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230A -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 - Google Patents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230A
KR20150124230A KR1020140050815A KR20140050815A KR20150124230A KR 20150124230 A KR20150124230 A KR 20150124230A KR 1020140050815 A KR1020140050815 A KR 1020140050815A KR 20140050815 A KR20140050815 A KR 20140050815A KR 20150124230 A KR20150124230 A KR 20150124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plastic
screw
unit
barrel
ex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두희
Original Assignee
(주)창성피앤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성피앤알 filed Critical (주)창성피앤알
Priority to KR1020140050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4230A/ko
Publication of KR20150124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5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폐플라스틱으로부터 재생플라스틱원료를 생산하는 본 발명의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1)는, 폐플라스틱 분쇄물을 1차적으로 혼련, 용융 및 압출하는 상부압출부(10); 상부스크루(11)의 하류에 직하방에 설치되고, 상부압출부(10)로부터 용융 압출된 폐플라스틱 용융물에 함유된 이물을 여과하는 여과부(20); 여과부(20)의 직하방에 설치되고, 여과부(20)를 통과한 폐플라스틱 용융물을 누들 형상으로 성형하는 상부다이노즐부(30); 상부다이노즐부(30)의 직하방에 설치되고, 상부다이노즐부(30)로부터의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진행하는 방향을 유도하는 유도부(40); 및 폐플라스틱 용융물과 첨가제 및/또는 신재 플라스틱수지의 혼합물을 2차적으로 믹싱, 혼련, 용융 및 압출하는 하부압출부(5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Compounding Device for Recycling Discarded Plastic}
본 발명은 컴파운드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폐플라스틱으로부터 재생플라스틱원료를 생산하는,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플라스틱 합성수지(플라스틱)는, 일상용품은 물론 산업용품의 원료로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사용 후 폐기되는 폐플라스틱은 대표적인 환경오염요인의 하나이므로, 환경오염방지와 자원절약의 차원에서, 가능한 재활용하도록 조치하고 있다.
폐플라스틱을 재생함에 있어서는, 폐플라스틱으로부터 목적하는 최종 제품(예, 건축용 패널 등)을 직접 생산(성형)하기도 하지만, 목적하는 각종 플라스틱 제품을 생산하는 원료로 사용할 수 있는 예를 들어 펠릿 형상의 재생플라스틱원료로 생산하여 공급하는 경우도 흔히 있다.
폐플라스틱으로부터 펠릿 형상의 재생플라스틱원료를 생산함에 있어서, 폐플라스틱만을 원료로 사용할 경우에는 목적하는 품질과 물성의 재생플라스틱원료를 얻기 어려울 수 있음으로, 결과로 생산되는 재생플라스틱원료에 필요한 물성을 부여하고 품질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폐플라스틱 분쇄물에 각종 첨가제와 재생이 아닌 신재의 플라스틱원료를 혼합하여 재생플라스틱원료를 생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폐플라스틱으로부터 펠릿 형상의 재생플라스틱원료를 생산하는 전체적인 공정은, 대체적으로, 분류, 세척 및 분쇄의 전처리를 거친 폐플라스틱 분쇄물에 각종 첨가제(필요할 경우에 신재의 플라스틱원료)를 투입하여 균일하게 믹싱하는 과정, 믹싱된 원료를 압출기에 투입하여 혼련, 용융 및 여과하는 과정, 및 용융된 폐플라스틱을 성형, 냉각, 절단, 건조 및 포장하여 펠릿 형상의 재생플라스틱원료로 생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이렇게 생산된 재생플라스틱원료 펠릿은 각종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는 것의 원료로 사용한다.
그러나, 폐플라스틱의 재생을 목적으로 개발된 종래의 컴파운드 장치들은, 폐플라스틱 분쇄물로부터 재생플라스틱원료를 생산하는 전체의 공정을 하나의 단일 공정으로 연속적으로 실행하지 아니하고, 폐플라스틱 분쇄물에 첨가제 및/또는 신재 플라스틱원료를 혼합하는 믹싱공정을 별도의 공정으로 사전에 실행하고, 믹싱된 원료를 압출기에 공급함으로써 펠릿 형상의 재생플라스틱원료를 생산하는, 2단계 공정의 장치들이었다.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에 관련된 관한 종래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특허 제10-0483945호의 '폐수지 재생용 압출 성형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37686호의 '폐합성수지 재생용 압출 성형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74666호의 '폐플라스틱 재생을 위한 압출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84976호의 '공랭식 플라스틱 재생장치', 대한민국 특허 제10-0779689호의 '수직형 플라스틱 재생장치' 등이 있다.
또한, 폐플라스틱 재생용이 아닌 통상적인 컴파운드 장치 또는 압출기에 관한 종래기술로서는, 대한민국 특허 제10-0770471호의 '압출기 스크루 냉각 및 온도유지를 위한 장치 및 방법', 대한민국 특허 제10-0768444호의 '컴파운드 머신', 대한민국 특허 제10-0975769호의 '트윈스크루 압출장치', 대한민국 특허 제10-1231823호의 '플라스틱용 복합소재 조성물과 조성물 제조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 제10-0976551호의 '이중 혼련구조를 갖는 컴파운딩기'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폐플라스틱을 주원료로 하여 펠릿 형상의 재생플라스틱원료를 생산하는 컴파운드 장치에 있어서, 폐플라스틱 분쇄물에 첨가제 및/또는 신재 플라스틱원료를 믹싱하는 과정을 사전공정으로서 별도의 공정으로 실행하지 아니하고, 폐플라스틱 분쇄물을 압출하는 과정 중에 직접 첨가제 및/또는 신재 플라스틱원료를 혼합함으로써, 전체의 공정을 단일 공정으로 실행할 수 있는,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플라스틱 분쇄물을 주원료로 하여 펠릿 형상의 재생플라스틱원료를 생산하는 컴파운드 장치를 구축함에 있어서, 상부의 상부압출부(압출기)로부터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하부의 하부압출부(압출기)로 투입되도록 압출기를 상하 2단으로 구축함과 아울러, 상부압출부의 다이노즐로서 누들형 다이노즐을 적용하여 상부압출부로부터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을 가느다란 누들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폐플라스틱 재생과정에서 원료에 함유된 가스의 배출을 촉진시키고, 결과로 생산된 재생플라스틱원료의 품질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의 상부압출부(압출기)로부터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하부의 하부압출부(압출기)로 투입되도록 압출기를 상하 2단으로 구축함에 있어서, 상부압출부에서 상부스크루가 통과되는 상부슬리브와 함께 상부슬리브가 내장되는 상부배럴을, 상하 분리 가능한 조립식으로 형성함으로써, 상부압출부의 정비가 용이하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폐플라스틱 용융물로부터 이물을 여과하는 여과망을 교환함에 있어서, 여과망 교체를 위해 장치의 작동을 중단할 필요가 없이 연속 운전할 수 있는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에는 상부압출부로부터 성형된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하부압출부의 최적의 위치로 진입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본 발명의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가 비정상 상태일 때에는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하부압출부로 공급되지 않게 유도함으로써, 단일 공정에 의한 재생플라스틱원료의 생산을 보다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는,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는, 상부압출부, 여과부, 상부다이노즐부, 유도부 및 하부압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압출부는, 폐플라스틱 분쇄물을 1차적으로 혼련, 용융 및 압출하며, 수평으로 설치된 상부스크루, 상기 상부스크루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폐플라스틱 분쇄물의 이송통도가 되는 상부슬리브, 상기 상부슬리브를 포위하는 상부배럴, 상기 상부스크루를 회전시키는 상부구동부 및 상기 상부스크루의 상류에 설치되고 폐플라스틱 분쇄물이 투입되는 호퍼를 포함한다.
상기 여과부는, 상기 상부스크루의 하류에 직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압출부로부터 용융 압출된 폐플라스틱 용융물에 함유된 이물을 여과한다.
상기 상부다이노즐부는, 상기 여과부의 직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여과부를 통과한 폐플라스틱 용융물을 누들 형상으로 성형한다.
상기 유도부는, 상기 상부다이노즐부의 직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다이노즐부로부터의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진행하는 방향을 선택적으로 유도한다.
상기 하부압출부는, 폐플라스틱 용융물과 첨가제 및/또는 신재 플라스틱수지의 혼합물을 2차적으로 믹싱, 혼련, 용융 및 압출하며,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유도부로부터의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그 상류로 유입되는 하부스크루, 상기 하부스크루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폐플라스틱 용융물의 이송통로가 되는 하부슬리브, 상기 하부슬리브를 포위하는 하부배럴, 상기 하부스크루를 회전시키는 하부구동부, 상기 하부스크루의 하류에 설치되어 폐플라스틱 용융물을 누들 형상으로 성형하는 하부다이노즐부, 및 상기 하부스크루를 통과하는 폐플라스틱 용융물에 첨가제 및/또는 신재 플라스틱수지를 혼합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보조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스크루와 상기 하부스크루로는, 2개의 스크루가 나란히 배열된 트윈스크루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상부슬리브는, 상기 상부스크루가 관통 삽입되는 이송통로를 상하 양분하도록 상하 분리되게 형성하고, 상기 상부배럴은, 상기 상부슬리브에 대응하여 상하 분리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슬리브와 상기 상부배럴에 걸쳐 형성된 제1 볼트공에 볼트를 체결하고, 상하 양분된 상기 상부배럴에 걸쳐 형성된 제2 볼트공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완전한 형태의 상기 상부슬리브와 상기 상부배럴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여과부는, 상기 상부스크루로부터 압출되는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아래로 통과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상부스크루의 하류 직하방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된 레일; 상기 레일에 좌우 일렬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되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3개의 여과망안착대; 상기 상부압출부로부터 낙하하는 폐플라스틱 용융물의 바로 아래에 있는 선두의 상기 여과망안착대로부터 후미의 상기 여과망안착대까지 순차적으로 안착된, 사용 중인 여과망, 예열된 여과망 및 대기 중인 여과망을 포함하는 여과망(23); 및 상기 레일에 대해 상기 여과망장착대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여과부는, 상기 상부압출부가 가동 중에도 상기 여과망을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유도부(40)는, 상기 상부다이노즐부의 바로 아래에서 상기 하부스크루의 상류까지 연통된 연결통; 상기 연결통의 일측 벽에 형성된 개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회동 위치에 따라, 상기 연결통을 개방하고 상기 개구)를 폐쇄하여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상기 연결통을 통해 상기 하부스크루로 진행되게 하거나, 상기 연결통을 폐쇄하고 상기 개구를 개방하여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연결통의 외부로 유도되게 하는 슈트판; 및 상기 하부배럴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상기 하부스크루에 진입하는 위치를 조절하는 유도판;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판은, 상기 유도판과 상기 하부배럴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하부배럴에 대해 상기 유도판을 위치 조절하는 조절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판은, 상기 하부스크루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하부스크루로 가능한 접근할 수 있도록 그 하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게 뾰족하게 형성하고, 높이가 높은 상기 유도판의 상단과 상기 하단의 연결선은 만곡의 활강면으로 형성함으로써,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을 상기 하부스크루의 원하는 위치로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는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는, 압출부를 상기 상부압출부와 상기 하부압출부의 상하 2단으로 배치하고, 상기 상부압출부에서 1차적으로 폐플라스틱 분쇄물만을 압출하며, 상기 하부압출부에서 2차적으로 상기 상부압출부로부터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에 첨가제 및/또는 신재 플라스틱원료를 혼합하여 압출하는 구조로서, 폐플라스틱 분쇄물에 첨가제 및/또는 신재 플라스틱원료를 믹싱하는 과정을 별도의 사전공정으로 실행하지 아니하고, 폐플라스틱 분쇄물을 압출하는 과정에 직접 첨가제 및/또는 신재 플라스틱원료를 혼합하기 때문에, 전체의 공정을 단일 공정으로 실행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는, 압출부를 상기 상부압출부와 상기 하부압출부의 상하 2단으로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압출부와 상기 하부압출부의 스크루로서 트윈스크루를 적용하여, 폐플라스틱 분쇄물에 첨가제 및/또는 신재 플라스틱원료를 믹싱하는 과정을 별도의 분리된 사전공정으로 실행하지 아니하고 단일의 공정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원료들의 믹싱, 혼련, 용융 및 압출이 충분히 실현되도록 함으로써, 결과로 얻어지는 재생플라스틱원료의 품질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는, 압출부를 상기 상부압출부와 상기 하부압출부의 상하 2단으로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압출부의 상기 상부다이노즐로서 누들형 다이노즐을 적용하여 상기 상부압출부로부터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을 가느다란 누들형상으로 성형하여 상기 하부압출부에 공급함으로써, 폐플라스틱 재생과정에서 원료에 함유될 수 있는 가스의 배출을 촉진하여 결과로 생산된 재생플라스틱원료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는, 상기 상부압출부의 상기 상부슬리브와 상기 상부배럴을 상하 분리되게 조립식으로 형성함에 따라, 상기 상부압출부의 정비가 용이하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는, 폐플라스틱 용융물에서 이물을 여과하는 여과망을 교환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장치의 작동을 중단하지 아니하고 연속 운전 상태로 교환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시간의 단축 등을 통해 재생플라스틱원료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는, 상기 유도부가,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상부압출부에서 성형된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상기 하부압출부의 상기 하부스크루에 대해 최적의 위치로 진입하도록 안내하고,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상기 하부압출부에 공급되는 것을 중단할 필요가 있는 비정상상태에서는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상기 하부압출부에 공급되지 않도록 작동함으로써, 단일 공정에 의한 재생플라스틱원료의 생산을 보다 원활하게 실현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컴파운드 장치의 정면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컴파운드 장치의 측면 개략도,
도3과 도4는 본 발명에 적용하는 상부압출부의 예시적인 상부스크루, 상부슬리브 및 상부배럴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적용된 예시적인 여과부와 상부다이노즐부의 설치위치를 보여주는 상부압출부의 부분 상세도,
도6은 본 발명에 적용된 예시적인 여과부의 개략 평면도,
도7은 본 발명에 적용된 예시적인 여과부의 개략 측면도,
도8은 본 발명에 적용된 예시적인 상부다이노즐부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에 적용된 예시적인 유도부의 작동도,
도10은 본 발명에 적용하는 하부압출부의 예시적인 하부스크루, 하부슬리브 및 하부배럴의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의 장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그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1)는, 폐플라스틱으로부터 재생플라스틱원료를 생산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부의 수평식 압출부(압출기)의 하류에 하부의 수평식 압출부(압출기)의 상류가 연결된 상하 2단의 압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1)는, 첨가제 및/또는 신재 플라스틱원료를 사전에 폐플라스틱 분쇄물에 믹싱하지 아니하고 하부의 압출부에서 첨가제 및/또는 신재 플라스틱원료를 혼합하는 방식으로, 폐플라스틱으로부터 재생플라스틱원료를 중단 없이 단일의 연속공정으로 생산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1)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을 설치하고 운전 및 가동하기에 적당한 크기로 형성한 프레임(2)에 설치할 수 있으며, 도1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상부압출부(10), 여과부(20), 상부다이노즐부(30), 유도부(40) 및 하부압출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여과부(20)와 상부다이노즐부(30)는 구조적으로 상부압출부(10)의 일부라고 할 수 있을 것이지만,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함에 있어서 여과부(20)와 상부다이노즐부(30)를 분리하여 설명하는 것이 유용하기에, 이를 상부압출부(10)로부터 분리하여 설명한다.
상기 상부압출부(10)는, 분리, 세척 및 분쇄 과정을 통해 전처리된 폐플라스틱 분쇄물을 1차적으로 혼련, 용융 및 압출하는 상부 위치의 압출기로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스크루(11), 상부슬리브(12), 상부배럴(13), 상부구동부(14) 및 호퍼(15)를 포함한다.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상부스크루(11)와, 상부스크루(11)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폐플라스틱 분쇄물의 이송통로(12a)를 형성하는 상부슬리브(12)와, 상부슬리브(12)의 외부를 감싸게 포위하는 상부배럴(13)은, 투입된 폐플라스틱 분쇄물을 직접적으로 압출하는 부분으로서, 널리 알려진 종래 압출기에 적용된 스크루와 슬리브 및 배럴을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1)가 상하 2단의 수평형 장치임으로, 상부스크루(11)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상부 상부압출부(10)에 적용하는 상부스크루(11)로는 싱글스크루를 적용하는 것도 배제되지 않지만, 폐플라스틱 분쇄물로부터 재생플라스틱원료를 첨가제와 신재 플라스틱 원료의 사전 믹싱 없이 단일 공정으로 생산할 수 있으면서도, 투입되는 원료들의 믹싱, 혼련, 용융 및 압출이 충분히 실현되어, 결과로 얻어지는 재생플라스틱원료의 품질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스크루가 평행하게 나란히 배열된 트윈스크루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상부슬리브(12)와 상부배럴(13)의 구조는 트윈스크루에 적합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압출기의 배럴은, 스크루가 회전하면서 투입된 원료를 혼련, 용융 및 압출할 때, 삽입된 스크루의 회전과 투입된 원료의 통과를 수용하기 위한 이송통로를 제공하고, 원료의 환경을 적당한 온도로 가열 및 냉각할 수 있는 실린더 형상의 부재로서, 스크루가 삽입되는 원료의 이송통로를 배럴에 직접 형성하지 아니하고, 이송통로에 해당하는 내부 윤곽을 가지는 슬리브를 스크루와 배럴 사이에 매개하여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렇게 슬리브를 매개하여 적용하면 혹독한 압력과 마찰 환경에 견디는 고가의 특수강을 배럴 전체가 아닌 슬리브에만 적용할 수 있고, 사용의 누적으로 이송통로가 변형되면 배럴 전체가 아닌 슬리브만을 교환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부압출부(10)에 적용하는 상부슬리브(12)와 상부배럴(13)은, 그 정비보수를 편리하기 위해 상하 분리 가능한 조립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도3과 도4에 도시된 구체예에서, 상부슬리브(12)는 그 종단면의 외부윤곽이 사각형 형상이고 그 내부에는 트윈스크루인 상부스크루(11)가 통과되는 이송통로(12a)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배럴(13)은 그 종단면의 외부 윤곽이 사각형 형상이고, 그 내부는 상부슬리브(12)의 사각형 외부윤곽이 꼭 맞게 끼워지도록 관통되어 있다.
본 구체예의 특징에 따라, 상부슬리브(12)는, 이송통로(12a)를 상하 양분하도록 상하 분리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부배럴(13)도 상부슬리브(12)에 대응하여 상하 분리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부슬리브(12)와 상부배럴(13)에는 대응하는 위치에 걸쳐 다수의 제1 볼트공(12b)이 형성되어 있고, 상하 양분된 상부배럴(13)에도 대응하는 위치에 걸쳐 다수의 제2 볼트공(13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볼트공(12b)들에 볼트(도시생략)를 체결하면 각각의 분리된 상부슬리브(12)는 대응하는 부분의 분리된 상부배럴(13)에 꼭 맞게 끼워진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되고, 이런 상태에서 제2 볼트공(13a)들에 볼트(도시생략)를 체결하면, 상부배럴(13)의 중앙 관통부분에 상부슬리브(12)가 꼭 맞게 삽입된 완전한 형태의 상부슬리브(12)와 상부배럴(13)이 된다.
상기 상부구동부(14)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스크루(11)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로서,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구동모터(14a), 커플링(14b) 및 기어박스(14c) 등 동력발생 및 동력전달을 위한 구성들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호퍼(15)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스크루(11)의 상류에 설치되고, 상부스크루(11)와 상부슬리브(12) 및 상부배럴(13)로 형성되는 상부압출부(10)에 폐플라스틱 분쇄물을 투입하기 위한 통상의 호퍼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1)는 폐플라스틱 분쇄물과 첨가제 및/또는 신재플라스틱수지를 사전에 믹싱하여 호퍼(15)로 투입하는 것이 아니라, 호퍼(15)로는 폐플라스틱 분쇄물만을 공급하고, 첨가제 및/또는 신재플라스틱수지는 후술하는 하부압출부(50)의 보조공급부(56)를 통해 공급한다.
상부압출부(10)에는 종래의 압출기와 마찬가지로, 압출되는 폐플라스틱 용융물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벤트(16)를 비롯하여, 상부배럴(13)을 가열 또는 냉각하기 위한 가열장치(히터)와 냉각장치(예, 수냉식 재킷) 등을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이에 관한 도면부호의 부여 및 그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부압출부(10)에 적용하는 상부슬리브(12)와 상부배럴(13)을, 도3 및 도4와 같이 상하 분리 가능한 조립식으로 형성할 경우에, 본 발명의 장치(1)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배럴(13)의 하측부분에 대해 상측부분을 자동으로 분리하고 조립하기 위한 배럴개폐장치(17)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2에 예시된 구체예는, 배럴개폐장치(17)로서 유압실린더와 같은 액추에이터를 적용한 예이다.
상기 여과부(2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스크루(11)의 하류에 직하방에 설치되어 상부압출부(10)에서 용융 압출된 폐플라스틱 용융물에 함유된(전처리과정에서 미처 제거하지 못한) 금속조각과 같은 이물을 걸러내는 장치이다.
상기 여과부(20)로서는 상부압출부(10)의 하류위치에서 폐플라스틱 용융물에 함유된 이물을 걸러낼 수 있는 구조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여과망을 수동으로 교환하는 수동식을 적용하는 것도 배제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1)의 가동을 중단시키지 않고 운전 중의 상태에서도 여과망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여과망 교체장치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중단 없이 여과망을 교환할 수 있도록, 여과부(20)는, 도6과 도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레일(21), 여과망안착대(22), 여과망(23) 및 액추에이터(24)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레일(21)은, 상부스크루(11)의 하류 직하방에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상부배럴(13)의 하측에 설치하되, 상부압출부(10)의 상부스크루(11)에서 용융 압출된 폐플라스틱 용융물의 수직방향 이동이 방해받지 않고 통과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도시된 구체예는 중간에 공간을 두고 2개의 레일을 평행하게 배열하여 그 사이의 공간을 통해 용융 압출된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수직 하강할 수 있게 형성한 것이다.
상기 여과망안착대(22)는, 상기 레일(21)에 3개를 좌우 일렬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고, 이때 여과망안착대(22)는 레일(21)을 따라 적어도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여과망(23)은 폐플라스틱 용융물에 함유된 이물을 걸러내기 위한 거름망 부재로서, 도시된 구체예의 경우 3개의 여과망안착대(22)마다 각각 1개씩의 총 3개의 여과망(23)을 안착하여 그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상부압출부(10)로부터 낙하하는 폐플라스틱 용융물의 바로 아래에 있는 여과망안착대(22)를 선두(도6에서 우측)라고 하고 할 때, 선두의 여과망안착대(22)에 안착되는 여과망(23)은 사용 중인 여과망(23a)이고, 중간의 여과망안착대(22)에 안착되는 여과망(23)은 예열된 여과망(23b)이며, 후미(도6에서 좌측)의 여과망안착대(22)에 안착된 여과망(23)은 대기 중인 여과망(23c)이다.
선두(우측)에 있는 사용 중 여과망(23a)은 사용위치에 위치하여 폐플라스틱 용융물로부터 직접 이물을 걸러내는 여과망(23)이고, 예열된 여과망(23b)은 즉시적으로 폐플라스틱 용융물로부터 이물을 걸러내는 것에 사용할 수 있도록 예열위치에서 예열된 상태에 있는 여과망(23)이며, 후미(좌측)의 대기 중인 여과망(23c)은 차후 예열을 받기 위해 대기위치에서 대기 중인 여과망(23)이다.
상기 액추에이터(24)는, 예를 들어 유압실린더와 같은 공지의 구동기구로서, 필요할 때 레일(21)을 따라 여과망장착대(22)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도6과 도7에 예시된 여과부(20)에는,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사용 중인 여과망(23a)으로부터 폐플라스틱 용융물의 통과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와, 상기 압력계에 의해 측정된 압력이 정해진 기준압력을 초과할 경우에 이를 음향 및/또는 램프 등으로 경보하는 경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6과 도7을 참조하여 여과부(20)를 설명함에 있어서 좌우의 방향은 단지 도면상에서의 방향일 뿐이며, 본 발명의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1)의 설치방향에 따라 좌우가 반대일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예시된 여과부(20)에 의하면, 사용 중인 여과망(23a)을 장시간 사용하여 여과망(23a)에 걸러진 이물이 과다해짐에 따라, 여과망(23a)을 통과하는 폐플라스틱 용융물의 여과압력이 기준압력을 초과할 때, 경보기가 경보를 발하게 되고, 경보를 인식한 작업자가 액추에이터(24)를 작동시키면, 예를 들어 유압실린더의 피스톤이 전진한 후 후퇴하게 하면, 여과망안착대(22)들이 레일(21)에서 정해진 길이만큼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써 사용 중에 있던 여과망(23a)이 사용위치(낙하하는 폐플라스틱 용융물의 바로 아래)로부터 그 우측의 배출위치로 이동됨과 아울러, 예열위치에 있던 예열된 여과망(23b)이 그 우측의 사용위치로 이동됨과 동시에, 대기위치에 있던 대기 중인 여과망(23c)은 그 우측의 예열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상부압출부(10)가 중단 없이 운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위치의 여과망을 새로운 여과망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배출위치에 배출된 여과망안착대(22)를 레일(21)로부터 분리하여 여과망안착대(22)에서 사용한 여과망을 제거하는 한편, 앞서 대기 중에 있던 여과망이 예열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비어 있게 된 대기위치에 새로운 여과망을 장착한 여과망안착대(22)를 다시 장착하면, 다시 3개의 여과망(23)이 사용위치, 예열위치 및 대기위치에 장착된 상태가 되어, 이후의 여과망 교체를 대비하게 된다.
상기 상부다이노즐부(30)는, 여과부(20)의 직하방에 설치되어 여과부(20)를 통과한 폐플라스틱 용융물을 누들 형상으로 성형하는 노즐부이다.
상하 2단의 압출기를 적용하여 폐플라스틱으로부터 펠릿 형상의 재생플라스틱원료를 생산하는 종래의 컴파운드 장치들의 경우, 하부압출기의 다이노즐은 폐플라스틱 용융물을 누들 형상으로 성형할 필요가 있지만 상부압출부로부터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은 아직 가공 중에 있는 상태임으로 누들 형상으로 성형할 필요가 없다고 보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의 상부다이노즐부(30)에 대응하는 종래 다이노즐들은 폐플라스틱 용융물을 누들 형상이 아닌 덩어리(벌크) 형상으로 성형하는 다이노즐들이었으나, 본 발명의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1)는, 상부압출부(10)의 상부다이노즐부(30)로서 폐플라스틱 용융물을 누들 형상으로 성형하는 다이노즐을 적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부다이노즐부(30)로서 누들형 다이노즐을 적용함에 따라, 상부다이노즐부(30)로부터 압출된 폐플라스틱 용융물은 덩어리 형상일 때보다 그 표면적이 현격하게 증가하게 되며, 이로써 폐플라스틱 용융물에 잔존하고 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가스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생성된 재생플라스틱원료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상부다이노즐부(30)는 상부압출부(10)로부터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을 가느다란 누들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5와 도8에 예시된 구체예의 상부다이노즐부(30)는, 중앙에 돌출된 노즐부(31)에 환상 배열된 12개의 누들 성형용 노즐(32)을 관통 형성하고 노즐부(31)의 후방에 조립용 볼트공(34)이 다수 형성된 플랜지부(33)를 형성하는 한편, 노즐(32)의 후방에 플라스틱 용융물을 노즐(32)로 유도하는 환상의 요부(35)를 형성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유도부(40)는, 상부다이노즐부(30)의 직하방에 설치되어, 상부다이노즐부(30)로부터 성형된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진행하는 방향을, 하부압출부(50)에 설치된 하부스크루(51)의 상류로 적절히 유도하는 장치이다.
상기 유도부(40)로는 상부다이노즐부(30)로부터의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의 진행방향을 목적하는 상태로 적절히 유도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도시된 구체예의 유도부(40)는, 연결통(41), 슈트판(42) 및 유도판(43)을 포함하는 예이다.
상기 연결통(41)은, 상부압출부(10)의 상부다이노즐부(30)의 바로 아래에서부터 하부압출부(50)의 하부스크루(51)의 상류까지 연통된 통상의 부재로서, 상부압출부(10)의 하류와 하부압출부(50)의 상류를 연결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슈트판(42)은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하부스크루(51)로 진행하도록 연결통(41)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연결통(41)의 외부로 유도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회동 할 수 있게 연결통(41)의 관통된 일측 벽에 형성된 활강용 격판이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슈트판(42)은 연결통(41)의 일측 벽에 형성된 개구(41a)에 회동축(42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슈트판(42)은, 그 회동 위치에 따라, 연결통(41)을 개방하고 개구(41a)를 폐쇄하여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연결통(41)을 통해 하부스크루(51)로 진행되게 하는 개방위치(도9의 A)에 위치하거나, 연결통(41)을 폐쇄하고 개구(41a)를 개방하여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개구(41a)를 통해 연결통(41)의 외부로 유도되게 하는 폐쇄위치(도9의 B)에 위치한다.
상기 회동축(42a)은 슈트판(42)의 무게중심보다 아래쪽의 위치에서 슈트판(42)을 연결통(4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자연스런 상태에서 슈트판(42)은 자중에 의해 그 상단 쪽이 연결통(41)의 안으로 경사지게 회동하여 연결통(41)을 폐쇄하는 폐쇄위치에 있게 되고, 슈트판(42)이 폐쇄위치에 있을 때 슈트판(42)의 상면은 경사면을 형성하여 위로부터 아래로 하강하는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을 연결통(41)의 외부로 유도한다.
이와 같은 폐쇄상태에서 회동축(42a)을 중심으로 슈트판(42)의 아래쪽을 연결통(41) 쪽으로 가압하면, 연결통(41)의 안으로 경사지게 회동되어 있던 슈트판(42)이 수직으로 회동하여 연결통(41)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있게 되고, 이런 개방 위치는 연결통(41)과 슈트판(42) 사이에 설치된 잠금기구(42b)를 체결하여 유지한다.
위와 같은 연결통(41)과 슈트판(42)의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의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1)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잠금기구(42b)를 체결하여 슈트판(42)을 개방위치로 유지함으로써 위로부터 아래로 하강하는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아래의 하부스크루(51)로 진행하여 하부압출부(50)에 의해 압출되도록 하고,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을 하부압출부(50)에 공급하지 않아야 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는 잠금기구(42b)를 풀어 슈트판(42)이 연결통(41)을 폐쇄하도록 함으로써 상부압출부(10)로부터의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슈트판(42)의 경사면을 따라 연결통(41)의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상기 유도판(43)은, 상부배럴(13)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누들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하부스크루(51)에 진입하는 위치를 조절하는 부재이다.
도9에 도시된 구체예에서, 유도판(43)은 조절나사(43a)를 포함하며, 조절나사(43a)는 유도판(43)과 하부배럴(53)에 걸쳐 설치되며, 조절나사(43a)를 풀고 조이면 하부배럴(53)에 대한 유도판(43)의 위치를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미세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유도판(43)은 하부스크루(51)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하부스크루(51)에 가능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단(43b)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게 뾰족하게 형성할 수 있고, 이때 높이가 높은 상단(43c)과 하단(43b)의 연결선(43d)은 만곡의 활강면을 형성하여 그 위로 하강한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을 하부스크루(51)의 적당한 위치로 유도한다. 작업자는 조절나사(43a)를 조작하여 유도판(43)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의 선단이 회전하는 하부스크루(51)의 가장 바람직한 위치로 진입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써 하부스크루(51)의 상류에 투입된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정체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하부압출부(50)는, 상부압출부(10)로부터 유입된 폐플라스틱 용융물에 첨가제 및/또는 신재 플라스틱수지를 혼합하여, 그 혼합물을 믹싱, 혼련, 용융 및 압출하는 하부 위치의 압출기이다.
하부압출부(50)는, 수평으로 설치되고 유도부(40)로부터의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그 상류로 유입되는 하부스크루(51), 하부스크루(51)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폐플라스틱 용융물의 이송통로(52a)를 형성하는 하부슬리브(52), 하부슬리브(52)를 포위하는 하부배럴(53), 하부스크루(51)를 회전시키는 하부구동부(54), 하부스크루(51)의 하류에 설치되어 폐플라스틱 용융물을 누들 형상으로 성형하는 하부다이노즐부(55), 및 하부스크루(51)를 통과하는 폐플라스틱 용융물에 첨가제 및/또는 신재 플라스틱수지를 혼합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보조공급부(56)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압출부(50)의 하부스크루(51), 하부슬리브(52) 및 하부배럴(53)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압출부(10)의 상부스크루(11), 상부슬리브(12) 및 상부배럴(13)과 그 본질적인 구조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하부압출부(50)는, 부하가 큰 폐플라스틱 분쇄물을 압출하는 상부압출부(10)와는 달리 이미 용융된 폐플라스틱 용융물을 압출함에 따라, 상부압출부(10)와 같은 정도의 정비의 필요성을 요하지 아니함으로, 하부슬리브(52)와 하부배럴(53)은 상하 분리 가능한 조립식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이 단일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 차이가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차이를 제외하고 하부압출부(50)를 구성하는 하부스크루(51), 하부슬리브(52) 및 하부배럴(53)의 구성 및 작용은 전술한 상부압출부(10)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구체예에서 상부다이노즐부(30)는 누들형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수직방향으로 진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반면, 하부압출부(50)의 하부다이노즐부(55)는 누들형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수평방향으로 진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점만이 상이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하부다이노즐부(55)의 상류에도 전술한 여과부(20)와 같은 여과망 교체장치를 적용하여, 본 발명의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의 운전 중에도 여과망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부압출부(10)에는 폐플라스틱 분쇄물을 공급하기 위해 호퍼(15)를 포함하는 반면, 하부압출부(50)는, 호퍼(15) 대신에 하부스크루(51)를 통과하는 폐플라스틱 용융물에 첨가제 및/또는 신재 플라스틱수지를 혼합하는 적어도 1개의 보조공급부(56)를 포함한다.
도1에 도시된 구체예의 하부압출부(50)에는, 그 상류와 중류 및 하류에 각각 1개씩의 3개의 보조공급부(56)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류의 보조공급부(56)는 신재 플라스틱수지를 혼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중류와 하류의 보조공급부(56)는 각종 첨가제를 혼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1)는 상부압출부(10)에 폐플라스틱 분쇄물을 투입하기 이전에 첨가제 및/또는 신재 플라스틱수지를 폐플라스틱 분쇄물에 믹싱하여 투입하는 것이 아니라, 상부압출부(10)의 호퍼(15)로는 폐플라스틱 분쇄물만을 투입하고, 하부압출부(50)의 보조공급부(56)를 통해서 필요한 첨가제 및/또는 신재 플라스틱수지를 혼합하는 장치이므로, 폐플라스틱으로부터 펠릿 형상의 재생플라스틱원료를 생산함에 있어서, 폐플라스틱 분쇄물에 첨가제나 신재 플라스틱수지를 믹싱하는 과정을 별도의 사전공정으로 실행할 필요가 없이, 폐플라스틱 분쇄물을 압출하는 과정에 연속 공정으로 첨가제나 신재 플라스틱원료를 혼합함으로써 전체의 공정을 단일 공정으로 실행할 수 있게 된다.
하부압출부(50)의 하류에는 최종 생성된 누들 형상의 재생플라스틱원료를 냉각, 건조 및 펠릿 형성으로 절단하기 위한 장치들이 더 포함되는 바, 이들 장치들은 본 발명의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으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1: 본 발명의 컴파운드 장치 2: 프레임
10: 상부압출부 11: 상부스크루
12: 상부슬리브 12a, 52a: 이송통로
12b: 제1 볼트공 13: 상부배럴
13a: 제2 볼트공 15: 호퍼
20: 여과부 21: 레일
22: 여과망안착대 23, 23a, 23b, 23c: 여과망
24: 액추에이터(유압실린더) 30: 상부다이노즐부
40: 유도부 41: 연결통
41a: 개구 42: 슈트판
42a: 회동축 42b: 잠금기구
43: 유도판 43a: 조절나사
43b: 하단 43c: 상단
43d: 연결선(활강면) 50: 하부압출부
51: 하부스크루 52: 하부슬리브
53: 하부배럴 54: 하부구동부
55: 하부다이노즐부 56: 보조공급부

Claims (6)

  1. 수평으로 설치된 상부스크루(11), 상기 상부스크루(11)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폐플라스틱 분쇄물의 이송통도가 되는 상부슬리브(12), 상기 상부슬리브(12)를 포위하는 상부배럴(13), 상기 상부스크루(11)를 회전시키는 상부구동부(14) 및 상기 상부스크루(11)의 상류에 설치되고 폐플라스틱 분쇄물이 투입되는 호퍼(15)를 포함하고, 폐플라스틱 분쇄물을 1차적으로 혼련, 용융 및 압출하는 상부압출부(10);
    상기 상부스크루(11)의 하류에 직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압출부(10)로부터 용융 압출된 폐플라스틱 용융물에 함유된 이물을 여과하는 여과부(20);
    상기 여과부(20)의 직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여과부(20)를 통과한 폐플라스틱 용융물을 누들 형상으로 성형하는 상부다이노즐부(30);
    상기 상부다이노즐부(30)의 직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다이노즐부(30)로부터의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진행하는 방향을 선택적으로 유도하는 유도부(40); 및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유도부(40)로부터의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그 상류로 유입되는 하부스크루(51), 상기 하부스크루(51)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폐플라스틱 용융물의 이송통로가 되는 하부슬리브(52), 상기 하부슬리브(52)를 포위하는 하부배럴(53), 상기 하부스크루(51)를 회전시키는 하부구동부(54), 상기 하부스크루(51)의 하류에 설치되어 폐플라스틱 용융물을 누들 형상으로 성형하는 하부다이노즐부(55), 및 상기 하부스크루(51)를 통과하는 폐플라스틱 용융물에 첨가제 및/또는 신재 플라스틱수지를 혼합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보조공급부(56)를 포함하고, 폐플라스틱 용융물과 첨가제 및/또는 신재 플라스틱수지의 혼합물을 2차적으로 믹싱, 혼련, 용융 및 압출하는 하부압출부(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스크루(11)와 상기 하부스크루(51)는 2개의 스크루가 나란히 배열된 트윈스크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슬리브(12)는, 상기 상부스크루(11)가 관통 삽입되는 이송통로(12a)를 상하 양분하도록 상하 분리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배럴(13)은, 상기 상부슬리브(12)에 대응하여 상하 분리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슬리브(12)와 상기 상부배럴(13)에 걸쳐 형성된 제1 볼트공(12b)에 볼트를 체결하고, 상하 양분된 상기 상부배럴(13)에 걸쳐 형성된 제2 볼트공(13a)에 볼트를 체결하여, 완전한 형태의 상기 상부슬리브(12)와 상기 상부배럴(1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20)는:
    상기 상부스크루(11)로부터 압출되는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아래로 통과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상부스크루(11)의 하류 직하방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된 레일(21);
    상기 레일(21)에 좌우 일렬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되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3개의 여과망안착대(22);
    상기 상부압출부(10)로부터 낙하하는 폐플라스틱 용융물의 바로 아래에 있는 선두의 상기 여과망안착대(22)로부터 후미의 상기 여과망안착대(22)까지 순차적으로 안착된, 사용 중인 여과망(23a), 예열된 여과망(23b) 및 대기 중인 여과망(23c)을 포함하는 여과망(23); 및
    상기 레일(21)에 대해 상기 여과망장착대(22)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24); 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20)는, 상기 상부압출부(10)가 가동 중에도 상기 여과망(23)을 교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40)는:
    상기 상부다이노즐부(30)의 바로 아래에서 상기 하부스크루(51)의 상류까지 연통된 연결통(41);
    상기 연결통(41)의 일측 벽에 형성된 개구(41a)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회동 위치에 따라, 상기 연결통(41)을 개방하고 상기 개구(41a)를 폐쇄하여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상기 연결통(41)을 통해 상기 하부스크루(51)로 진행되게 하거나, 상기 연결통(41)을 폐쇄하고 상기 개구(41a)를 개방하여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상기 개구(41a)를 통해 상기 연결통(41)의 외부로 유도되게 하는 슈트판(42); 및
    상기 하부배럴(53)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이 상기 하부스크루(51)에 진입하는 위치를 조절하는 유도판(4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43)은, 상기 유도판(43)과 상기 하부배럴(53)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하부배럴(53)에 대해 상기 유도판(43)을 위치 조절하는 조절나사(43a)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판(43)은, 상기 하부스크루(51)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하부스크루(51)로 가능한 접근할 수 있도록 그 하단(43b)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게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고, 높이가 높은 상기 유도판(43)의 상단(43c)과 상기 하단(43b)의 연결선(43d)은 만곡의 활강면으로 형성되어, 누들 형상의 폐플라스틱 용융물을 상기 하부스크루(51)의 원하는 위치로 유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
KR1020140050815A 2014-04-28 2014-04-28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 KR20150124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815A KR20150124230A (ko) 2014-04-28 2014-04-28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815A KR20150124230A (ko) 2014-04-28 2014-04-28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230A true KR20150124230A (ko) 2015-11-05

Family

ID=54600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815A KR20150124230A (ko) 2014-04-28 2014-04-28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423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639A (ko) * 2015-10-13 2018-06-20 텐 게이트 씨오론 비.브이.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열-접합 다공성 구조 및 이를 만드는 방법
CN115487580A (zh) * 2022-09-29 2022-12-20 遵义华清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用于废塑料渣清洗的防堵过滤装置的过滤方法
KR102538926B1 (ko) * 2022-12-29 2023-06-01 이중재 폐플라스틱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639A (ko) * 2015-10-13 2018-06-20 텐 게이트 씨오론 비.브이.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열-접합 다공성 구조 및 이를 만드는 방법
CN115487580A (zh) * 2022-09-29 2022-12-20 遵义华清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用于废塑料渣清洗的防堵过滤装置的过滤方法
KR102538926B1 (ko) * 2022-12-29 2023-06-01 이중재 폐플라스틱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508951B1 (de) Verfahren und anordnung zur recyclierung von kunststoff
JP3270464B2 (ja) 複合されたコンパウンド―射出成形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US5607700A (en) Synthetic resin pelletizing machine
CN102470597A (zh) 挤出发泡成形用成形材料及其制造方法、使用所述成形材料制造的木质发泡成形体以及所述木质发泡成形体的制造方法和制造装置
CN106273022A (zh) 一种连续式橡胶混炼工艺方法
KR20150124230A (ko) 폐플라스틱 재생용 컴파운드 장치
CN111688057A (zh) 一种效型塑料母粒生产用快速成型设备
CN102604206A (zh) 超细滑石粉聚丙烯填充母粒及其制备方法和设备
CN102320137A (zh) 超高分子量聚乙烯片材的制备装置和制备方法
JP2019065092A (ja) 造粒機及び造粒方法
JP4478622B2 (ja) 多種混在樹脂廃材の押出成形装置
CN213766634U (zh) 新型abs塑料生产用造粒机
CN105666827A (zh) 一种连续密炼塑化橡胶混炼装置及其生产工艺
CN205202093U (zh) 高效螺杆挤出机
EP2849923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ulver aus einem körnigeren, thermoplastischen material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chips aus einem pulverförmigen, thermoplastischen material
KR20090129878A (ko) 토출구 간극 조절수단을 갖는 압출 패널 제조장치와 방법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이중 압축 패널
CN202607875U (zh) 一种用于生产超细滑石粉聚丙烯填充母粒的设备
DE102020113072A1 (de) Kunststoffaufbereitungsanlage und Verfahren zum Aufbereiten von Kunststoffmaterial
CN113524479A (zh) 一种pvc排水管生产用成型装置及其制备方法
CN105014915B (zh) 一种pvc粉直接挤出电线一体机
CN214926852U (zh) 注塑机挤出装置
CN110978205A (zh) 一种陶瓷激光3d打印用废料回收装置
KR20200060123A (ko) 플라스틱 필름 생산시스템을 위한 스크랩 처리장치
CN219968766U (zh) 一种结团塑料颗粒打散回收装置
JPH0223833A (ja) チョコレ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