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232B1 - 화물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화물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5232B1 KR102525232B1 KR1020210097024A KR20210097024A KR102525232B1 KR 102525232 B1 KR102525232 B1 KR 102525232B1 KR 1020210097024 A KR1020210097024 A KR 1020210097024A KR 20210097024 A KR20210097024 A KR 20210097024A KR 102525232 B1 KR102525232 B1 KR 1025252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go
- conveyor
- swing arms
- tables
- sw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4—Devices for flexing or tilting travelling structures; Throw-off carriages
- B65G47/945—Devices for flexing or tilting travelling structures; Throw-off carriages tilting endless surfaces, e.g. bel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개시되는 화물 리프트 장치는, 화물을 이송시키는 제 1 컨베이어와 제 2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된다. 개시된 화물 리프트 장치는 제 1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화물을 제 2 컨베이어 측으로 이송시키거나, 제 1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화물 또는 작업장 바닥의 화물을 작업장 바닥에 내리거나 또는 제 2 컨베이어에 올릴 수 있게 안내하는 하는 로딩/언로딩수단; 및 화물을 제 1 컨베이어에서 내리거나 화물을 제 2 컨베이어에 올릴 수 있게 로딩/언로딩수단의 제 1 및 제 2 화물 테이블을 제 1 및 제 2 컨베이어 사이공간으로 안내하는 승강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Disclosure)은, 컨베이어와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는 화물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화물을 컨베이어에 올리거나 화물을 컨베이에서 내릴 수 있게 하는 화물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물류센터 등에서 화물을 상하차하기 위한 일반적인 시스템은 화물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와, 컨베이어에서 화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인력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화물을 컨베이어에 올리거나 내리는 작업은 과도한 노동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기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류센터 등에 설치된 컨베이어는 그 높이가 작업자들의 신장 보다 낮게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작업장을 자유롭게 이동하지 못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물로 본 발명을 특허 출원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Disclosure)은,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화물을 자동으로 내리거나 화물을 컨베이어에 자동으로 올려 이송시킬 수 있게 하는 화물 리프트 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르면, 화물을 이송시키는 제 1 컨베이어와 제 2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는 화물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화물 리프트 장치는, 제 1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화물을 제 2 컨베이어 측으로 이송시키거나, 제 1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화물 또는 작업장 바닥의 화물을 작업장 바닥에 내리거나 또는 제 2 컨베이어에 올릴 수 있게 안내하는 하는 로딩/언로딩수단; 및 화물을 제 1 컨베이어에서 내리거나 화물을 제 2 컨베이어에 올릴 수 있게 로딩/언로딩수단의 제 1 및 제 2 화물 테이블을 제 1 및 제 2 컨베이어 사이공간으로 안내하는 승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화물 리프트 장치에서, 승강수단은, 작업장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기저 플레이트; 기저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다수의 유압 실린더; 및 유압 실린더들의 실린더 로드 연장단에 설치되는 승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유압 실린더들은 실린더 로드를 제 1 및 제 2 컨베이어들 측으로 신장시키고 기저 플레이트 측으로 복귀시킬 수 있게 기저 플레이트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고, 승강 플레이트의 상부면 상에는 로딩/언로딩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화물 리프트 장치에서, 로딩/언로딩수단은, 제 1 및 제 2 화물 테이블; 및 화물을 제 1 컨베이어에서 내리거나 화물을 제 2 컨베이어에 올릴 시 제 1 및 제 2 화물 테이블을 교번으로 제 1 및 제 2 컨베이어 사이공간 하부 측 또는 승강 플레이트의 상부 측으로 선회 이동시키는 제 1 및 제 2 선회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화물 리프트 장치에서, 제 1 및 제 2 화물 테이블은 180도 회전 대칭되게 배치되되, 제 1 및 제 2 화물 테이블에는 승강 플레이트의 상부 측으로 내리거나 제 2 컨베이어 측으로 올릴 화물이 올려지고, 제 1 및 제 2 화물 테이블은 화물을 제 1 컨베이어에서 넘겨받거나 제 2 컨베이어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컨베이어의 사이공간으로 삽입 가능한 길이를 가지는 벨트 컨베이어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화물 리프트 장치에서, 제 1 및 제 2 선회 작동부는, 승강 플레이트의 상부면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고, 정면에서 봤을 때 ""자 형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선회 암; 제 1 및 제 2 선회 암을 선회시키는 제 1 및 제 2 선회모터;를 포함하되, 제 1 및 제 2 선회 암의 일단 측에 인접한 제 1 및 제 2 선회 암의 정면 측에는 각각 제 1 화물 테이블의 컨베이어 프레임의 일단 측 및 타단 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 1 연결로드가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선회 암의 타단 측에 인접한 제 1 및 제 2 선회 암의 정면 측에는 각각 제 2 화물 테이블의 컨베이어 프레임의 일단 측 및 타단 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 2 연결로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화물 리프트 장치에서, 제 1 및 제 2 선회모터는 각각 제 1 및 제 2 선회 암의 배면 측에 배치되도록 승강 플레이트의 상부면 상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제 1 및 제 선회모터의 제 1 및 제 2 회전축은 각각 제 1 및 제 2 선회 암의 배면 측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화물을 자동으로 내리고, 또한 작업장 바닥의 화물을 컨베이어에 자동으로 올려 이송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들의 노동 강도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베이어가 작업장의 바닥으로부터 대략 5~6m 높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자유롭게 작업장을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협소한 작업장을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리프트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물 리프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리프트 장치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물 리프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리프트 장치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물 리프트 장치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리프트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물 리프트 장치(100)는 물류센터 등에 설치되어 화물(G; 도 3 내지 도 5 참조)을 이송시키는 제 1 컨베이어(C1)와 제 2 컨베이어(C2) 사이에 설치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컨베이어(C1, C2)들은 작업장의 바닥으로부터 대략 5~6m 높이에 설치되며, 이에 의해 작업자들은 작업장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물 리프트 장치(100)는 화물 로딩/언로딩수단(120) 및 승강수단(110)을 포함한다.
먼저, 승강수단(110)은 화물(G)을 제 1 컨베이어(C1)에서 내리거나 화물(G)을 제 2 컨베이어(C2)에 올릴 시 화물(G)이 제 1 및 제 2 컨베이어(C1, C2) 사이공간으로 안내되도록 로딩/언로딩수단(120)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한다.
승강수단(110)은 작업장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기저 플레이트(112)와, 기저 플레이트(112)에 설치되는 다수의 유압 실린더(114)를 포함한다.
유압 실린더(114)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로드(116)를 제 1 및 제 2 컨베이어(C1, C2)들 측으로 신장시키고 기저 플레이트(112) 측으로 복귀시킬 수 있게 기저 플레이트(112)의 상부면 상에 설치된다.
그리고 유압 실린더(114)들의 실린더 로드(116) 연장단에는 수평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는 승강 플레이트(118)가 설치되고, 승강 플레이트(118)의 상부면 상에는 로딩/언로딩수단(120)이 설치된다.
즉, 유압 실린더(114)들이 실린더 로드(116)를 신장시키면 승강 플레이트(118) 및 로딩/언로딩수단(120)은 상승하고, 반대로 유압 실린더(114)들이 실린더 로드(116)를 복귀시키면 승강 플레이트(118) 및 로딩/언로딩수단(120)은 하강한다.
바람직하게는, 유압 실린더(114)들은 안정적으로 승강 플레이트(118) 및 로딩/언로딩수단(12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기저 플레이트(112)의 각 모서리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기저 플레이트(112)에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차륜(wheel)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기저 플레이트(112)에는 승강 플레이트(118)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로딩/언로딩수단(120)은 제 1 컨베이어(C1)에 의해 이송되는 화물(G)을 제 2 컨베이어(C2) 측으로 이송시키거나 상기 제 1 컨베이어(C1)에 의해 이송되는 화물(G) 또는 작업장 바닥의 화물(G)을 작업자 바닥에 내리거나 또는 제 2 컨베이어(C2)에 올릴 수 있게 안내 한다.
로딩/언로딩수단(120)은 제 1 및 제 2 화물 테이블(122a, 122b)과, 화물(G)을 제 1 컨베이어(C1)에서 내리거나 화물(G)을 제 2 컨베이어(C2)에 올릴 시 제 1 및 제 2 화물 테이블(122a, 122b)을 교번으로 제 1 및 제 2 컨베이어(C1, C2) 사이공간 하부 측 또는 작업장의 바닥 측, 다시 말해 승강 플레이트(118)의 상부 측으로 선회 이동시키는 제 1 및 제 2 선회 작동부(134a, 134b)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화물 테이블(122a, 122b)에는 승강 플레이트(118)의 상부 측으로 내리거나 제 2 컨베이어(C2) 측으로 올릴 화물(G)이 올려진다.
또한, 제 1 및 제 2 화물 테이블(122a, 122b)은 제 1 컨베이어(C1)에 의해 이송되는 화물(G)을 제 2 컨베이어(C2) 측으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화물 테이블(122a, 122b)은 도시된 바와 같이 180도 회전 대칭되게 배치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화물 테이블(122a, 122b)은 제 1 및 제 2 컨베이어(C1, C2)의 사이공간으로 삽입 가능한 길이를 가지는 통상의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er)로 제공된다.
다시 말해, 제 1 및 제 2 화물 테이블(122a, 122b)은 각각 컨베이어 프레임(124a, 124b)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롤러(126a, 126b) 및 종동롤러(128a, 128b)와, 구동롤러(126a, 126b)와 종동롤러(128a, 128b)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고무벨트(130a, 130b) 및 구동롤러(126a, 126b)에 연결되는 구동모터(132a, 132b)를 포함한다.
이렇게 형성된 제 1 또는 제 2 화물 테이블(122a, 122b)은 승강수단(110)의 작동에 의해 제 1 및 제 2 컨베이어(C1, C2) 사이공간에 배치되어 제 1 컨베이어(C1) 측에서 이송되는 화물(G)을 제 2 컨베이어(C2) 측으로 이송시킨다.
또한, 제 1 및 제 2 화물 테이블(122a, 122b)은 승강수단(110)의 작동에 의해 제 1 및 제 2 컨베이어(C1, C2) 사이공간 하부 측으로 하강 후 제 1 및 제 2 선회 작동부(134a, 134b)의 작동에 의해 선회하면서 제 1 컨베이어(C1)의 의해 이송된 화물(G)을 승강 플레이트(118)의 상부에 내리거나 작업장의 바닥에 놓여진 화물(G)을 제 2 컨베이어(C2)의 올릴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통상의 벨트 컨베이어로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화물 테이블(122a, 122b)의 구성요소들 간의 연결관계 및 작용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및 제 2 선회 작동부(134a, 134b)는 각각 제 1 및 제 2 선회 암(136a, 136b)과, 제 1 및 제 2 선회 암(136a, 136b)을 선회시키는 제 1 및 제 2 선회모터(140a, 140b)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선회 암(136a, 136b)은 서로 간섭되지 않게 승강 플레이트(118)의 상부면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되, 제 1 및 제 2 선회 암(136a, 136b)은 정면에서 봤을 때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자 형상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선회 암(136a, 136b)의 일단 측에 인접한 제 1 및 제 2 선회 암(136a, 136b)의 정면 측에는 각각 제 1 화물 테이블(122a)의 작동에 간섭되지 않게 제 1 화물 테이블(122a)의 컨베이어 프레임(124a)의 일단 측 및 타단 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 1 연결로드(138a)가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선회 암(136a, 136b)의 타단 측에 인접한 제 1 및 제 2 선회 암(136a, 136b)의 정면 측에는 각각 제 2 화물 테이블(122b)의 작동에 간섭되지 않게 제 2 화물 테이블(122b)의 컨베이어 프레임(124b)의 일단 측 및 타단 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 2 연결로드(138b)가 형성된다.
한편, 제 1 및 제 2 선회모터(140a, 140b)는 각각 제 1 및 제 2 선회 암(136a, 136b)의 배면 측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서, 제 1 및 제 2 선회모터(140a, 140b)는 승강 플레이트(118)의 상부면 상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프레임(144a, 144b) 상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선회모터(140a, 140b)의 제 1 및 제 2 회전축(142a, 142b)은 각각 제 1 및 제 2 선회 암(136a, 136b)의 배면 측에 연결된다.
즉, 제 1 및 제 2 선회모터(140a, 140b)가 제 1 및 제 2 선회 암(136a, 136b)을 일측으로 선회시키면, 승강 플레이트(118)의 상부 측에 위치하고 있던 제 2 화물 테이블(122b)은 제 1 및 제 2 컨베이어(C1, C2)의 사이공간 하부 측으로 선회 이동되고, 제 1 및 제 2 컨베이어(C1, C2)의 사이공간 하부 측에 위치하고 있던 제 1 화물 테이블(122a)은 승강 플레이트(118)의 상부 측으로 선회 이동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화물 리프트 장치(100)의 작동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제 1 컨베이어(C1)에 의해 이송되는 화물(G)을 승강 플레이트(118)의 상부 측으로 내리기 위해서는, 우선 실린더 로드(116)가 신장되도록 유압 실린더(114)들을 작동시켜 제 1 화물 테이블(122a)을 제 1 및 제 2 컨베이어(C1, C2)의 사이공간에 삽입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화물 테이블(122a)이 제 1 및 제 2 컨베이어(C1, C2)의 사이공간에 삽입된 상태 하에서 제 1 컨베이어(C1)에 의해 화물(G)이 이송되면, 제 1 화물 테이블(122a)은 고무벨트(130a)를 회전시켜 제 1 컨베이어(C1)로부터 화물(G)을 넘겨 받는다(도 3 참조).
이때, 넘겨받은 화물(G)이 제 2 컨베이어(C2) 측으로 이송될 화물(G)일 경우 제 1 화물 테이블(122a)은 화물(G)이 제 2 컨베이어(C2) 측으로 완전히 이송될 때 까지 고무벨트(130a)를 회전시킨다.
한편, 제 1 화물 테이블(122a)이 넘겨받은 화물(G)이 작업장 바닥 측으로 내릴 화물(G)일 경우 제 1 화물 테이블(122a)은 고무벨트(130a)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유압 실린더(114)들은 실린더 로드(116)을 복귀시켜 제 1 화물 테이블(122a) 및 화물(G)을 제 1 및 제 2 컨베이어(C1, C2)의 사이공간 하부 측으로 하강시킨다(도 4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화물 테이블(122a) 및 화물(G)이 제 1 및 제 2 컨베이어(C1, C2)의 사이공간 하부 측으로 하강되면, 제 1 및 제 2 선회모터(140a, 140b)는 제 1 및 제 2 선회 암(136a, 136b)을 일측으로 180도 선회시키는데, 이에 의해 제 1 화물 테이블(122a) 및 화물(G)은 승강 플레이트(118)의 상부 측으로 선회 이동되고, 그 결과 화물(G)을 작업장 바닥 측으로 용이하게 내릴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제 1 화물 테이블(122a)이 제 1 및 제 2 컨베이어(C1, C2)의 사이공간에 삽입된 상태 하에서 제 2 컨베이어(C2)에 작업장 바닥에 놓인 화물(G)을 올리기 위해서는, 제 2 컨베이어(C2)에 올릴 화물(G)을 제 2 화물 테이블(122b)에 올려 놓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컨베이어(C2)에 올릴 화물(G)을 제 2 화물 테이블(122b)에 올려지면, 유압 실린더(114)들은 실린더 로드(116)을 복귀시켜 제 1 화물 테이블(122a)을 제 1 및 제 2 컨베이어(C1, C2)의 사이공간 하부 측으로 하강시킨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화물 테이블(122a)이 제 1 및 제 2 컨베이어(C1, C2)의 사이공간 하부 측으로 하강되면, 제 1 및 제 2 선회모터(140a, 140b)는 제 1 및 제 2 선회 암(136a, 136b)을 일측으로 180도 선회시키는데, 이에 의해 제 2 화물 테이블(122b) 및 화물(G)은 제 1 및 제 2 컨베이어(C1, C2)의 사이공간 하부 측으로 선회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유압 실린더(114)들은 실린더 로드(116)을 신장시켜 제 2 화물 테이블(122b) 및 화물(G)을 제 1 및 제 2 컨베이어(C1, C2)의 사이공간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제 2 화물 테이블(122b) 및 화물(G)이 제 1 및 제 2 컨베이어(C1, C2)의 사이공간에 삽입되면, 제 2 화물 테이블(122b)은 화물(G)이 제 2 컨베이어(C2) 측으로 완전히 이송될 때 까지 고무벨트(130b)를 회전시키는데, 이에 의해 작업장 바닥에 놓인 화물(G)을 제 2 컨베이어(C2)에 용이하게 올릴 수 있게 된다.
상기에는 화물(G)을 내리고 올리는 작업을 각각 구별하여 설명하였지만, 화물(G)을 내리고 올리는 작업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물(G)을 내리고 올리는 작업은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화물 리프트 장치(100)는 컨베이어(C1)에 의해 이송되는 화물(G)을 자동으로 내리고, 또한 작업장 바닥의 화물(C)을 컨베이어(C2)에 자동으로 올려 이송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들의 노동 강도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물 리프트 장치(100)는 컨베이어(C1, C2)가 작업장의 바닥으로부터 대략 5~6m 높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자유롭게 작업장을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협소한 작업장을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6)
- 화물을 이송시키는 제 1 컨베이어와 제 2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는 화물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물 리프트 장치는,
상기 제 1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화물을 상기 제 2 컨베이어 측으로 이송시키거나, 상기 제 1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화물 또는 작업장 바닥의 화물을 작업장 바닥에 내리거나 또는 상기 제 2 컨베이어에 올릴 수 있게 안내하는 하는 로딩/언로딩수단; 및
화물을 상기 제 1 컨베이어에서 내리거나 화물을 상기 제 2 컨베이어에 올릴 수 있게 상기 로딩/언로딩수단의 제 1 및 제 2 화물 테이블을 상기 제 1 및 제 2 컨베이어 사이공간으로 안내하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수단은,
작업장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기저 플레이트;
상기 기저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다수의 유압 실린더; 및
상기 유압 실린더들의 실린더 로드 연장단에 설치되는 승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유압 실린더들은 상기 실린더 로드를 상기 제 1 및 제 2 컨베이어들 측으로 신장시키고 상기 기저 플레이트 측으로 복귀시킬 수 있게 상기 기저 플레이트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부면 상에는 상기 로딩/언로딩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로딩/언로딩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화물 테이블; 및
화물을 상기 제 1 컨베이어에서 내리거나 상기 화물을 제 2 컨베이어에 올릴 시 상기 제 1 및 제 2 화물 테이블을 교번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컨베이어 사이공간 하부 측 또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부 측으로 선회 이동시키는 제 1 및 제 2 선회 작동부;를 포함하는 화물 리프트 장치.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화물 테이블은 180도 회전 대칭되게 배치되되,
상기 제 1 및 제 2 화물 테이블에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부 측으로 내리거나 상기 제 2 컨베이어 측으로 올릴 화물이 올려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화물 테이블은 화물을 상기 제 1 컨베이어에서 넘겨받거나 상기 제 2 컨베이어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컨베이어의 사이공간으로 삽입 가능한 길이를 가지는 벨트 컨베이어로 제공되는 화물 리프트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선회 작동부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부면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고, 정면에서 봤을 때 ""자 형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선회 암;
상기 제 1 및 제 2 선회 암을 선회시키는 제 1 및 제 2 선회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선회 암의 일단 측에 인접한 상기 제 1 및 제 2 선회 암의 정면 측에는 각각 상기 제 1 화물 테이블의 컨베이어 프레임의 일단 측 및 타단 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 1 연결로드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선회 암의 타단 측에 인접한 상기 제 1 및 제 2 선회 암의 정면 측에는 각각 상기 제 2 화물 테이블의 컨베이어 프레임의 일단 측 및 타단 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 2 연결로드가 형성되는 화물 리프트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선회모터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선회 암의 배면 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부면 상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선회모터의 제 1 및 제 2 회전축은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선회 암의 배면 측에 연결되는 화물 리프트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7024A KR102525232B1 (ko) | 2021-07-23 | 2021-07-23 | 화물 리프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7024A KR102525232B1 (ko) | 2021-07-23 | 2021-07-23 | 화물 리프트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5638A KR20230015638A (ko) | 2023-01-31 |
KR102525232B1 true KR102525232B1 (ko) | 2023-04-24 |
Family
ID=85109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7024A KR102525232B1 (ko) | 2021-07-23 | 2021-07-23 | 화물 리프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5232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35223A (ja) * | 2002-07-05 | 2004-02-05 | Okamura Corp | 荷の昇降移載装置 |
JP2009242013A (ja) * | 2008-03-28 | 2009-10-22 |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 板状ワーク垂直搬送装置 |
KR101521777B1 (ko) | 2014-03-03 | 2015-05-21 | 세창인터내쇼날(주) | 고속 화물 열차의 상,하역 컨베이어 시스템 |
JP2018080004A (ja) | 2016-11-14 | 2018-05-24 | 井関農機株式会社 | 箱搬送設備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21725B2 (ja) * | 1986-09-22 | 1996-08-07 |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 上昇反転装置 |
DE102007047772B4 (de) * | 2007-10-05 | 2011-07-21 | Multitest elektronische Systeme GmbH, 83026 | Temperierkammer zum Temperieren von elektronischen Bauelementen, insbesondere IC's |
KR20090094676A (ko) | 2008-03-03 | 2009-09-08 | (주)와이티에스 | 물류창고용 리프트 장치 |
KR102023690B1 (ko) | 2018-12-14 | 2019-09-20 | 주식회사 스튜디오쓰리에스코리아 | 운반키트를 활용한 물류 상하차 시스템 |
KR102170663B1 (ko) | 2020-04-09 | 2020-10-27 | (주)썬패치테크노 | 층간 이송용 리프트 |
-
2021
- 2021-07-23 KR KR1020210097024A patent/KR10252523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35223A (ja) * | 2002-07-05 | 2004-02-05 | Okamura Corp | 荷の昇降移載装置 |
JP2009242013A (ja) * | 2008-03-28 | 2009-10-22 |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 板状ワーク垂直搬送装置 |
KR101521777B1 (ko) | 2014-03-03 | 2015-05-21 | 세창인터내쇼날(주) | 고속 화물 열차의 상,하역 컨베이어 시스템 |
JP2018080004A (ja) | 2016-11-14 | 2018-05-24 | 井関農機株式会社 | 箱搬送設備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5638A (ko) | 2023-01-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GB2264664A (en) | Workpiece loading and unloading method and device for a plate processing machine | |
TW201604098A (zh) | 貨櫃昇降搬運裝置 | |
KR100702220B1 (ko) | 컨베이어 장치 | |
KR102525232B1 (ko) | 화물 리프트 장치 | |
CN117858838A (zh) | 输送机惰轮更换系统 | |
CN211810591U (zh) | 一种床单被套分拣设备 | |
JP5003621B2 (ja) | センタリング装置 | |
KR20050006445A (ko) | 평판디스플레이 제조라인의 카세트 이송장치 | |
CN109534217B (zh) | 便于手动液压搬运车作业的升降式输送机 | |
JPS59108613A (ja) | 昇降装置 | |
CN112744414A (zh) | 一种床单被套分拣设备 | |
JP3610868B2 (ja) | 板状体移載搬送装置の制御方法 | |
CN220116146U (zh) | 一种升降搬运机构 | |
CN214933213U (zh) | 一种双驱双向举升式的物流搬运机器人 | |
CN216036813U (zh) | 一种防火铝复合板自动上下料装置 | |
JP4837173B2 (ja) | ローラコンベアにおける搬送物移載装置 | |
CN115535516B (zh) | 一种棒料的移动输送设备及其输送方法 | |
CN214269260U (zh) | 一种收放板机自动升降承载装置 | |
JPH0569923A (ja) | パレツトのセンタリング装置 | |
JPS5935460Y2 (ja) | 移載装置 | |
JP4817846B2 (ja) | 昇降装置 | |
JPS58135010A (ja) | 昇降搬送コンベヤ装置 | |
JP2001278446A (ja) | 物品搬送装置 | |
JPH0630351Y2 (ja) | 部品組付け装置 | |
JPH0694289B2 (ja) | 治具パレットリターン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