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740B1 - 폐합성수지 펠렛화 장치 - Google Patents

폐합성수지 펠렛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740B1
KR102256740B1 KR1020200115586A KR20200115586A KR102256740B1 KR 102256740 B1 KR102256740 B1 KR 102256740B1 KR 1020200115586 A KR1020200115586 A KR 1020200115586A KR 20200115586 A KR20200115586 A KR 20200115586A KR 102256740 B1 KR102256740 B1 KR 102256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ral
synthetic resin
waste synthetic
melt extruder
p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김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수 filed Critical 김현수
Priority to KR1020200115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7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06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10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1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 B29B7/14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with screw or hel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10Extru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4Venting or degassing ; Removing liquids, e.g. by evaporating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5Filamentary, e.g. str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29C48/535Screws with thread pitch varying along the longitudin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29C48/54Screws with additional forward-fee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29C48/57Screws provided with kneading disc-like elements, e.g. with oval-shap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76Venting, drying means; Degassing means
    • B29C48/768Venting, drying means; Degassing means outside the apparatus, e.g. after the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9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using a bath, e.g. extruding into an open bath to coagulate or cool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2017/001Pretreating the materials before recovery
    • B29B2017/0015Washing, ri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8Crushing, i.e. disintegrating into small p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가 분쇄기, 탈수기 및 선별기를 순차적으로 거쳐 용융압출기에 투입되어 용융 및 압출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분이 포함된 증기를 증기 흡입장치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증기 흡입장치의 내벽에 맺히며 내벽을 따라 하부로 떨어지는 기름이 작업공간 및 성형기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품질 저하 및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용융압출기의 내부에 구성되는 스크류의 구성 중 공급부 나선 날개의 선단으로부터 나선 날개의 외주를 따라 일정구간 홈부를 형성하여 전체적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폐합성수지 펠렛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용융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용융 및 압출된 폐합성수지가 배출되는 성형기의 상부에 내부로 증기를 흡입토록 구성되는 흡입본체를 구성하고, 상기 흡입본체의 하부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연결 구성되되 상기 흡입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중앙부가 상부에서 몸체부의 하부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로 구성되는 받침부재를 구성하여 상기 몸체부와 돌출부의 사이의 수용공간에 상기 흡입본체의 내벽을 따라 떨어지는 기름이 떨어져 모일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상기 받침부재를 흡입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기름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스크류 공급부의 제 1나선부의 선단으로부터 제 1나선부의 외주를 따라 일정구간 홈부를 내삽 형성하여 용융압출기의 호퍼를 통해 투입되어 공급부의 제 1나선부를 따라 이송하는 폐합성수지의 양을 증대시켜 전체적인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폐합성수지 펠렛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합성수지 펠렛화 장치{Waste synthetic resin pelletizing device}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 펠렛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합성수지가 분쇄기, 탈수기 및 선별기를 순차적으로 거쳐 용융압출기에 투입되어 용융 및 압출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분이 포함된 증기를 증기 흡입장치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증기 흡입장치의 내벽에 맺히며 내벽을 따라 하부로 떨어지는 기름이 작업공간 및 성형기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품질 저하 및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용융압출기의 내부에 구성되는 스크류의 구성 중 공급부 나선 날개의 선단으로부터 나선 날개의 외주를 따라 일정구간 홈부를 형성하여 전체적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폐합성수지 펠렛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20세기 초부터 인류는 선진국들의 주도하에 대량 생산 방식을 도입하여 생산 효율화를 추구하고, 공업화 속도가 급증함에 따라 대량생산, 대량소비 시대를 열었으며, 이에 따라 생활의 편리성은 현격하게 증대된 반면, 지구환경 악화로 인한 환경 문제가 대두되었다.
각종 공장에서의 생산활동과 자동차, 기차, 비행기 선박 등의 수송활동 및 냉난방, 취사, 여가 활동 등의 각종 인간활동에 의해 유발되는 인위적인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 소음, 진동, 악취 등이 자연환경이나 생활환경을 손상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사람의 생활 및 건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특히,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염화불화탄소 등의 가스가 지구 주위를 둘러싼 결과, 지층의 가열된 복사열 방출을 막고, 지구가 더워지는 현상인 온실 효과를 유발하게 되었다.
이러한 지구온난화 문제를 국제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국제사회는 1992년 6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개최한 협회에서 기후변화협약을 체결하였고, 1998년에는 교토의정서를 통하여 청정개발 체제,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 체제 등을 수단으로 시장원리에 입각한 온실가스 배출의 감축 및 각국의 구속력있는 목표를 산정하기에 이르렀으며, 이에 따라 폐기물에 대한 리사이클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먼저, 폐합성수지를 리사이클링 하는 종래의 폐합성수지 펠렛화 장치를 살펴보면, 분쇄기, 탈수기, 선별기, 용융압출기, 성형기, 냉각부 및 컷팅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쇄기, 탈수기 및 선별기를 순차적으로 거쳐 분쇄, 탈수 및 선별된 폐합성수지가 용융압출기에 투입되어 용융 및 압출되고, 상기 용융압출기를 통해 용융 및 압출된 폐합성수지가 성형기를 통해 국수와 같은 일정 형상과 단면적의 가닥으로 연속 배출되며 순차적으로 냉각 및 컷팅 되도록 구성된다.
우선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제 10-0770804호(특) 오물이 부착된 폐합성수지를 부수는 파쇄기; 상기 파쇄기를 통과한 폐합성수지에서 오물을 제거하는 세척기; 상기 세척기를 통과한 폐합성수지에서 습기를 제거하는 탈수기;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되는 봉상체와, 상기 봉상체의 회전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상기 봉상체의 외주면에 연속되게 형성되어 있고, 폐합성수지 용융 과정에 따라 가변되는 피치를 갖는 나선체를 포함하는 이송스크류, 상기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되며 상기 이송스크류의 봉상체와 전방 초기 구간에서만 중첩되도록 상기 이송스크류의 봉상체에 비하여 짧은 봉상체와, 상기 봉상체의 회전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상기 봉상체의 외주면에 연속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호 중첩된 상기 이송스크류 나선체의 피치와 같은 피치를 가져 상호 엇물림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송스크류의 나선체와 엇갈린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나선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스크류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탈수스크류, 절단 유입구와 후단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이송스크류 및 상기 탈수스크류를 수용하며, 상기 각 스크류의 나선체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갖고, 상기 탈수스크류의 배열 구간에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및 상기 이송스크류에 의하여 이송되는 폐합성수지의 용융을 위한 가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탈수기를 통과한 폐합성수지를 녹이는 용융 압출장치; 상기 압출장치 후방에 구비되어 일정 단면적을 갖는 가닥으로 연속 배출하는 성형기; 상기 성형기를 통과한 폐합성수지를 식히는 냉각기; 및 상기 냉각기를 통과한 폐합성수지를 일정 길이로 자르는 절단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폐합성수지 펠렛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폐합성수지를 용융 배출하는 압출장치와 이를 이용한 전체적인 폐합성수지 펠렛화 시스템에 관한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폐합성수지를 용융하는 압출장치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체를 효율적으로 배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종래의 일반적인 스크류의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폐합성수지의 이송, 용융, 압출 및 배출을 원활하게 수행하여 효율적인 생산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용융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용융 및 압출된 폐합성수지가 배출되는 성형기의 상부에 내부로 증기를 흡입토록 구성되는 흡입본체를 구성하고, 상기 흡입본체의 하부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연결 구성되되 상기 흡입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중앙부가 상부에서 몸체부의 하부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로 구성되는 받침부재를 구성하여 상기 몸체부와 돌출부의 사이의 수용공간에 상기 흡입본체의 내벽을 따라 떨어지는 기름이 떨어져 모일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상기 받침부재를 흡입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기름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스크류 공급부의 제 1나선부의 선단으로부터 제 1나선부의 외주를 따라 일정구간 홈부를 내삽 형성하여 용융압출기의 호퍼를 통해 투입되어 공급부의 제 1나선부를 따라 이송하는 폐합성수지의 양을 증대시켜 전체적인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폐합성수지 펠렛화 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폐합성수지를 분쇄하는 분쇄기; 상기 분쇄기로부터 분쇄되어 이송되는 폐합성수지를 세척 및 탈수하는 탈수기; 상기 탈수기에 의해 세척 및 탈수된 폐합성수지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선별기; 내부에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토록 구성되는 스크류가 구비되어, 상기 선별기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폐합성수지를 이송, 용융, 가압, 혼합 및 압출하여 배출하는 용융압출기; 상기 용융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용융 및 압출된 폐합성수지를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가닥으로 배출하는 성형기; 상기 성형기를 통해 성형되어 배출되는 폐합성수지를 냉각하는 냉각기; 상기 냉각기를 거친 폐합성수지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컷팅기; 로 구성되는 폐합성수지 펠렛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융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용융 및 압출된 폐합성수지가 공급되는 성형기의 상부에 위치되어 구성되되 내부로 증기를 흡입토록 구성되는 흡입본체와, 상기 흡입본체의 하부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연결 구성되되 상기 흡입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중앙부가 상부에서 몸체부의 하부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부와 돌출부의 사이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받침부재로 구성되는 증기 흡입장치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스크류는, 외주를 따라 나선 날개 형상의 제 1나선부가 구비되어, 상기 용융압출기로 투입되는 폐합성수지를 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공급부와, 외주를 따라 나선 날개 형상의 제 2나선부가 구비되어, 상기 공급부에 의해 이송되는 폐합성수지를 용융 및 가압하여 혼합하는 혼련부와, 외주를 따라 나선 날개 형상의 제 3나선부가 구비되어, 상기 혼련부에 의해 용융 및 혼합된 폐합성수지를 이송시켜 성형기로 배출하는 압출부로 구성되되, 상기 공급부의 제 1나선부의 선단으로부터 제 1나선부의 외주를 따라 일정구간 홈부가 내삽 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 펠렛화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펠렛화 장치에 의하면, 용융압출기의 내부에서 폐합성수지가 용융 및 압출되며 발생하는 증기를 흡입본체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상기 흡입본체로 흡입되는 증기에 포함된 유분이 내벽에 맺혀 내벽을 따라 하부로 떨어질 시에 받침부재의 몸체부와 돌출부 사이의 수용공간에 떨어져 모일 수 있도록 하여 품질 저하 및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자가 상기 받침부재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받침부재의 수용공간에 모인 기름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용융압출기로 투입되는 폐합성수지를 이송시키는 공급부의 제 1나선부의 선단 외주에 홈부를 형성하여 공급부를 통해 이송하는 폐합성수지의 양을 증대시켜 폐합성수지 펠릿화 장치에 의해 리사이클링 되는 폐합성수지의 시간당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어 경제적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폐합성수지 펠렛화 장치의 구성 중 용융압출기 및 성형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부분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폐합성수지 펠렛화 장치의 구성 중 증기 흡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증기 흡입장치의 구성 중 흡입본체, 받침부재 및 필터부를 나타내는 분해도(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부분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증기 흡입장치의 구성 중 받침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부분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용융압출기의 스크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a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는 도 10의 a를 나타내는 정단면도(a')
도 13은 본 발명의 용융압출기의 스크류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의 스크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스크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A ㅡ A') 및 도 15의 (B ㅡ B')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가 분쇄기, 탈수기 및 선별기를 순차적으로 거쳐 용융압출기에 투입되어 용융 및 압출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분이 포함된 증기를 증기 흡입장치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증기 흡입장치의 내벽에 맺히며 내벽을 따라 하부로 떨어지는 기름이 작업공간 및 성형기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품질 저하 및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용융압출기의 내부에 구성되는 스크류의 구성 중 공급부 나선 날개의 선단으로부터 나선 날개의 외주를 따라 일정구간 홈부를 형성하여 전체적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폐합성수지 펠렛화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6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폐합성수지를 분쇄하는 분쇄기(10); 상기 분쇄기(10)로부터 분쇄되어 이송되는 폐합성수지를 세척 및 탈수하는 탈수기(20); 상기 탈수기(20)에 의해 세척 및 탈수된 폐합성수지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선별기(30); 내부에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토록 구성되는 스크류(43)가 구비되어, 상기 선별기(30)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폐합성수지를 이송, 용융, 가압, 혼합 및 압출하여 배출하는 용융압출기(40); 상기 용융압출기(40)로부터 배출되는 용융 및 압출된 폐합성수지를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가닥으로 배출하는 성형기(50); 상기 성형기(50)를 통해 성형되어 배출되는 폐합성수지를 냉각하는 냉각기(60); 상기 냉각기(60)를 거친 폐합성수지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컷팅기(70); 로 구성되는 폐합성수지 펠렛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융압출기(40)로부터 배출되는 용융 및 압출된 폐합성수지가 공급되는 성형기(50)의 상부에 위치되어 구성되되 내부로 증기를 흡입토록 구성되는 흡입본체(100)와, 상기 흡입본체(100)의 하부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연결 구성되되 상기 흡입본체(100)의 내부와 연통되는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210)의 내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중앙부가 상부에서 몸체부(210)의 하부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돌출부(220)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부(210)와 돌출부(220)의 사이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받침부재(200)로 구성되는 증기 흡입장치(80)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스크류(43)는, 외주를 따라 나선 날개 형상의 제 1나선부(710)가 구비되어, 상기 용융압출기(40)로 투입되는 폐합성수지를 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공급부(700)와, 외주를 따라 나선 날개 형상의 제 2나선부(810)가 구비되어, 상기 공급부(700)에 의해 이송되는 폐합성수지를 용융 및 가압하여 혼합하는 혼련부(800)와, 외주를 따라 나선 날개 형상의 제 3나선부(910)가 구비되어, 상기 혼련부(800)에 의해 용융 및 혼합된 폐합성수지를 이송시켜 성형기(50)로 배출하는 압출부(900)로 구성되되, 상기 공급부(700)의 제 1나선부(710)의 선단으로부터 제 1나선부(710)의 외주를 따라 일정구간 홈부(713)가 내삽 되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또한, 상기 증기 흡입장치(80)에는, 상기 받침부재(200)의 하부에는 상기 몸체부(210)의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는 메쉬망(310)과, 상기 몸체부(210)를 감싸며 몸체부(210)의 외주에 위치되는 메쉬망(31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20)로 구성되는 필터부(3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200)의 몸체부(210)의 내경과 상기 흡입본체(100)의 하측 단부의 외경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210)의 내주에는 나사산(213)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본체(100)의 외주에는 상기 나사산(213)과 체결되는 나사산(1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200)의 돌출부(220)의 외경은 상기 흡입본체(100)의 하측 단부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210)의 내부 하면은 일 측에서 타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210)의 타 측에는 외측에서 상기 몸체부(210)와 돌출부(220)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으로 관통되는 배출홀(215)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홀(215)에는 상기 배출홀(215)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6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증기 흡입장치(80)에는, 상기 용융압출기(40)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용융압출기(40)의 끝 단부에 연결 구성되는 연결부(410)와, 상기 연결부(410)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융압출기(40) 및 연결부(410)의 내부로 이동하는 용융 및 압출된 폐합성수지를 성형기(50)로 배출하는 연장부(420)로 구성되는 연결부재(4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증기 흡입장치(80)에는, 일 측 단부가 상기 연결부(410)의 외측 단부에 연결 구성되는 제 1지지부(510)와, 상기 제 1지지부(510)의 일 측 단부와 축(h) 결합되어 상기 축(h)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제 2지지부(520)와, 일 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 일 측이 상기 제 2지지부(520)에 연결 구성되고, 상기 연장부(420)의 끝 단부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위치되는 가이드부재(530)로 구성되는 가이드부(5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나선부(710), 제 2나선부(810) 및 제 3나선부(910)의 외경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나선부(710)의 나선 날개 사이의 골의 깊이(D1)는 상기 제 2나선부(810)의 나선 날개 사이의 골의 깊이(D2)와 동일한 깊이로 내삽 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3나선부(910)의 나선 날개 사이의 골의 깊이(D3)는 상기 제 1나선부(710) 및 제 2나선부(810)의 나선 날개 사이의 골의 깊이(D1, D2)보다 낮은 깊이로 내삽 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나선부(710) 및 제 2나선부(810)의 나선 날개 사이의 골의 깊이(D1, D2)는 상기 제 3나선부(910)의 나선 날개 사이의 골의 깊이(D3)보다 5.7 ~ 5.8배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나선부(710)의 피치(P1)는 상기 제 2나선부(810)의 피치(P2)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 2나선부(810)의 피치(P2)는 상기 제 3나선부(910)의 피치(P3)보다 크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나선부(710)의 피치(P1), 상기 제 2나선부(810)의 피치(P2) 및 상기 제 3나선부(910)의 피치(P3)의 비율은 5 : 3 : 1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공급부(700), 혼련부(800) 및 압출부(900)는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된다.
먼저, 상기 공급부(700), 혼련부(800) 및 압출부(900)가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하는 그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상기 공급부(700)의 후단 후면부에 형성되는 제 1삽입부(710), 상기 혼련부(800)의 선단 전면부에 형성되는 제 1삽입홈(820), 상기 혼련부(800)의 후단 후면부에 형성되는 제 2삽입부(830), 상기 압출부(900)의 선단 전면부에 형성되는 제 2삽입홈(9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삽입부(720)는 상기 공급부(700)의 후단 후면부의 중앙에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삽입부(720)의 외주에는 제 1체결홀(723)이 형성된다.
상기 제 1삽입홈(820)은 상기 혼련부(800)의 선단 전면부의 중앙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내삽 되어 상기 제 1삽입부(7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삽입홈(820)이 형성되는 상기 혼련부(800)의 선단 외주 일 측에는 상기 제 1삽입부(720)가 제 1삽입홈(820)에 삽입될 시에 상기 제 1삽입부(720)의 제 1체결홀(723)과 연통되는 제 1삽입홀(823)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삽입부(830)는 상기 혼련부(800)의 후단 후면부의 중앙에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삽입부(830)의 외주에는 제 2체결홀(833)이 형성된다.
상기 제 2삽입홈(920)은 상기 압출부(900)의 선단 전면부의 중앙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내삽 되어 상기 제 2삽입부(8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삽입홈(920)이 형성되는 상기 혼련부(800)의 선단 외주 일 측에는 상기 제 2삽입부(830)가 제 2삽입홈(920)에 삽입될 시에 상기 제 2삽입부(830)의 제 2체결홀(833)과 연통되는 제 2삽입홀(923)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한 제 1삽입홀(823) 및 제 2삽입홀(923)에는 상기 제 1체결홀(723) 및 제 2체결홀(833)에 체결되는 제 1체결부재(b1) 및 제 2체결부재(b2)가 각각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체결홀(723)에 체결되어 상기 제 1삽입홀(823)에 위치되는 제 1체결부재(b1)의 끝 단부는 상기 혼련부(800) 제 2나선부(810)의 나선 날개 사이의 골과 동일한 원호 상에 호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 2체결홀(823)에 체결되어 상기 제 2삽입홀(923)에 위치되는 제 2체결부재(b2)의 끝 단부는 상기 압출부(900) 제 3나선부(910)의 나선 날개 사이의 골과 동일한 원호 상에 호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펠렛화 장치에 의하면, 용융압출기의 내부에서 폐합성수지가 용융 및 압출되며 발생하는 증기를 흡입본체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상기 흡입본체로 흡입되는 증기에 포함된 유분이 내벽에 맺혀 내벽을 따라 하부로 떨어질 시에 받침부재의 몸체부와 돌출부 사이의 수용공간에 떨어져 모일 수 있도록 하여 품질 저하 및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자가 상기 받침부재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받침부재의 수용공간에 모인 기름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용융압출기로 투입되는 폐합성수지를 이송시키는 공급부의 제 1나선부의 선단 외주에 홈부를 형성하여 공급부를 통해 이송하는 폐합성수지의 양을 증대시켜 폐합성수지 펠릿화 장치에 의해 리사이클링 되는 폐합성수지의 시간당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어 경제적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 : 분쇄기 20 : 탈수기
30 : 선별기
40 : 용융압출기 43 : 스크류
50 : 성형기 60 : 냉각기
70 : 컷팅기 80 : 증기 흡입장치
100 : 흡입본체
110 : 나사산
200 : 받침부재
210 : 몸체부 213 : 나사산
215 : 배출홀
220 : 돌출부
300 : 필터부
310 : 메쉬망 320 : 고정부재
400 : 연결부재
410 : 연결부 420 : 연장부
500 : 가이드부재
510 : 제 1지지부 520 : 제 2지지부
530 : 가이드부재
600 : 개폐부
700 : 공급부
710 : 제 1나선부 713 : 홈부
720 : 제 1삽입부 723 : 제 1체결홀
800 : 혼련부
810 : 제 2나선부
820 : 제 1삽입홈 823 : 제 1삽입홀
830 : 제 2삽입부 833 : 제 2체결홀
900 : 압출부
910 : 제 3나선부
920 : 제 2삽입홈 923 : 제 2삽입홀
b1 : 제 1체결부재
b2 : 제 2체결부재
h : 축
D1 : 제 1나선부 나선 날개 사이의 골의 깊이
D2 : 제 2나선부 나선 날개 사이의 골의 깊이
D3 : 제 3나선부 나선 날개 사이의 골의 깊이
P1 : 제 1나선부의 피치
P2 : 제 2나선부의 피치
P3 : 제 3나선부의 피치

Claims (5)

  1. 폐합성수지를 분쇄하는 분쇄기(10); 상기 분쇄기(10)로부터 분쇄되어 이송되는 폐합성수지를 세척 및 탈수하는 탈수기(20); 상기 탈수기(20)에 의해 세척 및 탈수된 폐합성수지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선별기(30); 내부에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토록 구성되는 스크류(43)가 구비되어, 상기 선별기(30)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폐합성수지를 이송, 용융, 가압, 혼합 및 압출하여 배출하는 용융압출기(40); 상기 용융압출기(40)로부터 배출되는 용융 및 압출된 폐합성수지를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가닥으로 배출하는 성형기(50); 상기 성형기(50)를 통해 성형되어 배출되는 폐합성수지를 냉각하는 냉각기(60); 상기 냉각기(60)를 거친 폐합성수지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컷팅기(70); 로 구성되는 폐합성수지 펠렛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융압출기(40)로부터 배출되는 용융 및 압출된 폐합성수지가 공급되는 성형기(50)의 상부에 위치되어 구성되되 내부로 증기를 흡입토록 구성되는 흡입본체(100)와,
    상기 흡입본체(100)의 하부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연결 구성되되 상기 흡입본체(100)의 내부와 연통되는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210)의 내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중앙부가 상부에서 몸체부(210)의 하부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돌출부(220)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부(210)와 돌출부(220)의 사이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받침부재(200)로 구성되되, 상기 받침부재(200)의 몸체부(210)의 내경과 상기 흡입본체(100)의 하측 단부의 외경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재(200)의 돌출부(220)의 외경은 상기 흡입본체(100)의 하측 단부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증기 흡입장치(80)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증기 흡입장치에는,
    상기 받침부재(200)의 하부에는 상기 몸체부(210)의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는 메쉬망(310)과, 상기 몸체부(210)를 감싸며 몸체부(210)의 외주에 위치되는 메쉬망(31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20)로 구성되는 필터부(300)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용융압출기(40)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용융압출기(40)의 끝 단부에 연결 구성되는 연결부(410)와, 상기 연결부(410)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융압출기(40) 및 연결부(410)의 내부로 이동하는 용융 및 압출된 폐합성수지를 성형기(50)로 배출하는 연장부(420)로 구성되는 연결부재(400)와,
    일 측 단부가 상기 연결부(410)의 외측 단부에 연결 구성되는 제 1지지부(510)와, 상기 제 1지지부(510)의 일 측 단부와 축(h) 결합되어 상기 축(h)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제 2지지부(520)와, 일 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 일 측이 상기 제 2지지부(520)에 연결 구성되고, 상기 연장부(420)의 끝 단부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위치되는 가이드부재(530)로 구성되는 가이드부(500)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스크류(43)는,
    외주를 따라 나선 날개 형상의 제 1나선부(710)가 구비되어, 상기 용융압출기(40)로 투입되는 폐합성수지를 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공급부(700)와, 외주를 따라 나선 날개 형상의 제 2나선부(810)가 구비되어, 상기 공급부(700)에 의해 이송되는 폐합성수지를 용융 및 가압하여 혼합하는 혼련부(800)와, 외주를 따라 나선 날개 형상의 제 3나선부(910)가 구비되어, 상기 혼련부(800)에 의해 용융 및 혼합된 폐합성수지를 이송시켜 성형기(50)로 배출하는 압출부(900)로 구성되고, 상기 제 1나선부(710), 제 2나선부(810) 및 제 3나선부(910)의 외경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나선부(710)의 나선 날개 사이의 골의 깊이(D1)는 상기 제 2나선부(810)의 나선 날개 사이의 골의 깊이(D2)와 동일한 깊이로 내삽 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3나선부(910)의 나선 날개 사이의 골의 깊이(D3)는 상기 제 1나선부(710) 및 제 2나선부(810)의 나선 날개 사이의 골의 깊이(D1, D2)보다 낮은 깊이로 내삽 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 1나선부(710) 및 제 2나선부(810)의 나선 날개 사이의 골의 깊이(D1, D2)는 상기 제 3나선부(910)의 나선 날개 사이의 골의 깊이(D3)보다 5.7 ~ 5.8배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 1나선부(710)의 피치(P1)는 상기 제 2나선부(810)의 피치(P2)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 2나선부(810)의 피치(P2)는 상기 제 3나선부(910)의 피치(P3)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제 1나선부(710)의 피치(P1), 상기 제 2나선부(810)의 피치(P2) 및 상기 제 3나선부(910)의 피치(P3)의 비율은 5 : 3 : 1로 형성되되,
    상기 공급부(700)의 제 1나선부(710)의 선단으로부터 제 1나선부(710)의 외주를 따라 1피치 구간 홈부(713)가 내삽 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 펠렛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흡입장치(80)에는,
    상기 몸체부(210)의 내주에는 나사산(213)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본체(100)의 외주에는 상기 나사산(213)과 체결되는 나사산(110)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210)의 내부 하면은 일 측에서 타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210)의 타 측에는 외측에서 상기 몸체부(210)와 돌출부(220)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으로 관통되는 배출홀(215)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홀(215)에는 상기 배출홀(215)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60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 펠렛화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700), 혼련부(800) 및 압출부(900)는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되되,
    상기 공급부(700)의 후단 후면부의 중앙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삽입부(720)가 형성되되 상기 제 1삽입부(720)의 외주에는 제 1체결홀(723)이 형성되고,
    상기 혼련부(800)의 선단 전면부의 중앙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내삽 되며 형성되어 상기 제 1삽입부(720)가 삽입되는 제 1삽입홈(820)이 형성되되 상기 제 1삽입홈(820)이 형성되는 상기 혼련부(800)의 선단 외주 일 측에는 상기 제 1삽입부(720)가 제 1삽입홈(820)에 삽입될 시에 상기 제 1삽입부(720)의 제 1체결홀(723)과 연통되는 제 1삽입홀(823)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혼련부(800)의 후단 후면부의 중앙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2삽입부(830)가 형성되되 상기 제 2삽입부(830)의 외주에는 제 2체결홀(833)이 형성되고,
    상기 압출부(900)의 선단 전면부의 중앙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내삽 되며 형성되어 상기 제 2삽입부(830)가 삽입되는 제 2삽입홈(920)이 형성되되 상기 제 2삽입홈(920)이 형성되는 상기 혼련부(800)의 선단 외주 일 측에는 상기 제 2삽입부(830)가 제 2삽입홈(920)에 삽입될 시에 상기 제 2삽입부(830)의 제 2체결홀(833)과 연통되는 제 2삽입홀(923)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삽입홀(823) 및 제 2삽입홀(923)에는 상기 제 1체결홀(723) 및 제 2체결홀(833)에 체결되는 제 1체결부재(b1) 및 제 2체결부재(b2)가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 펠렛화 장치.
KR1020200115586A 2020-09-09 2020-09-09 폐합성수지 펠렛화 장치 KR102256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586A KR102256740B1 (ko) 2020-09-09 2020-09-09 폐합성수지 펠렛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586A KR102256740B1 (ko) 2020-09-09 2020-09-09 폐합성수지 펠렛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6740B1 true KR102256740B1 (ko) 2021-05-26

Family

ID=76137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586A KR102256740B1 (ko) 2020-09-09 2020-09-09 폐합성수지 펠렛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7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84480A (zh) * 2022-08-24 2022-11-04 杭州鑫派新材料科技有限公司 聚烯烃树脂组合物的制造系统及方法
KR102538926B1 (ko) * 2022-12-29 2023-06-01 이중재 폐플라스틱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6723U (ja) * 1991-03-19 1993-10-19 株式会社新潟鉄工所 ベント式射出成形機用スクリュ
KR100600002B1 (ko) * 2005-05-16 2006-07-19 서선자 렌지후드의 흡입장치
KR101126287B1 (ko) * 2011-07-21 2012-03-20 (주)한도기공 믹싱기능이 부가된 압출기용 스크류
KR200466965Y1 (ko) * 2011-02-22 2013-05-24 서동원 폐합성수지 재생압출기
KR101697463B1 (ko) * 2016-08-09 2017-01-17 채경민 스크랩을 이용한 재생수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02950B1 (ko) * 2017-04-14 2017-11-30 주식회사 강산이앤씨 합성목재 제조장치용 이물 진공 배출장치와 이를 이용한 친환경 합성목재
KR101994313B1 (ko) * 2018-03-08 2019-06-28 이길호 재생 플라스틱의 제조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6723U (ja) * 1991-03-19 1993-10-19 株式会社新潟鉄工所 ベント式射出成形機用スクリュ
KR100600002B1 (ko) * 2005-05-16 2006-07-19 서선자 렌지후드의 흡입장치
KR200466965Y1 (ko) * 2011-02-22 2013-05-24 서동원 폐합성수지 재생압출기
KR101126287B1 (ko) * 2011-07-21 2012-03-20 (주)한도기공 믹싱기능이 부가된 압출기용 스크류
KR101697463B1 (ko) * 2016-08-09 2017-01-17 채경민 스크랩을 이용한 재생수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02950B1 (ko) * 2017-04-14 2017-11-30 주식회사 강산이앤씨 합성목재 제조장치용 이물 진공 배출장치와 이를 이용한 친환경 합성목재
KR101994313B1 (ko) * 2018-03-08 2019-06-28 이길호 재생 플라스틱의 제조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84480A (zh) * 2022-08-24 2022-11-04 杭州鑫派新材料科技有限公司 聚烯烃树脂组合物的制造系统及方法
CN115284480B (zh) * 2022-08-24 2023-09-01 杭州鑫派新材料科技有限公司 聚烯烃树脂组合物的制造系统及方法
KR102538926B1 (ko) * 2022-12-29 2023-06-01 이중재 폐플라스틱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6740B1 (ko) 폐합성수지 펠렛화 장치
CN101616781B (zh) 用于在再循环废弃塑料时分离浆状物和其它附着的物质的方法
KR101440235B1 (ko) 농산물 착즙기
EP0800445B1 (de) Verfahren und anlage zur aufbereitung von mischkunststoffen
US20130119575A1 (en) Plastic Waste Recycling Apparatus and System
US20130119171A1 (en) Plastic waste recycling apparatus and system
CN107048968A (zh) 一种榨汁效率高的挤压式榨汁机
US504105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soft tissue from bones
DE102005014684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ntgraten von kleinen Formteilen
DE4206054C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Tabakstranges
CN103447237B (zh) 餐厨废弃物自动分选装置
KR200474413Y1 (ko) 농산물 착즙기
KR102505591B1 (ko) 각 2개의 믹싱존과 환기구를 가지는 폐합성수지 재생 압출장치
CN101565646B (zh) 移动式双筒秸秆固化燃料成型机
CN112845499B (zh) 一种分类式园林废弃物源头减量设备
CN108994049B (zh) 一种温蒸棘刀双筛滚筒垃圾分选机
KR102249220B1 (ko) 폐합성수지 펠렛화 장치의 이물질 거름장치
CN102574305B (zh) 回收造纸机衬料的方法
CN206372915U (zh) 塑料颗粒的加工装置
CN106945336A (zh) 用于生产颗粒的装置
KR101634928B1 (ko) 고형연료제품 펠렛화 시스템
CN106513134A (zh) 塑料颗粒的加工装置
CN210160143U (zh) 废旧输送带处理装置
KR20050056762A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순환모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206866233U (zh) 生物饲料菌袋分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