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891B1 - 항균 및 탈취기능을 가지는 친환경 의류커버 - Google Patents

항균 및 탈취기능을 가지는 친환경 의류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891B1
KR102518891B1 KR1020210108375A KR20210108375A KR102518891B1 KR 102518891 B1 KR102518891 B1 KR 102518891B1 KR 1020210108375 A KR1020210108375 A KR 1020210108375A KR 20210108375 A KR20210108375 A KR 20210108375A KR 102518891 B1 KR102518891 B1 KR 102518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dy
air
oil
macro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6612A (ko
Inventor
최원수
김영흠
이정은
김태호
이동호
김정묵
임진혁
최인호
김유경
김종민
Original Assignee
에이드온벤처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드온벤처스(주) filed Critical 에이드온벤처스(주)
Publication of KR20230026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54Dust- or moth-proof garment bags, e.g. with suit 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06Lithographic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005Colour cards; Painting supports; Latent or hidden images, e.g. for games; Time delayed im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4Forming conductive coatings; Forming coatings having anti-sta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0Encapsulated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C08L101/04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 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Abstract

의류의 보관이나 세탁이후 사용되는 비닐커버에 항균 및 탈취기능을 가지도록 함과 동시에 일정기간이 지난이후 생분해되도록 하는 것으로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항균 및 탈취기능을 가지는 의류용 친환경 비닐커버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의류를 보관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의 상단 중앙부에 위치하여, 옷걸이의 고리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는 고리돌출부; 및 상기 커버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의류를 상기 커버본체의 내부로 삽입하거나 외부로 배출하는 의류출입구를 포함하는 의류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는 생분해성 고분자 필름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의류커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항균 및 탈취기능을 가지는 친환경 의류커버{Eco-friendly plastic cover for clothes with antibacterial and deodorizing function}
본 발명은 항균 및 탈취기능을 가지는 친환경 의류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의 보관이나 세탁이후 사용되는 비닐커버에 항균 및 탈취기능을 가지도록 함과 동시에 일정기간이 지난이후 생분해되도록 하는 것으로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항균 및 탈취기능을 가지는 친환경 의류커버에 관한 것이다.
인간다운 생활을 위하여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이 의식주인데, 이 중에서도 의복은 인간의 체온과 품위유지를 위하여 없어서는 안되는 물품이다.
이와 같은 의복은 가정에서 서랍장과 옷장 또는 장롱 선반 등에 옷을 정리할 때 옷을 개서 가로로 눕혀 차곡차곡 쌓는 가로정리가 보편화 되어 있지만, 이는 수납된 옷을 찾기가 불편하고, 아래에 깊숙이 수납된 피수납품을 꺼낼 때 다른 옷들의 정돈 상태가 흐트러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계절에 맞지 않거나 오랫동안 입지 않는 의류는 옷장 안에 보관할 수 있는데, 장기간 보관할 경우 옷장 안에 보관된 의류에는 먼지가 쌓이거나 때가 끼는 등 의류가 더러워지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세탁소 등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얇은 비닐 커버 또는 의류 구입 시 제공되는 별도의 의류 커버를 사용하여 의류를 옷걸이에 건 상태로 보관하는 방법이 의류의 장기 보관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비닐 커버, 별도의 의류 커버 등은 밀폐된 상태가 아닌 어느 정도 개방된 상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습기 등에 노출되기 쉽고, 습기로 인한 곰팡이 발생 등으로 의류가 손상되거나 불쾌한 냄새가 베어 착용 시 불쾌감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비가 자주 오는 장마철의 경우 실내에 습도가 높아져 옷장 등에 습기 제거제를 구비하여도 습기를 완벽하게 제거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의류의 훼손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의류커버의 경우 대부분이 고분자 필름으로 제작됨에 따라 사용이후 장기간동안 분해되지 않아 환경오염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의류 보관에 적절한 통기성 및 습도 조절력을 가지면서도 사용이후 일정조건에서 분해되어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종류의 의류커버가 필요한 실정이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05748호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620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기성, 항균 및 탈취기능을 가지는 의류용 고분자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생분해성 소재로 제작되어 일정기간이 경과된 이후 분해될 수 있는 친환경 의류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의류를 보관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의 상단 중앙부에 위치하여, 옷걸이의 고리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는 고리돌출부; 및 상기 커버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의류를 상기 커버본체의 내부로 삽입하거나 외부로 배출하는 의류출입구를 포함하는 의류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는 생분해성 고분자 필름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의류커버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는, (a)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필름의 표면에 매크로패턴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b) 상기 매크로 패턴 물질을 일정간격으로 식각하여 매크로 프리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식각이 완료된 다음, 노출된 후면부 내측 및 남아있는 매크로 프리패턴의 상부에 전도성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d) 애칭을 통하여 상기 전도성 물질을 상기 매크로 프리패턴의 측면부에 부착하는 단계; 및 (e) 상기 매크로 프리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f) 나노입자 및 항균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전도성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b)단계는 후면부 내측 상에 매크로 패턴 물질을 도포한 다음, 리소그래피 또는 임프린팅 공정을 수행하여 매크로 프리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d)단계의 애칭은 0.1mTorr~10mTorr의 압력하에서 기체를 이용하여 플라즈마를 형성한 다음 상기 플라즈마를 100eV~5,000eV로 가속화하여 수행되는 밀링 공정이며, 상기 전도성 패턴은, 높이 10nm~100㎛ 및 두께 1~100nm이며, 사이의 간격은 10nm ~ 100㎛인 선형이며,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락트산,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글리콜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캡슐은, 항균활성을 가지는 물질이 용해된 수용액에 나노입자를 혼합하여 항균활성물질-나노입자 복합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항균활성물질-나노입자 복합수용액에 온도 의존성 오일을 혼합하여 유화처리하는 단계; 및 피막물질이 용해된 피막용제에 상기 유화처리된 용액을 투입하여 상기 항균활성물질-나노입자와 상기 온도의존성 오일이 상기 피막물질에 피막되어 미세입자로 캡슐화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며, 상기 온도 의존성 오일은 코코넛 오일, 트리글리세리드류, 지방산, 또는 그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피막물질은 메타크릴산계 물질, 셀락(Shellac)류, CAP(Cellulose acetate phthalate)류, PVAP(Polyvinyl acetate phtahalate)류, HPMCAS(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acetate succinate)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한 것이며, 상기 항균활성을 가지는 물질은 카테킨, 카페인, 아로마 오일, 천연 추출물 및 알코올을 포함하며, 상기 아로마 오일은, 라벤더 오일, 페퍼민트 오일, 세이지 오일, 로즈마리 오일 또는 유칼립투스 오일을 포함하며, 상기 천연 추출물은 솔잎 추출물, 계피 추출물, 고추냉이 추출물, 자몽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레몬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나노입자는 금, 은, 구리, 주석, 아연, 티타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금속나노입자이며, 상기 마이크로 캡슐의 내부에는 상기 금속 나노입자를 상기 마이크로 캡슐 100중량부 대비 5~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는 1~10개의 공기 유입부 및 1~10개의 공기 유출부가 설치되며, 상기 공기 유입부는, 불소수지를 연신하여 0.05~1㎛의 크기를 가지는 미세기공이 형성된 시트로 제조되며, 외부의 공기를 커버본체 내부로 유입하는 공기유입용 다공부; 상기 다공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다공성 입자로 충진된 수분 흡착부; 상기 수분흡착부 내부에 위치하며, 촉매물질을 포함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유기화합물을 흡착 및 분해하는 부직포층; 및 상기 부직포층과 상기 커버본체의 내부를 연결하며, 상기 커버의 내부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일방향 벨브를 포함하며, 상기 부직포층은 2~10중량%의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며, 공기의 유동에 따라 인접섬유와 마찰되는 것으로 정전기를 발생시키며, 상기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한 정전기적인 인력으로 유기화합물 및 미세입자를 흡착하며, 상기 전도성 물질은 탄소나노튜브, 탄소섬유, 금속 나노섬유, 금속 나노입자, 그래핀 및 플러렌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출부는; 상기 커버의 내부의 공기를 외부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일방향 벨브; 상기 일방향 벨브의 외부에 위치하며, 다공성 입자로 충진된 수분흡착부; 및 상기 수분 흡착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유출용 다공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본체의 내부에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옷의 보관시 발생할 수 있는 미생물의 증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친환경 의류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균물질을 마이크로 캡슐화하여 커버본체의 내부에 포함하는 것으로 장기간동안 항균물질의 공급이 가능하므로 장기간동안 의류를 보관하는 경우에도 미생물에 의한 악취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의류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유입부 및 공기 유출부에 수분흡착부를 설치함에 따라 의류본체 내부로 수분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 의류 커버사이에 교차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 의류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 필름을 이용하여 의류커버를 제조함에 따라 일정기간이 경과한 다음, 분해될 수 있어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친환경 의류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의류커버의 모습을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의한 커버본체의 잔도성 패턴 형성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 의류커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의류를 보관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의 상단 중앙부에 위치하여, 옷걸이의 고리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는 고리돌출부; 및 상기 커버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의류를 상기 커버본체의 내부로 삽입하거나 외부로 배출하는 의류출입구를 포함하는 의류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는 생분해성 고분자 필름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의류커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커버본체(100)는 의류(400)를 감싸 외부와 물리적으로 단절시키는 부분으로 의류의 오염을 방지하는 역할을 주로 수행한다. 본 발명의 커버 본체의 경우 취급의 용의성을 위하여 필름형으로 제작되어 의류의 표면을 감싸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사각형 또는 오각형으로 재단된 2장의 필름 3면을 열, 초음파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으로 한쪽면이 개방된 봉투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방된 부분은 의류유입구(300)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유입구의 반대측은 고리돌출부(200)가 형성되어 옷걸이의 고리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버본체는 사용이후 폐기시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생분해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락트산,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글리콜산을 포함하여 일정기간이후 분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본체(100)의 경우 상기 의류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흡수 및 방출하며, 항균 및 방습성능을 가지도록 제작되어 보관되는 의류에 미생물의 발생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장기간 보관시에서 의류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커버본체는, (a)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필름의 표면에 매크로패턴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b) 상기 매크로 패턴 물질을 일정간격으로 식각하여 매크로 프리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식각이 완료된 다음, 노출된 후면부 내측 및 남아있는 매크로 프리패턴의 상부에 전도성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d) 애칭을 통하여 상기 전도성 물질을 상기 매크로 프리패턴의 측면부에 부착하는 단계; 및 (e) 상기 매크로 프리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f) 나노입자 및 항균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전도성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a)단계는 생분해성 고분자 필름(110)에 매크로 패턴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로, 매크로패턴 물질(120)을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필름(110)의 표면에 도포하여 매크로 패턴이 형성될 층을 제작하는 단계이다(도 2의 (a)). 이때 상기 매크로 패턴물질(120)은 스프레이, 롤러코팅, 증착 등의 방법을 통하여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필름의 표면에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매크로 패턴층의 두께에 비례하여 상기 전조성 패턴의 높이가 정해지기 때문에 100㎛의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는 증착을 사용하여 도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메크로 패턴 물질(120)은 폴리스타일렌, 키토산,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포토레지스트 화합물(photoresist) 또는 전도성 고분자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매크로 패턴 물질은 리소그래피 또는 임프린팅 공정에 의하여 일정 모양으로 형성되고, 측면에 에칭에 의하여 전도성 물질(130)이 증착된다. 이때, 매크로 프리패턴의 높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증착되는 전도성 물질의 높이와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매크로 패턴 물질(120)을 도포한 다음, 상기 매크로 패턴물질을 일정간격으로 식각하는 것으로 매크로 프리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도 2의 (b)). 이때 식각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리소그래피 또는 임프린팅 공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리소그래피 또는 임프린팅 공정을 기존에 알려진 것과 동일한 공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매크로 프리패턴이 형성된 다음, 상기 프리페턴의 상부에 전도성 물질(130)을 도포할 수 있다(도 2의 (c)). 상기 전도성 물질(130)은 금, 백금, 은, 구리, 알루미늄, 징크옥사이드, 크롬, 인듐 틴 옥사이드(ITO), 니켈, 철, 티타늄, 몰리브덴, 실리콘, 징크 옥사이드(zinc oxide) 또는 티타늄 옥사이드(titanium oxide)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물질(130)은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필름(110)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되기 때문에 상기 매크로 프리패턴의 윗부분뿐만 아니라 리소그래피 또는 임프린팅 공정으로 인하여 노출되는 필름의 표면에도 균일하게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전도성 물질(130)이 도포된 다음. 이를 애칭하여 상기 전도성 물질(130)을 상기 매크로 프리패턴(120)의 벽면부에 부착할 수 있다(도 2의 (d)).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에칭에 의하여 상기 전도성 물질(130)이 사방으로 비산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노출된 필름(110)에 부착된 전도성물질(130)의 경우 상기 매크로 프리패턴의 밖으로 유출되지 못하고 상기 매크로 프리패턴의 벽면부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애칭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전도성 물질(130)은 상기 매크로 프리패턴의 벽면에 존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애칭은 0.1mTorr~10mTorr의 압력하에서 기체를 이용하여 플라즈마를 형성한 다음 상기 플라즈마를 100eV~5,000eV로 가속화하여 수행되는 밀링 공정 특히 이온 밀링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온 밀링에 사용되는 기체는 아르곤, 헬륨, 질소, 산소 및 이들의 혼합기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전도성 물질이 매크로 프리패턴의 측면에 부착된 다음, 상기 매크로 프리패턴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전도성 물질만이 남아있게 되며(도 2의 (e)), 이를 이용하여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필름의 표면에 전도성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전도성 패턴은 의류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분산 및 발산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전기에 의한 먼지 부착이나 의류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도성 패턴이 형성된 이후 나노입자 및 항균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140)을 도포할 수 있다(도 2의 (f)). 이때 상기 마이크로 캡슐(140)은 사용자에 의한 상기 커버본체의 움직임, 공기의 이동에 따른 커버의 움직임 등을 통하여 내부의 내용물이 유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커버 본체는 나노입자 및 항균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장기간에 걸쳐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캡슐(140)의 경우 상기 전도성 패턴에 도포되기 위하여 천연 접착성 물질(150)과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천연 접착성 물질(150)에 상기 나노입자 및 항균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나노입자 및 항균활성을 가지는 물질의 초기농도를 확보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천연 접착성 물질에 포함되는 나노입자 및 항균활성을 가지는 물질은 초기농도를 확보할 수 있지만 대기중에 노출되어 활성이 빨리 감소하게 되므로 초기농도 확보이후에는 상기 마이크로 캡슐 내의 나노입자 및 항균활성을 가지는 물질이 배출되어 지속적으로 나노입자 및 항균활성을 가지는 물질의 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연 접착성 물질의 경우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상기 전도성 패턴 사이에 존재할 수 있도록 적절한 점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잔컵 점도계(No. 3)를 이용한 점도 측정시 5초 이상 20초 이하의 점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 접착성 물질의 점도가 5초 미만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상기 전도성 패전 사이에 고정하기 어려우며, 20초 이상의 점도를 가지는 경우 상기 천연 접착성 물질이 상기 전도성 패턴사이로 모세관 현상을 일으키지 않아 상기 마이크로 캡슐이 상기 전도성 패턴위에 고정되어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접착성 물질(150)에는 광촉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사용되는 광촉매의 경우 자외선에 의하여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산화티타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산화티타늄의 경우 상기 나노입자와 동일한 나노사이즈로 제작이 용이하여 상기 전도성 패턴 사이에 부착이 용이하므로 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접착성 물질(150)은 상기 마이크로 캡슐(140)을 부착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아교, 셀룰로오스계 접착제, 실리콘 오일계 접착제, 라텍스, 전분, 구아검, 아라비아검, 로커스트빈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중 전분, 구아검, 아라비아검, 로커스트빈검은 물에 용해되는 수용성을 가지고 있어 수분과 접촉하는 경우 의류로 이착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물에 녹지 않는 아교, 셀룰로오스계 접착제, 실리콘 오일계 접착제, 라텍스와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로 캡슐(140)은 항균활성을 가지는 물질이 용해된 수용액에 나노입자를 혼합하여 항균활성물질-나노입자 복합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항균활성물질-나노입자 복합수용액에 온도 의존성 오일을 혼합하여 유화처리하는 단계; 및 피막물질이 용해된 피막용제에 상기 유화처리된 용액을 투입하여 상기 항균활성물질-나노입자와 상기 온도의존성 오일이 상기 피막물질에 피막되어 미세입자로 캡슐화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도 3 참조).
상기 항균활성을 가지는 물질은 카테킨, 카페인, 아로마 오일, 천연 추출물 및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균활성을 가지는 천연물질은 폴리페놀 또는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천연물질로서, 카테킨 또는 카페인과 같은 천연 항균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아로마 오일 및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마이크로 캡슐이 파괴될 때 특정 향을 추가로 방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균활성을 제외한 다른 유용한 효과를 주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사용되는 아로마 오일은 라벤더 오일, 페퍼민트 오일, 세이지 오일, 로즈마리 오일 또는 유칼립투스 오일과 같이 일정한 향을 가지고 있음과 더불어 항균효과를 가지는 오일을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항균활성물질의 효능을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천연 추출물은 솔잎 추출물, 계피 추출물, 고추냉이 추출물, 자몽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레몬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은 양쪽성 용매로 첨가되는 것으로 수용성 용매에 상기 아로마오일과 같은 극성 욜질을 혼합하기 위한 용매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물질을 그 자체로서 항균활성물질로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경우 상기 항균활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나노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입자는 나노크기를 가지는 입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병원균과 상기 나노입자가 접촉하는 경우 상기 나노입자는 상기 병원성 물질을 산화시켜 제거하는 것으로 항균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나노입자는 금, 은, 구리, 주석, 아연, 티타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금속나노입자일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 캡슐의 내부에는 상기 금속 나노입자를 상기 마이크로 캡슐 100중량부 대비 5~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입자가 상기 마이크로 캡슐 100중량부 대비 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된느 경우 나노입자에 의한 항균활성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10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나노입자만의 함량이 늘어나게 되므로, 천연물질로 인한 효과(항균활성, 발향, 기타 등)가 떨어질 수 있다.
아울러 기존의 항균활성을 가지는 나노입자의 경우 커버본체에 직접 부착되는 형태로 제작되고 있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표면이 산화되어 항균활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나노입자는 산소와 차단된 마이크로 캡슐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적절한 시점에 마이크로 캡슐의 파괴에 의하여 외부에 노출되어 항균활성을 발휘하므로 장기간동안 항균활성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나노입자는 상기 광촉매와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산화에 의한 항균활성의 저하가 가속되어 상기 광촉매와 상기 나노입자의 항균활성이 동시에 빠른 속도로 감소하였지만.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마이크로 캡슐의 내부에 상기 나노입자를 포함하므로, 외부 노출 이전까지는 접촉을 차단할 수 있음에 따라 장기간 동안 항균활성의 유지가 가능하다.
상기 온도 의존성 오일은 코코넛 오일, 트리글리세리드류, 지방산, 또는 그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피막물질은 메타크릴산계 물질, 셀락(Shellac)류, CAP(Cellulose acetate phthalate)류, PVAP(Polyvinyl acetate phtahalate)류, HPMCAS(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acetate succinate)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한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 의존성 오일은 코코넛오일이며, 상기 피막물질은 메타크릴산계 물질인 유드라지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의존성 오일은 유화제로 적용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체온부근 또는 약물을 방출하여야 하는 부위에서 액상으로 녹거나 커버본체의 움직임에 따라 파괴되면서 효과적으로 약물 즉 천연추출물을 방출할 수 있는 온도 감응성 오일이 적용된다.
상기 코코넛 오일은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널리 열대지방의 해안에 자생하는 야자나무 열매의 핵에서 채취되는 지 방으로 일명 코프라 오일(copra oil)이라고도 하며 녹는점은 23 내지 28℃이고, C10, C12, C14의 포화지방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코코넛 오일은 다나산(dynasan), 위텝졸(witepsol) 또는 콤프리톨(compritol)과 같은 준중합 지질(semisynthetic lipid)과 비교하여 더 높은 생분해성과 낮은 생체 내 독성을 가지고 있다.
또 다르게는 상기 온도 의존성 오일은 상온에서는 고상이지만 체온 부근 또는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녹아서 액상이 되는 트리글 리세리드류, 지방산, 또는 그 혼합물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트리글리세리드류로는 트리카프린(녹는점 31℃트리라우린(녹는점 46℃트리미리스틴(녹는점 57℃을 단독 또는 혼합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지방산류는 카프린산(녹는점 31 내지 33℃라우린산(녹는점 44℃내지 45℃미리스틴산(녹는점 54 내지 55℃을 단독 또는 혼합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다음은 이러한 항균활성물질-나노입자 복합수용액과 온도 의존성 오일이 혼합된 용액을 유화되도록 하기 위한 유화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유화처리는 진동, 교반, 초음파 처리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유화처리가 완료된 다음, 피막물질이 용해된 피막용제에 상기 유화처리된 용액을 투입하여 상기 천연물질-나노입자와 상기 온도의존성 오일이 상기 피막물질에 피막되어 미세입자로 캡슐화되도록 처리하여,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피막물질은 바람직하게는 보관조건에서는 고형상으로 존재하여 보관하는 동안 입자의 물리적인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입자내에 함유된 약물의 화학적인 안정성을 증대시키며, 체온부근 또는 약물을 방출하여야 하는 부위에서 액상으로 녹고나 인체의 움직임에 따라 파괴되어 효과적으로 약물을 방출할 수 있는 산도 감응성 물질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피막물질은 메타크릴산계 물질, 셀락(Shellac)류, CAP(Cellulose acetate phthalate)류, PVAP(Polyvinyl acetate phtahalate)류, HPMCAS(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acetate succinate)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한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계 물질인 유드라지트를 사용할 수 있다.
유드라지트는 독일의 디구사(Degusssa)에서 제조하여 판매되는 것으로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과 에틸 아크릴산 (Ethyl Acrylate)이 상호 소정 비율로 공중합된 물질이다. 일 예로서, 유드라지트L100-55는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과 에틸 아크릴산(Ethyl Acrylate)이 1:1로 공중합된 물질로서 산도 PH 5.5에서 녹는 특성을 갖고 있다. 그 밖에도 산도에 감응성을 나타내는 유드라지트계열로서 유드라지트E는 산도5에서 녹고, 유드라지트L은 산도 6에서 녹으며, 유드라지트S는 산도 7에서 녹는 특성을 갖고 있다.
상기 피막물질은 상기 피막용제의 용매에 대해 1.5wt% 내지 3.0wt%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피막물질이 1.5wt%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마이크로 캡슐의 피막 생성이 어려울 수 있으며, 3.0wt%를 초과하는 농도로 포함되는 경우 마이크로 캡슐이 피막이 두꺼워져 커버본체의 움직임에 따라 마이크로캡슐의 파괴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피막용제는 알코올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의존성 오일 : 천연물질-나노입자 : 피막물질의 무게비는 9:1:4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에서는 적절한 마이크로 캡슐의 생성이 가능하지만 상기 비를 벗어나는 경우 마이크로 캡슐의 생성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상기 피막물질이 상기 유화용액내에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분산처리할 수 있다. 상기 분산처리는 피막물질이 유화용액을 포획하여 마이크로입자 크기로 균일하게 캡슐화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으로 초음파처리, 교반, 진동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피막물질은 마이크로 캡슐을 형성하며, 상기 마이크로 캡슐의 내부에는 항균활성물질-나노입자 복합수용액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캡슐은 상기 커버본체 100중량부 대비 상기 마이크로 캡슐 0.1~5중량부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캡슐이 0.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마이크로 캡슐에 의한 항균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5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미부착된 마이크로 캡슐이 상기 의류로 이착되어 의류의 표면을 오염시키거나 미세먼지 오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본체의 경우 내부의 수분량 조절 및 통기성 확보를 위하여 1~10개의 공기 유입부 및 1~10개의 공기 유출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하여 상기 커버본체에는 수분량이 최소화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유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커버본체 내부의 공기는 오염물질이 흡착되어 제거되므로 커버본체 내부의 의류가 오염되더라도 다른 의류로의 교차오염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공기 유입부는, 불소수지를 연신하여 0.05~1㎛의 크기를 가지는 미세기공이 형성된 시트로 제조되며, 외부의 공기를 커버본체 내부로 유입하는 공기유입용 다공부; 상기 다공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다공성 입자로 충진된 수분 흡착부; 상기 수분흡착부 내부에 위치하며, 촉매물질을 포함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유기화합물을 흡착 및 분해하는 부직포층; 및 상기 부직포층과 상기 커버본체의 내부를 연결하며, 상기 커버의 내부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일방향 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용 다공부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커버본체 내부로 유입되지 위하여 최초로 접촉하는 지점으로 상기 공기유입부의 최외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유입용 다공부는 외부의 오염물 특히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면서도 원활한 공기의 유동을 위하여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기공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다공부는 불소수지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불소수지로 제작된 필름을 연신하여 0.05~1㎛의 크기를 가지는 미세기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공의 크기가 0.05mm미만인 경우 공기의 유동이 어려워져 통기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1㎛를 초과하는 크기를 가지는 경우 상기 기공을 통하여 수분이나 오염물이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용 다공부의 내부에는 다공성 입자로 충진된 수분 흡착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분흡착부는 상기 디공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에서 수증기와 크기가 큰 입자를 흡착하여 제거하는 부분으로 다량의 다공성 입자가 충진되어 있어 수증기, 수분 및 유해성 입자를 물리적으로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공성 입자는 활성탄, 제올라이트, 안트라사이트 또는 황토와 같은 다공성 물질을 포함하는 0.1~2mm크기의 구형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 층은 상기 수분흡착부 내부에 위치하며, 촉매물질을 포함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유기화합물을 흡착 및 분해하는 부분으로 상기 다공성 입자가 흡착하지 못한 물질을 정전기적으로 흡착하는 부분이다. 상기 부직포층은 2~10중량%의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며, 공기의 유동에 따라 인접섬유와 마찰되는 것으로 정전기를 발생시키며, 상기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한 정전기적인 인력으로 유기화합물 및 미세입자를 흡착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전도성 물질은 탄소나노튜브, 탄소섬유, 금속 나노섬유, 금속 나노입자, 그래핀 및 플러렌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의 경우 상기 커버본체의 움직임에따라 인접섬유간의 마찰이 발생하여 정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전기는 상기 부직포에 포함된 전도성 물질로 인하여 부직포층의 전체에 확산되고 저장된다. 상기 수분흡착부를 통과한 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정전기에 의하여 미세입자가 반데르발스 결합을 형성하여 응집되거나 부직포층에 흡착되어 걸러지게 된다.
또환 상기 부직포의 경우 상기 정전기의 생성을 더욱 강화하기 위하여 부직포 섬유의 표면에 대전성 고분자 수지를 코팅하여 정전기를 더욱 많이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대전성 고분자 수지는 수지 자체가 대전성을 구비한 것이거나, 또는, 수지에 첨가제를 투입하여 대전성이 부여된 것이거나, 또는, 수지를 수처리에 의해 전하 부여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대전성 고분자 수지는 + 30nC/J 이상의 양전하 친화도 값(positive charge affinity value) 혹은 -30 nC/J 이하의 음전하 친화도 값(negative charge affinity value) 범위의 마찰전기(triboelectric) 계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대전성 고분자 수지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염화비닐(PVC, 마찰전기 계수 -100nC/J),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마찰전기 계수 -90nC/J), 폴리아마이드(Polyamide, 마찰전기 계수 +30nC/J),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alate, 마찰전기 계수 -40nC/J)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염화비닐이 별도 첨가제없이 공기와의 마찰만으로 대전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상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층의 내부에는 상기 부직포층과 상기 커버본체의 내부를 연결하며, 상기 커버의 내부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일방향 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 내부에는 의류가 보관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유입주의 경우 이 의류의 보관을 위한 공기의 유입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일방향 벨브를 설치하는 것으로 공기유입부에서는 공기유입만 일어날 수 있으며, 공기유출부 역시 유사한 원리로 작동하게 되어 공기유출만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일방향 벨브는 벨브 내부에 가요성플랩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용성 플렙은 상기 일방향 벨브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플렙의 중앙부 또는 측면부가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요성플랩은 플랩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밸브 내부 턱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으므로, 공기 유입시에는 외부에서 내부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턱과 이격되어 공기가 유동할 수 있지만, 상기 커버본체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는 경우 상기 턱에 밀착되어 공기유동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출부는; 상기 커버의 내부의 공기를 외부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일방향 벨브; 상기 일방향 벨브의 외부에 위치하며, 다공성 입자로 충진된 수분흡착부; 및 상기 수분 흡착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유출용 다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출부의 경우 상기 공기유입부와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지만 다만 공기의 유출을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유출부의 일방향 벨브의 경우 상기 공기유입부의 일방향 벨브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공기의 유동방향만 외부를 항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다공성입자의 경우 상기 공기유입부의 다공성 입자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공기유출부의 다공성 입자는 상기 의류에서 배출되는 수분과 미세먼지등을 흡착하여 각 의류사이의 교차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기공의 크기가 상기 공기유입부의 다공성입자와 상이한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공기유출용 다공부의 경우 0.1~1mm의 크기를 가지는 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용 다공부의 경우 수분의 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미세기공이 형성된 다공부를 사용하였지만 상기 공기유출부의 경우 내부의 공기를 빠르게 배출하기 위하여 크기가 큰 기공을 가지는 다공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공기유출용 다공부의 기공크기가 0.1mm미만인 경우 공기의 유출이 어려워 내부의 오염물질이 정체될 수 있으며, 1mm를 초과하는 크기를 가지는 경우 내부의 다공성 입자가 유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커버본체
110 : 생분해성 필름
120 : 매크로 패턴 물질
130 : 전도성 물질
140 : 마이크로 캡슐
150 : 천연 접착성 물질
200 : 고리돌출부
300 : 의류출입구
400 : 의류

Claims (4)

  1. 의류를 보관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의 상단 중앙부에 위치하여, 옷걸이의 고리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는 고리돌출부; 및
    상기 커버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의류를 상기 커버본체의 내부로 삽입하거나 외부로 배출하는 의류출입구;
    를 포함하는 친환경 의류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는 생분해성 고분자 필름으로 제작되며,
    (a)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필름의 표면에 매크로패턴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b) 상기 매크로 패턴 물질을 일정간격으로 식각하여 매크로 프리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식각이 완료된 다음, 노출된 후면부 내측 및 남아있는 매크로 프리패턴의 상부에 전도성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d) 애칭을 통하여 상기 전도성 물질을 상기 매크로 프리패턴의 측면부에 부착하는 단계; 및
    (e) 상기 매크로 프리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f) 나노입자 및 항균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도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전도성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b)단계는 후면부 내측 상에 매크로 패턴 물질을 도포한 다음, 리소그래피 또는 임프린팅 공정을 수행하여 매크로 프리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d)단계의 애칭은 0.1mTorr~10mTorr의 압력하에서 기체를 이용하여 플라즈마를 형성한 다음 상기 플라즈마를 100eV~5,000eV로 가속화하여 수행되는 밀링 공정이며,
    상기 전도성 패턴은, 높이 10nm~100㎛ 및 두께 1~100nm이며, 사이의 간격은 10nm ~ 100㎛인 선형이며,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락트산,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글리콜산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캡슐은,
    항균활성을 가지는 물질이 용해된 수용액에 나노입자를 혼합하여 항균활성물질-나노입자 복합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항균활성물질-나노입자 복합수용액에 온도 의존성 오일을 혼합하여 유화처리하는 단계; 및
    피막물질이 용해된 피막용제에 상기 유화처리된 용액을 투입하여 상기 항균활성물질-나노입자와 상기 온도의존성 오일이 상기 피막물질에 피막되어 미세입자로 캡슐화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며,
    상기 온도 의존성 오일은 코코넛 오일, 트리글리세리드류, 지방산, 또는 그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피막물질은 메타크릴산계 물질, 셀락(Shellac)류, CAP(Cellulose acetate phthalate)류, PVAP(Polyvinyl acetate phtahalate)류, HPMCAS(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acetate succinate)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한 것이며,
    상기 항균활성을 가지는 물질은 카테킨, 카페인, 아로마 오일, 천연 추출물 및 알코올을 포함하며,
    상기 아로마 오일은, 라벤더 오일, 페퍼민트 오일, 세이지 오일, 로즈마리 오일 또는 유칼립투스 오일을 포함하며,
    상기 천연 추출물은 솔잎 추출물, 계피 추출물, 고추냉이 추출물, 자몽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레몬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나노입자는 금, 은, 구리, 주석, 아연, 티타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금속나노입자이며,
    상기 마이크로 캡슐의 내부에는 상기 금속 나노입자를 상기 마이크로 캡슐 100중량부 대비 5~10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본체는 1~10개의 공기 유입부 및 1~10개의 공기 유출부가 설치되며,
    상기 공기 유입부는,
    불소수지를 연신하여 0.05~1㎛의 크기를 가지는 미세기공이 형성된 시트로 제조되며, 외부의 공기를 커버본체 내부로 유입하는 공기유입용 다공부;
    상기 다공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다공성 입자로 충진된 수분 흡착부;
    상기 수분흡착부 내부에 위치하며, 촉매물질을 포함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유기화합물을 흡착 및 분해하는 부직포층; 및
    상기 부직포층과 상기 커버본체의 내부를 연결하며, 상기 커버의 내부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일방향 벨브;
    를 포함하며,
    상기 부직포층은 2~10중량%의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며, 공기의 유동에 따라 인접섬유와 마찰되는 것으로 정전기를 발생시키며, 상기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한 정전기적인 인력으로 유기화합물 및 미세입자를 흡착하며,
    상기 전도성 물질은 탄소나노튜브, 탄소섬유, 금속 나노섬유, 금속 나노입자, 그래핀 및 플러렌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출부는;
    상기 커버의 내부의 공기를 외부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일방향 벨브;
    상기 일방향 벨브의 외부에 위치하며, 다공성 입자로 충진된 수분흡착부; 및
    상기 수분 흡착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유출용 다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의류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패턴 물질은 폴리스타일렌, 키토산,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포토레지스트 화합물(photoresist) 또는 전도성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의류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캡슐은 천연 접착성 물질과 혼합되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의류커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접착성 물질은 잔컵점도계(No. 3)를 이용한 점도 측정시 5초 이상 20초 이하의 점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의류커버.
KR1020210108375A 2021-08-17 2021-08-17 항균 및 탈취기능을 가지는 친환경 의류커버 KR1025188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08374 2021-08-17
KR1020210108374 2021-08-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612A KR20230026612A (ko) 2023-02-27
KR102518891B1 true KR102518891B1 (ko) 2023-04-07

Family

ID=85329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375A KR102518891B1 (ko) 2021-08-17 2021-08-17 항균 및 탈취기능을 가지는 친환경 의류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8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971B1 (ko) 2023-07-31 2024-03-25 조윤주 의복 보호용 투명 커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3961A (ja) * 2001-03-30 2002-10-09 Unitika Ltd 衣料用袋
JP2017166106A (ja) * 2016-03-18 2017-09-21 住友電工ファインポリマー株式会社 繊維集合体、綿状体、紡糸、フェルト、不織布、フィルタユニット、及びフィルタ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102229611B1 (ko) * 2020-11-25 2021-03-19 심봉경 발열감지 수단이 형성된 발열 감지 마스크
KR102232952B1 (ko) * 2020-11-23 2021-03-26 주식회사선진씨앤디 그라비아 인쇄 필름
KR102263195B1 (ko) * 2020-11-24 2021-06-11 주식회사 올리 항균원단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204B1 (ko) 2012-06-05 2014-09-01 김명철 의류 커버
KR102205748B1 (ko) 2018-10-22 2021-01-22 주식회사 지아이엘 의류보호커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3961A (ja) * 2001-03-30 2002-10-09 Unitika Ltd 衣料用袋
JP2017166106A (ja) * 2016-03-18 2017-09-21 住友電工ファインポリマー株式会社 繊維集合体、綿状体、紡糸、フェルト、不織布、フィルタユニット、及びフィルタ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102232952B1 (ko) * 2020-11-23 2021-03-26 주식회사선진씨앤디 그라비아 인쇄 필름
KR102263195B1 (ko) * 2020-11-24 2021-06-11 주식회사 올리 항균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2229611B1 (ko) * 2020-11-25 2021-03-19 심봉경 발열감지 수단이 형성된 발열 감지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612A (ko) 202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3195B1 (ko) 항균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2518891B1 (ko) 항균 및 탈취기능을 가지는 친환경 의류커버
Yip et al. Microencapsulation technologies for antimicrobial textiles
JP2008521520A (ja) 改良型滅菌フィルタ装置、滅菌装置及び滅菌方法
WO2007062471A1 (en) Air treatment compositions and devices therefor
RU2008143241A (ru)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включающий ультрамелкие или наноразмерные порошки
WO2017059090A1 (en) Controlled gas phase release of non aqueous phase liquid essential oil compounds for aromatherapy, fragrance and insecticidal activity
WO2005044319A1 (en) Article and method
JP3219435U (ja) 複合機能エアコンフィルター
JP2007089797A (ja) 芳香発生マスク
JP3121923U (ja) 不織布製の寝具用カバー
JP2010188426A (ja) 清拭シート
JPH06206801A (ja) 揮散性薬剤の放出方法
JP2008056594A (ja) 芳香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257547B2 (ja) 脱臭剤封入濾材
JP2008017957A (ja) 芳香発生マスクの製造方法
JPH0889591A (ja) マスク及びマスクの芳香調整方法
JP3813910B2 (ja) アロマテラピー効果を有する繊維製品
KR102462719B1 (ko) 발열 감지와 홍보인쇄기능을 포함하는 마스크
KR101669275B1 (ko) 구조체, 이 구조체의 제조 방법, 증산 장치, 증산 방법 및 증산용 키트
TWM622020U (zh) 過濾結構與過濾裝置
JPS58185513A (ja) 浴槽用芳香剤
JP6435146B2 (ja) マスク処理剤
CN214550715U (zh) 一种微型鼻罩保健滤芯器
JP2004242737A (ja) 携帯型小型ファン又は吸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