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725B1 - Hand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 Google Patents

Hand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725B1
KR102523725B1 KR1020220110221A KR20220110221A KR102523725B1 KR 102523725 B1 KR102523725 B1 KR 102523725B1 KR 1020220110221 A KR1020220110221 A KR 1020220110221A KR 20220110221 A KR20220110221 A KR 20220110221A KR 102523725 B1 KR102523725 B1 KR 102523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electronic components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2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26677A (en
Inventor
박효원
최웅희
Original Assignee
(주)테크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크윙 filed Critical (주)테크윙
Publication of KR20220126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6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7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3Environmental or reliability tes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1Subjecting similar articles in turn to test, e.g. "go/no-go" tests in mass production; Testing objects at points as they pass through a testing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72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related to electrical or environmental aspects,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nuclear radiation
    • G01R31/2874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related to electrical or environmental aspects,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nuclear radiation related to temperature
    • G01R31/287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related to electrical or environmental aspects,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nuclear radiation related to temperature related to he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72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related to electrical or environmental aspects,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nuclear radiation
    • G01R31/2874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related to electrical or environmental aspects,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nuclear radiation related to temperature
    • G01R31/2877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related to electrical or environmental aspects,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nuclear radiation related to temperature related to coo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72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related to electrical or environmental aspects,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nuclear radiation
    • G01R31/2881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related to electrical or environmental aspects,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nuclear radiation related to environmental aspects other than temperature, e.g. humidity or vib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을 저온 환경에서 테스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저온 테스트용 핸들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온 테스트용 핸들러는 환경유지챔버를 구성시키고, 환경유지챔버를 건조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국부 냉각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r for low-temperature testing that supports tes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in a low-temperature environment.
The handler for a low temperature t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capable of local cooling by configuring an environment holding chamber and maintaining the environment holding chamber in a dry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a test for an electronic component and saving energy while improving cooling efficiency.

Description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HAND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HAND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와 같은 전자부품이 테스터에 의해 테스트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parts that supports electronic parts such as semiconductor devices to be tested by a tester.

반도체소자와 같은 전자부품들을 경우에 따라서 수많은 공정들을 거쳐 생산된다. 각각의 공정들이 표준화된 조건에서 이루어지더라도 정교한 작업이 필요한 전자제품일수록 조건의 미세한 변동에 더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양품만을 생산하는 것은 현재로서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즉, 불량품의 발생은 피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생산된 전자부품들은 테스터에 의해 테스트된 후 양품과 불량품으로 나뉘어서 양품만이 출하된다.In some cases,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semiconductor devices are produced through numerous processes. Even if each process is performed under standardized conditions, it is currently virtually impossible to produce only good products because electronic products that require sophisticated work are more affected by minute fluctuations in conditions. In other words, generation of defective products is unavoidable. Therefore, after being tested by a tester, the produced electronic parts are divided into good products and defective products, and only good products are shipped.

전자부품의 테스트는 전자부품이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만 가능하다. 이 때, 테스터의 소켓과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장비가 핸들러이다.Tes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is possible only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ster. At this time, the handler is a device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socket of the tester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한편, 전자부품은 열적으로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부품을 테스트할 시에는 특별한 온도 환경을 구축한 상태에서 테스트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그래서 핸들러는 요구되는 테스트 조건에 따라 전자부품을 고온, 저온 또는 상온 상태로 유지시키면서 전자부품을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 중 본 발명은 전자부품을 저온으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테스트를 지원할 수 있는 핸들러에 관한 것이다.Meanwhile, electronic components may be used in thermally diverse environments. Accordingly, when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it is necessary to test them in a state in which a special temperature environment is established. Therefore, the handler need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electronic component to the tester while maintaining the electronic component at a high temperature, low temperature, or normal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required test conditions. Among th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r capable of supporting a test while maintaining an electronic component at a low temperature.

일반적으로 전자부품을 냉각시키는 방식으로는 챔버 방식과 플레이트 방식이 있다.In general, methods for cooling electronic components include a chamber method and a plate method.

챔버 방식은 저온 환경이 조성될 수 있는 챔버를 구성하고, 전자부품을 챔버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전자부품을 냉각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챔버 방식은 넓은 공간을 가진 챔버 내부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에너지 소모가 크고, 전자부품의 냉각을 위한 시간이 길게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The chamber method is a method of cooling an electronic component by constructing a chamber capable of creating a low-temperature environment and accommoda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in the chamber. This chamber method has disadvantages in that energy consumption is high in order to mainta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having a large space at a low temperature, and a long time is consumed for cooling the electronic parts.

플레이트 방식은 냉각유체에 의해 냉각된 플레이트에 전자부품을 실어서 전도를 통해 전자부품을 냉각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플레이트 방식은 전도를 통해 전자부품을 직접 냉각시키기 때문에 냉각 시간은 짧으나, 국부 냉각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고온인 주변 공기의 영향으로 결로(結露)나 결빙(結氷)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전자부품의 테스트 이전에 미리 전자부품을 예냉시켜 놓은 경우에 결로나 결빙이 발생하게 되면, 테스트 과정에서 전자부품과 테스터 간의 전기적 접촉에 불량이 발생하기 마련이고, 더 나아가 결로나 결빙으로 인해 핸들러를 구성하는 부품들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The plate method is a method of cooling an electronic component through conduction by placing an electronic component on a plate cooled by a cooling fluid. Since this plate method directly cools electronic parts through conduction, the cooling time is short, but since it is localized cooling,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dew condensation or freezing occurs due to the influence of relatively high temperature ambient air. In particular, if condensation or freezing occurs when electronic components are pre-cooled prior to testing, defects in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electronic components and the tester tend to occur during the test process, and furthermore, due to condensation or freezing, Damage may occur to parts constituting the handler.

물론, 챔버 방식과 플레이트 방식을 혼합할 수는 있지만, 전자부품이 이동하는 경로 등에서 챔버의 내부를 외부와 완벽히 차단시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에너지의 소모가 클 수밖에는 없다. 더욱이, 상대적으로 다습한 외부 공기가 챔버로 유입되면서 궁극적으로 결로나 결빙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기가 사실상 곤란하다.Of course, it is possible to mix the chamber method and the plate method, but since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completely block the inside of the chamber from the outside in the path along which electronic components move, energy consumption is inevitably high. Moreover,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prevent dew condensation or icing from occurring when relatively humid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chamber.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3-0023213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2321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4-002645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2645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125465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25465

본 발명은 플레이트 방식을 사용하면서도 저온 테스트 시에 결로나 결빙의 발생이 없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does not cause dew condensation or freezing during a low temperature test while using a plate method.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는 전자부품에 대한 저온 테스트를 지원하는 테스트 지원 부분; 상기 테스트 지원 부분으로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이 실린 고객트레이를 공급하고,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이 실린 고객트레이를 회수하는 스택커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지원 부분은, 전자부품을 테스트 영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영역에 위치하며, 적재된 전자부품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는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를 가지는 적재기;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를 거쳐 온 전자부품을 테스트 영역으로 이동시키거나,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을 테스트 영역에서 회수 영역으로 이동시키며, 적재된 전자부품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를 가지는 셔틀기; 상기 스택커 부분으로부터 공급위치로 온 고객트레이로부터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을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로 전자부품을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동기;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공급 영역에서 상기 테스트 영역으로 이동된 전자부품을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전자부품이 테스터에 의해 테스트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기; 상기 회수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테스트 영역에서 상기 회수 영역의 언로딩위치로 온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플레이트;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에 의해 회수 영역으로 이동된 전자부품을 상기 회수플레이트로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동기;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가 존재하는 공간의 건조한 환경을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되며,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이 실린 고객트레이가 상기 스택커 부분으로부터 이동되어 올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구멍을 가지는 환경유지챔버; 상기 환경유지챔버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센서; 상기 환경유지챔버 내부로 드라이에어를 공급하는 건조기; 냉각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를 냉각시키는 냉각기; 및 상기 습도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건조기를 제어하여 드라이에어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는 각각 전자부품들이 적재될 수 있고, 전도를 통해 적재된 전자부품들의 온도가 조절되며, 상기 냉각기에 의해 공급되는 냉각유체가 지나가는 이동로로서 기능하는 냉각로를 가지며, 상기 적재기는,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에 적재된 전자부품에 열을 가하는 제1 히터; 및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 온도측정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셔틀기는,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에 적재된 전자부품에 열을 가하는 제2 히터; 및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온도측정센서;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온도측정센서 및 상기 제2 온도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냉각기 및 히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와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의 온도를 조절한다.A handler for testing an electronic compon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st support part supporting a low-temperature test of an electronic component; a stacker unit supplying customer trays loaded with electronic components to be tested to the test support unit and collecting customer trays loaded with electronic components that have been tested; The test support part includes: a loader located in a supply area for supplying electronic components to a test area and having a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capable of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loaded electronic components; A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for moving electronic component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to a test area or moving electronic components that have been tested from the test area to a recovery area and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loaded electronic components. Shuttle machine having; Moving the electronic component to be tested from the customer tray that has come to the supply position from the stacker part to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or moving the electronic component from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to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t least one first mover; a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moved from the supply area to the test area by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to a tester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tested by the tester; a recovery plate located in the recovery area and recovering an electronic component that has been tested and brought from the test area to an unloading position of the recovery area by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t least one second mover for moving the electronic parts moved to the recovery area by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to the recovery plate; It is provided to maintain a dry environment in the space where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exist, and a passage through which a customer tray loaded with electronic components to be tested can be moved from the stacker portion. an environment holding chamber having at least one supply hole providing; a humidity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humidity inside the environmental maintenance chamber; a dryer for supplying dry air into the environment holding chamber; a cooler supplying a cooling fluid to cool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nd a controller controlling the supply amount of dry air by controlling the dryer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humidity measuring sensor. Including, the first loading plate for temperature control and the second loading plate for temperature control can be loaded with electronic components, respectively, the temperature of the loaded electronic components is controlled through conduction, and the cooling fluid supplied by the cooler has a cooling path functioning as a moving path through which the stacker passes, and the stacker includes: a first heater for applying heat to the electronic components loaded on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stacking plate; and a first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The shuttle unit further includes a second heater for applying heat to the electronic components loaded on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nd a second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loading plate for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The controller further includes, by controlling the cooler and the heater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first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and the second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djust the temperature of

상기 냉각기에 의해 냉각된 냉각유체를 상기 냉각로로 공급하거나 회수하기 위한 냉각배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이중관으로 구비되고, 상기 이중관의 내측 관과 외측 관 사이로는 상기 건조기에 의해 드라이에어가 공급되고, 상기 냉각기에 의해 공급 및 회수되는 냉각유체는 상기 이중관 중 내측 관으로 이동된다.At least one of the cooling pipes for supplying or recovering the cooling fluid cooled by the cooler to the cooling furnace is provided as a double pipe, and dry air is suppli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pipes of the double pipe by the dryer, The cooling fluid supplied and recovered by the cooler is moved to the inner tube of the double tube.

상기 환경유지챔버는 작업자에 의해 내부를 개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도어를 가지며, 상기 개폐도어는, 제1 개방면적을 개폐할 수 있는 제1 도어; 및 상기 제1 도어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 개방면적보다 좁은 제2 개방면적을 개폐할 수 있는 제2 도어; 를 포함한다.The environment maintenance chamber has at least one opening/closing doo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inside by a worker, and the opening/closing door includes: a first doo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 first open area; and a second door installed on the first door to open and close a second open area narrower than the first open area. includes

상기 연결기는 전자부품을 테스터의 소켓 측으로 가압하며, 상기 냉각기에서 공급되는 냉각유체가 지나가는 유체통과로를 가지는 푸셔; 상기 푸셔에 설치되어서 상기 푸셔에 열을 가하는 히팅소자; 상기 푸셔에 설치되어서 상기 푸셔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소자; 및 상기 냉각기에 의해 냉각된 냉각유체를 상기 푸셔로 공급하거나 상기 유체통과로를 지나 상기 푸셔로부터 나오는 냉각유체를 상기 냉각기로 회수하기 위한 냉각튜브들; 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튜브들 중 적어도 하나의 냉각튜브는 상기 푸셔의 이동성이 확보되도록 나선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측정소자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의해 상기 냉각기 및 상기 히팅소자를 제어하여 상기 푸셔의 온도를 조절한다.The connector presses the electronic component toward the socket of the tester and includes a pusher having a fluid passage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supplied from the cooler passes; a heating element installed in the pusher to apply heat to the pusher; a temperature measurement element installed on the pusher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pusher; and cooling tubes for supplying the cooling fluid cooled by the cooler to the pusher or returning the cooling fluid discharged from the pusher to the cooler through the fluid passageway. At least one cooling tube among the cooling tubes is provided in a spiral shape to secure the mobility of the pusher,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cooler and the heating element by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measuring element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pusher.

상기 적재기는,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를 베이스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고정시키는 이격요소; 및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의 주변으로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의 하단 및 측단과 이격되게 구비되어서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의 주변에 있는 공기가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에 적재된 전자부품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차폐벽;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기에 의해 드라이에어가 공급되는 지점은 상기 적재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면 간의 이격된 지점이다.The loading device may include a spacer element for fixing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ase surface; and provided around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and the side end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so that the air around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is loaded on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 shielding wall to minimize the effect on electronic components; Further, a point at which dry air is supplied by the dryer is a point spaced apart between the loading plate and the base surface.

상기 차폐벽에는 상기 차폐벽과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 간의 이격된 지점으로 공급된 드라이에어가 주변으로 분사될 수 있는 분사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Spray holes are formed in the shielding wall through which dry air supplied to a spaced apart point between the shielding wall and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stacking plate can be sprayed to the periphery.

상기 셔틀기는, 이동원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고정시키는 이격요소; 및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의 주변으로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의 하단 및 측단과 이격되게 구비되어서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의 주변에 있는 공기가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에 적재된 전자부품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차폐벽;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기에 의해 드라이에어가 공급되는 지점은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간의 이격된 지점이다.The shuttle unit includes a base plate provided to be movable by a moving source; a separation element for fixing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mounting plat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ase plate; and provided arou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and the side end of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so that the air arou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is loaded on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 shielding wall to minimize the effect on electronic components; Further, a point at which dry air is supplied by the dryer is a point spaced apart between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nd the base plate.

상기 차폐벽에는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간의 이격된 지점으로 공급된 드라이에어가 주변으로 분사될 수 있는 분사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Spray holes through which dry air supplied to a spaced apart point between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nd the base plate may be sprayed to the surroundings are formed in the shielding wall.

상기 공급구멍을 개폐하는 개폐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공급구멍을 통해 고객트레이가 이동할 시에만 상기 공급구멍이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기를 제어한다.an opener that opens and closes the supply hole;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pening/closing device to open the supply hole only when the customer tray moves through the supply hole.

상기 건조기에 의해 공급되는 드라이에어는 상기 공급 영역 및 상기 테스트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테스트 영역과 상기 회수 영역 간에 기압차가 발생되어 상기 회수 영역에 있는 공기가 상기 테스트 영역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dry air supplied by the dryer is su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supply area and the test area, so that a pressure difference is generated between the test area and the recovery area so that the air in the recovery area enters the test area. prevent that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는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이 실리는 로딩부위; 및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이 실리는 언로딩부위; 를 포함하고, 상기 셔틀기는 상기 로딩부위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요소; 및 상기 로딩부위와 언로딩부위를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 요소; 를 포함하며, 상기 언로딩부위는 제어에 따라서 가열만이 가능하다.The second loading plate for temperature control includes a loading portion in which an electronic component to be tested is loaded; and an unloading area in which the tested electronic components are loaded. Including, the shuttle includes a cooling element for cooling the loading portion; and a heating element for heating the loading and unloading portions. Including, the unloading portion can only be heated according to the control.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플레이트 방식을 사용하면서도 외기가 챔버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저온 테스트 시에 결로나 결빙의 발생이 방지되기 때문에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의 신뢰성을 향상되고 장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First, since condensation or icing is prevented during low-temperature testing by preventing outside air from penetrating into the chamber while using the plate method, reliability of tes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can be improved and damage to equipment can be prevented.

둘째, 플레이트에 의한 국부 냉각으로 냉각 효율이 향상되고 냉기의 유출이 최소화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Second, energy can be saved by improving cooling efficiency and minimizing the outflow of cold air through local cooling by the plate.

셋째, 테스트 도중에 전자부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을 신속히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Third, since the heat that may be generated from the electronic component during the test can be quickly controlled, the reliability of the test for the electronic component is further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에 대한 개념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핸들러에 적용된 적재기에 대한 개략적인 발췌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적재기에 대한 개념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핸들러에 적용된 셔틀기에 대한 개략적인 발췌 개요도이다.
도 6은 도 1의 핸들러에 적용될 수 있는 적재기에 대한 다른 예이다.
도 7는 도 5의 셔틀기에 적용된 냉각배관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8은 도 2의 핸들러에 적용된 연결기에 대한 개략적인 발췌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연결기에 적용된 푸셔에 대한 개략적인 절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5의 셔틀기의 변형예에 대한 개략적인 발췌 개요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handler for testing an electronic compon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plan view of a handler for testing an electronic component of FIG. 1 .
3 is a schematic excerpted perspective view of a loader applied to the handler of FIG. 1;
4 is a conceptual side view of the loader of FIG. 3;
5 is a schematic excerpt schematic diagram of a shuttle applied to the handler of FIG. 1;
6 is another example of a loader that can be applied to the handler of FIG. 1 .
7 is an excerpt of a cooling pipe applied to the shuttle of FIG. 5;
FIG. 8 is a schematic excerpt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pplied to the handler of FIG. 2 .
9 is a schematic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pusher applied to the connector of FIG. 8;
Figure 10 is a schematic excerpt overview of a variant of the shuttle of Figure 5;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중복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for brevity of description, descriptions of overlapping or substantially identical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as much a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100, 이하 '핸들러'라 약칭 함)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handler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들러(100)는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를 지원할 수 있는 테스트 지원 부분(TSP)과 테스트 지원 부분(TSP)으로 고객트레이(CT)를 공급하거나 회수하는 스택커 부분(SKP)을 포함한다. 여기서 스택커 부분(SKP)에서 테스트 지원 부분(TSP)으로 공급하는 고객트레이(CT)에는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이 실려 있고, 테스트 지원 부분(TSP)에서 스택커 부분(SKP)으로 회수되는 고객트레이(CT)에는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이 실려 있다.As shown in FIG. 1, the handl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est support part (TSP) capable of supporting tests on electronic components and a stacker supplying or collecting customer trays (CT) to the test support part (TSP). part (SKP). Here, the customer tray (CT) supplied from the stacker part (SKP) to the test support part (TSP) is loaded with electronic parts to be tested, and the customer tray is returned from the test support part (TSP) to the stacker part (SKP) (CT) contains electronic components that have been tested.

계속하여 도 1의 핸들러(100)에 대한 개념적인 평면도인 도 2를 참조하여 핸들러(100)를 이루는 세부 구성들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Continuously, with reference to FIG. 2 , which is a conceptual plan view of the handler 100 of FIG. 1 , detailed components constituting the handler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테스트 지원 부분(TSP)은 적재기(110), 셔틀기(120), 제1 이동기(130), 연결기(140), 회수플레이트(150), 제2 이동기(160), 환경유지챔버(170), 제1 개폐기(181), 제2 개폐기(182), 습도측정센서(SS), 건조기(190), 냉각기(CA) 및 제어기(MA)를 포함한다.The test support part (TSP) includes a loading machine 110, a shuttle machine 120, a first moving machine 130, a connector 140, a recovery plate 150, a second moving machine 160, an environment maintenance chamber 170, It includes a first switch 181, a second switch 182, a humidity sensor (SS), a dryer 190, a cooler (CA), and a controller (MA).

적재기(110)는 전자부품을 테스트 영역(TA)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영역(SA)에 위치하며, 냉각기(CA)에 의해서 공급되는 냉각유체에 의해 냉각됨으로써 전도에 의해 실려 있는 전자부품을 직접 냉각시킨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들러(100)에서는 적재기(110)를 사용하여 전자부품이 테스트되기에 앞서 미리 예냉(豫冷)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해 적재기(110)는 도 3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및 도 4의 개념적인 측면도에서와 같이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 제1 히터(112), 제1 온도측정센서(113), 제1 이격요소(114) 및 제1 차폐벽(115)을 포함한다.The loader 110 is located in the supply area SA for supplying electronic components to the test area TA, and is cooled by the cooling fluid supplied by the cooler CA to directly cool the loaded electronic components by conduction. let it That is, the handl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pre-cooled before being tested using the loader 110 . To this end, the loader 110 includes a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a first heater 112, a first temperature sensor 113, as shown in the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and the conceptual side view of FIG. 4, A first separation element 114 and a first shielding wall 115 are included.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는 그 상면에 전자부품들이 놓여 적재될 수 있는 적재홈(LS)들을 가진다. 그리고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의 내부에는 전후 양 끝 부위에서 시작하여 중간 부위에서 끝나는 2개의 냉각로(CW)가 형성되어 있으며, 냉각로(CW)를 비껴서 히터홈(HS)과 센서홈(SG)이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는 상호 긴밀하게 결합되는 상판(111a)과 하판(111b)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has loading grooves LS on the top surface of which electronic components can be placed and loaded. In addition, two cooling paths (CW) are formed inside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starting from both front and rear ends and ending at the middle, and bypassing the cooling path (CW), the heater groove (HS) and A sensor groove (SG) is formed. To this end,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may include an upper plate 111a and a lower plate 111b that are closely coupled to each other.

냉각기(CA)에 의해 공급되는 냉각유체는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의 양 끝 부위의 시작점(S)을 통해 냉각로(CW)로 유입된 후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의 중간 부위에의 종료점(E)을 통해 냉각로(CW)로부터 유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냉각로(CW)를 구성하는 이유는 다양한 실험을 동반한 연구를 통해 확인함에 기인한다. 한 실험의 예에서 시작점(S)으로 주입된 영하 70도의 냉각유체는 종료점(E)으로 갈수록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종료점(E)이 위치한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의 중간 부위는 주변의 외기와 노출되는 면이 적어서 영하 65도 이하의 온도로 떨어지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반면에 영하 70도의 냉각유체가 주입되는 시작점(S)이 위치한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의 양 끝 부위는 주변의 외기와 노출되는 면이 많아서 영하 65도로 확인되었다. 물론, 본 예는 특정한 실험예를 든 것이고, +/-1도 내외의 온도편차를 가질 수 있다.The cooling fluid supplied by the cooler (CA) flows into the cooling path (CW) through the starting points (S) at both ends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and then flows into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flow out of the cooling furnace (CW) through the end point (E) to the intermediate region. The reason for configuring the cooling furnace (CW) in this way is due to confirmation through research accompanying various experiments. In an example of an experiment,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fluid at minus 70 degrees injected to the starting point (S) increases toward the ending point (E). In this case, it was confirmed that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where the end point E was located, did not drop to a temperature of minus 65 degrees or less because the surface exposed to the surrounding air was small. On the other hand, the both ends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where the starting point (S) where the cooling fluid of minus 70 degrees is injected is located has many surfaces exposed to the ambient air,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temperature was -65 degrees. Of course, this example is a specific experimental example, and may have a temperature deviation of +/-1 degree.

제1 히터(112)는 히터홈(HS)에 매립 설치되어서 면접촉을 통해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에 적재된 전자부품에 열을 가한다. 정확히는, 제1 히터(112)에 의해 발생된 열은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를 가열시키고, 열전도에 의해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에 적재된 전자부품이 가열된다. 이러한 제1 히터(112)는 고온 테스트를 수행할 때 사용될 수 있으며, 저온 테스트 시에도 정밀한 온도 제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히터(112)는 저온 테스트 후 잼(jam) 발생이나 다음 작업을 위해 핸들러(100)의 가동을 중지시키는 경우에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를 상온으로 복귀시키거나 결로 및 결빙을 방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The first heater 112 is embedded in the heater groove HS and applies heat to the electronic components loaded on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through surface contact. Specifically, the heat generated by the first heater 112 heats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and the electronic components loaded on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are heated by heat conduction. The first heater 112 may be used when performing a high-temperature test, and may be used for precise temperature control even during a low-temperature test. In addition, the first heater 112 returns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to room temperature when a jam occurs after a low-temperature test or when the handler 100 is stopped for the next operation, Can be used to prevent freezing.

제1 온도측정센서(113)는 센서홈(SG)에 설치되어서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의 온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제1 온도측정센서(113)에 의해 측정된 온도 정보에 따라서 제어기(MA)가 제1 히터(112), 건조기(190) 및 냉각기(CA)를 제어한다.The first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113 is installed in the sensor groove SG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mounting plate 111 .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13, the controller MA controls the first heater 112, the dryer 190, and the cooler CA.

제1 이격요소(114)는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를 적재기(110)가 설치되는 핸들러(100)의 베이스면(BF,바닥면) 및 하술 할 제1 차폐벽(115)의 바닥부분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제1 이격요소(114)를 구비시키는 이유는 국부 냉각되거나 가열되는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의 냉기나 열기가 전도에 의해 베이스면(BF)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1 이격요소(114)는 열전도도가 낮은 재질(금속보다는 수지와 같은 재질)이면서 최소한의 개수로 구비될 필요성이 있고, 그 두께도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를 지지할 수 있는 정도에서 최소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separation element 114 is the base surface (BF, bottom surface) of the handler 100 on which the loader 110 is installed and the bottom of the first shielding wall 115 to be described below. It is provided to space it apart from the part. The reason why the first separation element 114 is provided is to minimize the escape of cold air or heat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that is locally cooled or heated to the base surface BF by conduction. Therefore, the first spacer element 114 needs to be provided with a minimum number of materials having low thermal conductivity (a material such as resin rather than metal), and its thickness can support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mounting plate 111 It is desirable to have a minimum in degre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핸들러(100)에서는 위와 같이 제1 이격요소(114)에 의해 상호 이격된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와 베이스면 (BF)사이의 이격된 지점(A)으로 건조기(190)에 의한 드라이에어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드라이에어의 공급이 가장 필요한 결로나 결빙 발생이 우려되는 부위에 드라이에어를 집중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서 해당 부위에서 건조의 효율성을 높이면서도 드라이에어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드라이에어는 필요시마다 공급되어서 단열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And, in the handl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er ( 190) to supply dry air.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intensively supply dry air to the area where the supply of dry air is most needed and where there is concern about dew condensation or freezing. In addition, dry air is supplied whenever necessary and functions as an insulation means.

제1 차폐벽(115)은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의 주변으로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의 측단과 이격되게 대략 사각틀의 형태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1 차폐벽(114)은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 및 이에 적재된 전자부품을 주변의 공기로부터 일정 정도 차단하면서도 드라이에어에 의한 차폐막을 상하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주변에 있는 공기가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 및 이에 적재된 전자부품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킨다. 이를 위해 제1 차폐벽(115)의 상단은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 및 이에 적재된 전자부품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차폐벽(115)의 상단 부위에는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의 상판(111a) 교체를 원활케 하는 교체홈(115a)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차폐벽(115)에는 교체홈(115a) 외에도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의 냉각로(CW)로 냉각유체를 공급 및 회수하기 위한 냉각배관들이 통과될 수 있는 다수의 통과구멍(115b)들이 형성되어 있기도 하다.The first shielding wall 115 is provided around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in the form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ram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end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 Accordingly, the first shielding wall 114 blocks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and the electronic components loaded thereon from the surrounding air to a certain extent, while forming a shielding film by dry air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surrounding air is The influence on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and electronic components loaded thereon is minimized.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hielding wall 115 is high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and the electronic components loaded thereon,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shielding wall 115 has a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A replacement groove 115a is formed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the upper plate 111a of 111. Of course, in the shielding wall 115, in addition to the replacement groove 115a, a plurality of passage holes through which cooling pipes for supplying and recovering cooling fluid to and from the cooling path CW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can pass ( 115b) are also formed.

또한, 제1 차폐벽(115)의 내벽면 및 바닥면에는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와 베이스면(BF)의 지점(A)으로 공급되는 드라이에어가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 측인 내측을 향하여 분사될 수 있게 하는 직경이 작은 분사구멍(115c)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차폐벽(115)을 통해 주변의 다습한 공기가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나 이에 적재된 전자부품으로 이동되는 것이 더욱 차단됨으로써 결로 또는 결빙의 현상이 더욱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분사구멍(115c)들 및 분사구멍(115c)들을 통해 드라이에어가 분사되는 지점은 제1 적재플레이트(111)의 최상단면보다는 하측에 위치함으로써 제1 이동기(130)에 의해 파지 또는 파지가 해제되는 전자부품의 불량 이적재나 이탈 가능성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dry air supplied to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and the point A of the base surface BF is supplied to the inner wall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hielding wall 115, and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 are formed with small-diameter injection holes 115c that enable injection toward the inside, which is the side. Through the first shielding wall 115, the movement of ambient humid air to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or electronic components loaded thereto is further blocked, so that condensation or freezing can be further prevented. . Preferably, the injection holes 115c and the points where the dry air is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holes 115c are located below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first loading plate 111, so that the first mover 130 grips or grips them.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defective transfer or separa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that are released.

그리고 제1 차폐벽(115)의 측방 부위의 내백면은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의 측단과 이격되어 있고, 제1 차폐벽(115)의 바닥면은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의 하단과 이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의 냉기나 열기가 제1 차폐벽(111)을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과, 상술한 분사구멍(115c)을 형성하여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의 주위로 건조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lateral portion of the first shielding wall 115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 end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hielding wall 115 is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 it can be seen that it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is structure is to prevent the cold air or heat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from escaping through the first shielding wall 111, and to form the above-described spray hole 115c so that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This is to provide dried air around (111).

셔틀기(120)는 적재기(110)를 거쳐 온 전자부품을 테스트 영역(TA)으로 이동시키거나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을 테스트 영역(TA)에서 회수 영역(RA)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셔틀기(120)는 도 5에서와 같이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 제2 히터(122), 제2 온도측정센서(123), 제2 이격요소(124), 제2 차폐벽(125), 베이스플레이트(126), 특수 구조의 냉각배관(127)들 및 이동원(128)을 가진다.The shuttle 120 moves electronic component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loader 110 to the test area TA or moves electronic components whose tests have been completed from the test area TA to the recovery area RA. To this end, the shuttle 120 includes a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a second heater 122, a second temperature measurement sensor 123, a second separation element 124, and a second shield, as shown in FIG. It has a wall 125, a base plate 126, special structured cooling pipes 127 and a moving source 128.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는 전자부품을 실을 수 있으며, 공개특허 10-2014-0125465호(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서와 같이 로딩부위(121a, 선행기술에서는 '로딩포켓'으로 명명됨)와 언로딩부위(121b, 선행기술에서는 '언로딩포켓'으로 명명됨)로 나뉠 수 있다. 로딩부위(121a)는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이 실리는 부위이고, 언로딩부위(121b)는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이 실리는 부위이다. 선행기술과 마찬가지로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는 이동원(128)에 의해 이동될 수 있으며, 이 때 로딩부위(121a)는 로딩위치(LP)와 테스트위치(TP) 간을 이동하고, 언로딩부위(121b)는 테스트위치(TP)와 언로딩위치(UP) 간을 이동한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로딩부위(121a)와 언로딩부위(121b)의 구분 없이 하나의 적재부위만을 가지게 하고, 적재부위의 이동 구간을 로딩위치(LP), 테스트위치(TP) 및 언로딩위치(UP)로 확대시키는 구성도 충분히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도 냉각유체가 지나가는 냉각로, 히터홈 및 센서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역할은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의 냉각로(CW), 히터홈(HS) 및 센서홈(SG)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can load electronic components, and as i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2546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the loading part 121a, in the prior art, 'loading pocket' It can be divided into) and an unloading part (121b, named 'unloading pocket' in the prior art). The loading part 121a is a part where the electronic component to be tested is loaded, and the unloading part 121b is a part where the electronic part to be tested is loaded. Like the prior art,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can be moved by the moving source 128, and at this time, the loading part 121a moves between the loading position LP and the test position TP, and The loading part 121b moves between the test position TP and the unloading position UP. Of course,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only one loading area is provided without distinction between the loading area (121a) and the unloading area (121b), and the moving section of the loading area is divided into the loading position (LP), the test position (TP) and the unloading area. A configuration that expands to the position UP may also be sufficiently considere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also has a cooling passage through which cooling fluid passes, a heater groove, and a sensor groove, and their roles are the cooling passage CW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the heater groove ( HS) and the sensor home (SG),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또한, 제2 히터(122), 제2 온도측정센서(123), 제2 이격요소(124) 및 제2 차폐벽(125)도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의 제1 히터(112), 제1 온도측정센서(113), 제1 이격요소(114) 및 제1 차폐벽(115)과 그 기능이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second heater 122, the second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123, the second separation element 124, and the second shielding wall 125 are also the first heater 112 of the mounting plate 111 for adjusting the first temperature. , The first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113, the first separation element 114, and the first shielding wall 115 and its functions are the sam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베이스플레이트(126)는 이동원(128)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그리고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는 제2 이격요소(124)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26)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됨으로써 이동원(128)의 동작에 의해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도 이동하게 되며, 드라이에어는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와 베이스플레이트(126) 사이의 이격된 지점(B)으로 공급된다.The base plate 126 is provided to be movable by a moving source 128 . In addition,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plate 126 by the second separation element 124, so that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also moves by the operation of the moving source 128. And, the dry air is supplied to a spaced point (B) between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and the base plate 126.

참고로, 앞서 설명한 적재기(110)도 셔틀기(120)에와 같이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를 이동 가능하게 구비시키는 것이 충분히 고려될 수 있다. 그리고 실시하기에 따라서 적재기(110)는 더 많은 전자부품이 적재되거나 상온의 전자부품을 급냉시킬 필요성이 있으므로 도 6에서와 같이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A)의 냉각로(CW)를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의 냉각로보다 더 많은 개수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3의 예에서와 달리 시작점(S)과 종료점(E)의 위치가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A)의 좌우 양 측에 나뉘어 배열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For reference, it may be sufficiently considered that the loading machine 110 described above also has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movably provided as in the shuttle machine 120. Also, since the loader 110 needs to load more electronic components or rapidly cool the electronic components at normal temperature, as shown in FIG. It can be formed in a larger number than the number of cooling furnaces of the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and accordingly, unlike the example of FIG. It may be configured to be divided and arrang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냉각배관(127)들은 냉각기(CA)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유체를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로 공급하거나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로부터 냉각유체를 회수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냉각배관(127)들은 도 7에서와 같이 외측 배관(127a)과 외측 배관(127a)의 내부에 있는 내측 배관(127b)을 가지는 이중관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로 저온의 냉각유체가 이동하는 내측 배관(172b)은 그 외면에 결로나 결빙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결로나 결빙에 의해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7)가 이동할 시에 휘어지는 내측 배관(127b)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내측 배관(127b)이 외기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는 외측 배관(127a)을 구비하는 것이다. 여기서 내측 배관(127b)은 후술할 연결기(140)의 냉각튜브와 같이 나선형의 배관으로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내측 배관(127b)과 외측 배관(127a) 사이의 공간(S)에는 건조기(190)로부터 오는 드라이에어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들로 인해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의 잦은 이동에 따른 냉각배관(122)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적재기(110)의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면, 적재기(110)에 구비된 냉각배관도 이중관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cooling pipes 127 are provided to supply the cooling fluid supplied from the cooler CA to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or to recover the cooling fluid from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 As shown in FIG. 7, these cooling pipes 127 are preferably provided as double pipes having an outer pipe 127a and an inner pipe 127b inside the outer pipe 127a. Condensation or freezing may occu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ipe 172b through which the low-temperature cooling fluid moves therein. And this is because such dew condensation or freezing can damage the inner pipe 127b that bends when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7 moves. Therefore, an outer pipe 127a that can protect the inner pipe 127b from being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air is provided. Here, it may be considered more preferable that the inner pipe 127b is provided as a spiral pipe like the cooling tube of the coupler 140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it may be considered preferable that dry air coming from the dryer 190 is supplied to the space S between the inner pipe 127b and the outer pipe 127a. Due to these structures, damage to the cooling pipe 122 caused by frequent movement of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can be minimized. Of course, i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of the loading machine 110 is also movably provide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oling pipe provided in the loading machine 110 is also provided as a double pipe.

제1 이동기(130)는 스택커 부분(SKP)으로부터 공급위치(SP)로 온 고객트레이(CT)로부터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을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로 이동시키거나,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로부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의 로딩부위(121a)로 전자부품을 이동시킨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서 전자부품을 고객트레이(CT)에서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로 이동시키는 기능과,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로부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각각 담당하도록 제1 이동기(130)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mover 130 moves the electronic component to be tested from the customer tray CT, which has come from the stacker part SKP to the supply position SP, to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or The electronic component is moved from the loading plate 111 for adjustment to the loading portion 121a of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 Of cours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the function of moving electronic components from the customer tray (CT) to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and from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to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A plurality of first movers 130 may be provided to each take charge of a function of moving.

연결기(140)는 테스트위치(TP)에 있는 로딩부위(121a)의 전자부품을 진공압으로 흡착 파지한 후 파지한 전자부품을 테스터의 테스트소켓(TS)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을 언로딩부위(121b)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전자부품과 테스트소켓(TS)의 전기적인 연결은 전자부품을 테스트소켓(TS)으로 가압하는 방식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연결기(140)는 도 8 및 발췌되어 일부 절개된 도 9에서와 같이 헤드(141), 8개의 푸셔(142), 히팅소자(HD), 제1 온도측정소자(TD1), 제2 도측정소자(TD2), 냉각튜브(143)들, 수직이동기(144) 및 수평이동기(145)를 포함한다.The connector 140 adsorbs and holds the electronic component of the loading part 121a at the test position TP with vacuum pressure, and then electrically connects the electronic component to the test socket TS of the tester, and the test completed electronic component The parts are moved to the unloading part 121b. Her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the test socket TS is made by pressing the electronic component with the test socket TS. To this end, the connector 140 includes a head 141, eight pushers 142, a heating element HD, a first temperature measuring element TD 1 , and a second It includes a degree measuring device (TD 2 ), cooling tubes 143, a vertical mover 144 and a horizontal mover 145.

헤드(141)는 수직이동기(143)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헤드(141)는 8개의 푸셔(142)로 가는 진공압을 제공하기 위한 통로 구조나 밸브구조를 가지고 있다. 물론, 별도의 튜브구조물 등을 이용해 푸셔(142)로 진공압을 제공할 수도 있다.The head 141 is provid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by the vertical mover 143 . This head 141 has a passage structure or valve structure for providing vacuum pressure to the eight pushers 142 . Of course, vacuum pressure may be provided to the pusher 142 using a separate tube structure or the like.

8개의 푸셔(142) 각각은 전자부품을 가압하기 위해 마련된다. 따라서 한 번에 8개의 전자부품들이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당연히 장비의 실시 형태에 따라 푸셔(412)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푸셔(142)는 단면이 'T'자 형상으로서 상측의 결합부위(142a)과 하측의 접촉부위(142b)로 나뉜다.Each of the eight pushers 142 is provided to press the electronic component. Thus, eight electronic component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ster at once. Naturally, the number of pushers 412 may var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of the equipment. The pusher 142 has a 'T' shape in cross section and is divided into an upper coupling portion 142a and a lower contact portion 142b.

결합부위(142a)는 헤드(141)에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부위(142a)에는 푸셔(142)의 위치를 정교하게 안내하기 위한 안내핀(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는 안내구멍(GH)이 형성되어 있다.The coupling portion 142a is coupled to the head 141. A guide hole GH into which a guide pin (not shown) for precisely guiding the position of the pusher 142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142a.

접촉부위(142b)는 결합부위(142a)보다 폭이 좁은 부분으로서, 그 하단면인 접촉단(CE)은 전자부품에 접촉되어서 전자부품을 가압하기도 하고, 진공로(VW)로 오는 진공압에 의해 전자부품을 파지하기도 한다.The contact portion 142b is narrower than the coupling portion 142a, and the contact end CE, which is the lower surface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onic component to pressurize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to the vacuum pressure coming from the vacuum furnace VW. It also grips electronic components by

진공로(VW)는 전자부품을 흡착 파지하기 위해 전자부품에 진공압을 가할 목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진공압은 외부로부터 공급받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핸들러(100)에 진공압을 생성하는 레귤레이터를 구비시켜서 해당 레귤레이터로부터 공급받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The vacuum furnace (VW) is formed for the purpose of applying a vacuum pressure to the electronic component in order to adsorb and hold the electronic component. Here, the vacuum pressure may be supplied from the outside, or the handler 100 may be provided with a regulator that generates the vacuum pressure and supplied from the regulator.

그리고 푸셔(212)에는 냉각기(CA)에 의해 공급되는 냉각유체가 지나가는 유체통과로(TW)가 형성되어 있다.Further, a fluid passage TW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supplied by the cooler CA passes is formed in the pusher 212 .

유체통과로(TW)는 결합부위(142a)에 있는 입구(IH)를 통해 들어온 냉각유체가 접촉부위(142b)로 이동한 후 결합부위(142a)에 있는 출구(OH)를 통해 빠져나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냉각기(CA)에서 푸셔(142)로 온 냉각유체는 유체통과로(TW)를 지나 푸셔(142)를 빠져나가게 된다.The fluid passage (TW) is formed so that the cooling fluid entering through the inlet (IH) in the coupling portion (142a) moves to the contact portion (142b) and then exits through the outlet (OH) in the coupling portion (142a). has been Therefore, the cooling fluid coming from the cooler CA to the pusher 142 passes through the fluid passage TW and exits the pusher 142.

히팅소자(HD)는 푸셔(142)를 가열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푸셔(142)에 의해 가압되는 전자부품에 열을 가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히팅소자(HD)는 제1 히터(112) 및 제2 히터(122)와 마찬가지로 고온 테스트를 위한 가열, 미세한 온도조절을 위해 가열, 냉각된 전자부품을 상온으로 돌리기 위한 가열 등에 사용될 수 있다. The heating element HD is provided to heat the electronic component ultimately pressed by the pusher 142 by heating the pusher 142 . Like the first heater 112 and the second heater 122, the heating element HD may be used for high-temperature testing, heating for fine temperature control, heating for turning cooled electronic components to room temperature, and the like.

제1 온도측정소자(TD1)는 푸셔(142)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되고, 제2 도측정소자(TD2)는 전자부품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제2 온도측정소자(TD2)는 전자부품과 접촉되도록 접촉부위(142b)의 접촉단(CE) 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TD 1 is provid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pusher 142, and the second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TD 2 is provided to directly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TD 2 is provided on the contact end CE side of the contact portion 142b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electronic component.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의 히팅소자(HD), 제1 온도측정소자(TD1) 및 제2 온도측정소자(TD2)는 푸셔(142)에 설치된다.As can be seen in the drawing, the heating element HD, the first temperature measuring element TD 1 , and the second temperature measuring element TD 2 are installed on the pusher 142 .

냉각튜브(143)는 냉각기(CA)에 의해 냉각된 냉각유체를 푸셔(142)들로 공급하거나 상기 유체통과로(TW)를 지나 푸셔(142)들로부터 나오는 냉각유체를 상기 냉각기(CA)로 회수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냉각튜브(143)는 그들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푸셔(142)의 이동성이 확보하기 위해 탄성 변형성 및 복원성으로 인한 유연한 휘어짐을 가질 수 있도록 나선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oling tube 143 supplies the cooling fluid cooled by the cooler CA to the pushers 142 or passes through the fluid passage TW to pass the cooling fluid from the pushers 142 to the cooler CA. set up for recovery. The cooling tube 143 is preferably provided in a spiral shape to have flexible bending due to elastic deformability and restorability in order to secure the mobility of the pusher 142 moving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ccording to their installation position.

수직이동기(144)는 헤드(141)를 승강(화살표 a 참조)시킨다. 이에 따라 푸셔(142)가 설치된 헤드(141)는 하강하거나 상승할 수 있으며, 하강시에는 푸셔(142)가 전자부품을 파지할 수 있는 위치가 되거나 전자부품을 테스트소켓(TS) 측으로 가압하는 위치가 된다.The vertical mover 144 raises and lowers the head 141 (see arrow a). Accordingly, the head 141 in which the pusher 142 is installed can descend or ascend, and when descending, the pusher 142 becomes a position to hold the electronic component or press the electronic component to the test socket TS side. becomes

수평이동기(145)는 헤드(141)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화살표 b 참조)시킨다.The horizontal mover 145 moves the head 14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ee arrow b).

즉, 수직이동기(144)와 수평이동기(145)의 작동에 의해 푸셔(142)가 설치된 헤드(141)는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의 로딩부위(121a)로부터 전자부품을 파지한 후 파지한 전자부품을 테스트소켓(TS)에 전기적 연결시키고, 테스트가 종료된 전자부품을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의 언로딩부위(121b)로 이동시킬 수 있다.That is, the head 141 in which the pusher 142 is installed by the operation of the vertical mover 144 and the horizontal mover 145 grips the electronic component from the loading portion 121a of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and then The gripped electronic componen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st socket TS,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on which the test has been completed may be moved to the unloading portion 121b of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

회수플레이트(150)는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 영역(RA)에 위치하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에 의해 테스트 영역(TA)에서 회수 영역(RA)의 언로딩위치(UP)로 온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을 회수하기 위해 마련된다. 따라서 회수플레이트(150)도 전자부품을 실을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며, 간단하게는 고객트레이(CT)가 회수플레이트(150)의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다. 만일 고객플레이트(CT)가 회수플레이트(150)의 역할을 대신하는 경우에는 위의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처럼 별도의 무버에 의해 회수위치(RP)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The recovery plate 150 is located in the recovery area RA for recovering the tested electronic parts, and is an unloading position of the recovery area RA in the test area TA by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UP) is provided to recover electronic components that have been tested on. Therefore, the recovery plate 150 is also configured to have a structure capable of loading electronic components, and the customer tray CT may simply replace the role of the recovery plate 150 . If the customer plate (CT) replaces the role of the recovery plate 150, it may be implemented so that it can be moved to the recovery position (RP) by a separate mover like the abov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

제2 이동기(160)는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의 이동에 의해 테스트 영역(TA)에서 회수 영역(RA)의 언로딩위치(UP)로 온 언로딩부위(121b)의 전자부품들을 회수플레이트(150)로 이동시키거나, 회수플레이트(150)에 있는 전자부품들을 회수위치(RP)에 있는 전방의 빈 고객트레이(CT)로 이동시킨다. 물론, 회수플레이트(150)가 고객플레이트(CT)로 구현되어서 별도의 무버에 의해 고객트레이(CT)가 전방의 회수위치(RP)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하는 경우, 제2 이동기(160)는 전자부품을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에서 회수플레이트(150)로 이동시키는 기능만 가지면 족하다.The second mover 160 moves the electronic components of the unloading area 121b from the test area TA to the unloading position UP of the recovery area RA by the movement of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It is moved to the collection plate 150, or the electronic components in the collection plate 150 are moved to the front empty customer tray CT located in the collection position RP. Of course, if the recovery plate 150 is implemented as a customer plate CT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ustomer tray CT can be moved to the front recovery position RP by a separate mover, the second mover 160 suffices to have only a function of moving the electronic component from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to the recovery plate 150.

환경유지챔버(170)는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 푸셔(142), 테스트소켓(TS)이 존재하는 공간의 건조한 환경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해당 구성들을 외기와 격리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환경유지챔버(170)의 내부에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 제1 이동기(130), 연결기(140) 중 적어도 헤드(141)와 푸셔(142)들, 회수플레이트(150), 제2 이동기(160) 및 테스트소켓(TS)이 수용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의 환경유지챔버(170)는 그 내부의 공간을 냉각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 아니고, 그 내부에 건조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다는 점에서 종래의 기술들과 큰 차이를 가진다. 이러한 환경유지챔버(170)는 개폐도어(171), 공급구멍(SH) 및 회수구멍(RH)을 가진다.The environment holding chamber 170 has a corresponding configuration in order to maintain a dry environment in the space where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the pusher 142, and the test socket TS exist. isolate them from the outside air. In this embodiment, at least the head 141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the first mover 130, and the connector 140 is installed inside the environment holding chamber 170. And the pushers 142, the recovery plate 150, the second mover 160, and the test socket TS are accommodated. However, the environmental holding chamber 17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rovided to cool the space therein, but has a great difference from conventional technologies in that it is provided to provide a dry environment therein. This environment holding chamber 170 has an opening and closing door 171, a supply hole (SH) and a recovery hole (RH).

개폐도어(171)는 작업자에 의해 환경유지챔버(170)의 내부를 개폐하기 위해 구비되며, 이중 도어로 구비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71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inside of the environment maintenance chamber 170 by a worker, and is provided as a double door.

제1 도어(171a)는 넓은 제1 개방 면적을 개폐할 수 있다.The first door 171a may open and close a wide first open area.

제2 도어(171b)는 제1 도어(171a)의 중앙 부근에 설치되며, 제1 개방 면적보다 좁은 제2 개방면적을 개폐할 수 있다.The second door 171b is installed near the center of the first door 171a and can open and close a second open area narrower than the first open area.

즉, 작업자는 잼 등의 발생으로 환경유지챔버(170)의 내부에 수작업이 필요한 경우, 해당 수작업의 정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제1 도어(171a)를 개방하거나, 작업자의 팔 정도만 집어넣을 수 있는 제2 도어(171b)를 개방할 수 있다. 이 때, 제2 도어(171b)만 개방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환경유지챔버(170)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1 도어(171a)의 틀에서 제2 도어(171b) 사이는 유리와 같은 투명패널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또한, 제2 도어(171b)를 개방한 경우에도 환경유지챔버(170)의 냉기 손실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공기막을 형성할 수 있는 별도의 에어커튼을 구성시키거나, 팔은 들어갈 수 있지만 냉기의 유출은 최대한 차단될 수 있도록 브러시의 형태와 같이 가는 실들로 촘촘하게 막아 놓거나 기타 차단부재를 구성시키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That is, when manual work is required inside the environment holding chamber 170 due to jams, etc., the operator selectively opens the first door 171a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manual work, or inserts only the operator's arm. Two doors (171b) can be opened. At this time, when only the second door 171b is opened, it is necessary for the operator to visually check the inside of the environment holding chamber 170, so there is no separation between the frame of the first door 171a and the second door 171b. It is necessary to be composed of a transparent panel such as In addition, even when the second door 171b is opened, a separate air curtain capable of forming an air film is configured to minimize the loss of cold air in the environment holding chamber 170, or the arms can enter but the outflow of cold air It may also be considered to densely block with thin threads like a brush or to configure other blocking members to maximize blocking.

참고로 개폐도어(171)는 필요한 위치에 필요한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refere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71 is provided in a required number at a required location.

공급구멍(SH)은 스택커 부분(SKP)에 있는 고객트레이(CT)를 공급위치(SP)로 이동시킬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The supply hole SH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ustomer tray CT in the stacker part SKP can be moved to the supply position SP.

회수구멍(RH)은 회수위치(RP)에 있는 고객트레이(CT)를 스택커 부분(SKP)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The recovery hole RH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ustomer tray CT in the recovery position RP can be moved to the stacker part SKP.

당연히, 핸들러(100)의 용량이나 기타 실시 구조의 형태에 따라서 공급구멍(SH)이나 회수구멍(RH)은 적절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Naturally, an appropriate number of supply holes SH or recovery holes RH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handler 100 or the shape of other implementation structures.

참고로, 환경유지챔버(170)가 구비됨에도 불구하고,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테스트 영역(TA)에 별도의 테스트실을 구비하기 위한 테스트챔버(TC)를 더 구비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별도의 차단막에 의해 공급 영역(SA)과 회수 영역(RA)을 분리시키는 것도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For reference, although the environment maintenance chamber 170 is provided, a test chamber TC for providing a separate test chamber in the test area TA may be further provide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Also, it may be desirable to separate the supply area SA and the recovery area RA by a separate blocking film.

제1 개폐기(181)는 공급구멍(SH)을 개폐한다.The first opener 181 opens and closes the supply hole SH.

제2 개폐기(182)는 회수구멍(RH)을 개폐한다.The second opener 182 opens and closes the recovery hole RH.

마찬가지로 제1 개폐기(181) 및 제2 개폐기(182) 외에도 공급구멍(SH)과 회수구멍(RH)이 개방되었을 시에 별도의 에어커튼을 형성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구비시킬 수도 있다.Similarly, in addition to the first switch 181 and the second switch 182, a means for forming a separate air curtain may be further provided when the supply hole SH and the return hole RH are opened.

물론, 위의 제1 개폐기(181)와 제2 개폐기(182)는 공급구멍(SH)과 회수구멍(RH)의 개수와 상응하는 개수로 구비된다.Of course, the above first switch 181 and the second switch 182 are provided in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upply holes SH and return holes RH.

습도측정센서(SS)는 환경유지챔버(170) 내부의 습도, 특히 결로나 결빙의 발생이 방지되는 것이 요구되어 건조도의 정교한 조절이 필요한 공급 영역(SA) 및 테스트 영역(TA)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특히,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와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가 존재하는 공간의 습도가 중요하므로 습도측정센서(SS)는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와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의 근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에 설치되는 습도측정센서(SS)는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 The humidity measuring sensor SS measures the humidity inside the environment holding chamber 170, especially the humidity of the supply area SA and the test area TA, where the occurrence of dew condensation or freezing is required to be precisely controlled. set up to measure In particular, since the humidity of the space where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exist is important, the humidity measurement sensor SS is used to measure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near the loading plate 121 for adjustment. Here, it may be considered preferable that the humidity measurement sensor SS installed on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is movably installed together with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

건조기(190)는 환경유지챔버(170) 내부로 드라이에어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건조기(190)는 외부의 공급기로부터 오는 드라이에어를 환경유지챔버(170)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이동회로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핸들러(100) 자체적으로 건조 공기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건조기(190)에 의해 환경유지챔버(170)의 내부로 공급되는 드라이에어의 공급지점은 공급 영역(SA)과 테스트 영역(TA)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건조기(190)에 의해 공급되는 드라이에어가 공급 영역(SA)에 있는 적재기(110)와 적어도 일부가 테스트 영역(TA)에 항상 위치하는 셔틀기(120)를 통해서 공급되도록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들러(100)는 테스트 조건에 가장 민감한 테스트 영역(TA)의 고정된 일 지점(C)에 별도의 분사노즐을 통해 드라이에어를 공급하도록 하였으며, 이의 효율성을 위해 별도의 테스트챔버(TC)를 구성하였다. 따라서 테스트 영역(TA)은 이웃하는 회수 영역(RA)보다 고압이 되어서, 양 영역의 기압차에 의해 회수 영역(RA)의 다습한 공기가 테스트 영역(TA)으로 진입하는 것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The dryer 190 is provided to supply dry air into the environment maintenance chamber 170 . The dryer 19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moving circuit that moves dry air coming from an external supply to the inside of the environment maintenance chamber 170, an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andler 100 itself supplies dry air.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Here, supply points of the dry air supplied into the environment holding chamber 170 by the dryer 190 are preferably located in the supply area SA and the test area TA.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 air supplied by the dryer 190 is supplied through the loader 110 in the supply area SA and the shuttle 120 at least partially located in the test area TA. It can be seen that this was done. In addition, the handl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dry air to a fixed point C of the test area TA, which is most sensitive to test conditions, through a separate injection nozzle, and for its efficiency, a separate test A chamber (TC) was configured. Therefore, since the test area TA has a higher pressure than the adjacent recovery area RA, the air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two areas can prevent humid air from the recovery area RA from entering the test area TA as much as possible. .

위와 같은 건조기(190)가 구비되어야 하는 점에 대해서 좀 더 살펴본다. 일반적으로 결로 현상은 대기의 온도가 떨어지면서 대기의 포화수증기량이 낮아짐으로써 발생하고, 특히 영하의 온도 조건에서 발생된 결로는 얼어서 결빙이 되는 결빙 현상을 발생시킨다. 그런데, 저온 테스트가 가능한 핸들러의 경우에는 전자부품들을 영하 10도나 그 이하의 극저온까지 급격히 냉각시켜야 하므로 다른 기구물들의 온도도 매우 낮은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그 기구물들 근방의 대기 온도도 낮아져서 포화수증기량이 매우 낮아진다. 예를 들어 상온인 대기의 포화수증기량은 22.830g/m3인데, 영하 10도인 대기의 포화수증기량은 2.156g/m3이다. 따라서 전자부품이나 기구물 등의 표면에서 수증기의 응결 및 결빙이 발생하여 장비의 구동마저 불가한 상태로 되거나 장비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지속된 실험과 연구를 통해 본 발명에 이르게 된 것이다.Let's take a closer look at the point that the dryer 190 as above should be provided. In general, condensation occurs when the atmospheric temperature decreases and the amount of saturated water vapor in the atmosphere decreases. In particular, condensation generated in sub-zero temperature conditions freezes and causes freezing. However, in the case of a handler capable of low-temperature testing, since the electronic parts must be rapidly cooled to a cryogenic temperature of minus 10 degrees or less, the temperature of other instruments is also maintained at a very low state. In this state, the temperature of the atmosphere near the instruments is also lowered, so that the amount of saturated water vapor becomes very low. For example, the amount of saturated water vapor in the air at room temperature is 22.830 g/m 3 , but the amount of saturated water vapor in the atmosphere at minus 10 degrees is 2.156 g/m 3 . Therefore, condensation and freezing of water vapor may occur on the surface of electronic components or instruments, and thus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may become impossible or serious damage may be caused to the equipment. This l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continued experiments and research.

냉각기(CA)는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 및 푸셔(142)에 냉각유체를 공급한다. 마찬가지로 냉각기(CA)의 냉각모듈은 핸들러(100)에 자체적으로 구비되거나,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공장의 시스템에 별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만일 냉각모듈이 핸들러(100)와 별개로 구비되면, 핸들러(100)에 구비된 냉각기(CA)의 개념은 외부의 냉각모듈로부터 오는 냉각유체를 필요한 곳으로 이동시키는 냉각회로로 해석될 수 있다. The cooler CA supplies cooling fluid to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and the pusher 142 . Similarly, the cooling module of the cooler CA may be provided in the handler 100 itself or may be separately provided in the system of the factory depending on implementation. If the cooling module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handler 100, the concept of the cooler CA provided in the handler 100 can be interpreted as a cooling circuit that moves cooling fluid from an external cooling module to a required location.

제어기(MA)는 위의 구성들 중 제어가 필요한 구성들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기(MA)는 습도측정센서(SS)에 의해 측정된 습도 정보에 따라서 건조기(190)를 제어하여 드라이에어의 공급량을 조절하며, 환경유지챔버(170) 내부의 냉기 손실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공급구멍(SH)이나 회수구멍(RH)을 통해 고객트레이(CT)가 이동할 시에만 공급구멍(SH)이나 회수구멍(RH)이 열리도록 제1 개폐기(181)와 제2 개폐기(182)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기(MA)는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의 로딩부위(121a), 푸셔(142) 및 전자부품의 온도 정보를 토대로 각각의 냉각 정도나 가열 정도를 조절한다.The controller MA controls components requiring control among the above configurations.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MA adjusts the supply of dry air by controlling the dryer 190 according to the humidity information measured by the humidity measurement sensor SS, and minimizes the loss of cold air inside the environment maintenance chamber 170. The first switch 181 and the second switch 182 are set so that the supply hole SH or the return hole RH is opened only when the customer tray CT moves through the supply hole SH or the return hole RH. Control.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 determines the cooling degree or temperature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the loading portion 121a of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the pusher 142, an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Adjust the degree of heating.

한편, 스택커 부분(SKP)은 공급위치(SP)로 고객트레이(CT)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스택커(PS)와 회수위치(RP)로부터 오는 고객트레이(CT)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 스택커(RS)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stacker part (SKP) is a supply stacker (PS) for supplying customer trays (CT) to the supply position (SP) and a collection stacker for recovering customer trays (CT) coming from the recovery position (RP) (RS).

계속하여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핸들러(100)에 대하여 설명한다.Subsequently, the handler 100 having the abov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공급스택커(PS)에 있는 고객트레이(CT)는 한 장씩 순차적으로 공급위치(SP)로 공급된다. 이 때, 고객트레이(CT)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개폐기(181)는 공급구멍(SH)을 개방하고, 고객트레이(CT)가 환경유지챔버(170)의 내부로 진입하면 공급구멍(SH)을 폐쇄시킨다. Customer trays (CT) in the supply stacker (PS) are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supply position (SP) one by one. At this time, while the customer tray CT is moving, the first opener 181 opens the supply hole SH, and when the customer tray CT enters the environment holding chamber 170, the supply hole SH ) is closed.

제1 이동기(130)는 공급위치(SP)의 고객트레이(CT)로부터 전자부품들을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로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에 실리게 된 전자부품들은 냉각기(CA)에 의해 냉각된 상태에 있는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와의 접촉에 의해 냉각이 이루어진다.The first mover 130 moves the electronic components from the customer tray CT at the supply position SP to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 As a result, the electronic components loaded on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are cooled by contact with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in a cooled state by the cooler CA.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에 전자부품이 실리면, 제1 이동기(130)는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11)로부터 로딩위치(LP)에 있는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의 로딩부위(121a)로 예냉된 전자부품들을 이동시킨다. 로딩부위(121a)에 전자부품이 실리면 이동원(123)에 의해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의 로딩부위(121a)가 테스트위치(TP)에 위치되게 한다. 그러면, 연결기(140)가 작동하여 푸셔(142)를 이용해 로딩부위(121a)로부터 전자부품을 진공압에 의해 파지한 후 수직 이동기(144) 및 수평 이동기(145)의 동작에 의해 푸셔(142)에 파지된 전자부품을 테스트소켓(TS)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물론, 로딩부위(121a)와 푸셔(142)는 냉각기(CA)에 의해 테스트 조건에 맞은 온도로 냉각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이동 과정에서 전자부품이 테스트 조건에 맞은 온도를 벗어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테스트 과정에서도 전자부품에 열이 발생할 수 있지만, 제어기(MA)가 냉각기(CA)를 제어하여 전자부품을 요구되는 온도 조건으로 유지시킨다.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loaded on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the first mover 130 moves from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1 to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at the loading position LP. Pre-cooled electronic components are moved to the loading part 121a.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loaded on the loading part 121a,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is moved to the right by the moving source 123, and the loading part 121a of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is moved to the test position ( TP) to be placed. Then, the coupler 140 is operated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is gripped from the loading part 121a by vacuum pressure using the pusher 142, and then the pusher 142 is 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vertical mover 144 and the horizontal mover 145. Electrically connect the electronic component gripped to the test socket (TS). Of course, since the loading portion 121a and the pusher 142 are cooled to a temperature suitable for the test condition by the cooler CA, the electronic component does not deviate from the temperature suitable for the test condition during the moving process. In addition, heat may be generated in the electronic component during the test process, but the controller MA controls the cooler CA to maintain the electronic component in a required temperature condition.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가 종료되면, 연결기(140)는 전자부품을 테스트위치(TP)에 있는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의 언로딩부위(121b)로 이동시킨다. 이 때,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b)의 로딩부위(121a)는 로딩위치(LP)에 있기 때문에, 다음에 테스트될 전자부품들이 로딩부위(121a)에 실린다. 언로딩부위(121b)로 테스트가 종료된 전자부품이 실리면,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언로딩부위(121b)가 언로딩위치(UP)로 이동하게 되고, 제2 이동기(160)는 언로딩부위(121b)로부터 회수플레이트(150)로 전자부품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회수플레이트(150)에 있는 전자부품은 제2 이동기(160)에 의해 전방의 회수위치(RP)에 있는 고객트레이(CT)로 이동된다. 이 때, 테스트가 종료된 전자부품들은 그 테스트 결과에 따라 등급별로 구분되게 이동될 수 있다. 이어서 회수위치(RP)에 있는 고객트레이(CT)에 전자부품이 채워지면 제2 개폐기(182)가 작동하여 회수구멍(RH)이 열리고, 고객트레이(CT)는 회수위치(RP)에서 회수스택커(RS)로 이동된다.When the test o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finished, the connector 140 moves the electronic component to the unloading part 121b of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at the test position TP. At this time, since the loading portion 121a of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b is at the loading position LP, electronic components to be tested next are loaded on the loading portion 121a.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for which the test has been completed is loaded onto the unloading part 121b,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moves to the right and the unloading part 121b moves to the unloading position UP. 2 The mover 160 moves the electronic component from the unloading part 121b to the recovery plate 150. Then, the electronic parts on the collection plate 150 are moved to the customer tray CT in the front collection position RP by the second mover 160 . At this time, the electronic components whose tests have been completed may be classified and moved according to grades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Subsequently, when the customer tray (CT) in the recovery position (RP) is filled with electronic parts, the second switch 182 operates to open the recovery hole (RH), and the customer tray (CT) is stacked at the recovery position (RP). moved to the cursor (RS).

한편, 위와 같은 전자부품의 이동과 테스트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테스트가 진행되는 동안, 습도측정센서(SS)는 환경유지챔버(170) 내부(더 구체적으로는 공급 영역의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 근처와 테스트 영역의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 근처)의 습도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계속해서 측정하고, 제어기(MA)는 해당 정보를 토대로 드라이에어의 양을 조절하면서 드라이에어를 앞서 설명한 지점들로 공급한다. 물론, 드라이에어의 공급에 의해 환경유지챔버(170)의 내부는 요구되는 건조도를 유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ile the above-described movement and testing of the electronic parts are continuously performed, the humidity measurement sensor (SS) is located inside the environment maintenance chamber 170 (more specifically, near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in the supply area) while the test is in progress. and near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in the test area) are continuously measured at regular time intervals, and the controller MA controls the amount of dry air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supplies the dry air to the points described above. . Of course, the inside of the environment maintenance chamber 170 can maintain a required dryness level by supplying dry air.

더욱이, 건조기(190)에 의해 드라이에어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환경유지챔버(170)의 내부는 외부에 비하여 지속적으로 고압이다. 이로 인해 공급구멍(SH)이나 회수구멍(RH) 또는 기타 밀폐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부위로 환경유지챔버(170)의 내부 공기가 유출되며, 이는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Moreover, the inside of the environment maintenance chamber 170, to which dry air is continuously supplied by the dryer 190, has a constant high pressure compared to the outside. As a result, the air inside the environment holding chamber 170 is discharged to the supply hole (SH) or recovery hole (RH) or other parts where sealing is not achieved, which functions to block external air from entering the inside .

또한, 드라이에어는 공급 영역(SA)과 테스트 영역(TA)으로 대부분이 주입되기 때문에 건조도가 정교하게 조정되어야 하는 공급 영역(SA)과 테스트 영역(TA)측이 회수 영역(RA) 측보다 더 고압이다. 그래서 공급 영역(SA)과 회수 영역(RA)이 차단막에 의해 상호 차단되어 있는 경우, 기압 차에 의해 공기는 공급 영역(SA) 및 테스트 영역(TA)에서 건조 정도의 정교성이 많이 요구되지 않는 회수 영역(RA)으로 주로 이동하게 되므로, 회수 영역(RA)의 공기가 공급 영역(SA)의 공기에 영향을 끼치는 것이 방지되고, 이 또한 공급 영역(SA)의 건조도를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요인이 된다.In addition, since most of the dry air is injected into the supply area SA and the test area TA, the supply area SA and test area TA, where the dryness needs to be precisely adjusted, are higher than the recovery area RA. more high pressure Therefore, when the supply area SA and the recovery area RA are blocked from each other by the barrier film, air is recovered by the air pressure difference in the supply area SA and the test area TA, which does not require much precision in drying. Since it mainly moves to the area RA, the air in the recovery area RA is prevented from affecting the air in the supply area SA, and this also allows the dryness of the supply area SA to be precisely controlled. become a factor

더불어 건조기(190)는 이중관으로 구비된 냉각배관(122)의 외측 배관(122a)과 내측 배관(122b) 사이로 드라이에어를 공급하여 앞서 언급한 냉각배관(122)의 손상을 방지한다. In addition, the dryer 190 prevents damage to the aforementioned cooling pipe 122 by supplying dry air between the outer pipe 122a and the inner pipe 122b of the cooling pipe 122 provided as a double pipe.

<변형예><Example of modification>

앞선 실시예에서는 셔틀기(120)에 구성되는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를 로딩부위(121a)와 언로딩부위(121b)로 나누고, 가열 요소인 제2 히터(122)와 냉각 요소인 냉각배관(127)에 의해 로딩부위(121a)와 언로딩부위(121b)를 모두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도록 구현되었다.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configured in the shuttle 120 is divided into a loading part 121a and an unloading part 121b, and the second heater 122 as a heating element and a cooling element Both the loading part 121a and the unloading part 121b are heated or cooled by the cooling pipe 127.

그러나 도 10에서와 같이 셔틀기(120)가 변형되게 구비될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10, the shuttle 120 may be provided to be deformed.

도 10을 참조하면, 제2 히터(122)는 로딩부위(121a)와 언로딩부위(121b)를 모두 가열시키도록 설치되지만, 냉각배관(127)은 로딩부위(121a)만을 냉각시키도록 배설된다. 따라서 로딩부위(121a)는 제2 히터(122)와 냉각배관(127)에 의해 가열되거나 냉각될 수 있지만, 언로딩부위(121b)는 제2 히터(122)에 의해 가열만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변형예를 구현한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second heater 122 is installed to heat both the loading portion 121a and the unloading portion 121b, but the cooling pipe 127 is installed to cool only the loading portion 121a. . Accordingly, the loading portion 121a may be heated or cooled by the second heater 122 and the cooling pipe 127, but the unloading portion 121b may only be heated by the second heater 122. Hereinafter, the reason for implementing this modified example will be described.

일반적으로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의 종류에는 고온 테스트, 상온 테스트, 저온 테스트가 있다.In general, types of tests for electronic components include high-temperature tests, room-temperature tests, and low-temperature tests.

고온 테스트 시에는 전자부품을 고온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테스트가 진행되어야 하고, 저온 테스트 시에는 전자부품을 저온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테스트가 진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온 테스트에서는 전자부품이 상온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테스트가 진행된다. 따라서 제2 히터(122)와 냉각배관(127)은 특별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고온 테스트나 저온 테스트에서만 활용된다.In a high-temperature test, the test must be performed while maintaining the electronic component at a high temperature, and in the case of a low-temperature test, the test must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 is maintained at a low temperature. In the room temperature test, the test is performed while the electronic component is maintained at room temperature. Therefore, the second heater 122 and the cooling pipe 127 are used only in high-temperature tests or low-temperature tests except for special circumstances.

대게의 경우,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은 픽커에 의해 언로딩작업이 이루어진다. 이 때, 픽커나 전자부품에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는 적절한 언로딩작업을 위해 고온의 전자부품은 냉각시키고 저온의 전자부품은 가열시킬 필요성이 있다.In most cases, an unload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a picker for electronic components that have been tested.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cool the high-temperature electronic parts and heat the low-temperature electronic parts in order to perform an appropriate unloading operation that does not cause damage to the picker or the electronic parts.

먼저, 저온 테스트를 위해서 로딩부위(121a)는 냉각되어야만 하고, 정밀한 온도 제어를 위해서 로딩부위(121a)는 제2 히터(122)에 의해 가열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언로딩부위(121b)는 제2 히터(122)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적재된 전자부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어야 한다.First, for a low-temperature test, the loading part 121a must be cooled, and for precise temperature control, the loading part 121a must be heated by the second heater 122 . In addition, the unloading portion 121b must be heated by the second heater 122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loaded electronic component.

만일 언로딩부위(121b)에 적재된 전자부품이 상온에 가깝게 가열되지 않으면, 성애가 발생하여 제2 이동기(160)의 작동에 따른 픽커의 픽킹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픽킹 자국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f the electronic components loaded in the unloading part 121b are not heated close to room temperature, frost may occur, which may interfere with the picking operation of the pick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mover 160 or may cause picking marks. problems may arise.

따라서 저온 테스트 시에는 로딩부위(121a)에 대한 냉각과 가열이 모두 필요하지만, 언로딩부위(121b)는 가열만 이루어지면 된다.Therefore, in the low-temperature test, both cooling and heating are required for the loading portion 121a, but only heating is required for the unloading portion 121b.

한편, 고온 테스트를 위해서 로딩부위(121a)는 가열되어야만 하며, 정밀한 온도 제어를 위해 종종 냉각될 필요성도 있다. 그런데, 장비에 따라서 고온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100도 +/- 50도)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언로딩 작업을 위해 전자부품을 냉각시킬 필요가 없다.Meanwhile, for high-temperature testing, the loading part 121a must be heated, and often needs to be cooled for precise temperature control. However, depending on the equipment, the high temperature may be implemented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100 degrees +/- 50 degrees), and in this case, there is no need to cool the electronic parts for the unloading operation.

따라서 고온 테스트 시에는 로딩부위(121a)에 대한 가열과 냉각이 모두 필요하지만, 장비에 따라서는 언로딩부위(121b)의 냉각이 요구되지 않는다.Therefore, in the high-temperature test, both heating and cooling of the loading part 121a are required, but cooling of the unloading part 121b is not required depending on the equipment.

즉, 장비가 저온 테스트와 고온 테스트를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 경우에도 로딩부위(121a)는 냉각과 가열이 모두 필요하다. 그러나 장비에 따라서 언로딩부위(121b)는 냉각 테스트 시에만 가열이 요구되고 냉각은 필요가 없으므로, 언로딩부위(121b)를 냉각시키기 위한 별도의 냉각 요소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테스트 모드에 따른 제어에 의해 언로딩부위(121b)는 가열만이 가능하다.That is, even when the equipment is implemented to perform both a low-temperature test and a high-temperature test, both cooling and heating are required for the loading part 121a. However, depending on the equipment, since the unloading part 121b requires heating only during the cooling test and does not need to be cooled, a separate cooling element for cooling the unloading part 121b may not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unloading portion 121b can only be heated by control according to the test mode.

위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러는 설명의 명확함을 위해 간결한 구성을 취하고 있지만, 처리 용량에 따라서 적재기(110), 셔틀기(120), 제1 이동기(130), 회수플레이트(150), 제2 이동기(160), 공급구멍(SH) 및 회수구멍(RH) 등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the handler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has a concise configuration for clarity of description, the loader 110, the shuttle 120, the first mover 130, the recovery plate 150, and the second mover according to the processing capacity. 160, a supply hole (SH) and a recovery hole (RH), etc.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또한, 위의 실시예에서는 로딩부위(121a)와 언로딩부위(121b)가 하나의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121)에 영역이 구분되어 배치되고 있으며, 함께 이동되도록 되어 있지만,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로딩부위(121a)와 언로딩부위(121b)가 별개의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어서 별개의 이동원에 의해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가 2개이고, 하나의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는 로딩부위(121a)를 가지며, 다른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는 언로딩부위(121b)를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loading part 121a and the unloading part 121b are arranged in separate areas on on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21, and are designed to be moved together. may be implemented so that the loading part 121a and the unloading part 121b are disposed on separate plates and can be moved independently by a separate moving source. That is,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is two, on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has a loading portion 121a, and the other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has an unloading portion 121b. .

즉, 위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기본적인 예예 불과할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위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That is, since the above embodiment is only the most basic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to the above embodimen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will have to be understood

100 :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TSP : 테스트 지원 부분 SKP : 스택커 부분
110 : 적재기
111 :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
112 : 제1 히터 113 : 제1 온도측정센서
114 : 제1 이격요소
115 : 차폐벽
115c : 분사구멍
120 : 셔틀기
121 :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
122 : 제2 히터 123 : 제2 온도측정센서
124 : 제2 이격요소 125 : 차폐벽
126 : 베이스플레이트
127 : 냉각배관
127a : 외측 배관 127b : 외측 배관
130 : 제1 이동기
140 : 연결기
142 : 푸셔
TW : 유체통과로
143 : 냉각튜브
HD : 히팅소자
TD1 : 제1 온도측정소자 TD2 : 제2 온도측정소자
150 : 회수플레이트
160 : 제2 이동기
170 : 환경유지챔버
171 : 개폐도어
171a : 제1 도어 171b : 제2 도어
SH : 공급구멍
SS : 습도측정센서
181 : 제1 개폐기 190 : 건조기
CA : 냉각기 MA : 제어기
SP : 공급위치
100: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TSP: test support part SKP: stacker part
110: loader
111: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112: first heater 113: first temperature sensor
114: first separation element
115: shielding wall
115c: injection hole
120: shuttle machine
121: loading plate for second temperature control
122: second heater 123: second temperature sensor
124: second separation element 125: shielding wall
126: base plate
127: cooling pipe
127a: outer piping 127b: outer piping
130: first mover
140: connector
142: pusher
TW: fluid passage
143: cooling tube
HD : Heating element
TD 1 : first temperature measuring element TD 2 : second temperature measuring element
150: recovery plate
160: second mover
170: environmental maintenance chamber
171: opening and closing door
171a: first door 171b: second door
SH: supply hole
SS: Humidity sensor
181: first switch 190: dryer
CA: Chiller MA: Controller
SP: supply location

Claims (12)

전자부품에 대한 저온 테스트를 지원하는 테스트 지원 부분;
상기 테스트 지원 부분으로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이 실린 고객트레이를 공급하고,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이 실린 고객트레이를 회수하는 스택커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지원 부분은,
전자부품을 테스트 영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영역에 위치하며, 적재된 전자부품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는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를 가지는 적재기;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를 거쳐 온 전자부품을 테스트 영역으로 이동시키거나,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을 테스트 영역에서 회수 영역으로 이동시키며, 적재된 전자부품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를 가지는 셔틀기;
상기 스택커 부분으로부터 공급위치로 온 고객트레이로부터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을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로 전자부품을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동기;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공급 영역에서 상기 테스트 영역으로 이동된 전자부품을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전자부품이 테스터에 의해 테스트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기;
상기 회수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테스트 영역에서 상기 회수 영역의 언로딩위치로 온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플레이트;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에 의해 회수 영역으로 이동된 전자부품을 상기 회수플레이트로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동기;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가 존재하는 공간의 건조한 환경을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되며,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이 실린 고객트레이가 상기 스택커 부분으로부터 이동되어 올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구멍을 가지는 환경유지챔버;
냉각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를 냉각시키는 냉각기; 및
상기 냉각기를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는 각각 전자부품들이 적재될 수 있고, 전도를 통해 적재된 전자부품들의 온도가 조절되며, 상기 냉각기에 의해 공급되는 냉각유체가 지나가는 이동로로서 기능하는 냉각로를 가지며,
상기 셔틀기는,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에 적재된 전자부품에 열을 가하는 제2 히터; 및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온도측정센서;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온도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냉각기 및 제2 히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의 온도를 조절하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A test support part that supports low-temperature tes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a stacker unit supplying customer trays loaded with electronic components to be tested to the test support unit and collecting customer trays loaded with electronic components that have been tested; including,
The test support part,
a loader located in a supply area for supplying electronic components to a test area and having a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capable of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loaded electronic components;
A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for moving electronic component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to a test area or moving electronic components that have been tested from the test area to a recovery area and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loaded electronic components. Shuttle machine having;
Moving the electronic component to be tested from the customer tray that has come to the supply position from the stacker part to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or moving the electronic component from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to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t least one first mover;
a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moved from the supply area to the test area by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to a tester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tested by the tester;
a recovery plate located in the recovery area and recovering an electronic component that has been tested and brought from the test area to an unloading position of the recovery area by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t least one second mover for moving the electronic parts moved to the recovery area by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to the recovery plate;
It is provided to maintain a dry environment in the space where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exist, and a passage through which a customer tray loaded with electronic components to be tested can be moved from the stacker portion. an environment holding chamber having at least one supply hole providing;
a cooler supplying a cooling fluid to cool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nd
a controller controlling the cooler; including,
The first loading plate for temperature control and the second loading plate for temperature control can be loaded with electronic components, the temperature of the loaded electronic components is controlled through conduction, and the cooling fluid supplied by the cooler passes. It has a cooling furnace that functions as
The shuttle,
a second heater for applying heat to the electronic components loaded on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nd
a second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loading plate for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Including mor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by controlling the cooler and the second heater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전자부품에 대한 저온 테스트를 지원하는 테스트 지원 부분;
상기 테스트 지원 부분으로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이 실린 고객트레이를 공급하고,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이 실린 고객트레이를 회수하는 스택커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지원 부분은,
전자부품을 테스트 영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영역에 위치하며, 적재된 전자부품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는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를 가지는 적재기;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를 거쳐 온 전자부품을 테스트 영역으로 이동시키거나,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을 테스트 영역에서 회수 영역으로 이동시키며, 적재된 전자부품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를 가지는 셔틀기;
상기 스택커 부분으로부터 공급위치로 온 고객트레이로부터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을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로 전자부품을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동기;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공급 영역에서 상기 테스트 영역으로 이동된 전자부품을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전자부품이 테스터에 의해 테스트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기;
상기 회수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테스트 영역에서 상기 회수 영역의 언로딩위치로 온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플레이트;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에 의해 회수 영역으로 이동된 전자부품을 상기 회수플레이트로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동기;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가 존재하는 공간의 건조한 환경을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되며,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이 실린 고객트레이가 상기 스택커 부분으로부터 이동되어 올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구멍을 가지는 환경유지챔버;
냉각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를 냉각시키는 냉각기; 및
상기 냉각기를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는 각각 전자부품들이 적재될 수 있고, 전도를 통해 적재된 전자부품들의 온도가 조절되며, 상기 냉각기에 의해 공급되는 냉각유체가 지나가는 이동로로서 기능하는 냉각로를 가지며,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는,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이 실리는 로딩부위; 및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이 실리는 언로딩부위; 를 포함하고,
상기 셔틀기는,
상기 로딩부위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요소;
상기 로딩부위와 언로딩부위를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 요소; 및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온도측정센서;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온도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냉각기 및 가열 요소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의 온도를 조절하되, 상기 언로딩부위는 가열만이 가능한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A test support part that supports low-temperature tes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a stacker unit supplying customer trays loaded with electronic components to be tested to the test support unit and collecting customer trays loaded with electronic components that have been tested; including,
The test support part,
a loader located in a supply area for supplying electronic components to a test area and having a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capable of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loaded electronic components;
A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for moving electronic component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to a test area or moving electronic components that have been tested from the test area to a recovery area and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loaded electronic components. Shuttle machine having;
Moving the electronic component to be tested from the customer tray that has come to the supply position from the stacker part to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or moving the electronic component from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to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t least one first mover;
a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moved from the supply area to the test area by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to a tester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tested by the tester;
a recovery plate located in the recovery area and recovering an electronic component that has been tested and brought from the test area to an unloading position of the recovery area by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t least one second mover for moving the electronic parts moved to the recovery area by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to the recovery plate;
It is provided to maintain a dry environment in the space where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exist, and a passage through which a customer tray loaded with electronic components to be tested can be moved from the stacker portion. an environment holding chamber having at least one supply hole providing;
a cooler supplying a cooling fluid to cool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nd
a controller controlling the cooler; including,
The first loading plate for temperature control and the second loading plate for temperature control can be loaded with electronic components, the temperature of the loaded electronic components is controlled through conduction, and the cooling fluid supplied by the cooler passes. It has a cooling furnace that functions as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 loading area in which electronic parts to be tested are loaded; and
an unloading area in which electronic components that have been tested are loaded; including,
The shuttle,
a cooling element for cooling the loading portion;
a heating element for heating the loading and unloading portions; and
a second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loading plate for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Including more,
The controller adjusts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by controlling the cooler and the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but the unloading portion can only be heated.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기는,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를 베이스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고정시키는 이격요소; 및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의 주변으로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의 하단 및 측단과 이격되게 구비되어서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의 주변에 있는 공기가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에 적재된 전자부품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차폐벽;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환경유지챔버에는 드라이에어가 공급되되, 드라이에어가 공급되는 지점은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면 간의 이격된 지점인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According to claim 1,
The loader,
a separation element for fixing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mounting plat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ase surface; and
Electrons provided around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and side ends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so that the air around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is loaded on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 shielding wall to minimize the effect on parts; Including more,
Dry air is supplied to the environment holding chamber, and a point at which the dry air is supplied is a point spaced apart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nd the base surface.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벽에는 상기 차폐벽과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 간의 이격된 지점으로 공급된 드라이에어가 주변으로 분사될 수 있는 분사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According to claim 3,
The shielding wall is formed with spray holes through which dry air supplied to a spaced apart point between the shielding wall and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can be sprayed to the surroundings.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전자부품에 대한 저온 테스트를 지원하는 테스트 지원 부분;
상기 테스트 지원 부분으로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이 실린 고객트레이를 공급하고,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이 실린 고객트레이를 회수하는 스택커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지원 부분은,
전자부품을 테스트 영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영역에 위치하며, 적재된 전자부품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는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를 가지는 적재기;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를 거쳐 온 전자부품을 테스트 영역으로 이동시키거나,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을 테스트 영역에서 회수 영역으로 이동시키며, 적재된 전자부품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를 가지는 셔틀기;
상기 스택커 부분으로부터 공급위치로 온 고객트레이로부터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을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로 전자부품을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동기;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공급 영역에서 상기 테스트 영역으로 이동된 전자부품을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전자부품이 테스터에 의해 테스트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기;
상기 회수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테스트 영역에서 상기 회수 영역의 언로딩위치로 온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플레이트;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에 의해 회수 영역으로 이동된 전자부품을 상기 회수플레이트로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동기;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가 존재하는 공간의 건조한 환경을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되며,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이 실린 고객트레이가 상기 스택커 부분으로부터 이동되어 올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구멍을 가지는 환경유지챔버;
냉각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를 냉각시키는 냉각기; 및
상기 냉각기를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는 각각 전자부품들이 적재될 수 있고, 전도를 통해 적재된 전자부품들의 온도가 조절되며, 상기 냉각기에 의해 공급되는 냉각유체가 지나가는 이동로로서 기능하는 냉각로를 가지며,
상기 셔틀기는,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에 적재된 전자부품에 열을 가하는 제2 히터;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온도측정센서;
이동원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고정시키는 이격요소; 및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의 주변으로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의 하단 및 측단과 이격되게 구비되어서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의 주변에 있는 공기가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에 적재된 전자부품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차폐벽;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환경유지챔버에는 드라이에어가 공급되되, 드라이에어가 공급되는 지점은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간의 이격된 지점이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온도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냉각기 및 제2 히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의 온도를 조절하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A test support part that supports low-temperature tes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a stacker unit supplying customer trays loaded with electronic components to be tested to the test support unit and collecting customer trays loaded with electronic components that have been tested; including,
The test support part,
a loader located in a supply area for supplying electronic components to a test area and having a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capable of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loaded electronic components;
A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for moving electronic component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to a test area or moving electronic components that have been tested from the test area to a recovery area and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loaded electronic components. Shuttle machine having;
Moving the electronic component to be tested from the customer tray that has come to the supply position from the stacker part to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or moving the electronic component from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to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t least one first mover;
a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moved from the supply area to the test area by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to a tester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tested by the tester;
a recovery plate located in the recovery area and recovering an electronic component that has been tested and brought from the test area to an unloading position of the recovery area by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t least one second mover for moving the electronic parts moved to the recovery area by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to the recovery plate;
It is provided to maintain a dry environment in the space where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exist, and a passage through which a customer tray loaded with electronic components to be tested can be moved from the stacker portion. an environment holding chamber having at least one supply hole providing;
a cooler supplying a cooling fluid to cool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nd
a controller controlling the cooler; including,
The first loading plate for temperature control and the second loading plate for temperature control can be loaded with electronic components, the temperature of the loaded electronic components is controlled through conduction, and the cooling fluid supplied by the cooler passes. It has a cooling furnace that functions as
The shuttle,
a second heater for applying heat to the electronic components loaded on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 second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loading plate for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A base plate movably provided by a moving source;
a separation element for fixing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mounting plat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ase plate; and
Electrons provided arou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and side ends of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so that the air arou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is loaded on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 shielding wall to minimize the effect on parts; Including more,
Dry air is supplied to the environment holding chamber, and a point at which the dry air is supplied is a point spaced apart between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nd the base plat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by controlling the cooler and the second heater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벽에는 상기 제2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간의 이격된 지점으로 공급된 드라이에어가 주변으로 분사될 수 있는 분사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According to claim 5,
Spray holes are formed in the shield wall through which dry air supplied to a spaced apart point between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nd the base plate can be sprayed to the surroundings.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제1 항, 제2항 및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구멍을 개폐하는 개폐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공급구멍을 통해 고객트레이가 이동할 시에만 상기 공급구멍이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기를 제어하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2 and 5,
an opener that opens and closes the supply hole; Including mor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witch so that the supply hole is opened only when the customer tray moves through the supply hole.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제1 항, 제2항 및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유지챔버에는 드라이에어가 공급되되, 공급되는 드라이에어는 상기 공급 영역 및 상기 테스트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테스트 영역과 상기 회수 영역 간에 기압차가 발생되어 상기 회수 영역에 있는 공기가 상기 테스트 영역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2 and 5,
Dry air is supplied to the environment maintenance chamber, and the supplied dry air is su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supply area and the test area, so that a difference in air pressure is generated between the test area and the recovery area, thereby generating air in the recovery area. Preventing from entering the test area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제1 항, 제2 항 및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기는,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에 적재된 전자부품에 열을 가하는 제1 히터; 및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 온도측정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온도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냉각기 및 제1 히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온도조절용 적재플레이트의 온도를 조절하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2 and 5,
The loader,
a first heater for applying heat to the electronic components loaded on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and
a first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Including mor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loading plate by controlling the cooler and the first heater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제1 항, 제2 항 및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에 의해 냉각된 냉각유체를 상기 냉각로로 공급하거나 회수하기 위한 냉각배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이중관으로 구비되고,
상기 이중관의 내측 관과 외측 관 사이로는 드라이에어가 공급되고, 상기 냉각기에 의해 공급 및 회수되는 냉각유체는 상기 이중관 중 내측 관으로 이동되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3,
At least one of the cooling pipes for supplying or recovering the cooling fluid cooled by the cooler to the cooling path is provided as a double pipe,
Dry air is supplied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of the double tube, and the cooling fluid supplied and recovered by the cooler is moved to the inner tube of the double tube.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제1 항, 제2 항 및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유지챔버는 작업자에 의해 내부를 개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도어를 가지며,
상기 개폐도어는,
제1 개방면적을 개폐할 수 있는 제1 도어; 및
상기 제1 도어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 개방면적보다 좁은 제2 개방면적을 개폐할 수 있는 제2 도어; 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3,
The environment holding chamber has at least one opening and closing doo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inside by a worker,
The opening door,
a first doo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open area; and
a second door installed on the first door to open and close a second open area narrower than the first open area; containing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제1 항, 제2 항 및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는 전자부품을 테스터의 소켓 측으로 가압하며, 상기 냉각기에서 공급되는 냉각유체가 지나가는 유체통과로를 가지는 푸셔;
상기 푸셔에 설치되어서 상기 푸셔에 열을 가하는 히팅소자;
상기 푸셔에 설치되어서 상기 푸셔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소자; 및
상기 냉각기에 의해 냉각된 냉각유체를 상기 푸셔로 공급하거나 상기 유체통과로를 지나 상기 푸셔로부터 나오는 냉각유체를 상기 냉각기로 회수하기 위한 냉각튜브들; 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튜브들 중 적어도 하나의 냉각튜브는 상기 푸셔의 이동성이 확보되도록 나선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측정소자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의해 상기 냉각기 및 상기 히팅소자를 제어하여 상기 푸셔의 온도를 조절하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3,
The connector presses the electronic component toward the socket of the tester and includes a pusher having a fluid passage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supplied from the cooler passes;
a heating element installed in the pusher to apply heat to the pusher;
a temperature measurement element installed on the pusher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pusher; and
cooling tubes for supplying the cooling fluid cooled by the cooler to the pusher or for returning the cooling fluid discharged from the pusher to the cooler through the fluid passageway;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cooling tubes is provided in a spiral shape to secure the mobility of the pusher,
The controller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pusher by controlling the cooler and the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measuring element.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KR1020220110221A 2017-07-20 2022-08-31 Hand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KR10252372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022 2017-07-20
KR20170092022 2017-07-20
KR1020180001467A KR102440374B1 (en) 2017-07-20 2018-01-05 Hand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467A Division KR102440374B1 (en) 2017-07-20 2018-01-05 Hand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677A KR20220126677A (en) 2022-09-16
KR102523725B1 true KR102523725B1 (en) 2023-04-21

Family

ID=652772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467A KR102440374B1 (en) 2017-07-20 2018-01-05 Hand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KR1020220110221A KR102523725B1 (en) 2017-07-20 2022-08-31 Hand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467A KR102440374B1 (en) 2017-07-20 2018-01-05 Hand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2440374B1 (en)
CN (1) CN112649692B (en)
TW (2) TWI698652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14207B (en) * 2019-06-19 2024-05-10 泰克元有限公司 Test board and test chamber
KR20210043040A (en) 2019-10-10 2021-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KR20210063164A (en) * 2019-11-22 2021-06-01 (주)테크윙 Tester coupling portion
CN111239586B (en) * 2020-01-20 2021-04-20 西安交通大学 Environment-controllable miniature test system
CN113245215B (en) * 2020-02-10 2023-05-23 泰克元有限公司 Sorting machine for electronic component test
KR102249401B1 (en) * 2020-05-14 2021-05-07 주식회사 티에프이 Socket module associated with semiconductor test
KR20220134117A (en) * 2021-03-26 2022-10-05 (주)테크윙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TWI768819B (en) * 2021-04-08 2022-06-21 陳主榮 Tunnel test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4508A1 (en) 2003-03-21 2004-09-23 Asm Assembly Automation Ltd. Test handler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4775B2 (en) * 1992-12-01 2002-02-12 日立電子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IC device constant temperature test equipment
KR100428030B1 (en) 2001-09-12 2004-04-30 미래산업 주식회사 Handler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KR100460479B1 (en) 2002-09-24 2004-12-08 미래산업 주식회사 Shuttle Applied to Handler
TW201007188A (en) * 2008-08-14 2010-02-16 King Yuan Electronics Co Ltd Chip testing and sorting machine capable of simulating a system test
CN101623690B (en) * 2009-07-29 2012-10-17 深圳市计量质量检测研究院 Apparatus and method for reliability screening
CN101975904A (en) * 2010-10-25 2011-02-16 温州大学 System for intelligently detecting high temperature aging of electronic assembly
KR101559419B1 (en) * 2011-12-27 2015-10-13 (주)테크윙 Test handler
KR102026357B1 (en) 2013-04-17 2019-11-04 (주)테크윙 Handler for testing semiconductor
JP2016023938A (en) * 2014-07-16 2016-02-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Electronic component conveyance device and electronic component inspection device
TW201830042A (en) * 2015-08-31 2018-08-16 日商精工愛普生股份有限公司 Electronic component transpor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component inspection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part to a target temperature with high accuracy
TWI613600B (en) * 2015-11-30 2018-02-01 Seiko Epson Corp Electronic component conveying device and electronic component inspe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4508A1 (en) 2003-03-21 2004-09-23 Asm Assembly Automation Ltd. Test handler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649692B (en) 2024-05-28
TW201947242A (en) 2019-12-16
KR20220126677A (en) 2022-09-16
CN112649692A (en) 2021-04-13
TW201908751A (en) 2019-03-01
KR102440374B1 (en) 2022-09-06
TWI676039B (en) 2019-11-01
KR20190010398A (en) 2019-01-30
TWI698652B (en) 2020-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3725B1 (en) Hand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CN1920585B (en) Substrate detector
TW436634B (en) IC test apparatus
US7457117B2 (en) System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electronic devices
TWI721343B (en) Handler for electronic component test
KR101180836B1 (en) Test Handler and Method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KR20040092785A (en) Handler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KR102098564B1 (en) Semiconductor Test Chamber
TWI617819B (en) Electronic component conveying device and electronic component inspection device
CN106483446A (en) Electronic component conveying device and electronic component inspection device
TWI659216B (en) Test device with anti-condensation unit and test classification equipment for its application
US99895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electronic devices having opposing thermal components
CN109283405B (en) Sorting machine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JP2017049017A (en) Electronic component conveying device, and electronic component checking device
TW201715243A (en) Electronic component conveying device and electronic component inspection device can exhaust air becoming high temperature toward outside even if the first indoor becomes higher temperature
CN110244141B (en) Sort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CN105314358A (en) Electronic component transfer apparatus and electronic component inspection apparatus
US11209497B2 (en) Method and system for thermal control of devices in an electronics tester
TW201630796A (en) Electronic component conveying device and electronic component inspection device
US11307248B2 (en) Contacting unit for a test handler for performing functional tests on semiconductor elements
KR102294188B1 (en) Probe Head And Prob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22069823A (en) Device conveyor and method for returning from jam
JP2016153810A (en) Handler and component inspection apparatus
KR20150121372A (en) Test handler
JP2018169186A (en) Electronic component conveyance device and electronic component insp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