폐장치(21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개폐장치(110)는 헤드부(200)로부터 호퍼(100)에 원료가 투입되기 전에 닫음으로써, 호퍼(100)와 헤드부(200)가 완전히 밀폐된 상태가 되어 호퍼(100)로 원료가 투입되는 동안 건조풍이 사출기(S)으로 빠져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건조풍의 누설량을 최대한으로 줄여 짧은 시간에 원료의 건조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상 동일한 상태의 건조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게 되어 원료의 제습 효과를 더욱 더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호퍼
200 : 헤드부
210 : 개폐장치
211 : 밸브
212 : 실린더
220 : 플레이트
221 : 투입구
230 : 공급관

Claims (3)

  1. 원료가 호퍼로 이송되어 질소가스가 함유된 건조풍에 의해 건조되게 하는 사출성형기용 호퍼에 있어서,
    상기 호퍼(100)에는 일정량의 원료를 투입받을 수 있도록 헤드부(200)가 구비되고,
    이 헤드부(200)에는 헤드부(200)가 밀폐된 상태에서 투입받은 원료를 호퍼(100)로 공급할 수 있도록 투입구(221)가 구비된 플레이트(220)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220)에는 투입구(221)를 개폐시켜 주기 위한 개폐장치(2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효과가 강화된 사출성형기용 호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210)는,
    상기 플레이트(220)와 나란하게 또는 경사지게 움직이며 투입구(221)를 개폐시켜 주는 밸브(211); 및
    상기 헤드부(200)의 외부에 장착되어 상기 밸브(211)를 진퇴시켜 주는 실린더(2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효과가 강화된 사출성형기용 호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100)에는 사출기(S)와 연결되는 하부에 또 다른 개폐장치(11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효과가 강화된 사출성형기용 호퍼.
KR2020130002325U 2013-03-28 2013-03-28 제습 효과가 강화된 사출성형기용 호퍼 KR2004755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325U KR200475546Y1 (ko) 2013-03-28 2013-03-28 제습 효과가 강화된 사출성형기용 호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325U KR200475546Y1 (ko) 2013-03-28 2013-03-28 제습 효과가 강화된 사출성형기용 호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243U KR20140005243U (ko) 2014-10-08
KR200475546Y1 true KR200475546Y1 (ko) 2014-12-09

Family

ID=5245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325U KR200475546Y1 (ko) 2013-03-28 2013-03-28 제습 효과가 강화된 사출성형기용 호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5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926B1 (ko) * 2022-12-29 2023-06-01 이중재 폐플라스틱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0212A (ko) * 2007-01-25 2008-07-30 김진상 사출성형기 가스배출 장치
KR101089870B1 (ko) * 2011-02-18 2011-12-05 김정원 제습기능을 갖는 사출성형기
JP2012214284A (ja) * 2011-04-01 2012-11-08 Kawata Mfg Co Ltd ローダホッ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0212A (ko) * 2007-01-25 2008-07-30 김진상 사출성형기 가스배출 장치
KR101089870B1 (ko) * 2011-02-18 2011-12-05 김정원 제습기능을 갖는 사출성형기
JP2012214284A (ja) * 2011-04-01 2012-11-08 Kawata Mfg Co Ltd ローダホッ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926B1 (ko) * 2022-12-29 2023-06-01 이중재 폐플라스틱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243U (ko)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6390B2 (en) Drying apparatus under reduced pressure for plastic molding material
KR200475546Y1 (ko) 제습 효과가 강화된 사출성형기용 호퍼
CN103047848B (zh) 一种真空干燥机的出料装置及单筒连续式真空干燥机
US8490675B2 (en) Machine and a method for suctioning and exhausting air from a storage tank for sand in a molding machine
CN103660145A (zh) 注塑机自动配料装置
RU2133654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заготовок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ES2554560R1 (es) Disposición y procedimiento de limpieza de un recipiente de almacenamiento de material para la técnica de transporte
JP4756691B2 (ja) 樹脂ペレット乾燥装置
CN202367602U (zh) 喷砂机
CN109732916A (zh) 物料输送系统及其控制方法、增材制造设备
KR970014882A (ko) 주조장치
US20190329454A1 (en) Hybrid apparatus for drying and impregnating polymeric pellets for manufacturing of foamed polymer articles
KR101019270B1 (ko) 작업성이 양호한 진공성형장치
GB1240457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neumatic material handling apparatus
CN104957250A (zh) 连续循环式粮食烘干机
CN103693322A (zh) 带活动通风板的粮食储存设备
CN205262199U (zh) 用于烧结机台车的清料装置
CN204830690U (zh) 聚苯硫醚生产中副产物氯化钠的干燥包装装置
CN205222171U (zh) 一种移动设备进、出料口抑尘密封装置
CN105043018A (zh) 聚苯硫醚生产中副产物氯化钠的干燥包装装置
CN202367603U (zh) 一种自动喷砂机控制电路
TH117497A (th) เครื่องทำแห้ง
KR20140096901A (ko) 밸브세정장치 및 밸브세정방법
CN104176449A (zh) 一种气垫悬浮运输设备自动调平控制装置
CN207072095U (zh) 一种新型脱开式铲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