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0598A -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0598A
KR20240010598A KR1020220086720A KR20220086720A KR20240010598A KR 20240010598 A KR20240010598 A KR 20240010598A KR 1020220086720 A KR1020220086720 A KR 1020220086720A KR 20220086720 A KR20220086720 A KR 20220086720A KR 20240010598 A KR20240010598 A KR 20240010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ofoam
crushing
waste styrofoam
waste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국
Original Assignee
유승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국 filed Critical 유승국
Priority to KR1020220086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0598A/ko
Publication of KR20240010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0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26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17/04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to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75Plastic waste
    • B09B2101/78Plastic waste containing foamed plastics, e.g. polysty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4Solid state shear extrusion pulve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8Crushing, i.e. disintegrating into small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76Cutting or tearing members, e.g. spiked or toothed cylinders or intermesh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5/00Use of polymers of vinyl-aromatic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5/04Polymers of styrene
    • B29K2025/06PS, i.e. polystyr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 스티로폼을 공급하고, 파쇄하고, 용융시켜 잉곳으로 형성하는 각 구성들을 하나의 장치로 형성하여 공정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어 폐 스티로폼 재생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폐 스티로폼에 부착된 테이프 등의 이물질을 폐 스티로폼의 파쇄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제거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뼈대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폐 스티로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와, 상기 파쇄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파쇄 장치로 폐 스티로폼을 공급하는 공급 장치와, 상기 파쇄 장치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파쇄 장치로부터 공급받은 파쇄된 폐 스티로폼을 용융시키는 감용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a regeneration apparatus of styrofoam}
본 발명은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 스티로폼을 공급하고, 파쇄하고, 용융시켜 잉곳으로 형성하는 각 구성들을 하나의 장치로 형성하여 공정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어 폐 스티로폼 재생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폐 스티로폼에 부착된 테이프 등의 이물질을 폐 스티로폼의 파쇄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제거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분자 폴리스틸렌(polystyrene)에 부탄과 질소 가스를 기계적으로 주입하여 용융시킨 후 발포시킨 스티로폼(styrofoam)은 비중이 작아 극히 가벼우며, 복원성, 완충성, 단열성, 가공성, 경제성 등이 매우 양호하여 전기 제품의 완충 포장재와 건축 단열재 등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스티로폼은 오랜 시간이 경과하여도 부패하지 않고, 소각 처리할 때 유해 가스가 발생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므로, 지자체는 물론 범정부적으로 스티로폼에 대한 재활용 방안이 적극 권장되고 있다.
최근에는 스티로폼을 재활용 가능하게 파쇄할 수 있는 폐스티로폼 파쇄장치가 사용되고 있는데, 종래의 폐스티로폼 파쇄장치는 작업대에 장착되고 호퍼와 배출구가 구비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축설되어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고 외주면에 톱날이 형성되는 구동축과, 구동축에 구비되는 파쇄롤러와, 케이스의 내부에 축설되어 구동축의 동력으로 회전되고 외부에 커터가 형성되는 종동축 및, 종동축에 구비되는 파쇄롤러 등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스티포폼을 재생하기 위하여 스티로폼을 파쇄하는 파쇄장치의 일예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실용 제20-0295213호에 기재된 기술이 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작업대(1)에 장착된 케이스(11)의 상부에는 호퍼(12)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완만한 경사면을 갖는 배출구(13)를 구비한 케이싱부(10)와;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 축설되어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구동축(21)에는 그 외주면에 무수한 톱날(22a)들이 형성된 원형의 둥근톱(22)들이 일정간격을 이루어 장착된 제1파쇄롤러(20)와;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 축설되어 구동축(21)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종동축(31)에는 일정폭을 갖는 커터(32)들이 방사형으로 돌출되어 둥근톱(22)들의 사이에 위치되는 제2파쇄롤러(30)와; 둥근톱(22)이 스티로폼을 일정 폭으로 절단하면 커터(32)가 작은 크기로 파쇄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종래의 폐스티로폼 파쇄장치는 스티로폼을 파쇄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은 있으나, 스티로폼에 포함된 이물질(테이프, 끈 등)을 분리 배출시키는 기능이 없어 이물질 선별 작업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고, 스티로폼 파쇄물에 이물질이 남아있는 경우 재생스티로폼의 품질이 저하될 염려가 있었다. 또한 폐스티로폼의 파쇄된 입자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아 파쇄된 스티로폼을 감용장치로 투입하기 이전에 스티로폼을 재가공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 제20-029521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 스티로폼을 재생하기 위하여 파쇄하는 파쇄장치와 파쇄된 폐 스티로폼을 용융시켜 잉곳으로 형성하는 감용기를 포함하는 장치들을 하나의 장치로 형성하여 전체 공정을 빠르게 함으로써, 폐 스티로폼의 재생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 스티로폼에는 테이프나 스티커와 같은 이물질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폐 스티로폼을 파쇄하는 과정에서 추가로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파쇄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하여 전체 구조를 단순화하고 그에 따른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뼈대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폐 스티로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와, 상기 파쇄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파쇄 장치로 폐 스티로폼을 공급하는 공급 장치와, 상기 파쇄 장치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파쇄 장치로부터 공급받은 파쇄된 폐 스티로폼을 용융시키는 감용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파쇄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폐 스티로폼을 1차로 파쇄하는 제1 파쇄기와, 상기 제1 파쇄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파쇄기에서 1차로 파쇄된 폐 스티로폼을 보다 미세하게 파쇄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파쇄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파쇄기는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파쇄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쇄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파쇄 날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쇄 날개는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되, 전후로 위치하는 파쇄 날개는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어긋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파쇄 날개는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관통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쇄 날개의 내측에는 보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파쇄기는 상기 제1 파쇄기를 통하여 파쇄된 폐 스티로폼을 보다 미세하게 파쇄하는 상부 파쇄부와, 상기 상부 파쇄부에서 파쇄된 폐 스티로폼을 좀더 미세하게 파쇄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하부 파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공급 장치와 파쇄 장치 사이에는 제1 이송장치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1 이송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이송 파이프와, 상기 제1 이송 파이프의 내측에 설치되어 폐 스티로폼을 파쇄하면서 이동시키는 이송 스크류와, 상기 제1 이송 파이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이송 모터와, 상기 제1 이송 파이프의 상단과 상기 파쇄 장치를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공급 장치는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되는 공급 몸체와, 상기 공급 몸체 일측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공급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에 의해 폐 스티로폼을 상기 제1 이송 파이프로 이동시키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감용기의 상부에는 상기 파쇄 장치로부터 공급받은 분쇄된 폐 스티로폼이 저장되는 감용 호퍼가 연결되고, 상기 파쇄 장치와 상기 감용 호퍼 사이에는 분쇄된 폐 스티로폼을 이동시키는 제2 이송 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감용기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감용 호퍼로부터 분쇄된 폐 스티로폼을 공급받는 감용 투입구가 형성되는 감용 몸체와, 상기 감용 몸체의 내측에는 분쇄된 폐 스티로폼을 단부로 이동시키는 감용 스크류와, 상기 감용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폐 스티로폼에 열을 가하는 히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폐 스티로폼을 재생하기 위하여 파쇄하는 파쇄장치와 파쇄된 폐 스티로폼을 용융시켜 잉곳으로 형성하는 감용기를 포함하는 장치들을 하나의 장치로 형성하여 전체 공정을 빠르게 하여 폐 스티로폼의 재생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폐 스티로폼에는 테이프나 스티커와 같은 이물질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폐 스티로폼을 파쇄하는 과정에서 추가로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파쇄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하여 전체 구조를 단순화하고 그에 따른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티로폼 파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스티로폼 파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스티로폼 파쇄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의 공급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의 분쇄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의 파쇄부재의 정면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의 감용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의 공급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의 분쇄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의 파쇄부재의 정면 개념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의 감용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뼈대를 형성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폐 스티로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300)와 상기 파쇄 장치(3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파쇄 장치(300)로 폐 스티로폼을 공급하는 공급 장치(200)와 상기 파쇄 장치(30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파쇄 장치(300)로부터 공급받은 파쇄된 폐 스티로폼을 용융시키는 감용기(6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00)은 H형강 등으로 이루어져 각 구성들을 지지하게 되는데, 이렇게 폐 스티로폼을 공급하는 공급 장치(200), 파쇄 장치(300) 및 감용기(600)가 하나의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있어 폐 스티로폼을 재생하기 위한 전체 공정을 유기적으로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어 폐 스티로폼의 재생 효율을 높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 장치(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투입구(212)가 형성되는 공급 몸체(210)와 상기 공급 몸체(210) 일측에 설치되는 실린더(220)와 상기 공급 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폐 스티로폼을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부재(2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220)의 로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 몸체(210)를 관통하여 상기 가압부재(230)를 이동시키게 되는데, 상기 공급 몸체(210)의 내부 양측에는 가이드부재(214)가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재(230)와 로드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214)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232)가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실린더(220)에 의해 가압부재(230)가 이동할 때, 흔들리지 않고 이동할 수 있어 폐 스티로폼을 안정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급 장치(200)와 파쇄 장치(300) 사이에는 제1 이송장치(24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제1 이송장치(240)는 상기 공급 장치(200)와 파쇄 장치(300)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이송 파이프(242)와 상기 제1 이송 파이프(242)의 내측에 설치되는 이송 스크류(244)와 상기 제1 이송 파이프(242)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스크류(244)를 회전시키는 이송 모터(24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이송 파이프(242)의 하부와 상기 공급 몸체(210)의 일측 단부는 서로 연통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공급 장치(200)의 가압부재(230)가 투입구(212)로 투입된 폐 스티로폼을 제1 이송 파이프(242)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투입된 폐 스티로폼의 크기가 클 경우, 폐 스티로폼 전체가 제1 이송 파이프(242)의 내부로 들어갈 수 없는데, 내부로 투입된 일단부는 상기 이송 스크류(244)에 의해 파쇄되어 파쇄된 일부만이 제1 이송 파이프(242)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공급 장치(200)와 제1 이송 장치(240)의 작용에 의해 과도하게 큰 폐 스티로폼은 미리 어느 정도 파쇄할 수 있어 상기 파쇄 장치(300)에서 보다 용이하게 폐 스티로폼을 파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이송 파이프(242)의 최상단에는 상기 파쇄 장치(300)의 상부와 연결되는 연결관(250)이 설치되는데, 상기 연결관(250)은 상기 파쇄 장치(300) 방향으로 하방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이송 파이프(242)의 상단으로 이동된 폐 스티로폼이 용이하게 파쇄 장치(300)의 상부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파쇄 장치(300)는 하우징(310)과 상기 하우징(3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폐 스티로폼을 1차로 파쇄하는 제1 파쇄기(400)와 상기 제1 파쇄기(4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파쇄기(400)에서 1차로 파쇄된 폐 스티로폼을 보다 미세하게 파쇄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파쇄기(5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파쇄기(400)는 상기 하우징(3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파쇄부재(41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파쇄부재(410)는 한 쌍이 수평되도록 위치하여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상부에서 공급되는 폐 스티로폼을 파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파쇄부재(410)는 상기 하우징(310)의 내측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412)과 상기 회전축(412)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파쇄 날개(41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파쇄 날개(414)는 상기 회전축(4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측부에 위치하는 파쇄 날개(414)의 간격사이로 삽입되어 상부로부터 공급되는 폐 스티로폼이 한 쌍의 파쇄부재(410) 사이에 끼여 파쇄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412)의 전후로 위치하는 파쇄 날개(414)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어긋나게 비틀어지도록 설치되어 파쇄부재(410)가 회전시에 상부에서 공급된 폐 스티로폼이 파쇄부재(410) 사이로 형성되는 공간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파쇄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파쇄기(400)의 상부에는 보조 파쇄기(320)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보조 파쇄기(320)는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축(322)과 상기 축(322)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파쇄날(324)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제1 이송장치(240)를 통하여 하우징(310)의 상부로 공급된 폐 스티로폼 중에서 큰 부피의 폐 스티로폼은 상기 보조 파쇄기(320)를 통과하면서 좀더 작은 사이즈로 분쇄되어 상기 제1 파쇄기(400)로 공급되어 보다 용이하게 파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쇄부재(410)를 구성하는 상기 파쇄 날개(414)는 그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회전축(4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파쇄 날개(414)의 내측에는 보강부재(416)이 더 구비되어 상기 파쇄 날개(414)가 폐 스티로폼을 파쇄할 때,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파쇄효유을 높이고 완충작용을 함으로써,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416)는 양측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과도한 압력이 가해질 경우 변형된 후, 다시 복원되도록 하여 파손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파쇄된 스티로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파쇄기(500)는 상기 제1 파쇄기(400)를 통하여 파쇄된 폐 스티로폼을 보다 미세하게 파쇄하는 상부 파쇄부(510)와 상기 상부 파쇄부(510)에서 파쇄된 폐 스티로폼을 좀더 미세하게 파쇄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하부 파쇄부(5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 파쇄부(510)는 상기 제1 파쇄기(400)의 하부에 반원 형상으로 고정 설치되는 상부 가이드 드럼(512)과 상기 상부 가이드 드럼(512)의 내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 파쇄 드럼(514)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상부 가이드 드럼(512)의 양측에는 폐 스티로폼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판(부호 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가이드 드럼(512)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상부 가로 블레이드(513)가 형성되는데, 상기 상부 가로 블레이드(513)는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파쇄 드럼(514)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상부 파쇄 블레이드(515)가 설치되는데, 상기 상부 파쇄 블레이드(515)는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 가로 블레이드(513)와의 작용으로 폐 스티로폼을 작은 크기로 파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파쇄 드럼(514)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부 파쇄 블레이드(515)와 겹치도록 스크류 형태의 상부 나선 블레이드(516)가 형성되어 파쇄된 폐 스티로폼을 일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래서, 상기 상부 가이드 드럼(512)의 전부에 형성되는 상부 배출구(517)를 통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파쇄부(520)으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하부 파쇄부(520)는 상기 상부 가이드 드럼(512)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하부 가이드 드럼(522)과 상기 하부 가이드 드럼(522)의 내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부 파쇄 드럼(52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부 가이드 드럼(522)의 후부에는 상기 상부 배출구(517)에 대응되도록 하부 유입구(527)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배출구(517)로 배출되는 폐 스티로폼이 상기 하부 유입구(527)를 통하여 유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가이드 드럼(522)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하부 가로 블레이드(523)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파쇄 드럼(524)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하부 파쇄 블레이드(525)가 형성되어 폐 스티로폼을 보다 미세하게 파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파쇄 드럼(524)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부 파쇄 블레이드(525)와 교차하도록 스크류 형상의 하부 나선 블레이드(526)가 형성되어 파쇄된 폐 스티로폼에서 분리된 스티커 또는 라벨 등의 이물질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가이드 드럼(522)에는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도록 다수개의 통공(529)이 형성되어 통공(529)의 크기보다 작게 파쇄된 폐 스티로폼을 하방으로 배출하고, 이물질을 상기 하부 나선 블레이드(526)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여 하부 가이드 드럼(522)의 후방 하부에 형성되는 이물질 배출구(528)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배출구(528)를 통하여 배출되는 이물질은 제1이송장치(240) 및 파쇄장치(300)를 거치는 과정에서 이송 스크류(244), 파쇄날개(414) 및 파쇄 블레이트(515,525)의 단부가 날카롭지 않아 작게 절단되지 않고 배출되게 된다.
그래서, 상기 하부 파쇄부(520)를 통하여 폐 스티로폼에 묻어 있는 스티커 또는 라벨 등의 이물질을 안정적으로 분리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310)의 외측에는 제1,2파쇄기(400,500) 및 보조 파쇄기(320)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부호 미도시)가 각각 설치되는데, 별도의 기어로 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고, 스프라켓과 체인 등을 사용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감용기(600)의 상부에는 상기 파쇄 장치(300)로부터 공급받은 분쇄된 폐 스티로폼이 저장되는 감용 호퍼(640)가 연결되고, 상기 파쇄 장치(300)와 상기 감용 호퍼(640) 사이에는 분쇄된 폐 스티로폼을 이동시키는 제2 이송 장치(3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이송 장치(340)는 상기 파쇄 장치(300)의 하부와 상기 감용 호퍼(640)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2 이송 파이프(342)와 상기 제2 이송 파이프(342)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2 이송 파이프(342)의 내부에 음압을 형성하여 감용 호퍼(640)로 이동시키는 음압 형성 장치(미도시)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감용기(60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감용 호퍼(640)로부터 분쇄된 폐 스티로폼을 공급받는 감용 투입구(612)가 형성되는 감용 몸체(610)와 상기 감용 몸체(610)의 내측에는 분쇄된 폐 스티로폼을 단부로 이동시키는 감용 스크류(620)와 상기 감용 몸체(610)에 설치되어 상기 폐 스티로폼에 열을 가하는 히터(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송 스크류(620)는 감용기(600)의 외측에 구비되는 구동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이송 스크류(620)는 단부로 갈수록 중심축의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폐 스트리폼이 보다 용이하게 용융되어 서로 용이하게 뭉치도록 하며, 상기 감용 몸체(610)의 단부에는 커터(미도시)가 구비되어 용융된 폐 스티로폼이 배출될 때, 소정 간격으로 절단하여 잉곳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전술한 구성들을 통하여 폐 스티로폼을 파쇄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며, 파쇄된 폐 스티로폼을 용융시켜 잉곳을 제조하는 전체 과정을 하나의 장치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폐 스티로폼의 재생 과정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재생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 스티로폼을 공급하고, 파쇄하고, 용융시켜 잉곳으로 형성하는 각 구성들을 하나의 장치로 형성하여 공정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어 폐 스티로폼 재생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폐 스티로폼에 부착된 테이프 등의 이물질을 폐 스티로폼의 파쇄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제거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100 : 프레임 200 : 공급 장치
210 : 공급 몸체 220 : 실린더
230 : 가압부재 240 : 제1 이송장치
250 : 연결관 300 : 파쇄 장치
310 : 하우징 320 : 보조 파쇄기
340 : 제2 이송장치 400 : 제1 파쇄기
410 : 파쇄부재 500 : 제2 파쇄기
510 : 상부 파쇄부 520 : 하부 파쇄부
600 : 감용기 610 : 감용 몸체
620 : 감용 스크류 640 : 감용 호퍼

Claims (9)

  1. 뼈대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폐 스티로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와,
    상기 파쇄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파쇄 장치로 폐 스티로폼을 공급하는 공급 장치와,
    상기 파쇄 장치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파쇄 장치로부터 공급받은 파쇄된 폐 스티로폼을 용융시키는 감용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폐 스티로폼을 1차로 파쇄하는 제1 파쇄기와,
    상기 제1 파쇄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파쇄기에서 1차로 파쇄된 폐 스티로폼을 보다 미세하게 파쇄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파쇄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쇄기는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파쇄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쇄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파쇄 날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쇄 날개는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되, 전후로 위치하는 파쇄 날개는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어긋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 날개는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관통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쇄 날개의 내측에는 보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쇄기는 상기 제1 파쇄기를 통하여 파쇄된 폐 스티로폼을 보다 미세하게 파쇄하는 상부 파쇄부와,
    상기 상부 파쇄부에서 파쇄된 폐 스티로폼을 좀더 미세하게 파쇄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하부 파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장치와 파쇄 장치 사이에는 제1 이송장치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1 이송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이송 파이프와,
    상기 제1 이송 파이프의 내측에 설치되어 폐 스티로폼을 파쇄하면서 이동시키는 이송 스크류와,
    상기 제1 이송 파이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이송 모터와,
    상기 제1 이송 파이프의 상단과 상기 파쇄 장치를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장치는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되는 공급 몸체와,
    상기 공급 몸체 일측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공급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에 의해 폐 스티로폼을 상기 제1 이송 파이프로 이동시키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용기의 상부에는 상기 파쇄 장치로부터 공급받은 분쇄된 폐 스티로폼이 저장되는 감용 호퍼가 연결되고,
    상기 파쇄 장치와 상기 감용 호퍼 사이에는 분쇄된 폐 스티로폼을 이동시키는 제2 이송 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용기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감용 호퍼로부터 분쇄된 폐 스티로폼을 공급받는 감용 투입구가 형성되는 감용 몸체와,
    상기 감용 몸체의 내측에는 분쇄된 폐 스티로폼을 단부로 이동시키는 감용 스크류와,
    상기 감용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폐 스티로폼에 열을 가하는 히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
KR1020220086720A 2022-07-14 2022-07-14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 KR20240010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720A KR20240010598A (ko) 2022-07-14 2022-07-14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720A KR20240010598A (ko) 2022-07-14 2022-07-14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598A true KR20240010598A (ko) 2024-01-24

Family

ID=89717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720A KR20240010598A (ko) 2022-07-14 2022-07-14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059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213Y1 (ko) 2002-07-24 2002-11-18 노윤한 폐 스티로폼 파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213Y1 (ko) 2002-07-24 2002-11-18 노윤한 폐 스티로폼 파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666B1 (ko) 폐기물 파쇄장치
KR100961271B1 (ko) 전자스크랩 파쇄장치
CN111589542A (zh) 一种用于衬衫加工的废弃布料回收装置
KR102272376B1 (ko) 스티로폼 파쇄장치
CN202943777U (zh) 一种输液瓶粉碎机
CN101195974B (zh) 一种使废纸造纸中的废料渣再生的生产处理方法及其装置
KR100540768B1 (ko) 자동차용 폐 페트병 파쇄기
KR100574063B1 (ko) 음식물 파쇄기
JP2006346576A (ja) 一軸型破砕機
KR20240010598A (ko) 자동 이물질 제거 스티로폼 재생 장치
CN218776929U (zh) 一种废旧塑料加工回收再生装置
CN110653046A (zh) 一种废料收集的高效环保粉碎处理装置
CN213914159U (zh) 一种倾斜式双轴切碎机
CN212400045U (zh) 一种橡胶生产用循环粉碎装置
CN221089654U (zh) 一种废旧轮胎粉碎机
CN219151140U (zh) 一种皮革粉碎回收设备
CN214864130U (zh) 一种带有清洗功能的废铁桶二级切碎装置
CN219705777U (zh) 一种泡沫废料回收装置
CN217414589U (zh) 一种废料粉碎输送装置
CN219359987U (zh) 一种编织袋废料回收装置
CN219381225U (zh) 一种塑胶条废料粉碎机
CN218459703U (zh) 一种安全防护型双轴破碎机
CN220561964U (zh) 一种薄膜切碎装置
CN204367234U (zh) 一种定位塑料撕碎装置
KR102385417B1 (ko) 스티로폼 파쇄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